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615A - 캐리어의가속도를제어하는직렬프린터 - Google Patents

캐리어의가속도를제어하는직렬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615A
KR19990077615A KR1019990007244A KR19990007244A KR19990077615A KR 19990077615 A KR19990077615 A KR 19990077615A KR 1019990007244 A KR1019990007244 A KR 1019990007244A KR 19990007244 A KR19990007244 A KR 19990007244A KR 19990077615 A KR19990077615 A KR 19990077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speed
control means
acceler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2059B1 (ko
Inventor
스즈키히사오
이시이히로모토
오다아키라
후루야에이이치
Original Assignee
구보 마쯔오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39740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7761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구보 마쯔오,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보 마쯔오
Publication of KR19990077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18Character-spacing or back-spacing mechanisms; Carriage return or release devices therefor
    • B41J19/20Positive-feed character-spacing mechanisms
    • B41J19/202Drive control means for carriage movement

Landscapes

  • Character Spaces And Line Spaces In Printers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 Impact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취한 문자 신호에 따라 매체상에 인쇄 문자를 형성하는 인쇄 헤드(4)와, 이 인쇄 헤드를 탑재하여 주행 방향으로 인쇄 불가능 영역과 인쇄 가능 영역(V)에 걸쳐 주행시키는 캐리어(3)와, 이 캐리어의 주행 속도를 감시하여 적어도 그 인쇄 가능 영역(V)에 있어서 속도 변동량의 억제를 수반하면서 그 캐리어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갖는 직렬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캐리어의 가속도를 제어하는 직렬 프린터{SERIAL PRINTER WHICH PROVIDES ACCELERATION CONTROL OF CARRIER}
본 발명은 인쇄 헤드를 탑재한 캐리어가 이동하면서 인쇄하는 직렬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직렬 프린터는 플래턴에 대향한 인쇄 헤드를 캐리어에 탑재하여, 이 캐리어를 구동하는 직류(DC) 모터로 구성되는 캐리어 모터를 구비하고, 이 캐리어 모터를 가속 및 감속 제어하여 플래턴을 따라 주주사(主走査) 방향으로 캐리어가 이동하면서 1라인마다 인쇄 출력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구체적으로는 1라인을 인쇄할 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인쇄 개시 위치까지 소정의 일정 속도(V0)가 되도록 미리 설정한 가속 데이터에 기초하여 캐리어 모터를 제어하여 캐리어를 가속(slow up)한다. 그리고 캐리어 모터가 일정 속도가 되면, 인쇄 헤드로부터의 인쇄 출력을 행한다. 그 후, 인쇄 출력이 종료되면, 미리 설정한 감속 데이터에 기초하여 캐리어 모터를 제어하여 캐리어를 감속(slow down)하며, 소정 위치에서 캐리어를 정지한다. 이러한 1라인마다의 인쇄 동작을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1 페이지의 인쇄가 종료된다.
근래에는 보다 고속으로 인쇄할 수 있는 프린터가 요구되고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직렬 프린터로 고속 인쇄를 실현하고자 하면, 인쇄 출력할 때의 캐리어 속도인 일정 속도(V0)를 높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일정 속도(V0)를 높게 하면 할수록 가속에 필요한 거리(가속 거리)와 감속에 필요한 거리(감속 거리)를 길게 두지 않으면 안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직렬 프린터에서는 캐리어가 인쇄 개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가속 제어를 종료하여 정속 제어로 이동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캐리어의 이동 범위(W)를 길게 둘 필요가 있어 결과적으로 프린터 장치 자체가 커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단거리에서 한 번에 가속과 감속을 행하도록 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덤핑이 발생하는 등과 같이 캐리어 속도의 변동이 생기고, 캐리어의 움직임이 좀처럼 안정되지 않아 인쇄한 화상이 흐트러지는 등 인쇄 결과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캐리어의 가속 제어중이나 감속 제어중에 인쇄를 행하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가속 제어중이나 감속 제어중에 덤핑이 발생하는 등과 같이 캐리어 속도의 변동이 생기게 되면, 인쇄한 화상이 흐트러지는 등 인쇄 결과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가속 제어중이나 감속 제어중에 캐리어 속도의 변동을 억제하여 그 가속 제어 및 감속 제어중에도 