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625A - 카트용 브레이크기구 - Google Patents

카트용 브레이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625A
KR19990029625A KR1019980036942A KR19980036942A KR19990029625A KR 19990029625 A KR19990029625 A KR 19990029625A KR 1019980036942 A KR1019980036942 A KR 1019980036942A KR 19980036942 A KR19980036942 A KR 19980036942A KR 19990029625 A KR19990029625 A KR 19990029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escalator
wheels
shaf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4228B1 (ko
Inventor
야스히코 에구치
도루 가케히
헤이지 후쿠타케
Original Assignee
아다치 마사루
가부시키가이샤 에쿠세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다치 마사루, 가부시키가이샤 에쿠세디 filed Critical 아다치 마사루
Publication of KR19990029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2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automatic
    • B62B5/042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automatic braking when supported on a transport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62B5/021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specially adapted for esca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auto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57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by locking in a braking position
    • B62B5/0461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by locking in a braking position with positive 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확실하게 브레이크가 걸린 상태로 되는 카트의 브레이크를 제공하여 에스컬레이터 상의 카트의 낙하를 억제한다.
카트(1)는 에스컬레이터에 진입한 후 에스컬레이터와 함께 승강하는 카트로서, 카트본체(2)와, 전후륜(前後輪)(4,5)과, 수동브레이크기구와, 자동브레이크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전후륜(4,5)은 카트본체(2)에 장착된다. 수동브레이크기구는 조작자의 조작에 의하여 후륜을 제어한다. 자동브레이크기구는 에스컬레이터 상에 후륜(5)이 접지(接地)되어 있을 때에 자동적으로 후륜의 회전을 규제한다.

Description

카트용 브레이크기구
본 발명은 카트, 특히 공항에서 사용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안전하게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된 카트에 관한 것이다.
공항에서는 큰 트렁크나 백 등의 짐을 이동시키기 위한 보조도구로서 핸드카트 또는 푸쉬카트가 준비되어 있다. 항공기의 승객은 이 카트에 짐을 실어 공항내를 이동한다. 공항내에는 수 많은 에스컬레이터가 있으므로 카트의 이용자가 카트와 함께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으면 편리하다.
그러나, 에스컬레이터는 중간부분부터 기울어져 각 스텝간에 단차가 생기므로 에스컬레이터에 실린 카트의 위치에 의하여 경사질 때에 카트가 낙하할 우려가 있다. 에스컬레이터의 구조상 카트의 낙하는 피할 수 없다고 할 수 있다.
이 카트의 낙하를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카트가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경사졌을 때에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상에 접지될 수 있는 낙하방지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스텝의 후단(後端)에 카트의 차륜이 실리고 경사질 때에 카트가 낙하하는 경우에도, 스텝에 낙하방지부재가 접지되어 그 이상의 카트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낙하방지부재를 구비한 카트가 일본국 실개평(實開平) 6-60576호(1994) 공보에 개시(開示)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카트에 낙하방지부재가 형성되어 연속된 낙하가 억제되어도, 더욱 낙하를 억제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카트가 에스컬레이터 상에 있을 때에 브레이크가 걸려 있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국 실개평 6-6057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카트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공항의 카트의 브레이크는 손으로 미는 핸들의 상하이동에 연동하여 제어된다. 손으로 미는 핸들을 상하 중간위치로 복귀시키거나, 또는 핸들을 놓거나 하면 브레이크가 온(걸린 상태)으로 되고, 핸들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브레이크가 오프로 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에스컬레이터에 진입하기까지는 오프였던 브레이크를 에스컬레이터에 진입한 후에 핸들의 위치를 중간위치로 복귀시키거나 또는 손으로 미는 핸들을 놓음으로써 온으로 해야 한다.
그러나 에스컬레이터의 구조상 카트의 스텝 1단분의 낙하는 피할 수 없다. 그리고 카트가 낙하할 때에는 무의식적으로 핸들을 잡게 되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하여, 핸들이 중간위치로부터 상하 어느 쪽으로 이동하여 브레이크가 해제될 우려가 있다. 특히 에스컬레이터 상에서는 카트가 경사상태에 놓이게 되므로 핸들을 잡은 채 핸들을 중간위치로 유지하여 계속해서 브레이크를 걸고 있기가 곤란하다.
또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카트가 경사상태로 되면 상행의 에스컬레이터에서는 핸들이 조작자에게 가까워지고, 하행의 에스컬레이터에서는 핸들이 조작자로부터 멀어진다. 이와 같은 때에는 조작자가 부득이하게 스텝이동을 하게 되고, 핸들을 계속 잡고 있으면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버릴 가능성이 크다.
본 발명의 과제는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확실하게 브레이크가 걸린 상태로 되는 카트의 브레이크를 제공하여, 에스컬레이터 상의 카트의 낙하를 억제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카트의 측면도.
도 2는 카트본체 및 핸들의 측면도.
도 3은 카트본체 및 핸들의 상면도.
도 4는 카트본체 및 핸들의 정면도.
도 5는 전륜(前輪) 및 전륜낙하완화장치의 상면도.
도 6은 도 5의 선 VI-VI에 따른 도면.
도 7은 도 5의 선 VII-VII에 따른 도면.
도 8은 후륜 및 후륜낙하완화장치의 상면도.
도 9는 전륜 및 전륜낙하완화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자동브레이크기구의 상태도.
도 11은 도 10의 선 XI-XI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자동브레이크기구의 상태도.
도 13은 도 12의 선 XIII-XIII에 따른 단면도.
