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4979A -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 - Google Patents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4979A
KR19990044979A KR1019980047030A KR19980047030A KR19990044979A KR 19990044979 A KR19990044979 A KR 19990044979A KR 1019980047030 A KR1019980047030 A KR 1019980047030A KR 19980047030 A KR19980047030 A KR 19980047030A KR 19990044979 A KR19990044979 A KR 19990044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electric flash
circuit
light emitting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사 아라따메
기지로 스즈끼
게이 가네이와
다까오 호사까
히로미 나까니시
Original Assignee
우에마쯔 도미지
코니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5889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90874A/ja
Priority claimed from JP41938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237666A/ja
Priority claimed from JP44065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242270A/ja
Application filed by 우에마쯔 도미지, 코니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마쯔 도미지
Publication of KR19990044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97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03Built-in units
    • G03B2215/0507Pop-up mechanis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9/00Cameras
    • G03B22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2219/04Roll-film cameras
    • G03B2219/045Roll-film cameras adapted for unloading the film in the processing laboratory, e.g. disposable, reusable or recyclable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에 미리 장전된 사진 필름; 전기 플래시 발광부와 전기 플래시 회로를 갖는 전기 플래시 유닛; 및 촬영 렌즈와 셔터를 갖는 촬영 유닛을 포함하고, 다음의 조건식
6 ≤ A ≤ 10
을 만족하며, 여기서 A는 전기 플래시 유닛이 사용된 조건에서 촬영할 때, 렌즈 구경값(aperture value), 셔터 속도 및 일회용 카메라 내에 장전된 필름의 감도에 의해서 결정된 노출광량의 값(exposure value)을 나타낸다.

Description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
본 발명은 내장형 전기 플래시(built-in electronic flash)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에서는, 스트로보스코픽 촬영(stroboscophic photographing)을 할 때, 2 내지 3m의 거리에 있는 대상 물체는 다소 백색의 영상 안으로 조금은 과도하게 노출되고, 한편 물체의 배경은 다소 어두운 화상 안으로 노출되어 전체 화상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일회용 카메라에서 시장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서, 장치를 보다 소형으로 설계하고 보다 저비용으로 제조하도록 요구되고 있다. 특히,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에서는, 크기 및 비용의 감소에 따른 전기 플래시의 영향력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전기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의 한 형태로서, 조작자에 의해서 동작될 때에만 ON 되고 조작자가 만지지 않을 때는 OFF-상태로 돌아가며, 또한 전기 플래시 회로 내에서는 메인 스위치를 개방하는 자동-리턴 형이 있고, 조작자가 만지지 않을 때에도 ON-상태를 유지하고 전기 플래시 회로 내의 메인 스위치는 닫혀진 상태로 유지하는 슬라이드형, 시소형 또는 스탠딩-업형과 같은 상태 보존형이 있다.
전기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가 상태 보존형일 때는, 각각의 연속적인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을 위한 충전 동작이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조작자가 전기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를 OFF시키는 것을 잃어버렸을 때는 ON 상태가 지속되고 전기 플래시의 충전 동작이 계속되어 쓸모없는 소모가 발생되며, 따라서, 필름 롤(film roll)의 전체 노출광량이 노출되기 전에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을 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의 한 예로, 현재 시장에서는 1.5 볼트의 알칼리 건전지 1개가 전원으로서 사용된다. 전기 플래시 회로의 승압(step-up) 회로의 저항기가 220Ω일 때는, 전기 플래시 유닛이 충전될 수 있으므로 1v 이상의 건전지 전압의 유지 시간은 약 6시간이다 (도 14를 참조). 따라서, 조작자가 전기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를 OFF시키는 것을 잃어버린 채 하룻밤이 지나면, 다음 날에 전지가 완전히 소모되어 더 이상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을 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전기 플래시 유닛의 전기 플래시 회로에서는, 2개의 스위치가 필요한데, 그 하나는 사용시 전기 플래시 유닛을 충전하기 위한 메인 스위치이고, 다른 하나는 네온관을 OFF시키고 메인 캐패시터가 충전될 때에도 전기 플래시 유닛의 발광을 막기 위한 발광 정지 스위치이다. 이는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고, 또한 이들 스위치들이 원인이 되어 전기 플래시 유닛의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종래의 전기 플래시 유닛을 후술할 것이다. 종래의 전기 플래시 회로는 도 2에 도시된다.
도 2에서, BT는 SUM-3형 (또는 AA형) 또는 SUM-4형 (또는 AAA형) 건전지를 포함하는 전지로,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이 행해질 때, 메인 스위치(SW1) 및 발광 정지 스위치(SW2)가 외부의 작동 부재를 작동함으로써 ON된다. 그 다음, 전지(BT)로부터 DC 전류가 메인 스위치(SW1)를 통해서 발진 트랜지스터(Q), 발진 트랜스포머(T1), 및 저항기(R1)으로 인가되고, DC 저전압이 AC 고전압으로 변환되도록 발진 동작이 수행된다.
발진 트랜스포머(T1)로부터 출력된 AC 고전압은 다이오드(D)에 의해서 정류되어, 메인 캐패시터(C1)를 충전시킨다. 또한, 트리거 캐패시터(C2)는 저항기(R2)을 통해서 충전된다. 트리거 캐패시터(C2)의 전압이 소정 전압값에 도달하게 되면, 전압은 저항기(R3) 및 네온관(Ne)으로 인가되고, 네온관(Ne)은 방전되기 시작하여, 전압은 결국 ON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네온관(Ne)이 ON된 후에, 릴리스 버튼 (도시 생략)이 눌러지면, 셔터 블레이드가 열리고, 블레이드가 완전히 열리면, 트리거 스위치(TSW)가 ON된다. 트리거 스위치(TSW)가 ON될 때, 트리거 캐패시터(C2)에 충전된 전하들이 트리거 코일(T2)의 1차 권선(T21) 상으로 방전되고, 고전압이 2차 권선(T22) 내에서 발생되며, 전압이 방전관(Xe)의 트리거 전극(G)으로 인가된다. 그 결과, 방전관(Xe) 내에서 이온화된 크세논 원자들이 캐소드로부터 튀어 나온 전자들과 충돌하여 여기되고, 이에 의해서 방전관(Xe)이 점등된다.
또한, 메인 캐패시터(C1)가 충전되고 네온관(Ne)이 점등되는 동안, 메인 스위치(SW1)가 외부 동작 부재를 작동시킴으로서 OFF될 때, 발진 동작이 정지한다. 또한, 발광 정지 스위치(SW2)가 동시에 OFF되고, 이에 의해서 네온관(Ne)이 OFF되며, 릴리스 버튼이 다시 눌러지고 트리거 스위치(TSW)가 ON될 때에도, 트리거 캐패시터(C2)가 방전되지 않으므로 방전관(Xe)이 점등되지 않는다.
다음에는, 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인디케이터 램프로서 값비싼 네온관이 사용되지 않고 값싼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방법을, 일본 특개평 1996-115796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네온관이 사용되지 않고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될 때는, 트리거 트랜스포머로부터 출력된 트리거 전압이 너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가 인디케이터 램프로서 사용될 때는, 발광량 또는 점등 타이밍이 발광 다이오드의 특성들을 이용하여 조정될 수 있지만, 발진 트랜스포머의 3차 권선이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 회로로 사용되는 상기 구조의 경우에, 3차 권선의 권선 수가 발진 트랜지스터의 제어를 위해서 설정된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3차 권선의 권선수가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의 광량 조정을 위해서 증가되거나 감소될 때, 방전 전압이 낮아지고, 이에 의해서 예를 들어 충전을 위해 장시간의 기간이 필요한 것처럼 충전 특성도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발광 다이오드가 인디케이터 램프로서 사용되는 종래의 전기 플래시 회로가 도 25에서 상세히 도시된다. 전기 플래시 회로(301)는 크게 건전지(BT)와 같은 전원을 높이기 위한 승압 회로(302)와 전기 플래시 발광관(Xe)을 발광하기 위한 전기 플래시 발광 회로(303)로 크게 구분된다. 승압 회로(302)에서는, 발진 트랜스포머(TR1)와 발진 트랜지스터(Q) 및 인디케이터 램프로서 발광 다이오드(LED)가 제공되고, 플래시 발광 회로(303)에서는, 전기 플래시 발광관(Xe), 메인 캐패시터(MC), 및 트리거 스위치(TSW)가 제공된다.
승압 회로(302) 내의 발진 트랜스포머(TR1)는 1차 권선(W1), 2차 권선(W2), 및 피드백 권선으로서 3차 권선(W3)을 갖는다. AC 고전압은 1차 권선 대 2차 권선의 권선비에 대응하여 2차 권선에서 발생되고, 3차 권선(W3)은 발진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 전위 전압이 안정되도록 제어하고, 발광 다이오드(LED)는 발진 트랜스포머(TR1)의 3차 권선(W3)의 양단에 접속되어, (이하, LED 점등 회로로 참조되는) 발광 다이오드 점등 회로(304)를 구성한다.
메인 스위치(MSW)를 ON함으로써 발진 트랜스포머(TR1)에 의해서 발생된 고전압은 플래시 발광 회로(303) 내의 메인 캐패시터(MC)를 충전시키고, 발광 다이오드(LED)의 점등은 메인 캐패시터(MC)의 충전 완료를 나타내며, 트리거 스위치(TSW)가 ON되어 셔터 블레이드와 연동(interlock)될 때는,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을 할 수 있도록, 전기 플래시 발광관(Xe)이 빛을 방출한다.
