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815A - 전자 문서 표시 장치, 그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문서 표시 장치, 그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815A
KR19990035815A KR1019980700474A KR19980700474A KR19990035815A KR 19990035815 A KR19990035815 A KR 19990035815A KR 1019980700474 A KR1019980700474 A KR 1019980700474A KR 19980700474 A KR19980700474 A KR 19980700474A KR 19990035815 A KR19990035815 A KR 19990035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means
attribute information
record
electronic documen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지 이시마루
Original Assignee
이리마지리 쇼우이치로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엔터프라이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마지리 쇼우이치로, 가부시키가이샤 세가 엔터프라이세스 filed Critical 이리마지리 쇼우이치로
Publication of KR19990035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81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06F16/345Summarisation for human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313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or index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dditional aspects of information retrieval not explicitly covered by G06F16/00 and subgroups
    • G06F2216/11Patent retrie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검색 횟수·빈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를 수식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한 전자 사서를 제공하는 것, 및 복수의 사람이 사용가능한 전자 사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키보드(1a) 및 마우스(1b)와, 문서를 미리 전자적으로 기억하는 사서 메모리(6)와, 사서 메모리(6)로부터 1회 이상 검색된 문서에 관한 속성 정보를 각각 기억하는 마크 파일(7-1, ···, 7-n)과, 검색된 문서를 표시하는 표시부(5)와, 입력 수단(1a, 1b)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사서 메모리(6)를 검색함과 함께 이 검색된 문서를 마크 파일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색을 바꾸면서 표시부(5)에 표시하는 CPU(3)를 구비한다. 마크 파일(7)은 복수의 사용자 한 사람 한 사람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Description

전자 문서 표시 장치, 그 방법 및 기록 매체
이런 종류의 전자 문서 표시 장치 및 전자 문서 표시 방법의 예로서 전자 사서가 있다. 전자 사서란, 한자 사서, 영일 사서, 일영 사서 등의 사서 데이타를 반도체 메모리(ROM), 자기 디스크 등에 미리 기억시켜 두고, 이 사서 데이타에 기초하여, 한자 사서이면 읽는 방법을 입력함으로써 한자를 검색하고, 영일 사서이면 영어 단어를 입력함으로써 일본어의 번역을 검색하는 컴퓨터의 기능을 말한다. 메모리에는, 한자 사서이면 한자의 형태를 만드는 폰트 데이타, 검색을 위한 테이블 데이타(데이타가 들어 있는 장소를 나타내는 색인표와 같은 것)나, 사서 데이타가 각각 압축되어 기억되어 있다. 이하, 전자 문서 표시 장치 및 전자 문서 표시 방법을 단순히 「전자 사서」라고 칭한다.
그런데, 전자 사서에서는 전자적인 수단에 따른 것이 않고는 보통 사서와 마찬가지로 스스로 마크 라인을 첨가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단어 등을 검색한 경우에, 그 단어가 이미 과거에 조사된 일이 있는 단어 인지의 여부를 알 수 없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특개평3-237561호 공보에는 사용자가 한번 검색한 단어의 단어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최초의 검색 시에 마킹한 것을 다시 표시하는 경우, 그 단어를 반전 표시하거나, 「기억」되는 문자를 부가하여 표시하거나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배려한 전자 사서에 대한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전자 사서에 따르면 동일한 단어가 과거에 조사된 것은 알 수 있어도, 그 이상의 정보, 예를 들면 몇 회 조사한 것인지, 전회(前回) 조사된 것은 언제인지, 어느 정도의 빈도로 조사했는지는 알 수 없다. 또한, 상기 공보에 기재된 전자 사서에서는 표시 형태가 단순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그다지 사용 방법이 좋다고는 할 수 없었다. 또한, 동일한 전자 사서를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경우, 검색한 단어를 스스로 조사했는지, 그렇지 않으면 타인이 조사했는지를 구별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문자열을 입력하여 대응하는 정보를 전자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전자 문서 표시 장치 및 전자 문서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검색했을 때에 마크를 첨가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사서의 기능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사서의 마크 추가 처리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사서의 마크색 결정 처리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사서의 마크 파일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사서의 표시 화면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사서의 표시 화면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사서의 표시 화면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사서의 표시 화면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사서의 표시 화면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사서의 마크 파일의 내부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사서의 마크색 결정 처리의 다른 흐름도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자 사서의 마크 파일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1 과제는 검색된 문서를 그 검색 횟수에 따른 속성에 따라 표현할 수 있는 전자 사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2 과제는 동일한 장치를 여러 사용자가 공용할 수 있는 전자 사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3 과제는 사용자마다 사용하는 문서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전자 사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4 과제는 사용자가 전회 검색한 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전자 