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7196A - 지표면보다 높게 설치된 식물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지표면보다 높게 설치된 식물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7196A
KR19980087196A KR1019980018059A KR19980018059A KR19980087196A KR 19980087196 A KR19980087196 A KR 19980087196A KR 1019980018059 A KR1019980018059 A KR 1019980018059A KR 19980018059 A KR19980018059 A KR 19980018059A KR 19980087196 A KR19980087196 A KR 19980087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soil
plant cultivation
receiving portion
cultivation apparatus
duc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헤이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고헤이 야마모토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헤이 야마모토,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헤이 야마모토
Publication of KR19980087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19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5Conduits for heating by means of liquids, e.g. used as frame members or for soil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딸기, 엽경채류, 화훼, 근채류 등을 지표면 보다 높은 위치에서 재배하기 위한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식물 재배 장치(10)는 지표면(11)에 설치된 배양토 수용부(12)내에 배양토(13)를 충전하여 딸기(14) 등의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것으로, 배양토 수용부(12)는 홈 형상으로 지표면(11)과 연결 가능한 개구부(15)를 갖고 있고, 또 배양토 수용부(12)의 양측에는 기체 통과 가능한 덕트체(30)를 구비하며, 덕트체(30)내에 온풍을 공급하는 가열장치(41)를 설치하여 서서 작업이 가능하고, 배양토, 물, 비료 등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어 배양토의 충전, 배출 작업이 용이하고, 생육 상태에 적합한 온도 관리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표면보다 높게 설치된 식물재배장치
본 발명은 딸기, 엽경채류, 화훼, 근채류 등을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재배하기 위한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딸기나 엽경채류 등을 재배하는 경우, 종래부터 재배지의 지표면에 형성한 밭이랑을 따라서 모종을 심어 생육시키는 이른바 토경재배라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토경재배에 있어서는 육묘에서 수확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작업은 엉거주춤한 자세나 웅크린 자세의 작업이 많고, 특히 정식 작업시에는 모종의 운반 등의 중노동을 수반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육체적 부담이 크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과혹한 노동 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재배 기술의 연구나 각종 재배 용기의 개발, 개량 등이 실시되어 그 성과로서 서서 작업이 가능한 재배 방법으로서 이른바 지표면 보다 높게 설치하여 재배하는 재배방법이 일부 지역에서 실시되고 있다.
본 출원인도 딸기나 엽경채류 등의 식물 재배에 있어서 사용하는 재배 용기로서 배양토의 사용량이 적게 해결되고, 뿌리의 성장도 양호한 재배 용기를 개발하고, 또 이 재배용기를 유지하는 장치 및 물과 비료 공급에 가장 적합한 보조구를 개발하고 있다(일본국 실공평 6-16495호 공보 참조).
도 5는 이 보조기구를 세트한 재배용기를 유지장치로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장치(80)는 프레임(81) 및 지주(82) 등으로 구성되며, 앞이 좁은 원통 형상의 재배용기(91)나 물, 비료 공급용의 보조기구(92)를 유지장치(80)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 서서 작업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재배작업의 효율화, 노동조건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재배용기를 지표면 보다 높은 위치로 유지하는 방법으로서, 본 출원인은 복수개의 용기 본체를 연결 부재로 연결한 형상의 재배 용기를 가대에 가설하여 유지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일본국 특개평 8-298870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6은 상기 특허 출원에 따른 재배장치의 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재배용기(95)는 합성 수지제의 용기 본체(96)의 상단의 일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10개의 용기 본체를 직렬 형상으로 연결한 형상을 갖는 용기 본체군(97a, 97b)을 구성하고, 이것들의 용기 본체군(97a, 97b)의 상부를 연결부재(98)로 연결한 구조이다.
이 재배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서서 작업이 가능해지고, 종래의 재배용기의 다수개분을 1회의 걸어맞춤 동작으로 프레임(99)에 걸 수 있기 때문에 재배용기의 걸어맞춤 작업을 효율화할 수 있다.
