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548A - 고설(高設)재배장치 - Google Patents

고설(高設)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548A
KR19980064548A KR1019970072896A KR19970072896A KR19980064548A KR 19980064548 A KR19980064548 A KR 19980064548A KR 1019970072896 A KR1019970072896 A KR 1019970072896A KR 19970072896 A KR19970072896 A KR 19970072896A KR 19980064548 A KR19980064548 A KR 19980064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cultivation
soil
clay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헤이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고헤이 야마모토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46388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78907A/ja
Priority claimed from JP346813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13294B2/ja
Application filed by 고헤이 야마모토,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헤이 야마모토
Publication of KR19980064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54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12Alumini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서서하는 작업이 가능하며, 식물이나 그 과실을 얼룩 없이 생육, 성숙시킬 수 있으며, 해충을 기피하는 것도 가능한 고설(高說)재배장치를 제공한다.
지표면(31)상에, 배토수용부(32)를 계층상 및 병렬상으로 배치하여, 각각 배토수용부(32)내에 배토(35)를 충전하여 딸기(36)를 재배한다. 배토수용부(32) 등을 구성하는 소재는 알루미늄분말을 함유하는 발포 폴리스틸렌이며, 그 표면은 광반사성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고설(高設)재배장치
본 발명은 딸기, 잎사귀 채소, 화초 등을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재배하기 위한 고설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딸기나 잎사귀 채소 등을 재배할 경우, 종래부터, 재배지의 지표면에 형성한 이랑을 따라 묘를 심어 생육시키는 소위 토경재배라고 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있다. 토경재배에 있어서는, 묘기르기부터 수확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작업은 엉거주춤한 자세나 웅크린 자세에서의 작업이 많고, 특히, 정식(定植)시는 묘의 운반 등의 중노동을 수반하므로, 작업자의 육체적 부담은 매우 큰 것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과혹한 노동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재배용기의 개량, 개발 등이 행해져, 서서하는 작업이 가능한 재배방법으로서, 소위 고설재배가 일부에 있어서 실시되고 있다.
본 출원인도, 딸기나 잎사귀 채소 등의 재배용기로서, 배토의 사용량이 적게 끝나고, 뿌리의 성장도 양호한 재배용기를 개발하며, 또, 이 재배용기를 유지하는 장치 및 살수나 시비(施肥)에 알맞은 보조구를 개발하고 있다(실공평 6-16495호 공보 참조). 도 11은, 이 보조구를 세트한 재배용기를 유지장치로 유지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장치(80)는 프레임(81) 및 지주(82)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끝이 가는 원통상의 재배용기(91)나 살수·시비용의 보조구(92)를 유지장치(80)로 유지함으로써, 서서하는 작업이 가능해지므로, 재배작업의 효율화, 노동조건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재배용기를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 유지하는 방법으로서는, 이외에도 여러 가지 생각할 수 있지만, 본 출원인은, 다수개의 용기본체를 연결부재로 연결한 형상의 재배용기를 가대(架臺)에 놓아 유지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특원평 7-132727호로서 특허출원을 행하고 있다.
도 12는, 상기 특허출원에 관한 재배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재배용기(20)는, 합성수지제의 용기본체(21)의 상단의 일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써, 10개의 용기본체(21)를 직선상에 연결한 형상을 가지는 용기 본체군(22a, 22b)을 구성하며, 용기본체군(22a, 22b)의 상부를 연결부재(23)로 연결한 구조이다.
개개의 용기본체(21)는, 횡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끝이 가는 통형상 용기이다. 연결부재(23)는, 용기본체군(22a, 22b)의 상단의 플랜지의 일변으로부터 연장하는 형상으로, 용기본체군(22a, 22b)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유지장치의 계지용 프레임(13)의 형상에 맞도록, 횡단면이 凸형상을 하고 있다.
이 재배장치를 사용함으로서, 서서하는 작업이 가능해지며, 종래의 재배용기의 다수개군을 1회의 계지동작으로 프레임에 계지할 수 있으므로, 재배용기의 계지작업을 효율화할 수 있다.
종래의 재배장치의 경우, 재비용기와 유지장치와는 별개이며, 지주나 프레임 등으로 구성된 유지장치를 지표면상에 설치하여, 재배용기를 세트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설치작업이 성가시고, 설비비도 높다. 또 실제로 재배에 기여하고 있는 부분에 비해, 큰 설치공간을 필요로 한다.