사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5 과제는 오랜 속성 정보의 축적을 방지하는 전자 사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6 과제는 사용자가 검색 횟수를 알 수 있는 전자 사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7 과제는 사용자가 속성 정보를 시각을 통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전자 사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8 과제는 사용자가 문서의 속성 정보의 간과를 방지할 수 있는 전자 사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의 범위 제1 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는 제1 과제에 대응한 것으로, 문서의 검색을 지시하기 위한 입력 수단과, 1이상의 레코드로 이루어지는 문서 테이블을 미리 기억시킨 제1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1회 이상 검색된 레코드의 검색 상황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기억하는 제2 기억 수단과, 검색된 레코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가 지시하는 레코드를 검색하고, 이 검색된 레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기억 수단의 속성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속성 정보에 기초한 표시 형태로 상기 레코드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처리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속성 정보」에는 예를 들면 검색 횟수, 검색 빈도, 검색 시기·시각 등을 포함된다. 요컨대 검색 상황에 관한 것이다. 또한, 「표시 형태」에는 예를 들면 표시된 문서에 특별한 마크를 첨가하고, 반전 표시를 하고, 표시색을 바꾸고, 점멸시키고, 명조체·고딕체 등의 문체를 바꾸는 것 등을 포함된다. 요컨대 다른 문서와 식별할 수 있는 표시 형태이면 된다. 또한, 「레코드」의 검색은 문서 필드뿐만 아니라, 검색 횟수나 번역문, 의미 등, 임의의 필드에 대해 행하면 된다.
제2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는 제1 과제에 대응한 것으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레코드를 검색한 경우에,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이 레코드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를 이 새로운 검색에 기초하여 갱신하는 제1 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이다.
제3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는 제1 과제에 대응한 것으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레코드를 검색했을 때, 이 레코드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가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 레코드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를 새롭게 생성하는 제1 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이다.
제4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는, 제2 과제에 대응한 것으로, 상기 제2 기억 수단은 여러 사용자마다 각각 설치된 복수 기억 영역으로 구성되고, 이들 복수 기억 영역은 각각 상기 속성 정보를 기억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이다.
제5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는 제3 과제에 대응한 것으로 상기 제1 기억 수단은 복수 종류의 상기 문서 테이블을 기억하고, 상기 제2 기억 수단의 여러 기억 영역은 각각 상기 복수 종류의 문서 테이블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의 지정 정보가 기억되고,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지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억 수단이 대응하는 문서 테이블을 검색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이다.
제6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는, 제4 과제에 대응한 것으로, 시간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했을 때의 상기 시간 신호를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시킴과 함께 상기 시간 신호에 기초하여 검색 시기를 표시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이다.
제7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는, 제5 과제에 대응한 것으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타이머의 시간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속성 정보를 소거하는 제6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이다.
제8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는 제5 과제에 대응한 것으로, 검색된 것이 상기 속성 정보를 갱신하지 않았던 횟수가 소정수를 넘었을 때에 상기 속성 정보를 소거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이다.
제9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는 제6 과제에 대응한 것으로, 상기 처리 수단은 동일한 레코드에 대한 검색 횟수를 상기 제2 기억 수단의 속성 정보로서 기록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이다.
제10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는, 제6 과제에 대응한 것으로, 상기 처리 수단은 동일한 레코드에 대한 검색 빈도를 상기 제2 기억 수단의 속성 정보로서 기록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이다.
제11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는, 제7 과제에 대응한 것으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하는 레코드의 색을 바꾸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이다.
제12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는, 제8 과제에 대응한 것으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하는 레코드를 점멸시켜 표시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장치이다.
제13항에 기재된 전자 문서 표시 방법은, 제1 과제에 대응하는 것으로, 문서의 검색을 지시하기 위한 입력 수단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1이상의 레코드로 이루어지는 문서 테이블을 미리 기억시킨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하는 제1 단계와, 이 제1 단계에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1회 이상 검색된 레코드의 검색 상황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제2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판독한 속성 정보에 기초한 표시 형태로 상기 제1 단계에서 검색된 레코드를 표시하는 제3 단계를 구비하는 전자 문서 표시 방법이다.
