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2837A - 클러치 조립품 - Google Patents

클러치 조립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2837A
KR19980702837A KR1019970706244A KR19970706244A KR19980702837A KR 19980702837 A KR19980702837 A KR 19980702837A KR 1019970706244 A KR1019970706244 A KR 1019970706244A KR 19970706244 A KR19970706244 A KR 19970706244A KR 19980702837 A KR19980702837 A KR 19980702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clutch
spring
clutch
housing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6410B1 (ko
Inventor
카를-루드비히 키미그
볼프강 라익
크리스토프 비트만
롤프 마인하르트
폴 마헤르
Original Assignee
게르하르트 로테르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르하르트 로테르,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게르하르트 로테르
Publication of KR19980702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16D13/757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the adjusting device being located on or inside the clutch cover, e.g. acting on the diaphragm or on the pressur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16D13/75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the adjusting device being located in or near the release b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2013/581Securing means for transportation or ship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F16D2013/703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the pressure plate on the flywheel side is combined with a dam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F16D2013/706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the axially movable pressure plate is supported by leaf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18Sensors; Details or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하우징에 대하여 비회전적으로 그러나 축방향으로 제한적으로 변위발생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압력판으로 구성되는 마찰클러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이 - 카운터 압력판 위에서 마찰클러치의 조립상태를 이루며 - 클러치디스크의 방향으로 압력판을 편향시키고, 상기 클러치디스크는 압력판과 카운터압력판 사이에서 고정되고, 추가로 조정장치는 적어도 클러치디스크의 마찰라이닝의 마모를 보상하고 실제로 판스프링을 통하여 압력판을 편향시키는 일정하중을 발생시키며, 마찰클러치는 연결과 분리를 위한 작동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장치는 축방향으로 변위발생이 가능한 분리장치에 의해 작동가능하고, 장치가 작동장치의 분리운동을 제한하여 작동장치에 대한 허용할 수 없이 높은 편향 및/또는 변형의 작용을 방지하게 한다.

Description

클러치 조립품
이 방식으로 구성 및 조작될 클러치조립품은 프랑스특허 FR-OS 2 582 363 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 종류의 클러치조립품의 작동장치는 예를 들어 미국특허 US-PS 4 368 810, US-PS 4 326 617, 독일특허 DE-OS 27 52 904와 DE-OS 27 01 992에 공지된 분리장치에 의해 탈착이 가능하다.
적어도 클러치디스크의 마찰라이닝 마모를 보상할 일체형 조정링이 구성된 클러치조립품과 마찰클러치의 구성을 보면 특히 기계적 분리장치와 관련된 문제가 존재하는데, 클러치페달의 운동은 적어도 하나의 링크장치(linkage) 또는 보우덴 케이블(Bowden cable)을 통해 릴리이즈 베어링의 상호위치에 의하여, 마찰클러치의 작동장치에 전달되고, 전체 운동학적 연쇄작용과 관련한 공차에 의해 작동장치를 작동시키는 릴리이즈 베어링(release bearing)의 작동영역은 작동장치의 영역에 대하여 동일한 축방향위치를 가지고, 그 결과 마찰클러치의 분리경로 및 작동장치의 작동경로에는 상대적으로 큰 변동( variation)이 존재할 수 있다. 조정장치의 조정 기능은 상기 변동에 의해 적어도 손상을 받고, 극단적인 경우에, 조정장치의 조정 기능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다. 더구나 바람직하지 않은 조정기능이 이루어져서, 마찰클러치는 만족스러울 정도로 개방되지 않거나 접촉압력스프링의 예비응력(pretentioning) 위치 및 설치위치가 변화되어, 접촉압력스프링에 의한 스프링하중은 만족할만한 토크저달을 보장할만큼 충분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압력판(pressure plate)과 카운터 압력판(counter pressure plate) 사이에 고정될 수 있는 클러치 디스크(clutch disc)의 방향으로 압력판을 편향시키고, 적어도 클러치디스크를 구성하는 마찰 라이닝(friction lining)에 발생하는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링이 구성되어 다이아프렘 스프링을 통해 압력판을 향해 균일한 하중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고정위치로 회전가능하게 카운터 압력판에 연결되고, 제한된 수치로 축방향으로 변위발생이 가능한 압력판으로 구성가능한 마찰클러치로 이루어진 클러치 조립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마찰클러치는 추가로 기어박스 하우징(gearbox housing) 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분리포크(disengagement fork)와 같은 장치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는 연결 및 분리작용이 이루어지는 장치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조립품의 단면도.
도 2는 보상장치의 확대단면도.
도 3은 도 2의 화살표(III) 방향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화살표(IV) 방향으로 마찰클러치의 분리장치를 연결한 조정링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선(V-V)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화살표(III) 방향으로 도 1의 클러치 조립품에 사용된 카운터 조정링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선(VII-V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8은 도 2에서의 보상장치의 한 구체예를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을 따르는 클러치 조립품의 상세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을 따르는, 예를 들어 도 9를 따르는 클러치 조립품에서 사용가능한 조정링을 보여준다.
제 12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마찰 클러치의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화살표(XIII) 방향의 부분도.
도 14는 본 발명을 따르는 마찰클러치의 다른 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클러치 조립품을 구성하는 분리장치에 대한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을 따르고 조정링을 위한 브레이크를 가진 마찰클러치를 보여주는 또다른 구체예에 관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찰클러치의 도면.
도 18은 도 17의 선 II-II를 따라본 단면도.
도 19는 도 17 및 도 18을 따르고 마찰클러치와 함께 사용되는 조정링의 도면.
도 20은 도 19의 선 IV-IV를 따라본 단면도.
도 21은 도 17 및 도 18을 따르고 마찰클러치와 함께 사용되는 지지링의 도면.
도 22는 도 21의 선 VI-VI을 따라본 단면도.
도 23 및 도 23a는 조정링상에서 회전력을 작용하는 스프링의 도면.
도 24에서부터 도 27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클러치의 조정요소와 각각의 스프링 사이의 상호작용을 알 수 있는 특성곡선을 나타내는 선도.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을 따르는 마찰클러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29는 도 28의 선 XIII을 따라본 단면도.
도 30은 도 28 및 도 29를 따르고 마찰클러치와 함께 사용되는 조정링의 도면.
도 31에서부터 도 33까지는 보상장치를 가진 다른 마찰클러치의 상세도.
도 34 및 도 35는 마찰클러치의 분리하중곡선에 발생하고, 다이아프렘 스프링 및 라이닝 서스펜션(lining suspension) 사이의 상호작용 및 효과를 나타내는 서로 다른 특성곡선을 나타내는 선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마찰클러치의 부분 단면도.
도 36a은 도 36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본 부분 단면도.
도 37은 도 36의 선 XXI에 따른 단면도.
도 38은 도 36과 도 37에 따른 마찰클러치와 함께 사용되는 조정링의 부분 단면도.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마찰클러치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 41은 도 28 및 도 29 및 도 36 및 도 37을 따르는 마찰클러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조정링의 도면.
도 42에서 도 45까지는 마찰클러치의 다른 병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46에서 도 48까지는 마찰클러치의 또다른 형태의 실시예로서 도 47은 도 46의 화살표 (A) 방향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8은 도 47의 화살표 (B-B) 방향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마찰클러치4 : 다이아프렘 스프링
4a : 원형체4b : 스프링 작동부
4c : 스프링 단부5 : 회전 베어링
13 : 센서 스프링13a : 외변부
13b : 링 모양부13c : 설형요소
13d : 몰딩부16 : 조정장치
18 : 경사부20 : 보상장치
22 : 릴레이즈 베어링24 : 카운터 경사부
26, 27 : 경사부28, 29 : 카운터 경사부
A16 : 조정링A20 : 조정링
S20 : 지지링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클러치조립품을 제공하여 상기 단점을 해결하는 것이며, 조정장치의 기능을 개선하여 마찰라이닝 마모를 보상한다. 더욱이 상기 클러치조립품은 간단하고 비용절감적인 방식으로 제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릴리이즈베어링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장치의 릴리이즈베어링에 대한 단면위치의 축방향 위치변화 또는 작동장치의 축방향 위치 변화를 보상하는 장치가 구성된다. 이러한 장치는 특히 본 발명의 개발에서, 무유극(play-free) 하중전달이 릴리이즈베어링과 작동장치 사이에 가능하므로, 적어도 마찰라이닝마모에 의존하여 축방향 분리(disengagement) 운동을 하는 작동장치가 이동하게 되는 클러치조립품의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 작동장치는 동일한 양으로 일정하게 이동가능하다. 특히 릴리이즈베어링과 작동장치 사이의 하중전달시 유극이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보상장치가 릴리이즈베어링과 작동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축방향으로 작동하면 유리하다. 보상장치는 또한 릴리이즈베어링과 분리장치 사이의 동적연결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릴리이즈베어링이 예컨대 기어박스 입력축을 둘러싼 가이드 튜브와 같은 축방향 가이드(guide)상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릴리이즈베어링(release bearing)을 향하는 기저부를 가지고, 카운터압력판(counter pressure plate) 위에서 고정이 가능하며, 금속판재의 리드(lid)와 같은 하우징(housing)을 가지는 마찰클러치로 구성되는 클러치조립품에 의해, 보상장치가 작동장치와 기저부 사이에 장착되고, 보상장치의 축방향운동이 용이해진다. 추가로, 클러치하우징과 압력판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인장력을 받고 탄성원형체와 탄성원형체로부터 반경방향을 향해 내부로 구성되는 스프링 작동부로 이루어지는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접촉압력스프링이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보상장치를 통해 만족스런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 보상장치는 마찰클러치의 연결상태에서 자동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소요 조정기능을 수행하고, 마찰클러치 작동시 자동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조정기능을 차단하는 것이 유리하다.
보상장치는 마찰클러치의 연결상태에서, 작동장치와 축방향으로 결합될 링모양의 구성부품을 포함한다. 상기 링모양의 구성부품을 통해 작동장치와 릴리이즈 베어링의 작동거리의 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 보상장치기능에 있어서, 보상장치는 축방향으로 상승구조를 이루는 경사부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며, 상기 경사부는 링모양의 구성부품상에 구성될 수 있다.
경사부는 조정작업을 위한 원통형 또는 공모양의 회전체와 상호작동한다. 그러나 경사부가 카운터경사부와 상호작동하여 상기 경사부 및 카운터 경사부의 경사각이 적절히 선택되어, 상기 경사부들의 축방향 인장시 자동 체결(sefl-locking)이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카운터 경사부는 링모양의 구성부품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경제적인 마찰클러치의 제조를 위하여, 보상장치의 일부를 플라스틱재로 만드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플라스틱 부품은 인젝션 몰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플라스틱은 폴리아미드(polyamide)와 같은 열가소성 재료이다.
특히 조정기능의 경사부들로 구성되는 구성부품들을 클러치 조립품이나, 마찰클러치를 조작할 때 축방향으로 운동한다. 더욱이 경사부와 카운터 경사부를 지지하는 구성부품은 서로에 대해 상대운동이 가능하고, 이들 구성부품들중의 하나가 마찰클러치, 특히 클러치 하우징에 대해 회전이 이루어지게 고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보상장치의 설계에 관하여, 클러치조립품의 분리방향으로 볼 때, 프리휠(freewheel)과 같이 작동하거나 조정이 이루어지지만, 분리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자동체결(self-locking)이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을 위해, 경사부 및 카운터 경사부에 관하여, 경사부 및 카운터 경사부는 축방향으로 5° 내지 20° 특히 7° 내지 11°의 피치각도를 가지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경사부는 마찰연결을 통해 자동체결이 되도록 설계된다. 각 경우마다 상기 경사부들은 자동체결방식의 결합이 이루어져서 원치않는 재위치 설정(resetting)을 피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장치를 요구하지 않는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추가장치의 구성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자동보상기능을 얻기 위하여, 경사부지지 구성부품 및 카운터 경사부지지 구성부품을 조정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스프링편향(spring bias)이 이루어지는 것이 편리하다. 다이아프렘 스프링 및 축방향으로 유연하게 이루어지는 지지베어링의 편향작용이 실제로 영향받지 않도록 상기 스프링편향이 실행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로서,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로 구성된 구성부품들이 코일스프링같은 에너지 저장장치에 의해 조정방향으로 편향 또는 인장된다. 이러한 편향 작용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관찰할 때, 두 개의 구성부품들을 에너지저장장치 및 경사부들에 의해 축방향으로 서로 멀어지게 된다. 클러치를 연결할 때, 작동장치와 클러치하우징 및 릴리이즈 베어링으로 형성되는 편향영역에 유극없이 상기 구성 부품들이 축방향으로 인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면, 클러치조립품은 적어도 작동장치의 분리경로를 제한하는 장치도 가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분리가 이루어지는 방향에서 릴리이즈베어링 및 작동장치의 경로를 제한하기 위해 경로 제한장치가 구성가능하다. 클러치하우징에 대해 분리경로를 지나서 전진하는 보상장치의 구성부품과 관련하여 상기 경로 제한장치가 구성된다. 축방향으로 고정된 구성부품에 대한 정지영역을 분리경로 다음에서 릴리이즈베어링이 가진다면, 상기 경로 제한기능이 또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릴리이즈베어링이 클러치 연결방향으로 경로제한장치와 유사한 제한장치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릴리이즈베어링이 클러치조립품에 결합될 때 유사하게 보상장치가 축방향으로 지지되도록 구성가능하다. 클러치 조립품을 위해 일정한 작동경로가 축방향으로 지지되도록 구성가능하다. 클러치 조립품을 위해 일정한 작동경로가 형성되어, 보상장치를 구성하는 구성부품이 상기 정지영역과 상호작용하고 분리방향 및 연결방향으로 작용하는 경로제한 영역을 가지는 것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성부품은 릴리이즈베어링에 의해 편향되는 분리장치의 구성부품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경로제한장치가 상기 릴리이즈베어링에 위치하고 클러치하우징상에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클러치 작동경로의 제한은 축방향으로 릴리이즈베어링을 안내하는 구성부품위에서 경로제한장치를 구성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로제한장치가 릴리이즈베어링의 비회전 베어링 링(non-rotating bearing ring)에 연결된 구성부품과 상호작용한다. 적어도 축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분리경로 제한은 릴리이즈베어링의 회전베어링링(rotating bearign ring)과 클러치하우징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과정시 분리하중경로와 최대 분리하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적어도 작동장치의 작동경로의 일부에 걸쳐 마찰클러치 또는 클러치 원판에 의해 전달된 모멘트(moment)의 점진적인 감소를 가져오는 장치가 제공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장치는 압력판과 카운터 압력판 사이에 고정시킬 수 있는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라이닝 사이에 제공되는 소위 라이닝 서스펜션(lining suspension)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클러치의 구체예에 있어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으로 구성된 접촉 아력스프링이 두 개의 지지패드 사이에서 그리고 하우징 위에서 회전운동을 위해 지지되고-압력판을 향하는 지지패드는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방향으로 스프링하중(spring-loaded)을 받고, 마찰클러치의 분리시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스프링하중을 받는 지지패드상에 작용하는 최대 분리하중은 라이닝마모에 의해 증가되고, 상기 최대분리하중은 스프링하중을 받는 지지패드에 작용하는 지지하중보다 커진다.
압력판과 클러치하우징 사이의 토오크 전달을 위해 판스프링(leaf spring) 또는 독일특허 제 DE-OS 3631 853에 공지된 라이닝서스펜션(lining suspension)을 이용할 때, 상기 다이아프렘 스프링상에서 상기 라이닝서스펜션에 의해 가해진 하중이 스프링하중을 받는 지지패드위에 작용하는 하중을 고정할 때 고려해야 되는데, 상기 하중들을 서로에 대해 중첩되기 때문이다.
즉 라이닝 마모가 존재할 때 임시로 설정되어 증가된 분리하중은 조정작용이 가능하도록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회전직경과 관련하고, 상기 하중들의 중첩된 결과 하중보다 커야만 한다. 특히 스프링하중을 받는 지지패드가 축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하중특성곡선을 보면, 마찰클러치내 설치위치에서 시작하여, 마찰라이닝상의 마모에 의해 이완될 경우, 동일하게 가해진 하중과 또한 분리하중 경로의 수준이 증가하고, 또한 설치위치에 대하여 더 변형되거나 인장된 위치일 경우, 그것에 가해진 최대하중은 분리과정시 감소한다. 상기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배열 및 형태에 의해, 라이닝의 마모시 마찰클러치의 최대 분리하중과 또한 스프링-하중을 받는 지지패드상의 반작용력 또는 회전직경내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상에 작용하는 반작용결과력 사이의 카운터 밸런스(counter balance)가 다시 설정될 수 있다.
