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568A - 고설 재배용기 - Google Patents

고설 재배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568A
KR19990006568A KR1019980020328A KR19980020328A KR19990006568A KR 19990006568 A KR19990006568 A KR 19990006568A KR 1019980020328 A KR1019980020328 A KR 1019980020328A KR 19980020328 A KR19980020328 A KR 19980020328A KR 19990006568 A KR19990006568 A KR 19990006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lay
snow
cultivation
cultiva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헤이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고헤이 야마모토
후무오카 마루모토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헤이 야마모토, 후무오카 마루모토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고헤이 야마모토
Publication of KR19990006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56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2Mulches, i.e. covering material not-pre-formed in mat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중첩된 복수의 가요성 시트(11, 12)에 복수의 면형상 고착부(13)를 마련함으로써 가요성 시트(11, 12)간에 서로 격리 상태로 형성된 배토 수용부(14)와, 가요성 시트(11, 12)의 위테두리를 연장 설치하여 형성한 걸림부(17)를 구비한 재배용기를, 지상에 설치된 지지 부재(15)에 걸어두고, 배토 수용부(14)에 배토(18)를 충전하여 고설 재배 장치로 하는 것으로서, 작업을 서서 하는 것이 가능하며, 배토·물·비료 등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가 있다. 배토 수용부에 배토를 충전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수납 공간이 작게 되고, 운반 작업, 설치 및 철수 작업도 용이하다.

Description

고설 재배용기
본 발명은, 딸기, 잎채소, 화훼, 뿌리 채소류 등을 지표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재배하기 위한 고설 재배용기에 관한 것이다.
딸기, 잎채소, 화훼, 뿌리 채소류 등을 재배하는 경우, 재배지의 지표면에 형성된 밭이랑을 따라 모종을 심어 생육시키는 토경 재배로 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있다. 토경 재배에서는 육묘로부터 수확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작업은 엉거 주춤하거나 웅크린 자세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특히 딸기 등의 경우, 정식일 때는 모종의 운반 등의 중노동을 수반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육체적 부담은 대단히 큰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가혹한 노동 조건을 개선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선 상태로 작업 가능한 재배용기의 개발, 개량이나 새로운 재배 기술의 연구 등이 행하여지고, 그 하나로서, 소위 고설 재배라고 불리는 재배 방법이 일부에서 실시되고 있다.
본 출원인도 딸기 등의 재배용기로서, 배토의 사용량을 적게 할 수 있고, 뿌리의 성장도 양호한 재배용기를 개발하고(일본 공개 실용신안 평 6-34437 호 공보 참조), 또한, 이 재배용기를 유지하는 장치 및 살수나 시비에 적합한 보조구를 개발하고 있다(일본 공고 실용신안 평 6-16495 호 공보 참조). 이들의 재배용기와 장치를 조합함으로써, 노동 조건의 개선을 꾀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보조구를 세트한 재배용기를 유지 장치로 유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장치(80)는 프레임(81) 및 지주(82)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끝이 가늘게 된 원통형의 재배용기(91)나 살수·시비용 보조구(92)를 유지 장치(80)로 유지함으로써, 작업을 서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배 작업의 효율화, 노동 조건의 개선을 꾀할 수 있다.
한편, 재배용기를 지표면 보다 높은 위치에 유지하는 방법으로서, 본 출원인은 복수개의 용기 본체를 연결 부재로 연결한 형상의 재배용기를 가대(架臺)에 가설하여 유지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일본 공개 특허 평 8-298870 호 공보 등에서 개시되어 있다.
도 10은 상기 공보에 따른 재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재배용기(95)는, 합성 수지제의 용기 본체(96)의 상단부의 일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써, 10개의 용기 본체를 직선형으로 연결한 형상을 갖는 용기 본체군(97a, 97b)의 상부를 연결 부재(98)로 연결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재배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을 서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종래의 재배용기의 다수개분을 l회의 결합 동작으로 프레임(99)에 결합 가능하기 때문에, 재배용기의 걸기 작업을 효율화할 수가 있다.
종래의 고설 재배 장치인 경우, 재배용기가 개별 용기, 연속 용기 중의 어느 하나의 형상이라도, 용기내에 배토를 충전하는 작업은 용기마다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다수의 재배용기를 사용하는 대규모 재배에 있어서는, 설치 작업이나 배토 충전 작업에 막대한 시간과 노동력을 요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재배용기는 유지 장치에 아래로 내린 상태로 사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실제로 재배에 기여하고 있는 부분에 비해, 유지 장치가 차지하는 비율 쪽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장치를 운반할 때에는 손이 많이 가고, 설치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재배지가 좁은 경우는 채용이 곤란하다.