인쇄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캐리어의 이동 범위를 길게 하지 않고, 또한 인쇄 결과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고속으로 인쇄할 수 있는 직렬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와이어 도트 프린터의 플래턴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와이어 도트 프린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한 CPU가 행하는 인쇄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가속도 억제를 수반하는 캐리어 모터의 가속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속도 변동 제어를 수반하는 캐리어 모터의 감속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캐리어 속도와 엔코더의 출력 펄스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 제어로 인쇄 개시 위치 및 인쇄 종료 위치와 캐리어의 속도 제어 타이밍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CPU가 행하는 인쇄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하는 가속도 억제를 수반하지 않는 캐리어 모터의 가속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하는 감속도 억제를 수반하지 않는 캐리어 모터의 감속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 제어로 인쇄 개시 위치 및 인쇄 종료 위치와 캐리어의 속도 제어 타이밍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CPU가 행하는 인쇄 제어로서,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하는 가속도 억제를 수반하지 않는 캐리어 모터의 가속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쇄 제어로 인쇄 개시 위치 및 인쇄 종료 위치와 캐리어의 속도 제어 타이밍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종래의 직렬 프린터에 있어서의 인쇄 제어로 인쇄 개시 위치 및 인쇄 종료 위치와 캐리어의 속도 제어 타이밍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종래의 직렬 프린터에 있어서 캐리어 속도를 높인 경우의 캐리어 속도와 엔코더의 출력 펄스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캐리어
4 : 인쇄 헤드
6 : 캐리어 모터
7 : 엔코더
본 발명은 수취한 문자 신호에 따라 매체상에 인쇄 문자를 형성하는 인쇄 헤드(4)와, 그 인쇄 헤드를 탑재하여 주행 방향으로 인쇄 불가능 영역과 인쇄 가능 영역에 걸쳐 주행시키는 캐리어 수단(3)과, 그 캐리어 수단의 주행 속도를 감시하고, 적어도 그 인쇄 가능 영역에 있어서 속도 변동량의 억제를 수반하여 가속 및 감속을 행하여 그 캐리어 수단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11, 12, 13)을 갖는 직렬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구조에 의해, 종래와 같이 인쇄 불가능 영역에서 인쇄 헤드를 가속하여 일정 속도가 되면 인쇄 가능 영역에서 일정 속도로 인쇄를 한다고 하는 형태를 취하지 않고, 인쇄 가능 영역에서도 인쇄 헤드의 가속을 행하기 때문에, 인쇄 불가능 영역을 좁게 설정할 수 있다. 동일하게, 인쇄 영역에서도 인쇄 헤드의 감속을 행하기 때문에, 인쇄 불가능 영역을 좁게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적어도 인쇄 가능 영역에서는 인쇄 헤드의 가감 속도를 억제한 제어를 하기 때문에, 극단적인 가속, 감속에 의해 인쇄 품질이 저하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일정한 인쇄 품질을 유지한 채로, 소형 사이즈의 직렬 프린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와이어 도트 프린터에 적용한 경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 1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플래턴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플래턴(1)의 양단부는 회전 자유롭게 축받이되어 있다. 이 플래턴(1)을 따라 캐리어 축(2)을 설치하고, 이 캐리어 축(2)을 따라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캐리어(3)가 장착되어 있다. 캐리어(3)에는 와이어의 선단을 출납할 수 있는 구멍이 설치된 인쇄 헤드(4) 및 잉크 리본 카세트(5)가 탑재된다. 이 잉크 리본 카세트(5)의 잉크 리본은 인쇄 헤드(4)와 플래턴(1) 사이에 개재(介在)하도록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3)는 캐리어 축(2)을 따라 팽팽하게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캐리어 벨트에 장착되어 있다. 캐리어 축(2)의 일단에는 상기 캐리어 벨트를 통해 캐리어(3)를 캐리어 축(2)을 따라 이동시키는 캐리어 구동 수단으로서의 캐리어 모터(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캐리어 모터(6)는 직류(DC) 서보 모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캐리어 모터(6)에는 모터의 회전에 따라 펄스를 발생시키는 엔코더(7)가 장착되어 있다. 이 엔코더(7)의 출력 펄스를 후술하는 CPU에서 감시함으로써 캐리어(3)의 위치나 속도 변동을 검출한다.
또, 엔코더(7)로서는 캐리어 모터(6)측에 설치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아이들러 풀리(idller pulley)측에 설치한 것이어도 좋고, 또한 캐리어(3)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설치한 리니어 엔코더를 이용하여도 좋다.