제14항에 기재된 기록 매체는 제1 과제에 대응한 것으로, 컴퓨터에 문서 검색을 지시하기 위한 입력 수단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1이상의 레코드로 이루어지는 문서 테이블을 미리 기억시킨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하는 제1 단계와, 이 제1 단계에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1회 이상 검색된 레코드의 검색 상황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제2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판독한 속성 정보에 기초한 표시 형태로 상기 제1 단계에서 검색된 레코드를 표시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지는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계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또한, 기록 매체에는 예를 들면 플렉시블 디스크, 고정 디스크, 자기 테이프, 광 자기 디스크, CD-ROM, DVD, ROM 카트릿지, 배터리 백업 기능을 지닌 RAM 메모리 카트릿지, 플래쉬 메모리 카트릿지, 불휘발성 RAM 카트릿지 등이 포함된다.
또한, 전화 회선 등의 유선 통신 매체, 마이크로파 회선 등의 무선 통신 매체 등의 통신 매체를 포함한다. 인터넷도 여기에서 말하는 통신 매체에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전자 문서 표시 장치를 전자 사서에 적용한 예에 관한 것이다.
(구성)
도 1에 영일 전자 사서의 기능 블럭도를 도시한다. 이 전자 사서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보드(1a), 마우스(1b), 입력부(2), CPU(3), 표시 제어부(4), 표시부(5), 사서 메모리(6), 마크 파일(7), 타이머(8) 및 인터페이스부(9)를 구비하고 있다.
키 보드(1a) 및 마우스(1b)는 본 발명의 입력 수단으로서, 사용자가 검색하고 싶은 레코드를 지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입력부(2)는 키 보드(1a) 등의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접수하여 CPU(3)에 전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CPU(3)는 디스크 CD등으로부터 공급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처리 수단으로서 기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입력 수단에 의한 키 보드 등으로부터 지정된 문자 등의 레코드를 검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표시 제어부(4)는 본 발명의 표시 수단으로서, CPU(3)의 지시에 기초한 표시 형태로 레코드인 문자 등을 표시하는 신호를 생성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5)는 표시 제어부(4)의 제어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따라, 검색된 문자 등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5)는 CRT, 컬러 표시가 가능한 액정 표시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서 메모리(6)는 본 발명의 제1 기억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문서 테이블인 검색용 영일 사서 데이타 베이스(이하, 단순히 「사서」라고 칭함)가 미리 기억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서 메모리(6)는 일영 사서, 일어 사서, 한일(漢和) 사서, 백과 사전 등의 데이타 베이스를 저장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크 파일(7)은 본 발명의 제2 기억 수단으로서, 기억 영역인 복수 마크 파일(7-1, …, 7-n)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마크 파일(7-1, …, 7-n)은 검색된 문자를 표시하는 색의 정보 등의 속성 정보를 각각 기억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들 마크 파일(7)은 독립되어 있어, 예를 들면 각각 한사람 한사람의 사용자, 또는 하나 하나의 사용 조건에 대응하여 기록 또는 판독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타이머(8)는 카렌더 정보 및 시각 정보를 CPU(3)에 출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사서 메모리(6)와 마크 파일(7)은 상호 다른 기억 수단(고정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 상에 설치해도, 동일한 기억 수단 상에 영역을 구분하여 설치해도 좋다.
도 4에 마크 파일(7)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이 도면의 좌측 부분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마크 파일(7)은 색 정의 테이블(7C)과 단어 정의 테이블(7W)을 갖는다. 또한, 이 도면의 우측 부분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색 정의 테이블(7C)은 검색의 누계에 대응하는 마크 수 필드(7C-1)와 표시부(5)에 표시되는 문자 정보의 색채 필드(7C-2)를 구비한다. 즉, 하나의 단어에 관한 정보, 즉 레코드마다 마크 수 필드 및 색채 필드가 제시되어 있다.