그리고 재배 계절의 종료 후에 있어서는, 재배용기내의 배토를 배출하는 작업이나 유지 장치류의 철수 작업에 막대한 시간과 노동력을 허비하게 될 뿐만 아니라, 철수 후에 있어서, 이들의 재배용기나 유지 장치 등을 수납하기 위한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고설 재배 장치는 사이즈가 비교적 크고 구조도 복잡하기 때문에, 제작에 많은 시간과 수고를 요하여, 합성 수지 등의 원재료도 대량으로 필요로 하며, 고비용이다. 이 때문에, 재배 면적이 작은 소규모 농가 등에 있어서는 채용이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서서 작업이 가능하며, 배토·흙·비료 등의 사용량을 대폭 저감할 수가 있고, 설치 및 철수 작업이 용이하며, 배토 충전 작업 중의 흙 막힘이 발생하지 않고, 수납 공간도 작고, 저 비용의 고설 재배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고설 재배용기는 중첩된 복수의 가요성 시트에 복수의 면형상 고착부를 설치함으로써 가요성 시트간에 서로 격리 상태로 형성된 배토 수용부와, 배토 수용부를 지면상에 서 있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설 재배용기에 의하면, 유지 수단에 의해서 서있는 상태로 유지된 배토 수용부에 배토를 충전하면, 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서있는 상태를 유지한 배토 수용부에 충전된 배토 식물 재배를 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이 용이하며, 재배 종료 후, 배토를 배출하면 배토 수용부내는 원래의 가요성 시트형상으로 복귀되기 때문에, 철수 작업도 간단하다.
또한, 중첩된 복수의 가요성 시트간에 형성된 배토 수용부는 서로 격리 상태에 있기 때문에, 배토 사용량을 대폭 저감할 수가 있고, 또한, 배토를 충전하는 경우에도 흙막힘이 발생하지 않고, 작업성이 양호하다.
또한, 이 고설 재배용기는 배토 수용부를 지면상에 세운 상태로 식물의 재배를 행하기 때문에, 서서 작업이 가능하고, 사용하는 배토는 배토 수용부에 충전하는 정도의 분량으로 양호하기 때문에 배토의 사용량은 적어지고, 이것에 따라, 물·비료 등의 사용량도 저감할 수가 있다. 또한, 배토 수용부가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지면 온도가 가요성 시트로 전달되어 고설 재배용기 전체에 확산되어, 보온 기능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고설 재배용기는, 배토 수용부에 배토가 충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복수의 가요성 시트를 중합시킨 평면적 형상이기 때문에, 부피가 커지지 않고, 접거나, 롤 형상으로 감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수납 공간도 작게되고, 운반 작업 등도 용이하다. 또한, 단순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원재료의 사용량도 적고, 저 비용이다.
또, 상기의 중첩된 복수의 가요성 시트를 면형상으로 고정 장착하는 수단으로서는, 접착제, 압착, 가열 압착, 봉제, 죔쇠 등을 채용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유지 수단으로서, 지상에 설치된 지지 부재와, 가요성 시트의 위테두리를 연장 설치하여 형성되어 지지 부재에 걸림 가능한 걸림부를 구비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배토 수용부와 걸림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해지고, 세워진 상태의 배토 수용부에 배토를 충전하는 경우, 걸림부가, 배토를 배토 수용부내로 유도하는 가이드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의 걸림부에는, 지지 부재를 삽입 가능한 통형상부를 형성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통형상부에 지지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걸림부를 지지 부재에 확실히 걸수 있게 되며, 지지 부재와 통형상부의 착탈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걸림부에, 동일 걸림부를 홈형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를 장착한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걸림부를 홈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배토의 충전 작업이 용이해지고, 재배 기간 중, 충전된 배토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이 경우, 개체 혹은 조합에 의해서 홈형상을 구성하는 유지 부재를 걸림부의 안쪽, 외측의 적어도 한쪽에 장착하는 구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배토 수용부를 테이퍼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배토 수용부내로 배토를 충전할 때에, 배토의 막힘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며, 또한, 재배 기간의 종료 후의 배토 배출 작업도 대단히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가요성 시트의 밑테두리를 연장 설치하여 멀팅용 시트부를 형성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지면에 형성된 이랑상에 배토 수용부를 세운 상태로 유지하였을 때, 멀팅용 시트부에서 이랑의 표면을 덮을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보통의 멀팅과 같은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멀팅용 시트부에, 지지 부재가 삽입 가능한 통형상부를 형성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멀팅용 시트부를 위로하여 지지 부재에 걸 수 있기 때문에, 전술된 사용 방법과 달리, 배토 수용부의 상하를 반대로 세워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1계절마다, 고설 재배용기의 상하를 거꾸로 세트하는 사용 방법도 가능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서 가요성 시트의 오염이나 파손, 손상 등의 치우침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의 가요성 시트는 합성 수지 필름, 종이, 천, 부직포 중의 적어도 하나로 형성할 수가 있다. 가요성 시트로서 합성 수지 필름을 사용한 경우, 기밀성, 내식성, 내구성이 우수한 배토 수용부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종이, 천, 부직포를 사용한 경우는, 통풍성을 구비한 배토 수용부를 형성할 수가 있어, 연소 중에 유해 가스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소각 처분도 용이하게 된다.
