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758A - 철근 결속기 - Google Patents

철근 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758A
KR19990014758A KR1019970708100A KR19970708100A KR19990014758A KR 19990014758 A KR19990014758 A KR 19990014758A KR 1019970708100 A KR1019970708100 A KR 1019970708100A KR 19970708100 A KR19970708100 A KR 19970708100A KR 19990014758 A KR19990014758 A KR 19990014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einforcing bar
male screw
loop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구찌사다오
오오와리아키오
Original Assignee
유구찌사다오
카부시키가이샤칸자키쇼오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구찌사다오, 카부시키가이샤칸자키쇼오카이 filed Critical 유구찌사다오
Publication of KR19990014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75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E04G21/123Wire twisting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87Wire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Wire Process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와이어루우프의 꼬음부의 높이를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철근 부식의 원인으로 되는 콘크리트로부터의 와이어(4)의 노출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 구조가 간단하고, 또, 경량인 철근 결속기로써, 본체(1)와, 이 본체(1)의 선단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 한쌍의 홈이 부착된 만곡부재(2A,2B)를 구비한 루우프형성부(3)로 이루어져 있고, 본체(1)가 철근(60)의 교차부를 감싸도록 폐쇄시킨 상태로 한 만곡부재(2A,2B)의 홈부에 와이어(4)를 공급하고, 와이어(4)의 루우프를 형성하는 와이어공급부(5)와, 1대의 모우터(21)에 의해 만곡부재(2A,2B)의 개폐, 상기한 루우프를 형성한 후 상기한 홈부에 송출되는 와이어(4)를 절단하는 커터(36)의 진퇴, 및 형성된 상기한 루우프를 꼬으고, 상기한 와이어(4)에 의해 철근(60)을 결속시키는 한쌍의 간격을 두고 병설한 핀부재(37)의 진퇴, 회전을 차례대로 실시하는 구동기구(6)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철근 결속기
본 발명은 건축공사 현장에 있어서의 종횡으로 배치된 철근의 교차부를 와이어로 결속하는 가반식 철근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축공사 현장에 있어서의 철근 결속작업을 개선하는 것으로서, 도 29에 표시하는 철근 결속기가 제안되고 있다(일본국 특공평5-13223호 공보). 이 철근 결속기는 본체(101)의 선단부에 J형 루우프형성부(102)와, 본체(101)의 후부에 와이어리일(103)을 구비하고, 루우프형성부(102)는 왕복형 구동장치(104)에 의해 진퇴하며, 와이어(105)는 와이어리일(103)로부터 모우터(106)에 의해 구동되는 한쌍의 핀치롤러(107)에 의해 송출된다. 또, 이 와이어(105)는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와이어절단부(108) 및 모우터(109)에 의해 회전되는 봉형상의 와이어꼬음부(110)를 거쳐서 루우프형성부(102)에 공급된다. 그리고, 개방된 상태의 루우프형성부(102) 내에 철근(111)의 교차부를 위치시키고, 루우프형성부(102)를 후퇴시키는 것에 의해 폐쇄하고, 루우프형성부(102)에 와이어(105)를 공급하여 와이어루우프(112)를 형성하며, 와이어절단부(108)에 의해 와이어(105)를 절단한 후, 와이어꼬음부(110)에서 와이어루우프(112)를 꼬으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모우터, 각종 치차, 각종 캠, 클러치 및 롤러 등으로 구성되는 구동기구에 의해 와이어리일로부터 와이어를 J형 루우프형성부에 공급하여 와이어루우프를 형성하고, 와이어를 절단하며, 와이어루우프를 꼬으도록 한 철근 결속기가 공지되어 있다(일본국 실개평5-3495호(일본국 실원평3-51329호의 마이크로필름)). 이 철근 결속기는, 와이어를 루우프형성부에 공급한 후, J형 선단부의 근방에 설치한 커터에 의해 절단하고, 봉형상 와이어꼬음부에 설치한 갈고리형 고리에 의해 와이어루우프를 인출하여 꼬으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일본국 특공평5-13223호 공보에 개시된 제1의 철근 결속기의 경우, 왕복형 구동장치(104), 모우터(106), 솔레노이드 및 모우터(109)와 4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장치가 고가로 될 뿐만 아니라, 무겁게 되며, 이 장치에 의한 철근 결속작업의 능률이 필연적으로 나빠지게 된다. 또, 상기한 루우프는 봉형상 꼬음부(110)에 의해 꼬여진다. 즉, 상기한 루우프는 그 한점에서 꼬여지고 있다. 그러므로, (110)에 가까운 부분만 꼬여지기 쉬우며, 상기한 루우프의 꼬음부의 높이가 크게 된다. 이 결과, 철근을 콘크리트에 매설한 상태로 한 경우에, 이 와이어의 꼬음부가 노출하며, 이 노출한 부분이 철근의 부식의 원인으로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철근의 교차부를 와이어로 복수회 루우프를 형성하여 결속할 필요가 있는데, 이 철근 결속기의 경우에는 이 와이어의 복수회의 루우프를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생각된다.
상술한 제2의 철근 결속기의 경우, 와이어루우프 형성 후, 루우프꼬음부로부터 상당히 떨어진 J형을 한 루우프형성부의 선단부의 근방에서 와이어가 절단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일본국 실원평3-51329호의 마이크로필름에 기재된 예에 의하면, 적어도 와이어의 꼬음부로부터 적어도 와이어루우프의 3/4 둘레만큼이 돌출하여 쓸데없는 부분으로 된다.
또, 이 철근 결속기의 경우도 상기한 제1의 철근 결속기와 마찬가지로, 봉형상 루우프꼬음부에 의한 와이어루우프는 그 한점에서 꼬여지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와이어루우프의 꼬음부의 높이가 높게 됨과 아울러, 상술한 쓸데없는 부분이 이 꼬음부의 위에 더 연장되기 때문에, 와이어가 콘크리트로부터 노출하며, 그 결과, 철근의 부식을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이 철근 결속기에는 구동장치에, 모우터, 각종 치차, 각종 캠, 클러치 및 롤러 등, 각종 기계 요소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제거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와이어루우프의 꼬음부의 높이를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철근 부식의 원인으로 되는 콘크리트로부터의 와이어의 노출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 구조가 간단하고, 또, 경량인 철근 결속기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제1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Ⅱ-Ⅱ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Ⅲ-Ⅲ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표시하는 고정가이드부재의 한 예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표시하는 고정가이드부재의 다른 예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환형상부재, 제1폴부재의 결합상태의 한 예를 표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제2환형상부재, 제2폴부재의 결합상태의 한 예를 표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와 같은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본 발명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제2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3과 같은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본 발명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제2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제2상태일 때의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2와 같은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본 발명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제3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표시하는 철근 결속기의 와이어 송출기구의 주요부를 표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표시하는 와이어 송출기구를 적당하게 본체의 벽부를 생략하여, 전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표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2와 같은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본 발명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제4, 제5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3과 같은 위치에서의 단면으로, 본 발명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제4, 제5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 결속기의 제2상태에 있어서의 제2수나사부재, 제2환형상부, 헤드부 및 그 인접부를 표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제3, 제4상태에 있어서의 제2수나사부재, 제2환형상부, 헤드부 및 그 인접부를 표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서의 ⅩⅧ-ⅩⅧ선을 따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과 같은 위치에 있어서의 다른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에 표시하는 철근 결속기의 헤드부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에서의 ⅩⅩⅠ-ⅩⅩⅠ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에 표시하는 헤드부를 측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3은 도 20에 표시하는 헤드부를 윗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4는 도 20에 표시하는 헤드부를 아래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25는 도 20에 표시하는 헤드부로부터 돌출한 핀부재에 의한 와이어루우프의 꼬음 개시 전의 상태의 개략을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0에 표시하는 헤드부로부터 돌출한 핀부재에 의한 와이어루우프의 꼬음의 중간상태의 