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095Y1 - 트랜스밋션의 브레이크장치 - Google Patents

트랜스밋션의 브레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095Y1
KR200161095Y1 KR2019970009764U KR19970009764U KR200161095Y1 KR 200161095 Y1 KR200161095 Y1 KR 200161095Y1 KR 2019970009764 U KR2019970009764 U KR 2019970009764U KR 19970009764 U KR19970009764 U KR 19970009764U KR 200161095 Y1 KR200161095 Y1 KR 200161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gear
shaft
transmission
ax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549U (ko
Inventor
남병대
Original Assignee
신현우
국제종합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우, 국제종합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현우
Priority to KR2019970009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095Y1/ko
Publication of KR199800655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5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0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or preventing, skidding of wheels
    • B60K28/165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or preventing, skidding of wheels acting on elements of the vehicle drive train other than the propulsion unit and brakes, e.g. transmission, clutch, different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06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 B60T1/067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employing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with means for synchronisation not incorporated in the clutches
    • F16H2003/12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with means for synchronisation not incorporated in the clutches using a br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랜스밋션의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관리기의 트랜스밋션은 브레이크장치의 전달토오크가 큰 차축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동시 큰힘을 필요로 하였고 이에 따라서 부드럽고 확실한 제동력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엔진과 연결되는 메인축, 이 메인축의 기어들로부터 후진기어나 제2 고정축의 축기어를 통해 다단변속이 이루어져 차축으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관리기의 트랜스밋션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축의 제2 축기어 일측단에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되며, 이 브레이크장치는 제2 축기어의 단부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드럼과, 상기 브레이크 드럼 내부에 설치되고 절결부를 갖는 C형의 브레이크 라이닝과, 이 브레이크 라이닝이 브레이크 드럼으로부터 이탈분리되지 않도록 제2 고정축에 장착된 와셔와,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의 절결부에 일측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선회됨에 따라 브레이크 라이닝을 외측으로 벌려 브레이크 드럼에 밀착시키는 브레이크 캠축 및 이 브레이크 캠축의 단부에 장착되고 브레이크 레버측의 와이어와 연결되는 브레이크 암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랜스밋션의 브레이크장치
본 고안은 관리기의 트랜스밋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축과 멀리 떨어진 제2 고정축의 일측단에 브레이크장치를 설치하여 제2 고정축에 가해지는 토오크를 작게함으로서, 부드럽고 확실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트랜스밋션의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리기는 농촌의 필수적인 농기계로서, 이는 경운기보다 소형으로 제작되어 좁은 공간에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기이다.
한편, 이러한 관리기의 트랜스밋션에는 밋션케이스의 변속축을 조작하여 중립에 위치시켜 동력전달을 끊으면 메인축만이 단순히 공회전 구동될 뿐 후진기어나 제2기어로 동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차축에도 동력이 전달되지 않아 관리기가 정지되게 된다.
이러한 관리기의 트랜스밋션에는 전달토오크가 큰 차축에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되어져 있다.
