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547A - 고설(高設)재배장치 - Google Patents

고설(高設)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547A
KR19980064547A KR1019970072895A KR19970072895A KR19980064547A KR 19980064547 A KR19980064547 A KR 19980064547A KR 1019970072895 A KR1019970072895 A KR 1019970072895A KR 19970072895 A KR19970072895 A KR 19970072895A KR 19980064547 A KR19980064547 A KR 19980064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cultivation
soil
cla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헤이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고헤이 야마모토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헤이 야마모토,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헤이 야마모토
Publication of KR19980064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54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서서하는 작업이 가능하며, 배토나 물·비료 등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으며, 밭흙의 사용도 가능하고, 배토 충전작업이 용이하여, 수확량 증대도 도모할 수 있는 고설(高說)재배장치를 제공한다.
고설재배장치(30)는, 지표면(31)과 연결 가능한 개구부(33)를 가지는 도량형상의 배토수용부(32)와, 배토수용부(32)내에 충전된 배토(35)를 경사상태로 유지하는 경사 벽면을 구비하고 있다. 배토수용부(32)내의 배토(35)에, 딸기(36)등의 식물을 심어 재배를 행한다.

Description

고설(高設)재배장치
본 발명은 딸기, 잎사귀 채소, 화초 등을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재배하기 위한 고설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딸기나 잎사귀 채소 등을 재배할 경우, 종래부터, 재배지의 지표면에 형성한 이랑을 따라 묘를 심어 생육시키는 소위 토경재배라고 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토경재배에 있어서는, 묘기르기부터 수확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작업은 엉거주춤한 자세나 웅크린 자세에서의 작업이 많고, 특히, 정식(定植)시는 묘의 운반 등의 중노동을 수반하므로, 작업자의 육체적 부담은 매우 큰 것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과혹한 노동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재배용기의 개량, 개발 등이 행해져, 서서하는 작업이 가능한 재배방법으로서, 소위 고설재배가 일부에 있어서 실시되고 있다.
본 출원인도, 딸기나 잎사귀 채소 등의 재배용기로서, 배토의 사용량이 적게 끝나고, 뿌리의 성장도 양호한 재배용기를 개발하며, 또, 이 재배용기를 유지하는 장치 및 살수나 시비(施肥)에 알맞은 보조구를 개발하고 있다(실공평 6-16495호 공보 참조). 도 11은, 이 보조구를 세트한 재배용기를 유지장치로 유지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장치(80)는 프레임(81) 및 지주(82)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끝이 가는 원통상의 재배용기(91)나 살수·시비용의 보조구(92)를 유지장치(80)로 유지함으로써, 서서하는 작업이 가능해지므로, 재배작업의 효율화, 노동조건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재배용기를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 유지하는 방법으로서는, 이외에도 여러 가지 생각할 수 있지만, 본 출원인은, 다수개의 용기본체를 연결부재로 연결한 형상의 재배용기를 가대(架臺)에 놓아 유지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특원평 7-132727호로서 특허출원을 행하고 있다.
도 12는, 상기 특허출원에 관한 재배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재배용기(20)는, 합성수지제의 용기본체(21)의 상단의 일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써, 10개의 용기본체(21)를 직선상에 연결한 형상을 가지는 용기 본체군(22a, 22b)을 구성하며, 용기본체군(22a, 22b)의 상부를 연결부재(23)로 연결한 구조이다.
개개의 용기본체(21)는, 횡단면형상이 원형으로 끝이 가는 통형상 용기이다. 연결부재(23)는, 용기본체군(22a, 22b)의 상단의 플랜지의 일변으로부터 연장하는 형상으로, 용기본체군(22a, 22b)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유지장치의 계지용 프레임(13)의 형상에 맞도록, 횡단면이 凸형상을 하고 있다.
이 재배장치를 사용함으로서, 서서하는 작업이 가능해지며, 종래의 재배용기의 다수개군을 1회의 계지동작으로 프레임에 계지할 수 있으므로, 재배용기의 계지작업을 효율화할 수 있다.
