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833B1 -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 - Google Patents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833B1
KR101929833B1 KR1020177035925A KR20177035925A KR101929833B1 KR 101929833 B1 KR101929833 B1 KR 101929833B1 KR 1020177035925 A KR1020177035925 A KR 1020177035925A KR 20177035925 A KR20177035925 A KR 20177035925A KR 101929833 B1 KR101929833 B1 KR 101929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ull rod
stopper
sliding space
ro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3961A (ko
Inventor
슈동 지앙
후에이 장
전위안 장
와이 웨이
예 왕
Original Assignee
나인보트 (베이징)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인보트 (베이징)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인보트 (베이징)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13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3/00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 B62K23/02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hand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5Saddles having a seating area with multiple separate weight bear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3/00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07Automatic balancing machines with single main ground engaging wheel or coaxial wheels supporting a rider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와 차체에 설치된 스티어링 기구를 포함하는 동적 평형차에 장착되고 제어기구는 로드 본체(1), 연결시트(2), 레그제어패드(3), 풀로드(4) 및 핸들(5)을 포함하는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로드 본체(1)의 내부에는 풀로드(4)가 슬라이딩하게 하는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고 슬라이딩 공간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구비하며, 로드 본체(1)의 상단부는 연결시트(2)에 연결되고 로드 본체(1)의 하단부는 스티어링 기구에 연결되며 로드 본체(1)가 회전할 때 차체의 방향 전환을 제어하도록 스티어링 기구를 회전 구동시키고; 연결시트(2)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풀로드(4)는 개구를 통해 슬라이딩 공간에 진입하고 레그제어패드(3)는 연결시트(2)의 양측에 연결되며 레그제어패드(3)는 로드 본체(1)를 회전 구동시키고; 풀로드(4)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슬라이딩 공간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슬라이딩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공간에 이동 제한되며 핸들(5)은 풀로드(4)에 연결되어 풀로드(4)를 통해 위치를 조절하고 핸들(5)은 로드 본체(1)를 회전 구동시킨다. 상기 제어기구는 동시에 핸드 제어조작과 레그 제어조작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
본 발명은 동적 평형차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에 관한 것이다.
동적 평형차는 현재 유행되는 단거리 교통수단으로서 외바퀴 동적 평형차와 두바퀴 동적 평형차를 포함한다. 현재 시장에 출시된 두바퀴 동적 평형차는 주로 핸드 컨트롤(hand-control) 타입과 레그 컨트롤(leg-control) 타입의 두가지 차량 모델이 있다.
핸드 컨트롤 타입의 두바퀴 동적 평형차는 차체 상의 스티어링레버에 설치된 핸들 바에 대한 수동 조작을 통해 동적 평형차의 주행을 제어한다. 이러한 핸드 컨트롤 타입의 동적 평형차는 균형성을 유지하기 쉽고 라이더가 라이딩기술을 용이하게 장악할 수 있으므로 광범위하게 유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핸드 컨트롤 타입의 동적 평형차는 손에 대한 구속이 상당이 크며 두 손의 구속으로 인해 라이더로 하여금 라이딩과정에서 손으로 다른 일을 할 수 없게 한다. 그리고 스티어링레버가 상대적으로 길어서 타지 않은 상태에서 동적 평형차를 끌고 가기에는 불편하다.
레그 컨트롤 타입의 두바퀴 동적 평형차는 두 다리로 레그 컨트롤 레버에 설치된 레그제어패드를 클램핑하여 레그 컨트롤 레버를 제어함으로써 동적 평형차의 주행을 제어한다. 레그 컨트롤 타입의 두바퀴 동적 평형차의 한 가지 큰 특징은 두 손을 자유롭게 하여 차량이 라이딩하는 과정에서 라이더의 두 손은 다른 일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여유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레그 컨트롤 타입의 동적 평형차의 레그제어길이는 모두 유일하게 고정된 것인 바, 일정한 길이의 레그 컨트롤 레버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사람들에게만 적용될 수 있다. 이 외의 대부분 사람들은 신장, 체형 등 원인으로 통상적으로 차량을 라이딩할 수 없거나 라이딩과정에서 레그제어위치의 높이가 맞지 않아 승차감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타지 않은 상태에서, 다리로 제어하는데 적합한 길이인 레그 컨트롤 레버의 높이는, 라이더가 걸으면서 동적 평형차를 끌고 갈 경우에 손으로 끌고 가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라이더가 일반적으로 걷는 상황에서 동적 평형차를 편리하게 끌고 다닐 수가 없어서 야외에서의 라이딩에 아주 큰 불편함을 가져다 준다.
