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803Y1 - 식물용 재배용기 - Google Patents

식물용 재배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803Y1
KR200463803Y1 KR2020110004652U KR20110004652U KR200463803Y1 KR 200463803 Y1 KR200463803 Y1 KR 200463803Y1 KR 2020110004652 U KR2020110004652 U KR 2020110004652U KR 20110004652 U KR20110004652 U KR 20110004652U KR 200463803 Y1 KR200463803 Y1 KR 2004638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drain
water
roots
pl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창호
소순일
Original Assignee
소순일
소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순일, 소창호 filed Critical 소순일
Priority to KR2020110004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8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8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6Reservoirs, separate from plant-pots, dispensing directly into root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면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형성되며 소정의 폭과 깊이로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유도부(11a)와, 상하로 수직하게 관통되는 장착부(11b)를 구비하는 바닥부(11)와; 바닥부(11)의 상면 가장자리와 제1유도부(11a) 사이에 입설되게 설치되며, 상면을 따라 소정의 폭과 깊이로 형성되는 제2유도부(12a)를 구비하는 관 형상의 벽체부(12)를 갖춘 용기본체(10): 용기본체(10)의 장착부(11b)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소정높이 이상으로 차오를 경우 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용기본체가 제1유도부 및 격자형태의 홈을 갖춘 바닥부와 제2유도부를 갖춘 벽체부로 구성되어 물이 제2유도부 및 제1유도부로 공급되면서 용기본체의 내부에 안치된 식물의 뿌리로 동시에 공급되므로, 식물의 뿌리가 물이 공급되는 방향으로 편중되어 자라는 것을 방지하여 각각의 식물의 뿌리가 고르게 자라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식물용 재배용기{Planting Receptacle}
본 고안은 재배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식물의 안치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제작되되, 상면과 내측 바닥면에는 물이 유입되고 유도되는 제2유도부와 제1유도부가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배수관이 설치되어 각각의 식물에 뿌리로 물이 동시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서, 식물의 뿌리가 물이 공급되는 방향으로 편중되어 자라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각각의 식물의 뿌리가 고르게 자라도록 할 수 있는 식물용 재배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은 밭이나 논 등의 농작물 재배지와 같은 농경지에 식재하여 재배하고 있으며, 상기한 식물은 농경지에 최초 파종 및 종묘 후에도 일조량과 우수량 등의 자연환경에 따라 성장의 영향을 받고 잡초제거 등의 작업을 통하여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한 자연환경 조건이 미흡할 경우에는 인위적으로 수분을 공급하여야 하고, 또한 지속적으로 잡초제거 작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재배방법은 단순히 농경지에 각종 식물의 씨를 파종하여 재배하는 방법과 농경지 위에 비닐을 깔아 토지와 구분시키고 비닐 위에 배양토를 깔고 식물의 씨를 파종하는 원시적인 방법과 육모판 포트를 이용하여 파종 때부터 일정한 크기의 각종 식물을 재배시키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상기의 원시적인 식물 재배방법은 대량의 식물을 일정한 규격으로 재배하기에 부적합하고 이동성 등이 불편한 문제로 인하여 육모판 포트를 이용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방법은 상자형의 블록 또는 측면부위가 개방된 원통형 블록(예를 들면: 포트)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상자형 식물재배블록은 측면부의 사방이 벽처럼 막혀 있어 미세줄기에 의해 번식하는 식물의 성장습성을 방해하여 성장촉진에 문제가 있고, 원통형 블록(예를 들면: 포트)은 식물을 재배 중에 이식을 위해 이동시키는 등의 절차를 통하여 이식장소에서 이식시킬 때에 뿌리에 부착된 재배토양이 쉽게 탈리되어 식물의 이식활착에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상자형 식물재배블록의 경우 식물을 내부에 안치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물을 공급할 경우, 통상 스프링쿨러 또는 다수의 구멍을 구비한 호스를 통해 물을 공급하는데, 이들로부터 인출된 물이 식물의 잎으로 떨어지면서 잎이 처지거나 심하게는 줄기에서 탈락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들을 통해 물을 공급한다 하더라도, 상자형 식물재배블록의 내부에 채워진 토양으로 인해 물이 고르게 공급되지 못하게 되면서 식물이 물이 공급되는 방향을 따라서만 뿌리가 편중되어 자라기 때문에, 한곳에서 나고 자란 식물이라도 각각의 식물마다 뿌리의 성장상태에 편차가 발생하여 불균형하게 