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731A - 제동력 부스터 - Google Patents

제동력 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731A
KR19990076731A KR1019980704851A KR19980704851A KR19990076731A KR 19990076731 A KR19990076731 A KR 19990076731A KR 1019980704851 A KR1019980704851 A KR 1019980704851A KR 19980704851 A KR19980704851 A KR 19980704851A KR 19990076731 A KR19990076731 A KR 19990076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braking force
valve body
electromagne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8263B1 (ko
Inventor
카알스 만프레드
엑커트 알프레드
베르트홀트 토마스
보그트 미카엘
크레센 크리스토프
Original Assignee
아이티티 오토모티브 유럽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티티 오토모티브 유럽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이티티 오토모티브 유럽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19990076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2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in vacuum systems or vacuum boost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피스톤(9)을 이동시키는 작동 요소(7)와는 무관하게 전자석(20)에 의해 제어 밸브(12)가 작동될 수 있고, 그 전자석(20)이 작업실(3)을 환기시킬 수 있는 제3 밀봉 시트(24)를 작동시키는 형태의 자동차용 제동력 부스터에 관한 것이다. 전자석(20)의 앵커(31), 제3 밀봉 시트(24)를 지지하는 슬리브(32) 및 제어 밸브(12)의 밸브체(10)에 의해 형성되는 힘 소비 시스템의 특성 곡선을, 특히 압력 해제 구간에서 외부로부터 작동될 수 있는 제동력 부스터의 제어 밸브(12)의 구조적 변경에 의해 용이하게 안정화시키기 위해, 압력 해제상태에서 제3 밀봉 시트(24)가 밸브체(10)로부터 반전 이동하는 중에 작업실(3)과 진공실(4)과의 사이의 제어된 공압 평형을 이룰 수 있거나, 전자석(20)에 의해 인가되는 힘을 저하시킬 수 있는 수단(36, 37, 39)이 마련된다.

Description

제동력 부스터
전술한 형태의 제동력 부스터 및 그 제동력 부스터를 제동 압력 제어에 사용하는 것은 독일 공개 특허 제43 24 205호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사용 목적을 위해서는, 위치 제어기가 행정 기록기의 신호를 공급받아서 힘 소비 특성 곡선(consumer characteristic curve)의 극심한 불안정화를 저지함으로써 슬리브의 위치를 제어하게 되는데, 이러한 위치제어는 위치 제어기가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류를 안정된 슬리브의 위치가 제공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위치 제어기에 선행하여 압력 제어기가 접속되는데, 그 압력 제어기의 출력 신호는 기준 상태의 위치 제어기의 목표치 위치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이동벽에 의해 진공실과 작업실로 내부 공간이 분할되는 부스터 하우징 및 이동벽을 지지하고 내부에 제어 밸브가 배치되는 제어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밸브는 이동벽에 작용하는 공압차를 제어하고, 밸브 피스톤의 사용 하에 작동 로드에 의해 작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 로드와는 무관하게 밸브 피스톤에 고정 연결된 전자석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서로 동심적으로 배치된 3개의 밀봉 시트 및 이 밀봉 시트와 연동하는 밸브체로 구성되며; 제어 하우징내에는 제1 밀봉 시트가 형성되고, 밸브 피스톤에는 제2 밀봉 시트가 형성되는 반면에, 전자석과 연동하는 슬리브에는 제3 밀봉 시트가 형성되는 형태의 자동차용 공압 제동력 부스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연관하여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비작동 준비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력 부스터의 실시예의 부분 절취된 종단면도.
도 2a 내지 도 2d는 각각 정지 상태, 압력 형성 상태, 압력 유지 상태 그리고 압력 해제상태에 있는 도 1에 따른 제동력 부스터의 제어 밸브의 제1 실시예의 확대도.
도 3은 제어된 압력 해제상태에 있는 도 1 에 따른 제동력 부스터의 제어 밸브의 제2 실시예의 확대도.