또, 재배용기가 단체(單體)용기 또는 연결용기의 어떤 형상으로 있어도, 용기내 에 배토를 충전하는 작업은 용기마다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다수의 용기의 배토를 충전하는 경우 등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재배용기는 끝이 가는 원통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소위 건조한 형상의 배토를 사용하지 않으면 충전이 매우 곤란해진다. 또, 재배용기는 유지장치에 늘어뜨린 상태로 사용하므로, 비중이 큰 배토를 충전하면, 그 무게로 유지장치가 변형하거나 파손할 염려가 있다.
그러나, 보통의 밭흙은 수분함유량이 많고, 비중이 크며, 건조한 형상도 아니므로, 종래의 재배용기에 있어서 배토로서 사용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이 때문에, 전용으로 조제된 고가의 배토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어, 배토 비용이 크고, 재배지까지의 배토의 반입 등에 많은 수고를 요한다.
한편, 딸기나 잎사귀 채소 등의 재배에 있어서는 온도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예를 들면, 딸기의 경우, 재배의 초기단계에서는 지상부분과 지하부분의 생육의 밸런스를 유지하여 풀힘의 급격한 변화를 피하는 것이 수확량의 안정화에 연결되므로, 개화시작의 시기는, 야간온도를 8℃~10℃, 주간온도를 25℃~28℃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온도관리의 목표로 되어 있다.
또, 수확이행 초기에 있어서는, 풀힘의 유지와 과실착색의 안정화를 위해, 야간온도는 5℃~6℃, 주간온도는 22℃~25℃가 온도관리의 목표로 되어 있다.
그러나, 고설재배의 경우, 배토가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기온변화의 영향을 받기 쉬워, 토경재배의 경우에 비하여, 보다 정확한 온도관리가 필요로 된다. 고설재배에 있어서도 하우스재배의 경우는, 하우스내의 온도를 관리함으로써, 상기 온도관리를 행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대(大)용적의 대형 하우스로 되면 난방설비도 커져, 에너지소비량도 증대한다.
또, 지진에 있어서 고설재배의 경우, 재배용기와 유지장치의 외곽을 비닐 시트 등으로 감싸고, 또한, 지면에 축열용 수봉(수封) 덕트(duct)나 온탕파이프를 설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온도관리를 행하고 있지만, 이 방법으로는, 지상에 설치한 재배용기의 온도를 수 ℃의 범위내에 유지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또한, 고설재배의 경우, 토경재배에 비해 다수의 묘를 밀착상태로 하여 재배하는 일이 많으므로, 식물의 그늘이지는 부분은 일조상태가 나빠져, 생육불량으로 되거나, 과실의 성숙에 얼룩이 발생하거나 한다. 또, 재배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일조상태가 나쁜 부분에 진디 등의 해충이 기생, 쉽게 번식하므로, 이들의 해충에 의한 피해도 발생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서하는 작업이 가능하고, 배토나 물·비료 등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고, 또, 식물이나 그 과실을 얼룩 없이 생육, 성숙시킬 수 있으며, 해충을 기피하는 일도 가능한 고설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제 1실시형태인 고설재배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동 고설재배장치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사시도,
도 3은 동 고설재배장치의 상태를 도시하는 임부 절결사시도,
도 4는 제 2실시형태인 고설재배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동 고설재배장치의 부분정면도,
도 6은 제 3실시형태인 고설재배장치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사시도,
도 7은 제 4실시형태인 고설재배장치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사시도,
도 8은 고설재배장치를 접속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접속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고설재배장치의 다른 접속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고설재배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종래의 다른 고설재배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50, 60, 70:고설재배장치30e:단면
31:지표면32, 51, 52, 61, 62:배토수용부
33:개구부34:경사벽면
35:배토36:딸기
37:온탕파이프38:급수파이프
39:복토 커버39a:돌출부
53, 54:측벽면C:크라운
R:세근S:과실
H:태양광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1 발명은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토를 유지하기위한 배토수용부를 가지는 고설재배장치이며, 적어도 배토수용부를, 광반사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토수용부는,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토를 유지하는 구조이므로, 여기서 식물을 재배함으로써, 서서하는 작업이가능해진다. 또, 적어도 배토수용부를, 광반사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그 부분은 입사해간 태양광을 반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반사한 태양광이 배토수용부에 심은 식물에 비추어, 식물을 얼룩 없이 생육시킬 수 있다. 또, 반사한 태양광은, 잎의 뒤측 등에도 비추므로, 해그늘에 기생하는 성질을 가지는 해충을 기피할 수 있다.
광반사성을 가지는 소재로서는, 광반사성 물질을 함유하는 발포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발포 플라스틱에 광반사성 물질을 함유시킴으로써, 발포 플라스틱표면은 전면적으로 반사성을 가지며, 입사한 태양광의 대부분은 반사하므로, 재배중의 식물의 일조상태가 양호해진다.