현재의 두바퀴 동적 평형차는 핸드 컨트롤과 풋 컨트롤 두가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야 하는데 야외에서 타는 과정에서 야외환경이 상대적으로 복잡하므로 어떤 곳은 핸들 바 조작을 사용하면 편리하고 어떤 곳은 다리의 컨트롤에 의하면 더욱 편리한데 이러한 상황에서 야외에서의 라이딩에 큰 불편함을 가져다 주게 된다. 라이더는 핸드 컨트롤 레버와 레그 컨트롤 레버를 동시에 갖고 있어야만 핸드 컨트롤과 레그 컨트롤 상황에 모두 대응할 수 있게 되며 핸드 컨트롤 레버를 탈착하고 레그 컨트롤 레버를 장착하거나 또는 레그 컨트롤 레버를 탈착하고 핸드 컨트롤 레버를 장착하여야 하며, 이는 외출에 아주 큰 불편함을 가져다 주며 경제적인 비용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핸드 컨트롤과 레그 컨트롤에 모두 적합하고 또한 비 라이딩 상태에서 끌고 다니기에 적합한 동시에 상이한 사람들의 조작에도 적합한 두바퀴 동적 평형차의 출현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 목적은 핸드 컨트롤과 레그 컨트롤에 동시에 적용될 수 있는 두바퀴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한 목적은 핸드 컨트롤과 레그 컨트롤에 모두 적합하고 또한 비 라이딩 상태에서 끌고 다니기에 적합한 동시에 상이한 사람들의 조작에도 적합한 두바퀴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해결수단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체와 상기 차체에 설치된 스티어링 기구를 포함하는 동적 평형차에 장착되고 제어기구는 로드 본체, 연결시트, 레그제어패드, 풀로드(pullrod) 및 핸들을 포함하는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에 있어서, 상기 로드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풀로드로 하여금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공간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로드 본체의 상단부가 상기 연결시트에 연결되고 상기 로드 본체의 하단부가 상기 스티어링 기구에 연결되며 상기 로드 본체가 회전할 때 상기 차체의 스티어링을 제어하도록 상기 스티어링 기구를 회전 구동시키고; 상기 연결시트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풀로드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진입하고 상기 레그제어패드는 상기 연결시트의 양측에 연결되며 상기 레그제어패드는 상기 로드 본체를 회전 구동시키고; 상기 풀로드는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공간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슬라이딩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제한되며 상기 핸들이 상기 풀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풀로드를 통해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로드 본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를 제공한다.
실시 가능한 한 형태에서, 상기 풀로드는 위치고정구조와 스토퍼 기구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제한되고 상기 위치고정구조와 상기 스토퍼 기구에 의해 상기 풀로드가 이탈되거나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매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 가능한 한 형태에서, 상기 위치고정구조는 상기 풀로드의 일단에 피복되는 스토퍼와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이격 설치되는 적어도 두개의 위치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스토퍼 커버, 스프링 및 스토퍼 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커버에는 오목홀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홀 내에는 스프링이 매설되며 상기 스프링에는 상기 스토퍼 비드가 안착되며, 상기 풀로드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스토퍼 비드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위치고정홀이 맞물리고 상기 풀로드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스토퍼 비드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위치고정홀이 맞물리며; 상기 스토퍼 기구는 상기 풀로드의 길이 방향에 형성된 요홈,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형성된 스토퍼 홀과 스토퍼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요홈은 상부 스토퍼단과 하부 스토퍼단을 구비하며 상기 풀로드가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스토퍼 기둥은 요홈의 상부 스토퍼단에 걸리고 상기 풀로드가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스토퍼 기둥은 요홈의 하부 스토퍼단에 걸린다.
실시 가능한 한 형태에서, 상기 로드 본체는 분리 설치된 상부 로드 본체와 하부 로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로드 본체에 대한 상기 상부 로드 본체의 높이는 조절 가능하며, 상기 제어기구는 일단이 상기 하부 로드 본체의 내부에 네스팅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 로드 본체의 내부에 네스팅되어 슬라이딩하게 설치되는 지지 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로드 본체는 상기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지지 로드를 따라 슬라이딩하고 상기 지지 로드에 제한된다.
실시 가능한 한 형태에서, 상기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는 풀로드 지지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풀로드 지지 커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 로드의 내부에 커버링되고 상기 풀로드 지지 커버의 상단과 상기 상부 로드 본체가 연결되며 상기 풀로드 지지 커버의 내부와 상기 지지 로드의 내부가 공동으로 상기 슬라이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풀로드는 상기 풀로드 지지 커버에 커버링되며 상기 슬라이딩 공간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실시 가능한 한 형태에서, 상기 풀로드 지지 커버 상단과 상기 상부 로드 본체는 스토퍼 기둥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상부 로드 본체가 상기 지지 로드를 따라 슬라이딩할 경우 상기 풀로드 지지 커버로 하여금 함께 슬라이딩하게 한다.
실시 가능한 한 형태에서, 상기 풀로드의 하단에는 스토퍼 커버가 피복되고 상기 스토퍼 커버에는 오목홀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홀 내에는 스프링이 매설되고 상기 스프링에는 스토퍼 비드가 안착되며 상기 풀로드 지지 커버에는 이격 설치된 적어도 두개의 위치고정홀이 설치되며, 상기 풀로드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풀로드를 상기 제1 위치에 제한시키기 위해 상기 스토퍼 비드와 상기 풀로드 지지 커버의 최하단의 위치고정홀이 맞물리고, 상기 풀로드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풀로드를 제2 위치에 제한시키기 위해 상기 스토퍼 비드와 상기 풀로드 지지 커버의 최상단의 위치고정홀이 맞물리며, 상기 풀로드에는 길이 방향에 스토퍼단을 가지는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풀로드 지지 커버와 상기 상부 로드 본체에는 스토퍼 홀이 형성되며, 상기 풀로드가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스토퍼 기둥은 상기 스토퍼 홀을 통해 요홈의 상부 스토퍼단에 걸리고 상기 풀로드가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스토퍼 기둥은 상기 스토퍼 홀을 통해 요홈의 하부 스토퍼단에 걸린다.