개략을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0에 표시하는 헤드부로부터 돌출한 핀부재에 의한 와이어루우프의 고임의 완료시의 상태의 개략을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0에 표시하는 헤드부로부터 돌출한 핀부재에 의해 꼬여진 와이어루우프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종래의 철근 결속기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발명은, 본체와, 이 본체의 선단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한 한쌍의 홈부착 만곡부재를 구비한 루우프형성부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본체가 철근의 교차부를 감싸도록 폐쇄시킨 상태로 한 상기한 한쌍의 만곡부재의 홈부에 와이어를 공급하고, 와이어루우프를 형성시키는 와이어공급부와, 1대의 모우터에 의해 상기한 한쌍의 만곡부재의 개폐, 상기한 루우프를 형성한 후, 상기한 홈부에 송출되는 와이어를 절단하는 커터의 진퇴 및 형성된 상기한 루우프를 꼬으고, 상기한 와이어에 의해 철근을 결속시키는 한쌍의 간극을 두고 병설한 핀부재의 진퇴, 회전을 차례대로 실시하는 구동기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2발명은, 상기한 한쌍의 만곡부재가 링크기구에 의해 연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한 구동기구가, 상기한 모우터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는 제1수나사부재와, 이 제1수나사부재와 평행으로 배치되며 이 제1수나사부재를 개재하여 상기한 모우터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는 제2수나사부재와, 상기한 제1수나사부재에 체결되는 암나사부재를 구비하고, 이 암나사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1수나사부가 정회전하면 상기한 루우프형성부로부터 먼 방향인 후방을 향하여 이동함과 아울러, 외주부에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돌조(突條)를 구비하고, 중간부재를 개재하여 상기한 링크기구에 결합되고, 상기한 후방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만곡부재를 폐쇄하며, 상기한 루우프형성부를 향하는 방향인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만곡부재를 개방하는 제1환형상부와, 상기한 제2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암나사부재를 구비하고, 이 암나사부재에 대해서 상기한 제2수나사부재가 상기한 제1수나사부재의 정회전에 따라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전방을 향하여 이동함과 아울러, 외주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돌조를 구비하고 상기한 커터 및 핀부재와 일체로 진퇴가능하게, 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한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커터를 전진시켜서 상기한 와이어를 절단하는 위치를 넘어서 이동시키고, 또, 상기한 핀부재를 상기한 루우프를 꼬을 수 있는 위치까지 돌출시키는 제2환형상부와, 상기한 제1환형상부의 상기한 돌조와 결합, 이탈하여 철근 결속작업의 개시 전의 초기상태인 제1상태에서는, 상기한 제1환형상부의 정회전을 구속하고, 축에 따른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하며, 제2상태에서는 상기한 제1상태에 있어서의 위치로부터 이동한 후, 후부 스토퍼면에 맞닿거나 후방으로 향하는 방향의 이동을 구속한 상기한 제1환형상부의 전방으로 향하는 방향의 이동을 허용함과 아울러, 역회전을 구속하고 정회전을 허용하는 상태로 하며, 제3, 제4의 각 상태 및 제1상태와 제5상태에서는 상기한 제2상태를 유지하는 한쌍의 제1폴(pawl)부재와, 상기한 제2환형상부의 상기한 돌조와 결합, 이탈하며, 상기한 제1, 제2, 제3상태에서는, 상기한 제2환형상부의 회전을 구속하고, 축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하며, 상기한 제4, 제5상태에서는 상기한 제1수나사부재의 정회전에 따른 상기한 제2수나사부재의 회전과 동일 방향의 상기한 제2환형상부의 회전을 허용하고, 이것과는 반대방향의 이 제2환형상부의 회전을 구속하고, 상기한 제3상태에 있어서의 위치로부터 이동한 후, 전부(前部) 스토퍼면에 맞닿거나, 전방으로 향하는 방향의 이동을 구속한 상기한 제2환형상부의 후방으로 향하는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하는 한쌍의 제2폴부재와,
상기한 커터 및 상기한 핀부재를 미끄럼이동시키는 가이드부를 보유함과 아울러, 상기한 와이어를 상기한 루우프형성부의 입구부를 향하여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전면에 보유하고, 상기한 핀부재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한 제1환형상부가 전진위치에 있고, 상기한 제2환형상부가 후퇴위치에 있는 상기한 제1상태로부터 상기한 제1수나사부재를 정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한 제2, 제3상태로 하며, 또, 상기한 제1수나사부재를 정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한 제4상태로 하며, 또, 상기한 제1수나사부재를 정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한 제5상태로 하며, 그 후 상기한 제1수나사부재를 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한 제1상태로 이행가능하게 형성된 구성으로 하였다.
제3발명은, 상기한 헤드부의 가이드홈이, 출구부에서, 또한, 상기한 루우프를 꼬으기 위해서 상기한 헤드부가 회전할 때의 전진쪽에, 홈 위에 돌출한 오버행(over hang)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한 와이어가 진행하는 방향을 따르는 것에 의해 전방을 향하도록 경사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제4발명은, 상기한 헤드부의 전면이, 상기한 루우프를 꼬으기 위해서 상기한 헤드부가 회전할 때의 상기한 가이드홈의 입구부, 출구부의 추종측부분을, 단부를 향하여 상기한 가이드홈의 측벽이 낮게 되도록 경사면으로서 형성된 구성으로 하였다.
제5발명은, 상기한 루우프형성부가, 상기한 만곡부재의 홈부의 입구측에, 이 홈부의 입구부의 저면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함과 동시에, 상기한 와이어가 진행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이 낮게 되는 단부를 형성하는 가이드면을 보유하는 고정가이드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다.
제6발명은, 상기한 만곡부재가, 상기한 와이어가 진행하는 방향에 따라서 앞이 가늘게 되는 형상의 홈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다.
제7발명은, 상기한 중간부재가, 상기한 제1환형상부와 일체적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이 제1환형상부재와는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제1부재와, 이 제1부재가 정방향과 역방향 중의 어느 쪽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스프링을 개재하여 이 제1부재에 의해, 이 제1부재의 이동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작동되고, 상기한 링크기구를 직접 작동시키는 제2부재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였다.
제8발명은, 상기한 와이어공급부가, 와이어를 협지하여 송출하는 한쌍의 홈이 부착된 치차의 출구측에, 상기한 헤드부의 가이드홈의 폭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르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한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시켜서 상기한 와이어를 상기한 가이드홈에 도입하는 가이드공을 형성한 가이드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다.
제9발명은, 상기한 모우터가, 직류 전원에 의해 작동하며, 그 전류를 미리 설정한 값 이하로 되도록 하여 회전력이 제한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제1발명에 의하면, 본체와, 이 본체의 선단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한쌍의 홈이 부착된 만곡부재를 구비한 루우프형성부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본체가, 철근의 교차부를 감싸도록 폐쇄시킨 상태로 한 상기한 한쌍의 만곡부재의 홈부에 와이어를 보내어 와이어루우프를 형성시키는 와이어공급부와, 1대의 모우터에 의해 상기한 한쌍의 만곡부재의 개폐, 상기한 루우프를 형성한 후, 상기한 홈부에 송출되는 와이어를 절단하는 커터의 진퇴, 및 형성된 상기한 루우프를 꼬으고, 상기한 와이어에 의해 철근을 결속시키는 한쌍의 간격을 두고 병설한 핀부재의 진퇴, 회전을 차례대로 실시하는 구동기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동기구를 1대의 모우터에 의해 구동하도록 하였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경량화 되어, 철근 결속의 작업성의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2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한쌍의 만곡부재가, 링크기구에 의해 연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한 구동기구가, 상기한 모우터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는 제1수나사부재와, 이 제1수나사부재와 평행으로 배치되며, 이 제1수나사부재를 개재하여 상기한 모우터에 의하여 구동되어 회전하는 제2수나사부재와, 상기한 제1수나사부재에 체결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고, 이 암나사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1수나사부가 정회전하면 상기한 루우프형성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후방으로 향하여 이동함과 동시에, 외주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돌조를 구비하고, 중간부재를 개재하여 상기한 링크기구에 결합되고, 상기한 후방으로 향하여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만곡부재를 폐쇄하고, 상기한 루우프형성부를 향하는 방향인 전방으로 향하여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만곡부재를 개방하는 제1환형상부와, 상기한 제2수나사부재에 체결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고, 이 암나사부에 대하여, 상기한 제2수나사부재가 상기한 제1수나사부재의 정회전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전방으로 향하여 이동함과 아울러, 외주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돌조를 구비하고, 상기한 커터 및 핀부재와 일체적으로 진퇴가능하게, 또,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한 전방으로 향하여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커터를 전진시켜서 상기한 와이어를 절단하는 위치를 