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106B1 -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23106B1 KR100323106B1 KR1019990014622A KR19990014622A KR100323106B1 KR 100323106 B1 KR100323106 B1 KR 100323106B1 KR 1019990014622 A KR1019990014622 A KR 1019990014622A KR 19990014622 A KR19990014622 A KR 19990014622A KR 100323106 B1 KR100323106 B1 KR 1003231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t
- escalator
- guide
- rail
- wheel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B66B31/006—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for conveying hand carts, e.g. shopping c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62B5/021—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specially adapted for escal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운반카트를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해 안전하게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움직이는 계단(10)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격벽(20)의 전장에 걸쳐 격벽의 내측면에 돌출된 형태로 장착되는 안내레일(60); 및 상기 카트(50)의 앞바퀴(51) 및 뒷바퀴(52)의 외측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반적인 카트 이동시 지면에서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레일안내바퀴(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기존의 에스컬레이터를 거의 그대로 이용하여 카트를 운반할 수 있으므로, 많은 매장면적을 차지하는 무빙워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구조변경이 간단하므로 많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에서 이동하는 카트와 에스컬레이터의 연결구조에 각종 안전장치를 거의 완벽하게 구비하므로, 한번 발생하면 사람에게 치명적인 에스컬레이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화물운반카트를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해 안전하게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이나 양판점 등의 매장에서 화물을 운반하는 카트를 다른 층으로 이동시킬 때는 엘리베이터나 무빙워크(movingwalk)를 이용한다. 그러나, 엘리베이터는 카트를 한두대밖에 수용할 수 없다. 그리고, 무빙워크는 많은 카트를 이동시킬 수는 있지만 경사각이 12。 내외이어야만 하므로 매장면적이 상당히 넓어야만 무빙워크의 설치가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계단이 승강하는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해 카트를 운반하는 것은 안전사고의 우려로 인해 금지되어 있지만, 이를 무시하고 유모차나 카트를 에스컬레이터로 운반하는 경우가 있는바, 이 경우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특히,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해 카트나 유모차를 끌고 내려가는 경우 정전 등에 의해 갑자기 정지할 경우 관성에 의해 작업자나 유모차에 탄 아이들이 다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기존의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여 화물용 카트를 운반하도록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심지 등 토지가격이 비싸 매장면적이 좁아 무빙워크를 설치할 수 없는 곳에서도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해 화물용 카트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해 카트가 이동하는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적용되는 카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에스컬레이터에서 이동중인 카트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a 도 5의 A의 확대도;
도 6b, 6c는 안내레일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의 브레이크의 측면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의 브레이크의 사시구조도;
도 9a는 브레이크의 작동 전의 상태도;
도 9b는 브레이크의 작동 후의 상태도;
도 11은 카트의 비상해제를 위한 사시구조도;
도 12a는 카트의 비상해제 전의 상태의 평면구조도;
도 12b는 카트의 비상해제 후의 상태의 평면구조도;
도 13은 카트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의 작동전의 측면상태도;
도 14는 도 13의 가이드가 작동중인 측면상태도;
도 15는 여러대의 카트를 일렬로 이동시키는 평면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에스컬레이터 계단 20.. 격벽