또, 이하 x-y-z 라는 표기는 테이블 번호-필드 번호-레코드 번호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 도면에 따르면, 마크 수 필드가 10인 레코드(7C-1-1)에 대응하는 색채는 노란 색(7C-2-1)이고, 마크 수 필드가 20인 레코드(7C-1-2)에 대응하는 색채는 적색(7C-2-2)이다. 이 예에서는, 마크 수가 1 내지 10까지의 경우에는 마크를 노란색으로 화면에 표시하고, 11 내지 20까지의 경우는 적색으로 표시한다. 마크 수와 색채와의 대응 관계는 임의이지만, 예를 들면 수험생이 단어를 암기하기 위해 전자 사서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검색 횟수가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때에는, 마크 수가 증가함에 따라, 녹색, 노란 색, 적색과 같이 자극적인 색으로 하는 것은 사용자의 주의를 확실하게 환기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이 도면에 따르면 단어「construct」에 대응하는 마크 수는 1이고, 단어「book」에 대응하는 마크 수는 20이고, 단어 「trouble」에 대응하는 마크 수는 14이고, 단어「despite」에 대응하는 마크 수는 7이다. 마크 수는 검색의 누적 횟수를 의미한다. 이들 단어의 마크 수는, 후술된 도 3의 흐름도에 따라 설정된다.
도 5에 표시부(5)의 표시 화면을 예로 도시한다. 화면의 상부에는 메뉴 바가 표시된다. 그 아래에 사서 내용의 표시 부분이 표시된다. 이 표시 부분의 좌측에 영어 단어, 우측에 대응하는 사서의 내용이 표시된다. 단어「AA」부분이 마크되고, 또한 마크 횟수가 표시되어 있다. 어떤 부분이 어떻게 마크될지는 마크 파일(7)의 내용에 따른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장치는, 전자 사서 프로그램과 마크 파일로 구성된다. 전자 사서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전자 사서 프로그램이다. 전자 사서의 프로그램을 복수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개인마다 마크 파일을 작성한다.
(동작)
다음에, 동작에 대해 도 2 및 도 3의 흐름도 및 도 6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의 전자 사서를 사용하는 사람은 키 보드(1a)로부터 자기의 식별 번호 등을 입력한다. 이에 따라 마크 파일(7-1,…, 7-n)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특히 식별 번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 또는 처음으로 사용하는 사람의 경우에는, 임의의 마크 파일(7)이 선택되거나, 또는 마크 파일(7)이 전혀 선택되지 않거나 한다. 또는, 초보자용의 마크 파일이나 초기 상태의 마크 파일이 새롭게 생성되기도 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검색하는 영어 단어를 입력한다(도 2 단계 S1).
검색 대상의 영어 단어를 포함한 화면에 표시되는 사서의 영역을 산출한다 (단계 S2).
사용자는 마우스(1b) 등을 사용하여 메뉴 바의 검색 부분을 클릭하고, 검색해야 할 단어를 키 보드(1a)를 사용하여 입력한다. 도 6의 예에서는, 검색해야 할 단어로서, 「construction」이 입력되어 있다. 영어 단어의 입력을 종료하고 리턴키를 누르면, 도 7과 같이 입력한 영어 단어와 그에 대응하는 일본어가 사서 중에서 검색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이상의 동작은 기본적으로 종래의 전자 사서 장치와 동일하다.
다음에, 사용자가 표시되어 있는 단어를 마크하고 싶다고 생각될 때, 마크하고 싶은 부분을 마우스 커서로 선택한다(단계 S3).
사용자는 메뉴 바의 「마크」의 부분을 클릭한다. 그렇게 하면 도 8과 같이 「마크 추가」와 「마크 삭제」 2개의 메뉴가 나타나므로, 메뉴로부터 「마크 추가」를 선택한다(단계 S4).
대응하는 마크 파일을 검색하고, 선택된 영어 단어가 이미 파일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 이미 존재할 때는 단계(S7)로 진행한다.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단계(S6)로 진행한다.
선택된 단어에 대응하는 레코드를 새롭게 작성한다(단계 S6).
마크 횟수를 증가(1만 증가)한다(단계 S7). 처음에 작성된 단어이면, (마크 횟수)=1로 된다. 이미 작성되어 있던 단어이면, 전회의 마크 횟수 n을 1만큼 증가시킨다. (마크 횟수)=n+1이다.
이상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단어에 마크를 추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 번에 동일한 영어 단어를 검색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 또는 그 영어 단어에 사서가 위치적으로 가까운 영어 단어를 검색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에 마크 라인과 마크 횟수를 표시할 수 있다.
이 처리에 대해 도 3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검색해야 하는 영어 단어를 입력한다(단계 S1).
검색 대상의 영어 단어를 포함한 화면에 표시하는 사서의 영역을 산출한다 (단계 S2).
