KR20000017351A - 이동식 스크리인 - Google Patents

이동식 스크리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351A
KR20000017351A KR1019990033895A KR19990033895A KR20000017351A KR 20000017351 A KR20000017351 A KR 20000017351A KR 1019990033895 A KR1019990033895 A KR 1019990033895A KR 19990033895 A KR19990033895 A KR 19990033895A KR 20000017351 A KR20000017351 A KR 20000017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rm
spring
arms
lowe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8415B1 (ko
Inventor
다카모토히데오
오무라데쓰지로
세키가즈하루
Original Assignee
이또 노부히꼬
이즈미 코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34046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0001735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또 노부히꼬, 이즈미 코스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또 노부히꼬
Publication of KR20000017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4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Abstract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고, 간이한 구성의 염가의 이동식 스크리인을 제공한다.
하부케이싱(1)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스프링 로울(2)을 부착하는 한편, 스프링 로울(2)에 감긴 스크리인(4)의 일단을 톱바아(3)에 원추형 접착하였다. 또, 스프링 로울(2)에 부착된 스프링의 탄성력 및 중력에 대하여, 신축수단(5)에 걸린 높이 지지수단(6)에 의한 하강에 대한 반발력 또는 상방으로의 가압력을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스크리인(4)을 희망하는 높이에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이동식 스크리인{PORTABLE SCREEN ASSEMBLY}
본 발명은 프로젝션 TV 또는 프로젝터에 의한 표시상을 확대 투영하는 스크리인에 관한 것으로, 운반하기가 용이하고, 바닥 또는 테이블 등 임의의 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 이동식 스크리인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션 TV를 포함한 프로젝터로부터의 화상은, 일반적으로 반사형 스크리인 또는 투과형 스크리인에 확대 투영되어 표시된다.
이와 같은 스크리인중에서, 천정 또는 벽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수납케이스에 수용된 스크리인을 필요에 따라서, 전기 또는 수동으로 끌어 내려서 사용하여 왔다. 또, 차트식 스크리인 또는 3각 스탠드 스크리인은 일정한 장소에 밑으로 드리우거나 바닥식(floor type)으로 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스프링 로울에 감긴 스크리인을 수납케이스에 수납한 이동식 스크리인도 제안되고 있어, 임의의 장소에 수납케이스를 설치하여, 예컨대 팬터그래프에 의하여 스프링등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스크린을 끌어올리곤 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회사 또는 사무소등에 있어서의 회의의 증가에 따라, 프로젝터와 함께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어, 회의실의 바닥, 회의용 테이블 또는 테이블 위에 설치하여 프로젝터로부터의 화상을 투영할 수 있는 간이한 구성의 이동식 스크리인에 대한 요망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팬터그래프를 끌어올릴 때, 좌우의 균형을 잡기 어렵기 때문에 톱바아가 기우려지기 쉽고, 그 결과, 접어갤 때에 죽순형상으로 스크리인이 스프링 로울에 감겨 들어가서, 스크리인을 파손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팬터그래프의 아암의 축방향과, 스프링 로울의 축방향이 어긋난 상태에서 설치되었을 경우, 스크리인을 신장하였을 경우에, 스프링 로울과 톱바아 축의 방향이 병행으로 되지 않아서, 스크리인에 꼬여짐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꼬여짐을 해소하려면 팬터그래프를 구성하는 전체부품 미치고, 팬터그래프를 하부케이싱에 부착하는 경우에 우수한 정밀도를 요구하게 되어, 원가 상승으로 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요망 및 문제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프로젝터와 함께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어, 취급하기 용이하며, 또한 간이한 구성의 값싼 이동식 스크리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식 스크리인(S)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아암의 연결에 사용하는 스페이서부재(14a)의 각각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아암의 한쌍의 단부재짝(15a)을 나타낸 것으로, 철부의 상면도(a)-1 및 측면도(a)-2, 및 요부의 상면도(b)-1 및 측면도(b)-2.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아암의 한쌍의 단부재짝(15b)을 나타낸 것으로, 철부의 상면도(a)-1 및 측면도(a)-2, 및 요부의 상면도(b)-1 및 측면도)(b)-2.