따라서, 관리기의 트랜스밋션은 브레이크장치가 전달토오크가 큰 차축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동시 큰힘을 필요로 하였고, 이에 따라서 부드럽고 확실한 제동력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2 고정축의 제2 축기어 일측단에 브레이크 라이닝이 내장된 브레이크 드럼을 장착하고 변속케이스에 관통된 브레이크 캠축이 회전됨에 따라 브레이크 라이닝이 벌어져 브레이크 드럼과 밀착되도록 브레이크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차축에 설치된 브레이크장치에 비해 차축과 멀리 떨어져 전달토오크가 작아짐에 따라 작은 힘으로 부드럽고 확실한 제동력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작업의 안전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트랜스밋션의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트랜스 밋션의 브레이크 장치에 의하면 엔진과 연결되는 메인축, 이 메인축의 기어들로부터 후진기어나 제2 고정축의 축기어를 통해 다단변속이 이루어져 차축으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관리기의 트랜스밋션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축의 제2 축기어 일측단에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되며, 이 브레이크장치는 제2 축기어의 단부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드럼과, 상기 브레이크 드럼 내부에 설치되고 절결부를 갖는 C형의 브레이크 라이닝과, 이 브레이크 라이닝이 브레이크 드럼으로부터 이탈분리되지 않도록 제2 고정축에 장착된 와셔와,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의 절결부에 일측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선회됨에 따라 브레이크 라이닝을 외측으로 벌려 브레이크 드럼에 밀착시키는 브레이크 캠축 및 이 브레이크 캠축의 단부에 장착되고 브레이크 레버측의 와이어와 연결되는 브레이크 암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트랜스밋션의 브레이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트랜스 밋션의 브레이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변속케이스 11,32: 베어링 12: 메인축
14,15: 이송기어 16: 풀리장착부 17: 제1 변속축
17a,18a: 변속포크 18: 제2 변속축 19: 제1 고정축
20: 후진변속기어 20a,22a,25a: 대형기어 20b,22b: 중형기어
20c,22c,25c: 소형기어 21: 제2 고정축 22: 제2 축기어
23: 브레이크장치 23a: 브레이크 드럼 23b: 브레이크라이닝
23c: 와셔 23d: 브레이크 캠축 23e: 브레이크 암
24: 감속축 25: 감속기어 26: 아이들기어
27: 아이들축 28: 차축 29: 중간축
30: 차축기어 31: 클러치 로울 33: 사이드 클러치
34: 스프링 35: 클러치 암 36: 클레치 레버
37: 연결로드 38: 클러치 포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밋션의 브레이크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밋션의 브레이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인 브레이크만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양측의 변속케이스(10)에 베어링(11)으로 회전가능케 메인축(12)이 지지되되 중앙의 스플라인(13)에는 2개의 이송기어(14)(15)가 상호결합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일측단은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풀리(도시되지 않았음)가 장착되는 풀리장착부(16)를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이송기어(14)(15)중 하나의 이송기어(14)에는 제2 변속축(18)의 변속포크(18a)가 끼워지는 링형홈(14a)이 그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축(12)의 상부에는 2개의 이송기어(14)(15)와 연결되도록 축직각방향으로 연장된 변속포크(17a)(18a)를 갖는 제1,2 변속축(17)(18)이 설치되어져 있고 이 제1,2 변속축(17)(18)은 축방향으로 중립, 전진 및 후진위치의 3단계로 이동가능케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 메인축(12)의 일측에 설치된 제1 고정축(19)에는 후진변속기어(20)가 회전가능케 설치되어져 있고 이 후진변속기어(20)에는 이송기어(14)에 이맞물림되는 대형기어(20a)와, 제2 축기어(22)의 대형기어(22a)에 이맞물림되는 중형기어(20b) 및 이송기어(15)에 이맞물림되는 소형기어(20c)가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메인축(12)의 하부에 설치된 제2 고정축(21)에는 제2 축기어(22)가 회전가능케 설치되어져 있고 이 제2 축기어(22)에는 후진변속기어(20)의 중형기어(20c)에 이맞물림되고 이송기어(14)에 선택적으로 이맞물림되는 대형기어(22a)와, 이송기어(15)에 이맞물림되는 중형기어(22b) 및 감속기어(25)의 대형기어(25a)에 이맞물림되는 소형기어(2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고정축(21)의 제2 축기어(22) 일측단에는 브레이크장치(23)가 설치되어져 