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254B1 - 하강 및 상승하는 에스컬레이터에 탑재되도록 형성된 운반 수단용 추락 억제 장치 - Google Patents

하강 및 상승하는 에스컬레이터에 탑재되도록 형성된 운반 수단용 추락 억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254B1
KR100284254B1 KR1019980036941A KR19980036941A KR100284254B1 KR 100284254 B1 KR100284254 B1 KR 100284254B1 KR 1019980036941 A KR1019980036941 A KR 1019980036941A KR 19980036941 A KR19980036941 A KR 19980036941A KR 100284254 B1 KR100284254 B1 KR 100284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engagement member
cart body
escalato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624A (ko
Inventor
야스히코 에구치
도루 가케히
헤이지 후쿠타케
Original Assignee
아다치 마사루
가부시키가이샤 에쿠세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4308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7890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4308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78904A/ja
Application filed by 아다치 마사루, 가부시키가이샤 에쿠세디 filed Critical 아다치 마사루
Publication of KR19990029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2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62B5/021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specially adapted for esca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강 및 상승하는 에스컬레이터에 탑재되도록 형성된 운반 수단용 추락 억제 장치를 개시한다. 상승 및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카트에 제공되는 추락 억제 장치(fall suppressing device)는 맞물림 부재 및 오일 댐퍼를 포함한다. 맞물림 부재는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카트에 결합되고, 바퀴가 상측 계단으로부터 추락하는 경우 상측 계단과 맞물린다. 오일 댐퍼는 카트 몸체 및 맞물림 부재 간의 상대적인 이동 속도를 감쇠시킨다.

Description

하강 및 상승하는 에스컬레이터에 탑재되도록 형성된 운반 수단용 추락 억제 장치
본 발명은 하강 및 상승하는 에스컬레이터에 탑재되도록 형성된 운반 수단(vehicle)에 사용되는 추락 억제 장치(fall suppressing devic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공항의 에스컬레이터 계단 상으로 이동되어 에스컬레이터의 계단 상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카트(cart)용 추락 억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항과 같은 거대한 수송 센터에서, 통상적으로 카트(handcarts or pushcarts)가 제공되어 여행 가방 및 더플백(duffle bag)과 같은 대량의 수하물을 운반한다. 여행자는 공항 주변을 이동하는 경우 그들의 수하물을 카트에 올려놓는다. 공항에는 많은 에스컬레이터가 있으므로, 카트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카트와 함께 에스컬레이터로 오르내릴 수 있다면 매우 편리할 것이다.
그러나, 에스컬레이터의 중간 부분에서, 에스컬레이터는 최대 경사를 갖게 되므로 인접한 계단들 사이의 레벨차 또는 높이 차가 크다. 따라서, 에스컬레이터의 경사 부분 상에 있는 카트는 카트가 에스컬레이터 상에 적절하게 위치되지 않을 경우에 중력으로 인해 에스컬레이터에 대해 움직이기 시작하여 추락할 수 있다. 카트의 이러한 이동은 에스컬레이터의 경사진 구조로 인해 피하기 어렵다.
카트의 추락을 방지하는 방식으로서, 카트에는 카트가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경사지는 경우 에스컬레이터의 하나 이상의 계단에 접촉할 수 있는 추락 억제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카트의 바퀴가 계단의 후방 에지(rear edges) 상에 있을 경우, 카트는 카트가 경사지는 경우에 계단으로부터 추락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추락 억제 부재는 결국 인접한 하측 계단에 접촉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추락 억제 부재가 설치된 카트가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6-60576호(1994)에 개시되어 있다.
계속 추락하는 것을 억제하는 추락 억제 부재가 구비된 상기 카트에 있어서도,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확실하게 추락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카트가 에스컬레이터 상에 있는 경우 카트를 제동시키는 수단이 카트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6-60576호(1994)에 개시되어 있는 카트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항의 카트는 카트 핸들의 수직 동작으로 제어되는 브레이크가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핸들이 수직 중간 위치로 복귀되거나 또는 해제되면, 브레이크가 작동된다. 핸들이 위로 또는 아래로 이동되면,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따라서, 카트를 에스컬레이터 상으로 이동시킨 후 사용자(operator)는 핸들을 중간 위치로 복귀시키거나 또는 핸들을 해제시켜, 카트가 에스컬레이터 상에 있지 않은 경우에 해제된 상태로 있던 브레이크를 작동시켜야 한다.
그러나, 에스컬레이터의 구조로 인하여 카트가 인접한 계단으로 추락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카트가 추락하는 경우, 사용자는 흔히 무의식적으로 카트 핸들을 잡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핸들이 중간 위치로부터 위로 또는 아래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가 해제될 수 있다. 특히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카트가 경사지게 되므로 핸들을 중간 위치에서 계속 잡고 유지하는 경우에 작동되는 브레이크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카트가 상승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경사지는 경우, 핸들은 사용자 쪽으로 이동한다. 카트가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경사지는 경우, 핸들은 사용자로부터 멀어진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계단 상에서 이동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핸들을 해제하지 않으면 브레이크는 해제되기가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트가 이동하는 에스컬레이터에 탑재된 경우에 카트의 이동을 제한하고 또한 카트가 움직이는 에스컬레이터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수하물의 이동을 억제하는 수단을 갖는 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승 및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 탑재되도록 형성된 운반 수단용 추락 억제 장치는 상기 운반 수단 상에 지지되는 맞물림 부재(engagement member)를 포함한다.
맞물림 부재는 운반 수단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에스컬레이터의 상측 계단으로부터 에스컬레이터의 하측 계단으로 추락하는 운반 수단의 바퀴에 응답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상측 계단과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운반 수단과 맞물림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감쇠시키도록 댐퍼가 운반 수단과 맞물림 부재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락 억제 장치는 맞물림 부재를 운반 수단에 결합시키는 암(arm)을 추가로 포함하여 맞물림 부재가 암 및 운반 수단 상에서 정해지는 조인트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태의 경로를 따라 운반 수단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 상으로 이동된 후 상승 및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 탑재되도록 형성된 카트는 카트 몸체(cart body)와 이 카트 몸체의 하부 부분에서 지지되는 복수의 바퀴들을 포함한다. 추락 억제 장치는 제 1 맞물림 부재 및 댐퍼를 포함한다. 제 1 맞물림 부재는 카트 몸체에 대해 회동되는 바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후방 측에 인접한 카트 몸체에 결합된다. 제 1 맞물림 부재는 일반적으로 바닥(floor)과 수평 접촉(level contact)하는 바퀴들로 인하여 바닥으로부터 약간 이격되는 위치로 편향된다. 