종래의 재배장치의 경우 재배용기와 유지장치는 별개이며, 지주나 프레임 등으로 구성된 유지장치를 지표면상에 설치하여 재배용기를 세트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설치 작업이 번거롭고 설비비도 비싸다. 또한, 실제로 재배에 기여하는 부분에 비해 큰 설치 공간을 필요하게 한다.
또한, 재배용기가 단일체 용기 또는 연결용기중 어느 형상이라도 용기내로 배양토를 충전하는 작업은 용기마다 실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다수의 용기에 배양토를 충전하는 경우 등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재배 용기는 앞이 좁은 원통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배양토는 찰기가 없는 유동성이 좋은 것이 아니면 충전이 현저하게 곤란해진다.
또한, 재배용기는 유지장치에 늘어뜨린 상태로 사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비중이 큰 배양토를 충전한 경우에 견딜 수 있도록 튼튼한 구조로 할 필요가 있고, 실제로 재배에 기여하는 부분에 비해 유지장치의 크기나 중량이 커지기 쉽다. 이때문에 장치의 운반 등에는 수고가 들고 설치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재배 시즌 종료후에 있어서 장치류의 철수작업에도 많은 노력을 허비하고 있다.
한편, 딸기, 엽경채류 등을 재배하는 경우, 식물의 뿌리는 토양속에 가능한한 깊은 위치까지 신장시킨 쪽이 양분의 흡수성이 향상되어 생육상태가 양호해져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토경재배의 경우, 일반적으로 재배지의 지표면에서 30㎝∼40㎝의 부분은 갈아져 있지만, 그 아래의 지반은 상당히 딱딱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뿌리가 아래쪽으로 신장할 수 없고, 가로방향으로 신장하는 경향이 크다. 따라서, 뿌리에서의 양분 흡수성이 악화될 뿐만 아니라 가로로 신장한 뿌리끼리 엉켜 신장을 저해하여 식물의 생육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딱딱한 지반 부분에 있어서는 지렁이 등의 유익동물이 생존할 수 없어 산소 등의 공급도 불충분하게 되기 때문에 식물의 생육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최근, 농작업의 기계화가 진행되고, 중량이 무거운 대형 농업 기계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지반의 고화는 점점 진행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 재배용기(91, 95)의 경우, 뿌리가 깊은 곳까지 신장할 수 있도록 세로방향의 크기를 길게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길게 함에 따라서 배양토의 충전, 배출 작업이 현저하게 곤란하게 되고, 유지장치도 대형화되기 때문에 실용성을 잃는다.
한편, 딸기나 엽경채류 등의 재배에 있어서는 온도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예를 들어 딸기의 경우, 재배의 초기 단계에서는 지상 부분과 지하 부분의 생육의 조화를 유지하여 초세(草勢)의 급격한 변화를 피하는 것이 수확량의 안정화에 연결되기 때문에 개화 시작의 시기는 야간 온도를 8℃∼10℃, 주간 온도를 25℃∼28℃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온도 관리의 목표가 되고 있다. 또한, 수확 이행 초기에 있어서는 초세의 유지와 과실 착색의 안정화를 위해 야간 온도는 5℃∼6℃, 주간 온도는 22℃∼25℃가 온도 관리의 목표가 되고 있다.
그러나, 지표면보다 높게 설치된 식물 재배의 경우, 배양토가 지표면 보다 높은 위치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기온 변화의 영향을 받기 쉽고, 토경 재배의 경우에 비해 더욱 정확한 온도 관리가 필요하게 된다. 식물 재배라도 하우스재배 인 경우는 하우스내의 온도를 관리하는 것에 의해 상기 온도 관리를 실시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대용적의 대형 하우스가 되면 난방설비도 대형화되어 에너지 소비량도 증대한다.
