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869A - 아미노산 유도체 및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제 - Google Patents

아미노산 유도체 및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제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869A
KR19990082869A KR1019990011552A KR19990011552A KR19990082869A KR 19990082869 A KR19990082869 A KR 19990082869A KR 1019990011552 A KR1019990011552 A KR 1019990011552A KR 19990011552 A KR19990011552 A KR 19990011552A KR 19990082869 A KR19990082869 A KR 19990082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mino acid
hydroxybenzyl
salts
inflamm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1687B1 (ko
Inventor
기타자와마나부
이와사키게이지
시오지리에이지
Original Assignee
에가시라 구니오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가시라 구니오,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가시라 구니오
Publication of KR19990082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6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6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e.g. hist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07C229/0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amino and one carboxyl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C07C229/1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amino and one carboxyl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the nitrogen atom of the amino group being further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29/1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amino and one carboxyl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the nitrogen atom of the amino group being further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to carbon atoms of carbon skeletons containing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07C229/2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3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7/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7/0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37/04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07C237/06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7/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7/0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37/2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1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0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07/24Oxygen or sulfur atoms
    • C07D207/262-Pyrrolidones
    • C07D207/2732-Pyrrolidon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other ring carbon atoms
    • C07D207/277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07/282-Pyrrolidone-5- carboxylic acids; Functional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nitri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증성 단백질의 발현 및 이에 관련된 유전자 전사 조절 인자 활성화를 억제하여 양호한 사용감 및 안전성을 나타내는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염증성 피부 손상 또는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한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미노산 유도체 및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제{Amino acid derivatives and anti-inflammatory agents}
본 발명은 염증성 피부 손상 또는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한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각종 피부 상해 및 질병에 관해 이의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성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노화, 암화, 색소 침착, 염증 등에 있어서 이의 원인으로 IL-1α, TNF-α 등의 염증성 사이토킨이나 콜라게나제 등의 세포외 매트릭스 분해 효소가 깊이 관여하고 있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참조: 0xidative Stress in Dermatology Marce1 Dekker, Inc., 187 내지 205페이지, 1993년]. 이들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발현 억제는 주로 유전자의 전사 수준에서 실시되고 있으며, 염증성 사이토킨 세포외 매트릭스 분해 효소라는 염증성 단백질의 경우에는 NF-κB또는 AP-1 전사 조절 인자에 의해 이의 발현이 억제되고 있다[참조: 갓세이산소토 시그널 덴다쓰 고단샤 사이언티픽, 37 내지 46페이지, 1996년]. 따라서, 염증성 단백질의 발현이나 이에 관련된 전사 조절 인자의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으면 피부에 대한 상해 및 질병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면, N-아세틸-L-시스테인이나 피롤리딘디티오카바메이트라는 황 함유 항산화제가 NF-κB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참조: 갓세이산소토 시그널 덴다쓰 고단샤 사이언티픽, 37 내지 46페이지, 1996년]. N-아세틸-L-시스테인은 AP-1 활성화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참조: FEBS Letters, 384권, 92 내지 96페이지, 1996년]. 그러나, 이들 화합물은 이러한 분자 구조중에 존재하는 황원자 유래의 특이한 냄새로 인해 사용감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 황 함유 항산화제 이외에는 레티노인산에 의한 AP-1 활성화 및 세포외 매트릭스 분해 효소 발현의 억제[참조: Nature, 379권, 335 내지 339페이지, 1996년],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또는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에 의한 NF-κB 활성화의 억제[참조: Bio Essays, 18권, 371 내지 378페이지, 1996년] 등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레티노인산에는 피부박리의 부작용이 있고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에는 스테로이드 피부증 등의 부작용이 있어서 이의 사용이 제한된다.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는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에서 볼 수 있는 전신적 부작용은 없지만 국소적 부작용에 관해서 개선의 여지가 있는 바, 염증인자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효과도 불충분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염증성 단백질의 발현 및 이에 관련된 유전자 전사 조절인자 활성화를 억제하여 양호한 사용감 및 안전성을 나타내는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하기 화학식 1의 아미노산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상기한 목적이 달성되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아미노산 유도체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Ar은 다른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2-하이드록시아릴기이고,
n은 0 또는 1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α-아미노산 또는 β-아미노산의 측쇄이고,
X는 -O- 또는 -NH-이고,
R1은 수소원자, 또는 R2및 인접하는 원자와 함께 피로글루탐산의 환 구조를 형성하는 기이며,
R3은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2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22의 알케닐 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아미노산 유도체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특히 자외선 유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아미노산 유도체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의 성분으로서 첨가되는 화장품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아미노산 유도체 또는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염증성 피부손상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하고, 피부 외용제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중에서,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문헌에 기재되지 않은 신규한 화합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의 아미노산 유도체 및 이의 염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Ar은 다른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2-하이드록시아릴기이고,
m은 0 또는 1이고, 단 m이 0인 경우 R5는 알라닌, 페닐알라닌, 세린, 시스테인, 아스파라긴산, 시스테인산, 호모시스테인산, 오르니틴 및 히스티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의 측쇄이고, m이 1인 경우 R5는 수소원자이고,
R4는 수소원자, 또는 R5및 인접하는 원자와 함께 피로글루탐산의 환 구조를 형성하는 기이고,
Y는 -OR6, -NHR6또는 -NH2이며,
R6은 탄소수 1 내지 7의 알킬기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n은 0 또는 1의 정수이고, n이 0인 경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α-아미노산 유도체의 구조가 되며, n이 1인 경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β-아미노산 유도체의 구조가 된다.