클러치 조립품 또는 마찰클러치는 축방향변위의 스프링-하중을 받는 지지패드가 마찰클러치의 마모 제한영역상에서 압력판과 함께 움직이도록 설치할 수 있다. 점진적으로 또한 마찰클러치 수명이 다할 때까지, 단계적으로 일어나는 조정장치의 조정작용시, 스프링-하중을 받는 지지패드는 압력판을 향해 약간 움직인다. 이 변위를 통해서 압력판상에 지지된 다이아프렘 스프링은 또다른 변형과정을 겪고 따라서 변형과정에 의한 힘이 상술한 스프링-하중 지지패드에 작용하는 반작용력 또는 상기 변형과정에 의한 힘이 분리하중과 균형을 이룰 때까지 감소하게 된다. 지지패드의 변위과정에서 클러치 또는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최대 분리하중은 다시 감소한다.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마찰클러치에 설치되면, 분리영역의 일부에 걸쳐서 그리고 클러치의 전체분리영역에 걸쳐서 감소하는 V하중 - 경로 특성곡선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설치위치는, 따라서 마찰클러치분리상태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실제로 사인파모양의 하중 - 경로 곡선의 최소위치에 도달하도록 설계한다.
스프링-하중을 받는 지지패드위에서 얻은 반작용력은 일정한 힘이 기본적으로 조정영역 전체에 가해지도록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클러치의 예비인장 상태에서 설치한 다이아프렘 스프링은 특히 이 목적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마찰클러치에 제한되지 않고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라이닝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장치를 가진 클러치 조립체 또는 마찰클러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마찰클러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자동차용 마찰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위치에서 연결가능하나, 하우징까지 제한된 범위로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하우징과 압력판 사이에 축방향으로 인장상태에 있는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있고,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한측면에서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릴리이즈베어링의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고, 다른 한측면에서 압력판 및 플라이휠과 같은 카운터압력판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는 클러치디스크의 방향으로 압력판을 편향하고, 하나의 조정장치가 클러치디스크의 라이닝에서의 마모를 보상하도록 구성된다.
일정압력의 다이아프렘 스프링을 통해서 압력판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작용력을 편향시키는 자동 조정장치가 DE-OS 29 16 755 및 DE-OS 35 18 781로 알려져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는 조정장치는 압력판과 접촉압력부의 다이아프렘 스프링 사이에 장착되어 작용한다. 접선방향으로 장착된 판스프링에 의해 압력판과 하우징 사이의 분절식 연결로 인해(판스프링력의 방향은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접촉압력의 방향을 향하므로 판스프링력은 비교적 약하다.), 비교적 질량이 무거운 압력판은 마찰클러치가 분리될 때 축방향으로 진동하며, 따라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압력판이 클러치디스크에 연결되어 클러치가 더 이상 분리상태가 아닐 때가지, 조정장치는 클러치개방상태에서 조정기능을 수행 하므로 클러치기능이 손상될 뿐만 아니라 클러치는 안전상 위험해진다. 이같은 이유로 해서 이같은 조정장치는 실제로 성공적이지 못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같은 단점을 제거하는 것이며 실제로 널리 사용되며 거친 작업중에도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종류의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조정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신뢰할만한 안전기능을 가지며, 작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며 생산하기가 경제적인 것이다. 또한 요구되는 분리력은 작고, 사용수명에 걸쳐서 분리하중이 작게 유지되고, 마찰클러치의 수명은 더욱 증가된다.
본 발명에 따라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서 하중을 받는 압력판이 구성된 마찰클러치가 제공되며, 이때 접촉압력은 한 측면이 하우징과 같은 구성부품위에서 받쳐지며, 다른 한 측면이 원형구조로 하우징에 구성되는 회전 베어링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서 발생되며, 하우징과 다이아프렘 스프링 사이에는 마모에 의존하여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하우징측면상에서 지지패드를 이동시키고, 공급 메카니즘(feed mechanism)에 의해 더욱 이동가능하고, 자동으로 작동하는 조정장치가 있으며,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회전베어링의 방향으로 지지력을 받게 된다. 이같은 지지력은 영구적인 것이어서, 하중구속 결합함으로, 즉 키이(key)구조의 결합장치에 의해서가 아니라, 스프링 작용력을 통해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분리하중에 대해 지지된다. 다이아프렘 스프링은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작동영역에 걸쳐 하강특성곡선을 가지게 설치되며 즉 지지력과 다이아프렘 스프링 하중은 서로 매칭(matching)이 이루어져,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상기 설치위치에 의해서, 그리고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원주모양(conicity)내에서 마모에 따른 상태변화를 겪지 않고,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분리경로에 걸쳐서, 지지력이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가해진 하중 및 지지력의 반작용보다 크고,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원추모양 마모상태 변화에 의해,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분리경로중 일부영역에 대한 지지력이 지지력에 대해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가해진 작용력보다 작다. 지지력(지지작용력)은 단일 스프링 요소 또는 스프링요소 시스템에 의해 가해질 수 있다. 여기서 지지력(supporting force)은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가해지는 모든 스프링 작용력의 합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크기를 확인할 수 있는 한, (토오크전달 또는 상승) 상기 작용력은 판스프링을 통해서 작동되는 작용력, 라이닝서스펜션 또는 그 대체물의 잔류 서스펜션등이 해당된다.
적어도 지지력의 대부분이 가해지는 에너지 저장장치는 조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는 스프링, 예를 들면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지지력을 가하는 에너지저장장치는 판스프링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력을 가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은 가령 하우징측면위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지지부의 방사상의 높이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만약 조정장치가 다이아프렘 스프링과 하우징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장착된다면 특히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조정장치는 특히 경사구조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서, 마찰클러치의 사용수영동안 다이아프렘 스프링은 마찰클러치가 연결되어 있을 때, 항상 동일한 코니시티와 인장상태를 유지하며, 마찰라이닝, 압력판 자체 또는 하우징 또는 압력판측면에서의 지지체와 다른 요소, 다이아프렘 스프링 또는 플라이휠, 디스크의 마찰면에서의 마모와는 무관하게 압력판과 클러치 디스크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작용력 편향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 압력판의 질량은 조정장치의 질량에 의해서 증가되지 않는다. 디스크에서 발생하는 마모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되고 마찰열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영역내에 상기 조정장치가 수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클러치의 특별시 바람직한 설계를 보면, 접촉압력식의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두 개의 지지패드 사이에서 회전운동을 위해 지지되며, 두 개의 지지패드들중에 압력판을 향하는 지지패드는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방향으로 스프링하중을 받고, 클러치의 분리시,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스프링 하중을 받는 지지패드상에 작용하는 하중은 마찰 라이닝(linings)상에서 마모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다음에 스프링 하중을 받는 지지패드에 작용하는 지지력 또는 반작용력 보다 커지게 된다. 이에 의해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특성곡선을 보면, 마찰클러치내의 구성상 규정된 설치위치로부터 출발하여, 라이닝 마모에 의해 조건이 정해진 이완방향에 의해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 및 소요분리하중이 먼저 증가하고, 규정된 설치 위치와 관련한 추가의 변형되거나 인장된 위치에 의해 다이아프레스프링에 의해 가해진 하중은 분리과정중에 감소한다. 접촉압력식의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상기 설계와 배치를 통해서, 라이닝상에 마모가 발생할 때, 클러치분리시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지지패드에 가해지는 작용력과 스프링하중을 받는 지지패드에 작용되는 반작용력 사이에 항상 균형이 이루어진다. 왜냐하면, 지지패드상에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이 지지력을 초과할 때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센서스프링을 하우징을 향하는 지지패드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고, 조정장치가 공급메카니즘(feed mechanism)의 작용력에 의해 추가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스프링에 의해 발휘되는 작용력이 더 이상의 회전과 지지패드의 더 이상의 축방향 이동을 막을 때까지 지지패드의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미 논의된 바와 같이, 만약 접촉압력식의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마찰클러치내에 설치되면, 바람직하게는 마찰클러치의 전체분리영역과 적어도 분리영역의 일부에 걸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감소되는 V하중 특성곡선을 가진다. 접촉압력식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설치위치를 보면, 마찰클러치의 분리상태에서, 접촉압력식의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사인파모양의 하중 - 경로 곡선의 최소점에 도달하거나 이를 초과하도록 한다.
스프링 하중을 받는 지지패드에 가해지는 반작용력은 적어도 제안된 조정영역에 걸쳐서 일정한 하중을 가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마찰클러치에서 사전에 인장상태로 치되고, 적절히 설계된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적합하고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정장치는 방사상의 외측영역에서 압력판을 편향시키고, 방사상 내측영역에서 그리고 하우징에서 두 회전식 지지패드 사이에 장착되는 접촉압력식의 다이아프렘 스프링을 갖는 마찰클러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다이아프렘 스프링은 이중-아암(double-aramed lever)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이아프렘 스프링 스프링 작동부의 형태로 성형된 분리레버를 갖는 다이아프렘 스프링으로 구성된 마찰클러치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가령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추가의 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다른 클러치 구조로 확장된다.
마찰클러치를 위한 최적 접촉압력 또는 마모를 만족스럽게 조절하기 위해, 스프링하중을 받는 지지패드로부터 떨어져 있고,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측면에 구성된 카운터 지지패드는 압력판의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이동이 가능하지만, 조정장치에 의해 반대방향으로는 자동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구속된다. 하우징을 향하는 지지패드의 조정은 압력판을 향하거나 또는 접촉압력식의 다이아프렘 스프링을 향해서 상기 카운터 지지패드를 편향시키는 에너지저장요소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카운터 지지패드는 라이닝상의 마모를 통해 상태가 결정되고, 스프링에 의한 편향이 이루어지는 패드의 이동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 접촉압력식의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회전베어링에는 유극이 없게 된다.
카운터지지패드는 접촉압력식의 다이아프렘 스프링과 하우징 사이에 구성된 조정장치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서 하우징은 적어도 마찰 클러치 연결상태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편향된 링모양의 구성부품으로 구성된다. 마모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클러치분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링모양의 구성부품을 회전시키므로써 라이닝의 마모에 따른 회전 베어링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조정장치 또는 상기 조정장치의 링모양의 구성부품은 축방향으로 상승되는 경사부를 가질 수 있다. 더구나 카운터지지패드가 와이어링(wire ring)에 의해 형성되어 링모양의 구성부품이 카운터 지지패드를 지지하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링은 링모양의 구성부품에 원주방향 링요홈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키이연결(keyed engagement)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키이연결은 스냅끼워맞춤 연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경사부는 조정을 위해 원통형 또는 볼(ball)모양의 회전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경사부가 경사부의 경사각을 적절히 선택하므로써, 경사부가 축방향 응력(stress)을 받을 때 자동체결(self-locking)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경사부가 상응하는 카운터경사부와 상호작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경사부를 지지하는 구성부품과 하우징 사이에 장착될 수 있는 링모양의 구성부품에 의해 카운터 경사부가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간단한 구조가 하우징내에 카운터경사부를 끼워맞춤에 의해 이루어진다. 카운터경사부가 임프린팅(imprinting)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끼워맞춤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임프린팅가공은 하우징의 방사상 구성영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마찰클러치를 경제적으로 유리하게 생산하기 위해, 만약 조정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면 더욱더 바람직하다. 이같은 플라스틱 부분은 인젝션(injection)몰딩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가령 폴리아미드(polyamide)와 같은 열가소성 재료가 적절하다. 조정장치가 단지 최소량의 열효과에 노출되는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플라스틱의 사용이 가능하다. 더욱이 중량이 더욱 적어지므로, 질량관성 모멘트가 더 적게 발생된다.
본 발명 또다른 본 발명의 사상을 따라 조정장치의 구성을 보면, 조정장치는 프리휠(freewheel)과 같이 작동하나, 클러치분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 마찰클러치의 분리방향으로 관찰할 때 - 접속이 풀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자동체결(self-locking)이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을 위해 경사부 및 카운터 경사부는 축방향으로 4도에서 20도 사이인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경사각이 5도에서 12도 사이가 좋다. 경사부 및 카운터 경사부의 자동체결은 마찰연결을 통해서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자동체결은 포지티브 키이잠금(positive keyed locking)에 이루어질 수 있는데 가령 경사부들중 하나는 매끄러운 단면을 가지고 다른 하나가 프로파일(profile) 단면을 가지거나 경사부 모두가 프로파일 단면을 가진다. 이에 따라 바람직하지 않은 리세팅(resetting)을 피하기 위한 어떠한 추가의 수단이 요구되지 않는다.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공급 메카니즘(feed mechanism)이 경사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품 및 카운터 경사부를 지지하는 하나의 구성부품 또는 경사영역을 조정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편향시키고 예비인장상태로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설계되는 것이 조정장치에는 유리하다. 스프링편향은 특히 다이아프렘 스프링 및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지지패드와 같이 다른 스프링의 기능이 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수행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만약 조정장치가 반경방향으로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조정변부(adjustment wedge) 또는 회전체(rolling body)와 같은 여러개의 이동가능한 조정부품을 가진다면 바람직할 수 있다. 만약 조정장치가 속도에 의존하면 더욱더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정장치의 개별요소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내연기관의 일정작동단계에서 조정장치를 동작시키거나 구속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조정장치는 특정속도로부터 원심력에 의존하는 수단에 의해 차단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작용은 적어도 아이들링(idling)속도 또는 아이들링속도 이하의 속도에서 발생될 수 있어서 마모조정작용은 저속에서만 발생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고속에서의 진동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어떠한 불필요한 조정도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조정장치에 대한 단순하며 기능적으로 신뢰할만한 구조가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 그리고 경사영역에 형성되고,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부품들이 스프링 인장에 의해 보장된다. 만약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고, 해당 경사부들 또는 경사영역들을 가진 해당 구성식품이 존재한다면, 상기 구성부품은 편향된다. 이에 의해서 만약 스프링인장이 원주방향으로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다이아프렘 스프링과 같이 디스크 스프링으로 설계된 센서프링이 축방향으로 고정된 하우징과 같은 구성부품위에서 반경방향으로 외측영역에 의해 지지되고, 반경방향으로 내측영역에 의해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진 지지패드를 편향시킨다면 마찰클러치의 구조 및 기능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지지패드는 센서프링과 일체로 구성가능하며, 센서 스프링이 역시 지지패드를 형성시키도록 한다. 인장된 위치내에서 센서 스프링을 유지시키기 위해 하우징이 지지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이들 지지영역들은 하우징에 부착된 개별적인 지지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영역들이 하우징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면 유익하며, 가령 오목부 또는 절단부 그리고 성형된 영역이 지지를 위해 센서 스프링 아래에서 축방향으로 속박되는 하우징상에 제공될 수 있다.
클러치 디스크에 예를 들어 DE-OS 36 31 863으로부터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소위 라이닝 서스펜션(lining suspension)이 만약 압력판과 카운터 압력판 사이에 제공되는 라이닝들을 가진다면, 분리하중 곡선 또는 필요한 최대 분리하중을 최소로 하기 위한 마찰클러치의 기능에 특히 바람직하다. 이같은 클러치 디스크의 사용은 특히 마찰클러치의 분리과정에 도움이 된다. 왜냐하면 마찰클러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인장된 라이닝 서스펜션이 압력판위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서 발생되는 작용력에 반작용하는 반작용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압력판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클러치가 분리될 때 압력판이 먼저 탄성적으로 인장된 라이닝 서스펜션에 의해 먼저 후방으로 하중을 받고, 동시에 분리영역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급강하는 특성곡선 부분에 의해 압력판에 대한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하중이 감소된다.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압력판위에 가해진 하중의 감소로 압력판위의 라이닝 서스펜션에 의해 가해진 리세트(reset) 하중도 또한 감소한다. 마찰클러치를 분리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요구되는 작용력은 라이닝 서스펜션의 리세트 하중과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접촉압력 사이의 차이로부터 발생된다. 라이닝 서스펜션이 이완되어 압력판이 라이닝으로부터 상승할 때 그리고 압력판을 통해 클러치 디스크가 구속해제될 때 요구되는 분리하중은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라이닝 서스펜션의 하중 - 경로 특성과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하중 경로특성은 서로 일치하여, 압력판에 의해 클러치디스크가 구속해제될 때 다이아프렘 스프링을 동작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하중이 보다 낮은 위치에서 있게 된다. 따라서, 라이닝 서스펜션 특성을 다이아프렘 스프링특성에 적용시키고 매칭(matching)시키는 것에 의해, 클러치 디스크가 압력판에 의해서 구속해제될 때까지, 나머지 출력을 극복하기 위해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매우 경미한 하중이 요구되고, 극한 경우 실제로 하중이 전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특성을 보면, 클러치 디스크가 구속해제될 때, 아직도 작용력이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한 회전운동을 억제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다이아프렘 스프링을 회전시키도록 요구되는 작용력은 마찰클러치의 연결상태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가해진 접촉압력과 비교하여 매우 낮게 설계될 수 있다. 압력판을 통해 클러치 디스크를 구속해제하는 순간에 클러치를 분리하기 위해 다이아프렘 스프링을 동작시키기 위한 하중은 매우 경미하거나 실질적으로 전혀 요구되지 않는 설계가 가능하다. 이와같은 마찰클러치의 작동하중은 약 0과 200N 사이에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압력판을 통해 클러치 디스크를 구속해제할 때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가해진 축방향의 작용하중은 영이고, 클러치 분리 과정이 계속되면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작용하중은 네가티브(negative)가 될 수 있고, 따라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작용 하중변화가 일어난다. 즉 마찰클러치가 완전히 분리될 때, 마찰클러치는 그 자체로서 개방된 채로 유지되며, 클러치 연결과정은 단지 외력에 의해서만 다시 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에 대하여 제한적으로 축방향 변위가 이루어지고,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압력판이 구성된 마찰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마찰클러치에는 하우징과 압력판 사이에 인장가능하고 압력판과 카운터 압력판 사이에 고정가능하고, 클러치 디스크를 향해 압력판을 편향(bias) 가능한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에 관계한다.