종래의 재배장치의 경우, 재비용기와 유지장치와는 별개이며, 지주나 프레임 등으로 구성된 유지장치를 지표면상에 설치하여, 재배용기를 세트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설치작업이 성가시고, 설비비도 높다. 또 실제로 재배에 기여하고 있는 부분에 비해, 큰 설치공간을 필요로 한다.
또, 재배용기가 단체(單體)용기 또는 연결용기의 어떤 형상으로 있어도, 용기내로 배토를 충전하는 작업은 용기마다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다수용기의 배토를 충전하는 경우 등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재배용기는 끝이 가는 원통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소위 건조한 형상의 배토를 사용하지 않으면 충전이 현저히 곤란해진다. 또, 재배용기는 유지장치에 늘어뜨린 상태로 사용하므로, 비중이 큰 배토를 충전하면, 그 무게로 유지장치가 변형하거나 파손할 염려가 있다.
그러나, 보통의 밭흙은 수분함유량이 많고, 비중이 크며, 건조한 형상도 아니므로, 종래의 재배용기에 있어서 배토로서 사용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이 때문에, 전용으로 조제된 가가의 배토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어, 배토 비용이 크고, 재배지까지의 배토의 반입 등에 많은 수고를 요한다.
한편, 딸기나 잎사귀 채소 등의 재배에 있어서는 온도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예를 들면, 딸기의 경우, 재배의 초기단계에서는 지상부분과 지하부분의 생육의 밸런스를 유지하여 풀힘의 급격한 변화를 피하는 것이 수확량의 안정화에 연결되므로, 개화시작이 시기는, 야간온도를 8℃~10℃, 주간온도를 25℃~28℃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온도관리의 목표로 되어 있다.
또, 수확이행초기에 있어서는, 풀힘의 유지와 과실착색의 안정화를 위해, 야간온도는 5℃~6℃, 주간온도는 22℃~25℃가 온도관리의 목표로 되어 있다.
그러나, 고설재배의 경우, 배토가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기온변화의 영향을 받기 쉬워, 토경재배의 경우에 비하여, 보다 정확한 온도관리가 필요해진다. 고설재배에 있어서도 하우스재배의 경우는, 하우스내의 온도를 관리함으로써, 상기 온도관리를 행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대(大)용적의 대형 하우스로 되면 난방설비도 커져, 에너지소비량도 증대한다.
또, 지진에 있어서 고설재배의 경우, 재배용기와 유지장치의 외곽을 비닐 시트 등으로 감싸고, 또한, 지면에 축열용 수봉(수封) 덕트(duct)나 온탕파이프를 설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온도관리를 행하고 있지만, 이 방법에서는, 지상을 설치한 재배용기의 온도를 수 ℃의 범위내에 유지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서하는 작업이 가능하고, 배토나 물·비료 등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으며, 밭흙의 사용도 가능하고, 배토충전작업이 용이하며, 수확량의 증대도 도모할 수 있는 고설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사시도,
도 4는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5는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연결부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8은 연결부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9는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고설재배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고설재배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종래의 고설재배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고설재배장치30e:단면
31:지표면32, 32A:배토수용부
33:개구부34:경사벽면
35:배토36:딸기
37:온탕파이프38:급수파이프
39:복토 커버39a:돌출부
40:멀티 시트41:관통공
42, 34m:볼록부43, 34f:오목부
R:세근C:크라운
S:과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고설재배장치는, 지표면에 설치한 배토수용부 내에 배토를 충전하여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것이며, 지표면과 연결 가능한 개구부를 가지는 도량형상의 배토수용부와, 배토수용부내의 배토를 경사상태로 유지하는 경사벽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설재배장치에서는, 배토수용부가 지표면보다 위에 있으므로, 서서하는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하며, 배토는 배토수용부내에 충전하는 분량이 있으면 되므로, 이랑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배토의 사용량이 적게 끝난다. 또, 다른 유지장치 없이 지표면에 자립시킬 수 있으므로, 넓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종래의 이랑 정도의 공간내에 설치할 수 있다. 토경재배에 있어서 이랑을 높게 한 경우, 이랑 형상이 커지므로, 실질적으로 단위면적 당의 재배수, 소위 재식밀도가 저하하지만 본 발명의 고설재배장치를 사용한 경우, 재식밀도를 저하시키는 일없이, 지표면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식물을 배재할 수 있다.