화학식 1의 아미노산 유도체에서, R2는 n이 0인 경우 수소원자 또는 α- 아미노산의 측쇄, 예를 들면, 글루탐산, 아스파라긴산, 시스테인산, 호모시스테인산 등의 산성 아미노산;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트레오닌, 세린, 호모세린, 티로신, 도파, 시스테인, 메티오닌,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등의 중성 아미노산; 및 라이신, 오르니틴, 알기닌, 히스티딘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 등의 측쇄를 들 수 있지만, 중성 아미노산의 측쇄가 바람직하다. 또한, n이 1일 경우에는 R2는 수소원자 또는 β-아미노산의 측쇄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한 β-아미노산으로는 β-알라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아미노산 유도체의 R1은 통상적으로 수소원자이지만, R1과 R2가 인접하는 원자와 함께 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환 구조의 바람직한 예로는 2-피롤리돈 환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피로글루탐산 유도체의 구조가 된다.
이들 아미노산 잔기에 부제 탄소원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광학 활성체 또는 라세미체의 어느 것도 양호하다.
화학식 1의 R3에서의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8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기이고 일부 탄소쇄 내에 불포화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알킬기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2급-부틸기, 3급-부틸기, n-아밀기, 2급-아밀기, 3급-아밀기, 이소아밀기, n-헥실기, 사이클로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2-에틸헥실기, 노닐기, 이소노닐기, 데실기, 이소데실기, 운데실기, 라우릴기, 트리데실기, 이소트리데실기, 미리스틸기, 세틸기, 이소세틸기, 스테아릴기, 이소스테아릴기, 및 베헤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알케닐기로는 탄소수 2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8,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8의 직쇄 또는 측쇄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탄소-탄소 2중 결합, 경우에 따라서는 탄소-탄소 3중 결합을 가질 수 있는 알케닐기이며, 올레일기 등의 불포화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되는 알케닐기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1 및 2의 Ar기의 2-하이드록시아릴기로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환의 2위치에 수산기를 갖는 방향족기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당해 아릴기로서는 탄소수 6 내지 21,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4,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의 1개 이상의 6원 방향족 환을 갖는 단환, 다환 또는 축합환식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질소원자, 산소원자, 황원자 등의 상이한 종류의 원자를 1개 이상 갖고 하나의 환의 크기가 5 내지 8원인 복소환을 갖는 단환, 다환 또는 축합환식 방향족 복소환식기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아릴기로는 페닐기가 있다.
이들 2-하이드록시아릴기는 본 발명의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 작용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한, 임의의 다른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이러한 치환기로서는 상기한 알킬기, 상기한 알킬기로 이루어지는 알콕시기, 상기한 알킬기로 이루어지는 알콕시카보닐기, 염소, 불소, 브롬 등의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시기, 카복실기, 니트로기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 및 2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2-하이드록시아릴기로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2-하이드록시페닐기, 2-하이드록시-1-나프틸기, 1-하이드록시-2-나프틸기, 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기, 2-하이드록시-3-메톡시페닐기, 5-브로모-2-하이드록시페닐기, 5-클로로-2-하이드록시페닐기, 2-하이드록시-5-니트로페닐기, 3,5-디브로모-2-하이드록시페닐기, 3,5-디클로로-2-하이드록시페닐기, 2,3-디하이드록시페닐기, 2,4-디하이드록시페닐기, 2,5-디하이드록시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의 화합물의 m은 0 또는 1의 정수이고, m이 0인 경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α-아미노산 유도체의 구조가 되며, m이 1인 경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β-아미노산 유도체의 구조가 된다.
화학식 2의 화합물이 α-아미노산 유도체가 되는 경우(즉, m이 0인 경우)의 아미노산의 예로는, 알라닌, 페닐알라닌, 세린, 시스테인, 아스파라긴산, 시스테인산, 호모시스테인산, 오르니틴, 히스티딘을 들 수 있으며, 치환기 R5는 이들 아미노산의 측쇄를 나타내게 된다. 화학식 2의 화합물이 β-아미노산 유도체가 되는 경우(즉, m이 1인 경우)의 아미노산의 예로는, β-알라닌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치환기 R5는 수소원자를 나타내게 된다.
화학식 2의 화합물의 치환기 R4는 통상적으로 수소원자이지만 R4와 R5가 인접하는 원자와 함께 동시에 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환 구조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2-피롤리돈 환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피로글루탐산 유도체의 구조가 된다.
화학식 2의 화합물의 치환기 Y는 OR6기, -NHR6기 또는 -NH2이고, R6은 탄소수 1 내지 7의 알킬기이다. R6에서 탄소수 l 내지 7의 알킬기는 직쇄 또는 측쇄상의 포화 알킬기로,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2급-부틸기, 3급-부틸기, n-아밀기, 2급-아밀기, 3급-아밀기, 이소아밀기 및 n-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치환기 Y의 -OR6기는 탄소수 1 내지 7의 알콕시기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2급-부톡시기, 3급-부톡시기, n-아밀옥시기, 2급-아밀옥시기, 3급-아밀옥시, 이소아밀옥시기, n-헥실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치환기 Y의 -NHR6기는 N-알킬아미노기일 수 있으며 상기한 알킬기로 치환된 아미노기를 예시할 수 있다.
화학식 1 및 2의 화합물의 염으로는 예를 들면, 염산염, 황산염, 탄산염, 인산염 등의 무기산염, 및 아세트산염, 타르타르산염, 시트르산염, p-톨루엔설폰산염, 글리콜산염, 말산염, 락트산염, 지방산염, 산성 아미노산염, 피로글루탐산염 등의 유기산염을 들 수 있다. 2개 이상의 이들 염을 배합할 수 있다. 이들을 아미노산 유도체염으로 배합하거나 아미노산 유도체와 염을 따로따로 배합하여 조성물 속에서 아미노산 유도체염을 형성시켜도 좋다.
화학식 1의 아미노산 유도체는 예를 들면, 살리실알데히드와 같은 2-하이드록시방향족알데히드와 아미노산 알킬에스테르 또는 아미노산 알킬아미드를 용매중에서 또는 용매 없이 반응시키고, 여기에 수소화붕소나트륨 등의 수소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용이하게 유도시킬 수 있다. 또한, 2-하이드록시방향족알데히드와 아미노산을 반응시켜 쉬프 염기를 형성한 다음, 수소화붕소나트륨 등의 수소 첨가제를 첨가하여 N-(2-하이드록시방향족-1-메틸렌)아미노산을 수득한 후,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에스테르화하거나 아미드화하여 유도시킬 수 있다.