30.. 칸막이 40.. 에스컬레이터 손잡이
50.. 카트 54,56.. 전,후방돌출바퀴
55.. 레일안내바퀴 60.. 안내레일
70.. 안내롤러 100..가이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는, 움직이는 계단(10), 계단 양쪽에 직립한 격벽(20), 상기 격벽 상부에 설치되는 칸막이(30), 및 상기 칸막이 외주부를 감싸면서 회전하는 손잡이부(40)로 구성되는 에스컬레이터에 카트(50)를 운반하기 위한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움직이는 계단(10)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격벽(20)의 전장에 걸쳐 격벽의 내측면에 돌출된 형태로 장착되는 안내레일(60); 및 상기 카트(50)의 앞바퀴(51) 및 뒷바퀴(52)의 외측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반적인 카트 이동시 지면에서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레일안내바퀴(55);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50)가 에스컬레이터와 함께 이동할 경우 상기 레일안내바퀴(55)가 상기 안내레일(60)의 하부면(62)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60)은 단면이 L 형으로서 상기 격벽에 부착되는 내부 부재(64), 상기 내부부재와 측부간격(63) 및 상부간격(65)을 두고 내부부재를 감싸는 외부 부재(66), 상기 측부간격(63)에 장착되어 에스컬레이터 동력원에 연결되는 제 1 스위치(67), 및 상기 상부간격(65)에 장착되어 에스컬레이터 동력원에 연결되는 제 2 스위치(68)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부재(66)가 움직여 상기 제 1 스위치(67) 또는 제 2 스위치(68)가 작동하면 에스컬레이터의 동작이 정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50)는 수직 회전축(7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카트 측면 하부에 돌출 장착되어 상기 안내레일(60)의 돌출측면에 맞닿아 회전하는 좌우 한쌍 또는 두쌍의 안내롤러(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60)의 단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돌출턱(6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레일안내바퀴(55)가 상기 안내레일(60)에 맞물려 이동할 때 상기 돌출턱(61)에 의해 궤도이탈이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50)는 한쌍의 앞바퀴(51)보다 전방으로 돌출하고 지면에서 이격되어 회전가능한 한쌍의 전방돌출바퀴(54) 및 한쌍의 뒷바퀴(52)보다 후방으로 돌출하고 지면에서 이격되어 회전가능한 한쌍의 후방돌출바퀴(5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쌍의 안내롤러(70)를 연결하는 연결봉(72)이 신축가능하여, 상기 연결봉(72)을 신장시키면 상기 안내롤러(70)가 좌우로 벌어져 상기 안내레일(60)의 외부부재(66)를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72)이 좌우 안내롤러(70)에 연결되는 롤러연결부(73)와, 중앙을 중심으로 전후로 피봇가능한 피봇부(74)로 구성되어, 상기 피봇부(74)를 펼치면 좌우 안내롤러(70)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고 상기 피봇부(74)를 오무리면 좌우 안내롤러(70)가 안쪽으로 좁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쌍의 레일안내바퀴(55)를 연결하는 회전축(57)이 텔레스코프식 또는 절첩식으로 신축 가능하여, 상기 회전축(57)을 단축시키면 상기 레일안내바퀴(55)가 상기 레일(60)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50)의 적재함(80)의 중앙 상단부에 구멍(85)이 형성되고, 카트의 좌우 프레임(82)의 상단부에 상기 구멍(85)에 삽입되는 삽입부(87)가 형성되어, 상기 적재함(80)이 회전 및 착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50)의 후방 하단부에 다른 카트의 상기 전방돌출바퀴(54)와 맞닿을 수 있는 한쌍의 후방범퍼(91)가 돌출 형성되고, 카트의 전방 하단부에 다른 카트의 상기 후방돌출바퀴(56)와 맞닿을 수 있는 한쌍의 전방범퍼(92)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에 있어서, 피봇점(101)을 중심으로 무게중심이 후방에 있으면서 회전가능하고 피봇점(101)에서의 지면과의 간격(D)을 상기 레일안내바퀴(55)의 상단부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에스컬레이터의 진입부 지면상에 계단(10)과 동일한 간격으로 좌우 한쌍의 카트간격유지 가이드(100)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100)의 전단부에는 하향돌출턱(10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는 카트(50)가 상기 돌출턱(103)에 걸려 에스컬레이터로의 진입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해 카트를 운반하는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에스컬레이터는 상하로 승강하면서 움직이는 계단(10), 계단 양쪽에 설치된 격벽(20), 격벽 위로 장치되는 투명한 칸막이(30), 칸막이 주위에 장치되어 계단(10)과 같은 속도로 회전하는 손잡이부(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트(50)를 에스컬레이터 계단(20)에 놓은채 화살표(A) 방향으로 운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카트(5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트(50)는 종래와 동일한 앞바퀴(51)와 뒷바퀴(52)를 구비한다. 