도 14∼도 21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 결합된 카트의 다양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카트, 2:카트본체, 3:핸들, 4:전륜, 5:후륜, 6:전륜낙하완화장치, 8:후륜낙하완화장치, 21:메인프레임, 21e:제4 경사부, 31:제1 핸들부, 32:제2 핸들부, 55:검지(檢知)플레이트, 56:록킹기어(locking gear)(규제부재), 64:제1 오일댐퍼, 68:제1 암, 71:제2 암, 73:제1 결합부재, 75:제2 결합부재, 81:제2 오일댐퍼, 82:제3 외측암(제3 암), 84:제3 내측암(제3암), 87:제3 결합부재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카트는 상향 및 하향 에스컬레이터 양자의 이동용으로 형성되고, 카트본체와 상기 카트본체에 장착되는 복수의 차륜을 포함한다. 수동브레이크기구는 조작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차륜 중 최소한 1개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형성된다. 자동브레이크기구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면에 상기 차륜이 접지되어 있을 때에 자동적으로 상기 복수의 차륜 중 최소한 1개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동브레이크기구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차륜 중의 1개와 결합되는 록킹기어가 형성된 검지(檢知)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검지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차륜 중의 1개에 근접하여 상기 카트본체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검지플레이트는 상기 카트가 통상의 바닥면 상에 있을 때에는 바닥면 상에 접지되고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면 상에 있을 때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면의 홈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검지플레이트가 상기 스텝면의 홈에 결함됨에 따라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록킹기어에 형성된 인터록킹기어의 톱니와 결합하여 상기 차륜의 회전을 제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차륜 중의 1개는 축에 지지되고, 상기 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축이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앙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의 구멍은 상기 축의 직경보다 크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트본체는 거기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복수의 차륜 중의 1개에 근접하여 개구부(開口部)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연장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결합하여 상기 검지플레이트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자동브레이크기구는 상기 복수의 차륜 중의 1개와 결합되는 록킹기어와 제1 및 제2 돌출부가 형성된 검지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검지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차륜 중의 1개에 근접하여 상기 카트본체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카트본체는 거기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카트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면 상에 있을 때 상기 검지플레이트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면의 홈에 결합됨에 따라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록킹기어에 형성된 인터록킹기어의 톱니와 결합가능하고 제2 돌출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지지플레이트간의 결합이 상기 검지플레이트의 회전을 방지하여 상기 복수의 차륜 중의 1개의 회전이 제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차륜 중의 1개는 축에 지지되고, 상기 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축이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앙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의 구멍은 상기 축의 직경보다 크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라서, 에스컬레이터에 진입한 후 에스컬레이터와 함께 승강하는 카트로서, 카트본체, 차륜, 종래기술의 수동브레이크기구뿐 아니라, 추가적으로 자동브레이크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차륜은 카트본체에 장착된다. 수동브레이크기구는 조작자의 조작에 의하여 복수의 차륜 중 최소한 1개를 제어한다. 자동브레이크기구는 에스컬레이터 상에 차륜이 접지되어 있을 때에 자동적으로 복수의 차륜 중 최소한 1개를 제어한다.
여기에서는, 종래의 카트가 채용하고 있는 수동브레이크기구 이외에,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면 상에 있을 때에 자동적으로 복수의 차륜 중 최소한 1개를 제어하는 자동브레이크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카트가 에스컬레이터에 진입하면 조작자의 조작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브레이크가 걸린다. 이로 인하여, 카트의 낙하나 조작자에 대한 카트의 상대적인 이동 등이 조작자에게 주는 공포나 불안 등의 심리적인 원인에 의하여 수동브레이크기구의 조작에러가 생긴 경우에도, 자동브레이크기구에 의하여 브레이크가 자동적으로 걸린 상태로 되므로 카트의 낙하가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검지플레이트는 카트본체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통상의 바닥면 상에 있을 때에는 바닥면 상에 접지되고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면 상에 있을 때에는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면의 홈에 빠진다. 결합부는 검지플레이트에 연동한다. 규제부재는 검지플레이트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면의 홈에 빠질 때에 결합부와 결합하여 상기 차륜의 회전을 규제한다.
여기에서는,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면의 홈에 빠질 수 있는 검지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에스컬레이터 상에 있는 것을 검지하고, 검지플레이트가 홈에 빠지는 움직임에 의하여 차륜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의 공항용 카트를 도 1에 나타낸다. 카트(1)는 공항에서 트렁크 등의 짐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용하는 것이다. 이 카트(1)는 주로 카트본체(2)와, 핸들(3)과, 전륜(4)과, 2개의 후륜(5)과, 전륜낙하완화장치(6)와, 각 후륜(5)에 장착되는 후륜낙하완화장치(8)와, 자동브레이크기구와, 수동브레이크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의 방향 D1은, 카트(1)의 진행방향을 표시하고 있다. 이후 설명 중에 표기하는 「전후방향」, 「좌우방향」은 이 진행방향 D1을 기준으로 정의되는 것으로 한다. 전륜(4)과 후륜(5)과의 전후방향의 거리(휠베이스)는, 에스컬레이터의 스텝간의 거리의 2배에 맞추어 800mm로 하고 있다. 좌우의 후륜(5) 사이의 거리는 600mm, 핸들(3)을 포함한 전체 길이는 1300mm이다. 그리고 이 카트(1)는 25°·R5000사양의 에스컬레이터에 대응한 것이다.
그러나 다른 치수와 치수관계도 본 발명을 적용함에 있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치수는 본 발명의 단지 일 실시예이다.
카트본체(2)는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로 메인프레임(21)과, 캐리어후부프레임(22)과, 캐리어하부프레임(23)과, 캐리어전부프레임(24)으로 구성된다.
