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970B1 - 철근 결속기, 와이어 릴 및 와이어 릴의 식별 방법 - Google Patents

철근 결속기, 와이어 릴 및 와이어 릴의 식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970B1
KR100785970B1 KR1020057018398A KR20057018398A KR100785970B1 KR 100785970 B1 KR100785970 B1 KR 100785970B1 KR 1020057018398 A KR1020057018398 A KR 1020057018398A KR 20057018398 A KR20057018398 A KR 20057018398A KR 100785970 B1 KR100785970 B1 KR 100785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ensor
detected
wire reel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8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2890A (ko
Inventor
다까히로 나가오까
이찌로 구사까리
Original Assignee
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74713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8597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2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2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28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twisting
    • B65B13/285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28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twis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E04G21/123Wire twisting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2/00Winding, tensioning, or guiding
    • Y10S242/912Indicator or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Wire Process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Golf Clubs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며, 확실하게 와이어 릴의 종류를 식별하고 그 와이어 릴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의 이송량 또는 비틀림 토크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철근 결속기를 제공한다. 철근 결속기(1)는 수납실(70)에 장착한 와이어 릴(30)을 회전시키면서 와이어(8)를 송출하여 철근(3)을 결속한다. 수납실(70)에는 와이어 릴(30)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제1 센서(80)와, 제1 센서(80)에 의해 검출된 회전량 사이의 와이어 릴(30)의 제2 피검출부(53)의 수를 검출하는 제2 센서(25)가 마련되어 있다. 결속기 본체(2)에는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제2 피검출부(53)의 수에 의해 와이어(8)의 이송량 또는 와이어(8)의 비틀림 토크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철근, 와이어, 와이어 릴, 피검출부, 센서

Description

철근 결속기, 와이어 릴 및 와이어 릴의 식별 방법{REINFORCING BAR BINDER, WIRE REEL AND METHOD FOR IDENTIFYING WIRE REEL}
본원 발명은 와이어 릴의 종류를 식별하고, 그 와이어 릴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의 이송량 또는 와이어의 비틀림 토크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철근 결속기, 그에 이용되는 와이어 릴 및 와이어 릴을 식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철근 결속기는 후방부에 와이어를 권취한 와이어 릴이 보유 지지되어, 스위치를 넣고 트리거를 조작하면 와이어 이송 장치에 의해 와이어 릴로부터 와이어가 인출되어 전방으로 송출되고, 가이드 아암의 선단부 만곡부로부터 와이어가 루프 형상으로 조출되어 철근을 권취한 후에 루프의 일부를 비틀기용 훅이 잡아 비틀어 회전시킴으로써 철근을 결속하는 것이다. 이 철근 결속기의 와이어의 비틀림 토크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305036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와이어 릴의 측면에 와이어의 종류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마련하여 철근 결속기에 마련한 검출 수단에 의해 표시 수단을 검출시키고, 검출 수단이 검출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와이어의 종류를 식별하여 비틀림 토크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있었다.
종래의 철근 결속기는 표시 수단이 반사 시일로 구성되고, 검출 수단이 복수 의 포토 센서로 구성되어 있고, 와이어 릴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반사 시일을 복수의 포토 센서 중 어느 하나가 검출함으로써 와이어 릴의 종류를 검출하는 것이지만, 포토 센서를 복수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고가이며, 와이어 릴의 회전 스피드나 외란광 등에 의해 본래 검출해야 할 포토 센서가 아닌, 다른 포토 센서가 반사 시일을 검출함으로써 드물게 오조작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었다.
본원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안출된 것이며,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며 확실하게 와이어 릴의 종류를 식별하여, 그 와이어 릴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의 이송량 또는 비틀림 토크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철근 결속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그 철근 결속기에 이용되는 와이어 릴을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확실하게 와이어 릴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3 목적으로 한다.
본원 청구항 1에 관한 철근 결속기는,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결속기 본체에 마련된 수납실에, 철근 결속용 와이어를 권취한 와이어 릴을 장착하고 상기 와이어를 철근의 주위에 권취한 후에 비틀어 상기 철근을 결속하는 철근 결속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에는 상기 와이어 릴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와이어 릴의 제2 피검출부의 수를 검출하는 제2 센서가 마련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2에 관한 철근 결속기는,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결속기 본체에 마련된 수납실에, 철근 결속용 와이어를 권취한 와이어 릴을 장착하고 상기 와이어 릴을 회전시키면서 와이어를 송출하고, 상기 와이어를 철근의 주위에 권취한 후에 비틀어 상기 철근을 결속하는 철근 결속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에는 상기 와이어 릴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제1 센서와,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회전량 사이의 와이어 릴의 제2 피검출부의 수를 검출하는 제2 센서가 마련되고, 결속기 본체에는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제2 피검출부의 수에 의해 와이어의 이송량 또는 와이어의 비틀림 토크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3에 관한 철근 결속기는,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 릴의 회전량은 와이어 릴의 제1 피검출부가 제1 센서에 검출됨으로써 검출된다.
본원 청구항 4에 관한 철근 결속기는,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센서가 접촉식 센서이며 제1 피검출부가 접촉식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이고, 제2 센서가 비접촉식 센서이며 제2 피검출부가 비접촉식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마크이다.
본원 청구항 5에 관한 와이어 릴은,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결속기 본체에 마련된 수납실에, 철근 결속용 와이어를 권취한 와이어 릴을 장착하고 상기 와이어를 철근의 주위에 권취한 후에 비틀어 상기 철근을 결속하는 철근 결속기에 이용되는 와이어 릴이며, 릴 본체에는 철근 결속기의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제1 피검출부와, 철근 결속기의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제2 피검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원 청구항 6에 관한 와이어 릴은,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피검출부가 제1 센서에 검출됨으로써 와이어 릴의 회전량이 검출되고, 제2 피검출부가 제2 센서에 검출됨으로써 와이어 릴의 종류가 식별된다.
본원 청구항 7에 관한 와이어 릴은,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센서가 접촉식 센서이며 제1 피검출부가 접촉식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이고, 제2 센서가 비접촉식 센서이며 제2 피검출부가 비접촉식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마크이다.
본원 청구항 8에 관한 와이어 릴의 식별 방법은, 상기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결속기 본체에 마련된 수납실에, 철근 결속용 와이어를 권취한 와이어 릴을 장착하고 상기 와이어 릴을 회전시키면서 와이어를 송출하여 상기 와이어를 철근의 주위에 권취한 후에 비틀어 상기 철근을 결속하는 철근 결속기에 이용되는 와이어 릴의 식별 방법이며, 와이어 릴의 회전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와이어 릴의 회전량 사이에, 와이어 릴에 설치된 피검출부의 수를 검출하여 와이어 릴의 종류를 식별한다.
본원 청구항 9에 관한 와이어 릴의 식별 방법은, 상기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식별된 와이어 릴의 종류에 따라서 와이어의 이송량 또는 와이어의 비틀림 토크를 조절한다.
