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8031A - 자기기록및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록및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8031A
KR19990078031A KR1019990009196A KR19990009196A KR19990078031A KR 19990078031 A KR19990078031 A KR 19990078031A KR 1019990009196 A KR1019990009196 A KR 1019990009196A KR 19990009196 A KR19990009196 A KR 19990009196A KR 19990078031 A KR19990078031 A KR 19990078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arm
reproducing apparatus
tension
magnetic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7939B1 (ko
Inventor
고니시아키오
히라바야시고이치로
다케다스조
다나카신지
시부카와가즈오
가와마타겐지
다카하시히사시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90078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9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Landscapes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Manufacturing Of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장치는 테이프 카세트로 부터 자기 테이프를 밀어내기 위한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인데,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는 테이프 안내 포스트의 그룹으로 소정의 테이프 구동 시스템을 형성하면서 회전 헤드 실린더주위에서 자기 테이프를 감으며, 자기 테이프의 기록 및 재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원호를 위한 회전 헤드를 가진다. 상기 테이프 안내 포스트의 그룹은 경사각이 조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 조정 테이프 안내 포스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는 도 44와 도 45를 참고하여 설명될 일본 특허공개 제 61-203443 호에 기재되어 있다.
도 44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가 이동 새시(301)위에 장착될 수 있는 이젝트 위치에서 상기 종래의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5는 자기 테이프가 회전 헤드 드럼주위에서 감기는 로드 위치의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도시하며, 상기 장치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다.
도 44에서,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는 고정된 새시(317)오, 이동가능한 새시(301)과, 회전 헤드를 가지는 헤드 드럼(318)과, 자기 테이프(373)과, 공급 릴 베이스(303a)와, 테이크-업 릴 베이스(303b)와, 테이프 카세트(377)과, 회전 안내부(329)와 경사진 안내부(330)를 각각 구비하는 테이프 로딩 부재(327a 및 327b)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프 로딩 부재(327a 및 327b)이 도 44에 도시된 위치로 부터 도 45에 도시된 위치로 안내 레일(309a 및 309b)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이동 새시(301)는 도 45에서 화살표(C)로 지시된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자기 테이프(373)은 테이프 카세트(377)로 부터 밀려지며, 회전 헤드 드럼(318)주위에서 감김으로써,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가 자기 기록 및 재생 작동을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도 45에 도시된 로딩 위치를 설치하게 된다.
도 44 및 45에 도시된 테이프 공급 포스트는 다음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경사 조정 기구는 도 44 및 도 45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경사진 안내부(330)과 회전 안내부(329)는 이동가능한 부재(328)에 제공된다. 장력 검출 핀(351)은 이동 새시(301)위에 제공되는 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회전가능한 아암(352)위에 제공된다. 테이프 인출 핀(354)는 고정된 새시(317)위에 제공되는 회전가능한 아암(357)위에 제공된다.
그래서, 상기 자기 테이프(373)는 다수의 요소를 포함하는 테이프 공급 포스트의 그룹에 의하여 안내되며, 테이프로 부터 그리고 테이프까지 기록 및 재생 데이터를 위하여 회전 헤드 드럼주위에 감기게 된다.
장력 검출 핀(351)은 이동 부재(즉, 상기 이동 새시(301))위에 제공되고, 회전 헤드 드럼에 대하여 경사부와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은 어렵다.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에서, 자기 테이프에 손상을 주지 않기 위한 회전 헤드 드럼이 공급되는 것에 대하여 각 테이프 공급 포스트의 경사와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긴 시간동안 그리고 디지탈화된 것에 사용하기 위해 적합한 얇은 자기 테이프를 위한 테이프 공급 포스의 위치와 경사를 유지하기 위하여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그럼으로써, 도 44 및 도 45에 도시된 구조의 각 요소는 이것의 크기와 경사에서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게 된다. 이러한 높은 정밀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요소의 튼튼함을 증가시키거나 및/또는 상기 요소를 위한 보다 엄격한 치수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요소가 결합된 축의 보다 큰 부분을 수용하도록 사익 요소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과 같은 크기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는 테이프 카세트로 부터 자기 테이프를 밀어내기 위하여 제공되는데,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는 테이프 안내 포스트의 그룹으로 소정의 테이프 구동 시스템을 형성하면서 회전 헤드 실린더주위에서 자기 테이프를 감으며, 자기 테이프의 기록 및 재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원호를 위한 회전 헤드를 가진다. 상기 테이프 안내 포스트의 그룹은 경사각이 조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 조정 테이프 안내 포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라서, 상기 경사 조정 테이프 안내 포스트의 경사각은 연속적으로 변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 조정 테이프 안내 포스트의 경사각은 조정 스크류의 회전각에 의하여 조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조정축과, 상기 경사 조정 테이프 안내 포스트를 가지는 안내 포스트 베이스 및, 이 곳을 통하여 조정축을 수용하기 위한 안내 구멍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정 스크류는 수나사부와 결합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안내 포스트 베이스에 대향 접촉하는 베이스 대향 접촉부를 가진다. 상기 안내 구멍부는 상기 베이스 대향접촉부를 향한 방향으로 편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 포스트 베이스는 이것의 상부에서의 안내 구멍부를 포함하고, 또한 이곳을 통하여 조정축을 수용하기 위한 하부에서의 지지 구멍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 구멍부는 상기 안내 구멍부와 지지 구멍부사이의 연결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대향접촉부를 향한 방향으로 편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 조정 테이프 안내 포스트는 직경이 하향으로 증가되는 이것의 저부에서의 테이퍼진 형상을 가진다.
그래서, 본원에서 기재된 본 발명은 높은 정밀도와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작은 기구와 협력하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차를 제공하는 단점을 가능하게 만들고, 테이프 공급 안정성은 구동 포스트가 쉽게 조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상기 장점 및 다른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이해함으로써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카세트가 기록 및 재생 장치로 부터 제거되는 언로딩 모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장력 아암과 주변 요소를 도시하는 상세한 평면도.
도 3은 서브섀시가 제거되는 언로딩 모드에서 상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언로딩 모드에 있는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장력판과 원주 요소를 도시하는 상세한 평면도.
도 5는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주 새시에 제공되는 S 보트(boat)과 T 보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서브섀시 구동 아암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상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주변 요소와 핀치 아암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상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핀치 아암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상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핀치 프레스 아암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상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트위스트된 코일 스프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MIN-SW의 단면도.
도 12는 도 1에서 화살표 B로 도시된 방향을 따라 취한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단면도.
도 13은 장력 포스트와 T4 포스트가 밀려 나오는 로딩 모드(1)에서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평면도.