또, 발포 플라스틱은 단열성이 높으므로 배토수용부 등을 발포 플라스틱으로 형성함으로써 보온기능이 향상하여, 온도관리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발포 플라스틱은 경량이므로, 배토수용부의 경량화에 의해 운반성이 향상하고, 내식성(耐蝕性)도 양호하다.
여기에서, 발포 플라스틱으로서는, 발포 폴리스틸렌을 사용할 수 있다. 발포 폴리스틸렌은 보온기능이 높고, 경량임과 동시에, 성형성에 뛰어나고, 강도나 내구성도 양호하므로, 고설재배장치의 재료로서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발포 플라스틱에 함유시키는 광반사성 물질로서는, 금속분말, 금속박편, 유기물 안료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물질을, 성형전의 단차에서 발포 플라스틱에 첨가해 둠으로써, 성형후의 배토수용부 등의 표면은 전면에 걸쳐 광반사성을 가질 수 있다. 또, 금속분말, 금속박편, 유기물 안료 등을 함유시킴으로써 광을 난반사하는 성질이 구비되어, 입사되어, 입사한 태양광을 모든 방향에 반사하므로, 태양광의 입사각도에 관계없이 재배중의 식물의 일조상태를 양호하게 보전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금속분말, 금속박편으로서는, 그 적어도 한쪽이,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알루미늄은, 비중이 작으므로 발포 플라스틱에 함유시켜도 중량의 증가는 작아, 내식성이 뛰어나므로 광반사성은 장기간 지속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2발명은,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토를 유지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고설재배장치이며, 지표면과 연결 가능한 개구부와 배토를 경사 상태로 유지하는 경사벽면을 가지는 도랑형상의 배토수용부를 계층상, 병렬상의 적어도 한쪽의 상태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설재배장치에서는, 배토수용부가 지표면보다 위에 있으므로, 서서하는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배토는 배토수용부내에 충전하는 분량이면 되므로, 이랑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배토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다른 유지장치없이 지표면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 공간은 작게 끝나며, 도랑형상의 배토수용부를 계층상, 병렬상의 적어도 한쪽의 상태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좁은 재배지에 있어서도 다수개의 식물을 재배하는 일이 가능해지며,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토경재배에 있어서, 이랑을 높게 한 경우는 이랑의 형상이 커지며, 실질적으로 단위면적당의 재배 개수, 소위 재식밀도가 저하하지만, 본 발명의 고설재배장치를 사용한 경우, 재식물도를 저하시키는 일없이,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배토수용부는 도랑형상으로, 그 상면은 연속하여 개방하고 있으므로 배토의 충전작업은 용이하며, 건조한 형상이 아닌 밭흙이 있어서도 효율적으로 충전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배토수용부는, 지표면과 연결 가능한 개구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충전된 배토는 개구부에 있어서 지표면과 연속한 상태로 되며, 배토의 중량은 지표면에 걸린다. 이 때문에, 비중이 큰 밭흙을 충전한 경우라도 배토수용부에 부담을 거는 일은 없다.
한편, 본 발명의 고설재배장치는,배토수용부내에 충전된 배토를 경사상태로 유지하는 경사벽면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거기에 심어진 식물의 생육상태가 양호해지며,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그 이유를, 딸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배토수용부내에 충전된 배토에 심어진 딸기의 뿌리는 아래쪽으로 뻗어가려하지만, 딸기 묘가 경사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정립상태에서 심어진 경우보다도, 특히 크라운부분으로부터의 새로운 뿌리의 발생이 활발해지는 성질이 있다. 즉, 딸기 묘에 있어서는, 기존의 묘가 신장하는 것 보다도 크라운부분에서의 새뿌리의 발생의 쪽이 촉진되므로, 이들의 새뿌리가 배토안으로 뻗어가, 발근(發根), 활착(活着)이 양호해지므로, 그 후의 생육상태가 활성화된다. 또, 크라운부분으로부터 많은 새뿌리가 발생함으로써, 꽃 개수의 증가가 촉진되므로,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딸기의 경우, 뿌리는 크라운이 기울어져 있는 방향으로 뻗어가는 성질이 있으므로, 딸기 묘를 경사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뿌리의 생육방향을 적절히 유도할 수 있다. 또, 배토를 경사상태로 유지하는 것으로, 묘의 경사심기가 용이해지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정식후의 발근, 활착이 양호해지므로, 수확량도 안정하고, 또한 과실송이의 신장방향이 안정하다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고설재배장치에서는, 배토수용부에, 배토수용부내에 돌출한 형상의 돌출부를 가지는 복토 커버를 구비해도 된다. 이와 같은 형상의 복토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돌출부가 배토수용부내에 돌출한 상태로 되며, 돌출부의 공간에 상당하는 부분만큼 배토수용부의 용적이 감소하므로, 배토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토수용부에 대하여 복토 커버를 착탈가능한 구조로 해 두면, 배토수용부내로의 배토의 충전이나 배출시에 있어서는, 복토 커버를 해체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 본 발명의 고설재배장치에서는, 배토수용부내를 가온하기 위한 가온수단을 설치해도 된다. 가온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기온이나 식물의 육성상태 등에 맞추어, 충전된 배토의 온도를 관리할 수 있으므로,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기온수단으로서는, 배토수용부내에 온탕파이프를 배치한 구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고설재배장치에서는, 배토수용부내에 수분을 공급하는 급수수단을 설치해도 된다. 급수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식물의 생육상태 등에 맞추어, 급수할 수 있으므로, 살수작업의 수고를 덜 수 있다. 급수수단으로서는, 벽면에 다수의 관통공을 설치한 급수파이프를 배토수용부내에 배치하는 등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설재배장치에 있어서는, 적어도 배토수용부를 발포플라스틱으로 형성해도 된다.