메인프레임(21)은 제1 및 제2 수평부(21a,21g)와, 제1∼제5 경사부(21b∼21f)와, 수직부(21h)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수평부(21a)는 카트(1)의 전단(前端)에서 좌우방향으로 신장하는 부분이다. 제1∼제5 경사부(21b∼21f)는 제1 수평부(21a)의 좌우 양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좌우로 확장되도록 신장하고 있는 부분이다. 제1 경사부(21b)는 제1 수평부(21a)의 좌우 양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져 후방으로 신장하고 있다. 제2 경사부(21c)는 제1 경사부(21b)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약간 경사져 후방으로 신장하고 있다. 제3 경사부(21d)는 제2 경사부(21c)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져 후방으로 신장하고 있다. 제4 경사부(21e)는 제3 경사부(21d)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져 후방으로 신장하고 있다. 제5 경사부(21f)는 제4 경사부(21e)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져 후방으로 신장하고 있다. 제2 수평부(21g)는 제5 경사부(21f)의 후단으로부터 전후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신장하고 있다. 수직부(21h)는 제2 수평부(21g)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신장하고 있다.
캐리어후부프레임(22)은 측주부(側柱部)(22a)와, 제1 및 제2 지지부(22b,22c)로 형성되어 있다. 측주부(22a)는 하단이 메인프레임(21)에 고정되고, 좌우 양측의 제5 경사부(21f)의 전방부분 근처로부터 상방 및 후방을 향하여 신장하고 있다. 이 측주부(22a)와 수직부(21h)를 이용하여 광고 등을 표시하는 측부표시판(11)이 장착되어 있다(도 1 참조). 제1 지지부(22b)는 양 측주부(22a)의 상단(上端)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제2 지지부(22c)는 양 측주부(22a)의 중앙부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캐리어하부프레임(23)은 바닥지지부(23a)와, 후부지지부(23b)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지지부(23a)는 전후방향으로 신장하는 원형의 봉과 좌우방향으로 신장하는 원형의 봉으로 구성되어 있고, 좌우 양 제3 경사부(21d) 및 양 제4 경사부(21e)에 고정되어 있다. 후부지지부(23b)는 바닥지지부(23a)의 후단으로부터 상방 및 후방으로 신장하고 있다.
캐리어전부(前部)프레임(24)은 전부지지부(24a)와, 고정부(24b)로 형성된다. 고정부(24b)는 좌우 양 제4 경사부(21e)에 고정되어 있다. 전부지지부(24a)는 U자 형상이고, 고정부(24b)에 스프링을 가지는 힌지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 전부지지부(24a)는 고정부(24b)에 대하여 도 2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또 전부지지부(24a)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광고 등을 표시하기 위한 전부표시판(10)이 장착된다.
핸들(3)은 메인프레임(21)에 고정되는 연결부(33)와, 제1 및 제2 핸들부(31,32)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33)는 좌우 양 수직부(21h)의 상단에 고정된다. 제1 핸들부(31)는 좌우의 양 연결부(33)를 연결하고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신장하고 있다. 제2 핸들부(32)는 연결부(33)로부터 후방으로 신장하고 있고,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팽창하는 타원형상이다. 즉 이 제2 핸들부(32)의 상측부분(32a)은 후방으로 및 상방으로 신장하고 있다. 그리고 도 1에서 바닥면으로부터 핸들(3)의 최상부까지의 높이는 950mm, 양 제2 핸들부의 후단 사이의 거리는 700mm이다.
전륜(4)은 2륜의 캐스터이고,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4a)와 2개의 타이어(4b)로 구성되어 있다. 전륜(4)은 후술하는 지지플레이트(61)에 장착되고, 카트본체(2)에 대하여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전륜낙하완화장치(6)는 도 5∼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로 지지플레이트(61)와, 2개의 제1 오일댐퍼(64)와, 제1 축(65)과, 제1 및 제2 암(68,71)과, 제1 및 제2 결합부재(73,75)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플레이트(61)는 양단이 메인프레임(21)의 제2 경사부(21c)에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플레이트(61)의 중앙 하부에는 전륜(4)이 배치되어 있고, 전륜(4)의 고정부(4a)가 볼트(62)에 의하여 지지플레이트(61)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플레이트(61)의 중앙부근의 전단부(前端部)로부터 상방으로 신장하도록, 중심축 O-O에 대칭으로 2개의 연결플레이트(63)가 지지플레이트(61)에 장착되어 있다. 이들 연결플레이트(63)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오일댐퍼(64)는 좌우대칭으로 2개 구비되어 있고, 주로 실린더(64a)와, 실린더측접합부(64b)와, 피스톤(64c)과, 피스톤측접합부(64d)로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측접합부(64b)는 실린더(64a)의 진행방향 D1측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연결플레이트(63)와 핀접합하고 있다. 피스톤측접합부(64d)는 피스톤(64c)의 진행방향 D1측과 반대측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후술하는 연결플레이트(65a)와 핀접합하고 있다.
제1 축(65)은 양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부재(66)에 지지되어 있다. 축지지부재(66)는 지지플레이트(61)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축(65)의 중앙 부근으로부터 상방으로 신장하도록, 중심축 O-O에 대칭으로 2개의 연결플레이트(65a)가 제1 축(65)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연결플레이트(65a)의 상부부분으로서 제1 축(65)의 축 중심이 어긋난 위치에는, 제1 오일댐퍼(64)의 피스톤측접합부(64d)와 핀접합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축(65)의 축지지부재(66)보다 외측의 부분에는, 제1 기어(67) 및 제1 암(68)이 고정되어 있다.
제1 암(68)은 일단이 제1 축(65)의 단부에 고정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륜(4)의 후측에 신장하고 있다. 제3 축(72)은 좌우 양 제1 암(68)의 타단을 연결하고 있고, 제1 암(6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3 축(72)의 좌우 양단 부근에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1 결합부재(73)가 장착되어 있다.
제1 결합부재(73)는 그 외경이 제3 축(72)의 외경보다 크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결합부재(73)의 하단은 바닥면 상에 전륜(4)이 접지되어 있을 때에는 전륜(4)의 하단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있다.