본원 청구항 10에 관한 와이어 릴의 식별 방법은, 상기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결속기 본체에 마련된 수납실에, 철근 결속용 와이어를 권취한 와이어 릴을 장착하고 상기 와이어 릴을 회전시키면서 와이어를 송출하여 상기 와이어를 철근의 주위에 권취한 후에 비틀어 상기 철근을 결속하는 철근 결속기에 이용되는 와이어 릴의 식별 방법이며, 릴 본체에 설치된 제1 피검출부를 제1 센서가 검출함으로써 와이어 릴의 회전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와이어 릴의 회전량 사이에 릴 본체에 설치된 제2 피검출부의 수를 제2 센서가 검출함으로써 와이어 릴의 종류를 식별한다.
본원 청구항 11에 관한 와이어 릴의 식별 방법은, 상기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센서가 접촉식 센서이며 제1 피검출부가 접촉식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이고, 제2 센서가 비접촉식 센서이며 제2 피검출부가 비접촉식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마크이다.
도1은 본원 발명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개요를 도시한 전체도이다.
도2는 커버를 떼어낸 철근 결속기의 사시도이다.
도3은 커버를 떼어낸 철근 결속기의 상면도이다.
도4는 커버를 떼어낸 철근 결속기의 상면 단면도이다.
도5는 커버를 떼어낸 철근 결속기의 우측면도이다.
도6은 커버를 부착한 철근 결속기의 배면 단면도이다.
도7은 도2의 와이어 릴을 떼어낸 철근 결속기의 사시도이다.
도8은 도3의 와이어 릴을 떼어낸 철근 결속기의 상면도이다.
도9는 도4의 와이어 릴을 떼어낸 철근 결속기의 상면 단면도이다.
도10은 커버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11은 도5의 와이어 릴을 떼어낸 철근 결속기의 우측면도이다.
도12는 도6의 와이어 릴을 떼어낸 철근 결속기의 배면 단면도이다.
도13은 철근 결속기의 좌측면도이다.
도14는 철근 결속기의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15는 와이어 릴의 사시도이다.
도16은 와이어 릴의 설명도이며, 도16의 (a)는 와이어 릴의 정면도, 도16의 (b)는 도16의 (a)의 A-A 단면도, 도16의 (c)는 도16의 (a)의 B-B 단면도이다.
도17은 와이어 릴의 설명도이며, 도17의 (a)는 와이어 릴의 배면도, 도17의 (b)는 와이어 릴의 측면도, 도17의 (c)는 도17의 (b)의 C-C 단면도이다.
도18은 와이어 릴의 장착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19는 철근 결속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철근 결속기
2 : 결속기 본체
3 : 철근
5 : 덧댐판부
6 : 와이어 삽입 홈
7 : 비틀기용 훅
8 : 와이어
9 : 전동 모터
10 : 진퇴 기구
11 : 트리거
12 : 와이어 통로
15 : 가이드부
16 : 모터(송출 장치)
17 : 기어(송출 장치)
20 : 마이크로 스위치
21 : 와이어 파지 절단 수단
22 : 커버 부재
23 : 릴 부착축
24 : 릴 스톱퍼
25 : 인터럽터(제2 센서: 비접촉 센서)
30 : 와이어 릴
30a : 릴 본체
31 : 허브부
32, 33 : 플랜지
34 : 걸어 맞춤 갈고리
35 : 와이어 삽통 개구부
36 : 와이어 삽통 구멍
40 : 내통
41 : 일단부
42 : 타단부
43 : 측면
45 : 장착 구멍
46 : 측벽
47 : 내측면
49, 57 : 오목부
50 : 고정축
51 : 선단부
52 : 끼움 장착 구멍
53 : 마크(제2 피검출부)
55 : 끼움 장착축
56 : 반사판
58, 67 : 보스부
59 : 외주연
60 : 테이퍼면
61 : 내주연
62 : 단차 오목부
65 : 돌기(제1 피검출부)
66 : 경사연
68 : 구멍
70 : 수납실
72 : 전방벽
73 : 바닥벽
75 : 측벽
76 : 돌출부
77 : 센서 배치 구멍
78, 90 : 개구
80 : 스위치(제1 센서: 접촉 센서)
81 : 지지축
82 : 요동 부재
83 : 접촉편
85 : 탄성 부재
86 : 마그네트부
87 : 홀 IC
89 : 탄성편
철근 결속기(1)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속기 본체(2)에 마련된 수납실(70)에, 철근 결속용 와이어(8)를 권취한 와이어 릴(30)을 장착하고 상기 와이어 릴(30)을 회전시키면서 와이어(8)를 송출하여 상기 와이어(8)를 철근(3)의 주위에 권취한 후에 비틀어 상기 철근(3)을 결속한다. 상기 수납실(70)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릴(30)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제1 센서(80)와, 제1 센서(80)에 의해 검출된 회전량 사이의 와이어 릴(30)의 제2 피검출부(53)의 수를 검출하는 제2 센서(25)가 마련되어 있다. 결속기 본체(2)에는 제2 센서(25)에 의해 검출된 제2 피검출부(53)의 수에 의해 와이어(8)의 이송량 또는 와이어(8)의 비틀림 토크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릴(30)의 회전량은,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릴(30)의 제1 피검출부(65)가 제1 센서(80)에 검출됨으로써 검출된다. 제1 센서(80)가 접촉식 센서이며 제1 피검출부(65)가 접촉식 센서(80)에 의해 검출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이고, 제2 센서(25)가 비접촉식 센서이며 제2 피검출부(53)가 비접촉식 센서(25)에 의해 검출되는 마크라도 상관없다.
와이어 릴(30)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속기 본체(2)에 마련된 수납실(70)에, 철근 결속용 와이어(8)를 권취한 와이어 릴(30)을 장착하고 상기 와이어(8)를 철근(3)의 주위에 권취한 후에 비틀어 상기 철근(3)을 결속하는 철근 결속기(1)에 이용된다. 릴 본체(30a)에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 결속기(1)의 제1 센서(80)에 의해 검출되는 제1 피검출부(65)와, 철근 결속기(1)의 제2 센서(25)에 의해 검출되는 제2 피검출부(53)가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 릴(30)은 제1 피검출부(65)가 제1 센서(80)에 검출됨으로써 이것의 회전량이 검출되고, 제2 피검출부(53)가 제2 센서(25)에 검출됨으로써 이것의 종류가 식별된다. 제1 센서(80)가 접촉식 센서이며 제1 피검출부(65)가 접촉식 센서(80)에 의해 검출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이고, 제2 센서(25)가 비접촉식 센서이며 제2 피검출부(53)가 비접촉식 센서(25)에 의해 검출되는 마크라도 좋다.
와이어 릴(30)의 식별 방법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속기 본체(2)에 마련된 수납실(70)에, 철근 결속용 와이어(8)를 권취한 와이어 릴(30)을 장착하고 상기 와이어 릴(30)을 회전시키면서 와이어(8)를 송출하여 상기 와이어(8)를 철근(3)의 주위에 권취한 후에 비틀어 상기 철근(3)을 결속하는 철근 결속기(1)에 이용되는 방법이며, 릴 본체(30a)에 설치된 제1 피검출부(65)를 제1 센서(80)가 검출함으로써 와이어 릴(30)의 회전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와이어 릴(30)의 회전량 사이에 릴 본체(30a)에 설치된 제2 피검출부(53)의 수를 제2 센서(25)가 검출함으로써 와이어 릴(30)의 종류를 식별한다.