또, 가요성 시트는 투명한 것, 불투명한 것 중, 어느 것이나 무방하지만, 외기 온도가 전달하기 쉬운 열전도가 양호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배토 수용부에 충전한 배토 중에서의 뿌리의 생육을 활성화할 수가 있다.
또한, 이들의 재료를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재질의 특징을 겸비한 배토 수용부를 형성할 수도 있기 때문에, 재배하는 식물의 종류나 재배지의 기상 조건 등에 따라서, 적절한 재료를 선택하여 가요성 시트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설 재배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제 2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제 3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제 4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고설 재배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제 5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가요성 시트의 가공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고설 재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고설 재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30, 40, 50, 60 : 고설 재배용기
11, 12, 58a, 58b, 64, 65, 66, A, B : 가요성 시트
11a, 12a : 밑테두리 13, 31, 59 : 면형상 고착부
15, 44, 54, 56 : 지지 부재 16, 25 : 통형상부
17, 41, 51 : 걸림부 18, 33, 45, 55 : 배토
19 : 식물 20 : 지주
21 : 보조용 기구 21a, 42a : 본체
21b : 안내 파이프 22 : 지면
23 : 이랑 24 : 멀팅용 시트부
42, 52, 53, 62, 63 : 유지 부재 42b : 개구부
42c, 52c, 53c : 걸림부 69 : 커트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설 재배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10)는, 중첩된 2장의 가요성 시트(11, 12)에 복수의 면형상 고착부(13)를 소정 간격마다 마련함으로써, 가요성 시트(11, 12)간에 서로 격리 상태에 배토 수용부(14)를 형성하여, 가요성 시트(11, 12)의 위테두리를 연장 설치하여 걸림부(17)를 형성하며, 또한, 걸림부(17)에는 배토 수용부(14)를 세운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15)가 삽입 가능한 통형상부(16)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고설 재배용기(10)에 있어서는 통형상부(16)에 삽입된 지지 부재(15)를 지주(20)로 수평으로 고정하여, 세운 상태로 유지된 배토 수용부(14)에 적절한 분량의 배토(18)를 충전하면, 식물(19)을 재배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배토 수용부(14)를 세운 상태로 유지하여 배토(18)를 수용하는 것만으로 식물 재배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설치 작업이 용이하며, 재배 종료 후는 배토 수용부(14)내의 배토를 배출하면 평면적 형상의 가요성 시트로 복귀되기 때문에, 철수 작업도 간단하다. 예컨대, 설치 작업에 요하는 시간은, 종래의 고설 재배 장치에 비하면, 1/3 내지 1/5로 된다.
또한, 중첩된 복수의 가요성 시트(1l, 12)간에 형성된 배토 수용부(14)는, 면형상 고착부(13)에 의해서 서로 격리 상태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배토 사용량을 대폭 저감할 수가 있으며, 또한 배토(18)를 충전하는 경우에, 흙막힘이 발생하지 않고, 작업성이 양호하다.