넘어 이동시키며, 또, 상기한 핀부재를 상기한 루우프를 꼬으는 위치까지 돌출시키는 제2환형상부와, 상기한 제1환형상부의 상기한 돌조와 결합, 이탈하고, 철근 결속작업의 개시 전인 초기상태인 제1상태에서는, 상기한 제1환형상부의 정회전을 구속하고, 축에 따른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하며, 제2상태에서는 상기한 제1상태의 위치로부터 이동한 후, 후부 스토퍼면에 맞닿으며, 후방으로 향하는 방향의 이동을 구속한 상기한 제1환형상부의 전방으로 향하는 방향의 이동을 허용함과 동시에, 역회전을 구속하고, 정회전을 허용하는 상태로 하며, 제3, 제4의 각 상태, 및 제1상태로와 제5상태에서는, 상기한 제2상태를 유지하는 한쌍의 제1폴부재와, 상기한 제2환형상부의 상기한 돌조와 결합, 이탈하고, 상기한 제1, 제2, 제3상태에서는 상기한 제2환형상부의 회전을 구속하고 축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하며, 상기한 제4, 제5상태에서는, 상기한 제1수나사부재의 정회전에 따르는 상기한 제2수나사부재의 회전과 같은 방향의 상기한 제2환형상부의 회전을 허용하며, 이것과는 반대방향의 이 제2환형상부의 회전을 구속하며, 상기한 제3상태에서의 위치로부터 이동한 후, 전부 스토퍼면에 맞닿으며, 전방으로 향하는 방향의 이동을 구속한 상기한 제2환형상부의 후방으로 향하는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하는 한쌍의 제2폴부재와, 상기한 커터 및 상기한 핀부재를 미끄럼이동시키는 가이드부를 보유함과 아울러, 상기한 와이어를 상기한 루우프형성부의 입구부를 향하여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전면에 보유하며, 상기한 핀부재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헤드부를 구비하고, 상기한 제1환형상부가 전진위치에 있고, 상기한 제2환형상부가 후퇴위치에 있는 상기한 제1상태로부터 상기한 제1수나사부재를 정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한 제2, 제3상태로 하며, 또, 상기한 제1수나사부재를 정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한 제4상태로 하며, 또, 상기한 제1수나사부재를 정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한 제5상태로 하며, 그 후, 상기한 제1수나사부재를 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한 제1상태로 이행가능하게 형성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제1발명에 의한 효과에 더해서, 상기한 루우프의 꼬임시에, 한쌍의 핀부재에 의해 루우프를 양측으로 인장하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면서 꼬으는 결과, 루우프의 꼬음부의 높이가 낮게 된다. 또, 상기한 커터를 절단위치를 넘어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루우프를 꼬으기 위해서 상기한 헤드부를 회전시켰을 때에 와이어 절단부가, 이것과 헤드부의 주위의 내벽과의 사이의 마찰에 의해 굴곡하며, 루우프의 꼬음부로부터 돌출하도록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 결과, 철근을 콘크리트 내에 매설하였을 때, 콘크리트로부터 와이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철근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 제3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헤드부의 가이드홈이, 출구부에서 또한 상기한 루우프를 꼬으기 위해서 상기한 헤드부가 회전할 때의 전진측에, 홈 위로 돌출한 오버행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한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따라 보다 전방으로 향하도록 경사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각 발명에 의한 효과에 더해서, 루우프형성시에 와이어가 가이드홈으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게 되어, 또, 더한층 작업성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제4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헤드부의 전면이, 상기한 루우프를 꼬으기 위해서 상기한 헤드부가 회전할 때의 상기한 가이드홈의 입구부, 출구부의 추종측부분을, 단부로 향하여 상기한 가이드홈의 측벽이 낮게 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발명에 의한 효과에 더해서, 루우프를 꼬을 때, 루우프가 가이드홈으로부터 벗어나서 원활한 루우프의 꼬음의 실행이 가능하도록 한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제5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루우프형성부가, 상기한 만곡부재의 홈부의 입구측에서 이 홈부의 입구부의 저면과 동일방향으로 경사함과 아울러, 상기한 와이어가 진행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이 낮게 되는 단부를 형성하는 가이드면을 보유하는 고정가이드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각 발명에 의한 효과에 더해서, 루우프 형성시에, 와이어가 진행하기 쉽게 되어, 루우프형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와이어를 보내는 힘을 작게 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하고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제6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만곡부재가, 상기한 와이어가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서 앞이 가늘게 되는 형상의 홈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각 발명에 의한 효과에 더해서, 루우프 형성시, 와이어를 확실하게 전방의 홈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루우프형성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제7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중간부재가, 상기한 제1환형상부와 일체적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이 제1환형상부와는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제1부재와, 이 제1부재가 정방향, 역방향 중의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스프링을 개재하여 이 제1부재에 의해, 이 제1부재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작동되고, 상기한 링크기구를 직접 작동시키는 제2부재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각 발명에 의한 효과에 더해서, 상기한 만곡부재가 폐쇄되었을 때, 예를 들면,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만곡부재에 손이 끼여진다 하더라도 스프링이 탄성재의 기능을 하여,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만곡부재에 철근이 끼인다 하더라도 스프링이 탄성재의 기능을 하여, 모우터 등의 구동부에 과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한 스프링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상기한 만곡부재를 폐쇄하더라도, 다소 만곡부재가 열리는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는 여유가 발생하며, 와이어가 만곡부재의 홈 내를 진행할 때에, 와이어와 홈의 저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며, 상기한 루우프의 형성을 돕고, 한층 더 작업성의 향상과 구동부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 만곡부재가 개방된 경우에도, 만곡부재가 철근 등의 장해물에 닿아서 만곡부재의 개방동작이 방해되더라도, 커터, 핀부재 등은 작동하여 초기상태로 복귀하며, 장해가 제거된 후, 만곡부재도 개방될 수 있어,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모우터 등에 과부하를 주는 일이 없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 제8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와이어공급부가, 와이어를 끼워보내는 한쌍의 홈이 부착된 치차의 출구측에, 상기한 헤드부의 가이드홈의 폭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한 길이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하여 상기한 와이어를 상기한 가이드홈으로 도입하는 가이드공을 형성한 가이드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각 발명에 의한 효과에 더해서, 상기한 루우프의 형성을 더욱 원활하게 한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제9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모우터가, 전류를 미리 설정한 값 이하로 되도록 하여 회전력이 제한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각 발명에 의한 효과에 더해서, 모우터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이 과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한 루우프의 꼬임이 과도하게 되는 일이 없음과 아울러, 꼬임의 정도를 일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철근 결속기를 표시하는 것으로, 본체(1)와 이 본체(1)의 선단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한 한쌍의 홈이 부착된 만곡부재(2A,2B)를 구비한 루우프형성부(3)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1)는, 와이어(4)를 루우프형성부(3)에 송급하는 와이어공급부(5)와 다음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4)의 절단, 만곡부재의 개폐, 와이어루우프의 꼬음 등을 실시하는 구동기구(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체(1)의 앞부분, 즉, 도 2에 있어서의 좌단부에는, 만곡부재(2A,2B)의 양측, 계 4개소에 돌출부(7)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1)의 후부에는 손잡이(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7)는, 철근의 교차부를 꼬임의 중심부에 위치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 외에, 만곡부재(2A,2B)가, 철근 혹은 다른 물건에 맞닿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와이어공급부(5)는, 와이어(4)가 감겨있는 와이어리일(11)과, 회전자재하게 설치된 홈이 부착된 가이드롤러(12,13)와, 제1모우터(14)에 의해 구동되는 한쌍의 홈이 부착된 치차(15A,15B)를 보유하는 와이어송출부(16)와, 와이어(4)를 경사시켜서 안내하는 가이드공(17)을 보유함과 아울러, 고정된 환형상의 가이드부재(18)로 이루어져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모우터 혹은 모우터과 감속기와의 조합을 모우터라 표현한다.