도 4a 및 도 4b는 제어된 압력 해제 상태에 있는 도 1에 따른 제동력 부스터의 제어 밸브의 제3 및 제4 실시예의 확대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동력 부스터에서의 전자석과 제어 밸브와의 함수 관계 또는 전자석에 의해 인가된 힘 FEM및 슬리브에 소비되는 힘과 슬리브에 의해 진행된 행정 SH와의 상호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작동될 수 있는 제동력 부스터의 제어 밸브를 구조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압력 해제 구간에서의 힘 소비 특성 곡선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조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전술된 비용 집약적인 위치 제어기 및 그에 필요한 센서 장치가 생략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압력 해제 상태에서 제3 밀봉 시트가 밸브체로부터 반전 이동하는 중에 작업실과 진공실과의 사이에 제어된 공압 평형을 이룰 수 있거나 전자석에 의해 인가되는 힘을 저하시킬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제3 밀봉 시트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 링이 마련되고, 그 링은 탄성 요소 또는 압축성 요소를 매개로 슬리브에 지지되고 밸브체쪽을 향한 연부 구역에서 반경 방향 틈새를 구비하며 해제 상태에서 제3 밀봉 시트에 비해 축방향으로 밸브체쪽으로 떨어져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구성에 따르면, 밸브체는 제3 밀봉 시트와의 접촉 구역에 반경 방향 개구부가 마련된 추가의 환형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선택적인 구성에 따르면, 제3 밀봉 시트는 예컨대 파형의 밀봉 연부로서 형성될 수 있는 축방향 절결부 또는 축방향 오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성은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의 종속항들에 개시되어 있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진공 제동력 부스터의 단지 개략적으로만 도시된 부스터 하우징(1)은 축방향 이동벽(2)에 의해 작업실(3)과 진공실(4)로 분할된다. 축방향 이동벽(2)은 박판으로서, 디프드로잉된 박막판(8)과 그 위에 놓인 가요성 박막(18)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가요성 박막(18)은 도시 되지 않은 박막판(8)의 외연부와 부스터 하우징(1)과의 사이에서 밀봉체로서 롤 박막을 형성한다.
작동 로드(7)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제어 밸브(12)는 부스터 하우징(1) 속에서 밀봉된 채 안내되고 이동벽(2)을 지지하는 제어 하우징(5) 속에 수용되며, 제어 하우징(5)에 형성된 제1 밀봉 시트(15)와, 작동 로드(7)에 연결되는 밸브 피스톤(9)에 형성된 제2 밀봉 시트(16) 그리고 상기 2개의 밀봉 시트(15, 16)와 연동하고 제어 하우징(5) 속에 밀봉되어 배치된 안내 부재(21) 속에서 안내되는 환형 밸브체(10)로 이루어지며, 그 환형 밸브체(10)는 안내 부재(21)에 지지되는 밸브 스프링(22)에 의해 밸브 시트(15, 16)에 맞대어 압축된다. 작업실(3)은 제어 하우징(5) 속에 연장된 측방 채널(28)을 경유하여 진공실(4)에 접속된다.
제동력은 단부측에서 제어 하우징(5)에 접하는 고무 탄성체의 반동 원판(6) 및 헤드 플랜지(23)를 구비한 압력 로드(14)를 경유하여 도시 되지 않은 브레이크 장치의 주 실린더의 작동 피스톤에 전달되는데, 주 실린더는 부스터 하우징의 진공측 반쪽부에 장착된다.
부스터 하우징(1)의 진공측 단부벽에 지지되는, 첨부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복원 스프링(26)은 이동벽(2)을 도시된 출발 위치로 유지시킨다. 또한, 일측으로 작동 로드(7)에 간접적으로 지지되고 타측으로 안내 부재(21)에 지지되는 제2 압축 스프링 또는 피스톤 로드 복원 스프링(27)이 마련되는데, 그 스프링(27)의 힘은 밸브 피스톤(9) 또는 그 밀봉 시트(16)를 밸브체(10)쪽으로 편향시키게 된다.
