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616A - 압력맥동경감형압축기 - Google Patents

압력맥동경감형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616A
KR19990077616A KR1019990007246A KR19990007246A KR19990077616A KR 19990077616 A KR19990077616 A KR 19990077616A KR 1019990007246 A KR1019990007246 A KR 1019990007246A KR 19990007246 A KR19990007246 A KR 19990007246A KR 19990077616 A KR19990077616 A KR 19990077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chamber
housing
opening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9758B1 (ko
Inventor
미쯔타니히데키
가유카와히로아키
간자키시게키
야마다기요히로
Original Assignee
이시카와 타다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카와 타다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이시카와 타다시
Publication of KR19990077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 F04B49/225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with throttling valves or valves varying the pump inlet opening or the outlet opening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내에 형성된 실린더 보어(111)와 크랭크 케이스(121)를 구비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압축기에서는 단두 피스톤(37)이 상기 실린더 보어(111)내에 설치되어 있고, 캠 플레이트(23)가 크랭크 케이스(121)내에 제공되어 있으며, 각 단두 피스톤(37)의 양면상에 존재하는 흡입 압력과 크랭크 케이스(121)의 내부 압력 사이의 차이에 따라 캠 플레이트(23)의 경사각을 제어함에 의해 상기 압축기의 배출 용량이 변화된다. 감쇄 또는 소음실(65)이 실린더 보어(111)로부터 배기된 냉각 가스가 통과하는 배출 채널(114)의 하류에 제공된다. 상기 배출 채널(114)의 상류와 하류측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개방 및 폐쇄되는 체크 밸브(69)가 배출 채널내에서 상기 소음실(65)의 상류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압축기의 압축 동작과 개폐 장치의 밸브 본체의 불규칙적인 운동에 의해 유발되는 압력 맥동을 감소시키고, 압축기에 연결된 외부 냉각 회로상에 어떠한 악영향도 미치지 않으며, 립 밀봉부의 신뢰성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압력 맥동 경감형 압축기{Pressure-Pulsation-Reducing Compressor}
가변 용량 압축기를 포함하는 종래의 압축기에는 배기 통로에 팽창형 배기 머플러(expansion-type discharge muffler)가 구비되어 있고, 이 머플러가 압축기가 작동할때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킨다. 배기 가스 통로의 단면적은 확대되었다가, 그후, 배기 머플러내에 형성된 소음부(muffling space)에서 감소된다. 배기 가스 압력 맥동은 배기 머플러의 소음부내에서 반사 및 간섭되어 감쇄된다. 배기 가스 압력 맥동이 이러한 방식으로 감쇄되기 때문에, 압력 맥동으로 인해 외부 냉각 회로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과 소음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압축기의 다른 공지되어 있는 형태에 있어서, 압축기는 배기 머플러의 하류에 위치된 체크 밸브를 구비하고, 압축기가 작동하지 않을때는 배기 통로가 체크 밸브에 의해 막혀있다. 이런 구조에 있어서, 고압 배기 가스가 압축기의 배기 통로에 연결된 외부 냉각 회로로부터 배기 머플러와 압축기내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고, 압축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 과다한 양의 고압 배기 가스가 압축기내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상술한 구조를 사용하는 종래의 압축기는 그 체크 밸브의 밸브 소자가 불규칙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할때 여전히 배기 가스 압력 맥동을 발생시키며, 이런 압력 맥동은 외부 냉각 회로에 진동과 소음을 유발하게 된다. 이는 체크 밸브가 배기 통로의 배기 머플러의 하류에 제공되어 있기 때문이다.
체크 밸브가 배기 머플러의 하류에 제공되어 있는 종래 구조의 다른 문제점은 압축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동안, 배기 머플러의 용적 용량(volumetric capacity)만큼 많은 양의 고압 배기 가스가 압축기의 크랭크 케이스 내로 역류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크랭크 케이스의 내부 압력을 과다하게 증가시키고, 압축기의 회전축상에 장착된 립형 밀봉부(lip-type seal)의 내구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체크 밸브의 밸브 소자가 불규칙적으로 작동하기 시작하더라도 압력 맥동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압축기에 연결된 외부 냉각회로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립형 밀봉부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라, 압축 공간에서 배출된 냉각 가스가 통과하는 배기 통로에 설치된 배기 머플러를 갖는 압축기는 배기 통로의 상류측과 하류측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개방 및 페쇄하는 배기 통로 개폐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배기 통로 개폐 장치는 배기 머플러의 배기 통로 상류에 설치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배기 통로 개폐 장치는 배기 머플러의 상류에 설치되고, 배기 통로 개폐 장치의 상류측 및 하류측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개방 및 폐쇄된다. 배기 통로 개폐 장치의 개폐 작동중에 배기 통로 개폐 장치의 밸브 소자의 불규칙한 작동으로 인한 압력 맥동이 발생하면, 그러한 압력 맥동은 배기 머플러에 의해 억제된다. 또한, 배기 통로 개폐 장치가 배기 머플러의 상류에 설치되기 때문에, 배기 머플러의 용적 용량 뿐만 아니라 개폐 장치의 하류측에 있는 배기 통로의 고압 배기 가스가 압축기의 비작동시 압축기로 역류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라, 상술한 압축기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이다. 상기 가변 용량형 압축기는 하우징내에 형성된 실린더 보어와 크랭크 케이스를 갖는다. 피스톤은 실린더 보어내에 고정되고 캠 플레이트는 크랭크 케이스내에 설치된다. 압축기의 가변 용량은 크랭크 케이스의 내부 압력과 피스톤의 양측에 존재하는 흡입 압력 사이의 차에 따라 캠 플레이트의 경사각을 조절함으로써 변화된다.
이 구성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라, 압축기는 크랭크 케이스와 흡입 압력 영역을 상호연결하는 압력 해제 채널과, 배기실과 크랭크 케이스를 상호연결하는 압력 공급 채널과 상기 압력 공급 채널을 개폐하는 용량 제어 밸브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용량 제어 밸브는 압축기가 정지될 때 압력 공급 채널을 개방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압축기가 정지할 때 용량 제어 밸브가 개방되면, 배기실의 냉각 가스가 압력 공급 채널을 통해 크랭크 케이스로 공급되어 크랭크 케이스의 내부 압력을 증가시킨다. 상기 크랭크 케이스내에서의 압력 증가의 결과로서, 크랭크 케이스내의 냉각 가스는 압력 해제 채널을 통해 흡입 압력 영역으로 들어간다. 크랭크 케이스내의 윤활유도 냉각 가스와 함께 배출될 수 있지만, 배기 통로 개폐 장치가 배기 머플러의 상류에 제공되기 때문에 배기 머플러의 용적 용량만큼 많은 양의 고압 배기 가스는 역류되지 않는다. 이것은 압력 해제 채널을 통해 크랭크 케이스 밖으로 따라가는 윤활유의 양을 최소 수준으로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라, 상술한 하우징은 캠 플레이트를 선회가능하게 수용하는 크랭크 케이스가 형성된 전방 하우징 블럭과, 전방 하우징 블럭에 연결되며 캠 플레이트의 회전 운동의 결과로서 전후로 왕복 운동하는 단두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 블럭과, 상기 실린더 블럭에 연결되는 후방 하우징 블럭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배기 머플러는 실린더 블럭과 전방 하우징 블럭 사이에 있는 결합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은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라, 상술한 배기 통로 개폐 장치는 후방 하우징 블럭내에 형성된 배기 통로에 설치된다.
이 구성은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라, 상술한 배기 통로 개폐 장치는 후방 하우징 블럭내에 형성된 배기 통로에 설치된다.
상기 구성은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라, 상기 후방 하우징 블럭내에 형성된 배기 통로는 사이에 형성되며 실린더 블럭과 대향하는 후방 하우징 블럭의 결합면으로 개방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배기 통로 개폐 장치는 상기 수용부에 고정된다.
