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509B1 -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 시트 구조 - Google Patents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 시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509B1
KR100235509B1 KR1019970009132A KR19970009132A KR100235509B1 KR 100235509 B1 KR100235509 B1 KR 100235509B1 KR 1019970009132 A KR1019970009132 A KR 1019970009132A KR 19970009132 A KR19970009132 A KR 19970009132A KR 100235509 B1 KR100235509 B1 KR 100235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valve
valve seat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6087A (ko
Inventor
마사카즈 무라세
데쯔히꼬 후까누마
에이지 도쿠나가
다쿠야 오쿠노
Original Assignee
이시카와 타다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카와 타다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이시카와 타다시
Publication of KR970066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6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04B39/107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the members being re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79Resilient material valve
    • Y10T137/7888With valve member flexing about securement
    • Y10T137/7891Flap or reed

Abstract

플래퍼밸브에 의해서 개폐되는 냉매가 통과하는 포트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높인다. 리어하우징(13)내의 흡입실(131)과 토출실(132)과는 리어하우징(13)의 격벽(133)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다. 밸브플레이트(14)상에는 흡입포트(141) 및 토출포트(142)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형성 플레이트(16)상에는 플래퍼밸브형의 토출밸브 (161)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플레이트(14)의 흡입실(131) 및 토출실(132)측의 면상에는 오목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44)는 토출밸브(161)의 기단부와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하여 각 토출밸브(161)의 양측방으로 연장하고 있다.

Description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시트구조
본 발명은 냉매가 통과하는 포트를, 편지지된 플래퍼밸브에 의해서 개폐하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시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피스톤식 압축기에서는 밸브시트체(일반적으로는 밸브 플레이트라 한다)에 의해서 압축실로부터 사이를 둔 흡입실내의 냉매가 피스톤의 복동(復動) 운동에 의하여 밸브시트체상의 흡입포트로부터 압축실내로 유입된다. 또한, 압축실내의 냉매가 피스톤의 왕동(往動) 운동에 의해서 밸브시트체에 의해서 압축실로부터 사이를 둔 토출실로 밸브시트체상의 토출포트로부터 유출된다. 이와 같은 냉매의 유출입은 포트를 개폐하는 플래퍼밸브를 밀어젖히어 행해진다.
플래퍼밸브의 개폐의 응답성은 압축효율에 영향을 준다. 그 때문에, 예를들면, 포트에 연결되는 홈을 포트의 주위에 설치하고, 플래퍼밸브를 밸브시트체로부터 떨어지기 쉽게하여 플래퍼밸브의 개폐의 응답성을 높이도록 한 대책이 있다.
그러나, 플래퍼밸브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시일성은 더욱 중요하다. 흡입포트측에서의 시일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압축실내의 냉매가 흡입실 측으로 새어 나간다. 토출포트측에서의 시일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토출실측의 냉매가 압축실측으로 새어 나간다. 이 누출은 어느쪽도 압축효율을 대폭으로 저하시킨다.
플래퍼밸브의 폐쇄상태에서의 시일성의 불량원인의 하나는, 플래퍼밸브의 기단부(基斷部)와 밸브시트체의 이물질이 끼는데 원인이 있다. 이 이물질은 피스톤과 실린더보어와의 사이, 경사판과 슈의 사이에 이르는 미끄럼 접촉부로부터 생기는 금속분이다. 이러한 이물질이 밸브시트체와 플래퍼밸브의 기단부의 사이에 끼이면 플래퍼밸브와 밸브시트체의 사이에 틈이 생겨, 시일성이 나쁘게 된다.
이러한 시일성의 불량는, 특개평 3-37378호 공보, 특개평 7-286581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레스 압축기에 있어서 이하와 같은 문제를 발생한다.
이런 종류의 클러치레스 압축기에서는 냉방불필요시의 토출용량의 다소(多少) 및 외부냉매 회로상의 증발기에 있어서 결빙발생의 문제가 있다. 냉방이 불필요한 경우 또는 결빙발생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외부냉매회로상의 냉매순환이 정지된다. 특개평 3-37378호 공보, 특개평 7-286581호 공보의 압축기에서는 외부냉매회로로부터 흡입실로의 냉매가스유입을 멈추는 것에 따라 외부냉매회로상의 냉매순환정지를 달성하고 있다. 이들 종래의 압축기에서는, 외부 냉매회로로부터 흡입실로의 냉매가스유입을 멈춘 상태에서는, 경사판의 경사각이 최소경사각으로 이행하고, 외부 냉매회로로부터 흡입실로의 냉매가스유입을 재개하면 경사판의 경사각이 최소 경사각으로부터 증대된다. 경사판의 경사각이 최소 경사각으로부터 증대한다고 하는 용량복귀에서는, 경사판의 최소경사각상태에 있어서 실질적인 압축동작, 즉 냉매가 압축실로부터 토출실로 역류하지 않게 토출되는 작용이 행하여지는 것을 필요로 한다. 상기 토출포트에서의 시일성의 불량은 최소 경사각상태에서의 실질적인 압축동작을 저해하혀, 용량복귀를 행할 수 없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편지지된 플래퍼밸브에 의해서 개폐되는 냉매가 통과하는 포트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때문에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편지지된 플래퍼 밸브에 의해 냉매가 통과하는 포트를 개폐하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 시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포트가 설치된 밸브시트체상에, 상기 플래퍼밸브의 기단부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포트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복수의 상기 플래퍼밸브중 적어도 2개씩 당 1개의 오목부를 대응시켰다.
상기 오목부가 플래퍼밸브와 밸브시트체와의 사이로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한다. 1개의 오목부가 적어도 2개의 플래퍼밸브에 대응하기 위해서, 오목부의 일부가 플래퍼밸브로부터 노출된다. 이 노출구성은 오목부로의 이물질의 쌓임을 방지한다. 또한, 1개의 오목부에서 복수의 플래퍼밸브에 대응시키는 겸용구성은 오목부의 가공형성을 쉽게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상기 오목부를 복수의 상기 플래퍼밸브의 전체에 대응하도록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상기 플래퍼 밸브의 기단부를 밸브 시트체상으로 누르는 가압체를 설치하고, 상기 오목부를 가압체의 가압 영역내로 들어가게 한 것이다.