댐퍼는 카트 몸체에 대한 제 1 맞물림 부재의 감쇠 동작을 위해 카트 몸체와 제 1 맞물림 부재 사이에서 작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트는 카트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암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 1 맞물림 부재는 제 1 암의 종단부(distal end)에 고정되어 제 1 맞물림 부재가 카트 몸체에 대해 제 1 암의 회동에 의해 정해지는 원호-형태의 경로를 따라 카트 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추락 억제 장치는 제 2 맞물림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맞물림 부재는 카트 몸체에 대해 회동하는 바퀴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전방 측에 인접한 카트 몸체에 결합된다. 제 2 맞물림 부재는 일반적으로 바닥과 수평 접촉하는 바퀴들로 인하여 바닥으로부터 약간 이격되는 위치로 편향된다. 댐퍼는 카트 몸체에 대한 제 2 맞물림 부재의 감쇠 동작을 위해 카트 몸체와 제 2 맞물림 부재 사이에서 작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맞물림 부재 및 제 2 맞물림 부재의 동작은 연동되어 제 1 맞물림 부재의 동작이 제 2 맞물림 부재가 대응하는 동작을 취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 상으로 이동된 후 상승 및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 탑재되도록 형성된 카트는 카트 몸체와 카트 몸체의 하부 부분에서 지지되는 전륜 및 후륜을 포함한다. 전륜-추락(front-wheel- fall) 억제 장치는 제 1 암 및 제 2 암을 포함한다. 제 1 암은 카트 몸체에 대해 회동하는 바퀴들 중 하나의 후방 측면에 인접한 카트 몸체에 결합되고 제 2 암은 카트 몸체에 대해 회동하는 전륜 중 하나의 전방 측면에 인접한 카트 몸체에 결합된다. 제 1 맞물림 부재는 제 1 암의 종단부에 고정되고 제 2 맞물림 부재는 제 2 암의 종단부에 고정된다. 댐퍼는 전륜 중의 하나에 인접한 카트 몸체에 고정되는 제 1 단부를 갖고 제 1 맞물림 부재 및 제 2 맞물림 부재는 일반적으로 바닥과 수평 접촉하는 전륜 및 후륜으로 인해 바닥으로부터 약간 이격되는 위치로 편향된다. 댐퍼는 카트 몸체에 대한 제 1 맞물림 부재의 감쇠 동작을 위해 카트 몸체와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재 사이에서 작동될 수 있다. 제 1 맞물림 부재 및 제 2 맞물림 부재는 연동되어 제 1 맞물림 부재의 동작이 제 2 맞물림 부재가 대응하는 동작을 취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카트는 카트 몸체에 고정되는 제 3 암을 갖는 후륜-추락 억제 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 3 맞물림 부재는 제 3 암의 종단부에 고정되고 제 2 댐퍼는 카트 몸체 및 제 3 암의 타종단부에 고정된다. 제 3 암은 후륜 중의 하나의 후방 측에 위치되고 제 3 맞물림 부재는 일반적으로 바닥과 수평 접촉하는 전륜 및 후륜으로 인해 바닥으로부터 이격된다. 제 2 댐퍼는 제 3 맞물림 부재 및 카트 몸체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감쇠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트는 제 2 후륜-추락 억제 장치 및 제 2 전륜-추락 억제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후륜-추락 억제 장치 및 전륜-추락 억제 장치는 카트 몸체의 제 1 측 상에 배치되고 제 2 후륜-추락 억제 장치 및 제 2 전륜-추락 억제 장치는 카트 몸체의 제 2 측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륜 및 후륜 간의 거리는 에스컬레이터의 인접한 계단 사이의 간격의 정수배와 거의 동일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 상으로 이동된 후 에스컬레이터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카트는 카트 몸체와 카트 몸체의 하부 부분에 배열되는 복수의 바퀴들을 포함한다. 추락 억제 장치는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재와 댐퍼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재는 바퀴들 중의 하나의 후방 측 및 바퀴들 중의 하나의 전방에서 각각 카트 몸체 상에 지지된다.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재는 일반적으로 바닥과 수평 접촉하는 바퀴들로 인해 바닥으로부터 이격된다. 맞물림 부재는 카트 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재는 연동되어 제 1 맞물림 부재의 동작이 제 2 맞물림 부재가 대응하는 동작을 취하도록 한다. 댐퍼는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재의 이동을 감쇠시키도록 형성되며, 카트 몸체가 에스컬레이터 상에 탑재되는 경우 카트 몸체 및 에스컬레이터 사이에서 소정 거리가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카트 몸체는 하부 부재(lower member)와 수하물 운반용 캐리어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카트 몸체의 하부 부재는 또한 캐리어의 하부 부재의 역할도 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부 부재는 카트 몸체의 후방 측으로부터 수평판(horizontal plate) 상의 카트 몸체를 볼 때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카트가 에스컬레이터의 움직이는 계단 상으로 이동되고 상측 계단으로부터 하측 계단으로 추락하기 시작하는 경우, 맞물림 부재는 먼저 상측 계단과 맞물린다. 맞물림 부재는 고무와 같은 마찰 생성 재료로 만들어지므로 계단과 견고하게 맞물린다. 운반 수단은 상측 계단에 맞물린 맞물림 부재와 함께 계속 추락하려고 할 것이다. 맞물림 부재가 상측 계단과 맞물린 후, 댐퍼는 운반 수단 및 맞물림 부재 간의 상대적인 이동을 감쇠시켜 운반 수단의 추락 속도를 감속시킨다. 이것은 카트의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안감 및 두려움을 감소시킨다. 또한, 하측 계단에 운반 수단의 바퀴가 접촉함으로써 유발되는 충격이 감소되어 운반 수단 상의 수하물 등에 작용하는 충격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 상의 수하물 등의 이동 및 추락이 억제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암에 의해 지지되는 맞물림 부재는 암, 및 운반 수단 몸체 또는 카트 몸체 사이의 조인트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태의 경로를 따라 운반 수단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맞물림 부재와 상측 계단이 맞물린 후 운반 수단의 추락 동작은 단순하게 추락하고 단순하게 미끄러지는 경우에 대해 회전 동작을 포함한다. 따라서, 운반 수단의 사용자는 현재의 추락 동작이 미리 정해지고 예측된 동작이라고 느끼며, 이것이 카트가 추락할 때 사용자가 경험할 수 있는 불안감을 억제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통의 수평 바닥 상에서 카트를 밀고 이동시킬 때, 바퀴만이 바닥에 접촉하고 제 1 맞물림 부재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맞물림 부재는 수평 바닥에서 카트가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트는 추락 억제 장치가 제 2 맞물림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특징을 추가로 갖는다. 제 2 맞물림 부재의 이동이 제 1 맞물림 부재의 이동에 결합되어 하나의 맞물림 부재가 카트의 이동을 감쇠시키도록 작용하면, 다른 맞물림 부재는 배제되어 감쇠 작용을 간섭하지 않는다.
상승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의 카트 바퀴가 상측 계단으로부터 인접한 하측 계단으로 추락하기 시작하는 경우, 제 2 맞물림 부재는 상측 계단과 맞물린다. 카트 몸체는 상측 계단에 맞물린 제 2 맞물림 부재와 함께 계속 추락한다. 그러나, 제 2 맞물림 부재가 상측 계단에 맞물린 후, 댐퍼는 카트 몸체 및 제 2 맞물림 부재 간의 상대적인 이동 속도를 감쇠시켜 카트 몸체의 추락 속도를 감쇠시킨다. 이것은 카트 사용자가 느끼는 불안감과 두려움을 감소시킨다. 또한, 카트의 바퀴가 인접한 하측 계단에 접촉함으로써 유발되는 충격이 감소되어 카트 상의 수하물에 대한 충격이 감소된다. 따라서, 수하물의 이동 및 추락이 억제될 수 있다.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 있는 카트의 전륜 및 후륜이 상측 계단으로부터 인접한 하측 계단으로 추락하기 시작하는 경우, 제 1 및 제 3 맞물림 부재는 상측 계단들에 각각 맞물린다. 카트 몸체는 상측 계단에 맞물린 제 1 및 제 3 맞물림 부재와 함께 계속 추락한다, 그러나, 제 1 및 제 3 맞물림 부재가 계단들에 맞물린 후, 제 1 댐퍼는 카트 몸체 및 제 1 맞물림 부재 간의 상대적인 이동 속도를 감쇠시키고, 제 2 댐퍼는 카트 몸체 및 제 3 맞물림 부재 간의 상대적인 이동 속도를 감쇠시켜 카트 몸체의 추락 속도를 감소시킨다. 이것은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의 카트가 추락함으로써 카트의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안감 및 두려움을 감소시킨다. 또한, 카트의 전륜 및 후륜이 인접한 하측 계단에 접촉함으로써 유발되는 충격이 감소되어 카트 상의 수하물에 대한 충격이 감소된다. 따라서, 수하물의 이동 및 추락이 억제될 수 있다.
