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825U -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825U
KR20000015825U KR2019990000503U KR19990000503U KR20000015825U KR 20000015825 U KR20000015825 U KR 20000015825U KR 2019990000503 U KR2019990000503 U KR 2019990000503U KR 19990000503 U KR19990000503 U KR 19990000503U KR 20000015825 U KR20000015825 U KR 200000158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pipe member
clutch cable
cab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용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90000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5825U/ko
Publication of KR200000158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82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2Clutches or brakes
    • B60Y2400/424Friction clutch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대시보드(320)의 안쪽에 위치됨과 더불어 소정부위가 휘어지면서 일단이 상기 대시보드(320)에 형성된 설치구멍(321)에 끼워져 고정되는 파이프부재(310)를 통해 클러치페달(31)과 릴리스포크(32)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대시보드(320)에 고정되지 않은 파이프부재(310)의 타단에는 클러치케이블(200)의 일단이 클러치페달(31)의 유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장치(400)를 매개로 단단히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클러치케이블(200)에서 인출된 클러치와이어(201)는 상기 파이프부재(310)와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파이프부재(310)의 휘어진부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롤러장치(500)에 얹혀지도록 설치되어져, 상기 클러치페달(31)의 작동시 상기 클러치와이어(201)와 파이프부재(310)와의 접촉이 방지되므로, 상기 클러치와이어(201)가 마찰로 인해 손상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MOUNTING STRUCTURE OF CLUTCHCABLE FOR A CAR}
본 고안은 클러치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러치페달의 작동시 클러치와이어(Clutchwire)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된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력전달장치는 엔진(10)에서 발생된 동력을 구동바퀴(20)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써 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진(10)과 후술하는 변속기사이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동력전달을 단속하도록 된 클러치(30)와, 주행상태에 알맞도록 기어의 물림을 변경시킴과 더불어 전진과 후진을 하도록 된 변속기(40)와, 상기 변속기(40)와 후술하는 종감속기어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변속기의 출력을 전달하도록 된 추진축(50)과, 상기 추진축(50)을 통해 전달된 엔진(10)의 회전력을 최종적으로 증가시키도록 된 종감속기어(60) 및, 회전시 좌우 구동바퀴(20)에 알맞는 회전속도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된 차동장치(7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플라이휘일(80)과 변속기입력축(90)사이에 설치되어 변속기(40)로 전달되는 엔진(10)의 동력을 필요에 따라 단속하도록 된 클러치(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에 설치되어 클러치(30)를 조작하도록 된 클러치페달(31)과, 마스터실린더에서 보내진 유압으로 피스톤과 푸시로드를 작용시켜 릴리스포크(32)를 작동시키도록 된 릴리스실린더(33)와, 상기 릴리스포크(32)에 의해 축방향으로 작동되도록 된 릴리스베어링(34) 및, 상기 릴리스베어링(34)에 의해 지렛대형식으로 작동되어 클러치디스크(35)를 누루고 있는 압력판(36)을 분리시키도록 된 릴리스레버(37)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클러치페달(31)을 밟으면 마스터실린더에서 발생된 오일의 압력이 릴리스실린더(33)로 전달됨과 더불어, 상기 릴리스실린더(33)와 연결된 릴리스포크(32)는 변속기입력축(90)에 대해 축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며, 상기 변속기입력축(90)에 설치된 릴리스베어링(34)은 상기 릴리스포크(32)에 의해 작동되어 압력판(36)이 부착된 릴리스레버(37)를 작동시키게 되는 바, 상기 릴리스레버(37)가 작동되면 클러치디스크(35)와 접촉되어 있던 압력판(36)이 분리됨과 동시에 크랭크샤프트(100)로 전달되는 동력이 차단되어 진다.
또한, 운전자가 동력을 차단하기 위해 밟았던 클러치페달(31)을 놓아주게 되면, 마스터실린더에 발생되었던 오일의 압력이 상실되어 릴리스포크 및 릴리스베어링(34)이 원위치로 이동되는 바, 이때 클러치디스크(35)와 서로 분리되어 있던 압력판(36)이 상기 클러치디스크(35)와 접촉되면서 크랭크샤프트(100)로 동력이 원활하게 전달되어 진다.