생육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블록(예를 들면: 포트)의 경우 비교적 두께가 얇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있어 날씨에 따라 원통형 블록(예를 들면: 포트)의 내부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되기 쉽고, 이와 같은 온도변화로 인해 원통형 블록(예를 들면: 포트)의 내에서 자라는 여린 뿌리가 쉽게 달궈지나 또는 냉각되어 식물의 성장발육에 큰 악영향을 끼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면서 식물의 성장을 고르게 촉진할 수 있는 재배용기의 필요성이 요구되어져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식물의 뿌리가 물이 공급되는 방향으로 편중되어 자라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각각의 식물의 뿌리가 고르게 자라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식물용 재배용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면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형성되며 소정의 폭과 깊이로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유도부와, 상하로 수직하게 관통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상면 가장자리와 제1유도부 사이에 입설되게 설치되며, 상면을 따라 소정의 폭과 깊이로 형성되는 제2유도부를 구비하는 관 형상의 벽체부를 갖춘 용기본체:
용기본체의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소정높이 이상으로 차오를 경우 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일 측면이 외향으로 개구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배수판 안치부와, 배수판 안치부를 기준으로 동축상으로 수직하게 관통되는 제1?2배수공이 보강되고,
제1?2배수공과 연통되는 연결공을 갖추고서, 배수판 안치부에 이동가능하게 내설되어 탄발수단에 의해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되는 배수판이 더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에는, 배수관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장방형의 가이드공이 더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탄발수단은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용기본체가 제1유도부 및 격자형태의 홈을 갖춘 바닥부와 제2유도부를 갖춘 벽체부로 구성되어 물이 제2유도부 및 제1유도부로 공급되면서 용기본체의 내부에 안치된 식물의 뿌리로 동시에 공급되므로, 식물의 뿌리가 물이 공급되는 방향으로 편중되어 자라는 것을 방지하여 각각의 식물의 뿌리가 고르게 자라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열기능을 갖는 합성수지로 용기본체를 형성해 줌으로서, 급격한 온도변화로부터 연약한 뿌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용기본체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배수관을 통해 물이 일정높이 이상으로 차오를 경우 이를 외부로 배출토록 하여 과도한 물의 유입으로 인해 식물뿌리가 물에 잠겨 썩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용기본체의 바닥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판을 통해 용기본체의 내부에 충진된 물을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어 식물이 안치된 용기본체를 적은 힘으로도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옮겨 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물용 재배용기의 제1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와 평면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물용 재배용기의 제1실시 예에 사용상태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식물용 재배용기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와 평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식물용 재배용기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평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도 7의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식물용 재배용기의 제3실시 예에 사용상태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제1실시 예를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식물용 재배용기는, 용기본체(10)와 배수관(20)으로 구성되며, 특히, 용기본체(10)는 단열기능 및 부피에 비해 무게가 상당히 가벼워 이동성이 용이한 스티로폼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본체(10)는 바닥부(11)와 벽체부(12)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박스형태를 이루며, 내측으로 식물이 안치되어 보관된다.
상기 바닥부(11)는 상면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형성되며 소정의 폭과 깊이로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유도부(11a)와, 상하로 수직하게 관통되는 장착부(11b)를 구비를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유도부(11a)는 홈이다.