실시 가능한 한 형태에서 상기 지지 로드와 상기 상부 로드 본체가 연결된 일단에는 제1 스토퍼 커버가 피복되고 상기 상부 로드 본체의 하단에는 제2 스토퍼 커버가 네스팅되어 상기 제1 스토퍼 커버의 하단면과 상기 제2 스토퍼 커버의 상단면의 맞물림을 통해 상기 상부 로드 본체가 상기 지지 로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 가능한 한 형태에서 상기 상부 로드 본체와 상기 지지 로드 사이는 잠금 어셈블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잠금 어셈블리가 해제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상부 로드 본체는 상기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지지 로드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상기 잠금 어셈블리가 잠금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상부 로드 본체는 상기 지지 로드에 고정된다.
실시 가능한 한 형태에서 상기 잠금 어셈블리는 잠금 시트, 상기 잠금 시트에 안치되는 시트 및 잠금너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상부 로드 본체에는 상기 잠금 시트를 장착하는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잠금 시트에는 상기 잠금너트를 장착하는 장착홀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1)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구는 동적 평형차의 스티어링을 실현하는 로드 본체에 레그 조작을 위한 레그제어패드와 핸드 조작을 위한 핸들을 설치하므로 레그 조작에 의한 스티어링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핸드 조작에 의한 스티어링도 실현할 수 있고 또한 여러가지 스티어링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2)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구의 로드 본체의 높이는 조절 가능하므로 상이한 키높이의 사람들의 라이딩에 적합하고 경제적이고 실용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핸드 조작이 필요하지 않는 상황에서 핸들과 연결된 풀로드를 로드 본체에 감추면 되므로 스티어링에 대한 레그 컨트롤에 영향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체의 미관에도 영향주지 않으며 핸드 조작이 필요하지 않는 상황에서 풀로드를 핸드 조작에 적합한 높이까지 당기면 된다. 그리고 라이딩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풀로드를 인체의 일반적인 직행에 적합한 높이까지 당겨내여 차량을 끌고 다니기에 편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구는 야외 라이딩에 편리하고 상이한 조작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어 외출비용을 절약하게 된다.
상술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개요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욱 뚜렷이 요해하기 위하여 명세서의 내용에 따라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더욱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아래에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욱 뚜렷이 하기 위하여 아래에는 실시예에 사용된 도면을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아래 설명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창조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는 전제에서 이러한 도면에 근거하여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어기구의 구조모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의 제어기구의 구조모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의 제어기구의 분해모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의 제어기구의 다른 한 구조모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의 제어기구의 다른 한 구조모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어기구가 동적 평형차 차체에 장착된 구조모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어기구가 동적 평형차 차체에 장착된 다른 한 구조모식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어기구가 장착된 일 실시예의 동적 평형차 차체의 구조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개시한 예시적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비록 도면에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를 표시하였으나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형식으로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이러한 실시예를 제공하는 것은 더욱 확실하게 본 발명을 이해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완전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구는 동적 평형차의 차체, 특히 두바퀴 동적 평형차에 장착되기 위한 것으로서 차체의 스티어링 기구와 연결되어 차체의 주행을 제어하고 라이딩 상태에서의 스티어링과 비 라이딩 상태에서의 드래그를 포함하는데 이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어기구의 일단은 차체 프레임 또는 차체의 다른 위치에 직접적으로 고정되고 차체 프레임에는 바퀴가 고정되며 차체 프레임의 양측에는 휠 커버가 설치되고 타이어 휠 또는 휠 커버에는 제어 어셈블리와 전원 어셈블리가 설치되는데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착된 차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데 차체는 선행기술에서 공개한 차체구조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국 특허출원번호 201210421265.X, 공개일 2013년1월16일; 출원번호 201410385053.X, 공개일 2014년10월29일; 및 출원번호 201320666169.1, 공개일 2014년5월21일에 공개한 차체구조일 수 있는데 여기에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구는 라이딩 상황에 근거하여 상이한 조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라이더는 레그(leg)를 통해 조작하여 차체의 스티어링을 제어할 수 있고 핸드 조작을 통해 차체 스티어링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비 라이딩 상태에서 제어기구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편하게 차체를 드래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실시예의 제어기구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1
도 1은 본 실시예의 제어기구의 구조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구는 로드 본체(1), 연결시트(2), 레그제어패드(3), 풀로드(4) 및 핸들(5)을 포함할 수 있다.
