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483B1 -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483B1
KR0164483B1 KR1019960040237A KR19960040237A KR0164483B1 KR 0164483 B1 KR0164483 B1 KR 0164483B1 KR 1019960040237 A KR1019960040237 A KR 1019960040237A KR 19960040237 A KR19960040237 A KR 19960040237A KR 0164483 B1 KR0164483 B1 KR 0164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driver
vehicle
drowsy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1414A (ko
Inventor
채 수 김
Original Assignee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40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4483B1/ko
Publication of KR19980021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6In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가 졸음운전을 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한 후에 자차 및 후미차량에게 경보를 발하여 추돌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고장치는 크게 운전자의 졸음운전 여부를 감지하는 수단, 자차의 현재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감지수단, 상기 졸음운전 감지수단을 구동하는 센서구동수단, 상기 졸음운전 감지수단에서 제공된 정보를 적절한 형태로 처리하는 수단,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과 관계없이 브레이크등을 구동하는 수단 및 차속감지수단에서 제공된 정보를 분석하여 자차가 주행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구동수단을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감지신호 처리수단에서 제공된 정보를 분석한 후에 현재 운전자가 졸음운전을 하는 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등의 점등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브레이크등 구동부에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고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가 졸음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경고를 발하여 후미 차량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센서기술 및 이를 응용한 제어기술의 발달에 따라 운전의 편의를 도모함은 물론이고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 개발되어 자동차에 활발하게 탑재되고 있다.
이 중에서 운전자의 운전상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시스템으로는 크루즈 시스템이나 자동항법 시스템을 들 수가 있고,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시스템으로는 전자식 시트벨트, 에어백 시스템, 전방충돌 방지시스템, 측방충돌 방지시스템 등을 들 수가 있으며, 이외에도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 안전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는 실정이다.
한편, 근래에 들어서는 이러한 안전시스템의 발달로 인한 부작용으로 운전자가 전방주시나 주의운전을 태만히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심지어는 졸음운전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화물트럭의 운전자인 경우에는 물류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장시간동안 무리하여 운전하는 경우가 신문지상이나 전파매체를 통하여 소개되고 있는 바, 이러한 졸음 운전의 경우에는 자기의 생명만이 아니라 자칫 타인의 생명까지도 위태롭게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이러한 운전자의 졸음운전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운전자나 후미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시스템은 제안되어 있지 않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운전자가 졸음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이를 감지한 후에 자차 및 후미차량에게 경보를 발하여 추돌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고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고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졸음운전 감지센서, 2 : 마이크로 프로세서,
3 : 브레이크등 구동부, 4 : 부져 구동부,
5 : 센서구동부, 6 : 감지신호 처리부,
7 : 차속감지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고장치는 크게 운전자의 졸음운전 여부를 감지하는 수단, 자차의 현재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감지수단, 상기 졸음운전 감지수단을 구동하는 센서구동수단, 상기 졸음운전 감지수단에서 제공된 정보를 적절한 형태로 처리하는 수단,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과 관계없이 브레이크등을 구동하는 수단 및 차속감지수단에서 제공된 정보를 분석하여 자차가 주행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구동수단을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감지신호 처리수단에서 제공된 정보를 분석한 후에 현재 운전자가 졸음운전을 하는 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등의 점등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브레이크등 구동부에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고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고장치에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를 통합적인 제어수단으로 사용하며, 이외의 주요구성으로는 운전자의 졸음운전여부를 감지하는 졸음운전 감지센서(1), 자차의 현재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감지부(7), 마이크로 프로세서(2)의 제어에 따라 졸음운전 감지센서(1)를 구동하는 센서구동부(5), 졸음운전 감지센서(1)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2)가 이용하기에 적절한 형태 및 크기로 변환하는 감지신호 처리부(6) 및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과 관계없이 브레이크등을 구동하는 브레이크등 구동부(3)가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졸음운전 감지센서(1)는 예를 들어 운전자의 맥박상태를 감지하거나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d) 카메라로 운전자의 동공의 수축상태를 분석하는 방식등으로 구현될 수가 있다. 즉, 운전자가 졸고 있는 경우에는 맥박이 졸고 있지 않을 때보다 현저하게 느려지게 되고, 나아가 동공이 현저하게 확대되게 되는데, 이러한 운전자의 신체 상태를 체크하는 것에 의해 졸음운전여부를 감지할 수가 있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4는 자차의 운전자에게 졸음운전중임을 경고하기 위한 부져를 구동하는 부져 구동부를 나타낸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자동차의 졸음운전 방지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운전자가 자차의 시동을 온시킨 상태에서 출발을 하게 되면, 차속감지부(7)가 동작하여 차속에 관한 정보를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 제공하게 되는데,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이러한 차속감지부(7)에서 제공된 신호를 분석하여 자차가 현재 주행상태에 있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