상승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 있는 카트의 전륜이 상측 계단으로부터 인접한 하측 계단으로 추락하기 시작하는 경우, 제 2 맞물림 부재는 상측 계단에 맞물린다. 카트 몸체는 상측 계단에 맞물린 제 2 맞물림 부재와 함께 계속 추락한다. 그러나, 제 2 맞물림 부재가 계단에 맞물린 후, 제 1 댐퍼는 카트 몸체 및 제 2 맞물림 부재 간의 상대적인 이동 속도를 감쇠시켜 카트 몸체의 추락 속도를 감소시킨다. 이것은 상승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 있는 카트의 사용자가 카트의 추락으로부터 느낄 수 있는 불안감 및 두려움을 감소시킨다. 또한, 카트의 전륜 및 후륜이 하측 계단에 접촉함으로써 유발되는 충격이 감소되어 카트 상의 수하물에 대한 충격이 감소된다. 따라서, 수하물의 이동 및 추락이 억제될 수 있다.
전륜 및 후륜 간의 설계 거리가 에스컬레이터 계단 간의 간격과 무관한 경우, 전륜이 추락하기 시작한 후 제 1 맞물림 부재가 계단에 맞물리는 시간과 후륜이 추락하기 시작한 후 제 3 맞물림 부재가 계단에 맞물리는 시간 간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시간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카트는 복잡한 방식으로 움직이는데, 이것은 카트 사용자의 불안감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전륜 및 후륜 간의 거리는 에스컬레이터 계단 간의 간격에 자연수를 곱한 값과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후륜이 추락하기 시작할 때 전륜이 추락하기 시작하고, 제 1 및 제 3 맞물림 부재는 각각 거의 동시에 계단에 맞물린다. 따라서, 카트는 단순한 방식으로 추락할 수 있으며, 이것은 카트 사용자의 불안감을 억제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카트 몸체는 부분적으로, 종래 기술에서 카트 몸체 및 캐리어가 완전히 서로 독립적이었던 것에 반해, 캐리어 구조의 일부분으로 사용된다. 이것은 카트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하며, 부품수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캐리어의 하부 부재는 후방 측에서 보았을 때 상방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특히 카트가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경사지는 경우 수하물의 이동 및 추락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형태 및 장점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트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트 몸체 및 카트 몸체로부터 펼쳐지는 핸들의 측면도.
도 3은 카트 몸체 및 핸들의 평면도.
도 4는 카트 몸체 및 핸들의 정면도.
도 5는 전륜-추락 억제 장치(front-wheel-fall suppressing device)를 도시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카트의 전륜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선 VI - VI를 따라 절취한 도면.
도 7은 도 5의 선 VII - VII를 따라 절취한 도면.
도 8은 후륜-추락 억제 장치를 도시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카트의 후륜의 평면도.
도 9는 후륜 및 후륜-추락 억제 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카트의 후륜에 연결되는 자동 브레이크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선 XI - XI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12는 제동된 상태의 자동 브레이크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의 선 XIII - XIII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14 내지 도 21은 에스컬레이터의 계단과 맞물린 여러 가지 상태의 카트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항용 카트를 도시한다. 카트(1)는 공항에서 여행 가방과 같은 수하물을 운반 및 수송하는데 사용된다. 카트(1)는 기본적으로 카트 몸체(2), 핸들(3), 하나의 전륜(4), 2개의 후륜(5), 전륜-추락 억제 장치(front-wheel-fall suppressing device)(6), 상기 후륜(5)과 각각 결합되는 후륜-추락 억제 장치(rear-wheel-fall suppressing device)(8), 자동 브레이크 기구 및 수동 브레이크 기구로 구성된다. 도 1의 화살표(D1)는 카트(1)의 전진 방향을 표시한다.
상세한 설명에서, 길이 방향 및 측방향은 이동 방향(D1)에 기초해 정의되는 방향이다. 특히, 측방향은 방향(D1)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직한 평면 방향을 표시하고 길이 방향은 방향(D1)에 대해 일반적으로 평행한 평면 방향을 표시한다.
전륜(4) 및 후륜(5) 간의 길이 방향 거리(즉, 축거(wheel base))는, 본 실시예에서 800 mm이고 에스컬레이터의 계단 피치(pitch)의 2배와 동일하다. 2개의 후륜(5) 간의 측방향 거리는 600 mm이고, 핸들(3)을 포함하는 카트(1)의 전체 길이는 1300 mm이다. 카트(1)는 25도 및 R5000인 사양의 에스컬레이터용으로 설계되었다. 상기 치수는 특정 에스컬레이터 형태에 대해 특정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치수 및 치수 관계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치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다.
도 2,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 몸체(2)는 기본적으로 메인 프레임(21), 캐리어 후방 프레임(22), 캐리어 하부 프레임(23) 및 캐리어 전방 프레임(24)으로 구성된다.
메인 프레임(21)은 제 1 수평 부분(horizontal portion)(21a) 및 제 2 수평 부분(21g), 제 1, 제 2, 제 3, 제 4 및 제 5 경사 부분(21b, 21c, 21d, 21e 및 21f), 및 수직 부분(21h)으로 구성된다. 제 1 수평 부분(21a)은 카트(1)의 전방 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내지 제 5 경사 부분(21b-21f)은 제 1 수평 부분(21a)의 대향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분기(diverge)한다. 제 1 경사 부분들(21b)은 제 1 수평 부분(21a)의 측방 단부들로부터 후방 및 상방으로 각각 연장된다. 각 제 2 경사 부분(21c)은 대응 제 1 경사 부분(21b)의 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및 약간 하방으로 연장된다. 각 제 3 경사 부분(21d)은 대응 제 2 경사 부분(21c)의 후방 단부로부터 후방 및 상방으로 연장된다. 각 제 4 경사 부분(21e)은 대응 제 3 경사 부분(21d)의 후방 단부로부터 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된다. 각 제 5 경사 부분(21f)은 대응 제 4 경사 부분(21e)의 후방 단부로부터 후방 및 상방으로 연장된다. 각 제 2 수평 부분(21g)은 대응 제 5 경사 부분(21f)의 후방 단부로부터 길이 방향 및 후방으로 연장된다. 수직 부분(21h)은 제 2 수평 부분(21g)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캐리어 후방 프레임(22)은 제 1 및 제 2 지지부(22b 및 22c) 뿐만 아니라 측면 필라들(22a)로 구성된다. 각 측면 필라(22a)는 자신의 하단부가 메인 프레임(21)에 고정되고, 대응 제 5 경사 부분(21f)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다. 측면 필라(22a) 및 수직 부분(21h)은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광고용 측면 디스플레이판(11)을 운반한다(도 1 참조). 제 1 지지부(22b)는 측면 필라들(22a)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시킨다. 제 2 지지부(22c)는 측면 필라들(22a)의 중간부분을 서로 결합시킨다.
캐리어 하부 프레임(23)은 하부 지지부(23a) 및 후방 지지부(23b)로 구성된다. 하부 지지부(23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운드 바와 측방 라운드 바로 구성되어, 제 3 경사 부분(21d) 및 제 4 경사 부분(21e)에 고정된다. 후방 지지부(23b)는 하부 지지부(23a)의 후방 단부로부터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다.
캐리어 전방 프레임(24)은 전방 지지부(24a) 및 고정 부분(24b)으로 구성된다. 고정 부분들(24b)은 제 4 경사 부분들(21e)에 각각 고정된다. 전방 지지부(24a)는 거의 전도된 U자형을 갖고, 스프링이 제공되는 힌지를 통하여 고정 부분(24b) 상에 운반된다. 전방 지지부(24a)는 고정 부분(24b)에 대해 회동 가능하고, 도 2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전방 지지부(24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전방 디스플레이판(10)을 운반한다.
핸들(3)은 제 1 및 제 2 핸들 부분(31 및 32) 뿐만 아니라 메인 프레임(21)에 고정되는 커플링(coupling)(33)으로 구성된다. 커플링(33)은 좌우측 수직 부분들(21h)의 상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제 1 핸들 부분(31)은 대향 커플링들(33)을 서로 결합시키고 측방향 및 수평으로 연장된다. 각 제 2 핸들 부분(32)은 대응 커플링(33)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또한 확장된 후방 부분을 구비한 거의 직사각형 또는 타원 형태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제 2 핸들 부분(32)은 후방 및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부분(32a)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바닥으로부터 핸들(3)의 상단부까지의 거리는 950 mm이고, 대향 제 2 핸들(32) 간의 측방향 거리는 700 mm이다.
