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343A - 고설 재배용기 - Google Patents

고설 재배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343A
KR19990063343A KR1019980057456A KR19980057456A KR19990063343A KR 19990063343 A KR19990063343 A KR 19990063343A KR 1019980057456 A KR1019980057456 A KR 1019980057456A KR 19980057456 A KR19980057456 A KR 19980057456A KR 19990063343 A KR19990063343 A KR 19990063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ultivation
ground
clay
reinforce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헤이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고헤이 야마모토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헤이 야마모토,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헤이 야마모토
Publication of KR19990063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34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2Mulches, i.e. covering material not-pre-formed in mat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높게 설치되는(이하, 고설이라고 칭함) 재배용기(10)는, 겹쳐진 2장의 필림재(11, 12)를 부분 고착하여 형성된 빗(comb)형상의 배토 수용부(13)와, 배토 수용부(13)가 삽통하는 개구부(14)와 배토 수용부(13)를 계지하는 계지부(15)를 갖는 홈형상의 보강부재(16)와, 보강부재(16)와 결합하여 배토 수용부(13)를 지면(29)위에 기립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파이프(1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필름재(11, 12)의 상단부분은, U자형상을 한 착탈 가능한 고정용 클립(18)으로 보강부재(16)의 윗테두리에 계지되며, 유지 파이프(17)는 지면(29)에 입설된 지주(19) 및 수평 바(20)에 의해 고정 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서서 작업을 할수 있기 때문에, 배토. 물. 비료 등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으며, 설치와 철수가 용이하여 수납 공간도 작고, 낮은 가격의 고설 재배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설 재배용기
본 발명은 과실야채, 잎사귀 야채, 화훼, 근채류 등을 지표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서 재배하기 위한 고설 재배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과실야채, 잎사귀 야채, 화훼 혹은 근채류 등을 재배하는 경우, 재배지의 지면에 형성된 두둑(ridge)에 따라서 씨앗을 심어서 생육시키는 토경재배(즉, 땅을 갈아 엎어서 재배함)라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토경재배에 있어서는, 육묘로부터 수확까지의 일련의 작업은, 중요한 허리를 굽히거나 쪼그리고 않은 자세로 행하는 것이 많으며, 특히, 씨앗(곡식) 등의 경우, 씨앗의 정식작업에 있어서는, 씨앗의 운반 등의 중노동을 동반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육체적 부담은 상당히 크게 되어 진다.
이와같은 과혹한 노동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작업자가 선 자세로서 작업가능한 재배용기의 개발이나 새로운 재배기술의 연구등이 행해지며 근년에는 즉, 고설재배라고 불리는 재배방법이 실시되고 있다.
본 출원인도 씨앗 등의 재배용기로서 배토의 사용량이 적은 것으로 마칠수 있으며, 뿌리의 성장도 양호한 재배용기를 개발하여 일본 실개평6-34437호 공보등에 있어서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이 재배용기를 유지하는 장치 및 물뿌기게나 비료에 바람직한 보조구도 개발하여 일본 실공평6-16495호 공보등에 개시하고 있다. 이것들의 재배용기와 장치를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노동조건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도 6은, 이와같은 보조구를 셋트한 재배용기를 유지장치로서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내듯이 유지장치(80)는, 후레임(81) 및 지주(82)등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앞이 가늘은 원통형상의 재배용기(91)나 물뿌리게. 비료용의 보조구(92)를 유지장치(80)로서 유지하는 것에 의해 서서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노동조건의 개선과 함께 재배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재배용기를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 유지하는 방법으로서, 본 출원인은, 복수개의 용기본체를 연결부재로서 연결한 형상의 재배용기을 가설대에 걸치게 하여 유지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일본 특개평 8-298870호 공보등으로 개시하고 있다.
도 7은, 상기 공보에 따른 재배장치의 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재배용기(95)는 합성 수지제의 용기 본체(96)의 상단의 일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10개의 용기본체를 직선형상으로 연결한 형상을 갖는 용기 본체군(97a, 97b)을 구성하며, 용기 본체군(97a, 97b)의 상부를 연결부재(98)로서 연결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재배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서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종래의 재배용기의 다수개 분량을 1회의 계지 동작으로 후레임(99)에 계지할 수있기 때문에 재배용기의 계지 작업을 효율화 할 수 있다.