상기 캐리어(3)는 도 1에 도시하는 일단측의 홈 위치로부터 타단측까지의 캐리어 이동 범위(W)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캐리어 이동 범위내에서, 인쇄 헤드(4)로부터의 인쇄 출력이 가능해지는 범위, 즉 인쇄 가능 범위(도 1에서는 인쇄 개시 위치로부터 인쇄 종료 위치까지의 범위를 나타냄)(V)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 인쇄 가능 범위내의 어느쪽의 위치로부터 실제로 인쇄 출력(도트 출력)이 개시되는지는 인쇄 데이터에 따라 다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도트 프린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제어부 본체를 구성하는 CPU(중앙 처리 장치)(11), CPU(11)가 각부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 등이 미리 격납된 ROM(read only memory)(12), 상기 CPU(11)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격납하기 위한 각종 메모리 영역 등이 기억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13), I/O 포트(14), 인터페이스(I/F)(15), 기계 컨트롤러(16)이다. 상기 CPU(11)와, ROM(12), RAM(13), I/O 포트(14), I/F(15), 기계 컨트롤러(16)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등의 버스 라인(17)을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기계 컨트롤러(16)에는 인쇄 헤드(4)를 구동하는 헤드 구동기(18), 캐리어(3)를 캐리어 축(2)을 따라 이동시키는 캐리어 모터(6)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기(19), 플래턴(1)을 피드시키는 피드 모터(21)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기(22), 용지의 선단을 검출하는 센서 등의 각종 센서(23), 상기 엔코더(7)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I/F(15)에는 통신 케이블 등을 통해 호스트 컴퓨터(2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I/O 포트(14)에는 오퍼레이터가 각종 조작을 행하는 조작 패널(25)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CPU(11)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인쇄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CPU(11)는 먼저 ST 1에서 인쇄 개시 위치 및 인쇄 종료 위치를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도 1에 도시하는 인쇄 가능 범위(V)가 결정된다. 계속해서, ST 2에서 정속 제어를 행하는 일정 속도(V0) 및 캐리어 정지 위치를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도 1에 도시하는 캐리어 이동 범위(W)가 결정된다.
다음에, ST 3에서 캐리어 모터(6)의 구동을 개시하고, ST 4에서 엔코더(7)의 출력에 기초하여 캐리어(3)가 인쇄 개시 위치까지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T 4에서 캐리어(3)가 인쇄 개시 위치까지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ST 5에서 가속도 억제를 수반하는 캐리어 모터(6)의 가속 제어를 행한다.
이 가속도 억제를 행하는 캐리어 모터(6)의 가속 제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 21에서 미리 설정한 가속 데이터에 기초하여 캐리어 모터(6)를 제어함으로써 캐리어 모터(6)를 가속하고, ST 22에서 엔코더(7)의 출력 펄스의 파형이 정상(덤핑이 발생하지 않는 순조로운 변화)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파형의 흐트러짐(turbulence)이 생기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캐리어 모터(6)의 가속이 순조로운 경우는 엔코더(7)의 출력 펄스의 폭이 서서히 변화하지만, 덤핑이 발생하면 예컨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코더(7)의 출력 펄스의 폭이 짧아지거나 길어지거나 하여 흐트러진다. 이 펄스폭의 흐트러짐을 검출함으로써 가속이 안정되고 있는지의 여부, 즉 덤핑이 발생하는 등과 같이 캐리어 속도의 변동이 생기지 않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으므로, 이것을 이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있어서 X1>X2>X3>X4 … >Xn을 충족시키는 경우는 엔코더(7)의 출력 펄스의 파형이 정상(캐리어 속도의 변동이 없음)이라고 판단하고,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는 엔코더(7)의 출력 펄스의 파형이 정상이 아니(캐리어 속도의 변동이 있음)라고 판단한다.
또한, ST 22에서 엔코더(7)의 출력 펄스의 파형이 정상이 아닌, 즉 캐리어 속도가 변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ST 23에서 캐리어 모터(6)의 가속량을 줄이고 ST 22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코더(7)의 출력 펄스의 폭이 서서히 짧아지는 안정한 가속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ST 22에서 엔코더(7)의 출력 펄스의 파형이 정상인, 즉 캐리어 속도가 변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도 3a 및 도 3b의 ST 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상기 ST 4에서 캐리어(3)가 인쇄 개시 위치까지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ST 6에서 인쇄 출력 제어를 개시한다. 즉, 호스트 컴퓨터(24)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1라인분의 인쇄 출력을 개시한다.