상술된 문제들에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를 사용하는 스트로보스코픽 촬영과 일반 촬영에서 모두, 대상 물체와 배경 모두를 정교하게 노출시키는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회용 카메라의 크기와 가격을 더 줄일 수 있는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을 얻기 위하여, 발명자는 캐패시터와 전지에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하였다. 상세하게는, 발명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지적하였다. 즉,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에서는, 플래시 광을 방출하기 위해서 방전관으로 인가된 DC 고전압 에너지로 충전되는 메인 캐패시터, 및 전기 플래시 유닛의 전원으로서 전지가 큰 공간을 차지하고, 메인 캐패시터의 용량이 더 작아지면 전지의 용량도 보다 감소된다. 또한, 메인 캐패시터의 용량 및 전지의 용량이 더 감소되면 그 비용이 더 줄어든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 플래시 회로 내에서 전류의 소모를 최대한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전지의 수명을 늘리고, 이에 의해서 장시간 동안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을 할 수 있는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개의 스위치들이 제공되는 경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메인 스위치와 발광 정지 스위치 모두로 사용되는 단지 하나의 스위치가 제공된 플래시 회로가 제공된,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될 때에도 트리거 전압이 충분한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 기능이 플래시의 발광을 위한 충전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LED 점등 회로가 전기적으로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목적들은 다음의 구조 (1) 내지 (6) 중 어느 한 구조,
(1) ISO 640 보다 작지 않은 감도를 갖는 롤 필름(roll film)이 미리 장전되고 플래시 유닛의 메인 캐패시터의 용량이 15㎌ 보다 작지 않고 80㎌ 보다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
(2) 본체; 상기 메인 본체 내에 미리 장전된 사진 필름; 전기 플래시 발광부와 전기 플래시 회로를 갖는 전기 플래시 유닛; 및 촬영 렌즈 및 셔터를 갖는 촬영 유닛을 포함하는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로, 상기 일회용 카메라는 다음의 조건 관계식을 만족하되,
6 ≤ A ≤ 10, 및 A+1 ≤ B ≤ A+4
여기서, A는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의 상태에서의 렌즈 구경값과 셔터 속도 및 장전된 필름의 감도에 의해 결정된 ISO(100) 필름의 감도로 변환되는 노출광량의 값이고,
B는 일반 촬영 상태에서 렌즈 구경값과 셔터 속도 및 장전된 필름의 감도에 의해서 결정된 ISO 100 필름의 감도로 변환되는 노출광량의 값인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
(3) 전원 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하는 발진 트랜스포머; 발진 트랜스포머에 접속되고 승압된 고전압이 인가되는 메인 캐패시터; 저항기를 통해 메인 캐패시터의 일단에 접속된 트리거 캐패시터; 및 트리거 캐패시터 내에 축적된 전하들을 흘려 보내서 크세논관으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트리거 코일을 포함하는 플래시 회로를 구비하한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에서, 플래시 회로는 수동으로 개폐되는 메인 스위치의 일단이 발진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과 3차 권선 사이의 부분에 접속되고 트리거 캐패시터의 일단에 접속되며, 메인 스위치의 타단은 발진 트랜스포머를 발진하는 발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발진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전기적으로 접지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
(4) 전원 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하는 발진 트랜스포머; 발진 트랜스포머에 접속되고 승압된 고전압이 인가되는 메인 캐패시터; 저항기를 통해 메인 캐패시터의 일단에 접속된 트리거 캐패시터; 및 트리거 캐패시터에 의해서 축적된 전하를 흘려 보냄으로써 크세논관에 상기 고전압을 인가하는 트리거 코일을 포함하는 플래시 회로를 구비한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에 있어서, 발진 트랜스포머를 발진하는 발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가 발진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과 3차 권선 사이의 부분과 트리거 캐패시터의 일단에 접속되고, 수동으로 개폐되는 메인 스위치의 일단이 발진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접속되고; 메인 스위치의 타단이 전기적으로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
(5) 노출되지 않는 롤 필름을 미리 장전한 카메라 본체가 플래시 유닛을 통합하여 제공되고; 1차 권선, 2차 권선 및 3차 권선을 가진 발진 트랜스포머, 및 승압 회로 내에서 전류를 제어하는 저항기가 플래시 회로의 승압 회로 내에 제공되고; 상태 보존형 액츄에이터가 플래시 회로 내의 메인 스위치를 동작하도록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용으로 사용되는 일회용 카메라에 있어서, 승압 회로 내의 상기 저항기가 1㏀ 내지 200㏀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카메라. 및
(6) 노출되지 않은 롤 필름을 미리 장전한 카메라 본체가 플래시 유닛을 통합하여 제공되고; 플래시 발광을 위한 1차 권선 내지 n차 권선을 가진 발진 트랜스포머 및 인디케이터 램프로서 발광 램프가 플래시 회로의 승압 회로에 제공되는 일회용 카메라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용 권선은 플래시 발광을 위한 1차 권선 내지 n차 권선과는 독립적으로 발진 트랜스포머에 제공되고, 발광 다이오드는 발광 다이오드용 권선의 양단에 접속되며, 이에 의해서,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 회로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카메라
등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내장형 전기 플래시 (build-in electronic flash)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의 외부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플래시 회로의 도면.
도 3은 구조 (1) 및 (2)의 플래시 회로의 도면.
도 4는 구조 (1) 및 (2)의 플래시 회로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구조 (3) 및 (4)의 플래시 회로의 도면.
도 6은 구조 (3) 및 (4)의 플래시 회로의 도면.
도 7은 일회용 카메라에서 사용하기 위한 플래시 회로의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구조 (5)의 제1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전방에서 본 일회용 카메라의 도면으로서, 구조 (5)의 제1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후방에서 본 일회용 카메라의 도면으로서, 구조 (5)의 제1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일회용 카메라의 부분적으로 절취한 전면도로서, 구조 (5)의 제1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일회용 카메라의 부분적으로 절취한 평면도로서, 구조 (5)의 제1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구조 (5)의 제1 예를 도시한, 도 10의 선 VI-VI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13은 플래시 발광부가 카메라 본체에 제공되는 도 12와 동일한 절취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구조 (5)의 제1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테스트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도 15는 일회용 카메라의 플래시 회로의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구조 (5)의 제2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일회용 카메라의 전면도로서, 구조 (5)의 제2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가 OFF 부분에 위치할 때의 주요 부분의 평면도로서, 구조 (5)의 제2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가 ON 부분에 위치할 때의 주요 부분의 평면도로서, 구조 (5)의 제2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일회용 카메라에서 사용되는 플래시 회로의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구조 (6)의 제1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전방에서 본 일회용 카메라의 사시도로서, 구조 (6)의 제1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후방에서 본 일회용 카메라의 사시도로서, 구조 (6)의 제1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구조 (6)의 제2 예를 도시한 플래시 회로의 회로도.
도 23은 본 발명의 구조 (6)의 제3 예를 도시한 플래시 회로의 회로도.
도 24는 본 발명의 구조 (6)의 제4 예를 도시한 플래시 회로의 회로도.
도 25는 종래의 플래시 회로의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촬영 렌즈
2 : 뷰파인더 창
3 : 플래시 발광부
4 : 플래시 스위치 레버
7 : 충전 표시창
8 : 감기 놉
BT : 전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의 구조 (1) 및 (2)의 예들을 이하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의 외부 사시도이다. 전면에는, 촬영 렌즈(1), 뷰파인터 창[viewfinder window; 2], 플래시 발광부(3), 및 플래시 스위치 레버(4)가 배치되고, 상면에는 릴리스 버튼(5), 프레임수 지시창[frame number indicater window; 6], 및 충전 표시창(7)이 배치되고, 후면에는 감김 놉[winding knob; 8]이 배치된다. 여기서,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이 행해질 때는, 유닛 내측에 제공된 메인 스위치가, 도면 우측 방향으로 플래시 스위치 레버(4)를 밀면 턴 온되어 플래시의 충전을 시작한다. 유닛 내측에 제공된 메인 캐패시터가 소정의 전압값으로 충전되면, 충전 표시창(7)이 점등되고, 이에 의해서 충전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촬영을 하기 위해서는 릴리스 버튼(5)이 눌려진다. 이와 관련해서, 플래시 스위치 레버(4)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밀리면, 끝 부분(4a)이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이에 의해 메인 스위치가 턴 온되었다는 것이 용이하게 판단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에서 도 2에 도시된 플래시 회로 내의 메인 캐패시터는 많은 경우 정상적으로 약 120㎌으로 설정되고, 플래시 광의 가이드 수(guide number)는 약 10이다. 또한, 일회용 카메라에서, 필름의 롤은 제조 공정에서 미리 장전되고, 필름의 감도는 정상적으로 ISO 400이다. 또한, 많은 경우에 있어서, 촬영 렌즈의 완전 개방 F-치수(fully opened F-number)는 약 F11로 설정되고, 셔터의 속도는 약 1/100으로 설정된다. 전원인 전지는 한개의 AA형 전지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에서는, 120㎌의 메인 캐패시터와 AA형 전지와 관련해서, 상당한 정도의 크기 감소를 실현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가이드 수가 메인 캐패시터의 용량 감소로 인하여 감소될 때에도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을 하는데 영향을 받지 않도록, 메인 캐패시터의 용량은 감소시키고, 고감도의 롤 필름이 유닛에 장전된다. 또한, 이와 관련해서, 낮 동안의 촬영처럼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을 할 수 없을 때도 많이 있기 때문에, 고감도 필름으로 인하여 일광에 개방되는 동안 촬영을 할 때 과도한 노출광량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름의 감도 증가에 비례해서 셔터의 속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촬영 렌즈의 개방 F-치수가 F11일 경우, 필름 감도(ISO), 메인 캐패시터의 용량, 셔터 속도 및 전기 플래시의 가이드 수의 바람직한 관계가 표 1에 도시된다.
ISO 캐패시터의 용량 셔터 속도 가이드 수
400 120㎌ 1/100 10
640 80㎌ 1/160 8
800 60㎌ 1/200 7
1600 30㎌ 1/400 5
3200 15㎌ 1/800 3.5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SO 640 또는 그 이상의 감도를 갖는 필름이 사용될 때는, 메인 캐패시터의 용량이 80㎌ 보다 크게 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된 필름의 감도가 ISO 3200보다 작지 않다면 메인 캐패시터의 용량이 15㎌보다 작게 된다.