단일의 환상의 오목부에서 전체 플래퍼밸브에 대응되는 구성은, 이물질의 쌓임방지효과, 오목부의 가공형성의 용이성을 또한 높인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상기 포트는 압축실과 토출실을 사이에 두는 밸브시트체상에 설치된 토출포트이며, 상기 플래퍼밸브는 상기 토출실측에서 토출포트를 개폐하는 토출밸브로 하였다.
이물질의 흐름은 토출포트측에서 특히 생기기 쉽고, 토출밸브와 밸브시트체와의 사이에서 특히 이물질이 끼임이 생기기 쉽다. 토출밸브측에서의 오목부의 존재는 토출밸브와 밸브시트체의 사이에서 시일성의 확보상 특히 유효하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압축기는, 클러치를 통하는 일없이 외부구동원과 압축기의 회전축을 직결하고, 실린더보어내에 피스톤을 수용하고, 경사판을 수용하는 크랭크실내의 압력과 실린더 보어내의 압력과의 상기 피스톤을 통한 차이에 따라서 경사판(斜版)의 경사각을 제어하는 클러치레스 압축기이고, 영이 아닌 토출용량을 가져오도록 경사판의 최소경사각을 규정하는최소경사각 규정수단과, 압축기 외부의 외부냉매회로에서의 냉매순환을 정지하는 냉매순환 정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상기 냉매순환 정지수단은 상기 경사판의 경사운동에 근거하여 외부냉매회로에서 압축기의 흡입압영역으로 냉매가스를 도입불능인 폐쇄위치와 도입가능한 개방위치로 전환하여 이동되는 차단체를 구비한다.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의 이 종류의 클러치레스 압축기에서는, 외부냉매회로에서의 냉매순환을 정지하는 때에는 경사판경사각이 최소경사각으로 이행하고, 냉매순환을 재개하는 때에는 경사판 경사각이 최소경사각으로부터 증대된다. 경사판의 경사각이 최소 경사각으로부터 증대한다고 하는 용량복귀에 있어서 필요로 되는 실질적인 압축동작은 이물질의 끼임의 방지에 의해 토출포트에서의 시일성의 확보에 의해 보장된다.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편지지된 플래퍼 밸브에 의해 냉매가 통과하는 포트를 개폐하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 시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포트가 설치된 밸브시트체상에, 상기 플래퍼밸브의 기단부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포트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플래퍼밸브의 기단부를 밸브시트체상에 누르는 가압체를 설치하고 상기 오목부를 가압체의 가압영역내로 들어가게 하였다.
이물질은 가압체와 밸브시트체 사이의 플래퍼밸브의 기단부의 바로 근방까지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지만, 오목부가 가압체와 밸브시트체의 사이까지 들어가기 때문에 이물질이 플래퍼밸브의 휨 변위가능한 부위와 밸브시트체와의 사이에 들어가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8의 발명에서는, 청구항7의 오목부를 플래퍼밸브로부터 노출시켰다.
이러한 노출구성은 오목부로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청구항 9의 발명에서는 상기 포트는, 압축실과 토출실을 사이에 두고 밸브시트체상에 설치한 토출포트이고, 상기 플래퍼밸브는상기 토출실측에서 토출포트를 개폐하는 토출밸브이다.
청구항 10의 발명에서는 압축기는, 클러치를 통하는 일없이 외부구동원과 압축기의 회전축을 직결하여, 실린더보어내에 피스톤을 수용하고, 경사판을 수용하는 크랭크실내의 압력과 실린더보어내의 압력과의 상기 피스톤을 통한 차이에 따라서 경사판의 경사각을 제어하는 클러치레스 압축기이고, 영이 아닌 토출용량을 가져오도록 경사판의 최소경사각을 규정하는 최소 경사각 규정수단과, 압축기 외부의 외부냉매회로에서의 냉매순환을 정지하는 냉매순환 정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서는 상기 냉매순환 정지수단은, 상기 경사판의 경사운동에 근거하여 외부냉매회로에서 압축기의 흡입압 영역으로 냉매가스를 도입불능인 패쇄위치와 도입가능한 개방위치로 전환하여 이동되는 차단체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서는 상기 냉매순환 정지수단은, 상기 경사판의 경사운동에 근거하여 외부냉매회로에서 압축기의 흡입압 영역으로 냉매가스를 도입불능인 폐쇄위치와 도입가능한 개방위치로 전환하여 이동되는 차단체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에서는, 편지지된 플래퍼 밸브에 의해 냉매가 통과하는 포트를 개폐하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 시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포트가 설치된 밸브시트체상에 상기 플래퍼밸브의 기단부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포트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밸브 시트체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플래퍼 밸브의 기단부에서 막혀져 있다.
플래퍼밸브가 개방위치에 배치될 때마다 상기 오목부가 개방상태로 되고, 플래퍼밸브와 밸브시트체의 사이로 들어가 있는 이물질이 냉매류에 의해서 제거된다.
청구항 13의 발명에서는, 상기 플래퍼밸브의 기단부를 밸브시트체상에 누르는 가압체를 설치하고 상기 오목부를 가압체의 가압영역내로 들어가게 하였다.
오목부가 가압체와 밸브시트체의 사이까지 들어가기 때문에 이물질이 플래퍼밸브의 휨 변위가능한 부위와 밸브시트체의 사이에 끼는 일은 없다.
또한, 특개평 3-255279호 공보에는, 리드밸브의 기단부에 대응하는 밸브 플레이트상에 릴리프 홈을 설치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대상으로 하는 이물질 끼임 방지의 사상의 개시는 없다. 또한, 1개의 릴리프 홈이 1개의 리드밸브에 대응하고 있고, 릴리프 홈이 리드밸브가압의 가압영역에서 벗어나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에서는, 압축기는, 클러치를 통하는 일없이 외부구동원과 압축기의 회전축을 직결하고, 실린더보어내에 피스톤을 수용하고, 경사판을 수용하는 크랭크실내의 압력과 실린더보어내의 압력과의 상기 피스톤을 통한 차이에 따라서 경사판의 경사각을 제어하는 클레치레스 압축기이고, 영이 아닌 토출용량을 가져오도록 경사판의 최소경사각을 규정하는 최소경사각 규정수단과, 압축기 외부의 외부냉매회로에서 냉매순환을 정지하는 냉매순환 정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5의 발명에서는, 상기 냉매순환 정지수단은, 상기 경사판의 경사운동에 근거하여 외부냉매회로에서 압축기의 흡입압 영역으로 냉매가스를 도입불능인 폐쇄위치와 도입가능한 개방위치로 전환하여 이동되는 차단체를 구비하고 있다.