실린더 블럭과 대향하는 후방 하우징 블럭의 결합면으로 개방되는 수용부가 후방 하우징 블럭내의 배기 통로에 설치되기 때문에, 배기 통로 개폐 장치는 후방 하우징 블럭의 결합면에서 수용부에 쉽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라, 상술한 배기 통로 개폐 장치는 체크 밸브이다.
이 구성은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라, 상술한 배기 통로 개폐 장치는 배기 통로를 차단하는 위치와 배기 통로를 개방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변위되는 밸브 소자와, 배기 통로를 차단하는 위치로 밸브 소자를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체크 밸브이다.
본 구성에 있어서, 체크 밸브 상류측상의 압력이 상기 스프링의 탄성 측면과 상기 체크 밸브의 하류측상의 압력의 합을 초과하는 경우에 배기 통로가 개방되고, 상기 체크 밸브의 상류측상의 압력이 상기 스프링의 탄성측면과 상기 체크 밸브의 하류측면상의 압력의 합보다 작을때 배기 통로가 폐쇄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구성에 따라, 체크 밸브의 밸브 소자가 불규칙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도 압력 맥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압축기에 연결된 외부 냉각 회로상에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도 미치지 않으면서 립형 밀봉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4는 캠 플레이트가 그 최소 경사각에 있을때의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5는 압축기에 통합된 체크 밸브를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하는 부분도.
도 6은 체크 밸브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5와 동일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실린더 블럭 12 : 전방 하우징 블럭
13 : 후방 하우징 블럭 14 : 밸브판
18 : 회전축 23 : 캠 플레이트
65 : 감쇄실(소음실) 69 : 개폐 장치(체크 밸브)
111 : 실린더 보어 121 : 크랭크 케이스
131 : 흡입실 132 : 배기실
132a : 수용부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러치가 없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적용한 실시예를 참조로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하우징 블럭(12)이 실린더 블럭(11)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후방 하우징 블럭(13)이 밸브판(14)과, 밸브 형성판(15, 16)과, 리테이너 형성판(17; retainer-forming plate)을 구비한 실린더 블럭(11)의 후방 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전방 하우징 블럭(12)과, 실린더 블럭(11)과, 후방 하우징 블럭(13)은 함께 조립되어 압축기의 하우징을 형성한다. 회전축(구동축; 18)은 크랭크 케이스(121)가 형성되어 있는 전방 하우징 블럭(12)과 실린더 블럭(11)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축(18)의 전방 단부는 상기 크랭크 케이스(121)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있고, 풀리(19)는 회전축(18)의 전방단부상에 견고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풀리(19)는 벨트(20)에 의해 차량 엔진 "E"에 연결되고, 앵글러 베어링(21)에 의해 전방 하우징 블럭(12)에 의해 지지된다. 전방 하우징 블럭(12)은 축방향(추력) 및 반경 방향의 양쪽 방향으로 풀리(19)상에 작용하는 부하를 앵글러 베어링(21)을 경유하여 지탱하게 된다.
립형 밀봉부(18a; lip type seal)가 회전축(18)상에서 회전축(18)의 전방 단부와 전방 하우징 블럭(12) 사이에 설치된다. 립형 밀봉부(18a)는 크랭크 케이스(121)로부터의 압력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 지지부(22)는 회전축(18)상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또한, 회전축(18)은 캠 플레이트(23)가 회전축(18)을 따라 미끄러지고 회전축(18)의 축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지한다. 한쌍의 연결부(24, 25)는 캠 플레이트(23)에 부착되며, 안내핀(26, 27)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연결부(24, 25)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안내 스피어(261, 271; guide sphere)는 각각 안내핀(26, 27)의 말단부에 형성된다. 회전 지지부(22)는 돌출 지지 암(221)을 구비하고, 한쌍의 안내 구멍(222, 223)이 상기 지지 암(221)내에 형성된다. 안내핀(26, 27)의 상기 안내 스피어(261, 271)는 각각 상기 안내 구멍(222, 223)내에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된다. 안내핀(26, 27)이 이런 방식으로 지지 암(221)에 연결되기 때문에, 캠 플레이트(23)는 회전축(18)의 축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고, 회전축(18)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캠 플레이트(23)의 경사각이 변화될 때, 안내 구멍(222, 223)과 안내 스피어(261, 271)가 함께 슬라이드 안내부로서 작용함에 따라 적절하게 안내되고, 회전축(18)은 상기 캠 플레이트(23)를 미끄럼가능하게 지지한다. 캠 플레이트(23)의 중앙부가 실린더 블럭(11)을 향해 이동할때, 캠 플레이트(23)의 경사각은 감소된다.
경사각 감소 스프링(28)은 회전 지지부(22)와 캠 플레이트(23) 사이에 설치된다. 경사각 감소 스프링(28)은 캠 플레이트(23)의 경사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캠 플레이트(23)에 힘을 가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구멍(29)이 회전축(18)의 축방향으로 실린더 블럭(11)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실린더 형상인 컷오프 부재(30)가 수용 구멍(29)내에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되고, 흡입 통로 개방 스프링(31)이 상기 컷오프 부재(30)와 수용구멍(29)의 단부면 사이에 설치된다. 흡입 통로 개방 스프링(31)은 캠 플레이트(23) 방향으로 상기 컷오프 부재(30)를 민다.
회전축(18)의 후방 단부는 컷오프 부재(30)의 원통형 공동내에 설치된다. 반경방향 베어링(32)이 설치되고, 상기 컷오프 부재(30)의 원통형 내면상에 지지된다. 반경방향 베어링(32)은 회전축(18)을 따라 미끄럼가능한 동시에, 상기 컷오프 부재(30)의 원통형 내면상에 설치된 스냅링(33)에 의해 상기 컷오프 부재(30)의 원통형 공동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회전축(18)의 후방 단부는 반경방향 베어링(32)과 컷오프 부재(30)를 경유하여 수용 구멍(29)의 원통형 내면에 의해 지지된다.
흡입 통로(34)는 후방 하우징 블럭(13)의 중앙부내에 형성된다. 흡입 통로(34)는 상기 컷오프 부재(30)의 이동 경로를 규정하는 회전축(18)으로부터 연장되는 선상에 위치된다. 흡입 통로(34)는 수용 구멍(29)에 연결되고, 위치설정면(35)이 상기 수용 구멍(29)에 면하는 흡입 통로(34)의 개구 둘레의 밸브 형성판(15)상에 형성된다. 컷오프 부재(30)의 전방 단부면은 상기 위치설정면(35)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컷오프 부재(30)는 그 전방 단부가 상기 위치설정면(35)과 접촉할때 상기 캠 플레이트(23)로부터 추가로 멀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트러스트 베어링(36)은 캠 플레이트(23)와 컷오프 부재(30) 사이에서 회전축상에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트러스트 베어링(36)은 흡입 통로 개방 스프링(31)에 의해 작용되는 미는힘으로 인해 상기 캠 플레이트(23)와 상기 컷오프 부재(30) 사이에서 일정하게 죄어진다.