또한, 화학식 2의 아미노산 유도체도 상기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이들 방법으로 수득한 화학식 2의 화합물은 상기한 방법 등을 사용하여 화학식 1의 아미노산 유도체에 도입할 수 있다.
상기한 방법에 사용되는 2-하이드록시 방향족 알데히드로는 살리실알데히드 이외에, 예를 들면 2-하이드록시-1-나프토알데히드, 피리독살, 2-하이드록시-4-메톡시, o-바닐린, 5-브로모살리실알데히드, 5-클로로살리실알데히드, 5-니트로살리실알데히드, 3,5-디브로모살리실알데히드, 3,5-디클로로살리실알데히드, 2,3-디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 2,4-디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 및 2,5-디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제는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염증인자 활성화계에 직접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화장품, 피부 외 용제와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염증성 피부 손상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 화장품에 배합하는 경우에는, 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 피부 외용제에 배합하는 경우에는, 0.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적절하다. 0.01중량% 미만에서는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능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50중량%를 초과하면 피부에 딱딱한 느낌이 생기는 등의 사용감에 문제가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제를 화장품 또는 피부 외용제와 배합하여 사용할 때, 본 발명의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제 이외에, 일반적으로 화장품 또는 피부 외용제로 사용되고 있는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억제하지 않는 범위로 첨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또는 피부 외용제에 사용되고 있는 성분으로서는 오일성 원료, 계면활성제, 용제, 보습제, 고분자 물질, 분체 물질, 색소류,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오일성 원료로서는 동식물유 등의 유지류, 라놀린 등의 왁스류, 파라핀 등의 탄화수소, 세탄올 등의 고급 알콜류, 스테아르산 등의 고급 지방산, 스테롤류, 레시틴 등의 인지질류, 미리스트산 등의 합성 에스테르류, 금속비누 및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유화 및 가용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용제로서는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콜류, 에테르류, 글리세린류, 액상 비이온 계면활성제, 액상 오일성 원료, 기타 유기용제 및 물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콜류; 피롤리돈카복실산 등의 유기산염류; 요소; 히알론산 등의 무코 다당류; 및 프롤린 등의 아미노산 염류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물질로서는 콜라겐 등의 천연 고분자 화합물, 부분 탈아세틸화 키틴 등의 반합성 고분자 화합물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등의 합성 고분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분말 물질로서는 활석 등의 무기안료, 합성 운모 등의 기능성 안료, 미립자복합 분체(하이브리드 미세 분말), 이산화티타늄 피복 운모 등의 진주 광택 안료, 포토크롬 안료, 나일론 분말 등의 고분자 분체 및 Nε-라울로일라이신 등의 유기 분체 등을 들 수 있다.
색소류로서는 법정 타르 색소 제1류, 법정 타르 색소 제2류, 법정 타르 색소 제3류, 탈모제, 천연 색소 및 광물성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향료로서는 사향 등의 동물성 향료, 쟈스민유 등의 식물성 향료, α-아밀신남알데히드 등의 합성 향료 및 배합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제를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 외용제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용액상, 페이스트상, 겔상, 고체상, 분말상 등의 임의의 제형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또는 피부 외용제는 오일, 로션, 크림, 유액, 겔, 샴프, 헤어린스, 헤어 컨디셔너, 에나멜, 화운데이션, 립스틱, 분, 팩, 연고, 정제, 주사액, 과립, 캡슐, 향수, 파우더, 오데코롱, 치약, 비누, 에어졸, 클렌징폼 등 이외에 피부 노화방지 개선제, 피부 염증 방지 개선제, 목욕용제, 양모제, 피부 미용액, 일광 피부 보호제, 색소성건피증 및 일광담마진 등의 광선 과민증의 방지개선제, 광 알레르기 방지 개선제, 광선 면역 억제 방지 개선제, 또는 외상, 손이 트고 금이 가는 등에 의한 살갗의 거치름의 방지 개선제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만성관절류머티즘 등의 류머티즘성 질환; 관절염;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피부염, 심상성건선 등의 피부질환; 기관지천식,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질환; 염증성장질환; 급성 및 만성간염; 급성 및 만성신장염; 지중해열, 심근경색 등의 허혈질환 등의 염증인자 활성화가 관여하는 각종 질환의 예방 및 치료약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제를 함유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 외용제에 화장품 또는 피부 외용제에서의 기타 상용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억제하지 않은 범위로 첨가할 수가 있다. 화장품 또는 피부 외용제에서의 기타 상용 성분으로는 방부제 및 살균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킬레이트제, 퇴색방지제, 완충제, 여드름용 약제, 비듬 및 가려움 방지제, 땀냄새 방지제, 열상용 약제, 진드기 및 이 방지제, 각질 연화제, 건피증용 약제, 항바이러스제, 경피흡수촉진제, 호르몬류, 비타민류, 아미노산·펩타이드류, 단백질류, 수렴제, 항염증제, 청량 및 자극제, 동식물 유래성분, 멜라닌 합성억제제(미백제), 항생 물질, 항진균제, 육모제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하기에 본 발명을 실시예로써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배합량은 중량%이다.
합성예 1
글리신 9g을 2N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60m1에 용해시킨 다음, 살리실알데히드 12m1 및 수소화붕소나트륨 1.3g을 순차적으로 가한다. 이를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다시 살리실알데히드 12m1 및 수소화붕소나트륨 1.3g을 가한다. 실온으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불용물을 여과 분리하고 여액을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한다. 염산으로 pH를 4로 조절하여 N-(2-하이드록시벤질)글리신 17g을 수득한다. 이와 같이 수행하여 각종 N-(2-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산을 수득한다.