제2 암(71)은 일단이 제2 축(69)에 고정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륜(4)의 전측(前側)으로 신장하고 있다. 제2 축(69)은 축지지부재(66)에 지지되어 있다. 제2 축(69)에 고정되어 있는 제2 기어(7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기어(67)와 맞물린 상태에 있다. 따라서 제1 암(68)이 제1 축(65)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를 그리고 이동하면, 제1 축(65)이 회전하고, 제1 및 제2 기어(67,70)에 의하여 회전이 전달되고, 제2 축(69)이 회전하여 제2 암(71)이 제2 축(69)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를 그리고 이동한다. 이와 같이 이동한 후의 일 예를, 도 6에서 점선으로 나타낸다. 또 반대로 제2 암(71)이 제2 축(69)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를 그리고 이동하면 제2 축(69)이 회전하고, 제2 및 제1 기어(70,67)에 의하여 회전이 전달되고, 제1축(65)이 회전하여, 제1 암(68)이 제1 축(65)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를 그리고 이동한다. 제4 축(74)은 좌우 양 제2 암(71)의 타단을 연결하고 있고, 제2 암(7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4 축(74)의 양단 부근에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2 결합부재(75)가 장착되어 있다.
제2 결합부재(75)는 그 외경이 제4 축(74)의 외경보다 크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결합부재(75)의 하단은 바닥면 상에 전륜(4)이 접지되어 있을 때에는 전륜(4)의 하단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암(68,71)이 도 6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부터 점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선회하면, 제1 축(65)이 회전하고, 연결플레이트(65a)와 피스톤측접합부(64d)와의 접합포인트가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제1 오일댐퍼(64)가 상하방향으로 경사지는 동시에, 피스톤(64c)과 실린더(64a)가 상대 적으로 이동한다. 이 때, 피스톤(64c)과 실린더(64a)는 저항을 받으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므로 제1 축(65)의 회전정도, 나아가서는 제1 및 제2 암(68,71)의 이동속도가 감쇠된다.
도 8∼도 13을 참조하면, 2개의 후륜(5)은 좌우 양측에 1개씩 형성되어 있다. 이 후륜(5)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로 고정부(51)와, 케이싱(52)과, 제5 축(53)과, 타이어(54)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51)는 메인프레임(21)의 제2 수평부(21g)의 하면에 고정된다. 케이싱(52)은 주로 수평판(52a)과, 제1 측판(側板)(52b)과, 제2 측판(52c)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판(52a)은 고정부(51)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측판(52b)은 수평판(52a)의 외측(도 8의 하측) 단부로부터 하방 및 후방으로 신장하고 있고, 제2 측판(52c)은 수평판(52a)의 내측(도 8의 상측) 단부로부터 하방 및 후방으로 신장하고 있다. 제1 측판(52b)에는 도 10 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방형의 직사각형의 구멍(52d)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측판(52b,52c)의 하단부에는 원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5 축(5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5 축(53)의 양 측판(52b,52c)간에는 타이어(54)가 고정되어 있다. 타이어(54)는 도 11 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휠부(54a)와, 타이어부(54b)로 구성되어 있다. 휠부(54a)는 중앙부가 제5 축(53)에 고정되는 원판(圓板)의 외주단으로부터 제1 측판(52b)측으로 원통부분이 신장하고 있는 구조이다. 이 휠부(54a)의 원통부분의 내주측의 공간에는, 후술하는 록킹기어(56)나 환형의 검지플레이트(55)의 내측돌출부(55b)가 배치된다. 타이어부(54b)는 고무로 구성되어 있고 휠부(54a)의 원통부분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후륜낙하완화장치(8)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로 제2 오일댐퍼(81)와, 제3 외측암(82) 및 제3 내측암(84)과, 제3 결합부재(8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륜커버(9)가 제2 오일댐퍼(81)의 외측을 덮도록 형성되고, 메인프레임(21)에 고정된다.
제2 오일댐퍼(81)는 주로 실린더(81a)와, 실린더측접합부(81b)와, 피스톤(81c)과, 피스톤측접합부(81d)로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측접합부(81b)는 실린더(81a)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고, 제1 측판(52b)보다 외측에서 제5 축(5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측접합부(81d)는 피스톤(81c)의 일단에 장착되어 있고, 제3 외측암(82)의 상단부와 핀접합하고 있다.
제3 외측암(82)은 일단이 피스톤측접합부(64d)와 핀접합되고, 그곳으로부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륜의 후측으로 신장하고 있다. 제3 외측암(82)의 타단은 제6 축(86)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제2 외측암(82)은 양단의 사이(피스톤측접합부(81d)와의 접합부분 근처의 위치)에서 핀(83)에 의하여 제1 측판(52b)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외측암(82)은 핀(8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다.
제3 내측암(84)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83)과 높이위치 및 전후위치가 동일한 위치에서 핀(85)에 의하여 제2 측판(52c)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3 내측암(84)의 타단은 제6 축(86)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제6 축(86)은 제3 외측암(82)의 단부와 제3 내측암(84)의 단부를 연결하는 것이고,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신장하고 있다. 제6 축(86)의 중앙부에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3 결합부재(87)가 장착되어 있다.
제3 결합부재(87)는 그 외경이 제6 축(86)의 외경보다 크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결합부재(87)의 하단은 바닥면 상에 후륜(5)이 접지되어 있을 때에는 후륜(5)의 하단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있다.
그리고 제3 외측암(82) 및 제3 내측암(84)이 도 9의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부터 점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이동하면 제3 외측암(82)과 피스톤측접합부(81d)와의 접합포인트가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제2 오일댐퍼(81)가 경사지는 동시에, 피스톤(81c)과 실린더(81a)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압축된다. 이 때 피스톤(64c)과 실린더(64a)는 저항을 받으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므로 제3 외측암(82)과 피스톤측접합부(81d)와의 접합포인트의 이동속도, 나아가서는 제3 결합부재(87)의 이동속도가 감쇠된다.