도 5는 도 1의 이동식 스크리인(S)을 접어갠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이동식 스크리인(S)을 케이싱에 수용한 상태에서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식 스크리인(S1)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아암의 연결에 사용하는 스페이서 부재(14a)의 측면도(a)와 상면도(b).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아암의 연결에 사용하는 단부재짝(15c)의 한편의 정면도(a)와 측면도(b).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식 스크리인(S2)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케이싱 1a : W자형 부재
1b: 스프링로울 부착부재 2 : 스프링 로울
3 : 톱바아 3a : 브래킷
3b : 톱바아 부착부재 4 : 스크리인
5 : 신축수단 6, 6A : 높이유지수단
7, 8, 9, 10, 11, 12 : 아암 13 : U자형 부재
14a : 스페이서 부재 17 : 상부케이싱
15a, 15b, 15c : 아암 단부재짝 18 : 록수단
S, S1, S2 : 이동식 스크리인 20 : 완충수단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동식 스크리인은 상부 및 하부케이싱과, 이 하부케이싱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된 스프링 로울과, 일단이 톱바아에 굳게 부착됨과 동시에 수납시 상기 스프링 로울에 감긴 스크리인과, 이 스크리인에 일단이 원추형 접합되어 상기 하부케이싱에 타단이 원추형 접합된 팬터그래프식 신축수단과, 이 신축수단의 일부에 걸리게 되어 상기 스크리인을 희망하는 높이로 유지하는 높이 유지수단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가스 스프링 및 코일 스프링중의 어느 것인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신축수단을 제1 및 제2아암의 일단을 제3아암의 일단과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연결시켜, 이 제3아암과 교차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중간부가 걸린 제4아암의 일단과 제2아암의 타단을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연결함과 동시에, 제3아암의 타단을 제5아암의 일단과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연결시켜, 상기 제4아암의 타단을 제6아암의 일단과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하고, 또한 제5 및 제6의 아암의 타단을 상기 톱바아의 중간부에 각기 원추형 접합시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제5 및 제6아암의 일단을 부착부재에 원추형 접합하는 한편, 이 부착부재를 상기 톱바아에 수평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의 발명은, 상기 하부케이싱에 고정되어, 접어갤 때에 있어서의 상기 신축수단의 상기 하부케이싱에 대한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완충수단에 판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식 스크리인(S)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하부케이싱(1)과, 부착부재(1b)를 개재하여 하부케이싱(1)에 부착된 스프링 로울(2)과, 톱바아(3)와 스프링 로울(2) 사이에 신장된 스크리인(4)과, 스크리인(4)을 신축하는 팬터그래프식 신축수단(5)과, 가스 스프링으로 된 높이 유지수단(6)등을 구비하고 있다.