와이어 릴(30)의 식별 방법은, 식별된 와이어 릴(30)의 종류에 따라서 와이어(8)의 이송량 또는 와이어(8)의 비틀림 토크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센서(80)가 접촉식 센서이며 제1 피검출부(65)가 접촉식 센서(80)에 의해 검출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이고, 제2 센서(25)가 비접촉식 센서이며 제2 피검출부(53)가 비접촉식 센서(25)에 의해 검출되는 마크라도 상관없다.
철근 결속기(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철근 결속기(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속기 본체(2)의 철근(3)을 향하는 전방 단부의 하부에, 철근(3)에 덧대어지는 덧댐판부(5)가 한 쌍 형성되고, 한 쌍의 덧댐판부(5) 사이에 선단부에 와이어 삽입 홈(6)을 갖는 비틀기용 훅(7)이 배치되어 있다. 비틀기용 훅(7)은 전 동 모터(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비틀기용 훅(7)은 전동 모터(9)의 회전 개시 전의 대기시에, 와이어 삽입 홈(6)에 루프 형상으로 구부러진 와이어(8)를 삽입하기 쉽도록 와이어 삽입 홈(6)을 루프 형상의 와이어(8)에 평행하게 와이어(8)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대기하고 있다.
비틀기용 훅(7)은 진퇴 기구(10)를 거쳐서 전동 모터(9)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진퇴 기구(10)는 예를 들어 캠 기구 등에 의해 구성되고, 전동 모터(9)의 회전 개시시에 와이어(8)를 비틀기용 훅(7)의 와이어 삽입 홈(6)에 삽입하고, 전동 모터(9)의 회전 정지시에 비틀기용 훅(7)을 대기 위치로 후퇴시킨다. 즉, 트리거(11)가 당겨져 전동 모터(9)가 회전을 개시할 때에, 비틀기용 훅(7)은 와이어(8)측으로 연장되어 와이어(8)를 와이어 삽입 홈(6) 내에 삽입하고, 소정 회전한 후에 정지하여 원래의 대기 위치로 복귀된다.
결속기 본체(2)에는 와이어(8)를 통과시키는 와이어 통로(12)가 구비되어 있다. 와이어 통로(12)는 결속기 본체(2)의 후방 단부로부터 권취 상태로 맞추는 가이드부(15)까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15)는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와이어 통로(12)는 이 가이드부(15)에 있어서 원호 내측이 개방된 홈으로 되어 있다. 와이어 통로(12)의 결속기 본체(2)의 중간부에는 모터(16)의 출력축에 부착된 기어(17)가 배치되어 있다. 기어(17)는 와이어 통로(12)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개구부를 향하고 있고, 기어(17)가 와이어(8)를 와이어 통로(12)의 바닥부로 압박하고 있다. 이 모터(16)와 기어(17)에 의해 와이어(8)의 송출 장치를 구성하고, 모터(16)의 정회전에 의해 와이어(8)를 전방으로 송출한다.
트리거(11)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20)가 온(ON)하면, 모터(16)가 회전하여 와이어 이송 기어(17)가 회전한다. 와이어 이송 기어(17)의 회전에 의해, 수납실(70) 내에 수납된 와이어 릴(30)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8)가 가이드부(15) 내의 와이어 통로(12)를 통해 결속기 본체(2)의 전방으로 이송된다. 또한, 결속기 본체(2)에 내장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에 의해 이 모터(16)를 정역회전 제어시키고, 예를 들어 와이어(8)를 철근(3)의 주위에 루프 형상으로 권취한 후에 와이어(8)를 와이어 릴(30)의 수납실(70)측으로 인장하여 와이어(8)의 느슨함을 적게 하도록 해도 좋다.
와이어 통로(12)가 가이드부(15)에 도달하는 부위에는, 와이어 파지 절단 수단(21)이 배치되어 있다. 와이어 파지 절단 수단(21)은, 예를 들어 한 쌍의 파지부와 한 쌍의 절단날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파지부 사이 및 한 쌍의 절단날 사이를 와이어(8)가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와이어 파지 절단 수단(21)은 모터(16)의 회전량을 기초로 하여 와이어(8)의 이송량이 소정량에 도달하면, 한 쌍의 절단날이 서로 미끄러져 교차하여 와이어(8)가 절단된다. 그리고, 한 쌍의 파지부에 의해 와이어(8)의 단부를 파지하여, 철근(3)을 루프 형상으로 권취한 와이어(8)는 루프의 후방 단부가, 한 쌍의 파지부에 파지된 상태에서 비틀기용 훅(7)에 의해 비틀어져 철근(3)이 결속된다.
결속기 본체(2)의 후방부에는 와이어(8)를 권취한 와이어 릴(30)을 수납하는 수납실(70)이 형성되어 있다. 수납실(70)을 설명하기 전에 와이어 릴(30)을 도15 내지 도17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와이어 릴(30)은 마모나 굽힘에 대해 내성이 우수한 ABS 수지·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고, 외란광이 허브부(31) 내에 인입되지 않도록 흑색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다. 와이어 릴(30)은 와이어(8)를 권취하는 허브부(31)와, 허브부(31)의 양측에 설치된 원판상의 플랜지(32, 33)로 이루어진다. 허브부(3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플랜지(32, 33)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한 쪽 플랜지(32)의 외주에는 걸어 맞춤 갈고리(34)가 형성되어 있다.
허브부(31)의 중앙부에는 허브부(31)와 대략 동일 축심이 되는 내통(40)이 형성되고, 내통(40)의 내측에 철근 결속기(1)의 릴 부착축(23)이 삽입되는 장착 구멍(45)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40)은 허브부(31)보다 짧게 형성되고, 일단부(41)가 플랜지(32) 근방에 위치하고, 타단부(42)가 허브부(31)의 대략 중간부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타단부(42)와 허브부(31)가 측벽(4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측벽(46)의 플랜지(33)측의 측면(43)과 허브부(31)의 내측면(47)에 의해 원형의 오목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46)의 플랜지(33)측의 측면(43)에는 한 쌍의 고정축(50, 50)이 대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고정축(50)은 선단부(51)가 플랜지(33) 근방까지 신장되고, 선단부(51)에 끼움 장착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움 장착 구멍(52)에 마크(53)가 끼움 장착된다. 마크(53)는 반사 수광량이 많아지도록 백색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고, 끼움 장착 구멍(52)에 끼움 장착되는 끼움 장착축(55)과, 끼움 장착축(55)의 선단부에 형성된 반사판(56)으로 이루어진다. 반사판(56)의 표면에는 느슨하게 만곡한 오목부(57)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고정축(50, 50)은 오목부(49) 내에 수납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플랜지(33)에는 원형의 오목부(49)를 둘러싸도록 하여, 링 형상의 보스부(58)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58)는 외주연(59)에 테이퍼면(60)이 형성되고, 내주연(61)에 단차 오목부(62)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 오목부(62)의 깊이는 상기 고정축(50, 50)의 대략 선단부까지로 되어 있다. 또한, 보스부(58)의 외주연(59)에는 한 쌍의 돌기(65, 65)가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돌기(65, 65)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경사연(66, 66)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65, 65)는 상기 고정축(50, 50)과 대략 동일한 각도로 배치되어 있지만, 고정축(50, 50)과의 위치 관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고정축(50, 50)은 실시 형태에서는 2개로 설정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라도 좋고 3개 이상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플랜지(32)에도 플랜지(33)와 동일한 보스부(67)가 상기 보스부(58)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측벽(46)에는 와이어 릴(30)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원통형의 구멍(68)이 형성되어 있다. 철근 결속기(1)의 구멍(68)의 회전 영역에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가 배치되고, 이 양 소자 사이를 구멍(68)이 통과함으로써 와이어 릴(30)의 회전 상태가 판별되도록 해도 된다. 플랜지(32, 33)의 외주연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대략 부채형의 모양은 박육화된 플랜지(32, 33)의 보강 리브이다.