전륜(4)은 2중 캐스터로 구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부(4a)와 2개의 타이어(4b)로 구성된다. 전륜(4)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지지판(61) 상에서 운반되고, 카트 몸체(2)에 대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전륜-추락 억제 장치(6)는 도 5 -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지지판(61), 2개의 제 1 오일 댐퍼(64), 제 1 샤프트(65), 제 1 및 제 2 암(68 및 71), 및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재(73 및 75)로 구성된다,
지지판(61)은 자신의 대향 단부가 제 2 경사 부분(21c)에 고정되며, 부분 단면도인 도 5에서 전륜-추락 억제 장치(6)가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전륜(4)이 지지판(61)의 중심(0-0) 아래에 배치되고, 전륜(4)의 고정 부분(4a)은 지지판(61)에 볼트(62)로 고정된다. 2개의 결합판(coupling plate)(63)은 지지판(61)의 측방향의 중간 부분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결합판(63)은 중심축(0-0)에 대해 대칭이며, 지지판(61)에 고정된다. 결합판(63)에는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제 1 오일 댐퍼(64)가 중심(0-0)에 대해 측방향으로 대칭인 위치에 배치된다(도 5 참조). 각 제 1 오일 댐퍼(64)는 실린더(64a), 실린더-측 조인트(64b), 피스톤(64c) 및 피스톤-측 조인트(64d)로 구성된다. 실린더-측 조인트(64b)는 이동 방향(D1)에 대해 실린더(64a)의 전단부에 고정되고, 결합판(63)에 핀으로 결합된다. 피스톤-측 조인트(64d)는 이동 방향(D1)에 대해 피스톤(64c)의 후방 단부에 고정되고,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결합판(65a)에 결합된다.
제 1 샤프트(65)는 자신의 대향 단부가 샤프트 운반 부재(shaft carrying members)(6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샤프트 운반 부재(66)는 지지판(61)의 하부 표면에 고정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결합판(65a)은 제 1 샤프트(65)의 측방향 중간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결합판(65a)은 중심(0-0)에 대해 대칭이며, 제 1 샤프트(65)에 회동이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결합판(65a)의 상부 부분에는 구멍이 형성되는데, 이 구멍은 제 1 샤프트(65)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 있으며 제 1 오일 댐퍼(64)의 피스톤-측 조인트(64d)에 핀-결합시키는데 사용된다. 제 1 기어(67) 및 제 1 암(68)은 제 1 샤프트(65)의 일부분에 샤프트 운반 부재(66)의 측방향 외측으로 고정된다.
제 1 암(68)은 피봇단(pivot end)이 제 1 샤프트(65)의 단부에 고정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4)의 뒤에 있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제 3 샤프트(72)는 좌우측 제 1 암들(68)의 종단부들을 서로 연결시키므로,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회전시 제 1 암(68)과 함께 회전한다. 제 1 맞물림 부재(73)는 예를 들어, 고무로 만들어지고 제 3 샤프트(72)의 종단부에 대향되게 고정된다.
각 제 1 맞물림 부재(73)는 제 3 샤프트(72)보다 큰 외경(outer diameter)을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4)이 바닥 및 평평한 지면에 접촉하는 경우에 제 1 맞물림 부재(73)의 하단부는 전륜(4)의 최저 부분보다 약간 더 높게 위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암(71)은 제 2 샤프트(69)에 고정되는 단부를 갖고, 전륜(4)의 전방으로 연장된다. 제 2 샤프트(69)는 샤프트 운반 수단(66)에 의해 지지된다. 제 2 기어(70)는 제 2 샤프트(69)에 고정되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어(67)에 맞물린다. 제 1 암(68)이 제 1 샤프트(65)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제 1 샤프트(65)가 회전하므로 제 2 샤프트(69)가 제 1 및 제 2 기어(67 및 70)를 통하여 회전되어 제 2 암(71)은 제 2 샤프트(69)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의 일예가 도 6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반대로, 제 2 암(71)이 제 2 샤프트(69)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 2 샤프트(69)를 회전시키는 경우, 제 1 샤프트(65)가 제 2 및 제 1 기어(70 및 67)를 통하여 회전되어 제 1 암(68)은 제 1 샤프트(65)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 4 샤프트(74)는 제 2 암들(71)의 다른 단부들을 서로 결합시키고, 제 2 암(7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운반된다. 예를 들어, 고무로 만들어진 제 2 맞물림 부재(75)는 대향 단부 근처의 제 4 샤프트(74)의 부분들에 고정된다.
각 제 2 맞물림 부재(75)는 제 4 샤프트(74)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맞물림 부재(75)의 하단부는 전륜(4)이 바닥과 접촉하는 경우 전륜(4)의 최저 부분보다 약간 높게 위치된다.
제 1 및 제 2 암(68 및 71)이 도 6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부터 점선으로 도시된 상측 위치로 회전하면, 제 1 샤프트(65)는 대응하는 양만큼 회전하고, 결합판(65) 및 피스톤-측 조인트(64d) 간의 연결이 양자를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응답하여, 제 1 오일 댐퍼(64)는 수평에 대하여 경사지게 되고, 피스톤(64c)은 실린더(64a)에 대하여 이동한다. 이러한 동작에서, 피스톤(64c)은 이동에 대한 저항을 발생시키는 실린더(64a) 내로 밀려들어가서 제 1 샤프트(65)의 회전 속도를 감쇠시키고 따라서 제 1 및 제 2 암(68 및 71)의 이동 속도가 감쇠된다.
도 8, 9, 10, 11, 12 및 13을 참조하면, 2개의 후륜(5)이 카트(1)의 좌우측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각 후륜(5)은 고정부(51), 케이스(casing)(52), 제 5 샤프트(53) 및 타이어(54)를 포함한다.
고정부(51)는 메인 프레임(21)의 제 2 수평 부분(21g)의 하부 표면에 고정된다. 케이스(52)는 기본적으로 수평판(52a), 제 1 측판(52b) 및 제 2 측판(52c)으로 구성된다.
수평판(52a)은 고정부(51)의 하부 표면에 고정된다. 제 1 측판(52b)은 수평판(52a)의 외측 단부(도 8의 하단부)로부터 하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고, 제 2 측판(52c)은 수평판(52a)의 내측 단부(도 8의 상단부)로부터 하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측판(52b)에는 직사각형 구멍(52d)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측판(52b 및 52c)은 하단부에 둥근 구멍들이 각각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멍에 제 5 샤프트(53)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타이어(54)는 대향 측판(52b 및 52c) 사이의 제 5 샤프트(53)의 일부분에 고정된다. 타이어(54)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부분(54a) 및 타이어(54b)로 구성된다. 휠 부분(54a)은 중심이 제 5 샤프트(53)에 고정되는 원형판과 제 1 측판(52b)으로 향하는 원형판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원통 부분을 갖는다. 록 기어(lock gear)(56), 및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내측 돌출부(inner projection)를 갖는 환상 감지판(annular sensing plate)(55)은 휠 부분(54a)의 원통 부분 내측에서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된다. 타이어(54b)는 고무로 만들어지고, 휠 부분(54a)의 원통 부분의 외주 표면에 고정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륜-추락 억제 장치(8)는 제 2 오일 댐퍼(81), 제 3 외측 암(82), 제 3 내측 암(84) 및 제 3 맞물림 부재(87)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오일 댐퍼(81)의 외측은 메인 프레임(21)에 고정되는 후륜 커버(9)에 의해 덮여진다.
제 2 오일 댐퍼(81)는 실린더(81a), 실린더-측 조인트(81b), 피스톤(81c) 및 피스톤-측 조인트(81d)를 포함한다. 실린더-측 조인트(81b)는 실린더(81a)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제 1 측판(52b)의 외측에서 제 5 샤프트(53)의 일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피스톤-측 조인트(81d)는 피스톤(81c)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제 3 외측 암(82)의 상단부에 핀으로 결합된다.
