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399B1 - 철근 결속기 및 릴 - Google Patents

철근 결속기 및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399B1
KR101084399B1 KR1020107024947A KR20107024947A KR101084399B1 KR 101084399 B1 KR101084399 B1 KR 101084399B1 KR 1020107024947 A KR1020107024947 A KR 1020107024947A KR 20107024947 A KR20107024947 A KR 20107024947A KR 101084399 B1 KR101084399 B1 KR 101084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wire
interrupter
light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4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318A (ko
Inventor
야스시 나까가와
노보루 이시까와
이찌로 구사까리
다까히로 나가오까
슈이찌 이시이
아쯔시 마쯔오까
Original Assignee
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89420A external-priority patent/JP42889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16907A external-priority patent/JP4066734B2/ja
Application filed by 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7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E04G21/123Wire twis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2/00Winding, tensioning, or guiding
    • Y10S242/912Indicator or alarm

Abstract

본 발명은 릴의 와이어가 소비된 것을 릴의 회전으로부터 검출하는 철근 결속기 및 릴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철근 결속기는 결속기 본체(21)의 카세트 케이스(40)에 인터럽터(45)를 설치하고, 릴 부착축(43)에 커버(46)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여 커버(46)에 개구부(47)를 형성하고, 릴(41)에 돌기(53)를 형성하여 개구부(47)에 끼워 맞추고, 돌기(53)에 커버(46)와 다른 명도의 색채를 부여함으로써 릴(41)의 회전을 인터럽터(45)에서 검출한다.

Description

철근 결속기 및 릴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AND REEL}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교차하는 철근끼리를 와이어로 결속 고정하는 철근 결속기 및 그 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의 송출시에 와이어가 카세트 케이스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 철근 결속기, 와이어의 소모를 검출하는 철근 결속기 및 이에 이용되는 릴에 관한 것이다.
철근 결속기로서는, 본원 출원인의 출원에 의한 일본 특허 공개 평11-104777호 공보에 관한「철근 결속기에 있어서의 와이어 릴의 브레이크 기구」및 실용신안 등록 제2557192호 공보에 관한「철근 등의 결속기용 와이어 릴」이 알려져 있다.
도38, 도39는 이 철근 결속기를 도시한 것으로, 철근 결속기(1)의 후방부에 와이어(3)를 권취한 릴(2)이 보유 지지되어 있다. 릴(2)로부터 인출된 와이어(3)는 와이어 이송 수단(5)에 의해 철근 결속기(1)의 전방으로 송출되고,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홈을 갖는 가이드(6)에 따라서 이송되어 갈 때에 권취하려는 성질이 생겨 열십자(+)형으로 교차하는 철근(7)의 주위가 루프형으로 형성된다. 철근(7)의 주위가 루프형으로 권취된 와이어(3)는 협지부(4)에 의해 포획된 후에 와이어 이송 수단(5)의 와이어 이송이 정지되는 동시에, 루프형으로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3)에, 선단부에 와이어(3)를 협입하는 홈을 갖는 비틀림용 훅(8)이 접근한다. 비틀림용 훅(8)은 와이어(3)를 홈 속에 삽입한 후, 회전하여 와이어(3)에 의해 철근(7)을 결속한다. 철근(7)의 결속 후 협지부(4)에 마련된 절단 수단에 의해 절단되어 협지부(4)가 와이어(3)를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철근 결속기(1)의 후방부에는 릴(2)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릴 보유 지지부[카세트 케이스(도시 생략)]가 설치되고, 릴 보유 지지부(카세트 케이스)의 릴(2)의 측면에 대면하는 부위에 광센서가 배치되고, 릴(2)의 측면에 이 광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마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39에 도시하는 철근 결속기(1)의 후방부에는 릴(2)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아암(9)이 설치되고, 아암(9)의 릴(2)의 측면에 대면하는 부위에 광센서가 배치되고, 릴(2)의 측면에 이 광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마크가 설치되어 있다.
광센서는, 릴(2)의 측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여 마크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하고 있고, 릴(2)이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대략 주기적으로 반사광을 광센서가 검출한다.
릴(2)의 와이어(3)가 소비되었을 때에는 릴(2)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마크로부터의 주기적인 반사광을 광센서가 검출하지 않으므로, 와이어(3)가 소비된 것을 판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39 중 부호 A1은 비틀림 기구, A2는 트리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철근 결속기(1)의 경우, 광센서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릴(2)과 릴 보유 지지부(카세트 케이스) 또는 도39에 도시하는 아암(9)과의 간극으로부터 진입하는 외란광에 의해 광센서가 오동작되거나, 와이어(3)를 소비한 릴(2)을 교환할 때나, 릴(2)을 제거하고 있을 때에 광센서에 먼지나 오염이 부착하여 릴(2)의 마크를 검출할 수 없으므로, 광센서가 주기적인 반사광을 검출할 수 없어 오동작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실용신안 등록 2557192호에서도 마찬가지로 광센서로 광센서 검출 마크를 검출하도록 하고 있지만, 철근 결속기(1)나 릴(2)의 치수나 장착시의 덜걱거림 혹은 피검지 수단의 오염이나 적정 거리의 범위 외인 경우에 피검지 수단을 검지할 수 없는 것도 고려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광센서에 의해 릴의 회전 정지를 검출하여 와이어의 종료를 검출하는 철근 결속기에 있어서 외란광 검출이나 먼지 등의 부착에 의한 오동작이 없고, 광센서에 의한 와이어 소비의 검출이 확실한 철근 결속기 및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의 제1 실시예의 발명은, 결속기 본체에 부착되는 카세트 케이스에 릴 부착축이 형성되고, 상기 릴 부착축에 철근 결속용 와이어를 권취한 릴을 장착하고, 상기 릴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와이어를 송출할 때에 상기 와이어를 철근 주위에 루프형으로 권취한 후에 상기 와이어를 비틀어 상기 철근을 결속하는 철근 결속기에 있어서,
상기 릴의 측면에 대면하는 광센서를 상기 카세트 케이스의 바닥부에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릴 부착축에 상기 광센서를 덮는 불투명한 커버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여 상기 커버의 상기 광센서의 상방을 통과하는 영역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릴의 상기 카세트 케이스의 바닥부측에 배치되는 부위에 상기 커버의 반사광량과 다른 반사광량을 갖는 피검지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제2 실시예의 릴은, 제1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에 이용되는 릴이며, 상기 릴의 상기 카세트 케이스의 바닥부측에 배치되는 부위에 상기 커버의 반사광량과 다른 반사광량을 갖는 피검지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제3 실시예의 릴은, 선재를 권취하는 릴에 있어서, 상기 릴을 검출하는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 물리량이 다른 복수개의 피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제4 실시예의 릴은, 제3 실시예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상기 피검출 수단의 검출 물리량의 상이는 상기 센서와 상기 피검출 수단과의 거리의 상이를 기초로 하여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제5 실시예의 릴은, 제3 실시예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광센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피검출 수단의 검출 물리량은 상기 광센서의 빛의 반사광(광량, 각도, 패턴)에 의해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제6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는, 결속기 본체에 릴 부착축이 형성되고, 상기 릴 부착축에 철근 결속용 와이어를 권취한 릴을 장착하고, 상기 릴을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를 송출할 때에, 상기 와이어를 철근 주위에 루프형으로 권취한 후에 상기 와이어를 비틀어 상기 철근을 결속하는 철근 결속기이며,
상기 릴의 근방에 상기 릴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릴에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 물리량이 다른 피검출 수단을 복수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제7 실시예의 릴은, 제6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에 이용되는 릴이며, 상기 릴에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하는 검출 물리량이 다른 피검출 수단을 복수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제8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는, 결속기 본체에 릴 부착축이 형성되고, 상기 릴 부착축에 철근 결속용 와이어를 권취한 릴을 장착하고, 상기 릴을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를 이송하면서 상기 와이어를 철근 주위에 루프형으로 권취한 후에 상기 와이어를 비틀어 상기 철근을 결속하는 철근 결속기에 있어서,
릴측면에 대면하는 수광 수단을 외란광이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결속기 본체측에 설치하는 동시에, 발광 수단이 사출한 빛을 반사시켜 상기 수광 수단에 수광시키는 피검지 수단이 상기 릴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수광 수단이 수광하는 상기 피검지 수단의 반사광의 수광량과, 상기 수광 수단이 수광하는 상기 피검지 수단 주위의 릴측면의 반사광의 수광량을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제9 실시예의 릴은, 제8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에 이용되는 릴이며, 발광 수단이 사출한 빛을 반사시켜 상기 수광 수단에 수광시키는 피검지 수단이 상기 릴의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수광 수단이 수광하는 상기 피검지 수단의 반사광의 수광량과, 상기 수광 수단이 수광하는 상기 릴측면의 반사광의 수광량을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제10 실시예의 릴은, 제8 실시예의 릴이며, 상기 릴측면에 상기 수광 수단을 덮는 커버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릴측면에 상기 수광 수단에 반사광을 반사시키는 피검지 수단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피검지 수단을 상기 수광 수단에 면하게 하는 개구부를 갖고 릴의 회전시에 상기 발광 수단으로부터의 사출광을 반사시켜 상기 수광 수단에 수광시키는 수광량과 관련하여, 상기 피검지 수단과 상기 커버 부재 중 어느 한 쪽은 상기 수광 수단에 의한 광검출을 유효로 하는 부위로 되고, 상기 피검지 수단과 상기 커버 부재 중 다른 쪽은 상기 수광 수단에 의한 광검출을 무효 또는 적은 수광량으로 하는 부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제11 실시예의 릴은, 제10 실시예의 릴이며, 릴의 회전시에 상기 발광 수단으로부터의 사출광을 상기 피검지 수단 혹은 상기 커버 부재로 반사시킨 후, 상기 반사광을 상기 수광 수단에 수광시킬 때의 상기 수광 수단이 수광하는 수광량과 관련하여, 상기 피검지 수단과 상기 커버 부재 중 어느 한 쪽은 상기 수광 수단에 의한 광검출을 유효로 하고, 상기 피검지 수단과 상기 커버 부재 중 다른 쪽에서는 상기 수광 수단에 의한 광검출을 무효 또는 적은 수광량으로 하도록, 상기 피검지 수단으로부터 상기 수광 수단까지의 거리와 상기 커버 부재로부터 상기 수광 수단까지의 거리를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제12 실시예의 릴의 회전 검출 방법은, 릴측면을 덮는 커버 부재의 개구부로부터 검지 가능하게 상기 릴측면에 마련된 피검지 수단의 회전 영역에 발광 수단으로부터 빛을 조사하고, 상기 피검지 수단 및 상기 커버 부재로 상기 빛을 반사시키고, 상기 반사광을 수광 수단에 수광시켜서, 상기 수광 수단이 수광하는 상기 피검지 수단의 반사광의 수광량과, 상기 수광 수단이 수광하는 상기 커버 부재의 반사광의 수광량과의 차이를 기초로 하여 릴의 회전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제1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 및 제2 실시예의 릴에 따르면, 카세트 케이스에 설치한 광센서가 불투명한 커버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릴을 제거하고 있을 때에도 광센서에 먼지나 오염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릴을 장착하고 있을 때에도 릴의 광센서에 대면하는 부위에 커버와 다른 반사광량의 피검지 수단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광센서에 의해 피검지 수단을 분별할 수 있어 릴의 회전을 광센서로 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릴의 와이어의 유무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본원의 제3 실시예 내지 제7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 및 릴에 따르면,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 물리량이 다른 복수의 피검출 수단을 마련한 것에 의해, 센서의 검출 범위가 확대되어 릴의 와이어의 유무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본원의 제8 실시예의 철근 결속기 및 제9 실시예의 릴에 따르면, 릴을 장착하고 있으면, 릴의 수광 수단에 대면하는 부위에 커버와 다른 반사광의 수광량의 피검지 수단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수광 수단에 의해 릴의 회전을 수광 수단으로 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릴의 와이어의 유무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카세트 케이스에 릴을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릴의 바닥면도이다.
도3의 (1)은 도2의 릴의 Ⅲ-Ⅲ선 단면도, 도3의 (2)는 도3의 (1)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4는 도2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5는 도1의 릴의 이면도이다.
도6은 도1의 카세트 케이스에 부착되는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측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측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릴이며 높이가 다른 복수의 돌기를 설치한 릴의 측면도이다.
도10은 도9의 릴의 중앙 횡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이며 면적이 다른 복수의 돌기를 설치한 릴의 측면도이다.
도12는 도11의 릴의 중앙 횡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이며 릴을 수납하는 카세트 케이스가 없는 철근 결속기의 릴 보유 지지 기구와, 높이가 다른 복수의 돌기를 설치한 릴의 측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측면도이다.
