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277A - 도난방지시트벨트 - Google Patents

도난방지시트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277A
KR20000011277A KR1019990020055A KR19990020055A KR20000011277A KR 20000011277 A KR20000011277 A KR 20000011277A KR 1019990020055 A KR1019990020055 A KR 1019990020055A KR 19990020055 A KR19990020055 A KR 19990020055A KR 20000011277 A KR20000011277 A KR 20000011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buckle
buckle plate
vehicle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0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3926B1 (ko
Inventor
줄리오 카스텔라노스
마리-폴 카스텔라노스
Original Assignee
줄리오 카스텔라노스
마리-폴 카스텔라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줄리오 카스텔라노스, 마리-폴 카스텔라노스 filed Critical 줄리오 카스텔라노스
Publication of KR20000011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9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2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mechanical ident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16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buck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66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having electric or fluid powered, actuation or release, of interl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717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having cavity with side walls and axially biased component capping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Buck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시트 벨트 배치는 안전벨트 상에서 이동되는 버클 판 부재가 장착의 버클 수용 메카니즘과 결합되는 경우 차량 드라이빙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상기 버클 부재는 안전 벨트로부터 제거가능하며, 차량내에 숨겨지거나 운전자가 차량을 떠나는 경우 운전자가 휴대할 수 있어서 차량 도난 방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분리가능한 버클 판 부재는 상기 버클 수용 메카니즘에 바람직하게 수용되어 특정의 버클 판 부재는 그것이 결합된 대응의 고정 수용 메카니즘을 가동할 수 있다. 상기의 고정은 표준 키 구성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특정 형상 형태로 기계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판부재와 고정 부재간에 소통되는 수치화 오디오, 광학 또는 다른 구별의 각 데이터와 같은 다른 인식가능한 식별 요인을 이용한다. 상기 버클 수용 메카니즘은 버클 판 부재가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경우 적합한 고정 버클 판 부재의 인식에 응답하여 차량의 정확한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도난 방지 시트 벨트{ANTI-THEFT SEAT BELT}
본 발명은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벨트 버클의 해제시 자동차의 가동을 방지할 수 있는 시트 벨트 설계로 일체화된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자동차들은 차량 도난을 방지하도록 다수가 각종의 경보기, 차단 스위치, 트랙킹 장치를 장비하고 있다. 자동차의 값이 오름에 따라 자동차를 구매하려면 상당한 비용이 지출되어야한다. 대도시의 범죄율의 증가와 연계해서 위와 같은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보다 중요시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제시된 대다수의 도난 방지 장치에서 경보 또는 차단 시스템은 어려움에 처했을 때 그를 사용할 수 있는 코드 등을 입력함으로써 유저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동 비가동된다. 유저에 의해 바르게 디스에이블 된 것으로 생각된 도난 방지 시스템에 의한 엔진 차단의 개시 또는 경보 음의 우연한 트리거링이 일반적으로 일어난다.
