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524A -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524A
KR19990013524A KR1019980026522A KR19980026522A KR19990013524A KR 19990013524 A KR19990013524 A KR 19990013524A KR 1019980026522 A KR1019980026522 A KR 1019980026522A KR 19980026522 A KR19980026522 A KR 19980026522A KR 19990013524 A KR19990013524 A KR 19990013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rea
laser beam
recording
information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6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1559B1 (ko
Inventor
나가라도루
데라다아키오
곤도마사미치
노모토다다아키
Original Assignee
이데이노부유키
소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노부유키, 소니(주) filed Critical 이데이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19990013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Overwr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2ECC block, i.e. a block of error correction encoded symbols which includes all parity data needed for de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77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for managing gaps between two recordings, e.g. control data in linking areas, run-in or run-out fields, guard or buffer zo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88Formatting by padding empty spaces with dummy data, e.g. writing zeroes or random data when de-icing optical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11B7/00454Recording involving phase-change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해 정보 기록 매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상기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빔 발생 수단; 상기 정보 기록 매체의 트랙상의 기록 영역의 다음에 부분적으로 중복되게 다른 기록 영역이 형성되도록 정보 기록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 수단; 및 정보가 기록된 제1영역, 정보가 소거된 제2영역, 및 정보가 기록되지 않고 소거되지도 않은 제3영역이 정보가 적어도 중복 기록되어 있는 기록 영역에 형성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레이저 빔의 세기를 제어하는 레이저 빔 세기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정보 기록 재생 장치, 정보 기록 재생 방법, 및 전송 매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정보의 부분을 중복 기록할 때 소정의 패턴을 기록함으로써 정보 기록 매체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 정보 기록 재생 방법 및 정보 전송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 종류의 광 디스크, 즉 판독 전용의 ROM 디스크, 및 데이타 기록(기입) 및 데이타 재생이 가능한 RAM 디스크가 현재 이용 가능하다. 상기 ROM 디스크에서는, 데이타가 인터럽트 없이 연속 기록된다. 따라서, 상기 ROM 디스크는 이 디스크상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마크의 길이를 따라 존재하는 에지를 사용하는 DPD(Differential Phase Detection)에 의한 트랙킹 제어가 가능하다(여기에서 참조하는 마크는 물리적 오목면에 의해 형성된 피트(pit)를 포함하고 있음을 주의해야 함).
상기 RAM 디스크의 경우에서와 같이, 디스크에 데이타가 기록되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타 트랙상에 마크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의 영역이 형성된다(즉, 상기 피트의 길이를 따라 존재하는 에지가 없음). RAM 디스크에 데이타를 기록하고 이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는 광 디스크 장치는 통상적으로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트랙킹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RAM 디스크상에 형성된 홈을 사용한다. 트랙킹은 이 홈의 측벽(데이타 트랙 측벽)을 사용함으로써 실행된다.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ROM 디스크의 경우에, 각각의 마크의 폭을 따라 존재하는 에지는 상기 홈의 측벽의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상기 ROM 디스크는 데이타 재생을 위해 트랙킹 제어를 실행하도록 상기 RAM용으로 설계된 광 디스크상에 로딩될 수 있다.
하지만, ROM 디스크 전용의 광 디스크 장치에 기록된 데이타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가지고 있는 RAM 디스크의 로딩, 및 DPD에 의한 트랙킹의 실행에 의해서, 상기 RAM 디스크의 정확한 구동이 어려워지는데, 이는 상기 장치가 기록된 데이타가 없는 부분에서는 트랙킹 제어를 실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ROM 디스크 전용의 광 디스크 장치가 상기 RAM 디스크를 정확하게 구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록된 데이타가 없는 부분이 상기 RAM 디스크상에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RAM 디스크에서는, 데이타가 ECC 블록 기초로 기록된다. ECC 블록 다음에 다른 ECC 블록이 있으면, 이전 ECC 블록의 데이타와 후속 ECC 블록의 데이타가 부분적으로 중복 기록된다. 이에 따라, 이들 ECC 블록사이에서 지터 등으로 인해 데이타가 기록되지 않은 부분의 형성이 방지된다.
즉, 종래 RAM 디스크에서는, 길이가 4T인 기록 마크와 길이가 4T인 소거 마크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타가 중복 기록된 부분에 또한 기록된다.
이와 같이, 상기 RAM 디스크에는 데이타가 일부 중복 기록된다. 따라서, 데이타를 반복적으로 재기록하면, 데이타가 중복 영역에 재기록된 회수는 데이타가 다른 영역에 재기록된 회수의 2배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부분에서의 데이타 재기록시의 신뢰도가 떨어진다.
데이타가 중복 기록된 부분은 통상적으로 APC(Automatic Power Control) 영역을 제공한다. 데이타 기록을 위한 레이저 전력은 데이타가 상기 부분에 기록된 상태를 기초로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부분이 손상되면, 상기 레이저 전력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OPC(Optional Power Control) 영역이 상기 광 디스크의 최내측 주위에 형성된다. 또한, APC 영역이 상기 OPC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광 디스크 장치의 사용 환경이 변할 때의 광 세기는 상기 APC 영역의 데이타 기록 상태를 기초로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APC 영역이 손상되면, 상기 광 디스크 장치의 사용 환경이 변화될 때에 상기 광 세기의 조절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타가 중복 기록된 영역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기록 재생 장치가 적용된 광 디스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크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ECC 블록의 데이타 중복 기록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OPC 영역에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패턴 1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패턴 2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두 연속 ECC 블록을 기록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8은 가장 양호한 변화율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데이타 영역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데이타 영역으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APC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12는 APC 회로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13은 종래 APC 영역에 데이타가 기록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디스크 3 : 광학 헤드
5 : 서보 회로 6 : 레지스터
7 : 제어기 8 : 신호 엔코더 회로
11 : 레이저 다이오드 14 : 대물 렌즈
16 : 포토 다이오드 21 :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기
본 발명을 실행할 때, 한가지 양태에 따라, 정보 기록 재생 장치가 제공되며, 이 정보 기록 재생 장치는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상기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빔 발생기; 상기 정보 기록 매체의 트랙상의 기록 영역의 다음에 부분적으로 중복되게 다른 기록 영역이 형성되도록 정보 기록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기; 및 정보가 기록된 제1영역, 정보가 소거된 제2영역, 및 정보가 기록되지 않고 소거되지도 않은 제3영역이 적어도 정보가 중복 기록되어 있는 기록 영역에 형성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레이저 빔의 세기를 제어하는 레이저 빔 세기 제어기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 및 기타 다른 목적은 첨부 도면과 더불어 행해진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알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특허 청구 범위 및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설명된 본 발명의 수단들간의 관계를 명료히 하기 위해, 각각의 수단의 뒤에는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는 괄호내의 대응 실시예가 존재한다. 하지만, 이 설명은 설명된 수단에 한정되지 않음을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기록 재생 장치는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이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광을 발생하는 광 발생 수단(예컨대, 도 1의 레이저 다이오드(11)); 상기 정보 기록 매체의 트랙상의 기록 영역의 다음에 부분적으로 중복되게 다른 기록 영역이 형성되도록 정보 기록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 수단(예컨대, 도 1의 서보 회로(5)); 및 정보가 기록된 제1영역, 정보가 소거된 제2영역, 및 정보가 기록되지도 않고 소거되지도 않은 제3영역이 적어도 정보가 중복 기록된 기록 영역에 형성되도록 상기 광의 세기를 제어하는 세기 제어 수단(예컨대, 도 1의 서보 회로(5))을 구비하고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기록 재생 장치가 적용된 광 디스크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디스크(1)는 복수의 시간 동안에 데이타를 재기록할 수 있는 위상 변화 광 디스크이며, 상기 디스크(1)는 스핀들 모터(2)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회전된다. 광학 헤드(3)는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기(LDD)(21)에 의해 구동된 레이저 다이오드(LD)(11)를 가지고 있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LD)(11)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은 시준기 렌즈(12)에 의해 변환되고, 빔 분리기(13)를 통해 대물 렌즈(14)를 통과하여 디스크(1)에의 조사를 위해 대물 렌즈(14)에 의해 집중된다. 상기 디스크(1)로부터 반사된 빔은 상기 대물 렌즈(14)를 통해 상기 빔 분리기(13)에 제공되어 반사된다. 이 반사된 빔은 포토 다이오드(PD)(19)에 제공되도록 렌즈(18)에 의해 집중된다. 상기 포토 다이오드(PD)(20)로부터 출력된 전류는 전류/전압(I/V) 변환기(20)에 의해 전압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신호 재생/디코딩 회로(4) 및 서보 회로(5)에 제공된다.