도15는 도14의 철근 결속기의 카세트 케이스의 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측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카세트 케이스에 릴을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카세트 케이스에 릴을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19의 (a) 내지 (f)는 반사형 인터럽터와 반사재의 이격 거리의 차이에 의한 수광량의 변동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0의 (a)는 인터럽터와 반사재의 이격 거리와 출력 전류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고, 도20의 (b)는 인터럽터와 반사재의 배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카세트 케이스의 설명도이다.
도22는 도21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카세트 케이스 덮개의 설명도이다.
도24는 도23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25는 도23의 덮개에 부착되는 로크 수단의 설명도이다.
도26은 도23의 덮개에 부착되는 조절 환형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27은 카세트 케이스에 부착되는 커버 플레이트의 설명도이다.
도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와이어 릴의 소경 플랜지측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9의 (a)는 도28의 와이어 릴의 대경 플랜지측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29의 (b)는 와이어의 권취 종료단부를 보유 지지하는 부분의 확대도, 도29의 (c)는 와이어의 권취 개시단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29의 (d)는 와이어의 권취 개시단부의 절곡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30은 도28의 와이어 릴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31은 도28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32는 도29의 V-V선 단면도이다.
도33은 플랜지의 와이어 삽입 관통 개구부 및 규제 오목부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34는 도33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도35는 와이어 릴을 카세트 케이스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36은 와이어 릴을 장착한 카세트 케이스를 결속기 본체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37은 도36의 덮개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38은 종래의 철근 결속기의 측면도이다.
도39는 종래의 철근 결속기의 측면도이다.
도40은 도35의 주요부 확대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 및 이에 이용되는 릴에 대해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구성을 개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철근 결속기의 구성]
철근 결속기(20)는 결속기 본체(21)의 철근(22)을 향하게 되는 전단부의 하부에 철근(22)에 맞대어지는 맞댐판부(23)가 한 쌍 형성되고, 한 쌍의 맞댐판부(23) 사이에 선단부에 와이어 삽입 홈(24)을 갖는 비틀림용 훅(25)이 배치되어 있다.
비틀림용 훅(25)은 전동 모터(2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비틀림용 훅(25)은 전동 모터(26)의 회전 개시 전의 대기시에 와이어 삽입 홈(24)에 루프형으로 구부려진 와이어(27)를 삽입하기 쉽도록 와이어 삽입 홈(24)을 루프형의 와이어(27)에 평행하게 향하여 와이어(27)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대기하고 있다.
비틀림용 훅(25)은 진퇴 기구(29)를 거쳐서 전동 모터(26)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진퇴 기구(29)는, 예를 들어 캠 기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전동 모터(26)의 회전 개시시에 와이어(27)를 비틀림용 훅(25)의 와이어 삽입 홈(24)에 삽입하고, 전동 모터(26)의 회전 정지시에 비틀림용 훅(25)을 대기 위치로 후퇴시킨다.
즉, 트리거(28)가 당겨져 전동 모터(26)가 회전을 개시할 때에 비틀림용 훅(25)은 와이어(27)측으로 연장되어 와이어(27)를 와이어 삽입 홈(24) 내에 삽입한 후, 회전을 행하여 트리거(28)의 복귀에 의해 회전을 정지하여 본래의 대기 위치로 복귀된다.
결속기 본체(21)에는 와이어(27)를 통과시키는 와이어 통로(30)가 구비되어 있다. 와이어 통로(30)는 결속기 본체(21)의 후단부로부터 권취하려는 성질이 생기는 가이드부(31)까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31)는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있고, 와이어 통로(30)는 이 가이드부(31)에 있어서 원호 내측이 개방된 홈이 되어 있다. 와이어 통로(30)의 결속기 본체(21)의 후방부에는 모터(32)의 출력축에 부착된 기어(33)가 배치되어 있다. 기어(33)는 와이어 통로(30)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개구부에 면하고 있고, 기어(33)가 와이어(27)를 와이어 통로(30)의 바닥부로 압박하고 있다.
트리거(28)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38)가 온(ON)이 되면, 모터(32)가 회전하여 와이어(27)를 결속기 본체(21)의 전방 혹은 후방으로 이송한다. 또한, 이 모터(32)의 정역 회전 제어는 결속기 본체(21)에 내장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에 의해 행해져, 예를 들어 와이어(27)를 철근(22) 주위에 루프형으로 권취한 후에 와이어(27)를 카세트 케이스(40)측으로 인장하여 와이어(27)의 느슨함을 적게 한다.
와이어 통로(30)가 가이드부(31)에 도달하는 부위에는 와이어 파지 절단 수단(34)이 배치되어 있다. 와이어 파지 절단 수단(34)은, 예를 들어 한 쌍의 파지부와 한 쌍의 절단날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파지부 사이 및 한 쌍의 절단날 사이를 와이어(27)가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와이어 절단 파지 수단(34)은 모터(32)의 회전량을 기초로 하여 와이어(27)의 이송량이 소정량에 도달하면, 한 쌍의 파지부에 의해 와이어(27)의 단부를 파지한다. 철근(22)을 루프형으로 권취한 와이어(27)의 선단부 및 루프의 후단부는 한 쌍의 파지부에 파지된 상태에서 비틀림용 훅(25)에 의해 비틀어지고, 철근(22)이 결속된 후에 한 쌍의 절단날이 마찰되어 교차하여 와이어(27)가 절단된다.
결속기 본체(21)의 후단부에는 릴 부착용 베어링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부(35)에는 부착축(36)이 돌출 설치되고, 부착축(36)에는 카세트 케이스(40)가 착탈 가능, 혹은 고정식으로 부착되어 있다. 카세트 케이스(40)의 내부에는 릴(41)(도1, 도2 참조)이 부착되어 있다. 카세트 케이스(40)에는 와이어(27)를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 케이스(40)의 개구부는 와이어 통로(30)에 면하여 개구되어 있다.
도1 내지 도5는 철근 결속기의 카세트 케이스(40) 및 릴(41)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카세트 케이스(40)는 철근 결속기(20)의 일부를 구성한다.
[카세트 케이스]
카세트 케이스(40)는 마모나 굽힘에 대해 내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카세트 케이스(40)의 바닥부(42B)에는 베어링부(35)의 부착축(36)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릴 부착축(43)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카세트 케이스(40)의 상부는 릴(41)을 삽입하기 위해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부는 덮개(42A)로 폐쇄된다. 덮개(42A)의 중앙부의 원통형 돌기(P)에는 릴 부착축(43)의 선단부가 끼워 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카세트 케이스(40)의 바닥부(42B)에는 센서 배치 구멍(44)이 개구되어 있고, 센서 배치 구멍(44)의 내부에 반사형의 인터럽터(45)가 광센서로서 설치되어 있다. 부호 45A는 인터럽터(45)가 부착된 단자판이고, 단자판(45A)은 릴 부착축(43)에 부착축(36)이 삽입되도록 릴 부착축(43)보다도 큰 링형의 개구부를 갖고 있다. 단자판(45A)의 편측의 단부는 나사(45B)에 의해 카세트 케이스(40)의 바닥부(42B)에 고정되어 있다. 단자판(45A)에는 전술한 제어 회로에 접속되는 케이블(45C)이 접속되어 있고, 인터럽터(45)에의 급전과 인터럽터(45)의 출력 신호가 제어 회로로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 회로는 인터럽터(45)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해 릴(41)의 회전을 검지하고 있다. 즉, 제어 회로는 모터(32)에 회전시키는 전력이 공급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터럽터(45)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변동이 소정 시간 내에 검지되지 않을 때에는 릴(41)이 회전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철근 결속기(1)의 측면에 설치된 LED 등을 발광시키는 등에 의해 릴(41)의 와이어(27)가 종료된 것을 조작자에게 알린다.
[커버]
릴 부착축(43)의 베이스부에는 인터럽터(45)의 상방을 덮는 불투명한 커버(46)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커버(46)는 릴(41)과 명도의 차이가 커지도록 흑색 등의 유색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46)의 인터럽터(45)의 상방을 통과하는 위치에는 개구부(47)가 한 쌍 형성되어 있다. 커버(46)의 중앙부의 개구부(48)는 릴 부착축(43)을 삽입하는 개구부이다. 또한, 커버(46)는 릴 부착축(36)에 부착된 정지륜(49)에 의해 상하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도1 참조).
[릴]
도2 내지 도5는 릴(41)의 형상을 도시한다. 릴(41)은 마모나 굽힘에 대해 내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지고, 반사광량이 많아지도록 백색 등의 커버 부재와 다른 색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다. 릴(41)에는 와이어(27)가 권취되고, 기어(33)의 회전에 수반하여 와이어(27)가 결속기 본체(21)의 전방 혹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릴(41)은 와이어(27)의 송출 및 되감기에 따라서 정역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릴(41)은 와이어(27)를 권취하여 릴 부착축(43)을 삽입하는 허브(41A)와, 와이어(27)의 좌우 방향에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는 한 쌍의 플랜지(50)를 갖는다.
허브(41A)는 릴 부착축(43)이 삽입되는 내측 통부(51A)와 와이어(27)를 권취하는 외측 통부(51B)를 구비하고 있다. 내측 통부(51A)와 외측 통부(51B)는 중간 판부(51C)와 리브(51D)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리브(51D)에 돌기(53)가 피검지 수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내측 통부(51A)의 덮개(42A)에 대면하는 단부에는, 도3,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 맞춤 오목부(51E)가 형성되고, 끼워 맞춤 오목부(51E)에 덮개(42A)의 원형 돌기(P)가 끼워 맞추어진다. 내측 통부(51A) 내부의 허브 구멍(51)에 릴 부착축(43)이 삽입된다.
플랜지(50)는 최대한 두께가 얇아져 저비용화와 경량화가 도모되어 있다. 한 쪽 플랜지(50)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27)의 권취 개시측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부착 홈(52)이 형성되어 있다.
릴(41)의 카세트 케이스(40)의 바닥부(42B)에 대면하는 면에는, 도1,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53A)가 형성되어 있고, 릴 부착축(43)의 정지륜(49)은 오목부(53A)에 위치하고 있다. 오목부(53A)의 바닥부에는 돌기(53)가 한 쌍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돌기(53)는 각각 커버(46)의 개구부(47)에 간극없이 끼워 맞추어지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3A)와 플랜지(50) 사이에는 커버(46)와 접촉하여 빛이 오목부(53A)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두께부(53B)가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세트 케이스(40)의 바닥부(42B)에는 릴(41)의 바닥부측의 플랜지(50)를 지지하는 두께부(42C)가 형성되고, 릴 부착축(36)과 두께부(42C) 사이에 오목부(42D)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2D)는 인터럽터(45)와 돌기(53)의 간극을 형성하여 두께부(42C)와 커버(46)가 미끄럼 접촉 회전함으로써, 차광되어 외란광이 인터럽터(45)에 인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릴의 회전 검출]
한 쌍의 돌기(53)는 릴(41)의 회전시에 인터럽터(45)의 상방을 통과한다. 이 때, 커버(46)가 흑색이고 한 쌍의 돌기(53)가 백색이므로, 인터럽터(45)로부터 발사되는 빛의, 한 쌍의 돌기(53)로부터의 반사광량이 커버(46)로부터의 반사광량보다 많아진다. 인터럽터(45)는 반사광을 수광하여 제어 회로에 출력하고, 제어 회로는 인터럽터(45)의 출력 전압의 변화에 의해 릴(41)의 회전을 검출한다.
릴(41)에 와이어(27)가 권취되어 있을 때에는 모터(32)에 회전시키는 전력을 가하면 와이어(27)의 인출에 의해 릴(41)이 회전하므로, 한 쌍의 돌기(53)가 주기적으로 인터럽터(45)의 상방을 통과한다. 이에 의해, 인터럽터(45)는 흑색의 커버(46)의 반사광과 백색의 돌기(53)의 반사광을 검출한다.
그리고, 백색의 돌기(53)로부터의 반사광량이 흑색의 커버(46)로부터의 반사광량보다 많으므로, 인터럽터(45)의 출력 전압은 주기적으로 변화된다. 이 주기적인 변화를 모터(32)가 회전하고 있는 시간 내에 일정 간격으로 검출할 수 있을 때에는, 릴(41)은 회전하고 있는 것이 된다.
또한, 모터(32)가 회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정 시간 내에 인터럽터(45)로부터의 출력 전압에 변화가 없으면, 릴(41)은 회전하고 있지 않는 것이 된다.