제1도는 제1 실시예의 형태를 나타내는 압축기전체의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C-C선 단면도.
제5도는 경사판의 경사각이 최소상태에 있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
제6도는 제2실시예의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D-D선 확대 단면도.
제8도는 제3실시예의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9도는 제4실시예의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E-E 선 확대 단면도.
제11도는 제5실시예의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12도는 제6실시예의 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F-F 선 단면도.
제14도는 제7실시예의 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3 : 가압체로 이루어진 격벽 14 : 밸브시트체로 이루어진 밸브플레이트
141 : 흡입포트 142 : 토출포트
144 내지 148 : 오목부 151 : 흡입밸브
161 : 토출밸브 51, 52 : 오목부
이하, 클러치레스 가변용량형 압축기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 실시예의 형태를 도1 내지 도5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블럭(11)의 전단에는 프런트하우징(12)이 접합되어 있다. 실린더블럭(11)의 후단에는 리어하우징(13)이 밸브플레이트(14), 밸브형성 플레이트(15, 16) 및 리테이너형성 플레이트(17)를 통해 접합고정되어 있다. 크랭크실(121)을 형성하는 프런트하우징(12)과 실린더블럭(11)과의 사이에는 회전축 (18)이 회전가능하게 가설지지되어 있다. 회전축(18)의 전단은 크랭크실(121)로부터 외부로 돌출하고 있고, 이 돌출단부에는 풀리(19)가 고정부착되어 있다. 풀리(19)는 벨트(20)를 통해 차량엔진(도시생략)에 작동연결되어 있다. 풀리(19)는 앵귤러베어링 (21)을 통해 프런트하우징(12)에 지지되어 있다. 프런트하우징(12)은 풀리(19)에 작용하는 스러스트방향의 하중 및 래디얼방향의 하중의 양쪽을 앵귤러베어링(21)을 통해 받아낸다.
회전축(18)에는 회전지지체(22)가 고정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경사판(23)이 회전축(18)의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또한 경사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판(23)에는 연결편(24, 25)이 고정부착되어 있다. 연결편(24, 25)에는 한 쌍의 가이드핀(26, 27)이 고정부착되어 있다. 가이드핀(26, 27)의 선단부에는 가이드볼(261, 271)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지지체(22)에는 지지아암 (221)이 돌출설치되어 있고, 지지아암(221)에는 한 쌍의 가이드구멍(222, 223)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볼(261, 271)은 가이드구멍(222, 22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지지아암(221)과 한 쌍의 가이드핀(26, 27)의 연계에 의해 경사판(23)이 회전축(18)의 축선방향으로 경사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축(18)과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다. 경사판(23)의 경사운동은, 가이드구멍(222, 223)과 가이드볼(261, 271)과의 슬라이드 가이드 관계, 회전축(18)의 슬라이드 지지작용에 의해 안내된다. 경사판(23)의 반경중심부가 실린더블럭(11)측으로 이동하면, 경사판(23)의 경사각이 감소한다.
회전지지체(22)와 경사판(23)의 사이에는 경사각 감소 스프링(28)이 개재되어 있다. 경사각 감소 스프링(28)은 경사판(23)의 경사각을 감소하는 방향으로 경사판 (23)을 가압한다.
도1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블럭(11)의 중심부에는 수용구멍(29)이 회전축(18)의 축선방향으로 관통설치되어 있다. 수용구멍(29) 내에는 통형상의 차단체(3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차단체(30)와 수용구멍(29)의 말단면과의 사이에는 흡입통로 개방 스프링(31)이 개재되어 있다. 흡입통로 개방 스프링(31)은 차단체(30)를 경사판(23)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차단체(30)의 통내에는 회전축(18)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차단체(30)의 내주면에는 래디얼 베어링(32)이 삽입지지되어 있다. 래디얼베어링(32)은 회전축 (18)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다. 래디얼베어링(32)에는 차단체(32)의 내주면에 설치된 원주립(33)에 의하여 차단체(30)의 통내로부터의 누락이 저지되고 있다. 회전축(18)의 후단부는 래디얼베어링(32) 및 차단체(30)를 통하여 수용구멍(29)의 주위에서 지지된다.
리어하우징(13)의 중심부에는 흡입통로(34)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통로(34)는 차단체(30)의 이동경로로 되는 회전축(18)의 연장선상에 있다. 흡입통로(34)는 수용구멍(29)에 연통하고 있고, 수용구멍(29)측의 흡입통로(34)의 개구의 주위에는 위치결정면(35)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면(35)은 밸브형성 플레이트(15) 위에 있다. 차단체(30)의 선단면은 위치결정면(35)에 접촉가능하다. 차단체(30)의 선단면이 위치결정면(35)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차단체(30)가 경사판(23)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규제된다.
경사판(23)과 차단체(30) 사이의 회전축(18)상에는 스러스트 베어링(36)이 회전축(18)상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36)은 흡입통로 개방 스프링(31)의 탄성력에 의하여 항상 경사판(23)과 차단체(30)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경사판(23)이 차단체(30)측으로 이동하는데 수반하여, 경사판(23)의 경사운동이 스러스트 베어링(36)을 통하여 차단체(30)로 전달된다. 상기 경사운동전달에 의해 차단체(30)가 흡입통로 개방 스프링(31)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위치결정면(35)측으로 이동하고, 차단체(30)가 위치결정면(35)에 접촉한다. 경사판(23)의 회전은 스러스트 베어링(36)의 존재에 의하여 차단체(30)로의 전달이 저지된다.
실린더블럭(11)에 관통설치된 실린더보어(111)내에는 편두(片頭)피스톤(37)이 수용되어 있다. 경사판(23)의 회전운동은 슈(38)를 통하여 편두피스톤(37)의 전후 왕복요동으로 변환되고, 편두피스톤(37)이 실린더보어(111)내를 전후운동한다.