또한, 메인 캐패시터의 용량이 고감도의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작아질 때는 충전 시간이 짧아지고, 셔터 찬스(shutter chance)를 놓칠 가능성이 줄어든다. 전원으로서 전지의 용량이 줄어들면, AA형 전지가 보다 소형화되고, AAA형 또는 N형 전지로 대체될 수 있으며, 기존의 동일한 형태의 알칼리 전지가 사용될 때는, 저렴한 망간 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캐패시터의 용량은 대체로 캐패시터의 체적에 비례하므로, 캐패시터의 용량이 1/2 또는 1/4일 때, 사이즈의 감소에 상당히 이바지하고, 또한 N형 전지가 사용될 때 그 체적은 AA형 전지의 체적과 비교할 때 1/2.4배이며, 이에 의해서 사이즈의 감소를 보다 더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캐패시터의 용량이 120㎌인 경우, AA형 전지뿐만 아니라 AAA형 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면, 메인 캐패시터의 용량이 60㎌일 때는 N형 전지가 사용되며, 그 성능은 메인 캐패시터의 용량이 120㎌일 경우보다 향상되고, AAA형 전지가 사용된다. 따라서, 메인 캐패시터의 용량을 줄임으로써, 종래에는 플래시용으로 사용하려고 생각치 못했던 N형 전지가 사용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고감도 필름의 사용할 때에도, 메인 캐패시터의 용량, 셔터 속도 및 전기 플래시의 가이드 수가 개방 F-치수에 따라서 다르게 된다. ISO 800 및 ISO 1600의 경우 바람직한 관계가 표 2에 도시된다.
ISO 개방 F-치수 캐패시터의 용량 셔터 속도 가이드 수
800 16 120㎌ 1/100 10
11 60㎌ 1/200 7
8 30㎌ 1/400 5
5.6 15㎌ 1/800 3.5
1600 16 60㎌ 1/200 7
11 30㎌ 1/400 5
8 15㎌ 1/800 3.5
표 2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촬영 렌즈의 렌즈 구경 값 (개방 F-치수)가 F5.6보다 작지 않고 F16보다 크지 않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렌즈 구경 값을 F5.6보다 작지 않고 F11보다 크지 않게 한다.
셔터 속도의 F-치수는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을 하는 동안에는 변화되지 않고, 노출광량 값(EV)의 바람직한 범위는 10보자 작지 않고 12보다 크지 않으며, 전기 플래시의 가이드 수의 바람직한 범위는 2보다 작지 않고 9보다 크지 않다.
상기 설명에서는, F-치수와 셔터 속도가 변화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직경이 개방 F-치수의 직경보다 작은 렌즈 구경을 갖는 조리개 부재(diaghragm member)가, 촬영 렌즈의 광축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될 때에는, 조리개 부재가 회수되어 스트로보스코픽 촬영 시에 개방 F-치수에서 촬영이 행해지며, 조리개 부재가 삽입되어 개방 일광동안의 촬영에서 작은 F-치수에서 촬영이 행해질 때, 또는 셔터 속도가 F-치수가 변화될 때와 동시에 변화될 때, 또는 셔터 속도 만이 변화될 때, 노출광량의 정확도가 보다 개선될 수 있다.
F-치수 또는 셔터 속도의 변화는 전기 플래시 내의 스위치의 ON-OFF 변화에 따라서 동기화된다. 일본 특개평 제 8-184944호의 매카니즘 등은 F-치수 또는 셔터 속도의 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매카니즘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전된 필름의 감도가 ISO 800일 때, 플래시 회로의 메인 캐패시터의 용량이 30㎌가 되고, 스트로보스코픽 촬영 상태 (제1 촬영 상태)에서 F-치수는 F6.7이고 셔터 속도는 1/60초이며, 일반적인 촬영 상태 (제2 촬영 상태)에서 F-치수는 F11이고, 셔터 속도는 1/160 초이고, 이 때, 2 내지 3m 거리에서 대상 물체와, 실내의 배경이 양호한 노출 상태로 되어 있는 프린트를 얻을 수 있는 반면, 낮 동안의 실내 조명 하에서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을 할 때는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기존의 일회용 카메라에 의해서 이러한 프린트를 얻는 것이 어렵다. 이는 플래시 유닛 내의 메인 캐패시터의 용량이 종래의 메인 캐패시터의 용량보다 작고, 플래시 광의 세기가 종래의 플래시 광의 세기보다 작기 때문에, 플래시 광에 의해사 밝아지는 대상 물체와 실내 조명에 의해서 밝아진 실내 사이의 밝기 차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부수적으로, 낮 동안에 일반 촬영 상태로 옥외 촬영이 행해질 때에는, 종래의 촬영시와 동일한 정교한 프린트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가 스트로보스코픽 촬영 상태와 일반 촬영 상태가 서로 변환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스트로보스코픽 촬영 상태에서, F-치수, 셔터 속도 및 장전된 필름의 감도에 의해서 결정된, ISO 100의 필름 감도도 변환된 EV값을 A라 하고; 일반 촬영 상태에서, F-치수, 셔터 속도 및 장전된 필름의 감도에 의해서 결정된, ISO 100 필름 감도로 변환된 EV 값을 B라 할 때, 필름 유닛은 A 및 B가 각각 다음의 관계식들을 만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 A ≤ 10
A + 1 ≤ B ≤ A + 4
EV 값은 다음의 방정식으로 얻을 수 있다.
EV=[Log10F2+Log10(1/T)-Log10(S/100)]/Log102
여기서, F는 F-치수이고, T는 셔터 속도(초)이며, S는 필름의 ISO 감도이다.
F-치수(F), 셔터 속도[T(초)], 필름의 ISO 감도(S)는 각각 F ≥ 5.6 , T ≤ 1/50, 및 S ≥ 640으로 설정된다. 또한, F는 F16보다도 크지 않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래시 유닛의 메인 캐패시터의 용량은, 스트로보스코픽 촬영 상태에서, 장전된 필름의 ISO 감도 및 F-치수에 대응하여, 15㎌보다 작지 않고 80㎌보다 크지 않는 범위에서 설정된다.
또한, 메인 캐패시터의 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전기 플래시 내에 사용되는 전지로 AAA형 건전지 또는 N형 건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스트로보스코픽 촬영 상태에서의 A의 조건 관계에 있어서, A가 하한보다 낮을 때는, 카메라의 떨림이 거의 발생되지 않은 상태로 셔터 속도가 1/50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이 어렵고, 촬영 렌즈는 2장 이내의 플라스틱 렌즈로 구성되며, 일회용 카메라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수가 증가되어 제조를 어렵게 한다. 또한, A가 상한을 초과하게 될 때는, 스트로보스코픽 촬영 상태로 야간 조명 하에서 촬영을 할 때 2 내지 3m의 거리 내에 대상 물체와 실내 배경이 정확하게 표현된 프린트를 얻는 것이 어렵다.
또한, 일반적인 촬영 상태에서 B의 조건 관계에서, B가 하한보다 작으면, 스트로보스코픽 촬영 상태에서 A가 EV 8보다 낮게 설정된 경우, B는 EV 9보다 작아지고, 화창한 날 옥외 촬영에서 노출광량이 너무 과도하게 된다. B가 상한을 초과할 때, 스트로보스코픽 촬영 상태에서 A가 상한에 가깝게 설정되는 경우에는, B는 14보다 크게 되고, 흐린 날 옥외 촬영에서 노출광량이 너무 불충분하다.
스트로보스코픽 촬영 상태에서 A와 일반적인 촬영 상태에서 B는 각각 다음의 조건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 A ≤ 10
A + 1 ≤ B ≤ A + 3
보다 바람직하게는, 다음 식을 만족한다.
7 ≤ A ≤ 9.5
A + 1 ≤ B ≤ A + 3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음 식을 만족한다.
7 ≤ A ≤ 9
A + 1 ≤ B ≤ A + 3
스트로보스코픽 촬영 동안 F-치수나 셔터 속도의 변화가 일어나면, 스트로보스코픽 촬영 동안 바람직하게는 6 ≤ F ≤ 9의 식을 만족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 ≤ F ≤ 8.9의 식을 만족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 ≤ F ≤ 8.6의 식을 만족한다. 전기 플래시의 가이드 수는 2보다 작지 않고 9보다 크지 않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기 플래시의 작동없이 촬영을 할 때는, 9 ≤ F ≤ 14의 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플래시 유닛의 메인 스위치는 플래시 스위치 레버가 밀리는 형태로, 촬영 후에 플래시 스위치 레버를 원상 복귀시키는 것을 잃어버리게 될 때, N형 전지와 같은 작은 용량의 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지가 급속히 소모되어,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을 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작은 용량의 전지를 사용할 때는, 메인 스위치를 한번 턴 온하면 발진이 유지되고 전압이 소정 값에 도달하면 발진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원터치형 메인 스위치가 사용되는 플래시 회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지만, 이러한 에너지 보존형 플래시 회로가 도 3에 도시될 것이다.
다음에는, 도 4에 도시된 플래시 회로도를 참조하여, 플래시 충전 표시 장치로서, 값비싼 네온관이 사용되지 않고, 값싼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된 예를 설명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플래시 회로도는 도 2에 도시된 플래시 회로도와 유사하므로, 도 2에 도시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차이점은, 발광 다이오드(L)와 저항기(R4)가, 저항기(R1) 및 발진 트랜스포머(T1)의 3차 권선의 접점(P2)과,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 및 발진 트랜스포머(T1)의 2차 권선과 3차 권선 사이의 공통점에 접속된 접점(P1)에 직렬로 배치되고, 저항기(R3)과 네온관(Ne)이 제거된 점이다.