제어 밸브(12)가 작동될 때에 작업실(3)이 대기와 연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제어 하우징(5)에는 대략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채널(29)이 형성된다. 그 경우, 제동 과정의 말기에서의 밸브 피스톤(9)의 복원 이동은 첨부 도면에 도시된 진공 제동력 부스터의 해제 상태에서 부스터 하우징(1)에 형성된 스토퍼(38)에 접하는 횡방향 부재(11)에 의해 한정된다.
첨부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밸브체(10)는 2개의 밀봉 시트(15, 16)와 연동하는 환형 밀봉면(44)을 추가로 구비하는데, 그 밀봉면(44)은 금속제의 보강 원판(45)에 의해 보강되고 다수의 축방향 통로(19)를 구비한다. 또한, 밸브체(10)는 반경 방향의 내측에 형성된 밀봉 립(13) 및 반경 방향의 외측에 형성된 제2 밀봉 립(41)을 구비하는데, 그들 밀봉 립(13, 41)은 밸브체(10)가 제어 하우징 (5) 속에 조립된 상태에서 밸브체(10)를 안내하는 전술된 안내 부재(21)에 밀봉된 채 접하여 제어 하우징(5) 속에 공압 공간(17)을 형성한다. 밀봉면(44)에 있는 통로(19) 및 개구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세하게 도시 되지 않은 흐름 채널은 공압 공간(17)을 밀봉 시트(15, 16)에 의해 한정되는 환형 공간(43)과 연통시키고, 그 환형 공간(43)과는 공압 채널(29)이 연통되며, 그에 따라 밀봉면(44)의 반대쪽을 향한 밸브체(10)의 측면에 형성된 공압 공간(17)이 항상 작업실(3)과 연통되어 밸브체(10)에서 압력 평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술된 배열에 의해 제동력 부스터의 반응력과 밸브 피스톤에 작용하는 복원력과의 차이가 감소될 수 있는데, 그 의미는 일정한 반응력에서 복원력의 상승이 가능하거나 일정한 복원력에서 반응력의 감소가 가능하고, 그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제동력 부스터의 이력 현상의 개선이 이루어진다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동력 부스터를 작동 로드(7)와는 무관하게 외부로부터 작동시키기 위해, 반경 방향으로 제1 밀봉 시트(15)와 제2 밀봉 시트(16)와의 사이에 전자석(20)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제3 밀봉 시트(24)가 마련되는데, 그러한 전자석(20)은 밸브 피스톤(9)에 고정 연결된 하우징(25) 속에 배치되어 밸브 피스톤(9)과 함께 제어 하우징(5) 속에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석(20)은 하우징(25)의 내부에 배치된 스풀(46) 및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 원통형 앵커(31)로 이루어지고, 그 원통형 앵커(31)의 일부는 하우징(25)을 폐쇄하는 폐쇄 부재(30) 속에서 안내되고 전술된 제3 밀봉 시트(24)에 연결되는 슬리브(32)에 지지된다. 밸브 피스톤(9)과 슬리브(32)와의 사이에는 앵커(31)를 그 출발 위치로 유지시키는 압축 스프링(40)이 배치되는데, 그러한 출발 위치에서는 제3 밀봉 시트(24)가 밸브 피스톤(9)에 형성된 제2 밀봉 시트(16)에 대해 축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기 때문에 제3 밀봉 시트(24)와 밸브체(10)의 밀봉면(44)과의 사이에 틈새가 존재하게 된다. 그 경우,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으로 슬리브(32)에 맞물리는 링(36)이 마련되는데, 그 링(36)은 탄성 요소 또는 압축성 요소(37)를 매개로 슬리브(32)에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 슬리브(32)에 형성된 스토퍼(51)(도 2 참조)에 접하며, 그에 따라 링(36)과 슬리브(32)와의 사이의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경우, 링(36)의 폭은 밸브체(10)쪽을 향한 링(36)의 연부 구역과 밀봉면(44)과의 간격이 밀봉면(44)과 제3 밀봉 시트(24)와의 사이의 간격보다 더 작게 되도록 설계된다. 전술된 연부 구역은 축방향 틈새(39)를 구비한다. 제어 하우징(5) 속에서 안내되는 폐쇄 부재(30)는 전동 원판(33)에 의해 전술된 반동 원판(6)에 접하고, 작동 로드(7)에 도입된 입력을 반동 원판(6)에 전달할 수 있다.