발포 플라스틱은 단열성이 높으므로, 적어도 배토수용부를 발포 플라스틱으로 형성함으로써 보온기능이 향상하여, 온도관리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발포 플라스틱은 경량이므로, 운반작업이 용이해진다.
여기서, 발포 플라스틱에 광반사성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발포 플라스틱 표면은 전면적으로 반사성을 가져, 입사한 태양광의 대부분을 반사하므로, 재배중의 식물의 일조상태가 양호해진다.
또, 발포플라스틱으로는, 발포 폴리스틸렌을 사용할 수 있다. 발포 폴리스틸렌은 보온기능이 높고, 경량임과 동시에, 형성성에 뛰어나, 강도나 내구성도 양호하므로, 고설재배장치의 재료로서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고설재배장치끼리를 연결하기 위해, 고설재배장치의 단부에 연결부를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고설재배장치는, 제작상 또는 운반상의 제약 등에 의해 소정의 사이즈로 형성되지만, 재배지가 넓은 경우, 그 넓이에 맞추어 복수의 고설재배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고설재배장치의 단부에 연결부를 형성해 둠으로써, 확실한 연결상태가 얻어지므로, 열의 흐트러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로서는, 고설재배장치의 양단부에 각각 서로 감합하는 오목부와 볼록부를 형성한 구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고설재배장치를 연결하는 경우, 배토수용부가 연속한 도랑형상으로 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확실한 연결상태가 얻어지도록, 배토수용부의 단부에 연결부를 형성해도 된다. 연결부로서는, 배토수용부의 양단부에 각각 서로 감합하는 오목부와 볼록부, 또는 단차를 형성한 구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제 1실시형태인 고설재배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동 고설재배장치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고설재배장치(30)는, 지표면(31)상에 배토수용부(32)를 계층상 및 병렬상으로 배치하여, 각각의 배토수용부(32)내에 배토(35)를 충전하여 딸기 등을 재배하기 위한 장치이다. 배토수용부(32) 등을 구성하는 소재는 알루미늄분말을 함유하는 발포 폴리스틸렌이며, 그 표면은 전면적으로 광반사성을 구비하고 있다.
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배토수용부(32)는, 지표면(31)과 연결 가능한 개구부(33)와, 배토수용부(32)내의 배토를 경사상태로 유지하는 경사벽면(3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배토수용부(32) 아래쪽에는 온탕파이프(37)와 급수파이프(38)를 배치하고, 최상부에 있는 배토수용부(32)의 상면에는, 돌출부(39a)를 가지는 착탈자유로운 복토 커버(39)를 구비하고 있다.
고설재배장치(30)에 있어서는, 각 배토수용부(32)가 지표면(31)의 위쪽에 위치하므로, 서서하는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하며, 배토(35)는 배토수용부(32)내에 충전하는 분량이 있으면 되므로, 이랑을 형성하여 딸기를 재배하는 경우에 비해 배토의 사용량은 적게 끝나, 비료나 물 등의 사용량도 저감할 수 있다. 또, 복토 커버(39)는 돌출부(39a)를 가지므로, 이 공간에 상당하는 부분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고설재배장치(30)는 다른 유지장치(31)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공간은 작게 끝나며, 도랑형상의 배토수용부(32)를 계층상 및 병렬상으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좁은 재배지에 있어서도 다수의 식물을 재배하는 일이 가능해져,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토경재배에 있어서 이랑을 높게 한 경우는, 이랑형상이 커지므로, 실질적으로 단위면적당의 재배수, 소위 재식밀도가 저하하지만, 고설재배장치(30)를 사용한 경우, 재식 밀도를 저하시키는 일없이, 지표면(31)보다 높은 위치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 각 배토수용부(32)는 도랑형상이며, 그 상면은 연속적으로 개방한 상태로 되므로, 배토(35)의 충전작업은 간단하며, 건조한 형상이 아닌 밭흙에서도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특히, 최상부에 있는 배토수용부(32)는 복토 커버(39)를 벗기면, 그 상면은 크게 개방되므로, 배토(35)의 충전작업은 매우 유용하다.