전술한 판단 결과, 자차가 현재 주행중인 경우에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센서구동부(5)를 동작상태로 만드는데, 이에 따라 졸음운전 감지센서(1)가 운전자의 졸음운전에 관한 정보를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계속적으로 체크하게 된다. 다음, 졸음운전 감지센서(1)에서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출력되는 정보는 감지신호 처리부(6)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가 처리하기에 적당한 형태 및 크기로 변환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 제공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서는 감지신호 처리부(6)에서 제공된 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가 현재 졸음운전을 하고 있는 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운전자가 졸음운전을 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등 구동부(3)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브레이크등을 점등시키므로써 후미에 오는 차량의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 브레이크등의 점등패턴은 통상적인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따른 점등패턴과는 달리 소정의 주기로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도록 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와 동시에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부져 구동부(4)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부져를 구동하므로써 졸고 있는 운전자에게 현재 졸고 있다는 것을 경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고장치에 따르면, 자차의 운전자가 졸음운전을 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보함은 물론이고, 후미의 차량에게 경각심을 환기시켜서 혹시 있을 지도 모를 추돌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운전자의 졸음운전 여부를 감지하는 수단,
    자차의 현재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감지수단,
    상기 졸음운전 감지수단을 구동하는 센서구동수단,
    상기 졸음운전 감지수단에서 제공된 정보를 소정의 형태로 처리하는 수단,
    브레이크등을 구동하는 수단 및
    차속감지수단에서 제공된 정보를 분석하여 자차가 주행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구동수단을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감지신호 처리수단에서 제공된 정보를 분석한 후에 현재 운전자가 졸음운전을 하는 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등의 점등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브레이크등 구동부에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졸음운전 경고장치는 부져를 구동하는 부져 구동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운전자가 졸음운전중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부져 구동수단을 동작시키는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고장치.
KR1019960040237A 1996-09-16 1996-09-16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고장치 KR0164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237A KR0164483B1 (ko) 1996-09-16 1996-09-16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237A KR0164483B1 (ko) 1996-09-16 1996-09-16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414A KR19980021414A (ko) 1998-06-25
KR0164483B1 true KR0164483B1 (ko) 1999-10-01

Family

ID=19473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0237A KR0164483B1 (ko) 1996-09-16 1996-09-16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44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414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3282B1 (en) System and method for warning of dangerous driving conditions
US7365769B1 (en) Activating a vehicle's own brake lights and/or brakes when brake lights are sensed in front of the vehicle, including responsively to the proximity of, and/or rate of closure with, a forward vehicle
US6023221A (en) System to activate automobile hazard warning lights
US20070063827A1 (en) Back up alarm system
US7164350B2 (en) Back up alarm system
JPH10989A (ja) 情報表示システム
KR0164483B1 (ko) 자동차의 졸음운전 경고장치
JPH11321562A (ja) シートベルト着用表示装置
KR200431152Y1 (ko) 차량의 감속표시 장치
JPH0647357B2 (ja) 停止車両への追突警告装置
KR100193924B1 (ko) 차량의 졸음운전 방지 장치 및 방법
CN117533262A (zh) 安全带提醒方法、控制器、车辆及存储介质
JPH0593994U (ja) 赤色光検知装置付きバックミラー
KR0166667B1 (ko) 차량의 급커브길 진입시 경고 및 자동감속시스템
KR19990021072U (ko) 자동 비상등 장치
JP2006327472A (ja) 車両警報システム、車両
KR19980020708A (ko) 후방 차량 근접 감지 장치
JPH053034U (ja) 車両用非常点滅表示制御装置
KR19990005423U (ko) 차량의 자동감속제어회로
KR19990043083A (ko) 차량 충돌시 후방차 경고 장치
KR20040043777A (ko) 열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시트벨트 해제 경고장치와 그제어방법
JPH03281446A (ja) 車両用灯火装置
KR19980028622A (ko) 자동차의 추돌방지 경보장치
KR19980011317U (ko) 사각지대 내의 차량 감지 및 경고장치
KR19980059819A (ko) 자동차의 졸음운전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