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826U -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826U
KR20000015826U KR2019990000504U KR19990000504U KR20000015826U KR 20000015826 U KR20000015826 U KR 20000015826U KR 2019990000504 U KR2019990000504 U KR 2019990000504U KR 19990000504 U KR19990000504 U KR 19990000504U KR 20000015826 U KR20000015826 U KR 200000158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dashboard
cable
wire
lin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90000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5826U/ko
Publication of KR200000158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82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2Clutches or brakes
    • B60Y2400/424Friction clutch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대시보드(320)의 안쪽에서 간섭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위치됨은 물론 클러치와이어를 매개로 클러치페달(31) 및 릴리스포크(32)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와이어의 일단이 대시보드(320)의 안쪽면에서 고정부재(510)를 매개로 설치되면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된 링크장치(500)에 의해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이 상기 클러치페달(31) 및 릴리스포크(32)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져, 클러치페달(31)의 작동시 상기 클러치와이어가 간섭물과의 접촉이 방지되게 되므로 클러치와이어의 손상이 방지됨은 물론, 이로인해 상기 클러치와이어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MOUNTING STRUCTURE OF CLUTCHCABLE FOR A CAR}
본 고안은 클러치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러치페달의 작동시 클러치와이어(Clutchwire)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된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력전달장치는 엔진(10)에서 발생된 동력을 구동바퀴(20)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써 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진(10)과 후술하는 변속기사이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동력전달을 단속하도록 된 클러치(30)와, 주행상태에 알맞도록 기어의 물림을 변경시킴과 더불어 전진과 후진을 하도록 된 변속기(40)와, 상기 변속기(40)와 후술하는 종감속기어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변속기의 출력을 전달하도록 된 추진축(50)과, 상기 추진축(50)을 통해 전달된 엔진(10)의 회전력을 최종적으로 증가시키도록 된 종감속기어(60) 및, 회전시 좌우 구동바퀴(20)에 알맞는 회전속도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된 차동장치(7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플라이휘일(80)과 변속기입력축(90)사이에 설치되어 변속기(40)로 전달되는 엔진(10)의 동력을 필요에 따라 단속하도록 된 클러치(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에 설치되어 클러치(30)를 조작하도록 된 클러치페달(31)과, 마스터실린더에서 보내진 유압으로 피스톤과 푸시로드를 작용시켜 릴리스포크(32)를 작동시키도록 된 릴리스실린더(33)와, 상기 릴리스포크(32)에 의해 축방향으로 작동되도록 된 릴리스베어링(34) 및, 상기 릴리스베어링(34)에 의해 지렛대형식으로 작동되어 클러치디스크(35)를 누루고 있는 압력판(36)을 분리시키도록 된 릴리스레버(37)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클러치페달(31)을 밟으면 마스터실린더에서 발생된 오일의 압력이 릴리스실린더(33)로 전달됨과 더불어, 상기 릴리스실린더(33)와 연결된 릴리스포크(32)는 변속기입력축(90)에 대해 축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며, 상기 변속기입력축(90)에 설치된 릴리스베어링(34)은 상기 릴리스포크(32)에 의해 작동되어 압력판(36)이 부착된 릴리스레버(37)를 작동시키게 되는 바, 상기 릴리스레버(37)가 작동되면 클러치디스크(35)와 접촉되어 있던 압력판(36)이 분리됨과 동시에 크랭크샤프트(100)로 전달되는 동력이 차단되어 진다.
또한, 운전자가 동력을 차단하기 위해 밟았던 클러치페달(31)을 놓아주게 되면, 마스터실린더에 발생되었던 오일의 압력이 상실되어 릴리스포크 및 릴리스베어링(34)이 원위치로 이동되는 바, 이때 클러치디스크(35)와 서로 분리되어 있던 압력판(36)이 상기 클러치디스크(35)와 접촉되면서 크랭크샤프트(100)로 동력이 원활하게 전달되어 진다.