스크리인(4)으로서는, 유리 또는 PET제 기포(ground fablic)에 반사층을 접착하여, 반사층의 위에 비이즈(beads)층 혹은 편광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나아가서 수지층으로 피복한 공지된 스크리인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수단(5)은 알루미늄제 중공각형 파이프로 된 6개의 아암으로 구성되어, 제1아암(7) 및 제2아암(8)의 일단을 하부케이싱(1)의 중간부의 W자형 부재(1a)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원추형 접합한다. 이어서 제1아암(7)의 타단을 제3아암(9) 일단과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도 3에 도시한 단부재짝(15a)을 개재하여 연결함과 동시에 제3아암(9)과 교차하여 도 2에 도시한 스페이서부재(14)를 개재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중간부가 걸린 제4아암(10)의 일단과 제2아암(8)의 타단을 단부재짝(15a)을 개재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연결한다. 이어서 제3아암(9)의 타단을 제5아암(11)의 일단과 도 4에 도시한 단부재짝(15b)을 개재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연결함과 동시에, 제4아암(10)의 타단을 제6아암(12)의 일단과 단부재짝(15b)을 개재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연결한다. 또한 제5아암(11) 및 제6아암(12)의 타단을 스페이서 부재(14)를 개재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연결함과 동시에, U자형 부재(13)에 원추형 접합하는 한편, U자형 부재(13)를 상기 톱바아(3) 중간부의 브래킷(3a)에 이중 너트식 나사 또는 E링을 장착하는 등에 의하여 수평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 유지수단(6)으로서 사용하는 한쌍의 가스 스프링의 한편은, 그 양단을 각기 제1아암(7) 및 제3아암(9)에 연결부분을 개재하여 걸리고, 타단은, 그 양단을 각기 제2아암(8) 및 제4아암(10)에 연결부분을 개재하여 걸리어서, 스프링 로울의 스프링의 탄성력 및 중력에 저항하여 가스 압력으로 된 반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이동식 스크리인(S)의 사용하지 않을 때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팬터그래프식 신축수단(5)은 하부케이싱측으로 접어 개이게 된다. 그리고 도 5의 종단면도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싱(17)으로 뚜껑을 하여, 록수단(18)으로 장착되어서 케이싱에 수용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관한 이동식 스크리인(S)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비사용시에 있어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수단(5)이 접어개어져서 대략 직방체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어, 수납 및 운반이 극히 용이하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스크리인(4)은 스프링 로울(2)에 부착된 스프링(도면에 없음)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프링 로울(2)에 완전히 감겨짐과 동시에, 신축수단(5)을 구성하는 6개의 아암(7, 8, 9, 10, 11, 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접어개어져 있으며, 스프링 로울(2)과 대개 평행으로 연장하고 있다.
사용하는 경우에는 톱바아(3)를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스프링 로울(2)에 부착된 스프링의 탄성력 및 중력에 저항하여 스크리인(4)이 스프링 로울(2)로부터 인출한다.
가스 스프링에는 고압가스가 오리피스(orifice)를 구비한 피스톤을 개재하여 실린더 내부에 봉입(封入)하고 있어, 피스톤 막대의 신축에 따른 실린더내의 체적변화를, 오일을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가스의 압력변화로 조정하고 있다. 여기서, 스크리인(4)이 하강하려고 하면, 피스톤 막대가 압축되므로, 가스 스프링 내부의 가스압력에 의한 반발력이 발생하여, 스크리인(4)의 하강이 억제되어, 스크리인(4)을 임의의 높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원추형 접합한 아암 단부재짝(15a) 및 (15b)의 힌지부의 마찰 저항에 의하여, 스크리인(4)의 하강이 확실하게 억제된다.
여기서, 수지제의 단부재짝을 사용하였을 경우, 힌지부의 암수 상호간에 금속스페이서를 삽입하여도 좋다. 힌지부의 마찰저항을 크게 하기 위하여, 힌지부를 죄어 붙여도, 힌지부의 암수끼리의 마찰이 방지되어, 수지끼리의 마찰에 의한 불쾌한 소리를 내는 일은 없다. 또한, 윤활제를 입힘으로써, 톱바아를 연속하여 상하운동시켜도, 힌지부가 발열하는 일이 없이, 안정한 마찰저항을 얻을 수 있다.
또, 제3아암(9)과 제4아암(10)과의 걸어 부분에, 코일스프링을 부착하고, 제3아암(9) 및 제4아암(10)에 상방으로의 가압력을 부여하여, 스크리인의 하강을 억제하여도 좋다.
또, 신축수단(5)은, 하부케이싱(1) 및 톱바아(3)의 중앙부만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하부케이싱 및 톱바아 2점 이상에서 접속하는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면, 좌우의 힌지부의 마찰저항이나 가스 스프링의 반발력을 같게 할 수 있으므로, 스크리인(4)의 좌우의 평행을 잡기 쉽다.
