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005A - 차량용 음주운전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음주운전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005A
KR20000001005A KR1019980021006A KR19980021006A KR20000001005A KR 20000001005 A KR20000001005 A KR 20000001005A KR 1019980021006 A KR1019980021006 A KR 1019980021006A KR 19980021006 A KR19980021006 A KR 19980021006A KR 20000001005 A KR20000001005 A KR 20000001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unk driving
drunk
engin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1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인호
Original Assignee
전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인호 filed Critical 전인호
Priority to KR1019980021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1005A/ko
Publication of KR20000001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00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3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preventing star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other states or conditions of the vehicle occupants, e.g. for indicating disabled occup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36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4Drug level, e.g. alcoh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내에 음주섭취 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을 결합하여 구조적으로 이에 반응토록하여 운전자가 취중에는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혹은 주행중에도 운전자가 음주를 섭취한 것으로 판독되면 주행을 멈추고 정지되는 기능을 갖는 차량용 음주운전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음주운전방지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교통사고 중에서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와 같은 예견된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수 있도록 하는 음주운전방지 장치를 갖추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인류의 역사상 최고의 이동수단으로 발달한 자동차에 있어서 그 성능이나 기능은 최첨단 기술에 의해 고도로 발전하여 기계적인 결함으로 인한 제반사고는 많이 줄어들었지만 운전자의 조작 미숙이나 교통법규의 위반으로부터 발생되는 사고는 자동차의 성능이 좋아짐으로해서 주행속도의 최고속도가 점점 높아진만큼 이에 따르는 사고발발시 그 피해는 대형 참사를 불러오게 되는데, 특히 이러한 대형사고 중에는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가 많고 교통법규 위반사항에서 음주운전은 차량의 성능이나 안전장치와는 무관하게 달리는 흉기로까지 일컬어질 만큼 무방비한 상태에서 돌발상황에 대처할수 있는 판단력이 흐려지므로 사고와 직결된 재연이라 할수 있다.
충돌이나 추돌사고시 기존의 안전장치라함은 사고발생 순간 탑승자를 보호하는 수단으로 에어백(air bag)이나 안전밸트와 같은 사후대처에 불과한 안전장비가 갖추어져 있기는 하지만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 즉 음주자의 운전행위를 거부하는 차량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한다.
종래에는 음주운전행위를 못하도록 하기 위해 관련법규를 마련하고 처벌기준을 강화하는 등의 단속차원에서만 제제할 수 있을뿐 특별한 대책이 없었던 것이다. 각 나라마다 음주운전에 대한 처벌기준이 다르긴 하지만 심한처벌의 경우에는 음주운전은 자신에게는 물론 남에게도 계획된 살상행위 목적으로 간주하여 법정 최고형을 처하는 등의 운전자에게 그 심각성을 부각시키는 법규가 있는 한편 또다른 대책마련에 부심한 것으로 알고 있다.
현재 음주운전은 교통사고가 발발한 현장에서 사고조사 과정에 음주섭취 여부가 밝혀지게되거나 또는 운행중 불시에 음주단속 요원들의 검문에 의해 취중운전이 적발되는 것 외에는 별다른 제제 방법이 없을뿐만 아니라 종종 운전자와 단속요원간에 시비를 벌이는 등 교통소통에 지장을 초래하여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자동차의 이용자가 많아지고 그 성능이 매우 발달하므로 운전석의 기계조작이 간편하여 운전자가 방심하게 되고 급기야는 취중상태에서도 차량운전을 하는 등 차량의 성능이나 기능은 매우 발달한 반면 그로인한 차량의 속도가 매우 빨라짐으로해서 한순간의 실수로 대형사고를 불러오게 되는데 운전자의 조작 미숙으로 인한 실수보다 취중운전과 같은 위험한 차량운행으로부터 대형참사를 줄이고자 그 목적을 두고 본 발명에서는 운전자의 음주섭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차량에 적용하여 운전자의 음주섭취 상황에 따라 차량에 시동제어기능을 갖출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와는 달리 운행중에도 음주섭취 상태가 감지되면 주행 속도가 낮추어지면서 서행을 하게되고 일정거리 주행한 후에는 최종적으로 제동이 걸리는 기능과 외부 주위차량이나 행인이 이와같은 차량의 상태를 알수 있도록 비상등과같은 경고메세지를 전달할수 있도록하여 모든 차량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고 음주운전과 같은 예견할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므로써 많은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고자하는 차량용 음주운전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의 부분절취에 따른 발취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치예에 따른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시동부의 키이박스(key box) 부분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차량의 비상점등 상태를 도시한 차량의 후면도.
