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9099B1 - 자동 철근결속기 및 이에 사용되는 결속선 - Google Patents

자동 철근결속기 및 이에 사용되는 결속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9099B1
KR100519099B1 KR10-2003-0025502A KR20030025502A KR100519099B1 KR 100519099 B1 KR100519099 B1 KR 100519099B1 KR 20030025502 A KR20030025502 A KR 20030025502A KR 100519099 B1 KR100519099 B1 KR 100519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line
binding
line
reinforcing ba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5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5220A (ko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
김용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 김용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
Publication of KR20030095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5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9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90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2Means for observation of the coating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2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4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철근을 결속하기 위한 장치이며, 특히 선회형 결속선안내구를 사용하여 결속선을 철근에 자동으로 결속시킬 수 있는 자동 철근결속기 및 이에 사용되는 결속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근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결속선이 보관되는 결속선 수납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결속선을 전방으로 인출하는 결속선 피딩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선회하면서 상기 피딩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결속선이 철근의 주위를 에워싸도록 안내하는 선회형 결속선안내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철근결속기 및 이에 사용되는 결속선{An auto-binding apparatus for reinforcing bar, and a wire using therein}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철근을 결속하기 위한 장치이며, 특히
선회형 결속선안내구를 사용하여 결속선을 철근에 자동으로 결속시킬 수 있는 자동 철근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는 건축물이나 공작물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철근을 매입하여 시설하고 있다.
즉, 콘크리트용의 몰드 내에 다수의 철근을 서로 나란히 또는 직각으로 연결하여 설치한 수 그 외부에 몰타르를 체워서 성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공정에서 행하여지는 작업 중에서 상기 서로 연결된 철근을 결속하여 고정하여야 하며, 이 작업은 인부들의 수작업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즉, 결속부에 맞도록 결속선을 절단하여, 상기 절단된 결속선을 원하는 부위에 감고 꼬아서 결속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철근결속의 경우에는 수작업에 의해 작업능률이 크게 떨어지게 되어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건축공기를 절감해야 하는 건설현장에서는 큰 애로사항이 아닐 수 없으나, 현재로선 별다른 대안이 없는 형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철근결속작업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자동으로 철근을 결속시킬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은 결속선을 물고 선회하면서 철근의 주위를 에워싸고 이어서 결속선을 꼬아줌으로써 효과적으로 철근결속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내지 도13을 참조로 설명되어지는 본 발명은 결속선(300)이 철근(400)의 주위를 에워싸도록 안내하는 선회형 결속선안내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철근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갖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결속선(300)이 보관되는 결속선 수납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결속선을 전방으로 인출하는 결속선 피딩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선회하면서 상기 피딩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결속선이 철근의 주위를 에워싸도록 안내하는 선회형 결속선안내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선회형 결속선안내구의 일측 후부에 근접하여 설치되며, 선회형 결속선안내구에 의해 안내되어 철근(400)을 에워싼 결속선(300)을 꼬아줄 수 있도록 다수의 날개가 형성되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결속팬(16)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는 전원조작용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버튼(1)과, 상기 결속선 피딩수단으로부터 공급된 결속선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수단이 더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회형 결속선 안내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결속선 피딩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6은 결속선의 절단수단(13)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선회형 결속선안내구는 환형으로 형성되되, 철근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철근삽입홈(20b)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기어치가 형성되어 이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동력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기어에 의해 치합되어 선회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결속선 선회기어(12)와;
상기 결속선 선회기어(12)가 지지되어 선회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선 선회기어의 내주면이 접촉되어 지지되는 다수의 안내롤러(21)가 형성되며, 상기 결속선 선회기어의 안쪽에 설치되는 선회기어 지지구(20)로 구성된다.
상기 결속선 선회기어(12)는 그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고리 형상의 기어의 일측을 절개한 기어로서 내주면에는 선회기어 지지구(20)의 외주면과 대향되어 선회기어 지지구(20)의 지지를 받으며 회전한다.