메인 스위치(SW1)가 ON되면, 낮은 DC 전압이 AC 고전압으로 변환될 수 있도록 발진 동작이 행해진다. 발진 트랜스포머(T1)으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의 AC 전류는 다이오드(D)에 의해서 정류되어, 메인 캐패시터(C1)를 충전한다. 충전이 시작될 때, 접점(P2)의 전위 전압이 접점(P1)에서의 전위 전압보다 약간 높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L)가 빛을 방출하지 않는다. 그러나, 메인 캐패시터(C1)의 충전 전압이 높아짐에 따라서, 접점(P2)의 전위 전압은 점진적으로 낮아지고, 충전 전압이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을 위해 필요한 최소 전압이 되는 280V에 도달하게 되면, 발광 다이오드(L)가 발진 트랜스포머(T1)의 역 전동력 주기 동안 외부 전압의 상승으로 인하여, 약 1.7V에서 흐릿하게 발광하며, 충전 전압이 더 증가할 때에는, 발광 다이오드(L)가 약 2.3V에서 밝게 발광되므로, 이에 의해서 충전 완료가 시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플래시 회로의 도면에서와 같이, 네온관(Ne)이 사용될 때는, 트리거 트랜스포머(T2)의 1차 권선(T21)으로 인가된 전압이 네온관의 일정한 전압 특성으로 인하여 안정되게 되지만, 이러한 플래시 회로도에서는, 트리거 트랜스포머(T2)의 1차 권선(T21)으로 인가된 전압이 메인 캐패시터(C1)의 충전 전압의 증가에 따라서 증가됨으로, 도 2에 도시된 플래시 회로도에서와 완전히 동일한 트리거 트랜스포머(T2)가 사용되면, 2차 권선(T22)의 전압, 즉, 트리거 전압이 너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트리거 트랜스포머(T2)의 권선비(turns ratio)를 낮추어 트리거 전압의 증가를 억제해야 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종래의 권선비는 40 내지 50이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권선비를 20 내지 3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가 옥외 일광에 의해서 밝아질 때는, 그 점등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발광 칩을 집적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외장 케이스(transparent external packing cas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방법으로, 발광 다이오드(L)가 깜박거리도록(flicker) 플래시 회로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에 따르면, 메인 캐패시터의 용량과 전지 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이즈 감소와 비용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에 따르면, 대상 물체와 실내 배경이 모두 정확하게 노출된 프린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가 플래시의 충전 표시용으로 사용될 때에도 트리거 트랜스포머의 트리거 전압이 과도하게 증가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이 옥외 일광의 영향없이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 (3) 및 (4)의 예의 플래시 회로가 설명될 것이다.
도 5에서, 종래 기술의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었다. 도 2와의 상당한 차이점은 네온관(Ne)이 발광 다이오드(LED)로 대체되었다는 점과, 메인 스위치의 배열과 관련된 점이다.
메인 스위치가 ON될 때는, 베이스 전류가 발진 트랜스포머(T1)의 3차 권선(T13)을 통해서 발진 트랜스포머(Q)로 인가되고, 발진 트랜지스터가 ON되어, 전류가 발진 트랜스포머(T1)의 1차 권선(T11)에 흐른다. 권선비에 대응하는 고전압으로 인한 전류가 발진 트랜스포머(T1)의 2차 권선(T21)으로 흐르고, 메인 캐패시터(C1)와 트리거 캐패시터(C2)는 다이오드(D)에 의해서 정류된 전류에 의해서 충전된다. 동시에, AC 전압이 권선비에 대응하는 3차 권선(T13)의 양단 상에서 발생되고, 그 전압은 메인 캐패시터(C1)의 충전 전압에 대응하여 증가한다.
메인 캐패시터(C1)의 전압이 소정 값에 도달하게 되면, 3차 권선(T13) 양단에서의 전압이 3차 권선(T13)과 평행하게 접속된 발광 다이오드(LED)의 점등을 시작하는데 필요한 (1.6 내지 2.0V) 전압까지 증가하고, 발광 다이오드(LED)가 점등되면, 이는 플래시 발광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알린다. 발광 다이오드(LED)의 점등 타이밍과 밝기는 발진 트랜스포머(T1)의 3차 권선(T13)의 권선수, 및 발광 다이오드(LED)에 직렬로 접속된 저항기(R3)의 저항값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LED)가 점등된 후 트리거 스위치(TS1)가 ON되면, 발진 트랜지스터(Q), 메인 스위치(SW), 트리거 캐패시터(C2), 트리거 스위치(TSW), 및 트리거 트랜스포머(T2)의 1차 권선(T21)에 의해서 트리거 전류의 경로가 형성되고, 따라서, 트리거 캐패시터(C2) 내에 충전된 전하들이 트리거 트랜스포머(T2)의 1차 권선(T21)으로 방전되어, 고전압이 2차 권선(T2차 권선(T22) 내에서 발생되고, 이 전압이 방전관(Xe)의 트리거 전극(G)에 인가되어, 방전관(Xe)이 빛을 방출한다.
또한, 메인 캐패시터(C1)가 충전되고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된 경우에, 메인 스위치가 OFF될 때는, 발진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 전류가 인터럽트되므로, 발진 트래지스터(Q)가 OFF되어 발진 동작을 멈추고 발광 다이오드(LED)가 OFF된다. 릴리스 버튼이 다시 눌러지고 트리거 스위치(TSW)가 ON될 때에도, 트리거 전류 경로가 메인 스위치(SW)에 의해서 인터럽트되어, 트리거 캐패시터(C2)가 방전되지 않고, 따라서 방전관(Xe)이 빛을 방출하지 않는다.
다음에는,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플래시 회로를 설명할 것이다.
도 6의 회로도는 도 5의 회로도와 유사하지만, 메인 스위치(SW)의 일단이 발진 트래지스터(Q)의 에미터에 접속되고 타단이 전기적으로 접지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메인 스위치(SW)의 배치가 상술된 바와 같이 변경될 때에도, 도 5에서와 동일한 회로 동작이 행해진다.
그러나, 메인 스위치(SW)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 경우, 메인 스위치(SW)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흐름이 도 6에 도시된 배치의 경우와 비교했을 때 약 1/1000이므로, 도 5의 배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의 플래시 회로에 따르면, 종래의 메인 스위치와 발광 정지 스위치의 동작 모두를 단지 하나의 메인 스위치에 의해서 행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비용을 절감하며, 더욱이 플래시의 품질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가 네온관 대신에 사용되고, 이에 의해서 비용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구조 (5)의 제1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회용 카메라에서 사용하는 플래시 회로의 도면이다. 도 8은 전방에서 본 일회용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9는 후방에서 본 일회용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회용 카메라의 부분적으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일회용 카메라의 부분적으로 절취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선 IV-IV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와 동일한 절취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로, 플래시 발광부가 카메라 본체에 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1 예에 기초하여 행해진 테스트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5 내지 제 18은 본 발명의 구조 (5)의 제2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회용 카메라에서 사용되는 플래시 회로의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플래시 회로도를 사용하는 일회용 카메라의 전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15의 플래시 회로도의 메인 스위치가 OFF 위치 및 ON 위치로 동작하는 상태 보존형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의 각각의 부분 단면도들이다.
이와 관련해서, 제2 예에서는, 제1 예에서와 동일한 구성 소자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고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도 7 내지 도 14에 도시된 제1 예의 일회용 카메라(101)에서, 카메라 본체(105)는 주요 구성 소자들과 주요 부품들을 갖는 본체 프레임(102), 및 본체 프레임(102)의 전면과 배면 상에 각각 제공되어, 프레임(102) 상에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전면 커버(103)와 배면 커버(104)으로 구성된다. 스프링-업형(spring-up type) 플래시 발광부(106)는 카메라 본체(105)의 상부 표면의 우측단에 제공되고, 카메라 본체(105)는 별도의 분해용 공구없이는 분해될 수 없는 밀폐형(sealed type)으로 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105)의 필름 장전 챔버(107)에서는, (모두 도시되지 않았지만) 카트리지 챔버 내의 카트리지로부터 인출된 빛에 노출되지 않은 롤 필름(F)이 감기고, 각각의 필름 노광 플레임용 카트리지 내에서 이 필름(F)은 순차적으로 감겨져, 촬영이 완전히 완료되었을 때는 모든 필름(F)이 카트리지 내에 있게 된다.
카메라 본체(105) 상에는, 촬영 렌즈(108), 뷰-파인더 창(109) 및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10)가 전면 상에 제공되고, 플래시 발광부(106), 셔터 릴리스 버튼(111), 필름 카운터창(112) 및 충전 확인창(113)이 상부면 상에 제공된다. 충전 확인창(113)의 내부에는, 카메라 본체(105) 내의 플래시 기판(114) 상에 마련된 인디케이터 램프(Ne)가 제공되고, 인디케이터 램프(Ne)의 깜박거리는 발광에 의해서, 플래시 충전의 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 카메라 본체(105)의 배면 상에는, 다이얼형 필름 감기 놉(115), 및 뷰-파인더 접안 창[view-finder eye windows; (116)]이 제공되고, 플래시용 전원으로서 건전지(BT)가 필름 장전 챔버(107)와 카트리지 챔버 사이의 저부면측 상에 형성된 전지 챔버 내에 장전된다.
플래시 발광부(106)의 저부인, 카메라 본체의 전면의 우측단의 상부에는, 슬릿형 가이드 그루브(117)가 세로 방향으로 제공되고,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10)가 가이드 그루브(117) 내에 배치된다. 가이드 그루브(117) 내에서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10)가 위쪽 및 아래쪽 방향으로 밀리고, 슬라이드형 및 상태 보존형 조작기가 가이드 그루브(117)의 상단에서 ON 위치를 유지하고, 그 하단에서 OFF 위치를 유지한다.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10)는 가이드 그루브(117) 내에 배치된 놉 피스(110a), 플래시 기판(114) 상에 부착된 메인 스위치(MSW)를 개폐시키기 위한 스위치 액츄에이터 피스(110b), 및 플래시 발광부(106)를 돌출가능하게 카메라 본체(105)내에 수용되어 있는 접속 피스(110c)를 갖는다. 놉 피스(110a)가 가이드 그루브(117)의 상단에서 ON 위치에 있을 때는, 상부에서의 플래시 발광부(106)가 놉 피스(110a)와 연동되어, 받침점과 같은 지지 샤프트(118)를 사용하는 카메라 본체(105)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튀어나오게 되며, 카메라 본체(105) 내의 플래시 회로가 동작하여 플래시의 충전을 시작한다. 놉 피스(110a)가 가이드 그루브(117)의 하단에서 OFF 위치에 놓이게 되면, 플래시 발광부(106)가 놉 피스(110a)와 연동되어, 카메라 본체의 상부면 정도로 낮아져, 플래시 회로의 동작을 멈추어 플래시의 충전을 중단시킨다.