상기 앞뒤바퀴(51,52)의 위로는 이들 바퀴보다 더 돌출해 있는 레일안내바퀴(55)가 좌우 한쌍씩 장착된다. 상기 레일안내바퀴(5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면에서 이격되어 있으며 에스컬레이터의 격벽(20) 안쪽면에 장치되는 안내레일(60)에 맞물려 회전한다(도 6 참조). 레일안내바퀴(55)는 좌우 한쌍씩 4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레일안내바퀴(55)는 좌우 한쌍으로 2개만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레일안내바퀴(55) 전방에는 레일안내바퀴보다 덜 돌출하여 상하로 기다란 안내롤러(70)가 좌우 한쌍씩 4개 장착된다. 상기 안내롤러(70)는 수직 회전축(7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의 안내레일(60)의 외부부재(66)에 맞닿아 회전하면서 카트(50)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도 6 참조). 도면에는 안내롤러(70)가 좌우 한쌍씩 4개 도시되어 있지만, 좌우에 하나씩만 있어도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카트(50) 측면의 좌우 프레임(8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의 적재함(80)이 장착된다. 상기 적재함(80)은 횡단면이 아치형으로서, 적재함 측판의 상단 중앙에 구멍(85)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82)의 상단부에는 상기 구멍(85)에 삽입되는 삽입부(87)가 형성된다. 따라서, 적재함(80)은 분리결합이 가능하고, 결합된 상태에서 앞뒤로 회전가능하므로 에스컬레이터를 따라 움직이면서 카트가 기울어져도 적재함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도 1 참조). 또한, 부피가 큰 화물을 운반할 때는 상기 적재함(80)을 분리하고 카트의 바닥면(81)에 직접 화물을 쌓을 수 있으므로, 종래의 카트에 비해 많은 화물을 운반할 수 있다.
카트의 전방 하단에는 앞바퀴(51)보다 전방으로 돌출한 한쌍의 전방돌출바퀴(54)가 장치된다. 카트의 후방 하단에는 뒷바퀴(52)보다 후방으로 돌출한 한쌍의 후방돌출바퀴(56)가 장치된다. 상기 한쌍의 후방돌출바퀴(56)의 간격은 전방돌출바퀴(54)의 간격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돌출바퀴(54,56)는 여러개의 카트를 나란히 정렬하여 이동시킬 때 앞뒤 카트에 맞닿아 서로 밀어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돌출바퀴들(54,56)은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해 카트를 이동시킬 때 카트의 앞뒤바퀴(51,52)보다 먼저 계단의 수직면과 접촉하므로, 앞뒤바퀴(51,52)가 계단 수직면에 닿아 미끄럼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해 카트(50)를 이동하는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로 카트를 이동할 경우, 에스컬레이터의 격벽(20)에 ㄱ자형으로 부착된 양쪽 안내레일(60)의 밑면에 레일안내바퀴(55)가 맞물리고, 안내레일의 측면에는 안내롤러(70)가 거의 맞닿게 된다. 카트(50)가 에스컬레이터에 진입하는 순간에 계단(10)이 지면에서 상승하면서 레일안내바퀴(55)가 위로 상승하여 안내레일(60)에 쐐기작용에 의해 맞물리게 된다(도 1 참조). 그리고, 계단(20)이 상승하면서 안내레일(60)에 맞물린 레일안내바퀴(55)와 안내롤러(70)가 회전하므로, 카트(50)도 계단과 동일한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일안내바퀴(55)와 안내롤러(70)가 카트(50)의 양쪽에서 안내레일(60)에 하방과 측방에서 맞물리므로, 카트(50)는 흔들림 없이 안전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a는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레일(60)은 내부부재(64)와 외부부재(66)의 2개의 부재로 구성된다. 내부부재(64)는 단면이 ㄱ자형으로서 격벽(20)을 따라 격벽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외부부재(66)는 내부부재(64)를 감싸는 형태로서, 내부부재(64)의측면과는 간격(63)을 이루고, 내부부재의 밑면과는 간격(65)을 이루고 있는바, 이하 간격(63)을 측부간격이라 하고 간격(65)을 상부간격이라 한다. 외부부재(66)는 격벽(20)의 측면에 탄성을 갖는 스프링(69)에 의해 부착되어 있어 화살표(B) 방향의 좌우이동 및 화살표(C) 방향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측부간격(63)에는 제 1 스위치(67)가 장착되고, 상부간격(65)에는 제 2 스위치(68)가 장착된다. 