이러한 종류의 클러치는 공지되어 있다(DE-OS 24 60 963, DE-PS 24 41 141과 898 531, DE-AS 1 267 916).
또한 본 발명은 이들의 기능과 수단에 있어 마찰클러치를 개선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더 구체적으로, 마찰클러치 조작에 필요한 힘은 더욱 감소시키고, 실제의 일정한 분리하중 경로를 클러치 수명이 다할 때까지 보장한다. 본 발명의 마찰클러치는 간단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제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클러치디스크의 마찰라이닝상의 마모를 자동 보상할 조정장치를 제공하며, 다이아프렘 스프링을 통해 압력판에 균일한 편향하중을 제공하고, 마찰클러치가 분리될 때 조작수단의 조작경로 전체 또는 압력판의 분리경로전체에 걸쳐 마찰클러치 또는 클러치 디스크에서 전달될 수 있는 모멘트의 점진적인 저하를 가져오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에서, 마찰클러치가 연결될 때, 압력판과 카운터 압력판 사이의 마찰라이닝에 인장하중이 작용할 때, 마찰클러치에 의해 전달되는 모멘트의 점진적인 상승을 가져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마찰클러치에 있어서, 마찰클러치의 수명에 걸쳐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마찰클러치가 연결될 때 발생하는 인장하중을 사전에 가지고 또한 압력판에 편향하는 고정력을 제공한다. 더욱이, 클러치 분리시 마찰클러치가 전달하는 모멘트의 점진적 감소를 일으키는 또다른 장치에 의해, 요구되는 최대 분리하중 또는 하중경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장치가 마찰클러치 분리시 보조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장치는 조작수단 또는 다이아프렘 스프링 또는 압력판 또는 카운터 압력판상에서 반작용력을 가하는 축방향 탄성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반작용력은 압력판상에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직렬로 작용한다.
특히 바람직하게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편향된 압력판 영역의 축방향 변위경로 중에 일부에 걸쳐 마찰클러치 또는 클러치 디스크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모멘트의 점진적인 강하를 가져오도록 마찰클러치가 구성된다.
많은 경우 상기 장치는 작동장치에 구성된 회전베어링 또는 압력판과 예컨대 카운터 압력판 위에 고정되는 하우징의 스크류와 같은 고정점 사이의 하중유동경로에 구성될 수 있다.
많은 다른 경우, 상기 장치는 또한 작동장치에 구성된 회전베어링 또는 다이아프렘 스프링과 압력판이 마찰면사이의 하중 유동경로에 구성될 수 있다. 이런 조립체가 공지되었다(DE-OS 37 42 354와 DE-OS 1 450 201).
어떤 경우 서로 마주보게 설치한 클러치 디스크의 두 마찰 라이닝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구성되고, 예컨대, 라이닝 사이에 설치한 라이닝 스프링편을 통과하는 소위 라이닝 서스펜션(lining suspension)에 의해 상기 장치가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이 장치는 공지이다(DE-OS 36 31 863).
점진적인 모멘트 상승 및 하강이 이루어지는 공지된 다른 경우를 보면, 즉 DE-OS 21 64 297을 보면, 플라이휠(flywheel)은 두 개의 구성부품으로 설계되고 카운터 압력판을 형성하는 구성부품은 내연기관의 출력축에 연결된 구성부품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탄성을 가지고 지지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마찰클러치의 기능 및 구성을 보면, 장치가 클러치 구성부품들 사이에서 축방향 탄성특성을 허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장치가 장착 및 설계되어, 클러치 개방시 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이 최저수준이고, 클러치 연결에 따라 클러치 연결경로에 걸쳐 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이 점진적으로 최대로 상승하며, 상기 하중상승은 작동장치 또는 압력판의 연결경로 또는 클러치 연결경로의 일부에 걸쳐서만 발생한다.
마찰클러치에 의해 전달된 모멘트의 점진적 증가나 감소가 압력판의 축방향 최대 경로 또는 조작수단의 조작 경로의 40% 내지 70%에 걸쳐 일어나도록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응하는 경로의 나머지영역은 하중 유동을 적절히 분리하기에 필요하며, 클러치 디스크, 압력판 또한 카운터 압력판같은 클러치 구성부품에 대해 일어나는 변형을 보상하는데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클러치의 조작에 요구되는 힘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적어도 마찰클러치의 분리경로중 일부에 걸쳐서 감소 특성을 갖는 하중 - 경로 곡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즉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압축 또는 변형 경로중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감소특성이 하중곡선을 갖는다. 따라서 마찰클러치의 분리시 장치의 스프링 하중은 다이아프렘 스프링하중에 대해 반작용하며, 따라서 분리경로의 일부에 걸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예비인장이나 변형은 장치의 스프링 하중에 의해 지지되고, 동시에 분리영역에 존재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하중경로 곡선이 감소하는 결과로, 압력판 또는 마찰라이닝상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상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은 감소한다. 추가로 중첩되는 스프링작용이 없다면, 마찰클러치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하중국선은 장치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곡선과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곡선 사이의 차이로부터 상승하게 된다. 마찰라이닝과 클러치 디스크로부터 압력판이 제거되면 클러치 디스크는 압력판을 통해 분리되고, 분리하중 곡선의 나머지 부분은 주로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결정된다. 장치의 하중 - 경로 특성과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하중 - 경로 특성은 서로 조화하고, 따라서 압력판을 통해 클러치 디스크가 분리되면, 다이아프렘 스프링조작에 필요한 힘은 아주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압력판을 통해 클러치 디스크를 분리할 때까지 다이아프렘 스프링을 위해 매우 적은 조작력만이 필요하고, 극한의 경우 전혀 힘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특히 다이아프렘 스프링은 접촉압력식이 적합하고, 상기 다이아프렘 스프링은 한쪽측면에서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링모양을 가지는 회전 베어링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다른쪽 측면에서 압력판을 편향(bias) 가능하다. 다이아프렘 스프링은 원주방향으로 내향확장하여, 조작수단을 형성하기 위해 스프링 작동부들을 가지는 링(ring) 모양 몸체로 구성된다. 그러나 조작수단은 하우징상에서 회전운동용으로 설치된 레버(lever)로 구성가능하다.
마찰클러치내에 장착되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다른 형태의 스프링들에 의해 압력판에 접촉하중이 가해져서, 마찰클러치 연결시 상기 스프링들에 의해 가해진 하중은 최대가 되고, 마찰클러치 분리시 상기 하중은 감소된다. 상기 하중은 마찰클러치의 회전축에 대해 경사구조를 이루는 코일스프링의 위치설정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두 개의 지지패드 사이에서 하우징에 대한 회전운동을 위해 지지되고, 그 결과 소위 압축상태의 클러치를 형성한다면 바람직하다. 이러한 클러치에 의해 마찰클러치를 분리하기 위한 조작 수단은 압력판을 향해 정상적으로 편향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압축형(depressed type) 클러치에 제한되지 않으며, 마찰클러치 분리를 위한 조작수단이 압력판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편향되는 인장형(pull- type)클러치 구조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마찰클러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을 가지며, 다이아프렘 스프링은 사인(sine) 곡선형태의 하중 - 경로 곡선을 갖도록 설계되고, 조작위치는 마찰클러치 연결상태에서 제1최대 하중을 따르는 감소특성 곡선영역 상에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마찰스프링에서 제1최대하중 및 다음의 최소하중 사이의 하중 비율이 1:0.4 내지 1:0.7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마찰클러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스프링단부와 같은 조작수단위에 연결되는 분리시스템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분리장치는 차량내부에 장착되고 가속페달과 같이 설계되는 클러치페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어나는 다디아프렘 스프링의 최대하중이 감소되는 구성부품과 구성부품의 소요강도를 감소가능하고,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분리하중을 감소시키면 클러치와 분리 장치상의 마찰손실 및 탄성손실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마찰 클러치와 분리장치 효율이 크게 개선된다. 따라서 전체 장치를 적절한 방식으로 설계할 수 있고 클러치 안전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계는 일반적으로 마찰클러치 특히 다음의 공지된 마찰클러치들(DE-OS 29 16 755, DE-PS 29 20 932, DE-OS 35 18 781, DE-OS 40 92 382, FR-OS 2 605 692, FR-OS 2 606 477, FR-OS 2 599 444, FR-OS 2 599 446, GB-PS 1 567 019, US-PS 4 924 991, US-PS 4 191 285, US-PS 4 057 131, JP-GM 3 25026, JP-GM 3-123, JP-GM 2-124326, JP-GM-1-163218, JP-OS 51-126452, JP-GM 3-19131, JP-GM 3-53628)에서 이용될 수 있다.
라이닝 마모에 대해 독립적이고 자동으로 보상이 이루어지는 마찰 클러치의 사용-그리하여 클러치 디스크의 일정한 인장력이 클러치 수명전체에 걸쳐 보장되는-은 마찰크러치, 클러치 디스크 및 플라이휠과 같은 카운터 압력판이 조립품 유니트 또는 모듈을 형성하는 클러치 조립품에 유리하다. 상기 조립품유니트를 이용하면, 비용측면에서 예를 들어 용접 또는 키이연결(keyed engagement)과 같은 소형변형에 의해 비분리형 결합(non-detachable connection)에 의해 하우징이 카운터 압력판과 연결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런 변형을 통해서 나사 같은 종래의 고정수단이 불필요해 진다. 이러한 조립품 유니트에 의해, 실제로 클러치 하우징과 같은 구성부품의 파괴없이 마모한계를 초과할 때 클러치 디스크나 라이닝을 교체할 필요가 없다. 마모-조정 클러치를 사용하면, 조립품 유니트를 설계할 때, 차랑전체 수명에 걸쳐 만족스런 기능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런 설계에 의해 클러치 수명 및 조립품 유니트의 수명이 차량의 수명과 조화할 수 있는 정도의 대형치수를 가진 마찰클러치나 클러치 모듈의 조정한계 및 클러치 디스크의 마모한계를 정할 수 있다.
또다른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면, 마모 조정장치를 가진 마찰클러치가 소위 트윈 매쓰 플라이휠(twin mass flywheel)과 결합되어 있고, 기어박스와 연결가능한 플라이휠 위에서 클러치 디스크를 삽입하여 마찰클러치의 장착이 이루어지고, 제2 플라이휠은 내연기관 출력축과 연결가능하다. 마찰클러치를 쓸 수 있는 트윈 매쓰 플라이휠은(DE-OS 37 21 712, 37 21 711, 41 17 571, 41 17 582 및 41 17 579)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의 응용은 본 발명에 속하며, 따라서 그 특징들은 본 발명에서 설명한 특징과 어느 방식으로든 결합시킬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클러치 하우징은 DE-OS 41 17 579에 공지된 바와 같이 파손없이는 구속해제할 수 없는 체결부를 통하여 지지가 이루어지는 플라이휠에 연결할 수 있다.
라이닝 마모의 보상이 이루어지는 장치를 가진 마찰클러치를 사용하여 클러치 설계를 이상적으로 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클러치 디스크에 대한 인장하중을 제공하는 에너지저장 장치가 구성된다.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는 실제로 원하는 토오크를 전달하기에 필요한 클러치 디스크에 대해 고정력만 제공하도록 설계한다. 에너지 저장장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 또는 수개의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트윈 매쓰 플라이휠과 결합된 자동조정 마찰클러치의 사용이 유리한데 두 개의 플라이휠 사이에 장착된 회전형 탄성 댐퍼가 클러치 디스크의 반경방향 외측에 또는 기어박스와 연결할 수 있는 플라이휠의 마찰면의 외부마찰직경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상기 형태의 플라이휠에 의해,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직경은 종래기술을 따르는 클러치 디스크의 보다 훨씬 작고, 따라서 접촉압력은 평균 마찰반경 비율에 따라 증가하고 그 결과 정격 엔진토오크를 전달할 수 있다. 종래기술의 클러치를 사용하면, 이것은 분리하중의 증가를 유도한다. 분리경로에 걸쳐서, 클러치 디스크가 전달하는 토오크의 점진적인 감소와 함께 마모-조정 클러치에 의하여, 분리하중의 강하되고, 분리하중의 증가를 피할 수 있는, 심지어 마찰클러치를 설계 가능하며, 종래기술을 따르는 클러치와 비교하여 분리하중의 감소가 가능하다.
마찰라이닝의 외경감소와 접촉압력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마찰클러치의 설계에 의해 분리하중을 낮게 유지할 수 있다. 더낮은 분리하중에 의해 두 개의 플라이휠이 서로 회전운동을 하는 구름 베어링의 변형(strain)이 역시 감소한다. 더욱이, 마모조정에 의해 클러치 수명이 증가하고, 따라서 구성부품 특히 자동차 사용동안 클러치 디스크의 교체가 더 이상 필요치 않다. 따라서 클러치 하우징은 리벳 조작 또는 용접에 의해 기어박스에 고정 연결시킬 수 있다. 종래방식에서 나사를 통해 기어박스면에 있는 플라이휠에 클러치 하우징을 연결할 수 없는 클러치 벨(bell)을 위한 제한된 윤곽 또는 설치에 적합한 제한된 공간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연기관의 출력축상에 마찰클러치와 플라이휠로 구성왼 클러치 유니트를 종래기술에 따라 고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라이닝에 대한 마모를 조정하는 일체형 장치가 설치된 마찰클러치에 있어서, 축방향, 비틀림(torsional) 및 트위스팅(twisting)진동이 크랭크축 같은 내연기관의 출력축에 의해 발생하며, 클러치 유니트에 전달된다. 그리하여 클러치 유니트와 조정장치는 상기 진동에 의해 기능손상을 받지 않고, 마모 보상장치에 발생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조정을 억제하여, 이 장치에 작용하는 구성부품의 관성력은 조정장치의 설계시 고려되어야 한다. 축방향 및 비틀림 진동을 통해 일어나는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그리고 라이닝 마모를 보상할 조정장치 설계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정장치를 갖춘 클러치 유니트가 내연기관의 출력축에 의해 발생되는 축방향 진동 및 굽힘(bending) 진동으로부터 분리된다. 클러치 유니트가 내연기관의 출력축과 함께 축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구성부품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내연기관의 출력축에 의해 클러치 유니트위에 생긴 축방향 및 비틀림 또는 굽힘 진동이 일정한도까지 감쇄되고, 탄성을 가지는 구성부품에 의해 억제가능한 강성을 구성부품이 가져서, 만족할만한 마찰클러치의 기능 특히 마찰 클러치의 조정장치가 확실한 역할을 한다. 상기 형태의 탄성구성부품은 EP-OS 0 385 752 및 0 464 997 및 SAE 기술논문 9 003 91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공지문헌도 본 발명의 내용에 속한다. 탄성구성부품을 사용하면, 클러치 하우징 - 특히 분리된 마찰 클러치에서 - 에 대하여 압력판의 축방향 진동, 판스프링의 진동 또는 플라이휠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마모조정을 피할 수 있다. 특히 축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디스크내에서 적어도 진동 억제장치가 없는 클러치 조립품 또는 클러치 유니트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형태의 진동은 클러치원판 마모상태와 무관하게 수정된 조정상태를 만들고, 마찰클러치의 다이아프렘 스프링은 접촉압력하중에서 하중 최저점으로 하향 조정되고, 소요 모멘트의 전달은 더 이상 보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따르는 독립적이고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보상기능을 가진 독립적 혹은 자동 보상과 함께 마찰클러치를 특히 자동차용 구동유니트에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구동유니트는 예컨대 내연기관과 같은 구동모터와 적어도 기어박스의 작동에 의존하여 제어될 수 있는 기어박스 사이에 장착된 마찰클러치와 자동 혹은 반자동 기어박스로 구성된다. 기어박스 조작시 이에 상응하여 조절된다. 마찰클러치는 선호적으로 완전 자동으로 작동한다. 마찰클러치의 자동 또는 완전 자동 작동이 DE 03 40 11 850.9에 공지되며, 상기 문헌은 요구되는 장치 및 작동방법에 관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다.