합성예 2
L-세린 3.6g을 2N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7m1에 용해시킨 다음, 살리실알데히드 3.6ml 및 수소화붕소나트륨 0.4g을 순차적으로 가한다. 이를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다시 살리실알데히드 3.6m1 및 수소화붕소나트륨 0.4g을 가한다.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불용물을 여과 분리하고 여액을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한다. 염산으로 pH를 7로 조절하여 N-(2-하이드록시벤질)-L-세린 4.8g을 수득한다. 수득한 N-(2-하이드록시벤질)-L-세린 300mg에 염화수소 기체를 포화될 때까지 흡입시키고 에탄올 30m1을 가하여 밤새 교반한다. 반응액을 농축하고 수득한 오일상 물질을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히타치사 제품)에 이나트실 ODS-3 칼럼(GL 사이언스사 제품)을 사용하는 HPLC 분리로 정제하여 N-(2-하이드록시벤질)-L-세린에틸에스테르 ll4mg을 수득한다. 이와 같이 수행하여 각종 N-(2-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산알킬에스테르를 수득한다. 당해 화합물 중에서 문헌에 기재되지 않은 신규한 화합물에 관해서는 질량 스펙트럼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문헌에 기재되지 않은 신규한 화합물 질량 스펙트럼(M+H+)
측정치 계산치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에틸에스테르 224 224
N-(2-하이드록시벤질)-D-알라닌에틸에스테르 224 224
N-(2-하이드록시벤질)-L-세린에틸에스테르 240 240
N-(2-하이드록시벤질)-L-히스티딘에틸에스테르 290 290
N-(2-하이드록시벤질)-L-글루탐산에틸에스테르 264 264
N-(2-하이드록시벤질)-L-페닐알라닌에틸에스테르 300 300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이소프로필에스테르 238 238
합성예 3
L-알라닌 2.9g을 2N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0m1에 용해시킨 다음, 살리실알데히드 3.5m1 및 수소화붕소나트륨 0.4g을 순차적으로 가한다. 이를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다시 살리실알데히드 3.5ml 및 수소화붕소나트륨 0.4g을 가한다. 실온으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불용물을 여과 분리하고 여액을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한다. 염산으로 pH를 6으로 조절하여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 5.8g을 수득한다. 수득한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 4.6g 및 1-도데칸올 8.8g에 톨루엔 150m1를 가한 다음, 염화수소 기체를 포화될 때까지 흡입시킨다. 분자체 10g을 가하여 밤새 교반한다. 불용물을 여과 분리한 다음, 여액를 농축하고 수득한 오일상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키고 포화 식염수로 세정한다.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다음, 감압 농축시켜서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라우릴에스테르 8g을 수득한다. 이와 같이 수행하여 각종 N-(2-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산알킬에스테르를 수득한다.
합성예 4
L­알라닌라우릴아미드 2.5g 및 수산화나트륨 1g을 메탄올 20m1에 용해시키고, 살리실알데히드 1.0ml 및 수소화붕소나트륨 0.1g을 순차적으로 가한다. 이를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다시 살리실알데히드 1.0m1 및 수소화붕소나트륨 0.1g을 순차적으로 가한다.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다음, 불용물을 여과 분리하고 염산으로 pH를 7로 조절한다. 감압 농축시켜 수득한 오일상 물질을 디에틸에테르에 용해시키고 수세한 다음,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다. 건조제를 여과 분리한 다음, 여액을 감압 농축시켜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라우릴아미드 3g를 수득한다. 이와 같이 수행하여 각종 N-(2-하이드록시벤질)아미노산알킬아미드를 수득한다. 당해 화합물 중에 문헌에 기재되지 않은 신규한 화합물에 관해서 질량 스펙트럼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문헌에 기재되지 않은 신규한 화합물 질량 스펙트럼(M+H+)
측정치 계산치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에틸아미드 223 223
N-(2-하이드록시벤질)-L-페닐알라닌에틸아미드 299 299
시험예 1: NF-κB 활성화 억제능력 시험
배양 플레이트에서 콘플루언스에 도달한 인간 표피 세포에 피시험 화합물을 가하고 18시간이 경과한 다음, 배양액을 페놀 레드를 함유하지 않은 배지로 대체한다. 델말레이 M-DMR-80(도시바이료요힝사 제품)을 사용하여 세포에 자외선 조사(UVB:50mJ/cm2)를 실시하고 4 내지 5시간 후, 세포를 회수하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핵단백질을 추출한다. 쉬프트 어세이법을 사용하여 수득한 핵단백질에서 활성화된 NF-κB를 검출한다. 바이오 이미징 애너라이저 BAS2000(후지필름사 제품)를 사용하여 NF-κB 밴드의 방사 활성치를 측정함으로써 NF-κB를 정량화한다. 피시험 화합물의 NF-κB 활성화 억제율은 다음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산출한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수학식에서,
A1은 피시험 화합물 첨가시의 NF-κB 밴드의 방사 활성치이고
A2는 피시험 화합물 미첨가시의 NF-κB 밴드의 방사 활성치이며,
A3은 피시험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고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의 NF-κB 밴드의 방사 활성치이다.
시험 화합물 첨가 농도 억제율(%)
N-(2-하이드록시벤질) 글리신 5mM10 36-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 1mM10 20-
N-(2-하이드록시벤질)-L-세린 10mM30 1734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에틸에스테르 0.2mM2 6877
N-(2-하이드록시벤질)-D-알라닌에틸에스테르 1mM2 9087
N-(2-하이드록시벤질)-L-류신에틸에스테르 1mM2 8457
N-(2-하이드록시벤질)-L-히스티딘에틸에스테르 1mM2 6972
N-(2-하이드록시벤질)-L-세린에틸에스테르 1mM2 3756
N-(2-하이드록시벤질)-L-피로글루탐산에틸에스테르 1mM2 5385
N-(2-하이드록시벤질)-L-티로신에틸에스테르 0.1mM0.5 6481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제품은 어느 것이든지 공지된 NF-κB 활성화 억제제인 피롤리딘디티오카바메이트와 비교하여 보다 낮은 첨가 농도에서 NF-κB 활성화 억제능력을 나타내며 높은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능력을 갖는다.