한편, 상기 클러치페달(31)의 답력은 도 3에 도시된 클러치케이블(200)을 통해 릴리스포크(32)로 전달되는 바, 상기 클러치케이블(200)의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클러치페달(31)에 연결됨은 물론 타단이 상기 릴리스포크(32)에 연결되도록 된 클러치와이어(201)가 라이너(202)에 의해 보호되는 상태로 갖춰져 있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케이블(200)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시보드(310)의 내부로 설치할 때에는, 상기 클러치케이블(200)이 엔진(330)등과 같은 간섭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부위를 인위적으로 꺽어서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즉, 소정의 각도로 휘어진 파이프부재(310)를 대시보드(320)와 엔진(330)등과 같은 간섭물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부재(310)의 일단을 방진부재(340)의 관통구멍(341)에 강제로 삽입시켜 단단히 고정시키고, 상기 방진부재(340)를 대시보드(320)에 형성된 설치구멍(321)으로 강제로 삽입시켜 단단히 고정시킨 다음, 상기 파이프부재(310)의 내부로 클러치와이어(201)와 라이너(202)를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클러치와이어(201)가 엔진(330)등과 같은 간섭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파이프부재(310)를 통해 설치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파이프부재(310)의 휘어진부위(K;도 3에 도시됨)에 위치된 클러치와이어(201)는 클러치페달(310)의 반복적인 작동에 따라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클러치와이어(201)가 소정부위가 휘어진 파이프부재(310)를 통해 설치되면, 상기 파이프부재(310)의 휘어진부위(K)를 통과하는 클러치와이어(201)는 자체적으로 지니고 있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직선으로 펴질려고 하는 성질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와이어(201)가 직선을 향해 지속적으로 펴지게 되면, 상기 클러치와이어(201)의 휘어진 안쪽부위(M)가 라이너(202)와 접촉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라이너(202)도 파이프부재(310)의 휘어진 안쪽부위(M)에 접촉을 하게 된다.
이상태에서, 상기 클러치페달(31)이 반복적으로 작동되면 상기 라이너(202)가 파이프부재(310)와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면서 최종적으로는 상기 라이너(202)가 절단되게 되며, 상기 라이너(202)의 절단이후에는 클러치와이어(201)도 점차적으로 손상되어 최종적으로는 파이프부재(310)와의 마찰력에 의해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클러치와이어의 휘어진 부위가 파이프부재의 휘어진 부위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클러치와이어가 클러치페달의 작동에 따라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된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클러치케이블에서 인출된 클러치와이어가 대시보드의 안쪽에 위치됨과 더불어 소정부위가 휘어지면서 일단이 상기 대시보드에 형성된 설치구멍에 끼워져 고정되는 파이프부재를 통해 클러치페달과 릴리스포크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설치된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케이블의 일단이 클러치페달의 유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장치를 매개로 파이프부재의 타단과 결합됨은 물론, 상기 클러치케이블에서 인출된 클러치와이어가 파이프부재의 휘어진부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롤러장치에 얹혀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동력전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이 구성도,
도 2는 클러치조작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절개 종단면도,
도 3은 클러치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절개 단면도,
도 4와 도 5는 종래구조에 따라 클러치케이블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라 클러치케이블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도 6의 Ⅰ-Ⅰ선 부분단면도,
도 8은 도 7의 Ⅱ-Ⅱ서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클러치케이블 201 - 클러치와이어
202 - 라이너 310 - 파이프부재
320 - 대시보드 330 - 엔진
340 - 방진부재 400 - 간격조절장치
410 - 원통부재 420 - 가스켓부재
430 - 조정볼트부재 440 - 조정너트부재
500 - 롤러장치 510 - 결합볼트부재
520 - 부싱부재 530 - 회전부재
540 - 결합너트부재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라 클러치케이블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Ⅰ-Ⅰ선 부분단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일반적인 동력전달장치에 대한 설명과 클러치조작기구에 대한 설명은 도 1과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에 대해서만 도 6 내지 도 8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케이블(200)의 설치구조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케이블(200)이 대시보드(310)의 내부로 설치될 때에는, 상기 클러치케이블(200)이 엔진(330;도 4에 도시됨)등과 같은 간섭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부위가 인위적으로 꺽여진 상태로 설치되게 된다.