다음에, ST 7에서 캐리어 모터(6)의 속도가 일정 속도(V0)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T 7에서 일정 속도(V0)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ST 8에서 도 4에 도시하는 가속도 억제를 수반하는 캐리어 모터(6)의 가속 제어를 행하여 ST 7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ST 7에서 일정 속도(V0)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ST 9에서 그 일정 속도(V0)를 유지하도록 캐리어 모터(6)를 제어하는 정속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ST 10에서 캐리어(3)가 인쇄 종료 위치로부터 소정량만큼 앞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것은 감속 제어를 개시하는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판단이고, 인쇄 종료전에 감속 제어를 행하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어이다. 따라서, 인쇄 종료 위치로부터 어느 정도 앞에서 감속 제어를 행하게 할지는 안정된 감속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거리 등에 기초하여 결정할 필요가 있지만, 여기서는 그 일예로서 인쇄 데이터의 X개의 캐릭터만큼 앞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T 10에서 캐리어(3)의 위치가 인쇄 종료 위치로부터 X개의 캐릭터만큼 앞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ST 9의 처리로 되돌아가고, 인쇄 종료 위치로부터 X개의 캐릭터만큼 앞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ST 11에서 감속 억제를 수반하는 캐리어 모터(6)의 감속 제어를 행한다.
이 감속 억제를 수반하는 캐리어 모터(6)의 감속 제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 31에서 미리 설정한 감속 데이터에 기초하여 캐리어 모터(6)를 제어함으로써 캐리어 모터(6)를 감속하고, 캐리어 모터(6)의 가속 제어일 때에 동일하게 ST 32에서 엔코더(7)의 출력 펄스의 파형이 정상(덤핑이 발생하지 않는 순조로운 변화)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것에 의해, 덤핑이 발생하는 등과 같이 캐리어 속도의 변동이 생기지 않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ST 32에서 엔코더(7)의 출력 펄스의 파형이 정상이 아닌, 즉 캐리어 속도가 변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ST 33에서 캐리어 모터(6)의 감속량을 줄여 ST 32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캐리어 속도의 변동을 억제한 안정된 감속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ST 32에서 엔코더(7)의 출력 펄스의 파형이 정상인, 즉 캐리어 속도가 변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도 3a 및 도 3b의 ST 12의 처리로 이동한다.
즉 ST 12에서 캐리어(3)가 캐리어 정지 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T 12에서 캐리어 정지 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ST 11의 처리로 되돌아가고, 캐리어 정지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ST 13에서 캐리어 모터(6)를 반전 제어하여 캐리어(3)를 홈 위치로 되돌린다.
계속해서, ST 14에서 모든 인쇄가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T 14에서 모든 인쇄가 종료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ST 3의 처리로 되돌아가고, 모든 인쇄가 종료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이 인쇄 제어를 종료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1라인분의 인쇄를 행할 때, 캐리어 모터(6)의 가속 제어시에 엔코더(7)의 출력 펄스의 파형을 감시하고, 파형의 흐트러짐 등의 캐리어 속도의 변동을 검출하면 가속량을 줄임으로써 캐리어(3)의 순조로운 가속을 확보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속도가 일정 속도(V0)에 도달하기 전에 캐리어의 위치가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의 인쇄 개시 위치에 도달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문에, 캐리어 속도가 일정 속도(V0)에 도달하기 전, 즉 가속 제어중에 인쇄 출력 가능 상태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고속으로 인쇄를 행하도록 하여도 그것에 필요한 캐리어의 이동 범위를 길게 하지 않고, 캐리어(3)의 가속에 필요한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가속 제어중에는 안정된 속도 제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속 제어중에 인쇄 출력을 행하였다고 해도 인쇄 결과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고속으로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모터(6)의 감속 제어시에 있어서도 엔코더(7)의 출력 펄스의 파형을 감시하고, 파형의 흐트러짐 등의 캐리어 속도의 변동을 검출하면 감속량을 줄임으로써 캐리어(3)의 순조로운 감속을 확보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가 인쇄 종료 위치에 도달하기 전(X개의 캐릭터 이전)에 캐리어가 감속 제어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 때문에, 캐리어(3)의 감속 제어중에도 인쇄 출력 가능 상태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고속으로 인쇄를 행하도록 하여도 그것에 필요한 캐리어의 이동 범위를 길게 하지 않고, 캐리어(3)의 감속에 필요한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 감속 제어중에는 안정된 속도 제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감속 제어중에 인쇄 출력을 행하였다고 해도 인쇄 결과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고속으로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인쇄 품질을 유지하면서, 캐리어(3)의 이동 범위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프린터의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도 있고, 비용 저하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캐리어를 왕복으로 움질일 때에 인쇄 출력을 행하여 캐리어를 왕복으로 움질일 때에 인쇄 출력은 행하지 않고서 캐리어를 홈 위치로 되돌리는 한쪽 인쇄 제어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캐리어를 왕복으로 움직일 때 뿐만 아니라, 캐리어를 왕복으로 움직일 때에도 인쇄 출력을 행하는 쌍방향 인쇄 제어에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 도트 프린터뿐만 아니라, 열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등, 인쇄 헤드를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인쇄 출력을 행하는 프린터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와이어 도트 프린터에 적용한 경우의 제2 실시 형태를 도 8a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도트 프린터의 플래턴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와이어 도트 프린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는 각각 도 1,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들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것은, 제1 실시 형태가 캐리어(3)의 가속도 억제를 캐리어(3)의 가속 제어를 개시하고 나서 일정 속도(V0)에 도달할 때까지 행하는데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3)의 가속도 억제를 캐리어(3)가 인쇄 가능 범위(V)에 들어가고 나서 일정 속도(V0)에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에 행하도록 한 점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CPU(11)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인쇄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동 도면중의 ST 51 내지 ST 54의 처리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ST 1 내지 ST 4와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ST 54에서 캐리어(3)가 인쇄 개시 위치까지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ST 55에서 가속도 억제를 수반하지 않는 캐리어 모터(6)의 가속 제어를 행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속도의 변동을 감시하지 않고서 캐리어 모터(6)의 가속 제어만을 행한다.