도 6은 회로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자동차 2.‥‥‥ 햇빛 가리개
3.‥‥‥ 1차 센서 4.‥‥‥ 프레임
5.‥‥‥ 2차 센서 6.‥‥‥ 핸들
7.‥‥‥ 엔진 스위치(key box) 8.‥‥‥ 열쇠(key)
9.‥‥‥ 밧데리 10.‥‥‥ 전원부 배선
11.‥‥‥ 선로 12.‥‥‥ 감지부(센서)배선
13.‥‥‥ 시트(운전석) 14.‥‥‥ 전원부
15.‥‥‥ 감지부 16.‥‥‥ 인식부
17.‥‥‥ 증폭부 18.‥‥‥ 출력부
19.‥‥‥ 시동제어부 20.‥‥‥ 경고등(메세지)
21.‥‥‥ 연료공급 제한부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와 도면 제2도,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차량(1)의 운전석 상단부 햇빛가리개(2)의 일정부위에 알콜향을 감지하는 1차감지센서(3)를 부착하여 운전자의 알콜섭취 여부를 호흡과정에서 체내 알콜이 상층부로 기화되는 공기중에 알콜 희석 정도를 감지하고 분석하는 것과 차체 내벽 골격부의 프레임(4)의 안전밸트 장착고리 상단부에 2차 감지센서(5)를 부착하여 이는 공기흐름에 따른 차창밖으로 방출되는 알콜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알콜섭취의 양성반응이 감지되면 차량운행을 방지하는 기능으로 핸들(6)의 지지축 측면의 엔진 스위치(key box)(7)를 제어부(19)로 하여 운전자가 차량에 시동을 걸기위한 행위로 키이박스(7)에 키이(8)을 꽂고 도면 제4도에서와 같이 단계적으로 돌리는 과정에서 최종단계인 시동접점(start) 위치에서는 밧데리(9)에서 공급되는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추어서 엔진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하고 또다른 상황을 예상컨데 이미 시동을 걸고 주행중에 있는 차량내부에서도 음주섭취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상황에서도 자동차의 구동력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엔진이 공급되는 연료를 제한해서 안전하게 정지될 수 있도록 일정거리만 서행하고 점차 그 속도가 늦추어지면서 정지되기까지 차량내부에서는 운전자가 이와같은 상황을 인식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위험상태의 경고음이나 발광등의 신호를 보내고 차체 자동기능으로 비상경고등을 도면 제5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점등하여 주변 차량이나 행인이 이에 대처할수 있게 하는 것으로 하고 운전자가 음주섭취 상태에서 차체에 구조적으로 갖추어져있는 알콜감지 기능에 장애를 주거나 이를 회피하는 경우도 있을수 있는 일이므로 운전석에 탑승을 하게되면 먼저 센서의 앞부분에 입김을 세게 불도록하고 이때의 부는 힘에 따라 압력센서가 작동되게 하여 그 압력센서의 반응에 2차적으로 알콜센서(3,5)가 작동하는 절차를 순서로 규정할수 있으며 상기 알콜섭취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3,5)에서 차량시동제어(19,20,21) 기능까지의 구성된 전자장치의 회로를 도면 제 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전원 입력부(14)의 전류가 항상 정상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 하고 센서부(3,5)→인식부(16)→증폭부(17)→출력부(18)→제어부(19,20,21)로 구분해서 센서부(3,5)는 운전자의 음주섭취 여부를 공기중에 희석된 알콜향으로 감지하게되고 성분을 분별하는 인식부(16)를 구성하고 알콜의 희석농도를 보다 명확히 하기위해 미세한 반응을 선명하게하는 증폭부(17)와 증폭된 알콜성분의 유, 무를 판독하여 이를 규정하고 실행명령을 하게되는 출력부(18), 그리고 출력부(18)의 실행명령에 따라 3단계 실행을 하게되는데 1단계 실행으로 시동제어부(19)는 차량의 시동이 켜지기 전에 운전자의 음주섭취로 판독된 경우에 해당이 되며 이 경우 운전자가 시동을 걸기위해 키이(8)를 키이박스(7)에 삽입하여 키이를 도면 제 4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LOCK」→「ACC」→「ON」→「START」 위치로 돌리게되면 전원은 ON 상태이면서 엔진에 시동만 걸리지 않게하여 음주운전을 하지못하게 하면서 2단계 실행으로 도면 제 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고등(20)을 발광하고 이를 차량의 내부와 외부로 예고할 수 있게하며 또다른 상황에서 자동차가 출발전에는 엔진의 시동제어를 하게되지만 이미 엔진에 시동이 걸리고 도로를 주행하는중에 음주섭취로인한 알콜 양성반응이 감지되면 이때 시동을 끄는 것은 매우 위험한 것으로 제 2의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때의 주행을 정지하는 또다른 수단으로서는 서서히 서행후 정지할 수 있도록 먼저 운전자에게 경고음이나 경고등(20)으로 이를 알린 뒤 잠시후 본 차량은 정지하게 된다는 메시지를 외부의 주변차량이나 행인에게 전달되게되고 연료공급 제한부(21)의 동작이 실행되는 차량용 음주운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이용이 급증하는 현대 사회에서 이용자의 안일한 행동(음주운전)으로 자신은 물론 타인에게까지 엄청난 불행을 초래할 수 있는 사건소지를 미리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 문화의 밝은 미래를 구현할 수 있고 간간히 볼수 있는 음주운전 단속으로 인한 불필요한 시비나 공무인력 낭비를 줄일수 있고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센서부에서 자동차 주인의 독특한 향을 입력하여 이를 비교 분석하는 방법으로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로까지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볼수 있다.