로드 본체(1)는 중공구조일 수 있는데 내부에 풀로드(4)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공간(미도시)이 형성되고 슬라이딩 공간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미도시)를 구비하며 로드 본체(1)의 상단부와 연결시트(2)는 서로 연결되고 로드 본체(1)의 하단부와 차체(20)의 스티어링 기구는 서로 연결되며(도 6과 도 7을 참조) 로드 본체(1)가 회전할 경우 차체(20)의 스티어링을 제어하도록 스티어링 기구를 회전 구동시킨다. 제1 위치는 풀로드(4)가 신축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경우 풀로드(4)의 최하단과 슬라이딩 공간이 접촉하는 위치일 수 있고 제2 위치는 풀로드(4)가 완전히 신축된 상태에 있을 경우, 즉 풀로드(4)가 극한 위치까지 인장되었을 경우 풀로드(4) 최하단과 슬라이딩 공간이 접촉하는 위치인데, 다시 말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는 각각 풀로드(4)를 아래와 위로 밀어 도달할 수 있는 극한위치이다. 미관성과 조작 가능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로드 본체(1)의 하단은 다소 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단은 스트레이트 구조일 수 있다.
연결시트(2)는 나사못을 통해 풀로드(4)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고 연결시트(2)의 양측에는 두개의 레그제어패드(3)가 고정 연결된다. 레그제어패드(3)는 두 다리의 내측으로 클램핑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리에 의해 레그제어패드(3)를 클램핑할 수 있으며 로드 본체(1)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차체(20)의 스티어링을 제어할 수 있다. 연결시트(2)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풀로드(4)는 상기 개구를 통해 슬라이딩 공간에 진입할 수 있다.
풀로드(4)는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수용되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슬라이딩 공간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슬라이딩 공간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슬라이딩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공간에 제한된다. 풀로드(4)는 스토퍼기구에 의해 슬라이딩 공간에 제한되어 풀로드(4)로 하여금 슬라이딩 공간에 매입되거나 슬라이딩 공간을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 예시적 구조에서는 풀로드(4)의 하단에 스토퍼를 커버링하고 슬라이딩 공간에서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간격에 약간의 스토퍼 홀을 설치한다. 스토퍼는 스토퍼 커버, 스프링 및 스토퍼 비드(도 3의 도면부호 13, 18 및 19에 도시된 구조를 참조할 수 있음)를 포함하고 스토퍼 커버에는 오목홀이 형성되며 오목홀 내에는 스프링이 매설되고 스프링에는 스토퍼 비드가 안착된다. 풀로드(4)가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스토퍼 비드는 제1 위치의 스토퍼 홀에 임베딩(embedding)되어 상기 스토퍼 홀과 맞물리고 풀로드(4)가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스토퍼 비드는 제2 위치의 스토퍼 홀에 임베딩되어 상기 스토퍼 홀과 맞물림으로써 풀로드(4)를 슬라이딩 공간에 고정시킨다. 풀로드(4)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할 경우 인장력의 작용을 받으므로 스토퍼 비드는 스프링을 압출하고 오목홀을 수축시키며 풀로드(4)가 원하는 높이까지 인장될 경우 인장력을 제거하며 스토퍼 비드는 스프링의 작용하에 슬라이딩 공간의 내벽과 접촉하여 풀로드(4)의 고정을 이루게 된다. 즉 스토퍼 비드는 한편으로는 스토퍼로 작용하게 되고 다른 한 편으로는 풀로드(4)를 가이드하여 슬라이딩 공간에서 슬라이딩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다수의 스토퍼 홀을 설치하므로 풀로드(4)를 상이한 높이까지 인장하여 상이한 키높이의 사람들의 풀로드 높이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 외에 풀로드(4)가 충분히 길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풀로드(4)는 매듭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풀로드(4)는 제1 풀로드 및 제1 풀로드에 네스팅된 제2 풀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풀로드(4)의 인출 길이와 로드 본체(1)의 높이 및 차체 자체의 높이의 합은 일반적인 신장을 가진 사람들에게 적합하다.
스토퍼 비드와 스프링은 활동적으로 연결되므로 비교적 큰 인장력을 인가할 경우 스토퍼 비드와 스토퍼 홀의 맞물림이 이탈되는데 이렇게 되면 풀로드(4)는 슬라이딩 공간에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으므로 풀로드(4)가 슬라이딩 공간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구조를 설치할 수 있다. 풀로드(4)가 슬라이딩 공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그 어떤 구조도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간단한 이탈방지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 구조에 근거하면 풀로드(4)의 길이 방향에는 스토퍼 단의 긴 요홈이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딩 공간에서의 제2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즉 로드 본체(1)에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는 바, 그 다음 상기 통공을 통해 스토퍼 기둥(스토퍼 핀)을 삽입할 수 있고 스토퍼 기둥은 요홈에 위치하며 스토퍼 기둥과 요홈의 배합에 의한 구조는 구조가 간단하고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로드 본체(1)의 상단에는 연결시트(2)가 고정 연결되고, 즉 연결시트(2)는 스토퍼 기둥을 커버하며 이렇게 풀로드(4)를 위로 인출할 경우 스토퍼 기둥은 요홈을 경유하게 되는데 풀로드(4)가 제2 위치에 있을 경우 스토퍼 기둥과 요홈의 하부 스토퍼 단이 맞물리고, 즉 요홈의 최하단에 맞물리게 되어 풀로드(4)에 대해 구속력을 형성하여 풀로드(4)가 슬라이딩 공간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풀로드(4)가 제1 위치에 있을 경우 스토퍼 기둥은 요홈의 최상단에 맞물려 풀로드(4)에 대해 구속력을 형성하여 풀로드(4)가 슬라이딩 공간에 매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핸들(5)은 풀로드(4)의 상단에 머프 커플링되고 핸들(5)을 조작함으로써 풀로드(4)를 가이드하여 슬라이딩 공간에서 슬라이딩하게 한다. 