또한, 배토수용부는 도량형상이므로, 그 상면은 연결하여 개방하고 있어, 배토의 충전작업이 간단하며, 건조한 형상이 아닌 밭흙이라도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또, 배토수용부는 지표면과 연결 가능한 개구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충전된 배토는 개구부에 있어서 지표면과 연결한 상태로 되며, 배토의 중량은 지표면에 걸린다. 이 때문에, 비중이 큰 밭흙을 충전한 경우에도 배토수용부에 부담을 거는 일은 없다.
또한, 배토수용부내의 배토를 경사상태로 유지하는 경사벽면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식물의 생육상태가 양호해지며,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그 이유를 딸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배토수용부에 충전한 배토에 심지어 딸기의 뿌리는 아래쪽으로 뻗어 가려고 하지만, 딸기 묘가 경사상태에 유지되어 있음으로 인해, 특히, 크라운 부분으로부터의 새로운 뿌리의 발생이 활발해지는 성질이 있다. 즉, 묘이랑에 있어서는, 기존의 뿌리가 신장하기보다도 크라운분으로부터의 새뿌리의 발생 쪽이 촉진되어, 이들의 새뿌리가 배토 안으로 뻗어가 발근(發根), 활착(活着)이 양호해지므로, 그 후의 생육상태가 활성화된다. 또, 크라운부분으로부터 많은 새뿌리가 발생함으로써, 꽃 수의 증가도 촉진되므로,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딸기의 경우, 뿌리는 크라운이 기운 방향으로 뻗어 간다고 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딸기 묘를 경사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뿌리의 생육방향을 적절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 배토를 경사상태로 유지하는 것으로, 묘의 경사심기가 용이해지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정식 후의 발근, 활착이 양호해지므로, 수확량도 안정하며, 또한 과실송이의 신장방향이 안정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경사벽면을 파형으로 형성하여, 파형의 오목부마다 딸기 묘를 재배하면, 딸기의 뿌리는 오목부에 안내되어 아래쪽으로 곧게 뻗기 쉬워지며, 서로 인접하는 딸기의 뿌리끼리를 엉키는 일도 없다.
여기서, 배토수용부에, 배토수용부 내에 돌출한 형상의 돌출부를 가지는 복토(覆土) 커버를 구비해도 된다. 이와 같은 형상의 복토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돌출부가 배토 수용부내에 돌출한 상태로 되며, 그 공간에 상당하는 부분만큼 배토 수용부의 용적이 감소하므로, 배토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토수용부에 대하여 복토 커버를 착탈가능한 구조로 해 두면, 배토수용부내로의 충전이나 배출시에 있어서는, 복토 커버를 해체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고설재배장치에서는, 배토수용부내를 가온하기 위한 가온수단을 설치해도 된다. 가온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기온이나 식물의 생육상태 등에 맞추어, 충전된 배토의 온도를 관리할 수 있으므로,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가온수단으로서는, 배토수용부내에 온탕파이프를 배치하는 등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설재배장치에서는, 배토수용부내에 수분을 공급하는 급수수단을 설치해도 된다. 급수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식물의 생육상태 등에 맞추어, 급수할 수 있으므로, 살수작업의 수고를 덜할 수 있다. 급수수단으로서는, 벽면에 다수의 관통공을 설치한 급수파이프를 배토수용부내에 배치하는 등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설재배장치 끼리를 연결하기 위해, 고설재배장치의 단부에 연결부를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고설재배장치는, 재작상 또는 운반상의 제약 등에 의해 소정의 사이즈로 형성되지만, 재배지가 넓은 경우, 그 넓이에 맞추어 다수의 고설재배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고설재배장치의 단부에 연결부를 형성해 둠으로써, 확실한 연결상태가 얻어지므로, 열의 흐트러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로서는, 고설재배장치의 양 단부에 각각 서로 감합하는 오목부와 볼록부를 형성한 구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고설재배장치 끼리를 연결하는 경우, 배토수용부가 연속한 도랑형상으로 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확실한 연결상태가 얻어지도록, 배토수용부의 단부에 연결부를 형성해도 된다. 연결부로서는, 배토수용부의 양단부에 각각 서로 감합하는 오목부와 볼록부, 또는 단차를 형성한 구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설재배장치에 있어서는, 적어도 배토수용부를 발포플라스틱으로 형성해도 된다.