시험예 2: AP-1 활성화 억제능력 시험
배양 플레이트에서 콘플루언스에 도달한 인간 진피 섬유 아세포에 피시험화합물을 가하고 18시간이 경과한 다음, 배양액을 페놀 레드를 함유하지 않는 배지로 대체한다. 델마레이 M-DMR-80(도시바이료요힝사 제품)을 사용하여 세포에 자외선조사(UVA: 20J/cm2)을 실시하고 4 내지 5시간 후에, 세포를 회수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당해 단백질을 추출한다. 겔 쉬프트 어세이법을 사용하여 수득한 당해 단백질에서 활성화된 AP-1을 검출한다. 바이오 이미징 애널라이저 BAS 2000(후지필름사 제품)을 사용하여 AP-1 밴드의 방사 활성치를 측정함으로써 AP-1를 정량화한다. 피시험 화합물의 AP-1 활성화 억제율은 다음 수학식 2를 사용하여 산출한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수학식에서,
A4는 피시험 화합물 첨가시의 AP-1 밴드의 방사 활성치이고,
A5는 피시험 화합물 미첨가시의 AP-1 밴드의 방사 활성치이며,
A6은 피시험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고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의 AP-1 밴드의 방사 활성치이다.
시험 화합물 첨가 농도 억제율(%)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라우릴에스테르 10μM100 2081
N-(2-하이드록시벤질)-D-알라닌라우릴에스테르 50μM100 6059
N-(2-하이드록시벤질)-L-류신라우릴에스테르 10μM20 2123
N-(2-하이드록시벤질)-L-세린라우릴에스테르 10μM50 -79
N-(2-하이드록시벤질)-L-글루탐산라우릴에스테르 10μM100 -45
N-(2-하이드록시벤질)-L-티로신라우릴에스테르 5μM10 2043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스테아릴에스테르 10μM100 31-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에틸아미드 1mM2 4326
N-(2-하이드록시벤질)-L-페닐알라닌에틸아미드 0.5mM1 10247
N-(2-하이드록시벤질)-L-티로신에틸아미드 1mM2 7228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제품 중 어느 것이든지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인 아스피린을 능가하는 AP-l 활성화 억제능력을 나타내며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능력이 높다.
시험예 3: IL-1α 발현 억제능력 시험
배양 플레이트 내에서 콘플루언스에 도달한 인간 표피 세포에 피시험 화합물을 가하고 l8시간이 경과한 다음, 배양액을 페놀 레드를 함유하지 않은 배지로 대체한다. 델마레이 M-DMR-80(도시바이료요힝사 제품)을 사용하여 세포에 자외선 조사(UVB : 50mJ/cm2)를 실시하고 24시간이 경과한 후, 배양액을 회수하고 배양액 속의 IL-1α 농도를 IL-1α·ELISA 시스템(아마샴사 제품)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피시험 화합물의 IL-1α 발현 억제율은 다음 수학식 3을 사용하여 산출한다.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 수학식에서,
B1은 피시험 화합물 첨가시의 IL-1α 농도이고,
B2는 피시험 화합물 미첨가시의 IL-lα 농도이며,
B3은 피시험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고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의 IL-1α 농도이다.
시험 화합물 첨가 농도 억제율(%)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라우릴아미드 10μM20 5365
N-(2-하이드록시벤질)-D-알라닌라우릴아미드 10μM50 2997
N-(2-하이드록시벤질)-L-류신라우릴아미드 10μM50 4089
N-(2-하이드록시벤질)-L-피로글루탐산라우릴아미드 50μM100 7574
N-(2-하이드록시벤질)-L-티로신라우릴아미드 10μM100 39-
N-(2-하이드록시벤질)-L-알기닌라우릴아미드 10μM50 1628
N-아세틸-L-시스테인 10mM30 2355
피롤리딘디티오카바메이트 5μM10 -29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제품 중 어느 것이든지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인 덱사메사존과 동등하거나 이를 능가하는 IL-1α 발현 억제능력을 보이며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능력이 높다.
시험예 4: 콜라게나제 발현 억제능력 시험
배양 플레이트에서 콘플루언스에 도달한 인간 진피 섬유 아세포에 피시험화합물을 첨가하고 18시간이 경과한 다음, 배양액을 페놀 레드를 함유하지 않은 배지로 대체한다. 델마레이 M-DMR-80(도시바이료요힝사 제품)를 사용하여 세포에 자외선 조사(UVA:20J/cm2)을 실시하여 24시간이 경과한 후, 배양액을 회수하고 배양액 속의 콜라게나제 농도를 MMP-1·ELISA 시스템(아마샴사 제품)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피시험 화합물의 콜라게나제 발현 억제율은 다음 수학식 4를 사용하여 산출한다.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상기 수학식에서,
B4는 피시험 화합물 첨가시의 콜라게나제 농도이고,
B5는 피시험 화합물 미첨가시의 콜라게나제 농도이며,
B6은 피시험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고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지 않은 경우의 콜라게나제 농도이다.