여기서는, 아직 캐리어(3)가 인쇄 가능 범위(V)에 들어가 있지 않으므로 캐리어 속도의 변동 유무를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경우보다도 짧은 거리에서 가속 제어하도록 가속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 ST 56 내지 ST 60까지의 처리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ST 6 내지 ST 10까지와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ST 58의 처리는 가속도 억제를 행하는 캐리어 모터(6)의 가속 제어를 행한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ST 60에서 캐리어(3)의 위치가 인쇄 종료 위치로부터 X개의 캐릭터만큼 앞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ST 61에서 감속도 억제를 수반하는 캐리어 모터(6)의 감속 제어를 행한다. 즉, 도 5에 도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계속해서, ST 62에서 캐리어 위치가 인쇄 종료 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T 62에서 인쇄 종료 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ST 61의 처리로 되돌아가고, 인쇄 종료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ST 63에서 감속도 억제를 수반하지 않는 캐리어 모터(6)의 감속 제어를 행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속도의 변동을 감시하지 않고서, 캐리어 모터(6)의 감속 제어만을 행한다.
여기서는, 캐리어(3)가 인쇄 가능 범위(V)를 지나쳤으므로 캐리어 속도의 변동 유무를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경우보다도 짧은 거리에서 감속하도록 감속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ST 64에서 캐리어 위치가 캐리어 정지 위치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T 64에서 캐리어 정지 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ST 63의 처리로 되돌아가고, 캐리어 정지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ST 65에서 캐리어 모터(6)를 반전 제어하여 캐리어(3)를 홈 위치로 되돌린다.
이러한 구성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3)의 가속 제어시에 있어서는, 캐리어(3)를 구동 개시하고 나서 인쇄 가능 범위(V)에 들어갈 때까지는 가속도 억제를 수반하지 않는 가속 제어를 행하고, 인쇄 가능 범위(V)에 들어가고 나서 캐리어 속도가 일정 속도(V0)에 도달할 때까지는 가속도 억제를 수반하는 가속 제어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캐리어 속도의 변동 유무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 인쇄 개시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경우(도 11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냄)보다도 짧은 거리에서 가속 제어하도록 가속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 결과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보다 고속으로 인쇄를 행할 수 있으며, 캐리어의 이동 범위(W)보다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3)의 감속 제어시에 있어서도, 캐리어(3)가 인쇄 가능 범위(V)를 지나칠 때까지는 감속도 억제를 수반하는 감속 제어를 행하고, 인쇄 가능 범위(V)를 지나치면 캐리어 정지까지는 감속도 억제를 수반하지 않는 감속 제어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캐리어 속도의 변동 유무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 인쇄 종료 위치를 지나친 후에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경우보다도 짧은 거리에서 감속 제어하도록 감속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 결과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보다 고속으로 인쇄를 행할 수 있으며, 캐리어의 이동 범위(W)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와이어 도트 프린터에 적용한 경우의 제3 실시 형태를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도트 프린터의 플래턴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와이어 도트 프린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는 각각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CPU(11)가 행하는 인쇄 제어의 흐름도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8a 및 도 8b에 도하는 것과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인쇄 제어에 있어서,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다른 것은 제2 실시 형태가 ST 55에서 인쇄 가능 범위에 들어갈 때까지 행하는 가속도 억제를 수반하지 않는 캐리어 모터(6)의 가속 제어로서 캐리어(3)의 가속 제어만을 행하는데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ST 55에서 인쇄 가능 범위에 들어갈 때까지 행하는 가속도 억제를 수반하지 않는 캐리어 모터(6)의 가속 제어로서 캐리어 속도가 일정 속도(V0)보다도 낮은 속도로 미리 설정한 소정 속도(V1)까지 한 번에 가속하는 제어를 행하는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CPU(11)는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ST 54에서 캐리어(3)가 인쇄 개시 위치까지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ST 55에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가속도 억제를 수반하지 않는 캐리어 모터(6)의 가속 제어를 행한다. 즉, ST 71에서 미리 설정한 가속 데이터에 기초하여 캐리어 모터(6)의 가속을 행한다. 이 경우, 인쇄 개시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캐리어 속도가 소정 속도(V1)에 도달하도록 가속 데이터를 설정해 두면 된다.