즉, 소정의 각도로 휘어진 파이프부재(310)를 대시보드(320)와 엔진(330;도 4에 도시됨)등과 같은 간섭물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부재(310)의 일단을 방진부재(340)의 관통구멍(341)에 강제로 삽입시켜 단단히 고정시킴과 더불어, 상기 방진부재(340)를 대시보드(320)에 형성된 설치구멍(321)으로 강제로 삽입시켜 단단히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대시보드(320)를 관통한 파이프부재(310)의 일단은 클러치페달(31;도 2에 도시됨)을 향하도록 단단히 고정되고, 상기 대시보드(320)의 안쪽에 위치된 파이프부재(310)의 타단은 릴리스포크(32;도 2에 도시됨)를 향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대시보드(320)에 고정되지 않은 파이프부재(310)의 타단에는, 상기 클러치케이블(200)의 일단이 클러치페달(31)의 유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장치(400)를 매개로 단단히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케이블(200)에서 인출된 클러치와이어(201)는, 상기 파이프부재(310)와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파이프부재(310)의 휘어진부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롤러장치(500)에 얹혀지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장치(400)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부재(310)의 일단에 끼워져서 삽입됨은 물론 용접이나 실리콘과 같이 결합력이 강한 결합부재를 매개로 단단히 고정되도록 된 원통부재(410)와, 상기 원통부재(410)의 내부로 강제삽입되어 단단히 고정되도록 된 가스켓부재(420)와, 상기 가스켓부재(420)의 내부로 일단이 강제삽입되어 위치고정되고 타단의 내부에는 클러치케이블(200)의 일단이 강제삽입되어 단단히 고정되며 상기 클러치케이블(200)에서 인출된 클러치와이어(201)가 파이프부재(310)로 돌출되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조정볼트부재(430) 및, 상기 조정볼트부재(430)와 나사결합되어 클러치페달(31)의 유격에 따라 상기 클러치케이블(20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된 조정너트부재(440)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가 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원통부재(410)의 내경은 가스켓부재(420)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스켓부재(420)의 내경은 조정너트부재(440)를 회전시켰을 때 조정볼트부재(430)가 횡축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조정볼트부재(430)의 외경보다 미세하게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정볼트부재(430)의 내경은 클러치와이어(201)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클러치와이어(20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은 물론 클러치케이블(200)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장치(50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부재(310)에 형성된 결합구멍(311)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결합볼트부재(510)와, 상기 결합볼트부재(510)의 외주면에 끼워져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부싱부재(520)와, 상기 부싱부재(520)의 외주면에 끼워져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은 물론 상기 클러치케이블(200)에서 인출된 클러치와이어(201)가 파이프부재(310)와 접촉되지 않게 얹혀지도록 외주면에 안착홈(531)이 형성된 회전부재(530) 및, 상기 파이프부재(310)의 일측면에서 결합구멍(311)을 통해 돌출된 결합볼트부재(510)의 끝단과 나사결합되도록 된 결합너트부재(540)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결합구멍(311)은 파이프부재(310)의 휘어진부위중 중간부위에서 양측면이 관통되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부싱부재(520)와 회전부재(530)는 상기 파이프부재(310)의 내부에서 결합볼트부재(51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부싱부재(520)의 내경은 상기 결합볼트부재(510)의 외주면상에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볼트부재(510)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530)의 내경은 상기 부싱부재(520)의 외주면상에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부싱부재(520)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싱부재(520)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530)와 용이한 결합을 위해 두 개의 부싱부재(520)로 분리되어 결합되는 바, 상기 두 개의 부싱부재(520)는 형상과 크기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됨은 물론, 상기 결합볼트부재(510)의 중간부위에서 그 끝단부위가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케이블(200)의 설치과정 및 작동과정에 