플래시 발광관(Xe)은 플래시 발광부(106) 내에 내장된다. 플래시 발광관(Xe)의 점등 및 인디케이터 램프(Ne)의 깜박거리는 발광은 카메라 본체(105) 내에 구비된 플래시 회로에 의해서 동작된다. 도 7에 도시된 플래시 회로에서는, 건전지(BT)가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10)에 의해서 개폐되는 2극 단투식 정상 오픈형 메인 스위치 [double-pole single-throw type normal open type main switch; MSW]의 하나의 스위치 접점(SW1)(전원 스위치)을 통해서 승압 회로(VS)에 접속된다.
승압 회로(VS)는 발진 트랜지스터(Q), 1차 권선(W1), 2차 권선(W2) 및 피드백 권선인 3차 권선(W3)을 갖는 발진 트랜스포머(TR1), 및 저항기(R1)를 갖고, 전원(BT)으로부터 인가된 DC 전류에 의해서 발진 동작하고, DC 전류를 AC 고전압으로 변환한다. 승압 회로(VS) 내의 저항기(R1)는 승압 회로(VS)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한다. 발진 트랜스포머(TR1)가 3차 권선(W3)을 갖는 본 발명에서는, 저항기(R1)가 1㏀ 내지 200㏀의 범위로 설정된다.
승압 회로(VS)는 다이오드(D)를 통해 메인 캐패시터(전기 분해 캐패시터)에 접속되고, 승압 회로로부터 제공된 AC 전류가 다이오드(D)에 의해서 정류되어 메인 캐패시터(MC)를 충전한다. 메인 캐패시터의 캐소드(-)와 애노드(+)는 각각 플래시 발광관(크세논관)(Xe)의 캐소드(K)와 애노드(A)에 접속되고, 플래시 발광관(Xe)으로 방전 전류를 인가한다.
점등 회로는 플래시 발광관(Xe)의 그리드(G)에 접속된다. 점등 회로는 저항기(R2), 트리거 캐패시터(TC), 트리거 스위치(TSW), 및 1차 권선(W11)과 2차 권선(W12)을 갖는 발진 트랜스포머(TR2)로 구성된다. 플래시 발광관(Xe)의 그리드(G)와 메인 캐패시터(MC)의 캐소드(-)와 애노드(+)는 저항기(R2), 트리거 스위치(TSW) 및 발진 트랜스포머(TR2)에 의해서 접속된다.
이러한 점등 회로에서, 트리거 스위치(TSW)가 카메라 본체측의 셔터 동작과 연동되어 닫혀지면, 트리거 캐패시터(TC) 내에 축적된 전하가 동시 전류로서 발진 트랜스포머(TR2)의 1차 권선(W11)을 통해서 흐르고, 동시 전류에 의해서 2차 권선(W12) 내에서 발생된 펄스형 전압이 플래시의 발광관(Xe)의 그리드(G)로 인가되면, 플래시 발광관(Xe)이 발광한다.
알람 회로(AL)는 상기의 점등 회로에 접속되어, 메인 캐패시터(MC)에 충전의 완료를 표시하여,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10)의 잃고 있던 인터럽트를 알린다. 알람 회로(AL)는 저항기(R2)와 트리거 스위치(TSW)의 공통 접점 및 메인 스위치(MSW)의 다른 스위치 접점(SW2) 사이에 제공되고, 저항기(R3)와 인디케이터 램프(Ne)의 직렬 회로 및 직렬 회로에 병렬로 접속되고 또한 점등 회로로도 사용되는 트리거 캐패시터(TC)를 갖는다. 메인 스위치(MSW)가 닫혀지면, 알람 회로(AL)가 저항기(R2)를 통해서 메인 캐패시터(MC)의 양단에 접속되고, 인디케이터 램프(Ne)가 깜박거림 상태로 점등되어, 플래시의 충전 완료를 표시하고 알람을 제공한다.
다음에는, 구성된 본 예의 플래시 회로의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먼저,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10)가 가이드 그루브(117)의 상단에서 ON 위치로 밀리게 되면, 플래시 발광부(106)가 카메라 본체(105)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튀어나오고, 동시에 메인 스위치(MSW)가 닫혀지며, 승압 회로(VS)가 메인 스위치(MSW)의 하나의 스위치 접점(SW1)을 통해서 전원(BT)에 접속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서, 발진 트랜지스터(Q)가 동작하고, 발진 트랜스포머(TR1)의 1차 권선(W1)을 통해 전류가 흐르고, 고전압의 전류가 2차 권선(W2)을 통해서 흐른다. 2차 권선(W2) 내의 고전압의 AC 전류는 다이오드(D)에 의해서 정류되고 메인 캐패시터(MC)를 충전한다.
또한, 알람 회로(AL)가 메인 스위치(MSW)의 다른 스위치 접점(SW2)을 통해서 메인 캐패시터(MC)의 양의 전극(+)에 접속되고, 메인 캐패시터(MC)의 음의 전극(-)과 양의 전극(+)을 흐르는 동일한 전압이 저항기(R2)와 알람 회로(AL)의 양단에 인가된다. 이에 의해서, 알람 회로(AL)의 트리거 캐패시터(TC)로의 충전이 시작된다. 그 다음, 트리거 캐패시터(TC)의 충전 전압이 저항기(R3)와 인디케이터 램프(Ne)로 구성된, 직렬 회로 상으로 인가되고, 트리거 캐패시터(TC)의 충전 전압이 소정값에 도달하게 되면, 인디케이터 램프(Ne)의 방전이 시작되는데, 즉, 인디케이터 램프(Ne)가 점등된다. 이 때, 메인 캐패시터(MC)의 충전 전압이 플래시 발광을 위해서 소정값에 있게 된다.
트리거 캐패시터(TC)의 충전 전압이 인디케이터 램프(Ne)의 점등에 의해서 낮아지고, 이것이 소정 한계로 낮아지면, 인디케이터 램프(Ne)에서 방전이 중단되어 소등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서, 트리거 캐패시터(TC)가 다시 충전되고, 충전 전압이 증가할 때, 인디케이터 램프(Ne)가 다시 방전을 시작하여 점등된다. 따라서, 인디케이터 램프(Ne)는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면서, 깜박거리는 발광에 의해서 메인 캐패시터(MC)의 충전 완료를 표시한다.
인디케이터 램프(Ne)가 깜박임 상태로 발광한 후에, 셔터가 셔터 릴리스 버튼(110)에 의해서 동작하면, 트리거 스위치(TSW)가 닫혀지고, 메인 캐패시터(MC) 내의 전하들이 트리거 트랜스포머(TR2)의 1차 권선(W11)을 통해서 방전되며, 트리거 트랜스포머(TR2)의 2차 권선(W12) 내에서 고전압이 발생되고, 이에 의해서, 플래시의 발광관(Xe)이 점등되고,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이 행해진다.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이 완료된 후에는,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10)가 OFF 위치로 이동되고, 플래시 발광부(106)가 카메라 본체의 상부 면의 수준으로 낮아지며, 동시에 알람 회로를 포함한 전체 플래시 회로의 동작이 중단되고, 이에 의해서 인디케이터 램프의 깜박거림도 정지된다.
다음에는, 본 예의 일회용 카메라(1) 상에서의 전지 수명 테스트를 설명할 것이다. 플래시 회로의 승압 회로(VS)에서, 저항기(R1)는 상술된 바와 같이 1㏀ 내지 200㏀의 값으로 설정된다. 한개의 1.5V AA형 알칼리 전지가 플래시용 전원으로서 저항기(R1)에 결합되고,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10)가 ON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리고,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예를 들면,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을 위해서 36 내지 40의 노출광량을 갖는 한개의 롤 필름의 모든 프레임들이 필요한) 플래시를 충전할 수 있는 1V 이상의 건전지는 1㏀인 저항기(R1)의 최소값에서 약 12시간 동안 유지되고, 10㏀에서 약 24시간 동안 유지되며, 200㏀의 저항기(R1)의 최대값에서 50 시간 이상 유지된다.
즉, 승압 회로(VS)의 저항기(R1)의 최대값이 1㏀일 때,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이 행해지는 기간의 최소 기간으로, 220Ω의 종래의 저항값에서 보다 2배에 해당하는 12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사진기는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10)를 턴 오프시키는 것을 잃어버리고, 하루가 지난 다음 날에 이를 알아차린 경우에도, 충분히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을 할 수 있다. 또한, 저항기(R1)가 200㏀보다 작지 않을 때는, 승압 회로(VS) 내의 발진 트랜스포머(TR1)의 발진이 거의 시작되지 않을 때 처럼, 발진 동작이 안정되지 않으며, 또는 동작 동안 발진이 정지해버리므로, 저항기(R1)의 최대 값은 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일회용 카메라(101)에서, 상태 보존형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10)가 ON될 때의 플래시 동작 상태에서는, 플래시 발광부(106)가 카메라 본체(105)의 상부면으로부터 튀어나오므로, 카메라의 외관이 비-스트로보스코픽 촬영 시의 모양으로부터 변화되고, 이에 의해서 일회용 카메라(1)가 플래시 충전 상에 있다는 것을 촬영자가 알 수 있다. 한편, 승압 회로(VS 내의 저항기(R1)가 1 ㏀의 최소값 내지 200 ㏀의 최대값으로 설정될 때, 건전지(BT)의 불필요한 소모를 극도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자가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10)를 OFF시키는 것을 잃어버려서 플래시 충전이 계속될 때에도,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을 할 수 있는 기간으로, 저항기(R1)가 최소값인 1 ㏀일 때에도 최소한 12시간이 보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카메라측에서 촬영자가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10)를 OFF시키는 것을 잃어버렸다는 확인하도록 대기할 수 있다. 또한, 저항기(R1)가 최대값인 200 ㏀일 때,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을 할 수 있는 기간이 50 시간 이상, 즉 2 내지 3일동안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승압 회로에서 최소값인 1 ㏀ 내지 최대값인 200 ㏀의 저항기(R1)만이 사용됨으로써, 반드시 플래시 회로 및 카메라 본체의 외형이 변화될 필요가 없으며, 이에 의해서 경제적 효율 및 생산성 면에서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플래시용 전원(BT)으로서, 1.5V를 갖는 AA형 알칼리 건전지가 아닌 AAA형 또는 이와 유사한 건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제2 예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5의 플래시 회로는, 1차 내지 3차 권선을 갖는 발진 트랜스포머(TR1)가 승압 회로에서 사용되고, 승압 회로 내의 저항기(R1)가 1 ㏀ 내지 200 ㏀의 저항값으로 설정된다는 점에서 제1 예와 공통이지만, 그 외에도, 제1 예의 플래시 회로도(도 7)에 사용되지 않은, 제3 캐패시터(SC)가 도 15의 플래시 회로도에 추가된다. 제2 예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제1 예와 차이점이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플래시 회로도에서, 메인 스위치(MSW)가 1극 단투식 정상 오픈형 메인 스위치 (single-pole single-throw type normal open type main switch)이고; 플래시 발광부(106)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형 발광부이며; 스탠드-업형 액츄에이터가 메인 스위치(MSW)와 결합된,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30)로서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메인 스위치(MSW)는 카메라 본체(105) 내에 제공된 플래시 기판(114)의 카메라 본체의 앞부분의 측면에 설치되는 긴 접점(S1)과 짧은 접점(S2)을 결합하여 구성된다.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30)는, 앞 커버(103) 상의 메인 스위치(MSW)의 전면부 상에 형성된 액츄에이터 설치부(131) 상에, 지지 샤프트(132)를 사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30)는 지지 샤프트(132)로부터 베이스 단측에 제공된 L자형 작동 피스(130a)와 상기 지지 샤프트(132)로부터 선단측 상의 놉 피스(130a)를 갖는 판상체이고, 앞 커버(103)와 평행한 OFF 위치로부터, 앞 커버(103)와 수직인 카메라 본체의 앞측 방향으로 ON 위치까지의 90° 범위 내에 지지 샤프트(132) 주위를 회전한다.