캠 플레이트(23)가 컷오프 부재(30)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캠 플레이트의 경사 운동은 트러스트 베어링(36)을 경유하여 상기 컷오프 부재(30)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캠 플레이트(23)의 경사 운동은 컷오프 부재(30)를 흡입 통로 개방 스프링(31)의 미는힘을 극복하여 위치설정면(35)을 향해 이동하도록 하고, 결국에는 위치설정면(35)과 접촉하게 한다. 트러스트 베어링(36)은 캠 플레이트(23)의 회전 운동이 컷오프 부재(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단부(single-ended) 피스톤(37)은 실린더 블럭(11)내에 형성된 실린더 보어(111)내에 설치된다. 캠 플레이트(23)의 회전 운동은 슈(38)를 경유하여 단두 피스톤(37)의 왕복운동으로 전환되어, 단두 피스톤(37)을 각각의 실린더 보어(111)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흡입실(131)과 배기실(132)은 후방 하우징 블럭(13)내에 형성된다. 흡입 포트(141)와 배기 포트(142)는 밸브판(14)내에 형성된다. 흡입 밸브(151)는 밸브 형성판(15)상에 형성되고, 배기 밸브(161)는 밸브 형성판(16)상에 형성된다. 단두 피스톤(37)의 왕복 운동의 결과로서, 흡입실(131)내의 냉각 가스가 흡입 밸브(151)를 밀게되고, 흡입 포트(141)를 통과하며, 각각의 실린더 보어(111; 압축 공간)내로 도입된다. 그후, 실린더 보어(111)내로 도입된 냉각 가스는 압축되고, 배기실(132)로 배출된다. 배기 밸브(161)는 리테이너 형성판(17)상에 형성되어 있는 대응하는 리테이너(171)와 접촉하고, 여기에서, 배기 밸브(161)를 개방시킨다.
회전 지지부(22)와 전방 하우징 블럭(12) 사이에 트러스트 베어링(39)이 제공된다. 트러스트 베어링(39)은 실린더 보어(111)로부터 단두 피스톤(37)과, 슈(38)와, 캠 플레이트(23)와, 연결부(24, 25)와 안내핀(26, 27)을 통해 회전 지지부(22)상에 작용하는 압축 부하를 지탱한다.
흡입실(131)은 관통구멍(143)을 경유하여 수용구멍(29)에 연결된다. 컷오프 부재(30)가 위치설정면(35)과 접촉할때, 관통구멍(143)은 흡입 통로(34)로부터 가로막혀진다.
상술한 흡입 통로(34)와, 관통 구멍(143)과, 수용 구멍(29)과, 흡입실(131)은 함께 흡입 압력 영역을 구성한다.
크랭크 케이스(121)를 컷오프 부재(30)의 원통형 공동에 연결하는 내부 채널(40)은 회전축(18)내에 형성된다. 압력 해제 구멍(30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컷오프 부재(30)의 원통형 벽내에 형성된다. 압력 해제 구멍(301)은 컷오프 부재(30)의 원통형 공동과 수용 구멍(29)을 서로 연결한다.
상술한 내부 채널(40)과, 컷오프 부재(30)의 원통형 공동과, 압력 해제 구멍(301)은 함께 압력 해제 채널을 구성한다.
전방 하우징 블럭(12)과 실린더 블럭(11)의 굴곡 외부면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배기 머플러로서 작용하는 감쇄 또는 소음실(65)이 배기 통로내에 형성된다. 감쇄실(65)은 팽창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두 부분, 즉, 실린더 블럭(11)의 일체부로서 형성된 구조벽(113)과, 전방 하우징 블럭(12)의 일체부로서 형성된 구조벽(12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쇄실(65)의 배출 채널(114)은 원형 단면을 가지며, 실린더 블럭(11)과 후방 하우징 블럭(13)상에 각각 형성된 채널 구획(114a, 114b)을 포함한다. 배출 채널(114)은 감쇄실(65)을 배기실(132)에 연결한다. 채널 구획(114a)은 실린더 블럭(11)의 후방 단부면(후방 하우징 블럭(13)에 결합될 단부)에 직각으로 형성되며, 원형 단면의 개구를 갖는다.
채널 구획(114b)의 전방부는 후방 하우징 블럭(13)의 전방 단부면(실린더 블럭(11)에 결합될 단부)에 직각으로 형성되며, 원형 단면의 개구를 가지고, 채널 구획(114b)의 후방부는 배기실(132)의 측면으로부터 경사져 있으며, 후술할 수용부(132a)내로 개방되어 있다. 채널 구획(114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측면에서 볼때 V형상을 갖는다. 채널 구획(114a, 114b)은 서로 대면하여 배열되며, 밸브판(14)과 밸브 형성판(15, 16)내에 형성된 원형 개구를 통해 상호연결된다. 채널 구획(114a, 114b) 각각이 원형 단면 개구를 갖기 때문에, 각 채널 구획(114a, 114b)의 개구 영역은 후방 하우징 블럭(13)과 실린더 블럭(11)의 단부의 영역에 대해 최소화된다.
더욱이, 비록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지만, 밸브 형성판(15)과 실린더 블럭(11)의 사이 및 밸브 형성판(16)과 후방 하우징 블럭(13)의 사이에 개스킷이 배치된다. 각 채널 구획(114a, 114b)의 개구 영역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채널 구획(114a, 114b)에 대응하는 개스킷내에 형성될 개구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음실(65)은 선택적인 스로틀 채널(123)을 통해 크랭크 케이스(121)에 연결될 수 있다. 스로틀 채널(123)은 소음실(65)내로 복귀되는 윤활유가 윤활이 필요한 크랭크 케이스(121)내의 부품들을 윤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보증하도록 소음실(65)내의 냉각 가스로부터 분리된 윤활유를 크랭크 케이스(121)내로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실린더 보어(111)로부터 배기실(132)로 배출되는 냉각 가스는 배출 채널(114)로부터 소음실(65)로 전달되며, 여기서, 배기 가스 압력 맥동이 감소된다.
구조벽(113)내에는 냉각 채널(67)이 형성되고, 상기 냉각 채널(67)은 외부 냉각 회로(45)에 연결된 배기 개구(671)를 구비한다. 냉각 채널(67)은 구조벽(122)과 결합될 구조벽(113)의 단부면에서 개방되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배기 개구(671)는 구조벽(113)의 상부면에서 개방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조벽(122)내에는 소음실(65)을 냉각 채널(67)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채널(68)이 형성된다.
상술한 냉각 채널(67)과, 소음실(65; 감쇄실)과, 배출 채널(114) 및 배기실(132)은 함께 배기 통로를 구성한다.
상술한 수용부(132a)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배기실(132)의 후면에 형성된다. 개폐 장치(69)는 상기 수용부(132a)내에 형성된다. 상기 개폐 장치(69)는 감쇄실의 상류에서 배기 통로내에 배치된다. 상기 개폐 장치(69)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크 밸브(69)는 케이싱(70)과 밸브 소자(71)와, 스프링(72)과, 스토퍼(73)를 포함하는 단일편 유닛으로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70)은 그 일단부가 용이하게 폐쇄되는 원통형상을 갖는다. 또한, 그 일단부가 폐쇄된 원통 형상을 갖는 상기 밸브 소자(71)는 케이싱(70)의 종축을 따라 미끄럼가능하게 케이싱(70)내에 설치된다. 스프링(72)은 케이싱(70)의 개방 단부 방향으로 밸브소자(71)에 힘을 가한다. 스토퍼(73)는 상기 밸브 소자(71)가 상기 스토퍼(73)의 내부 단부면과 접촉할 수 있는 방식으로 케이싱(70)의 개방 단부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73)의 외부 단부 둘레에 플렌지(73a)가 형성되며, 상기 플렌지(73a)의 굴곡된 외부면 둘레에 O-링(73c)이 설치된다.
수용부(132a)의 원통형 내면상에 상승 단차부(66)가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73a)가 상기 상승 단차부(66)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69)는 상기 플렌지(73a)가 상승 단차부(66)상에 적절하게 배치되는 방식으로 수용부(132a)내에 설치될 때, 상기 수용부(132a)의 원통형 내면내에 설치된 스냅링(74)이 상기 체크 밸브(69)가 상기 수용부(132a)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O-링(73c)은 상승 단차부(66)의 굴곡된 내면과 상기 플렌지(73a) 사이의 갭을 기밀하게 밀봉한다. 밸브 구멍(73b)은 상기 배기실(132)의 수용부(132a)보다 더 전방 부분을 상기 케이싱(70)의 내부 공간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스토퍼(73)내에 형성된다. 복수개의 관통 구멍(70a)이 상기 케이싱(70)의 주변벽내에 형성된다.