이와 같이, 고설 재배용기(10)는 배토 수용부(14)를 지면(22)상에 세워진 상태에서 식물(19)의 재배를 행하기 때문에, 서서 작업 할 수 있으며, 사용하는 배토(18)는 배토 수용부(14) 및 그 상부에 충전하는 정도의 분량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배토(18)의 사용량은 적어지며, 이것에 따라, 물·비료 등의 사용량도 저감할 수가 있어, 시비나 소독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식물의 뿌리를 깊게 성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우엉, 참마, 무, 인삼 등의 근채류의 재배가 용이해지고, 심경 재배와 같은 성과를 올릴 수 있다.
고설 재배용기(10)에 있어서는, 가요성 시트(11, 12)의 하단을 접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지면(22)의 온도가 가요성 시트(11, 12)로 전달하여 고설 재배용기(10) 전체로 확산되기 때문에, 보온 기능도 우수하다. 이 경우 가요성 시트(11, 12)의 소재로서, 열전도가 양호한 것을 사용하면, 플라스틱제의 튜브 덕트 등을 밀착시켜 배치한 경우, 배토 온도의 조절을 용이화할 수가 있다.
한편, 고설 재배용기(10)의 배토 수용부(14)내에서 우엉, 참마, 무, 인삼 등의 근채류를 재배하고 있는 경우, 가요성 시트(11, 12)를 나이프 등으로 절개하면 간단히 입수할 수 있기 때문에, 수확시의 작업성이 대폭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우엉이나 무우 등의 수확물이 꺾이거나, 상하거나 하는 것도 없어진다. 또한, 꽃 등을 재배하고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배토 수용부(14)마다 떼어내어 그대로 출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면형상 고착부(13)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배토 수용부(14)의 사이즈 변경도 용이하기 때문에, 재배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배토량의 조정을 행할 수 있어, 재배 계절과 배토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연작 장해가 발생하기 어렵고, 연작 곤란한 식물의 재배도 가능해지고, 유기 작물도 저비용으로 재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식 작업 등을 서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대모종의 정식이 가능해져, 재배 기간의 단축 및 연간 재배 회수의 증대를 꾀하는 것이 가능하고, 정식 후에 있어서의 아래잎의 손질이나 솎아냄 등에 요하는 작업을 종래의 1/7 내지 1/10 정도까지 절약화할 수가 있다.
고설 재배용기(10)는 배토 수용부(14)에 배토(18)를 충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2장의 가요성 시트(11, 12)를 중첩된 평면적 형상이기 때문에 부피가 커지지 않고, 접거나, 롤형상으로 감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납 공간도 적게되며, 운반 작업 등도 용이하다. 또한, 심플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원재료의 사용량도 적고, 저 비용이며, 종래의 고설 재배 장치와 비교하면, 설비비는 1/5 내지 1/10로 된다.
또, 고설 재배용기(10)에서는 면형상 고착부(13)를 가열 압착에 의해서 형성하고 있지만, 이외에 접착제, 압착, 봉제, 죔쇠 등에 의해서 면형상 고착부(13)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고설 재배용기(10)로서는 가요성 시트(11, 12)의 위테두리를 연장 설치 하여 걸림부(17)를 형성함으로써, 배토 수용부(14)와 걸림부(17)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세워진 상태의 배토 수용부(14)에 배토(18)를 충전하는 경우, 걸림부(17)가 배토(18)를 배토 수용부(14)내로 유도하는 가이드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하다. 또, 배토 수용부(14)에 배토를 충전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조용 기구(21)를 사용함으로써, 충전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보조용 기구(21)는, 홈형상의 본체(21a)의 밑바닥부에 관형상의 안내 파이프(21b)를 배토 수용부(14)와 동간격으로 배열한 구조이고, 세워진 상태로 유지된 배토 수용부(14)의 상부에 장착함으로써, 깔때기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배토의 충전 작업을 용이화할 수가 있다. 이 경우, 보조용 기구(21)는, 장착한 부분의 배토 수용부(14)의 충전이 완료할 때마다, 배토 수용부(14)의 배열 방향으로 순서대로 이동시키면서 사용한다.
한편, 걸림부(17)에는 지지 부재(15)가 삽입 가능한 통형상부(16)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통형상부(16)에 지지 부재(15)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걸림부(17)를 지지 부재(15)에 확실하게 결합할 수가 있고, 재배 기간 중에 배토 수용부(14)가 기울어지거나, 엎어지거나 하지 않고, 착탈 작업도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22)에 형성된 이랑(23) 속에 가요성 시트(11, 12)의 밑테두리(11a, 12a)를 매립된 상태로 사용하고 있지만, 도 2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밑테두리(11a, 12a)를 연장 설치하여, 이랑(23)의 표면을 덮는 멀팅용 시트부(24)를 형성하면, 보통의 멀팅과 마찬가지로, 보온, 보수 등의 기능을 구비시킬 수 있어, 멀팅과 수확 선반을 단일화할 수가 있다.