상기 LD(11)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시준기 렌즈(12)로부터 상기 빔 분리기(13)에 제공된 레이저 빔의 일부가 상기 빔 분리기(13)에 의해 반사되어 렌즈(15)에 의해 집중되며, 이 집중된 빔이 상기 포토 다이오드(PD)(16)에 입력된다. 상기 PD(16)는 상기 LD(11)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의 세기에 대응하는 전류 신호를 출력한다. 이 전류 신호는 전류/전압(I/V) 변환기(17)에 의해 변환되어 상기 서보 회로(5)에 입력된다.
상기 신호 재생/디코딩 회로(4)는 상기 디스크(1)로부터 재생된 신호로서 상기 전류/전압 변환기(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디코딩하고, 이 디코딩된 신호를 제어기(7)에 공급한다. 상기 제어기(7)는 입력된 데이타를 적절히 처리하고, 필요한 경우에 그 결과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도시되지 않음)측으로 출력한다.
상기 서보 회로(5)는 상기 전류/전압 변환기(20)로부터 공급된 신호로부터 포커스 서보 제어 신호와 트랙킹 서보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이와 같이 발생된 신호를 광학 헤드(3)측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서보 회로(5)는 스핀들 서보 신호를 발생하고, 이 발생된 스핀들 서보 신호를 상기 스핀들 모터(2)측으로 출력한다.
상기 서보 회로(5)는 복수의 레지스터(6)를 가지고 있다(간단화를 위해 도 1에는 이들 레지스터중 하나의 레지스터만이 도시되어 있음). 이들 레지스터(6)는 상기 전류/전압 변환기(17)로부터 출력된 값, 및 상기 제어기(7) 또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공급된 LD(11)용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값을 가지고 있다.
신호 엔코더 회로(8)는 상기 LDD(21)측으로 출력하기 위한 기록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기(7)로부터 공급된 기록 데이타를 엔코딩한다. 상기 LDD(21)는 이 기록 신호를 기초로 상기 LD(11)를 구동한다.
도 2에는 상기 디스크(1)의 각종 영역의 포맷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1)의 최내측 주위의 소정의 범위의 영역은 OPC 영역이고 이 영역의 주위의 영역은 데이타 영역이다. 이들 각각의 영역에서는, 기록 및 재생이 ECC 블록 기초로 행해진다. 하나의 ECC 블록(32 KB)은 16개의 섹터로 구성되어 있고, 하나의 섹터는 26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프레임은 91 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ECC 블록의 앞에는 대략 7 프레임으로 구성된 링크부가 위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중 제1의 2개 정보의 프레임이 APC 영역을 제공한다. 또한, 각각의 ECC 블록의 앞에는 대략 2프레임의 링크부가 위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각각의 OPC 영역과 데이타 영역에서는, 패턴 1 또는 패턴 2의 데이타가 상기 APC 영역에 기록된다. 또한, ECC 영역에서는, 최소 반전 간격(이 경우에, 3T)의 데이타와 최대 반전 간격(이 경우에, 11T)의 데이타가 상기 OPC 영역에 기록된다. 상기 데이타 영역의 각각의 ECC 블록에는 주요 데이타가 기록된다.
상기 디스크(1)는 ECC 블록이 다음 ECC 블록의 선행 링크부와 부분적으로 중복된 ECC 블록의 후행 링크부에 기록되도록 상기 서보 회로(5)에 의해 그 타이밍이 제어된다. 도 3에 이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8 프레임의 표준 길이를 가지고 있는 링크부가 ECC 블록들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8 프레임중에서, 2 프레임 정도는 각각의 ECC 블록의 끝부분에 부착되고 7 프레임 정도는 각각의 ECC 블록의 시작 부분에 부착된다.
바꾸어 말하면, 하나의 ECC 블록에 기록할 때에는, 대략 7 프레임의 링크부가 기록되고, 하나의 ECC 블록의 데이타와 이에 후속되는 대략 2 프레임의 링크부가 뒤따른다. 2개의 ECC 블록이 연속적으로 기록되면, 이들 ECC 블록간의 링크부를 구성하고 있는 프레임의 개수는 정확하게 8 프레임이다. 즉, 이 경우에, 상기 선행부는 후속 링크부에 의해 중복되지 않는다.
한편, 이미 기록된 ECC 블록의 뒤에 새로운 ECC 블록을 기록할 때, 상기 선형 ECC 블록의 링크부의 마지막 프레임은 상기 후속 ECC 블록의 링크부의 제1프레임에 의해 부분적으로 중복된다.
각각의 ECC 블록의 끝부분은 싱크(SY1)와 이에 후속되는 더미 데이타의 하나의 프레임이 기록되고, 상기 더미 데이타에는 싱크(SY7), 및 이에 후속되는 53 바이트 ±x1의 길이를 가지고 있는 더미 데이타가 이어진다. 이 ±x1의 값은 -32 내지 +32의 범위내의 소정의 값이며, 이 값은 무작위로 추출된 수에 의해 적절히 설정된다. 그러므로, 마지막 링크부의 길이는 최소 21(=53-32) 바이트이고 최대 85(=53+32) 바이트이다.
기록된 ECC 블록(N)의 다음에 새로운 ECC 블록(N+1)이 형성될 때, 상기 링크부의 시작 부분에서부터 제1싱크(SY2)까지의 길이는 46±x2 바이트이다. 또한, 이 x2의 값은 무작위로 추출된 수에 의해 적절히 설정된다. x2의 극성과 x1의 극성은 서로 반대이다.