플랜지(32)에는 외주연으로부터 허브부(31)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삽통 개구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 삽통 개구부(35)에는 와이어(8)의 권취 종료 단부가 계지 보유 지지된다. 허브부(31)와 내통(40)에는 와이어 삽통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 삽통 구멍(36)에는 와이어(8)의 권취 개시 단부가 삽입 보유 지지된다. 와이어(8)를 권취할 때에는, 와이어 삽통 구멍(36)에 와이어(8)의 권취 개시 단부를 삽입하고, 내통(40) 내에서 권취하여 권취 개시 단부가 와이어 삽통 구멍(36)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허브부(31)의 원주면으로 권취를 개시한다. 또한, 와이어(8)에 권취 방향의 힘이 강하게 작용해도, 그 인장력을 와이어 삽통 개구부(35)의 모서리부에서 받아낼 수 있다.
결속기 본체(2)의 수납실(70)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고정된 커버 부재(22)에 의해 덮이도록 되어 있다. 커버 부재(22)에는 와이어 릴(30)의 장착 구멍(45)에 삽입되는 부착축(23)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 부재(22)에는, 릴 부착축(23)을 수납실(70) 내에 돌출시킨(셋트한) 상태로 로크하는 릴 스톱퍼(24)가 설치되어 있다. 수납실(70)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벽(72)과 바닥벽(73)과 측벽(75)으로 이루어진다. 측벽(75)에는 상기 와이어 릴(30)의 단차 오목부(62)에 끼워 맞추어지는 원형의 돌출부(76)가 형성되고, 돌출부(76)에 비접촉 센서(광센서 인터럽터)(25)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76)가 단차 오목부(62)에 끼워 맞추어지면,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빛이 오목부(49)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외란광이 인터럽터(25)에 인입되는 것을 저지한다. 광센서(25)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로 이루어지고, 이에 의해 검출되는 마크(53)의 상단부가 만곡된 오목부(57)로 되어 있으므로, 발광 소자에 의해 발광된 빛이 수광 소자에 집중되어 확실하게 마크(53)를 검지할 수 있다.
돌출부(76)에는 센서 배치 구멍(77)이 개구되어 있고, 센서 배치 구멍(77)의 내부에 상기 비접촉 센서인 반사형 인터럽터(25)가 광센서로서 설치되어 있다. 광센서(25)는 전술한 제어 회로에 접속되고, 인터럽터(25)로의 급전과 인터럽터(25)의 출력 신호가 제어 회로에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 회로는 인터럽터(25)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해 와이어 릴(30)의 마크(53)를 검지한다. 제어 회로는 인터럽터(25)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변동을 검출하여 마크(53)의 수를 검출한다.
수납실(70)의 측벽(75)이며 돌출부(76)의 상방에는, 접촉 센서(제1 센서)(80)가 설치되어 있다. 접촉 센서(80)는 기계식 스위치이며, 지지축(81)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요동 부재(82)와, 요동 부재(82)의 선단부에 설치된 접촉편(83)과, 접촉편(83)을 와이어 릴(30)측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85)와, 요동 부재(82)의 타단부에 설치된 마그네트부(86)와, 탄성 부재(85)에 의해 마그네트부(86)가 접촉하는 홀 IC(87)로 이루어진다.
접촉 센서(제1 센서)(80)인 스위치는 결속기 본체(2) 내에 설치되고, 측벽(75)에 형성된 개구(78)로부터 접촉편(83)이 돌출하여 상기 접촉편(83)에 릴 본체(30a)의 돌기(제1 피검출부)(65)가 접촉한다. 접촉 센서(제1 센서)(80)인 스위치는 접촉편(83)에 릴 본체(30a)의 돌기(제1 피검출부)(65)가 접촉하면, 요동 부재(82)가 탄성 부재(85)의 탄성에 저항하여 요동하고, 마그네트부(86)가 홀 IC(87)로부터 이격된다.
접촉 센서(제1 센서)(80)는 전술한 제어 회로에 접속되고, 홀 IC(87)의 전압의 변화에 따른 전기 신호가 제어 회로에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 회로는 접촉 센서(제1 센서)(80)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의해 와이어 릴(30)의 회전을 검지한다. 제어 회로는 접촉 센서(제1 센서)(80)로부터의 전압의 변동이, 소정 시간 내에 검지되지 않을 때에는 와이어 릴(30)이 회전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철근 결속기(1)의 측면에 설치된 LED 등을 발광시키거나 경고음을 내는 등에 의해 와이어 릴(30)의 와이어(8)가 종료된 것을 조작자에게 알린다.
또한, 와이어 릴(30)이 정상적으로 셋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도10의 릴 부착축(23) 또는 릴 스톱퍼(24)를 셋트하는 것을 잊으면, 와이어 릴(30)이 회전 중에 돌출부(76)로부터 떨어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철근 결속기 본체(2)의 방향에 따라서는 와이어 릴(30)이 수납실(70)로부터 낙하하거나 튀어나와 버리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때, 접촉 센서(제1 센서)(80)의 접촉편(83)에 의해 와이어 릴(30)이 돌출부(76)로부터 떨어진 것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LED 등을 발광시키거나 경고음을 내는 등에 의해 와이어 릴(30)이 이상 회전하고 있는 것을 조작자에게 알린다.
또한 전방벽(72)에는, 상기 와이어 릴(30)의 걸어 맞춤 갈고리(34)와 걸어 맞추어져 와이어 릴(3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탄성편(89)이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편(89)은 와이어 이송시에는 작동하지 않고, 와이어 이송이 종료하여 전동 모터(9)의 기동에 의해 탄성편(89)이 와이어 릴(30)에 브레이크가 걸리도록 작동한다. 전방벽(72)의 상부에는 와이어(8)를 인출하기 위한 개구(90)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90)는 와이어 통로(30)와 연통되어 있다.
철근 결속기(1)는, 상기 구성을 갖고 수납실(70) 내에 와이어 릴(30)을 수납하여 장전한다(스텝 101). 와이어 릴(30)의 단차 오목부(62)를 수납실(70)의 측벽 (75)에 형성된 돌출부(76)에 끼워 맞추어, 커버 부재(22)에 설치된 릴 부착축(23)을 수납실(70) 내에 돌출시키고 릴 부착축(23)을 릴 본체(30a)의 장착 구멍(45)에 삽입시킨다. 이 상태에서 릴 부착축(23)을 릴 스톱퍼(24)에 의해 로크한다. 와이어 릴(30)의 와이어(8)를 인출하고, 인출한 선단부를 전방벽(72)의 개구(90)로부터 와이어 통로(30)로 이송하여 송출 장치의 기어(17)에 배치한다.