한편, 상기 클러치페달(31)의 답력은 도 3에 도시된 클러치케이블(200)을 통해 릴리스포크(32)로 전달되는 바, 상기 클러치케이블(200)의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클러치페달(31)에 연결됨은 물론 타단이 상기 릴리스포크(32)에 연결되도록 된 클러치와이어(201)가 라이너(202)에 의해 보호되는 상태로 갖춰져 있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케이블(200)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시보드(310)의 내부로 설치할 때에는, 상기 클러치케이블(200)이 엔진(330)등과 같은 간섭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부위를 인위적으로 꺽어서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즉, 소정의 각도로 휘어진 파이프부재(310)를 대시보드(320)와 엔진(330)등과 같은 간섭물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부재(310)의 일단을 방진부재(340)의 관통구멍(341)에 강제로 삽입시켜 단단히 고정시키고, 상기 방진부재(340)를 대시보드(320)에 형성된 설치구멍(321)으로 강제로 삽입시켜 단단히 고정시킨 다음, 상기 파이프부재(310)의 내부로 클러치와이어(201)와 라이너(202)를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클러치와이어(201)가 엔진(330)등과 같은 간섭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파이프부재(310)를 통해 설치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파이프부재(310)의 휘어진부위(K;도 3에 도시됨)에 위치된 클러치와이어(201)는 클러치페달(310)의 반복적인 작동에 따라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클러치와이어(201)가 소정부위가 휘어진 파이프부재(310)를 통해 설치되면, 상기 파이프부재(310)의 휘어진부위(K)를 통과하는 클러치와이어(201)는 자체적으로 지니고 있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직선으로 펴질려고 하는 성질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와이어(201)가 직선을 향해 지속적으로 펴지게 되면, 상기 클러치와이어(201)의 휘어진 안쪽부위(M)가 라이너(202)와 접촉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라이너(202)도 파이프부재(310)의 휘어진 안쪽부위(M)에 접촉을 하게 된다.
이상태에서, 상기 클러치페달(31)이 반복적으로 작동되면 상기 라이너(202)가 파이프부재(310)와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면서 최종적으로는 상기 라이너(202)가 절단되게 되며, 상기 라이너(202)의 절단이후에는 클러치와이어(201)도 점차적으로 손상되어 최종적으로는 파이프부재(310)와의 마찰력에 의해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클러치페달과 연결되는 클러치와이어와 릴리스포크로 연결되는 클러치와이어가 방향을 전환시키는 링크장치를 매개로 연결되어져, 상기 클러치와이어가 클러치페달의 작동에 따라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된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대시보드의 안쪽에서 간섭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위치됨은 물론 클러치와이어를 매개로 클러치페달 및 릴리스포크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와이어의 일단이 대시보드의 안쪽면에서 고정부재를 매개로 설치되면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된 링크장치에 의해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이 상기 클러치페달 및 릴리스포크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동력전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이 구성도,
도 2는 클러치조작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절개 종단면도,
도 3은 클러치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절개 단면도,
도 4와 도 5는 종래구조에 따라 클러치케이블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라 클러치케이블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링크장치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20 - 대시보드 340 - 방진부재
400 - 클러치케이블 410 - 제 1클러치케이블
411 - 제 1클러치와이어 420 - 제 2클러치케이블
421 - 제 2클러치와이어 500 - 링크장치
510 - 고정부재 520 - 제 1링크부재
530 - 힌지수단 540 - 제 2링크부재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라 클러치케이블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일반적인 동력전달장치에 대한 설명과 클러치조작기구에 대한 설명은 도 1과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에 대해서만 도 6과 도 7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케이블(400)의 설치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케이블(400)이 대시보드(310)의 내부로 설치될 때에는, 상기 클러치케이블(400)이 엔진(330)등과 같은 간섭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대시보드(320)의 안쪽면에서 고정부재(510)를 매개로 설치되면서 방향전환이 가능한 링크장치(500)에 의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대시보드(320)에는 내외부가 관통되도록 소정크기의 설치구멍(321)이 형성되면서, 상기 대시보드(320)의 안쪽면에는 상기 설치구멍(321)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부위에 다수개의 고정홈(3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장치(500)는, 상기 대시보드(320)의 안쪽면에 밀착되도록 위치됨과 더불어 고정부재(510)를 매개로 상기 대시보드(320)에 형성된 고정홈(322)과 나사결합되도록 된 제 1링크부재(520)와, 상기 제 1링크부재(520)와 힌지수단(530)을 매개로 자유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 2링크부재(54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링크부재(520)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시보드(320)에 형성된 고정홈(322)과 접촉되는 부위에는 다수개의 고정구멍(521)이 형성되고, 상기 대시보드(320)에 형성된 설치구멍(321)과 연결되도록 관통구멍(522)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관통구멍(522)이 형성된 부위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면서 그 끝단에는 걸림턱(523)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523)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부위가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단부위에는 상기 힌지수단(530)이 결합되도록 결합구멍(5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링크부재(540)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링크부재(520)와 겹쳐지는 부위에는 상기 힌지수단(530)이 결합되도록 