있으며, 이 브레이크장치(23)는 상기 제2 축기어(22)의 대형기어(22a) 부위에 장착된 브레이크 드럼(23a)과, 이 브레이크 드럼(23a)의 내부에 설치되고 절결부를 갖는 C형의 브레이크 라이닝(23b)과, 이 브레이크 라이닝(23b)이 브레이크 드럼(23a)으로부터 이탈분리되지 않도록 제2 고정축(21)에 장착된 와셔(23c)와,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23b)의 절결부에 일측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선회됨에 따라 브레이크 라이닝(23b)을 외측으로 벌려 브레이크 드럼(23a)에 밀착시키는 브레이크 캠축(23d) 및 이 브레이크 캠축(23d)의 단부에 장착되고 브레이크 레버(도시되지 않았음)측의 와이어와 연결되는 브레이크 암(23e)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제2 고정축(21)의 하부에 설치된 감속축(24)에는 감속기어(25)가 회전가능케 설치되어져 있고 이 감속기어(25)는 제2 축기어(22)의 소형기어(22c)에 이맞물림되는 대형기어(25a)와, 아이들축(27)의 아이들기어(26)에 이맞물림되는 소형기어(25c)가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감속축(24)의 하부에는 아이들기어(26)가 회전가능케 설치된 아이들축(27)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아이들축(27)의 하부에는 차축(28)으로 지지된 중간축(29)이 회전가능케 설치되어져 있으며, 이 중간축(29)에는 중앙에 아이들축(27)의 아이들기어(26)와 이맞물림되는 차축기어(30)가 형성되어져 있고 이 차축기어(30)의 양측면엔 등간격으로 수개의 클러치 로울(31)이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 차축(28)은 중간축(29)과함께 회전가능케 베어링(32)으로 지지되되 일측단에는 바퀴(도시되지 않았음)를 장착할 수 있도록 바퀴장착부(28a)가 연장되어 있으며, 차축기어(30)와 맞닿는 단부에는 차축기어(30)의 클러치 로울(31)과 록킹되는 기어치를 갖는 사이드 클러치(33)가 스프링(34)으로 탄성력있게 설치되어져 있고, 이 사이드 클러치(33)에는 클러치 암(35)의 클러치 레버(36)와 연결로드(37)를 통해 연결된 클러치 포크(38)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케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관리기의 트랜스밋션은 제1,2 변속축(17)(18)이 중립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엔진으로부터 메인축(12)을 회전구동시키면 메인축(12)의 이송기어(14)(15)는 공회전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예를들어 전진1단으로 작업을 행하기 위하여 제1 변속축(17)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이송기어(14)가 제2 축기어(22)의 대형기어(22a)에 이맞물림되어 제2 축기어(22)를 회전시키고 이 제2 축기어(22)의 소형기어(22c)와 이맞물림된 감속기어(25)가 회전구동되게 된다.
이와동시에 상기 감속기어(25)의 소형기어(25c)에 이맞물림된 아이들축(27)의 아이들기어(26)가 회전 구동되고 이에 따라서 차축(28)들 사이에 설치된 중간축(29)의 차축기어(30)가 연동되게 된다.
상기 중간축(29)이 회전구동되면 차축기어(30) 양측면의 클러치 로울(31)에 각각 이맞물림된 기어치를 갖는 사이드 클러치(33)가 회전되고 이 사이드 클러치(33)와 함께 차축(28)이 회전됨에 따라 양측의 차축(28)이 회전되어 1단저속으로 전진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후진1단저속으로 작업을 행하기 위하여 제1 변속축(17)을 중립위치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이송기어(14)가 후진변속기어(20)의 대형기어(20a)에 이맞물림되어 후진변속기어(20)를전시키고 이 후진변속기어(20)의 중형기어(20b)와 이맞물림된 제2 축기어(22)를 회전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축기어(22)의 소형기어(22c)와 이맞물림된 감속기어(25)의 대형기어(25a)가 연동되고 이후의 동작과정은 전진1단저속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와같이 전,후진으로 주행중인 상태에서 브레이크 레버를 당기게 되면 브레이크 암(23e)과 브레이크 캠축(23d)이 회전되게 되고 상기 브레이크 캠축(23d)이 회전됨에 따라 브레이크 라이닝(23b)이 외측으로 벌어져 브레이크 드럼(23a)의 내면과 밀착되어 제2 축기어(22)의 브레이크 드럼(23a)이 제동 정지되게 된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장치(23)는 차축(28)과 멀리 떨어져 토오크가 작은 제2 축기어(22)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동시 작은 힘으로도 부드럽고 확실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당겼던 브레이크 레버를 놓으면 브레이크 라이닝(23b)이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브레이크 드럼(23a)의 내면과 떨어지므로 정상적인 주행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후진으로 주행중인 상태에서 일측(예를들어 우측방향)으로 선회시키고자 할 때에는 운전대상의 우측에 위치된 조향레버를 당기면 클러치 레버(36), 클러치 암(35), 연결로드(37)를 통해 사이드 클러치(33)에 연결된 클러치 포크(38)가 당겨짐으로써 사이드 클러치(33) 또한 