따라서, 제어 회로는 모터(32)의 회전과 인터럽터(45)의 출력 전압 변화를 기초로 하여 릴(41)의 회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릴(41)이 백색이 아니라도, 돌기(53)의 정점(53T)의 면이 백색이라도 좋고, 시일 등을 접착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커버(46)가 백색이고, 릴(41)이 흑색이라도 좋다. 또한, 커버(46)와 릴(41)의 색의 차이에 대해서는 센서[인터럽터(45)]에 의해 반사광량의 차이를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의 차이가 있으면 좋고, 흑이나 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피검지 수단을 돌기(53)로 구성하여 돌기(53)의 색채 명도를 바꾸어 반사광량을 커버와 다르게 하였지만, 피검지 수단으로서는 돌기(53)의 표면에 원추형이나 반구형 등, 혹은 단차부 및 홈 등으로 이루어지는 소돌기나 소오목부 등을 복수 형성하거나, 거친 조면 처리를 실시하여 구성해도 좋다.
또는, 피검지 수단의 다른 예로서, 도3의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41)의 바닥부측의 부위에 관통 구멍(53H)을 형성해도 좋지만, 관통 구멍(53H) 대신에 오목부나, 원추형이나 반구형 등 혹은 단차부 및 홈 등으로 이루어지는 소돌기나 소오목부 등을 복수 형성하거나, 거친 조면 처리를 실시하여 구성해도 좋다.
[릴의 다른 구성]
도9, 도10은 다른 실시 형태의 릴을 도시한 것으로, 릴(60)의 플랜지(61)의 중앙부에는 단차부(62)가 형성되고, 단차부(62)의 평면부에는 오목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3)는 총 6군데 형성되어 있고, 6군데의 오목부(63)의 중앙부에는 베어링부(64)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부(64)의 중앙부에는 축 구멍(65)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부(64)의 주위에는 리브(66)가 형성되어 있고, 리브(66)에 의해 오목부(63)가 구획되어 있다. 리브(66)에는 피검출 수단으로서의 돌기(D1 내지 D6)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D1 내지 D6)는 1개마다 돌출량이 다르게 되어 있고, 광센서인 반사형 인터럽터(45)를 6개의 돌기(D1 내지 D6)의 반사광량으로부터 적절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돌기(D1 내지 D6)의 돌출량을 모두 다른 것으로 해도 좋고, 돌출량의 차이가 2종류 이상이면 좋으며, 돌출량의 형태는 다양하다.
즉, 반사형의 인터럽터(45)는, 발광 소자로부터 발사된 빛은 반사체에서 반사되고, 그 반사광이 인터럽터(45)의 수광 소자에 수광되도록, 통상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가 분리되어 동일한 방향을 향해 기판에 설치되어 있지만, 인터럽터(45)와 반사체의 거리가 지나치게 가까우면, 반사체로부터의 반사광이 충분히 수광 소자에 도달하지 않고, 또한 인터럽터(45)와 반사체까지의 거리가 지나치게 멀면 반사체에서 반사된 반사광이 충분히 수광 소자에 도달하지 않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인터럽터(45)와 반사체의 거리는 1 ㎜ 내지 6 ㎜,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5 ㎜가 바람직하다. 그래서, 이 릴(60)에서는 반사체가 되는 돌기(D1 내지 D6)의 높이를 바꾸고 있고, 철근 결속기 장착시의 덜걱거림 등이 있었다고 해도 수광 소자의 적절한 반사광량을 수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11, 도12는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릴(67)을 도시하고, 이 도11, 도12의 릴(67)에 있어서는 인터럽터(45)의 발사광을 반사하는 반사체가 되는 돌기(E1 내지 E6)의 정점부의 반사광량에 관한 면적이 다르다. 물론, 도9, 도10에 도시하는 릴(60)의 돌기(D1 내지 D6)와 조합하여 높이를 다르게 하고, 또한 면적을 다르게 해도 좋다. 그 밖의 구성은, 도9, 도10의 릴(60)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채용한다.
[릴의 카세트 케이스가 없는 경우의 릴의 구성]
도13, 도7은 릴을 수납하는 카세트 케이스가 없는 철근 결속기(70)측의 릴 보유 지지 기구를 도시한다. 이 릴 보유 지지 기구에서는 철근 결속기의 하우징(71)으로부터 한 쌍의 아암(72, 73)이 형성되고, 한 쪽 아암(72)에 릴(74)의 지지축(75)이 부착되어 있다. 지지축(75)의 선단부에는 끼워 맞춤부(76)가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고, 끼워 맞춤부(76)는 스프링(77)에 의해 지지축(75)의 축의 선단부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다른 쪽 아암(73)의 선단부에는 릴(74)을 보유 지지하기 위해 바닥을 갖는 통형 부재(78)가 부착되어 있다. 통형 부재(78)의 바닥부에는 광센서인 반사형 인터럽터(79)가 고정되어 있다. 통형 부재(78)에는 릴(74)의 원통형 주위벽부(80)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끼워 맞춤부(76)에는 릴(74)의 소경 원통 주위벽부(81)가 끼워 넣어진다.
릴(74)의 통부(82)의 양단부에는 플랜지부(83)가 형성되어 통부(82)의 주위에 와이어(84)가 권취되어 있다. 통부(82)의 내부는 구획벽(85)에 의해 차폐되어 있다. 통부(82)의 내부에는 리브(86)가 형성되어 있고, 리브(86)의 상부에 차폐판(87)이 고정되어 있다. 차폐판(87)에는 피검출 수단으로서의 돌기(88 내지 90)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돌기(88 내지 90)의 높이는 모두 다르게 설정되어 있고, 돌기(88 내지 90)의 정점부와 인터럽터(79) 사이의 거리는 다르다. 릴(74)을 한 쌍의 아암(72, 73)에 보유 지지시켰을 때에 광센서(79)와 차폐판(87) 사이의 공간은 빛이 차단되어 릴(74)의 회전시에 돌기(88 내지 90)로부터의 반사광 중 적절한 광량이 인터럽터(79)에 의해 수광되도록 되어 있다.
[그 밖의 검출 수단 및 피검출 수단의 예]
또한, 상술한 인터럽터(45)가 검출하는 피검출 물리량에는 반사광량을 이용하였지만, 피검출 수단의 피검출 물리량으로서 <광량>을 바꾸는 경우, 돌기(D1 내지 D6 혹은 E1 내지 E6)의 정점부를 경사시키거나, 볼록면 거울이나 오목면 거울의 형상으로 하거나, 각 돌기의 정점부에 작은 요철을 다수 형성하는 등의 것도 고려된다. 또한, 피검출 수단으로서 릴(60, 67)의 돌기의 정점부 및 플랜지부 및 그 밖의 측면부에 금속 광택을 갖는 시일이나 인쇄를 한 시일이나 라벨을 접착하는 등의 구성도 고려된다.
또한, 상술한 인터럽터(45)가 검출하는 피검출 물리량에는 반사광량을 이용하였지만, 피검출 수단의 피검출 물리량으로서 반사광을 바꾸는 경우, 특정한 펄스를 검출시키기 위해 특정한 줄무늬 모양 등의 패턴을 마련하여 인터럽터의 출력 파형이 특정한 펄스가 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피검출 수단의 물리량으로서는 유도 전류 및 유도 전압 및 자기 등도 고려된다. 예를 들어, 피검출 수단으로서 릴의 돌기나 플랜지부 등에 코일, 자석, 홀 소자를 설치하거나, 코일 및 자석 및 자기 테이프 등을 구비한 시일을 접착하는 구성으로서, 전자기적인 신호를 발생시켜 철근 결속기측 센서의 출력 파형이 특정한 펄스가 되도록 구성하면, 릴이 회전하고 있는 것이나 릴의 회전수를 카운트하여 와이어의 나머지 사용량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 및 이에 이용되는 릴에 대해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4, 도1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구성을 개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14는 카세트 케이스(40)의 덮개(40A)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고, 도14, 도15는 카세트 케이스(40)의 덮개(40A)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다.
[철근 결속기의 구성]
철근 결속기(20)는, 도14,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속기 본체(21)의 철근(22)을 향하게 되는 전단부의 하부에 철근(22)에 맞대어지는 맞댐판부(23)가 한 쌍 형성되고, 한 쌍의 맞댐판부(23) 사이에 비틀림용 훅부(와이어 파지부)(25)가 배치되어 있다.
비틀림용 훅부(25)는 사이에 와이어(27)를 삽입 관통 가능한 복수의 플레이트(P1, P2, P3)를 구비하고 있다. 플레이트(P1, P2, P3)는 와이어(27)를 사이에 통과시킬 수 있도록 종방향(대기시)을 향하게 되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플레이트(P1, P3)는 중앙부의 플레이트(P2)에 대해 접근 및 이격 가능해진다. 와이어(27)는 플레이트(P2, P3) 사이에 통과되어 철근(22)의 주위를 둘러싼 후에 플레이트(P1, P2) 사이에 통과된다. 비틀림용 훅부(25)는 모터(26)를 회전시킴으로써, 우선 플레이트(P1, P2) 사이에서 와이어(27)의 선단부측을 파지하고, 다음에 플레이트(P2, P3) 사이에서 와이어(27)의 후단부측을 파지하고, 절단 기구(34)로 와이어(27)의 후단부를 절단한 후에 비틀림용 훅부(25)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전달 기구(D1)를 구비하고 있다.
결속기 본체(21)에는, 와이어(27)를 통과하는 와이어 통로(30)는 만곡된 가이드부(31) 내에 구비되고, 와이어 통로(30)는 이 가이드부(31)에 있어서 원호 내측이 개방된 홈이 되어 있다.
철근 결속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트리거(28)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33a)가 온이 되면, 도시하지 않은 와이어 이송용 모터가 회전하여 와이어 이송 기어(33)가 회전된다. 와이어 이송 기어(33)의 회전에 의해 카세트 케이스(40) 내에 수납된 와이어 릴(41)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27)가 가이드부(31) 내의 와이어 통로(30)를 통해 비틀림용 훅부(25)까지 소정량 이송된다. 와이어(27)의 일단부가 와이어 파지부(25)에 도달하면, 와이어(27)가 비틀림용 훅부(25)의 플레이트(P1)의 상단부에 맞대어져 정지되는 동시에, 비틀림용 훅부(25)의 플레이트(P1, P2) 사이에 와이어(27)의 선단부가 파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 후, 와이어 이송 기어(33)를 구동하는 모터를 역회전시켜 철근(22)에 와이어(27)를 밀착시킨 후에 절단 장치(34)로 와이어(27)를 절단한다. 그 때, 와이어(27)의 후단부도 와이어 파지부(25)의 플레이트(P2, P3) 사이에서 파지되어 있고, 와이어 파지부(25)의 플레이트(P1, P2, P3) 사이에 와이어(27)의 양단부가 파지되어 있다.
철근(22)의 주위에 와이어(27)를 권취한 후에, 모터(26)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모터(26)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 파지부(25)가 회전되면 와이어(27)가 비틀어져 철근(22)의 결속이 완료된다. 결속의 완료는 구동 토크의 상승을 검출하여 모터(26)를 정지한다. 카세트 케이스(40)의 덮개(40A)는 힌지(40B)를 거쳐서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부호 R1은 절단 장치(34)의 가동 커터(C1)를 회전하는 로드이고, 로드(R1)는 전달 기구(D1)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구동되는 전달 기구(D2)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후로 이동하고, 고정 커터(C2)의 주위를 가동 커터(C1)가 회전하여 와이어(27)를 절단한다.
도16은 다른 실시 형태로, 와이어(27)를 복수회 권취하여 절단 장치(34)에 의해 절단한 후에 비틀림용 훅부(25)가 모터(26)의 회전에 수반하여 진퇴 기구(29)에 의해 전진하고, 와이어(27)를 파지한 후 비트는 구조로 되어 있다.
결속기 본체(21)의 후단부에는 릴 부착용 베어링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부(35)에는 부착축(36)이 돌출 설치되고, 부착축(36)은 카세트 케이스(40)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부착축(36)은 카세트 케이스(4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카세트 케이스(40)의 내부에는 릴(41)(도1, 도2 참조)이 부착되어 있다. 카세트 케이스(40)에는 와이어(27)를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 케이스(40)의 개구부는 와이어 통로(30)에 면하여 개구되어 있다.
도1 내지 도5는 철근 결속기의 카세트 케이스(40) 및 릴(41)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카세트 케이스(40)는 철근 결속기(20)의 일부를 구성한다. 또한, 카세트 케이스는 착탈 가능하지 않고, 고정식이라도 좋다.