도1 및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어하우징(13)내에는 흡입실(131) 및 토출실(132)이 구획형성되어 있다. 흡입실(131)과 토출실(132)은 리어하우징(13)의 격벽(133)에 의해서 구획되어 있다. 밸브플레이트(14)상에는 흡입포트(141) 및 토출포트(142)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형성 플레이트(15) 상에는 플래퍼밸브형의 흡입밸브(151)가 형성되어 있고, 밸브형성 플레이트(16)상에는 플래퍼밸브형의 토출밸브(161)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실(131)내의 냉매가스는 편두피스톤(37)의 복동 동작에 의해 흡입포트(141)로부터 흡입밸브(151)를 밀어젖혀 실린더보어(111)내의 압축실(113)로 유입된다. 압축실(113)내로 유입한 냉매가스는 편두피스톤(37)의 왕동동작에 의해 토출포트(142)로부터 토출밸브(161)을 밀어젖혀 토출실(132)로 토출된다. 토출밸브(161)는 리테이너형성 플레이트(17)상의 리테이너(171)에 접촉하여 개방 규제된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밸브(151) 및 토출밸브(161)에 대한 밸브시트체로 되는 밸브플레이트(14)의 흡입실(131) 및 토출실(132)측의 면상에는 원환형상의 오목부(144)가 형성되어있다. 원환형상의 오목부(144)는 토출밸브(161)의 기단부와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하여 각 토출밸브(161)의 양측쪽으로 연장하고 있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144)는 밸브형성 플레이트(16)를 밸브플레이트(14)상으로 누르는 가압체로 되는 격벽(133)의 가압영역에서 벗어나 있다.
회전지지체(22)와 프런트하우징(12)과의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39)이 개재되어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39)은 압축실(113)로부터 편두피스톤(37), 슈(38), 경사판(23), 연결편(24, 25) 및 가이드핀(26, 27)을 통해 회전지지체(22)에 작용하는 압축반력을 받아낸다.
흡입실(131)은 통로 입구(143)를 통해 수용구멍(29)에 연통하고 있다. 차단체(30)가 위치결정면(35)에 접촉하면, 통로 입구(143)는 흡입 통로(34)로부터 차단된다.
회전축(18)내에는 통로(40)가 형성되어 있다. 통로(40)는 크랭크실(121)과 차단체(30)의 통내를 연결관통하고 있다. 도1 및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단체(30)의 주위면에는 압력 방출 통로 입구(301)가 관통설치되어 있다. 압력 방출 통로 입구(301)는 차단체(30)의 통내와 수용구멍(29)을 연결하고 있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실(132)과 크랭크실(121)은 압력공급통로(41)로 접속되어 있다. 압력공급통로(41)상에는 전자기 개폐밸브(42)가 개재되어 있다. 전자기 개폐밸브(42)의 솔레노이드(43)의 여자(勵磁)에 의해 밸브체(44)가 밸브구멍(421)을 폐쇄한다. 솔레노이드(43)가 소자(消磁)하면 밸브체(44)가 밸브구멍(421)을 연다. 즉, 전자기 개폐밸브(42)는 토출실(132)과 크랭크실(121)을 접속하는 압력공급통로(41)를 개폐한다.
흡입실(131)로 냉매가스를 도입하는 흡입통로(34)와, 토출실(132)로부터 냉매가스를 배출하는 출구(112)는 외부냉매회로(45)에 접속되어 있다. 외부냉매회로(45)상에는 응축기(46), 팽창밸브(47) 및 증발기(48)가 개재되어 있다. 팽창밸브(47)는 증발기(48)의 출구측의 가스온도의 변동에 따라서 냉매유량을 제어하는 온도식 자동팽창밸브이다. 증발기(48)의 부근에는 온도센서(49)가 설치되어 있다. 온도센서(49)는 증발기(48)에서 온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온도정보가 제어컴퓨터(C)로 이송된다.
전자기 개폐밸브(42)의 솔레노이드(43)는 제어컴퓨터(C)의 여소자제어(勵消磁制御)를 받는다. 제어컴퓨터(C)는 온도센서(49)로부터 얻어지는 검출온도정보에 근거하여 솔레노이드(43)를 여소자제어한다. 제어컴퓨터(C)는 공기조절장치 작동스위치(50)의 ON 상태하에 검출온도 이하가 되면 솔레노이드(43)의 소자를 지령한다. 이 설정온도 이하의 온도는 증발기(48)에 있어서 결빙이 발생할 것 같은 상황을 반영한다. 또한, 제어컴퓨터(C)는 공기조절장치 작동스위치(50)의 OFF에 의해서 솔레노이드(43)를 소자(消磁)한다.
도1의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43)는 여자상태에 있고, 압력공급통로(41)는 폐쇄되어 있다. 따라서, 토출실(132)로부터 크랭크실(121)로 고압냉매가스의 공급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크랭크실(121)내의 냉매가스가 통로(40) 및 압력방출통로입구(301)를 통해 흡입실(131)로 유출할 뿐이고, 크랭크실(121)내의 압력은 흡입실(131)내의 저압력, 즉 흡입압에 가까워진다. 그 때문에, 경사판(23)은 경사각 증대방향으로 가압된다. 경사판(23)의 최대경사각은 회전지지체(22)의 경사각 규제돌출부(224)와 경사판(23)과의 접촉에 의해서 규제된다. 경사판(23)의 경사각은 최대경사각으로 유지되고, 토출용량은 최대가 된다.
냉방부하가 작게 된 상태로 경사판(23)이 최대경사각을 유지하여 토출작용이 행하여지면, 증발기(48)에 있어서의 온도가 결빙발생을 가져오는 온도에 근접하도록 저하하여 간다. 온도센서(49)는 증발기(48)에서의 검출온도정보를 제어컴퓨터(C)에 보내고 있고, 검출온도가 설정온도 이하가 되면 제어컴퓨터(C)는 솔레노이드(43)의 소자를 지령한다. 솔레노이드(43)가 소자되면 압력공급통로(41)가 열리고, 토출실(132)과 크랭크실(121)이 연통한다. 따라서, 토출실(132)내의 고압냉매가스가 압력공급통로(41)를 통해 크랭크실(121)로 공급되고, 크랭크실(121)내의 압력이 높게 된다. 크랭크실(121)내의 압력상승에 의해 경사판(23)의 경사각이 최소경사각으로 이행한다. 또한, 공기조절장치 작동스위치(50)의 OFF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컴퓨터(C)가 솔레노이드(43)를 소자하고, 이 소자에 의해 경사판(23)이 최소경사각으로 이행한다.