각 배토수용부(32)는 지표면(31)과 연결 가능한 개구부(33)를 가지고 있으므로, 충전된 배토(35)는, 각각의 개구부(33)에 있어서 지표면(31)과 연속한 상태로 되며, 배토(35)의 중량은 지표면(31)에 걸린다. 이 때문에, 비중이 큰 밭흙을 충전한 경우라도, 배토수용부(31)에 부담을 거는 일은 없다.
실제로 고설재배장치(3)를 사용하는 경우는, 배토수용부(32)내에 배토(35)를 충전하여, 그대로 배토(35)안에 딸기(36)를 심어도 되지만, 배토의 충전이 완료한 후, 고설재배장치(30)의 상면을 시트재로 덮은 상태로 하여, 딸기(36)의 묘를 심어도 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여, 고설재배장치(30)를 사용하여 딸기(36)를 재배한 경우의 생육상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고설재배장치(30)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단면도이다.
고설재배장치(30)를 사용하는 경우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토수용부(32)내에 배토(35)를 충전하여, 배토(35)안에 딸기(36)를 심는다. 배토수용부(32)에 충전한 배토(35)에 심어진 딸기(36)의 뿌리는 아래쪽으로 뻗어 가고자 하지만, 딸기(36)는 경사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크라운(C)부분으로부터 많은 세근(R)이 발생하는 성질이 있다. 즉, 기존의 뿌리가 신장한다기 보다도, 크라운(C)부분에서 새로운 세근(R)의 발생의 쪽이 촉진되어, 이들의 세근(R)은 배토(35)안으로 뻗어 가고, 발근, 활착이 양호해지므로, 그 후의 생육상태가 활성화된다. 또, 크라운(C)부분에서 다수의 세근(R)이 발생함으로써, 꽃수의 증가가 촉진되므로,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뿌리는 크라운(C)이 기울어 있는 방향으로 뻗어가는 성질이 있으므로, 딸기(36)를 경사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뿌리의 생육방향을 적절하게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은 직경 포트 묘기르기에 의해 재배된 묘의 경우, 배토량에 비해 근부(根部)가 많지만, 배토수용부(32)내의 배토(35)에 정식한 때, 곧바로 배토(35)안으로 발근하기 위한 활착이 빠르고, 이후, 근부의 생육이 양호해진다. 또, 배토(35)가 경사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경사심기도 용이하다.
일반적으로, 딸기는, 천근성(淺根性)의 식물이라고 하지만, 수십 ㎝의 깊이까지, 뿌리군을 신장하는 일이 있으며, 예를 들면, 북미 캘리포니아의 사막지대에서 재배되는 딸기의 경우, 1m 이상 깊이의 뿌리영역을 가지는 것이 있어, 6~8t/10a라고 하는 다수확이 얻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딸기의 경우, 깊고 큰 뿌리군 형성이 다수확인으로 연결되는 것을 판명하고 있다. 따라서, 토양의 경도(硬度)나 물의 세로이동에 따르는 통기성 등의 조건을 조정하면, 깊고 큰 뿌리군 형성이 가능해져, 소위 「성장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그래서, 고설재배장치(30)의 경우 상하방향으로 긴 배토수용부(32)를 설치하여, 배토(35)를 상하방향으로 길게 충전하고 있으므로, 딸기(36)의 뿌리영역이 상하로 넓어져, 생육상태가 양호해진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배토수용부(32)의 상면을 노출시켜 재배를 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배토수용부(32)의 상면을 시트재로 덮은 상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배토수용부(32) 등의 표면은 전면적으로 광반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입사하는 태양광(H)을 반사한다. 그리고 반사한 탱양광은, 딸기(36)과 과실(S)의 하측 등에 비추므로, 과실(S)을 얼룩없이 성숙시킬 수 있다. 또, 배토수용부(32) 등의 표면에서 반사한 태양광은, 딸시(36)의 잎의 뒤측 등에도 비추므로, 해그늘을 좋아하여 기생하는 진디 등의 해층을 기피할 수 있다.