상기 결속선 선회기어(12)의 일측면에는 절단기 작동돌기(12a)와 결속선 홀더(12b)가 형성되되, 상기 결속선 홀더(12b)는 2개가 형성되어 그 사이로 결속선(300)이 통과하여 선회기어 지지구(20)의 안쪽까지 들어간다.
상기 선회기어 지지구(20)는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개구부를 향하여 철근 삽입구(20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철근 삽입구(20b) 뒤쪽의 외주에 팬설치홈(2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안내롤러(2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결속선 선회기어(12)는 그 내주면에 형성된 롤링홈(12c)이 안내롤러(21)의 외주면에 대면되게 설치된다.
상기 선회기어 지지구(20)는 나사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케이스(10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팬설치홈(20a)에는 결속팬(16)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기어는 제1 및 제2구동기어(11,11`)로 구성되며, 상기 결속선 선회기어(12)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에는 상기 제1 및 제2구동기어(11, 11')가 맞물린다.
상기 제1 및 제2구동기어들(11, 11')은 결속선 선회기어(1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일측의 제1구동기어(11)와 결속선 선회기어(12)의 개구부(또는 ‘철근삽입홈’으로 이하 혼용 사용함)가 만나게 되면 제2구동기어(11')에 의해 결속선 선회기어(12)가 회전되고, 반대로 제2구동기어(11')와 결속선 선회기어(12)의 개구부가 만나게 되면 제1구동기어(11)에 의해 결속선 선회기어(12)가 회전된다.
상기 제1 및 제2구동기어(11, 11')들은 일측에 설치된 메인모터(10)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제1 및 제2구동기어(11, 11')와 메인모터(10)의 회전축에는 각각 풀리가 설치되고 풀리들 사이에는 벨트가 설치되어 메인모터(10)의 동력이 각각의 기어들에 전달된다.
상기 선회기어 지지구(20)에 형성된 팬설치홈(20a)에 설치된 결속팬(16)은 결속모터(15)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결속모터(1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0) 중앙의 공간에 설치함으로서 케이스(100)의 외형이 지나치게 비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결속모터(15)를 결속팬(16)과 이격시키고, 그 회전축이 결속팬(16)의 회전축과 어긋나게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가요성축(15a)을 설치하여 결속모터(15)의 동력을 결속팬(16)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결속선 선회기어(12)와 인접되게 절단수단(13)이 설치된다.
상기 절단수단(13)은 그 상단이 절단기 스프링(12d)에 의해 지지되고, 하단에는 결속선(300)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날(13c)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단의 양측에는 각각 작동레버(13a)와 결속모터 스위칭돌기(1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단기 스프링(12d)은 인장코일스프링으로 절단 수단(13)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절단 수단(13)을 상방으로 당기고 있으며, 상기 결속선 선회기어(12)가 회전하여 그 일측에 돌출된 절단기 작동돌기(12a)가 절단 수단(13)에 형성된 작동레버(13a)를 아래로 밀면 늘어나 절단 수단(13)이 아래로 밀리게 된다.
상기 작동레버(13a)는 절단 수단(13)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결속선 선회기어(12)의 일측에 형성된 절단기 작동돌기(12a)에 의해 하방으로 밀려 절단 수단(13)이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결속모터 스위칭돌기(13b)는 상기 작동레버(13a)의 반대 방향에 돌출된 부분으로 절단 수단(13)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단부의 절단날(13c)이 결속선(300)을 절단하기 직전에 결속모터 스위치(14)를 작동시켜 결속모터(15)에 전원을 공급하여 결속팬(16)이 회전되게 한다.
상기 결속선 선회기어(12)에 형성된 결속선 홀더(12b)들 사이에는 결속선(300)이 삽입된다.
상기 결속선(300)은 손잡이(22)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결속선 수납수단인 결속선롤(18)에 감긴 철근 결속용 철선으로, 이 결속선(300)은 결속선 피딩수단에 의해 결속선롤(18)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결속선 선회기어(12)에 형성된 결속선 홀더(12b)들 사이로 공급된다.