제 3 외측 암(8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측 조인트(64d)에 핀으로 결합되는 일단부를 갖고, 그 일단부로부터 후륜의 뒤에 있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제 3 외측 암(82)의 타단부는 제 6 샤프트(86)의 일단부를 운반한다. 제 3 외측 암(82)은 그 중간 위치(엄밀하게는, 피스톤-측 조인트(81d)의 근처 부분)에서 제 1 측판(52b)에 의해 핀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제 2 외측판(82)은 핀(8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제 3 내측 암(8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측판(52c)에 의해 핀(83)과 동축인 핀(85)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3 내측 암(84)의 타단부는 제 6 샤프트(86)의 일단부를 운반한다. 제 6 암(86)은 제 3 외측 암(82) 및 제 3 내측 암(84)의 단부들을 서로 결합시키고, 측방향으로 및 수평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고무로 만들어진 제 3 맞물림 부재(87)는 제 6 샤프트(86)의 중심 부분을 중심으로 고정된다.
제 3 맞물림 부재(87)는 제 6 샤프트(86)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맞물림 부재(87)의 하단부는 후륜(5)이 바닥과 접촉하는 경우 후륜의 하단부보다 약간 높게 위치된다.
제 3 외측 암(82) 및 제 3 내측 암(84)이 도 9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부터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하면, 제 3 외측 암(82) 및 피스톤-측 조인트(81d) 간의 결합점(joint point)은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것에 의해, 피스톤(81c)이 실린더(81a)로 이동함에 따라 실린더(81a) 내로 연장되면 제 2 오일 댐퍼(81)는 압축된다. 이러한 동작에 있어서, 피스톤(64c) 및 실린더(64a)가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여 저항을 발생시킴으로써 제 3 외측 암(82) 및 피스톤-측 조인트(81d) 간의 결합점의 이동 속도를 감쇠시키고, 따라서 제 3 맞물림 부재(87)의 이동 속도는 감쇠된다.
자동 브레이크 기구는 카트(1)가 에스컬레이터 상으로 이동하고 후륜(5)이 계단 상에 위치되는 경우 후륜(5)이 회전하는 것을 자동적으로 제한한다. 자동 브레이크 기구는 환상 감지판(55) 및 록 기어, 즉 록킹용 기어를 포함한다(도 10-13 참조).
록 기어(56)는 8개의 외측 톱니를 갖고, 도 10, 11,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이 제 5 샤프트(53)에 고정된다. 록 기어(56)는 타이어(54) 및 제 1 측판(52b) 간에 측방향으로 배열되고, 감지판(55)의 내측(도 11 및 도 13의 우측)에 위치된다.
감지판(55)은 타이어(54) 및 제 1 측판(52b) 간에 측방향으로 배치된다. 감지판(55)에는 제 1 측판(52b)을 향하여 돌출(projecting)되는 외측 돌출부(55a), 타이어(54)를 향하여 돌출되는 내측 돌출부(55b) 및 중심 근처에 구멍(55c)이 제공된다. 구멍(55c)은 제 5 샤프트(53)보다 크다. 외측 돌출부(55a)는 제 1 측판(52b)의 직사각형 구멍(52d) 내로 연장된다. 내측 돌출부(55b)는 록 기어(56)의 외측 방사상 위치로 연장된다.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샤프트(53)는 구멍(55c)을 통하여 연장되어, 제 5 샤프트(53)에 대해 감지판(55)이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54)가 보통의 평평한 바닥(99) 상에서 이동하고 있는 경우, 감지판(55)의 최저 부분도 바닥에 접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측 돌출부(55a)는 사각형 구멍(52d)의 상부 위치에 위치되고, 내측 돌출부(55b)는 록 기어(56)의 톱니의 외측 단부 위에 위치된다. 또한, 제 5 샤프트(53)는 구멍(55c)의 하부 부분을 통하여 연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타이어(54) 및 록 기어(56)는 감지판(55)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지 않고, 케이스(52)에 의해 운반되는 제 5 샤프트(53)와 함께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타이어(54)가 보통 바닥(99) 상에서 이동하고 있는 경우, 자동 브레이크 기구는 작동하지 않으므로 후륜(5)을 제동하지 않는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54)가 에스컬레이터(98)의 계단 상에 있는 경우, 타이어(54)의 타이어 부분(54b)은 에스컬레이터(98)의 계단 상에 형성된 어떤 홈(98a)보다 넓다. 따라서, 타이어(54)는 에스컬레이터(98) 계단의 최상측 표면 상에 위치되고 어느 홈(98a) 안으로도 떨어지지 않는다. 한편, 감지판(55)은 홈(98a)의 폭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므로, 홈(98a) 내로 떨어진다. 따라서, 감지판(55)은 타이어(54), 록 기어(56) 및 제 1 측판(52b)에 대해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것에 의해, 외측 돌출부(56)는 사각형 구멍(52d)의 저부로 이동하고, 내측 돌출부(55b)는 록 기어(56)의 톱니 사이의 공간 내로 이동한다. 또한, 제 5 샤프트(53)는 구멍(55c)의 상부 부분을 통하여 연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록 기어(56)의 회전은 내측 및 외측 돌출부(55b 및 55a)로 제 1 측판(52b)에 의해 제한된다. 록 기어(56)의 회전이 제한되면, 제 5 샤프트(53) 및 타이어(54)의 회전도 제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동 브레이크 기구는 타이어(54)가 에스컬레이터(98)의 계단 상에 위치하면 후륜(5)을 제동한다.
수동 브레이크 기구는 후륜(5)용 주차 브레이크이고, 수동으로 작동되고 해제된다. 이 수동 브레이크 기구는 기본적으로 마찰 브레이크 부재(57) 및 선택기 레버로 구성된다(도 8 및 도 9 참조). 선택기 레버(58)를 조작함으로써, 마찰 브레이크 부재(57)는 타이어와 마찰에 의해 맞물리는 위치 및 마찰에 의한 맞물림을 해제하는 위치로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수동 브레이크 기구는 케이스(52)에 부착되는 선택기 레버(58)를 포함한다. 그러나, 선택기 레버는 사용자의 손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수동 브레이크 기구는 핸들(3)과 상호-연결될 수 있다.
보통의 바닥 상에서 카트(1)의 이동은 아래에서 기술한다.
보통의 바닥 상에서, 카트(1)의 사용자는 핸들(3)을 잡고 카트(1)를 민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 제 2 및 제 3 맞물림 부재(73, 75 및 87)의 하단부는 바닥의 약간 위에 위치되므로, 전륜(4) 및 후륜(5)만이 카트(1)가 이동되는 동안 바닥에 접촉한다. 에스컬레이터 상의 안전을 위하여, 사용자가 핸들(3)의 적절한 부분, 특히 핸들(3)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을 잡고 있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핸들(3)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 주위에 손잡이(grips)가 배치되거나, 또는 아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핸들(3)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을 잡도록 안내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서의 사용자 및 카트(1)의 위치에 관한 주의 또는 경고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의 카트(1)의 동작은 아래에서 기술한다.
전륜(4) 및 후륜(5)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의 계단(S2 및 S4) 상에 위치하는 경우, 자동 브레이크 기구가 후륜(5)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동작하여 카트(1)는 전후로 움직이지 못한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상태의 카트(1)는 추락하지 않고 에스컬레이터에 의해 운반된다. 전륜(4) 및 후륜(5)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S2 및 S4)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 상에 각각 위치되는 경우, 제 2 맞물림 부재(75)는 전륜(4)을 운반하는 계단(S4)의 전방 부분에 접촉하고, 그것에 의해 카트(1)의 전방 및 후방 이동을 제동한다.
