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407U - 두부제조기의 생콩 마쇄장치 - Google Patents

두부제조기의 생콩 마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407U
KR20000001407U KR2019980011120U KR19980011120U KR20000001407U KR 20000001407 U KR20000001407 U KR 20000001407U KR 2019980011120 U KR2019980011120 U KR 2019980011120U KR 19980011120 U KR19980011120 U KR 19980011120U KR 20000001407 U KR20000001407 U KR 200000014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casing
fixed
fixed cutter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운
Original Assignee
이강운
주식회사 엔. 이. 피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운, 주식회사 엔. 이. 피 시스템 filed Critical 이강운
Priority to KR2019980011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1407U/ko
Publication of KR200000014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407U/ko

Links

Landscapes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콩을 불리지 않은 상태에서 1차적으로 잘게 분쇄한 하여 불린 다음 미세하게 마쇄하는 두부제조기의 생콩 마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불리지 않은 생콩을 잘게 분쇄한 상태에서 불린 다음 미세 마쇄하여 짧은 시간내에 양질의 두유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케이싱(8)과, 중심부에 분쇄된 콩물이 투입되는 투입공(10)이 형성되어 케이싱에 설치되며 저면이 상협하광된 경사면(11a)으로 이루어진 고정커터(11)와, 상기 고정커터의 직하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이 고정커터의 경사면과 동일한 기울기의 경사면(12a)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면에는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요입홈(12b)이 형성된 회전커터(12)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회전커터에 고정된 회전축(14)을 회전시키는 모터(13)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고정커터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고정커터 조절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어 콩물을 고정커터(11)와 회전커터(12)사이에서 미세하게 마쇄한 후 다음 공정인 두유 추출공정으로 이송시켜 두유와 비지를 추출하게 되므로 두유의 추출량을 극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두부의 생산량을 늘릴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두부제조기의 생콩 마쇄장치
본 고안은 불리지 않은 생콩을 이용하여 두부를 생산하는 두부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생콩을 불리지 않은 상태에서 1차적으로 잘게 분쇄한 하여 불린 다음 미세하게 마쇄하는 두부제조기의 생콩 마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종래의 두부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 1을 참고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두부의 원료가 되는 콩을 승강기(Bucket Elevator) 또는 수작업에 의해 저장탱크내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계량기 등을 이용하여 계량하여 일정량씩 석발기 및 세척기를 차례로 통과시키므로써 콩에 포함된 돌이나 기타 불순물이 제거됨과 동시에 깨끗하게 세척된다.(L1)
그 후, 세척된 콩을 수작업 또는 펌프 등으로 콩불림 탱크내에 공급하여 일정 시간동안 방치하여 두면 상기 콩불림 탱크내에 담겨진 콩이 물에 침적되어 불게된다.(L2)
이와 같이 콩이 콩불림 탱크내에서 충분히 불게되면 분쇄기를 이용하여 이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콩물을 만들게 된다.(L3)
이 때, 콩물은 입자가 고운 것으로 하여야만 두부의 제조시 냄새를 없애고 맛이 고소하면서도 탄력이 양호한 두부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공정으로 콩물이 얻어지면 원심분리기 등의 여과기를 이용하여 콩물로부터 비지를 분리하여 두유를 얻게 되는데, 비지는 별도로 모아 사료 등 필요한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L4)
이렇게 얻어진 여과된 두유는 증숙기로 운반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일정온도(대략 95 - 100℃ 정도)에서 휘저어가면서 가열한 후 응고통에서 응고제(간수)를 투입하여 응고시켜 순두부를 얻게 된다.(L5)
상기한 공정에 의해 순두부가 얻어지면 상기 순두부를 일정량씩 성형틀내에 넣고 압착하여 탈수시키므로써 원하는 크기의 두부를 얻게 된다.(L6, L7)
상기한 바와 같은 공정으로 생산되는 두부의 원료인 생콩은 기름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기름이 많이 포함된 생콩을 불리지 않고 잘게 분쇄한 상태에서 불린 다음 미세하게 마쇄하는 마쇄기가 제안된 바 없었다.
따라서 반드시 콩을 통채로 불린 다음 분쇄하여 두유를 얻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생콩을 콩불림 탱크에서 일정 시간동안 불린 다음 분쇄하므로 인해 콩에 포함된 당이 빠져 나가므로 담백한 맛이 떨어지게 된다.
둘째, 콩을 불리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므로 두부를 신속하게 생산할 수 없었다.
셋째, 불린콩의 미사용시 하절기 등 외부의 온도가 높은 계절에는 불린콩이 변질되므로 버릴 수 밖에 없다.
넷째, 불린 콩을 통채로 분쇄하므로 미세 분쇄하는 분쇄효율이 저하되었고, 이에 따라 후공정인 두유 추출공정에서 비지가 많이 생성되므로 두부의 생산량이 저하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불리지 않은 생콩을 잘게 분쇄한 상태에서 불린 다음 미세 마쇄하여 짧은 시간내에 양질의 두유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케이싱과, 중심부에 콩물이 투입되는 투입공이 형성되어 케이싱에 설치되며 저면이 상협하광된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고정커터와, 상기 고정커터의 직하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이 고정커터의 경사면과 동일한 기울기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면에는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요입홈이 형성된 회전커터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회전커터에 고정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고정커터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고정커터 조절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제조기의 생콩 마쇄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두부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두부제조기를 일부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마쇄부 8 : 케이싱
