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973Y1 -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973Y1
KR950006973Y1 KR2019910015878U KR910015878U KR950006973Y1 KR 950006973 Y1 KR950006973 Y1 KR 950006973Y1 KR 2019910015878 U KR2019910015878 U KR 2019910015878U KR 910015878 U KR910015878 U KR 910015878U KR 950006973 Y1 KR950006973 Y1 KR 950006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djuster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5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522U (ko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5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973Y1/ko
Publication of KR9300065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5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9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3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being transmitted by a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
제1도는 이 고안이 자동차용 변속기 작동케이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이 고안의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의 결합된 부분 단면도.
제3도는 종래 기술의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블 11 : 장공
12 : 연결부 13 : 홀
14 : 매뉴얼 레버 15 : 부싱
16 : 어드저스터 17 : 볼트
18 : 너트 19 : 고정수단
20 : 전단부
이 고안은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뉴얼 레버의 운동방향과 조립편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자동 변속기는 클러치와 변속기의 조작을 사람 대신에 기계가 하도록 자동화 한 것으로서, 기어의 변속 조작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운전이 편리하며, 기관 회전력의 전달은 유체를 매체로 하므로 발진, 가속 및 감속이 원활하게 됨은 물론 유체가 댐퍼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기관에서 동력전달장치나 바퀴기타부분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또는 이와 반대로 바퀴에서 기관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승차감이 양호한 반면, 구조가 복잡하고 값이 비싸며, 연료 소비율이 증대되는 점이 있다.
시프트 레버는, 레버 작동시 레버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레버의 위치와 같은 레인지로 유로를 변환하여 라인 압력을 유도하는 매뉴얼 밸브와 매뉴얼 레버 및 케이블로 연결 되어 있다.
이러한 매뉴얼 레버와 케이블의 결합이 제한된 공간에서 양호하게 이루어져야 케이블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기 때문에 이에 따른 많은 연구가 행하여 지고 있다.
제3도는 종래 기술의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부호(1)은 시프트 레버에 연결되어 함께 연동되는 케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케이블(1)은 매뉴얼 밸브를 작동시키는 매뉴얼 레버가 삽입 장착되는 장착홀(2)이 형성된 연결부(3)가 결합 고정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의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은, 시프트 레버의 작동에 따라 함께 연동되는 케이블(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다음 매뉴얼 밸브에 장착된 매뉴얼 레버를 연결부(3)의 장착홀(2)에 삽입 고정시켜 시프트 레버의 움직임과 함께 연동하여 시프트 레버 위치와 같은 레인지로 유로를 변환하여 라인 압력을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연결부를 보유하고 있는 케이블(1)이 제한된 공간에서 매뉴얼 레버의 위치와 시프트 레버와의 거리에 일치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편차가 생길경우 케이블(1)의조립이 어렵고 불편함은 물론 매뉴얼 레버의 회전에 따른 케이블(1)의 운동각 발생시 이 편차를 흡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1)의 길이가 한정 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기관에 장착이 불가능하여 호환성이 없는 제반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이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이 고안의 목적은 매뉴얼 레버의 운동방향과 조립편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작동상태 및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이 고안은, 장방형의 장공이 형성된 연결부를 보유하는 케이블과, 상기한 연결부의 장공에 고정 설치되도록 홀이 형성되어 길이 조정이 가능함과 아울러 자유단에 매뉴얼 레버의 각 편차를 흡수할 수 있는 부싱이 삽입 설치된 어드저스터와, 상기한 케이블과 어드저스터를 고정시키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을 제동한다.
상기한 부싱은 어드저스터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중앙부가 만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고정수단의 볼트는 어드저스터의 회전을 방지 하도록 양측에 전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 고안의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는 이 고안의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이 결합된 부분단면도로서, 부호(10)은 시프트 레버와 일측이 고정 설치된 케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케이블(10)의 타측은 장방형의 장공(11)이 형성된 연결부(1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연결부(12)의 장공(11)과 일치하는 홀(13)이 일측에 형성되어 길이 조정이 가능함과 아울러 자유단에 매뉴얼 밸브(도시생략)와 연결된 매뉴얼 레버(14)가 삽입 고정되어 선회 가능하도록 부싱(15)가 삽입 고정 설치된 어드저스터(16)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한 케이블(10)의 연결부(12)와 어드저스터(16)는 장공(11)과 홀(13)에 삽입되는 볼트(17)와 너트(18)로 체결되는 고정수단(19)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부싱(15)은 어드저스터(16)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중앙부가 만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고정수단(19)의 볼트(17)는 어드저스터(16)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에 전단부(2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 고안의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은, 연결부(12)를 보유하는 케이블(10)과 어드저스터(16)를 고정수단(19)의 볼트(17)와 너트(18)로 가체결한 후 매뉴얼 밸브와 연결된 매뉴얼 레버(14)를 어드저스터(16)의 부싱(15)에 삽입 고정 시키고, 케이블(10)을 시프트 레버에 고정 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어드저스터(16)를 조정하여 길이를 조정한 다음 고정수단(19)의 볼트(17)와 너트(18)를 완전히 체결한다.