또, 톱바아(3)의 신축수단(5)은 수평회전이 자유롭도록 원추형 접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신축수단이 직접 톱바아에 굳게 부착된 종래의 방법과 달라서, 신축수단의 하부와 상부의 축이나, 신축수단(5)의 축방향과 스프링 로울(2)의 축방향이 약간 차이져 있어도, 스프링 로울(2)의 스프링의 힘으로 스크리인(4)은 하방으로 끌려서 가장 짧은 길이로 되려고 하기 위하여, 톱바아(3)는 스프링 로울(2)과 병행의 각도로 회전하여, 스크리인(4)의 비틀림은 해소한다. 그 때문에, 신축수단(5)의 구성부품이나 부착부품, 그리고 신축수단(5)의 부착시에도 반드시 뛰어난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또한, 수납하는 경우에는 톱바아(3)를 하방으로 누르는 것만의 조작으로, 신축수단(5)이 낙하하는 일이 없이, 천천히 하강하여 접어개임과 동시에, 스크리인(4)이 스프링 로울(2)에 감겨져서, 도 5에 도시된 상태까지 회전시킨 다음, 케이싱에 수납된다.
여기서, 실린더 내부에 오일을 함유한 자유피스톤 형식의 가스실린더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신축수단의 하강시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자유피스톤 형식의 가스 스프링은 피스톤 막대의 실린더 내부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피스톤에 오리피스가 설치되어 있으며, 신축수단(5)이 접어개어진 상태로 접근하게 되면, 가스 스프링의 피스톤 막대는 실린더내에 깊게 밀어 넣는다. 이때, 피스톤은 오일에 도달하여 오일을 압박하므로, 막대를 급격하게 밀어 넣는 일을 할 수 없게 된다. 그런 다음, 오일은 오리피스를 서시히 통과하여 나아가기 때문에, 막대는 완만하게 밀려 들어가게 되어, 신축수단은 천천히 접어개이게 된다.
(제2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식 스크리인(S1)의 사용시의 상태를 나태내고 있다. 높이 유지수단(6A)으로서, 가스 스프링 대신에 한쌍의 코일 스프링을 아암 단부재짝(15c)을 사용하는 이외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었다.
한편의 코일스프링은, 제2아암(8) 및 제4아암(10)과의 원추형 접합부와 제1아암(7)에 걸리고, 다른편의 코일스프링은, 제4아암(10) 및 제6아암(12)과의 원추형 접합부와 제5아암(11)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코일스프링은, 스크리인(4)에 상방으로의 가압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스프링 로울의 스프링의 탄성력 및 중력에 대항하여, 스크리인(4)을 희망하는 높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원추형 접합된 아암 단부재짝(15c)의 힌지부의 마찰력에 의하여, 스크리인(4)의 설정높이로부터의 하강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3의 실시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이동식 스크리인(S2)의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쌍의 판스프링으로 된 완충수단을 하부케이싱(1)에 고정한 이외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완충수단(20a)과 (20b)은 접어개일 때에, 아암(7)과 (8)을 각기 막아내는 일이 가능하도록, S자 형상으로 굽어지고, 그 일단이 W자형 부재(1a)의 근방에 고정되어 있다.
신축수단(5)이 접어개어진 상태로 가까워지면, 스프링 로울의 스프링의 탄성력 및 중력에 대항하는 높이 유지수단(6)의 반발력이 저하하여 신축수단(5)이 낙하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완충수단(20)이 아암(7) 및 (8)을 막아내게 하기 위하여, 신축수단(5)의 하부케이싱(1)에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탄성력에 의하여 하부케이싱(1)에 대한 충격을 완충할 수 있고, 또 커다란 충돌음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또, 신축수단(5)의 급격한 낙하에 의하여 손발이 끼워져서 부상을 입는 위험성이 없기 때문에, 조작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신축수단(5)의 낙하를 유연하게 하기 위하여 힌지부를 죄어붙여서 힌지부의 마찰저항을 크게 할 필요가 없었으므로, 힌지부에서의 마찰열의 발생 및 불쾌한 소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쌍의 판스프링으로 된 완충수단을 W자형 부재(1a)와 별개체로 하여 하부케이싱(1)에 고정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W자형 부재(1a)와 판스프링을 일체로 하여 하부케이싱(1)에 고정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쌍의 판스프링을 완충수단으로 하여 사용하였으나, 판스프링 대신에 1쌍의 공기제동기를 완충수단으로 사용하여도,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쌍의 판스프링을 완충수단으로 하여 사용하였으나, 판스프링 대신에 1쌍의 코일스프링을 완충수단으로 사용하여도 좋다. 코일스프링을 아암(7)과 (8)을 막아낼 수 있도록 하부케이싱 위에 그 일단을 고정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에 기재된 바와 같은 효과를 성취하였다.