도 14는 상기 서브섀시가 이것의 전체 행정의 하나의 반쪽으로 이동하는 로딩 모드(2)에 있는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는 상기 장치가 테이프의 기록, 재생 및 빠른 전방감기와 같은 작용을 수행할 준비로 있는 플레이 모드에서의 상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6은 상기 테이프가 구동되지 않는 정지 모드에서의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7은 상기 장치가 테이프의 역재생과 다시감기와 같은 작용을 수행할 준비로 있는 역방향 모드에서의 상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8은 서브섀시가 제거되는 로딩 모드(1)에서의 상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9는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가 서브섀시가 제거되는 로딩 모드(2)로 있는 것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0은 상기 로딩 모드(1)로 있는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주변 요소와 장력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1은 상기 로딩 모드(2)로 있는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주변 요소와 장력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2는 플레이 모드로 있는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주변 요소와 장력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3은 정지 또는 역방향 모드로 있는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주변 요소와 장력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4는 언로딩 모드로 있는 상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서브섀시 구동 아암과 보트 구동 아암의 상대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5는 상기 로딩 모드(1)로 있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서브 새시 구동 아암과 보트 구동 아암의 상대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6은 로딩 모드(2)로 있는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서브 새시 구동 아암과 보트 구동 아암의 상대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7은 상기 로딩 모드(2)와 플레이 모드사이에 있으며 상기 로딩 모드(2)에 근접하게 된 이전 플레이 모드에서의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서브섀시 구동 아암과 보트 구동 아암의 상대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8은 플레이 모드로 있는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서브섀시 구동 아암과 보트 구동 아암의 상대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9은 정지 모드로 있는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서브 새시 구동 아암과 보트 구동 아암의 상대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0은 역방향 모드로 있는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서브 새시 아암과 보트 구동 아암의 상대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1은 언로드된 모드로 있는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T4 아암과 핀치 아암의 상대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2는 로딩 모드(1)로 있는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T4 아암과 핀치 아암의 상대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3은 로딩 모드(2)로 있는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T4 아암과 핀치 아암의 상대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4는 작동 또는 역방향 모드로 있는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T4아암과 핀치 아암의 상대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5는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S3 포스트 주위로 있는 상기 테이프 공급 시스템의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7은 조정 작동 동안에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S3 포스트주위의 상기 테이프 공급 시스템의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8은 조정 작동 동안에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S3 포스트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9는 조정 작동 동안에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S3 포스트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0은 조정 작동 동안에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S3 포스트 주위에서 상기 테이프의 느슨함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1은 조정 작동 동안에 상기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S3 포스트 주위에서 상기 테이프의 느슨함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2는 간략하게 된 어레이에서 재정렬되는 실린더 주위에서의 테이프 공급 시스템의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 43은 상기 테이프가 S3포스트 주위로 감기는 상기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S3 포스트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4 및 도 45는 종래의 자기 및 기록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세트 2:테이프
3: 서브 섀시 4:S릴 베이스
5: T릴 베이스 6:아이들러
7: 아이들러 기어 8: 메인 섀시
12: 장력 아암 18: 장력판
이후에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43를 참고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는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는 카세트로 부터 자기 테이프를 밀어 냄으로써 그리고 테이프 안내 포스트의 그룹으로 소정의 테이프 구동시스템을 형성함으로써, 그리고 소정의 원호를 위하여 회전 헤드를 가지는 회전 헤드 실린더 주위에서 자기 테이프를 감으로써, 자기 테이프로 부터 그리고 그 곳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기록 및 재생한다. 상기 그룹의 테이프 안내 포스트는 경사각이 조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 조정 테이프 안내 포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의 경사 조정 테이프 안내 포스트로써, 상기 자기 테이프는 안정되게 공급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자기 테이프의 "자기 및 기록"은 자기 테이프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록 데이터와, 자기 테이프로 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사운드 데이터, 타임 데이터, 위치 데이터, 제어 데이터,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상기 "테이프 카세트"는 DVC(디지탈 비디오 카세트), 8mm 비디오 카세트, VHS 카세트등과 같은 데이터가 기록 및 재생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카세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는 도 1 내지 도 43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카세트가 언로딩 위치(이하 "언로딩 모드"로서 언급함)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단순함을 위해,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일부 요소들은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테이프(2)는 카세트(1)에 수용된 두 개의 릴(도시되지 않음) 둘레에 권취되어 있으며, 릴들 사이의 테이프(2)의 일부는 장력하에 놓여 있다. 도면들에서, 카세트(1)는 일점쇄선으로 그의 프로파일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카세트(1)의 외측에 위치하는 테이프(2)의 일부 또한 도면의 단순함을 위해 일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카세트(1)는 서브섀시(3)에 부착되어 있다. 서브섀시(3) 상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된 S 릴 베이스(4) 및 T 릴 베이스(5)가 카세트(1) 내의 릴(도시되지 않음)과 결합되어 있다.
아이들러 기어(7)가 아이들러(6) 상에 축선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아이들러(6)는 메인 섀시(8) 상에 중심 기어축(9)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다. 중심 기어(10)는 중심 기어축(9)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다. 아이들러 기어(7)는 S 릴 베이스(4) 및 T 릴 베이스(5) 둘레에서 기어들과 결합되는 중심 기어(10)에 의해 회전되며, 이에 의해 기어들이 S 릴 베이스(4) 및 T 릴 베이스(5) 둘레에서 회전된다. 메모리-인-카세트 리딩 스위치(이하 간단하게 MIC-SW라 함)가 서브섀시(3)에 제공되어 있다.
도 2는 장력 아암(12) 및 그의 주변 요소들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장력 아암(12)은 장력 아암축(1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서브섀시(3) 내에 제공되어 있다. 장력 포스트(14)가 장력 아암(12)의 일단부 상에 제공되어 있다. 장력 아암(12)의 단부(16) 상에 제공된 장력 아암 조정핀(15)은 장력 아암(12)의 이동을 조정하기 위해 메인 섀시(8) 상의 장력판(18)과 결합될 서브섀시(3)에 제공된 구멍(17)을 관통한다. 장력판(18)은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장력 밴드(19)의 단부(124)는 장력 아암(12) 상의 축(20)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장력 밴드(19)의 다른 단부(125)는 장력 밴드 조정 아암(21) 상의 축(22)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장력 밴드 조정핀(21)은 서브섀시(3) 상의 축(23)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비틀린 코일 스프링(24)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편향된다. 스프링 페그(115)는 비틀린 코일 스프링(24)을 위해 서브섀시(3) 상에 제공되어 있다. 장력 아암 정지판(116)은 소정의 조절된 위치(117) 내에서 나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서브섀시(3) 상에 고정된다. 장력 밴드 조정 아암(21)의 이동(및 위치)은 장력 아암 정지판(116)을 접촉시킴에 의해 조정된다.
장력 밴드 조정 아암(21) 내에는 핀(25)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핀(25)은 장력 밴드 조정 아암(21)의 이동을 조정하기 위해 장력판(18)과 결합될 서브섀시(3) 내의 구멍(17)을 관통한다. 장력 밴드(19)는 S 릴 베이스(4)의 원통형부(26) 둘레에 권취되어 있다. 장력 아암(12)은 장력 스프링(27)에 의해 반시계 방향에서 편향된다. 장력 스프링(17)의 단부는 서브섀시(3)에 제공된 스프링 페그 둘레에 후크식으로 걸려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든 장력 스프링은 도면의 단순함을 위해 파선으로 그의 프로파일만이 도시되어 있다. 돌출부 A(118)와 돌출부 B(119)는 장력 밴드(19)의 단부(124)에 제공되어 있다. 장력 아암(12)에 제공된 밴드 조정 돌출부(120)는 돌출부 A(118)와 돌출부 B(119)를 접촉시키고 후방으로 밂으로써 장력 밴드(19)의 이동을 조정하며, 이에 의해 장력 밴드(19)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S 릴 베이스(4)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에서, T4 아암(28)은 서브섀시(3) 상에서 축(29)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T4 포스트(30)는 T4 아암(28)의 단부 상에 제공되어 있으며, T4 아암 조정핀(31)은 T4 아암(28)의 다른 단부 상에 제공되어 있다. T4 아암(28)은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반시계방향으로 편향된다.
캠 A 판(32)과 캠 B 판(33)은 좌/우 방향(도 1의 평면에서)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핀(34, 35)에 의해 서브섀시(3)에 부착되어 있다. 캠 A 판(32)과 캠 B 판(33)은 나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서브섀시(3)에 고정되며, 이후 그들의 위치가 조절된다.
서브섀시(3)는 메인 섀시(8) 상에 제공된 4개의 액스(ax, 37)와 결합하는 4개의 신장형 구멍(36)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서브섀시(3)가 4개의 신장형 구멍(36)을 따라 전/후 방향(도면의 평면에서)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서브섀시(3)가 지지된다.
테이프(2)는 메인 섀시(8) 상에 제공된 회전 자기 헤드를 갖춘 실린더(38) 둘레에 권취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장치는 테이프(2)로 신호(데이터)를 기록하고 테이프(2)로부터 신호(데이터)를 재생할 준비를 하게 된다.