종래의 고설 재배장치의 경우, 재배용기가 단체용기, 연속용기중 어느것의 형상이라도, 용기내로의 배토를 충진하는 작업은 용기마다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다수의 재배용기를 사용하는 대규모 재배에 있어서는 설치작업이나 배토 충진작업에 많은 시간과 커다란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재배용기는 유지장치에 올라타 내려진 상태로 사용하는 관계상, 유지장치는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않되며, 실제로 재배에 기여하고 있는 부분에 비하여 유지장치가 차지하는 비율의 쪽이 크게 되는 것이 많다. 따라서, 운반 등의 경우에 손이 많이 가는 것만이 아닌, 설치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좁은 재배지에 있어서는 채용이 곤란하다.
또한, 재배시즌 종료후에 있어서도, 재배용기내의 배토를 배출하는 작업이나 장치류의 철수 작업에 많은 시간과 커다란 노동력을 소비하는 일뿐만이 아니라, 이것들의 재배용기나 유지장치 등을 수납하기 위한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고설 재배장치는 치수가 비교적 큰 구조도 복잡하기 때문에, 제작에 많은 시간과 수고를 요하며, 합성수지 등의 원재료도 대량으로 필요하게 되며, 높은 가격이다. 이 때문에, 재배면적이 작고 매상액도 낮은 소규모 농가등에 있어서는 채용이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서 작업이 가능하며, 배토. 물. 비료 등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으며, 설치. 철구가 용이하며, 수납 공간도 작고, 낮은 가격의 고설 재배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고설 재배용기는, 겹쳐진 복수의 필름재를 부분적으로 고착하여 빗 형상으로 형성된 배토 수용부와, 배토 수용부가 삽통하는 개구부와 배토 수용부를 계지하는 계지부를 갖는 홈형상의 보강부재와, 보강부재와 결합하여 배토 수용부를 지면상에 기립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배토 수용부를 보강부재의 개구부에 삽통함과 동시에 계지부에 계지하며, 보강부재를 유지수단에 결합시켜 배토 수용부를 지면위에 기립상태로 유지하면, 배토 수용부에 배토를 충진하여 실물재배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설치작업은 용이하며, 재배 기간중은 서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배토는 배토 수용부에 충진하는 정도의 분량으로 족하기 때문에 토경 재배에 비하여 배토 사용량은 적게 마칠수 있으며, 이것에 반하여 물이나 비료 등의 사용량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배토 수용부는 보강부재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충진된 배토에 의해 배토 수용부가 변형. 팽창되거나, 파손하는 일도 없다.
이 경우, 배토 수용부의 아랫측 부분에 배수구멍 등의 배수수단을 설치하여 두면, 토경재배와 동일하게 물 빠짐이 좋게 되기 때문에, 수분대류에 기인하는 뿌리가 썩는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토 수용부의 하단을 접지시키면, 재배기간중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지면의 온도가 필름재로 전달되어 고설 재배용기 전체로 넓혀지기 때문에, 보온기능을 높일수 있다. 또한, 배토 수용부 전체를 필름재로서 피복하며, 그 내부를 가온기로서 냉방하는 것에 의해 보온기능을 높여서 식물의 뿌리부의 발육을 촉진하며, 과실이나 줄기 잎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덕트 등의 공지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설 재배용기로서 재배되는 식물의 뿌리는, 기립상태에 있는 배토 수용부에 충진된 배토중을 아랫측으로 신장하여 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뿌리 영역이 넓어져 뿌리량도 다량으로 되며, 양분 흡수량이 높여지는 것에 의해 생육 상태가 향상되며,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우엉(burdock)이나, 무등 근채류를 재배하는 경우, 작물을 배토 수용부내에서 성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수확시기에 있어서는, 배토 수용부를 형성하고 있는 필름재를 칼로 자르는 등의 방법으로 파내는 것도 가능하게 되며, 토경재배와 비교하여 수확작업이 용이하게 되며, 작물을 잘라 손상을 입히는 일도 없게된다.