상기 후속 ECC 블록의 링크 블록의 시작 부분은 상기 선행하는(기록된) ECC 블록의 링크부의 싱크(SY7)에서부터 시작하여 위치 53±x1-8 바이트에 기록된다. 그러므로, 상기 선행 링크부의 끝부분에서부터 앞쪽의 8 바이트 길이 영역은 데이타가 중복 기록된 영역을 제공한다. 하지만, ±4 바이트의 지터가 상기 위치로부터 허용되고, 이 위치에서부터는 데이타가 상기 링크부에 기록되며, 따라서, 상기 중복 기록된 기록 영역의 길이는 최소 4(=8-4) 바이트이고 최대 12(=8+4) 바이트이다. 상기 선행 ECC 블록의 링크부의 싱크(SY7)와 상기 후속 ECC 블록의 링크부의 싱크(SY2)사이에서의 프레임의 길이는 91(=53-8+46)-x1+x2이다. 상기 지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이 길이는 ±4 바이트의 오류를 생성한다.
각각의 ECC 블록의 시작 링크부의 제1싱크(SY2)에는 싱크(SY7), 싱크(SY3), 싱크(SY7), 싱크(SY4), 싱크(SY7), 싱크(SY0)가 이 순서로 이어진다. 이 싱크(SY0)의 뒤에는 상기 ECC 블록이 배열된다.
상기 APC 영역은 각각의 ECC 블록의 시작 링크부의 시작 부분과 상기 제1싱크(SY7)사이의 영역이다. 상기 APC 영역의 제1의 12바이트(중복된 최대 길이의 기록 영역)에는 후속되는, 도 5에 도시된 패턴 1의 데이타가 기록되고, 나머지 영역에는 패턴 2의 데이타가 기록된다.
4T 길이의 기록 마크와 4T 길이의 소거 마크가 상기 링크부의 다른 영역에, 즉 상기 ECC 블록의 끝부분에 부착된 대략 2 프레임의 링크부, 및 상기 ECC 블록의 시작 부분에 부착된 링크부의 제1싱크(SY7)와 상기 ECC 블록의 제1싱크(SY0)사이의 5프레임의 영역에, 번갈아 기록된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디스크(1)가 광 디스크 장치에 로딩되면, 제어기(7)는 도 4의 흐름도에 의해 지시된 처리(디스크(1)의 최내측 주위의 OPC 영역에 테스트 데이타를 기록하고 이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즉, 먼저, 스텝 S1에서, 상기 제어기(7)는 LD(11)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빔의 세기를 조절하는 스텝의 수를 나타내는 변수(n)를 1로 초기화한다.
다음에, 스텝 S2에서, 상기 제어기(7)는 서보 회로(6)의 레지스터(6)에 변수(n)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즉, I cool_n, I write_n, 및 I erase_n이 레지스터(6)에 설정된다(이 경우에는 n=1). I cool_n은 냉각 주기 동안의 세기를 가지고 있는 레이저 빔을 발생하기 위한 상기 LD(11)의 구동 전류(또는 구동 전압)의 값을 나타낸다. 상기 냉각 주기 동안의 레이저 빔의 세기는 도 5의 (a) 및 도 6의 (a)에 C로 표시되어 있다.
파라미터(I write_n)는 다음의 식으로 표현된다:
I write_n = I cool_n + ΔCW_n
파라미터(I write_n)는 상기 LD(11)가 데이타를 기록하도록 하는데 필요한 세기(도 5의 (a) 및 도 6의 (a)에 W로 표시됨)를 가지고 있는 레이저 빔을 발생하기 위한 구동 전류(또는 구동 전압)의 값을 나타낸다. 상기 식에서, ΔCW_n은 상수를 나타내며 상기 파라미터(I write_n, I cool_n)간의 차에 대응된다. 상수(ΔCW_n)를 더함으로써 얻어진 값이 상기 파라미터(I write_n)로 설정된다.
파라미터(I erase_n)는 상기 LD(11)가 데이타를 소거하도록 하는데 필요한 세기(도 5의 (a) 및 도 6의 (a)에 E로 표시됨)를 가지고 있는 레이저 빔을 발생할 때 공급될 구동 전류(또는 구동 전압)의 값을 나타낸다. 이 파라미터는 다음 식과 같이 표현된다:
I erase_n = I cool_n + ΔCE_n
상기 식에서 ΔCE_n은 상수이다. 이 상수를 상기 파라미터(I cool_n)에 더함으로써 얻어진 값이 상기 파라미터(I erase_n)로 설정된다.
이들 값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APC 회로(41-i)의 레지스터(61)에 설정된다. 이 경우에는 n=1이므로, 최소값이 상기 레지스터(61)에 설정된다.
스텝 S3에서, 상기 제어기(7)는 ECC 블록 기초로 기록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서 상기 서보 회로(5)를 제어한다.
즉, 상기 서보 회로(5)는 냉각 기간 동안에 상기 레이저 빔의 세기(C)가 값(I cool_1)을 설정함으로써 특정되도록 상기 LDD(21)를 제어하며, 데이타 기록을 위한 상기 레이저 빔의 세기(W)는 값(I write_1)을 설정함으로써 특정되며, 데이타 소거를 위한 레이저 빔의 세기(E)는 값(I erase_1)을 설정함으로써 특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기(7)는 상기 APC 영역의 제1의 8바이트부의 도 5에 도시된 패턴 1의 데이타 및 상기 APC 영역의 나머지 부분의 도 6에 도시된 패턴 2의 데이타를 발생하고, 이 발생된 데이타를 상기 신호 엔코더 회로(8)에 공급한다. 상기 신호 엔코더 회로(8)는 입력된 데이타를 대응 기록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LDD(21)에 공급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1에서, 최소 반전 간격(3T)을 가지고 있는 마크(기록 마크), 최소 반전 간격의 길이를 가지고 있는 마크(소거 마크) 및 최대 반전 간격(11T)을 가지고 있는 비신호부가 이 순서로 반복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2에서는, 최소 반전 간격을 가지고 있는 마크(기록 마크)와 최대 반전 간격을 가지고 있는 마크(소거 마크)가 이 순서로 반복된다.
소정의 세기를 가지고 있는 레이저 빔이 상기 LD(11)로부터 방출되면, 이 레이저 빔은 시준기 렌즈(12)에 의해 평행 빔으로 변환되고, 빔 분리기(13)를 통해 상기 대물 렌즈(14)에 제공되어 집중된다. 이 집중된 빔은 상기 디스크(1)측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패턴 1 또는 패턴 2의 마크가 상기 디스크(1)상의 OP 영역의 APC 영역에 형성된다.
3T 기간의 마크(기록 마크)를 기록한 후에 3T 기간의 마크(소거 마크)를 기록하기 위해서, 대체적으로, 0.5T의 주기 동안의 세기(W)와 3T 기간 동안의 0.5T의 후속 주기에 대한 세기(C)를 가지고 있는 3개의 광 펄스가 발생된다. 3T 소거 기간 동안 세기(E)를 가지고 있는 레이저 빔을 출력함으로써, 3T 기간의 소거 마크가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세기(W)를 가지고 있는 레이저 빔의 조사에 의해 상기 디스크(1)가 가열되며, 이 디스크(1)가 냉각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그러므로, 실제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빔은 0.5T의 주기 동안의 세기(W), 0.5T의 주기 동안의 세기(C), 0.5T의 주기 동안의 세기(W), 1T의 주기 동안의 세기(C), 및 3.5T의 주기 동안의 세기(E)를 이 순서로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3T의 기록 마크와 3T의 소거 마크가 위상 변화에 의해 기록될 수 있다.