상기 벽체부(12)는, 바닥부(11)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상 방향으로 연장되며, 벽체부(12)의 상면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로 형성되는 제2유도부(12a)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유도부(12a)는 제1유도부(11a)와 마찬가지인 홈이다. 특히, 상기 제1유도부(11a)는 바닥부(11)와 벽체부(12)가 만나는 모서리부분을 따라 형성되는데, 본 실시 예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의 상면에 격자형태의 홈이 형성되며, 이들 격자형태의 홈은 제1유도부(11a)와 상호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격자형태의 홈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공지의 다양한 모양의 홈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20)은 공지의 중공관으로서, 용기본체(10)의 장착부(11b)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소정높이 이상으로 차오를 경우 이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 배수관(20)의 둘레면에는 단턱부(21)가 일체로 형성되며, 여기서 단턱부(21)는 장착부(11b)에 배수관(20)을 삽입했을 때 밑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단턱부(21)를 매개로 배수관(20)이 필요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뿔대형상으로 제작하여 단턱부(21) 없이도 장착부(11b)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용기본체(10)와 배수관(20)은 각각 분할형성된 것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용기본체(10)와 배수관(20)을 일체로 성형하여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식물용 재배용기의 제1실시 예에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이 개별적으로 식생된 포트를 용기본체(10)의 바닥부(11) 상에 배치한다.
상기와 같이 배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식물이 안치된 용기본체(10)의 내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제2유도부(12a)로 투입하게 되면, 제2유도부(12a)로 유입된 물이 서서히 차오르면서 용기본체(10)의 벽면을 타고 동시 다발적으로 흘러내려 제1유도부(11a)로 유입된다.
상기 제1유도부(11a)로 유입된 물은 제1유도부(11a) 내에서 서서히 차오름과 동시에 바닥부(11) 상에 구비되며 제1유도부(11a)와 상호 연통되는 격자형태의 홈으로 물이 유입되면서 바닥부(11)의 저면에서부터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승된 물은 개별 포트에 식생된 식물의 뿌리로 공급되며, 이를 통해 각각의 식물뿌리로 동시에 물이 공급되기 때문에 뿌리가 물이 공급되는 방향으로 편중되어 자라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각각의 식물의 뿌리가 고르게 자라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필요 이상의 물이 용기본체(10)의 내측으로 공급된 경우 배수관(20)의 상부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일정높이의 수위를 배수관(20)를 통해 항시 유지할 수 있어 과도한 물의 유입으로 인해 식물뿌리가 물에 잠겨 썩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식물용 재배용기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체적인 구성은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2유도부(12a)의 모서리부분에 격벽(12b)이 보강 구비된다는 점만 다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앞서 언급한 제1실시 예로 대신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0b는 본 고안에 따른 식물용 재배용기의 제3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벽체부(12)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1?2실시 예와 동일하지만, 여기서 주목할 점은, 바닥부(11)에 배수판 안치부(11c)와 제1?2배수공(11d,11e) 및 배수판 안치부(11c)에 배수판(30)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상기 바닥부(11)에는, 일 측면이 외향으로 개구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배수판 안치부(11c)와, 배수판 안치부(11c)를 기준으로 동축상으로 수직하게 관통되는 제1?2배수공(11d,11e)이 보강 구비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나란하게 형성된 장착부(12b) 사이에 다수개의 제1?2배수공(11d,11e)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2배수공(11d,11e)은 배수판 안치부(11c)와 상호 연통된다.
상기 배수판(30)은 직사각형상의 플레이트로서, 배수판 안치부(11c)에 이동가능하게 내설되어 탄발수단(40)에 의해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된다. 특히, 상기 배수판(30)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배수공(11d,11e)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연결공(3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수판(30)에는 가이드공(32)이 더 보강 구비되며, 여기서, 가이드공(32)은 공지의 긴 구멍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공(32)으로는 배수관(2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관통되며, 가이드공(32)은 삽입관통된 배수관(20)의 일단부에 의해 그 이동을 제한받게 된다. 따라서, 탄발수단(40)의 반발력이 배수판 안치부(11c)에 안치된 배수판(30)에 강하게 작용하더라도 배수판(30)의 가이드공(32)이 배수관(20)에 걸리게 되므로, 배수판 안치부(11c)에서 벗어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판 안치부(11c)와 배수판(30)의 일면 사이에는 탄발수단(40)이 설치되는데, 여기서 탄발수단(40)은 배수판(30)을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공지의 스프링(Spring)이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탄발수단(40)으로 코일스프링을 적용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공지의 스프링이 적용 실시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용기본체(10)의 배수판 안치부(11c)로 탄발수단(40)이 설치된 배수판(30)을 삽입한 상태에서 배수관(20)의 일단부를 바닥부(11)의 장착부(11b)에 삽입하여 고정하되, 배수판(30)의 가이드공(32)을 관통되도록 하여, 그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이 개별적으로 식생된 포트를 용기본체(10)의 바닥부(11) 상에 배치한다.