자동 또는 반자동 기어박스와 종래기술을 따르는 마찰클러치로 구성된 구동 유니트는 클러치 작동 및 클러치 작동에 요구되는 액츄에이터(actuator) 특히 피스톤 및 실린더 유니트 및 전기모터 등의 설계에 있어 문제가 된다. 종래기술의 클러치에 요구되는 비교적 큰 분리하중 때문에 대형 혹은 매우 강한 액츄에이터가 필요하다. 이것은 매우 큰 치수, 고중량과 고제작비용을 뜻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대형 액츄에이터는 관성 때문에 응답시간(response time)도 매우 느리다. 서보(servo)실린더를 사용하면, 가압 매체의 유동량이 많아지게 되며, 따라서 공급펌프 역시 대형으로 되어야만 비로소 상응한 마찰 클러치에 적합한 조작시간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한 제안(DE-OS 33 09 427)을 보면, 보상 기능의 스프링을 이용하여 클러치를 분리하기 위한 조작력을 감소시키고, 그 결과 소형 액츄에이터를 이용가능하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클러치의 경우 분리하중은 사용 수명 동안 크게 변동하며, 상기 분리하중은 신품의 경우 비교적 낮고, 라이닝 상에서 마모증가와 함께 사용수명동안, 증가하게 되며, 분리하중의 일부만이 보상기능의 스프링을 통해 강하된다. 모든 공차를 고려하여, 보상기능의 스프링을 사용하는데도 불구하고, 요구된 액츄에이터의 분리능력이 종래기술을 따르는 신품 클러치를 위한 분리능력보다 커진다. 모터와 자동 또는 반-자동 기어박스로 구성된 구동유니트와 라이닝 마모보상에 기능을 가지며 본 발명에 따른 마찰클러치를 사용하면, 분리하중은 상기 공지기술과 비교할 때 더 크게 저하될 수 있으며, 신품 클러치의 분리하중 경로 또는 상기 분리하중은 클러치의 전체 사용수명에 걸쳐 불변상태로 유지된다. 구동능력 또는 조작능력을 낮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액츄에이터 설계에 유리하고, 전체 분리 시스템에서 일어난 하중과 압력과 더 낮다. 구성부품의 마찰 또는 탄성에 의한 분리 시스템에서 일어나는 손실은 극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제1도 내지 48도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클러치조립품은 제한된 수치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나 축방향으로 변위발생이 가능한 하우징(housing)에 연결되는 압력판(3)과 하우징(2)으로 구성되는 마찰클러치(1)로 이루어진다. 압력판(3)과 하우징(2)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인장력을 받는 다이아프렘 스프링(4)은 하우징(2)에 의해 지지되는 링모양의 회전베어링(5)주위에서 회전가능하고, 하우징(2)에 고정되게 연결되며, 플라이휠(flywheel)과 같은 카운터 압력판(counter pressure plate)(6)의 방향으로 압력판(3)을 작동시키는 반면에, 클러치디스크(8)의 마찰라이닝(lining)(7)은 압력판(3)과 카운터 압력판(6)의 마찰면 사이에서 고정된다.
압력판(3)은 원주방향 또는 접선방향의 판스프링(leaf spring)(9)에 의해 하우징(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실시예를 보면, 클러치디스크(8)는 서로에 대해 2개의 마찰라이닝(7)을 제한된 축방향변위를 통하여 마찰라이닝(7)에 작용하는 축방향하중을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마찰클러치(1)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동안 점진적인 토오크 상승을 보장하는 소위 라이닝 서스펜션(10)을 갖는다. 마찰라이닝(7)이 클러치 디스크 위에서 축방향으로 단단히 끼워맞춤(fit)이 이루어질 때, 클러치 디스크(8)가 사용가능하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다이아프램 스프링(4)은 접촉 압력을 가하는 원형체(4a)로 구성되고, 이로부터 스프링 작동부(4b)가 내측반경방향으로 돌출한다. 다이아프렘 스프링(4)은 반경방향의 외측영역에 의해 압력판(3)을 편향시키고, 반경방향의 내측영역에 의해 회전베어링(5) 둘레에서 경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회전베어링(5)은 두 개의 지지패드(11, 12)를 가지고, 그 사이에 다이아프렘 스프링(4)이 축방향으로 고정되거나 죄어진다. 압력판(3)을 향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4)의 측면에 구성되는 지지패드(11)는 하우징(2)을 행해 축방향으로 하중을 받게 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지지패드(11)는 하우징(2)위에서 외변부(13a)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고 지지되는 센서 스프링(13)의 일부가 되는 반면에, 반경방향의 내측위에 몰딩(moulding)으로 구성되는 지지패드(11)는 작동상태의 다이아프렘 스프링(4)을 향해 그리고 하우징(2)을 향해 하중을 가한다. 압력판(3)과 작동중인 다이아프렘 스프링(4)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구성되는 센서스프링(13)은 링모양부(13b)로 구성되고, 링모양부(13b)의 내변부는 지지패드(11)를 구성하고, 내측반경방향으로 구성되는 설형효소(tongue)로 확장구성된다.
센서 스프링(13)을 지지하기 위해, 하우징(2)과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외변부(13a) 사이에는 베이요네트(bayonet) 구조의 체결장치가 구성된다.
센서 스프링(13)은 기정의 작동경로에 걸쳐 적어도 대략적으로 일정한 힘을 발생시키는 센서(sensor) 기능의 스프링으로서 설계된다. 스프링 단부(4c)에 작용하는 클러치 분리력은 상기 센서 스프링(13)에 의해 파악되는 반면에 지지패드(11)에 가해진 분리기능의 작용력과 지지패드(11) 상에서 센서 센서 스프링(13)에 의해 가해지는 반작용력 사이에는 적어도 카운터 밸런스(counter balance)가 존재하게 된다. 분리 작용력 또는 분리력은 마찰클러치(1)의 작동시 설형요소(13c)의 분리 영역 또는 스프링단부(4c) 사이에 작용하는 최대작용력을 의미한다.
하우징의 측면에 위치하는 지지패드(12)는 조정장치(16)에 의해 하우징(2)에서 지지된다. 이 조정장치(16)에 의해 압력판(3)과 카운터압력판(6)을 향해 지지패드(11)(12)를 축방향 변위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지지패드(12)와 하우징(2) 사이 그리고 지지패드(12)와 다이아프렘 스프링(4) 사이에는 유극(play)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마찰클러치(1)의 작동시 유극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마찰 클러치(1)는 최적효율과 소요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패드(11)(12)의 축방향 변위는 압력판(3)과 카운터압력판(6)의 마찰면마모 그리고 마찰라이닝(7)의 마모시 일어난다.
조정장치(16)는 조정링(A16)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정링(A16)은 조정장치(16)의 주변부에 분포되어 있고 원주방향으로 확장구성되고 축방향으로 상승구조를 이루는 경사부(18)로 구성된다. 조정링(A17)은 마찰클러치(1)내에 설치되어, 경사부가 하우징 평면부(2a)를 향한다.
조정링(A17)은 조정이 이루어지는 회전방향 즉, 원주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으며, 또한 경사부(18)가 하우징 평면부(2a)속에서 카운터경사부(counter ramp)(24) 위로 상승할 때, 압력판(3)을 향하여 조정링(A16)의 축방향 변위가 발생한다. 이것은 조정링(A16)이 축방향을 향해 하우징 평면부(2a)로부터 벗어남을 의미한다.
회전베어링(5)과 조정장치(16)로 구성되는 추가실시예의 자동조정기능이 도 17부터 도 48까지 상세히 기술된다.
클러치조립품은 스프링작동부(4b)로 구성된 마찰클러치(1)의 분리장치가 축방향으로 유극(play)없이 작동가능하고 또한 클러치접속경로(21)를 통해 변위발생이 가능한 보상장치(20)를 포함한다. 보상장치(20)는 릴리이즈베어링(22)과 스프링단부(4c) 사이에 설치된다. 릴리이즈베어링(22)은 개략도에서와 같이 마찰클러치(1)를 조작하기 위해 안내튜브(23)상에 축방향으로 변위를 발생시킨다. 안내튜브(23)는 기어박스 하우징(도면에 없음)으로 지지되며, 클러치 디스크(8)가 회전하지 못하게 끼워맞춤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어박스 압력축을 포함한다. 릴리이즈 베어링(22)의 축방향이동에 필요한 하중은,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박스 측면상에 장착가능한 릴리이즈 포크(fork)에 의해 구성되는 포크연결부(24)에 의해 가해진다. 그러나 릴리이즈 베어링(22)은 또한 유압식 또는 공압식으로 작동가능하며, 작동유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는 피스톤 및 실린더 유니트로 구성된다.
보상장치(20)는 도 2와 도 3에서 확대하여 나타내었고, 도 4와 도 5에 나타나는 조정링(A20)으로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조정링(A20)의 원주둘레에 배열되고, 원주방향으로 확장구성되며, 축방향으로 상승되고 축방향구조를 가지는 두 개의 경사부(26, 27)세트로 조정링(A20)이 구성된다. 제5도에서 보는 것같이, 조정링(A2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사부(26)는 조정링(A20)의 외부에 위치하 경사부(27)와 원주방향으로 오프셋(off-set)되고, 즉 경사부길이의 또는 1개의 경사부 부분으로서 오프셋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것같이, 스프링단부(4c) 상에 놓여 있는 단부면(25a)에 의해 조정링(A20)이 지지된다. 경사부(26, 27)는 스프링작동부(4b)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조정링(A20)은 원주방향 즉 조정이 이루어지는 회전방향 따라서 도 6 및 도 7에서 상세히 도시된 지지링(S20)에 구성된 카운터 경사부(counter ramp)(28, 29) 상에 경사부(26, 27)가 겹쳐질 때, 압력판(3)을 향해 조정링(A20)의 축방향변위를 일으키게 되는 방향으로 스프링-하중을 받으며, 이것은 축방향으로 릴리이즈 베어링(22)이 이격됨을 뜻한다.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것같이, 유사하게 카운터 경사부(28, 29)는 두 세트의 경사부를 서로에 대해 원주방향 또는 각 방향으로 형성한다. 지지링(S20)에 구성된 카운터 경사부(28, 29)와 조정링(A20)에 구성된 경사부(26, 27)는 서로 일치되어 축방향으로 결합된다. 원주방향으로 오프셋(off-set)된 경사부에 의해 조정링(25)과 지지링(30) 사이에 만족스런 중심안내작용이 가능케 된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보상장치(20)를 구성하는 조정링(A20)과 지지링(S20)은 서로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설치된다. 지지링(30)의 카운터 경사부(28, 29)의 경사각(31)(도 7)은 조정링(A20)의 경사부(26)(27)의 경사각(32)(제5도)와 일치한다. 지지링(S20)은 하우징(2)에 고정되어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한편 제한된 수치로 클러치 접속경로(21)에 걸쳐 축방향으로 변위를 발생가능하다. 축방향 제한기능은 마찰클러치(1)의 연결상태에서 하우징 평면부(2a)의 내측반경방향과 인접하는 지지링(S20)의 반경방향의 지지링구성부(33)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작용은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작동부(4b)에 의해 이루어진다. 마찰클러치(1)의 분리시, 스프링작동부(4b)와 이격상태로 지지링(S20)의 측면상에 구성되고, 직경영역(35)내에서 릴리이즈베어링(22)에 의한 작용이 금속성형부(34)를 통해 축방향 제한이 이루어진다. 유사하게 상기 금속성형부(34)는 경로제한장치(36)로 구성되고, 마찰클러치(1)의 분리시 상기 경로제한장치(36)는 하우징 평면부(2a)의 반경방향의 내부영역과 인접 가능하다.
실시예에 있어서, 조정링(A20) 및 지지링(S20)은 추가로 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내열성 수지로 제조된다. 상기 구성요소는 단순히 인젝션몰딩(injection moulding)에 의한 부품으로 제조가능하다.
경사부(26, 27)와 카운터 경사부(28, 29)은 원주방향으로 설계되어 상기 경사부(26, 27)와 카운터 경사부(28, 29)들에 의해 마찰클러치 사용수명동안 압력판(3)과 카운터 압력판(6)의 마찰면 및 마찰라이닝(7)위에 발생하는 마모를 조정하는 회전각을 허용한다. 경사부 설계에 따라 상기 회전각은 30도와 90도 사이의 값을 가진다.
구체예에서 도 3에 도시된 회전각(37)은 75도의 값을 갖는다. 경사부의 경사각(32)과 카운터 경사부의 경사각(31)은 각각 6도와 14도 사이의 값을 갖고, 특히 8도가 선호되는 반면에, 경사부의 경사각(32)과 카운터 경사부의 경사각(31)은 상기 경사부의 반경방향으로 변하는데, 주어진 회전각에 대해 동일한 높이차가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경사각(31, 32)이 직경증가에 따라 작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스프링 작동부(4b)가 라이닝 마모에 의해 릴리이즈베어링(22)과 하우징평면부(2a)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지는 순간, 하우징(2)에 대해 회전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지고, 조정링(A20)을 회전시키는 지지링(S20) 위에서 지지된다. 특히 도 3 및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코일스프링(38, 39)은 지지링(S20)에 구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채널(channel) 구조를 이루는 소켓(40, 41)내에 들어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코일스프링(38, 39)과 일치하는 상기 형태의 소켓(40)의 코일스프링(38, 39)의 원주의 1/2 이상에 걸쳐 확장구성되는 반면에, 도 3 및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슬릿개구부(42, 43)은 스프링작동부(4b)를 향하는 양측위에 남게 되고, 슬릿개구부(44, 45)는 스프링작동부(4b)와 이격된 위치의 지지링(S20)의 양측면에 남게 된다. 코일스프링(38, 39)은 지지링(S20)에 대한 소켓(40, 41)을 형성하는 면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코일스프링(38, 39)내에서 끼워맞춤이 이루어지도록, 부채꼴 모양의 소켓(40, 41)은 각각 코일스프링(38, 39)의 외경과 적어도 일치하는 삽입폭을 가진 삽입부(46, 47)가 구성된다. 코일스프링(38, 39)은 상기 소켓(40, 41)내로 경사구조를 이루는 삽입부(46, 47)를 통해 밀어넣어질 수 있다. 아직 느슨한 상태인 코일스프링(38, 39)이 상기 소켓(40, 41)으로 삽입된 후, 조정링(A20)은 지지링(S20)과 조립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조정링(S20) 위에 구성되고 동시에 코일스프링(38, 39)을 위한 지지영역을 형성하는 축방향의 노우즈(48, 49)가 각각 삽입부(46, 47)와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축방향 슬릿영역(50, 51)내로 삽입되는 반면에, 노우즈(48, 49)는 느슨한 상태의 코일스프링(38, 39)을 접촉가압하게 된다. 코일스프링(38, 39)의 느슨한 상태는 도 3에서 39a로 표시된다. 코일스프링(38, 39)의 다른 단부영역이 원주방향으로 존재하는 소켓(40, 41)의 바닥부(53, 53a)에서 지지된다. 코일스프링(38, 39)은 조정링(A20)과 지지링(S20) 사이에서 회전에 의해 예비 인장력을 받게 된다. 삽입부(46, 47)의 각도증가보다 큰 상태 회전각도를 회전한 후에, 조정링(A20)의 노우즈(48, 49)는 각각 슬릿개구부(44, 45)의 단부영역위에 축방향으로 놓여지게 되어, 조정링(A20)과 지지링(S20)은 경사부(26, 27) 및 카운터 경사부(28, 29)가 서로 접촉이 이루어질 때까지 조정링(A20) 및 지지링(A20)이 서로를 향해 이동가능하게 된다. 슬릿개구부(44, 45) 및 축방향의 노우즈(48, 49)가 서로 일치되어, 조정링(A20)과 지지링(S20) 사이에는 축방향으로 스냅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을 위해 축방향의 노우즈(48, 49)는 각각의 단부영역에서 반경방향으로 구성된 지지링(30)의 영역을 연결가능한 후크모양부(48a)로 구성가능하다. 조정링(A20)이 지지링(S20) 사이에 이루어지고 회전각(37)에 해당하는 추가의 상대회전운동을 통해 마찰클러치(1)의 새로운 상태에 해당하고 인장력이 작용하는 회전각(54)으로 코일스프링(38, 39)이 이동된다(도 3). 조정링(A20)과 지지링(S20)은 예를 들어 조정링(25)과 지지링(30) 사이에서 이루어지고 카운터 압력판(6)상에서 마찰클러치(1)를 연결한 후에 제거가능한 키(key) 구조의 체결장치에 의해 회전각(54)상의 위치에 고정될 때 보상장치(20)는 작동상태에 있게 된다. 특히 라이닝(lining)상에서 발생하는 마모를 보상하기 위한 조정각은 도 3에서 회전각(37)에 해당한다. 상기 회전각(37)을 회전한 후에, 축방향의 노우즈(48, 49)는 조정링(A20)의 조정방향으로 구성되는 슬릿 개구부(44, 45)의 단부영여고가 접촉한다. 상기 접촉위치에 해당하는 코일스프링(38, 39)의 인장위치는 도 3에서 부호(38a)로 표시된다.