따라서 신뢰성이 있으면서 편리하고 간단하게 가동할 수 있는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의 필요성이 절실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자동차 도난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엔진을 선택적으로 디스에이블하기 위한 또는 경보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편리하고, 신뢰성 있는 그리고 실용적인 수단을 구비한 도난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에 따르면, 예를 들어 승용차, 트럭 등의 각종의 차량에서의 사용을 위해 채용된 차량 도난 방지 장치가 제공되는데, 그 개선의 시트 벨트 버클은 운전자의 시트벨트의 버클 결합 및 해제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엔진가동 등과 같은 자동차의 동작 파라미터에 영향을 미치는 도난 방지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링 및 디스에이블링 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용어 "도난 방지 시스템"은 차량의 정상 동작을 변화시키는 도난 방지 파라미터를 개시하는 것, 가청 경보, 묵음 경보의 활성화 또는 어떤 식으로든 구동능력을 감소시키는 것 예를 들어 핸들의 잠금, 연료원 점화의 디스에이블링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개선된 시트 벨트 버클은 예를 들어 카 인테리어의 구조적 고정부분에 장착된 버클 수용 메카니즘, 시트 벨트상에서 이송되며,시트에 차량점유자를 고정하도록 상기 버클 수용 메카니즘과 고정적으로 결합가능한 버클 판 부재를 구비하는 통상으로 이용되는 시트 벨트 버클 메카니즘에 공통인 특징을 갖는다.그러나 그외에 본 발명의 상기 시트 벨트 버클 메카니즘은 시트 벨트로부터 버클 판 부재의 제거를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데 이 수단은 자동차내에 또는 원격의 위치에 숨겨질 수 있으며, 또한 운전자가 차량을 떠날 때 운전자가 휴대하여 옮겨지게 됨으로써 상기 버클 판 부재를 소지하여 타인에 의한 차량의 동작을 방지할 수 있거나 차량의 시동시 및 상기 버클 판 부재가 상기 버클 수용 메카니즘과 해제될 때 경보를 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에서 대략적으로 제시한 바와 같은 개선된 시트 벨트 메카니즘을 가지는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그 버클 판 부재는 시트 벨트 상에 직접적으로 수용가능하며, 벨트 자체가 상기 버클 판 부재내에 형성된 수용 슬롯을 통과할 수 있으며, 버클 판 부재의 주변 연부에서 슬롯 개구를 통해서 상기 수용 슬롯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수용 판 부재가 충돌시 과도한 외력을 받게되므로, 일련의 칸틸레버 구성으로서 상기 슬롯을 형성하는 구조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강화구조가 상기 슬롯 개구를 구조적으로 브리징 및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 벨트 작동식 차량 도난 방지 장치의 버클 판 부재는 상기 시트 벨트와 포로적으로 결합된 호환의 수용 구조로 수용가능하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버클 판 부재가 설치된 차량의 도난을 저해하도록 상기 부재가 제거되는 경우 벨트상에 있는 상기 수용구조를 둠으로써 쉽게 확인되는 시트 벨트를 따라 버클 판 부재를 적절히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분리 가능한 버클 판 부재가 버클 수용 메카니즘에 고정되어 특정의 버클 판 부재만이 그와 결합된 대응의 고정의 수용 메카니즘을 가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짐으로써 동일의 버클 시스템을 이용하는 차량의 버클 수용 메카니즘과 동형의 구조를 가지는 버클 판 부재의 결합을 방지함으로써 도난에 대해 더욱 보호가 강화되며, 각각의 차량에 고유한 특정의 버클 판 부재의 결합과는 다르게 차량의 동작 파라미터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 하는 수단의 가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고정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버클 판 부재는 표준 키의 구성에 이용된 많은 구성과 같은 고유한 형상를 제공하는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일련의 이와 노치는 특정의 별개의 패턴에 따라 상기 버클 판 부재의 연부를 따라 놓여지도록 배치 제공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시스템은 버클 판 부재와 수용 메카니즘 간에 소통된 수치화된 오디오, 광학 또는 다른 식별가능한 각각의 데이터와 같은 다른 인식 가능한 식별 요인을 이용한다.도난 방지 시스템을 비활성화 시키도록 상기 버클 수용 메카니즘 내에 대응의 수단이 제공됨으로써 적합한 고정의 버클 판 부재과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경우 그 부재의 인식에 응답하여 경보 시스템의 해제 또는 차량의 정확한 가동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그리고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데 유사한 도면부호는 동일의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유효한 차량 동작을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 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경보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 판 부재 및 버클 수용 메카니즘의 부분 단면도에 대한 간략화 정면도,
도 2는 시트 벨트상에 직접적으로 수용가능하며, 강화 브리지 구조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 판 부재의 정면도,
도 3a는 버클 판 부재가 해제된 상태로 도시된 광학식 고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 장치를 구비한 시트 벨트 버클 판 부재 및 수용 메카니즘의 결합부의 부분 단면도에 대한 간략화 평면도,