자동브레이크기구는 카트(1)가 에스컬레이터에 진입하여 후륜(5)이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상에 실렸을 때에 후륜(5)의 회전을 자동적으로 규제하는 기구로서, 주로 환형의 검지플레이트(55)와, 록킹기어(56)로 구성된다(도 10∼도 13 참조).
록킹기어(56)는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에 8개의 톱니를 가지고 있고, 내주부가 제5 축(53)에 고정되어 있다. 록킹기어(56)는 타이어(54)와 제1 측판(52b)과의 좌우방향의 사이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검지플레이트(55)보다 내측(도 11 및 도 13의 우측)에 배치된다.
검지플레이트(55)는 타이어(54)와 제1 측판(52b)과의 좌우방향의 사이에 배치된다. 검지플레이트(55)에는 제1 측판(52b)측으로 돌출하는 외측돌출부(55a)와, 타이어(54)측으로 돌출하는 내측돌출부(55b)와, 중앙부근의 구멍(55c)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돌출부(55a)는 제1 측판(52b)의 직사각형의 구멍(52d)내에 돌출되어 있다. 내측돌출부(55b)는 록킹기어(56)의 외주측에 돌출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지플레이트(55)가 제5 축(53)에 대하여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제5 축(53)이 구멍(55c)을 관통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어(54)가 통상의 바닥면(99)상을 주행하고 있을 때에는 검지플레이트(55)의 하단은 바닥면 상에 있다. 이 때에는, 외측돌출부(55a)는 직사각형의 구멍(52d)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고, 내측돌출부(55b)는 록킹기어(56)의 톱니의 외주단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이 때, 제5 축(53)은 구멍(55c)의 하부를 관통하고 있는 상태이다. 여기에서는, 타이어(54) 및 록킹기어(56)는 검지플레이트(55) 등에 의한 규제를 받지 않고, 케이싱(52)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5 축(53)과 함께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이어(54)가 통상의 바닥면(99)상을 주행하고 있을 때에는 자동브레이크기구는 작동하지 않는 상태이고, 후륜(5)에 브레이크가 걸리지 않는다.
타이어(54)가 에스컬레이터(98)의 스텝 상에 실려 있을 때에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어(54)는 에스컬레이터(98)의 스텝의 홈(98a)의 폭보다 타이어부(54b)의 폭이 넓으므로 홈(98a)에는 빠지지 않는다. 한편 검지플레이트(55)의 두께는 홈(98a)의 폭보다 작으므로 검지플레이트(55)는 홈(98a)에 빠진다. 즉 검지플레이트(55)는 타이어(54), 록킹기어(56), 및 제1 측판(52b)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외측돌출부(55a)는 직사각형의 구멍(52d)의 하부로 이동하고, 내측돌출부(55b)는 록킹기어(56)의 톱니의 사이에 이동하고, 또 제5 축(53)은 구멍(55c)의 상부를 관통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록킹기어(56)는 내측돌출부(55b) 및 외측돌출부(55a)를 통하여 제1 측판(52b)에 의하여 그 회전이 규제된다. 이 록킹기어(56)의 회전규제에 따라서 제5 축(53) 및 타이어(54)의 회전도 규제된다. 이와 같이, 타이어(54)가 에스컬레이터(98)의 스텝 상에 실려 있을 때에는 자동브레이크기구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로 되어 후륜(5)에 브레이크가 걸린다.
수동브레이크기구는 파킹용의 후륜(5)에 대한 브레이크기구로서, 조작자의 조작에 의하여 온·오프된다. 이 수동브레이크기구는 주로 마찰브레이크부재(57)와, 전환레버(58)로 구성되어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전환레버(58)를 전환함으로써 마찰브레이크부재(57)가 타이어(54)에 마찰결합하고 있는 상태와 마찰결합하고 있지 않은 상태가 전환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52)에 전환레버(58)를 장착하는 수동브레이크기구를 채용하고 있지만, 전환레버를 조작자의 손 근처에 배치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고, 또 수동브레이크기구의 작동·비작동을 핸들에 연동시키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다음에 카트(1)의 통상의 바닥면에서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의 바닥면에서는 카트(1)의 이용자(조작자)가 핸들(3)을 잡고 카트(1)를 밀며 간다. 여기에서는, 제1, 제2 및 제3 결합부재(73,75,87)의 하단이 바닥면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전륜(4) 및 후륜(5)만이 바닥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카트(1)가 이동한다. 여기에서, 핸들(3)의 어느 부분을 잡을 지에 대해서는, 핸들(3)의 전후방향 중간부분을 잡음으로써 에스컬레이터 상에서의 조작자의 안전성이 보다 향상되므로 그립을 핸들(3)의 전후방향 중간부분에 설치하거나, 경고에 의하여 후술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서의 조작자 및 카트(1)의 자세에 대하여 설명하거나 하여, 조작자에게 핸들(3)의 전후방향 중간부분을 잡게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카트(1)의 하행의 에스컬레이터 상에서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행의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전륜(4) 및 후륜(5)이 스텝(S2,S4) 상에 실려 있을 때에는, 자동브레이크기구의 작동에 의한 후륜(5)의 회전규제에 의하여 카트(1)는 전후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는다. 즉 도 14에 나타낸 상태에서, 카트(1)는 낙하하지 않고 에스컬레이터에 의하여 운반된다. 또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륜(4) 및 후륜(5)이 스텝(S2,S4)의 전후방향 중간부분에 실려 있을 때에는, 제2 결합부재(75)가 전륜(4)이 실려 있는 스텝(S2,S4)의 전방부분에 접지되어 카트(1)의 전후이동의 규제를 보조한다.