이 경우, 멀팅용 시트부(24)에 지지부재(15)가 삽입 가능한 통상부(25)를 마련하여 두면, 멀팅용 시트부(24)쪽을 위로 하여 배토 수용부(14)를 세운 상태에 유지하도록 한 사용 방법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1계절마다, 고설 재배용기(10)의 상하를 교체하여 설치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가요성 시트(11, 12)의 오손, 손상 등의 치우침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제 2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30)의 주요부는 도 1에 도시된 고설 재배용기(10)와 같지만, 복수의 면형상 고착부(31)에서 서로 격리 상태에 형성된 배토 수용부(32)가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배토 수용부(32)내로 배토(33)를 충전할 때에 흙막힘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재배 기간 종료 후는 배토 수용부(32)가 넓은 쪽의 개구부분을 밑으로 하면, 테이퍼 형상이 빠지는 구배로서 기능하여 배토(33)가 유연하게 이탈하기 때문에, 배출 작업도 용이하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제 3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40)에 있어서는 걸림부(41)를 홈형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42)를 걸림부(41)의 내면측에 장착하고 있다. 유지 부재(42)는, 홈형상의 본체부(42a)의 밑바닥부에 배토 수용부(43)와 동간격의 개구부(42b)가 마련되고, 본체부(42a)의 양측에 지지 부재(44)에 결합 가능한 걸림부(42c)가 형성된 형상이다.
이러한 유지 부재(42)를 걸림부(41)의 내면에 장착함으로써, 걸림부(41)를 홈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배토(45)의 충전 작업이 용이해지고, 또한 걸림부(41)의 강도가 증대되기 때문에, 재배 기간 중, 충전된 배토(45)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유지 부재(42)는 운반 등에 지장이 없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부(41)의 길이에 맞추어 적절한 개수를 장착한다. 유지 부재(42)는 걸림부(42c)에 의해 지지 부재(44)에 착탈 자유롭기 때문에, 고설 재배용기(40)의 설치, 철수도 용이하다. 다른 부분의 구조, 기능 등에 관해서는, 도 1에 도시된 고설 재배용기(l0)와 같다.
다음에,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제 4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고설 재배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50)는, 걸림부(51)를 홈형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52, 53)를 걸림부(51)의 외측면에 장착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걸림부(51)를 홈형상으로 유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배토(55)의 충전 작업이 용이해지고, 또한, 걸림부(51)의 강도가 증대되기 때문에, 재배 기간 중, 충전된 배토(55)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유지 부재(52, 53)는 서로 조합함으로써 홈형상을 구성하는 본체부(52a, 53a)에, 지지 부재(54)에 결합 가능한 걸림부(52c, 53c)를 형성한 구조이다. 따라서, 고설 재배용기(50)를 설치하는 경우는 본체부(52a, 53a)의 하단을 수평 유지된 2개의 지지 부재(56)로 끼워 지지하고, 걸림부(52c, 53c)를 각각 수평 유지된 2개의 지지 부재(54)에 걸어둔 후, 면형상 고착부(59)로 구획된 배토 수용부(57)를 갖는 가요성 시트(58a, 58b)를 윗쪽으로부터 유지 부재(52, 53)의 간극에 삽입하고, 걸림부(51)를 걸림부(52c, 53c)에 감는다.
이 경우, 유지 부재(52, 53)는 운반 등에 지장이 없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걸림부(51)의 길이에 맞추어 적절한 개수를 장착한다. 유지 부재(52, 53)는 걸림부(52c, 53c)에 의해서 지지 부재(54)에 착탈 자유롭기 때문에, 고설 재배용기(50)의 설치, 철수도 용이하다. 또한, 유지 부재(52, 53)가 외측에 있기 때문에 가요성 시트(58a, 58b)의 걸림부(51)가 손상을 받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다른 부분의 구조, 기능 등에 관해서는, 도 1에 도시된 고설 재배용기(10)와 같다.