도 3b는 버클 수용 메카니즘이 설치된 차량의 동작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그와 결합된 버클 판이 도시된 도 3a에 도시된 장치의 부분 단면도에 대한 개략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 벨트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고정부재와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버클 판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Ⅴ-Ⅴ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버클 판 부재 1b: 슬롯
1c:개구 1d: 블록킹 구조
1e:벨트 지지부 2:버클 수용 메카니즘
2a:외부 하우징 3:스위치 부재
4:스프링 5a,5b:접촉자
6a,6b:리드 10:차량 도난 방지 장치
20:버클 판 부재 21:판 몸체
21a:결합홀 21b:벨트 수용 슬롯
21c:오프셋 사이드 개구 21d:블록킹 구조
21e:벨트지지 부분 22:지지부재
23:스프링 30:차량 도난 방지 장치
31:버클 판 부재 32: 버클 수용 메카니즘
33:파티션 부재 33a:개구
34:스프링 35:LED
36:포토 트랜 지스터 40:차량 도난 방지 장치
41:버클 판 부재 46:고정 부재
47:안전 벨트 48:슬롯
41a:와이드 부분 51:차단 부재
도 1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에 적용된 차량 도난 방지 장치의 일 실시예가 참조번호 10으로 도시되어 있다.이 도난 방지 장치(10)는 버클 수용 메카니즘(2)과의 고정 결합을 허용하도록 적합하게 구성된 버클 판 부재(1)를 구비한다.상기 버클 수용 메카니즘(2)은 그 동작 부품이 편리하게 하우징된 외부 하우징(2a)을 구비하고 있으며, 수용 프랙티스 및 안전 가이드 라인을 따라 차량 내의 지지구조에 안전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도난 방지 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적인 수단에 지향되는한 충돌시의 승객을 구속하는 목적을 위해 고정 결합의 일차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버클 수용 메카니즘의 동작 부분에 대한 정밀한 성질에 대한 참조 및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현재 표준 자동차 시트 벨트에 이용되는 임의의 통상의 수단은 상기 버클 판 부재와 버클 수용 메카니즘간의 고정 결합 및 해제를 위해 적합한 수단을 제공하도록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실시예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클 판 부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경우 상기 버클 수용 메카니즘(2)내의 도시치 않은 수동으로 협동하는 해제가능한 고정부재를 결합할 목적으로 그 내부에 홀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클 수용 메카니즘(2)과 버클 판 부재(1)과의 결합에 응답하는 회로 가동 수단이 버클 수용 메카니즘(2)내에 제공되는데,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정상적으로 개방 바이어스된 스위치 메카니즘의 형태이며, 슬라이드 가능한 스위치 부재(3)을 구비하며 그 위에서 전도 접촉자(3a) 및 한 쌍의 접촉자(5a,5b)가 이송된다. 개방 위치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스위치 부재(3)를 바이어싱하는 수단이 제공되는데, 바람직하기로 수평으로 배치된 스프링(4)의 형태이며, 그 각각은 한 단부에서 상기 버클 수용 부재(2)의 하우징(2a)에 장착된다. 접촉자(5a,5b)는 슬라이드 가능 스위치 부재(3)가 버클 수용 메카니즘(2)에 버클 판 부재(1)를 삽입함으로써 개시된 스프링(4)의 바이어싱에 대하여 하방으로 구속되는 경우 접촉자(3a)에 접촉하여 그에 의해 전도적으로 브리지된다. 한 쌍의 리드(6a,6b)는 예를 들어 자동차 점화의 해제시 또는 경보의 가동시와 같은 소정의 도난 방지 시스템의 수행을 위해 도시치 않은 적합한 회로에 상기 접촉자(5a,5b)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버클 수용 메카니즘(2)과 버클 판 부재(1)의 걸림 결합시 상기와 같은 도난 방지 특징을 가지는 차량의 적합하고 효과적인 방해 받지 않는 동작을 예견 할 수 있다. 버클 판 부재(1)는 그내의 사이드 개구(1c)룰 통해서 슬롯(1b)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된 운전자/승객 구속 안전 벨트(7)상에서 움직이게된다. 사이드 개구(1c)는 슬롯(1b)으로부터 오프셋되어 버클 판 부재(1)의 벨트지지 위치(1e)의 한 단부에서 블록킹 구조(1d)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벨트(7)로부터의 버클 판 부재(1)의 의도적인 유저 개시 분리가 이루어지지만 차량의 정상 동작동안 안전벨트(7)로부터의 버클 판 부재(1)의 우연한 분리를 금지하게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도난 방지 목적은 차량이 방치되는 경우 차량의 오퍼레이터가 상기 버클 판 부재(1)를 제거함으로써 이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판 부재(1)의 나머지와 관련한 벨트지지 부분(1e)의 구조적인 집적이 그 컨틸레버 지지부에 제한된다. 따라서 충돌시에 발생된 힘을 고려하여 재료 강도면에서 벨트 지지부(1e)의 폭과 버클 판 부재(1)의 전체 두께를 포함하는 버클 판 부재(1) 특히 벨트 지지부(1e)의 각종의 치수 및 재료 특성은 차량 충돌시의 버클 판 부재(1)의 변형에 대한 적합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바람직한 설계 파라미터가 된다.