계속해서, ST 72에서 캐리어 속도가 소정 속도(V1)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캐리어 속도가 소정 속도(V1)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ST 54의 처리로 되돌아가고, 캐리어 속도가 소정 속도(V1)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는 ST 73에서 캐리어(3)의 가속이 보다 안정된 상태로 인쇄 가능 범위(V)에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서, 가속량을 줄여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ST 5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캐리어 속도가 일정 속도(V0)보다도 낮은 속도로 미리 설정한 소정 속도(V1)까지 한 번에 가속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함으로써 캐리어 속도의 변동 유무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 인쇄 개시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캐리어(3)를 제2 실시 형태보다도 빠른 속도(V1)로 해 둘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경우보다도 더욱 짧은 거리에서 가속 제어하도록 가속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 결과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더욱 고속으로 인쇄를 행할 수 있으며 캐리어의 이동 범위(W)도 더욱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속도의 변동 유무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 인쇄 개시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캐리어(3)를 보다 빠른 속도(V1)로 해 둠으로써 제2 실시 형태의 경우보다도 더욱 빠르게 캐리어 속도를 일정 속도(V0)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1에 도시하는 가속도 제어를 수반하지 않는 가속 제어에 걸리는 구간을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속도(V0)를 유지하는 정속 제어를 행하는 구간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리어의 이동 범위를 길게 하지 않고, 인쇄 결과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고속으로 인쇄를 행할 수 있고, 또한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는 직렬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캐리어의 가속 제어시에 있어서, 캐리어가 인쇄 가능 범위(V)에 들어가고 나서 캐리어 속도가 일정 속도(V0)에 도달할 때까지는 가속도 억제를 수반하는 가속 제어를 행함으로써 캐리어 속도의 변동 유무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 인쇄 개시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는, 보다 짧은 거리에서 가속 제어하도록 가속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 결과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보다 고속으로 인쇄를 행할 수 있으며, 캐리어의 이동 범위(W)보다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의 감속 제어시에 있어서, 캐리어가 인쇄 가능 범위(V)를 지나칠 때까지는 감속도 억제를 수반하는 감속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캐리어 속도의 변동 유무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 인쇄 종료 위치를 지나친 후에는 보다 짧은 거리에서 감속 제어하도록 감속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 결과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고, 보다 고속으로 인쇄를 행할 수 있으며, 캐리어의 이동 범위(W)도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속도의 변동 유무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 인쇄 개시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캐리어를 보다 빠른 속도로 해 둠으로써 보다 빠르게 캐리어 속도를 일정 속도로 할 수 있으므로, 일정 속도를 유지하는 정속 제어를 행하는 구간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수취한 문자 신호에 따라 매체상에 인쇄 문자를 형성하는 인쇄 헤드(4)와;
    상기 인쇄 헤드를 탑재하여 주행 방향으로 인쇄 불가능 영역과 인쇄 가능 영역에 걸쳐 주행시키는 캐리어 수단(3)과;
    상기 캐리어 수단의 주행 속도를 감시하고, 적어도 상기 인쇄 가능 영역에서 속도 변동량의 억제를 수반하여 가속 및 감속을 행하여 상기 캐리어 수단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11, 12, 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캐리어 수단의 주행 속도를 감시하여 상기 캐리어 수단이 가속할 경우에 속도 변동을 검출했을 때 소정치 이하의 가속도가 되도록 가속도를 억제하고, 상기 인쇄 불가능 영역뿐 아니라 상기 인쇄 가능 영역에서도 가속을 행하여 일정 속도에 도달하면 그 속도를 유지하는 제2 제어 수단(11, 12, 13, 도 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프린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캐리어 수단의 주행 속도를 감시하여 상기 캐리어 수단이 일정 속도로부터 감속할 경우에 소정치 이하의 감속도가 되도록 감속도를 억제하고, 상기 인쇄 불가능 영역뿐 아니라 상기 인쇄 가능 영역에서도 감속을 행하는 제2 제어 수단(11, 12, 13, 도 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프린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캐리어 수단의 주행 속도를 감시하여 상기 인쇄 불가능 영역에서는 가속도 억제를 수반하지 않고 상기 캐리어 수단의 가속을 행하고, 