결합구멍(54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멍(541)이 형성된 부위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분기되는 부위가 상기 클러치케이블(400)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절곡형성됨과 더불어 양끝단부위에는 소정크기의 제 1조립구멍(542) 및 제 2조립구멍(543)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케이블(4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을 흡수하기위한 방진부재(340)를 매개로 대시보드(320)에 형성된 설치구멍(321)으로 삽입되면서 단단히 고정되도록 설치됨은 물론 내부에서 인출된 제 1클러치와이어(411)의 일단이 상기 제 2링크부재(540)에 형성된 제 1조립구멍(542)과 납땜등의 결합방법을 이용하여 단단히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이 도 2에 도시된 클러치페달(31)에 연결되도록 된 제 1클러치케이블(410)과, 상기 대시보드(320)의 안쪽에서 간섭물과 접촉되지 않는 부위에 위치됨은 물론 내부에서 인출된 제 2클러치와이어(421)의 일단이 상기 제 2링크부재(540)에 형성된 제 2조립구멍(543)과 납땜등의 결합방법을 이용하여 단단히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이 도 2에 도시된 릴리스포크(32)에 연결되도록 된 제 2클러치케이블(42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방진부재(340)와 제 1클러치케이블(410)과의 조립은, 상기 제 1클러치케이블(410)의 일단을 상기 방진부재(340)에 형성된 관통구멍(341)에 강제로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방진부재(340)가 제 1클러치케이블(410)의 외주면에서 단단히 고정되게 되므로, 상기 방진부재(340)와 제 1클러치케이블(410)과의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수단(5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부위 외주면에 소정폭의 나사홈(531a)이 형성됨은 물론 상기 제 1링크부재(520)에 형성된 결합구멍(524) 및 상기 제 2링크부재(540)에 형성된 결합구멍(544)과 마찰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자유롭게 관통할 수 있도록 된 볼트부재(531)와, 상기 제 2링크부재(540)의 일면에서 볼트부재(531)의 나사홈(531a)과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홈(532a)이 형성된 너트부재(532)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케이블(400)의 설치과정 및 작동과정에 대해 도 6과 도 7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대시보드(320)의 안쪽면에 제 1링크부재(520)가 밀착시키되, 상기 대시보드(320)에 형성된 고정홈(322)과 제 1링크부재(520)에 형성된 고정구멍(521)이 연결되도록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510)를 이용하여 상기 대시보드(320)에 제 1링크부재(520)의 조립을 완료한다.
그리고, 상기 제 1링크부재(520)에 제 2링크부재(540)의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밀착시키되, 상기 제 1링크부재(520)에 형성된 결합구멍(524)과 제 2링크부재(540)에 형성된 결합구멍(541)이 연결되도록 밀착시킨 상태에서, 힌지수단(530)의 볼트부재(531)를 상기 결합구멍(524,541)으로 관통시킨 다음, 상기 볼트부재(531)의 끝단에 너트부재(532)를 나사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제 1링크부재(520)와 제 2링크부재(540)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제 1클러치케이블(410)의 일단을 상기 방진부재(340)에 형성된 관통구멍(341)에 강제로 삽입시키되, 상기 제 1클러치케이블(410)이 방진부재(340)를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상입시키게 되면, 상기 방진부재(340)가 제 1클러치케이블(410)의 외주면에서 단단히 고정되게 되므로, 상기 방진부재(340)와 제 1클러치케이블(410)과의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클러치케이블(410)이 조립된 방진부재(340)를 대시보드(320)에 형성된 설치구멍(321)으로 강제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제 1클러치케이블(410)의 일부분이 제 1링크부재(520)에 형성된 관통구멍(522)으로 삽입되면서 단단히 고정되는 바, 상기 제 1클러치케이블(410)의 일단은 제 1링크부재(520)에 형성된 걸림턱(523)까지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후, 상기 제 1클러치케이블(410)에서 양방향으로 인출된 제 1클러치와이어(411)의 일단을 클러치페달(31;도 2에 도시됨)과 연결시킴과 더불어 타단을 상기 제 2링크부재(540)에 형성된 제 1조립구멍(542)과 납땜의 방식으로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제 1클러치케이블(410)의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클러치케이블(420)을 대시보드(320)의 안쪽에 위치시키되, 상기 대시보드(310)의 안쪽에 설치된 엔진(330)등과 같은 간섭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위치시킨 다음, 상기 제 2클러치케이블(420)에서 양방향으로 인출된 제 2클러치와이어(421)의 일단을 릴리스포크(32;도 2에 도시됨)와 연결시킴과 더불어 타단을 상기 제 2링크부재(540)에 형성된 제 2조립구멍(543)과 납땜의 방식으로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제 2클러치케이블(420)의 조립이 완료됨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케이블(400)의 조립이 모두 완료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케이블(400)의 조립을 완료시킨 후 이용자가 상기 클러치페달(31)을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클러치페달(31)의 답력이 제 1클러치와이어(411)와 링크장치(500) 및 제 2클러치와이어(421)를 통해 릴리스포크(32)로 전달되어, 도 2에 도시된 클러치(30)를 작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클러치(30)를 작동시키기 위해 클러치페달(31)을 눌러서 압력을 가해주게 되면 상기 제 1클러치와이어(411)는 클러치페달(31)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상기 제 1클러치와이어(411)가 클러치페달(31)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면 링크장치(500)의 제 2링크부재(540)가 힌지수단(530)을 중심으로 도시된 화살표 R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제 2클러치와이어(421)가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릴리스포크(32)를 작동시키게 되므로, 최종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클러치(3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페달(31)에 눌러주고 있던 압력을 해제시키면, 상기 제 1클러치와이어(411)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제 2링크부재(540)도 도시된 화살표 R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제 2클러치와이어(421)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릴리스포크(32)의 작동이 멈추게되며, 최종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클러치(30)의 작동이 종료되게 된다.