상기 압축기가 그 최소 배출 용량으로 작동될때, 상기 밸브 소자(71)는 상기 스토퍼(73)의 내부 단부면과 접촉하며,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구멍(73b)을 폐쇄한다.
상기 압축기가 그 최소 배출 용량보다 큰 배출 용량으로 작동될때, 상기 밸브 소자(71)는 배기실(132)의 전방부내의 압력으로 인해 밸브 구멍(73b)을 개방시키고, 그에 의해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32a)를 해제한다.
그를 통해 냉각 가스가 흡입실(131)로 도입되는 흡입 통로(34)와 배기 개구(671)는 외부 냉각 회로(45)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외부 냉각 회로는 콘덴서(46)와, 팽창 밸브(47)와, 증발기(48)를 포함한다. 상기 팽창 밸브(47)는 증발기(48)에서 배출되는 가스 온도의 변화에 따라 냉각 가스의 유동률을 제어하는 온도작동식 자동 팽창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실(132)의 전방 단부와 크랭크 케이스(121)는 압력 공급 채널(4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 채널의 내부에는 용량 제어 밸브(62)가 제공된다.
밸브 구멍(621)은 용량 제어 밸브(62)의 솔레노이드(63)가 여자되었을때, 상기 밸브 소자(64)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솔레노이드가 비여자 상태일때, 용량 제어 밸브(62)의 밸브 소자(64)는 상기 밸브 구멍(621)을 개방시킨다. 이것은 상기 용량 제어 밸브가 배기실(132)과 상기 크랭크 케이스(121)를 상호연결하는 압력 공급 채널(41)을 개방 및 폐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온도 센서(49)는 증발기(48)의 근방에 제공된다. 온도 센서(49)는 증발기(48)의 온도를 감지하고, 결과적인 온도 정보를 컴퓨터 "C"로 전달한다. 상기 용량 제어 밸브(62)의 솔레노이드(63)는 상기 컴퓨터 "C"의 제어하에 여자 및 비여자화되며, 이것이, 온도 센서(49)로부터 공급되는 온도 정보에 기초한 솔레노이드(63)의 여자 및 비여자 사이클을 제어한다. 컴퓨터 "C"는 공조기의 온/오프 스위치(50)가 그 온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상태로 설정된 온도보다 온도 센서(49)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낮을때 솔레노이드를 비여자화하는 명령을 전달한다. 설정 온도보다 낮은 온도는 증발기(48)상에 서리가 잠재적으로 퇴적될 수 있는 온도에 대응한다. 또한, 공조기 온/오프 스위치(50)가 꺼졌을때, 상기 컴퓨터 "C"는 상기 솔레노이드(63)을 비여자화 한다.
압력 공급 채널(41)은 상기 솔레노이드(63)가 그 여자 상태일때 폐쇄된다. 따라서, 고압 냉각 가스는 배기실(132)로부터 크랭크 케이스(121)로 공급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케이스(121)내의 냉각 가스는 회전축(18)과 상기 압력 해제 구멍(301)을 통해 흡입실(131)내로 흐르며, 그래서, 크랭크 케이스(121)내의 압력은 흡입실(131)의 저압 또는 흡입압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캠 플레이트(23)는 그 최대 경사각에서 유지되며, 상기 압축기의 배출 용량은 최대화된다. 캠 플레이트(23)가 회전 지지부(22)로부터 돌출된 경사 설정 돌출부(224)와 접촉할때, 캠 플레이트(23)의 최대 경사각이 규정된다.
만약, 냉각 작동의 부하가 감소된상태에서 캠 플레이트(23)가 그 최대 경사각으로 유지되면서 냉각 가스가 배기된다면, 증발기(48)의 온도가 감소되고, 서리가 발생하는 온도 범위에 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온도 센서(49)는 증발기(48)의 온도 정보를 컴퓨터 "C"로 전달하고, 상기 컴퓨터 "C"는 온도 센서(49)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아질때 상기 솔레노이드(63)를 비여자화하는 명령을 전달한다. 상기 솔레노이드(63)가 비여자상태가 되었을때, 압력 공급 채널(41)이 개방되어, 크랭크 케이스(121)는 배기실(132)과 소통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배기실(132)의 고압 냉각 가스는 압력 공급 채널(41)을 통해 크랭크 케이스(121)로 공급되고, 크랭크 케이스(121)내의 압력 증가를 유발한다. 크랭크 케이스(121)내의 압력 증가는 캠 플레이트(23)를 그 최소 경사각을 향해 변위되게 한다. 또한, 컴퓨터 "C"는 오프 신호가 공조기 온/오프 스위치(50)로부터 공급될때 솔레노이드(63)를 비여자화하여, 캠 플레이트(23)가 그 최소 경사각을 향해 변위되도록 한다.
캠 플레이트(23)가 그 최소 경사각에 도달하였을때, 컷오프 부재(30)는 그 위치설정면(35)과 접촉하게되고, 따라서, 흡입 통로(34)가 차단된다. 그 운동이 캠 플레이트(23)의 경사 운동과 연계되어있는 컷오프 부재(30)는 흡입 통로(34)에 연결된 가스 통로의 횡단면적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킨다. 흡입 통로(34)에 연결된 가스 통로의 횡단면적의 이런 점진적인 감소는 스로틀링 효과를 발생하고, 그래서, 냉각 가스가 흡입 통로(34)를 통해 흡입실(131)로 흐르는 속도는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냉각 가스가 흡입실(131)로부터 실린더 보어(압축 공간; 111)로 유동하는 속도도 점진적으로 감소되며, 압축기 배출 용량의 점진적인 감소를 초래한다. 상기 배기 압력이 이런 방식으로 점진적으로 감소되기 때문에, 압축기내에 발생되는 토크는 짧은 시간주기 동안 현저하게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그 최대 배출 용량으로부터 그 최소 배출 용량까지의 클러치가 없는 압축기내에 발생되는 토크의 변화율이 감소되며, 결과적으로, 소요되는 토크의 변화로인한 충격이 완화된다.
컷오프 부재(30)가 위치설정면(35)과 접촉할때, 흡입 통로(34)에 접속된 가스 통로의 단면적은 영이되고, 외부 냉각 회로(45)로부터 흡입실(131)로의 냉각 가스의 흐름이 방지된다. 이는 외부 냉각 회로(45)를 통한 냉각 가스의 순환이 이 상태에서는 완전히 정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캠 플레이트(23)는 컷오프 부재(30)가 위치설정면(35)과 접촉할때 그 최소경사각으로 설정된다.
캠 플레이트(23)의 최소 경사각은 0°보다 다소크다. 이 최소 경사각의 상태는 컷오프 부재(30)가 흡입 통로(34)와 수용구멍(29)이 서로 분리되게하는 통로 폐쇄 위치에 컷오프 부재(30)가 위치될때 달성된다. 컷오프 부재(30)는 통로 폐쇄 위치와 캠 플레이트(23)의 이동에 따라 상기 통로 폐쇄 위치로부터 분리된 통로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캠 플레이트(23)의 최소 경사각이 0°가 아니기 때문에, 냉각 가스는 캠 플레이트(23)가 그 최소 경사각에 위치되었을때에도 실린더 보어(111)로부터 배기실(132)로 배기된다. 실린더 보어(111)로부터 배기실(132)로 배기된 냉각 가스는 압력 공급 채널(41)을 통해 크랭크 케이스(121)내로 흐른다. 크랭크 케이스(121)내의 냉각 가스는 압력 해제 구멍(301)과 회전축(18)의 내부 채널(40)을 포함하는 압력 해제 채널을 통해 흡입실(131)로 유동하며, 흡입실(131)내의 냉각 가스는 실린더 보어(111)내로 흡입되고 배기실(132)내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설명을 통해, 캠 플레이트(23)가 최소 경사각일때, 배기 압력 영역에 속하는 배기실(132)과, 압력 공급 채널(41)과, 크랭크 케이스(121)와, 내부 채널(40)과, 압력 해제 구멍(301)과, 흡입 압력 영역에 속하는 수용 구멍(29)과, 흡입 압력 영역에 속하는 흡입실(131)과, 실린더 보어(111)를 통과하는 압축기내의 순환 통로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 순환 통로에 있어서, 배기실(132)과 크랭크 케이스(121)와, 흡입실(131)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한다. 냉각 가스가 상기 순환 통로를 통해 순환함에 따라, 순환 냉각 가스내에서 유동화된 윤활유가 압축기의 내측을 윤활한다.