하행의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전륜(4) 및 후륜(5)이 스텝과 스텝과의 사이 부근에 실린 경우에는, 에스컬레이터가 경사지면 카트(1)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그러면, 카트(1)는 1단 아래의 스텝(S6,S8)으로 낙하하기 시작하여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여기에서, 대략 동시에 제1 결합부재(73) 및 제3 결합부재(87)가 최초로 전륜(4) 및 후륜(5)이 실려 있던 스텝(S5,S7)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1 결합부재(73) 및 제3 결합부재(87)가 스텝(S5,S7)에 결합된 상태인 채로 카트(1)는 낙하를 계속하여, 1단 아래의 스텝(S6,S8) 상에 전륜(4) 및 후륜(5)이 접지된다(도 17 참조). 다만, 제1 결합부재(73) 및 제3 결합부재(87)가 스텝(S5,S7)에 결합된 후는, 제1 오일댐퍼(64) 및 제2 오일댐퍼(81)에 의하여 카트본체(2)와 제1 결합부재(73) 및 제3 결합부재(87)와의 상대적인 이동속도가 감쇠되고, 카트(1)의 낙하속도가 느려진다. 이에 따라서, 하행 에스컬레이터에서의 카트(1)의 낙하에 의한 조작자의 불안감이나 공포감이 완화된다. 또 전륜(4) 및 후륜(5)이 1단 아래의 스텝(S6,S8)에 접지될 때의 충격도 완화되므로 카트(1)에 쌓여 있는 짐의 붕괴나 낙하가 억제된다.
다음에 카트(1)의 상행의 에스컬레이터 상에서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행의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전륜(4) 및 후륜(5)이 스텝(S11,S13) 상에 실려 있을 때에는, 자동브레이크기구의 작동에 의한 후륜(5)의 회전규제에 의하여 카트(1)는 전후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는다. 즉 도 18에 나타낸 상태에서 카트(1)는 낙하하지 않고 에스컬레이터에 의하여 운반된다. 또 도 18과 같이 전륜(4) 및 후륜(5)이 스텝(S11,S13)의 전후방향 중앙부분에 실려 있을 때에는, 제1 및 제3 결합부재(73,87)가 전륜(4) 및 후륜(5)이 실려 있는 스텝(S11,S13)의 후방부분에 접지되어 카트(1)의 전후이동의 규제를 보조한다.
상행의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전륜(4) 및 후륜(5)이 스텝과 스텝과의 사이에 실린 경우에는, 에스컬레이터가 경사지면 카트(1)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카트(1)는 1단 아래의 스텝(S16,S18)에 낙하하기 시작하고,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결합부재(75)는 전륜(4)이 최초로 실려 있던 스텝(S15)에 결합된다. 또 이 때에는, 제3 결합부재(87)가 1단 아래의 스텝(S18)에 접지된다. 그리고 제2 결합부재(75)가 스텝(S15)에 결합된 상태인 채로 카트(1)는 낙하를 계속한다. 그리고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륜(4) 및 후륜(5)이 1단 아래의 스텝(S16,S18)에 접지된다. 다만, 제2 결합부재(75)가 결합된 후는, 제1 오일댐퍼(64)에 의하여 카트본체(2)와 제2 결합부재(75)와의 상대적인 이동속도가 감쇠되어 카트(1)의 낙하속도가 느려진다. 이에 따라서, 상행의 에스컬레이터에서의 카트(1)의 낙하에 의한 조작자의 불안감이나 공포감이 완화되고, 또 짐의 붕괴나 낙하가 억제된다. 또 제2 오일댐퍼(81)에 의하여 후륜(5) 및 카트(1) 후부의 낙하속도가 완화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카트(1)의 에스컬레이터 상에서의 다른 유리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본 실시형태의 카트(1)에서는, 각 결합부재(73,75,87)는 각 암(68,71,82,84)을 통하여 카트본체(2)에 대하여 각 암(68,71,82,84)과 카트본체(2)와의 연결부분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그리면서 이동한다. 이로 인하여, 결합부재(73,75,87)가 스텝에 결합된 후의 카트(1)의 낙하의 움직임이 단순히 낙하하는 경우나 미끄러져 떨어지는 경우와 달리 원운동이 혼재된 움직임으로 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카트(1)의 낙하가 미리 결정된 동작이라고 느낄 수 있어 카트(1)의 낙하가 조작자에게 주는 불안감이 억제된다.
2) 하행의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카트(1)가 도 16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17에 나타낸 상태로 낙하할 때에, 만일 제2 결합부재(75)가 상방으로 이동하지 않으면 전륜(4)보다 먼저 1단 아래의 스텝(S8)에 제2 결합부재(75)가 접촉한다. 이 경우에는, 전륜(4)의 스텝(S8)으로의 접지에 의한 충격에 더하여 제2 결합부재(75)의 스텝(S8)으로의 접지에 의한 충격이 발생하여 카트(1)의 스텝으로의 접지의 동작이 복잡하게 되어 조작자의 불안감이 커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결합부재(73)와 제2 결합부재(75)와의 움직임을 제1 및 제2 기어(67,70)의 맞물림에 의하여 연동시키고 있으므로 전륜(4)이 스텝(S8)에 접지될 때에는 제2 결합부재(75)는 스텝(S8)면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한다(도 17 참조). 이에 따라서, 카트(1)의 낙하의 움직임이 단순하게 이루어져 조작자의 불안감이 억제된다.
또 상행의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카트(1)가 도 20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21에 나타낸 상태로 낙하하는 경우에도 대해서도 마찬가지이고, 이 경우에 제1 결합부재(73)가 1단 아래의 스텝(S16)에 접촉하기 전에 전륜(4)이 스텝(S16)에 접지된다.