11T의 다음 주기 동안에는 상기 레이저 빔이 세기(C)를 가지고 있다. 이 세기(C)는 데이타 판독에 필요한 세기(R)보다 크지만, 상기 디스크(1)에 마크를 기록하고 기록된 마크를 소거하기에는 충분히 크지 않다. 그러므로, 이 11T 주기는 기록 마크도 소거 마크도 기록되지 않은 비기록 영역이다.
상기 LD(11)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의 부분은 상기 빔 분리기(13)로부터 반사되어 렌즈(15)를 통해 상기 PD(16)측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상기 PD(16)는 상기 LD(11)로부터 실제로 출력된 레이저 빔의 세기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상기 전류/전압 변환기(17)에 의해 전압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서보 회로(5)에 공급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보 회로(5)는, 11T 길이의 냉각 기간의 시작에서부터 1T의 기간이 경과한 후에 냉각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LD(11)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의 세기(상기 PD(16)로부터 출력된 값(I pcool))가 스텝 S2에서 설정된 설정값(I cool_1)과 일치하도록, APC 서보를 적용한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보 회로(5)는 또한, 세기(E)의 설정에서부터 1T의 기간이 경과한 후에 세기(E)의 소거 기간이 할 때까지 상기 LD(11)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의 세기(상기 PD(16)으로부터 출력된 값(I perase_1))가 기준 레지스터(61)에 설정된 값(I erase_1)과 일치하도록, APC 서보를 적용한다.
또한,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보 회로(5)는, 상기 LD(11)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의 세기(상기 PD(16)에 의해 출력된 값(I pwrite_1))가 (세기(W)의 제2레이저 빔이 발생된 타이밍에서) 세기(W)의 레이저 빔의 발생에서부터 1T의 기간이 경과된 후에 1T의 기간 동안에 스텝 S2에서 설정된 값(I write_I)과 일치하도록, APC 서보를 적용한다.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ECC 블록에 중복되어 다른 ECC 블록이 이어진 부분에는 비기록 영역이 형성된다. 이 비기록 영역에서는 데이타가 중복 기록되지 않는다. 상기 비기록 영역은 11T의 길이로서 24 프레임의 데이타 기록 영역의 최대 반전 간격과 동일하다. 이 길이는 데이타로 존재하도록 표준에 의해 허용된 최대 길이이다. 그러므로, 이 배열은 데이타가 중복 기록된 영역에서 상기 디스크(1)에 데이타가 기록되는 회수를 감소시킨다.
한편,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PC 영역의 나머지 부분에는, 3T 부분의 기록 마크와 11T 부분의 소거 마크가 번갈아 기록된다. 대체적으로, 이 기록을 위해, 3T의 기록 마크가 0.5T의 기간 동안의 세기(W)와 0.5T의 다음 기간 동안의 세기(C)를 가지고 있는 3개의 광 펄스를 발생함으로써 형성되고, 소거 마크는 11T의 기간 동안 세기(E)의 레이저 빔을 발생함으로써 형성된다. 하지만, 실제적으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광 디스크(1)의 열 축적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이 경우에,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0.5T의 기간 동안의 세기(W)와 0.5T의 다음 기간 동안의 세기(C)를 가지고 있는 2개의 펄스가 발생되도록 제어가 행해진 후에, 상기 세기는 12T의 기간 동안에 E가 된다. 이에 따라, 3T의 길이를 각각 가지고 있는 기록 마크들과 11T의 길이를 각각 가지고 있는 소거 마크들의 기록이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해질 수 있다.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D(11)로부터 출력된 레이저 빔의 세기(사기 PD(16)의 출력 값(I perase_1))이 스텝 S2에서 설정된 설정값(I erase_1))과 동일해지고, 세기(E)를 가지고 있는 레이저 빔의 발생의 시작에서부터 1T의 기간이 경과한 후에 (세기(E)가 세기(W)로 변할 때까지) 세기(E)를 가지고 있는 레이저 빔이 연속적으로 발생되도록, 패턴(2)이 기록된 부분에서 APC 서보가 적용된다. 또한,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D(11)로부터 출력된 레이저 빔의 세기(상기 PD(16)의 출력(I pwrite_1)이 세기(W)를 가지고 있는 레이저 빔의 제2의 발생이 시작된 후에 1T의 기간 동안에 스텝 S2에서 설정된 설정값(I write_1)과 동일해지도록, APC 서보가 적용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기간 동안에는 APC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다. 패턴 1의 부분에서의 냉각 기간 동안에는 세기(C)를 가지고 있는 레이저 빔에 대한 상기 APC 서보의 결과가 변함없이 유지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C 동작의 시작 타이밍은 이 동작이 안정된 후에 상기 APC 동작을 시작하기 위해서 1T만큼 지연됨에 주의해야 한다.
상기 APC 영역이 이어지는 24 프레임의 데이타 기록 영역에는 3T의 기록 마크와 11T의 소거 마크가 테스트 데이타로서 번갈아 기록된다. 24 프레임의 이 데이타 기록 영역에서는 APC 제어가 실행되지 않으며, 상기 APC 영역의 마지막 냉각 기간, 기록 기간, 또는 소거 기간의 세기가 변함없이 유지됨에 주의해야 한다(하지만, 필요한 경우에 기록 기간과 소거 기간에 APC 동작이 실행될 수 있음).
데이타의 하나의 ECC 블록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록될 때에는, 이 기록의 완료 직전에 상기 PD(16)의 출력(I pcool_1)이 상기 서보 회로(5)의 레지스터(6)에 유지된다.
다음에, 스텝 S4에서, 상기 제어기(7)는 변수(n)가 0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이 경우에는, n=1이므로, 변수(n)는 스텝 S5에서 인크리멘트되어 n이 2로 된다.
다음에, 스텝 S2로 복귀하고, 상기 제어기(7)는 n=2에 대응하는 설정값(I cool_2, I write_2, I erase_2)을 상기 서보 회로(5)의 기준 레지스터(61)에 설정한다. 이들 값은 n=1인 경우의 값보다 약간 크다.
스텝 S3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동일한 기록 동작이 실행된다.
이 기록 동작은 스텝 S4에서 n=8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된다. 즉, 이 예에서는, 8개의 상이한 데이타 부분에 대한 기록 동작이 실행된다.
도 7에는 ECC 블록(n)의 데이타와 다음의 ECC 블록(n+1)의 데이타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록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 레지스터에 설정될 값은 도 7의 (a)에 도시된 ECC 블록(n)의 n에 대응하고 그리고 상기 ECC 블록(n+1)의 (n+1)에 대응하는 값이다.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1의 부분에서는, C, E, W의 모든 세기에서 APC 동작이 실행된다. 패턴 2의 부분에서, 상기 APC 동작은 세기 C에서 유지되고 세기 E와 W에서만 실행된다. 5 프레임의 링크부와 다음 ECC 블록에서, 상기 APC 동작은 모든 세기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D(11)의 세기(C)의 레벨은 패턴 1의 부분에서 스텝 S2에서 설정된 값으로 조절된다.