끝으로,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동력 부스터의 실시예에서는 전기 접속 수단(47, 48)이 마련되는데, 그러한 접속 수단(47, 48)은 운전자의 작동에 추가하여 전자석(20)이 작동되어 운전자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완전한 제동이 이루어지는 제동 과정(소위, 제동 보조 기능)에서 특히 중요하다. 그 경우, 각별히 중요한 것은 모든 제동 과정에서 접속 수단(47, 48)이 작동되는 것이다. 동시에, 외부로부터 힘을 보조받는 제동 과정이 종료된 후에 전자석(20)과의 접속이 확실히 해제되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도시된 접속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밸브 피스톤(9)에 또는 전자석(20)의 하우징(25)에 고정되고 2개의 접속 위치를 나타내는 마이크로스위치(47) 및 병진 운동에 의해 마이크로스위치(47)를 작동시키는 작동 요소(48)로 이루어지는데, 그 작동 요소(48)는 제어 하우징(5)에 마련된 구멍 속에서 밀봉된 채 안내되고, 부스터 하우징에 고정되는, 예컨대 부스터 하우징의 후방 반쪽부의 반경 방향 칼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도면 부호 49로 지시된 스토퍼와 연동한다. 작동 요소(48)와 제어 하우징(5)과의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50)이 배치되어 마이크로스위치(47)의 반대쪽을 향한 작동 요소(48)의 단부가 편향된 상태로 스토퍼(49)에 접하게 된다.
외부로부터 전자석(20)에 의해 제어 밸브(12)를 작동시킬 때의 제어 밸브(12)의 각각의 작동 단계를 도 2로부터 알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제어 밸브(12)의 정지 상태 또는 준비 상태에서는 밸브체(10)가 제1 밀봉 시트(15) 및 제2 밀봉 시트(16)에 모두 접하기 때문에 제동력 부스터의 작업실 및 진공실(3, 4)이 서로 분리되고 작업실(3)의 대기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도 1과 연관하여 전술된 링(36)의 연부 구역과 제3 밀봉 시트(24)는 밸브체(10)의 밀봉면(44)으로부터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도 2b에 도시된 압력 형성 상태에 진입하기 위해, 전자석(20)에 전류가 흘러서 제3 밀봉 시트(24) 및 링(36)이 먼저 탄성 요소(37)의 압축과 동시에 밸브체(10)에 접하게 되고, 이어서 밸브체(10)를 밸브 스프링(22)(도 1 참조)의 힘에 대항하여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시키며, 그에 따라 제2 밀봉 시트(16)와 밸브체(10)와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고 작업실(3)의 환기가 이루어진다.
도 2c에 도시된 압력 유지 상태에서는 제2 밀봉 시트(16) 및 제3 밀봉 시트(24)가 폐쇄되어 부스터 하우징에 유포된 공압의 변동이 발생되지 않는다.
끝으로, 도 2d는 제어된 압력 해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러한 압력 해제 상태에서는 제2 밀봉 시트(16)가 폐쇄된 채 유지되고 제3 밀봉 시트(24)가 밀봉면(44)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반면에 링(36)의 연부 구역이 탄성 요소(37)의 편향에 의해 밀봉면(44)에 접하기 때문에, 압력 해제의 시초에 슬리브(32)의 단부 구역에 의해 부분적으로 차폐되었던 전술된 틈새(39)를 경유하여 작업실(3)로부터 계량된 양의 공기가 흡인됨으로써 공압 제동력 부스터의 하우징(1)에 설정된 공압의 해제가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슬리브(32)와 링(36)의 사이에 탄성 요소(137)가 경화되어 연결되고, 그에 따라 도 1 내지 도 2와 연관하여 전술된 스토퍼(51)가 생략될 수 있다.