[카세트 케이스]
카세트 케이스(40)는 마모나 굽힘에 대해 내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카세트 케이스(40)의 바닥부(42)에는 베어링부(35)의 부착축(36)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릴 부착축(36)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카세트 케이스(40)의 상부는 릴(41)을 삽입하기 위해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부는 덮개 부재(42A)로 폐쇄된다. 덮개(42A)의 중앙부의 원통형 돌기(P)에는 릴 부착축(36)의 선단부가 끼워 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카세트 케이스(40)의 바닥부(42B)에는 센서 배치 구멍(44)이 개구되어 있고, 센서 배치 구멍(44)의 내부에 반사형의 인터럽터(45)가 수광 수단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부호 45A는 인터럽터(45)가 부착된 단자판이고, 단자판(45A)은 릴 부착축(43)에 부착축(36)이 삽입되도록 릴 부착축(43)보다도 큰 링형의 개구부를 갖고 있다. 단자판(45A)의 편측의 단부는 나사(45B)에 의해 카세트 케이스(40)의 바닥부(42B)에 고정되어 있다. 단자판(45A)에는 전술한 제어 회로에 접속되는 케이블(45C)이 접속되어 있고, 인터럽터(45)에의 급전과 인터럽터(45)의 출력 신호가 제어 회로로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 회로는 인터럽터(45)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해 릴(41)의 회전을 검지하고 있다. 즉, 제어 회로는 모터(32)에 회전시키는 전력이 공급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터럽터(45)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변동이 소정 시간 내에 검지되지 않을 때에는, 릴(41)이 회전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철근 결속기(1)의 측면에 설치된 LED 등을 발광시키는 등에 의해 릴(41)의 와이어(27)가 종료된 것을 조작자에게 알린다.
[커버]
릴 부착축(43)의 베이스부에는 인터럽터(45)의 상방을 덮는 불투명한 커버(46)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커버(46)는 릴(41)과 명도의 차이가 커지도록 흑색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46)의 인터럽터(45)의 상방을 통과하는 위치에는 개구부(47)가 한 쌍 형성되어 있다. 커버(46)의 중앙부의 개구부(48)는 릴 부착축(43)을 삽입하는 개구부이다. 또한, 커버(46)는 릴 부착축(43)에 부착된 정지륜(49)에 의해 상하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도1 참조).
[릴]
도2 내지 도5는 릴(41)의 형상을 도시한다. 릴(41)은 마모나 굽힘에 대해 내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져 반사 수광량이 많아지도록 백색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다. 릴(41)에는 와이어(27)가 권취되어 기어(33)의 회전에 수반하여 와이어(27)가 결속기 본체(21)의 전방 혹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릴(41)은 와이어(27)의 이송 및 되감기에 따라서 정역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릴(41)은 와이어(27)를 권취하여 릴 부착축(43)을 삽입하는 허브(41A)와, 와이어(27)의 좌우 방향에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는 한 쌍의 플랜지(50)를 갖는다.
허브(41A)는 릴 부착축(43)이 삽입되는 내측 통부(51A)와 와이어(27)를 권취하는 외측 통부(51B)를 구비하고 있다. 내측 통부(51A)와 외측 통부(51B)는 중간판부(51C)와 리브(51D)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리브(51D)에 돌기(53)가 피검지 수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내측 통부(51)의 덮개 부재(42B)에 대면하는 단부에는, 도3,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 맞춤 오목부(51E)가 형성되고, 끼워 맞춤 오목부(51E)에 덮개 부재(42B)가 끼워 맞추어진다. 내측 통부(51A)의 내부의 허브 구멍(51)에 릴 부착축(43)이 삽입된다.
플랜지(50)는 최대한 두께가 얇아져 저비용화와 경량화가 도모되어 있다. 한 쪽 플랜지(50)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27)의 권취 개시측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부착 홈(52)이 형성되어 있다.
릴(41)의 카세트 케이스(40)의 바닥부(42)에 대면하는 면에는, 도1,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53A)가 형성되어 있고, 릴 부착축(36)의 정지륜(49)은 오목부(53A)에 위치하고 있다. 오목부(53A)의 바닥부에는 돌기(53)가 한 쌍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돌기(53)는 각각 커버(46)의 개구부(47)에 간극없이 끼워 맞추어지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3A)와 플랜지(50) 사이에는 커버(46)와 접촉하여 빛이 오목부(53A)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두께부(53B)가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세트 케이스(40)의 바닥부(42B)에는 릴(41)의 바닥부측의 플랜지(50)를 지지하는 두께부(42C)가 형성되고, 릴 부착축(36)과 두께부(42C) 사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2D)는 인터럽터(45)와 돌기(53)의 간극을 형성하여 두께부(42C)와 커버(46)가 미끄럼 접촉 회전함으로써, 차광되어 외란광이 인터럽터(45)에 인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릴의 회전 검출]
한 쌍의 돌기(53)는 릴(41)의 회전시에 인터럽터(45)의 상방을 통과한다. 이 때, 커버(46)가 흑색이고 한 쌍의 돌기(53)가 백색이므로, 인터럽터(45)로부터 발사되는 빛의 반사광량이 커버(46)로부터의 반사광량보다 많아진다. 인터럽터(45)는 반사광을 수광하여 제어 회로에 출력하고, 제어 회로는 인터럽터(45)의 출력 전압의 변화에 의해 릴(41)의 회전을 검출한다.
릴(41)에 와이어(27)가 권취되어 있을 때에는 모터(32)에 회전시키는 전력을 가하면 와이어(27)의 인출에 의해 릴(41)이 회전되므로, 한 쌍의 돌기(53)가 주기적으로 인터럽터(45)의 상방을 통과한다. 이에 의해, 인터럽터(45)는 흑색의 커버(46)의 반사광과 백색의 돌기(53)의 반사광을 검출한다.
그리고, 백색의 돌기(53)로부터의 반사광량이 흑색의 커버(46)로부터의 반사광량보다 많으므로, 인터럽터(45)의 출력 전압은 주기적으로 변화된다. 이 주기적인 변화를 모터(32)가 회전하고 있을 시간 내에 일정 간격으로 검출할 수 있을 때에는, 릴(41)은 회전하고 있는 것이 된다.
또한, 모터(32)가 회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정 시간 내에 인터럽터(45)로부터의 출력 전압에 변화가 없으면, 릴(41)은 회전하고 있지 않는 것이 된다.
따라서, 제어 회로는 모터(32)의 회전과 인터럽터(45)의 출력 전압 변화를 기초로 하여 릴(41)의 회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릴(41)이 백색이 아니라도, 돌기(53)의 정점(53T)의 면이 백색이라도 좋고, 시일 등을 접착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커버(46)가 백색이고, 릴(41)이 흑색이라도 좋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피검지 수단을 돌기(53)로 구성하여 돌기(53)의 색채 명도를 바꾸어 반사광량을 커버와 다르게 하였지만, 피검지 수단으로서는 돌기(53)의 표면에 원추형이나 반구형 등 혹은 단차부 및 홈 등으로 이루어지는 소돌기나 소오목부 등을 복수 형성하거나, 거친 조면 처리를 실시하여 구성해도 좋다.
또는, 피검지 수단의 다른 예로서, 도3의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41)의 바닥부측의 부위에 관통 구멍(53H)을 형성해도 좋지만, 관통 구멍(53H) 대신에 오목부나, 원추형이나 반구형 등 혹은 단차부 및 홈 등으로 이루어지는 소돌기나 소오목부 등을 복수 형성하거나, 거친 조면 처리를 실시하여 구성해도 좋다.
[카세트 케이스의 다른 구성]
도17, 도18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철근 결속기의 카세트 케이스(60) 및 릴(61)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카세트 케이스(60)는 철근 결속기(20)의 일부를 구성한다.
[카세트 케이스]
카세트 케이스(60)는 마모나 굽힘에 대해 내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통형의 것으로, 카세트 케이스(60)의 바닥부(62)에는 베어링부(35)의 부착축(36)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릴 부착축(63)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카세트 케이스(40)의 일단부는 릴(61)을 삽입하기 위해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부는 덮개(62A)로 폐쇄된다. 덮개(62A)의 중앙부의 원통형 돌기(P)에는 릴 부착축(63)의 선단부가 끼워 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카세트 케이스(60)의 바닥부(62)에는 센서 배치 구멍(64)이 개구되어 있고, 센서 배치 구멍(64)의 내부에 반사형의 인터럽터(65)가 수광 수단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부호 65A는 인터럽터(65)가 부착된 단자판이고, 단자판(65A)은 릴 부착축(63)에 부착축(36)이 삽입되도록 릴 부착축(63)보다도 큰 링형의 개구부를 갖고 있다. 단자판(65A)은 환형의 돌기(65B)에 위치 결정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나사에 의해 카세트 케이스(60)의 바닥부(62)에 고정되어 있다. 단자판(65A)에는 전술한 제어 회로에 접속되는 케이블(65C)이 접속되어 있고, 인터럽터(65)에의 급전과 인터럽터(65)의 출력 신호가 제어 회로로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 회로는 인터럽터(65)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의해 릴(61)의 회전을 검지하고 있다. 즉, 제어 회로는 모터(32)에 회전시키는 전력이 공급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터럽터(65)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변동이 소정 시간 내에 검지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릴(61)이 회전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철근 결속기(1)의 측면에 설치된 LED 등을 발광시키거나, 경고음을 내는 등에 의해 릴(61)의 와이어(27)가 종료된 것을 조작자에게 알린다.
[커버]
릴 부착축(63)의 베이스부에는 인터럽터(65)의 상방을 덮는 불투명한 커버(66A)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릴 부착축(63)의 베이스부 외주에는 커버(66A)의 높이를 규제하는 링(67A)과 단차부(67B)가 부착되어 있다. 카세트 케이스(60)의 바닥부(62)의 내측에는 환형의 돌기(68)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66A)의 바닥부(62)측의 면에 환형의 돌기(69)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68, 69)는 서로 미끄럼 접촉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어 있고, 인터럽터(65)가 배치되는 공간(S)에 외란광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커버(66A)는 릴(61)과 마찬가지로 흑색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17,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66A)의 인터럽터(65)의 상방을 통과하는 위치에는 대략 인터럽터(65)와 동일한 구경의 원형의 개구부(70)가 한 쌍 형성되어 있다.
[릴]
릴(61)은 마모나 굽힘에 대해 내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져 외란광이 공간(S)에 최대한 인입하지 않도록 흑색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다. 릴(61)에는 와이어(27)가 권취되어 기어(33)의 회전에 수반하여 와이어(27)가 결속기 본체(21)의 전방 혹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릴(61)은 와이어(27)의 이송 및 되감기에 따라서 정역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릴(61)은 와이어(27)를 권취하여 릴 부착축(63)을 삽입하는 허브(61A)와, 와이어(27)의 좌우 방향에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는 한 쌍의 플랜지(71)를 갖는다. 허브(61A)는, 도2, 도3의 릴(50)과 마찬가지로 릴 부착축(63)이 삽입되는 내측 통부(72)와 와이어(27)를 권취하는 외측 통부(61A)를 구비하고 있다. 내측 통부(72)와 외측 통부(61A)는 리브(73)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리브(73)에 원주형의 돌기(74A)가 피검지 수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내측 통부(72)의 돌기(P)에 대면하는 단부에는 끼워 맞춤 오목부(75)가 형성되고, 끼워 맞춤 오목부(75)에 덮개 부재(62B)가 끼워 맞추어진다. 내측 통부(72)에는 릴 부착축(63)이 삽입된다.
플랜지(71)는 최대한 두께가 얇아져 저비용화와 경량화가 도모되어 있다. 한 쪽 플랜지(71)에는 와이어(27)의 권취 개시측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부착 홈(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릴(61)의 카세트 케이스(60)의 바닥부(62)에 대면하는 면에는 오목부(76)가 형성되어 있어 플랜지(71)의 회전 저항을 낮게 하고 있다. 오목부(76)의 내측 모서리부 및 외측 모서리부는 커버(66A)와 접촉하고 있고, 개구부(70)의 간극을 통해 공간(S)에 최대한 외란광이 인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플랜지(71)의 일부는 공간(S)에 외란광이 인입하지 않도록 커버(66A)와 미끄럼 접촉하지만, 릴(61)의 회전시에 확실하게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인터럽터(65)의 빛을 반사하는 돌기(74A)는 개구부(70)에 끼워 맞추는 원통 형상이 되어 있다.
도17의 돌기(74A)는 인터럽터(65)에 접근하고, 도18의 돌기(74B)는 인터럽터(65)로부터 떨어져 형성된다. 도17의 돌기(74A)는 인터럽터(65)에 접근시키고, 커버(66A)를 인터럽터(65)로부터 분리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돌기(74A)가 반사한 빛의 수광량은 돌기(74A) 주변의 커버(66A)가 반사한 빛의 수광량보다 낮아지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릴측면인 플랜지(71)에, 인터럽터(65)의 수광 소자를 덮는 커버(66A)(커버 부재)가 착탈 가능해지고, 플랜지(71)에 인터럽터(65)의 수광 소자(수광 수단)에 반사광을 반사시키는 피검지 수단인 돌기(74A)가 형성된다. 한편, 커버(66A)는 돌기(74A)를 인터럽터(65)에 면하게 하는 개구부(70)를 갖는다. 또한, 커버(66A)는 착탈 가능하지 않아도 좋다.