배토수용부(32)를 구성하는 발포 폴리스틸렌의 광반사성은 발포 폴리스틸렌 중에 분산된 알루미늄분말에 의한 것이므로, 입사하는 태양광(H)을 모든 방향으로 난반사하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태양광(H)의 입사각도에 관계없이, 딸기(36)의 일조상태는 양호해진다.
또, 알루미늄은, 비중이 작으므로 발포 폴리스틸렌에 함유시켜도 중량의 증가는 작고, 고설재배장치(30)의 운반성을 저해하는 일없이, 내식성에 뛰어나므로 광반사성은 장시간 지속한다. 또한, 알루미늄분말 외에, 발포 폴리스틸렌의 성형시에 마스터 뱃치(master batch)를 첨가함으로써도 광반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뱃치란, 고농도의 첨가제를 함유한 플라스틱,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혼합물을 말하며, 예를 들면, 안료를 함유한 플라스틱, 카본 블랙을 함유한 고무 등이다.
이와 같이, 고설재배장치(30)에서는, 배토수용부(32) 등이 광반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광반사성을 구비한 시트재를 사용하는 필요가 없어지는 장점도 있다.
한편, 고설재배장치(30)에서는, 배투수용부(32)내를 가온하기 위한 온탕파이프(37)를 설치하고 있다. 온탕파이프(37)내에 온탕을 통과함으로써, 기온이나 딸기(36)의 생육상태 등에 맞추어, 충전된 배토(35)의 온도를 관리할 수 있으므로, 생육상태가 양호해져,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토수용부(32)내에 충전된 배토(35)를 가온하면 되므로, 이랑 전체를 가온하는 경우에 비해, 소비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다. 또 태양열 온수기와 병용하면, 소비에너지 저감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설재배장치(30)에서는, 배토수용부(32)내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파이프(38)를 배치하고 있다. 급수파이프(38)의 벽면에는 다수의 관통공(41)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급수파이프(38)내에 송수함으로써, 배토수용부(32)내에 충전된 배토(35)의 적절량이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급수파이프(38)에 의해 배토(35)내에 직접 급수하므로, 배토 표면에 관수(灌水)방식에 비해, 수량이 적게 끝난다. 또, 배토(35)의 건조시간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해지므로 근부로의 공기의 공급도 용이해진다.
딸기(36)의 경우, 수분의 급수는 소량씩 다회수로 나누어 하는 것이 세근의 발생을 촉진하여 수확량의 증대로 연결되지만, 급수파이프(38)를 배치함으로써, 살수작업의 수고를 덜 수 있고, 세세한 급수관리가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4, 5를 참조하여, 제 2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 2실시형태인 고설재배장치를 도시하는 일부절결사시도, 도 5는 동 고설재배장치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정면도이다.
이들의 도에 도시하는 고설재배장치(50)에 있어서는, 배토수용부내(51, 52)의 측벽면(53, 54)을 각각 수직으로 경사시킨 구조로 하고 있다. 그 외의 부분에 관해서는, 상기 고설재배장치(30)와 같은 구조, 기능을 가지고 있다.
고설재배장치(50)의 경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쪽의 배토수용부(51)의 측벽면(53)은 하단이 외측으로 넓어진 상태로 경사하고, 아래쪽의 배토수용부(52)의 측벽면(54)은 하단이 내측으로 좁아진 상태로 경사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배토수용부(51, 52)에 심어진 딸기(36)는, 각각 측벽면(53, 54)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충분한 일조를 확보할 수 있어, 과실(S)을 얼룩없이 성숙시킬 수 있다.
고설재배장치(3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개의 배토수용부(32)를 병렬시키고, 그 위에 또 하나의 배토수용부(32)를 재치한 것 같은 구조이지만, 본 발명은 이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외에, 도 6,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조 등도 채용할 수 있다.
도 6은 도시하는 고설재배장치(60)는, 높이가 다른 배토수용부(61, 62)를 구비해 두고, 배토수용부(61)를 중심으로 하여, 두개의 배토수용부(62)를 병렬시킨 구조로 하여, 배토수용부(61, 62)내에는 각각 온탕파이프(37)와 급수파이프(38)를 배치하고 있다. 고설재배장치(60)는, 전술한 고설재배장치(30)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어, 재배조건 등에 따라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고설재배장치(70)는, 지표면(31)상에 계층상 및 병렬상으로 배치한 각각의 배토수용부(32)의 아래쪽부를 묶어 하나로 한 구조로 하고, 각 배토수용부(32)는 개구부(33)에 있어서 지표면(31)과 연속하고 있다. 또, 개구부(33)의 위쪽에 온탕파이프(37)와 급수파이프(38)를 배치하고 있다.