이 경우 변형에 대한 컨틸레버 구조의 2차 강화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제공되며, 이때 변형 즉 개선된 버클 판 부재가 20과 같이 된다. 버클 판 부재(20)는 도 1에 도시된 버클 판 부재(1)와 유사하게 구성된 판 몸체(21)를 구비하는데 이 몸체는 고정 결합 홀(21a), 벨트 수용 슬롯(21b), 오프셋 사이드 개구(21c), 블록킹 구조(21d) 및 벨트지지 부분(21e)를 구비하며, 그 각각은 같은 가능적 목적의 역할을 한다. 도시의 편의를 위해서 버클 판 부재(20)는 전술한 실시예의 버클 수용 메카니즘(2)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대한 기술은 도 2와 관련하여 생략된다. 사이드 개구(21c)의 구조적인 브리징으로 인한 벨트 지지부(21e)의 응력에 의한 변형에 대한 2차 강화를 위한 수단이 도시한바와 같은 폐쇄위치와 가상선 표시로 도시된 개방 위치간의 선회 운동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판 몸체(21)에 장착된 강화 지지부재(22)의 형태로 제공된다. 정상적으로 폐쇄된 위치에서의 강화부재(22)의 바이어싱이 바람직하게 스프링(23)의 형태로 제공된다. 구조적으로 사이드 개구(21c)를 브리지하는 강화부재(22)의 위치를 유지하는 다른 수단은 예를 들어 도시치 않은 적합한 래칭 메카니즘과 같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필수적이지 않아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생략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장치는 매치된 수용 메카니즘과의 결합시 특정의 버클 부재의 키식 즉 고정 인식을 위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전용의 버클 판 부재와는 다른 것을 수용 부재내에 삽입함으로써 본 발명의 보호적인 특징의 허가받지 않은 우회시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a 및 3b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참조번호 30으로 도시되며, 상기의 키 개시식 동작에 대한 일례이다. 차량 도난 방지 장치(30)는 버클 판 부재(31) 및 버클 수용 메카니즘(32)을 구비하며, 이 모두는 전술한 임의의 실시예에 따라 일반적으로 구성되며, 그 각각은 상호 협동의 고정 요소를 제공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개시된 고정 수단은 예를 들어 광학적으로 가동되는 스위치 메카니즘의 형태로 제공된다. 버클 수용 메카니즘(32)은 버클 수용 메카니즘(32)내에서 슬라이드 포획적으로 가능하며, 바림직하게 스프링(34)에 의해 버클 삽입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스된 일련의 파티션 부재(33)를 구비한다. 각각의 파티션 부재(33)는 버클 수용 부재(32)의 단면축의 방향에서 그 내부에 형성되며 특정의 부재(33)에 고유하게 그를 따라 세로방향 위치에 있는 개구(33a)를 구비한다. 발광 수단이 버클 수용 메카니즘(32)의 내부의 한 측상에 제공되며,그 다른 측상에 바람직하게 LED(35) 및 포토 트랜지스터(36)형태의 수광 수단이 각각 위치한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클 판 부재(31)에의 삽입 그리고 버클 수용 메카니즘(32)와 버클 판 부재(31)와의 후속의 수용 결합이전에 정상적으로 바이어스된 상태에서 파티션 부재(33)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기로는 대부분 또는 모두는 버클 수용 메카니즘(32)와 교차하여 LED(35)에 의해 방사된 빛의 통과를 차단함으로서 포토 트랜지스터(36)에 의해 그 수용을 방지할 수 있다. 포토 트랜지스터(36)는 예를 들어 통상의 설계로된 도시치 않은 통상의 적합한 회로인 능동 회로소자인데, LED(35)로부터 빛이 수용되는 경우 적합한 차량 동작을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또는 경보를 비활성화)한다.