화면에 표시하는 영어 단어가 마크 파일(7) 중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8). CPU(3)는 마크 파일의 단어 정의 필드(7W)를 검색한다. 단어 정의 테이블(7W)은 도 4와 같이 복수의 단어가 저장되어 있어, 이들을 검색한다. 검색한 결과, 대응하는 단어가 없으면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도 7과 같이 어떠한 마크도 추가되지 않는다. 한편, 대응하는 단어가 있으면, 그 레코드에 대해 정의되어 있는 마크 수 필드(7W-2)로부터 마크 수를 판독한다. 다음에 단계(S9)로 진행한다.
마크 수로부터 마크의 색을 결정한다 (단계 S9). 단계(S8)에서 판독한 마크 수에 기초하여 도 4의 마크 수-색 테이블(7C, 7W)을 검색하고, 표시할 색채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마크 수가 1 내지 10이면 문자를 노란색으로 수식하고, 마크 수가 11 내지 20이면 적색으로 수식한다.
도 9와 같이, 마크를 화면에 표시한다(단계 S10).
단계 S10에서 표시된 마크에 겹쳐서 영어 단어를 표시한다(단계 S11).
이상의 처리에 의해, 백색·흑색 등의 화면의 배경과는 다른 노란색·적색등의 마크가 화면 상에 표현되고, 또한 그 위에 검색된 단어가 표시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마크를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마크를 해제하는 경우의 처리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행한다.
도 8의 풀다운 메뉴의 마크 삭제를 선택함으로써 수동으로 행할 수 있지만, CPU(3)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타이머(8)에 의해 일정 기간(예를 들면 1개월, 1년) 경과 후에 자동 해제된다. 물론, 해제는 마크 파일(7) 각각에 대해 다른 형태 및 타이밍으로 행할 수 있다.
또, 마크를 추가할 때에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어 등을 검색했을 때에 수동으로 마크를 추가하도록 하고 있었다. 다른 방법으로서, 검색을 한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마크가 추가되도록 한 모드도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검색을 개시하기 전에 수동(17) 모드나 자동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동 모드일 때에는 도 2와 같이 처리하고, 자동 모드일 때에는 반드시 마크를 추가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마크를 추가한 단어만을 화면에 표시하는 모드를 추가하도록 해도 좋다. 이 때, 검색 빈도에 따라 내림차순/올림차순 등으로 정렬하여(sort)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풀다운 메뉴에 의해 검색을 실행했지만, 마크를 추가하지 않은 횟수를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 수가 어느 일정치를 넘으면, 그 단어에 추가되어 있는 마크를 자동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단, 이 경우 그대로는 자동 마크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이점)
상술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어에 수반하여 표시되는 마크는 매우 눈에 띄므로, 자신이 마음에 걸리는 단어나 주의하고 싶은 단어에 마크를 추가함에 따라 화면 상에 많은 단어나 정보가 표시된 경우라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한번 마크를 추가한 부분에 그 후 몇 번이라도 마크를 추가할 수 있고, 또한 그 횟수가 화면에 표시되므로, 자신에게 그 단어 또는 정보가 얼마만큼 중요한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마크된 횟수에 의해 자동적으로 화면에 표시되는 마크의 색이 변화하므로, 그 단어 또는 정보의 중요도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마크 파일을 개인별로 작성함으로써 전자 사서 프로그램을 복수 사용자가 플랫폼으로 사용하는 경우라도, 각자에게 있던 마크를 사서에 추가할 수 있다.