상기 결속선 피딩수단은 작동버튼(1)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되는 제1래크(2)와, 상기 제1래크(2)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및 제2피니언(3, 4)와, 상기 제2피니언(4)와 치합된 제2래크(5) 및 상기 제2래크(5)와 일체로 형성된 결속선 지지판(7)과 결속선 리드탭(6)으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버튼(1)은 압축코일스프링인 버튼 스프링(19)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손잡이(22)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래크(2)의 상부 일측에는 메인스위칭축(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 스위칭축(8)의 상부면에는 스위칭돌기(8a)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스위칭돌기(8a)의 위치는 작동버튼(1)이 작동하는 않은 상태에서 메인스위치(9)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제1피니언(3)과 제2피니언(4)은 서로 다른 수의 기어치를 갖는다. 즉, 상기 제1래크(2)의 소폭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피니언(3)의 회전에 의해 제2래크(5)의 이동 거리를 대폭으로 할 수 있도록 제1피니언(3)의 기어치의 수에 비해 제2피니언(4)의 기어치가 많게 하였다.
상기 제2래크(5)와 일체로 형성된 결속선 지지판(7)과 결속선 리드탭(6)은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된 상태를 이루고 있다.
즉, 결속선 지지판(7)과 결속선 리드탭(6) 사이에는 결속선(300)이 겨우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틈이 있어야 하며, 상기 결속선 리드탭(6)의 저면에는 결속선(300)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톱니 형상의 톱니치(6a)가 형성되어 결속선(300)이 보다 용이하게 결속선 선회기어(12)측으로 이동되게 하였다.
또한 상기 결속선 리드탭(6)은 탄성이 우수한 판체에 의해 지지되고 있어 결속선(300)이 톱니치(6a)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용이하나 역으로 이동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래크(2)의 이동방향과 제2래크(5)의 이동방향은 서로 반대이며, 이에 따라 제1래크(2)와 일체로 형성된 메인 스위칭축(8)과 결속선 리드탭(6) 및 결속선 지지판(7)의 이동방향은 서로 반대이고 같은 공간내에 상기 각각의 부품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스위칭축(8)의 폭을 넓게 하고 결속선 리드탭(6)과 결속선 지지판(7)을 좁게 형성하여 결속선 리드탭(6)과 결속선 지지판(7)이 메인 스위칭축(8)의 일부를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속선 지지판(7)은 상기한 제2래크(5)와 수평이 되는 상부면을 갖으나 상기 결속선 리드탭(6)은 상기 결속선 지지판(7)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이루어야 하므로 "¬"형상으로 굽혀져 있으며, "¬"형상으로 굽혀진 부분의 수직 부분에는 결속선 관통공(5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속선 관통공(5b)과 수평으로 안내롤러(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롤러(17)는 상기 결속선롤(18)에 감긴 결속선(300)을 상기 결속선 관통공(5b)으로 안내하는 롤러로서 중단 외주면을 따라 결속선 안내홈(17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22)의 뒤쪽에는 상기 모터들(10, 15)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그 일측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여 결속선롤(18)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상세도이다.
먼저 결속선(300)이 감긴 결속선롤(18)을을 설치하고 결속선(300)의 끝을 안내롤러(17)의 결속선 안내홈(17a) 밑을 통과시켜 결속선 리드탭(6)과 결속선 지지판(7)을 지나 절단날(13c)의 아래까지 인출시킨다.
상기와 같이 결속선(300)의 설치가 종료되면 개폐 가능한 케이스(100)를 덮고, 개구부(20b)에 결속하고자 하는 철근(400)을 삽입한다.