Claims (6)

  1. 차량의 운전석 상단부와 측면부에 알콜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엔진 스위치(key box)에 제어기능을 두며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내부와 외부에 경고등을 설치하는 것으로 구비된 차량용 음주운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
  2. 제 1항에 있어서 차량용 음주운전 방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운전석 상단부와 측면부에 구비하는 알콜감지센서.
  4. 제 1항에 있어서 엔진 스위치에 제어기능을 갖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엔진에 연료공급을 제한하여 주행중에도 제동이 걸리는것을 포함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차량의 내, 외부에 음주운전자 차량임을 알리는 경고등을 포함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KR1019980021006A 1998-06-08 1998-06-08 차량용 음주운전방지 장치 KR20000001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1006A KR20000001005A (ko) 1998-06-08 1998-06-08 차량용 음주운전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1006A KR20000001005A (ko) 1998-06-08 1998-06-08 차량용 음주운전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005A true KR20000001005A (ko) 2000-01-15

Family

ID=19538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1006A KR20000001005A (ko) 1998-06-08 1998-06-08 차량용 음주운전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100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475A (ko) * 2000-05-26 2001-12-07 이지숙 자동차 내 음주 측정 자동 시동 제어 시스템
KR20030083943A (ko) * 2002-04-23 2003-11-01 장인철 음주운전방지 시동제어장치
US9280145B2 (en) 2011-01-18 2016-03-08 Driving Management System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intoxicated drive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vehicle
US9369196B2 (en) 2011-01-18 2016-06-14 Driving Management System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mobile devices within a vehicle
US10205819B2 (en) 2015-07-14 2019-02-12 Driving Management Systems, Inc. Detecting the location of a phone using RF wireless and ultrasonic signals
KR20210027681A (ko) * 2019-08-30 2021-03-11 우리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선바이저에 부착되는 혈중 알콜농도 센서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475A (ko) * 2000-05-26 2001-12-07 이지숙 자동차 내 음주 측정 자동 시동 제어 시스템
KR20030083943A (ko) * 2002-04-23 2003-11-01 장인철 음주운전방지 시동제어장치
US9280145B2 (en) 2011-01-18 2016-03-08 Driving Management System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intoxicated drive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vehicle
US9369196B2 (en) 2011-01-18 2016-06-14 Driving Management System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mobile devices within a vehicle
US9379805B2 (en) 2011-01-18 2016-06-28 Driving Management System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mobile devices within a vehicle
US9758039B2 (en) 2011-01-18 2017-09-12 Driving Management System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intoxicated drive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vehicle
US9854433B2 (en) 2011-01-18 2017-12-26 Driving Management System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mobile devices within a vehicle
US10205819B2 (en) 2015-07-14 2019-02-12 Driving Management Systems, Inc. Detecting the location of a phone using RF wireless and ultrasonic signals
US10547736B2 (en) 2015-07-14 2020-01-28 Driving Management Systems, Inc. Detecting the location of a phone using RF wireless and ultrasonic signals
KR20210027681A (ko) * 2019-08-30 2021-03-11 우리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선바이저에 부착되는 혈중 알콜농도 센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9251B2 (en) Hazard light actuation system
US6023221A (en) System to activate automobile hazard warning lights
US7129826B2 (en) Localized accident notification
US9770984B2 (en) Motion sensitive interlock for a vehicle having a breathe analyzer
US20190135271A1 (en) Carbon Monoxide Detector for Automobiles
JP2021096696A (ja) 車両用状態報知装置及び車両用状態報知方法
KR20000001005A (ko) 차량용 음주운전방지 장치
JPH10104258A (ja) 事故通報システム
US6335682B1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system automotive brake light control
US6549123B1 (en) Automobile hood safety switch
JP3230880B2 (ja) 車両の交通事故対策装置
JP3107924U (ja) 緊急警告灯装置
CN211166452U (zh) 一种车门警示装置和车辆
US6154124A (en) Windshield wiper alarm
CN213261969U (zh) 机动车安全系统
WO2005051710A1 (en) Hazard light actuation system
JP2000142217A (ja) 自動点灯機能付き駐車灯
KR20100049194A (ko) 차량의 우선 경고 안내 방법
JPH10264769A (ja) シートベルト装着徹底装置
US20050190051A1 (en) Vehicle brake warning system
KR0164483B1 (ko)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고장치
KR19990005803U (ko) 엔진 시동 제어 시스템
CN203902383U (zh) 针对车辆危险情况的示警装置
KR19990021072U (ko) 자동 비상등 장치
JP2009255886A (ja) 自動車の緊急通報手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