마찰클러치(1)의 새로운 상태에서 축방향의 경사부(26)(27)와 카운터 경사부(28)(29)는 서로 축방향으로 맞물린다. 이것은 서로 상하에 위치하는 조정링(A20)과 지지링(S20)은 최소의 축방향 공간을 필요로 함을 의미한다.
구체예에서, 마찰클러치(1)의 분리방향으로 작동경로의 제한은 금속성형부(34)를 통해 가능하다. 도면에 없는 작동경로의 제한에 필요하고 하우징(2)과 상호작용하는 제한영역이 클러치접속경로(21) 예컨대, 마찰클러치(1)와 함께 회전하는 베어링상에 구성된다. 축방향으로 마찰클러치(1) 작동경로의 제한은 릴리이즈 베어링(22)용 안내튜브(23) 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정지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릴리이즈 베어링(22)은 스프링작동부(4b)에 의해 직접 작용이 이루어지며, 해당하는 보상장치가 릴리이즈 베어링(22)과 포크연결부(24) 사이에 설치된다.
릴리이즈 베어링(22)은 마찰클러치(1) 및 보상장치(20)의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예비 인장력으로 스프링작동부(4b)의 방향으로 작동된다.
도 2에서 도 4까지로부터 알 수 있듯이, 조정링(a20)은 반경방향으로 결합영역을 형성하는 내부캠(55)과 필요시 회전방지를 위해 다른 측면에서 하우징(2)이나 지지링(S20)과 접촉하는 구속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구속장치는 마찰클러치(1)나 보상장치(20)의 제작 및 조립과정에서 구성가능하고, 마찰클러치(1)가 카운터 압력판(6)상에 장착한 후 제거될 수 있다.
도 8의 상세도는 도 1과 도 2의 보상장치(20)의 하측부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8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상장치(120)와 하우징(102) 사이의 축방향제한기능은 클러치 연결 상태에서 금속성형부(134)와 일체로 구성된 후크아암(133)에 의해 이루어진다. 후크아암(133)은 압력을 받는 구성부품으로 작용하고, 하우징(102)을 통해 축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금속성형부(134)의 외부 모서리에 구성된다. 다이아프렘 스프링(104)과 마주보는 자유단부에서, 후크아암(133)은 다이아프렘 스프링(104)을 향하는 면과 하우징(102)의 뒤에서 반경방향으로 결합하고, 외측반경방향으로 구성되는 외향결합부(133a)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보상장치(120)상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104)에 의해 작용하는 축방향하중은, 플라스틱 지지링(130)의 후크아압(33)에 의해 정지장치가 형성되어, 도 2를 따르는 보상장치(20)보다 도 8의 보상장치(120)에 의해 더 큰 축방향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마찰클러치가 연결상태가 아닐 때에, 다이아프렘 스프링(4, 104)은 지지링(3, 130)위에서 설형요소에 의해 축방향지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클러치가 작동할 때 내부영역으로 이동시 상기 보상장치(20, 120)상의 축방향하중이 발생하게 된다. 판재금속으로 제조되는 금속성형부(134)는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거나 대칭을 이루도록 확장구성되는 것이 선호되고, 적어도 2개의, 선호적으로 3개 또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후크모양의 후크아암(133)이 구성된다. 금속성형부(134)의 두께는 지지되는 축방향하중에 의존한다. 플라스틱 재질의 지지링(130)은 금속성형부(134)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2에서와 같이, 후크아암(133) 사이에서 확장구성 되고, 클러치분리를 제한하며, 하우징(102)에 대하여 정지기능에 의해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아암단부(136)가 금속성형부(134)의 외측반경방향으로 구성된다.
도 9의 마찰클러치(201)의 세부구성부품은 도 1에 나타난 클러치의 우측하부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도 9는 하우징(202), 다이아프렘 스프링(204)용 회전 베어링(205), 조정장치(216) 및 보상장치(220)를 부분적으로 보여준다. 조정장치(216) 및 보상장치(220)는 도 1에서 도 8의 상세한 설명에 따라 제조되며, 독일 출원 제 P 43 06 505.8 호 및 제 P 42 39 289.6 호를 참고한다.
도 9의 나타난 실시예에 의하면, 조정링(217) 구조의 조정장치를 위해 회전방지장치(260)가 조정과 관련한 구성부품에 구성된다.
마찰클러치(201)가 연결된 상태가 아닐 때, 회전방지장치(260)에 의해 하우징(202)과 같은 다른 구성부품에 대한 조정링(217)의 정확한 위치가 보장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마찰클러치(201)가 새로 작동될 때, 조정링(217)이 영점위치로 이동하여 조정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회전방지장치(260)에 의해 보장되고, 다이아프렘 스프링(204)이 조정링(217)을 지지패드(212)에 대해 작용하지 않아도 상기 영점위치고정기능은 유지된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 즉, 마찰클러치(201)가 끼워맞춤상태가 아닐 때 도는 마찰클러치(201)가 신속한 처리를 위해 구성될 때,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다이아프렘 스프링(204)이 보상장치(220) 위에서 설형요소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되기 때문이다. 상기 지지작용에 의해 다이아프렘 스프링(204)은 센서스프링(213)에 압력을 가하여 조정링(217) 또는 하우징(202)로부터 축방향으로 상기 센서스프링(213)이 이격되고, 조정장치(216)의 축방향 인장하중이 더 이상 하우징(202)의 방향으로 보장될 수 없다. 회전방지장치(260)가 없다면, 조정링(217)의 변위발생이 가능하며, 마찰클러치(201)가 내연기관의 출력축에 장착될 때, 특히 클러치디스크의 마찰라이닝에서 발생하는 마모를 조정해 주는 소요 후퇴위치를 상기 조정링(217)은 갖지 않게 된다.
도 9에 있어서, 플라이휠상에 장착되는 마찰클러치와 일치하는 구성부품의 위치가 실선으로 표시된다. 아직 장착되지 않은 신규 마찰클러치에 구성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204) 및 센서스프링(213)의 위치가 점선으로 표시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마찰클러치(201)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정링(217) 또는 지지패드(212)와 다이아프렘 스프링(204) 사이에는 축방향공간 또는 에어갭(air gap)이 존재한다.
마찰클러치(201)를 위해 구성되는 조정장치(216)를 위한 회전방지장치(260)는 적어도 마찰클러치(201)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안전장치(261)로 구성되고, 마찰클러치(201)가 장착된 상태에서, 하우징(202)에 대해 회전이 이루어지게 지지되고, 회전운동에 대해 조정링(217)을 고정하도록 조정장치(216)와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 도 10에서와 같이, 외측에서 반경방향으로 조정링(217)에 연결되고 내측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204)을 향하고 하우징(202)측에 구성되는 정지장치(233)와 마찰클러치(201)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는 반경방향아암(262)이 개별적으로 안정장치(261)에 구성된다. 조정링(217)가 하우징(202) 사이에는 하중에 의한 체결이 이루어진다. 반경방향아암(262)은 판스프링의 형태이고 내부에서 내부링(263)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를 보면, 반경방향아암(262)과 조정링(217)은 나사체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반경방향아암(262)과 조정링(217)은 리벳(rivet)이음이 가능하며, 조정링(217)과 회전이 이루어지며 지지가 이루어지는 연결장치를 구성하도록, 플라스틱(plastics)제의 조정링(217)의 형태를 플라스틱(plastics)제의 가질 수 있다.
보상장치(220) 또는 보상장치(220)의 정지장치(233)는 하우징(202) 및 안전장치(261)의 축방향 고정부와 상호연결된 상태에서 클러치(201)를 조작하지 않을 경우 조정링(217)을 위한 브레이크를 구성한다.
클러치의 분리과정에서 안전장치(261) 또는 반경방향아암(262)의 제동작용 또는 고정이 해제되어 조정링(217)을 필요할 때마다 조정할 수 있다.
안전장치(261)나 판스프링 형태의 반경방향아암(262)이 낮은 탄성계수 또는 탄성강도를 축방향으로 갖지만 원주방향으로 탄성강도가 큰 것이 유리하다.
도 11의 조정링(317)에 관한 한 실시예에서 탄성아암(362)은 플라스틱제 조정링(317)에 직접 인젝션 몰딩(injection moulding)으로 구성된다.
도 10에서 보는 것같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탄성아암(362)은 원형링 구조에서 내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결가능하다.
도 12 및 도 13의 마찰클러치(401)가 금속판재의 하우징(402)과 하우징(40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제한된 수치만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판(403) 및 상기 하우징(402)과 압력판(403) 사이에 고정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으로 구성된다. 다이아프렘(404)은 하우징(402)에 대해 이중-아암레버로서 설치되며, 회전베어링(405) 속의 회전운동이나 굽힘운동을 위해 고정된다. 회전베어링(405)에 대해 반경방향의 추가 구성영역에 의해 압력판(403)과 플라이휠 사이에 고정될 클러치디스크(408)을 구성하는 마찰라이닝(407)의 방향으로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은 압력판(403)을 편향시킨다. 압력판(403)과 하우징(402) 사이의 토오크전달은 마찰라이닝(407)으로부터 압력판(403)을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예비 인장 하중을 받는 판스프링(409)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은 원형체(404a) 및 원형체(404a)로부터 내측반경방향을 향하는 스프링작동부(404b)로 구성된다.
회전베어링(405)에는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의 축방향으로 두 개의 지지패드(411)(412)가 구성된다. 지지패드(411), (412)는 도 1의 지지패드(11, 12)와 유사한 형태이며 같은 기능을 한다. 회전베어링(405)의 자동조정기능과 지지패드(411)(412)상에 작용하는 구성부품에 대하여, 도 1 및 도 17에서부터 도 48의 설명을 참조한다.
스프링작동부(404b)로 구성된 마찰클러치(401)의 분리장치는 보상장치(420)에 의해 축방향으로 운동하고, 그리하여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의 원추모양이 변화 가능하다. 보상장치(420)는 도 1에서부터 도 7의 보상장치(20)와 유사한 장치를 가진다. 자동조정식 릴리이즈 베어링을 가진 클러치 분리 시스템의 경우에는, 보상장치(420)는 필요치 않다. 이 종류의 클러치 분리 시스템에서 보상장치(420)는 클러치분리 과정중 클러치(401)와 함께 회전할 릴리이즈 베어링에 연결시킬 수 있다. 스프링작동부(404b)에 의해 형성된 클러치 분리장치의 과도한 분리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경로제한장치(436)가 클러치(401) 또는 하우징(402)상에 설치된다. 경로제한장치(436)는 스프링작동부(404b)를 축방향으로 지지하고, 따라서 보상장치(420)상에 작용하는 분리하중을 축방향으로 흡수하여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의 경로나 각도를 제한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하우징(402)의 내부에 링모양의 경로제한장치(436)가 구성되고 미리 계산된 클러치접속경로(421) 다음에서 스프링단부(404c)에 의해 연결된다. 경로제한장치(436)는 적어도 스프링작동부(404b)의 분리영역에 놓이도록 구성되고, 보상장치(420)의 직경은 상기 스프링작동부(404b)가 연결되는 직경이 되도록 설계한다. 경로제한장치(436)는 스프링작동부(404b) 또는 스프링단부(404c) 및 클러치디시크(408)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설치되었다.
경로제한장치(436)는 연결웨브(437)에 의해 하우징평면부(402a)에 연결된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6개의 연결웨브(437)를 제공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연결웨브(437)는 3개만 설치된다. 클러치 분리하중이 큰 클러치의 경우 더 많은 수, 예를 들어 9개의 연결웨브를 설치할 수 있다.
하우징 평면부(402b) 또는 하우징외측부(402a)로부터 구성되는 연결웨브(437)는 각각의 압력판(403) 또는 클러치디스크(408) 방향으로 내측반경방향을 향해 경사져 있다. 경로제한장치(436)는 하우징평면부(402b)에 대해 하우징(402)내부에서 오프-셋으로 설치하였다. 하우징 외측부(402a)와 연결웨브(437) 사이에 구성된 개구부(438)를 통해 스프링작동부(404b)가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작동부(40b)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연결웨브(437)의 구성경로에 대향하는 축방향을 향하는 길이 일부에 걸쳐 내향하도록 설치되었다. 도 13에서 보는 것같이, 스프링작동부(404b)는 개구부(438)에 각각 연결되고 3개씩 그룹(group)을 형성하고 있다. 각각의 그룹 사이에는 연결웨브(437)를 수용하는 슬릿(439)이 설치되었다. 슬릿(439)과 연결웨브(437)는 서로 일치하고 따라서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의 회전이 가능하다.
스프링작동부(404b)는 클러치(401)의 설치시 개구부(438)속으로 나사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도 12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이완상태에서 링모양의 경로제한장치(436)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스프링단부(404c)가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에 구성된다. 따라서 완전히 이완된 상태에서, 스프링작동부(404b)에 의해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은 축방향을 따라 하우징(402)의 개구부(438)로 가압된다. 플라이휠(flywheel)위에 마찰클러치(401)를 장착할 때,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이 회전하여, 스프링작동부(404b)에 의해 제한되는 내경(440)이 감소된다. 플라이휠에 마찰클러치(401)를 장착한 상태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은 작동위치를 가지고 스프링단부(404c)는 경로제한장치(436)의 외경(441)보다 작은 내경(442)을 형성한다. 회전운동시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은 하우징(402)상에 지지되고, 클러치접속경로(421)를 통과한 후에도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에 의해 형성되는 내경(442)이 경로제한장치(436)의 외경(441)보다 작게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이 구성된다.
축방향으로 최대한 제한되는 클러치접속경로(421)는 마찰라이닝(407)에서 발생하는 최대허용마모량에 도달 후에 그리고 마찰클러치(401)가 분리될 때 마찰클러치의 완전분리를 위한 경로를 가진다. 클러치내에서 자동으로 라이닝 마모를 보상하는 마찰클러치(401) 또는 센서스프링(413) 및 조정장치(416)를 설계할 때, 클러치 접속경로(421)를 완전히 통과한 후에 마찰클러치(401)가 다음작동을 하면, 회전베어링(405)은 축방향으로 오동작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경로제한장치(436)와 스프링작동부(404b) 사이의 상호작동은 다음의 예에서 설명한다:
구성상 존재하는 공차를 고려하면, 마찰클러치(401)의 분리경로는 8.4㎜에서 10㎜까지에 해당한다. 클러치의 다음작동이 이루어질 때, 분리경로가 14㎜ 이상일 때, 회전베어링(405)의 축방향조정 문제가 발생가능하다. 경로제한장치(436)의 설계 및 위치설정은 클러치의 다음작동이 이루어질 때, 경로제한장치(436)와 인접하는 스프링단부(404c)는 12.5㎜의 클러치접속경로(421)를 포함할 수 있게 한다. 스프링작동부(404b)가 경로제한장치(436)와 연결되고, 최대 분리하중을 제공할 때, 하우징(402)은 축방향으로 약 0.5㎜의 탄성운동이 가능하여 그 결과 전체 클러치접속경로(421)는 13㎜까지 가능하다.
마찰라이닝(407)에 있어서 최대라이닝마모량이 3㎜인 마찰클러치(401)의 사용수명동안,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은 회전베어링(405)을 클러치 디스크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3㎜만큼 이동시킨다. 사용수명이 끝날 때에는 클러치접속경로(421)는 13㎜에서 10㎜가지로 감소되며, 따라서 클러치분리시 경로는 8.4㎜에서 10㎜ 사이에 있다.