고설재배장치(70)에 있어서도, 각 배토수용부(32)내의 배토(35)는 경사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설재배장치(30, 50, 60)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 고설재배장치(70)의 경우, 배토수용부(32)는 3개소에 있지만, 각 배토수용부(32)의 아래쪽이 하나의 개구부(33)에 하나로 된 구조로 있으므로, 각 배토수용부(32)내에 충전된 배토(35)의 중량은 개구부(33) 부근의 지표면(31)에 더해져, 각 배토수용부(32)에 부담이 걸리지 않는다. 이 때문에, 중량이 큰 밭흙을 사용하는 일도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각 실시형태인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고설재배장치(30, 50, 60, 70)의 사이즈는, 제작상 및 운반상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길이를 1m로 하고 있으므로,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 고설재배장치(30)를 예로 설명하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배지의 넓이에 맞추어 연결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설재배장치(30)의 단면(3e)에 각각 서로 감합하는 형상인 볼록부(42)와 오목부(43)를 설치함으로써, 각각의 단면(30e)끼리를 밀착시키는 것 만으로 볼록부(42)와 오목부(43)가 감합하여, 확실한 연결상태가 얻어진다. 따라서, 고설재배장치(30)를 배열하고 있을 때는 물론, 재배기간중에 있어서도 열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수의 고설재배장치(3)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온탕파이프(37) 등의 연결방법이 문제로 되지만, 이 경우, 온탕파이프(37)와 급수파이프(38)를 해체한 상태에서 고설재배장치(30)를 연결해 가, 연결이 완료한 후, 긴 파이프를 순차 연결하면서 관통시켜 가는 방법, 또는 온탕파이프(37) 및 급수 파이프(38)의 양단에 연결부를 설치해 두고, 고설재배장치(30)를 연결할 때에 온탕파이프(37)등도 연결해 가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고설재배장치(30)끼리를 연결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토수용부(32)가 횡방향으로 연속한 도랑형상으로 되도록 연결하는 일이 있다. 이 경우는, 배토수용부(32)를 구성하는 경사벽면(34) 등의 단부에, 서로 감합하는 오목부와 볼록부 또는 단차 등을 설치해 두면, 확실한 연결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설재배장치(30)는, 서로 연결함으로써 긴 장치로 되므로, 재배지의 넓이에 맞추어 설치함으로써, 다수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고설재배장치(50, 60, 70)도 도 8,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설재배장치(30, 50, 60, 70)는, 어떤 것도 알루미늄분말을 함유하는 발포 폴리스틸렌을 소재로 하여 형성하고 있다. 발포 폴리스틸렌은 단열성에 뛰어나므로, 배토수용부(32) 등의 보온기능은 양호하며, 온도관리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어, 가온용 에너지의 절약에도 효과적이다.
또, 발포 폴리스틸렌은 경량이므로, 운반이나 설치 등의 작업도 용이하며, 강도나 내식성이 양호하므로 사용 중에 부식하는 일 없이,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포 폴리스틸렝능 형성성에 뛰어나므로, 사용조건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 사이즈의 고설재배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고설재배장치(30, 50, 70)를 사용하여 딸기(36)를 재배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고설재배장치는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딸기 이외의 잎사귀 채소나 화분류 등을 재배할 경우도 넓게 이용할 수 있고, 재배하는 식물이나 재배지의 상황 등의 각종 조건에 맞추어 사이즈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제 1의 발명에서는,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토를 유지하기 위한 배토수용부를 가지는 고설재배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배토수용부를, 광반사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반사한 태양광이 재배중인 식물에 비추므로, 식물을 얼룩없이 생육시킬 수 있다. 또, 잎의 뒤측 등에도 반사한 태양광이 비추므로, 해그늘에 기생하는 성질을 가지는 해충을 기피할 수 있다.
(2) 광반사성을 가지는 소재로 하여, 광반사성 물질을 함유하는 발포 플라스틱을 사용함으로써, 발포 플라스틱표면은 전면적으로 반사성을 가지며, 입사한 태양광의 대부분을 반사할 수 있으므로, 식물의 일조상태가 향상한다. 또, 발포 플라스틱은 단열성이 높으므로, 보온기능이 향상하고, 온도관리를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3) 발포 플라스틱에 함유시키는 광반사성 물질로서, 금속분말, 금속박편, 유기물 안료 등을 사용함으로써, 배토수용부 등의 표면은, 전면적으로 난반사성을 가지므로, 태양광의 입사각도의 관계없이 식물의 일조상태를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4) 금속분말, 금속박편으로서,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장치의 중량을 대폭으로 증대시키는 일없이, 광반사성을 가질 수 있으며, 광반사성도 장기간 지속한다.
(5) 발포 플라스틱으로서, 발포 폴리스틸렌을 사용함으로써, 보온기능의 향상뿐만 아니라,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내구성도 양호해진다.