철근(400)이 철근 삽입구(20b)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동버튼(1)을 누르면 제1래크(2)가 후방으로 밀리고 제1피니언(3)이 회전하며 제2피니언(4)이 같이 회전하여 제2래크(5)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제2래크(5)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결속선 리드탭(6)과 결속선 지지판(7) 사이에 끼인 결속선(300)이 전방으로 인출되어 결속선 선회기어(12)에 형성된 결속선 홀더(12b)들 사이와 선회기어 지지구(20)에 설치된 결속팬(16)을 지나 팬삽입홈(20a)의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1래크(2)와 일체로 형성된 메인 스위칭축(8)이 후방으로 이동하고 스위칭돌기(8a)가 메인스위치(9)를 작동시켜 메인모터(10)가 구동되고 제1 및 제2구동기어(11, 11')가 작동하여 결속선 선회기어(12)가 회전한다.
결속선 선회기어(12)가 회전하면 결속선 홀더(12b)에 끼인 결속선(300)을 당겨 철근을 감는 상태가 되고 결속선 선회기어(12)가 회전을 계속하여 결속선 홀더(12b)들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동안 절단기 작동돌기(12a)가 절단 수단(13)에 형성된 작동레버(13a)를 아래로 밀어 절단날(13c)이 결속선(300)을 절단한다.
상기와 같이 절단날(13c)이 결속선(300)을 절단하기 직전 절단 수단(13)에 형성된 결속모터 스위칭돌기(13b)가 결속모터 스위치(14)를 작동시켜 결속팬(16)을 구동시킴에 의해 결속선(300)의 단부가 서로 꼬이게 된다.
결속선(300)의 단부가 꼬인 상태에서 상기의 절단날(13c)이 작동되고 다시 작동 버튼(1)을 작동시킴에 의해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상기 절단날의 작동은 결속선이 꼬이기 전에 행하여 지도록 할 수 도 있다).
도8 내지 도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회형 결속선안내구는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그 구조가 대동소이하다. 단지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에에서와 같은 절단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절단기 작동돌기(12a)가 필요치않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선회형 결속선안내구의 일측에 절단기 작동돌기가 없으며, 그 일측면에 상기 결속선 피딩수단으로부터 공급된 결속선의 선단부를 고정하여 결속서의 선회형 결속선안내구의 회전에 따라 함께 유도되어 움직이 수 있도록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두개의 결속선 홀더(77,77`)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결속선 피딩수단은 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외주면이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는 두개의 피딩롤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딩롤러(500)는 상기 결속선롤(18)에 이접하여 설치하며, 상기 결속선롤(18)에서 인출되는 결속선(300)이 회전하는 두개의 결속선롤(18) 사이에 끼어서 전방으로 인출되게된다.
상기 피딩롤러(500)는 작동버튼(1)과 일체로 이동하는 랙크(510)에 의해 치합되어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물론 별도의 구동모터를 통하여 회전시킬 수 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13은 본 실시예의 스위칭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작동버튼(1)에 의해 일체로 이동하는 이동부재(600)에 형성된 스위칭돌기(610)가 스위치(620)와 접촉되어 스위치(620)가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본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위치를 상부에 설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도9에서와 같이 하부에 설치할 수 도 있는 것이며, 그 위치는 중요사항이 아님).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절단수단은 도11 및 도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칼날이 형성된 원판형의 절단판(800)으로 형성되되 그 중심에는 회전축(810)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기어치(820)가 형성되며 결속팬이 연결된 회전축에도 기어치를 형성하여 상기 결속팬의 회전축의 회전에 응하여 회전되되 상기 결속팬의 기어치를 타고 일정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절단판의 회전축이 지지되는 프레임에 가이드홈(830)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이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됨으로써, 결속선을 절단할 시점에 상기 원판형의 절단판의 칼날이 결속선(300)에 까지 이동하여 회전하면서 결속선을 절단하도록 구성하였다.