대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회전부재(530)의 내부로 두 개의 부싱부재(520)를 양측부에서 각각 삽입하여 상기 회전부재(530)와 부싱부재(520)를 조립한 다음, 상기 회전부재(530)를 잡고 파이프부재(310)의 내부로 삽입시키되, 상기 부싱부재(520)의 내경과 파이프부재(310)에 형성된 결합구멍(311)이 연결되는 위치까지 삽입시킨 후, 결합볼트부재(510)를 결합구멍(311)과 부싱부재(52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결합볼트부재(510)의 끝단에 결합너트부재(540)를 나사결합시킴으로서, 상기 파이프부재(310)와 롤러장치(500)의 조립을 완료한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와이어(201)가 인출된 클러치케이블(200)의 일단을 조정볼트부재(430)중 일단의 내부로 강제로 삽입시켜 단단히 고정시키되, 상기 클러치와이어(201)가 상기 조정볼트부재(430)를 관통하도록 고정시키고, 상기 조정볼트부재(430)의 외부면에는 조정너트부재(440)를 나사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부재(310)중 일단의 내부로 소정크기의 원통부재(410)를 강제로 삽입시켜 끼운 후 용접이나 실리콘과 같이 결합력이 강한 결합부재를 이용해 단단히 고정시키고, 상기 원통부재(410)의 내부로는 가스켓부재(420)를 강제로 삽입하여 단단히 고정시키며, 상기 가스켓부재(420)의 내부로는 클러치케이블(200)과 조정너트부재(440)가 결합된 조정볼트부재(430)를 소정의 길이만큼 강제로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클러치케이블(200)에서 인출되어 조정볼트부재(200)를 통해 파이프부재(310)의 내부로 유입된 클러치와이어(201)를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장치(500)중 회전부재(530)에 형성된 안착홈(531)에 얹혀지도록 설치하면서 그 끝단을 상기 파이프부재(310)의 타단을 통해 외부로 인출시키게 되면, 상기 파이프부재(310)와 간격조절장치(400)이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이후, 상기 클러치와이어(201)의 일단을 클러치페달(31)에 연결시킴과 더불어 그 타단을 릴리스포크(32)에 연결시킨 후, 이용자가 상기 클러치페달(31)을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클러치페달(31)의 답력이 클러치와이어(201)를 통해 릴리스포크(32)로 전달되어, 클러치(30)를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클러치(30)를 작동시키기 위해 클러치페달(31)을 눌러서 압력을 가해주게 되면 상기 클러치와이어(201)는 클러치페달(31)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눌러주고 있던 압력을 해제시키게 상기 클러치와이어(201)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되는 바, 이러한 클러치와이어(201)의 이동이 롤러장치(500)중 회전부재(530)에 형성된 안착홈(531)에 얹혀진 상태에서 작동되게 되므로, 상기 클러치와이어(201)가 파이프부재(310)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이로인해 상기 클러치와이어(201)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즉, 상기 클러치와이어(201)가 회전부재(530)의 안착홈(531)에 얹혀진 상태에서 클러치페달(31)이 작동되면, 상기 클러치와이어(201)가 클러치페달(31)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530) 및 부싱부재(520)는 결합볼트부재(510)를 중심으로 자유회전되므로, 상기 클러치페달(31)의 작동시 클러치와이어(201)가 마찰로 인해 손상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상기 클러치와이어(201)와 파이프부재(310)와의 접촉이 방지되어 클러치와이어(201)의 손상이 방지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파이프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는 간격조절장치를 매개로 클러치케이블이 결합됨은 물론, 상기 파이프부재의 휘어진부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롤러장치를 매개로 클러치와이어가 설치되어져, 클러치페달의 작동시 상기 클러치와이어와 파이프부재와의 접촉이 방지되므로, 상기 클러치와이어가 마찰로 인해 손상되거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대시보드의 안쪽에 위치됨과 더불어 소정부위가 휘어지면서 일단이 상기 대시보드에 형성된 설치구멍에 끼워져 고정되는 파이프부재를 통해 클러치페달과 릴리스포크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케이블의 일단이 클러치페달의 유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장치를 매개로 파이프부재의 타단과 결합됨은 물론, 상기 클러치케이블에서 인출된 클러치와이어가 파이프부재의 휘어진부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롤러장치에 얹혀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장치가, 상기 파이프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된 소정크기의 원통부재와, 상기 원통부재의 내부로 강제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된 가스켓부재와, 상기 가스켓부재의 내부로 일단이 강제삽입되어 위치고정되고 타단의 내부에는 클러치케이블의 일단이 강제로 삽입되면서 고정되며 상기 클러치케이블에서 인출된 클러치와이어가 파이프부재로 돌출되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 조정볼트부재 및, 