와이어 릴(30)의 단차 오목부(62)에 돌출부(76)가 끼워 맞추어지므로, 내통(40)의 오목부(49) 내가 차광되어 오목부(49) 내의 인터럽터(제2 센서: 비접촉 센서)(25)에 외란광이 인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와이어 릴(30)의 고정축(50)에 설치된 마크(제2 피검출부)(53)가, 돌출부(76)의 인터럽터(제2 센서)(25) 근방을 소정의 간극을 두고 회전하여 인터럽터(제2 센서)(25)의 빛을 반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철근 결속기(1)에 와이어 릴(30)을 장전 후(스텝 101), 도시하지 않은 메인 스위치를 넣으면(스텝 102) 제어 회로가 초기화되고(스텝 103), 송출 장치의 모터(16)가 회전하여 와이어 이송 기어(17)의 회전에 의해 수납실(70) 내에 수납된 와이어 릴(30)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8)의 선단부가 소정 위치까지 이송된다. 트리거(11)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20)를 온하면(스텝 104), 모터(16)가 회전하여 와이어 이송 기어(17)가 회전하고, 와이어(8)의 이송량의 측정이 개시된다(스텝 105). 와이어 이송 기어(17)의 회전에 의해 수납실(70) 내에 수납된 와이어 릴(30)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8)가 가이드부(15) 내의 와이어 통로(12)를 통해 결속기 본체(2)의 전방으로 이송된다. 또한, 이 모터(16)의 회전 제어는 결속기 본체(2)에 내장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에 의해 행해진다.
와이어(8)가 전방으로 이송되는 동시에 와이어 릴(30)이 회전하여, 접촉 센서(제1 센서)(80)의 접촉편(83)에 릴 본체(30a)의 돌기(제1 피검출부)(65)가 접촉한다. 접촉편(83)에 릴 본체(30a)의 돌기(제1 피검출부)(65)가 접촉하면, 요동 부재(82)가 탄성 부재(85)의 탄성에 저항하여 요동하고 마그네트부(86)가 홀 IC(87)로부터 이격되어 전압의 변화에 따른 펄스 신호가 제어 회로에 송신되고, 펄스를 카운트하여 돌기(제1 피검출부)(65)의 검출을 개시한다(스텝 106). 설정 시간 내에 돌기(제1 피검출부)(65)의 검출을 행하고(스텝 107), 검출되지 않은 경우, 즉 설정 시간 내에 펄스 신호가 송신되지 않으면 와이어 릴(30)이 회전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철근 결속기(1)의 측면에 설치된 LED 등을 발광시키거나 경고음을 낸다(스텝 108).
설정 시간 내에 돌기(제1 피검출부)(65)의 검출이 행해지면, 즉 전압의 변화에 의한 펄스 신호가 제어 회로에 송신되면 와이어 릴(30)이 회전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인터럽터(제2 센서: 비접촉 센서)(25)가 빛을 조사하여 와이어 릴(30)의 고정축(50)에 설치된 마크(제2 피검출부)(53)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하고(스텝 109), 마크(53)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가 제어 회로에 송신되고 마크(53)의 수가 카운트된다(스텝 110). 최초에 접촉 센서(80)의 접촉편(83)에 접촉한 돌기(제1 피검출부)(65)의 다음 돌기(제1 피검출부)(65)가 접촉편(83)에 접촉하여 검출되면(스텝 111), 펄스 신호가 제어 회로에 송신되어 검출을 종료하고(스텝 112), 인터럽터(제2 센서: 비접촉 센서)(25)에 의해 검출된 마크(제2 피검출부)(53)를 산출하여 와이어 릴(30)을 식별한다(스텝 113).
상기한 바와 같이, 릴 본체(30a)에는 돌기(제1 피검출부)(65)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회전량은 1/2 회전(180도)이며, 그 회전량 사이의 마크(53)의 수에 의해 와이어 릴(30)의 종류가 식별되어 제어 회로가 송출 장치의 모터(16)의 통전 시간 및 전동 모터(9)의 공급 전력을 설정한다. 또한, 소정 시간 내에 다음 돌기(제1 피검출부)(65)가 제1 센서(80)에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115), 와이어 릴(30)이 회전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어, 철근 결속기(1)의 측면에 설치된 LED 등을 발광시키거나 경고음을 낸다(스텝 116).
상기 와이어 릴(30)의 회전량을 검출하여, 그 사이에 마크(53)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스텝 117), 또는 마크(53)를 소정 이상, 예를 들어 3개 이상 검출한 경우(스텝 118)에는 철근 결속기(1)의 측면에 설치된 LED 등을 발광시키거나 경고음을 낸다(스텝 119 및 스텝 120). 검출된 마크(53)의 수에 의해 와이어 릴(30)의 종류가 식별되고, 제어 회로가 와이어 송출 기어(17)의 회전수(회전각)에 의한 와이어(8)의 이송량, 또는 전동 모터(9)의 공급 전력에 의한 비틀림 토크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검출된 마크(53)의 수가 1회인 경우(스텝 121), 와이어(8)의 이송량(A) 및 와이어(8)의 비틀림 토크(A)가 설정된다(스텝 122). 또한, 검출된 마크(53)의 수가 2회인 경우(스텝 123), 와이어(8)의 이송량(B) 및 와이어(8)의 비틀림 토크(B)가 설정된다(스텝 124).
상기 검출은 순간적으로 행해져 와이어(8)가 멈추는 일 없이 가이드부(15)에 따라 전방으로 이송된다. 와이어 릴(30)의 종류의 식별 후에는, 마크(53) 또는 돌기(65)가 릴 회전 검출 수단이 되고, 마크(53) 또는 돌기(65)에 의해 와이어 릴 (30)의 회전 검출이 개시된다(스텝 125). 가장 마지막에 마크(53) 또는 돌기(65)를 검출한 후 다음 마크(53) 또는 돌기(65)를 검출할 때까지의 경과 시간(T1)이, 에러를 판정하는 시간(설정 시간)(T2)보다 긴 경우(스텝 126), 와이어 릴(30)이 회전하고 있지 않다고 하여 철근 결속기(1)의 측면에 설치된 LED 등을 발광시키거나 경고음을 낸다(스텝 127).