물론 상기 절단판의 회전축(810)에는 인장코일스프링(850)이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결속팬의 작동과 연동하여 절단수단이 작동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작동원리는 실시예1과 동일하며, 단지 결속선 작동수단의 작동방식과 결속선 피딩수단의 작동방식이 약간 상이하나, 각 수단들의 작동순서등은 실시예1과 동일하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체에 베터리를 수납하여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속선수납수단에 수납되는 결속선에 있어서 매우 독특한 형상을 갖는 결속선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하나의 총괄적인 발명을 구성하게되는 독특한 형상의 결속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속선은 도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표면에 평면부(350)가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에는 한쪽방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피딩돌기(351)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평면부(350)에 의해서 결속선은 평면부가 피딩수단에 눌려지면서 접촉면적이 확대되어 피딩효과가 상승하며, 또한 상기 피딩돌기(351)에 의해서 한쪽방향으로만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되어 원활하고 정교한 결속선의 피딩이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선회형 결속안내구를 사용하여 결속선을 결속물 주위에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으로 철근결속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고, 안전사고 또한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종단면 상태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부가 절개된 상태의 평면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회형 결속선안내구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속선 피딩수단의 구성도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속선 절단수단의 구성도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동상태 예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스가 절개된 상태의 구성도
도9는 도8의 일 요부 상세도
도10a 및 도10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회형 결속선안내구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일요부의 구성도
도12a 및 도1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속선 절단수단의 작동원리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스위칭수단의 구성도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선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작동버튼 12: 결속선 선회기어
13: 절단수단 16: 결속팬
17: 안내롤러 18: 결속선롤
20: 선회기어 지지구 100: 케이스
300: 결속선 400: 철근

Claims (9)

  1. 철근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결속선이 보관되는 결속선 수납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결속선을 전방으로 인출하는 결속선 피딩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선회하면서 상기 피딩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결속선이 철근의 주위를 에워싸도록 안내하는 선회형 결속선안내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선회형 결속선안내구는 환형으로 형성되되, 철근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철근삽입홈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기어치가 형성되어 이와 인접하여 설치되며 동력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기어에 의해 치합되어 선회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결속선 선회기어와;
    상기 결속선 선회기어가 지지되어 선회할 수 있도록 상기 결속선 선회기어의 내주면이 접촉되어 지지되는 다수의 안내롤러가 형성되며, 상기 결속선 선회기어의 안쪽에 설치된 선회기어 지지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철근결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형 결속선안내구의 일측 후부에 근접하여 설치되며, 선회형 결속선안내구에 의해 안내되어 철근을 에워싼 결속선을 꼬아줄 수 있도록 다수의 날개가 형성되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결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철근결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전원조작용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버튼과, 상기 결속선 피딩수단으로부터 공급된 결속선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철근결속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형 결속선안내구의 일측면에는 상기 결속선 피딩수단으로부터 공급된 결속선의 선단부를 고정하여 결속선의 선회형 결속선안내구의 회전에 따라 함께 유도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두개의 걸림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철근결속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선 피딩수단은 그 외주면이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는 두개의 피딩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철근결속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은 그 상단부가 인장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그 하단부는 절단날로 형성되어 피딩되는 결속선의 인접되는 상방향에 위치하되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형 절단칼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철근결속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은 외주면에 칼날이 형성된 원판형의 절단판으로 형성되되 그 중심에는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되며 상기 결속팬이 연결된 회전축에도 기어치를 형성하여 상기 결속팬의 회전축의 회전에 응하여 회전되되 상기 결속팬의 기어치를 타고 일정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절단판의 회전축이 지지되는 프레임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이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됨으로써, 결속선을 절단할 시점에 상기 칼날이 결속선에 까지 이동하여 회전하면서 결속선을 절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철근결속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사용되는 결속선은 그 표면에 평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에는 한쪽방향으로 경사진 피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선.