발포 플라스틱은 단열성이 높으므로, 적어도 배토수용부를 발포 플라스틱으로 형성함으로써 보온기능이 향상하여, 온도관리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 발포 플라스틱은 경량이므로, 운반작업이 용이해진다.
여기서, 발포 플라스틱으로서는, 발포 폴리스틸렌을 사용할 수 있다. 발포 폴리스틸렌은 보온기능이 높고, 경량임과 동시에, 형성성에 뛰어나, 강도나 내구성도 양호하므로, 고설재배장치의 재료로서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고설재배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동 고설재배장치의 상면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사시도이다.
이들의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고설재배장치(30)는, 지표면(31)에 설치한 배토수용부(32)내에 배토(35)를 충전하여 딸기(36)를 재배하기 위한 것이며, 배토수용부(32)는, 지표면(31)과 연결 가능한 개구부(33)와, 배토수용부(32)내의 배토를 경사상태로 유지하는 경사벽면(34)을 구비하고 있다. 또, 아래쪽에는 온탕파이프(37)와 급수파이프(38)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배토수용부(32)의 상면에는, 돌출부(39a)를 가지는 착탈자유로운 복토커버(39)를 구비하고 있다.
고설재배장치(30)에 있어서는, 배토수용부(32)가 지표면(31)의 위쪽에 위치하므로, 서서하는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하며, 배토(35)는 배토수용부(32)내에 충전하는 분량이 있으면 되므로, 이랑을 형성하여 딸기를 재배할 경우에 비해 배토의 사용량은 적게 끝나, 비료나 물 등의 사용량도 저감할 수 있다. 또, 복토 커버(39)는 돌출부(39a)를 가지므로, 이 공간에 상당하는 부분만큼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고설재배장치(30)는 그대로 지표면(31)상에 설치하는 만으로 사용할 수 있어, 다른 보조구 등은 불필요하므로, 설치작업은 용이하고, 설치 공간도 적게 끝난다. 토경재배에 있어서 이랑을 높게 한 경우 이랑 형상이 커지므로, 소위 재식밀도가 저하하지만, 고설재배장치(30)를 사용한 경우, 재식밀도를 저하시키는 일없이, 지표면(31)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딸기 등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 배토수용부(32)는 도랑형상에서, 복토 커버(39)를 해체시키면, 그 상면은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개방한 상태로 되므로, 배토(35)의 충전작업은 간단하며, 건조한 형상이 아닌 세토라도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또, 배토수용부(32)는 지표면(31)과 연결 가능한 개구부(33)를 가지고 있으므로, 충전된 배토(35)는, 개구부(33)에 있어서 지표면(31)과 연속한 상태로 되며, 배토(35)의 중량은 지표면(31)에 걸린다. 이 때문에, 비중이 큰 밭흙을 충전한 경우라도, 배토수용부(31)에 부담을 거는 일은 없다.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토수용부(31)내에 배토(35)를 충전한 후, 고설재배장치(30)의 상면을 멀티시트(40)로 감싸, 딸기(36)의 묘를 소정간격으로 심어간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고설재배장치(30)를 사용하여 딸기를 재배한 경우의 생육상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고설재배장치(30)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배토수용부(32)에 충전한 배토(35)에 심어진 딸기(36)의 뿌리는 아래쪽으로 뻗어 가려고 하지만, 딸기(36)는 경사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특히, 크라운(C)부분으로부터 많은 세근(R)이 발생하는 성질이 있다. 