경사판(23)의 경사각이 최소경사각이 되면, 차단체(30가 위치결정면(35)에 접촉한다. 차단체(30)가 위치결정면(35)에 접촉한 때에는 흡입통로(34)가 차단된다. 경사판(23)의 경사운동에 연동하는 차단체(30)는 흡입통로(34)의 통과단면적을 서서히 줄여간다. 이 완만한 통과단면적 변화에 의한 조임작용이 흡입통로(34)로부터 흡입실(131)로의 냉매가스 유입량을 서서히 감소시킨다. 그 때문에, 흡입실(131)로부터 압축실(113)내로 흡입되는 냉매가스량도 서서히 감소하여 가고, 토출용량이 서서히 감소하여간다. 따라서, 토출압이 서서히 감소하여 가고, 압축기에 있어서의 부하 토오크가 단시간에 크게 변동하는 것은 아니다. 그 결과, 최대 토출용량으로부터 최소 토출용량에 이르는 사이의 클러치레스 압축기에 있어서의 부하 토오크의 변동이 완만하게 되어, 부하 토오크의 변동에 의한 충격이 완화된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단체(30)가 위치결정면(35)에 접촉하면, 흡입통로(34)에서의 통과단면적이 영이 되고, 외부냉매회로(45)로부터 흡입실(131)로의 냉매가스유입이 저지된다. 즉, 외부냉매회로(45)에서의 냉매순환이 정지된다. 따라서, 경사판(23)의 최소경사각은, 차단체(30)와 위치결정면(35)과의 접촉에 의하여 규제된다. 경사판(23), 차단체(30) 및 위치결정면(35)은 냉매순환 정지수단을 구성하고, 위치결정면(35), 차단체(30) 및 스러스트 베어링(36)이 최소경사각 규정수단을 구성한다.
경사판(23)의 최소경사각은 0°보다 약간 크다. 이 최소경사각 상태는 차단체(30)가 흡입통로(34)와 수용구멍(29)과의 연통을 차단하는 폐쇄위치에 배치된 때에 초래된다. 차단체(30)는 상기 폐쇄위치와 이 위치에서 떨어진 개방위치로 경사판(23)에 연동하여 전환 배치된다.
경사판(23)의 최소경사각은 0°에서는 없기 때문에, 경사판경사각이 최소의 상태에 있어서도 압축실(113)로부터 토출실(132)로의 토출은 행하여지고 있다. 압축실(113)로부터 토출실(132)로 토출된 냉매가스는 압력공급통로(41)를 통하여 크랭크실(121)로 유입된다. 크랭크실(121)내의 냉매가스는 통로(40) 및 압력방출통로입구(301)라고 하는 압력방출통로를 통하여 흡입실(131)로 유입하고, 흡입실(131)내의 냉매가스는 압축실(113)내로 흡입되어 토출실(132)로 토출된다. 즉,경사판경사각이 최소상태에서는, 토출압영역인 토출실(132), 압력공급통로(41), 크랭크실(121), 통로(40), 압력방출통로입구(301), 흡입압영역인 수용구멍(29), 흡입압영역인 흡입실(131), 압축실(113)을 경유하는 순환통로가 압축기내로 오고 있다. 그리고, 토출실(132), 크랭크실(121) 및 흡입실(131)의 사이에서 압력차가 생기고 있다. 따라서, 냉매가스가 상기 순환통로를 순환하고, 냉매가스와 동시에 유동하는 윤활유가 압축기내를 윤활한다.
도5의 상태로부터 냉방부하가 증대한 경우, 이 냉방부하의 증대가 증발기(48)에서의 온도상승으로 나타나고, 증발기(48)에서 검출온도가 상기 설정온도를 초과한다. 제어컴퓨터(C)는 검출온도변이에 근거하여 솔레노이드(43)의 여자를 지령한다. 솔레노이드(43)의 여자에 의해 압력공급통로(41)가 닫히고, 크랭크실(121)의 압력이 통로(40) 및 압력방출통로입구(301)를 통한 압력방출에 근거하여 감압하여 간다. 이 감압에 의해 흡입통로 개방스프링(31)이 도5의 축소상태로부터 신장한다. 따라서, 차단체(30)가 위치결정면(35)으로부터 떨어지고,경사판(23)의 경사각이 도5의 최소경사각상태로부터 증대된다. 차단체(30)의 이격에 따라서, 흡입통로(34)에서의 통과단면적이 완만히 증대하여 가고, 흡입통로(34)로부터 흡입실(131)로의 냉매가스 유입량은 서서히 증가하여간다. 따라서, 흡입실(131)로부터 압축실(113)내로 흡입되는 냉매가스량도 서서히 증대하여, 토출용량이 서서히 증대하여 간다. 그 때문에, 토출압이 서서히 증대하여 가고, 압축기에 있어서의 부하토오크가 단시간에 크게 변동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최소토출용량으로부터 최대토출용량에 이르는 사이의 클러치레스 압축기에 있어서의 부하토오크의 변동이 완만하게 되고, 부하토오크의 변동에 의한 충격이 완화된다.
차량엔진이 정지하면 압축기의 운전도 정지하고, 즉 경사판(23)의 회전도 정지하여, 전자기 개폐밸브(42)가 소자된다. 전자기 개폐밸브(42)의 소자에 의해 경사판(23)의 경사각은 최소경사각이 된다. 압축기의 운전정지상태가 계속되면 압축기내의 압력이 균일화하지만, 경사판(23)의 경사각은 경사각 감소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서 작은 경사각이 유지된다. 따라서, 차량엔진의 기동에 의해서 압축기의 운전이 개시되면, 경사판(23)은 부하토오크가 가장 적은 최소 경사각상태로부터 회전을 개시하고, 압축기의 기동시의 충격도 거의 없다.