상기와 같이 배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식물이 안치된 용기본체(10)의 내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제2유도부(12a)로 투입하게 되면, 제2유도부(12a)로 유입된 물이 서서히 차오르면서 용기본체(10)의 벽면을 타고 동시 다발적으로 흘러내려 제1유도부(11a) 및 제1유도부(11a)와 연결되는 격자형태의 홈으로 물이 유입된다.
이와 같이, 제1유도부(11a)와 격자형태의 홈으로 유입된 물은 제2유도부(12a)와 마찬가지로 서서히 차오르다가 소정 시간이 지난 이후부터는 바닥부(11)의 저면에서부터 서서히 상승되면서 각각의 식물에 뿌리로 동시에 물이 공급되며, 동시에 공급되는 물을 통해 뿌리가 물이 공급되는 방향으로 편중되어 자라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각각의 식물의 뿌리가 고르게 자라도록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측으로 필요 이상의 물이 공급될 경우, 상승하던 물은 배수관(20)의 상부구멍을 통해 바닥으로 배출되어 일정높이의 수위를 항시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기본체(10)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물의 높이를 배수관(20)을 통해 설정할 수 있을 것이므로, 과도한 물의 유입으로 인해 식물뿌리가 물에 잠겨 썩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물이 안치된 용기본체(10)를 들어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충진된 물의 무게로 인해 들어 이동하는데 애로사항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때는 배수판 안치부(11c)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배수판(30)을 내측으로 밀어, 배수판(30)의 연결공(31)과 바닥부(11)의 제1?2배수공(11d,11e)이 서로 연통되도록 맞춰주게 되면, 용기본체(10)에 충진된 물은 이들 구멍을 매개로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0)에 충진된 물이 외부로 전부 배출된 이후에는 배수판(30)을 매개로 탄발부재(40)를 가압하고 있는 힘을 서서히 해제하게 되면, 탄발부재(40)에 의해 배수판(30)이 외부로 밀려나가게 되고, 최종적으로 배수판(30)의 가이드공(32)은 배수관(20)에 걸려 그 이동이 제한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물이 배출된 용기본체(10)를 들어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옮겨 이동시키면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용기본체(10)가 제1유도부(11a) 및 격자형태의 홈을 갖춘 바닥부(11)와 제2유도부(12a)를 갖춘 벽체부(12)로 구성되어 물이 제2유도부(12a) 및 제1유도부(11a)로 공급되면서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안치된 식물의 뿌리로 동시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식물의 뿌리가 물이 공급되는 방향으로 편중되어 자라는 것을 방지하여 각각의 식물의 뿌리가 고르게 자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열기능을 갖는 합성수지로 용기본체(10)를 형성해 줌으로서, 한 낯에 뜨거운 복사열로 인해 뿌리가 쉽게 달궈지거나 또는 기온하강에 따른 냉기로 인해 뿌리가 어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여 식물의 성장발육을 촉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용기본체 11: 바닥부 11a: 제1유도부
11b: 장착부 11c: 배수판안치부 11d: 제1배수공
11e: 제2배수공 12: 벽체부 20: 배수관
21: 단턱부 30: 배수판 31: 연결공
32: 가이드공 40: 탄발수단

Claims (4)

  1. 상면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형성되며 소정의 폭과 깊이로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유도부(11a)와, 상하로 수직하게 관통되는 장착부(11b)를 구비하는 바닥부(11)와; 바닥부(11)의 상면 가장자리와 제1유도부(11a) 사이에 입설되게 설치되며, 상면을 따라 소정의 폭과 깊이로 형성되는 제2유도부(12a)를 구비하는 관 형상의 벽체부(12)를 갖춘 용기본체(10):
    용기본체(10)의 장착부(11b)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소정높이 이상으로 차오를 경우 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용 재배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1)에는, 일 측면이 외향으로 개구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된 배수판 안치부(11c)와, 배수판 안치부(11c)를 기준으로 동축상으로 수직하게 관통되는 제1?2배수공(11d,11e)이 보강되고,
    제1?2배수공(11d,11e)과 연통되는 연결공(31)을 갖추고서, 배수판 안치부(11c)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탄발수단(40)에 의해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되는 배수판(30)이 더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용 재배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30)에는, 배수관(20)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장방형의 가이드공(32)이 더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용 재배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수단(40)은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용 재배용기.