상기 인쇄 가능 영역에서는 가속도 억제를 수반하여 상기 캐리어 수단의 가속을 행하여 일정 속도에 도달하면 그 속도를 유지하는 제2 제어 수단(11, 12, 13, 도 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프린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캐리어 수단의 주행 속도를 감시하여 상기 인쇄 가능 영역에서는 감속도 억제를 수반하여 상기 캐리어 수단의 감속을 행하고, 상기 인쇄 불가능 영역에서는 감속도 억제를 수반하지 않고 상기 캐리어 수단의 감속을 행하여 상기 캐리어 수단을 정지시키는 제2 제어 수단(11, 12, 13, 도 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프린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캐리어 수단의 주행 속도를 감시하여 상기 인쇄 불가능 영역에서는 가속도 억제를 수반하지 않고 상기 캐리어 수단의 가속을 행하고, 상기 인쇄 가능 영역에 들어가면 가속도 억제를 수반하여 상기 캐리어 수단의 가속을 행하여 일정 속도에 도달하면 그 속도를 유지하며, 그 후 소정 지점에 도달하면 감속도 억제를 수반하여 상기 캐리어 수단의 감속을 행하고, 상기 인쇄 불가능 영역에 들어가면 감속도 억제를 수반하지 않고 상기 캐리어 수단의 감속을 행하여 상기 캐리어 수단을 정지시키는 제2 제어 수단(11, 12, 13, 도 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프린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캐리어 수단의 주행 속도를 감시하여 상기 인쇄 불가능 영역에서는 소정 속도까지 가속도 억제를 수반하지 않고 상기 캐리어 수단의 가속을 행하고, 상기 소정 속도에 도달한 후에는 가속도 억제를 수반하여 상기 캐리어 수단의 가속을 행하며, 상기 인쇄 가능 영역에서는 가속도 억제를 수반하여 상기 캐리어 수단의 가속을 행하여 일정 속도에 도달하면 그 속도를 유지하는 제2 제어 수단(11, 12, 13, 도 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프린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캐리어 수단의 주행 속도를 상기 캐리어 수단을 구동하는 캐리어 모터에 동축의 엔코더가 출력하는 펄스에 의해 감시하여 적어도 상기 인쇄 가능 영역에 있어서 속도 변동량의 억제를 수반하여 상기 캐리어 수단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2 제어 수단(11, 12, 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프린터.
KR1019990007244A 1998-03-09 1999-03-05 캐리어의 가속도를 제어하는 직렬 프린터 KR100312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45898 1998-03-09
JP98-056458 1998-03-09
JP35903898A JP3579274B2 (ja) 1998-03-09 1998-12-17 シリアルプリンタ
JP98-359038 1998-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615A true KR19990077615A (ko) 1999-10-25
KR100312059B1 KR100312059B1 (ko) 2001-11-03

Family

ID=2639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244A KR100312059B1 (ko) 1998-03-09 1999-03-05 캐리어의 가속도를 제어하는 직렬 프린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39205A (ko)
EP (1) EP0941864B1 (ko)
JP (1) JP3579274B2 (ko)
KR (1) KR100312059B1 (ko)
CN (1) CN1105651C (ko)
DE (1) DE69903488T2 (ko)
SG (1) SG680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5850B2 (ja) * 1999-11-08 2005-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モータ制御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プリンタ
DE60000962T2 (de) * 2000-01-20 2003-08-28 Hewlett Packard Co Drucker mit Druckmodus zum nur in einer Richtung drucken
JP4174972B2 (ja) * 2001-02-09 2008-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位置決め制御方法
US7585123B2 (en) 2001-08-22 2009-09-0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N1304204C (zh) * 2001-08-22 2007-03-14 兄弟工业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
JP3814509B2 (ja) * 2001-10-01 2006-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モータの制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6935795B1 (en) 2004-03-17 2005-08-30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reducing the effects of printhead carrier disturbance during printing with an imaging apparatus
JP4572558B2 (ja) * 2004-03-30 2010-11-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US20050225626A1 (en) * 2004-03-31 2005-10-13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method, medium detection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printing apparatus
WO2008071055A1 (fr) * 2006-12-15 2008-06-19 Dandong Unik Textile Co., Ltd Appareil intelligent de commande d'impression sans eau et son procédé de commande
WO2009016328A1 (en) * 2007-07-27 2009-02-05 Quill Coding Solutions Limited Marking system with integrated linearity synchronisation