상기와 같은 용량가변동작을 행하는 클러치레스 압축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제1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1-1) 편두피스톤(37)과 실린더보어(111)의 주위면과의 사이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서 생기는 금속분이라고 하는 이물질이 압축실(113)로부터 토출실(132)로 토출되는 냉매와 함께 토출되고, 이러한 이물질이 토출밸브(161)의 기단부와 밸브플레이트(14)의 사이에 들어간다. 이 물질이 토출밸브(161)의 기단부와 밸브플레이트(14) 끼이면, 토출밸브(161)와 밸브플레이트(14)의 사이의 시일성이 나쁘게 되어, 압축효율이 저하된다. 토출밸브(161)의 기단부와 밸브플레이트(14)의 사이로 들어가는 이물질은 오목부(144)로 들어가고, 오목부(144)는 토출밸브(161)와 밸프플레이트(14)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1-2) 오목부(144)의 깊이는 밸브플레이트(14)의 강도확보면에서 적을수록 좋다. 토출밸브(161)의 기단부에 대응하는 오목부(144)내로의 이물질의 잔류로 얕은 오목부에 쌓이면, 밸브플레이트(14)와 토출밸브(161) 사이에 이물질의 끼임이 발생한다. 원환형상의 오목부(144)가 모든 토출밸브(161)에 대응하기 때문에, 오목부(144)의 일부가 토출밸브(161)로부터 노출된다. 따라서 오목부(144)로 들어간 이물질은 냉매류에 의해서 오목부(144)로부터 유출하고, 오목부(144)의 노출구성은 오목부 (144)로의 이물질의 쌓임을 방지한다.
(1-3) 1개의 오목부(144)로 모든 토출밸브(161)에 대응되는 겸용구성은 오목부(144)의 가공형성을 쉽게 한다.
(1-4) 이물질의 흐름은 토출포트(142)측에서 특히 생기기 쉽고, 토출밸브 (161)와 밸브플레이트(14)의 사이에 이물질의 끼임이 특히 생기기 쉽다. 토출밸브 (161)측에서의 오목부(144)의 존재는 토출밸브(161)와 밸브플레이트(14)와의 사이에서 시일성의 확보상 특히 유효하다.
(1-5) 냉매순환을 재개하면 경사판(23)의 경사각이 최소경사각으로부터 증대하는 본 실시예의 형태에서의 클러치레스 압축기에서는, 경사판(23)의 경사각이 최소경사각으로부터 증대한다고 하는 용량복귀에 있어서 압축실(113)로부터 토출실(132)로의 역류가 없는 냉매의 토출이라고 하는 실질적인 압축동작이 필요하다. 이물질의 끼임에 의한 시일성의 불량은 토출실(132)로부터 압축실(113)로의 냉매의 역류를 가져오고, 용량복귀불량이 발생한다. 용량복귀에 필요하게 되는 실질적인 압축동작은, 오목부(144)의 존재에 의한 이물질의 끼임 방지라고 하는 토출포트(142)에서의 시일성의 확보에 의해서 보장된다.
다음에, 도6 및 도7의 제2 실시예의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형태와 같은 구성부에는 동일 부호가 붙어있다.
원환형상의 오목부(144)의 일부는 밸브형성 플레이트(16)를 밸브플레이트 (14)상으로 누르는 가압체로 되는 격벽(133)의 가압영역내로 들어가있다. 이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2-1) 토출밸브(161)는 가압체로 되는 격벽(133)의 가압영역의 바로 근방까지 휨 변위가능하고, 이물질은 격벽(133)과 밸브플레이트(14) 사이의 토출밸브(161)의 기단부의 바로 근방까지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다. 오목부(144)는 격벽(133)과 밸브플레이트(14)의 사이까지 들어가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토출밸브(161)의 휨 변위가능한 부위와 밸브플레이트(14)의 사이에 끼이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도8의 제3 실시예의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형태와 같은 구성부에는 동일 부호가 붙어 있다.
이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토출밸브(161)의 기단부의 폭보다도 긴 홈형상의 오목부(145)와 토출밸브(161)가 1대1로 대응하고 있다. 오목부(145)의 양단부는 토출밸브(161)의 기단부에서 측방으로 노출하고 있다. 각 오목부(145)의 일부는 밸브형성 플레이트(16)를 밸브플레이트(14)상으로 누르는 가압체로 되는 격벽(133)의 가압영역내로 들어가 있다. 이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3-1) 오목부(145)의 존재가 토출밸브(161)의 기단부와 밸브플레이트(14)의 사이에 들어가는이물질 끼임을 방지한다.
(3-2) 오목부(145)의 양단부가 토출밸브(161)로부터 노출하고 있고, 오목부(145)로 들어간 이물질은 냉매류에 의해서 오목부(145)로부터 유출된다. 따라서, 오목부(145)의 노출구성은 오목부(145)로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3-3) 오목부(145)는 격벽(133)과 밸브플레이트(14)의 사이까지 들어가고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토출밸브(161)의 휨 변위가능한 부위와 밸브플레이트(14)의 사이에 끼이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도9 및 도10의 제4 실시예의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형태와 동일 구성부에는 동일 부호가 붙어 있다.
이 실시예의 형태에 있어서의 원환현상의 오목부(51)는, 토출밸브(161)와 대응하는 부위에서는 얕은홈부(深溝部 : 511)로 되어있고, 그 이외에는 깊은홈부(深溝部 : 512)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4-1) 얕은 홈부(511)로 들어간 이물질이 깊은 홈(512)측으로 빠져나오기 쉽게되고, 얕은 홈부(511)로의 이물질의 쌓임 방지효과가 크다.
다음에, 도11의 제5 실시예의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형태와 동일 구성부에는 동일 부호가 붙어있다.
이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원호상의 오목부(146)가 3개의 토출밸브(161)에 대응하고, 별도의 원호상의 오목부(147)가 2개의 토출밸브(161)에 대응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5-1) 1개의 오목부가 2개 또는 3개의 토출밸브(161)에 대응하기 때문에, 오목부(146, 147)의 일부가 토출밸브(161)로부터 노출된다. 이 노출구성은 오목부(146, 147)로의 이물질의 쌓임을 방지한다.
(5-2) 1개의 오목부로 복수의 토출밸브(161)에 대응시키는 겸용구성은 오목부의 가공형성을 쉽게 한다.
다음에, 도12 및 도13의 제6 실시예의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 부호가 붙어있다.
상기 실시예의 형태에 있어서의 원환형상의 오목부(148)는 흡입밸브(151)에 대향하는 밸브플레이트(14)의 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48)는 흡입밸브(151)의 기단부와 대향하는 위치를 통과하여 각 흡입밸브(151)의 양측쪽으로 연장하고 있다. 오목부(148)는 밸브형성 플레이트(15)를 밸브플레이트(14)상에 누르는 가압체로 되는 실린더블럭(11)의 단면의 가압영역에서 벗어나 있다.