한편, 재배 기간이 종료한 후는, 배토를 배출하면, 배토 수용부를 보강부재로부터 이탈시켜서 각각 별도로 철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철수작업은 용이하며, 배토 수용부는 원래의 필림 형상으로 되며, 접거나, 롤 형상으로 감는 일이 가능하기 때문에, 운반성이 양호하며, 수납공간도 작게 이룰수 있다. 또한, 고설 재배용기는, 복수의 필름재, 보강부재 및 유지수단등으로 구성된 간소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며, 원재료의 사용량도 적으며, 낮은 가격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고설 재배용기에서는, 배토 수용부를 기립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으로서, 지상에 설치된 지지부재와, 보강부재에 형성되어 지지부재와 결합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한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보강부재와 배토 수용부를 일체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성이 좋으며, 배토 수용부로 배토를 충진하는 경우, 보강부재가 배토를 배토 수용부내로 유도하는 가이드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작업성도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고설 재배용기에서는 배토 수용부로서 겹쳐진 복수의 필름재로 설치된 파선형상의 고착부에 따라서 필름재를 절단하여 형성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겹쳐진 복수의 필름재로부터 빗 형상을 한 배토 수용부를 적어도 2조 형성할 수 있으며, 필름재의 폐기 부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자원의 유효활용, 가격저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 방지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 경우, 필름재를 고착하는 수단으로서는, 접착제, 압착, 가열융착, 봉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파선 형상의 고착부의 형상을 변화하는 것에 의해 배토 수용부의 내경이나 깊이, 배치간격 등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고설 재배용기에서는, 발포 합성수지로 형성된 보강부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발포 합성수지의 단열작용에서 보온, 보냉기능이 향상하기 때문에 재배하는 식물에 적합한 온도 관리를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발포 합성수지는 내식성에 우수하기 때문에, 사용중에 농약이나 비료 등의 약제 혹은 태양광등에 의해 변질, 변형되는 일은 없다.
이 경우, 발포 합성수지로서 발포 폴리스틸렌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경량으로 운반성에 우수한 보강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발포 폴리스틸렌은 성형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재배조건에 적응한 구조의 보강부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설 재배용기에서는, 필름재로서 합성수지, 종이, 천,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합성 수지제의 필름재의 경우, 기밀성, 내식성, 내구성에 우수한 배토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구멍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필름재, 혹은 종이, 천, 부직포제의 필름재의 경우, 식물 뿌리의 발육에 필요한 통기성을 구비한 배토 수용부를 형서할 수 있으며, 종이, 천, 부직포는 공기중에서 연소되어도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소각처분이 가능하다. 또한, 필름재는, 재배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투명한 것, 불투명한 것중 어느것도 좋다.
이 경우, 합성수지, 종이, 천, 부직포 등을 소재로 하는 복수 종류의 필름재를 사용하면, 각각의 재료의 재료의 성질을 겸비한 배토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재배하는 식물의 종류, 재배지의 기후, 재배조건등에 적확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고설 재배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고설 재배용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고설 재배용기의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고설 재배용기의 배토 수용부 하단부근의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에 나타내는 고설 재배용기의 배토 수용부의 제조 공정 설명도.
도 6은 종래의 고설 재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고설 재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설(높게 설치되는) 재배용기 11, 12 : 필름재
13 : 배토 수용부 14 : 개구부
15 : 계지부 16 : 보강부재
17 : 유지 파이프 18 : 고정용 클립
19 : 지주 20 : 수평 바
21 : 배토 22 : 식물
23 : 비 고착부 24 : 배수구멍
25 : 고착부 26 : 두둑(ridge)
27 : 뿌리 28 : 결합부
29 : 지면 30 : 비 고착부
31 : 배수구멍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고설 재배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고설 재배용기의 종단면도. 도 3은 상기 고설 재배용기의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상기 고설 재배용기의 배토 수용부 하단부근의 사시도 이다.