(변형예)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상관없이 여러가지로 변형하고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의 CPU(3)는 타이머(8)로부터 카렌더 정보 및 시각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전회를 검색할 때에 그 년 월 일 시 분을 마크 파일(7)에 모두 기록함과 함께 동일한 단어를 재차 검색했을 때에는 기록된 전회 검색 시각을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의 마크 파일의 단어 정의 테이블(7W)의 구조는 도 10과 같게 된다. 즉, 단어 필드(7W-1)와 마크 수 필드(7W-2)에 덧붙여 전회 검색 일시 필드(7W-3)가 추가되어 있고, 단어마다 전회 검색의 일시가 기억된다. 또, 전회 검색 일시 필드97W-3)를 복수개 설치함으로써 전회에 추가하여 전 전회 이전의 일시도 함께 기억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CPU(3)는 동일한 단어가 빈번하게 검색될 때에, 그 검색 빈도를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그 때의 흐름도를 도 11에 도시한다. 이 도면의 단계는 도 3 단계(S9)를 대신하여 이용되는 것이다. 처리는, 도 3의 단계(S8) 다음에 도 11의 단계 S12로 진행한다. 검색될 때마다 마크 파일(7)에는 그 시각을 기억시킴과 함께, 최초로 검색된 시각도 보존되어 있다. 단계(S12)에서, 최초의 시각과 최후의 시각으로부터 경과 시간을 구해, 검색 횟수로 나눔에 따라 검색 빈도를 구한다. 즉, (검색 빈도)=(검색 횟수)/{(최후의 시각)-(최초의 시각)}이다. 예를 들면, 몇 회/일, 몇 회/주, 몇 회/달의 단위로 표시한다. 단계(S13)에서, 검색 빈도에 기초하여 마크의 색을 결정한다. 색 정의 필드의 내용에 따라 색을 결정하는 것은 상술된 경우와 동일하다. 이 때의 색 정의(7C) 내용의 예를 도 12에 도시한다. 이와 같이 빈도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자기 자신이 어떠한 단어에 약한지를 분명히 인식할 수 있다. 또, 상술된 횟수 대신에, 이 빈도에 따라 마크의 색을 바꾸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설명에서 문자를 노란 색·적색 등의 마크 상에 표현했었지만 이러한 표현 방법에만 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문자의 폰트 그 자체의 색을 바꾸도록 해도 좋고, 문자의 서체(명조, 고딕 등)를 바꾸도록 해도 좋다. 또한, 문자의 휘도를 바꿔도 좋고, 블링크시키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마크 수 또는 빈도가 클 때에는 휘도를 증가하거나, 블링크의 간격을 짧게 하거나 한다. 반대로 작을 때는 휘도를 감소시키거나, 블링크의 간격을 길게 하여 장 시간 표시되도록 한다.
또, 마크 파일(7)을 복수개 구비하여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기능을 추가해도 좋다.
마크 파일(7)을 갖는 각자가, 색채, 글씨체 등의 수식 형태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도 4의 마크 수(7C-1)로 지정하는 색의 임계치를 마크 파일마다 바꾸거나, 필드(7C-2)에서 지정하는 색을 마크 파일(7)마다 바꾸거나 한다. 또한, 색 정의 필드(7C), 단어 정의 필드(7W)에 덧붙여 수식 형태를 지정하는 별도의 필드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각 사용자마다 조작 템플릿을 마크 파일(7)에 갖도록 한다. 예를 들면, 마크 파일(7) 각각에 사용하는 사서의 종류가 미리 기록되어 있을 때, 전자 사서에 사용자의 코드를 입력하면, 어떤 사람에 대해서는 자동적으로 영일 사서가 뜨고, 다른 사람에 대해서는 일어 사서가 뜨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검색 대상이 되는 필드는 단어에 한하지 않고 다른 필드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단어 외에 의미나 번역문 등의 필드를 설치하고, 그 필드로부터 검색을 하고, 검색 결과의 마크를 단어에 수반하여 표시해도 좋다.
또한, 마크 수 필드를 검색 대상으로 하여, 반대의 검색을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키 보드 등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검색 횟수를 사용자에게 지정하고, 이 검색 횟수 이상 검색되어 있는 단어(레코드)를, 단어수 정의 테이블(7W)의 마크 수 필드(7W-2)로부터 추출하여, 추출된 레코드에 대응하는 단어 필드(7W-1)로부터 단어를 판독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빈번하게 검색하는 단어를 추출하여 일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 빈도가 많은 중요 단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된 문서를 그 검색 횟수에 따른 속성에 따라 표현할 수 있는 전자 사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장치를 복수의 사용자가 공용할 수 있는 전자 사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마다 사용하는 문서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전자 사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회 검색한 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전자 사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래된 속성 정보의 축적을 방지시키는 전자 사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검색 횟수를 알 수 있는 전자 사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속성 정보를 시각을 통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전자 사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문서의 속성 정보의 간과를 방지할 수 있는 전자 사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전자 문서 표시 장치에 있어서,
    문서의 검색을 지시하기 위한 입력 수단과, 1이상의 레코드로 이루어지는 문서 테이블을 미리 기억시킨 제1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1회 이상 검색된 레코드의 검색 상황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기억하는 제2 기억 수단과, 검색된 레코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출력 신호가 지시하는 레코드를 검색하고, 검색된 레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기억 수단의 속성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속성 정보에 기초한 표시 형태로 상기 레코드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전자 문서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레코드를 검색할 때,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이 레코드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를 새로운 검색에 기초하여 갱신하는 전자 문서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레코드를 검색할 때, 상기 레코드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가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레코드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를 