또한, 노지에 있어서의 식물재배의 경우, 재배용기와 유지장치의 외곽을 비닐시트 등으로 덮고, 또 지면에 축열용 물저장 덕트나 온도 파이프를 설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온도관리를 실시하고 있는데 이 방법으로는 지상에 설치한 식물 용기의 온도를 수℃의 범위내로 유지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서 작업이 가능하며, 배양토·물·비료 등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고, 배양토의 충전, 배출 작업도 용이하고 식물의 생육상태에 적합한 온도관리를 실시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식물 재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동일 식물 재배 장치에 의한 재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동일 식물 재배 장치에 의한 재배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
도 5는 종래의 식물 재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6은 종래의 식물 재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45 : 식물 재배 장치 11 : 지표면
12, 46 : 배양토 수용부 13 : 배양토
14 : 딸기 15 : 개구부
16 : 복토 커버 17 : 물 유도 경사면
18 : 급수관 19 : 오목부
20 : 배수구멍 W : 물
21 : 물 유도 홈 22, 47 : 경사 벽면
23 : 크라운 24 : 새로운 뿌리
25 : 온도 조정용 파이프 26 : 온도센서
30, 48 : 덕트체 30p : 평면부
37 : 수평바 38 : 지주
39, 40 : 유지부재 M : 멀티시트
41 : 가열장치 50 : 과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지표면에 설치한 배양토 수용부내에 배양토를 충전하여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 지표면 보다 높게 설치한 식물 재배 장치에 있어서, 지표면과 연결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홈 형상의 배양토 수용부와, 배양토 수용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기체 통과 가능한 덕트체와, 덕트체내에 가열 또는 냉각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장치에서는 배양토 수용부가 지표면 보다 위에 있기 때문에 서서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배양토는 배양토 수용부내에 충전하는 분량이라면 좋기 때문에 밭이랑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배양토의 사용량이 적게 해결된다. 또, 다른 유지 장치 없이 지표면에 자립시킬 수 있기 때문에 넓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종래의 밭이랑 정도의 공간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배양토 수용부는 홈형상으로, 그 윗면은 가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배양토의 충전 작업이 간단하고, 유동성이 나쁜 흙이라도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배양토 수용부는 지표면과 연결 가능한 개구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충전된 배양토는 개구부에 있어서 지표면과 연속된 상태가 되고, 배양토의 중량은 지표면에 미친다. 따라서 비중이 큰 밭 흙을 충전한 경우라도 배양토 수용부의 부담은 작고, 강도적인 제약이 완화되기 때문에 높이 방향의 크기가 큰 배양토 수용부를 형성하는 것도 용이하게 되고, 재배하는 식물의 뿌리를 배양토 수용부의 깊은 위치까지 신장시켜 양분 흡수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배양토 수용부의 외측에 설치된 덕트체내에 기체 공급 수단으로 가열 기체 또는 냉각 기체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배양토 수용부를 직접적으로 가열 또는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재배하는 식물에 따른 적절한 온도 관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덕트체는 배양토 수용부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무네 식물의 과실 등을 직접적으로 가열 또는 냉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덕트체에 배양토 수용부의 측면과 밀착 가능한 평면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덕트체와 배양토 수용부와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기 때문에 덕트체에 의한 가열,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배양토 수용부의 측면에 덕트체와 밀착 가능한 곡면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덕트체와 배양토 수용부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하기 때문에 덕트체에 의한 가열,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배양토 수용부의 외측에 덕트체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덕트체를 정위치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덕트체의 어긋남이나 이탈 등이 발생하지 않고 가열, 냉각을 확실히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배양토 수용부내의 배양토를 경사상태로 유지하는 경사 벽면을 배양토 수용부에 구비하는 것에 의해 여기에 심어진 식물의 생육상태를 활성화시켜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그 이유를 딸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배양토 수용부에 충전된 배양토에 심어진 딸기의 뿌리는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가려고 하지만 딸기 모종이 경사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에 의해 특히 크라운 부분에서의 새로운 뿌리의 발생이 활발해지는 성질이 있다. 즉, 기존의 뿌리가 신장하는 것 보다도 크라운 부분에서의 새로운 뿌리의 발생쪽이 촉진되고, 이들 새로운 뿌리가 배양토 속으로 신장해가서 활착(活着)이 양호하게 되기 때문에 생육 상태가 활성화된다. 또, 크라운 부분에서의 많은 새로운 뿌리가 발생하는 것에 의해 꽃 수의 증가도 촉진되기 때문에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딸기의 경우, 기는 줄기는 크라운이 기울어진 방향으로 신장해가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딸기 모종을 경사상태로 유지함으로써 기는 줄기의 생육 방향을 적절하게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배양토 수용부의 윗면에 단열성을 갖는 복토커버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배양토 수용부내에 수용된 배양토 표면에 있어서의 열의 출입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배양토의 온도 변화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복토커버의 하면을 배양토 수용부측으로 돌출시킨 형상으로 하면 복토 커버를 장착했을 때의 배양토 수용부의 용적을 돌출되어 있는 만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양토의 충전량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토커버를 배양토 수용부의 윗면에 착탈 가능하게 하면 배양토 충전 배출 작업도 용이해진다.