JP2010052417A (ja) * 2008-07-29 2010-03-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779896B2 (ja) * 2011-02-08 2015-09-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JP6003156B2 (ja) * 2012-03-30 2016-10-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58689B2 (ja) * 2015-09-10 2019-01-30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制御装置
WO2018146774A1 (ja) * 2017-02-09 2018-08-16 株式会社Fuji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フィーダ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9876A (ja) * 1981-10-07 1983-04-09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のキャリッジ制御装置
US4469460A (en) * 1982-09-30 1984-09-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trix printer with optimum printing velocity
JPS62173262A (ja) * 1986-01-27 1987-07-30 Oki Electric Ind Co Ltd シリアルドツトプリンタの印字制御方法
JPS6311374A (ja) * 1986-03-07 1988-01-18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のキヤリツジ制御方法
JPH0780330B2 (ja) * 1988-01-06 1995-08-30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リンタの印字ヘッド移動制御装置
US4827282A (en) * 1988-09-01 1989-05-02 Eastman Kodak Company Print head assembly acceleration control method
US5207520A (en) * 1989-10-03 1993-05-04 Seiko Epson Corp. Printer carriage acceleration control device
DE4107036A1 (de) * 1990-03-19 1991-09-26 Mannesmann Ag Verfahren zum schwingungsarmen anfahren des wagenantriebsmotors in druckeinrichtungen
JPH0557982A (ja) * 1991-09-02 1993-03-09 Canon Inc キヤリツジ駆動方法
JPH05338306A (ja) * 1992-06-11 1993-12-21 Fuji Xerox Co Ltd シリアルプリンタ
JPH06335275A (ja) * 1993-05-24 1994-12-02 Nec Corp 印字ヘッドキャリジ速度制御方式
JPH0725103A (ja) * 1993-07-15 1995-01-27 Canon Inc プリンタ装置及びプリント方法
US5627947A (en) * 1993-10-29 1997-05-06 Hewlett-Packard Company Variable-duration printer carriage motor acceleration method and apparatus
JPH07329388A (ja) * 1994-06-03 1995-12-19 Canon Inc 記録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3048110B2 (ja) * 1994-07-15 2000-06-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リアル・プリンタのキャリッジ制御装置
US5563591A (en) * 1994-10-14 1996-10-08 Xerox Corporation Programmable encoder using an addressabl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41864A3 (en) 2000-12-20
JPH11321005A (ja) 1999-11-24
KR100312059B1 (ko) 2001-11-03
US6139205A (en) 2000-10-31
JP3579274B2 (ja) 2004-10-20
EP0941864B1 (en) 2002-10-16
CN1236706A (zh) 1999-12-01
CN1105651C (zh) 2003-04-16
DE69903488T2 (de) 2003-03-20
DE69903488D1 (de) 2002-11-21
EP0941864A2 (en) 1999-09-15
SG68094A1 (en) 1999-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2059B1 (ko) 캐리어의 가속도를 제어하는 직렬 프린터
JP4497891B2 (ja) 記録装置と搬送制御装置
US6260945B1 (e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anning speeds of the recording head of such recording apparatus
US6618159B1 (en) Method of switching print modes of printing device
US20020054185A1 (en)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preliminary discharge control method
JP600315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69973A (ja) シリアルプリンタ及び同プリンタの主走査プロセスの制御方法
JPS63162258A (ja) プリント制御方式
JPS639556A (ja) 印字制御方式
US6196661B1 (en) Serial recording apparatus
JP2005199584A (ja) 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JP2000071540A (ja) シリアルプリンタ及びシリアル印刷方法
JP2002160412A (ja) 印字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3693134B2 (ja) 印字装置
JP2018001490A (ja) 記録装置
JPH10109452A (ja) シリアルプリンタ
JP2007044947A (ja) 記録装置
JP2002326421A (ja) 記録装置
JP4591646B2 (ja) 印字装置の制御装置
JPS6142630B2 (ko)
JP2003335011A (ja) 印字装置
JP2847906B2 (ja) 印字装置
JP3319500B2 (ja) インパクトワイヤ式シリアル記録装置
JP2007168259A (ja) プリンタの駆動制御方法
JP2001219612A (ja) シリアル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