당겨져 차축기어(30)의 클러치 로울(31)로부터 사이드 클러치(33)의 기어치가 이탈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관리기는 우측방향으로 선회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당겼던 조향레버를 놓으면 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해 사이드 클러치(33)는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차축기어(30)의 클러치 로울(31)에 사이드 클러치(33)의 기어치가 맞물림으로써 직선으로 전,후진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밋션의 브레이크장치에 의하면, 제2 고정축의 제2 축기어 일측단에 브레이크 라이닝이 내장된 브레이크 드럼을 장착하고 변속케이스에 관통된 브레이크 캠축이 회전됨에 따라 브레이크 라이닝이 벌어져 브레이크 드럼과 밀착되도록 브레이크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차축에 설치된 브레이크장치에 비해 차축과 멀리 떨어져 전달토오크가 작으며, 이에 따라서 작은 힘으로 부드럽고 확실한 제동력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작업의 안전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엔진과 연결되는 메인축(12), 이 메인축(12)의 이송기어(14)(15)들로부터 후진변속기어(20)나 제2 고정축(21)의 제2 축기어(22)를 통해 다단변속이 이루어져 차축(28)으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관리기의 트랜스밋션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축(21)의 제2 축기어(22) 일측단에 브레이크장치(23)가 설치되며, 이 브레이크장치(23)는 제2 축기어(22)의 단부에 장착되는 브레이크 드럼(23a)과, 이 브레이크 드럼(23a) 내부에 설치되고 절결부를 갖는 C형의 브레이크 라이닝(23b)과, 이 브레이크 라이닝(23b)이 브레이크 드럼(23a)으로부터 이탈분리되지 않도록 제2 고정축(21)에 장착된 와셔(23c)와,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23b)의 절결부에 일측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선회됨에 따라 브레이크 라이닝(23b)을 외측으로 벌려 브레이크 드럼(23a)에 밀착시키는 브레이크 캠축(23d) 및 이 브레이크 캠축(23d)의 단부에 장착되고 브레이크 레버측의 와이어와 연결되는 브레이크 암(23e)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밋션의 브레이크장치.
KR2019970009764U 1997-05-02 1997-05-02 트랜스밋션의 브레이크장치 KR200161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764U KR200161095Y1 (ko) 1997-05-02 1997-05-02 트랜스밋션의 브레이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764U KR200161095Y1 (ko) 1997-05-02 1997-05-02 트랜스밋션의 브레이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549U KR19980065549U (ko) 1998-12-05
KR200161095Y1 true KR200161095Y1 (ko) 1999-11-15

Family

ID=19500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764U KR200161095Y1 (ko) 1997-05-02 1997-05-02 트랜스밋션의 브레이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0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549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4413A (en) Transfer case shifting apparatus for part-time four-wheel drive vehicle
CA1176081A (en) Change-speed apparatus in a tractor
US7534188B2 (en) Transfer case input shaft brake system
KR200161095Y1 (ko) 트랜스밋션의 브레이크장치
JP3022427B2 (ja) 動力伝達装置
JPH06265Y2 (ja) 作業車の前輪変速構造
JP3407063B2 (ja) 農用作業車
JPH1199957A (ja) 作業用走行車
JPS6121851A (ja) 4輪駆動用自動変速機
KR19990000967A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중립 서행장치
KR200143397Y1 (ko) 관리기의 동력전달장치
JP2004224164A (ja) 動力車両
JP2596194Y2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3136877B2 (ja) 四輪駆動車のトランスファ装置
JPH0764215B2 (ja) 4輪駆動トラクタ−の前輪増速機構
JPH0244132Y2 (ko)
JPH06257647A (ja) デフロック装置
JP2979632B2 (ja) 動力車両の前輪駆動装置
JP2763723B2 (ja) 作業車の走行牽制構造
JPH0628346Y2 (ja) トラクタの前輪変速装置
JPH0774012B2 (ja) コンバインの操向制御装置
JP3108668B2 (ja) 水田作業車の伝動構造
JPS6312814B2 (ko)
JPH0740853A (ja) 作業車の旋回操作構造
JPH0829675B2 (ja) トラクタの変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