본 발명중에서 청구항 1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하부케이싱에 스프링 로울을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부착하여, 스프링 로울에 감긴 스크리인의 일단을 톱바아에 굳게 부착함과 동시에, 팬터그래프식 신축수단에 걸게 한 높이 유지수단으로, 스크리인을 희망하는 높이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스크리인을 정밀도가 뛰어나게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어,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고, 간이한 구성의 염가의 이동식 스크리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높이 유지수단으로 가스 스프링 및 코일스프링중의 어느 것인가를 사용함으로써, 스프링 로울의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스크리인을 임의의 높이로 설정할 수 있다. 특히, 가스 스프링을 사용하면, 사용후에, 스크리인을 천천히 접어개는 일이 가능하므로, 접어개일 때의 급격한 낙하에 의한 팬터그래프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신축수단을 여러 개의 아암을 원추형 접합하여서 된 팬터그래프식의 신축수단으로 구성하였으므로, 스크리인 사용시의 신축수단의 신장 및 스크리인을 사용하지 않을 때의 신축수단의 접어개임이 용이하다.
또,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신축수단의 일단을 부착부재를 개재하여 톱바아에 부착하였으므로, 스크리인의 꼬임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또,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하부케이싱에 충격의 완충수단을 설치하였으므로, 하부케이싱에 커다란 충격을 주는 일이 없이, 신축수단을 접어개일 수 있다.
또,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완충수단에 판스프링을 사용하였으므로, 하부케이싱에의 충격을 그 탄성력에 의하여, 약화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상부 및 하부케이싱과, 이 하부케이싱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된 스프링 로울과, 일단이 톱바아에 굳게 부착됨과 동시에, 수납시 상기 스프링 로울에 감긴 스크리인과, 이 스크리인에 일단이 원추형 접합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케이싱에 타단이 원추형 접합된 팬터그래프식 신축수단과, 이 신축수단의 일부를 걸려서 상기 스크리인을 희망하는 높이로 유지하는 높이 유지수단을 구비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스크리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유지수단에 가스 스프링 및 코일 스프링중의 어느 것인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스크리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을, 제1 및 제2아암의 일단을 상기 하부케이싱의 중간부에 각기 원추형 접합시키는 한편, 제1아암의 타단을 제3아암의 일단과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연결하고, 이 제3아암과 교차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중간부가 걸린 제4아암의 일단과 제2아암의 타단을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연결함과 동시에 제3아암의 타단을 제6아암의 일단과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연결하고, 또한 제5 및 제6아암의 타단을, 상기 톱바아의 중간부에 각기 원추형 접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스크리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및 제6아암의 일단을 부착부재에 원추형 접합하는 한편, 이 부착부재를 상기 톱바아에 수평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스크리인.
  5. 제1항∼제4항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싱에 고정되었고, 접어갤 때에 있어서의 상기 신축수단의 상기 하부케이싱에 대한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수단을 설치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스크리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에 판스프링을 사용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스크리인.