전륜(4) 및 후륜(5)이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의 계단 상에 또는 계단의 전방 에지 부근에 위치되는 경우, 에스컬레이터가 기울어지기 시작하면 카트(1)는 도 15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그것에 의하여, 카트(1)는 인접한 하측 계단(S6 및 S8)을 향하여 추락하기 시작하여, 도 16에 도시된 상태에 도달한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면, 제 1 및 제 3 맞물림 부재(73 및 87)는 이전에 전륜(4) 및 후륜(5)을 운반하던 계단(S5 및 S7)과 먼저 맞물린다. 카트(1)는 제 1 및 제 3 맞물림 부재(73 및 87)가 계단(S5 및 S7)과의 맞물림을 각각 유지하는 동안 추가로 추락하고, 전륜(4) 및 후륜(5)은 인접한 하측 계단(S6 및 S8)에 각각 도달한다(도 17 참조). 제 1 및 제 3 맞물림 부재(73 및 87)가 계단(S5 및 S7)과 각각 맞물린 후, 제 1 및 제 2 오일 댐퍼(64 및 81)는 제 1 및 제 3 맞물림 부재(73 및 87)에 대한 카트 몸체(2)의 상대적인 이동 속도를 감쇠시켜 카트(1)의 추락 속도를 감소시킨다. 이것은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 있는 카트(1)의 추락에 대한 사용자의 불안감 및 두려움을 감소시킨다. 전륜(4) 및 후륜(5)이 다음 하측 계단(S6 및 S8)에 접촉함으로써 유발되는 충격이 감소되므로, 카트(1) 상의 수하물이 이동 및 추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승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의 카트(1)의 동작이 아래에서 기술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4) 및 후륜(5)이 상승하는 에스컬레이터의 계단(S11 및 S13) 상에 위치하는 경우, 자동 브레이크 기구는 후륜(5)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동작하여 카트(1)가 전후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된 상태의 카트(1)는 추락하지 않고 에스컬레이터에 의해 운반된다. 전륜(4) 및 후륜(5)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S11 및 S13)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 상에 각각 위치되는 경우, 제 1 및 제 3 맞물림 부재(73 및 78)는 전륜(4) 및 후륜(5)을 운반하는 계단(S11 및 S13)의 후방 부분에 각각 접촉되고, 그것에 의해 자동 브레이크 기구와 함께 카트(1)의 전후방 이동을 제한한다(도 13 참조).
전륜(4) 및 후륜(5)이 상승하는 에스컬레이터 계단의 후방 에지 상에 각각 위치되는 경우, 에스컬레이터의 경사가 증가하면 카트(1)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 도달한다. 그에 따라, 카트(1)는 인접한 하측 계단(S16 및 S18)을 향하여 추락하기 시작하고, 제 2 맞물림 부재(75)는 이전에 전륜(4)을 운반한 계단(S15)에 맞물린다. 동시에, 제 3 맞물림 부재(87)는 인접한 하측 계단(S18)과 접촉한다. 카트(1)는 제 2 맞물림 부재(75)가 계단(S15)과의 맞물림을 유지하는 동안 추가로 추락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4) 및 후륜(5)은 인접한 하측 계단(S16 및 S18)과 각각 접촉한다. 제 2 맞물림 부재(75)가 계단(S15)에 맞물린 후, 제 1 오일 댐퍼(64)는 제 2 맞물림 부재(75)에 대한 카트 몸체(2)의 상대적인 이동 속도를 감쇠시켜 카트(1)의 추락 속도를 감소시킨다. 이것은 상승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카트(1)의 추락에 대한 사용자의 불안감 및 두려움을 감소시키고, 또한 수하물의 이동 및 추락을 억제한다. 제 2 오일 댐퍼(81)는 카트(1)의 후륜(5) 및 후방 부분의 추락 속도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1)가 에스컬레이터 상에 탑재된 경우의 다른 바람직한 효과에 대해 기술한다.
(1) 상기 실시예의 카트(1)에 따르면, 암(68, 71, 82 및 84)에 의해 지지되는 맞물림 부재(73, 75 및 87)는 카트 몸체(2)에 대해 회전할 때 암(68, 71, 82 및 84)의 조인트에 대해 정해지는 원호-형태의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맞물림 부재(73, 75 및 87)가 계단과 접촉하는 경우, 카트(1)의 추락 또는 하강 동작은 단순한 추락 동작 또는 단순한 미끄러짐 동작에 비해 원형 동작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트(1)의 동작이 미리 정해지고 예상되는 동작이라고 느낄 수 있고, 카트(1)가 하나의 계단으로부터 하측 계단으로 이동할 때 사용자가 경험하는 불안감이 억제된다.
(2)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의 카트(1)가 도 16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17에 도시된 위치로 추락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맞물림 부재(75)가 상승된 위치에 있지 않다고 가정하면) 제 2 맞물림 부재(75)는 전륜(4)보다 먼저 인접한 하측 계단(S8)에 접촉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 2 맞물림 부재(75)가 계단(S8)에 접촉한 결과로서 충격이 느껴진다. 또한, 전륜(4)이 계단(S8)에 접촉할 때 충격이 느껴지고, 따라서 카트(1)는 계단에 접촉할 때 어색하게 움직이는데, 이것이 사용자가 느끼는 불안감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재(73 및 75)는 서로 맞물리는 제 1 및 제 2 기어(67 및 70)를 통하여 서로 연동된다. 따라서, 제 2 맞물림 부재(75)는 전륜(4)이 계단(S8)에 접촉하면 계단(S8)의 표면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한다(도 17 참조). 그것에 의해, 카트(1)는 단순한 방식으로 움직이는데, 이것이 사용자의 불안감을 억제한다.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의 카트(1)가 도 20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21에 도시된 위치로 추락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경우에, 전륜(4)은 제 1 맞물림 부재(73)가 계단(S16)에 접촉하기 전에 인접한 하측 계단(S16)에 접촉한다.
(3) 본 실시예에서, 각 맞물림 부재(73, 75 또는 87)는 각각 좌우측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에스컬레이터의 이동 방향으로 어느 정도 경사진 방향의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카트(1)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맞물림 부재(73, 75 및 87)중의 적어도 하나가 계단과 맞물릴 확률이 높다. 따라서, 추락 억제 장치(6 및 8)는 카트(1)가 에스컬레이터 상으로 이동할 때 수직축을 중심으로 경사지는 경우에도 확실하게 동작되도록 설계된다.
(4)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전륜(4) 및 후륜(5)은 에스컬레이터 계단 간격의 2배와 동일한 거리만큼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거리가 에스컬레이터 계단 간격과 무관하게 결정되는 경우,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의 전륜(4)이 추락하기 시작한 후 제 1 맞물림 부재(73)가 계단과 맞물리는 시간과, 후륜(5)이 추락하기 시작한 후 제 3 맞물림 부재(87)가 계단과 맞물리는 시간 사이에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시간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카트(1)가 추락하기 시작한 후 제 1 및 제 3 맞물림 부재(73 및 87)중의 하나가 계단과 맞물리고, 그 후에 다른 맞물림 부재가 계단과 맞물린다. 따라서, 카트(1)는 복잡한 방식으로 움직이는데, 이것이 사용자의 불안감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륜 및 후륜이 에스컬레이터의 인접한 계단 간의 간격의 정수 배만큼의 거리로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전륜(4) 및 후륜(5)은 거의 동시에 추락하기 시작하고, 제 1 맞물림 부재(73)는 제 3 맞물림 부재(87)가 계단(S5)과 맞물리는 시간과 거의 동시에 계단(S7)과 맞물린다(도 16 참조). 따라서, 카트(1)는 단순한 동작으로 인접한 다음 계단 레벨로 이동하므로 사용자의 불안감을 억제시킨다.