구동기구(6)는, 제2모우터(21), 제1수나사부재(22), 제2수나사부재(23), 제1환형상부(24), 제2환형상부(25), 한쌍의 제1폴부재(26A,26B), 한쌍의 제2폴부재(27A,27B) 및 헤드부(28)를 보유하고 있다. 제1수나사부재(22)는, 제2모우터(21)에 의해 구동되며,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2수나사부재(23)는, 제1수나사부재(22)와 평행으로 배치되며, 감속기(29)를 개재하여 결합되고, 이 제1수나사부재(22)와 함께 동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1환형상부(24)는, 제1수나사부재(22)에 체결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고, 이 암나사부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제1수나사부재(22)가 정회전하면, 도 2에 있어서 오른쪽, 즉, 후방으로 향하여 이동함과 아울러 외주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돌조(30)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제1환형상부(24)에는, 제1수나사부재(22), 제1환형상부(24)가 회전하더라도 회전하지 않고, 제1환형상부(24)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31)가 적당한 베어링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이 플레이트(31)를 관통시키고 또 제1, 제2수나사부재(22,23)와 평행으로 봉부재(棒部材)(32)가 설치되어 있고, 이 플레이트(31)의 양측에 설치한 코일스프링(33,34)을 개재하여 플레이트(31)에 의해 봉부재(32)가 상기한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제2환형상부(25)는 제2수나사부재(23)에 체결되는 암나사부(43)(도 16, 도 17 참조 : 후술)을 구비하고, 이 암나사부(43)에 대하여, 제2수나사부재(23)가 상대적으로 정회전하는 경우에는, 도 2에 있어서 왼쪽, 즉, 전방으로 향하여 이동가능I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제2환형상부(25)의 외주부에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돌조(35A,35B)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제2환형상부(25)의 전방의 단면에는 1개의 커터(36)와 2개의 핀부재(37)가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1폴부재(26A,26B)는, 다른 위치에서 제1수나사부재(22)의 돌조(30)에 결합하도록 배치되며, 또한 선단부가 제1폴부재(26A,26B)를 항상 누르도록 스프링에 의해 눌려지고 있다. 제2폴부재(27A,27B)도 또, 다른 위치에서 제2수나사부재(23)의 돌조(35A,35B)에 결합하도록 배치되고, 또, 선단부가 제1폴부재(26A,26B)를 항상 누르도록 스프링에 의해 눌려지고 있다.
헤드부(28)는, 커터(36)를 미끄럼이동시키는 가이드홈(38), 및 핀부재(37)를 미끄럼이동시키는 가이드공(39)을 보유하며, 고정된 상기한 가이드부재(18) 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하고 있다. 그리고, 제2환형상부(25)와 함께 커터(36) 및 핀부재(37)가 회전하면, 이들과 일제히 헤드부(28)도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헤드부(28)의 전방의 단면의 중앙부에는, 상기한 가이드공(17)에 의해 도입된 와이어(4)를 상기한 루우프형성부(3), 더욱 상세하게는, 만곡부재(2A)의 입구부로 도입하는 가이드홈(40)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홈(40)의 저면은, 도 2에 있어서, 윗쪽보다 아래쪽이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으며, 와이어(4)는 상기한 입구부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홈(40)의 출구부에서, 또 와이어(4)의 루우프를 꼬으기 위해서 헤드부(28)가 회전할 때의 전진측에, 홈 위에 돌출한 오버행부(41)가 설치되어 있다.
루우프형성부(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만곡부재(2A,2B)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은 핀(51,52)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본체(11)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만곡부재(2A,2B)에는, 와이어(4)가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앞이 가늘게 되는 형상의 홈부(53,54)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표시하는 예의 경우에서는, 만곡부재(2A,2B)가 폐쇄하면 만곡부재(2A)의 선단부가 만곡부재(2B)의 홈부(54) 내에 들어간 상태로 된다. 그리고, 홈부(53)와 홈부(54)와의 사이에서, 와이어(4)가 진행할 때의 전방이 낮게 되는 단차가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만곡부재(2A,2B)에는, 장공을 보유하는 링크기구를 형성하는 링크부재(55,56)가 고정되어 있고, 이 장공부분에서 핀(57)을 개재하여 상기한 봉부재(32)와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봉부재(32)가, 전방, 즉, 도 2에 있어서의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만곡부재(2A,2B)가 개방되고, 도 2에 표시하는 상태로 된다. 이것과는 반대로, 봉부재(32)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만곡부재(2A,2B)가 폐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봉부재(32)와 플레이트(31)와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33,34)이 개재되어 있으므로, 플레이트(31)의 전방 혹은 후방으로의 이동에 대하여, 봉부재(32)는 몇차례 나뉘어 지연되어 이동한다. 즉, 코일스프링(33) 혹은 코일스프링(34)에 의한 스프링의 힘이 어느 정도 커지고나서 봉부재(32)는 이동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플레이트(31)가 이동하여도 만곡부재(2A,2B)는 즉시 개방 혹은 폐쇄되는 것은 아니고, 몇차례 나뉘어 지연되어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만곡부재(2A,2B)가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만곡부재(2A,2B)에 이것을 개방시키는 방향의 힘이 작용한 경우, 코일스프링(33)에 의한 스프링력이 어느 정도 크게 될 때까지는 만곡부재(2A,2B)는 개방하는 방향으로 작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플레이트(31)와 만곡부재(2A,2B)는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데, 양자는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양자 사이에 다소의 간극이 발생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 간극이, 와이어(4)를 원활하게 진행시키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또, 이 코일스프링(33)이 없는 경우, 만곡부재(2A,2B)가 폐쇄되었을 때, 만곡부재(2A,2B), 링크부재(55,56)의 장공, 봉부재(32), 제1환형상부(24) 등의 위치, 치수의 정밀도가 좋지 않으면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는다. 실제의 시작품에서는, 만곡부재(2A,2B)를 폐쇄할 때, 링크부재(55,56)와 봉부재(32)와의 결합부는 12㎜ 이동하여 정지하는 것에 대해서, 제1환형상부(24)는 14㎜ 이동한다. 따라서, 만곡부재(2A,2B)가 폐쇄할 때에 코일스프링(33)은 초기상태보다도 2㎜ 수축되고, 이에 의해서 상기한 각 부재의 위치, 치수의 오차를 허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33)은 또, 만곡부재(2A,2B)를 폐쇄할 때에, 예를 들면,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양 부재 사이에 손이 끼여진 경우에는, 탄성재의 작용을 함과 아울러, 양 부재 사이에 철근 등이 끼여진 경우에는, 모우터 등에 작용하는 부하를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만곡부재(2A,2B)가 폐쇄된 상태로부터 개방된 상태로 복귀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모우터(21)의 역회전에 의해 제1환형상부(24)가 전진하여 봉부재(32)를 전진시킴과 동시에, 제2환형상부(25)가 후퇴하여 커터(36), 핀부재(37)를 후퇴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만곡부재(2A,2B)가, 예를 들면, 철근에 의해 개방동작이 방해되었다 하더라도, 코일스프링(34)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커터(36), 핀부재(37)의 후퇴는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제1환형상부(24), 제2환형상부(25)는, 후술하는 초기상태로 복귀하고, 만곡부재(2A,2B)는 폐쇄한 상태, 혹은, 불완전하게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스프링(34)은 초기상태보다도 줄어든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철근 결속기를 이동시켜서, 장해가 되고 있는 철근으로부터 떨어뜨리면, 코일스프링(34)의 힘에 의해 만곡부재(2A,2B)는 개방된다.
또, 만곡부재(2A)의 홈부(53)의 입구부에는, 상기한 가이드부재(25)에 의해 도입된 와이어(4)를 홈부(53)에 도입하는 고정가이드부재(58)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가이드부재(58)의 가이드면(58A)은 경사하고 있으며, 이 가이드면(58A)으로부터 홈부(53)로 진행할 때, 전방이 낮게 되는 단차를 형성하고 있다. 이 단차 및 만곡부재(2A,2B)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한 단차는, 와이어(4)를 보다 원활하게 진행시키는데 도움이 되고 있고, 또, 고정가이드부재(58)는 와이어(4)를 최초로 만곡부재(2A)의 곡율보다 큰 곡율로 만곡시키는 것에 도움이 되고 있다.
또,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가이드부재(58)의 가이드면(58A)은, 그 폭방향에 단차를 보유하는 형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이드홈(40)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 경사하여 진입하여 오는 와이어(4)는, 최초는 도 4에 있어서의 화살표 X로 표시하듯이 가이드면(58A)의 좌측 상단부로 진행하여, 2바퀴로 되면 화살표 Y로 표시하듯이 가이드면(58A)의 오른쪽 하단부로 진행하도록 된다. 즉, 와이어(4)는 겹치는 일이 없이 차례대로 가이드홈(40)의 폭방향으로 어긋나서 가면서 원활하게 루우프가 형성된다.
또, 도 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면(58A)을 경사면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와이어(4)는 1바퀴째는 화살표 X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2바퀴째는 화살표 Y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진행한다.
여기에 표시하는 철근 결속기의 경우, 루우프형성부(3)는 고정가이드부재(58)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고정가이드부재(58)는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고, 이 고정가이드부재(58)에 대신해서 이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의 가이드부를 만곡부재(2A)에 고정하고, 만곡부재(2A)와 일체적으로 작동시키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철근 결속기의 상기한 각 모우터는, 예를 들면,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은 배터리에 의해 작동된다. 따라서, 제1, 제2모우터(14,21)로서는 DC모우터가 사용된다.