핸들(5)을 조작하여 로드 본체(1)가 회전하게 하고 핸들(5)은 손으로 잡거나 또는 밀고 당기는데 적합한 형상일 수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핸들(5)의 형상은 밀고 당기는데 적합한 형상이다. 핸들(5)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핸들(5)을 두개의 레그제어패드(3) 사이의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다. 핸들(5)이 두 손으로 잡기에 적합한 형상일 경우, 예를 들어 일자형 형상일 경우 핸들(5)을 사용하게 되면 풀로드(4)를 인출한 후 시계방향 또는 역시계방향으로 핸들(5)을 회전시켜 핸들(5)이 라이더가 잡기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로드 본체(1)와 풀로드(4)의 형상을 한정하지 않았는데 예를 들어 로드 본체(1)와 풀로드(4)의 단면형상은 삼각형, 원형, 프리즘형, 사각형 등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어기구에 근거하면 레그 컨트롤과 핸드 컨트롤 기능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어기구를 사용할 경우 잠금기구를 통해 조립을 완성한 제어기구를 차체(20)에 장착시킨다. 예를 들어 잠금너트 또는 맞물림구조(21)를 통해 제어기구를 차체(20)에 장착할 수 있다. 야외에서 라이딩할 경우 레그 조작이 필요하면 풀로드(4)를 제일 아래까지 당기고 핸들(5)을 레그제어패드(3)에 형성된 공간에 안착시키며 핸들(5) 조작으로 변경시킬 경우 핸들(5)을 당겨 풀로드(4)를 잡거나 끌기에 적합한 높이까지 당기면 된다.
실시예2
본 실시예의 제어기구와 실시예 1의 제어기구는 대략적으로 같은 구조를 가지는데 상이한 점은 본 실시예의 제어기구의 로드 본체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에의 제어기구의 구조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구는 로드 본체, 연결시트(2), 레그제어패드(3), 풀로드(4) 및 핸들(5)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시트(2), 레그제어패드(3) 및 핸들(5)의 구조는 실시예1에서 설명한 구조과 같으므로 여기서 더이상 설명하지 않고 관련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로드 본체는 분리 설치된 상부 로드 본체(9)와 하부 로드 본체(6)를 포함하는데 상부 로드 본체(9)와 하부 로드 본체(6) 사이의 높이는 조절될 수 있다. 상부 로드 본체(9)와 하부 로드 본체(6) 사이에는 지지 로드(7)가 네스팅 되는데 지지 로드(7)의 일단은 하부 로드 본체(6)의 내부에 네트팅되어 고정되며 타단은 상부 로드 본체(9)의 내부에 네스팅되어 슬라이딩하고 상부 로드 본체(9)는 지지 로드(7)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부 로드 본체(9)와 하부 로드 본체(6) 사이의 높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지지 로드(7)에 제한된다. 미관성과 조작 가능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하부 로드 본체(6)는 다소 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 로드 본체(9)는 스트레이트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분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로드 본체(6)의 상단에는 고정 슬리브(10)가 피복되고 지지 로드(7)의 하단은 고정 슬리브(10)에 커버링되어 하부 로드 본체(6)와 연결되며 나사못을 통해 지지 로드(7)를 하부 로드 본체(6)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부 로드 본체(9)의 하단에는 제2 고정 슬리브(16)가 피복되고 지지 로드(7)의 상단에는 제1 고정 슬리브(11)가 피복되며 지지 로드(7)가 상부 로드 본체(9) 상단에 커버링된 후 제1 고정 슬리브(11)의 하단면과 제2 고정슬리브(16)의 상단면이 서로 맞물리고 제2 고정 슬리브(16)의 상단면은 지지 로드(7)가 상부 로드 본체(9)를 통과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상부 로드 본체(9)와 지지 로드(7)의 이탈을 방지한다. 잠금 어셈블리(8)을 통해 상부 로드 본체(9)를 지지 로드(7)에 위치시키고 잠금 어셈블리(8)가 해제상태에 있을 경우 상부 로드 본체(9)는 상부 로드 본체(9)와 하부 로드 본체(6)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지지 로드(7)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잠금 어셈블리(8)가 잠금상태에 있을 경우 상부 로드 본체(9)는 지지 로드(7)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예시적인 구조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어셈블리(8)은 잠금 시트(14), 시트 및 잠금 너트(15)를 포함할 수있다. 잠금 시트(14)에는 너트(15)를 장착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잠금 시트(14)가 상부 로드 본체(9) 내부를 향하는 일단에는 시트를 안착시키는 오목홀이 형성되며 오목홀은 상기 통공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부 로드 본체(9)의 하단에는 잠금 시트(14)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홀이 설치되며 상기 시트와 제2 고정 슬리브(16)의 측면은 접촉한다. 상부 로드 본체(9)가 지지 로드(7)의 필요한 높이까지 슬라이딩할 경우 잠금 너트(15)를 바짝 쪼이고 너트(15)는 시트를 통해 제2 고정 슬리브(16)의 측면과 받침 연결되어 상부 로드 본체(9)와 지지 로드(7) 사이의 고정을 실현한다. 고정슬리브(10), 제1 고정슬리브(11), 제2 고정슬리브(16)은 플라스틱 재질 일 수 있다. 고정 슬리브에 의해 상부 로드 본체(9)와 지지 로드(7) 사이의 제한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제한 방식은 조작이 편리하고 제작이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풀로드(4)는 연장 로드, 예를 들어 풀로드 지지 커버(12)를 통해 슬라이딩 공간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풀로드 지지 커버(12)의 넓이는 지지 로드(7)의 넓이보다 작고 풀로드(4)의 넓이보다 넓다. 풀로드 지지 커버(12)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 로드(7)의 내부에 커버링되고 풀로드 지지 커버(12)와 지지 로드(7)의 내부 공간은 공동으로 풀로드(4)가 슬라이딩할 수 있는 슬라이딩 공간을 형성한다. 