즉, 기존의 뿌리가 신장한다기 보다도, 크라운(C)부분에서 새로운 세근(R)의 발생의 쪽이 촉진되어, 이들의 세근(R)은 배토(35)안으로 뻗어 가고, 발근, 활착이 양호해지므로, 그 후의 생육상태가 활성화된다. 또, 크라운(C)부분에서 다수의 세근(R)이 발생함으로써, 꽃 수의 증가가 촉진되므로,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뿌리는 크라운(C)이 기운 방향으로 뻗어 가는 성질이 있으므로, 배토(35)를 경사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뿌리의 생육방향을 적절하게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은 직경 포트 묘기르기에 의해 채용된 묘의 경우, 배토량에 비해 근부(根部)가 많지만, 배토수용부(32)내의 배토(35)에 정식한 경우, 곧바로 배토(35)안으로 발근하기 위한 활착이 빨라, 이후, 근부의 생육이 양호해진다. 또, 배토(35)가 경사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경사심기도 용이하다.
그러나, 딸기는 천근성(淺根性)의 식물이라고 하지만, 수십 ㎝의 깊이까지, 뿌리군을 신장하는 일이 있으며, 예를 들면, 북미 캘리포니아의 사막지대에서 재배되는 딸기의 경우, 1m 이상 깊이의 뿌리영역을 가지는 것이 있어, 6~8t/10a라고 하는 다수확이 얻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딸기의 경우, 깊고 큰 뿌리군형성이 다수확에 관련되는 것을 판명하고 있다. 따라서, 토양의 경도(硬度)나 물의 세로이동에 따르는 통기성 등의 조건을 조정하면, 깊고 큰 뿌리군형성이 가능해져, 소위 「성장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그래서, 고설재배장치(30)의 경우 상하방향으로 긴 배토수용부(32)를 설치하여, 배토(35)를 상하방향으로 길게 충전하고 있으므로, 딸기(36)의 뿌리영역이 상하로 넓어져, 생육상태가 양호해진다.
또, 고설재배장치(30)에서는, 배토수용부(2)내를 가온하기 위한 온탕파이프(37)를 설치하고 있다. 온탕파이프(37)내에 온탕을 통과함으로써, 기온이나 딸기(36)의 생육상태 등에 맞추어, 충전된 배토(35)의 온도를 관리할 수 있으므로, 생육상태가 양호해지며, 수확량의 중대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토수용부(32)내에 충전된 배토(35)를 가온하면 되므로, 이랑 전체를 가온하는 경우에 비해, 소비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다. 이 경우, 태양열 온수기와 병용을 도모하면, 소비에너지 저감효과는 더욱 증대한다.
또한, 고설재배장치(30)에서는, 배토수용부(32)내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파이프(38)를 배치하고 있다. 급수파이프(38)의 벽면에는 다수의 관통공(41)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급수파이프(38)내에 송수함으로써, 배토수용부(32)내에 충전된 배토(35)의 적절량이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종래의 배토표면으로의 관수(灌水)방식의경우, 배토심부까지 수분을 보급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물을 필요로 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의 방식으로 거칠어진 배토(35)안에 직접 급수하므로, 수량이 적게 끝난다. 또, 배토(35)의 건조시간도 조정가능해지므로, 근부로의 공기의 공급도 용이해진다.