상기 스위치(67,68)는 상기 외부부재(66)의 상하좌우 이동에 의해 작동되며, 에스컬레이터의 동력원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레일안내바퀴(55)와 레일사이에 물체가 끼워지거나 안내롤러(70)가 좌우로 벌어져 외부부재(66)를 압박하면 스위치(67) 또는 (68)가 작동하여 에스컬레이터의 동력을 차단하게 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기능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50)가 에스컬레이터에 진입할 때 상승하는 계단(10)에 의한 쐐기작용으로 레일안내바퀴(55)가 상승하면서 안내레일(60)의 외부부재(66)의 하부면과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외부부재(66)의 측면에는 안내롤러(70)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에스컬레이터의 계단(10)이 상승하면 안내레일(60)에 맞물려 있는 레일안내바퀴(55)와 안내롤러(70)가 회전하게 되므로, 카트(50)가 이동하는데는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6b는 안내레일(60)의 제 2 실시예의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안내레일(60)에는 외단부에 하방으로 돌출한 하방돌출턱(6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레일안내바퀴(55)가 하방돌출턱(61)에 의해 임의로 안내레일(60) 밖으로 궤도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안내레일을 이용할 경우에는, 카트(50)의 폭을 안내레일(60) 사이의 간격과 거의 비슷하게 구성하여 에스컬레이터 양쪽의 안내레일에 동시에 레일안내바퀴가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 2 실시예의 안내레일(60)을 이용하면, 카트의 한쪽 측면의 레일안내바퀴(55)만 안내레일(60)에 걸려도 안전하게 카트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카트(50)의 폭을 좁게 형성해도 적용할 수 있다.
도 6c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안내레일의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의 안내레일은 제 2 실시예의 안내레일과 제 1 실시예의 안내레일을 조합한 형태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레일안내바퀴(55)가 레일궤도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비상시 스위치(67,68)를 작동시켜 에스컬레이터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하향 돌출턱(61)이 형성된 안내레일의 경우에는 비상시 레일안내바퀴(55)를 밑으로 내려서 레일 밖으로 빼낼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3가지 실시예에서는 안내레일을 격벽(20)에 돌출되게 형성한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동일한 기능의 안내레일을 격벽(20)에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격벽(20) 위쪽의 칸막이(30)에 안내레일(6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이와 같은 태양의 안내레일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7은 비상시 에스컬레이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카트의 브레이크 작동부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브레이크 작동부의 사시도이다.
카트를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해 이동시키는 도중에 비상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에스컬레이터 상부로부터 무거운 물체가 굴러떨어지거나, 사람이 에스컬레이터 틈새에 끼이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는바, 이런 경우에는 가급적 신속하게 에스컬레이터의 동작을 정지시켜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런 비상사태의 경우에도 간단한 동작으로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의 손잡이(11) 하부에 브레이크 손잡이(12)가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12)는 카트 양쪽의 안내롤러(70)를 연결하는 연결봉(72)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봉(72)은 신축이 가능한 구조로서, 안내롤러(70)에 연결되는 롤러연결부(73)와 중앙의 피봇점(75)을 중심으로 앞뒤로 피봇가능한 피봇부(7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뒤의 연결봉(72) 중앙의 피봇점(75)은 연결대(76)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a는 평상시 카트가 이동하는 상태일 때의 연결봉(72)의 상태도이고, 도 9b는 비상시 안내롤러(70)가 안내레일(60)을 압박하는 상태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상기 피봇부(74)는 오무라져 있는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양측의 안내롤러(70)는 에스컬레이터의 안내레일(60)의 측면에 맞닿게 되는 것이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카트 운반자가 브레이크 손잡이(12)를 밑으로 눌러 피봇부(74)를 벌리면 연결봉이 늘어나면서 안내롤러(70)가 화살표(D)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안내레일(60)의 외부부재(66)가 스위치(67)를 작동시켜 에스컬레이터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도 10은 안내롤러(70)가 외부부재(66)를 압박하여 스위치(67)를 작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롤러(70)가 화살표(D) 방향으로 움직이면, 외부부재(66)가 도면의 왼쪽으로 움직여 스위치(67)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비상사태가 해제되면 다시 연결봉(72)의 길이를 좁혀 외부부재(66)를 원위치시키면 에스컬레이터가 작동되는 상태로 된다.