상기 T1이 T2보다 짧은 경우(스텝 126), 와이어(8)는 와이어 릴(30)의 종류에 따라서 설정량 이송되어 철근(3)의 주위에 루프 형상으로 권취하지만, 그 이송량이 설정 이송량(A 또는 B)에 도달하고 있지 않으면(스텝 128) 다시 스텝 126으로 복귀된다. 와이어(8)의 이송량이 설정 이송량(A 또는 B)에 도달하고 있으면(스텝 128) 와이어 이송이 종료되고(스텝 129), 와이어 절단 후 와이어 릴(30)의 종류에 따른 전동 모터(9)의 설정 비틀림 토크(A 또는 B)에 의해 비틀어져 철근(3)이 결속된다(스텝 130). 따라서, 철근 결속기(1)는 와이어(8)의 굵기, 성질 등에 맞추어 와이어(8)의 이송량 또는 비틀림 토크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 릴(30)에 마크(제2 피검출부)(53)가 2개 설치되어 있지만, 1개라도 좋고 3개 이상이라도 상관없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마크(53)는 백색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반사 시일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와이어 릴(30)에 돌기(제1 피검출부)(65)가 2개 설치되어 있지만, 1개라도 좋고 3개 이상이라도 상관없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철근 결속기(1)는, 만약 가령 와이어 릴(30)이 수납실 (70) 내에 정상적으로 셋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 센서(80)가 광센서 등의 비접촉식 센서이면, 와이어 릴(30)의 제1 피검출부로부터의 반사광 이외의 빛이나 외란광에서도 반응하여 정상 회전으로서 검출해 버리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고 있는 철근 결속기(1) 및 제1 센서(80)가 접촉식 센서이므로, 와이어 릴(30)이 수납실(70) 내에 정상적으로 셋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와이어 릴(30)을 검출하지 않고, 이 때는 이상 상태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결속기 본체(2)의 수납실(70)에는 제2 센서로서 와이어 릴(30)의 마크(제2 피검출부)(53)를 검출하는 비접촉 센서(광센서 인터럽터)(25)가 설치되어 있지만, 제2 피검출부를 마크가 아닌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하고 제2 센서를 접촉 센서(스위치)로서 2개의 접촉 센서로 와이어 릴의 종류를 식별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한, 결속기 본체(2)의 수납실(70)에는 제1 센서로서 와이어 릴(30)의 돌기(제1 피검출부)(65)를 검출하는 접촉 센서(스위치)(80)가 설치되어 있지만, 제1 피검출부를 요철이 아닌 마크로 하고 제1 센서를 비접촉 센서(광센서 인터럽터)로서 2개의 비접촉 센서로 와이어 릴의 종류를 식별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발명의 효과]
본원 발명에 관한 철근 결속기는, 제1 센서에 의해 와이어 릴의 회전량을 검출하고, 제2 센서에 의해 와이어 릴의 피검출부의 수를 검출함으로써 와이어 릴의 종류를 식별하고, 그 와이어 릴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의 이송량 또는 와이어의 비틀림 토크를 제어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와이어 릴의 회전량의 검출은 와이어 릴의 제1 피검출부를 제1 센서에 검출시킴으로써 행해지고, 제1 피검출부가 볼록부 또는 오목부이면 제1 센서를 접촉식 센서로서 확실하게 제1 피검출부를 검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에 관한 철근 결속기에 이용되는 와이어 릴은, 철근 결속기의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제1 피검출부와, 철근 결속기의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제2 피검출부가 설치되고, 제1 피검출부가 제1 센서에 검출되면 이것의 회전량이 검출되고, 제2 피검출부가 제2 센서에 검출되면 이것의 종류가 식별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제1 피검출부가 접촉식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이고, 제2 피검출부가 비접촉식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마크이면 확실하게 이것의 종류가 식별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와이어 릴의 제2 피검출부의 형태(예를 들어, 마크의 수)를 보는 것만으로 와이어 릴의 종류를 판별할 수도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에 관한 철근 결속기에 이용되는 와이어 릴의 식별 방법은, 와이어 릴의 회전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와이어 릴의 회전량의 사이에 와이어 릴에 설치된 피검출부의 수를 검출하여 와이어 릴의 종류를 식별하므로, 와이어 릴을 식별하기 위한 요소로서 와이어 릴의 회전 속도나 와이어 릴의 동작 시간이 불필요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와이어 릴의 회전 속도가 지나치게 늦거나 지나치게 빠르거나 해도 와이어 릴의 식별이 가능하다. 또한, 와이어 릴의 구동 시간 내에 피검출부의 수가 몇 개 있는지를 검출할 필요가 없으므로 식별이 확실하다. 와이어 릴의 종류를 식별하면, 와이어의 이송량 또는 와이어의 비틀림 토크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수작업으로 조절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은, 철근 결속기 및 그에 이용되는 와이어 릴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1)

  1. 결속기 본체에 마련된 수납실에, 철근 결속용 와이어를 권취한 와이어 릴을 장착하고, 상기 와이어를 철근의 주위에 권취한 후에 비틀어 상기 철근을 결속하는 철근 결속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에는,
    상기 와이어 릴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와이어 릴의 제2 피검출부의 수를 검출하는 제2 센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기.
  2. 결속기 본체에 마련된 수납실에, 철근 결속용 와이어를 권취한 와이어 릴을 장착하고 상기 와이어 릴을 회전시키면서 와이어를 송출하고, 상기 와이어를 철근의 주위에 권취한 후에 비틀어 상기 철근을 결속하는 철근 결속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에는,
    상기 와이어 릴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제1 센서와,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된 회전량 사이의 와이어 릴의 제2 피검출부의 수를 검출하는 제2 센서가 마련되고,
    결속기 본체에는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된 제2 피검출부의 수에 의해 와이어의 이송량 또는 와이어의 비틀림 토크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릴의 회전량은 와이어 릴의 제1 피검출부가 제1 센서에 검출됨으로써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기.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센서가 접촉식 센서이며 제1 피검출부가 접촉식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이고, 제2 센서가 비접촉식 센서이며 제2 피검출부가 비접촉식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마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기.
  5. 결속기 본체에 마련된 수납실에, 철근 결속용 와이어를 권취한 와이어 릴을 장착하고, 상기 와이어를 철근의 주위에 권취한 후에 비틀어 상기 철근을 결속하는 철근 결속기에 이용되는 와이어 릴이며,
    릴 본체에는,
    철근 결속기의 제1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제1 피검출부와,
    철근 결속기의 제2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제2 피검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릴.
  6. 제5항에 있어서, 제1 피검출부가 제1 센서에 검출됨으로써 와이어 릴의 회전량이 검출되고, 제2 피검출부가 제2 센서에 검출됨으로써 와이어 릴의 종류가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릴.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제1 센서가 접촉식 센서이며 제1 피검출부가 접촉식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이고, 제2 센서가 비접촉식 센서이며 제2 피검출부가 비접촉식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마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릴.
  8. 결속기 본체에 마련된 수납실에, 철근 결속용 와이어를 권취한 와이어 릴을 장착하고 상기 와이어 릴을 회전시키면서 와이어를 송출하고, 상기 와이어를 철근의 주위에 권취한 후에 비틀어 상기 철근을 결속하는 철근 결속기에 이용되는 와이어 릴의 식별 방법이며,
    와이어 릴의 회전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와이어 릴의 회전량 사이에, 와이어 릴에 설치된 피검출부의 수를 검출하여 와이어 릴의 종류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릴의 식별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식별된 와이어 릴의 종류에 따라서, 와이어의 이송량 또는 와이어의 비틀림 토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릴의 식별 방법.