도시된 실시예를 보면, 경로제한장치(436)는 하우징(402)과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경로제한장치(436)는 하우징(402)에 연결되는 별도의 구성부품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웨브(437) 또한 별도의 구성부품에 의해 형성되며, 독립된 구성부품으로서 경로제한장치(436)와 일체로 구성가능하다.
도 12와 도 13에서 나타낸 마찰클러치(401)는 마찰클러치를 조작시 회전속도범위내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에 대한 지지력의 증가를 가져오는 장치로 구성된다. 지지력의 증가를 통하여, 마찰클러치(401)의 조작시 특정 속도 구역에서 생기는 감소인자에 의한 부적절한 조정작용을 방지할 수 있고, 축방향이동 증가가 마찰라이닝(407)상의 마모에 의한 것이 아닐 경우, 상기 부적절한 조정작용은 지지패드와 상호작용하는 센서스프링(413)의 예상치 않은 축방향 이동증가에 의해 발생된다.
도 12에서 속도나 원심력에 의존하는 설형요소(450)는 지지패드(411)상에 작용하는 축방향하중의 증가를 위해 설치한 것이다. 원심력에 의존하는 설형요소(450)는 센서스프링(413)의 외단부상에 몰딩(moulding)으로 구성되고, 하우징(402)을 향해 축방향으로 구성된다. 도 12a와 같이 센서스프링(413)은 도 12 및 도 13에서 처럼, 하우징(402)상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외측반경방향으로 구성되는 확장아암(413a)으로 구성된다. 확장아암(413a)과 이것을 축방향으로 지지할 하우징(402)의 축방향지지부(451)에 인접하여 베이오넷형 체결구(452)가 구성된다. 베이오넷형 체결구(452)를 설계할 때, 센서스프링(413) 및 하우징(402)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센서스프링(413) 및 하우징(402)의 상대회전운동에 의해, 확장아암(413a)은 하우징(402)에 구성된 축방향지지부(451)에서 축방향으로 놓여진다. 센서스프링(413)과 하우징(402)을 조립할 때, 또한 이들을 회전시키기 전에 센서스프링(413)은 먼저 축방향 탄성인장하중을 받고, 회전후에는 이완되며 따라서 확장아암(413a)이 하우징(402)상에서 예비인장 하중으로 지지된다. 도 12a에서 보는 것같이, 설형요소(450)를 확장아암(413a)의 양쪽측면중 한쪽에 설치한다. 클러치(401)의 회전과 설형요소(450)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예비인장하중에 의해 센서스프링(413)에 의해 가해진 힘과 중첩된다. 조작중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에 대한 지지력은 지지패드(411)구역에서 증가한다. 설형요소(450)에 의하여 지지패드(411)에서 발생한 하중은 속도증가와 함께 더 커진다. 상기 하중의 증가는 특정한 속도레벨에서 설형요소(450)가 설형요소(450)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변형되거나 회전되어, 설형요소(450)들은 하우징(402) 상에서 외향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며, 실제로 원심력에 의존하는 설형요소(450)에 의해 발생되는 추가의 지지력 증가가 지지패드(411)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지지패드(411)와 다이아프렘 스프링(404) 사이의 축방향하중비 또는 하중평형을 고려할 때, 토오크전달장치의 판스프링(409)을 고려해야 한다. 상기 판스프링(409)은 하우징(402)과 압력판(403) 사이에 예비인장상태에 놓일 수 있으며, 그 결과 마찰클러치(401)의 사용수명동안 압력판(403)이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에 대하여 판스프링(409)에 의한 하중으로 인장된다. 따라서 판스프링(409)이 제공한 축방향 하중은 압력판(403)에 대하여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이 제공한 반작용력으로 작용하고, 상기 판스프링(409)의 축방향 하중은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에 대해 센서스프링(413)이 가해준 축방향 하중을 더 받는다. 이 두 힘은 스프링 단부(404c)에 작용하는 클러치분리하중에 대해 축방향으로 반작용력으로 작용한다. 마찰클러치(401)가 회전하지 않을 때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의 축방향으로 반작용이 이루어지는 실제하중의 감지는 판스프링(409)과 센서스프링(413)에서 발생하고, 다이아프렘 스프링(404) 상에서 작용하는 결과력에 의해 형성된다. 마찰클러치(401)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결과력은 설형요소(450)에 의해 발생되는 속도의존 또는 원심력 의존하중과 중첩된다.
마찰클러치(401)의 조작중 압력판(403)의 클러치분리경로의 일부에서 클러치디스크(408)가 전달할 토오크의 점진적인 감소나 하강을 가져오는 라이닝서스펜션(453)으로 구성되는 클러치디스크(408)에 의해 설형요소(450)는 압력판(403)을 통해 클러치디스크(408) 또는 마찰라이닝(407)의 분리를 촉진하고, 조정링(417)에 대하여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의 축방향지지력을 촉진한다. 적어도 마찰라이닝(407)이 분리될 때까지, 조정링(417)은 다이아프렘 스프링(404)과 하우징(402) 사이에 축방향인장상태로 유지되며, 더 이상 조정작용은 일어나지 않는다. 마찰클러치(401)의 분리과정에서 압력판(403)이 마찰라이닝(407)에서 분리되고, 설형요소(450)가 없는 마찰클러치일때만 판스프링(409)와 센서스프링(413)을 통해 발생되는 결과력이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에 축방향인장력으로 작용한다. 상기 결과력은 스프링단부(404c)상에 가해지는 클러치 분리력에 대해 반작용력으로 작용한다. 특정 속도영역, 특히 엔진이 고속일 때, 엔진의 진동은 예컨대 압력판(403)의 축방향진동을 일으킨다. 상기 압력판(403)이 축방향으로 진동하면,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에서 일시적으로 분리되고, 다음에 결과력은 판스프링(409)에 의해 생긴 축방향하중이 더 이상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에 작용하지 않으므로 감소하게 된다.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의 하중과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에 작용하는 분리하중 그리고 결과력 사이에는 마찰클러치(401)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상에 작용하는 축방향지지력이 너무 낮은 상태에 있을 때에 조정장치(416)의 소요조정기능에 요구되는 하중비가 파괴되어, 마찰 클러치(401)는 조기에 그리고 원하지 않은 상태로 조정이 이루어지고,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의 작동위치는 최소로 이동된다. 추가로, 엔진에 걸리는 특정상태, 특히 엔진이 고속일 때 즉 크랭크축의 원주방향 가속도가 클 때, 상기 가속도는 조정링(417)의 관성에 의해 원주방향하중을 발생시키며, 조정링(417)과 하우징(402) 사이에서 작동하는 경사부(418, 419)에 의해 원주방향하중은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위에서 축방향 선분을 발생시키고, 상기 축방향성분은 상기 결과력과 반작용력으로 작용하여, 조정기능이 발생가능하다. 경사부(418, 419) 사이의 마찰접촉을 야기하는 진동이 감소되어 그 결과 원주방향으로 조정스프링(417a)이 작동하고, 조정링(417)위와 다이아프렘 스프링(404) 상에 작용하는 축방향하중이 증가되어, 바람직한 조정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찰클러치(401)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 12 및 도 13의 구체예, 원심력에 의존하는 설형요소(450)를 제공한다. 상기 설형요소(450)는 속도나 원심속도에 의존하며, 상승하고, 지지패드(411)에 의해 생긴 하중과 평행하게 전달되는 보조력을 발생하기 때문에, 속도에 의존하는 악영향을 보상한다.
상기 설형요소(450)를 구성할때, 라이닝마모에 요구되는 마찰클러치(401)내의 조정기능은 마찰클러치(401)가 정지 또는 저속일때만 가능하다. 마찰 클러치(401)가 임계진동수에 해당하는 속도 또는 그 이상으로 회전할 때, 조정장치(416)는 기능이 정지될 수 있다.
도 14의 마찰클러치(501)에 관한 구체예에서, 센서스프링(513)은 회전베어링(505) 내부에 설치한다. 센서스프링(513)은 링모양부(513b)의 방향으로 내향으로 확장구성된다. 링모양부(513b)를 통하여, 링모양의 경로제한장치(536)상에서 센서스프링(513)이 지지된다. 링모양부(513b)는 스프링단부(504c)와 마주보는 경로제하장치(536) 한면상에서 지지된다. 외측반경방향으로 기저체(513a)는 다이아프렘 스프링(504)을 축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해 다이아프렘 스프링(504)과 연결되는 설형요소(513c)를 가진다.
하우징(502)에 센서스프링(513)의 설치는 링모양부(513b)에 의해 형성되는 내경(540)이 경로제한장치(536)의 외경(541) 보다 클때까지 인장하중방향으로 스프링을 원추형으로 변형시키면 실현된다. 도 12 및 도 13의 개구부(438) 및 스프링 작동부(404b)와 관련하여 설명한 유사방법으로, 하우징(502)의 개구부(538)속에 링모양부(513b)를 공급할 수 있다. 링모양부(513b)가 개구부(538)속에 삽입된 후 센서스프링(513)이 이완되면 링모양부(513b)의 내측단부는 직경이 더 작은 쪽으로 이동되어 경로제한장치(536)에서 정지하게 된다.
하우징(502)위에 센서스프링(513)의 조립은 하우징(502)을 향하는 링모양의(513b)의 적어도 일부분을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루어지며, 다이아프렘 스프링(504)의 내경은 경로제한장치(536)의 외경보다 크다. 링모양부(513b)를 하우징(502)에 구성된 개구부(538)속에 삽입한 후 상기 링모양부(513b)를 구부려서, 링모양부가 경로제한장치(536)에 대해 예비인장상태를 유지하며 내측반경방향의 영역에서 정지상태에 놓인다. 링모양부(513b)를 구부리면 도 14의 점선 같은 위치로부터 회전하는 링모양부(513b)의 소성변형을 통해 실선위치로 간다. 링모양부(513b)는 소성변형시 스프링작동부(504b) 또는 스프링단부(504c)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링모양부(513b)를 구부리면 링모양부(513b)는 상기 다이아프렘 스프링(504)의 스프링작동부(504b)를 지지하고, 하기와 같이, 링모양부(513b)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링모양부(513b)는 직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경로제한장치(436, 536)는 상기 다이아프렘 스프링(404, 504)의 분리경로나 회전각을 결정하고, 상응한 마찰클러치(401, 504)에 결합하고, 또한 스프링작동부(404b) 또는 스프링작동부(504b)가 구성되는 영역에서 작동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스프링 작동부(404b, 504b)가 경로제한장치(436, 536)와 접촉할 때 스프링작동부(504b)는 축방향으로 변형되지 않으며, 경미하게 변형가능하다. 또한 스프링작동부(404b, 504b)는 마찰클러치(401, 501)의 분리위치에 상응한 위치에서, 클러치디스크(408)의 구성요소와 결합하지 않는다. 도 12에서 분리상태에 있는 클러치에 대응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의 위치는 점선으로 표시된다. 분리상태에 있는 마찰클러치(401)에서, 스프링작동부(404b)는 스프링작동부(404b)에 대해 상대회전운동을 하는 클러치디스크(408)상에 연결가능하다.
도 12에서부터 도 14까지의 도면에서 경로제한장치(436, 536)는 스프링단부(404c, 504c)가 구성되는 영역에 구성된다. 경로제한장치(436, 536)는 다른 형태가 가능하고, 스프링단부(404c, 504c)에 대해 외측반경방향을 향한다. 여기서 스프링단부(404c, 504c)와 외측반경방향을 향하는 경로제한장치 사이에는, 스프링단부(404b, 504b)의 과도한 굽힘작용이 스프링단부에 작용하는 분리하중과 경로제한장치를 통한 지지작용에 의해 발생하지 않도록, 반경방향의 레버아암이 구성된다.
상술한 구체예에서 과도한 분리경로는 스프링단부에 의해 발생하고, 분리장치에 의한 것이다. 이 분리장치는 클러치 페달과 같은 조작장치, 클러치 조작장치상에 작동하는 릴레이즈베어링으로 구성되며, 릴리이즈베어링과 조작장치 사이에 하중전달장치를 설치한다. 하중전달장치는 피동 실린더 및 구동 실린더로 구성된다. 피동 실린더 및 구동 실린더로 구성된 클러치 분리장치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과도한 분리경로가 형성되는데, 이것은 클러치의 신속한 연결 및 분리운동에 의해 피동 실린더는 신속하게 단부위치까지 복귀할 수가 없고, 따라서 다음에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제2분리운동에 의해 피동실린더는 사실상 정상적인 분리경로를 추종하지 못하면, 클러치에 대한 전체 분리경로는 정상적인 분리경로와 추종하지 못한 분리경로의 합이 된다. 마찰클러치에 대한 전체 작동경로는 마찰클러치의 최대 허용 분리경로를 상당히 초과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마찰클러치의 초과운동에 대한 여유치를 초과하게 된다.
본 발명의 경로제한장치(36)(436)(536)를 통하여, 마찰클러치 조작시 과도한 분리경로 및 초과운동을 방지할 수 있고, 반면에 클러치 사용수명동안 요구되는 정상적인 분리경로를 보장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어도 클러치디스크의 마찰라이닝의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장치를 가진 클러치의 경우 특히 클러치작동장치의 초과운동을 방지하는 클러치 작동장치내에 적어도 하나의 경로제한장치를 구성가능하다. 상기 형태으 경로제한 장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회전경로에 형성되는 회전베어링의 분리경로를 제한할 수 있다. 추가로 마찰클러치의 작동경로는 분리 및 연결방향 양쪽으로 경로제한장치와 같은 제한기능으로서, 주어진 일정치로 제한될 수 있다.
상기 형태의 제한기능은 회전베어링이 구성되는 영역에서 발생되는데, 상기 영역내에서 클러치의 스프링작동부와 같은 작동장치와 특정경로로 제한된 구성부품 사이의 공차의 합은 작다.
상기 형태의 경로제한장치 또는 제한기능에 의해 분리운동은 엄격히 제한되고, 과도한 변형(overstrain)이 특히 분리장치의 구성요소에 발생할 때, 발(foot)로 작동되는 장치에서 작동자에게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내용에 따르면, 분리장치내에서 압력을 제한하는 장치 또는 탄성을 가지는 장치는 마찰 클러치의 하중전달장치내에 구성되며, 이 장치는 예비인장력을 갖거나 또는 클러치 조작에 필요한 최대압력 또는 최대하중보다 다소 큰 최소변형 하중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경로제한장치가 작동할 때, 소요위치까지 클러치 페달을 누르거나 또는 작동모터가 누르는 운동을 수행가능하게 된다. 마찰클러치의 하중전달장치의 클러치 작동장치와 릴리이즈 베어링 사이에 설치하거나 또는 릴리이즈베어링과 클러치 페달 또는 분리모터와 같은 분리장치 사이에 설치한다.
도 15의 분리장치(601)는 클러치작동장치(604)와 하우징(602)상의 릴리이즈베어링(622)에 형성된 최대하중을 제한하는 장치를 보여준다. 도 1 및 도 2의 경로제한장치(36)와 유사하게 도 15의 릴리이즈베어링(622)이 하우징(602)과 연결 후, 축방향의 경로제한장치(636)를 설치한다. 분리경로에서 작용하는 제한기능은 도 12에서부터 도 14까지 설명한 것과 다른 방식으로 실행된다. 분리장치(601)는 구동실린더(650)와 파이프(652)에 연결된 피동실린더(651)로 구성된다. 피동실린더(651)의 피스톤(653)은 릴리이즈베어링(622)을 지지하고, 실린더 하우징(654) 속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압력실(655)은 파이프(652)를 통해 유압유를 공급받는다. 구동실린더(650)는 부피 변화형 압력실(658)을 피스톤(657)과 연결시킨 실린더 하우징(656)으로 구성된다. 압력실(658)은 파이프(652)에 의해 압력실(655)과 연결된다. 피스톤(657)은 전기모터나 펌프 혹은 클러치 페달에 의해 움직인다. 분리장치(601)를 구성하는 유압회로는 유압탱크(660)와 연결된다. 구동실린더(650)는 유압탱크(660)와 직접 연결되는 파이프(661)로 연결된다.