3)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결합부재(73,75,87)가 좌우 양측에 1개씩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카트(1)의 진행방향이 에스컬레이터에 대하여 다소 경사진 상태에서 카트(1)가 에스컬레이터에 진입한 경우에도, 결합부재(73,75,87) 중의 어느 하나가 스텝에 결합될 확률이 높다. 즉 카트(1)가 약간 경사진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에 진입하여도, 각 낙하완화장치(6,8)가 확실하게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4)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륜(4)과 후륜(5)과의 사이의 전후방향의 거리를 에스컬레이터의 스텝간의 스판(span)의 2배의 길이로 설정하고 있다.
만일 이 거리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간의 스판과 관계없이 설정되어 있으면 하행의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전륜(4)이 낙하하기 시작하고 제1 결합부재(73)가 스텝에 결합되는 타이밍과 후륜(5)이 낙하하기 시작하고 제3 결합부재(87)가 스텝에 결합되는 타이밍이 어긋난다. 이 타이밍이 어긋나면, 카트(1)가 낙하를 시작했을 때 먼저 제1 및 제3 결합부재(73,87) 중의 어느 쪽이 스텝에 결합되고, 이어서 다른 쪽이 스텝에 결합된다. 즉 카트(1)의 낙하의 움직임이 복잡하게 되어 조작자의 불안감이 커진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전륜(4)이 낙하하기 시작할 때에 후륜(5)이 낙하하기 시작하고, 제1 결합부재(73)가 스텝(S7)에 결합되는 타이밍과 제3 결합부재(87)가 스텝(S5)에 결합되는 타이밍이 대략 일치한다(도 16 참조). 이로 인하여, 카트(1)의 낙하의 움직임이 단순하게 이루어져 조작자의 불안감이 완화된다.
5) 본 실시형태의 카트(1)에서는, 종래의 공항용 카트가 채용하고 있는 수동브레이크기구 이외에 에스컬레이터 상에 있을 때에 자동적으로 작동하는 자동브레이크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카트(1)가 에스컬레이터에 진입하면 조작자의 조작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브레이크가 걸린다. 이에 따라서, 에스컬레이터 상의 카트(1)의 안정성이 증대되고 있다.
6)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핸들부(31)의 양단부로부터 제2 핸들부(32)가 후방으로 신장하고 있는 구조의 핸들(3)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3면이 제1 핸들부(31)와 2개의 제2 핸들부(32)에 의하여 둘러싸인 장소에 위치하여 카트(1)를 밀게 된다.
통상의 바닥면을 주행시키는 경우에 제2 핸들부(32)의 전후방향 중간부분을 잡고 있으면 하행의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제2 핸들부(32)의 전후방향 후단부분으로, 상행의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제2 핸들부(32)의 전후방향 전단부분 또는 제1 핸들부(31)로 잡는 위치를 바꿈으로써,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핸들(3)이 조작자로부터 떨어지거나 가까워지거나 하여도 조작자가 스텝이동을 할 필요가 없다(도 14 및 도 17 참조). 즉 조작자가 좌우 양 제2 핸들부(32)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핸들(3)이 조작자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제2 핸들부(32) 또는 제1 핸들부(31)의 적당한 곳을 잡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기에서는 에스컬레이터 상에서의 조작자의 스텝이동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에스컬레이터 상에서의 조작자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조작자의 공포감이나 불안감이 완화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핸들부(32)의 상측부분(32a)은 후방으로 및 상방으로 신장하고 있다. 따라서 하행의 에스컬레이터에서의 제2 핸들부(32)의 전후방향 후단부분의 높이위치가 조작자에게 더욱 가까워진다(도 14 참조). 이로 인하여, 하행의 경사에 의하여 핸들(3)이 조작자로부터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여도 조작자가 더욱 자연스러운 자세로 제2 핸들부(32)를 잡는 것이 가능하다.
7)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4∼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본체(2)의 프레임형상, 치수 및 경사의 설정에 따라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항상 카트본체(2)와 에스컬레이터와의 사이에 간극을 확보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인프레임(21)의 제4 경사부(21e) 및 캐리어하부프레임(23)의 바닥지지부(23a)를, 바닥면 상에서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지게 하고 있다. 이 경사에 의하여 카트 전체의 중심을 낮게 유지한 채 에스컬레이터 상에서의 카트본체(2)와 에스컬레이터와의 사이의 소정의 간극을 확보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입구 근처에서 에스컬레이터가 경사지기 시작할 때나 출구 근처에서 경사가 없어지고 수평으로 되어 갈 때에, 카트가 스텝의 코너부와 접하여 그 접점을 지지점으로 한 시소(seesaw)상태로 되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자에게 카트(1)의 시소상태에 의한 불필요한 불안감을 주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 적재물의 저부와 접하는 메인프레임(21)의 제4 경사부(21e) 및 캐리어하부프레임(23)의 바닥지지부(23a)가 바닥면 상에서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특히 하행의 에스컬레이터에서 카트(1)가 경사졌을 때에 짐이 이동 또는 낙하하거나 짐의 붕괴가 발생하거나 하는 것이 억제된다(도 14 참조).
8)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본체(2)의 하부부재인 메인프레임(21)이 캐리어의 하부부재로서의 역할을 겸하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구조가 단순하게 되고 조립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부재의 수가 감소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된다.