여기서, 복토커버에 액체 공급용 파이프를 장착하면 물이나 약액 등을 액체 공급용 파이프를 통하여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물이나 약 공급 작업 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배양토 수용부내에 온도 조정 수단, 급수수단의 적어도 한쪽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배양토 수용부내의 배양토를 직접적으로 온도 조정할 수 있고, 배양토내에 직접적으로 급수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온수나 냉수를 통하게 하는 파이프나 다수의 배수구멍을 형성한 급수파이프 등을 배양토 수용부내에 배치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배양토 수용부를 단열성이 우수한 발포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보온, 보냉 기능이 향상하기 때문에 온도 관리를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발포 합성 수지는 내식성이 좋기 때문에 사용중에 농약, 약제 등으로 변질 변형하는 일도 없다.
이 경우, 발포 합성수지로서 경량이고 성형성이 우수한 발포 폴리스틸렌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재배조건에 따른 형상으로의 가공이 용이해지고, 운반작업성 등도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인 식물 재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동일 식물 재배장치에 의한 재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동일 식물 재배 장치에 의한 재배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식물 재배 장치(10)는 지표면(11)에 설치한 배양토 수용부(12)내에 배양토(13)를 충전하여 딸기(14)를 재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양토 수용부(12)는 홈형상으로, 지표면(11)과 연결 가능한 개구부(15)를 갖고 있다. 또한, 배양토 수용부(12)의 양측에는 기체 통과 가능한 덕트체(30)를 구비하며, 덕트체(30)내에 온풍을 공급하는 가열장치(41)를 설치하고 있다.
배양토 수용부(12)에는 복토커버(16)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복토커버(16)는 어묵형상의 물유도 경사면(17)과 급수관(18)을 장착 가능한 오목부(19)와, 급수관(18)의 배수구멍(20)에서 배출된 물(W)을 배양토(13)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물유도 홈(2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배양토 수용부(12)내에는 가열 또는 냉각한 액체를 통하게 할 수 있는 온도 조정용 파이프(25)를 배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평바(37)를 갖는 지주(38)를 지표면(11)에 세워 설치하여 수평 바(37)에 걸어 고정한 유지부재(39, 40)로 식물 재배 장치(10) 및 덕트체(30)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배양토 수용부(12)에 배양토(13)를 충전하여 복토 커버(16) 및 급수관(18)을 장착한 후, 멀티시트(M)로 배양토 수용부(12) 및 덕트체(30)를 덮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식물 재배 장치(10)에서는 배양토 수용부(12)가 지표면(11) 보다 위에 있기 때문에 서는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배양토(13)는 배양토 수용부(12)내에 충전하는 분량이라면 좋기 때문에 밭이랑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배양토의 사용량이 적게 해결된다. 또한, 넓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종래의 밭이랑 정도의 공간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배양토 수용부(12)는 홈형상이며, 그 윗면은 가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배양토(13)의 충전 작업이 간단하고, 유동성이 나쁜 흙이라도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또, 배양토 수용부(12)는 지표면(11)과 연결 가능한 개구부(15)를 갖고 있기 때문에 충전된 배양토(13)는 개구부(15)에 있어서 지표면(11)과 연속된 상태가 되어 배양토(13)의 중량은 지표면(11)에 미친다.