시험 화합물 첨가 농도 억제율(%)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에틸에스테르 0.5mM2 26-
N-(2-하이드록시벤질)-L-히스티딘에틸에스테르 0.5mM1 2038
N-(2-하이드록시벤질)-L-세린에틸에스테르 0.5mM1 -73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이소프로필에스테르 0.1mM0.5 2038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라우릴에스테르 10μM50 6866
N-(2-하이드록시벤질)-L-세린라우릴에스테르 1μM10 4349
N-(2-하이드록시벤질)-L-글루탐산라우릴에스테르 1μM10 -33
N-(2-하이드록시벤질)-L-티로신라우릴에스테르 1μM10 1945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스테아릴에스테르 1μM5 2048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에틸아미드 1mM2 52131
시험 화합물 첨가 농도 억제율(%)
N-(2-하이드록시벤질)-L-페닐알라닌에틸아미드 0.5mM1 3461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라우릴아미드 10μM20 5756
N-(2-하이드록시벤질)-D-알라닌라우릴아미드 1μM20 1431
N-(2-하이드록시벤질)-L-피로글루탐산라우릴아미드 10μM100 -42
N-(2-하이드록시벤질)-L-티로신라우릴아미드 10μM20 4055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스테아릴아미드 1μM5 7247
덱사메사존 1μM10 3934
아스피린 1mM5 -414
시험 화합물 첨가 농도 억제율(%)
N-(2-하이드록시벤질)글리신 5mM10 2688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 1mM10 14100
N-(2-하이드록시벤질)-L-세린 10mM30 6270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에틸에스테르 0.2mM2 61100
N-(2-하이드록시벤질)-L-세린에틸에스테르 0.1mM2 -44
N-(2-하이드록시벤질)-L-피로글루탐산에틸에스테르 0.5mM1 8455
N-(2-하이드록시벤질)-L-페닐알라닌에틸에스테르 0.1mM1 25-
N-(2-하이드록시벤질)-L-티로신에틸에스테르 0.1mM0.5 2659
N-(2-하이드록시벤질)-L-알기닌에틸에스테르 0.5mM1 65-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이소프로필에스테르 0.1mM1 3653
시험 화합물 첨가 농도 억제율(%)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라우릴에스테르 10μM100 2372
N-(2-하이드록시벤질)-D-알라닌라우릴에스테르 10μM50 3531
N-(2-하이드록시벤질)-L-세린라우릴에스테르 10μM100 1231
N-(2-하이드록시벤질)-L-글루탐산라우릴에스테르 10μM100 54-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스테아릴에스테르 1μM10 2525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에틸아미드 0.5mM1 8199
N-(2-하이드록시벤질)-글리신라우릴아미드 20μM50 1345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라우릴아미드 10μM50 6973
N-(2-하이드록시벤질)-D-알라닌라우릴아미드 20μM50 2579
N-(2-하이드록시벤질)-L-류신라우릴아미드 20μM50 2779
시험 화합물 첨가 농도 억제율(%)
N-(2-하이드록시벤질)-L-피로글루탐산라우릴아미드 10μM50 2528
N-(2-하이드록시벤질)-L-티로신라우릴아미드 1μM10 -56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스테아릴아미드 5μM10 3077
덱사메사존 10μM100 4865
피롤리딘디티오카바메이트 5μM10 -45-
시험 화합물 첨가 농도 억제율(%)
N-(2-하이드록시벤질)글리신에틸에스테르 10μM100 3946
N-(2-하이드록시벤질)-D-알라닌에틸에스테르 0.1mM0.5 -108
N-(2-하이드록시벤질)-L-히스티딘에틸에스테르 0.1mM1 4451
N-(2-하이드록시벤질)-L-세린에틸에스테르 0.5mM1 30-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에틸에스테르 10μM50 58-
N-(2-하이드록시벤질)-L-류신에틸에스테르 10μM50 21-
N-(2-하이드록시벤질)-L-글루탐산에틸에스테르 1μM10 5349
N-(2-하이드록시벤질)-L-티로신에틸에스테르 10μM50 61-
N-(2-하이드록시벤질)-L-알기닌에틸에스테르 10μM50 52-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에틸에스테르 1μM5 57-
시험 화합물 첨가 농도 억제율(%)
N-(2-하이드록시벤질)-L-페닐알라닌에틸아미드 0.1mM0.5 3227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라우릴아미드 1μM10 57-
N-(2-하이드록시벤질)-L-류신라우릴아미드 1μM10 3760
N-(2-하이드록시벤질)-L-피로글루탐산라우릴아미드 10μM50 2352
N-(2-하이드록시벤질)-L-티로신라우릴아미드 1μM10 4284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스테아릴아미드 1μM5 72-
덱사메존 1μM10 2753
아스피린 1mM5 -197-436
표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제품 중 어느 것이든지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인 아스피린을 능가하는 콜라게나제 발현 억제능력을 보이며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능력이 높다.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실시예 1 내지 16의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제, 화장품 또는 피부 외용제를 조제한다.
실시예 1: 정제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라우릴아미드 10중량%
락트당 50
전분 20
카복시메틸셀룰로스 19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
실시예 2: 주사제
N-(2-하이드록시벤질)-L-알라닌에틸에스테르 0.1중량%
포도당 2.0
주사용수 나머지량
실시예 3: 연고제
N-(2-하이드록시벤질)글리신에틸에스테르 1.0중량%
요소 20.0
백색 바셀린 15.0
경질 유동 파라핀 6.0
세탄올 3.0
스테아릴알콜 3.0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5.0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완충제 1.0
정제수 나머지량
실시예 4: 화장수
N-(2-하이드록시벤질)-L-알기닌에틸에스테르 3.0중량%
글리세린 3.0
소르비톨 2.0
폴리옥시에틸렌(20)올레일에테르 1.0
에탄올 15.0
파라페놀설폰산아연 0.2
완충제 0.1
향료 0.2
방부제 적량
정제수 나머지량
실시예 5: 로숀
N-(2-하이드록시벤질)-L-티로신에틸에스테르 0.5중량%
글리세린 4.0
고령토 l.0
카라민 0.7
장뇌 0.2
에탄올 14.0
향료 적량
정제수 나머지량
실시예 6: 크림
N-(2-하이드록시벤질)글리신라우릴에스테르 1.0중량%
코지산 1.0
스테아르산 2.0
폴리옥시에틸렌(25)세틸에테르 3.0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2.0
옥틸도데칸올 10.0
세탄올 6.0
환원 라놀린 4.0
스크와란 9.0
1,3-부틸렌글리콜 6.0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4.0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나머지량
실시예 7: 크림
N-(2-하이드록시벤질)-L-류신라우릴아미드 1.0중량%
고형 파라핀 5.0