S 보우트(39)와 T 보우트(40)에 제공된 핀(41A, 41B, 41C)은 각각 레일(42)의 신장형 구멍(43)과 결합하여, S 보우트(39)와 T 보우트(40)가 신장형 구멍(43)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S1 포스트(45)와 S2 포스트(46)는 S 보우트(39) 상에 제공되어 있으며, T1 포스트(46)와 T2 포스트(47)는 T 보우트(40)에 제공된다. 테이프(2)는 S 보우트(39)와 T 보우트(40)의 이동과 함께 실린더(38) 둘레에 권취되어 있다.
메인 섀시(8) 상에는 레일부(48)와 S3 포스트(49)가 제공되어 있다. T3 포스트(51)는 캡스턴(capstan, 50)을 유지하는 캡스턴 하우징(52) 내에 제공되어 있다.
핀치 아암(53)은 메인 섀시(8) 상에서 피봇 축(54)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핀치 아암(53)의 단부 상에는 핀치 로울러(55)가 회전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다. 핀치 프레스 아암(56)은 핀치 아암(53)의 피봇 축(54)과 동축을 가지며, 비틀린 코일 스프링(57)에 의해 핀치 아암(53)과 함께 편향된다. 장력 스프링(58)은 핀치 아암(53)을 반시계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해 핀치 아암(53)과 서브섀시(3) 사이에서 장력하에 놓여 있다. 핀치 아암(53)의 돌출부(59)는 서브섀시(3)의 벽부(60)와 접촉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서브섀시(3)의 이동과 함께 핀치 아암(53)을 구동시킨다.
이하에 메인 섀시(8)의 전형적인 구조를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언로딩 모드에서의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도시한 도 1과 유사한 평면도이지만, 도 3에는 서브섀시(3)가 제거되어 있다. 도 4는 장력판(18)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장력판(18)에 제공된 두 개의 신장형 구멍(61)은 메인 섀시(8) 상에 제공된 두 개의 가이드핀(62)과 결합하고 있으며, 장력판(18)은 가이드핀(62)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된다.
장력판(18)에 제공된 캠 그루브(63)는 도 1에 도시된 장력 아암 조정핀(15)과 결합된다. 장력판 구동 아암(64)은 메인 섀시(8) 상에서 축(65)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캠 기어(66)는 메인 섀시(8) 상에서 축(67)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캠 기어(66) 상에 제공된 캠 그루브(68)는 장력판 구동 아암(64) 상에 제공된 캠 팔로우어 핀(69)과 결합된다. 장력판 구동 아암(64) 상에 제공된 핀(70)은 장력판(18)에 제공된 캠 그루브(71)와 결합된다. 장력 밴드 조정 아암(21) 상에 제공된 핀(25)은 장력판(18)의 우측 에지부 캠(72)과 접촉한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장력판 구동 아암(64)은 캠 기어(66)의 캠 그루브(68)에 의해 구동되며, 장력판(18)은 핀(70)에 의해 장력판 구동 아암(64) 상에서 구동한다.
장력 아암(12)과 장력 밴드 조정 아암(21)은 캠 그루브(63)와 장력판(18)에 제공된 우측 에지부 캠(72)에 의해 각각 구동되고 조정된다.
도 5는 메인 섀시(8) 상에 제공된 S 보우트(39)와 T 보우트(40)를 구동시키는 구조물을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보우트 구동 아암(73)은 메인 섀시(8) 상에서 축(74)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캠 기어(66) 상에 제공된 구동핀(75)은 보우트 구동 아암(73)에 제공된 내부 캠(76)과 접촉한다. 보우트 구동 아암(73)은 캠 기어(66)의 회전에 의해 구동된다.
S 로드 기어(79)와 일체식으로 보우트 구동 아암(73)에 제공된 기어부(77)는 작은 기어부(80)와 결합되며, 메인 섀시(8) 상에서 축(78)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S 로드 아암(31)은 S 로드 기어(79)와 동축선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S 로드 링크(82)는 축(83)을 통해 S 로드 아암(81)과 S 보우트(39)에 그리고 핀(41A)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T 로드 기어(84)는 메인 섀시(8) 상에서 축(85)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S 로드 기어(79)와 결합된다. T 로드 링크(87)가 축(88)을 통해 T 로드 아암(86)과 T 보우트(40)에 그리고 핀(41C)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정상 상태에서, S 로드 아암(81)과 S 로드 기어(79)는 비틀린 코일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함께 유지되며, 축(78)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S 로드 기어(7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S 로드 기어(79)는 비틀린 코일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편향된다. 유사하게, 정상 상태에서, T 로드 아암(86)과 T 로드 기어(84)는 비틀린 코일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함께 유지되며, 축(85)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T 로드 기어(84)가 정지될 T 로드 아암(86)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T 로드 기어(84)는 비틀린 코일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편향된다.
S 로드 기어(79)와 T 로드 기어(84)는 보우트 구동 아암(73)의 피봇 이동에 의해 구동되며, 이에 의해 S 보우트(39)와 T 보우트(40)가 각각 S 로드 링크(82)와 T 로드 링크(87)를 통해 레일(42)을 따라 이동된다.
도 6은 섀시 구동 아암(89)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서브섀시 구동 아암(89)은 메인 섀시(8) 상에서 축(90)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보우트 구동 아암(73)에서와 같이, 서브섀시 구동 아암(89)에 제공된 내부 캠(91)은 캠 기어(66) 상에 제공된 구동핀(75)에 의해 구동된다.
서브섀시 구동 아암(89) 상에 제공된 가이드핀(9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섀시(3)에 제공된 구멍(108)을 통해 캠 A 판(32) 및 캠 B 판(33)과 접촉한다. 서브섀시 구동 아암(89)은 캠 기어(66)에 의해 구동되며, 서브섀시(3)는 캠 A 판(32)과 캠 B 판(33)을 통해 서브섀시 구동 아암(89)에 의해 구동된다.
메인 섀시(8)에 대한 서브섀시(3)의 위치는 캠 A 판(32)과 캠 B 판(33)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타이밍 벨트(93)는 캡스턴(50)의 회전을 메인 섀시(8) 상에서 축선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는 2단 기어(94)로 전달한다. 이러한 2단 기어(94)는 중심 기어(10)와 맞물리며, 이에 의해 캡스턴(50)의 회전은 타이밍 벨트(93), 2단 기어(94), 중심 기어(10), 및 아이들러 기어(7)를 통해 S 릴 베이스(4)와 T 릴 베이스(5)로 전달된다.
도 7 및 도 8은 핀치 아암(53)의 전형적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핀치 프레스 아암(56)의 전형적인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0은 비틀린 코일 스프링(57)의 전형적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핀치 로울러(55)는 파선으로 그의 프로파일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정상 상태에서(즉, S 보우트(39)가 보우트 스토퍼(141)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 이외의 다른 상태 중 하나), 핀치 아암(53)과 핀치 프레스 아암(56)은 비틀린 코일 스프링(57)에 의해 함께 유지되며, 피봇 축(54)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핀치 로울러(55)가 캡스턴(50)과 접촉하고 있는 동안 핀치 프레스 아암(5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핀치 로울러(55)는 비틀린 코일 스프링(57)으로부터의 반발력에 의해 캡스턴(50)에 대항하여 가압된다. 로울러(152)는 핀치 프레스 아암(56) 상에서 축선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핀치 캠 기어(95)는 메인 섀시(8) 상에서 축(95)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핀치 구동 아암(97)은 메인 섀시(8) 상에서 축선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핀치 구동 아암(97) 상에 캠 핀(99)은 핀치 캠 기어(95)에 제공된 캠 그루브(100)와 결합하며, 이에 의해 핀치 구동 아암(97)이 핀치 캠 기어(95)에 의해 구동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T4 아암 조정핀(31)은 서브섀시(3)에 제공된 구멍(101)을 관통하여 핀치 구동 아암(97) 상에 제공된 돌출부(102)와 접촉한다. T4 아암(28)은 핀치 구동 아암(97)의 회전에 의해 구동된다.