따라서, 비중이 큰 흙을 충전한 경우라도 배양토 수용부(12)의 부담이 작고, 배양토 수용부(12)를 높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딸기(14)의 뿌리를 배양토(13)중의 깊은 위치까지 신장시켜 양분 흡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배양토 수용부(12)의 양측에 설치된 덕트체(30)내에 가열 장치(41)로부터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배양토 수용부(12)를 직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딸기(14)의 생육 상태에 따른 온도 관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덕트체(30)는 배양토 수용부(12)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딸기(14)의 과실(50)을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것에 의해 과실(50)의 숙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재배지에 온도센서(26)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온이 소정 온도 보다 저하했을 때 가열장치(41)가 자동적으로 온풍의 공급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덕트체(30)에는 배양토 수용부(12)의 경사면 벽면(22)과 밀착 가능한 평면부(30p)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의 접촉 면적이 증대하여 덕트체(30)에 의한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덕트체(30)는 유지부재(40)로 정위치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덕트체(30)의 어긋남이나 이탈 등에 의해 가열 불량이 발생하는 일도 없다. 또한, 재배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가열장치(41) 대신에 냉각장치를 설치하여 덕트체(30)내에 냉풍을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배양토 수용부(12)내의 배양토(13)를 경사상태로 유지하는 경사 벽면(22)을 배양토 수용부(12)에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 심어진 딸기(14)의 생육 상태를 활성화시켜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그 이유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배양토 수용부(12)에 충전된 배양토(13)에 심어진 딸기(14)의 뿌리는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가려고 하지만 딸기(14)의 모종이 경사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에 의해 특히 크라운(23)에서의 새로운 뿌리(24)의 발생이 활발해지는 성질이 있다. 즉, 기존의 뿌리가 신장하는 것 보다도 크라운(23)에서의 새로운 뿌리(24)의 발생이 촉진되어 이들 새로운 뿌리(24)가 배양토(13)속으로 신장해가 활착이 양호하게 되기 때문에 생육 상태가 활성화된다. 또, 크라운(24)에서의 많은 새로운 뿌리(24)가 발생하는 것에 의해 꽃수의 증가도 촉진되기 때문에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딸기(14)의 경우, 기는 줄기는 크라운(23)이 기울어진 방향으로 신장해가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딸기(14) 모종을 경사상태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 기는 줄기의 생육방향을 적절하게 유도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배양토 수용부(12)의 윗면에는 단열성을 갖는 복토커버(16)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배양토 수용부(12)내에 충전된 배양토(13)의 표면에 있어서의 열의 출입이 적어져 배양토(13)의 온도 변화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복토 커버(16)의 하면을 배양토 수용부(12)측으로 돌출시키는 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복토 커버(16)를 장착했을 때의 배양토 수용부(12)의 용적이 돌출되어 있는 만큼 감소시킬 수 있고, 이것(4)에 의해서 배양토(13)의 충전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복토커버(16)는 배양토 수용부(12)의 윗면에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배양토 충전, 배출 작업도 용이하다.
또한, 복토커버(16)의 오목부(19)에는 급수관(18)을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급수관(18)을 통하여 물 또는 약액 등을 공급할 수 있어 살수작업이나 약주입 작업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배양토 수용부(12)내에는 가열 또는 냉각한 액체를 통하게 할 수 있는 온도 조정용 파이프(25)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딸기(14)의 생육 상태에 따라서 배양토 수용부(12)내의 배양토(13)를 가열 또는 냉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양토(13)를 직접적으로 가열 또는 냉각하기 때문에 효율이 높다.