딸기(36)의 경우, 수분의 급수는 소량씩 다회수로 나누어 하는 것이 세근의 발생을 촉진하여 수확량의 증대로 연결되지만, 급수파이프(37)를 배치함으로써, 살수작업의 수고를 덜 수 있으며, 세세한 급수관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부호 S는 과실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고설재배장치(30)의 사이즈는, 제작상 및 운반상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높이 40㎝, 폭 30㎝, 길이 1m로 하고 있으므로,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배지의 넓이에 맞추어 직렬로 늘어놓을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고설재배장치(3)의 단면(30e)에 각각 서로 감합하는 형상의 볼록부(42)와 오목부(43)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고설재배장치(30)의 단면(30e) 끼리를 밀착시키는 것만으로, 볼록부(42)와 오목부(43)가 감합하여, 확실한 연결상태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고설재배장치(30)의 배열시는 물론 재배기간 중에 있어서도 열의 흐트러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고설재배장치(30)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온탕파이프(37) 등의 연결방법이 문제로 되지만, 이 경우, 온탕파이프(37)와 급수파이프(38)를 해체한 상태로 고설재배장치(30)를 연결해 가, 연결이 완료한 후, 긴 파이프를 순차 연결하면서 관통시켜 가는 방법, 또는 온탕파이프(37) 및 급수파이프(38)의 양단에 연결부를 설치해 두고, 고설재배장치(30)를 연결할 때에 온탕파이프(37) 등도 연결해 가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고설재배장치(30) 끼리를 연결할 경우,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토수용부(32)가 횡방향으로 연속한 도랑형상으로 되도록 연결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토수용부(32)를 구성하는 경사벽면(34) 등의 단부에, 서로 감합하는 오목부(34f)와 볼록부(34m)를 형성해 두면, 확실한 연결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 외, 연결부분으로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감합하는 단차를 설치해도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고설재배장치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당핵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사시도이다.
본 예의 고설재배장치(30)에서는, 배토수용부내(32A)의 대향하는 내벽(32I) 및 수용부(32A)의 경사벽면(34)이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경사벽면(34)이 내벽(32I)을 파형으로 형성하여,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파도의 오목부(34I)마다 딸기(36)의 묘를 재배하면, 각 딸기(36)의 뿌리(R)는 파형의 오목부(34I) 에 안내되어 아래쪽으로 곧게 뻗기 쉬워진다. 또, 수용부(32A)에서 재배되는 인접하는 딸기(36)의 뿌리(R) 끼리가 엉키는 일도 없어진다.
또한, 배토수용부(32A)의 상면에 복토 커버(39)가 부착되는 점이나 그 외의 구성은 상기한 배토수용부(32)와 같다.
상기의 각 실시형태의 고설재배장치(30)는, 발포 폴리스틸렌을 소재로 하여 형성하고 있다. 발포 폴리스틸렌은 단열성이 뛰어나므로, 배토수용부(32, 32A) 등의 보온기능은 양호하며, 온도관리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어, 가온용 에너지의 절약에도 효과적이다. 또, 발포 폴리스틸렌은 경량으로, 강도나 내구성도 양호하므로, 운반이나 설치 등의 작업도 용이하며, 사용중에 부식하는 일도 없이,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포 폴리스틸렌은 성형성에 뛰어나므로, 사용조건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 사이즈의 고설재배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발포 폴리스틸렌의 형성시, 알루미늄분말 또는 마스터 뱃치(master batch)를 혼입함으로써, 종래의소위 실버멀티를 사용한 경우와 같은 효과가 얻어져, 광 반사성을 구비함으로써, 과실의 숙성, 착색을 촉진함과 동시에, 진디를 기피하는 효과도 발생한다. 여기서, 마스터 뱃치란, 고농도의 첨가제를 포함한 플라스틱,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혼합물을 말하여, 예를 들면, 카본 블랙을 함유한 고무, 안료를 함유한 플라스틱 등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설재배장치(30)를 사용하여 딸기(36)를 재배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고설재배장치는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딸기 이외의 잎사귀 채소나 화초류 등을 재배하는 경우도 넓게 이용할 수 있으며, 재배하는 식물이나 재배지의 상황 등의 각종조건에 맞추어 사이즈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지표면과 연결 가능한 개구부를 가지는 도랑형상의 배토수용부와, 배토수용부내의 배토를 경사상태로 유지하는 경사벽면을 구비함으로써, 서서하는 작업이 가능하며, 배토충전이 용이해져, 배토나 물·비료 등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어, 비중이 큰 밭흙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식물의 세근발생이 촉진되므로,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2) 또, 경사벽면을 파형으로 하면, 뿌리는 곧게 뻗기 쉬워진다.