릴(61)의 회전시에 인터럽터(65)의 발광 소자로부터의 사출광을 돌기(74A)에서 반사시켜 인터럽터(65)의 수광 소자에 수광시키는 수광량에 관하여, 돌기(74A)(피검지 수단)와 커버(66A)(커버 부재) 중 어느 한 쪽은 수광 소자에 의한 광검출을 유효로 하는 부위가 되고, 돌기(74A)와 커버(66A) 중 다른 쪽은 수광 소자에 의한 광검출을 무효 또는 적은 수광량으로 하는 부위가 되어 있다.
돌기(74A)와 커버(66A) 중 어느 한 쪽이 수광 소자에 의한 광검출을 유효로 하고, 다른 쪽이 수광 소자에 의한 광검출이 불가능할 정도로 광검출을 무효 또는 적은 수광량으로 하므로, 돌기(74A)(피검지 수단)로부터 수광 소자까지의 거리와, 커버(66A)로부터 수광 소자까지의 거리가 다르다.
또한, 도19의 (a) 내지 (f) 및 도20의 (a), (b)에 의해 반사형 인터럽터의 일반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도19의 (a) 내지 (f)는 반사형 인터럽터(Int)와 반사재(알루미늄)(Ref)와의 이격 거리(d)의 원근의 상이에 의해, 수광 소자(포토 트랜지스터)(Pt)에 도달하는 반사광의 수광량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19의 (a) 내지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럽터(Int)의 수광 소자(Pt)가 수광하는 수광량은 인터럽터(Int)의 발광 소자(포토다이오드)(Pd)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광축 및 반사재의 방향 및 인터럽터(Int)와 반사재(Ref)의 이격 거리(d)에 의해 변동된다. 도19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 소자(Pd)가 조사하는 빛의 발광 강도가 소정치 이상의 영역(A1)을 발광 상대 강도 100 %로 하고, 이 발광 상대 강도 100 %에 대해 75 %의 영역(A2)은 광축의 전방에 분포한다. 또한, A1은 발광 상대 강도 100 %의 곡선, A2는 발광 상대 강도 75 %의 곡선, S°는 광축의 어긋남이다.
도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럽터(Int)와 반사재(Ref)와의 이격 거리(d)가 짧으면, 인터럽터(Int)의 수광 소자(Pt)에 있어서 반사광의 수광량이 현저히 저하되고, 인터럽터(Int)의 출력은 도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 상대 강도 75 %의 영역(A2)에 수광 소자가 들어가지 않게 되어 수광량이 현저하고 낮은 것이 된다.
도19의 (b)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광 소자(Pt)가 발광 상대 강도 75 %에서 온이 되는 것이고, 인터럽터(Int)의 수광 소자(Pt)는 발광 상대 강도 75 %의 영역(A2)에 포함되면 인터럽터(Int)의 수광 소자(Pt)가 온 상태가 된다.
또한, 도19의 (e)와 같이 반사재(Ref)가 인터럽터(Int)로부터 지나치게 떨어지면, 수광 소자(Pt)는 발광 상대 강도 75 %의 영역(A2)의 외측에 위치하므로 수광량이 부족하여 인터럽터(Int)는 온이 되지 않게 된다.
도20의 (a), (b)는 반사형 인터럽터의 수광 소자(Pt)로부터 반사재(Ref)까지의 이격 거리(d)와, 수광 소자(Pt)가 수광하였을 때에 출력하는 출력 전류의 상대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다. 이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럽터(Int)와 반사재(Ref)까지의 이격 거리(d)가 1.5 ㎜ 내지 4.5 ㎜의 범위인 경우에는 수광 소자(Pt)가 발생하는 콜렉터 전류가 최대 수광량의 콜렉터 전류의 80 % 이상이 된다. 또한, 도20의 (a)는 거리와 상대적 콜렉터 전류의 대응표로, 종축은 콜렉터 전류, 횡축은 거리(d)(㎜)를 나타낸다. 또한, 도20의 (b)는 IF = 20 ㎃, Vce = 5 V, Ta = 25 ℃의 조건으로 행해진 것이다.
본건 실시 형태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돌기(74A)가 인터럽터(65)의 하부에 위치할 때, 돌기(74A)와 인터럽터(65)의 거리가 지나치게 가깝기 때문에, 인터럽터(65)의 출력 전압은 오프(OFF) 혹은 L레벨이 된다. 돌기(74A)가 인터럽터(65)의 하부를 통과하여 커버(66A)가 인터럽터(65)의 빛을 받을 때, 커버(66A)와 인터럽터(65)의 거리가 적절하므로, 인터럽터(65)가 검출하는 커버(66B)의 반사광의 수광량은 적절한 것이 되어 인터럽터(65)의 출력은 온 혹은 H레벨이 된다.
한편, 도18의 돌기(74B)의 정점부는 인터럽터(65)가 적절한 출력 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인터럽터(65)로부터 멀어지고, 커버(66B)는 인터럽터(65)로부터의 사출광의 반사광이 인터럽터(65)의 수광 소자에 충분히 도달하지 않도록 인터럽터(65)에 접근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돌기(74B)의 정점부가 인터럽터(65)로부터의 사출광을 반사하는 빛의 수광량은 돌기(74B) 주변의 커버(66B)가 반사한 빛의 수광량보다 많아져 있다.
따라서, 돌기(74B)가 인터럽터(65)에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할 때, 인터럽터(65)의 수광량이 많으므로, 인터럽터(65)의 광검출에 의한 출력은 온 혹은 H레벨이 된다. 커버(66B)가 인터럽터(65)의 발광 소자의 하방에 위치하면, 인터럽터(65)에 대해 커버(66B)가 지나치게 접근하고 있으므로, 인터럽터(65)는 커버(66B) 반사광의 수광량이 0과 동등하거나, 임계치보다 낮으므로, 인터럽터(65)의 출력은 오프 혹은 L레벨이 된다.
도18의 카세트 케이스(60) 및 릴(61)에서는 커버(66B)의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으므로, 커버(66B)에는 돌기(68)를 삽입하는 홈(68A)이 형성되어 있고, 카세트 케이스(60)의 바닥부(62)에는 도17에 도시하는 단차부(67B)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17, 도18에 있어서 카세트 케이스(60)에는 덮개부(62A)가 축(60B)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17, 도18의 카세트 케이스(60) 및 릴(6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74A, 74B)와 커버(66A, 66B) 반사광의 수광량을 다르게 하고 있으므로, 커버(66A, 66B)에 빛이 닿아 있을 때와, 돌기(74A, 74B)에 빛이 닿아 있을 때에는 인터럽터(65)의 출력 신호가 변화되어, 대략 주기적인 수직 상승 혹은 급하강의 펄스를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릴(61)의 회전 및 회전수를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와이어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릴과 커버(66A, 66B)의 색을 바꿀 필요가 없다.
여기서, 릴의 회전수와 와이어의 이송량은 와이어의 굵기에 따라서 대응하고 있고, 표 혹은 계산식으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므로, 릴의 플랜지 등에 릴의 굵기나 와이어의 굵기 및 권취량을 기록한 바코드 등을 표시하여 철근 결속기에 마이크로 컴퓨터 및 릴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바코드 리코더를 설치하고, 마이크로 컴퓨터의 메모리에 릴의 와이어를 권취하는 상자 부재의 구경이나 와이어의 굵기를 기억시키는 한편, 릴을 철근 결속기에 부착하였을 때에 릴의 바코드를 바코드 리코더로 판독하는 동시에, 이전 릴의 와이어의 사용량을 리세트하고, 와이어의 사용에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와이어의 굵기 및 릴 구경과 릴의 회전수로부터 와이어의 잔량을 산출하여 철근 결속기의 LCD 등에 와이어의 잔량이나 상태를 표시하거나, 음성에 의해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66A, 66B)가 설치되어 있지만, 인터럽터(65)와 돌기(74A, 74B)의 공간(S)이, 외란광이 들어가지 않도록 차폐되어 있는 것이면, 커버(66A, 66B)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이 경우, 공간(S)에 있어서 외란광이 들어갈 수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카세트 케이스(60) 바닥부(62)의 돌기(68)의 돌출량을 증대시키고, 플랜지(71)의 돌기(74A, 74B)의 회전 궤적의 외측이며 돌기(68)의 내측 또는 외측에 플랜지(71)와 동심 원형의 벽부를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이 동심 원형의 벽부와 돌기(68)를 미끄럼 접촉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공간(S)의 차광성을 확보할 수 있다.
카세트 케이스와 릴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21 내지 도35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카세트 케이스(70)는 마모나 굽힘에 대해 내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에 의해 형성되고, 도21,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71)와 바닥부(71) 주위에 형성된 주위벽(90)으로 이루어진다.
바닥부(71)는 제1 바닥부(72)와, 제1 바닥부(72)의 직선형의 연접부(73)에 연접된 제2 바닥부(75)로 이루어진다. 제1 바닥부(72)는 대략 원형의 베이스부(76)와, 베이스부(76)의 주연으로부터 연접부(73)로 신장하는 직선 모서리에 의해 둘러싸이는 다이형부(77)로 이루어진다. 제2 바닥부(75)는 대략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바닥부(72)의 베이스부(76)의 대략 중심에는 베어링부(35)의 부착축(36)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통형의 릴 부착축(79)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바닥부(72)의 베이스부(76)에는 릴 부착축(79)을 중심으로 한 후술되는 소형 플랜지(152)를 수납하는 제1 수납 오목부(80)와, 후술되는 커버 플레이트(132)를 수납하는 제2 수납 오목부(8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바닥부(72)의 주위에는 테이퍼(82)가 형성되어 테이퍼(82)에 의해 후술되는 와이어 릴(150)의 소형 플랜지(152)가 제1 수납 오목부(80) 내에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릴 부착축(79)의 상단부에는 반원형의 삽입 구멍(83)이 형성된 계지벽(8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바닥부(72)이며, 제2 수납 오목부(81) 내에는 투과 구멍(86)이 형성되고, 투과 구멍(86) 내에 광센서(87)가 설치되어 있다.
주위벽(90)은 제1 바닥부(72)에 설치된 제1 주위벽(91)과, 제2 바닥부(75)에 설치된 제2 주위벽(95)으로 이루어지는 제1 주위벽(91)은 베이스부(76)의 주연에 형성된 환형의 원주벽(92)과, 다이형부(77)의 양 직선 모서리에 형성된 제1 측벽(93)과 제2 측벽(94)으로 이루어지는 제2 주위벽(95)은 제2 바닥부(75)의 일단부 모서리에 직선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접부(73)에는 제1 바닥부(72)와 제2 바닥부(75)를 대략 절반 구획하는 구획벽(96)이 설치되어 있다. 원주벽(92) 및 제1, 제2 측벽(93, 94)의 상단부에는 안내 돌기(단차부)(92a, 93a, 94a)가 형성되어 있다. 원주벽(92)의 안내 돌기(단차부)(92a)에는 걸림 오목부(92b, 92c)가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 케이스(70)는 원주벽(92)에 아암(97)이 설치되고, 아암(97)에 회전 정지 구멍(97a)이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 케이스(70)는 부착축(36)에 장착하고, 볼트를 회전 정지 구멍(97a)에 삽입 관통하여 결속기 본체(21)의 일측에 나사 부착함으로써 결속기 본체(21)에 고정하여 부착된다. 또한, 카세트 케이스(70)는 제1 측벽(93)에 한 쌍의 베어링 돌기(98, 98)가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 케이스(70)는 와이어 릴(150)을 삽입할 수 있는 개구부(99)가 형성되고, 또한 이 개구부(99)를 막는 덮개 부재(100)가 힌지 연결되어 있다. 덮개 부재(100)는 카세트 케이스(70)와 같은 소재에 의해 형성되고, 도23,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덮개부(101)와, 제2 덮개부(105)로 이루어진다. 제1 덮개부(101)는 대략 원형의 베이스부(102)와 다이형부(103)로 이루어진다. 제2 덮개부(105)는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102)의 주연에는 상기 원주벽(92)의 걸림 오목부(92b, 92c)에 결합하는 결합 볼록부(102b, 10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덮개부(105)의 후술되는 힌지 연결부와는 반대측의 단부 모서리에 측벽(10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덮개부(101)의 베이스부(102)의 대략 중심에는 가이드 구멍(106)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102)의 표면에는 가이드 구멍(106)의 대략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오목부(10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102)의 표면에는 가이드 구멍(106)의 대략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환형의 가이드 돌기(109)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부(102)의 내면에는 가이드 구멍(106)의 대략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 돌기(110)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부(102)의 내면에는 후술되는 와이어 릴(150)의 대형 플랜지(153)의 외주연 근방을 미끄럼 접촉하여 와이어 릴(150)을 안내하는 환형의 안내 돌기(10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102)에는 대략 U자형으로 절결되어 형성된 스토퍼 부재(102a)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환형의 가이드 돌기(109)에는 도13에 도시하는 링형의 조절 환형 부재(121)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덮개 부재(100)의 오목부(107)에는 로크 수단(120)이 마련되어 있다. 로크 수단(120)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회전부(111)와, 회전부(111)의 양단부에 설치된 손가락 걸이 아암(112, 113)과, 회전부(111)의 대략 중심에 형성된 원통형의 계지축(115)으로 이루어진다. 계지축(115)은 절반 분할형으로 형성되어 한 쪽 절반 부재(116)가 다른 쪽 절반 부재(117)보다 길게 되어 있다. 절반 부재(116, 117)의 하부에는 계지 돌기(116a, 117a)가 형성되어 있다. 한 쪽 절반 부재(116)의 더욱 하부에는 계지 홈(119)이 형성되어 있다. 손가락 걸이 아암(113)의 이면에는 제1 걸림 오목부(123)와 제2 걸림 오목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 수단(120)은, 도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축(115)이 덮개 부재(100)의 가이드 구멍(106)에 삽입 관통되고, 계지축(115)에 형성된 계지 돌기(116a, 117a)가 베이스부(102)의 내면에 계지되고, 덮개 부재(100)의 오목부(107) 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로크 수단(120)은 조절 환형 부재(121)에 접촉하여 조절 환형 부재(121)와 나사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로크 수단(120)은 한 쪽 손가락 걸이 아암(113)의 제1 걸림 오목부(123) 또는 제2 걸림 오목부(125)에 상기 덮개 부재(100)의 스토퍼 부재(102a)가 계지되어 위치 결정된다.