한편, 식물 재배 장치(10)에 있어서 배양토 수용부(12) 등은 단열성이 우수한 발포 폴리스틸렌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보온, 보냉 기능이 높고, 온도 관리를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발포 폴리스틸렌은 내식성이 좋기 때문에 사용중에 농약, 약제 등으로 변질, 변형하는 일도 없다. 또한, 발포 폴리스티렌은 경량이고 성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식물 조건에 따른 형상의 가공이 용이하고, 운반 작업성 등도 양호하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식물 재배 장치(45)에 있어서는 배양토 수용부(46)의 양측의 경사 벽면(47)을 곡면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원통형상의 덕트체(48)와 경사 벽면(47)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원통형상의 덕트체(48)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덕트체(48)와 경사 벽면(47)의 접촉면적이 충분히 커져 우수한 가열, 냉각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부분의 구조, 기능 등에 대해서는 식물 재배 장치(10)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의해 이하의 효과를 갖게 할 수 있다.
(1) 지표면과 연결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홈형상의 배양토 수용부와, 배양토 수용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기체 통과 가능한 덕트체와, 덕트체내에 가열 또는 냉각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 수단을 구비한 것에 의해 서서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배양토·물, 비료 등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고, 배양토의 충전, 배출 작업이 용이해져 생육 상태에 적합한 온도관리를 실시할 수 있다.
(2) 덕트체에 배양토 수용부의 측면과 밀착 가능한 평면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덕트체와 배양토 수용부와의 밀착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덕트체에 의한 가열,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3) 배양토 수용부의 측면에 덕트체와 밀착 가능한 곡면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덕트체와 배양토 수용부와의 밀착도를 증대시켜 덕트체에 의한 가열,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4) 배양토 수용부의 외측에 덕트체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덕트체를 정위치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덕트체의 어긋남이나 이탈 등이 발생하지 않아 가열, 냉각을 확실히 실시할 수 있다.
(5) 배양토 수용부에 내부에 충전한 배양토를 경사 상태로 유지하는 경사 벽면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여기에 심어진 식물의 생육 상태를 활성화시켜 수확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6) 배양토 수용부의 윗면에 단열성을 갖는 복토커버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배양토 수용부내에 수용된 배양토 표면에 있어서의 열의 출입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배양토의 온도 변화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7) 복토 커버에 액체 공급용 파이프를 장착하면 물이나 약액 등을 액체 공급용 파이프를 통하여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살수작업이나 약주입 작업 등를 줄일 수 있다.
(8) 배양토 수용부내에 온도 조정 수단, 급수수단의 적어도 한쪽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배양토 수용부내의 배양토를 직접적으로 온도 조정할 수 있어 배양토내에 직접적으로 급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9) 적어도 배양토 수용부를 단열성이 우수한 발포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보온, 보냉 기능이 향상되기 때문에 온도 관리를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발포 합성수지는 내식성이 좋기 때문에 사용중에 농약, 약제 등으로 변질, 변형하는 일도 없다.
(10) 발포 합성수지로서 경량이고 성형성이 우수한 발포 폴리스틸렌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배양 조건에 따른 형상으로의 가공이 용이해져 운반작업 등도 향상된다.

Claims (10)

  1. 지표면에 설치된 배양토 수용부내에 배양토를 충전하여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지표면 보다 높게 설치된 식물 재배 장치에 있어서, 지표면과 연결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홈 형상의 배양토 수용부와, 상기 배양토 수용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기체 통과 가능한 덕트체와, 상기 덕트체내에 가열 또는 냉각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체에 상기 배양토 수용부의 측면과 밀착 가능한 평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토 수용부의 측면에 상기 덕트체와 밀착 가능한 곡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토 수용부의 외측에 상기 덕트체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토 수용부내의 배양토를 경사 상태로 유지하는 경사 벽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토 수용부의 윗면에 단열성을 갖는 복토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토커버에 액체 공급용 파이프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토 수용부내에 온도 조정 수단, 급수수단의 적어도 한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배양토 수용부를 발포 합성수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합성 수지가 발포 폴리스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 장치.