액츄에이터 설치부(131)는, 앞 커버(103)로부터 카메라 본체(105)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30)의 동작 피스를 수용하는 가이드 벽(103a); 메인 스위치(MSW) 및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30) 사이에 앞 커버(103)로부터 돌출된 동력 전송 피스(103b); 및 가이드 벽(103a)과 동력 전송 피스(103b) 사이에 설정된 장착 오목부(133)에 의해서 구성된다.
메인 스위치(MSW)의 방향으로 돌출된 압동부(pressing movement portion; 103c) 및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 피스(103d)는 동력 전송 피스(103b)의 선단측에 제공되고, 카메라 본체의 전방 및 후방의 탄성력이 스스로 동력 전송 피스(103b)에 제공되며,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30)와 지지 샤프트(132)의 동작 피스(130a)가 장착 오목부(133) 내에 배치된다.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30)가 앞 커버(103)의 전면과 평행하게 OFF 위치에 배치될 때 스트로보스코픽 촬영 동안에는 메인 스위치(MSW)의 긴 접점(S1)이 짧은 접점(S2)으로부터 분리된다(도 17).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30)의 놉 피스(130b)가 유지되고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30)가 카메라 본체(105)의 전방으로 지지 샤프트(132) 주위를 회전할 때는, 동력 전송 피스(103b)가 동작 피스(130a)에 의해서 푸시되어 메인 스위치(MSW)의 방향으로 구부려진다.
동작 피스(130a)가 동력 전송 피스(103b)의 스토퍼 피스(103d)와 접하여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30)의 회전이 제한시키고,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30)가 카메라 본체의 전방에서 서게 되는 ON 위치에서는, 메인 스위치(MSW)의 긴 접점(S1)이 동력 전송 피스(103b)의 압동부(103c)에 의해서 눌려진 짧은 접점(S2)과 접하고 플래시 회로가 닫혀지고 메인 스위치(MSW)로의 충전이 시작된다(도 18).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30)가 카메라 본체의 전방에서 서게 되는 상태에서는, 메인 스위치(MSW)의 긴 접점(S1)과 동력 전송 피스(103b)로부터의 반대 힘이 카메라 본체의 앞쪽 방향으로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30)에 영향을 미치고,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130)는 ON으로 되어 지속적으로 건전지를 소비한다. 그러나, 본 예에서는, 또한 플래시 회로도의 승압 회로(VS) 내의 저항기(R1)가 1 ㏀ 내지 200 ㏀의 값으로 설정되고, 이에 의해서 전지의 수명이 극도로 연장되어, 제1 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장시간 동안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카메라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이에 의해서, 건전지의 낭비를 상당히 방지할 수 있으며, 촬영자가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를 턴 오프시키는 것을 잃어버릴 때에도 플래시 충전을 계속하여 이를 장 시간후에 알아차려도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을 충분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승압 회로의 저항기 값만이 충전될 수 있고, 플래시 회로는 종래의 플래시 회로와 동일함으로, 본 발명은 경제적 효율 및 생산성 면에서 상당히 우수하다.
도면에서,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구조 (6)의 제1 예를 도시한다. 도 19는 일회용 카메라에서 사용되는 플래시 회로도이다. 도 20은 전방에서 본 일회용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후방에서 본 일회용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22 내지 24는 본 발명의 구조 (6)의 제2, 제3 및 제4 예를 각각 도시한 플래시 회로도이다. 이와 관련해서, 제1 내지 제4 예에서, 종래 기술의 설명에서 사용된 도 26과 동일한 구성 소자들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제1 예의 일회용 카메라(210)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주용 구성 부품들을 구비한, 본체 케이스의 앞 부분과 뒷 부분이 플라스틱 앞 커버(211)와 뒷 커버(212)로 커버되어, 카메라 본체(213)가 구성된다. 고정형 플래시 발광부(214)가 카메라 본체(213)의 상부면의 오른쪽 단에 제공된다. 노출되지 않은 롤 필름은 주요 부분이 종이 커버(215)로 덮힌, 카메라 본체(213) 내에 미리 장전되어 있고, 뒷 커버(212)에는 필름의 장전 및 탈착을 위한 뒷 뚜껑이 없다. 카메라 본체는 앞 커버(211)와 뒷 커버(212)가 분해용 공구없이는 서로 분리되지 않는 밀봉형 구조를 갖는다.
카메라 본체(213)에는, 플래시 발광부(214), 촬영 렌즈(216), 뷰파인더 창(217) 및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218)가 전면 상에 제공되고, 셔터 릴리스 버튼(219), 필름 카운터 창(220) 및 충전 확인창(222)이 상면에 제공된다. 카운터 창(220)의 배면 상에는, 다이얼형 필름 감기 놉(222)과 뷰파인더 접안 창(223)이 제공되고, 건전지와 같은 플래시용 전원(BT)이 카메라 본체(213) 내의 저부 내에 형성된 전지 챔버 내에 설치된다.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218)는 플래시 발광부(214)에 아래에 제공된 가이드 그루브(224)에서 수평으로 미끄러지는 슬라이드형이다.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218)의 외부 단부가 카메라 본체(213)의 일측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서는, 카메라 본체(213) 내의 플래시 회로(230)에 의해서 제공된 메인 스위치(MSW)가 ON되어 플래시 충전을 시작한다.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218)의 내부 단은 가이드 그루브(224)의 내벽에 접하는 위치에서는, 메인 스위치(MSW)가 OFF되어, 플래시 충전이 중단된다. 충전 확인창(222)의 내측에는, 발광 다이오드(LED)가 인디케이터 램프로서 카메라 본체(213)의 플래시 회로(230) 내에 제공되고, 발광 다이오드(LED)의 점등에 의해서 플래시 충전의 완료가 확인된다.
플래시 발광관 [크세논관 (Xe)]은 플래시 발광부(214)에 내장된다. 플래시 발광관(Xe)의 점등과 발광 다이오드(LED)의 발광은 카메라 본체(213) 내에 설치된 플래시 회로(230)에 의해서 행해진다. 도 19에 도시된 플래시 회로(230)는 전원 전압을 플래시 발광관(Xe)의 발광에 필요한 전압으로 승압하는 승압 회로(231); 상기 승압 회로(231)로부터의 고전압이 메인 캐패시터(MC)를 충전하고 플래시 발광관(Xe)이 발광하는 플래시 발광 회로(232); 및 발광 다이오드(LED)가 빛을 방출하도록 하고 메인 캐패시터(MC)로의 충전 완료를 표시하여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218)를 OFF시키는 것을 잃어버렸다는 것을 확인하도록 하는 LED 점등 회로(233)를 갖는다. 전원(BT)은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218)의 ON/OFF 동작에 의해서 개폐되는 2극 단투식 정상 오픈형 메인 스위치(MSW)를 통해서 승압 회로(231)에 접속된다.
승압 회로(231)는 발진 트랜지스터(Q), 발진 트랜스포머(TR1) 및 저항기(R1)으로 구성된다. 발진 트랜스포머(TR1)는 플래시 방출을 위한 1차 권선(W1), 2차 권선(W2) 및 3차 권선(W3), 및 LED 점등을 위한 4차 권선(W4)을 갖는다. 발진 트랜지스터(Q)와발진 트랜스포머(TR1)는 자유-발진식 블록 발진기(free-running blocking oscillator)를 구성하고, 메인 스위치(MSW)가 ON될 때, 전원(BT)으로부터 인가된 DC 전류에 의해서 발진 동작이 행해진다. AC 고전압은, 발진 트랜스포머(TR1)의 1차 권선을 통해서 흐르는 1차 전류의 증가 및 감소에 의해서, 발진 트랜스포머(TR1)의 1차 권선(W1)과 2차 권선(W2)의 권선비에 대응하여 2차 권선(W1)에서 발생된다. 발진 트랜스포머(TR1)는 다이오드(D)를 통해서 플래시 발광 회로(232)의 메인 캐패시터(전해 캐패시터)(MC) 및 트리거 캐패시터(TC)에 접속되고, 2차 권선(W2)의 고전압은 다이오드(D)에 의해서 정류되어, 메인 캐패시터(MC)와 트리거 캐패시터(TC)를 충전한다.