도 4a는 공지의 슬리브(132)를 구비하고 그 슬리브(132)의 밀봉 시트(124)가 변경된 밸브체(110)와 연동하는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밸브체(110)는 제3 밀봉 시트(124)와의 접촉 구역에서 반경 방향 개구부(53)가 마련된 추가의 환형면(52)을 구비하는데, 그 개구부(53)는 압력 해제 상태에서 제3 밀봉 시트(124)가 밸브체(11)의 재료 속으로 압입되는 것에 의해 폐쇄된다. 정량적으로 이루어지는 압력 해제는 슬리브(132)가 복원 이동할 때에 제3 밀봉 시트(124)가 밸브체(110)와의 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개방하기 전에, 개구부(53)를 연속적으로 개방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끝으로, 도 4b는 공지의 슬리브(232)를 구비하고 그 슬리브(232)의 제3 밀봉 시트(224)를 형성하는 연부 구역이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의 밀봉 연부로서 형성될 수 있는 축방향 절결부 또는 오목부(54)를 구비하는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3 밀봉 시트(224)는 밸브체(210)의 고무 재료 상에 끼워질 때에 오목부(54)의 축방향 경계부가 고무에 접촉하여 완전한 밀봉이 형성되도록 고무 재료 속에 압입되기 전까지는 밀봉되지 않은 채 유지된다. 정량적으로 이루어지는 압력 해제는 슬리브(232)가 복원 이동할 때에 제3 밀봉 시트(224)가 밸브체(210)와의 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개방하기 전에 오목부(54)를 연속적으로 개방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예시된 외부로부터 작동될 수 있는 제동력 부스터의 기능은 도 5에 도시된 힘/행정 특성 곡선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다. 그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면 부호 I1, I2및 I3로 지시된 추이 곡선은 3개의 전류치로 전자석(20)을 작동할 때의 전자석(20)의 3개의 상이한 힘/행정 특성 곡선을 나타낸다. 도면 부호 Ⅱ로 지시된 추이 곡선은 전자석(20)의 앵커(31), 슬리브(32), 밸브체(10) 및 전술된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는 힘 소비 시스템의 동향을 나타낸 것이다. 특성 곡선 Ⅱ의 제1 구간(AB)은 제3 밀봉 시트(24)가 밸브체(10)의 밀봉면(44)에 접촉하기 전에 그 힘이 극복되어야 하는, 슬리브(32)와 밸브 피스톤(9)과의 사이의 상대적으로 약한 압축 스프링(40)의 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제2 구간(BC)은 전자석(20)에 의해 인가되는 힘이 증가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데, 그러한 증가되는 힘에 의해 특성 곡선 Ⅱ와 추이 곡선 I2와의 교점(C)에서 제3 밀봉 시트(24)와 밀봉면(44)과의 접촉이 이루어질 때까지 링(36)의 연부 구역이 밀봉면(44)의 재료 속에 압입된다. 제3 구간(CD)에서는 밸브체(10)가 밸브 스프링(22)의 힘에 대항하여 이동되는 동시에 링(36)의 연부 구역 뿐 아니라 제3 밀봉 시트(24)가 지점(D)에서 제2 밀봉 시트(16)의 개방 및 그에 따른 압력 해제가 시작될 때까지 밀봉면(44) 속으로 압입된다. 추가로 슬리브(32)가 이동될 때에는 제2 밀봉 시트(16)와 밀봉면(44)의 사이에 일정한 틈새가 설정되어 작업실(3)에 유포되는 공압 의 구배가 일정하게 조절된다. 원하는 압력치에 도달된 경우, 전자석(20)에 공급되는 전류가 저하되어 슬리브(32)가 복원 이동된다. 전자석(20)에 공급되는 전류가 예컨대 I1으로 저하되고 제2 밀봉 시트(16) 및 제3 밀봉 시트(24)가 모두 폐쇄되는 구간(DC)에서는 도 2c에 도시된 공압 유지 상태가 이루어진다. 