또한, 조절 환형 부재(121)는,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가 다른 제1 내지 제4 부착부(121a 내지 121d)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착부(121a)로부터 차례로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고, 제4 부착부(121d)의 두께가 가장 두껍게 되어 있다. 제1 내지 제4 부착부(121a 내지 121d)는 대향하여 한 쌍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부착부(121a 내지 121d)에는 제1 내지 제4 나사 구멍(122a 내지 122d)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조절 환형 부재(121)가 연결되는 로크 수단(120)은 회전부(111)의 이면 양측에 돌출된 다이 형상의 접촉부(118, 118)가 형성되고, 이 접촉부(118, 118)에 나사 통과 구멍(114, 114)이 마련되어 있다. 로크 수단(120)은 접촉부(118, 118)를 조절 환형 부재(121)의 가장 두께가 얇은 제1 부착부(121a, 121a)에 접합하고, 나사를 나사 통과 구멍(114, 114)을 통해 제1 나사 구멍(122a, 122a)에 나사 삽입함으로써, 계지축(115)이 조절 환형 부재(121)로부터 가장 길게 돌출된다. 마찬가지로, 로크 수단(120)은 접촉부(118, 118)를 조절 환형 부재(121)의 가장 두께가 두꺼운 제4 부착부(121d, 121d)에 접합하고, 나사를 나사 통과 구멍(114, 114)을 통해 제4 나사 구멍(122d, 122d)에 나사 삽입함으로써 계지축(115)이 조절 환형 부재(121)로부터 가장 짧게 돌출된다. 이와 같이, 로크 수단(120)은 조절 환형 부재(121)에 의해 계지축(115)의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덮개 부재(100)는 다이형부(103)의 한 쪽 측모서리(126)에 한 쌍의 베어링 돌기(128, 128)가 형성되고, 이 한 쌍의 베어링 돌기(128, 128)가 상기 카세트 케이스(70)의 베어링 돌기(98, 98) 사이에 삽입되고, 지지축(130)이 한 쌍의 베어링 돌기(128, 128) 및 한 쌍의 베어링 돌기(98, 98)에 삽입되어 있고, 이 지지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카세트 케이스(70)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130)에는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형의 탄성 부재가 권취 장착되어 있고, 이 탄성 부재에 의해 덮개 부재(100)는 개방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카세트 케이스(70)의 제2 수납 오목부(81) 내에는 커버 플레이트(132)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132)는,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형으로 형성되고, 등간격으로 6군데에 걸림 오목부(133 내지 138)가 형성되고, 그 6개의 걸림 오목부(133 내지 138) 중 임의의 대향하는 걸림 오목부(133, 136)가 투과 구멍이 되어 있다. 걸림 오목부(133 내지 138)는 상기 광센서(87) 상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걸림 오목부(133 내지 138)를 향해 경사면(133a 내지 138a)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 플레이트(132)의 일단부 외주연에는 제2 수납 오목부(81) 주연에 계지되는 플랜지(13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 플레이트(132)는 걸림 오목부(133 내지 138)가 덮개 부재(100)측을 향하도록 하여 제2 수납 오목부(81) 내에 수납되고, 릴 부착축(79)에 형성된 환형 홈(78)에 끼움 부착된 스냅 링 등의 탄성 링(140)에 의해 릴 부착축(79)의 축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다음에 와이어 릴(150)을 도28 내지 도34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28은 와이어 릴(150)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와이어 릴(150)은 ABS 수지 및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와이어(27)를 권취하는 허브부(151)의 양측에 한 쌍의 플랜지(152, 153)가 형성되어 있다. 허브부(15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플랜지(152, 153)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허브부(15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다각 형상이라도 좋다.
한 쌍의 플랜지(152, 153)는 직경이 다른 원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직경이 작은 플랜지(152)의 허브부(151) 주위면으로부터 외주연부까지의 높이는 미사용 상태에 있는 와이어(27)를 권취한 높이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직경이 큰 플랜지(153)의 높이는 미사용 상태의 와이어(27)의 권취 종료단부(27E)가 권취된 상태로부터 현저히 구부리지 않은 상태에서 보유 지지 가능한 높이를 갖고 있다. 이 와이어 릴(150)은 한 쌍의 플랜지(152, 153)의 직경이 다른 것에 의해, 철근 결속기(20)에 장착하는 경우에 와이어(27)의 장착 방법을 확인하기 쉽게 되어 있다.
허브부(151)의 중앙부에는 철근 결속기(20)의 릴 부착축(79)이 삽입되는 장착 구멍(155)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구멍(155)의 탈형 구배에 의해 대경이 된 모서리부는 플랜지(152)보다 1단 낮은 평면(156)을 형성하고 있고, 이 평면(156)에 6군데의 돌기(157)가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돌기(157)끼리의 사이에는 플랜지(152)와 동심 원형의 내벽면(158, 159)을 구비한 오목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오목부(160)끼리의 사이의 벽부(161) 상에 돌기(157)가 형성되어 있다. 허브부(151)의 다른 쪽 면에는 돌기(157)를 삽입하는 오목부(162)가 6군데 형성되어 있다.
6개의 돌기(157) 및 오목부(162)는 전체의 배치 형상이 대략 육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162)의 외주연부측의 내벽면(163)은 장착 구멍(155)과 동심 원형의 원호를 형성하고 있고, 6개의 돌기(157)의 플랜지(153)의 외주연부 근방의 주면부(165)가 내벽면(163)에 마찰 저항을 갖는 상태에서 끼워 넣어짐으로써, 6개의 돌기(157)와 6군데의 오목부(162)가 서로 결합한 상태가 생긴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27)를 권취하는 허브부(151)에 권취된 와이어(27)의 굵기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한 쌍의 플랜지(152, 153)가 허브부(151)로부터 수직 상승하고 있고, 허브부(151)의 한 쪽 측면부(156), 또는 허브부(151)의 다른 쪽 측면부(166)에 결합 수단으로서의 돌기(157)와 오목부(160)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서로 결합 가능해진다.
이 결합 수단은, 일예로서 각각 6군데의 돌기(157)와 오목부(160)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돌기(157)와 오목부(160)는 적어도 2개, 혹은 3개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돌기(157) 대신에 허브부(151)에 동심 원형으로 연장되는 원호 형상의 볼록부를 형성하여 오목부(160)가 이 원호형의 볼록부가 끼워 넣어지는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결합 수단은 한 쪽이 소경이고 다른 쪽이 대경인 서로 결합 가능한 복수개의 원호형의 볼록부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도30에 있어서 돌기(157)는 가늘게 그려져 있지만, 도28의 와이어 릴(150)의 Ⅲ-Ⅲ선을 따른 단면도이므로, 도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160, 162)는 각각 탈형 구배에 의해 개구부가 넓게 되어 있다. 장착 구멍(155)의 플랜지(153)측의 모서리부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릴(150)이 누락되지 않도록 장착할 때의 너트나 고정 링을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29,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브부(151)의 장착 구멍(155)의 근변에는 와이어 릴(150)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원통형의 구멍(168)이 형성되어 있다. 철근 결속기(20)의 구멍(168)의 회전 영역에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가 배치되고, 이 양 소자 사이를 구멍(168)이 통과함으로써 와이어 릴(150)의 회전 상태가 판별되도록 해도 좋다. 플랜지(152, 153)의 외주연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대략 부채형의 모양은 바닥이 얕은 오목부(169, 170)를 도시하고 있고, 플랜지(152, 153)를 박육화하고 있다.
도29는 대경의 플랜지(153)의 형상을 도시한다. 플랜지(153)의 외주연부에는 허브부(151)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삽입 관통 개구부(171)가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 삽입 관통 개구부(171)의 와이어(27)의 권취 종료단부(27E)[도29의 (b) 참조]의 위치로 하는 높이에는, 허브부(151)의 주위에 권취된 와이어(27)가 연장되는 방향에 맞추어 연장되는 안내 개구부(172)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개구부(172)에는 와이어(27)를 협지하는 협지부(173)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협지부(173)의 돌기 부분이 와이어(27)의 권취 종료단부(27E)를 끼움 부착하여 보유 지지하고 있다.
또한, 안내 개구부(172)로부터 외주연부측으로 연장되는 홈(174)이 형성되어 있다. 홈(174)으로부터 외주 부분(175)은 가요성을 갖고 있고, 와이어 삽입 관통 개구부(171)의 다른 쪽 모서리에는 절결부(176)가 형성되어 있다. 홈(174)의 외주 부분(175)은 와이어(27)가 플랜지(153)의 외측으로 유도되므로, 외주 부분(175)에는 와이어(27)로부터 플랜지(153)의 내측에 절곡되고자 하는 힘이 가해지지만, 외주 부분(175)이 가요성을 가지므로, 그 탄성력에 의해 와이어(27)의 권취 종료단부(27E)를 홈(174)에 위치시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17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와이어(27)의 종료단부(27E)의 절곡이 없거나 혹은 매우 적다. 또한, 홈(174)의 내부에 보유 지지되므로, 와이어(27)의 권취 종료단부(27E)는 와이어(27)가 권취된 높이에 있어서 릴의 반경 방향으로 절곡되는 일 없이 협지부(173)의 모서리부에 보유 지지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27)의 권취 종료단부(27E)가 절곡되지 않으므로, 와이어용 결속기의 와이어 안내 기구에 와이어(27)를 통과시키는 경우에, 협지부(173) 및 와이어 삽입 관통 개구부(171)로부터 와이어(27)의 권취 종료단부(27E)를 제거하고, 그 상태에서 와이어(27)의 권취 종료단부(27E)를 와이어 결속기의 와이어 안내 기구에 통과시킬 수 있어 굽힘을 고치는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와이어 삽입 관통 개구부(171)는 와이어(27)의 권취 개시단부(27)(S)를 허브부(151)의 선단부 삽입부로서의 오목부(177)[도29의 (c), (d) 참조]에 삽입한 후에, 허브부(151)를 걸쳐서 플랜지(152, 153) 사이의 허브부(151)의 원주면으로 안내하는 경우에도 이용된다. 권취 개시단부(27)(S)를 삽입하는 오목부(177)는 허브부(151)의 플랜지(153)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고, 권취 개시단부(27)(S)를 지지하는 지지 벽면(179)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허브부(151)의 측부에는 권취 개시단부(27)(S)를 삽입하여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오목부(180)가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27)를 권취할 때에는 선단부 삽입부(177)에 와이어(27)의 권취 개시단부(27)(S)를 삽입하여 허브부(151)의 측벽부에 설치한 규제 오목부(180)를 통해 플랜지(152, 153) 사이에 권취 개시단부(27)(S)를 절곡하고, 이 상태에서 허브부(151)의 원주면에 권취를 개시한다. 이에 의해, 와이어(27)에 권취 방향의 힘(F)이 강하게 작용해도 그 인장력(F)을 와이어 삽입 관통 개구부(171)의 모서리부에서 받칠 수 있다.