한편, 도 7의 (e) 및 도 7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기 E 및 W의 LD(11)의 레벨은 패턴 1의 부분에서 스텝(S2)에서 설정된 값으로 충분히 조절될 수 없다. 이는 세기 E 및 W의 APC 부분이 세기(C)의 APC 부분보다 매우 짧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2에서, 세기 E 및 W의 상기 APC 동작의 전체 시간이 보다 길어진다. 따라서, 패턴 2의 부분에서는, 세기 E 및 W의 LD(11)의 레벨이 스텝 S2에서 설정된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7의 (g)에는 ECC 블록(n)의 패턴 2의 APC 동작이 종료된 때 상기 PD(16)로부터 출력된 값(I pcool_n)이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처리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h)에는 상기 PD(16)로부터 출력된 값(I pcool_n+1)이 ECC 블록(n+1)의 패턴 2의 APC 동작이 종료된 때에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되는 처리가 도시되어 있다. 필요한 경우, 상수(ΔCW_n,ΔCE_n)가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처리 예에서는 n=8이므로, 8개의 ECC 블록의 처리 결과가 8개의 레지스터(6)에 유지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테스트 데이타 모두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8개의 ECC 블록에 기록될 때, 스텝 S6에서, 상기 제어기(7)는 데이타 재생을 위한 상기 레이저 빔의 세기(R)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기준 레지스터에 설정값(I read)으로서 값(I read_default)을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서보 회로(5)를 제어한다. 상기 서보 회로(5)는 상기 PD(16)의 출력(I pread)을 감시하고, 상기 LD(11)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의 세기(상기 PD(16)의 출력(I pread))이 상기 서보 회로(5)의 레지스터(6)의 기준 레지스터에 유지된 설정값(I read)과 동일해지도록 APC 서보를 적용한다.
다음에, 상기 제어기(7)는 상기 8개의 ECC 블록의 데이타를 재생하며, 이를 위해 기록 동작이 스텝 S3에서 실행되었다.
상기 디스크(1)로부터 반사된 레이저 빔은 상기 대물 렌즈(14)를 통해 상기 빔 분리기(13)에 제공되어 반사된다. 이 반사된 레이저 빔은 상기 렌즈(18)에 의해 집중되어 상기 PD(19)에 제공된다. 이 입력을 사용하여, 상기 서보 회로(5)는 스텝 S7 및 후속 스텝에서 평가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서보 회로(5)는 또한 상기 PD(16)로부터 출력된 신호(I pread)를 각각의 ECC 블록으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할 때의 값(I read_opc)으로서 저장한다.
스텝 S7에서, 상기 서보 회로(5)는 (n=1에서의) 상기 제1변화율을 가장 양호한 변화율로서 초기화하는데, 즉 상기 변화율은 m=1로서 초기화된다.
다음에, 스텝 S8에서 상기 서보 회로(5)는 n=2를 설정한다. 또한, 스텝 S9에서 상기 서보 회로(5)는 상기 변화율(n)(이 경우에 n=2)이 상기 가장 양호한 변화율(n=1의 변화율)보다 양호한지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변화율은 24 프레임의 데이타 영역에 기록된 3T의 길이를 가지고 있는 기록 마크의 신호 레벨(A4)과 11T의 길이를 가지고 있는 소거 마크의 신호 레벨(A11)의 비율(A3/A11)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 변화율은 상기 값(n)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에서부터 8까지 순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피크에 도달한 후에, 상기 변화율은 감소한다. 여기서, 상기 피크 후의 변화율은 상기 가장 양호한 변화율로서 검출된다.
스텝 S9에서 n의 변화율(이 경우에, n+2)이 상기 가장 양호한 변화보다 양호한 것으로 판명되면, 스텝 S10에서는 n의 변화율이 상기 가장 양호한 변화율로 대체되는데, 즉 m = n(이 경우에, m = 2)이다. n의 변화율이 스텝 S9에서 상기 가장 양호한 변화율보다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면, 스텝 S10의 처리는 건너뛴다.
스텝 S11에서는 상기 서보 회로(5)가 n = 8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8이 아닌 것으로 판명되면, 스텝 S12에서는 n이 1만큼 인크리멘트된다. 다음에, 스텝 S9의 처리와 후속 처리가 반복된다.
스텝 S11에서 n이 8인 것으로 판명되면, 스텝 S13에서는 값(I cool_m)이 값(I cool_init)으로 설정된다. 또한, 값(ΔCE_m)은 값(ΔCE_init)으로 설정되고, 값(ΔCW_m)은 ΔCE_init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테스트 데이타는 상기 OPC 영역에 기록되고, 상기 LD(11)의 변화된 세기 및 기록된 데이타가 생성되며, 이에 따라, 최적의 LD(11)의 세기 C(I cool_init), E(I erase_init = I cool_init + ΔCE_init), 및 W(I write_init = I cool_init + ΔCW_init)가 얻어진다.
다음에, 상기 디스크(1)의 주요 데이타의 기록이 지시되고, 도 9의 흐름도에 도시된 처리가 실행된다. 먼저, 스텝(S31)에서는 상기 서보 회로(5)가 냉각 기간 동안에 상기 APC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도 4의 스텝 S13에서 얻어진 값(I cool_init)을 상기 기준 레지스터에 유지된 설정값(I cool)으로 설정한다. 상기 서보 회로(5)는 또한 스텝 S13에서 얻어진 값(ΔCE_init)을 값(I cool_init)(즉, I cool_init + ΔCE_init)에 더함으로써 얻어진 값을 상기 소거 기간의 APC 제어를 위한 기준 레지스터의 설정값(I erase)으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서보 회로(5)는 도 4의 스텝 S13에서 얻어진 값(ΔCW_init)을 값(I cool_init)에 더함으로써 얻어진 값을 기록 기간의 APC 제어를 위해 상기 기준 레지스터의 설정 값(I write)으로 설정한다.
다음에, 스텝 S32에서, 상기 제어기(7)는 상기 데이타 영역의 APC 영역의 중복된 기록 영역에서 패턴 1의 데이타를 발생하고, 이 발생된 데이타를 신호 엔코더(8)에 입력하며, 이 신호 엔코더는 입력된 데이타를 기록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LDD(21)는 이 기록 신호에 따라 상기 LD(11)를 제어하며, 따라서 소정의 세기의 레이저 빔이 방출된다. 이때, 상기 서보 회로(5)는 각각의 냉각 기간, 소거 기간 및 기록 기간에 상기 APC 동작을 실행한다. 즉, 냉각 기간, 소거 기간 및 기록 기간에서, 상기 PD(16)로부터 출력된 신호(I pcool, I perase, I pwrite)가 스텝 S31에서 설정된 값(I cool, I erase, I write)과 동일해지도록, APC 서보가 적용된다.
스텝 S33에서는, 상기 제어기(7)가 상기 APC 영역의 다른 기간에서 패턴 2의 데이타를 발생하고, 이 발생된 데이타를 상기 신호 엔코더(8)에 공급하며, 이 엔코더는 이 입력된 데이타를 기록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서보 회로(5)는 상기 냉각 기간에서 상기 APC 회로를 유지 상태로 설정하고 소거 기간 또는 기록 기간에 APC 동작을 실행한다.
스텝 S34에서는 상기 제어기(7)가 데이타 기록 영역에 기록될 데이타를 발생한다. 이 발생된 데이타는 상기 신호 엔코더(8)에 의해 기록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LDD(21)에 공급된다. 이 기록 신호를 기초로, 상기 LDD(21)는 상기 LD(11)를 제어하여 상기 기록 데이타에 대응하는 세기를 가지고 있는 레이저 빔을 발생한다. 이때, 상기 서보 회로(5)는 각각의 냉각 기간, 소거 기간 및 기록 기간에서 상기 APC 회로(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됨)를 유지 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APC 동작은 필요한 경우에 소거 기간과 기록 기간에서만 실행될 수도 있다.