또, 도면에 표시하는 예의 경우, 제2모우터(21)를 흐르는 전류의 상한값을 정하고, 그 이상의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DC모우터의 경우, 여기를 흐르는 전류와 DC모우터가 발생하는 회전력은 비례한다. 따라서, 전류의 상한값을 제한하면 모우터가 발생하는 회전력이 어떤 값, 즉, 상기한 루우프를 과도하게 꼬으지 않는 정도의 회전력에 도달하면 DC모우터의 회전은 정지한다. 그리고, 제2모우터(21)의 회전이 정지하면,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이 회전의 정지가 검출되고, 역회전이 시작되도록 되어 있다.
또, 철근의 직경, 철근 결속기의 상태 등에 의해 꼬으는 경우의 최적의 회전력은 변화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상한값을 조정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한 철근 결속기의 동작과 함께 그 구조의 구체적인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도 1 ∼ 도 3에 표시하는 철근 결속기는 초기상태인 제1상태를 표시하며, 와이어(4)의 선단부는, 가이드공(17)의 출구부에 위치하고, 제1환형상부(24)는, 도 2에 있어서의 왼쪽에 위치하며, 제2환형상부(25)는 오른쪽에 위치하고, 만곡부재(2A,2B)는 개방되어 있다. 또한, 제1환형상부(24)의 돌조(30)와 제1폴부재(26A)와가 결합하며, 제1환형상부(24)의 정회전이 규제되고, 제2환형상부(25)의 돌조(35A)와 제2폴부재(27A,27B)가 결합하며, 제2환형상부(25)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상태에서, 철근(60)의 교차부를 감싸도록 루우프형성부(3)를 위치시킨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7)에 의해, 철근(60)의 교차부를 꼬음의 중심에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도 6, 도 7은, 제1, 제2환형상부(24,25)와 제1폴부재(26A,26B) 및 (27A,27B)의 상세를 표시하고 있다. 제1폴부재(26A)는, 돌조(30)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제1환형상부(24)의 정회전만을 규제하며, 제1폴부재(26B)는, 돌조(30)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제1환형상부(24)의 역회전만을 규제한다. 또, 도 6, 도 7에서는, 정회전은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우회전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제1상태에서는, 제1폴부재(26B)와 돌조(30)는 떨어져 있다. 또한, 제2폴부재(27B)는, 돌조(35A), 혹은, 돌조(35B)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제2환형상부(25)의 역회전을 규제하고, 제2폴부재(27A)는, 돌조(35A)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제2환형상부(25)의 정회전을 규제한다. 그리고, 제1상태에서는, 제2폴부재(27A,27B)와 돌조(35A)가 결합하고 있다.
또, 돌조(30)와 돌조(35B)는 제1, 제2환형상부(24,25)의 이동스트로크보다 짧은 것에 대해서, 돌조(35A)는 적어도 제2환형상부(25)의 이동스트로크와 같은 길이를 보유하고 있다.
도 8, 도 9는, 상기한 철근 결속기의 제2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2모우터(21)에 의해 제1수나사부재(22)가 정회전되고, 제1폴부재(26A)에 의해 정회전이 규제된 제1환형상부(24)가 후부 스토퍼면(61)을 향하여 후방으로 이동한다. 또, 제1환형상부(24)의 후방으로의 이동과 함께 플레이트(31)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플레이트(31)와 함께 봉부재(32)도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핀(57)을 개재하여 봉부재(32)와 결합한 링크부재(55,56)의 선단부가 후방으로 빠지고, 만곡부재(2A,2B)를 폐쇄한 상태로 하는 위치에 봉부재(32)가 도달하면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봉부재(32)의 도달이 검출되고, 제2모우터(21)는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환형상부(24)가 후방으로 이동한 결과, 제1폴부재(26A)와 돌조(30)와의 결합은 해제되고, 제1폴부재(26B)와 돌조(30)가 결합한 상태로 된다. 이 결과, 제1환형상부(24)의 정회전은 가능해지지만, 역회전은 규제된다.
또한, 제1수나사부재(22)가 정회전함과 동시에, 제2수나사부재(23)도 정회전하며, 제2폴부재(27B)l에 의해 정회전이 규제된 제2환형상부(25)가 전방으로 향하여 이동한다. 제2환형상부(25)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커터(36), 핀부재(37)도 전방으로 이동한다.
제1수나사부재(22)와 제2수나사부재(23)와의 사이에는 감속기(29)가 개재되어 있고, 제2수나사부재(23)는 제1수나사부재(22)보다도 감속되어 회전구동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만곡부재(2A,2B)가 폐쇄할 때에는, 제1수나사부재(22)와 함께 작동되며, 폐쇄하는 힘을 약하게 하며, 예를 들면, 실수에 의해 만곡부재(2A,2B) 사이에 작업자가 손이 끼여진다 하더라도 상처를 입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제2모우터(21) 자신의 구동회전력은 작게 하고 있다. 또한, 제2수나사부재(23)를 감속하여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2수나사부재(23)의 회전시의 회전력를 크게 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커터(36)에 의한 와이어(4)의 절단, 핀부재(37)에 의한 루우프의 꼬음시에 큰 힘이 나타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수나사부재(23)를 감속하여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커터(36), 핀부재(37)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과대하게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10은, 만곡부재(2A,2B)가 폐쇄된 상태의 철근 결속기를 표시하고 있으며, 만곡부재(2B)의 홈부(54)의 입구부에 만곡부재(2A)의 선단부가 들어가므로, 만곡부재(2A)의 홈부(53)로부터 만곡부재(2B)의 홈부(54)로, 또, 와이어(4)가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11은, 상기한 철근 결속기의 제3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모우터(14)에 의해 서로 치합하는 한쌍의 치차(15A,15B)를 회전시키며, 와이어(4)를 가이드공(17), 가이드홈(40), 고정가이드부재(58)를 지나서, 만곡부재(2A,2B)로 보낸다. 또, 이 만곡부재(2A,2B)의 홈부(53,54)를 따라서 와이어(4)를 복수회, 예를 들면, 2.5회, 혹은, 3회 감아서 와이어루우프(62)의 형성이 실시된다. 제1모우터(14)의 회전수는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검출되고, 이 제1모우터(14)는 미리 정해진 회전수만큼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도 12, 도 1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치차(15A)는 축(71)에 의해 지지판(72)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치차(15B)는 핀(73)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L형 지지부재(74)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축(71)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판(72)을 관통하여, 제1모우터(14)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75)과 자재조인트(76)를 개재하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직접적으로는 제1모우터(14)에 의해 치차(15A)가 구동되어 치차(15B)가 치차(15A)와 치합하는 것에 의해 치차(15A)와 동기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치차(15A,15B)는, 중심부에 예를 들면, 단면이 V형을 한 홈을 구비하고 있다.
도 13에 있어서, 지지부재(74)의 상부는, 한쪽의 단부가 본체(1)의 내벽부에 지지된 코일스프링(77)에 의해 항상, 치차(15A)를 향하여 밀려지고 있다. 즉, 치차(15B)는, 항상 치차(15A)와 치합하도록 밀려지고 있다.
또한, 도 13에 있어서, 지지부재(74)의 아래쪽의 단부에는 캠(78)이 결합하고 있다. 이 캠(78)은, 본체(1)의 벽부를 관통한 축(79)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체(1)의 외측에서 축(79)에는, 이것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핸들(80)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 도 13은, 캠(78)의 단경부가 지지부재(74)의 아래쪽의 상기한 단부에 결합하고, 코일스프링(77)의 힘에 의해 단부가 상승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 경우, 치차(15A,15B)는 치합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도 12, 도 13에 표시하는 상태로부터 핸들(80)를 회전시켜서 캠(78)의 장경부를 상기한 단부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코일스프링(77)의 힘에 밀려서 상기한 단부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지지부재(74)는, 도 13에 있어서의 좌회전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결과, 치차(15B)는 치차(15A)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치차(15A,15B)의 홈에 의해 형성되는 와이어(4)의 통로는 넓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와이어리일(11)을 교환하여 새로운 와이어(4)를 치차(15A,15B) 사이에 통과시키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80)에 의해 치차(15A,15B)를 떨어지도록 하면, 와이어(4)를 치차(15A,15B) 사이에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다.
또, 핸들(80)에 의해 치차(15A,15B)를 떨어뜨리는 경우, 치차(15A,15B)의 치합을 완전하게 하지 않으면, 재차 치차(15B)를 치차(15A)에 밀어부친 경우에 양자가 용이하게 치합하는 것은 제한되지 않으므로 다소의 치합이 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차(15A,15B)에 의해, 와이어(4)는 가이드공(17)에 원활하게 진입하도록, 도 12, 도 1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철근 결속기의 측방, 전방 중의 어느 방향에서 보더라도 경사진 상태로 송출된다.