새롭게 생성하는 전자 문서 표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은 복수의 사용자마다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기억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기억 영역은 각각 상기 속성 정보를 기억하는 전자 문서 표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은 복수 종류의 상기 문서 테이블을 기억하고, 상기 제2기억 수단의 복수의 기억 영역은 각각 상기 복수 종류의 문서 테이블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의 지정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지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억 수단의 대응하는 문서 테이블을 검색하는 전자 문서 표시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간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했을 때의 상기 시간 신호를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시킴과 함께, 상기 시간 신호에 기초하여 검색 시기를 표시하는 전자 문서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타이머의 시간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속성 정보를 소거하는 전자 문서 표시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색되었지만 상기 속성 정보를 갱신하지 않은 횟수가 소정수를 넘을 때에 상기 속성 정보를 소거하는 전자 문서 표시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동일한 레코드에 대한 검색 횟수를 상기 제2 기억 수단의 속성 정보로서 기록하는 전자 문서 표시 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동일한 레코드에 대한 검색 빈도를 상기 제2 기억 수단의 속성 정보로서 기록하는 전자 문서 표시 장치.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하는 레코드의 색을 바꾸는 전자 문서 표시 장치.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제2 기억 수단에 기억된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하는 레코드를 점멸시켜 표시하는 전자 문서 표시 장치.
  13. 전자 문서 표시 방법에 있어서,
    문서의 검색을 지시하기 위한 입력 수단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1이상의 레코드로 이루어지는 문서 테이블을 미리 기억시킨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1회 이상 검색된 레코드의 검색 상황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제2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판독한 속성 정보에 기초한 표시 형태로 상기 제1 단계에서 검색된 레코드를 표시하는 제3 단계를 구비하는 전자 문서 표시 방법.
  14. 기계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컴퓨터에 문서의 검색을 지시하기 위한 입력 수단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1이상의 레코드로 이루어지는 문서 테이블을 미리 기억시킨 제1 기억 수단을 검색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제1 기억 수단으로부터 1회 이상 검색된 레코드의 검색 상황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제2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판독한 속성 정보에 기초한 표시 형태로 상기 제1 단계에서 검색된 레코드를 표시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지는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계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9980700474A 1996-05-22 1997-05-22 전자 문서 표시 장치, 그 방법 및 기록 매체 KR199900358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27107 1996-05-22
JP12710796 1996-05-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815A true KR19990035815A (ko) 1999-05-25

Family

ID=1495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474A KR19990035815A (ko) 1996-05-22 1997-05-22 전자 문서 표시 장치, 그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27155B1 (ko)
EP (1) EP0844575A1 (ko)
KR (1) KR19990035815A (ko)
CN (1) CN100530172C (ko)
TW (1) TW422952B (ko)
WO (1) WO19970447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6316A (ja) * 2000-02-02 2001-08-10 Nec Corp 電子マニュアル検索システム、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2328948A (ja) * 2001-04-27 2002-11-15 Seiko Instruments Inc 電子辞書
US7069506B2 (en) * 2001-08-08 2006-06-27 Xerox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enhanced thumbnails
US6993726B2 (en) * 2001-08-08 2006-01-31 Xerox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document navigation using enhanced thumbnails
US6883138B2 (en) * 2001-08-08 2005-04-19 Xerox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enhanced thumbnails usable for document navigation
US7337396B2 (en) 2001-08-08 2008-02-26 Xerox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itioning between thumbnails and documents based upon thumbnail appearance
DE10200704A1 (de) * 2001-08-24 2003-03-20 Jong Won Park Elektronisches Wörterbuchsystem mit Baumstruktur und dessen Ausgabe
US8151214B2 (en) 2003-12-29 2012-04-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lor coding list items
US7421664B2 (en) 2003-12-29 2008-09-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ategory separator in a list of documents
US7908566B2 (en) 2003-12-29 2011-03-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crolling among categories in a list of documents
US8171426B2 (en) 2003-12-29 2012-05-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secondary selection highlighting