따라서 시프트 레버를 작동 시키면 케이블(10)이 함께 연동되어 매뉴얼 레버(14)를 작동 시킨다.
상기한 매뉴얼 레버(14)가 작동됨에 따라 매뉴얼 밸브가 함께 연동되어 시프트 레버의 위치와 같은 레인지로 유로가 변환되어 라인압력을 유도함은 물론 매뉴얼 레버(14)작동시 발생되는 회전각에 따른 높이편차는 부싱(15)에 의해 흡수되어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은 어드저스터에 의해 매뉴얼 레버와 시프트 레버와의 거리를 조정하여 고정수단으로 고정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오차가 발생하여도 이를 해결할 수 있으며, 회전각에 따른 높이편차를 부싱에 의해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의 조립시간을 단축시켜 작업성 향상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케이블의 작동 상태를 확실히 보장하여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시프트레버의 작동에 의해 함께 연동되어 레버의 위치와 같은 레인지로 유로를 변환하여 라인 압력을 유도하는 매뉴얼 레버를 작동시키는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에 있어서, 장방형의 장공(11)이 형성된 연결부(12)를 보유하는 케이블(10)과, 상기한 연결부(12)의 장공(11)에 고정 설치되도록 홀(13)이 형성되어 길이 조정이 가능함과 아울러 자유단에 매뉴얼 레버(14)의 각 편차를 흡수할 수 있는 부싱(15)이 삽입 설치된 어드저스터(16)와, 상기한 케이블(10)과 어드저스터(16)를 고정시키는 볼트(17)와 너트(18)로 이루어진 고정수단(19)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부싱(15)은 어드저스터(16)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중앙부가 만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수단(19)의 볼트(17)는 어드저스터(16)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양측에 전단부(2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동변속기 작동케이블.
KR2019910015878U 1991-09-27 1991-09-27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 KR950006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5878U KR950006973Y1 (ko) 1991-09-27 1991-09-27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5878U KR950006973Y1 (ko) 1991-09-27 1991-09-27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522U KR930006522U (ko) 1993-04-23
KR950006973Y1 true KR950006973Y1 (ko) 1995-08-23

Family

ID=19319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5878U KR950006973Y1 (ko) 1991-09-27 1991-09-27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9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8632A (ko) * 2016-10-07 2018-04-17 주식회사 한화 전기식 화약의 저항측정용 치구 및 이를 이용한 저항측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025A (ko) * 2000-04-03 2001-10-31 이계안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체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8632A (ko) * 2016-10-07 2018-04-17 주식회사 한화 전기식 화약의 저항측정용 치구 및 이를 이용한 저항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522U (ko) 199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6242A (en) Parking device
US4917224A (en) Transmission and brake interlock system
KR950006973Y1 (ko)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 작동케이블
JP2656224B2 (ja) 車両中央にギヤシフトレバーとハンドブレーキレバーとを備えた自動車
KR100736954B1 (ko) 자동변속기
KR19980034283U (ko) 수동변속기의 웨이트 댐퍼 취부구조
KR200156039Y1 (ko) 차량의 자동변속기 케이블 연결용 조립체
KR19980032481U (ko) 자동차의 케이블 고정용 클립
KR200187355Y1 (ko) 자동차용 페달
JP5013589B2 (ja) 車両の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KR0155073B1 (ko) 자동변속기용 셀렉트케이블의 진동절연식 고정구조
KR970001959Y1 (ko) 차량변속기의 작동연결장치
KR0129588Y1 (ko) 자동차의 변속조작 배력장치를 취부한 수동변속기용 변속장치구조
KR19980048908U (ko) 차량용 변속 조작 레버의 방진 구조
JPS6213855Y2 (ko)
KR200155305Y1 (ko) 자동변속차량의 변속기 고정용 브라켓
US3413869A (en) Gearshift linkage
JPS6245204Y2 (ko)
KR19980021028U (ko)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clutch-pedal)구조
KR19990006436U (ko) 수동변속차량의 시프트콘트롤기구
KR19980016535U (ko) 클러치 페달의 리턴스프링 장착구조
KR19980037216A (ko) 자동차의 페달 조립구조
KR20060030203A (ko) 차량 변속기 케이블의 길이 자동 조절 구조
KR19990010900A (ko) 케이블 고정용 클립 구조
FR2839759A1 (fr) Dispositif d'accouplement elastique entre le rotor d'une machine electrique et l'arbre vilebrequin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