다음에, 상기 디스크(1)의 데이타 영역에 기록된 데이타의 재생시에, 도 10의 흐름도에 도시된 처리가 실행된다. 먼저, 스텝 S41에서, 상기 서보 회로(5)는 준비된 값(I read_default)을 재생 APC 회로(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될 APC 회로(41-2))의 기준 레지스터의 값(I read)으로 설정한다. 다음에, 스텝 S42에서 판독 동작이 실행된다. 즉, 이때, 상기 PD(16)로부터 출력된 값(I pread)을 스텝 S41에서 상기 기준 레지스터에 설정된 값(I read)과 일치시키기 위해서, 상기 서보 회로(5)는 APC 서보를 적용한다. 동시에, 상기 PD(19)로부터 출력된 재생 신호가 전류/전압 변환기(20)에 의해 전압 신호로 변환되고, 이 전압 신호는 상기 신호 재생/디코딩 회로(4)에 공급된다. 상기 신호 재생/디코딩 회로(4)는 상기 입력된 신호를 디코딩하고, 이 디코딩 신호를 상기 제어기(7)측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기(7)는 상기 입력된 재생 신호를 도시되지 않은 호스트 컴퓨터측으로 출력한다.
스텝 S43에서는, 상기 서보 회로(5)가 상기 PD(16)로부터 출력된 값(I pread)과 상기 기준 레지스터에 설정된 값(I read)간의 차의 절대 값이 프리세트 기준값(Ref)보다 큰지를 결정한다. 이 절대값이 상기 기준값(Ref)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면, 상기 서보 회로(5)는 상기 처리가 종료될 때 상기 판독 동작이 종료될 때까지 대기한다.
스텝 S43에서, 상기 값(I reaD)과 상기 값(I pread)간의 차의 절대값이 상기 기준값(Ref)보다 큰 것으로 판명되면, 스텝 S45에서 상기 서보 회로(5)는 이 서보 회로(5)가 스텝 S46에서 포커스 서보를 턴오프시킬 때 판독 동작이 종료될 때까지 대기한다. 다음에, 스텝 S47에서, 판독 동작시에, 상기 서보 회로(5)는 도4의 스텝 S6에서 상기 OPC 영역에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할 때 설정된 값(I read_opc)을 스텝 S41에서 초기화될 값(I read_opc)으로 설정한다. 이 값(I read_opc)은 최적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 데이타가 실제로 상기 OPC 영역에 기록된 경우의 값이므로, 이 값의 조절은 상기 LD(11)의 구동 전류와 실제로 발생될 빔의 양간의 관계가 상기 광 디스크 장치의 사용 환경으로 인해 변화되면, 데이타 재생에 적절한 광의 양을 얻을 수 있다.
도 11에는 상기 서보 회로(5)에 포함되어 있는 APC 회로의 구성이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상기 APC 회로(41-1)는 냉각 기간에 APC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APC 회로(41-2)는 재생(판독) 기간에 상기 APC 동작을 실행하며, 상기 APC 회로(41-3)는 소거 기간에 상기 APC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APC 회로(41-4)는 기록 기간에 상기 APC 동작을 실행한다. 상기 PD(16)로부터 출력된 전류 신호는 상기 전류/전압 변환기(17)에 의해 전압 신호로 변환되고, 이 전압 신호는 버퍼 증폭기(42)를 통해 이들 APC 회로(41-1 내지 41-4)에 입력된다.
상기 APC 회로(41-1)에서는, 상기 버퍼 증폭기(42)로부터 공급된 신호가 스위치(51)를 통해 유지 회로(52)에 공급된다. 상기 유지 회로(52)는 저항기(53)와 커패시터(5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지 회로(52)의 출력은 버퍼 증폭기(55)와 저항기(56)를 통해 적분기(60)를 구성하고 있는 연산 증폭기(57)의 반전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상기 기준 레지스터(61)의 출력은 D/A 변환기(62)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이 아날로그 신호는 또한 혼합 저항기(63)를 통해 상기 적분기(60)의 반전 압력 단자에 입력된다.
상기 연산 증폭기(57)의 출력은 저항기(58)와 커패시터(59)로 구성된 병렬 회로를 통해 상기 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된다. 상기 연산 증폭기(57)의 비반전 입력 단자는 접지되어 있다.
상기 연산 증폭기((57)의 출력은 저항기(70)를 통해 연산 증폭기(58)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연산 증폭기(58)의 비반전 입력 단자는 저항기(71)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연산 증폭기(58)의 출력은 스위치(72)와 저항기(73)를 통해 상기 연산 증폭기(57)의 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연산 증폭기(58)의 출력은 저항기(69)를 통해 그 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연산 증폭기(57)의 출력은 A/D 변환기(64)에 의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고, 이 디지탈 신호는 레지스터(65-1)에 공급된다. 상기 레지스터(65-1)의 출력은 D/A 변환기(66)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이 아날로그 신호는 저항기(67)를 통해 상기 연산 증폭기(58)의 반전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지스터(65-1)의 출력은 8개의 레지스터(65-2 내지 65-9)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레지스터(65-2 내지 65-9)의 출력은 상기 레지스터(65-1)에 로딩된다.
상기 연산 증폭기(57)의 출력은 상기 LDD(21)의 냉각 기간 동안에 정전류 회로(31-1)에 공급된다. 상기 정전류 회로(31-1)는 스위치(32-1)를 통해 상기 LD(11)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연산 증폭기(57)의 출력에 대응하는 정전류를 발생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APC 회로(41-2 내지 41-4)의 각각은, 일반적으로 상기 APC 회로(41-1)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APC 회로(41-2)의 출력은 재생 기간 동안에 정전류 회로(31-2)에 공급되고, 상기 APC 회로(41-3)의 출력은 소거 기간 동안에 정전류 회로(31-3)에 공급되며, 상기 APC 회로(41-4)의 출력은 기록 기간 동안에 정전류 회로(31-4)에 공급된다. 상기 정전류 회로(31-2)의 출력은 재생 기간에 턴온되는 스위치(32-2)를 통해 상기 LD(11)에 공급되며, 상기 정전류 회로(31-3)의 출력은 소거 기간에 턴온되는 스위치(32-3)를 통해 상기 LD(11)에 공급되고, 상기 정전류 회로(31-4)의 출력은 기록 기간에 턴온되는 스위치(32-4)를 통해 상기 LD(11)에 공급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APC 회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OPC 영역에의 데이타 기록시에, 상기 I cool_1은 반대 극성으로 상기 레지스터(61)에 설정된다. 냉각 기간에 상기 PD(16)로부터 출력될 신호(I pcool_1)는 상기 버퍼 증폭기(42)를 통해 상기 APC 회로(41-1)에 공급된다. 상기 스위치(51)가 온되면, 상기 버퍼 증폭기(42)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스무싱(smoothing) 회로(52), 버퍼 증폭기(55), 및 저항기(56)를 통해 상기 적분기(60)에 공급된다. 상기 저항기(61)에 설정된 값(-I cool_1)은 상기 D/A 변환기(62)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이 아날로그 신호는 저항기(63)를 통해 상기 적분기(60)에 입력된다. 그러므로, 상기 적분기(60)는 I pcool_1과 -I pcool_1간의 차를 적분한다. 이 적분의 결과는 상기 A/D 변환기(64)에 의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고, 이 디지탈 신호는 상기 레지스터(65-1)에 공급되어 유지된다. 다음에, 이 데이타는 상기 레지스터(65-2)측으로 전송되어 이 레지스터에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n이 2 내지 8이면, 값(I cool_2 내지 I cool_8)이 상기 레지스터(61)에 저장된다. 이들 각각의 값으로 출력될 상기 레지스터(65-1)의 출력이 각각의 상기 레지스터(65-3)측으로 전송되어 이 레지스터에 유지된다.