[다른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검지플레이트(55)와 록킹기어(56)로 구성되는 자동브레이크기구를 채용하고 있지만, 대신에 별개로 구성되는 자동브레이크기구를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후륜(5)의 타이어부(54b)에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의 홈에 대응한 홈을 형성하고, 타이어부(54b)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의 홈에 빠졌을 때에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 결합되어 후륜(5)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를 케이싱(52)에 장착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수동브레이크기구 이외에 자동브레이크기구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카트가 에스컬레이터에 진입하면 조작자의 조작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브레이크가 걸리고, 수동브레이크기구의 조작에러가 생긴 경우에도 카트의 낙하가 억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세부항목은 그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나 그와 동등한 것에 의하여 정의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Claims (6)

  1. 상향 및 하향 에스컬레이터 양자의 이동용으로 형성된 카트로서,
    카트본체;
    상기 카트본체에 장착되는 복수의 차륜;
    조작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차륜 중 최소한 1개의 회전을 제동하는 수동브레이크기구; 및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면에 상기 차륜이 접지되어 있을 때에 자동적으로 상기 복수의 차륜 중 최소한 1개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자동브레이크기구
    를 구비한 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브레이크기구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 및 상기 복수의 차륜 중의 1개와 결합되는 록킹기어가 형성된 검지(檢知)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검지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차륜 중의 1개에 근접하여 상기 카트본체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카트가 통상의 바닥면 상에 있을 때에는 바닥면에 접지되고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면 상에 있을 때에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면의 홈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검지플레이트가 상기 스텝면의 홈에 결함됨에 따라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록킹기어에 형성된 인터록킹기어의 톱니와 결합하여 상기 차륜의 회전을 제한하는 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륜 중의 1개는 축에 지지되고, 상기 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축이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앙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의 구멍은 상기 축의 직경보다 큰 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본체는 거기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복수의 차륜 중의 1개에 근접하여 개구부(開口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신장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결합하여 상기 검지플레이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브레이크기구는 상기 복수의 차륜 중의 1개와 결합되는 록킹기어와 제1 및 제2 돌출부가 형성된 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검지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차륜 중의 1개에 근접하여 상기 카트본체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카트본체는 거기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면에 있을 때 상기 검지플레이트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스텝면의 홈에 결합됨에 따라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록킹기어에 형성된 인터록킹기어의 톱니와 결합가능하고 제2 돌출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지지플레이트간의 결합이 상기 검지플레이트의 회전을 방지하여 상기 복수의 차륜 중의 1개의 회전이 제한되는 카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륜 중의 1개는 축에 지지되고, 상기 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축이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앙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의 구멍은 상기 축의 직경보다 큰 카트.
KR1019980036942A 1997-09-08 1998-09-08 카트용 브레이크기구 KR100284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43085 1997-09-08
JP9243085A JPH1178900A (ja) 1997-09-08 1997-09-08 カ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625A true KR19990029625A (ko) 1999-04-26
KR100284228B1 KR100284228B1 (ko) 2001-03-02

Family

ID=17098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942A KR100284228B1 (ko) 1997-09-08 1998-09-08 카트용 브레이크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1178900A (ko)
KR (1) KR100284228B1 (ko)
DE (1) DE19840971A1 (ko)
FR (1) FR27681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19764U1 (de) * 1999-11-10 2000-01-05 Wanzl Metallwarenfabrik Kg Gepäcktransportwagen
US9108657B2 (en) 2012-05-16 2015-08-18 Cooper Technologies Company Cart braking system
KR101594468B1 (ko) 2015-12-28 2016-02-22 이재혁 브레이크 기능을 갖는 공항용 카트
KR102132493B1 (ko) * 2019-01-18 2020-07-09 김태우 유모차 바퀴 안전커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60334A (fr) * 1963-03-28 1964-05-08 Ascenseurs Otis Blocage ou freinage de roues sur une surface cannelée, en particulier pour immobiliser un chariot sur une bande transporteuse
DE6751035U (de) * 1968-09-18 1969-01-23 Tente Rollen Ges M B H & Co Fa Laufrolle, insbesondere fuer einkaufswagen in selbstbedienungslaeden.
DE2105547A1 (de) * 1971-02-06 1972-08-10 Tente Rollen GmbH & Co, 5678 Wermelskirchen Tente Lenkrolle, insbesondere fur Ein kaufswagen in Selbstbedienungsladen
DE3841697A1 (de) * 1988-12-10 1990-06-13 Wanzl Metallwarenfabrik Kg Fahrrolle zur befestigung an transportwagen, insbesondere an einkaufswagen
JPH0660576A (ja) 1992-04-22 1994-03-04 Nec Corp サーボ信号書込み装置
DE19546748A1 (de) * 1995-11-14 1997-06-19 Wanzl Metallwarenfabrik Kg Rolltreppengängiger Transportwa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68113A1 (fr) 1999-03-12
KR100284228B1 (ko) 2001-03-02
JPH1178900A (ja) 1999-03-23
DE19840971A1 (de) 199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9907B2 (ja) 走行装置
KR20170142009A (ko) 후륜 견인 타입 링크 부재를 이용한 전동 킥보드
KR100284228B1 (ko) 카트용 브레이크기구
CN106005169B (zh) 一种可折叠的便携式电动三轮车
US3784247A (en) Foot rest for trucks
KR101929833B1 (ko)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
KR100284254B1 (ko) 하강 및 상승하는 에스컬레이터에 탑재되도록 형성된 운반 수단용 추락 억제 장치
JP2006273314A (ja) 自転車の前後両立スタンド
JP4825414B2 (ja) エスカレータ用台車及びエスカレータ
JPH1178903A (ja) 段差昇降車両用の落下緩和装置及びカート
JP3616391B1 (ja) 車輪の支持構造
JPH1178904A (ja) カート
JP2560689Y2 (ja) 二輪車用駐車装置
JPH1178901A (ja) 空港用カート
JPS633875Y2 (ko)
JPH11310134A (ja) カート
JP3372656B2 (ja) 移動駐車装置
JP2004150018A (ja) 回動装置、及び同回動装置を備えた傾動装置
JPH10129992A (ja) 産業車両の運転台
KR102139173B1 (ko) 양 방향 잠금 및 해제를 이용한 이륜차 안전 보조장치
JP3372642B2 (ja) 移動駐車装置
JPH0332464Y2 (ko)
JPH0312610Y2 (ko)
JPH09262256A (ja) 緊急避難用運搬車
KR100323106B1 (ko)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