KR2020110004652U 2011-05-27 2011-05-27 식물용 재배용기 KR2004638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652U KR200463803Y1 (ko) 2011-05-27 2011-05-27 식물용 재배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652U KR200463803Y1 (ko) 2011-05-27 2011-05-27 식물용 재배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803Y1 true KR200463803Y1 (ko) 2012-11-26

Family

ID=4756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652U KR200463803Y1 (ko) 2011-05-27 2011-05-27 식물용 재배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80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4734B2 (ja) 1994-08-08 2004-03-08 株式会社山善金型 植木鉢の給水装置
KR100945472B1 (ko) 2009-02-20 2010-03-05 (주)이지탑 식생블록
KR100974098B1 (ko) 2007-12-17 2010-08-04 주식회사 세원뷰텍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4734B2 (ja) 1994-08-08 2004-03-08 株式会社山善金型 植木鉢の給水装置
KR100974098B1 (ko) 2007-12-17 2010-08-04 주식회사 세원뷰텍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KR100945472B1 (ko) 2009-02-20 2010-03-05 (주)이지탑 식생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99069B (zh) 多重盆栽植物自灌溉系统
US10492377B2 (en) Unique rollable five-device-in-one system comprising rollable clawed-foot flower container, rollable adjustable-receiver umbrella stand, rollable water reservoir, rollable water-regulating irrigation system, and rollable water-circulating system
KR101314657B1 (ko) 양액 재배용 베드
JP2017538405A (ja) 垂直な水耕栽培タワー・アレイ固定システム
US8707620B2 (en) Seedling tray
JP2017515505A (ja) 雨水自動供給栽培装置
KR102039379B1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CN102599024A (zh) 一种用于干旱地区植物的育苗、栽种方法和装置
KR101382834B1 (ko) 관수와 이식이 용이한 육묘용 포트
KR101926988B1 (ko)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
JP5451081B2 (ja) 水田用作物栽培試験用ポット
KR101576724B1 (ko) 주머니형 식물 재배기
JP2015039321A (ja) 植物栽培装置
KR200463803Y1 (ko) 식물용 재배용기
KR200480431Y1 (ko) 수경재배용 베드
KR100676692B1 (ko) 저수조를 겸한 식물재배용기
KR19980064547A (ko) 고설(高設)재배장치
GB2527150A (en) A propagator
KR20150127326A (ko) 어류의 배설물을 비료로 이용하는 수평 구조의 양어 및 수경재배 수조
KR101314769B1 (ko) 양액 재배용 베드
KR101786232B1 (ko) 식물 재배용 저면관수 화분
KR200485307Y1 (ko) 선인장 수경재배 상자
KR102045705B1 (ko) 생육활성화가 가능한 이식용 식물재배관리기
JP6094264B2 (ja) 植物栽培用容器及び植物の栽培方法
KR101835770B1 (ko) 화분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