특히, 도 1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4)는 가이드홈(40)에 대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진입하고, 가이드홈(40)의 출구부의 도 13에 있어서의 오른쪽을 거쳐서 고정가이드부재(58)로 진행한다.
그리고, 이 오른쪽부분에는, 오버행부(4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버행부(41)에 의해 와이어(4)가 가이드홈(40)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있다.
도 14, 도 15는, 상기한 철근 결속기의 제4, 제5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먼저, 제4상태에서는, 또, 제2모우터(21)에 의해 제1수나사부재(22)와 함께 제2수나사부재(23)가, 다시 정회전을 시작하고, 제1환형상부(24)는 같은 위치로 정회전하는 것 뿐인 것에 대하여, 제2환형상부(25)는 제2폴부재(27A)에 의해 정회전이 규제되고, 커터(36), 핀부재(37)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커터(36)의 전진에 의해 와이어(4)가 가이드공(17)의 출구부에서 절단됨과 아울러, 핀부재(37)가 헤드부(28)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수나사부재(23)는 감속하여 회전되고, 와이어(4)를 절단할 때 커터(36)를 전진시키는 힘이 크게 되도록 되어 있다. 또, 커터(36)는, 와이어(4)를 절단하는 것만이 아니라 헤드부(28)측의 와이어(4)의 절단부를 헤드부(28)의 전면으로 밀어내는 위치까지 전진한다(도 17 참조).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핀부재(37)가 헤드부(28)의 전면에 돌출함과 아울러, 커터(36)가 상기한 위치까지 전진하면, 도 1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2환형상부(25)는, 제2수나사부재(23)에 설치한 전부 스토퍼면(81)에 맞닿으며, 전진을 정지한다. 제2수나사부재(22)가 감속하여 회전되는 것에 의해, 핀부재(37)의 전진속도는 작게 되어 있고, 그 전진량이 과대하게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2환형상부(24)가 전부 스토퍼면(81)에 맞닿으면 제2폴부재(27A)와 돌조(35A)는 떨어지며, 제2환형상부(24)는 정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도 1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2수나사부재(23)의 수나사부의 전단부의 주위에 플랜지부재(8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2환형상부(25)는 이 플랜지부재(82)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83)을 내부에 보유함과 아울러, 이 공간(83)의 후부측의 개구부에 상술한 암나사부(43)를 구비하고 그 내경은 플랜지부재(82)의 외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랜지부재(82)의 암나사부(43)측의 단면이 전부 스토퍼면(81)으로 되어 있다.
플랜지부재(82)의 전방측에는 봉부재가 돌출하고 있으며, 그 기부(基部)(84)는 원형의 양측부를 평행으로 잘라낸 형상의 단면을 보유함과 아울러, 선단부(85)는 상기한 원형보다 직경이 작은 원형 단면을 보유하며, 기부(84)로부터 선단부(85)로는 테이퍼부(86)를 개재하여 연속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공간(83)의 개구부에 근접한 내벽부에는 2장의 판스프링(87)이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2환형상부(25)가 후퇴한 위치인 제3상태에서는, 도 1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87)은 기부(84)의 양단부의 플래트부를 스프링 힘에 의해 누르는 상태를 지속하고 있다. 또, 도 19는 기부(84)가 판스프링(87)과 결합하고 있는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제2수나사부재(23)만 회전하며, 판스프링(87)이 기부(84)의 원호부에 의해 눌려 확대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1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2환형상부(25)가 전진한 상태로 되면, 판스프링(87)은 기부(84)와는 떨어지며, 또 단면 원형의 선단부(85)와도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된다. 이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한 제5상태에서는, 상기한 제4상태에 이어서, 제2모우터(21)가 정회전을 계속하며 이 경우, 제1환형상부(24)는 같은 위치로 정회전하며, 제2환형상부(25)는 같은 위치로 정회전한다. 동시에, 핀부재(37)가 헤드부(28)와 동시에 선회하며, 루우프(62)가 꼬여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모우터(21)를 흐르는 전류의 상한값이 정해져 있고, 제2모우터(21)에 의한 회전력이 미리 정한 값에 도달하면 제2모우터(21)는 정지한다. 제2모우터(21)의 회전의 정지가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검출되면, 제2모우터(21)는 역회전을 개시한다.
제2환형상부(24)는, 역회전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제2수나사부재(23)를 따라 후퇴를 시작한다. 이 제2환형상부(24)가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후퇴하면, 이 위치에 도달한 것이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검출되고, 제2모우터(21)의 역회전은 종료한다. 즉, 철근 결속기는 상기한 제1상태로 복귀한다.
도 20 ∼ 도 28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0은, 도 13에 있어서의 헤드부(28)만을 표시하는 것으로,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핀부재(37)에 의해 루우프(62)가 도면 중 실선의 화살표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인장된 상태로 꼬여진다.
도 2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커터(36)는 와이어(4)를 절단하고, 또, 헤드부(28)측의 와이어(4)의 단부가 헤드부(28)의 외측에 위치할 때까지 전진한다.
한편, 헤드부(28)의 전면은, 도 20에 있어서의 점선의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부(28)가 정회전할 때, 즉, 루우프(62)를 꼬을 때에, 가이드홈(40)의 입구부, 출구부의 추종측부분을, 단부로 향하여 가이드홈(40)의 측벽이 낮게 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0 ∼ 도 24에 있어서의 (A), (B)로 표시하는 부채형의 단면이, 가이드홈(40)의 단부를 향하여 홈의 깊이가 작게 되도록 경사져 있다.
또, 도 22 ∼ 도 24는, 헤드부(28)만을 표시하며, 그밖에는 생략하고 있고, 도 25 ∼ 도 28은, 루우프(62)의 꼬임상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표시한 것으로, 이 꼬음과 직접 관계가 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있다.
오버행부(41)는, 루우프(62)의 꼬임을 위하여 회전할 때의 추종측이 개구하고 있으므로, 이 꼬임을 개시하면 즉시 이 오버행부(41)로부터 루우프(62)는 벗어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부(28)의 (A), (B)로 표시하는 단면을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한 꼬임을 개시하면 즉시 가이드홈(40)으로부터 루우프(62)는 벗어난다. 또, 도 2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4)의 단면을 헤드부(28)의 외부로 압출하여 상기한 꼬음을 실시하기 때문에, 이 부분이 루우프(62)가 꼬여진 후에, 꼬음부로부터 돌출하는 상태로 되는 일은 없고, 이 꼬음부의 높이(H)(도 28 참조)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와이어(4)의 단부가 커터(36)의 가이드홈(38) 내에 위치하고 있으면, 루우프(62)를 꼬으기 위해서 헤드부(28)가 회전한 때에 가이드부재(18)의 내벽으로 와이어(4)의 선단부가 마찰되어 굴곡하며, 루우프(62)의 꼬음부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된다. 커터(36)는, 이러한 와이어(4)의 돌출을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4)는 핀부재(37)에 의해 양측으로 인장된 상태에서 꼬여지기 때문에, 꼬음부의 높이(H)가 낮게 된다.