(3) 배토수용부에, 배토수용부내로 돌출한 형상의 돌출부를 가지는 복토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돌출부의 공간에 상당하는 부분만큼 배토수용부의 용적이 감소하므로, 배토사용량은 저감할 수 있다.
(4) 배투수용부내를 가온하기 위한 가온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기온이나 식물의 생육상태 등에 맞추어, 배토의 온도를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으므로,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5) 배토수용부내에 수분을 공급하는 급수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식물의 생육상태에 맞춘 급수를 할 수 있음으로, 살수작업이 생력화(省力化)되어, 세세한 급수관리를 할 수 있으므로, 식물의 생육상태가 양호해진다.
(6) 고설재배장치의 단부에 연결부를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고설재배장치를 직렬로 늘어놓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확실한 연결상태가 얻어져, 고설재배장치의 이탈이나 열의 흐트러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7) 배토수용부의 단부에 연결부를 형성함으로써, 배토수용부가 연속하도록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확실한 연결상태가 얻어져, 고설재배장치의 이탈이나 열의 흐트러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8) 적어도 배토수용부를 발포 플라스틱으로 형성함으로써, 보온기능이 향상하고, 온도관리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발포 플라스틱은 경량이므로, 운반작업이 용이해진다.
(9) 발포 플라스틱의 하나인 발포 폴리스틸렌을 사용함으로써, 보온기능이나 성형성이 향상하여, 장치를 보다 경량화할 수 있으며, 뛰어나 강도나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지표면에 설치한 배토수용부내에 배토를 충전하여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고설재배장치로서, 지표면과 연결 가능한 개구부를 가지는 도랑형상의 배토수용부와, 상기 배토수용부내의 배토를 경사상태로 유지하는 경사벽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경사벽면은 파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토수용부에, 상기 배토수용부내에 돌출한 형상의 돌출부를 가지는 복토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토수용부내에 가온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토수용부내에 급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설재배장치 끼리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고설재배장치의 단부에 서로 계탈가능한 연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설재배장치 끼리를 상기 배토수용부내가 연속하도록 연결하기 위해, 상기 배토수용부내의 단부에 서로 계탈가능한 연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배토수용부를, 발포 플라스틱으로 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폴리스틸렌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장치.