전류가 I2로 더욱 저하되면, 슬리브(32)는 지점(C)에서 압력 해제 단계(도 2d 참조)가 개시될 때까지 링(36)과 함께 복원 이동된다. 구간 (CB)에서 전류가 예컨대 I3로 더욱 저하될 경우, 제3 밀봉 시트(24)와 밀봉면(44)과의 사이의 간격은 더욱 커지고, 링(36)의 연부 구역은 탄성 요소(37)의 작용 하에 밀봉면(44)에 접하게 된다. 구간(CB)은 힘 소비 시스템이 전자석(20)에 공급되는 전류치의 I1과 I2와의 사이에서의 변동에 의해 안정되게 조절되는 구간, 즉 링(36)의 연부 구역을 매개로 제3 밀봉 시트(24)와 밸브체(10)의 밀봉면(44)과의 사이에 일정한 틈새가 설정되어 작업실(3)에 유포되는 공압 압력의 구배가 일정하게 조절될 수 있는 구간에 해당한다. 그러한 구간에서, 힘 소비 특성 곡선 Ⅱ는 전류치 I2와 I3와의 사이에 있는 전자석(20)의 힘/행정 특성 곡선에서보다 더 큰 경사도를 나타낸다. 링(36)의 연부 구역이 밸브체(10)의 밀봉면(44)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지점에 해당하는 힘/행정 특성 곡선 I3와 힘 소비 특성 곡선 Ⅱ와의 교점(B)은 동시에 안정 구간과 불안정 구간과의 사이의 전이 지점을 나타낸다.
<도면 부호의 설명>
1 : 부스터 하우징
2 : 이동벽
3 : 작업실
4 : 진공실
5 : 제어 하우징
6 : 반동 원판
7 : 작동 로드
8 : 박막판
9 : 밸브 피스톤
10 : 밸브체
11 : 횡방향 부재
12 : 제어 밸브
13, 41 : 밀봉 립
14 : 압력 로드
15, 16, 24 : 밀봉 시트
17 : 공간
18 : 롤 박막
19 : 통로
20 : 전자석
21 : 안내 부재
22 : 밸브 스프링
23 : 헤드 플랜지
25 : 하우징
26 : 복원 스프링
27 : 피스톤 로드 복원 스프링
28, 29 : 채널
30 : 폐쇄 부재
31 : 앵커
32 : 슬리브
33 : 전동 원판
34 : 판 스프링
35 : 접촉면
36 : 링
37 : 탄성 요소 또는 압축성 요소
38, 49, 51 : 스토퍼
39 : 틈새
40, 50 : 스프링
42 : 전방 부재
43 : 환형 공간
44 : 밀봉면
45 : 보강 원판
46 : 스풀
47 : 마이크로스위치
48 : 작동 요소
52 : 환형면
53 : 개구부
54 : 절결부 또는 오목부

Claims (8)

  1. 이동벽에 의해 진공실과 작업실로 내부 공간이 분할되는 부스터 하우징 및 이동벽을 지지하고 내부에 제어 밸브가 배치되는 제어 하우징을 구비하고; 제어 밸브는 이동벽에 작용하는 공압차를 제어하고, 밸브 피스톤의 사용 하에 작동 로드에 의해 작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 로드와는 무관하게 밸브 피스톤에 고정 연결된 전자석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서로 동심적으로 배치된 3개의 밀봉 시트 및 이 밀봉 시트와 연동하는 밸브체로 구성되며; 제어하우징 내에는 제1 밀봉 시트가 형성되고, 밸브 피스톤에는 제2 밀봉 시트가 형성되는 반면에, 전자석과 연동하는 슬리브에는 제3 밀봉 시트가 형성되는 자동차용 제동력 부스터에 있어서,
    압력 해제상태에서 제3 밀봉 시트(24)가 밸브체(10)로부터 반전 이동하는 중에 작업실(3)과 진공실(4)과의 사이의 제어된 공압 평형을 이룰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제동력 부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제3 밀봉 시트(24)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링(36)이 마련되고, 그 링(36)은 탄성 요소 또는 압축성 요소(37)를 매개로 슬리브(32)에 지지되며, 밸브체(10)쪽을 향하는 링(36)의 연부 구역은 반경 방향 틈새(39)를 구비하고 압력 해제상태에서 제3 밀봉 시트(24)에 비해 밸브체(10)쪽으로 축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력 부스터.