상기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6-1) 이물질이 흡입밸브(151)의 기단부와 밸브플레이트(14)의 사이에 끼이면, 흡입밸브(151)와 밸브플레이트(14) 사이의 시일성이 나쁘게되고, 압축효율이 저하한다. 흡입밸브(151)의 기단부와 밸브플레이트(14)의 사이에 들어가는 이물질은 오목부(148)로 들어가고, 오목부(148)는 흡입밸브(151)와 밸브플레이트(14)의 사이에서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한다.
다음에, 도14의 제7 실시예의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형태와 동일 구성부에는 동일 부호가 붙어있다.
상기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각 토출밸브(161)의 기단부와 대응하는 밸브플레이트(14)의 위치에 오목부(52)가 관통설치되어 있다. 토출행정시에는 오목부(52)가 압축실(113)과 토출실(132)을 연통하고, 흡입행정시에는 토출밸브(161)가 오목부(52)를 폐쇄한다. 이 실시예의 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7-1) 토출밸브(161)가 토출포트(142)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배치될 때마다 오목부(52)가 열린 상태가 되고, 토출밸브(161)와 밸브플레이트(14) 사이로 들어가 있는 이물질이 냉매류에 의해서 제거된다. 따라서, 이물질이 토출밸브(161)의 기단부와 밸브플레이트(14)의 사이에 끼이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3 실시예의 형태에 있어서의 오목부(145)의 일부가 격벽(133)의 가압영역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특개평 3-37378호 공보 또는 특개평 7-286581호 공보에 개시되는 것 같은 클러치레스 압축기에의 적용에도 적합하고, 클러치부착의 피스톤식 압축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것과 같이, 냉매가 통과하는 포트를 설치하는 밸브시트체상의 플래퍼밸브의 기단부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포트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복수의 상기 플레퍼밸브중의 적어도 2개씩에 1개의 오목부를 대응시켰기 때문에, 편지지된 플레퍼밸브에 의해서 개폐되는 냉매가 통과하는 포트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높일 수 있다.
냉매가 통과하는 포트를 설치하는 밸브시트체상의 상기 플래퍼밸브의 기단부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포트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플래퍼밸브를 기단부에서 밸브시트체상으로 누르는 가압체의 가압영역내에 상기 오목부를 넣게한 발명에서는, 플래퍼밸브의 기단부와 밸브시트체와의 사이에서 이물질 끼임의 방지효과가 크게 된다.
냉매가 통과하는 포트를 설치하는 밸브시트체상의 상기 플래퍼밸브의 기단부에서 폐쇄하고, 또한 상기 포트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밸브시트체를 관통하는 오목부를 설치한 발명에서는, 편지지된 플래퍼밸브에 의해서 개폐되는 냉매가 통과하는 포트에 있어서의 시일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5)

  1. 편지지된 플래퍼밸브에 의해, 냉매가 통과하는 포트를 개폐하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시트구조에 있어서, 상기 포트가 설치된 밸브시트체상에, 상기 플래퍼밸브의 기단부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포트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복수의 상기 플래퍼밸브 중 적어도 2개씩당 1개의 오목부를 대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시트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복수의 상기 플래퍼밸브의 전체에 대응하도록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시트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퍼밸브의 기단부를 밸브시트체상으로 누르는 가압체를 설치하고, 상기 오목부를 가압체의 가압영역내로 들어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시트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압축실과 토출실을 사이에 두는 밸브시트체상에 설치된 토출포트이고, 상기 플래퍼밸브는 상기 토출실측에서 토출포트를 개폐하는 토출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시트구조.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기는, 클러치를 통하는 일없이 외부구동원과 압축기의 회전축을 직결하고, 실린더보어내에 피스톤을 수용하고, 경사판을 수용하는 크랭크실내의 압력과 실린더보어내의 압력과의 상기 피스톤을 통한 차이에 따라서 경사판(斜版)의 경사각을 제어하는 클러치레스 압축기이고, 영이 아닌 토출용량을 가져오도록 경사판의 최소경사각을 규정하는 최소경사각 규정수단과, 압축기 외부의 외부냉매회로에서의 냉매순환을 정지하는 냉매순환 정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시트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순환 정지수단은, 상기 경사판의 경사운동에 근거하여 외부냉매회로에서 압축기의 흡입압 영역으로 냉매가스를 도입불능한 폐쇄위치와 도입가능한 개방위치로 전환하여 이동되는 차단(遮斷)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시트구조.
  7. 편지지된 플래퍼밸브에 의해, 냉매가 통과하는 포트를 개폐하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 시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포트가 설치된 밸브시트체상에 상기 플래퍼밸브의 기단부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포트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플래퍼밸브의 기단부를 밸브시트체상으로 누르는 가압체를 설치하고, 상기 오목부를 가압체의 가압영역내로 들어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시트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플래퍼밸브로부터 노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시트구조.
  9. 제7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압축실과 토출실을 사이에 두고 밸브시트체상에 설치한 토출포트이고, 상기 플래퍼밸브는 상기 토출실측에서 토출포트를 개폐하는 토출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시트구조.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압축기는, 클러치를 통하는 일없이 외부구동원과 압축기의 회전축을 직결하여, 실린더보어내에 피스톤을 수용하여 경사판을 수용하는 크랭크실내의 압력과 실린더보어내의 압력과의 상기 피스톤을 통한 차이에 따라서 경사판의 경사각을 제어하는 클러치레스 압축기이고, 영이 아닌 토출용량을 가져오도록 경사판의 최소경사각을 규정하는 최소경사각 규정수단과, 압축기외부의 외부냉매회로에서의 냉매순환을 정지하는 냉매순환 정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시트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순환 정지수단은, 상기 경사판의 경사운동에 근거하여 외부냉매회로에서 압축기의 흡입압영역으로 냉매가스를 도입불능인 폐쇄위치와 도입가능한 개방위치로 전환하여 이동되는 차단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시트구조.