(5) 본 발명의 카트(1)에는 공항용 카트에 통상적으로 채용되는 것과 동일한 수동 브레이크 기구에 추가하여 자동 브레이크 기구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자동 브레이크 기구는 에스컬레이터와 자동으로 맞물린다. 따라서, 카트(1)가 에스컬레이터 상으로 이동하면, 브레이크는 사용자의 조작과 관계없이 자동으로 작동된다. 이것은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카트(1)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6) 본 발명은 핸들(3)을 구비하는데, 제 2 핸들 부분(32)은 제 1 핸들 부분(31)의 대향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카트(1)를 미는 사용자는 제 1 핸들 부분(31) 및 제 2 핸들 부분(32)으로 3측면이 둘러싸인 장소에 위치될 수 있다.
일반적인 바닥 상에서, 사용자는 제 2 핸들(32)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을 잡는다.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사용자는 제 2 핸들(32)의 길이 방향의 후방 단부 부분을 잡는다. 상승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사용자는 제 2 핸들(32) 또는 제 1 핸들 부분(1)의 길이 방향의 전방 단부를 잡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핸들(3) 상의 손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핸들(3)이 사용자 쪽으로 또는 사용자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에스컬레이터 계단 상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다(도 14 및 17 참조). 사용자가 제 2 핸들(32)의 좌우측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핸들(3)이 사용자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제 2 또는 제 1 핸들(32 또는 31)의 적절한 부분을 안정하게 잡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에스컬레이터 계단 상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고, 에스컬레이터 상에 있는 사용자의 안전은 향상되며, 사용자의 두려움 및 불안감은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핸들 부분(32)의 상부 부분(32a)은 후방 및 상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 2 핸들 부분(32)의 길이 방향의 후방 단부 부분은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 탑재되는 경우 사용자와 근접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도 14 참조). 따라서, 핸들(3)이 아래쪽 경사로 인해 사용자로부터 상대적으로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제 2 핸들(32)을 잡고 있는 사용자는 자연스러운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7)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4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 몸체(2)의 형태, 크기 및 프레임의 경사는 적절하게 결정되어 카트 몸체(2) 및 에스컬레이터 간의 거리가 항상 유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프레임(21)의 제 4 경사 부분(21e) 및 캐리어 하부 프레임(23)의 하부 지지 부분(23e)은 위쪽으로 경사져 있어 전방 부분들이 카트(1)가 바닥 상에 있을 때 후방 부분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사로 인해, 낮은 레벨에서 카트 전체의 중심을 유지하는 동안 카트 몸체(2) 및 에스컬레이터 간에 소정 거리가 유지된다.
이로 인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출입구 부근에서 에스컬레이터의 경사가 생기거나 없어질 때 카트(1)가 계단의 에지 또는 모서리와 접촉하고 에지의 접촉점을 중심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하로 움직이는 동작으로부터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추가적인 불안감을 제거할 수 있다.
수하물의 하부와 접촉하는 메인 프레임(21)의 제 4 경사 부분(21e) 및 캐리어 하부 프레임(23)의 하부 지지 부분(23a)은 상방으로 경사져서 카트(1)가 바닥에 있는 경우에 전방 부분을 후방 부분보다 높게 위치시킨다. 따라서, 특히 카트(1)가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에서 경사져 있는 경우에 수하물의 이동 및 추락을 억제할 수 있다(도 14 참조).
(8) 본 발명에 있어서, 카트 몸체(2)의 하부 부재로서 사용되는 메인 프레임(21)은 또한 캐리어의 하부 부재로서도 사용된다. 이것은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댐퍼는 이동 수단 및 에스컬레이터 계단의 표면과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 속도를 감쇠시킨다. 따라서, 이동 수단의 추락 속도가 감소되고, 카트의 이동에 대한 사용자의 불안감 및 두려움이 감소된다. 또한, 이동 수단 상의 수하물의 이동 및 추락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 및 카트 몸체 사이에서 소정 거리가 유지된다. 따라서, 카트의 사용자를 불안하게 할 수 있는 상하 운동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상기 설명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정의되는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Claims (13)

  1. 상승 및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 탑재되도록 형성된 이동 수단(vehicle)용 추락 억제 장치(fall suppressing device)에 있어서,
    a) 상기 이동 수단 상에 지지되는 맞물림 부재(engagement member)―여기서 맞물림 부재는 이동 수단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동 수 단의 바퀴가 에스컬레이터의 상측 계단으로부터 에스컬레이터의 하측 계 단으로 추락하는 것에 응답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상측 계단과 맞물리도록 형성됨―; 및
    b) 상기 이동 수단과 상기 맞물림 부재 간의 상대적인 이동을 감쇠시키도록 상기 이동 수단과 상기 맞물림 부재를 연결할 수 있는 댐퍼
    를 포함하는 추락 억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부재―여기서 맞물림 부재는 상기 이동 수단에 대해 상기 암 및 이동 수단 상에 정해지는 조인트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태의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함―를 상기 이동 수단에 결합시키는 암을 추가로 포함하는 추락 억제 장치.
  3. 에스컬레이터 상으로 이동된 후 상승 및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 탑재되도록 형성된 카트에 있어서,
    a) 카트 몸체(cart body);
    b) 상기 카트 몸체의 하부 부분에서 지지되는 복수의 바퀴들; 및
    c) 제 1 맞물림 부재―여기서 제 1 맞물림 부재는 상기 카트 몸체에 대해 회 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바퀴의 후방 측에 인접한 상기 카트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맞물림 부재는 일반적으로 바닥(floor)에 수평 접 촉하는 상기 바퀴로 인해 바닥으로부터 약간 이격된 위치로 편향됨― 및 댐퍼―여기서 댐퍼는 상기 카트 몸체에 대한 상기 제 1 맞물림 부재의 이동을 감쇠시키도록 상기 카트 몸체 및 상기 제 1 맞물림 부재 사이에 서 작동 가능함―를 갖는 추락 억제 장치
    를 포함하는 카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탑재되는 제 1 암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맞물림 부재는 상기 제 1 암의 종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카트 몸체에 대해 상기 제 1 암의 회동에 의해 정해지는 원호-형태의 경로를 따라 상기 카트 몸체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카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 억제 장치가 제 2 맞물림 부재―여기서 제 2 맞물림 부재는 상기 카트 몸체에 대해 회동하는 상기 바퀴중의 적어도 하나의 전방 측에 인접한 상기 카트 몸체에 결합되고, 일반적으로 바닥에 수평 접촉하는 상기 바퀴로 인하여 바닥으로부터 약간 이격되는 위치로 편향되며, 상기 댐퍼는 상기 카트 몸체에 대한 상기 제 2 맞물림 부재의 이동을 감쇠시키도록 상기 카트 몸체 및 상기 제 2 맞물림 부재 간에 작동 가능함―를 추가로 포함하는 카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물림 부재 및 제 2 맞물림 부재는 연동되어 상기 제 1 맞물림 부재의 동작이 상기 제 2 맞물림 부재가 대응하는 동작을 하도록 하는 카트.
  7. 에스컬레이터 상으로 이동된 후 상승 및 하강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 탑재되도록 형성된 카트에 있어서,
    a) 카트 몸체;
    b) 상기 카트 몸체의 하부 부분에서 지지되는 전륜 및 후륜;
    c) i) 제 1 암은 상기 카트 몸체에 대해 회동하는 상기 전륜중의 하나의 후 방 측에 인접한 상기 카트 몸체에 결합되고, 제 2 암은 상기 카트 몸 체에 대해 회동하는 상기 전륜중의 하나의 전방 측에 인접한 상기 카 트 몸체에 결합되는 제 1 암 및 제 2 암;
    ii) 상기 제 1 암의 종단부에 고정되는 제 1 맞물림 부재 및 상기 제 2 암의 종단부에 고정되는 제 2 맞물림 부재; 및
    iii) 상기 전륜중의 하나에 인접한 상기 카트 몸체에 고정되는 제 1 단부 (first end)를 갖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재는 일반적으로 바닥과 수평 접촉하는 상기 전륜 및 후륜으로 인해 바닥으로부터 약간 이격되는 위치로 편 향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카트 몸체에 대해 상기 제 1 맞물림 부재 의 이동을 감쇠시키도록 상기 카트 몸체 및 상기 제 1 및 제 2 맞물 림 부재 사이에서 작동 가능한
    전륜 추락 억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재는 연동되어 상기 제 1 맞물림 부재가 상기 제 2 맞물림 부재가 대응하는 동작을 하도록 하는
    카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 몸체에 고정되는 제 3 암;
    상기 제 3 암의 종단부에 고정되는 제 3 맞물림 부재; 및
    상기 카트 몸체 및 상기 제 3 암의 타종단부에 고정되는 제 2 댐퍼
    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암은 상기 후륜중의 하나의 후방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3 맞물 림 부재는 일반적으로 바닥과 수평 접촉하는 상기 전륜 및 후륜으로 인해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 2 댐퍼는 상기 제 3 맞물림 부재 및 상기 카트 몸체 간의 상대적인 동작을 감쇠시키도록 형성되는
    카트.