버클 판 부재(31)는 버클 수용 메카니즘(32)에의 삽입시 파티션 부재(33)에 결합하도록 대응하게 구성 및 배치된 일련의 티스(31a)를 구비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 판 부재(31)가 버클 수용 메카니즘(32)과 결합하는 경우, 버클 판 부재(31)의 티스(31a)가 버클 판 부재(31)의 나머지로부터 티스(31a) 각각의 상대적인 연장에 의해 결정된 량 만큼 스프링 (34)쪽으로 파티션 부재(33)를 구속하여 LED(35)로부터 포토 트랜지스터(36)로의 빛의 통과를 수집적으로 형성하는 개구(33a)의 정렬이 이루어진다. 순서적으로 LED(35) 및 포토 트랜지스터(36)에 의해 방사된 빛의 수신에 의해 적합한 차량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앞의 실시예 각각에 있어서, 버클 판 부재는 안전 벨트상에서 직접적으로 운반된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안전 벨트 상에서 유지되는 구조가 제공되며,그에 버클 판 부재가 고정적으로 결합가능하게 됨으로써 상기 버클 판 부재가 유저에 의해 제거되는 경우 벨트상에 남아 있는 수용 구조를 배치하여 간단히 시트 벨트를 따라 버클 판 부재의 적합한 장착위치에의 사용자에 의한 위치선정이 용이하게된다. 도 4 및 5를 보면, 상기의 방법을 이용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참조번호 40으로 도시된다. 차량 도난 방지 장치(40)는 도 1과 관련하여 기술된 것에 따른 버클 수용 메카니즘을 구비하지만, 불필요한 중복을 배제하도록 도 4 및 5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차량 도난 방지 장치(40)는 버클 파 부재(41)를 구비하는데, 도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상기 부재는 고정 수단을 갖지 않지만, 필요시 예를 들어 선행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시된 임의의 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장비될 수 있다. 고정 부재(46)가 제공되는데 이 부재는 그 내에 형성된 수용 슬롯(49)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통과하는 구속 안전벨트(47)상에서 이동된다. 고정 부재(46)에의 버클 판 부재(41)의 고정 수용을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데,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각각의 요소상에서 이동되는 협동 구조물을 들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그러한 협동 구조물은 고정 부재(46)에 형성된 수용슬롯(48)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고정부재내에서 버클 판 부재(41)의 주변 연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가능하다. 수용 슬롯(48)은 버클 판 부재(41)의 주변에 형성된 와이드 부분(41a)을 수용하도록 대응하게 구성된 와이드 영역(48a)을 구비하여 버클 판 부재(41) 및 고정 부재(46)의 부착 및 분리는 서로와 관련하여 수평의 슬라이딩을 필요로한다. 고정 부재(46)로부터의 버클 판 부재(41)의 원치않는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버클 판 부재(41)의 수평의 슬라이딩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수단이 제공되는데, 예를 들어 선회가능한 차단 부재(51)형태가 바람직하며, 이 부재는 수용 슬롯(48)의 사이드 입구를 정상적으로 차단하도록 바이어스된다.(상기 슬롯은 상기 바이어싱에 대해서 그리고 비차단 상태에서 구속되는 것으로 기술되어 상기 고정 부재(46)로부터 버클 판 부재(41)의 슬라이드 가능한 제거를 할 수 있다.)
버클 수용 부재와의 버클 판 부재의 연속적인 결합은 모든 활용에 있어서 바람하지 않은데 이는 구동시의 임의의 해제가 예기치 않게 운전능력을 방해하여 잠재적인 안전 위험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도난 방지 장치는 엔진의 시동이전에 버클 판 부재 및 버클 수용 메카니즘이 수동으로 결합되는 경우 도난 방지 시스템의 해제를 제공하지만, 키가 시동후 점화장치내에 있는 한 효과적으로 디스에이블된다.