꼬음부의 높이(H)가 낮게 되는 결과, 철근(60)이 콘크리트로 덮혀졌을 때, 이 꼬음부가 콘크리트로부터 밀려나오는 일이 없게 되며, 이러한 밀려나오는 것에 기인하는 철근의 부식이라는 문제도 없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환형상부(25)에 일정한 회전력이 작용하고, 제2모우터(21)를 흐르는 전류가 상한값에 도달할 때까지 루우프(62)가 꼬여지면, 제2모우터(21)가 정지하고, 또, 역회전을 개시하며, 상기한 제1상태로 복귀한다. 즉, 제2모우터(21)에 의해 제1수나사부재(2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폴부재(26B)에 의해 역회전이 규제된 제1환형상부(24)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제1환형상부(24)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봉부재(32)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만곡부재(2A,2B)가 개방되며, 철근 결속부로부터 철근 결속기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시에, 제2수나사부재(23)도 역회전을 시작하며, 역회전이 규제된 제2환형상부(25)가, 커터(36), 핀부재(37)와 함께 도 17에 표시하는 위치로부터 회전하는 일이 없이 후방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루우프(62)의 꼬임이 종료하며, 제2수나사부재(23)가 역회전을 개시하였을 때, 루우프(62)의 꼬음부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돌조(35B)의 수를 많게 하여, 제2환형상부(25)의 역회전각도를 가능한 한 작게 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2환형상부재(25)가 후퇴하고, 돌조(35B)와 제2폴부재(27B)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제2환형상부재(25)의 역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 후, 판스프링(87)과 기부(84)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제2환형상부재(25)가, 역회전하고 있는 제2수나사부재(22)와 함께 역회전을 시작한다. 이 제2환형상부재(25)가, 최대 1회전할 때까지 돌조(35A)와 폴부재(27B)가 결합하고, 제2환형상부재(25)는 초기의 회전각도상태로 복귀한다. 또, 제2모우터(21)에 있어서는 돌조(35B)와 제2폴부재(27B)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는 위치의 가까이에 제2환형상부재(25)가 도달하면, 이것이 그 위치에 도달한 것이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은 센서에 의해 검출되고, 역회전하고 있는 제2모우터(21)에 대하여 정지신호가 출력된다. 이 제2모우터(21)는, 정지신호가 출력된 후, 다소 타성으로 회전을 계속하며, 판스프링(87)과 기부(84)는 도 18, 도 19에 표시하는 상태를 반복하고, 그 후 정지한다. 즉, 상기한 철근 결속기는, 도 1 ∼ 도 3에 표시하는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철근 결속기는, 1회의 누름버튼 조작에 의해, 상기한 제1상태로부터 차례대로 제5상태로 이행한 후, 상기한 제1상태로 복귀하여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Claims (9)

  1. 본체(1)와, 이 본체(1)의 선단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한 한쌍의 홈이 부착된 만곡부재(2A,2B)를 구비한 루우프형성부(3)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본체(1)가, 철근(60)의 교차부를 감싸도록 폐쇄시킨 상태로 한 상기한 한쌍의 만곡부재(2A,2B)의 홈부에 와이어(4)를 보내고, 와이어(4)의 루우프를 형성시키는 와이어공급부(5)와,
    1대의 모우터(21)에 의해, 상기한 한쌍의 만곡부재(2A,2B)의 개폐, 상기한 루우프를 형성한 후, 상기한 홈부에 송출되는 와이어(4)를 절단하는 커터(36)의 진퇴, 및 형성된 상기한 루우프를 꼬으며, 상기한 와이어(4)에 의해 철근(60)을 결속시키는 한쌍의 간격을 두고 병설한 핀부재(37)의 진퇴, 회전을 차례대로 실시하는 구동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한쌍의 만곡부재(2A,2B)가, 링크기구에 의해 연동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한 구동기구(6)가, 상기한 모우터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는 제1수나사부재(22)와,
    이 제1수나사부재(22)와 평행으로 배치되며, 이 제1수나사부재(22)를 개재하여 상기한 모우터에 의하여 구동되어 회전하는 제2수나사부재(23)와,
    상기한 제1수나사부재(22)에 치합하는 암나사부(43)를 구비하고, 이 암나사부(43)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1수나사부재(22)가 정회전하면 상기한 루우프형성부(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후방으로 향하여 이동함과 아울러, 외주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조를 구비하고, 중간부재를 개재하여 상기한 링크기구에 결합되며, 상기한 후방으로 향하여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만곡부재(2A,2B)를 폐쇄하며, 상기한 루우프형성부(3)를 향하는 방향인 전방으로 향하여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만곡부재(2A,2B)를 개방하는 제1환형상부(24)와,
    상기한 제2수나사부재(23)에 치합하는 암나사부(43)를 구비하고, 이 암나사부(43)에 대하여, 상기한 제2수나사부재(23)가 상기한 제1수나사부재(22)의 정회전에 따라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전방을 향하여 이동함과 아울러, 외주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돌조를 구비하고 상기한 커터(36) 및 핀부재(37)와 일체적으로 진퇴가능하게, 또,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한 전방으로 향하여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커터(36)를 전진시켜서 상기한 와이어(4)를 절단하는 위치를 넘어서 이동시키며, 또한 상기한 핀부재(37)를 상기한 루우프를 꼬을 수 있는 위치까지 돌출시키는 제2환형상부(25)와,
    상기한 제1환형상부(24)의 상기한 돌조와 결합, 이탈하고, 철근 결속작업의 개시 전의 초기상태인 제1상태에서는, 상기한 제1환형상부(24)의 정회전을 구속하고, 축을 따르는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하며, 제2상태에서는, 상기한 제1상태에 있어서의 위치로부터 이동한 후, 후부 스토퍼면(61)에 맞닿으며, 후방으로 향하는 방향의 이동이 구속된 상기한 제1환형상부(24)의 전방으로 향하는 방향의 이동을 허용함과 아울러, 역회전을 구속하고, 정회전을 허용하는 상태로 하며, 제3, 제4의 각 상태, 및 제1상태로와 제5상태에서는 상기한 제2상태를 유지하는 한쌍의 제1폴부재(26A,26B)와,
    상기한 제2환형상부(25)의 상기한 돌조와 결합, 이탈하고, 상기한 제1, 제2, 제3상태에서는, 상기한 제2환형상부(25)의 회전을 구속하며, 축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하고, 상기한 제4, 제5상태에서는, 상기한 제1수나사부재(22)의 정회전에 따라 상기한 제2수나사부재(23)의 회전과 같은 방향의 상기한 제2환형상부(25)의 회전을 허용하며, 이와는 반대방향인 이 제2환형상부(25)의 회전을 구속하고, 상기한 제3상태에 있어서의 위치로부터 이동한 후, 전부 스토퍼면(81)에 맞닿으며, 전방으로 향하는 방향의 이동이 구속된 상기한 제2환형상부(25)의 후방으로 향하는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하는 한쌍의 제2폴부재(27A,27B)와,
    상기한 커터(36) 및 상기한 핀부재(37)를 미끄럼이동시키는 가이드부를 보유함과 아울러, 상기한 와이어(4)를 상기한 루우프형성부(3)의 입구부를 향하여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전면에 보유하고 상기한 핀부재(37)와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헤드부(28)를 구비하고,
    상기한 제1환형상부(24)가 전진위치에 있고, 상기한 제2환형상부(25)가 후퇴위치에 있는 상기한 제1상태로부터 상기한 제1수나사부재(22)를 정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한 제2, 제3상태로 하며, 또, 상기한 제1수나사부재(22)를 정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한 제4상태로 하고, 또, 상기한 제1수나사부재(22)를 정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한 제5상태로 하며, 그 후 상기한 제1수나사부재(22)를 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한 제1상태로의 이행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부(28)의 가이드홈이, 출구부에서 또한 상기한 루우프를 꼬으기 위하여 상기한 헤드부(28)가 회전할 때의 전진측에, 홈 위에 돌출한 오버행부(41)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한 와이어(4)의 진행방향에 따라 보다 전방으로 향하도록 경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부(28)의 전방이, 상기한 루우프를 꼬으기 위하여 상기한 헤드부(28)가 회전할 때의 상기한 가이드홈의 입구부, 출구부의 추종측부분을, 단부를 향하여 상기한 가이드홈의 측벽이 낮게 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의 철근 결속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루우프형성부(3)가, 상기한 만곡부재(2A,2B)의 홈부의 입구측에서, 이 홈부의 입구부의 저면과 같은 방향으로 경사함과 아울러, 상기한 와이어(4)가 진행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이 낮게 되는 단부를 형성하는 가이드면을 보유하는 고정가이드부재(5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만곡부재(2A,2B)가, 상기한 와이어(4)가 진행방향을 따라 앞이 가늘게 되는 형상의 홈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간부재가, 상기한 제1환형상부(24)와 일체적으로 이동가능하고, 또한, 이 제1환형상부(24)와는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한 제1부재와, 이 제1부재가 정방향, 역방향 중의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스프링을 개재하여 이 제1부재에 의해, 이 제1부재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작동되고, 상기한 링크기구를 직접 작동시키는 제2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기.
  8.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와이어공급부(5)가, 와이어(4)를 협지하여 송출하는 한쌍의 홈이 부착된 치차의 출구측에, 상기한 헤드부(28)의 가이드홈의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한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시켜서 상기한 와이어(4)를 상기한 가이드홈에 도입하는 가이드공을 형성한 가이드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모우터가, 직류전원에 의해 작동하며, 그 전류를 미리 설정한 값 이하로 되도록 하여 회전력이 제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기.