8개의 샘플링값이 상기 OPC 영역에서 상기 레지스터(65-2 내지 65-9)에 유지되면, 가장 양호한 값이 상기 레지스터(65-2 내지 65-9)중 하나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레지스터(65-1)측으로 전송되어 이 레지스터에서 유지된다.
다음에, 상기 스위치(72)는 예컨대 데이타 영역에서 데이타 기록이 먼저 실행되면 턴온된다. 상기 레지스터(65-1)에 유지된 값은 상기 D/A 변환기(66)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연산 증폭기(68)의 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된다. 상기 적분기(60)의 출력은 상기 연산 증폭기(68)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이들간의 차가 상기 연산 증폭기(68)에 의해 계산되어, 스위치(72)와 저항기(73)를 통해 상기 연산 증폭기(57)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적분기(60)의 커패시터(59)가 충전된다. 동시에, 상기 적분기(60)의 출력이 상기 레지스터(65-1)에 유지되어 있는 값(D/A 변환기(66)에 의해 변환된 D/A 변환값)과 동일해지도록 APC 서보가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 적분기(6)의 출력은 소정의 값으로 한번 설정되고, 이때, 상기 스위치(72)가 턴오프된다. 그러므로, 상기 버퍼 증폭기(42)로부터 입력된 신호와 반대 극성의 상기 레지스터(61)에 유지된 기준값간의 차가 상기 적분기(6)에 의해 적분된다. 그 결과가 상기 정전류 회로(31-1)에 공급되고, 이 회로부터 소정 값의 정전류가 출력된다. 이때, 이 출력은 상기 스위치(32-1)를 통해 상기 LD(11)에 공급된다. 상기 LD(11)는 상기 레지스터(65-2 내지 65-9)중 하나의 레지스터에 유지되어 있는 최적값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LD(11)의 냉각 기간이 상기 레지스터(61)에 설정된 값(I cool)과 동일해지도록 APC 서보가 적용된다. 동시에, 유지 동작이 실행될 때, 상기 스위치(51)가 턴오프되어 상기 스위치의 턴오프가 상기 커패시터(54)에 유지되기 직전에 상기 버퍼(42)의 출력이 유지된다. 이 유지된 값으로 APC 서보가 실행된다.
이와 유사한 동작이 상기 APC 회로(41-2 내지 41-4)에 대해 실행된다.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 상기 APC 회로(41-1)의 적분기(60)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적분기는 디지탈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디지탈 방식으로 구성된 적분기를 예로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에는 상기 APC 회로(41-1)의 구성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다른 APC 회로(41-2 내지 41-4)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12의 예에서, 상기 스무싱 회로(52)의 출력은 A/D 변환기(91)에 의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고, 이 신호는 레지스터(92)에 인가되어 이 레지스터에 유지된다. 상기 레지스터(92)의 출력은 감산기(94)에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레지스터(93)에 유지되고 지연되어 감산기(94)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오프셋 성분이 상기 감산기(94)에 의해 제거된다.
상기 감산기(94)의 출력은 레지스터(95)에 공급되어 이 레지스터에 유지된다. 상기 레지스터(95)의 출력은 감산기(96)에 공급되고, 이 감산기에 의해 상기 레지스터(61)에 유지되어 있는 기준값이 감산된다. 상기 감산기(96)의 출력은 레지스터(97)에 공급되어 이 레지스터 유지된다. 상기 레지스터(97)의 출력은 다음의 레지스터(98)에 공급됨과 동시에 비트 시프터(99)에 공급되어 비트 시프트된다. 이 비트 시프터(99)의 출력은 상기 레지스터(65-1)에 공급된다. 또한, 이 레지스터(98)에 유지되어 있는 데이타는 비트 시프터(100)에 의해 비트 시프트되어 상기 레지스터(65-1)에 공급된다.
상기 레지스터(65-1)는 상기 출력, 비트 시프터(101)에 의해 상기 출력을 비트 시프트함으로써 얻어진 데이타, 상기 비트 시프터(100)의 출력, 또는 상기 비트 시프터(99)의 출력을 유지하고 이 유지된 데이타를 출력한다. 상기 디지탈 적분기는 상기 레지스터(97,98,65-1)와 비트 시프터(99,100,10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지스터(65-1)의 출력은 D/A 변환기(102)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이 아날로그 신호가 상기 정전류 회로(31-1)에 공급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예로서 광 디스크의 사용에 의해 설명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광 디스크 이외의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광학적으로 기록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상기 각종 처리 동작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자기 디스크 및 CD-ROM과 같은 기록 매체에서 뿐만 아니라, 통신망과 같은 전송 매체 의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후자의 경우에, 전송된 프로그램은 사용중인 자기 디스크 또는 고체 상태 메모리와 같은 기록 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라 설명된 바와 같이, 광의 세기는 정보가 기록된 제1영역, 정보가 소거된 제2영역, 및 정보가 기록되지도 않고 소거되지도 않은 제3영역이 적어도 정보가 중복 기록되어 있는 영역에 형성되도록 조절된다. 이 새로운 장치는 다른 정보 기록 영역과 비교해 볼 때 정보가 중복 기록되어 있는 영역에 정보가 기록되는 회수를 감소시키며, 따라서 정보가 중복 기록된 영역에 대한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특정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설명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특허 청구 범위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이 행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1)

  1.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해 레이저 빔을 정보 기록 매체에 조사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상기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빔 발생 수단;
    상기 정보 기록 매체의 트랙상의 기록 영역의 다음에 부분적으로 중복되게 다른 기록 영역이 형성되도록 정보 기록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 수단; 및
    정보가 기록된 제1영역, 정보가 소거된 제2영역, 및 정보가 기록되지도 않고 소거되지도 않은 제3영역이 적어도 정보가 중복 기록되어 있는 기록 영역에 형성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레이저 빔의 세기를 제어하는 레이저 빔 세기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길이와 상기 제2영역의 길이는 각각 상기 정보의 최소 반전 간격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3영역의 길이는 상기 정보의 최대 반전 간격의 길이와 동일한 정보 기록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세기 제어 수단은 상기 최소 반전 간격을 각각 가지고 있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및 상기 최대 반전 간격을 가지고 있는 상기 제3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기록 영역의 다음에, 정보가 기록된 최소 반전 영역을 가지고 있는 제4영역과 정보가 소거된 최대 반전 영역을 가지고 있는 제5영역이 형성된 기록 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 세기를 제어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록 매체는 위상 변화형의 광 디스크이고, 상기 제1영역, 상기 제2영역 및 상기 제3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기록 영역이 자동 전력 제어 영역인 정보 기록 재생 장치.