풀로드(4)는 스토퍼 기구를 통해 슬라이딩 공간에 제한되어 풀로드(4)가 슬라이딩 공간에 매입되거나 슬라이딩 공간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풀로드(4)의 일단에 상기 실시예1에서 설명한 스토퍼를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스토퍼는 스토퍼 커버(13), 스프링(19) 및 스토퍼 비드(18)를 포함하고 스토퍼 커버(13)에는 오목홀이 형성되며 오목홀에는 스프링(19)이 매설되고 스프링(19)에는 스토퍼 비드(볼)18가 안착될 수 있다. 풀로드 지지 커버(12)에는 약간의 스토퍼 홀이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3개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지면을 기준으로 풀로드 지지 커버의 길이방향에 따라 배열하며 차례로 제1 스토퍼 홀, 제2 스토퍼 홀 및 제3 스토퍼 홀이라 부른다. 풀로드(4)가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스토퍼 비드(18)는 제1 스토퍼 홀에 임베딩 되고 상기 스토퍼 홀과 맞물려 풀로드(4)를 슬라이딩 공간에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3 스토퍼 홀은 스토퍼 기둥(17)을 통과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스토퍼 기둥(17)을 통해 풀로드(4)가 슬라이딩 공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풀로드(4)에는 실시예1과 같은 요홈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풀로드 지지 커버(12)는 상부 로드 본체(9)를 따라 함께 운동할 수 있는데 그들 사이는 스토퍼 기둥(17)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로드 본체(9)에는 제3 스토퍼 홀과 서로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스토퍼 기둥(17)은 통공, 제3 스토퍼 홀을 통과하여 요홈에 진입함으로써 풀로드 지지 커버(12)와 상부 로드 본체(9)를 연결시키며 상부 로드 본체(9)가 지지 로드(7)에 따라 슬라이딩할 경우 풀로드 지지 커버(12)는 상부 로드 본체(9)를 따라 함께 운동, 즉 풀로드 지지 커버(12)는 상부 로드 본체(9)에 대해 정지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렇게 되면 스토퍼 기둥(17)은 풀로드 지지 커버(12)를 상부 로드 본체(9)에 고정시켜 슬라이딩 공간을 형성하는 작용을 함과 동시에 풀로드(4)가 슬라이딩 공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본 실시예의 제어기구에 근거하면 레그 제어와 핸드 제어의 기능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어기구를 사용할 경우 잠금기구를 통해 조립을 마친 제어기구를 차체(20)에 장착시킨다. 예를 들어 잠금너트 또는 맞물림구조(21)를 통해 제어기구를 차체(2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야외에서 라이딩 할 경우 레그 조작이 필요하면 풀로드(4) 을 제일 아래까지 당기고 핸들(5)을 레그제어패드(3)에 형성된 공간에 안착시키는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핸들(5) 조작으로 변경시킬 경우 핸들(5)을 당겨 풀로드(4)를 잡거나 끌기에 적합한 높이까지 당기면 되고 또 로드 본체 높이를 동시에 조절하여 상이한 높이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외에 상이한 레그 제어 높이가 필요할 경우 로드 본체 높이를 조절하여 상부 로드 본체(9)로 하여금 지지 로드(7)를 따라 적당한 높이까지 슬라이딩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렇게 되면 상이한 신장을 가진 사람들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실시예의 제어기구가 장착된 두바퀴 동적 평형차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로드 본체 높이와 풀로드 길이를 동시에 조절한 모식도이고 도 7은 로드 본체 높이와 풀로드 길이를 조절하지 않은 모식도이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약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밝힌 형식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를 배제하는 것으로 간주하지 말아야 하며 여러가지 다른 조합, 수정 및 환경에 사용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발명의 구성범위에서 상기 가르침 또는 관련 기술분야의 기술 또는 지식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진행한 수정 및 변화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본 발명에 첨부한 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Claims (10)

  1. 차체와 상기 차체에 설치된 스티어링 기구를 포함하는 동적 평형차에 장착되고 제어기구는 로드 본체, 연결시트, 레그제어패드, 풀로드 및 핸들을 포함하는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에 있어서,
    상기 로드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풀로드로 하여금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공간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로드 본체의 상단부가 상기 연결시트에 연결되고, 상기 로드 본체의 하단부가상기 스티어링 기구에 연결되며, 상기 로드 본체가 회전할 때 상기 차체의 방향 전환을 제어하도록 상기 스티어링 기구를 회전 구동시키고;
    상기 연결시트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풀로드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진입하고, 상기 레그제어패드는 상기 연결시트의 양측에 연결되며 상기 레그제어패드는 상기 로드 본체를 회전 구동시키며;
    상기 풀로드는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공간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슬라이딩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제한되며 상기 핸들은 상기 풀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풀로드를 통해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로드 본체를 회전 구동시키며,