JP4581591B2 (ja) * 2004-09-21 2010-11-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482489B2 (ja) * 2005-05-23 2010-06-16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US8065135B2 (en) * 2006-04-06 2011-11-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mploying contextual data for disambiguation of text input
US7477165B2 (en) 2006-04-06 2009-01-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learning contextual data during disambiguation of text input
KR100923936B1 (ko) * 2008-03-14 2009-10-29 엔에이치엔(주) 일본어 사전 서비스에 있어서 2개 단어 이상의 쿼리, 한글쿼리 또는 일반적인 쿼리의 입력 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JP2011070403A (ja) * 2009-09-25 2011-04-07 Sharp Corp コンテンツ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338645B2 (ja) * 2009-12-11 2013-11-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US9870554B1 (en) 2012-10-23 2018-01-16 Google Inc. Managing documents based on a user's calendar
US8819587B1 (en) 2012-10-30 2014-08-26 Google Inc. Methods of managing items in a shared workspace
US10140198B1 (en) 2012-10-30 2018-11-27 Google Llc Networked desktop environment
US9842113B1 (en) 2013-08-27 2017-12-12 Google Inc. Context-based file selection
US9973462B1 (en) 2013-10-21 2018-05-15 Google Llc Methods for generating message notif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4155A (en) 1981-03-03 1982-09-06 Yasui Sangyo Kk Vehicle front and rear washing method in side brush type car washer
JPS6339785Y2 (ko) * 1981-03-06 1988-10-19
JPS5864567A (ja) 1981-10-12 1983-04-16 Sharp Corp 電子辞書
JP2761587B2 (ja) * 1985-12-13 1998-06-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管理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
JPS62221028A (ja) * 1986-03-22 1987-09-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情報検索用表示装置
JPH01265324A (ja) 1988-04-15 1989-10-23 Toshiba Corp 電子辞書システム
JPH03237561A (ja) * 1990-02-14 1991-10-23 Sanyo Electric Co Ltd 電子辞書
JPH04127372A (ja) * 1990-09-19 1992-04-28 Canon Inc 辞書検索装置
JPH0612458A (ja) * 1992-06-25 1994-01-21 Ricoh Co Ltd 電子ファイリング装置の条件入力項目表示方法
JPH0696135A (ja) * 1992-09-10 1994-04-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辞書検索装置
JPH06251082A (ja) * 1993-02-26 1994-09-09 Toshiba Corp ハイパーメディアシステム
US5551024A (en) * 1994-10-13 1996-08-2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identifying data records in a database using a data structure with linked parameters in a search range
US5701473A (en) * 1995-03-17 1997-12-23 Unisys Corporation System for optimally storing a data file for enhanced query processing
US5615337A (en) * 1995-04-06 1997-03-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processing diverse result sets returned by a stored procedures
US5832480A (en) * 1996-07-12 1998-1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ing canonical forms to develop a dictionary of names in a tex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4575A1 (en) 1998-05-27
TW422952B (en) 2001-02-21
CN100530172C (zh) 2009-08-19
US6427155B1 (en) 2002-07-30
WO1997044748A1 (fr) 1997-11-27
CN1194703A (zh) 1998-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5815A (ko) 전자 문서 표시 장치, 그 방법 및 기록 매체
JP3113814B2 (ja) 情報検索方法及び情報検索装置
US7085778B2 (en) Multimedia search system
US5893914A (en) Interactive computerized document assembly system and method
US75557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video search results
US8332753B2 (en) Information displaying apparatus with word searching function and recording medium
JPH0756505A (ja) 電子地図表示装置
JPS6283787A (ja) 表示画面の出力制御方式
JP4719921B2 (ja) データ表示装置および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
Markey Integrating the machine-readable LCSH into online catalogs
JPH0934911A (ja) 情報検索装置
JPH0981585A (ja) 電子ファイリング装置
Bills et al. User Interfaces for CD‐ROM PACs
JPH0415872A (ja) 情報蓄積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H09212513A (ja) 書籍情報表示装置
JP3225735B2 (ja) 情報検索装置
JPH09297795A (ja) 関連除籍一括検索システム
JPH09293078A (ja) 情報検索方法、情報検索装置及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を格納する記憶媒体
JP2023038246A (ja) 学習支援システム、学習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0146555B1 (ko) 멀티미디어 전자 백과사전 시스템
JPH0293767A (ja) 分類インデックス作成装置
JPS59149524A (ja) 学習装置
JPH0528197A (ja) データベース処理装置
JPS6379178A (ja) 文書イメ−ジ電子フアイル装置
Flores Data base systems for large and small compu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