  9. 삭제
KR10-2003-0025502A 2002-06-11 2003-04-22 자동 철근결속기 및 이에 사용되는 결속선 KR1005190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614 2002-06-11
KR1020020032614 2002-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220A KR20030095220A (ko) 2003-12-18
KR100519099B1 true KR100519099B1 (ko) 2005-10-06

Family

ID=32386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502A KR100519099B1 (ko) 2002-06-11 2003-04-22 자동 철근결속기 및 이에 사용되는 결속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90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500B1 (ko) 2010-11-29 2012-08-20 현대제철 주식회사 결속기의 결속선 트위스팅 장치
KR101234656B1 (ko) * 2012-12-27 2013-02-22 주식회사 명진에스앤티 철근용 일자형 결속선 다발 자동생성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114Y1 (ko) * 2002-09-19 2002-12-12 문주연 배근 결속장치용 결속헤더 어셈블리
KR100860377B1 (ko) * 2007-12-27 2008-09-25 김용진 농작물 자동결속기
KR101223402B1 (ko) * 2011-03-09 2013-01-16 김유정 철근 자동결속장치
KR101377608B1 (ko) * 2012-06-02 2014-03-27 정진우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
KR101949814B1 (ko) * 2017-06-05 2019-02-19 김용진 농작물, 다발묶음 또는 묶음제품 자동결속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2385A (ja) * 1993-03-23 1994-09-27 Kajima Corp 鉄筋結束機
JPH074048A (ja) * 1993-06-21 1995-01-10 Takeo Sato ワイヤの自動結束装置
JPH09250205A (ja) * 1996-03-15 1997-09-22 Ooki Jushi Kogyo Kk 鉄筋結束機
JPH10252270A (ja) * 1997-03-13 1998-09-22 Toyota Kihan:Kk 鉄筋結束機
KR200277866Y1 (ko) * 2002-03-08 2002-06-14 문주연 배근 자동 결속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2385A (ja) * 1993-03-23 1994-09-27 Kajima Corp 鉄筋結束機
JPH074048A (ja) * 1993-06-21 1995-01-10 Takeo Sato ワイヤの自動結束装置
JPH09250205A (ja) * 1996-03-15 1997-09-22 Ooki Jushi Kogyo Kk 鉄筋結束機
JPH10252270A (ja) * 1997-03-13 1998-09-22 Toyota Kihan:Kk 鉄筋結束機
KR200277866Y1 (ko) * 2002-03-08 2002-06-14 문주연 배근 자동 결속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500B1 (ko) 2010-11-29 2012-08-20 현대제철 주식회사 결속기의 결속선 트위스팅 장치
KR101234656B1 (ko) * 2012-12-27 2013-02-22 주식회사 명진에스앤티 철근용 일자형 결속선 다발 자동생성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220A (ko)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67587A (en)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EP07148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nding articles together
JP4216281B2 (ja) 鉄筋自動結束機
EP1604081B1 (en) Method and machine for binding elongate objects together
KR100519099B1 (ko) 자동 철근결속기 및 이에 사용되는 결속선
JP5045547B2 (ja) 鉄筋結束機
KR19990014758A (ko) 철근 결속기
JPH0513223B2 (ko)
JPH07290177A (ja) 鉄筋結束機
JPH07275983A (ja) 鉄筋結束機
KR200288409Y1 (ko) 철근 결속장치
JPH0913679A (ja) 鉄筋結束機における結束用ワイヤの捩り締め機構
JPH08277632A (ja) 鉄筋メッシュ用結束機
KR100860377B1 (ko) 농작물 자동결속기
KR200321405Y1 (ko) 자동 철근결속기
KR100519100B1 (ko) 자동 철근결속기
CN109098451B (zh) 一种手持式自动钢丝捆扎设备
KR200277866Y1 (ko) 배근 자동 결속기
KR20030073102A (ko) 배근 자동 결속기
KR100241020B1 (ko) 휴대용 철근 결속장치
JPH0834405A (ja) 物品の結束装置及び該結束装置の結束ヘッドユニット並びに駆動・送線ユニット
KR200335567Y1 (ko) 철근 자동결속기
CN209852666U (zh) 一种便于收料的气调包装机
JPH07275982A (ja) 鉄筋結束機
JP2013523467A (ja) 携帯用パネル切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