(6) 또, 지표면과 연결 가능한 개구부와 배토를 경사상태로 유지하는 경사벽면을 가지는 도랑형상의 배토수용부를 계층상, 병렬상의 적어도 한쪽의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서서하는 작업이 가능하며, 배토충전이 용이해져, 배토나, 물·비료 등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으며, 비중이 큰 밭흙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좁은 재배지에 있어서도 다수의 식물을 재배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식물의 세근발생이 촉진되어,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7) 배토수용부에, 배토수용부내에 돌출한 형상의 돌출부를 가지는 복토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돌출부의 공간에 상당하는 부분만큼 배토수용부의 용적이 감소하므로, 배토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8) 배토수용부내에 가온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기온이나 식물의 생육상태 등에 맞추어, 배토의 온도를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으므로,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9) 배토수용부내에 급수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식물의 생육상태에 맞춘 급수가 행해지므로, 살수작업이 생력화(省力化)되어, 세세한 급수관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식물의 생육상태가 양호해진다.
(10) 적어도 배토수용부를 발포 플라스틱으로 형성함으로써, 보온기능이 향상하며, 온도관리를 보다 정확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발포 플라스틱은 경량이므로, 운반적업이 용이해진다.
(11) 발포 플라스틱에 광반사성 물질을 함유시킴으로써, 발포 플라스틱표면은 전면적으로 반사성을 가져, 입사한 태양광의 대부분을 반사하므로, 재배중인 식물의 일조상태가 양호해진다.
(12)발포 플라스틱의 하나인 발포 폴리스틸렌을 사용함으로써, 보온 기능이나 형성성이 향상하여, 장치를 보다 경량화할 수 있어, 고설재배장치로서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이 얻어진다.

Claims (5)

  1.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토를 유지하기 위한 배토수용부를 가지는 고설재배장치로서, 적어도 배토수용부를, 광반사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토수용부를, 광반사성 물질을 함유하는 발포 플라스틱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성 물질이, 금속분말, 금속박편, 유기물 안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분말, 금속박편의 적어도 한쪽이,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플라스틱이 발포 폴리스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장치.
KR1019970072896A 1996-12-25 1997-12-24 고설(高設)재배장치 KR199800645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638896A JPH10178907A (ja) 1996-12-25 1996-12-25 高設栽培装置
JP96-346388 1996-12-25
JP96-346813 1996-12-26
JP34681396A JP3313294B2 (ja) 1996-12-26 1996-12-26 高設栽培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548A true KR19980064548A (ko) 1998-10-07

Family

ID=26578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896A KR19980064548A (ko) 1996-12-25 1997-12-24 고설(高設)재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9980064548A (ko)
CN (1) CN11858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9132A (ja) * 1997-05-12 1998-11-24 Fukuoka Marumoto Kk 高設栽培装置
EP3644708B1 (en) * 2017-06-30 2023-10-04 Husqvarna AB Pot for gardening
CN114982513B (zh) * 2022-06-08 2023-04-11 天津市农业科学院 一种草莓高效种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5897A (zh) 199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48C (zh) 幼苗的栽植方法
KR101314657B1 (ko) 양액 재배용 베드
KR101806264B1 (ko) 태양광 패널을 포함한 식물 재배용 하이베드
JP2009296927A (ja) 自然薯の栽培方法および栽培装置
KR19980087196A (ko) 지표면보다 높게 설치된 식물재배장치
JPH10178905A (ja) 高設栽培装置
KR19980064548A (ko) 고설(高設)재배장치
JP3279538B2 (ja) 栽培用容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栽培方法
JP3071168B2 (ja) 高設栽培装置
JPH10309130A (ja) 高設栽培装置
KR19980087193A (ko) 지표면보다 높게 설치된 식물재배장치
JP3313294B2 (ja) 高設栽培装置
JPH1118563A (ja) 長芋等の栽培箱と、それを使用する長芋等の栽培方法
JPH0787855A (ja) 街路性植栽ボックス及びこれを利用した樹木の固定方法
KR20140004927U (ko) 식물 재배용기
JP3279492B2 (ja) 高設栽培装置
KR200183479Y1 (ko) 인삼묘 재배장치
KR200177794Y1 (ko) 배지 재배용 베드
JPH10178908A (ja) 栽培装置
CN215454202U (zh) 一种桂花种植用幼苗培养架
JP4364927B2 (ja) 屋根緑化システム及び屋根緑化方法
CN218680495U (zh) 一种农业用大棚育苗装置
JPH10178907A (ja) 高設栽培装置
JP3058864B2 (ja) 栽培装置
JP3064927B2 (ja) 高設栽培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