캠 플레이트(23)가 그 최소 경사각일때 배기 압력은 낮아진다. 스프링(72)의 미는힘은 체크 밸브(69)의 상류측상의 압력이 체크 밸브(69)의 하류측상의 압력과 이 상태에서 체크 밸브 스프링(72)의 하류측 상의 압력의 합보다 낮게 결정된다. 따라서, 밸브 소자(71)는 캠 플레이트(23)의 경사각이 최소화될때, 밸브 구멍(73b)을 폐쇄한다.
캠 플레이트(23)의 경사각이 그 최소 경사각으로부터 다소 증가될때, 컷오프 부재(30)는 위치설정면(3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컷오프 부재(30)가 위치설정면(35)으로부터 멀리 이동됨에 따라, 흡입 통로(34)를 통해 흡입실(131)내로 냉각 가스가 유동하는 속도가 증가되도록 흡입 통로(34)에 연결된 가스 통로의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흡입실(131)로부터 실린더 보어(111)로 흡입되는 냉각 가스의 속도도 점진적으로 증가되며, 결과적으로 압축기의 배출 용량이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이 방식으로 배기 압력이 점진적으로 증가되기 때문에, 압축기내에서 발생되는 토크는 짧은 시간주기 내에서 현저하게 변화될 수 없다. 따라서, 그 최소 배출 용량으로부터 최대 배출 용량으로의 클러치가 없는 압축기내에 발생되는 토크의 변화속도는 감소되며, 결론적으로, 소요되는 토크의 변화에 의해 유발되는 충격이 완화된다.
캠 플레이트의 경사각이 그 최소 경사각으로부터 증가될때, 배기 압력이 증가되고, 배출 채널(114)내의 체크 밸브(69)의 상류측상의 압력이 스프링(72)의 미는힘과 체크 밸브(69)의 하류측상의 압력의 합보다 크게된다. 따라서, 상기 캠 플레이트(23)의 경사각이 그 최소 경사각보다 커질때, 밸브 구멍(73b)은 배기실(132)내의 냉각 가스가 외부 냉각 회로(45)로 흐르도록 개방된다.
차량 엔진 "E"이 정지될때, 또한, 압축기는 정지되며, 캠 플레이트(23)가 회전을 정지하고, 용량 제어 밸브(62)가 비여자화된다. 캠 플레이트(23)는 용량 제어 밸브(62)의 비여자 상태에서 그 경사각이 최소가 된다. 비록 압축기내의 압력이 압축기가 장기간 비작동 상태로 남겨져 있는 경우에 그 내부 공간 전체에 걸쳐 균일해지더라도, 캠 플레이트(23)는 경사각 감소 스프링(28)의 탄성력으로 인해 작은 경사각을 유지한다. 따라서, 압축기가 차량 엔진 "E"의 시동에 따라 움직이기 시작할때, 캠 플레이트(23)는 그 최소 시동 토크가 소요되는 최소 경사각으로부터 회전되기 시작하고, 그래서 압축기는 최소의 시동 충격을 발생시킨다.
상술한 방식으로 배출 용량이 변화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가 없는 압축기는 하기와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1)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서, 감쇄실(65)의 상류에 제공되어 있는 체크 밸브인 것이 바람직한 개폐 장치(69)는 체크 밸브(69)의 상류측과 하류측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개방 및 폐쇄된다. 종래에는 체크 밸브(69)가 소음실(65)의 하류에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체크 밸브(69)의 밸브 소자가 종래의 배열에서 불규칙적으로 작동하기 시작할때 배기 가스 압력 맥동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이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체크 밸브(69)의 하류에 감쇄실(65)을 위치설정함에 의해 체크 밸브(69)의 개폐 작동 동안 밸브 소자의 불규칙한 움직임으로부터 발생되는 압력 맥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외부 냉각 회로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상기 개폐 장치(69)가 본 실시예에서 감쇄실(65)의 상류에 제공되기 때문에, 감쇄실(65)의 용적 용량 만큼 많은 양의 고압 배기 가스가 압축기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압력 공급 채널(41)을 통해 크랭크 케이스(121)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크랭크 케이스(121)의 내부 압력은 과다하게 증가되지 않으며, 압축기의 회전축(18)상에 제공된 립형 밀봉부(18a)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3) 본 실시예에서는 크랭크 케이스(121)와 흡입 압력 영역(흡입 통로(34), 관통 구멍(143), 수용 구멍(29) 및 흡입실(131) 포함)을 상호연결하는 압력 해제 채널(내부 채널(40), 컷오프 부재(30)의 원통형 공동 및 압력 해제 구멍(301) 포함)이 제공된다. 또한, 배기실(132)과 크랭크 케이스(121)를 상호연결하는 압력 공급 채널(41)이 제공되며, 상기 압력 공급 채널(41)을 개방 및 폐쇄하는 용량 제어 밸브(62)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용량 제어 밸브는 압축기가 작동하지 않을때 압력 공급 채널(41)을 개방시킨다.
만약, 본 구성에서 압축기가 정지되었을 때 용량 제어 밸브(62)가 개방되는 경우에, 배기실(132)내의 냉각 가스는 압력 공급 채널(41)을 통해 크랭크 케이스(121)로 공급되고, 크랭크 케이스(121)의 내부 압력을 증가시킨다. 이 크랭크 케이스(121)내의 압력 증가의 결과로, 크랭크 케이스(121)내의 냉각 가스는 압력 해제 채널에 속하는 내부 채널(40) 등을 통해 흡입 압력 영역에 속하는 흡입실(131) 등으로 들어가게 된다. 비록 크랭크 케이스(121)내의 윤활유가 냉각 가스와 함께 배기될 수 있는 기회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감쇄실(65)의 용적 용량 만큼 많은 양의 고압 배기 가스는 상기 개폐 장치(69)가 감쇄실(65)의 상류에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크랭크 케이스(121)로 공급되지 않는다. 이는 압력 해제 채널에 속하는 내부 채널(40) 등을 통해 크랭크 케이스(121)의 유출되는 윤활유의 량을 최소 수준으로 제한할 수 있게 한다.