플래시 발광 회로(232)는 메인 캐패시터(MC), 플래시 발광부(214) 내의 플래시 발광관(Xe), 셔터 블레이드와 연동되어 개폐되는 트리거 스위치(TSW), 1차 권선(W11)과 2차 권선(W12)을 갖는 발진 트랜스포머(TR2), 저항기(R2) 및 트리거 캐패시터(TC)로 구성된다. 플래시 발광관(Xe)의 캐소드(K)와 애노드(A)는 각각 메인 캐패시터(MC)의 음의 전극(-)과 양의 전극(+)에 접속되고, 그리드(G)는 저항기(R2), 트리거 스위치(TSW) 및 트리거 트랜스포머(TR2)를 통해서, 메인 캐패시터(MC)의 음의 전극(-)과 양의 전극(+)에 접속된다.
이러한 플래시 발광 회로(232)에서는, 트리거 스위치(TSW)가 카메라 본체측의 셔터 동작과 연동하여 닫히고, 트리거 캐패시터(TC)내에 축적된 전하는 동시 전류로서 발진 트랜스포머(TR2)의 1차 권선(W11)을 통해서 흐르며, 동시 전류에 의해서 2차 권선(W12)에서 발생된 펄스형 전압이 플래시 발광관(Xe)의 그리드(G)에 인가되고, 이에 의해서, 메인 캐패시터(MC)의 전압을 따라서 흐르는 전류가 플래시 발광관(Xe)을 통해서 흘러서 플래시 발광관(Xe)을 발광시킨다.
LED 점등 회로(233)는 발광 다이오드(LED)와 저항기(R3), 및 플래시 발광을 위해서 1차 권선(W11) 내지 3차 권선(W13)과 함께 발진 트랜스포머(TR1)에 통합된 4차 권선(W4)으로 구성된다. 저항기(R4)는 발광 다이오드(LED)와 직렬로 접속되고, 발광 다이오드(LED)를 통해 흐르는 전류 값을 제어한다. 4차 권선(W4)은 발광 다이오드(LED)를 점등하기 위해서만 유일하게 사용되고, 플래시 발광용 1차 권선(W11) 내지 3차 권선(W3)으로부터 분리되는 코일이며, 2차 권선(W2 및 W3)의 연장 선로 상에 배치된다. 발광 다이오드(LED)측은 4차 권선(W4)의 일단에 접속되고 저항기(R3)측은 그 타단에 접속되므로, 승압 회로(231)의 독립적으로 닫힌 회로인 LED 점등 회로(233)가 구성된다.
1차 권선(W1)으로부터 3차 권선(W3)까지 분리된 4차 권선(W4)에서는 4차 전류가 발생되고, 2차 권선(W2)의 제2 전류와 3치 권선(W3)의 제3 전류와 동일한 방법으로, LED 점등 회로(233)를 구동한다. LED 점등 회로(233) 내의 발광 다이오드(LED)의 발광량과 점등 시간은 4차 권선(W4)의 권선 수에 의해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메인 캐패시터(MC)의 전압이 LED가 발광할 수 있는 소정의 전압값에 도달하는 단계에서 LED가 발광하는 방식으로 점등 시간이 설정된다.
본 예는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플래시 회로(230)에서는,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218)가 ON될 때 메인 스위치(MSW)가 닫히고, 승압 회로(231)는 메인 스위치(MSW)의 한개의 스위치 접점(SW1)을 통해서 전원(BT)에 접속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서, 발진 트랜지스터(Q)가 동작하고, 1차 전류가 발진 트랜스포머(TR1)의 1차 권선(W1)을 통해서 흐르고, 또한 AC 고전압이 2차 권선(W2) 내에서 발생된다. 2차 권선(W2) 내의 고전압 AC 전류는 다이오드(D)에 의해서 정류되어 메인 캐패시터(MC)를 충전한다.
전원(BT)은 메인 스위치(MSW)의 다른 스위치 접점(SW2)을 통해서 트리거 캐패시터(TC)의 양의 전극(+)에 접속되고, 메인 캐패시터(MC)의 음의 전극 (-)과 양의 전극 (+)에 걸리는 동일한 전압이 저항기(R2) 및 트리거 캐패시터(TC)의 양단에 인가되고, 이에 의해서 트리거 캐패시터(TC)로의 충전이 시작된다. 1차 권선(W11) 내의 1차 전류는 4차 권선(W4)에서 4차 전류를 발생하여, LED 점등 회로(233)를 구동한다. 메인 캐패시터(MC)에서의 충전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서 4차 권선(W4)에서 발생된 교류 전류의 피크 전압의 일측이 증가된다. 증가하는 피크 전압이 정상 방향의 전압으로서 인가되도록 LED 점등 회로(233)의 발광 다이오드(LED)가 설치되고, 메인 캐패시터(MC)와 트리거 캐패시터(TC)가 소정의 충전 전압에 도달할 때 4차 권선(W4)의 권선수에 따라서 방전을 시작하고, 플래시가 빛을 방출한다는 상태를 점등에 의해서 알린다.
발광 다이오드(LED)가 빛을 방출한 후, 셔터 릴리스 버튼(219)을 눌러서 셔터가 동작될 때, 트리거 스위치(TSW)가 셔터 블레이드에 의해서 닫혀지고, 트리거 캐패시터(TC) 내에 축적된 전하들이 동시 전류로서 발진 트랜스포머(TR2)의 1차 권선(W11)을 통해서 흐르고, 동시 전류에 의해서 2차 권선(W12) 내에 발생된 펄스형 전압은 플래시 발광관(Xe)의 그리드(G)로 공급되고, 이에 의해서 메인 캐패시터(MC)의 전압을 따르는 전류가 플래시 발광관(Xe)을 통해서 흐르면, 플래시 발광관(Xe)이 빛을 방출하여, 스트로보스코픽 촬영을 한다.
본 발명의 일회용 카메라(210)에서는, 인디케이터 점등을 위해서만 유일하게 사용되는 4차 권선(W4)이, 플래시 점등용 1차 권선(W1) 내지 3차 권선(W3)을 갖는 발진 트랜스포머(TR1)와는 독립적으로 추가된다. 4차 권선(W4)이 1차 권선(W11)으로부터 3차 권선(W3)까지와 독립적으로 제공되고 발광 다이오드(LED)와 결합되는, LED 점등 회로(233)는, 승압 회로(231)와는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이에 의해서, 발광 다이오드(LED)의 점등 기능은 승압 회로(231)의 충전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돌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LED)의 발광량 또는 발광 타이밍은 4차 권선(W4)의 권선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는 반면, 발진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 전위 전압은 3차 권선(W3)을 사용함으로써 안정화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1차 권선(W1)과 2차 권선(W2)을 갖는 발진 트랜스포머(TR1)가 플래시 발광용 권선으로서 플래시 회로(240)의 승압 회로(23) 내에서 사용된다.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하기 위해서만 유일하게 사용되는 3차 권선(W3)은 2차 권선(W2)의 연장 선로 상에 발진 트랜스포머(TR1)와 독립적으로 추가된다. 발광 다이오드(LED)와 저항기(R3)는 제1 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3차 권선(W3)에 접속되고, LED 점등 회로(241)는 승압 회로(231)로부터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23에 도시된 제3 예와 도 24에 도시된 제4 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디케이터 램프로서 또한 2개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결합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예에서 플래시 회로(50 및 60)에서는,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을 위해서만 사용되는 4차 권선(W4)이 2차 권선(W2)과 3차 권선(W3)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제공된다.
도 23의 제3 예에 도시된 플래시 회로(25)에서는, 저항기(R3)가 각각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2개의 발광 다이오드(LED)는 서로 반전되고, 4차 권선(W4)의 양단에 병렬로 접속된다. 또한, 도 24의 제4 예에 도시된 플래시 회로(26)에서는, 저항기(R4)와 결합된 2개의 발광 다이오드(LED)가 반대 방향으로 서로 직렬로 접속되고, 이들의 외부 단부는 4차 권선(W4)의 양단에 접속되며, 단자들은 2개의 발광 다이오드의 중간 부분과 4차 권선(W4)의 중간 부분에 제공되어, 서로 접속된다. 따라서, 하나의 4차 권선(W4)이 2개의 발광 다이오드(LED)에 대해서 공통으로 사용된, LED 점등 회로(251 및 261)는 승압 회로(231)로부터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LED 점등 회로(251 및 261)에 있어서, 2개의 발광 다이오드(LED)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접속되므로, 발광량 또는 점등 시간과 같은 상태들이 각각 서로 차이가 있게 되고, 2개의 발광 다이오드(LED)가 2 색상의 발광 다이오드와 같이 방전 표시와 충전 완료 표시를 위해서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먼저 빛을 방출하고 있는,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가 피촬영자를 비추고, 이에 의해서 적목 효과(pink-eye effect)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4 예의 LED 점등 회로(261)에서는, 중간 단자가 이동되어, 4차 권선(W4)의 권선수가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에 적합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LED)는 4차 권선(W4)에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2컬러 발광 다이오드들이 LED 점등 회로 내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방전 및 충전 완료가 각각의 컬러에 의해서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회용 카메라에서는, 발광 다이오드용 권선이 플래시 점등용 1차 권선 내지 n차 권선과는 독립적으로 승압 회로의 발진 트랜스포머 내에 제공되고, 발광 다이오드는 발광 다이오드용 권선의 양단에 접속되도록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 회로가 구성된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 기능은 승압 회로의 충전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발광 다이오드용 권선의 권선수가 증가하거나 감소될 때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량과 점등 타이밍이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나 기술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범위에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들에 의해서 상술된 실시예들을 변경할 수 있다.