  10. 결속기 본체에 마련된 수납실에, 철근 결속용 와이어를 권취한 와이어 릴을 장착하고 상기 와이어 릴을 회전시키면서 와이어를 송출하고, 상기 와이어를 철근의 주위에 권취한 후에 비틀어 상기 철근을 결속하는 철근 결속기에 이용되는 와이어 릴의 식별 방법이며,
    릴 본체에 설치된 제1 피검출부를 제1 센서가 검출함으로써 와이어 릴의 회전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와이어 릴의 회전량 사이에,
    릴 본체에 설치된 제2 피검출부의 수를 제2 센서가 검출함으로써 와이어 릴의 종류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릴의 식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센서가 접촉식 센서이며 제1 피검출부가 접촉식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이고, 제2 센서가 비접촉식 센서이며 제2 피검출부가 비접촉식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마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릴의 식별 방법.
KR1020057018398A 2004-01-09 2004-11-08 철근 결속기, 와이어 릴 및 와이어 릴의 식별 방법 KR100785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04816 2004-01-09
JP2004004816A JP4211059B2 (ja) 2004-01-09 2004-01-09 鉄筋結束機、ワイヤリール及びワイヤリールの識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890A KR20060002890A (ko) 2006-01-09
KR100785970B1 true KR100785970B1 (ko) 2007-12-14

Family

ID=3474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8398A KR100785970B1 (ko) 2004-01-09 2004-11-08 철근 결속기, 와이어 릴 및 와이어 릴의 식별 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7819143B2 (ko)
EP (3) EP2090719B1 (ko)
JP (1) JP4211059B2 (ko)
KR (1) KR100785970B1 (ko)
CN (1) CN100482908C (ko)
AT (2) ATE470773T1 (ko)
AU (1) AU2004312245B9 (ko)
CA (1) CA2524721C (ko)
DE (1) DE602004027615D1 (ko)
DK (1) DK2090719T3 (ko)
ES (3) ES2870961T3 (ko)
IS (3) IS2781B (ko)
LT (1) LT5485B (ko)
NO (1) NO338381B1 (ko)
PL (1) PL2287421T3 (ko)
RU (1) RU2298070C2 (ko)
TW (1) TW200523443A (ko)
UA (1) UA86961C2 (ko)
WO (1) WO20050664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504B1 (ko) 2009-10-27 2012-04-30 김붕회 철근 결속기
KR20210055168A (ko) 2019-11-07 2021-05-17 김연득 결속기용 가이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156B1 (ko) 2001-09-28 2011-04-27 막스 가부시키가이샤 철근 결속기 및 릴 및 릴의 회전 검출 방법
JP4396384B2 (ja) * 2004-05-07 2010-01-13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GB0621428D0 (en) 2006-10-27 2006-12-06 Tymatic Ltd Consumables authentication
JP2008111266A (ja) * 2006-10-30 2008-05-15 Max Co Ltd 結束機等のワイヤリールにおけるワイヤ巻き取り機構
JP5532610B2 (ja) 2008-05-19 2014-06-25 マックス株式会社 ワイヤリール及び鉄筋結束機
JP5369846B2 (ja) * 2008-05-19 2013-12-18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におけるワイヤリールのブレーキ機構
TWI581875B (zh) * 2008-05-19 2017-05-11 美克司股份有限公司 鐵筋捆紮機
JP5534054B2 (ja) * 2008-05-19 2014-06-25 マックス株式会社 回転情報の検出方法
JP4858488B2 (ja) 2008-05-19 2012-01-18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EP2757211B1 (en) 2008-05-19 2019-01-09 Max Co., Ltd. Brake system of wire reel in reinforcing bar binding machine
AU2009270648B2 (en) * 2008-07-17 2012-06-28 Xiaojie Yi An electric hand-held binding apparatus
US9597724B2 (en) 2010-09-02 2017-03-21 Jon R. Kodi Wire twisting tools and methods
MD4161C1 (ro) * 2011-01-10 2012-10-31 Николае Попеску Procedeu de executare a construcţiei monolite, a complexului de construcţii monolite şi echipament tehnologic pentru realizarea acestuia
KR101223402B1 (ko) * 2011-03-09 2013-01-16 김유정 철근 자동결속장치
AU2012258595B2 (en) 2011-05-25 2017-06-01 Cidra Corporate Services Inc. Method and system for releasing mineral from synthetic bubbles and beads
JP6417772B2 (ja) 2014-07-31 2018-11-07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CN104260918B (zh) * 2014-09-18 2016-02-24 王勇 一种粉丝绕线捆扎机构及其加工方法
JP6473394B2 (ja) * 2015-07-13 2019-02-20 株式会社マキタ 鉄筋結束装置
PL3327223T3 (pl) 2015-07-22 2020-09-07 Max Co., Ltd. Maszyna wiążąca
CN109314732B (zh) * 2016-06-07 2021-03-16 科恩奈乔尼克斯有限公司 智能卷线器系统
US10145884B2 (en) * 2016-06-07 2018-12-04 Konnectronix, Inc. Smart cord reel
US10133327B2 (en) * 2016-06-07 2018-11-20 Konnectronix, Inc. Smart cord reel
DE102017209040A1 (de) * 2016-08-09 2018-02-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Kalibrierung und/oder zum Betrieb einer Handwerkzeugmaschine und Handwerkzeugmaschine
JP6790823B2 (ja) * 2016-12-29 2020-11-25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JP6894708B2 (ja) * 2017-01-10 2021-06-30 株式会社マキタ 結束機
US11332934B2 (en) 2017-01-10 2022-05-17 Makita Corporation Tying machine
JP7017926B2 (ja) * 2017-12-25 2022-02-09 株式会社マキタ 鉄筋結束機
JP6985929B2 (ja) 2017-12-27 2021-12-22 株式会社マキタ 結束機
USD858239S1 (en) * 2018-01-18 2019-09-03 Max Co., Ltd. Binding tool
FR3079104B1 (fr) * 2018-03-20 2020-05-29 Pellenc Appareil pour la pose d'attaches filaires
CN109229478B (zh) * 2018-08-28 2021-03-26 张丽珠 一种钢丝扎绑机
JP7379941B2 (ja) * 2018-09-07 2023-11-15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CN113474258A (zh) * 2019-02-27 2021-10-01 京瓷株式会社 钢筋捆扎机
JP2021127569A (ja) 2020-02-10 2021-09-02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CN112027172B (zh) * 2020-08-27 2021-12-07 浙江双友物流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物流货物捆绑系统
CN114293782B (zh) * 2021-12-26 2023-05-02 中铁二十二局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用扎丝缠绕设备
CN114993235B (zh) * 2022-08-08 2022-10-25 施莱德(山东)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钢筋智能化角度测量装置及测量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5918A (ja) * 1995-12-14 1997-06-24 Max Co Ltd 鉄筋結束機におけるワイヤ判別機構
JP2557192Y2 (ja) * 1993-04-19 1997-12-08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等の結束機用のワイヤリール
KR19990014758A (ko) * 1996-03-15 1999-02-25 유구찌사다오 철근 결속기
WO2003028916A1 (fr) 2001-09-28 2003-04-10 Max Kabushiki Kaisha Appareil permettant de cercler un element de renfort et bobine utilise avec cet appareil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84755A (en) * 1968-09-30 1972-08-09 Celanese Coatings Co Process for coating surfaces and compositions for use therein