11 : 고정커터 11a, 12a : 경사면
12 : 회전커터 12b : 요입홈
17 : 조절나사 18 : 록킹나사
19 : 회전체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두부제조기를 일부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두부제조기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체를 이루는 본체(1)와, 생콩을 물과 함께 담아 세척하는 세척부(2)와,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된 생콩이 강제 이송됨에 따라 잘게 분쇄하는 분쇄부(3)와, 상기 분쇄부에서 잘게 분쇄되어 불린진 후 강제 이송됨에 따라 미세하게 마쇄하는 마쇄부(4)와, 상기 마쇄부에서 미세 마쇄된 콩물이 공급됨에 따라 두유와 비지로 분리하는 두유 추출부(5)와, 상기 두유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두유를 설정된 온도로 증숙하는 증숙부(도시는 생략함)와, 상기 증숙부에서 증숙되어 이송되는 두유의 이송경로상에 간수를 자동으로 투입하는 간수 투입부(도시는 생략함)와, 상기 간수의 투입으로 순두부가 만들어짐에 따라 이를 성형하는 성형부(6)와, 각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부(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두부 제조기에서 본 고안의 요부가 되는 마쇄부(4)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서, 케이싱(8)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9)의 중심부에는 잘게 분쇄되어 충분히 불려진 생콩이 물과 함께 투입되는 투입공(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9)에는 저면에 상협하광된 경사면(11a)을 갖는 고정커터(11)가 고정커터 조절수단에 의해 위치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커터(11)의 직하방에는 상면에 고정커터의 경사면과 동일한 기울기의 경사면(12a)을 갖는 회전커터(12)가 설치되어 이들 사이에 미세한 틈새의 공간부(15)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커터(12)는 모터(13)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1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커터(12)에 형성된 경사면(12a)에는 방사상으로 가느다란 복수개의 요입홈(12b)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고정커터(11)와 회전커터(12)는 잘게 분쇄되어 충분히 불려진 콩을 미세하게 마쇄하여야 되므로 맷돌을 적용하였다.
상기 케이싱(8)에 설치되어 고정커터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고정커터 조절수단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고정커터(11)의 플랜지(16)에 숫나사부(16a)를 형성하여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는 숫나사부에 조절나사(17)를 체결하고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는 고정커터의 상방향 상승을 억제하는 복수개의 록킹나사(18)를 체결하여서 구성하였다.
그리고 회전커터(12)의 중심에는 고정커터(11)에 형성된 투입공(10)상에 위치되게 나선상의 회전체(19)가 고정되어 회전커터(12)와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투입공(10)을 통해 공급되는 생콩(20)과 물을 사방으로 골고루 분산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케이싱(8)의 상측에는 잘게 분쇄된 생콩을 마쇄에 적절하게 불린 상태에서 투입공(10)으로 일정량씩 공급할 수 있도록 호퍼(23)내에 플런저(24)가 실린더(25)의 구동에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호퍼(23)의 외주면에는 호퍼내에 담겨진 잘게 분쇄된 생콩을 빠른 시간내에 불릴 수 있도록 하는 간접가열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간접가열수단은 용기(31)내의 물을 히터(32)에 의해 가열하여 호퍼(23)내의 잘게 분쇄된 생콩(20) 및 물을 데우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케이싱(8)에 내장된 취출판(21)의 취출구 하방에는 잘게 마쇄된 콩물이 담겨지는 호퍼(2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호퍼의 직하방에는 콩물을 다음 공정으로 강제 이송시키기 위한 압송펌프(28)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 공정인 분쇄공정에서 잘게 분쇄된 생콩(20)이 물과 함께 펌핑수단에 의해 강제 운반되어 호퍼(23)내에 채워져 설정된 시간동안 간접가열수단에 의해 충분히 불려지면 실린더(25)가 구동하여 플런저(24)를 약 3회 정도 반복적으로 승강시키게 되므로 콩물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호퍼(23)로부터 콩물이 취출될 때 소포제탱크(도시는 생략함)에서 적정량의 소포제가 공급관(29)을 통해 콩물의 이송경로상으로 공급되므로 콩물내에 생성되어 있던 거품이 제거된 상태로 콩물이 투입공(10)측으로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콩물의 투입시 회전커터(12)는 모터(13)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회전커터(12)에 고정되어 투입공(10)상에 위치된 회전체(19)의 나선상을 따라 콩물이 골고루 분산되므로 콩물이 회전하고 있는 회전커터(12)와 고정커터(11)사이의 공간부(15)상에 골고루 분포된다.
이와 같이 회전커터(12)와 고정커터(11)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5)의 내부에 콩물이 공급되면 회전커터(12)의 경사면(12a)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고정커터(11)에 의해 미세하게 마쇄된 다음 경사면을 타고 취출판(21)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쇄되는 콩물은 경사면(12a)을 따라 외주면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커터(12)의 상면에는 방사상으로 요입홈(12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충분히 불려진 생콩(20)이 요입홈 및 커터의 마찰면에 의해 보다 미세하게 마쇄되어 물과 함께 취출판(21)측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미세하세 마쇄된 콩물이 일측으로 경사진 취출판(21)으로 떨어져 케이싱(8)의 외부로 배출되면 압송 펌프(28)의 구동으로 이송관(30)을 따라 다음 공정인 두유 추출부(5)로 강제 압송된다.
이러한 동작은 이송수단에 의해 잘게 분쇄된 생콩이 물과 함께 호퍼(23)내에 공급됨에 따라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생콩을 고정커터(11)와 회전커터(12)사이에서 미세하게 마쇄한 후 다음 공정인 두유 추출공정으로 이송시켜 두유와 비지를 추출하게 되므로 두유의 추출량을 극대화하게 되므로 두부의 생산량을 늘리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3)