  5.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해 레이저 빔을 정보 기록 매체에 조사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 상기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정보 기록 매체쪽으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 의해 발생된 상기 레이저 빔을 집중시키는 집중 수단;
    상기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반사된 레이저 빔을 수광하는 광 검출기;
    상기 정보 기록 매체를 회전 가능하게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
    상기 정보 기록 매체의 트랙상의 기록 영역의 다음에, 부분적으로 중복되게 다른 기록 영역이 형성되도록, 정보 기록 타이밍을 제어하는 서보 회로; 및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제1레이저 전력, 정보를 소거하기 위한 제2레이저 전력, 및 상기 제1레이저 전력과 상기 제2레이저 전력보다 전력이 낮은 제3레이저 전력에 의해 적어도 정보가 중복 기록되는 기록 영역에 상기 레이저 빔이 조사되도록,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 의해 발생된 상기 레이저 빔의 세기를 제어하는 레이저 빔 세기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이저 전력을 가지고 있는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제1영역의 길이와 상기 제2레이저 전력을 가지고 있는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제2영역의 길이는 각각 상기 정보의 최소 반전 간격의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3레이저 전력을 가지고 있는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제3영역의 길이는 상기 정보의 최대 반전 간격의 길이와 동일한 정보 기록 재생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세기 제어 수단은 상기 최소 반전 간격을 각각 가지고 있는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및 상기 최대 반전 영역을 가지고 있는 상기 제3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기록 영역의 다음에, 정보가 기록된 최소 반전 간격을 가지고 있는 제4영역 및 정보가 소거된 최대 반전 간격을 가지고 있는 제5영역이 형성된 기록 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의 세기를 제어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록 매체는 위상 변화형의 광 디스크이고, 상기 정보 기록 매체의 기록층을 형성하는 결정의 상태가 이 기록층에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세기에 따라 변하고, 상기 제3레이저 전력은 상기 기록층을 형성하는 상기 결정의 상태를 실질적으로 변화시키지 않는 세기를 가지고 있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회로는 또한 상기 스핀들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스핀들 서보 신호를 출력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회로는 또한 상기 광 검출기로부터 공급된 검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집중 수단에 의한 상기 레이저 빔의 집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
  11. 정보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상기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광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정보 기록 매체의 트랙상의 기록 영역의 다음에 부분적으로 중복되게 다른 기록 영역이 형성되도록 정보 기록 타이밍을 제어하는 단계; 및
    정보가 기록된 제1영역, 정보가 소거된 제2영역, 및 정보가 기록되지도 않고 소거되지도 않은 제3영역이 적어도 정보가 중복 기록되어 있는 기록 영역에 형성되도록, 광의 세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정보 기록 재생 방법.
KR1019980026522A 1997-07-02 1998-07-02 정보기록재생장치및방법 KR100531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668997A JP3972348B2 (ja) 1997-07-02 1997-07-02 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伝送媒体
JP97-176689 1997-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524A true KR19990013524A (ko) 1999-02-25
KR100531559B1 KR100531559B1 (ko) 2006-03-28

Family

ID=1601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6522A KR100531559B1 (ko) 1997-07-02 1998-07-02 정보기록재생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47957A (ko)
JP (1) JP3972348B2 (ko)
KR (1) KR100531559B1 (ko)
CN (1) CN1199156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014B1 (ko) * 2002-06-28 2010-06-21 소니 주식회사 광학식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데이터의 기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2348B2 (ja) * 1997-07-02 2007-09-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伝送媒体
JP2000215452A (ja) * 1999-01-19 2000-08-04 Victor Co Of Japan Ltd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
EP1045391A1 (en) * 1999-04-16 2000-10-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information in units
US6985426B2 (en) * 2001-02-23 2006-01-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optical information including dummy data, and optical disk having such data recorded thereon
JP2002342942A (ja) 2001-05-14 2002-11-29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情報記録方法、およ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3015897A (ja) * 2001-06-29 2003-01-17 Yamaha Corp 制御装置、メディア記録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メモリ書換えプログラム
JP3846249B2 (ja) * 2001-09-28 2006-11-15 ヤマハ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4130884B2 (ja) * 2002-09-09 2008-08-06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
JP3916546B2 (ja) * 2002-10-24 2007-05-1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再生専用の記録媒体
JP2004220663A (ja) * 2003-01-10 2004-08-05 Pioneer Electronic Corp 光ピックアップ装置、光ビーム出射制御方法、並びに、光ビーム出射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209205B2 (ja) * 2003-01-10 2009-01-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ビーム出力制御装置、光ピックアップ装置、光ビーム出射制御方法、並びに、光ビーム出射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TW588341B (en) 2003-01-31 2004-05-21 Hitachi Lt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optical disc apparatus
CN101702323B (zh) * 2005-08-09 2011-09-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记录介质,重放设备、方法及程序
JP2007179700A (ja) * 2005-12-28 2007-07-12 Toshiba Corp レーザ駆動電流制御回路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CN101763866B (zh) * 2008-11-19 2011-12-14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光碟机的自动功率控制系统以及自动功率控制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0536A (ja) * 1983-08-12 1985-03-02 Fujitsu Ltd 光デイスク装置
JPS6450259A (en) * 1987-08-20 1989-02-27 Victor Company Of Japan Magneto-optical disk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H01296439A (ja) * 1988-05-24 1989-11-29 Ricoh Co Ltd 半導体レーザ制御回路
JPH0792917B2 (ja) * 1988-07-19 1995-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的情報再生及び消去方法
US5590111A (en) * 1990-06-29 1996-12-31 Hitachi, Ltd. Method of controlling recording of optical records
US5530688A (en) * 1994-10-31 1996-06-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cal disk recording device using two modulated laser beams for recording information data
JP3972348B2 (ja) * 1997-07-02 2007-09-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伝送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014B1 (ko) * 2002-06-28 2010-06-21 소니 주식회사 광학식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데이터의 기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5508A (zh) 1999-01-20
JPH1125459A (ja) 1999-01-29
US6147957A (en) 2000-11-14
JP3972348B2 (ja) 2007-09-05
KR100531559B1 (ko) 2006-03-28
CN1199156C (zh)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1559B1 (ko) 정보기록재생장치및방법
KR100579454B1 (ko) 기록매체 및 이에 테스트 기록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JP4016612B2 (ja) ディスク記録方法及びディスク装置
JP2002222536A (ja) 光スポット整形装置及び方法、光ピックアップ装置、並びに光ディスク装置
JP2997115B2 (ja) 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3754338B2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の光学ヘッド発光出力制御方法
JP3293727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US7075881B2 (en) Signal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recording compensation method and playback method used therefor
JPH08287657A (ja) ディスク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
JP3792325B2 (ja) 情報記録装置
JP2006179095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785311B2 (ja) 記録レーザビームの制御方法、制御装置、検出方法および検出装置
JPH10144002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再生方法
JP3300807B2 (ja) 光情報記録装置及び光情報記録方法
JP3748381B2 (ja) 光学式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H07262691A (ja) ディスクとその記録または再生方法
JPH1125491A (ja) レーザパワーの設定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JP3770861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830228B2 (ja) トラッキング方法
JPH11126388A (ja) データ記録方法及びデータ記録装置
KR20020094532A (ko) 광디스크의 최적 기록방법
JP2006107679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
JPH0346146A (ja) 記録再生装置
JPH04113520A (ja) アドレス情報再生装置
JPH1055580A (ja) 光磁気記録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