JPS5842101B2 (ja) * 1978-05-31 1983-09-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整列巻線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4545031A (en) * 1981-09-17 1985-10-01 Kita Electrics Co., Ltd. Photo-electric apparatus for monitoring printed papers
DE3737278A1 (de) * 1986-11-04 1988-05-11 Canon K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optischen erfassen der stellung eines objekts
SU1687673A1 (ru) 1989-05-29 1991-10-30 Жлобинско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Меха Самоостанов круглов зальной машины
JPH0350369A (ja) 1989-07-18 1991-03-04 Toyota Motor Corp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還流制御装置
JPH06190482A (ja) 1992-12-26 1994-07-12 Times Eng:Kk 結束機
JPH06226386A (ja) 1993-01-28 1994-08-16 Times Eng:Kk 結束方法および結束機
JP2557192B2 (ja) 1993-03-15 1996-11-2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トランザクション処理の同期方法、トランザクション処理のモニタ方法及びトランザクションのコミット処理方法
US5786841A (en) * 1995-01-12 1998-07-28 Eastman Kodak Company Single track of metering marks on thermal printer media
EP0751270A1 (en) * 1995-06-30 1997-01-02 Max Co., Ltd.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JPH0976543A (ja) 1995-09-12 1997-03-25 Hitachi Ltd 感熱転写記録装置
DE69725847T3 (de) * 1996-04-14 2007-09-13 Suzuka Fuji Xerox Co., Ltd. Beschichtet geformter gegenstand, verfahren zum wiedergewinnen dieses gegenstandes und vorrichtung dafür
JP3314911B2 (ja) 1996-08-02 2002-08-19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におけるワイヤ絡み防止方法
JPH10150890A (ja) * 1996-11-19 1998-06-09 Ryobi Ltd 魚釣用リール
JPH10249469A (ja) 1997-03-12 1998-09-22 Chugai Electric Ind Co Ltd 電気接点製造用の金属線材
US5938196A (en) * 1997-05-07 1999-08-17 Universal De Desarrollos Electronicos, S.A. Reel type slot machine with physical mapping to control the win odds
JP3531150B2 (ja) 1997-10-06 2004-05-24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におけるワイヤリールのブレーキ機構
JP3598785B2 (ja) 1997-12-02 2004-12-08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におけるワイヤリールのブレーキ機構
CN1122618C (zh) * 1999-04-28 2003-10-01 肖广勇 钢筋绑扎器
US6338263B1 (en) * 1999-06-30 2002-01-15 Toyo Seikan Kaisha,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embossed can body, inspecting apparatus used for manufacturing embossed can body, and inspecting method used therefor
US6401766B1 (en) * 1999-07-23 2002-06-11 Max Co., Ltd. Binding machine for reinforcing bars
JP3582411B2 (ja) 1999-07-23 2004-10-27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US6703445B2 (en) * 2000-11-22 2004-03-09 Suzuka Fuji Xerox Co., Ltd. Molding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and a method for equal quality recycle of thermoplastic resin mold
JP2002225813A (ja) 2000-11-27 2002-08-14 San Homu Kk 結束構造機構
EP1430970B1 (en) * 2001-09-28 2008-01-23 Max Kabushiki Kaisha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and reel used for the machine
JP4016785B2 (ja) * 2001-09-28 2007-12-05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及びリール
KR101031156B1 (ko) * 2001-09-28 2011-04-27 막스 가부시키가이샤 철근 결속기 및 릴 및 릴의 회전 검출 방법
US7000864B2 (en) * 2002-06-10 2006-0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sumer product winding control and adjustment
US6913831B2 (en) * 2002-12-26 2005-07-05 Suzuka Fuji Xerox, Co., Ltd. Coating material for recycling and a thermoplastic resin mol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7192Y2 (ja) * 1993-04-19 1997-12-08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等の結束機用のワイヤリール
JPH09165918A (ja) * 1995-12-14 1997-06-24 Max Co Ltd 鉄筋結束機におけるワイヤ判別機構
KR19990014758A (ko) * 1996-03-15 1999-02-25 유구찌사다오 철근 결속기
WO2003028916A1 (fr) 2001-09-28 2003-04-10 Max Kabushiki Kaisha Appareil permettant de cercler un element de renfort et bobine utilise avec cet apparei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504B1 (ko) 2009-10-27 2012-04-30 김붕회 철근 결속기
KR20210055168A (ko) 2019-11-07 2021-05-17 김연득 결속기용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S2850B (is) 2013-10-15
EP2287421A2 (en) 2011-02-23
EP1612348A1 (en) 2006-01-04
JP4211059B2 (ja) 2009-01-21
EP2090719A1 (en) 2009-08-19
US20100313991A1 (en) 2010-12-16
ES2870961T3 (es) 2021-10-28
RU2298070C2 (ru) 2007-04-27
ES2344456T3 (es) 2010-08-27
IS2781B (is) 2012-05-15
EP2090719B1 (en) 2011-08-17
ES2370131T3 (es) 2011-12-13
TW200523443A (en) 2005-07-16
EP1612348B1 (en) 2010-06-09
CN1768188A (zh) 2006-05-03
LT2007047A (en) 2008-01-25
DE602004027615D1 (de) 2010-07-22
AU2004312245B2 (en) 2007-08-02
US7819143B2 (en) 2010-10-26
RU2005130297A (ru) 2006-04-20
EP2287421A3 (en) 2016-11-16
IS8936A (is) 2010-11-10
ATE520844T1 (de) 2011-09-15
DK2090719T3 (da) 2011-10-03
NO338381B1 (no) 2016-08-15
AU2004312245B9 (en) 2007-08-02
KR20060002890A (ko) 2006-01-09
LT5485B (lt) 2008-04-25
JP2005194847A (ja) 2005-07-21
IS8405A (is) 2006-04-10
IS8958A (is) 2011-05-27
CA2524721C (en) 2009-04-21
NO20063614L (no) 2006-10-02
WO2005066435A1 (ja) 2005-07-21
EP1612348A4 (en) 2006-07-19
US20060283516A1 (en) 2006-12-21
ATE470773T1 (de) 2010-06-15
EP2287421B1 (en) 2021-04-21
AU2004312245A1 (en) 2005-07-21
UA86961C2 (ru) 2009-06-10
CA2524721A1 (en) 2005-07-21
PL2287421T3 (pl) 2021-08-30
US7987876B2 (en) 2011-08-02
TWI340196B (ko) 2011-04-11
CN100482908C (zh)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970B1 (ko) 철근 결속기, 와이어 릴 및 와이어 릴의 식별 방법
KR100840455B1 (ko) 철근 결속기, 와이어 릴, 와이어 및 와이어 종별의 판별방법
EP2123562B1 (en) Wire reel, reinforcing bar binding machine, and rotational information detecting method
KR101084399B1 (ko) 철근 결속기 및 릴
JP2008291642A (ja) 鉄筋結束機、ワイヤリール及びワイヤリールの識別方法
JP5182538B2 (ja) 鉄筋結束機、ワイヤリール及びワイヤリールの識別方法
JP4288900B2 (ja) リール及び鉄筋結束機
JP6024775B2 (ja) ワイヤリール
JP2004059017A (ja) 鉄筋結束機及びリール及びリールの回転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