도 15에 있어서, 하우징(602) 또는 클러치작동장치(604)에 작용하는 클러치 조작력을 제한하기 위해, 클러치 조작시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유압회로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일정치로 제한하는 분리장치(601)에 구성된 유압회로에 구성된다. 도 15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압력제어밸브에 의해 구성된다. 도 15에 있어서, 압력제어밸브를 위한 다양한 구성예가 나타난다. 이 종류의 압력제어밸브(662)는 파이프(652)와 연결된다. 그러나 압력제어밸브(662) 대신에 하우징(654)으로 지지할 수 있는 압력제어밸브(664)가 구성가능하거나 압력실(655)과 연결되고, 귀환파이프(665)에 의해 유압탱크(660)에 연결되는 압력제어밸브(664)가 구성가능하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력제어밸브(666)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압력제어밸브(666)는 구동실린더의 압력실(658)과 연결되어 있고, 실린더하우징(656)에 의해 지지되거나 동시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압력제어밸브(666)는 유압탱크(660)로 귀환가능하다. 유압탱크(660)의 단부에는 압력제어밸브(666)와 자체파이프로 연결되거나, 파이프(661)로 연결될 수 있다.
압력제어밸브(667)의 또다른 구성을 보면, 구동실린더(650)의 피스톤(657)내에 상기 압력제어밸브가 구성된다. 압력제어밸브(667)는 유압탱크(660)와 연결된 팽창측에 구성되거나 또는 유압탱크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과부하에 대한 압력제어밸브 대신에 축압기가 유압회로의 중간에 제공되어 최대압력을 제한하고, 분리경로를 제한하도록 경로제한장치가 작동할 때, 축압기는 유압유를 공급하여 분리장치를 완화시키고, 버퍼(buffer) 또는 스프링식 축압기로서 작동하게 된다.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면의 설명과 연결되어, 클러치디스크(708)의 마찰 라이닝(707)에서 일어나는 마모를 자동작으로 보상하기 위한 조정장치(716)가 구성된다. 구체예에서, 조정장치(716)의 기본구조와 작동방법은 도 12와 도 13과 일치한다. 조정링(717)은 마찰클러치(701)의 클러치분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다이아프렘 스프링(704)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베어링과 제한영역(770)을 가진다. 다아이프렘 스프링(704)의 다이아프렘 스프링영역(771)과 관련된 제한영역(770)의 축구성은 클러치분리시 다이아프렘 스프링영역(771)이 직간접적으로 조정링(717)에 의해 지지되는 제한영역(770)과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작용은 스프링단부(704c)위에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의 회전각에 상응하여 또는 이상적인 분리경로(772)를 초과하여 도달할 때 실행된다. 상기 분리경로(772)의 초과는 부정확한 분리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한영역(770)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704)의 축방향 지지작용에 의해 조정링(717)이 바람직하지 못한 회전운동으로부터 보호된다. 따라서, 다이프렘 스프링(704)은 예정된 분리경로(772)를 초과한 조정링(717)에 대해 제동기능이 이루어진다.
구체예에서, 제한영역(770)은 회전베어링(705)의 외측면에 있는 조정링(717)에서 몰딩(moulding)으로 구성되고 링모양을 형성하는 확장아암(773)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링모양의 확장아암 대신에 원주상에 분포되어 있는 몇 개의 방사형 확장아암(773)을 사용할 수도 있다. 확장아암(773)은 구체예에서 설멍하는 것과 같이, 다이아프렘 스프링(704)의 외측모서리까지 연결된다. 분리경로(772)에 도달하면, 다이아프렘 스프링(704)이 조정링(717)의 제한영역(770)에 있는 다이아프렘 스프링영역(771)에 의해 지지된다. 분리경로(772)를 넘어서면, 다이아프렘 스프링(704)의 회전직경은 확대되는데, 이는 회전베어링(705)의 직경이 제한영역(770)과 다이아프렘 스프링(704)의 다이아프렘 스프링영역(771) 사이의 접촉부분에 형성되는 직경을 따라 변위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변위를 통해, 스프링단부(704c)에서 요구되는 분리하중의 감소가 이루어지는데,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레버비율이 i에서부터 i+1으로 변하기 때문이고, 즉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이중아암레버(double-arm lever)로서 우선 분리경로(772)까지 회전하고, 상기 분리경로(772)를 초과하는 순간에 단일 아암레버(single-arm lever)로서 회전하기 때문이다. 분리하중의 상기 감소를 통해, 다이아프렘 스프링(704)은 센서스프링(713) 및 판스프링(709)을 통해 가해지는 축방향 지지력을 통한 하우징(702) 또는 조정링(717)을 향해 임을 받게 된다.
다이아프렘 스프링(704)은 조정링(717) 또는 하우징(702)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예정된 분리경로(772)를 초과할 때, 센서스프링(713)은 탄성변형이 이루어지고, 즉 다이아프렘 스프링은 회전베어링(705) 주위에서 상기 조정링(717)으로부터 상승한다.
확장아암(773)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제한영역(770) 위에서 몰딩(moulding)에 의해 구성가능하다. 센서스프링(713)과 판스프링(709)을 통해 가해지는 다이아프렘 스프링(704)의 지지력과 스프링단부(704c) 위치의 최소분리하중의 차이로부터 확장아암(773)에서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최대하중이 발생된다. 확장아암(773)은 실제적인 변형없이 최대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압력판(703)의 축방향 상승운동의 장점을 보면, 상기 상승운동은 일정하고, 다이아프렘 스프링(704)에 있는 판스프링(709)에 의해 가해지는 축방향하중이 분리경로(772)에서 더 이상 감소되지 않는다. 판스프링(709)에 의해 받는 힘은 센서로 이용되는 하중의 일부이기 때문에, 분리경로(772)의 초과와 관련하여, 마찰클러치(701)의 운동안전성(security)은 상기 형태의 판스프링의 잔류인장응력을 통하여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용 클러치의 경우에 있어서, 약 0.5㎜에서 2㎜까지의 초과운동은 조정장치(716)의 기능에 손상없이 스프링단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특정분리경로를 초과시, 센서스프링 (713)에 의해 축방향으로 압력판(703)이 지지되기 때문에 압력판(703)의 상승운동이 제한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캠, 돌출부와 같은 상응하는 몰딩구성부는 센서스프링(713) 또는 압력판(703)위에 구성가능하다.
도 17 및 도 18의 마찰클러치(1)는 제한된 수치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나 축방향으로 변위발생이 가능한 하우징(housing)에 연결되는 압력판(3)과 하우징(2)으로 구성된다. 압력판(3)과 하우징(2)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인장력을 받는 다이아프렘 스프링(4)은 하우징(2)에 의해 지지되는 링모양의 회전베어링(5) 주위에서 회전가능하고, 하우징(2)에 고정되게 연결되고, 플라이휠(flywheel)과 같은 카운터 압력판(counter pressure plate)(6)의 방향으로 압력판(3)을 작동시키는 반면에, 클러치디스크(8)의 마찰라이닝(lining)(7)은 압력판(3)과 카운터 압력판(6)의 마찰면 사이에서 고정된다.
압력판(3)은 원주방향 또는 접선방향의 판스프링(leaf spring)(9)에 의해 하우징(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실시예를 보면, 클러치디스크(8)는 서로에 대해 2개의 마찰라이닝(7)을 제한된 축방향변위를 통하여 마찰라이닝(7)에 작용하는 축방향하중을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마찰클러치(1)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동안 점진적인 토오크 상승을 보장하는 라이닝 서스펜션(10)을 갖는다. 마찰라이닝(7)이 클러치디스크 위에서 끼워맞춤이 이루어진다. 상기 경우에서 라이닝 스프링세트(lining spring set)가 사용가능하고 하우징과 플라이휠 사이, 하우징측면에 위치한 지지패드와 하우징사이, 판스프링과 압력판 사이에 위치하는 서스펜션(suspension)에서와 같이 다이아프렘 스프링과 직렬로 연결된 서스펜션이 사용가능하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4)은 접촉 압력을 가하는 원형체(4a)로 구성되고, 원형체로부터 스프링작동부(4b)가 내측반경방향으로 돌출한다. 다이아프렘 스프링(4)은 반경방향의 외측영역에 의해 압력판(3)을 편향시키고 반경방향의 내측영역에 의해 회전베어링(5) 둘레에서 경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회전베어링(5)은 두 개의 회전하는 지지패드(11, 12)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 다이아프렘 스프링(4)이 축방향으로 고정되거나 죄어진다. 압력판(3)을 향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4)의 측면에 구성되는 지지패드(11)는 센서스프링(13)에 의해 하우징(2)을 향해 축방향으로 하중을 받게 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지지패드(11)는 하우징(2) 위에서 외변부(13a)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고 지지되는 센서스프링(13)의 일부가 되는 반면에, 반경방향의 내측위에 몰딩(moulding)으로 구성되는 지지패드(11)는 작동상태의 다이아프렘 스프링(4)을 향해 그리고 하우징(2)을 향해 하중을 가한다. 압력판(3)과 작동중인 다이아프렘 스프링(4)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구성되는 센서스프링(13)은 링모양부(13b)로 구성되고 링모양부(13b)의 내변부는 지지패드(11)를 구성하고, 내측반경방향으로 설형요소(tongue)가 확장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센서스프링(13)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단부(14)가 하우징(2)에 고정되며, 센서스프링(13)을 위해 회전가능한 지지패드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단부는 원주둘레에 균일하게 펼쳐지고 끼워지거나 리벳이음이 이루어진 각각의 지지단부(14)로 형성된다. 지지단부(14)는 원형고리모양의 내부로 둘러싸인 성분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지지단부(14)는 하우징(2)으로부터 직접 몰딩(moulding)으로 구성되며 하우징(2)을 구성하고 축방향을 향하는 오목부나 센서스프링(13)의 삽입과 인장후 변형에 의해 상기 센서스프링(13)의 외측변부 아래서 프레쓰가공이 이루어지는 설형요소(tongue)모양의 절단면에 의해 상기 지지단부(14)가 구성된다. 더욱이 베이요네트(bayonet)같은 체결장치가 지지단부(14)와 센서스프링(13) 사이에 갖추져 센서스프링(13)이 우선 예비인장상태에 놓이고, 그 방사상 외부지역은 지지단부(14) 상부를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때 센서스프링(13)의 지지역은 하우징(2)에 관해 센서스프링(13)의 회전에 의해 지지단부(14)와 인접하게 된다. 센서스프링(13)의 지지영역은 링모양의 링모양부(13b) 위에 방사상 외부로 돌출구조를 이루는 확장아암으로 형성된다.
센서스프링(13)이 힘을 받는 곳과 다이아프렘 스프링(4)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그리고 지지패드(11, 12)의 중심잡기를 위해 축방향으로 확장구성되는 리벳(15)이 하우징(2)에 고정된다. 각각의 리벳(15)은 센서스프링(13)의 설형요소(13c) 위에 몰딩된 몰딩부(13d)에 의해 부분적으로 연결되고, 인접하는 스프링작동부(4b) 사이에 구성된 절단부분을 통해 축방향으로 확장구성되는 리벳축(15a)으로 구성된다.
센서스프링(13)은 미리 결정된 분리경로에 걸쳐 최소한 균일한 하중을 발생시킨다. 스프링단부(4c)에 작용하는 클러치 분리하중은 상기 센서스프링(13)에 의해 결정되며, 최소한 평형을 이루는 지지패드(11)상의 센서스프링(13)으로부터 가해진 저항력과 지지패드(11)상의 분리하중 사이에 있게 된다. 분리하중은 마찰클러치(1)의 작동중 스프링작동부(4b)의 분리레버 위에 또는 스프링단부(4c)상에 가해진 최대하중을 의미하며, 센서스프링과 반작용이 이루어진다.
하우징(2)을 향하는 변위의 지지패드(12)는 조정장치(16)에 의해 하우징(2)에 지지된다. 이 조정장치(16)는 하우징(2)에 지지되며, 이때 조정장치(16)는 다이아프렘 스프링(4)과 하우징(2) 사이의 축방향공간내에 구성된다. 상기 조정장치(16)는 카운터압력판(6) 또는 압력판(3)을 향해 지지패드(11, 12)의 축방향변위가 발생할 때, 바람직하지 않은 유극(play)이 하우징(2)과 지지패드(12) 사이나 지지패드(12)와 다이아프렘 스프링(4) 사이에 발생하지 않게 된다. 비회전 경로 또는 아이들(idle) 경로가 마찰클러치(1)의 작동중 일어나지 않게 되며 마찰클러치(1)는 최적의 효율과 만족스런 작동이 이루어진다. 지지패드(11, 12)의 축방향 변위는 마찰라이닝(7)과 압력판(3) 그리고 마찰 라이닝(7)과 카운터압력판(6)의 마찰면상의 축마모가 발생할 경우 일어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과 마주보는 지지패드(11, 12)상에서 모마가 있는 경우에, 조정이 이루어져 압력판(3)의 지지캠(3a) 부분 또는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마주보는 부분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에서 마모가 있는 경우에 조정이 이루어진다. 회전베어링(5)의 자동조정이 이루어지는 방법은 도 8에서 도 11에 따른 개략도와 함께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조정장치(16)는 도 19와 도 20에 도시된 링모양의 조정링(A16)으로 구성된다. 조정링(A16)은 조정링(A16)의 원주위에 구성되고, 원주방향으로 확장구성되고 축방향을 향해 상승구조로 구성되는 경사부(18)로 구성된다. 조정링(A16)은 경사부(18)가 하우징평면부(2a)를 마주보도록 지지패드(11)에 설치된다. 와이어링(wire-ring)으로 형성된 지지패드(12)는 경사부(18)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조정링(A16)의 측부에 요홈(groove)구조의 소켓(socket)(19)(도 18)의 중앙에 구성된다. 상기 소켓(19)은 지지패드(12)가 조정링(A16)상에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설계된다. 소켓(19)에 인접하는 조정링(A16)이 구성되는 영역은 최소한 부분적으로 지지패드(12)를 고정되게 죄거나, 지지패드(12)를 위하여 스냅연결부를 형성하게 된다. 지지패드(12)와 조정링(A16)을 위해 다른 구성재료를 사용할 때, 와이어링구조의 지지패드(12)가 원주위로 최소한 한 지점에서 분리되면 폭넓은 온도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팽창차를 보상하는 것이 편리하며, 지지패드(12)는 소켓(19)에 관해 원주방향으로 이동하고, 지지패드(12)는 소켓(19)의 직경변화에 적응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정링(A16)은 내열성 및 열가소성을 가지는 섬유강화 플라스틱 같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조정링(A16)은 인젝션 몰딩(injection moulding)으로 제조된다. 앞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비중이 낮은 플라스틱제 조정링은 낮은 질량관성을 발생시키며, 이에 의해 압력진동에 대한 민감도가 감소된다. 더구나 지지패드(12)는 플라스틱제 링에 의해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정링(A16)은 몰딩으로 구성되는 판재 금속부분이나 소결에 의해 만들어진다. 더욱이 적합한 구성재료는 선택하면, 지지패드(12)는 조정링(A16)과 일체로 만들어진다. 지지패드(11)는 센서스프링(13)과 일체로 구성된다. 이 목적을 위해, 설형요소(13c)의 단부는 오목부나 몰딩구성영역을 갖는다.
조정링(A16)은 원주에 균일하게 분포된 리벳(15)의 축방향으로 구성된 동심영역(15a)으로 중심이 잡힌다. 이 목적을 위해, 조정링(a16)은 지지패드(11)의 내부에서 방사상으로 구성되고, 원주방향으로 확장구성되는 요홈부(21A)를 가진 형성되는 동심조정장치(20A)를 갖는다. 요홈부(21A)를 형성하기 위해, 조정링(A16)은 내측변부가 형성된 위치에서 요홈부(21A)의 방사상 내부윤곽을 형성하고, 방사상 내부로 확장캠(22A)을 가진다.
도 19에서 볼 수 있듯이, 각각의 경사부(18)가 원주방향으로 봤을 때, 균일하게 분포된 요홈부(21A) 사이에 구성된다. 원주방향으로 구성되어 마찰클러치(1)의 전체 수명동안 하우징(2)에 대해 마찰 라이닝(7)과 압력판(3) 사이 그리고 마찰 라이닝(7)과 카운터압력판(6) 사이의 마찰면에서 생기는 마모를 조정하는 조정링(A16)이 회전각을 허용하도록 상기 요홈부(21A)가 구성된다. 또한 클러치 자체에서 예를 들어 지지패드(11, 12) 사이에 구성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부분, 지지캠(3a에서) 또는 다이아프렘 스프링(4)의 반대쪽부분에서 발생되는 마모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조정링(A16)의 회전각은 경사부의 설계에 따라 8°도와 60°도 사이 선호적으로 10°도와 30°도 사이가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 회전각은 12°도에 해당하는 영역에 있고 경사부의 경사각(23)은 마찬가지로 12°도에 해당하는 영역에 있다. 조정링(A16)의 경사부(18)가 도 21와 도 22에 도시된 지지링(S16)의 카운터경사부(24) 위에 눌려질 때 발생하는 마찰이 경사부(18)와 카운터경사부(24)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끄럼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경사각(23)이 선택된다. 경사각(23)은 경사부(18)와 카운터경사부(24)가 구성되는 영역에서 쌍을 이루는 구성재료에 따라 4°도와 20°도의 범위에 있다.