    상기 풀로드는 위치고정구조와 스토퍼 기구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제한되고 상기 위치고정구조와 상기 스토퍼 기구에 의해 상기 풀로드가 이탈되거나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매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위치고정구조는 상기 풀로드의 일단에 피복되는 스토퍼와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이격 설치되는 적어도 두개의 위치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스토퍼 커버, 스프링 및 스토퍼 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커버에는 오목홀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홀 내에는 스프링이 매설되며, 상기 스프링에는 상기 스토퍼 비드가 안착되며, 상기 풀로드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스토퍼 비드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위치고정홀이 맞물리고 상기 풀로드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스토퍼 비드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위치고정홀이 맞물리며;
    상기 스토퍼 기구는 상기 풀로드의 길이 방향에 형성된 요홈,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형성된 스토퍼 홀과 스토퍼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요홈은 상부 스토퍼단과 하부 스토퍼단을 구비하며 상기 풀로드가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스토퍼 기둥은 요홈의 상부 스토퍼단에 걸리고 상기 풀로드가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스토퍼 기둥은 요홈의 하부 스토퍼단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
  2. 삭제
  3. 삭제
  4. 차체와 상기 차체에 설치된 스티어링 기구를 포함하는 동적 평형차에 장착되고 제어기구는 로드 본체, 연결시트, 레그제어패드, 풀로드 및 핸들을 포함하는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에 있어서,
    상기 로드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풀로드로 하여금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공간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로드 본체의 상단부가 상기 연결시트에 연결되고, 상기 로드 본체의 하단부가상기 스티어링 기구에 연결되며, 상기 로드 본체가 회전할 때 상기 차체의 방향 전환을 제어하도록 상기 스티어링 기구를 회전 구동시키고;
    상기 연결시트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풀로드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진입하고, 상기 레그제어패드는 상기 연결시트의 양측에 연결되며 상기 레그제어패드는 상기 로드 본체를 회전 구동시키며;
    상기 풀로드는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공간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슬라이딩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제한되며 상기 핸들은 상기 풀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풀로드를 통해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로드 본체를 회전 구동시키며,
    상기 로드 본체는 분리 설치된 상부 로드 본체와 하부 로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로드 본체에 대한 상기 상부 로드 본체의 높이는 조절 가능하며,
    상기 제어기구는 일단이 상기 하부 로드 본체의 내부에 네스팅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 로드 본체의 내부에 네스팅되어 슬라이딩하게 설치되는 지지 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로드 본체는 상기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지지 로드를 따라 슬라이딩하고 상기 지지 로드에 제한되며,
    풀로드 지지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풀로드 지지 커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 로드의 내부에 커버링되고, 상기 풀로드 지지 커버의 상단이 상기 상부 로드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풀로드 지지 커버의 내부와 상기 지지 로드의 내부가 공동으로 상기 슬라이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풀로드는 상기 풀로드 지지 커버에 커버링되어 상기 슬라이딩 공간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풀로드 지지 커버 상단과 상기 상부 로드 본체는 스토퍼 기둥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상부 로드 본체가 상기 지지 로드를 따라 슬라이딩할 경우 상기 풀로드 지지 커버로 하여금 함께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풀로드의 하단에는 스토퍼 커버가 피복되고 상기 스토퍼 커버에는 오목홀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홀 내에는 스프링이 매설되고 상기 스프링에는 스토퍼 비드가 안착되며, 상기 풀로드 지지 커버에는 이격 설치된 적어도 두개의 위치고정홀이 설치되며, 상기 풀로드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풀로드를 상기 제1 위치에 제한시키기 위해 상기 스토퍼 비드와 상기 풀로드 지지 커버의 최하단의 위치고정홀이 맞물리고, 상기 풀로드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풀로드를 제2 위치에 제한시키기 위해 상기 스토퍼 비드와 상기 풀로드 지지 커버의 최상단의 위치고정홀이 맞물리며,
    상기 풀로드에는 길이 방향에 스토퍼단을 가지는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풀로드 지지 커버와 상기 상부 로드 본체에는 스토퍼 홀이 형성되며, 상기 풀로드가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스토퍼 기둥은 상기 스토퍼 홀을 통해 요홈의 상부 스토퍼단에 걸리고, 상기 풀로드가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스토퍼 기둥은 상기 스토퍼 홀을 통해 요홈의 하부 스토퍼단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로드와 상기 상부 로드 본체가 연결된 일단에는 제1 고정슬리브가 피복되고, 상기 상부 로드 본체의 하단에는 제2 고정슬리브가 네스팅되어 상기 제1 고정슬리브의 하단면과 상기 제2 고정슬리브의 상단면의 맞물림을 통해 상기 상부 로드 본체가 상기 지지 로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로드 본체와 상기 지지 로드 사이는 잠금 어셈블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잠금 어셈블리가 해제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상부 로드 본체는 상기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지지 로드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상기 잠금 어셈블리가 잠금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상부 로드 본체는 상기 지지 로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어셈블리는 잠금 시트, 상기 잠금 시트에 안치되는 시트 및 잠금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로드 본체에는 상기 잠금 시트를 장착하는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잠금 시트에는 상기 잠금너트를 장착하는 장착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