KR10-1999-0033895A 1998-08-20 1999-08-17 이동식 스크리인 KR1004184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454298 1998-08-20
JP98-234542 1998-08-20
JP00634599A JP3411515B2 (ja) 1998-08-20 1999-01-13 可搬式スクリーン
JP99-006345 1999-01-13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811U Division KR200246765Y1 (ko) 1998-08-20 2001-04-17 이동식 스크리인
KR10-2003-0042646A Division KR100407139B1 (ko) 1998-08-20 2003-06-27 이동식 스크리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351A true KR20000017351A (ko) 2000-03-25
KR100418415B1 KR100418415B1 (ko) 2004-02-11

Family

ID=2634046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895A KR100418415B1 (ko) 1998-08-20 1999-08-17 이동식 스크리인
KR2020010010811U KR200246765Y1 (ko) 1998-08-20 2001-04-17 이동식 스크리인
KR10-2003-0042646A KR100407139B1 (ko) 1998-08-20 2003-06-27 이동식 스크리인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811U KR200246765Y1 (ko) 1998-08-20 2001-04-17 이동식 스크리인
KR10-2003-0042646A KR100407139B1 (ko) 1998-08-20 2003-06-27 이동식 스크리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97905B1 (ko)
EP (2) EP0984321B1 (ko)
JP (1) JP3411515B2 (ko)
KR (3) KR100418415B1 (ko)
CA (1) CA2280357C (ko)
DE (2) DE69913622T2 (ko)
HK (2) HK1026274A1 (ko)
TW (1) TW39358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5876B2 (en) 2005-03-16 2008-07-29 Hae-Yong Choi Portable screen device with dual shaft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916A (ko) * 2000-06-26 2002-01-16 노주석 휴대용 스크린장치
JP2002095539A (ja) * 2000-09-25 2002-04-02 I D K Design Kenkyusho:Kk スクリーン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JP4141864B2 (ja) * 2002-05-23 2008-08-27 株式会社オーエス 自立式手動昇降スクリーン
JP4860154B2 (ja) * 2002-12-10 2012-01-2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組み合わせ使用のための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電子機器
FR2858389A1 (fr) * 2003-07-30 2005-02-04 Guy Doat Support a geometrie variable a structure en parallelogramme
DE102004002620B4 (de) * 2004-01-16 2010-06-02 Felix Schram Anordnung mit wenigstens einem aufrollbaren Trenn- bzw. Wandelement
EP1730588B1 (en) 2004-03-10 2019-05-22 Draper, Inc. Lock for frame
JP2005345660A (ja) * 2004-06-02 2005-12-15 Kinki Education Center:Kk 折り畳み式スクリーン
FR2875051A1 (fr) * 2004-09-09 2006-03-10 Screen Res Sarl Ensemble deployable-retractable stabilise, notamment pour systeme de production acoustique
US20060080918A1 (en) * 2004-09-17 2006-04-20 Paul Clubbe Screen assembly
JP4581935B2 (ja) * 2005-02-10 2010-11-17 株式会社オーエスエム 自立式昇降スクリーン
JP2006343475A (ja) * 2005-06-08 2006-12-21 Tadashi Yamauchi スクリーン及び画像投影システム
US7619814B2 (en) * 2006-02-14 2009-11-17 Seiko Epson Corporation Portable projection screen assembly
US7623290B2 (en) * 2006-02-14 2009-11-24 Seiko Epson Corporation Portable screen assemblies for projectors
US7612938B2 (en) * 2006-02-14 2009-11-03 Seiko Epson Corporation Portable projection screen assembly
JP2008083283A (ja) * 2006-09-27 2008-04-10 Kinki Education Center:Kk 折り畳み式スクリーン
TWM332038U (en) * 2007-06-28 2008-05-11 Tie-Han Wu Sunshade curtain
US8069598B2 (en) * 2008-04-23 2011-12-06 Jorge Garcia Adjustable display board system
CN201434962Y (zh) * 2008-05-02 2010-03-31 泉株式会社 移动式投影屏装置
CN201203751Y (zh) * 2008-05-16 2009-03-04 极品影视设备科技(深圳)有限公司 落地式投影屏幕