본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10)는, 도 1, 도 2에 나타내듯이, 겹쳐진 2장의 필름재(11, 12)를 부분 고착하여 형성된 빗 형상의 배토 수용부(13)와, 배토 수용부(13)가 삽통하는 개구부(14)와 배토 수용부(13)를 계지하는 계지부(15)를 갖는 홈 형상의 보강부재(16)와, 보강부재(16)과 결합하여 배토 수용부(13)를 지면(29)위에 기립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파이프(17)를 구비하고 있다. 도한, 필름재(11, 12)의 상단부분은, 보강부재(16)의 윗테두리에 U자형상을 한 착탈가능한 고정용 클립(18)으로 계지되며, 유지 파이프(17)는 지면(29)에 입설된 지주(19) 및 수평 바(2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고설 재배용기(10)의 경우, 도 3에 나타내듯이, 배토수용부(13)를 보강부재(16)의 개구부(14)에 삽통함과 동시에 계지부(15)에 계지되며, 보강부재(16)를 유지 파이프(17)에 결합시켜 배토 수용부(13)를 지면(29)위에 기립상태로 유지하면, 배토 수용부(13)에 배토(21)를 충진하여 식물(22)의 재배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설치작업은 용이하며, 재배 기간중 서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배토(21)는 배토 수용부(13)에 충진하는 정도의 분량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토경재배에 비교하여 배토 사용량은 적게 마칠수 있으며, 이것에 따라서 물이나 비료 등의 사용량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필름재(11, 12) 및 보강부재(16)의 길이는 특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재배지의 넓이에 따라서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고설 재배용기(10)에 있어서는, 배토 수용부(13)의 상부는 보강부재(16)에 의해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충진된 배토(21)에 의해 필름재(11, 12)의 이상 팽창이나 파손등이 발생하는 일도 없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듯이, 배토 수용부(13)의 하단부분에 있어서는, 고착부(25)의 일부에 비고착부(30)를 설치함과 동시에, 필름재(11, 12)에 배수구멍(31)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배수성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수분 체류에의한 뿌리 썩음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토 수용부(13)의 하단은 지면(29)에 형성한 두둑(ridge;26)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재배 기간중의 안정성도 양호하며, 지면(29)의 온도가 필름재(11, 12)나 배토 수용부(13)에 충진된 배토(21)로 전해져 고설 재배용기(10)의 전체로 넓혀지기 때문에 보온기능도 높다.
이 경우, 고설 재배용기(10)에서 재배되는 식물(22)의 뿌리(27)는, 기립상태에 있는 배토 수용부(13)에 충진된 배토(21)안을 아랫측으로 향해 신장하여 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뿌리영역이 넓혀져 뿌리량도 다량으로 되며, 심경재배와 동일하게 양분 흡수성이 높게되는 것에 의해 생육상태가 향상되며,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고설 재배용기(10)에서 우엉, 무, 인삼등 근채류를 재배하는 경우, 작물을 배토 수용부(13)내에서 성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수확시기로는, 배토 수용부(13)를 형성하고 있는 필름재(11, 12)를 칼 등으로 자르면 간단하게 파낼수 있기 때문에, 수확작용을 효율화할 수 있으며, 작물이 부러지거나 상처를 입는 일이 없다.
한편, 재배 기간이 종료된 후는, 배토(21)를 배출하면, 배토 수용부(13)를 보강부재(16)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기 때문에 철수작업은 용이하며, 배토 수용부(13)는 원래의 필름형상으로 되며, 접거나 롤형상으로 감을 수 있기 때문에, 운반성이 양호하며, 수납공간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설 재배용기(10)는, 2장의 필름재(11, 12), 보강부재(16) 및 유지 파이프(17)등으로 구성된 간소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며, 원재료의 사용량도 적고, 낮은 가격이다. 이 때문에, 소규모 농가등에 있어서도 도입이 용이하다.
또한, 고설 재배용기(10)에서는 보강부재(16)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형상의 결합부(28)를 유지 파이프(17)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홈형상의 보강부재(16)와 배토 수용부(13)를 일체적으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배토(21)의 중량으로 배토 수용부가 변형, 팽창되거나, 파손되는 일이 없다. 또한, 지면(29)위에 기립상태로 유지된 배토 수용부(13)로 배토(21)를 충진하는 경우, 보강부재(16)의 내면 부분이 배토(21)를 배토 수용부(13)내로 유도하는 가이드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작업성도 양호하다.
또한, 고설 재배용기(10)에서는, 보강부재(16)를 발포 폴리스틸렌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경량으로 운반성이 우수하며, 보온, 보냉기능이 높고, 재배하는 식물(22)에 적합한 적정한 온도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발포 폴리스틸렌은 내식성에 우수하기 때문에, 사용중에 농약이나 비료 등의 약제 혹은 태양광등에 의해 변질, 변형하는 일이 없다. 또한, 발포 폴리스틸렌은 성형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재배조건에 적합한 형상, 구조의 보강부재를 용이하게 형성할수 있다.
여기에서,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고설 재배용기(10)를 구성하는 배토 수용부(13)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배토 수용부(13)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이다.