KR1020177035925A 2015-05-13 2016-05-10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 KR101929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20304843.0U CN204642031U (zh) 2015-05-13 2015-05-13 动平衡车用操控机构
CN201520304843.0 2015-05-13
PCT/CN2016/081582 WO2016180322A1 (zh) 2015-05-13 2016-05-10 动平衡车用操控机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961A KR20180013961A (ko) 2018-02-07
KR101929833B1 true KR101929833B1 (ko) 2018-12-18

Family

ID=54094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925A KR101929833B1 (ko) 2015-05-13 2016-05-10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296188A4 (ko)
KR (1) KR101929833B1 (ko)
CN (1) CN204642031U (ko)
WO (1) WO20161803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642031U (zh) * 2015-05-13 2015-09-16 纳恩博(北京)科技有限公司 动平衡车用操控机构
CN206049902U (zh) * 2016-08-31 2017-03-29 纳恩博(常州)科技有限公司 一种腿控平衡车及平衡车腿控机构
WO2018040087A1 (zh) * 2016-09-05 2018-03-08 尚艳燕 一种电动平衡车
CN109178177B (zh) * 2018-10-31 2020-08-25 深圳市未来狗科技有限公司 一种多模转向自平衡电动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79697U (zh) * 2012-09-27 2013-04-17 仙居县威隆能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自平衡交通机器人
CN104118508A (zh) * 2014-08-06 2014-10-29 东莞易步机器人有限公司 平衡车
CN204077970U (zh) * 2014-06-30 2015-01-07 纳恩博(天津)科技有限公司 动平衡车使用的腿控操纵机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1842A1 (en) * 2007-11-05 2009-05-14 Seg Saddle, Llc Improvements in dynamic balancing personal vehicle
CA2737633A1 (en) * 2011-04-19 2012-10-19 Brendan W. Malone Manually propelled scooter
CN202272121U (zh) * 2011-11-01 2012-06-13 童子海 一种四轮平衡脚踏车
CN202847921U (zh) * 2012-09-12 2013-04-03 赵以宝 一种可折叠成箱体的电动自平衡车
CN203318594U (zh) * 2013-05-27 2013-12-04 陈和 站立式无把手的两轮自平衡电动车
CN203381739U (zh) * 2013-05-28 2014-01-08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两轮自平衡电动车
CN103407528A (zh) * 2013-07-24 2013-11-27 钟淑娣 一种带可收合手把的自平衡电动独轮车
CN204642031U (zh) * 2015-05-13 2015-09-16 纳恩博(北京)科技有限公司 动平衡车用操控机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79697U (zh) * 2012-09-27 2013-04-17 仙居县威隆能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自平衡交通机器人
CN204077970U (zh) * 2014-06-30 2015-01-07 纳恩博(天津)科技有限公司 动平衡车使用的腿控操纵机构
CN104118508A (zh) * 2014-08-06 2014-10-29 东莞易步机器人有限公司 平衡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6188A4 (en) 2018-06-27
EP3296188A1 (en) 2018-03-21
WO2016180322A1 (zh) 2016-11-17
CN204642031U (zh) 2015-09-16
KR20180013961A (ko)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833B1 (ko) 동적 평형차용 제어기구
US9771120B2 (en) Scooter
US9896148B2 (en) Collapsible two-wheeled vehicle
US9452641B2 (en) Recreational vehicle
US20180022413A1 (en) Toddler bike
TWI520872B (zh) 兩種位置之控制裝置
KR101531279B1 (ko) 시트각도 보정 장치를 갖는 전동카
WO2017123158A2 (en) Convertible scooter
KR101731069B1 (ko) 무게부담을 저감시킨 손수레
JP2007521176A (ja) 子供用座席及び伸縮自在に調節可能な足支持具
KR200477077Y1 (ko) 자전거 안장 이탈 방지 장치
KR200421626Y1 (ko) 손수레제동장치
US10966896B2 (en) Rollator braking system
JP3221220U (ja) 反転可能な伸縮式のシートピラー
EP1897795B1 (en) Hand brake for motorcycles
JP2010526717A (ja) 単線式車両のシート用の安全ロック制御装置
KR102099001B1 (ko) 돌발상황 발생시 핸들이 꺾임 되지 않게 하는 킥보드의 댐퍼.
US20090184483A1 (en) Multi-rider scooter
KR101917796B1 (ko) 자전거 안장의 각도 조절장치
KR101727023B1 (ko) 자전거 안장 승강장치
JP2015070909A (ja) 車椅子
CN213109650U (zh) 一种折叠式平衡车
US11358666B2 (en) Adjustable seat accessory
KR200432616Y1 (ko) 자전거 스탠드
JP3215223U (ja) キックスケーターの折り畳み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