KR1019980018059A 1997-05-12 1998-05-11 지표면보다 높게 설치된 식물재배장치 KR199800871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1340 1997-05-12
JP9121340A JPH10309136A (ja) 1997-05-12 1997-05-12 高設栽培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196A true KR19980087196A (ko) 1998-12-05

Family

ID=14808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059A KR19980087196A (ko) 1997-05-12 1998-05-11 지표면보다 높게 설치된 식물재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10309136A (ko)
KR (1) KR19980087196A (ko)
CN (1) CN1096226C (ko)
TW (1) TW37726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228B1 (ko) * 2006-09-04 2008-02-05 이종철 거름 수용용기와 배양토 수용포대를 이용한 농작물 재배방법
KR101299354B1 (ko) * 2011-07-21 2013-08-22 변복구 저면관수 구조를 갖는 고설식 딸기 육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343A (ja) * 2001-05-30 2002-12-03 Jaht:Kk 高設栽培装置
JP3853269B2 (ja) * 2002-08-06 2006-12-06 松下エコシステムズ株式会社 植物の栽培または培養方法及び植物の栽培または培養環境装置
JP5045296B2 (ja) * 2007-07-31 2012-10-10 井関農機株式会社 いちご栽培装置
JP5243985B2 (ja) * 2009-02-05 2013-07-24 東海物産株式会社 局所温度調節装置及び局所温度調節装置を用いた育成方法
JP2016140327A (ja) * 2015-02-04 2016-08-08 神奈川県 作物の栽培装置
CN105918093A (zh) * 2016-05-25 2016-09-07 杨建冬 草莓的管道化栽培方法
CN109089613B (zh) * 2018-08-30 2021-03-19 长沙市新节点机械科技有限责任公司 双层异形多功能管及其在垂直平面绿化中的应用
CN109006446A (zh) * 2018-08-30 2018-12-18 长沙市新节点机械科技有限责任公司 双层异形多功能管及其在人工湿地绿化中的应用
JP6506457B1 (ja) * 2018-09-26 2019-04-24 勝義 長瀬 縦型水耕栽培ハウスにおける空調システム及び空調方法
CN112753439B (zh) * 2021-01-11 2022-08-12 青岛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草莓种植智能化大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162A (zh) * 1991-08-02 1993-02-24 福拓企业股份有限公司 室内温室栽培装置
JPH10178905A (ja) * 1996-12-25 1998-07-07 Fukuoka Marumoto Kk 高設栽培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228B1 (ko) * 2006-09-04 2008-02-05 이종철 거름 수용용기와 배양토 수용포대를 이용한 농작물 재배방법
KR101299354B1 (ko) * 2011-07-21 2013-08-22 변복구 저면관수 구조를 갖는 고설식 딸기 육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09136A (ja) 1998-11-24
CN1096226C (zh) 2002-12-18
TW377269B (en) 1999-12-21
CN1198876A (zh) 1998-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87196A (ko) 지표면보다 높게 설치된 식물재배장치
KR19980087193A (ko) 지표면보다 높게 설치된 식물재배장치
KR19980087194A (ko) 지표면보다 높게 설치된 식물재배장치
JPH10178905A (ja) 高設栽培装置
JP3071168B2 (ja) 高設栽培装置
CN205052132U (zh) 一种适用于山区丘陵地带的多功能农用装置
KR102121023B1 (ko) 식물재배용기를 이용한 재배 시스템
RU194725U1 (ru) Многояру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KR20000062152A (ko) 재배용 용기
KR19980087195A (ko) 지표면보다 높게 설치된 식물재배장치
JP3279492B2 (ja) 高設栽培装置
JPH10309132A (ja) 高設栽培装置
KR970003409Y1 (ko) 입체식 작물 재배장치
JP3001421B2 (ja) 植物栽培用具
KR20050017680A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적층식 식물 재배장치
JPH1175560A (ja) 高設栽培装置
JP3313294B2 (ja) 高設栽培装置
Repetto et al. The effect of plant position on root development and vegetative growth in aeroponic lettuce
KR100480198B1 (ko) 재배장치
KR19980064548A (ko) 고설(高設)재배장치
KR850000452Y1 (ko) 파이프를 이용한 수경식 재배기
Lim Development of an NFT system of soilless culture for the tropics
KR20220002213U (ko) 농작물 재배용 베드
JPH10178907A (ja) 高設栽培装置
KR100205614B1 (ko) 비닐하우스용 수경재배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