KR1019970708100A 1996-03-15 1996-07-01 철근 결속기 KR199900147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59622A JP2923242B2 (ja) 1996-03-15 1996-03-15 鉄筋結束機
JP96-59622? 1996-03-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758A true KR19990014758A (ko) 1999-02-25

Family

ID=1311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100A KR19990014758A (ko) 1996-03-15 1996-07-01 철근 결속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83473A (ko)
EP (1) EP0829596A4 (ko)
JP (1) JP2923242B2 (ko)
KR (1) KR19990014758A (ko)
CN (1) CN1122617C (ko)
NO (1) NO975236D0 (ko)
TW (1) TW308624B (ko)
WO (1) WO19970340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970B1 (ko) * 2004-01-09 2007-12-14 막스 가부시키가이샤 철근 결속기, 와이어 릴 및 와이어 릴의 식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96873B1 (en) * 2000-06-06 2005-03-30 JBJ Mechatronic ApS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wisting and tightening a wire
US7143792B2 (en) * 2001-07-19 2006-12-05 Max Co., Ltd. Reinforcing steel bar tying machine
KR101084399B1 (ko) 2001-09-28 2011-11-18 막스 가부시키가이샤 철근 결속기 및 릴
JP3624873B2 (ja) * 2001-10-29 2005-03-02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の結束線捩り装置
KR100519099B1 (ko) * 2002-06-11 2005-10-06 주식회사 하나 자동 철근결속기 및 이에 사용되는 결속선
JP4537997B2 (ja) * 2003-03-01 2010-09-08 ブラケット,チャールズ,ティー. ワイヤボルト
SE523239C2 (sv) * 2003-03-18 2004-04-06 Peter Hoyaukin Sätt och maskin för sammanbindning av långsträckta föremål
SE0300687D0 (sv) * 2003-03-18 2003-03-18 Peter Hoyaukin Sätt och maskin för sammanbindning av långsträckta föremål
JP4396384B2 (ja) * 2004-05-07 2010-01-13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JP4548584B2 (ja) * 2004-07-16 2010-09-22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US7069962B2 (en) * 2004-08-27 2006-07-04 Dara Cheng Wire cutting and twisting tool with spool assembly and manual wire feeding mechanism
US9593496B2 (en) * 2005-10-10 2017-03-14 Construction Tools Pc Ab Object binding
JP4961808B2 (ja) * 2006-04-05 2012-06-27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CN100532763C (zh) * 2007-04-18 2009-08-26 沈伟强 手持式电动钢筋扎丝机
CA2744241C (en) * 2007-11-20 2015-04-21 Jbj Mechatronic Aps A binding apparatus
JP5126101B2 (ja) * 2008-05-19 2013-01-23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JP5149127B2 (ja) * 2008-11-08 2013-02-20 秀明 石橋 鉄筋結束機
WO2010136530A2 (en) * 2009-05-27 2010-12-02 Jbj Mechatronic Aps A binding apparatus
WO2012030597A1 (en) 2010-09-02 2012-03-08 Kodi Jon R Wire twisting tools and methods of twisting wire
CN102390606B (zh) * 2011-07-22 2013-09-25 孙激扬 钢筋捆扎机械手
DE102013222924A1 (de) * 2013-11-11 2015-05-28 Hellermann Tyton Gmbh Portables Kabelbindewerkzeug
CN104073936B (zh) * 2014-07-10 2016-06-08 天津赛象科技股份有限公司 钢丝圈自动扎头装置
JP6417772B2 (ja) * 2014-07-31 2018-11-07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CN107849860B (zh) 2015-07-22 2020-06-12 美克司株式会社 捆扎机
JP6566310B2 (ja) * 2015-07-22 2019-08-28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6724918B2 (ja) * 2015-07-22 2020-07-15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6798167B2 (ja) * 2015-07-22 2020-12-09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CN110901981B (zh) * 2016-01-04 2021-10-12 深圳市施威德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狭小空间自动扎带的工具
SE539617C2 (sv) 2016-02-12 2017-10-17 Construction Tools Pc Ab Knutplatta för en najningsmaskin och en najningsmaskin innefattande knutplattan
DE102016214733A1 (de) * 2016-08-09 2018-02-15 Robert Bosch Gmbh Verdrillungsvorrichtung für eine tragbare Werkzeugmaschine
JP6926446B2 (ja) 2016-11-10 2021-08-25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WO2018131218A1 (ja) 2017-01-10 2018-07-19 株式会社マキタ 結束機
CN106644551B (zh) * 2017-02-22 2023-06-16 广东顺德华焱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钢筋捆扎机寿命测试装置
SE541178C2 (en) * 2017-09-08 2019-04-23 Skanska Sverige Ab A tool, a syste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of a reinforcement bar structure
CN108678386B (zh) * 2018-07-11 2023-11-24 山东万世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钢筋捆扎机
WO2020093380A1 (zh) * 2018-11-09 2020-05-14 广东顺德华焱电子科技有限公司 钢筋捆扎机及其捆扎控制装置和捆扎控制方法
JP7268386B2 (ja) * 2019-02-13 2023-05-08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7367313B2 (ja) * 2019-03-11 2023-10-24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EP3719239A3 (en) 2019-03-11 2021-01-06 Max Co., Ltd. Binding machine
JP6887619B2 (ja) * 2019-08-05 2021-06-16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CN110984587B (zh) * 2019-11-22 2021-11-16 上安实业江苏有限公司 一种建筑领域用的钢筋捆绑装置
BR102021015020A2 (pt) 2020-07-31 2022-02-15 Max Co., Ltd. Máquina de ligação
JP2022027264A (ja) * 2020-07-31 2022-02-10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CN114776026B (zh) * 2022-06-17 2022-09-13 中铁九局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钢筋绑扎机器人的可调节绑扎机构
JP2024063274A (ja) * 2022-10-26 2024-05-13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49861B (de) * 1976-05-25 1979-04-25 Evg Entwicklung Verwert Ges Bindewerkzeug zum verdrillen der freien enden eines bindedrahtes und gitterbindemaschine mit solchen werkzeugen
US4252157A (en) * 1979-01-09 1981-02-24 Takigawa Kogyo Co., Ltd. Automatic bundling apparatus
US4354535A (en) * 1980-04-21 1982-10-19 Powell Robert Y Hand-held automatic wire binding tool
US4362192A (en) * 1981-03-05 1982-12-07 Furlong Donn B Wire tying power tool
JPS61191764A (ja) * 1985-02-18 1986-08-26 湯口 貞雄 鉄筋の結束装置
US4798231A (en) * 1985-09-24 1989-01-17 Styner & Bienz Ag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at least two rods
JPH04201807A (ja) * 1990-11-28 1992-07-22 Fujita Corp 結束線締め付け具
JPH0513223A (ja) * 1991-07-01 1993-01-22 Alps Electric Co Ltd 磁気ヘツド
JP3393684B2 (ja) * 1993-08-16 2003-04-07 株式会社エスディーコーポレーション 物品の結束方法及び結束装置
US5431196A (en) * 1994-01-03 1995-07-11 Belcan Specialty Equipment Engineering Division Of Belcan Engineering Groups, Inc. Power rebar tying tool
JP2817635B2 (ja) * 1994-10-17 1998-10-30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における結束用ワイヤの巻き回し案内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970B1 (ko) * 2004-01-09 2007-12-14 막스 가부시키가이샤 철근 결속기, 와이어 릴 및 와이어 릴의 식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08624B (en) 1997-06-21
JPH09250205A (ja) 1997-09-22
WO1997034065A1 (fr) 1997-09-18
EP0829596A4 (en) 1999-01-27
NO975236L (no) 1997-11-14
JP2923242B2 (ja) 1999-07-26
CN1184521A (zh) 1998-06-10
US5983473A (en) 1999-11-16
CN1122617C (zh) 2003-10-01
NO975236D0 (no) 1997-11-14
EP0829596A1 (en) 1998-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4758A (ko) 철근 결속기
US11779997B2 (en) Binding machine
AU2016294894B2 (en) Binding machine
JP3393684B2 (ja) 物品の結束方法及び結束装置
KR960004050B1 (ko) 철근 결속기
EP1604081B1 (en) Method and machine for binding elongate objects together
TWI660885B (zh) 捆束機
EP0751269B1 (en) Wire guide mechanism for a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and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EP1484249A1 (en) Reinforcing bar binding machine
TWI671236B (zh) 捆束機
TWI652206B (zh) 捆束機
JP4729817B2 (ja) 鉄筋結束機
JPH07275983A (ja) 鉄筋結束機
JP7459454B2 (ja) 結束機
JP7302302B2 (ja) 結束機
JPH07284870A (ja) 鉄筋結束機
US20240140636A1 (en) Binding machine
JP7259425B2 (ja) 結束機
JP7367313B2 (ja) 結束機
JPH07275982A (ja) 鉄筋結束機
CN117927029A (zh) 捆扎机
TW202045407A (zh) 捆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