(4) 상기 압축기의 일반적인 특성중 하나는 외부 냉각 회로(45)에 제공된 열교환기인 증발기(48)와 콘덴서(46)에 비교할때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웜업되며 용이하게 쿨다운된다는 것이다. 이때문에, 외부 냉각 회로(45)내의 냉각 가스는 압축기가 작동되고 있지 않을때 압축기내로 유동하려는 경향을 갖는다. 압축기가 작동하지 않을때 압축기내로 이동되는 냉각 가스는 액화되고 압축기내에 잔존하려는 경향을 갖는다. 만약, 압축기내에 액화된 냉각제가 퇴적된다면, 냉각 가스와 함께 순환되는 윤활유는 희박해지게되며, 윤활유에 의해 윤활될 압축기의 내부 부품들은 액화된 냉각제에 의해 씻겨지게 된다. 따라서, 만약 압축기가 장시간 작동되지 않은 상태로 있다가 시동되게 되면, 윤활이 필수적인 부품들상에 비정상적인 마모가 발생하거나 눌러붙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 장치(69)가 외부 냉각 회로(45)내의 냉각 가스가 배기실(132)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컷오프 부재(30)가 외부 냉각 회로 내의 냉각 가스가 캠 플레이트가 그 최소 경사각에 있을때 흡입실(131)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액화된 냉각제의 퇴적으로인한 압축기 내부의 비정상적인 마모나 눌러붙음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5) 상기 캠 플레이트(23)가 그 최소 경사각에 있을때, 용량 제어 밸브(62)의 밸브 소자(64)는 밸브 구멍(621)이 폐쇄되지 않은 위치에 있으며, 그래서, 배기실(132)과, 압력 공급 채널(41)과, 크랭크 케이스(121)와, 내부 채널(40)과, 흡입 챔버(131) 및 실린더 보어(111)를 통과하는 순환 통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만약 냉각 가스가 캠 플레이트가 그 최소 경사각으로 변위되었을때 외부 냉각 회로(45)로부터 매기실(132)로 역류된다면, 크랭크 케이스(121)내의 압력은 이런 냉각 가스의 역류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보다 높아지게 된다. 캠 플레이트(23)의 경사각이 그 최소 경사각으로부터 증가되었을때나 압축기의 배출 용량이 증가되었을때, 크랭크 케이스(121)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낮아질수록 원하는 배출 용량이 축적되는 것은 더욱 신속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상기 체크 밸브(69)의 역류 방지 효과가 배출 용량을 축정하는 과정을 가속시키는 것을 돕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6)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실린더 보어(압축 공간; 111)로부터 배기된 냉각 가스가 통과하는 상기 채널 구획(114b)의 유출 개구는 후방 하우징 블럭(13)의 굴곡된 외부면에서 개방되며, 감쇄 또는 소음실(65)은 배출 채널(114)의 바로 하류에 제공된다. 따라서, 배출 채널(114)을 통해 외부 냉각 회로(45)로 전달되는 냉각 가스는 불가피하게 소음실(65)로 들어가게 된다. 본 구성에서 감쇄 또는 머플러 효과를 발생시키는 소음실(65)의 외벽을 통해 열이 교환되기 때문에, 압축기의 냉각 효율을 강화할 수 있다.
(7)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 채널(114)의 일부를 형성하는 채널 구획(114a)은 실린더 블럭(11)의 후방 단부면(후방 하우징 블럭(13)에 결합되는 단부)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형 단면의 개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채널 구획(114b)의 전방부는 후방 하우징 블럭(13)의 전방 단부면(실린더 블럭(11)과 결합하는 단부)에 직각으로 형성되며, 원형 단면의 개구를 갖는다. 채널 구획(114a, 114b) 양자 모두의 개구가 원형 형상을 갖기 때문에, 후방 하우징 블럭(13)과 실린더 블럭(11)의 단부의 영역에 대한 채널 구획(114a, 114b)의 개방 영역을 최소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비록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밸브 형성판(15)과 실린더 블럭(11)의 사이와 밸브 형성판(16)과 후방 하우징 블럭의 사이에 배치된 개스킷내에 채널 구획(114a, 114b)에 대응하여 형성된 개구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선택된 실시예를 참조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의 세부적인 응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며으이 범위와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변용될 수 있다. 이런 변용의 몇몇 예를 하기에 설명한다.
상술한 선택된 실시예에서, 상승 단차부(66)는 수용부(123a)의 원통형 내면상에 형성되고, 그래서 플렌지(73a)는 상기 상승 단차부(66)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체크 밸브(69)가 상기 플렌지(73a)가 상승 단차부(66)상에 적절하게 배치되는 방식으로 상기 체크 밸브(69)가 상기 수용부(132a)내에 설치될때, 상기 수용부(132a)의 원통형 내면내에 설치된 스냅링(74)이 체크 밸브(69)가 수용부(132a)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변용예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69)는 수용부(132a)내에 가압설치될 수 있다. 본 변용예는 스냅링(74)과 상승 단차부(66)를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그에의해 전체 구성을 단순하게 한다.
체크 밸브(69)를 상기 수용부(132a)내에 가압 설치하는 대신에, 상기 체크 밸브(69)는 수용부(132a)내로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플렌지(73a) 둘레에 외부 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132a)의 원통형 내면상에 내부 나사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 변용예에 있어서, 스크류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도록 슬롯형이나 십자형의 홈이 체크 밸브(69)내의 스토퍼(73)의 외부 단부면에 형성되어야만 한다.
비록, 상술한 선택된 실시예에서 스로틀 채널(123)이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스로틀 채널(123)을 구비하지 않은 압축기에도 응용할 수 있다. 이 변용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체크 밸브(69)는 압축기가 작동하지 않을때 폐쇄되고, 그래서, 어떠한 윤활유(데드 오일; dead oil)도 상기 감쇄 또는 소음실(65)내에 퇴적되지 않는다.
비록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클러치가 없는 압축기에 적용되었지만, 클러치를 구비한 압축기를 포함하는 배기 머플러를 사용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압축기에도 실현될 수 있다.
선택된 실시예의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유도되는 기술적인 요점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는 압축 공간으로부터 배기되는 냉각 가스가 통과하는 배출 채널의 유출 개구가 후방 하우징 블럭의 굴곡된 외부면에 개방되어 있으며, 배기 머플러가 상기 유출 채널의 유출 개구에 제공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유출 채널로부터 배기된 냉각 가스는 외부 냉각 회로로 전달되기 전에 배기 머플러를 통과한다. 열이 소음 효과를 발생시키는 배기 머플러의 외벽을 통해 교환되기 때문에, 압축기의 냉각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압축 공간으로부터 배기된 냉각 가스는 먼저 개폐 장치를 통과하고, 그후, 개방 폐쇄 장치의 하류측 배기 통로에 위치된 감쇄실을 통과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감쇄실은 개폐 장치의 불규칙적인 운동(개방 및 폐쇄)와 상기 압축 공간으로부터 초래되는 배기가스의 압력 맥동을 감소시킨다. 압력 맥동이 상기 감쇄실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외부 냉각 회로상의 압력 맥동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소음실의 상류에 개폐 장치를 배치시킴에 의해 립 밀봉부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그에 의해, 압축기가 정지되었을때, 소음실과 외부 냉각 회로로부터 압축기내로 역류되는 고온 압축 공기의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35)

  1. 압축 가스를 배기시키기 위해 배기 통로내에 배치된 개폐 장치와,
    상기 개폐 장치의 하류측에서 상기 배기 통로내에 형성된 감쇄실을 포함하는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가변 용량 압축기인 압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는 체크 밸브인 압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실은 머플러인 압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는 밸브 소자와, 폐쇄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밸브 소자의 상류측상에서 작용하는 배기실로부터 배기되는 고압 가스에 의해 개방되며,
    상기 밸브 소자의 하류측상에서 작용하는 고압가스와 상기 폐쇄 스프링의 조합에 의해 폐쇄되는 압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를 구비한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전방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전방 하우징 블럭과, 상기 전방 하우징 블럭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 실린더 블럭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블럭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 후방 하우징 블럭과, 상기 실린더 블럭 하우징과 상기 후방 하우징 블럭의 결합면에 의해 형성된 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개폐 장치는 상기 수용부내에 배치되는 압축기.