상기 조정볼트부재와 나사결합되어 클러치페달의 유격에 따라 상기 클러치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된 조정너트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장치가, 상기 파이프부재에 형성된 결합구멍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결합볼트부재와, 상기 결합볼트부재의 외주면에 끼워져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부싱부재와, 상기 부싱부재의 외주면에 끼워져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은 물론 상기 클러치케이블에서 인출된 클러치와이어가 파이프부재와 접촉되지 않게 얹혀지도록 외주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회전부재 및, 상기 파이프부재의 일측면에서 결합구멍을 통해 돌출된 결합볼트부재의 끝단과 나사결합되도록 된 결합너트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
KR2019990000503U 1999-01-18 1999-01-18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 KR200000158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503U KR20000015825U (ko) 1999-01-18 1999-01-18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503U KR20000015825U (ko) 1999-01-18 1999-01-18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825U true KR20000015825U (ko) 2000-08-16

Family

ID=5475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503U KR20000015825U (ko) 1999-01-18 1999-01-18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582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766B1 (ko) * 2011-03-25 2013-04-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케이블 가이드
KR101428367B1 (ko) * 2013-02-27 2014-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유격 세팅 모듈
KR101694046B1 (ko) * 2015-08-12 201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케이블의 유격 조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766B1 (ko) * 2011-03-25 2013-04-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케이블 가이드
KR101428367B1 (ko) * 2013-02-27 2014-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유격 세팅 모듈
KR101694046B1 (ko) * 2015-08-12 201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케이블의 유격 조정장치
US10001176B2 (en) 2015-08-12 2018-06-19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adjusting clearance of clutch cable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7806A2 (en) Disc brake with parking function
KR100331419B1 (ko) 자동 변속기 장착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JP5887199B2 (ja) 自動変速機における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
KR100642595B1 (ko) 4륜구동차량의 액티브 컨트롤 커플링
US7534188B2 (en) Transfer case input shaft brake system
KR20000015825U (ko)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
US20040195058A1 (en) Brak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
JPH07257356A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KR20170110756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KR20000015826U (ko) 자동차용 클러치케이블의 설치구조
CN210363782U (zh) 集成式电子驻车制动系统
KR100527694B1 (ko) 자동차용 클러치 유격 조절 구조
KR200156999Y1 (ko) 클러치의 답력 감소 구조
JPS6330592Y2 (ko)
KR100207939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
KR820001597Y1 (ko) 자동차의 차동장치(差動裝置)
KR100245887B1 (ko) 자동차용 클러치 어셈블리
KR100412392B1 (ko) 수동변속기의 입력축 결합구조
KR19980016535U (ko) 클러치 페달의 리턴스프링 장착구조
KR0134980Y1 (ko) 자동차의 클러치 케이블 고정구조
KR200230994Y1 (ko) 높이조절식 페달장치
JP3218854B2 (ja) 車両用クラッチのパワーアシスト装置
KR19980043846A (ko) 자동차의 가변형 동력전달축
KR19980043402U (ko) 클러치의 릴리즈 베어링 지지구조
KR100215931B1 (ko)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 조립용 로봇의 체결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