도 11은 도 1의 쇄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MIC-SW(11)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MIC-SW(11)는 서브섀시(3) 상에 나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서브섀시 보강판(103)이 나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서브섀시(3)에 고정되어 있다. 도 11의 좌측에 도시된 서브섀시 보강판(103)의 접혀진 상단부(104)는 MIC-SW(11)의 상단부(105)와 결합되어서 MIC-SW(11)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킨다.
MIC-SW(11) 상에 제공된 접촉 말단부(106)는 카세트 내에 제공된 메모리-인 카세트(107)와 접촉하여 신호를 입/출력한다. 접촉 말단부(106)가 카세트(2)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MIC-SW(11)는 반발력을 받는다. MIC-SW(11)의 주몸체는 일반적인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MIC-SW(11)는 크리프 변형된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MIC-SW(11)는 서브섀시 보강판(103)에 의해 보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MIC-SW(11)는 얇게 제조될 수 있어서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는 방향 B로부터 본 도 1의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보우트 구동 아암(73)과 서브섀시 구동 아암(89)은 캠 기어(66) 상에 제공된 구동핀(75)에 의해 구동된다. 캠 A 판(32)과 캠 B 판(33)에는 각각 신장형 구멍(109, 110)이 제공되어 있다.
캠 A 판(32)와 캠 B 판(33)은 신장형 구멍(109, 110)을 통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서브섀시(3) 상에 유지되어 있다. 캠 A 판(32)와 캠 B 판(33)은 나사(111, 112)에 의해 서브섀시(3)에 고정된다.
도 1에서의 위치(113, 114)에서, 캠 A 판(32)와 캠 B 판(33)의 위치는 가이드핀(92)을 서브섀시(3)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조절되며, 이후 캠 A 판(32)와 캠 B 판(33)은 나사(111, 112)에 의해 고정된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로딩 모드로부터 테이프 기록 및 재생 모드로의 연속적인 동작 모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장력 포스트(14)와 T4 포스트(30)가 배출되는 모드(이하에 "로딩 모드(1)"라 함)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서브섀시(3)가 전체 스트로크의 절반 정도 이동된 모드(이하 "로딩 모드(2)"라 함)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테이프 로딩(즉, 실린더(38) 둘레에 테이프(2)가 권취된 상태)이 완료되는 동안 서브섀시(3)가 완전히 이동하는 모드를 도시하고 있다. 플레이 모드에서, 테이프는 전방으로(S 릴 베이스(4)로부터 T 릴 베이스(5)로) 구동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테이프의 기록, 재생 및 고속 전진과 같은 작동이 수행된다.
도 16은 테이프가 구동하지 않은 모드(이하 "정지 모드"라 함)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테이프가 리버스 방향으로(T 릴 베이스(5)로부터 S 릴 베이스(4)로) 구동하여 테이프의 리버스 재생 및 재감김과 같은 다른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이하, "리버스 모드"라 함)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유사한 도면 부호를 갖는 도 13 내지 도 17에서의 구성요소들은 추가로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이하에, 메인 섀시(8)의 전형적인 구조를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3과 유사한 평면도이지만, 서브 섀시(3)는 제거되어 있다.
도 18은 로딩 모드(1)에서의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9는 로딩 모드(2)에서의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언로딩 모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 도 18 및 도 19의 구성요소들은 추가로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도 20 내지 도 23은 장력판(18)과 주변 요소들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20 내지 도 23은 로딩 모드(1), 로딩 모드(2), 플레이 모드, 및 정지 또는 리버스 모드에서의 장력판(18), 장력 아암 조정핀(15), 핀, 및 가이드핀(62) 각각의 위치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요소들의 위치관계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 모드 및 리버스 모드에서는 동일하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언로딩 모드에서의 이들 요소들의 위치관계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유사한 도면 부호를 갖는 도 20 내지 도 23에서의 구성요소들은 추가로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도 24 내지 도 30은 캠 기어(66)에 제공된 구동핀(75)에 의해 구동되는 보우트 구동 아암(73) 및 서브섀시 구동 아암(89)의 작용을 도시하고 있다. 도 24 내지 도 30은 각각 언로딩 모드, 로딩 모드(1), 로딩 모드(2), "예비 플레이 모드", 플레이 모드, 정지 모드, 및 리버스 모드에 대응한다. 여기서, "예비 플레이 모드"는 로딩 모드(2)와 플레이 모드 사이의 모드이며, 로딩 모드(2)에 근접한다.
도 31 내지 도 35는 핀치 구동 아암(97)에 의해 구동되는 메인 섀시(8) 상의 핀치 아암(53)과 서브섀시(3) 상의 T4 아암(28)의 작용을 도시하고 있다. 도 31 내지 도 35에서, T4 아암(28) 자체는 도시되어 있지 않고, T4 아암(28) 상에 제공된 T4 아암 조정핀(31)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31 내지 도 35는 각각 언로딩 모드, 로딩 모드(1), 로딩 모드(2), 플레이 및 리버스 모드, 및 정지 모드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핀치 구동 아암(97), 핀치 아암(53), 및 T4 아암(28)의 각각의 이동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 모드 및 리버스 모드에서 동일하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라 언로딩 모드로부터의 리버스 모드로의 전달 작동을 기술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 3, 4, 24, 및 31은 언로딩 모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 테이프(2)는 카세트(1)로부터 배출되어 있지 않다.
도 1, 3, 및 24에서는, 서브섀시(3)가 메인 섀시(8)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위치한다. 캠 기어(66) 상의 구동핀(75)은 서브섀시 구동 아암(89)과 보우트 구동 아암(73)에 제공된 내부 캠(91, 76)의 제 1원호 위치(121, 122)와 각각 접촉하고 있다. 서브섀시 구동 아암(89)과 보우트 구동 아암(73)은 시계방향에서 가장 먼 회전 위치에 위치한다.
S 로드 기어(79)는 보우트 구동 아암(73)의 기어부(77)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최대로 회전된 상태에 놓여 있다. S 로드 기어(79)의 이러한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구성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S 보우트(39)가 레일(42)의 신장형 구멍(43)에서의 최전방 위치에 위치되도록 힘을 가한다. 마찬가지로, T 로드 기어(84)는 시계방향으로 최대로 회전된 상태에 놓여 있다. T 로드 기어(84)의 이러한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구성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T 보우트(40)가 레일(42)의 신장형 구멍(43)에서의 최전방 위치에 위치되도록 힘을 가한다.
도 1, 3, 및 4에서, 장력판(18)은 장력판 구동 아암(64)의 위치에 대응하여 그의 최후방 위치(도면들에서 최하부 위치)에 놓여 있으며, 장력 아암(12)은 장력 아암 구동핀(15)의 위치에 대응하여 장력판(18) 내의 캠 그루브(63)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가장 먼 회전 위치에 놓여 있다.
장력 밴드 조정 아암(21)에 제공된 핀(25)은 장력판(18)의 우측 에지부 캠(72)의 하부 함몰부(123)를 따라 위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함몰부에서는 장력 밴드 조정 아암(21)이 장력 아암 정지판(116)에 의해 정지되어 있다.
장력 밴드 조정 아암(21)은 비틀린 코일 스프링(24)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편향되어서 장력 아암 정지판(116)과 접촉하여 정지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장력 밴드(19)의 단부(124)는 S 릴 베이스(4)에 인접하여서 장력 밴드(19)가 느슨해지며, 장력 밴드(19)의 다른 단부(125)가 S 릴 베이스(4)로부터 떨어져 있는 장력 밴드 조정 아암(21)에 의해 이동되어서 장력 밴드(19)의 느슨함이 감소된다.