  7. 흡입실과,
    상기 흡입실의 하류측상에 위치되어 상기 흡입실에 연결된 압축실과,
    상기 압축실의 하류측상에 위치되어 상기 압축실에 연결된 배기실과,
    상기 배기실의 하류측상에 위치되어 상기 배기실에 연결된 배기 통로와,
    상기 배기 통로내에 배치된 개폐 장치와,
    상기 개폐 장치의 하류측에서 상기 배기 통로내에 위치된 감쇄실을 포함하는 압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인 압축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는 체크 밸브인 압축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실은 머플러인 압축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는 밸브 소자와, 폐쇄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밸브 소자의 상류측상에서 작용하는 배기실로부터 배기되는 고압 가스에 의해 개방되며,
    상기 밸브 소자의 하류측상에서 작용하는 고압가스와 상기 폐쇄 스프링의 조합에 의해 폐쇄되는 압축기.
  12. 제 7 항에 있어서,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를 구비한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전방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전방 하우징 블럭과, 상기 전방 하우징 블럭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 실린더 블럭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블럭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 후방 하우징 블럭과, 상기 실린더 블럭 하우징과 상기 후방 하우징 블럭의 결합면에 의해 형성된 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개폐 장치는 상기 수용부내에 배치되는 압축기.
  13. 전방 하우징 블럭과, 상기 전방 하우징 블럭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 실린더 블럭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블럭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 후방 하우징 블럭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후방 하우징 블럭내에 형성된 흡입실과,
    상기 흡입실의 하류측상에서 상기 실린더 블럭내에 형성된 압축실과,
    상기 압축실의 하류측상에서 상기 후방 하우징 블럭내에 형성된 배출실과,
    상기 배출실의 하류측상에서 상기 후방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블럭의 결합면에 의해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내에 배치된 개폐 장치와,
    상기 개폐 장치의 하류측상에 형성된 감쇄실을 포함하는 압축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인 압축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는 체크 밸브인 압축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실은 상기 실린더 블럭과 상기 전방 하우징 블럭 사이에 결합부를 가설하여 형성되는 압축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실은 머플러인 압축기.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는 밸브 소자와, 폐쇄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밸브 소자의 상류측상에서 작용하는 배기실로부터 배기되는 고압 가스에 의해 개방되며,
    상기 밸브 소자의 하류측상에서 작용하는 고압가스와 상기 폐쇄 스프링의 조합에 의해 폐쇄되는 압축기.
  19. 전방 하우징 블럭과, 상기 전방 하우징 블럭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 실린더 하우징 블럭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 블럭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 후방 하우징 블럭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후방 하우징 블럭내에 형성된 흡입실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 블럭내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실의 하류측상에 위치된 압축실과,
    상기 후방 하우징 블럭내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실의 하류측상에 위치된 배출실과,
    상기 후방 하우징 블럭과 상기 실린더 블럭 하우징의 결합면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배출실의 하류측상에 위치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내에 배치된 개폐 장치와,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 장치의 하류측상에 위치된 머플러를 포함하는 압축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이고,
    상기 가변 용량형 압축기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실린더 블럭내에 형성된 실린더 보어와,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크랭크 케이스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실린더 블럭과 상기 전방 하우징 블럭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과,
    상기 실린더 보어내에 배치된 피스톤과,
    상기 회전 구동축에 의해 미끄럼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구동축의 축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구동축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으며, 상기 크랭크 케이스내에 위치된 캠 플레이트와,
    상기 캠 플레이트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위치되어 양자를 미끄럼가능하게 연결하는 슈를 포함하고,
    상기 캠 플레이트의 회전 운동은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변환되며,
    상기 피스톤의 양 측면상에 존재하는 흡입 압력과 상기 크랭크 케이스의 내부압력 사이의 차이에 따라 상기 캠 플레이트의 경사각을 제어함에 의해 상기 압축기의 배기량이 변화되는 압축기.
  21. 저압 영역으로부터 고압 영역으로 가스가 유동되는 압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콘덴서와, 팽창 밸브와, 증발기(evaporator)와,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는 순환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 통로는 저압 가스를 받아들이는 수단과, 고압 가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저압 가스를 압축하는 수단과, 상기 고압 가스를 배기하는 수단과, 상기 고압 가스의 배기를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의 하류측상에 배치되어 상기 고압 가스내의 압력 맥동을 감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압축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수단은 배기 통로내에 형성된 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용부내에 배치된 개폐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압축 시스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체크 밸브인 압축 시스템.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맥동 감쇄 수단은 머플러인 압축 시스템.
  25. 외부 냉각 회로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냉각 회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내부에서 발생된 압력 맥동을 최소화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압축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맥동 최소화 수단은 감쇄실과 개폐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감쇄실은 상기 개폐 장치의 하류측상에서 상기 압축기내에 배치된 압축기.
  27. 외부 냉각 회로를 구비하고, 정지될 때 내부로 역류하는 고압 배기 가스의 양을 감소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압축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내로 역류하는 상기 고압 배기 가스량을 감소시키는 수단은 감쇄실과, 개폐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개폐 장치는 상기 감쇄실의 상류측상에서 상기 압축기내에 배치되는 압축기.
  29. 저압 영역과 고압 영역을 구비한 가스 유동 회로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가스 유동 회로의 상기 저압 영역으로부터 저압 가스를 수용하는 단계와,
    고압 가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저압 가스를 압축하는 단계와,
    상기 가스 유동 회로의 상기 고압 영역으로 상기 고압 가스를 배기하는 단계와,
    상기 고압 영역과 상기 저압 영역의 사이에서 상기 고압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단계가 수행되는 영역의 하류측상에서 상기 고압 가스의 배기의 맥동을 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축 시스템 작동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용부내에 개폐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개폐 장치의 상류측상의 상기 고압 배기 가스의 상류 압력이 스프링 압력과 상기 개폐 장치의 하류측상의 하류 압력의 합보다 클때 상기 개폐 장치를 개방하는 단계와,
    상기 스프링 압력과 상기 개폐 장치의 상기 하류측상의 상기 하류 압력의 합이 상기 개폐 장치의 상기 상류측상의 상기 상류 압력보다 클때, 상기 개폐 장치를 폐쇄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압축 시스템 작동 방법.
  31. 배기 통로내에 배치된 개폐 장치와,
    상기 개폐 장치의 하류측상에서 상기 배기 통로내에 위치되어 있는 감쇄실을 포함하는 압축기 배기 통로내의 압력 맥동 억제 시스템.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통로내에 형성된 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압축기 배기 통로내의 압력 맥동 억제 시스템.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는 상기 수용부내에 배치되는 압축기 배기 통로내의 압력 맥동 억제 시스템.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는 체크 밸브인 압축기 배기 통로내의 압력 맥동 억제 시스템.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실은 머플러인 압축기 배기 통로내의 압력 맥동 억제 시스템.