도면에는 상기 연결봉(72)이 4부분으로 구성되어 중앙부가 피봇하면서 신축하는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연결봉(72)을 텔레스코프식으로 신축되는 구성을 채택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카트를 에스컬레이터로 이동시키고 있는 도중에 정전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보통 정전상태가 장시간 계속될 수 있는바, 전술한 카트의 구성에 의하면 안내레일(60)에 레일안내바퀴(55)가 맞물려 있으므로 에스컬레이터에서 카트를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를 대비하여 본 발명은 정전상태 등의 경우에 레일안내바퀴(55)를 안내레일(6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도 11, 12a, 12b는 정전 등으로 인해 에스컬레이터가 정지된 상태에서 카트(50)의 레일안내바퀴(55)를 안내레일(60) 밖으로 빼내기 위한 구성도 및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안내바퀴(55)의 회전축(57)은 중앙부가 피봇식으로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앞뒤 레일안내바퀴(55)의 회전축(57)의 중앙부는 고리(21)에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57)은 각각 전술한 연결봉(72)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리(21)를 화살표(E) 방향으로 당기면 중앙부가 피봇하여 회전축(57)이 화살표(F)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레일안내바퀴(55)가 안내레일(60) 밖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도 12a는 평상시 안내레일(60)에 레일안내바퀴(55)가 맞물려 에스컬레이터와 함께 카트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2b는 고리(21)를 당겼을 때 레일안내바퀴(55)가 안내레일(60) 밖으로 빠져나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안내바퀴(55)가 안내레일(60) 밖으로 빠져나온 상태에서는 카트(50)를 에스컬레이터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레일안내바퀴(55)의 회전축(57)을 피봇식으로 절첩 가능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회전축을 텔레스코프식으로 신축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도 6b, 6c의 제 2, 제 3 실시예의 안내레일을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비상시 레일안내바퀴(55)를 먼저 밑으로 내린 뒤 레일 밖으로 빼내는 구성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트(50)가 에스컬레이터에 진입을 시작하여 계단(10)에 올라타는 순간에는 카트(50)가 뒤로 기울어지면서 손잡이(11)가 후퇴한다. 따라서, 뒤따라오는 카트와 앞에 진입하는 카트의 간격이 좁으면 카트간에 충돌이 발생하게 되므로 에스컬레이터에 진입하는 카트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에스컬레이터에서 여러대의 카트가 동시에 이동중인 상태에서도 카트 사이의 간격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충돌을 방지하여 안전상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점을 고려하여 카트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유지하는 기구를 포함한다.