게다가, 와이어(27)의 권취 개시단부(27)(S)는 규제 오목부(180)의 근방에 있어서, 플랜지(152)에 평행한 방향(X 방향)인 상태로부터 플랜지(153)로 직각 방향(Y 방향), 규제 오목부(180)가 연장되는 방향(Z 방향), 또한 X 방향으로, 플랜지(153)의 두께 및 허브부(151)의 두께가 짧은 거리에서 90도씩 반복하여 절곡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을 직선으로 늘리고자 하는 힘은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오목부(177)가 지지 벽면(179)에 의해 삽입된 부분을 지지하므로, 인장력(F)을 지지하는 부위가 많아져 와이어 결속기가 와이어(27)를 인장하는 힘으로는 간단하게 빠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철근 결속기(20)에 있어서 릴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반복하여 회전해도 규제 오목부(180)에 의해 와이어(27)의 권취 개시단부(27)(S)가 릴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므로, 와이어(27)의 권취 개시단부(27)(S)가 삽입부로부터 서서히 헐겁게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철근 결속기(20)에 의한 철근 결속 작업 중에 릴의 와이어(27)가 얼마 남지 않게 된 경우라도 권취 개시단부(27)(S)의 절곡된 부분이 릴로부터 빠져 와이어 결속기의 와이어 안내 기구에 막히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 인해, 철근 결속 작업에 있어서, 와이어(27)의 막힘에 의한 작업의 정체라는 사태가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와이어 릴(150)의 대향하는 돌기(157A, 157B)는 높이가 다르게 되어 있다. 즉, 돌기(157)는 높은 돌기(157A)와 낮은 돌기(157B)를 교대로 배치하고 있다. 돌기(157A, 157B)의 상단부에는 완만하게 만곡된 오목부(157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릴(150)은, 도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 케이스(70)의 릴 부착축(79)을 장착 구멍(155)에 삽입하도록 하여 소형 플랜지(152)로부터 카세트 케이스(70) 내에 수납된다. 돌기(157)가 커버 플레이트(132)의 걸림 오목부(133 내지 138)에 계지된다.
걸림 오목부(133, 136)에 계지된 돌기(157)는 높은 돌기(157A)와 낮은 돌기(157B)가 대향하고 있고, 걸림 오목부(133, 136)가 투과 구멍이 되어 있으므로, 광센서(87)가 높은 돌기(157A)와 낮은 돌기(157B)를 검지할 수 있다. 광센서(87)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로 이루어져 상기한 바와 같이 돌기(157)의 상단부가 만곡된 오목부(157C)로 되어 있으므로, 발광 소자에 의해 발광된 빛이 수광 소자로 모여 확실하게 돌기(157)를 검지할 수 있다.
소형 플랜지(152)는 제1 수납 오목부(80) 내에 끼워 맞추어 수납된다. 소형 플랜지(152)의 외주와 제1 수납 오목부(80)의 내주의 간극은 와이어(27)의 직경보다 좁게 되어 있고, 와이어(27)가 이 간극으로부터 제거되는 일은 없다. 대형 플랜지(153)는 이 외경이 카세트 케이스(70)의 원주벽(9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카세트 케이스(70) 내에 수납되지 않고 원주벽(92)의 상단부에 미끄럼 접촉한다.
덮개 부재(100)는 지지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탄성 부재(131)의 탄성에 대항하여 폐쇄되면, 원통형 돌기(110)가 카세트 케이스(70)의 릴 부착축(79)의 선단부를 끼워 맞추어 와이어 릴(150)의 허브부(151)에 형성된 끼워 맞춤 오목부(154)에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로크 수단(120)의 계지축(115)의 한 쪽 절반 부재(116)가 릴 부착축(79)의 삽입 구멍(83)에 삽입되게 되어 손가락 걸이 아암(112, 113)에 손가락을 걸어 회전부(111)를 회전하고, 제2 걸림 오목부(125)에 덮개 부재(100)의 스토퍼 부재(102a)를 계지시키면, 한 쪽 절반 부재(116)의 계지 홈(119)이 릴 부착축(79)의 계지벽(85)에 계지되어 덮개 부재(100)가 카세트 케이스(70)에 로크된다.
또한, 회전부(111)를 회전하여 제1 걸림 오목부(123)에 덮개 부재(100)의 스토퍼 부재(102a)를 계지시키면, 한 쪽 절반 부재(116)의 계지 홈(119)이 릴 부착축(79)의 계지벽(85)으로부터 제거되어 덮개 부재(100)가 탄성 부재(131)의 탄성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방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00)가 카세트 케이스(70)에 로크되면, 제1 덮개부(101)의 안내 돌기(108)가 와이어 릴(150)의 대형 플랜지(153)의 외주연 근방의 측면을 미끄럼 접촉하여 와이어 릴(150)의 허브부(151)의 축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로크 수단(120)은 조절 환형 부재(121)에 의해 계지축(115)의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00)의 안내 돌기(108)와 카세트 케이스(70)의 원주벽(92)의 상단부와의 사이의 거리(a)를 바꿀 수 있다. 로크 수단(120)의 계지축(115)의 돌출되는 길이를 길게 하면 상기 거리(a)는 확대되고, 계지축(115)의 돌출되는 길이를 짧게 하면 상기 거리(a)는 좁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절 환형 부재(121)의 두께가 제1 부착부(121a) 내지 제4 부착부(121d)의 4종류이므로, 상기 거리(a)를 4단계로 조절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4단계 이상이라도 4단계 이하라도 상관없다.
와이어 릴(150)의 대형 플랜지(153)는, 도22,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100)의 안내 돌기(108)와 카세트 케이스(70)의 원주벽(92)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안내 돌기(108)와 원주벽(92)의 상단부에 협지된다. 와이어 릴(150)이 적절하게 회전하기 위해서는, 덮개 부재(100)에 의한 소정 범위 내의 가압력에 의해 대형 플랜지(153)가 압박될 필요가 있다.
이 대형 플랜지(153)가 받는 가압력은 거리(a)에 따라서 다르고, 거리(a)가 좁으면 커지고, 거리(a)가 넓으면 작아진다. 가압력이 크면, 대형 플랜지(153)가 받는 저항이 커져 와이어 릴(150)이 회전하기 어려워진다. 가압력이 작으면, 거리(a)의 범위 내에서 대형 플랜지(153)가 덜걱거려 대형 플랜지(153)와 원주벽(92)의 상단부의 간극이 생기고, 이 간극에 와이어(27)가 협지되거나, 이 간극으로부터 와이어(27)가 제거되게 되어 와이어 릴(150)을 적절하게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거리(a)에 따라서, 가압력이 변동되어 이 가압력이 적절하지 않으면, 와이어(27)의 이송 및 되감기 불량 등의 오동작이 생기게 된다. 이 거리(a)는 카세트 케이스(70)에 덮개 부재(100)를 폐쇄하여 로크 수단(120)에 의해 덮개 부재(100)를 로크하였을 때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으로, 본래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각 부품의 제조 공차에 의해 조립하였을 때 일정하지 않은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두께가 다른 제1 내지 제4 부착부(121a 내지 121d)를 갖는 조절 환형 부재(121)를 로크 수단(120)에 설치하고, 이 조절 환형 부재(121)를 회전시켜 로크 수단(120)을 조절 환형 부재(121)의 제1 내지 제4 부착부(121a 내지 121d) 내의 적절한 부착부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계지축(115)의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거리(a)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각 부품의 제조 공차를 기초로 하는 부적절한 거리(a)라도 적절한 거리(a)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로 인해, 덮개 부재(100)의 와이어 릴(150)에 대한 가압력을 적절한 것으로 조정할 수 있는 등, 상기한 소정 범위 내의 가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조절 환형 부재(121)를 회전시킴으로써 거리(a)는 변동되지만, 카세트 케이스(70)의 결합 오목부(92c, 92b)와 덮개 부재(100)의 결합 볼록부(102c, 102b)의 결합에 의해 덮개 부재(100)가 카세트 케이스(70)에 대해 일정 이상 체결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카세트 케이스(70)와 덮개 부재(100)와 로크 수단(120)의 제조 공차를 기초로 하는 적절한 거리(a)가 아닌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와이어 릴(150)의 폭의 변동에 대해서도 거리(a)를 조절함으로써 이 폭의 변동을 흡수할 수 있고, 소정 범위 내의 가압력을 확보하여 와이어 릴(150)의 이송 및 되감기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로크 장치는 본체[카세트 케이스(7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 부재[덮개 부재(100)]에 부착되어 로크 수단(120)과 조절 환형 부재(121)로 이루어지고, 로크 수단(120)은 회전부(111)와, 회전부(111)에 형성된 계지축(115)을 갖고, 조절 환형 부재(121)는 계지축(115)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두께가 다른 복수의 부착부(121a 내지 121d)를 갖고, 이 부착부(121a 내지 121d)에 로크 수단(120)이 부착되도록 되어 있고, 로크 장치가 개폐 부재[덮개 부재(100)]에 부착되면 본체[카세트 케이스(70)]에 계지되는 계지축(115)이 개폐 부재[덮개 부재(100)]로부터 돌출되고, 조절 환형 부재(121)의 로크 수단(120)을 부착하는 부착부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계지축(115)의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덮개 부재(100)는 카세트 케이스(70)의 안내 돌기(단차부)(92a 내지 94a)의 내측에 끼워 맞추어져 결합 볼록부(102b, 102c)가 원주벽(92)의 안내 돌기(92a)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92b, 92c)에 결합하여 위치 결정되고, 제2 덮개부(105)의 측벽(104)이 카세트 케이스(70)의 제2 바닥부(75)의 타단부 모서리에 접합하여 카세트 케이스(70)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와이어 릴(150)이 수납된 카세트 케이스(70)는, 도36, 도37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의 철근 결속기(20)에 볼트 등에 의해 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릴(150)은 소형 플랜지(152)가 제1 수납 오목부(80) 내에 끼워 맞추어져 대형 플랜지(153)가 카세트 케이스(70)의 원주벽(92)의 상단부를 미끄럼 접촉하므로, 와이어(27)가 기어(33)에 의해 인출되거나, 또는 복귀되어도 소형 플랜지(152) 및 대형 플랜지(153)로부터 와이어(27)가 제거되는 일이 없다. 또한, 대형 플랜지(153)와 소형 플랜지(152)의 외경의 차에 의해 수용 공간(88)이 확보되고, 이 수용 공간(88)이 와이어(27)가 복귀될 때에 생기는 와이어(27)의 휨을 수용한다. 와이어 릴(150)의 회전 상태는 광센서(87)가 높은 돌기(157A)와 낮은 돌기(157B)를 검출함으로써 판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 릴(150)의 대형 플랜지(153)가 카세트 케이스(70) 내에 수납되지 않고 원주벽(92)의 상단부에 미끄럼 접촉하고 있지만, 대형 플랜지(153)의 외경을 카세트 케이스(70) 내에 수납할 수 있고 또한 카세트 케이스(70)의 원주벽(92)과의 간극이 와이어(27)의 직경보다 작아지는 크기로 해도 좋다. 대형 플랜지(153)의 외경의 크기를 이와 같이 형성해도 대형 플랜지(153)와 소형 플랜지(152)와의 외경의 차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88)이 확보되는 동시에, 소형 플랜지(152) 및 대형 플랜지(153)로부터 와이어(27)가 제거되는 일이 없다.