더욱이, 장력 밴드(19)의 돌출부 A(118)는 장력 아암(12)에 제공된 밴드 조정 돌출부(120)에 의해 밀려져서 장력 밴드(19)의 느슨함을 감소시킨다. 이들은 함께 장력 밴드(19)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S 릴 베이스(4)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2, 및 31에서, 핀치 아암(53)은 장력 스프링(58)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그의 가장 먼 피봇 위치에 피봇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핀치 구동 아암(97)은 핀치 아암(53)과 접촉하지 않는다.
T4 아암(28)은 반시계방향으로 가장 먼 피봇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이하에, 도 13, 18, 20, 25, 및 32를 참조하여 로딩 모드(1)를 기술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테이프(2)는 장력 포스트(14)와 T4 포스트에 의해 도 13에 도시된 위치로 배출된다. 테이프(2)는 S 보우트(39) 상의 S1 포스트(45)와 실린더(38) 둘레에 부분적으로 권취되어 있다.
도 13, 18, 및 25에서, 캠 기어(66) 상의 구동핀(75)은 서브섀시 구동 아암(89)의 제 1원호부(121) 상에 여전히 위치하고 있으며, 서브섀시(3)는 구동하지 않으며 언로딩 모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반면, 보우트 구동 아암(73)에서, 구동핀(75)은 제 1원호부(122)를 관통하여 내부 캠(76)에 제공된 함몰부(126)와 결합하며, 보우트 구동 아암(73)은 각각의 S 로드 기어(79)와 T 로드 기어(84)에 의해 테이프(2)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레일(42)을 따라 이동하는 S 보우트(39)와 T 보우트(40)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도 13, 18, 및 20에서, 장력판(18)은 장력판 구동 아암(64)에 의해 전방측(실린더측)으로 이동하며, 이와함께 장력 아암 조정핀(15)이 장력 아암(12)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장력판(18)의 캠 그루브(63)에 의해 구동되며, 이에 의해 테이프(2)가 배출된다. 장력판(18)의 이동과 함께, 장력 밴드 조정 아암(21)은 우측 에지부 캠(72)의 돌출부(128)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장력 밴드(19)는 S 릴 베이스(4)의 원통형부(26)에 대해 느슨해져서 S 릴 베이스(4)가 회전하도록 한다.
도 13, 18, 및 도 32에서, 서브섀시(3)는 구동되지 않으며, 이에 의해 핀치 아암(53)은 언로딩 모드에서의 위치에 위치한다.
T4 아암(28)은 T4 아암 조정핀(31)을 통해 핀치 구동 아암(97)의 돌출부(102)에 의해 테이프(2)를 배출하도록 이동된다.
이하에, 도 14, 19, 21, 26, 및 33을 참조하여 로딩 모드(2)를 기술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카세트(1)는 실린더(38)를 따라 이동하며, 테이프(2)는 S2 포스트(44), S1 포스트(45), T1 포스트(46), 및 T2 포스트(47)에 의해 실린더(38) 둘레에 권취된다. S 보우트(39)와 T 보우트(40)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는 동안, 장력 포스트(14)와 T4 포스트(30)는 여전히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여기서는 테이프(2)로 데이터를 기록하고 테이프(2)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소정의 테이프 구동 경로가 완성되지 않는다.
도 14, 19, 및 26에서, 캠 기어(66) 상의 구동핀(75)은 서브섀시 구동 아암(89)의 제 1원호부(121)를 관통하여 내부 캠(91)에 제공된 함몰부(127)와 결합된다. 따라서, 서브섀시(3)가 가이드핀(92)을 통해 실린더(38)를 향해 이동하면서 서브섀시 구동 아암(89)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반면, 보우트 구동 아암(73)에서, 구동핀(75)은 내부 캠(19)에 제공된 함몰부(126)를 관통하여 제 2원호부(129)를 따라 위치된다. 구동핀(75)이 함몰부(126)에 있는 동안, 구동핀(75)은 보우트 구동 아암(73)을 회전시킨다. 그렇지만, 구동핀(75)이 제 1원호부(122) 또는 제 2원호부(129)를 따라 회전하는 동안, 보우트 구동 아암(73)은 소정의 위치에 체류한다.
보우트 구동 아암(73)은 반시계방향으로 가장 먼 회전 위치에 있으며, S 보우트(39)와 T 보우트(40)는 기어부(77), S 로드 기어(79), 및 T 로드 기어(84)를 통해 메인 섀시(8) 상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된다.
메인 섀시(8) 상에는 각각의 V자형부(143, 144)에서 S 보우트(39)와 T 보우트(40)를 접촉시킴으로써 S 보우트(39)와 T 보우트(40)를 정지시키는 보우트 스토퍼(141, 142)가 제공되어 있다(도 19). S 로드 기어(79)와 S 로드 아암(81)은 S 보우트(39)가 이동하는 동안 일체식으로 회전한다. 마찬가지로, T 로드 기어(84)와 T 로드 아암(86)은 T 보우트(40)가 이동하는 동안 일체식으로 회전한다. S 로드 링크(82)와 S 로드 아암(81)은 S 보우트(39)가 로딩 모드(1)로부터 로딩 모드(2)로 이동하기 바로 전의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T 로드 링크(87)와 T 로드 아암(86)은 T 보우트(40)가 로딩 모드(1)로부터 로딩 모드(2)로 이동하기 바로 전의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도록 구성된다. 로딩 모드(2)가 시작할 때까지의 잔류 시간동안, 보우트 구동 아암(73)은 S 로드 기어(79)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T 로드 기어(8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결과적으로, S 로드 기어(79)가 S 로드 아암(81)에 대해 약간 회전하기 때문에, S 로드 기어(79)와 S 로드 아암(81) 사이에 위치한 토션 코일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비틀리게 된다. 비틀린 토션 코일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S 보우트(39)가 보우트 스토퍼(141)에 대항하여 가압되며, 스토퍼(141)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T 로드 기어(84)가 T 로드 아암(86)에 대해 약간 회전하기 때문에, T 로드 기어(84)와 T 로드 아암(86) 사이에 위치한 토션 코일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비틀리게 된다. 비틀린 토션 코일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T 보우트(40)가 보우트 스토퍼(142)에 대항하여 가압되며, 스토퍼(142)에 고정된다.
도 14, 19, 및 24에서, 로딩 모드(1)에서 서브섀시(3)에 대한 장력 아암(12)과 장력 밴드 조정 아암(21)의 상대 위치는 플레이 모드 바로 전까지 로딩 모드(1)로부터 테이프 로딩 과정동안 장력판(18)에 의해 변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서브섀시(3)에 대한 장력 아암(12)의 상대 위치는 고정되는 반면, 장력 밴드(19)는 장력 밴드 조정 아암(21)의 시계방향으로의 피봇 이동에 의해 S 릴 베이스(4)의 원통형부(26)에 대해 느슨해지며, 이에 의해 S 릴 베이스(4)가 회전하게 된다.
도 14, 19, 및 33을 참조하면, 서브섀시(3)의 이동과 함께, 핀치 아암(53)은 핀치 아암(53)의 돌출부(59)가 서브섀시(3)의 벽부(60)에 의해 밀려질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서브섀시(3)의 이동과 함께, T4 아암(28) 상의 T4 아암 조정핀(31)이 메이 섀시(8) 상에 제공된 T4 가이드(145) 상에서 핀치 구동 아암(97)의 돌출부(102)로부터 이동한다.
서브섀시(3)가 이동되는 동안, 로딩 모드(1)에서의 서브섀시(3)에 대한 T4 아암(28)의 상대 위치는 T4 가이드(145)에 의해 변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하에, 도 27을 참조하여 예비 플레이 모드(플레이 모드 직전)를 기술한다.
캠 기어(66) 상의 구동핀(75)은 서브섀시 구동 아암(89)의 함몰부(127)를 관통하여 내부 캠(91)에 제공된 제 2원호부(130)를 따라 위치되어 있다.