도 13, 14는 에스컬레이터에 카트가 진입하기 직전에 카트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100)를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도 13은 카트가 진입하기 전의 상태를, 도 14는 카트가 진입한 뒤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00)는 에스컬레이터 진입로상의 지면에 좌우 한쌍으로 설치되고, 그 길이는 유지하고자 하는 카트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한다. 상기 가이드(100)는 피봇점(101)을 중심으로 후방에 무게중심이 있도록 하여 평상시에는 후방쪽으로 기울어져 있게 한다. 또한 피봇점(101)에서의 지면과 가이드 사이의 간격(D)은 카트의 레일안내바퀴(55)의 상단부의 높이와 동일하게 한다. 또, 가이드(100)의 전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한 돌출턱(103)을 형성한다. 좌우 한쌍의 가이드(100)의 간격은 에스컬레이터의 계단(10)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되, 카트 양쪽의 안내롤러(70) 사이의 간격보다는 넓고 레일안내바퀴(55) 사이의 간격보다는 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이드(100)를 에스컬레이터의 진입부에 설치하면, 평상시 전단부가 상승된 상태이기 때문에 카트(50)가 진입하는데는 문제가 없다(도 13 참조). 일단 카트가 진입하여 피봇점(101)을 지나 가이드(100)를 완전히 통과할 때까지는 가이드의 전단부가 화살표(G) 방향으로 하강한다(도 14 참조). 이렇게 되면 돌출턱(103)에 의해 후방 카트의 레일안내바퀴(55)가 걸려 진입이 차단된다. 따라서, 항상 카트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예컨대 카트(50)를 사용하는 매장 안에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빈 카트(50)들을 한데 모아서 정해진 보관위치로 그 카트들을 이동시키고자 할 때, 한 명의 작업자가 여러대의 카트(50)를 동시에 운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구성이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카트(50)의 전방 하단부 양쪽의 전방돌출바퀴(54) 사이에는 전방 범퍼(92)가 돌출되게 장착되며, 카트(50)의 후방 하단부 양쪽의 후방돌출바퀴(56) 외측에는 후방범퍼(91)가 돌출되게 장착되어 있다.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게 되면, 한명의 작업자가 여러대의 카트(50)를 일렬로 배치시켜서 소정의 보관위치 등으로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카트(50)에 마련된 상기 전방범퍼(92)를 그 어느 하나의 카트의 앞쪽에 위치하는 다른 카트의 후방돌출바퀴(56)와 맞닿도록 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카트에 마련된 후방범퍼(91)는 그 어느 하나의 카트의 뒤쪽에 위치하는 다른 카트의 전방돌출바퀴(54)와 맞닿도록 하여 여러대의 카트들을 일렬로 배치시킨 후 맨 뒤의 카트를 밀게 되면 상기 일렬로 배치된 카트들이 동시에 이동될 수 있게 된다.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들을 일렬로 배치하여 동시에 이동시키는 도중에, 예컨대 진입부에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100)가 설치된 에스컬레이터를 통해 다른 층으로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렬로 연결되어 있던 카트들을 서로 분리시킨 후 그 상호 분리된 카트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에스컬레이터에 실어서 운반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카트들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에스컬레이터에 의해 다른 층으로 운반되면, 그 카트들을 다시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일렬로 연결하여 이동시키면 된다.
도면과 명세서는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에스컬레이터에 안내레일을 설치하고 이 안내레일과 에스컬레이터 계단에 맞물려 에스컬레이터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에스컬레이터를 거의 그대로 이용하여 카트를 운반할 수 있으므로, 많은 매장면적을 차지하는 무빙워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구조변경이 간단하므로 많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에서 이동하는 카트와 에스컬레이터의 연결구조에 각종 안전장치를 거의 완벽하게 구비하므로, 한번 발생하면 사람에게 치명적인 에스컬레이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 움직이는 계단(10), 계단 양쪽에 직립한 격벽(20), 상기 격벽 상부에 설치되는 칸막이(30), 및 상기 칸막이 외주부를 감싸면서 회전하는 손잡이부(40)로 구성되는 에스컬레이터에 카트(50)를 운반하기 