다음에,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제 5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가요성 시트의 가공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고설 재배용기(60)는, 전술한 고설 재배용기(50)를 구성하는 유지 부재(52, 53)와 동형상이고 장척의 유지 부재(62, 63) 등을 이용하여, 2열의 고설 재배용기(60)를 평행하게 배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단위 면적당의 식물 재배 밀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수확량의 증대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배토 수용부(67) 등은 3장의 가요성 시트(64, 65, 66)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게 되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장의 가요성 시트(A, B)를 중첩되어, 복수의 면형상 고착부(68)로 고정 장착하여 배토 수용부 (67)를 형성한 후, 한쪽의 가요성 시트(A)만을 커트부(69)에 따라 절단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공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공정을 대폭 간략화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고설 재배용기(10, 30, 40, 50, 60)에 있어서는, 가요성 시트를 불투명한 박판 적층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배토 수용부는 기밀성, 내구성, 내식성, 보온성 등이 뛰어난 것으로 되어, 식물의 생육 상태가 양호하여 진다. 또, 이외에, 발포 폴리스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틸렌, 폴리프로필렌, ABS수지, AES 수지 등을 소재로 하는 합성 수지 필름, 또는, 종이, 천, 부직포 등으로 가요성 시트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서 분해하는 성질을 구비한 생분해 플라스틱을 사용하면, 사용 후, 땅속 등으로 폐기 처분할 수가 있게 되어, 연소 중에 유독 가스 등이 발생되지 않는 합성 수지를 사용하면 소각 처분도 가능해진다. 또한, 종이, 천, 부직포 등을 사용하면, 뿌리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통풍성을 구비하여 배토 수용부를 형성할 수가 있어, 이들의 소재는 연소 중에 유해 가스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소각 처분도 용이하여 진다.
또한, 이들의 재료를 2종 이상 맞추어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재질의 특징을 겸비한 배토 수용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재배하는 식물의 종류나 재배지의 기상 조건 등에 따라서, 적절한 재료를 선택하고 가요성 시트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1) 중첩된 복수의 가요성 시트에 복수의 면형상 고착부를 마련함으로써 가요성 시트간에 서로 격리 상태로 형성된 배토 수용부와, 배토 수용부를 지면형상에 세워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세워진 상태로 유지된 배토 수용부에 충전된 배토로 식물 재배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서서 작업을 할 수 있고, 배토 수용부는 서로 격리 상태에 있기 때문에, 배양·물·비료 등의 사용량을 대폭 저감할 수가 있어, 배토 충전 중의 흙막힘이 발생하지 않고, 작업성이 양호하다. 또한, 배토 수용부가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지면 온도가 가용성 시트를 통해 고설 재배용기 전체로 확산되어, 보온 기능도 우수하다.
(2) 배토 수용부에 배토를 충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평면적 형상이기 때문에 부피가 커지지 않고, 접거나, 롤형상에 감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수납 공간도 적게되고, 운반 작업 등도 용이하다. 또한, 심플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원재료의 사용량도 적고, 저 비용이다.
(3) 가요성 시트의 위테두리를 연장 설치하여 걸림부를 형성한 구조로 함으로써, 배토 수용부와 걸림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세워진 상태의 배토 수용부에 배토를 충전하는 경우, 걸림부가 배토를 배토 수용부내로 유도하는 가이드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된다.
(4) 걸림부에, 지지 부재를 삽입 가능한 통형상부를 형성한 구조로 함으로써 통형상부에 지지 부재를 삽입한 걸림부를 지지 부재에 확실하게 결합할 수가 있게 되어, 지지 부재와 통형상부와의 착탈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5) 걸림부에, 동일 걸림부를 홈형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를 장착한 구조로 함으로써, 배토의 충전 작업이 더욱 용이해지고, 재배 기간 중, 충전된 배토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6) 배토 수용부를 테이퍼 형상으로 함으로써, 배토 수용부내로의 배토의 충전 작업 및 배출 작업을 용이화할 수가 있다.
(7) 가요성 시트의 밑테두리를 연장 설치하여 멀팅용 시트부를 형성한 구조로 함으로써, 지면에 형성된 이랑 위에 배토 수용부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하였을 때, 멀팅용 시트부에서 이랑의 표면을 덮을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보통의 멀팅과 같은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8) 멀팅용 시트부에, 지지 부재가 삽입 가능한 통형상부를 형성함으로써, 멀팅용 시트부를 위로 하여 지지 부재에 걸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배토 수용부의 상하를 거꾸로 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1계절마다, 고설 재배용기의 상하를 거꾸로 세트하는 사용 방법도 가능하며, 이것에 의해서 가요성 시트의 오손, 손상 등의 치우침을 방지할 수가 있다.