KR1019970072895A 1996-12-25 1997-12-24 고설(高設)재배장치 KR199800645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46387A JPH10178905A (ja) 1996-12-25 1996-12-25 高設栽培装置
JP96-346387 1996-1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547A true KR19980064547A (ko) 1998-10-07

Family

ID=18383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895A KR19980064547A (ko) 1996-12-25 1997-12-24 고설(高設)재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10178905A (ko)
KR (1) KR19980064547A (ko)
CN (1) CN1095322C (ko)
TW (1) TW362949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568B1 (ko) * 2010-12-14 2013-03-26 한산케미칼 주식회사 준 고설재배용 일체형 베드
KR101279800B1 (ko) * 2011-03-23 2013-06-28 한산케미칼 주식회사 지지부가 보강된 고설재배용 일체형 베드
KR20190064124A (ko) 2017-11-30 2019-06-10 위드케이 주식회사 구들장 재배조와 구들장 재배 시스템
KR20190064884A (ko) 2017-12-01 2019-06-11 위드케이 주식회사 냉열 및 온열 동시 운용 시스템
KR20200009789A (ko) 2018-07-20 2020-01-30 위드케이 주식회사 냉온 동시 구들장 재배 시스템
KR20200010870A (ko) 2018-07-23 2020-01-31 위드케이 주식회사 냉온 동시 재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9132A (ja) * 1997-05-12 1998-11-24 Fukuoka Marumoto Kk 高設栽培装置
JPH10309136A (ja) * 1997-05-12 1998-11-24 Fukuoka Marumoto Kk 高設栽培装置
JP3279538B2 (ja) * 1999-03-08 2002-04-30 福岡丸本株式会社 栽培用容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栽培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4248U (ko) * 1974-04-22 1975-11-05
JPS50148250U (ko) * 1974-05-23 1975-12-09
JPH08322378A (ja) * 1995-06-01 1996-12-10 Maruwa Biochem Kk バッグ式栽培方法と植物栽培用バッグ
KR0129738Y1 (ko) * 1996-02-23 1998-11-16 이양우 작물의 공중육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4248U (ko) * 1974-04-22 1975-11-05
JPS50148250U (ko) * 1974-05-23 1975-12-09
JPH08322378A (ja) * 1995-06-01 1996-12-10 Maruwa Biochem Kk バッグ式栽培方法と植物栽培用バッグ
KR0129738Y1 (ko) * 1996-02-23 1998-11-16 이양우 작물의 공중육묘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568B1 (ko) * 2010-12-14 2013-03-26 한산케미칼 주식회사 준 고설재배용 일체형 베드
KR101279800B1 (ko) * 2011-03-23 2013-06-28 한산케미칼 주식회사 지지부가 보강된 고설재배용 일체형 베드
KR20190064124A (ko) 2017-11-30 2019-06-10 위드케이 주식회사 구들장 재배조와 구들장 재배 시스템
KR20190064884A (ko) 2017-12-01 2019-06-11 위드케이 주식회사 냉열 및 온열 동시 운용 시스템
KR20200009789A (ko) 2018-07-20 2020-01-30 위드케이 주식회사 냉온 동시 구들장 재배 시스템
KR20200010870A (ko) 2018-07-23 2020-01-31 위드케이 주식회사 냉온 동시 재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322C (zh) 2002-12-04
JPH10178905A (ja) 1998-07-07
CN1185896A (zh) 1998-07-01
TW362949B (en) 199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4547A (ko) 고설(高設)재배장치
US9011041B2 (en) Subirrigation system
JPH10309136A (ja) 高設栽培装置
US4231189A (en) Plant growing assembly
KR19980087193A (ko) 지표면보다 높게 설치된 식물재배장치
JP3279538B2 (ja) 栽培用容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栽培方法
KR19980087194A (ko) 지표면보다 높게 설치된 식물재배장치
EP2164319A1 (en) Device for soilless culture of plants and mushrooms
JP3071168B2 (ja) 高設栽培装置
JP3689352B2 (ja) 栽培容器用補助具
KR19980064548A (ko) 고설(高設)재배장치
KR200177795Y1 (ko) 배지 재배용 베드 조립체
KR200177794Y1 (ko) 배지 재배용 베드
JP3547287B2 (ja) 高設栽培装置
JP3028744U (ja) 栽培装置
JPH10178907A (ja) 高設栽培装置
JP2002153134A (ja) 高設栽培容器
JP7445217B2 (ja) 植物栽培用容器及び植物の栽培方法
KR19980087056A (ko) 지표면보다 높게 설치된 식물재배장치
KR200463803Y1 (ko) 식물용 재배용기
JP3279492B2 (ja) 高設栽培装置
KR101069309B1 (ko) 식생필터를 이용한 옹벽의 녹화방법
JP2004329011A (ja) 植物栽培方法とその栽培装置
JPH10178900A (ja) 高設栽培装置
JPH0739388U (ja) 植物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