  1. 케이싱과, 중심부에 콩물이 투입되는 투입공이 형성되어 케이싱에 설치되며 저면이 상협하광된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고정커터와, 상기 고정커터의 직하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이 고정커터의 경사면과 동일한 기울기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면에는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요입홈이 형성된 회전커터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회전커터가 고정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고정커터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고정커터 조절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제조기의 생콩 마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커터 조절수단으로 고정커터의 플랜지에 숫나사부를 형성하여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는 숫나사부에 조절나사를 체결하고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는 고정커터의 상방향 상승을 억제하는 복수개의 록킹나사를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제조기의 생콩 분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커터에 형성된 투입구상에 위치하여 공급되는 콩물을 사방으로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해 회전커터의 중심에 나선상의 회전체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제조기의 생콩 분쇄장치.
KR2019980011120U 1998-06-25 1998-06-25 두부제조기의 생콩 마쇄장치 KR200000014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120U KR20000001407U (ko) 1998-06-25 1998-06-25 두부제조기의 생콩 마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120U KR20000001407U (ko) 1998-06-25 1998-06-25 두부제조기의 생콩 마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407U true KR20000001407U (ko) 2000-01-25

Family

ID=6951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120U KR20000001407U (ko) 1998-06-25 1998-06-25 두부제조기의 생콩 마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140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193A (ko) 2020-12-08 2022-06-15 오동근 초음파와 발광체를 이용한 안테나 형 조류퇴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193A (ko) 2020-12-08 2022-06-15 오동근 초음파와 발광체를 이용한 안테나 형 조류퇴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457787B (zh) 一种豆制品生产线
KR100758561B1 (ko) 두부 제조 장치
KR102294462B1 (ko) 메주 제조용 콩 세척기 및 이를 구비한 메주 제조 장치
CN102448325B (zh) 豆腐自动连续制造装置
KR100282842B1 (ko) 두부제조기 및 두부 제조방법
KR101069099B1 (ko) 두부제조용 마쇄장치
KR20000001407U (ko) 두부제조기의 생콩 마쇄장치
KR200466922Y1 (ko) 정수 공급기능을 갖는 생두부 제조장치
KR100282843B1 (ko) 두부제조기의 생콩 분쇄장치
KR200464108Y1 (ko) 두부제조기용 정량투입장치
KR100664914B1 (ko) 콩 정량 공급 장치
KR20110072546A (ko) 생콩 또는 젖은콩을 이용한 두부제조장치
KR100269857B1 (ko) 두부 자동제조장치
KR200374639Y1 (ko) 콩류 분쇄장치
KR20110072547A (ko) 생콩 또는 젖은콩을 이용한 두부제조장치용 원심분리기
KR101127980B1 (ko) 두부제조기의 두유제조장치
KR100317850B1 (ko) 두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172994Y1 (ko) 두부콩 분쇄장치
KR200203413Y1 (ko) 두부제조용 두유착즙장치
KR100844315B1 (ko) 두부제조장치
KR200337424Y1 (ko) 자동두부제조기
CN206760634U (zh) 一种全自动石磨豆浆机
KR20000077500A (ko) 두부 제조방법
KR960007108Y1 (ko) 종합 자동 분쇄기
KR200227419Y1 (ko)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