  12. 편지지된 플래퍼밸브에 의해, 냉매가 통과하는 포트를 개폐하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시트구조에 있어서, 상기 포트가 설치된 밸브시트체상에, 상기 플래퍼밸브의 기단부에 대향하고 또한 상기 포트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밸브시트체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플래퍼밸브의 기단부에서 막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시트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퍼밸브의 기단부를 밸브시트체상으로 누르는 가압체를 설치하고, 상기 오목부를 가압체가 누르는 영역내로 들어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시트구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압축기는, 클러치를 통하는 일없이 외부구동원과 압축기의 회전축을 직결하고, 실린더보어내에 피스톤을 수용하고, 경사판을 수용하는 크랭크실내의 압력과 실린더보어내의 압력과의 상기 피스톤을 통한 차이에 따라서 경사판의 경사각을 제어하는 클러치레스 압축기이고, 영이 아닌 토출용량을 가져오도록 경사판의 최소경사각을 규정하는 최소경사각 규정수단과, 압축기외부의 외부냉매회로에서의 냉매순환을 정지하는 냉매순환 정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시트구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순환 정지수단은, 상기 경사판의 경사운동에 근거하여 외부냉매회로에서 압축기의 흡입압영역으로 냉매가스를 도입불능인 폐쇄위치와 도입가능한 개방위치로 전환하여 이동되는 차단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시트구조.
KR1019970009132A 1996-03-19 1997-03-18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 시트 구조 KR100235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9596A JPH09256947A (ja) 1996-03-19 1996-03-19 圧縮機における弁座構造
JP96-063095 1996-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6087A KR970066087A (ko) 1997-10-13
KR100235509B1 true KR100235509B1 (ko) 1999-12-15

Family

ID=13219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132A KR100235509B1 (ko) 1996-03-19 1997-03-18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 시트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90878A (ko)
JP (1) JPH09256947A (ko)
KR (1) KR100235509B1 (ko)
CN (1) CN1080386C (ko)
DE (1) DE19711272C2 (ko)
FR (1) FR2746455B1 (ko)
TW (1) TW36155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1720A (ja) * 2000-07-06 2002-01-23 Toyota Industries Corp 容量可変型圧縮機の制御弁
JP2002266759A (ja) * 2001-03-12 2002-09-18 Toyota Industries Corp 圧縮機
JP2003028059A (ja) * 2001-07-13 2003-01-29 Toyota Industries Corp 可変容量型圧縮機における容量制御用絞り構造
JP5478577B2 (ja) 2011-09-27 2014-04-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KR101751093B1 (ko) * 2013-04-08 2017-06-29 학교법인 두원학원 압축기
DE102021125838A1 (de) 2021-10-05 2023-04-06 Solo Kleinmotoren Gmbh Kolben-Hochdruckpumpe mit kleinem Fördervolume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8042902A0 (it) * 1980-01-23 1980-01-23 Necchi Spa Miglioramenti ad un sistema di valvole in motocompressori incapsulati.
DE3134976A1 (de) * 1981-09-04 1983-03-17 Wabco Westinghouse Fahrzeugbremsen GmbH, 3000 Hannover Ventilplatte fuer verdichter
JPH0337378A (ja) * 1989-06-30 1991-0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クラッチレスコンプレッサ
DE8912758U1 (ko) * 1989-10-27 1989-12-07 Poska, Albertas-Ionas Antanovic
US5044892A (en) * 1990-03-05 1991-09-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Swash plate compressor lubrication system
JPH087099Y2 (ja) * 1990-04-02 1996-02-2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圧縮機における騒音低減構造
JP2527097B2 (ja) * 1990-10-29 1996-08-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ピストン式圧縮機
US5143027A (en) * 1991-05-01 1992-09-01 Land & Sea, Inc. Reed valves for two stroke engines
KR930016656A (ko) * 1992-01-31 1993-08-26 도요다 가오루도시 왕복구동형 압축기
JP3503179B2 (ja) * 1994-04-15 2004-03-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クラッチレス片側ピストン式可変容量圧縮機
US5713725A (en) * 1994-05-12 1998-02-03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Clutchless piston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2932952B2 (ja) * 1994-12-07 1999-08-0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クラッチレス可変容量型圧縮機
KR100202784B1 (ko) * 1995-03-30 1999-06-15 이소가이 치세이 가변용량 압축기
JPH08270552A (ja) * 1995-03-30 1996-10-1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圧縮機
US5672053A (en) * 1995-04-03 1997-09-30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mpressor reed valve with valve plate cha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1492A (zh) 1998-01-28
JPH09256947A (ja) 1997-09-30
KR970066087A (ko) 1997-10-13
TW361558U (en) 1999-06-11
US5890878A (en) 1999-04-06
FR2746455B1 (fr) 2001-05-04
FR2746455A1 (fr) 1997-09-26
DE19711272A1 (de) 1997-10-30
DE19711272C2 (de) 1999-06-17
CN1080386C (zh) 200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5736B1 (ko) 가변용량형 압축기의 동작 제어시스템
US6149397A (en) Pressure pulsations reducing compressor
KR970004811B1 (ko) 무클러치 편측 피스톤식 가변 용량 압축기 및 그 용량 제어방법
KR100268317B1 (ko) 압축기의 축 밀봉구조
KR100203975B1 (ko) 캠 플레이트식 가변용량 압축기
KR100300817B1 (ko) 냉동회로
KR0167632B1 (ko) 클러치를 구비하지 않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
KR970007656B1 (ko) 클러치리스 가변 용량형 압축기
KR100302821B1 (ko) 가변용량압축기용제어밸브및그제조방법
KR20000011236A (ko) 가변용량형사판식압축기및용량제어밸브
KR20030076352A (ko) 압축기
KR100202784B1 (ko) 가변용량 압축기
KR970009845B1 (ko) 클러치 없는 편측 피스톤식 가변용량 압축기
KR100370749B1 (ko) 용량 가변형 압축기
KR970005980B1 (ko) 클러치 없는 단일면 피스톤식 가변용량 압축기
KR100212769B1 (ko) 변화가능한 용적형 압축기
KR100235508B1 (ko) 압축기의 윤활구조체
JP3050436B2 (ja) 往復動型圧縮機
KR100235509B1 (ko) 압축기에 있어서의 밸브 시트 구조
KR0139999B1 (ko) 클러치 없는 단방향 피스톤식 가변 용량 압축기
JP3587012B2 (ja) クラッチレス圧縮機
KR0146771B1 (ko) 클러치없는 단방향 피스톤식 가변용량 압축기
WO2005028865A1 (ja) 可変容量型クラッチレス圧縮機
JPH10141221A (ja) 可変容量圧縮機
JPH11294323A (ja) 可変容量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