CN201464790U (zh) * 2009-07-24 2010-05-12 广州美视晶莹银幕有限公司 一种携带自立式手动升降屏幕
US20110119976A1 (en) * 2009-11-23 2011-05-26 Jorge Garcia Adjustable display board system
JP2011128338A (ja) * 2009-12-17 2011-06-30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装置
JP2011123233A (ja) * 2009-12-10 2011-06-23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装置
JP5488027B2 (ja) * 2010-02-18 2014-05-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クリーン装置
CN102162989B (zh) * 2010-02-18 2013-04-1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屏幕装置
JP2011186286A (ja) 2010-03-10 2011-09-22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装置
US8695755B2 (en) * 2011-01-11 2014-04-15 Production Resource Group, L.L.C. Pop up curtain assembly
JP5790008B2 (ja) * 2011-02-10 2015-10-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クリーン装置
CN102607744B (zh) * 2012-03-17 2014-04-02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气弹簧力值测量装置
US9555716B2 (en) * 2012-03-21 2017-01-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otive vehicle charge system
US8526109B1 (en) 2012-06-29 2013-09-03 Elite Screens Taiwan Co., Ltd. Portable projection screen device
FR3001051B1 (fr) * 2013-01-17 2015-01-09 Digital Packaging Systeme d'affichage pour restitution d'images avec effet de relief
KR102339290B1 (ko) * 2014-12-16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4786848B (zh) * 2015-03-30 2017-06-09 徐州凯思特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受电弓装置
US9724833B1 (en) * 2015-05-15 2017-08-08 Nutech Ventures Shape-adaptive mechanism for robotic grasping
JP7054386B2 (ja) * 2015-10-21 2022-04-13 アロヴィ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改良された自発的ポップアップディスプレイ機器
EP3627279B1 (en) * 2015-11-27 2023-05-10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019509B1 (ko) * 2016-09-05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403184B2 (en) 2016-12-22 2019-09-03 Waldemar Veazie, IV Freestanding exhibit display
CN108153101B (zh) * 2018-02-11 2023-11-07 广州市雄云视听设备有限公司 一种横向开合平行活动铰剪支承式回卷投影幕
CN114981750A (zh) * 2019-09-03 2022-08-30 迈克尔·J·尤尔 弹簧加载的展开式显示器移动电子装置
CN110549857B (zh) * 2019-09-12 2022-10-04 西南交通大学 一种受电弓主动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USD978226S1 (en) * 2020-11-10 2023-02-14 Emart International Inc Collapsible screen
USD939616S1 (en) * 2020-11-29 2021-12-28 Wuxi Donghui Video Equipment Co. Ltd. Projection screen
CN112558402B (zh) * 2020-12-16 2022-04-19 深圳市光科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远程无线通信控制的电动幕
KR20220091857A (ko) * 2020-12-24 2022-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D947929S1 (en) * 2021-01-14 2022-04-05 Shaoxing Shangyu Yixiang Digital Equipment Co., Ltd Collapsible chroma key panel
CN112967611B (zh) * 2021-03-31 2023-05-1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可伸缩装置
CN113763756B (zh) * 2021-08-13 2023-01-03 张焱哲 一种高中教学用投影设备及其使用方法
CN114013286B (zh) * 2021-11-26 2023-08-15 中车大连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电力机车车顶集成高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69052A (en) * 1924-05-21 1928-05-08 Gusman Felix Apparatus for displaying advertisements
DE611894C (de) * 1931-04-16 1935-04-08 Arthur Blackburn Tragbarer Rollschirm fuer Projektionszwecke