서브섀시 구동 아암(89)은 반시계방향으로 가장 먼 회전 위치에 위치하며, 서브섀시(3)는 가이드핀(92)을 통한 소정의 위치로 이동된다. 구동핀(75)은 보우트 구동 아암(73)의 내부 캠(76)의 제 2원호부(129)를 따라 위치되며, 보우트 구동 아암(73)은 로딩 모드(2)에서와 같은 위치에 위치된다.
이하에, 도 15, 22, 28, 및 34를 참조하여 플레이 모드를 기술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테이프(2)는 카세트(1)로부터 배출되며, 이에 의해 테이프(2)로 데이터를 기록하고 테이프(2)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테이프 구동 경로가 완성된다.
도 15를 참조하여 완성된 테이프 구동 경로를 설명한다.
테이프(2)는 카세트(1)의 좌측 상에 위치된 테이프 공급 릴(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배출되어서 장력 포스트(14), 메인 섀시(8) 상에 제공된 S3 포스트(49), S2 포스트(44), 및 S1 포스트(45) 둘레를 진행한다. S1 포스트(45)로부터의 테이프(2)는 표준 테이프 기록 패턴에 부합하여 소정의 원호와 소정의 경사적으로 실린더(38) 둘레에 권취된다. 실린더(38)를 지나서, 테이프(2)는 T1 포스트(46), T2 포스트(47), 및 T3 포스트(51) 둘레를 진행하는데, 이때 테이프(2)는 어떠한 비틀림도 없이 바로 뒤의 카세트(1)와 동일한 높이에 있다. 이후, 테이프(2)는 테이프 구동 방향에 수직한 캡스턴(50)과 T4 포스트(30) 둘레를 진행하며, 이후 테이프(2)는 카세트(1)의 우측에 위치한 감김 릴(도시되지 않음) 둘레를 진행한다.
장력 포스트(14), S3 포스트(49), S2 포스트(44), T2 포스트(47), 및 T4 포스트(30)는 테이프 구동 방향에 수직한 반면, S1 포스트(45), T1 포스트(46), 및 T3 포스트(51)는 테이프 구동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캠 기어(66)의 구동핀(75)은 서브섀시 구동 아암(89)의 제 2원호부(130)를 따라 위치되어 있으며, 서브섀시 구동 아암(89)의 위치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 플레이 모드와 동일하다. 따라서, 서브섀시(3)는 완전히 이동된다.
반면, 보우트 구동 아암(73)에서, 구동핀(75)은 내부 캠(76)에 제공된 제 3원호부(146)를 따라 위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원호부(146)("D"로 표시됨)는 제 2원호부(129)("C"로 표시됨) 보다 약간 큰 반경을 가지고 있다. 전달부(147)("E"로 표시됨)는 제 2원호부(129)와 제 3원호부(146) 사이에 연장하고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보우트 구동 아암(73)은 도 27에 도시된 예비 플레이 모드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되어 있으며, 서브섀시 구동 아암(89)에 제공된 보우트 구동 아암 정지부(148)는 보우트 구동 아암(73)의 돌출부(149)와 접촉하고 있다. 예비 플레이 모드와 플레이 모드 사이에서 일어나는 보우트 구동 아암(73)의 작은 범위의 리턴 회전은 T 로드 기어(84)와 T 로드 아암(86)에 대한 S 로드 기어(79)와 S 로드 아암(81)의 회전상차(rotational phase difference) 보다 현저하게 작다. 따라서, 보우트 스토퍼(141, 142) 상에서의 S 보우트(39)와 T 보우트(40)의 가압식 끼워맞춤 연결은 유지된다.
따라서, 플레이 모드에서 그리고 이후에, S 보우트(39)와 T 보우트(40)의 가압식 끼워맞춤 연결로부터의 반발력은 구동핀(75)이 아닌 보우트 구동 아암 정지부(148)에 의해 유지되며, 반면 보우트 구동 아암(73)의 위치는 구동핀(75)이 아닌 보우트 구동 아암 정지부(148)에 의해 결정된다.
도 15 및 도 22에서, 장력 아암 조정핀(15)은 캠 그루브(63)의 상단부의 상부 자유 단면(150)에 위치된다.
장력판(18)은 장력 아암 조정핀(15)과 접촉하고 있지 않다.
장력 밴드 조정 아암(21)에 제공된 핀(25)은 장력판(18)의 우측 에지부 캠(72)의 상부 함몰부(151)를 따라 위치되며, 서브섀시(3) 상의 장력 밴드 조정 아암(21)의 위치는 언로딩 모드에서와 같이 장력 아암 정지판(116)과의 접촉에 의해 결정된다.
장력 아암(12)은 장력 스프링(27)에 의해 제공된 장력에 의해 느슨해지지 않으면서 S 릴 베이스(4)의 원통형부(26) 둘레에 권취된 장력 밴드(19)에 의해 위치된다. 장력 밴드(19)와 S 릴 베이스(4)의 원통형부(26) 사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테이프(2)는 장력하에서 장력 포스트(14) 둘레를 진행하며, 테이프 장력을 안정하게 유지하도록 마찰력에 대해 피이드백 제어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플레이 모드에서의 장력 포스트(14)의 위치는 장력 아암 정지판(116)을 이동시키고 나사(도시되지 않음)로 고정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플레이 모드에서, 핀치 구동 아암(97)은 핀치 캠 기어(95)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피봇되며, 핀치 구동 아암(97) 상의 가압 캠부(281)는 핀치 가압 아암(56) 상에서 축선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는 로울러(152)를 가압하며, 이에 의해 비틀린 코일 스프링(57)은 테이프(2)를 통해 캡스턴(50) 상에서 핀치 로울러(55)를 가압한다. 따라서, 테이프(2)는 캡스턴(50)의 회전에 의해 구동된다.
T4 아암(28)의 위치는 T4 가이드(145)에 의해 유지된다.
이하에, 도 16, 23, 29, 및 35를 참조하여 정지 모드를 설명한다.
도 29에서, 서브섀시 구동 아암(89)과 보우트 구동 아암(73)의 위치는 캠 기어(66) 상의 구동핀(75)의 위치가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플레이 모드(도 28 참조)의 위치들과 동일하다.
도 16 및 도 23을 참조하면, 장력판(18)은 플레이 모드(도 22 참조)로부터의 장력판 구동 아암(64)에 의해 후방측을 향해 약간 이동되어 있다. 서브섀시(3)에 대한 장력 아암(12)과 장력 밴드 조정 아암(21)의 상대 위치는 로딩 모드(1)와 로딩 모드(2)에서의 상대 위치와 동일하다.
도 29를 참조하면, 서브섀시 구동 아암(89)과 보우트 구동 아암(73)은 플레이 모드(도 28 참조)에서와 동일한 상태에 있으며, 캠 기어(66) 상의 구동핀(75)만이 이동된다.
도 16 및 도 35를 참조하면, 핀치 구동 아암(97)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핀치 가압 아암(56)의 로울러(152)와 접촉하고 있지 않다. 핀치 아암(53)은 장력 스프링(58)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편향되어 있으며, 서브섀시(3)의 벽부(60)와 접촉하고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핀치 로울러(55)와 캡스턴(50)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하에, 도 17, 23, 30, 및 34를 참조하여 리버스 모드를 설명한다.
도 30을 참조하면, 서브섀시 구동 아암(39)과 보우트 구동 아암(73)의 위치들은 플레이 모드(도 28 참조) 및 정지 모드(도 29 참조)에서와 동일하며, 캠 기어(66)의 구동핀(75)만이 이동된다.
장력판(18)은 정지 모드에서 그의 위치로부터 이동하지 않으며, 장력 아암(12)과 장력 밴드 조정 아암(21)의 위치들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 모드에서와 동일하다.