  3. 제2항에 있어서, 링(36)은 반경 방향으로 제3 밀봉 시트(24)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력 부스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링(36)은 정지 상태에서 슬리브(32)에 형성된 스토퍼(51)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력 부스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탄성 요소(37)는 슬리브(32) 및 링(36)에 모두 경화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력 부스터.
  6. 제1항에 있어서, 밸브체(10)는 제3 밀봉 시트(24)와의 접촉 구역에서 반경 방향 개구부(53)가 마련된 추가의 환형면(5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력 부스터.
  7. 제1항에 있어서, 제3 밀봉 시트(224)는 축방향 절결부(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력 부스터.
  8. 제7항에 있어서, 제3 밀봉 시트(224)는 파형의 밀봉 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력 부스터.
KR10-1998-0704851A 1995-12-23 1996-11-29 브레이크부스터 KR1004882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48705A DE19548705A1 (de) 1995-12-23 1995-12-23 Bremskraftverstärker
DE19548705.2 1995-12-23
PCT/EP1996/005285 WO1997023374A1 (de) 1995-12-23 1996-11-29 Bremskraftverstär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731A true KR19990076731A (ko) 1999-10-15
KR100488263B1 KR100488263B1 (ko) 2005-12-16

Family

ID=7781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851A KR100488263B1 (ko) 1995-12-23 1996-11-29 브레이크부스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227099B1 (ko)
EP (1) EP0866758B1 (ko)
JP (1) JP3977424B2 (ko)
KR (1) KR100488263B1 (ko)
CN (1) CN1087245C (ko)
AU (1) AU1190397A (ko)
CZ (1) CZ288970B6 (ko)
DE (2) DE19548705A1 (ko)
HU (1) HUP9903796A3 (ko)
WO (1) WO19970233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731B1 (ko) * 2000-02-25 2007-03-20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진공 제동력 부스터의 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44111C1 (de) * 1997-10-06 1998-10-22 Lucas Ind Plc Elektronisch steuerbarer Bremskraftverstärker
DE19817326A1 (de) 1998-04-18 1999-10-2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m Verkürzen des Bremsgeweges
JP2002137726A (ja) * 2000-10-31 2002-05-14 Tokico Ltd ブレーキ倍力装置
FR2824033B1 (fr) * 2001-04-26 2003-08-08 Bosch Gmbh Robert Servomoteur pneumatique d'assistance de freinage avec dynamique d'assistance amelioree
JP2003095085A (ja) * 2001-09-25 2003-04-03 Bosch Automotive Systems Corp ブレーキ倍力装置
FR2834765A1 (fr) * 2002-01-15 2003-07-18 Delphi Tech Inc Valve pour circuit automatique et servomoteur pneumatique
JP3928158B2 (ja) * 2002-01-31 2007-06-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気圧式倍力装置
US7950320B2 (en) 2004-07-10 2011-05-3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ake booster for motor vehicles
DE102006061022A1 (de) * 2006-12-22 2008-06-26 Lucas Automotive Gmbh Bremskrafterzeuger für eine 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und mit diesem ausgestattete Fahrzeugbremsanlage
DE102008037048A1 (de) * 2007-11-22 2009-05-2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kraftverstärker