US1915944A (en) 1931-04-16 1933-06-27 Robert Forgie Hunter Projection screen
GB376385A (en) * 1931-04-16 1932-07-14 Maude May Hunter Improvements in and connected with projection screens
US1981444A (en) * 1931-05-21 1934-11-20 Eastman Kodak Co Supporting structure for a roll projection screen
GB424605A (en) * 1934-06-12 1935-02-25 R F Hunter Ltd Improvements in projection screens
GB437136A (en) * 1934-07-09 1935-10-24 Albert Sydney Wilson Improvements in projection screens
GB456133A (en) * 1936-07-30 1936-11-03 Mechanische Weberei G M B H Improvements in projection screens
DE731034C (de) * 1941-02-28 1943-02-01 Mechanische Weberei G M B H Aufrollbarer Bildschirm
US2479812A (en) * 1946-03-25 1949-08-23 Cechmanek Karl Oswald Projection screen
GB779722A (en) * 1955-06-20 1957-07-24 John Michael Denton Improvements in projection screens
US4068921A (en) * 1976-01-07 1978-01-17 Os Screen Co., Ltd. Screen assembly
US4171592A (en) * 1977-07-18 1979-10-23 Shigeru Saitoh Toy moving car operated by a wireless electric device
JPH02142829U (ko) * 1989-05-01 1990-12-04
JP2825692B2 (ja) * 1991-08-01 1998-11-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クリーン構造
DE9307968U1 (de) * 1993-05-26 1993-09-30 Mechanische Weberei Gmbh Lichtbildwand mit Neigevorrichtung
DE9311017U1 (de) * 1993-07-23 1994-11-17 Herrmann Alfred Vorrichtung zum Halten flexibler Bildwände, insbesondere Hintergrundwände
US5706130A (en) * 1995-10-30 1998-01-06 Rosen; John B. Support assembly for a retractable device
US6191886B1 (en) * 1998-08-24 2001-02-20 Vutec Corp. Video projection screen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5876B2 (en) 2005-03-16 2008-07-29 Hae-Yong Choi Portable screen device with dual shaft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21205T2 (de) 2005-11-10
CA2280357C (en) 2006-02-07
JP3411515B2 (ja) 2003-06-03
KR200246765Y1 (ko) 2001-10-11
EP1357422A2 (en) 2003-10-29
KR100407139B1 (ko) 2003-12-03
EP1357422A3 (en) 2003-11-05
JP2000131766A (ja) 2000-05-12
EP1357422B1 (en) 2004-10-13
HK1026274A1 (en) 2000-12-08
EP0984321A1 (en) 2000-03-08
DE69913622T2 (de) 2004-10-14
DE69913622D1 (de) 2004-01-29
HK1059966A1 (en) 2004-07-23
EP0984321B1 (en) 2003-12-17
CA2280357A1 (en) 2000-02-20
US6297905B1 (en) 2001-10-02
KR20030059793A (ko) 2003-07-10
DE69921205D1 (de) 2004-11-18
TW393587B (en) 2000-06-11
KR100418415B1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7351A (ko) 이동식 스크리인
JP5038492B2 (ja) 可搬式スクリーン装置
JP3385207B2 (ja) 可搬式スクリーン
US7405876B2 (en) Portable screen device with dual shaft structure
KR20090040683A (ko)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CN107664911B (zh) 屏幕装置
JP2008267396A (ja) 免震装置及び該免震装置を備えた什器
JP5868452B2 (ja) 折り畳み式ボール運搬車
JP3093127U (ja) 可搬式スクリーン
US20050224686A1 (en) Vibration dampening system
KR100490165B1 (ko) 순간 팽창식 비상사다리
JP2007029699A (ja) 電気製品や家具等の転倒防止具
CN217714123U (zh) 一种具有多重抗震能力的抗震支架
JP2008248550A (ja) ロール式可動間仕切
KR100486344B1 (ko) 휴대용 영사막
JP4728742B2 (ja) 定力伸縮装置
JP2001065742A (ja) スプリングハンガー
CN217759434U (zh) 一种摇臂式幕墙连接结构
CN220567029U (zh) 一种具有防脱落结构的挂壁式显示屏
TW201738476A (zh) 防傾倒裝置及其安裝方法
KR20230084906A (ko) 가변형 배너
JP2009097171A (ja) ブラインド用電動ロールスクリーン
JPH11247913A (ja) 制振装置
KR100560877B1 (ko) 플로어형 스탠드 높이조절장치
TW201800682A (zh) 防傾倒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