밀납 10.0
와세린 15.0
유동 파라핀 41.0
1,3-부틸렌글리콜 4.0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2.0
모노라우르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20) 2.0
붕사 0.2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산화방지제 적량
정제수 나머지량
실시예 8: 유액
N-(2-하이드록시벤질)글리신이소프로필에스테르 2.0중량%
레티놀 0.1
밀납 0.5
바셀린 2.0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1.0
단일 올레산 폴리에틸렌글리콜 1.0
메틸폴리실록산 2.0
세탄올 1.0
스크와란 6.0
카복시비닐 중합체 0.5
1,3-부틸렌글리콜 4.0
에탄올 5.0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나머지량
실시예 9: 유액
N-(2-하이드록시벤질)-D-알라닌라우릴아미드 1.0중량%
스테아릴알콜 0.5
경화 팜유 3.0
유동 파라핀 35.0
디프로필렌글리콜 6.0
폴리에틸렌글리콜(400) 4.0
세스퀴올레산소르비탄 1.6
폴리옥시에틸렌(20)올레일에테르 2.4
카복시비닐 중합체 1.5
수산화칼륨 0.1
킬레이트제 적량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나머지량
실시예 10: 젤
N-(2-하이드록시벤질)- L-알라닌옥틸아미드 0.05중량%
유동 파라핀 12.0
트리(2-에틸헥사노산)글리세릴 50.0
소르비트 10.0
폴리에틸렌글리콜(400) 5.0
아실메틸타울린 5.0
폴리옥시에틸렌(20)이소세틸에테르 10.0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나머지량
실시예 ll: 미용액
N-(2-하이드록시벤질)- L-알라닌이소프로필에스테르 0.5중량%
디프로필렌글리콜 5.0
폴리에틸렌글리콜(400) 5.0
에탄올 10.0
카복시비닐 중합체 0.5
알긴산나트륨 0.5
수산화칼륨 0.2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1.0
모노올레산소르비트 0.5
올레일알콜 0.5
태반 추출물 0.2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0.2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퇴색방지제 적량
정제수 나머지량
실시예 12: 팩
N-(2-하이드록시벤질)-L-페닐알라닌라우릴에스테르 3.0중량%
폴리비닐알콜 15.0
카복시메틸셀룰로스 5.0
1,3-부틸렌글리콜 5.0
에탄올 12.0
폴리옥시에틸렌(20)올레일에테르 0.5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완충제 적량
정제수 나머지량
실시예 13: 화운데이션
N-(2-하이드록시벤질)글리신스테아릴아미드 5.0중량%
유동 파라핀 10.0
모노올레산폴리옥시에틸렌(20)소르비탄 3.5
프로필렌글리콜 3.0
산화티타늄 9.0
고령토 24.0
활석 42.0
착색 안료 3.0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산화방지제 적량
실시예 14: 세안 재료
N-(2-하이드록시벤질)-L-세린 0.5중량%
N-라우로일글루탐산트리에탄올아민염 25.0
라우르산트리에탄올아민 5.0
폴리옥시에틸렌(4)폴리옥시프로필렌(11)부틸에테르 5.0
에탄올 3.0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나머지량
실시예 15: 샴푸
N-(2-하이드록시벤질)-L-세린에틸에스테르 0.5중량%
폴리옥시에틸렌(3)라우릴에테르황산트리에탄올아민 3.0
폴리옥시에틸렌(3)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6.0
라우릴황산나트륨 1.5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 3.0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페타인 2.5
양이온화 셀룰로스 0.2
디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2.0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킬레이트제 적량
완충제 적량
정제수 나머지량
실시예 16: 목욕용 약제(과립상)
N-(2-하이드록시벤질)-L-히스티딘에틸에스테르 3.0중량%
황산나트륨 44.0
탄산수소나트륨 50.0
붕사 2.0
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1.0
색소 적량
향료 적량
본 발명의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제는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능력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제를 배합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 외용제는 피부에 도포할 때, 피부에 효과적으로 잔류하여 떨어지기 어려우며 또한 사용감이 양호하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의 아미노산 유도체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제.
    화학식 1
    상기식에서,
    Ar은 다른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2-하이드록시아릴기이고,
    n은 0 또는 1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α-아미노산 또는 β-아미노산의 측쇄이고,
    X는 -O- 또는 -NH-이고,
    R1은 수소원자, 또는 R2및 인접하는 원자와 함께 피로글루탐산의 환 구조를 형성하는 기이며,
    R3은 수소원자, 탄소수 1 내지 2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22의 알케닐 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Ar이 2-하이드록시페닐기인 아미노산 유도체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n이 0이고 R2가 수소원자 또는 α-아미노산의 측쇄인 아미노산 유도체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염증인자 활성화 억제제.
  4. 제l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아미노산 유도체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5. 제4항에 있어서, 염증성 질환이 자외선 유발 염증성 질환인 예방 및 치료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아미노산 유도체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 첨가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아미노산 유도체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화장품.
  8.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아미노산 유도체 및 이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9. 하기 화학식 2의 아미노산 유도체 및 이의 염.
    화학식 2
    상기식에서,
    Ar은 다른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2-하이드록시아릴기이고,
    m은 0 또는 1이며, 단 m이 0인 경우 R5는 알라닌, 페닐알라닌, 세린, 시스테인, 아스파라긴산, 시스테인산, 호모시스테인산, 오르니틴 및 히스티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의 측쇄이고, m이 1인 경우 R5는 수소원자이고,
    R4는 수소원자, 또는 R5및 인접하는 원자와 함께 피로글루탐산의 환 구조를 형성하는 기이고,
    Y는 -OR6, -NHR6또는 -NH2이며,
    R6은 탄소수 1 내지 7의 알킬기이다.