버클 판 부재로서 참조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편의를 위해 그리고 현재의 관례 따라 예시된 것으로 반드시 평평한 구성을 갖지 않고 다른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청구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일탈치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뢰성이 있으면서 편리하고 간단하게 가동할 수 있는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가 실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8)

  1. 안전 벨트상에서 이동되는 버클 판 부재가 장착된 버클 수용 메카니즘과 결합가능한 차량 시트 벨트 시스템에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버클 판 부재와 버클 수용 메카니즘의 결합에 대응하도록 상기 버클 수용 메카니즘내에 배치된 스위치 수단;
    상기 스위치 수단의 위치에 응답하여 도난 방지 파라미터의 선택적인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위한 수단; 및
    유저가 상기 안전 벨트로부터 상기 버클 판 부재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버클 판 부재를 장착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치 장치.
  2. 안전 벨트;
    버클 판 부재;
    차량에 장착되며,상기 버클 판 부재와 결합 가능한 버클 수용 메카니즘;
    버클 판 부재와 버클 수용 메카니즘의 결합에 대응하도록 상기 버클 수용 메카니즘내에 배치된 스위치 수단;
    상기 스위치 수단의 위치에 응답하여 도난 방지 파라미터의 선택적인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위한 수단; 및
    유저가 상기 안전 벨트로부터 상기 버클 판 부재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 벨트 상에 상기 버클 판 부재를 장착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수단은 안전 벨트를 수용할 수 있는 사이드 개구를 가지는 슬롯을 형성하는 버클 판 부재의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개구는 상기 슬롯의 나머지로부터 오프셋되어 그 일단에서 차단 구조물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벨트로부터의 버클 판 부재의 의도적인 유저 개시 분리가 이루어지지만 차량의 정상 동작동안 안전벨트로부터의 버클 판 부재의 우연한 분리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충돌시의 잠재적인 변형에 대한 강화를 제공하도록 상기 사이드 개구를 구조적으로 브리지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개구를 구조적으로 브리지하는 수단은 상기 사이드 개구를 브리지하는 폐쇄위치와 상기 사이드 개구를 클리어하는 개방 위치간의 선회운동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버클 판 부재에 장착된 강화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수용 메카니즘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버클 판 부재의 고정 인식을 위한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에 포획적으로 장착된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버클 판 부재를 제거가능하게 고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KR1019990020055A 1998-07-16 1999-06-01 도난 방지 시트 벨트 KR1003439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16,775 1998-07-16
US09/116,775 US5941337A (en) 1998-07-16 1998-07-16 Anti-theft seat belt
US9/116,775 1998-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277A true KR20000011277A (ko) 2000-02-25
KR100343926B1 KR100343926B1 (ko) 2002-07-19

Family

ID=22369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0055A KR100343926B1 (ko) 1998-07-16 1999-06-01 도난 방지 시트 벨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941337A (ko)
EP (1) EP0972686B1 (ko)
JP (1) JP3040106B2 (ko)
KR (1) KR100343926B1 (ko)
AR (1) AR019382A1 (ko)
AT (1) ATE236811T1 (ko)
BR (1) BR9902531A (ko)
CA (1) CA2272673C (ko)
DE (1) DE69906635T2 (ko)
ES (1) ES2191384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3560A (zh) * 2013-04-23 2013-07-24 哈姆林电子(苏州)有限公司 安全带卡扣传感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056B1 (ko) * 2000-09-04 2002-09-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꼬임 방지 장치
JP3775725B2 (ja) * 2000-09-28 2006-05-17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US6533057B1 (en) * 2000-11-08 2003-03-18 Ronald Van Houten Vehicle transmission shift safety system
DE10217227C1 (de) * 2002-04-18 2003-05-22 Autoliv Dev Für eine Gurtkraftmessung eingerichtete Befestigungsanordnung für ein Sicherheitsgurtschloß
JP2003327086A (ja) * 2002-05-15 2003-11-19 Yoshiyuki Fujiwara 車両用盗難防止装置及び盗難防止方法