  9. 제 8항에 있어서,
    제 2 후륜-추락 억제 장치 및 제 2 전륜-추락 억제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후륜-추락 억제 장치 및 상기 전륜-추락 억제 장치는 상기 카트 몸체의 제 1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후륜-추락 억제 장치 및 상기 제 2 전륜-추락 억제 장치는 상기 카트 몸체의 제 2 측에 배치되는 카트.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및 후륜 간의 거리가 에스컬레이터의 인접한 계단 간의 간격의 정수배와 거의 동일한 카트.
  11. 에스컬레이터 상으로 이동된 후 에스컬레이터에 의해 위로 또는 아래로 이동되는 카트에 있어서,
    a) 카트 몸체;
    b) 상기 카트 몸체의 하부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바퀴들; 및
    c)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재와 댐퍼를 갖는 추락 억제 장치―여기서,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재는 상기 바퀴중의 후방 측 및 상기 바퀴중의 전방 측에서 상기 카트 몸체 상에 각각 지지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재는 일반적으로 바닥과 수평 접촉하는 상기 바퀴로 인해 바닥으로부 터 이격되며, 상기 맞물림 부재들은 상기 카트 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함 ―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재는 연동되어 상기 제 1 맞물림 부재의 동작이 상기 제 2 맞물림 부재가 대응하는 동작을 하도록 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제 1 및 제 2 맞물림 부재의 동작을 감쇠시키도록 배치되며, 에스컬레이터 상에 상기 카트 몸체가 탑재된 경우 상기 카트 몸체 및 에스컬레이터 사이에 소정 거리가 유지되는
    카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 몸체가 하부 부재와 수하물을 운반하기 위한 캐리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카트 몸체의 상기 하부 부재는 또한 상기 캐리어의 하부 부재로도 사용되는 카트.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재가 상기 카트 몸체의 후방 측으로부터의 수평판 상의 상기 카트 몸체를 보았을 때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 부분을 포함하는 카트.
KR1019980036941A 1997-09-08 1998-09-08 하강 및 상승하는 에스컬레이터에 탑재되도록 형성된 운반 수단용 추락 억제 장치 KR1002842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308497A JPH1178903A (ja) 1997-09-08 1997-09-08 段差昇降車両用の落下緩和装置及びカート
JP97-243084 1997-09-08
JP97-243087 1997-09-08
JP24308797A JPH1178904A (ja) 1997-09-08 1997-09-08 カ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624A KR19990029624A (ko) 1999-04-26
KR100284254B1 true KR100284254B1 (ko) 2001-03-02

Family

ID=2653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941A KR100284254B1 (ko) 1997-09-08 1998-09-08 하강 및 상승하는 에스컬레이터에 탑재되도록 형성된 운반 수단용 추락 억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26176A (ko)
KR (1) KR100284254B1 (ko)
DE (1) DE198410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0134A (ja) * 1998-04-30 1999-11-09 Exedy Corp カート
DE20010208U1 (de) * 2000-06-09 2000-09-21 Wanzl Metallwarenfabrik Kg Transportwagen zum Befördern von Gepäck
US7199709B2 (en) * 2001-12-04 2007-04-03 Arichell Technologies, Inc. Cart fleet management system
US6834869B1 (en) * 2003-09-12 2004-12-28 Mary Eileen Adams Shopping cart braking device
ATE459520T1 (de) * 2005-08-31 2010-03-15 Eifelwerk Heinrich Stein Gmbh Von hand bewegbarer transportwagen
TWM424940U (en) * 2011-09-09 2012-03-21 Miao-Yuan Huang Walking-aid vehicle with improved brake device
US20150090539A1 (en) * 2013-10-02 2015-04-02 Jonathan Degnan Brake Mechanism for Grocery and other User-Propelled Cart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9478A (en) * 1965-12-06 1966-08-30 Donald E Joslyn Stair climbing wheel chair
DE6751057U (de) * 1968-07-15 1969-01-23 Hermann Buhlinger Vorrichtung zum transportieren von gegenstaenden ueber treppenstaufen
DE6937384U (de) * 1969-09-24 1971-02-18 Siegel Franz Einkaufswagen, insbesondere zur verwendung auf fahrtreppen
DE2030594A1 (de) * 1970-06-20 1971-12-23 Kugelfabrik Schuhe & Co, 5678 Tente Transport- und Einkaufswagen, insbesondere für Kaufhäuser o.dgl
DE2030583C3 (de) * 1970-06-20 1974-05-30 Kugelfabrik Schulte & Co, 5678 Tente Ausschaltbare Laufrolle für fahrbare Transportwagen
DE2457013A1 (de) * 1974-12-03 1976-06-10 Werner Last Fahrwerk fuer zum befahren von fahrbahnen mit hindernissen geeignete fahrzeuge
GB1569166A (en) * 1976-12-09 1980-06-11 Vessa Ltd Attachments enabeling vehicles to negotiate obstacles
FR2494193A1 (fr) * 1980-11-14 1982-05-21 Reunis Sa Ateliers Roue pour chariots, notamment de magasins a libre-service, permettant le blocage du chariot dans des escaliers roulants et chariot muni de cette roue
US4326622A (en) * 1980-12-11 1982-04-27 Ellzey Floyd P Cooperative escalator and wheel chair
FR2714007B1 (fr) * 1993-12-21 1996-03-01 Caddie Atel Reunis Chariot à bagages pouvant être placé sur un escalier mécanique.
DE19506847A1 (de) * 1995-02-28 1996-09-05 Expresso Deutschland Schubgepäckwa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841013A1 (de) 1999-03-18
KR19990029624A (ko) 1999-04-26
US6126176A (en) 2000-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4254B1 (ko) 하강 및 상승하는 에스컬레이터에 탑재되도록 형성된 운반 수단용 추락 억제 장치
JP4599907B2 (ja) 走行装置
CA2439305C (en) Shopping cart having a child supporting apparatus
CA2508140A1 (en) Three-wheeled braking wheelbarrow
TWI656056B (zh) 電動車的電池盒防護蓋
CA2289844A1 (en) Brake assembly for cart
US20020005620A1 (en) Scooter for children
KR100284228B1 (ko) 카트용 브레이크기구
JP4513084B2 (ja) エスカレータカート
GB2112330A (en) Stair vehicle
JP2008100560A (ja) キャスタ及びキャスタ付き物品
KR20100013891A (ko) 경사면 및 계단의 주행이 용이한 유모차
EP0296939A1 (fr) Accoudoir central avant à deux positions stables d'un véhicule automobile
US9499229B2 (en) Bicycle for transporting a child with increased stability
JPH1178904A (ja) カート
JPH0884617A (ja) 旅行カバン
JPH1178903A (ja) 段差昇降車両用の落下緩和装置及びカート
JP2003104208A (ja) ブレーキ付き手押運搬車
KR200431995Y1 (ko) 자동 수평 조절이 가능한 운송기구
JP2808523B2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のハンドル装置
JP2003000651A (ja) 車椅子
JPH11310134A (ja) カート
JP2515037Y2 (ja) 三輪自転車用スタンド
KR20190069807A (ko) 전동 킥보드
JP3005888B2 (ja) エスカレータ用ショッピングカ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