Claims (20)

  1.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에 있어서,
    (a) 본체;
    (b) 상기 본체 내에 미리 장전된 사진 필름;
    (c) 전기 플래시 발광부와 전기 플래시 회로를 갖는 전기 플래시 유닛; 및
    (d) 촬영 렌즈와 셔터를 갖는 촬영 유닛;
    을 포함하고, 다음의 조건식
    6 ≤ A ≤ 10
    을 만족하며, 여기서 A는 상기 전기 플래시 유닛이 사용된 조건에서 촬영할 때, 렌즈 구경값(aperture value), 셔터 속도 및 일회용 카메라 내에 장전된 필름의 감도에 의해서 결정된 노출광량의 값을 나타내는 일회용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조건식
    A + 1 ≤ B ≤ A + 4
    을 만족하며, 여기서 B는 상기 전기 플래시 유닛이 사용되지 않은 조건에서 촬영할 때, 상기 렌즈 구경값, 상기 셔터 속도 및 상기 일회용 카메라에 장전된 상기 필름의 감도에 의해서 결정된 노출광량의 값을 나타내는 일회용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플래시 유닛이 사용된 조건에서 상기 렌즈 구경값은 F5.6보다 작지 않은 일회용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플래시 회로는, 용량이 15㎌보다 작지 않고 80㎌보다 크지 않은 메인 캐패시터를 갖는 일회용 카메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필름은 ISO 640 또는 그 이상의 감도를 갖는 일회용 카메라.
  6. 제4항에 있어서, AAA형 전지 또는 N형 전지를 갖는 상기 전기 플래시 유닛용 전원을 더 포함하는 일회용 카메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플래시 회로는 푸시형 메인 스위치(push-type main switch) 또는 자동 충전 정지 회로를 구비한 회로를 포함하는 일회용 카메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플래시 유닛은 상기 전기 플래시 유닛으로의 전기 충전이 완료될 때 점등되거나 깜박거리는 인디케이터 램프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플래시 발광부 내의 방전관을 발광하는 트리거 트랜스포머의 권선비는 20보다 작지 않고 30보다 크지 않은 일회용 카메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플래시 유닛은 상기 전기 플래시 회로 내의 메인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플래시 회로는 제1, 제2 및 제3 권선을 포함하는 발진 트랜스포머, 및 승압 회로 내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저항기를 갖는 승압 회로를 가지며,
    상기 전기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는 상태 보존형이며, 상기 저항기는 1 ㏀보다 작지 않으며 200 ㏀보다 크지 않은 일회용 카메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플래시 회로는,
    전기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는 메인 스위치;
    전원 전압을 보다 높은 전압으로 승압하기 위해 제1, 제2 및 제3 권선을 갖는 발진 트랜스포머;
    상기 발진 트랜스포머에 의해서 승압된 상기 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상기 발진 트랜스포머에 접속된 메인 캐패시터;
    상기 발진 트랜스포머를 발진하기 위한 발진 트랜지스터;
    저항기를 통해서 상기 메인 캐패시터의 한 단자에 접속된 트리거 캐패시터; 및
    상기 트리거 캐패시터 내에 축적된 전하들을 흘려 보내서 상기 전기 플래시 발광부의 방전관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트리거 코일
    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스위치의 한 단자는 상기 발진 트랜스포머의 상기 제2 및 제3 권선들 사이의 한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트리거 캐패시터의 한 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메인 스위치의 다른 단자는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전기적으로 접지되는 일회용 카메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플래시 회로는 셔터 블레이드(shutter blade)의 개방 동작에 따라서 턴 온되는 트리거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캐패시터의 다른 단자, 상기 트리거 스위치 및 트리거 코일의 1차 권선의 한 단자는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트리거 코일의 상기 1차 권선의 상기 다른 단자는 접지되는 일회용 카메라.
  12. 제10항에 있어서, 인디케이터 램프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진 트랜스포머의 상기 3차 권선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병렬로 접속되는 일회용 카메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플래시 회로는,
    전기 플래시 스위치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턴 온 또는 턴 오프되는 메인 스위치;
    상기 전원의 전압을 보다 높은 전압으로 승압하기 위해 제1, 제2 및 제3 권선을 갖는 발진 트랜스포머;
    상기 발진 트랜스포머에 의해서 승압된 상기 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상기 발진 트랜스포머와 접속된 메인 캐패시터;
    상기 발진 트랜스포머를 발진하기 위한 발진 트랜지스터;
    저항기를 통해서 상기 메인 캐패시터의 한 단자에 접속된 트리거 캐패시터; 및
    상기 트리거 캐패시터 내에 축적된 전하를 흘림에 의해서 상기 전기 플래시 발광부의 방전관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트리거 코일
    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스위치의 한 단자는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접속되고, 상기 메인 스위치의 다른 단자는 전기적으로 접지되며,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상기 발진 트랜스포머의 상기 제2 및 제3 권선 사이의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트리거 캐패시터의 한 단자에 접속되는 일회용 카메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플래시 회로는 셔터 블레이드의 개방 동작에 따라 턴 온되는 트리거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캐패시터의 다른 단자, 상기 트리거 스위치 및 상기 트리거 코일의 상기 1차 권선의 한 단자는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트리거 코일의 상기 1차 권선의 상기 다른 단자는 접지되는 일회용 카메라.
  15. 제13항에 있어서, 인디케이터 램프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진 트랜스포머의 상기 3차 권선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병렬로 접속되는 일회용 카메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플래시 유닛은 인디케이터 램프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플래시 회로는 상기 전원의 전압을 보다 높은 전압으로 승압하기 위한 발진 트랜스포머 - 상기 발진 트랜스포머는 상기 전기 플래시 발광부의 발광을 위한 1차 내지 n차 권선, 및 상기 전기 플래시 발광부의 발광을 위한 상기 1차 내지 n차 권선과는 다른 상기 발광 다이오드용 권선을 가짐 - 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용 상기 권선의 양 단자에 접속되는 일회용 카메라.
  17.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에 있어서,
    (a) 본체;
    (b) 상기 본체 내에 미리 장전되어 있는 사진 필름;
    (c) 전기 플래시 발광부와 전기 플래시 회로를 구비한 전기 플래시 유닛; 및
    (d) 촬영 렌즈와 셔터를 갖는 촬영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플래시 회로는, 용량이 15 ㎌보다 작지 않고 80 ㎌보다 크지 않은 메인 캐패시터를 갖는 일회용 카메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렌즈의 렌즈 구경값은 F5.6보다 작지 않고 F16보다 크지 않은 일회용 카메라.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렌즈는 ISO 640 또는 그 이상의 감도를 갖는 일회용 카메라.
  20. 제17항에 있어서, AAA형 전지 또는 N형 전지를 갖는 상기 전기 플래시 유닛용 전원을 더 포함하는 일회용 카메라.
KR1019980047030A 1997-11-04 1998-11-03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 KR199900449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177397 1997-11-04
JP97-301773 1997-11-04
JP97-358898 1997-12-26
JP35889897A JPH11190874A (ja) 1997-12-26 1997-12-26 フィルム一体型カメラ
JP98-041938 1998-02-24
JP4193898A JPH11237666A (ja) 1998-02-24 1998-02-24 ストロボ内蔵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
JP4406598A JPH11242270A (ja) 1998-02-25 1998-02-25 フィルム一体型カメラ
JP98-044065 1998-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979A true KR19990044979A (ko) 1999-06-25

Family

ID=2746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030A KR19990044979A (ko) 1997-11-04 1998-11-03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39679B1 (ko)
EP (1) EP0915368A3 (ko)
KR (1) KR19990044979A (ko)
CN (1) CN114584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3403B1 (en) * 1998-11-04 2001-05-15 Konica Corporation Lens-fitted film unit with a built-in electronic flash unit and image forming method based on a photographic film exposed by the lens-fitted film unit with a built-in electronic flash unit
US6549727B1 (en) * 1999-07-01 2003-04-15 Fuji Photo Film Co., Ltd. Lens-fitted photo film unit with flash device
JP2004354914A (ja) * 2003-05-30 2004-12-16 Fuji Photo Film Co Ltd ストロボ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6071979A (ja) * 2004-09-02 2006-03-16 Fuji Photo Film Co Ltd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SE536836C2 (sv) * 2012-09-06 2014-09-30 Profoto Ab Generator för en blixtanordning och förfarande i en generator för en blixtanordning
CN110515359A (zh) * 2019-08-30 2019-11-29 嘉兴锦鸿包装有限公司 包装箱半自动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11920B2 (de) * 1974-03-13 1977-02-24 Kodak Ag, 7000 Stuttgart Photographische kamera mit einer belichtungszeit-einstellvorrichtung und einer blitzlichtvorrichtung
US5019853A (en) * 1988-10-14 1991-05-28 Nikon Corporation Exposure control apparatus for use in camera
JPH0313970A (ja) * 1989-06-12 1991-01-22 Mita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EP0551897A1 (en) * 1992-01-16 1993-07-21 Konica Corporation Film unit with a lens
KR100363458B1 (ko) * 1994-05-18 2003-03-26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렌즈장착사진필름유니트및그것에사용하기위한플래쉬장치
JPH08114836A (ja) * 1994-10-17 1996-05-07 Fuji Photo Film Co Ltd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3492812B2 (ja) * 1995-02-07 2004-02-0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US5878283A (en) * 1996-09-05 1999-03-02 Eastman Kodak Company Single-use camera with motion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15368A3 (en) 2004-06-16
CN1145845C (zh) 2004-04-14
US6339679B1 (en) 2002-01-15
EP0915368A2 (en) 1999-05-12
CN1222688A (zh) 1999-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44979A (ko) 내장형 전기 플래시를 구비한 일회용 카메라
JP3947306B2 (ja) ストロボ装置
JPH11242270A (ja) フィルム一体型カメラ
JP2000235245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用光源装置
JP2000275707A (ja) ストロボ装置
US6061531A (en) One-time use camera with strobe circuit baseboard
JP2001013636A (ja) カメラ
US6381414B2 (en) Oscillation circuit and strobe device employing the oscillation circuit
JPH08114836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11190874A (ja) フィルム一体型カメラ
JPH11202389A (ja) ストロボ内蔵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
JPH0643525A (ja) ストロボ装置
JP2002169215A (ja) ストロボ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又はカメラ並びに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01215557A (ja) 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
JP2002099032A (ja) ストロボ装置
JP2002139818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11352551A (ja) フィルム一体型カメラ
JPH06347872A (ja) ストロボ装置
JP2003330072A (ja) カメラ
JP2001083562A (ja) カメラの自動露光制御装置
JPH1195292A (ja) ストロボ回路
JP2000098460A (ja) 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
JP2002169252A (ja) 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
EP1191825A2 (en) Flash device for a camera
JP2001249384A (ja) 発振回路及びストロボ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