(9) 가요성 시트로서 합성 수지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기밀성, 내식성, 내구성이 뛰어난 배토 수용부를 형성할 수가 있고, 또한, 종이, 천,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통풍성을 구비하여 배토 수용부를 형성할 수가 있어, 연소 중에 유해 가스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소각 처분도 용이하여 진다. 또한, 이들의 재료를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재질의 특징을 겸비한 배토 수용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Claims (8)

  1. 중첩된 복수의 가요성 시트에 복수의 면형상 고착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가요성 시트 간에 서로 격리 상태로 형성된 배토 수용부와, 상기 배토 수용부를 지면상에 기립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 재배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으로서, 지상에 설치된 지지부재와, 상기 가요성 시트의 위테두리를 연장 설치하여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림부를 구비한 고설 재배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 상기 지지부재가 통하게 삽입한 통형상부를 형성한 고설 재배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 이 걸림부를 홈형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를 장착한 고설 재배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토 수용부를 테이퍼 형상으로 한 고설 재배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시트의 밑테두리를 연장 설치하여 멀팅용 시트부를 형성한 고설 재배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멀팅용 시트부에, 상기 지지 부재가 통하게 삽입한 통형상부를 형성한 고설 재배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시트가, 합성 수지 필름, 종이, 천, 부직포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서 형성된 것인 고설 재배용기.
KR1019980020328A 1997-06-02 1998-06-02 고설 재배용기 KR199900065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44361 1997-06-02
JP14436197A JP3464886B2 (ja) 1997-06-02 1997-06-02 高設栽培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568A true KR19990006568A (ko) 1999-01-25

Family

ID=1536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328A KR19990006568A (ko) 1997-06-02 1998-06-02 고설 재배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464886B2 (ko)
KR (1) KR19990006568A (ko)
CN (1) CN1095325C (ko)
TW (1) TW42787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590A (ko) 2020-02-12 2021-08-20 지창육 식물재배용 팩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7511B2 (ja) * 2011-02-18 2014-08-06 新日本製薬 株式会社 カンゾウ属植物の栽培方法
CN104206260B (zh) * 2014-09-18 2016-03-02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草莓高架基质栽培架
CN117796254A (zh) * 2024-02-29 2024-04-02 山东圣川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种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2529U (zh) * 1990-11-29 1991-08-14 北京化工学院 一种植物栽培容器
CN2133132Y (zh) * 1992-04-30 1993-05-19 陈文荣 栽培架的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590A (ko) 2020-02-12 2021-08-20 지창육 식물재배용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53580A (ko) 2020-02-12 2023-04-21 지창육 식물재배용 팩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64886B2 (ja) 2003-11-10
JPH10327679A (ja) 1998-12-15
CN1200873A (zh) 1998-12-09
CN1095325C (zh) 2002-12-04
TW427878B (en) 200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83140A1 (en) Trays for plant borders and methods for planting plant borders
EP2582225B1 (en) Grow bag system with irrigation
GB2070403A (en) Hanging plant device
KR19990006568A (ko) 고설 재배용기
JP3464885B2 (ja) 高設栽培容器
JP3464887B2 (ja) 高設栽培容器
JP3117672B2 (ja) 高設栽培容器
JP3578713B2 (ja) 栽培用容器
JP4072295B2 (ja) 育苗装置及び育苗方法
JP3464884B2 (ja) 高設栽培容器
JP6168769B2 (ja) 栽培装置および栽培方法
JP3117673B2 (ja) 高設栽培容器
EP0027697A1 (en) Channel structure and method suitable for plant growing
JP2002306000A (ja) 袋詰軽石栽培用植物栽培容器及び植物栽培装置
JPH11137087A (ja) 植物栽培容器、植物栽培用構造体、及び植物栽培方法
JP3688216B2 (ja) 栽培用容器
JP2001211739A (ja) イチゴの栽培方法とそれに用いる栽培装置
JP3064927B2 (ja) 高設栽培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装置
JPH0937664A (ja) 水耕栽培用の栽培物保持器
JP3133024B2 (ja) 高設栽培装置
JP4026997B2 (ja) 育苗装置及び育苗方法
JP2594177B2 (ja) 植物栽培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3523714A (ja) 植物給水装置
JPH0956283A (ja) 水耕栽培用の栽培物保持器および水耕栽培装置
JP2000316390A (ja) 育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