도 5a에 나타내듯이, 2장의 필름재(11, 12)를 겹친후, 도 5b에 나타내듯이, 파선형상의 고착부(25)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필름재(11, 12)를 부분적으로 고착함과 동시에, 고착부(25)의 중앙부분을 고착부(25)에 따라서 절단한다. 또한, 이 경우, 전술한 비고착부(30) 및 배수구멍(31)(도 3참조)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5c에 나타내듯이, 절단부분에서 분리하면, 빗 형상의 배토 수용부(13)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같은 공정을 취하는 것에 의해, 겹쳐진 2장의 필름재(11, 12)로부터 빗 형상을 한 배토 수용부(13)를 2조 형상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높으며, 필름재(11, 12)를 폐기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자원의 유효활용, 가격저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폐기물에 의한 환경 오염방지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름재(11, 12)의 고착수단으로서,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밖에 압착, 가열융착, 봉제 등의 고착수단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필름재(11, 12)의 두께, 길이, 폭등은, 재배조건에 따라서 자유로이 정할 수 있다.
또한, 고설 재배용기(10)의 경우, 필름재(11, 12)의 재질은 폴리 에틸렌이지만, 폴리 염화비닐, 폴리 프로필렌, 폴리스틸렌, ABS수지, AES수지 등의 합성수지, 혹은, 종이, 천,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필름재(11, 12)의 소재로서 합성수지를 사용한 경우, 기밀성, 내식성, 내구성에 우수한 배토 수용부(13)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필름재(11, 12)의 소재가, 구멍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종이, 천, 부직포인 경우는, 식물 뿌리의 발육에 필요한 통기성을 구비한 배토 수용부(13)를 형성할 수 있으며, 식물(22)의 뿌리(27)로의 충분한 공기 공급이 가능하게되며, 종이, 천, 부직포는 연소되어도 유독가스를 반생하지 않기 때문에, 소각처분이 가능하게된다. 또한, 필름재(11, 12)의 소재로서, 미생물의 활동으로 분해하는 성질을 구비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사용하면, 사용후, 땅속 등으로의 폐기처분이 가능하다. 또한, 필름재(11, 12)는 재배하는 식물의 종유나 재배조건등에 따라서 투명한 것, 불투명한 것중 어느것을 채용하여도 좋다.
또한, 필름재(11, 12)의 소재로서, 합성수지, 종이, 천, 부직포 등의 재료를 복수 종류 사용하면, 각각의 재료의 성질을 겸비한 배토 수용부(13)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재배하는 식물의 종류, 재배지의 기후, 재배조건 등에 적확하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이하의 효과를 이룰수 있다.
(1) 겹쳐진 복수의 필름재를 부분적으로 고착하여 빗 형상으로 형성된 배토 수용부와, 배토 수용부가 삽통하는 개구부와 배토 수용부를 계지하는 계지부를 갖는 홈형상의 보강부재와, 보강부재와 결합하여 배토 수용부를 지면위에 기립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설치작업은 용이하게 되며, 기립상태의 배토 수용부에서 식물 재배가 가능하게 이루어 지기 때문에 서서 작없할 수 있으며, 배토 수용부에 충진하는 정도의 배토로 족하기 때문에, 배토 사용량은 적게 마칠수 있으며, 이것에 따라서 물이나 비료 등의 사용량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배토의 중량에 의한 배토 수용부의 변형등도 발생하지 않는다.
(2) 재배기간의 종료후, 배토를 배출하면, 배토 수용부를 보강부재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기 때문에 철수작업은 용이하며, 배토 수용부는 원래의 필름형상으로 되어 접거나 롤형상으로 감을수 있기 때문에 운반성이 양호하며, 수납 공간도 작게 이룰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필름재, 보강부재 및 유지수단등으로 구성된 간소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며, 원재료의 사용량도 적고, 낮은 가격이다.
(3) 배토 수용부의 유지수단으로서, 지상에 설치된 지지부재와, 보강부재에 형성되며 지지부재와 결합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한 것에 의해, 보강부재와 배토 수용부를 일체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성이 양호하며, 배토 수용부로 배토를 충진하는 경우, 배토 수용부와 일체화한 보강부재가 배토를 유도하는 가이드로서 기능하며, 작업성은 향호하다.
(4) 겹쳐진 복수의 필름재에 설치된 파선형상의 고착부에 따라서 필름재를 절단하여 형성한 배토 수용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겹쳐진 복수의 필름재로부터 빗 형상을 한 배토 수용부를 적어도 2조 형성할 수 있으며, 필름재의 폐기 부분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자원의 유효활용, 가격저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폐기물에 의한 환경 오염방지에도 기여할 수 있다.