KR1019990007246A 1998-03-06 1999-03-05 압력 맥동 경감형 압축기 KR100309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55148 1998-03-06
JP5514898 1998-03-06
JP24858498A JP3820766B2 (ja) 1998-03-06 1998-09-02 圧縮機
JP98-248584 1998-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616A true KR19990077616A (ko) 1999-10-25
KR100309758B1 KR100309758B1 (ko) 2001-09-26

Family

ID=26396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246A KR100309758B1 (ko) 1998-03-06 1999-03-05 압력 맥동 경감형 압축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49397A (ko)
EP (1) EP0940581B1 (ko)
JP (1) JP3820766B2 (ko)
KR (1) KR100309758B1 (ko)
CN (1) CN1100943C (ko)
BR (1) BR9902004A (ko)
DE (1) DE69925526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983A (ko) * 2000-06-23 2002-01-09 신영주 압축기
KR20150112817A (ko) * 2014-03-27 2015-10-07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압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7255A (ja) * 1999-05-26 2000-12-0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減衰装置及び圧縮機の吸入構造
JP2001221157A (ja) * 2000-02-04 2001-08-1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圧縮機
JP3644351B2 (ja) * 2000-04-17 2005-04-27 株式会社デンソー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3864673B2 (ja) * 2000-06-27 2007-01-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JP4153160B2 (ja) * 2000-09-04 2008-09-1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斜板式圧縮機の脈動低減構造
JP2002115659A (ja) * 2000-10-05 2002-04-19 Toyota Industries Corp 圧縮機におけるガス流路構造
US6575710B2 (en) * 2001-07-26 2003-06-10 Copeland Corporation Compressor with blocked suction capacity modulation
JP2003184738A (ja) * 2001-12-17 2003-07-03 Sanden Corp 斜板式圧縮機
JP4162419B2 (ja) 2002-04-09 2008-10-08 サンデン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JP4118587B2 (ja) * 2002-04-09 2008-07-16 サンデン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US7014428B2 (en) * 2002-12-23 2006-03-2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Controls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EP1612419A4 (en) * 2003-03-28 2007-01-03 Zexel Valeo Climate Contr Corp RECIPROCATING
JP4211477B2 (ja) * 2003-05-08 2009-01-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冷媒圧縮機のオイル分離構造
US20040234386A1 (en) * 2003-05-19 2004-11-25 Chumley Eugene Karl Discharge muffler having an internal pressure relief valve
US6935848B2 (en) * 2003-05-19 2005-08-30 Bristol Compressors, Inc. Discharge muffler placement in a compressor
JP2005016454A (ja) * 2003-06-27 2005-01-20 Toyota Industries Corp ガス流路を備えた機器における脈動低減構造
JP4734623B2 (ja) * 2003-09-24 2011-07-27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可変容量型クラッチレス圧縮機
JP2006022785A (ja) * 2004-07-09 2006-01-26 Toyota Industries Corp 容量可変型圧縮機
US7121814B2 (en) * 2004-09-30 2006-10-17 Carrier Corporation Compressor sound suppression
JP4583908B2 (ja) * 2004-12-20 2010-11-1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吐出側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逆止弁
US7181926B2 (en) * 2005-05-23 2007-02-27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Oil separator and muffler structure
US7494328B2 (en) * 2005-07-06 2009-02-2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NVH and gas pulsation reduction in AC compressor
JP4330576B2 (ja) 2005-10-28 2009-09-16 サンデン株式会社 圧縮機
JP4739422B2 (ja) * 2005-11-09 2011-08-03 イグゼティック エムエーシー ゲーエムベーハー 差圧制限機構を備える空調コンプレッサ
KR101165947B1 (ko) * 2006-05-01 2012-07-18 한라공조주식회사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JP4656044B2 (ja) * 2006-11-10 2011-03-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の吸入絞り弁
BRPI0705357A2 (pt) * 2007-12-26 2009-08-25 Whirlpool Sa sistema para atenuação de pulsação na descarga de gás em um compressor de refrigeração
EP2088318A1 (en) * 2008-02-05 2009-08-12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Swash plate compressor
KR100986943B1 (ko) * 2008-08-13 2010-10-12 주식회사 두원전자 사판식 압축기의 토출용 체크밸브
KR101212909B1 (ko) * 2010-05-24 2012-12-14 한라공조주식회사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JP5697022B2 (ja) * 2010-12-14 2015-04-08 サンデン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EP2900495B1 (en) * 2012-09-25 2020-06-24 Jaguar Land Rover Limited Noise suppressor for vehicle suspension system
JP5915576B2 (ja) * 2013-03-27 2016-05-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ピストン型斜板式圧縮機
DE102013206343A1 (de) * 2013-04-10 2014-10-16 Bitzer Kühlmaschinenbau Gmbh Kältemittelverdichter
US9488289B2 (en) * 2014-01-14 2016-11-08 Hanon Systems Variable suction device for an A/C compressor to improve nvh by varying the suction inlet flow area
US10066618B2 (en) * 2014-11-05 2018-09-04 Mahle International Gmbh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with an oil check valve
JP6747813B2 (ja) * 2016-01-29 2020-08-26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圧縮機
JP6738152B2 (ja) * 2016-01-29 2020-08-12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443A1 (de) * 1969-12-23 1971-07-01 Heinrich Kaempgen Sicherheitssteckdose
US5112198A (en) * 1991-02-08 1992-05-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frigerant compressor having variable restriction pressure pulsation attenuator
US5186614A (en) * 1991-11-04 1993-02-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riable discharge flow attenuation for compressor
DE4493590T1 (de) * 1993-05-21 1995-06-01 Toyoda Automatic Loom Works Kompressor mit hin- und herbeweglichen Kolben
US5529461A (en) * 1993-12-27 1996-06-25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Piston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5681150A (en) * 1994-05-12 1997-10-28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Piston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5624240A (en) * 1994-06-27 1997-04-29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Piston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H08109880A (ja) * 1994-10-11 1996-04-3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の動作制御システム
JPH08270552A (ja) * 1995-03-30 1996-10-1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圧縮機
CN1083056C (zh) * 1995-04-07 2002-04-17 株式会社丰田自动织机制作所 无离合器压缩机的润滑方法和润滑控制装置
KR100196247B1 (ko) * 1995-06-09 1999-06-15 이소가이 지세이 가변 용량 압축기
JP3175536B2 (ja) * 1995-06-13 2001-06-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クラッチレス可変容量型圧縮機における容量制御構造
JP3282457B2 (ja) * 1995-08-21 2002-05-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片頭ピストン型圧縮機
KR100203975B1 (ko) * 1995-10-26 1999-06-15 이소가이 치세이 캠 플레이트식 가변용량 압축기
TW400919U (en) * 1996-03-12 2000-08-01 Toyoda Automatic Loom Works Variable volume capacity typed compressor
JPH10281060A (ja) * 1996-12-10 1998-10-2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圧縮機
JPH10205466A (ja) * 1997-01-23 1998-08-04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983A (ko) * 2000-06-23 2002-01-09 신영주 압축기
KR20150112817A (ko) * 2014-03-27 2015-10-07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9758B1 (ko) 2001-09-26
US6149397A (en) 2000-11-21
JPH11315785A (ja) 1999-11-16
DE69925526D1 (de) 2005-07-07
DE69925526T2 (de) 2006-04-27
EP0940581A3 (en) 2000-04-26
CN1100943C (zh) 2003-02-05
EP0940581A2 (en) 1999-09-08
JP3820766B2 (ja) 2006-09-13
CN1228510A (zh) 1999-09-15
BR9902004A (pt) 2000-02-22
EP0940581B1 (en) 200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9758B1 (ko) 압력 맥동 경감형 압축기
KR100203975B1 (ko) 캠 플레이트식 가변용량 압축기
JP3971802B2 (ja) 圧縮機の軸封構造
US5529461A (en) Piston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5836748A (en) Swash plate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tilizing a spool for controlling the inclination
US5112198A (en) Refrigerant compressor having variable restriction pressure pulsation attenuator
JPS62674A (ja) 角度可変揺動斜板型可変容量圧縮機の容量制御装置
JPH08189464A (ja) 可変容量型圧縮機
US4403921A (en) Multi-cylinder variable delivery compressor
JP3282457B2 (ja) 片頭ピストン型圧縮機
JPH10325393A (ja) 可変容量型斜板式クラッチレスコンプレッサ
US5616008A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2002005022A (ja) 圧縮機
KR0144387B1 (ko) 가변용량형 압축기
KR100212769B1 (ko) 변화가능한 용적형 압축기
WO1994011636A1 (en) Rocking swash plate type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JPH09228956A (ja) 可変容量型圧縮機
US6572341B2 (en) Variable displacement type compressor with suction control valve
JPH10205446A (ja) クラッチレス圧縮機
KR100235509B1 (ko)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 시트 구조
JPH09228957A (ja) クラッチレス可変容量圧縮機
JP4160407B2 (ja) 可変容量斜板式圧縮機
JPH06288348A (ja) 揺動斜板式可変容量圧縮機
KR20200009554A (ko) 가변 용량 사판식 압축기
JP2002061571A (ja)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