따라서, 대시보드(320)의 안쪽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부재(310)를 사용하여 클러치와이어(201)를 설치하던 종래의 클러치케이블(200)의 설치구조는 클러치페달(31)의 반복작동에 따라 상기 클러치와이어(201)가 파이프부재(310)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상기 클러치와이어(201)가 마찰력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시보드(320)의 안쪽에서 링크장치(500)를 사용하여 클러치케이블(400)을 설치하는 본 고안의 설치구조는 상기 클러치와이어(411,421)가 다른 간섭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설치되므로 상기 클러치페달(31)이 반복적으로 작동해도 상기 클러치와이어(411,421)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클러치케이블에서 인출된 클러치와이어가 대시보드의 안쪽면에서 고정부재를 매개로 설치되면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된 링크장치에 의해 설치되어져, 클러치페달의 작동시 상기 클러치와이어가 간섭물과의 접촉이 방지되게 되므로, 상기 클러치와이어의 손상이 방지됨은 물론, 이로인해 상기 클러치와이어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대시보드의 안쪽에서 간섭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위치됨은 물론 클러치와이어를 매개로 클러치페달 및 릴리스포크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와이어의 일단이 대시보드의 안쪽면에서 고정부재를 매개로 설치되면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된 링크장치에 의해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이 상기 클러치페달 및 릴리스포크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장치가, 상기 대시보드의 안쪽면에 밀착되어 고정부재를 매개로 상기 대시보드에 형성된 고정홈과 나사결합되도록 된 제 1링크부재와, 상기 제 1링크부재와 힌지수단을 매개로 자유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은 물론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분기되는 부위가 소정의 각도로 절곡형성된 제 2링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케이블이, 진동을 흡수하기위한 방진부재를 매개로 대시보드에 형성된 설치구멍으로 삽입되어 고정됨은 물론 내부에서 인출된 클러치와이어의 일단이 상기 제 2링크부재와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이 클러치페달과 연결되도록 된 제 1클러치케이블과, 상기 대시보드의 안쪽에서 간섭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위치됨은 물론 내부에서 인출된 클러치와이어의 일단이 상기 제 2링크부재와 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이 릴리스포크와 연결되도록 된 제 2클러치케이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
KR2019990000504U 1999-01-18 1999-01-18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 KR200000158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504U KR20000015826U (ko) 1999-01-18 1999-01-18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504U KR20000015826U (ko) 1999-01-18 1999-01-18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826U true KR20000015826U (ko) 2000-08-16

Family

ID=5475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504U KR20000015826U (ko) 1999-01-18 1999-01-18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582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74481B2 (ja) 車両用クラッチのパワーアシスト装置
KR20000015826U (ko)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
KR20000015825U (ko)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
JP2005504240A (ja) 車両のアクチュエータのためのモジュール
KR100245887B1 (ko) 자동차용 클러치 어셈블리
KR100412392B1 (ko) 수동변속기의 입력축 결합구조
KR950006973Y1 (ko)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
KR19980016535U (ko) 클러치 페달의 리턴스프링 장착구조
KR19980043402U (ko) 클러치의 릴리즈 베어링 지지구조
KR200285111Y1 (ko) 클러치의 소음 저감 구조
KR0136247Y1 (ko) 차량 변속용 조인트 구조
KR200161095Y1 (ko) 트랜스밋션의 브레이크장치
KR100309038B1 (ko) 자동차의오토클러치시스템의클러치
KR100196380B1 (ko) 자동차의 클러치 자동차단구조
KR100364225B1 (ko) 수동변속기의 마운팅 구조
JP4849936B2 (ja) 自動二輪車のシフト装置、および自動二輪車
KR19980032761U (ko) 클러치마스터실린더용 피스톤푸시로드의 설치구조
KR100251366B1 (ko) 클러치 페달 장착구조
KR19980032481U (ko) 자동차의 케이블 고정용 클립
KR19980016530U (ko) 클러치 페달 체결구조
KR20060071808A (ko) 차량용 변속기케이블의 구조
KR100435642B1 (ko) 엔진과 토크 컨버터의 연결장치
KR19980039924U (ko) 클러치 케이블의 체결선단부구조
KR100218782B1 (ko) 자동차의 유압식 클러치 장치
KR19980030078A (ko) 자동차의 클러치 릴리스 포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