핀치 구동 아암(97)은 도 35에 도시된 정지 모드로부터 도 334에 도시된 플레이 모드의 동일한 위치로 시계방향으로 다시 회전하며, 이에 의해 핀치 아암(53)은 플레이 모드에서와 동일한 상태가 된다. T4 아암(28)은 플레이 모드, 정지 모드, 및 리버스 모드에서와 동일한 상태로 체류한다.
도 15와 같은 형상에서, 상기 S3 포스트(49)는 간략함을 위하여 작은 원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상기 S3 포스트(49)는 도 36과 도 37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실질적으로 가진다.
도 36은 도 15에서 화살표(165)로 도시된 방향으로 부터 본 것이다. 도 37은 상기 S3포스트(49)와 그 주변 요소들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상기 S3 포스트(49)는 안내 포스트(49c)와, 조정축(200)과, 안내 포스트 베이스(202) 및 조정부(203)를 포함하는 경사 조정 테이프 안내 포스트이다. 상기 S3 포스트(49)에서, 상기 안내 포스트(49c)의 경사각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안내 포스트(49c)는 원통형 부분(49b)를 적어도 가진다. 상기 안내 포스트(49c)는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부분(49b)아래에서 테이퍼진 부분(49a)을 구비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조정 축(200)은 수나사부(200a)를 구비한다. 상기 조정축(200)의 하부는 주 새시(8)에 제공되는 구멍(201)내로 가압된다.
상기 안내 포스트 베이스(202)는 상부 구멍(202b)과 하부 구멍(202c)와, 브릿징 부(202d)를 가진다. 상기 상부 구멍(202b)과 하부 구멍(202c)은 상기 브릿징 부(202d)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제공된다. 상기 조정 축(200)은 상부 구멍(202b)과 하부 구멍(202c)를 통과한다. 상기 브릿징 부(202d)는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프(202a)를 구비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조정부(203)는 안내 포스트(49c)의 경사각을 조정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예를 들면, 상기 조정부(203)는 조정 나사이다. 상기 조정부(203)는 수나사부(203a)과, 상기 안내 포스트 베이스(202)에 대향접촉하는 베이스 대향 접촉부(203b)및, 상기 조정 부(203)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나사 구동기와 결합하는 나사 구동기 결합홈(2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나사부(203a)는 조정축(200)의 상부에 제공되는 수나사부(200a)와 결합한다. 상기 범프(202a)가 브릿지부(202d)에 제공될 때, 상기 안내 포스트(49c)의 경사각을 미세하기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내 포스트(49c)에서, 상기 안내 포스트 베이스(202)의 단부(202e)는 주 새시(8)에 제공되는 구멍과 결합된다.
상기 조정 나사가 타이트하게 될 때, 상기 베이스 대향접촉부(203b)는 범프(202a)를 하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안내 포스트 베이스(202)는 브릿지부(202d)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변형됨으로서, 상기 S3 포스트(49)의 경사각을 변화시킨다. 이러한 조정작동 이후에, 상기 S3 포스트(49)는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될 것이다.
상기 조정 나사(203)가 느슨하게 될 때, 상기 S3 포스트(49)는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될 것이며, 여기에서 상기 S3 포스트(49)의 하단부는 도 38에 도시된 상태에 대향된 상기 도면의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다수의 테이프 안내 포스트가 함께 보다 근접하게 정렬될 때, 상기 테이프 공급은 통상적으로 보다 불안정하게 된다. 이러한 점은 상기 공급되는 테이프의 상부 또는 하부 모서리가 상기 테이프 안내 포스트사이의 경사각에서 약간의 변화로 인하여 약간의 처짐을 가지기 때문이다. 상기 2개의 인접된 테이프 안내 포스트가 서로로 부터 충분히 이격될 때, 상기 테이프 안내 포스트사이의 테이프 부분에서의 느슨함은 어느 정도까지 감소될 것이다. 그래서, 2개의 인접된 테이프 안내 포스트가 함께 근접하게 될 때, 상기 느슨한 현상은 보다 더 표명하게 된다.
도 40은 상기 S3 포스트(49)와 그 주변 요소들을 도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테이프 안내 포스트는 약간의 변화된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된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2)의 상부 모서리는 안내 포스트(49c)주위에서 느슨한 부분(210)을 가진다.
도 41은 상기 S3 포스트(49)와 그 주변 요소들을 도시하고, 여기에서, 상기 안내 포스트(49c)는 도 40에서 안내 포스트에 대향된 방향으로 있는 다른 안내 포스트에 대하여 경사지게 된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2)의 하부 모서리는 원통형 부분(49c)주위에서 느슨한 부분(220)을 가진다.
상기 테이프(2)의 상부 모서리가 느슨한 부분(210)을 가지게 될 때, 상기 조정 나사(203)는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에서 상기 S3 포스트(49)를 경사시키기 위하여 타이트하게 될 수 있고, 그래서 상기 테이프(2)의 상부 모서리를 장력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4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프(2)의 상부 모서리의 느슨한 부분(210)은 제거됨으로써, 테이프 공급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상기 테이프(2)의 하부 모서리가 느슨한 부분(220)을 가지게 될 대, 상기 조정 나사(203)는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에서 상기 S3 포스트(49)를 경사시키기 위하여 느슨하게 될 수 있으므로, 상기 테이프(2)의 하부 모서리를 장력시킨다. 결과적으로, 상기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프(2)의 하부 모서리에서의 느슨한 부분(220)은 제거됨으로써, 상기 테이프 공급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상기 조정 나사(203)는 테이프(2)의 상부 또는 하부 모서리에서 느슨함의 정도에 따른 바람직한 각도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공급을 안정시키기 위한 다른 중요한 요소는 정확하게 제어되어야만 하는 테이프의 높이다.
도 42는 간략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어레이로 재정렬되는 상기 실린더(38) 근처의 테이프 구동 시스템의 부분을 도시한다. 도 42에서, 상기 실린더(38)에 제공되는 도입부(38a)에 대하여 상기 테이프(2)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테이프(2)는 테이프(2)의 상부 모서리와 접촉하게 되는 상기 S2 포스트(44)와 T2 포스트(47)의 2개의 브림부(brim portion; 44a 및 47a)의 하부 모서리에 의하여 적절한 힘으로써 상기 도입부(38a)로 가압된다. 예를 들면, 상기 브림부(44a)에 대한 테이프(2)의 상부 모서리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테이프(2)의 상류부(230)(상기 S릴에 근접된 테이프(2)의 부분)는 소정량보다 더 크게 하강되지 말아야한다. 상기 상류부(230)이 소정량보다 더 크게 하강될 때, 상기 테이프(2)의 상부 모서리는 S2 포스트(44)의 브림부(44a)의 하부 모서리를 떨어뜨리게 하고, 그래서 테이프(2)의 높이를 변화시키고 테이프 공급을 불안정하게 만든다.
도 36과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3 포스트(49)는 테이퍼진 부분(49a)를 가지는 것이 양호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도 43를 참고로 하면, 힘은 화살표(240)에 의하여 지시되는 방향에서 테이프(2)의 하부 모서리에 적용된다. 그래서, 상기 테이프(2)는 S3 포스트(49)의 근처에서 상향으로 편향됨으로써, 상기 테이프(2)의 상부 모서리가 S3 포스트(44)의 브림부(44)의 하부 모서리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경사각이 조정될 수 있는 S3 포스트(49)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서, 테이프(2)의 상부 또는 하부 모서리에서의 어떠한 느슨함도 감소되거나 제거됨으로써, 안정된 테이프 공급을 보장한다. 또한, 테이퍼진 부분(49a)는 S3 포스트(49)의 하부에 제공됨으로써, 상기 테이프(2)의 상부 모서리는 S2 포스트(44)의 브림부(44a)의 하부 모서리와 접촉되게 안정적으로 남아 있게 된다. 그래서, 상기 테이프(2)의 높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고, 그래서 테이프 공급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상기 S3 포스트(49)의 경사 조정 매카니즘은 작은 수의 부분과 작은 공간을 요구함으로써, 상기 매카니즘은 감소된 크기를 가진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수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높은 정확성과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작은 매카니즘과 합체되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바람직한 장점을 제공하고, 여기에서 상기 테이프의 공급 안정성은 구동 포스트가 쉽게 조정될 수 있도록 허용함으로써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게 다른 다양한 변경예는 명백하게 나타날 것이고, 또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는 본원에서 설정된 명세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청구범위를 넓게 구성시키는 것이다.