(5) 발포 합성수지에서 형성된 보강부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보온, 보냉기능이 향상하기 때문에, 재배하는 식물에 적합한 온도관리를 행할수 있다. 또한, 발포 합성수지는 내식성에 우수하기 때문에, 사용중에 농약이나 비료 등의 약제 혹은 태양광 등에 의해 변질, 변형하는 일은 없다.
(6) 발포 합성수지로서 발포 폴리 스틸렌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경량으로 운반성이 우수한 보강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발포 폴리스틸렌은 성형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재배조건에 적응한 형상, 구조의 보강부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7) 합성수지제의 필름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기밀성, 내식성, 내구성에 우수한 배토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구멍을 갖는 합성수지 필름재, 혹은 종이, 천, 부직포를 소재로 하는 필름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식물 뿌리의 발육에 필요한 통기성을 구비한 배토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종이, 천, 부직포는 연소되어도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소각처분이 가능하다. 또한, 필름재로서 합성수지, 종이, 천, 부직포 등을 복수 종류 사용하면, 각각의 재료의 성질을 겸비한 배토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식물의 종류, 재배지의 기후, 재배조건등에 적확하게 대응할 수 있다.

Claims (6)

  1. 겹쳐진 복수의 필름재를 부분적으로 고착하여 빗(comb) 형상으로 형성된 배토 수용부와, 상기 배토 수용부가 삽통하는 개구부와 상기 배토 수용부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는 홈 형상의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배토 수용부를 지면 위에 기립상태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 재배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으로서, 지상에 설치된 지지부재와, 상기 보강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한 고설 재배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토 수용부가, 겹쳐진 복수의 필름재로 설치된 파선 형상의 고착부에 따라서 상기 필름재를 절단하여 형성된 것인 고설 재배용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가 발포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인 고설 재배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합성수지가 발포 폴리스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 재배용기.
  6.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재가 합성수지, 종이, 천, 부직포중 어느 하나인 고설 재배용기.
KR1019980057456A 1997-12-24 1998-12-23 고설 재배용기 KR199900633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54911 1997-12-24
JP09354911A JP3117672B2 (ja) 1997-12-24 1997-12-24 高設栽培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343A true KR19990063343A (ko) 1999-07-26

Family

ID=18440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456A KR19990063343A (ko) 1997-12-24 1998-12-23 고설 재배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117672B2 (ko)
KR (1) KR19990063343A (ko)
CN (1) CN1146316C (ko)
TW (1) TW4048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2067A (ja) 1997-06-24 1999-03-16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燃料噴射弁
CN103650818A (zh) * 2012-09-21 2014-03-26 上海鲜花港企业发展有限公司 一种红掌切花的立架栽培方法
CN105875108A (zh) * 2014-10-09 2016-08-24 丹阳市君威大棚机械配件有限公司 一种果木栽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17672B2 (ja) 2000-12-18
CN1220820A (zh) 1999-06-30
TW404815B (en) 2000-09-11
JPH11178452A (ja) 1999-07-06
CN1146316C (zh) 200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225421A (ja) 苗木の植付方法
WO1995007017A1 (fr) Procede de cueillette de jeunes plants
JPH10309136A (ja) 高設栽培装置
KR19990063343A (ko) 고설 재배용기
JPH10309130A (ja) 高設栽培装置
JP3071168B2 (ja) 高設栽培装置
KR19980064547A (ko) 고설(高設)재배장치
JP3117673B2 (ja) 高設栽培容器
JPH10309133A (ja) 高設栽培装置
JP3464885B2 (ja) 高設栽培容器
JP3464887B2 (ja) 高設栽培容器
KR100452786B1 (ko) 고설 재배용기
JP2003061479A (ja) 植物育成容器と植生基盤および屋根の緑化方法
KR19990006568A (ko) 고설 재배용기
JP2000262153A (ja) 栽培用容器
JP3133024B2 (ja) 高設栽培装置
JP3064927B2 (ja) 高設栽培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装置
JP3547287B2 (ja) 高設栽培装置
JP3340411B2 (ja) 高畝栽培方法
JP3387865B2 (ja) 高畝栽培方法
KR20000011326A (ko) 재배방법및그것에사용되는재배용보조구
JPH1175560A (ja) 高設栽培装置
JPH038170B2 (ko)
JP2002305983A (ja) 栽培用容器
JPH10309132A (ja) 高設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