DE102009051236A1 (de) * 2009-10-29 2011-05-12 Lucas Automotive Gmbh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für eine Kraftfahrzeugbremsanlage
US9101534B2 (en) 2010-04-27 2015-08-11 Crisi Medical Systems, Inc. Medic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fer apparatus
CN102060009B (zh) * 2010-12-10 2013-04-17 清华大学 一种具有电子辅助制动功能的制动系统
DE102014214732B4 (de) 2014-07-25 2023-10-12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Pneumatischer Bremskraftverstärk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7239A (en) * 1954-01-18 1957-09-24 Kelsey Hayes Co Booster device having a valve for metering fluid flow
JPH0437019Y2 (ko) * 1988-03-31 1992-09-01
US5355771A (en) * 1992-08-28 1994-10-18 Jidosha Kiki Co., Ltd. Valve mechanism for brake booster
JP3638948B2 (ja) * 1992-11-13 2005-04-13 アイティーティー・オートモーティブ・ヨーロップ・ゲーエムベーハー 負圧ブレーキブースタ
DE4324688A1 (de) * 1993-07-23 1995-01-26 Teves Gmbh Alfred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DE4324205A1 (de) * 1993-07-19 1995-01-26 Teves Gmbh Alfred Bremsanlage für Kraftfahrzeuge
DE4405076C2 (de) * 1994-02-17 1997-01-02 Lucas Ind Plc Pneumatischer Bremskraftverstärker mit elektromagnetischer Hilfssteuerung,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Bremsanlag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731B1 (ko) * 2000-02-25 2007-03-20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진공 제동력 부스터의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503267A (ja) 2000-03-21
HUP9903796A3 (en) 2001-02-28
DE59609456D1 (de) 2002-08-22
DE19548705A1 (de) 1997-06-26
JP3977424B2 (ja) 2007-09-19
AU1190397A (en) 1997-07-17
CZ197998A3 (cs) 1999-01-13
WO1997023374A1 (de) 1997-07-03
CN1087245C (zh) 2002-07-10
EP0866758B1 (de) 2002-07-17
US6227099B1 (en) 2001-05-08
KR100488263B1 (ko) 2005-12-16
HUP9903796A2 (hu) 2000-02-28
CZ288970B6 (cs) 2001-10-17
EP0866758A1 (de) 1998-09-30
CN1207710A (zh) 1999-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3630B1 (ko) 진공브레이크파워부스터
KR19990076731A (ko) 제동력 부스터
JPS5845379B2 (ja) 自動車用ブレ−キブ−スタ
JPH08500307A (ja) 自動車の負圧式制動力ブースタ
US6070514A (en) Pneumatic brake booster
US7950320B2 (en) Brake booster for motor vehicles
US8561520B2 (en) Brake servo
US5937727A (en) Brake servo device for motor vehicles
US6209967B1 (en) Pneumatic brake power booster with control housing having an electromagnetically operable control valve
KR100335819B1 (ko) 부하및 히스테리시스가 감소된 공압브레이크 부스터
US7066073B1 (en) Vacuum brake booster for motor vehicles
KR20090052879A (ko) 서보브레이크
JP4207191B2 (ja) 高ジャンプを有する非常弁を備えたブースト式ブレーキ装置及びこの装置のためのブースタ
KR20010015676A (ko) 자동차용 공압식 제동력 부스터
US6374857B1 (en) Valve assembly
JP2545930B2 (ja) ブレーキ倍力装置
JPH11505784A (ja) ブレーキ倍力装置
US20070137473A1 (en) Actuation unit for a hydraulic vehicle brake
JP3526138B2 (ja) ブレーキ装置
JP2002521273A (ja) 乗物の液圧ブレーキ装置用の非常ブレーキ性能が改良されたマスタシリンダ
JP2002502772A (ja) 自動車用ブレーキ力ブースター
JP3761695B2 (ja) 気圧式倍力装置
DE19601269A1 (de) Bremskraftverstärker
JPH09207761A (ja) 倍力装置
JPH09295569A (ja) 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