위한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에 있어서:상기 움직이는 계단(10)의 이동면과 평행하게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격벽(20) 또는 칸막이(30)에 형성되는 기다란 안내레일(60); 및상기 카트(50)의 앞바퀴(51) 및 뒷바퀴(52)보다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지면에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레일(60)과 맞물리는 좌우 한쌍 또는 두쌍의 레일안내바퀴(55);를 포함하고,상기 카트(50)가 에스컬레이터와 함께 이동할 경우 상기 레일안내바퀴(55)가 상기 안내레일(60)에 맞닿아 내리눌리면서 회전하고 카트의 앞뒤바퀴(51,52)가 에스컬레이터 계단(10)에 맞닿아 상향력을 받아 생기는 상하 압력에 의해 상기 카트(50)가 상기 안내레일(60)에 단단히 결합되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60)은 단면이 L 형으로서 상기 격벽에 부착되는 내부 부재(64), 상기 내부부재와 측부간격(63) 및 상부간격(65)을 두고 내부부재를 감싸는 외부 부재(66), 상기 측부간격(63)에 장착되어 에스컬레이터 동력원에 연결되는 제 1 스위치(67), 및 상기 상부간격(65)에 장착되어 에스컬레이터 동력원에 연결되는 제 2 스위치(68)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부재(66)가 움직여 상기 제 1 스위치(67) 또는 제 2 스위치(68)가 작동하면 에스컬레이터의 동작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60)의 단부에 하향으로 돌출된 돌출턱(6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레일안내바퀴(55)가 상기 안내레일(60)에 맞물려 이동할 때 상기 돌출턱(61)에 의해 궤도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
-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50)는 수직 회전축(7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카트 측면 하부에 돌출 장착되어 상기 안내레일(60) 외부부재(66)의 돌출측면에 맞닿아 회전하는 좌우 한쌍 또는 두쌍의 안내롤러(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50)는 한쌍의 앞바퀴(51)보다 전방으로 돌출하고 지면에서 이격되어 회전가능한 한쌍의 전방돌출바퀴(54) 및 한쌍의 뒷바퀴(52)보다 후방으로 돌출하고 지면에서 이격되어 회전가능한 한쌍의 후방돌출바퀴(5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쌍의 안내롤러(70)를 연결하는 연결봉(72)이 신축가능하여, 상기 연결봉(72)을 신장시키면 상기 안내롤러(70)가 좌우로 벌어져 상기 안내레일(60)의 외부부재(66)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72)이 좌우 안내롤러(70)에 연결되는 롤러연결부(73)와, 중앙을 중심으로 전후로 피봇가능한 피봇부(74)로 구성되어, 상기 피봇부(74)를 펼치면 좌우 안내롤러(70)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고 상기 피봇부(74)를 오무리면 좌우 안내롤러(70)가 안쪽으로 좁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
- 제 1항 내지 제 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쌍의 레일안내바퀴(55)를 연결하는 회전축(57)이 텔레스코프식 또는 절첩식으로 신축 가능하여, 상기 회전축(57)을 단축시키면 상기 레일안내바퀴(55)가 상기 안내레일(60)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50)의 적재함(80)의 중앙 상단부에 구멍(85)이 형성되고, 카트의 좌우 프레임(82)의 상단부에 상기 구멍(85)에 삽입되는 삽입부(87)가 형성되어, 상기 적재함(80)이 회전 및 착탈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50)의 후방 하단부에 다른 카트의 상기 전방돌출바퀴(54)와 맞닿을 수 있는 한쌍의 후방범퍼(91)가 돌출 형성되고, 카트의 전방하단부에 다른 카트의 상기 후방돌출바퀴(56)와 맞닿을 수 있는 한쌍의 전방범퍼(92)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피봇점(101)을 중심으로 무게중심이 후방에 있으면서 회전가능하고 피봇점(101)에서의 지면과의 간격(D)을 상기 레일안내바퀴(55)의 상단부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에스컬레이터의 진입부 지면상에 계단(10)과 동일한 간격으로 좌우 한쌍의 카트간격유지 가이드(100)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100)의 전단부에는 하향돌출턱(10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는 카트(50)가 상기 돌출턱(103)에 걸려 에스컬레이터로의 진입이 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14622A KR100323106B1 (ko) | 1999-04-23 | 1999-04-23 |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14622A KR100323106B1 (ko) | 1999-04-23 | 1999-04-23 |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67100A KR20000067100A (ko) | 2000-11-15 |