US20030226703A1 (en) * 2002-06-11 2003-12-11 Akira Amemiya Seatbelt safety device for vehicles
JP4609934B2 (ja) * 2005-03-17 2011-01-12 タカタ株式会社 バックルスイッチ、これを備えたバックル、およびこのバックル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DE102005031018A1 (de) * 2005-07-02 2007-01-04 Marquardt Gmbh Schließsystem,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JP4848777B2 (ja) * 2006-01-20 2011-12-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740253B1 (ko) * 2006-12-13 2007-07-16 고려용접봉 주식회사 용접 와이어용 페일팩
JP2008274497A (ja) * 2007-05-07 2008-11-13 Morito Co Ltd 肩ストラップ用取付具、肩ストラップ及び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DE102007029279A1 (de) * 2007-06-22 2008-12-2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Zugriffskontrolle für Kraftfahrzeugfunktionen
US20110061211A1 (en) * 2009-09-17 2011-03-17 Joseph Anscher Removable buckle
JP5653741B2 (ja) * 2010-12-15 2015-01-14 タカタ株式会社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RU2716719C2 (ru) * 2015-06-02 2020-03-16 ФОРД ГЛОУБАЛ ТЕКНОЛОДЖИЗ, ЭлЭлСи Узел ремня безопасност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подсветкой (варианты)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7645A (en) * 1971-12-15 1978-08-15 Allied Chemical Corporation Seat belt system with starter engine lock and alarm
US3934671A (en) * 1974-10-10 1976-01-27 Hart Robert L Starter enabling-disabling ignition safety seat belt for moving vehicles
KR900001050Y1 (ko) * 1987-05-29 1990-02-15 강충석 시동스위치를 형성한 자동차안전 밸트의 버클
US5133425A (en) * 1990-11-29 1992-07-28 Han Chong K Passive seat belt system
US5177837A (en) * 1992-01-31 1993-01-12 Royalox International Inc. Strap attachment for luggage and the like
JPH06239200A (ja) * 1993-02-15 1994-08-30 Aimei Kumagai シートベルト強制着用装置
US5335748A (en) * 1993-10-15 1994-08-09 Wilson Richard H Anti-theft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3560A (zh) * 2013-04-23 2013-07-24 哈姆林电子(苏州)有限公司 安全带卡扣传感器
CN103213560B (zh) * 2013-04-23 2016-02-17 哈姆林电子(苏州)有限公司 安全带卡扣传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91384T3 (es) 2003-09-01
DE69906635T2 (de) 2004-03-25
DE69906635D1 (de) 2003-05-15
CA2272673A1 (en) 2000-01-16
ATE236811T1 (de) 2003-04-15
CA2272673C (en) 2003-07-29
JP3040106B2 (ja) 2000-05-08
EP0972686B1 (en) 2003-04-09
US5941337A (en) 1999-08-24
KR100343926B1 (ko) 2002-07-19
AR019382A1 (es) 2002-02-13
BR9902531A (pt) 2000-03-28
JP2000043681A (ja) 2000-02-15
EP0972686A1 (en) 2000-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3926B1 (ko) 도난 방지 시트 벨트
WO2004058548A1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JP3692593B2 (ja) 車両盗難防止装置
US5906514A (en) Removable automotive fuse block
GB2223558A (en) A security device.
JP3341580B2 (ja) 盗難防止装置用表示システム
GB2264536A (en) Preventing unauthorised vehicle use.
JP2005219694A (ja) 車両の盗難防止方法および装置
US5619872A (en) Steering wheel anti-theft device
US6549123B1 (en) Automobile hood safety switch
JP2542664Y2 (ja) エアバックモジュールの誤作動防止装置
US5173615A (en) Vehicle anti-theft sealed ignition switch and wires
KR20000001005A (ko) 차량용 음주운전방지 장치
EP0518492B1 (en) Air bag restraint systems
MXPA99006611A (en) Anti-r safety belt
KR200157052Y1 (ko) 번호판 도난 방지장치
KR20020031579A (ko) 에어백 모듈 고정장치
KR200154469Y1 (ko) 차량 도난 방지장치
KR910008806Y1 (ko) 안전벨트를 이용한 자동차의 시동 및 경보장치
JP2005162062A (ja) 車両盗難防止装置
KR100333032B1 (ko) 자동차의 열쇠 및 자물쇠 뭉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차의 운행과 급발진이나 충돌 사고시 시동의 급정지가 가능한 장치
US5237970A (en) Ignition coil anti-theft device
JP3746356B2 (ja) プリテンショナ付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KR19980029536A (ko) 차량도난방지장치
KR20070100515A (ko) 차량의 도난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