Claims (6)

  1. 회전 헤드 실린더주위에서 자기 테이프를 감으면서 테이프 안내 포스트의 그룹으로 소정의 테이프 구동 시스템을 형성하며, 자기 테이프의 기록 및 재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원호를 위한 회전 헤드를 가지며, 테이프 카세트로 부터 자기 테이프를 밀어내기 위한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안내 포스트의 그룹은 경사각이 조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 조정 테이프 안내 포스트를 포함하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조정 테이프 안내 포스트의 경사각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조정 테이프 안내 포스트의 경사각은 조정 스크류의 회전각에 의하여 조정되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수나사부를 가지는 조정축과, 상기 경사 조정 테이프 안내 포스트와 안내 구멍부를 통하여 조정축을 수용하기 위한 안내 구멍부를 구비하는 안내 포스트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스크류는 수나사부와 결합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안내 포스트 베이스에 대향 접촉하는 베이스 대향 접촉부를 가지며,상기 안내 구멍부는 상기 베이스 대향접촉부를 향한 방향으로 편향되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포스트 베이스는 이것의 상부에서의 안내 구멍부를 포함하고, 또한 이곳을 통하여 조정축을 수용하기 위한 하부에서의 지지 구멍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 구멍부는 이 안내 구멍부와 지지 구멍부사이의 연결부의 탄성력에의하여 상기 베이스 대향접촉부를 향한 방향으로 편향되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조정 테이프 안내 포스트는 직경이 하향으로 증가되는 이것의 저부에서의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19990009196A 1998-03-19 1999-03-18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0287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70171 1998-03-19
JP07017198A JP3427726B2 (ja) 1998-03-19 1998-03-19 磁気記録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031A true KR19990078031A (ko) 1999-10-25
KR100287939B1 KR100287939B1 (ko) 2001-04-16

Family

ID=13423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196A KR100287939B1 (ko) 1998-03-19 1999-03-18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82057B1 (ko)
EP (1) EP0944065B1 (ko)
JP (1) JP3427726B2 (ko)
KR (1) KR100287939B1 (ko)
CN (1) CN1112691C (ko)
DE (1) DE6993847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3346A (ja) * 2000-12-28 2002-07-19 Canon Inc 磁気記録再生装置及びテープ走行方向規制方法
JP2002358704A (ja) * 2001-06-01 2002-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JP2002373463A (ja) * 2001-06-14 2002-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2003022594A (ja) * 2001-07-09 2003-0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EP1400965A3 (en) * 2002-10-12 2007-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sette tape deck
US10854236B1 (en) * 2019-09-11 2020-1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tape guide bearing tilt mechanism
US10957362B1 (en) 2019-09-11 2021-03-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on-interfering micro-positioning system utilizing piezoelectric elements
US11056139B2 (en) 2019-09-11 2021-07-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mi-flexible structure for micro-positioning a write/read head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3527U (ko) 1978-07-27 1980-02-15
JPS55114084A (en) 1979-02-23 1980-09-03 Hitachi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S5826751U (ja) 1981-08-13 1983-02-21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テ−プレコ−ダのつなぎ撮り機構
DE8222016U1 (de) 1982-08-04 1983-02-10 Basf Ag, 6700 Ludwigshafen Einstellvorrichtung fuer fuehrungselemente und magnetbandkassete mit solcher einstellvorrichtung
JPS61195552A (ja) 1985-02-25 1986-08-29 Hitachi Ltd イオンビ−ム装置
JPS61203443A (ja) 1985-03-06 1986-09-09 Fuji Photo Film Co Ltd 光重合性組成物
JPH0777053B2 (ja) 1985-03-07 1995-08-16 三菱電機株式会社 磁気テープ装置
US4951161A (en) 1987-08-28 1990-08-21 Clarion Co., Ltd. Device for preventing sticking of a magnetic tape to a rotating magnetic head drum
AU2506488A (en) 1987-11-16 1989-05-18 Ici Americas Inc. Transportable compositions containing a toxicant and a method of producing and using the same
WO1989008309A1 (en) * 1988-03-04 1989-09-08 Nippon Hoso Kyokai Tape drive mechanism
JPH01317260A (ja) * 1988-06-17 1989-12-21 Sharp Corp テープガイド
JPH087897B2 (ja) 1988-08-31 1996-01-29 三洋電機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に於けるストップモード設定装置
JPH02154352A (ja) 1988-12-07 1990-06-13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3207046A (ja) 1990-01-08 1991-09-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磁気ヘッド装置
US5333770A (en) * 1990-03-01 1994-08-02 Hitachi, Ltd. System for controlling tape traveling height and tape guide with tape edge detector therefor
JPH0417151A (ja) 1990-05-10 1992-01-21 Sharp Corp テープガイドポール傾斜角度可変機構
US5222685A (en) 1990-07-18 1993-06-29 Sharp Kabushiki Kaisha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orque generator generating the most appropriate torque and rotation detecting function
JPH04129054A (ja) * 1990-09-19 1992-04-30 Hitachi Ltd テープ走行装置
US5461520A (en) 1990-10-15 1995-10-24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tape loading mechanism and a dew condensation detecting facility
JP2627465B2 (ja) 1991-03-25 1997-07-09 シャープ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520748A (ja) 1991-07-10 1993-01-29 Sony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の回転ヘツドドラム装置
JPH0528600A (ja) * 1991-07-18 1993-02-05 Sony Corp 回転ヘツドドラム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る磁気記録再生装置
KR950009662B1 (ko) 1992-01-16 1995-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캠코더 데크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6131763A (ja) * 1992-10-14 1994-05-13 Sanyo Electric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CA2108429A1 (en) 1992-10-19 1994-04-20 Gerald W. Tarpley, Jr. Cassette tape player having circuit for detecting reverse rotation of tape-up reel
US5546259A (en) * 1992-11-25 1996-08-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ape transporting apparatus including a tape guide with variable restricting force regions, each used depending upon the amount of tape tension
JPH07296347A (ja) 1994-04-28 1995-11-10 Canon Inc シリンダ装置
AU4009695A (en) 1995-10-23 1997-05-15 Lots Technology Dynamic tracking and focus for optical tape systems
JPH09180314A (ja) 1995-12-26 1997-07-11 Mitsumi Electric Co Ltd 磁気テープ記録再生装置
US5655724A (en) 1996-01-16 1997-08-12 Ford Motor Company Autoreverse cassette tape mechanism with tape-eating preven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7939B1 (ko) 2001-04-16
EP0944065A2 (en) 1999-09-22
DE69938472D1 (de) 2008-05-21
DE69938472T2 (de) 2009-07-09
CN1112691C (zh) 2003-06-25
EP0944065A3 (en) 1999-10-27
JP3427726B2 (ja) 2003-07-22
US6282057B1 (en) 2001-08-28
EP0944065B1 (en) 2008-04-09
JPH11273191A (ja) 1999-10-08
CN1232259A (zh) 1999-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7939B1 (ko)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0287936B1 (ko)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US6256167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having a mechanism for pulling a magnetic tape out of a cassette
KR100317597B1 (ko) 자기 기록/재생 장치
US20020053620A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KR100287935B1 (ko)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0322329B1 (ko)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0287941B1 (ko)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0287938B1 (ko)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0287940B1 (ko)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0287937B1 (ko)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JP2000090519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2232755A (ja) 磁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20040207948A1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JPS62232754A (ja) 磁気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431835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