P : 원통형 돌기
1, 20 : 철근 결속기
2, 41 : 릴
3, 27 : 와이어
4 : 협지부
5 : 와이어 이송 수단
6 : 가이드
7, 22 : 철근
8, 25 : 비틀림용 훅
21 : 결속기 본체
23 : 맞댐판부
24 : 와이어 삽입 홈
26 : 전동 모터
28 : 트리거
29 : 진퇴 기구
30 : 와이어 통로
31 : 가이드부
32 : 모터
33 : 기어
34 : 와이어 파지 절단 수단
35 : 베어링부
36 : 부착축
38 : 마이크로 스위치
40 : 카세트 케이스
41A : 허브
42A, 100 : 덮개 부재
42B, 71 : 바닥부
42C, 53B : 두께부
42D, 53A, 107, 157C, 160, 169, 170 : 오목부
43 : 릴 부착축
44 : 센서 배치 구멍
45 : 인터럽터(광센서)
45A : 단자판
45B : 나사
45C : 케이블
46 : 커버
47, 48, 99 : 개구부
49 : 정지륜
50 : 플랜지
51 : 허브 구멍
51A : 내측 통부
51B : 외측 통부
51C : 중간 판부
51D : 리브
51E, 154 : 끼워 맞춤 오목부
52 : 부착 홈
53, 157, 157A, 158B : 돌기
53T : 정점
53H : 관통 구멍
70 : 카세트 케이스
72 : 제1 바닥부
73 : 연접부
75 : 제2 바닥부
76, 102 : 베이스부
77, 103 : 다이형부
78 : 환형 홈
79 : 릴 부착축
80 : 제1 수납 오목부
81 : 제2 수납 오목부
82 : 테이퍼
83 : 삽입 구멍
85 : 계지벽
86 : 투과 구멍
87 : 광센서
88 : 수용 공간
90 : 주위벽
91 : 제1 주위벽
92 : 원주벽
92a, 93a, 94a : 안내 돌기(단차부)
92b, 92c, 133, 134, 135, 136, 137, 138 : 걸림 오목부
93 : 제1 측벽
94 : 제2 측벽
95 : 제2 주위벽
96 : 구획벽
97 : 아암
97a : 회전 정지 구멍
98 : 베어링 돌기
101 : 제1 덮개부
102a : 스토퍼 부재
102b, 102c : 결합 볼록부
104 : 측벽
105 : 제2 덮개부
106 : 가이드 구멍
108 : 안내 돌기
109 : 가이드 돌기
110 : 원통형 돌기
111 : 회전부
112, 113 : 손가락 걸이 아암
114 : 나사 통과 구멍
115 : 계지축
116, 117 : 절반 부재
116a, 117a : 계지 돌기
118 : 접촉부
119 : 계지 홈
120 : 로크 수단
121 : 조절 환형 부재
121a : 제1 부착부
121b : 제2 부착부
121c : 제3 부착부
121d : 제4 부착부
122a : 제1 나사 구멍
122b : 제2 나사 구멍
122c : 제3 나사 구멍
122d : 제4 나사 구멍
123 : 제1 걸림 오목부
125 : 제2 걸림 오목부
126 : 측모서리
128 : 베어링 돌기 부재
130 : 지지축
131 : 탄성 부재
132 : 커버 플레이트
133a, 134a, 135a, 137a, 138a : 경사면
139 : 플랜지
140 : 탄성 링
150 : 와이어 릴
151 : 허브부
152 : 소형 플랜지
153 : 대형 플랜지
155 : 장착 구멍
156 : 평면
158, 159, 162 : 내벽면
161 : 벽부
165 : 주위면부
166 : 측면부
168 : 구멍
171 : 삽입 관통 개구부
172 : 안내 개구부
173 : 협지부
174 : 홈
175 : 외주 부분
176 : 절결부
177 : 오목부(선단부 삽입부)
179 : 지지 벽면
180 : 규제 오목부

Claims (7)

  1. 선재를 귄취하는 릴에 있어서,
    상기 릴에는, 복수개의 피검출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피검출 수단은, 상기 릴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릴을 검출하는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 물리량이 서로 다르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릴의 회전 시에 상기 복수의 피검출 수단으로부터 검출되는 물리량 중 적정한 물리량의 피검출 수단을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는 와이어이고, 상기 릴은 철근을 결속하는 결속기 본체의 릴 부착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광센서이고, 상기 피검출 수단으로부터 검출되는 물리량은 반사광량인, 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출 수단은 돌기로 이루어지는, 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반사광량의 차이는, 상기 센서와 상기 피검출 수단과의 거리의 차이에 기초하여 정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출 수단으로부터 검출되는 반사광량은 상기 광센서의 광의 반사광(광량, 각도, 패턴)에 의해 정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7. 철근 결속기에 릴 부착축이 형성되고, 상기 릴 부착축에 철근 결속용 와이어를 권취한 릴을 장착하고, 상기 릴을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를 송출할 때에, 상기 와이어를 철근의 주위에 루프형으로 권취한 후에 상기 와이어를 비틀어 상기 철근을 결속하는 철근 결속기이며,
    상기 릴에는, 복수개의 피검출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피검출 수단은, 상기 릴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릴을 검출하는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 물리량이 서로 다르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릴의 회전 시에 상기 복수의 피검출 수단으로부터 검출되는 물리량 중 적정한 물리량의 피검출 수단을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기.
KR1020107024947A 2001-09-28 2002-09-30 철근 결속기 및 릴 KR1010843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303445 2001-09-28
JP2001303445 2001-09-28
JP2002189420A JP4288900B2 (ja) 2002-06-28 2002-06-28 リール及び鉄筋結束機
JPJP-P-2002-189420 2002-06-28
JPJP-P-2002-216907 2002-07-25
JP2002216907A JP4066734B2 (ja) 2002-07-25 2002-07-25 鉄筋結束機及びリール及びリールの回転検出方法
PCT/JP2002/010188 WO2003028917A1 (fr) 2001-09-28 2002-09-30 Appareil permettant de cercler un element de renfort, bobine correspondante et procede de detection de la rotation de cette bobi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181A Division KR101031156B1 (ko) 2001-09-28 2002-09-30 철근 결속기 및 릴 및 릴의 회전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318A KR20100127318A (ko) 2010-12-03
KR101084399B1 true KR101084399B1 (ko) 2011-11-18

Family

ID=273476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181A KR101031156B1 (ko) 2001-09-28 2002-09-30 철근 결속기 및 릴 및 릴의 회전 검출 방법
KR1020107024947A KR101084399B1 (ko) 2001-09-28 2002-09-30 철근 결속기 및 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181A KR101031156B1 (ko) 2001-09-28 2002-09-30 철근 결속기 및 릴 및 릴의 회전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469724B2 (ko)
EP (2) EP1439015B1 (ko)
KR (2) KR101031156B1 (ko)
CN (1) CN1250359C (ko)
AU (1) AU2002335474B2 (ko)
CA (1) CA2461719C (ko)
WO (1) WO20030289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1059B2 (ja) * 2004-01-09 2009-01-21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ワイヤリール及びワイヤリールの識別方法
JP4396384B2 (ja) * 2004-05-07 2010-01-13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JP4710438B2 (ja) * 2005-07-01 2011-06-29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GB0619947D0 (en) * 2006-10-09 2006-11-15 Tymatic Ltd Wire tying machines
EP2123847B1 (en) 2008-05-19 2016-07-06 Max Co., Ltd. Brake system of wire reel in reinforcing bar binding machine
JP5532610B2 (ja) * 2008-05-19 2014-06-25 マックス株式会社 ワイヤリール及び鉄筋結束機
JP5045547B2 (ja) * 2008-05-19 2012-10-10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CN103837905A (zh) * 2012-11-22 2014-06-04 苏州工业园区高登威科技有限公司 装配线检测装置
US9388885B2 (en) 2013-03-15 2016-07-12 Ideal Industries, Inc. Multi-tool transmission and attachments for rotary tool
CN103240367B (zh) * 2013-05-03 2015-11-25 王春阳 定长直丝电磁进料装置
CN107849860B (zh) 2015-07-22 2020-06-12 美克司株式会社 捆扎机
CA3067501A1 (en) 2015-07-22 2017-01-26 Max Co., Ltd. Binding machine
US10787828B2 (en) * 2015-07-22 2020-09-29 Max Co., Ltd. Binding machine
CN106096558B (zh) * 2016-06-16 2019-08-30 长安大学 一种基于神经网络的钢筋捆扎方法
CN106541057A (zh) * 2016-12-16 2017-03-29 张家港市联盛塑业有限公司 一种自动测量标记的钢筋裁剪装置
CN110199069B (zh) * 2017-01-10 2022-07-12 株式会社牧田 捆扎机
FR3079106B1 (fr) * 2018-03-20 2020-05-29 Pellenc Appareil pour la pose d'attaches filaires
CN109533435A (zh) * 2018-12-28 2019-03-29 广东顺德华焱电子科技有限公司 绕丝盘绕丝余量检测装置及方法、钢筋捆扎机及工作方法
EP3686562B1 (en) * 2019-01-25 2022-03-23 Ratier-Figeac SAS Inductive optical rotary sensor
JP7268386B2 (ja) * 2019-02-13 2023-05-08 マックス株式会社 結束機
CN113474258A (zh) * 2019-02-27 2021-10-01 京瓷株式会社 钢筋捆扎机
CN110259140B (zh) * 2019-06-11 2021-06-18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钢筋绑扎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2101B2 (ja) * 1978-05-31 1983-09-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整列巻線方法およびその装置
DE3737278A1 (de) * 1986-11-04 1988-05-11 Canon K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optischen erfassen der stellung eines objekts
SU1687673A1 (ru) 1989-05-29 1991-10-30 Жлобинско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Меха Самоостанов круглов зальной машины
JPH06190482A (ja) * 1992-12-26 1994-07-12 Times Eng:Kk 結束機
JPH06226386A (ja) 1993-01-28 1994-08-16 Times Eng:Kk 結束方法および結束機
JP2557192B2 (ja) 1993-03-15 1996-11-2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トランザクション処理の同期方法、トランザクション処理のモニタ方法及びトランザクションのコミット処理方法
JP2557192Y2 (ja) * 1993-04-19 1997-12-08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等の結束機用のワイヤリール
JP2585959Y2 (ja) * 1993-09-24 1998-11-25 有限会社志村製作所 線材供給機構付き線材くせ取り装置
US5786841A (en) * 1995-01-12 1998-07-28 Eastman Kodak Company Single track of metering marks on thermal printer media
US5678613A (en) * 1995-06-30 1997-10-21 Max Co., Ltd.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JP3050369B2 (ja) 1995-12-14 2000-06-12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におけるワイヤ判別機構
JPH0976543A (ja) * 1995-09-12 1997-03-25 Hitachi Ltd 感熱転写記録装置
JP2923242B2 (ja) 1996-03-15 1999-07-26 大木樹脂工業株式会社 鉄筋結束機
JP3314911B2 (ja) 1996-08-02 2002-08-19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におけるワイヤ絡み防止方法
JPH10150890A (ja) 1996-11-19 1998-06-09 Ryobi Ltd 魚釣用リール
JPH10249469A (ja) 1997-03-12 1998-09-22 Chugai Electric Ind Co Ltd 電気接点製造用の金属線材
US5938196A (en) * 1997-05-07 1999-08-17 Universal De Desarrollos Electronicos, S.A. Reel type slot machine with physical mapping to control the win odds
JP3531150B2 (ja) 1997-10-06 2004-05-24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におけるワイヤリールのブレーキ機構
JP3598785B2 (ja) * 1997-12-02 2004-12-08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におけるワイヤリールのブレーキ機構
US6338263B1 (en) * 1999-06-30 2002-01-15 Toyo Seikan Kaisha,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embossed can body, inspecting apparatus used for manufacturing embossed can body, and inspecting method used therefor
JP3582411B2 (ja) 1999-07-23 2004-10-27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
US6401766B1 (en) * 1999-07-23 2002-06-11 Max Co., Ltd. Binding machine for reinforcing bars
JP2002225813A (ja) 2000-11-27 2002-08-14 San Homu Kk 結束構造機構
CN1251819C (zh) 2001-09-28 2006-04-19 美克司株式会社 钢筋捆扎机和用于该机器的卷盘
EP3427857A1 (en) 2001-09-28 2019-01-16 MAX Kabushiki Kaisha Reinforcement binding machine and reel used for the machine
JP4211059B2 (ja) 2004-01-09 2009-01-21 マックス株式会社 鉄筋結束機、ワイヤリール及びワイヤリールの識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61271A (zh) 2005-01-05
CA2461719A1 (en) 2003-04-10
KR20100127318A (ko) 2010-12-03
US20090126824A1 (en) 2009-05-21
KR101031156B1 (ko) 2011-04-27
US7469724B2 (en) 2008-12-30
AU2002335474B2 (en) 2007-08-30
EP2179806A2 (en) 2010-04-28
EP1439015A1 (en) 2004-07-21
CA2461719C (en) 2011-10-18
US7950421B2 (en) 2011-05-31
EP1439015B1 (en) 2017-02-15
EP2179806A3 (en) 2010-06-23
US20050061389A1 (en) 2005-03-24
KR20040050896A (ko) 2004-06-17
EP1439015A4 (en) 2005-07-27
WO2003028917A1 (fr) 2003-04-10
CN1250359C (zh)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399B1 (ko) 철근 결속기 및 릴
KR100785970B1 (ko) 철근 결속기, 와이어 릴 및 와이어 릴의 식별 방법
KR100952013B1 (ko) 철근 결속기 및 이에 이용되는 릴
RU2364460C2 (ru) Барабан для намотки линей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2003175905A (ja) 鉄筋結束機及びリール
JP4016784B2 (ja) 鉄筋結束機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リール
JP2008291642A (ja) 鉄筋結束機、ワイヤリール及びワイヤリールの識別方法
JP5182538B2 (ja) 鉄筋結束機、ワイヤリール及びワイヤリールの識別方法
RU2304482C2 (ru) Машина для скрепления арматуры, барабан для такой машины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вращения барабана
JP4066734B2 (ja) 鉄筋結束機及びリール及びリールの回転検出方法
JP2544119B2 (ja) 糸巻き用収納容器
JPS633847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