KR1019990011552A 1998-04-02 1999-04-02 항-염증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및 피부 외용제 KR100721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05336 1998-04-02
JP10533698 1998-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869A true KR19990082869A (ko) 1999-11-25
KR100721687B1 KR100721687B1 (ko) 2007-05-28

Family

ID=14404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552A KR100721687B1 (ko) 1998-04-02 1999-04-02 항-염증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및 피부 외용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52061B1 (ko)
EP (1) EP0955046B1 (ko)
KR (1) KR100721687B1 (ko)
CA (1) CA2267815A1 (ko)
DE (1) DE69925882T2 (ko)
ES (1) ES2244147T3 (ko)
TW (1) TW5443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8491A1 (fr) * 2000-02-10 2001-08-16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Medicament comprenant une combinaison
WO2004032824A2 (en) * 2002-10-10 2004-04-22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Basic esters of fatty alcohols and their use as anti-inflammatory or immunomodulatory agents
US20080051315A1 (en) * 2003-12-11 2008-02-28 Eric Kandel Grp Receptor-Related Methods for the Treating and Preventing Fear-Related Disorders
JP2007261946A (ja) * 2004-06-18 2007-10-11 Ajinomoto Co Inc アシルアミノ酸亜鉛塩から成る炎症抑制剤
DE102006047155A1 (de) * 2006-09-29 2008-04-03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2-Isopropyl-5-Methyl-Cyclohexancarbonyl-D-Alaninethylester und einem oder mehreren Antioxidantien
DE102006047156A1 (de) * 2006-09-29 2008-04-03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2-Isopropyl-5-Methyl-Cyclohexancarbonyl-D-Alaninethylester und einem oder mehreren hautaufhellenden Wirkstoffen gegen unerwünschte Pigmentierung der Haut, insbesondere postinflammatorische Hyperpigmentierung
DE102006047159A1 (de) * 2006-09-29 2008-04-03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R)-2-[((1R,2S,5R)-2-isopropyl-5-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propionsäure ethyl ester und einem oder mehreren Füllstoffen
DE102006047154A1 (de) * 2006-09-29 2008-04-03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2-Isopropyl-5-Methyl-Cyclohexancarbonyl-D-Alaninethylester und einem oder mehreren anti-entzündlichen Wirkstoffen
DE102006047160A1 (de) * 2006-09-29 2008-04-03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R)-2-[((1R,2S,5R)-2-isopropyl-5-methyl-cyclohexanecarbonyl)-amino]-propionsäure-methylester und einem oder mehreren Füllstoffen
DE102006047163A1 (de) * 2006-09-29 2008-04-03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2-Isopropyl-5-Methyl-Cyclohexancarbonyl-D-Alaninmethylester und einem oder mehreren Antioxidantien
DE102006047166A1 (de) * 2006-09-29 2008-04-03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2-Isopropyl-5-Methyl-Cyclohexancarbonyl-D-Alaninethylester und einem oder mehreren Hautbefeuchtungsmitteln
SG182415A1 (en) 2010-01-12 2012-08-30 Pola Chem Ind Inc Prophylactic or ameliorating agent for pigmentation
CN106045869A (zh) * 2016-06-30 2016-10-26 宜兴市前成生物有限公司 一种制备dl‑谷氨酸的方法
CN113502014B (zh) * 2021-09-13 2021-11-23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抗菌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38473B (de) * 1964-06-13 1967-04-13 Merck Ag 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ymmetrischen Thioaethern der Pyridinreihe
CA2100640A1 (en) * 1992-07-23 1994-01-24 Shigeru Matsutani Substitute benzoate derivatives
ES2123119T3 (es) * 1992-12-21 1999-01-01 Ajinomoto Kk Derivado de aminoacido y agente anti-oxigeno activo.
JP3569959B2 (ja) * 1994-06-23 2004-09-29 味の素株式会社 皮膚外用剤
FR2728790B1 (fr) * 1994-12-29 1997-01-24 Cird Galderma Composition modulant l'apoptose comprenant du methonial ou tout facteur influencant le taux intracellulaire de methonial
JP3792339B2 (ja) * 1997-04-03 2006-07-05 三菱化学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被覆組成物
JP3906514B2 (ja) * 1997-04-03 2007-04-18 味の素株式会社 アミノ酸誘導体及び抗活性酸素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1687B1 (ko) 2007-05-28
EP0955046B1 (en) 2005-06-22
EP0955046A2 (en) 1999-11-10
ES2244147T3 (es) 2005-12-01
EP0955046A3 (en) 2000-09-06
TW544310B (en) 2003-08-01
DE69925882D1 (de) 2005-07-28
DE69925882T2 (de) 2006-04-27
US6552061B1 (en) 2003-04-22
CA2267815A1 (en) 199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7901B2 (ja) シスチン誘導体の用途
KR100721687B1 (ko) 항-염증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및 피부 외용제
JP2003238387A (ja) 目の下のたるみおよびくまを緩和するための皮膚外用剤組成物
WO2007148832A1 (ja) 亜鉛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美白剤
US20060093689A1 (en) Skin cosmetics
US8927499B2 (en) Glycine derivative capable of inhibiting melanin formation and composition using the same
KR20010015219A (ko) 벤즈알독심을 포함하는 도포성 화장품 조성물
JP3124136B2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
JPH0532533A (ja) 化粧料
JPH11343235A (ja) アミノ酸誘導体および炎症因子活性化抑制剤
CN105408306B (zh) 间苯二酚衍生物及其化妆应用
US10696623B2 (en) Phenolic acid derivative compound and use thereof
KR101327817B1 (ko)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아마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아마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BG65146B1 (bg) Фармацевтичен състав за външно приложение и използването му за избелване на кожата или за намаляване на пигментацията при човек
JP5552741B2 (ja) 亜鉛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美白剤
KR100532786B1 (ko) 아미노산 유도체,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제
WO2000064926A1 (fr) Inhibiteur hormonal stimulant les melanocytes
JPH08245359A (ja) 光老化防止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化粧料
JPH0977651A (ja) 美白化粧料
JP2009137879A (ja) 美白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美白化粧料
JP2005015472A (ja) メラニン産生促進剤
TWI418366B (zh) 具有抑制黑色素生成之甘胺酸衍生物及使用其之美白組成物
JPH1053515A (ja) 皮膚外用剤
JPH107540A (ja) 美白化粧料
JPH05221846A (ja) チロシナーゼ活性抑制剤および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