KR100323106B1 true KR100323106B1 (ko) | 2002-02-02 |
Family
ID=1958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14622A KR100323106B1 (ko) | 1999-04-23 | 1999-04-23 |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2310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89672A (zh) * | 2019-09-24 | 2019-12-20 | 东莞市裕铭清洁用品有限公司 | 一种被动式自动扶梯人行走道清洗机 |
CN112265649B (zh) * | 2020-10-27 | 2023-12-29 | 杭州西奥电梯有限公司 | 一种车载式自动扶梯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12668U (ko) * | 1974-07-17 | 1976-01-29 | ||
JPS5585960U (ko) * | 1978-12-12 | 1980-06-13 | ||
JPS57197580U (ko) * | 1981-06-12 | 1982-12-15 | ||
JPS6026904U (ja) * | 1983-07-30 | 1985-02-23 | 成井農林株式会社 | 運搬車輌 |
JPS60130173U (ja) * | 1984-02-10 | 1985-08-31 | 日本板硝子株式会社 | 板状物運搬台車 |
JPS61182351U (ko) * | 1985-05-08 | 1986-11-13 | ||
JPH0671364U (ja) * | 1993-03-19 | 1994-10-07 | サンワ車輌株式会社 | 運搬車 |
US5906384A (en) * | 1996-10-23 | 1999-05-25 | F/G Products, Inc. | Cart system for moving product |
-
1999
- 1999-04-23 KR KR1019990014622A patent/KR10032310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12668U (ko) * | 1974-07-17 | 1976-01-29 | ||
JPS5585960U (ko) * | 1978-12-12 | 1980-06-13 | ||
JPS57197580U (ko) * | 1981-06-12 | 1982-12-15 | ||
JPS6026904U (ja) * | 1983-07-30 | 1985-02-23 | 成井農林株式会社 | 運搬車輌 |
JPS60130173U (ja) * | 1984-02-10 | 1985-08-31 | 日本板硝子株式会社 | 板状物運搬台車 |
JPS61182351U (ko) * | 1985-05-08 | 1986-11-13 | ||
JPH0671364U (ja) * | 1993-03-19 | 1994-10-07 | サンワ車輌株式会社 | 運搬車 |
US5906384A (en) * | 1996-10-23 | 1999-05-25 | F/G Products, Inc. | Cart system for moving produc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67100A (ko) | 2000-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70753B2 (en) | Extendable conveyor with boom brake | |
JP2007038896A (ja) | 台車式搬送装置 | |
JP2768223B2 (ja) | エスカレータ装置 | |
WO2006003806A1 (ja) | エスカレータ用台車及びエスカレータ | |
US4639004A (en) | Hand cart with fulcrum lever and vertically adjustable auxiliary wheels | |
KR100323106B1 (ko) | 에스컬레이터와 카트의 연결장치 | |
JP5202438B2 (ja) | スライド格納装置 | |
JP2007302242A (ja) | 台車式搬送装置 | |
JP7419708B2 (ja) | 階段昇降装置及び搬送方法 | |
WO2018083641A1 (en) | A conveyor system | |
KR101759728B1 (ko) | 호이스트용 안전발판 | |
JP7228929B1 (ja) | 駐輪機 | |
JP3545539B2 (ja) | 機械式立体駐車設備のパレット落下防止装置 | |
KR102425329B1 (ko) |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 | |
JPH0725508B2 (ja) | エスカレーター装置 | |
JP3370990B2 (ja) | 車椅子対応エスカレーター装置 | |
JPH06321476A (ja) | エスカレーター装置 | |
JP4028119B2 (ja) | フォーク式立体駐車装置 | |
JPS5941413B2 (ja) | 荷役車輛における荷受台装置 | |
JP6945843B2 (ja) | ブレーキ装置を備えた台車 | |
JP4238332B2 (ja) | 建設用リフト | |
JPH11147471A (ja) | エスカレータ用運搬台車 | |
SU1676902A1 (ru) | Тележка - штабелер Калюжного В.В. | |
JP4370702B2 (ja) | 駐輪装置 | |
JPS63143105A (ja) | 回転棚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12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