원주방향 즉 조정이 이루어지는 회전방향으로 경사부(18)가 조정링(S16)의 카운터경사부(24) 위에서 움직일 때, 압력판(3)을 향해 조정링의 축방향으로 조정링(A16)이 탄성력에 의한 하중을 받으므로, 하우징평면부(2a)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다. 도 17 및 도 18의 실시예를 보면, 두 개의 권선을 갖고, 단부중 하나에서 조정링(A16)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방사상으로 정렬된 레그(leg)(L1)로 구성되고, 다른 단부에서 회전이 안되게 고정되고, 하우징(2)로부터 걸려있고 축방향으로 정렬된 레그(leg)(L2)로 구성되는 최소한 하나의 링모양의 원형스프링(SP)에 의해 조정링(R)의 스프링인장기능이 보장된다. 상기 레그(leg)(L1)는 탄성인장을 받게 된다.
도 21 및 도 22의 지지링(S16)은 마찬가지로 경사부(18)로 형성된 면과 함께 보조면을 형성하는 카운터 경사부(24)로 구성되며, 경사부(18)와 카운터 경사부(24)로 형성된 면은 일치하게 된다. 카운터 경사부(24)의 경사각(29')은 경사부(18)의 경사각(23')과 일치한다. 도 19와 도 21을 비교하면, 경사부(18)와 카운터 경사부(24)는 유사한 방법으로 원주방향으로 확장구성된다. 이것을 위해, 지지링(S16)은 리벳(15)으로부터 확장구성되고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요홈부(30')를 갖는다.
도 18에 있어서, 또 다른 원형스프링(SPa)이 점선으로 도시되어, 원형스프링(SP)과 같이, 단부영역에서 굽힘이 가능하여, 하우징(2)을 한쪽측면에 그리고 조정링(A16)을 다른 측면에 연결한채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원형스프링(SP)은 마찬가지로 탄성인장을 받게 설치되어, 조정링(A16)에 비틀림 하중을 가한다. 두 개의 원형스프링(SP, SPa)의 사용은 많은 경우 유리한데, 마찰클러치(1)의 회전중 스프링 하중은 원형스프링(SP) 또는(SPa)에 작용하는 원심력 때문에 증가된다. 이것을 위해, 원형스프링(SP, SPa)은 코일(coil) 모양을 형성하여 조정링(A16)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발생시킨다. 두 원형스프링(SP, SPa)은 하나 이상의 권선을 갖고, 원형스프링(SP, SPa)은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다른 권선직경을 가지며, 조정링(A16) 위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원주방향의 하중을 발생시키고, 원형스프링(SP, SPa)의 권수 및 원형스프링을 구성하는 와이어 두께에 상응하는 설계에 의해 보상된다. 도 18에서 원형스프링(SP)은 상기 조정링(A16)의 반경방향내측에 장착되고, 원형스프링(SPa)은 조정링(A16)의 반경방향외측에 장착된다. 그러나 두 원형스프링은 조정링(A16)의 반경방향의 내측 또는 외측에 상응하는 설계를 통해 장착된다.
원형스프링(SP)은 도 23에서 평면도로 도시된다. 원형스프링(SP)이 인장하중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레그(leg)(L1, L2)는 40°도와 120°도를 이루는 오프셋각(31)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오프셋각(31)은 85°도 정도이다. 도 23에서 마찰클러치(1)내의 새로운 마찰라이닝(7)에 위치할 때, 레그(L2)에 관해 레그(L1)의 상대위치(32)가 도시된다. 마찰라이닝(7)상의 최대허용마모에 상응하는 레그(L1)의 최대허용마모 위치(33)가 도시된다. 조정각(34)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12°도내에 있게 된다. 원형스프링 (L1)이 인장하중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단지 하나의 권선(35)이 두 개의 레그(L1, L2)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설계된다. 나머지 원주방향의 구성영역에서 두 개의 권선은 다른 권선 위에 축방향으로 위치한다. 원형스프링(SPa)은 원형스프링(SP)과 유사한 방법으로 설계되나, 도 18의 조정링(A16)에 대해 다른 인장방향과 큰 권선직경을 갖는다. 그러나 조정링(A16)위에 작용하는 원형스프링(SP)에 의한 하중은 원형스프링(SPa)의 하중보다 크다.
마찰클러치(1)가 신품일 때, 경사부(18)와 카운터경사부(24)에 형성되는 축방향캠(18a, 24)은 서로에 대해 가장 멀리 이격되도록 축방향으로 결합되어, 서로 상하에 위치하는 조정링(A16)과 지지링(S16)이 축방향으로 최소의 구성공간을 필요로 한다.
도 17 및 도 18의 실시예에서, 카운터 경사부(24)와 축방향캠(24a)이 일체로 구성된다. 카운터경사부(24)는 하우징에서 확장구성되는 축방향캠(24a)을 임프린팅(imprinting) 함으로써, 하우징(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임프린팅가공법은 일체로 구성되는 판재금속에 의한 하우징의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마찰클러치(1)를 끼워 맞추기전에, 수축된 위치에 조정링(A16)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조정링(A16)은 확장캠(22A)이 구성되는 영역과 하우징(2)의 다른측부에서 지지가능하고, 회전 및 지지기능이 이루어지는 결합부(36A)로 구성된다. 마찰클러치(1)를 제조나 조립시 카운터압력판(6) 위에서 마찰클러치(1)를 끼우 맞춘후, 상기 지지장치는 클러치로부터 제거되고 조정장치(16)가 작동된다. 이것을 위해 도시된 실시예에서, 장방형요홈(37)은 하우징(2)에서 원주방향으로 구성되며, 오목부(38)가 조정링(A16)에 구성된다. 원주방향으로 구성된 장방형 요홈(37)은 최소한 하나의 연장부를 가져야 하며, 조정링(R)은 최대허용마모에 해당하는 조정각만큼 회전된다. 마찰클러치(1)를 조립한 후, 조정링(A16)의 오목부(38)와 하우징(2)에 구성된 장방형요홈(37)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회전공구를 통과시킬 수 있다. 조정링(A16)은 공구에 의해 회전되어 하우징(2)의 하우징평면부(2a)를 향해 움직이며, 상기 하우징 평면부(2a)에 관해 최소의 축공간을 차지한다. 하우징(2)과 조정링(A16)이 회전하지 않도록 조정링(A16)과 하우징(2)의 플러시(flush)요홈에 결합되는 클립(clip)이나 핀에 의해 상기 조정링(A16)이 고정된다. 카운터 압력판(6)에 마찰클러치(1)를 끼워 맞춘후, 핀이 제거되어 이미 언급한 것처럼 조정장치(16)가 구속해제된다. 하우징(2)내의 장방형요홈(37)은 카운터압력판(6)로부터 마찰클러치(1)가 분리되는 동안 또는 분리된 후에 조정링(A16)이 수축된 위치로 움직이도록 설계된다. 이것을 위해, 우선 마찰클러치(1)가 분리되어, 다이아프렘 스프링(4)은 지지패드(12)에 축방향하중을 가하지 않으므로 조정링(A16)이 회전된다.
내연기관에 이미 고정된 마찰클러치의 구성부품들을 기능상 제위치에 구성하기 위해, 카운터압력판 위에 끼워맞춰진 후에야 조정링(A16)을 뒤집거나 리세트(reset)하게 된다. 그러므로, 마찰클러치(1)는 가령 보조공구에 의해 동작될 수 있으며, 다음에 이완상태의 조정링(A16)이 압력판으로부터 후퇴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에 마찰클러치(1)가 다시 연결되어 조정링(A16)이 수축된 위치를 유지한다.
지지링(S16)은 원주방향으로 확장구성되고, 반경방향으로 오프셋(off-set) 상태를 이루며, 축방향으로 인접한 카운터 경사부로 구성되고, 이들 카운터경사부는 구성부품들의 원주상에서 구성된다. 반경방향으로 내부에 위치하는 경사부들은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경사부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오프셋이 이루어지고, 다시 말해 전체 경사부 길이의 약 절반에 걸쳐 오프셋이 이루어진다. 원주방향으로 오프셋 상태인 카운터경사부에 의해 조정링(A16)과 지지링(S16) 사이에는 만족스런 중심 안내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 마찰클러치(1)의 작동방법은 도 24에서부터 도 27까지의 선도에 나타난 특성곡선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24의 선(40)은 다이아프렘 스프링(4)의 원추형상(conicity) 변화에 의존하는 축방향하중을 나타내고, 두 개의 지지패드 사이에서 다아이프렘 스프링(4)의 변화시 두 지지패드의 반경방향거리가 회전베어링(5)과 압력판(3)상의 지지캠(3a) 사이의 반경방향거리에 해당한다. 두 지지패드 사이의 축방향 경로는 가로좌표에 도시되고,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발생되는 축방향하중은 세로좌표에 도시된다. 점(41)에서 마찰클러치(1)가 연결될 때, 다이아프렘 스프링(4)의 설치위치가 선택되고, 다이아프렘 스프링(4)이 평평한 상태에 놓이며, 즉 다이아프렘 스프링(4)이 설치위치에 대해 압력판(3)상에 최대 접촉압력을 가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점(41)은 다이아프렘 스프링(4)의 원추형 설치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선(40)위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하다.
선(42)은 두 개의 마찰라이닝(7) 사이에 작용하고, 라이닝서스펜션(10)으로 가해진 축방향팽창력을 나타낸다. 축방향팽창력은 압력판(3)상의 다이아프렘 스프링(4)으로 가해진 축방향하중에 대한 반작용력으로 작용한다. 라이닝서스펜션(10)의 탄성변형에 필요한 축방향하중이 압력판(3)상의 다이아프렘 스프링(4)으로 가해진 하중과 최소한 일치하는 것이 유리하고, 상기 다이아프렘 스프링(4)에 가해진 하중은 유리하게 더 커질 수 있다. 마찰클러치(1)의 분리시 라이닝서스펜션(10)은 라이닝서스펜션 이완경로(43)에 걸쳐서 느슨해진다. 마찰클러치(1)의 분리과정은 압력판(3)의 축방향변위에 해당하는 라이닝서스펜션 이완경로(43)에 의해 이루어지고, 최대분리하중은 (라이닝 서스펜션(10)이 없는) 점(41)에 해당하는 하중보다 더 낮게 가해진다. 점(44)을 넘을 때 마찰라이닝(7)은 분리되고, 다이아프렘 스프링(4)의 감소특성을 나타내는 범위에 있고 가해지는 분리하중은, 점(41)에 상응하는 하중과 비교할 때, 상당히 감소된다. 마찰클러치(1)의 분리하중은 사인(sine)특성을 나타내는 곡선(40)의 만곡점에 도달할 때까지 감소한다. 최소분리하중(45)을 초과할 때, 소요분리하중은 다시 증가하고, 분리경로가 스프링단부(4c)가 구성된 영역에 형성되어, 최소분리하중(45)을 초과할 때조차도 분리하중은 점(44)에서 상승하는 최대분리하중을 초과하지 않거나 최대분리하중 이하를 유지하다. 따라서 점(46)은 초과되지 않는다.
하중에 대한 센서(sensor)역할을 하는 센서스프링(13)은 도 25의 선(47)에 해당하는 하중 - 경로(force-path) 곡선을 갖는다. 센서스프링(13)이 원추부분에서 이완된 위치부터 변화할 때, 즉 지지패드(11)와 지지단부(14)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에 상응하는 반경방향거리를 갖는 두 개의 지지패드 사이에서 센서 스프링(13)이 변화할 때, 나타나는 하중경로선도는 특성곡선(47)에 상응한다. 특성곡선(47)이 보여주는 것처럼, 센서스프링(13)이 발생시키는 축방향하중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이완경로(48)를 갖는다. 상기 이완경로(48)에서 발생되는 하중은 최소한 도 24의 점(44)에 상승하는 클러치분리하중에 해당하도록 선택된다. 상기 다이아프렘 스프링(4)에 구성된 레버(lever)의 병진운동을 따르고 점(44)에 상응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4)의 하중과 비교할 때 센서스프링(13)에 가해진 지지력은 감소된다. 이 병진운동 비율은 대부분의 경우 1:3에서 1:5 사이에 놓이나, 대다수의 경우 더 클 수도 있고 더 작을 수도 있다.
언급한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병진운동비율은 지지캠(3a)까지의 회전베어링(5)의 반경방향거리와 스프링단부(4c)까지의 회전베어링(5)의 반경방향거리 사이의 비율에 상승한다.
마찰클러치내에서 적어도 회전베어링(5)이 구성되는 영역에서 마찰표면과 라이닝마모에 의해 발생하고, 카운터압력판(6)을 향해 입력판(3)의 축방향조정경로와 일치할 뿐만 아니라, 적어도 회전베어링(5)을 위한 일정한 축방향지지력을 보장하고 마찰라이닝(7)을 향하는 축방향스프링경로를 통과하도록 센서스프링(13)이 설치된다. 조립공차가 최소한 부분으로 보상되므로, 특성곡선(47)의 선형 이완경로(48)는 최소한 마모경로에 상응하고, 상기 마모경로 보다 더 커야 한다.
마찰클러치(1)가 분리될 때, 마찰라이닝(7)의 축방향경로상의 한점(44)을 일정한 값으로 얻기 위해 마찰라이닝(7) 사이에는 소위 이중구조 라이닝 서스펜션(suspension)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라이닝 서스펜션은 쌍을 이루어 연속구조를 형성하고, 서스펜션이 형성하는 각각의 쌍은 서로에 관해 축방향으로 예비인장응력을 형성가능하다. 라이닝 사이에 갖춰진 라이닝서스펜션을 예비인장상태로 만들면, 라이닝서스펜션이 작동하는 동안 라이닝의 역전측부로 발생하는 연결손실이 보상된다. 상기 연결손실은 구성요소가 역전 측부안으로 이동될 때 일어나는 손실을 의미한다. 마찰클러치(1)가 분리될 때, 압력판(3)이 라이닝 사이에 구성된 라이닝서스펜션에 의해 라이닝서스펜션 이완경로(43)에 걸쳐 후방으로 하중을 받도록, 두 개의 마찰라이닝(7) 사이의 축방향경로를 형성하고, 마찰라이닝(7) 사이에서 작용하는 라이닝서스펜션이 분명한 예비인장상태를 만든다. 라이닝서스펜션 이완경로(43)를 얻기 위해 마찰라이닝 사이의 축방향경로에 라이닝서스펜션(10)의 인장방향과 이완방향을 향하는 경로제한장치가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된 라이닝서스펜션은 본 발명의 주제에 첨가된 특허출원 P 42 06 880.0 에서 이미 알려져 있다.
도 26에 있어서, 곡선(49)은 도 24의 점(41)으로부터 점(44)으로 압력판을 이동시키기 위해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스프링단부(4c)와 결합상태를 이루는 클러치 분리요소를 통해 클러치를 분리하는데 소요되는 하중을 나타낸다. 곡선(49)은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스프링단부(4c)의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라이닝마모를 자동으로 보상하는 조정장치나 마찰클러치(1)의 최적 기능을 위해, 도 26을 따르는 분리하중 곡선(49)을 볼 때, 다이아프렘 스프링(4)에 구성된 센서스프링(13)과 라이닝서스펜션(10)에 의해 가해지고 축적되는 힘은 지지패드(11)상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4)에 의해 가해지는 힘보다 크다. 마찰라이닝(7)으로부터 압력판(3)이 상승운동한 후에, 다이아프렘 스프링(4)상의 센서스프링(13)에 의해 가해진 힘은 분리경로 위로(곡선 49에 따라) 도 26에 따라 변하고,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스프링단부(4c)에 가해지는 소요 분리하중보다 크거나 최소한 같다. 따라서 지지패드(11)상에서 센서스프링(13)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은 원형스프링(SP)의 하중을 받는 조정링(A16)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적어도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설치위치에 상응하는 특성곡선(40)의 점(41)이 초과되지 않을 때가지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축방향이동이 방지되도록 정해져야 한다.
지금까지 다이아프렘 스프링(4)의 설치위치에 대해 고려해 보았고, 마찰라이닝(7)상에 마모는 고려되지 않는다.
마찰라이닝의 축방향마모의 경우 압력판(3)의 위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원추모양의 변화(관찰자가 볼 때 스프링단부(4c)는 오른쪽으로 이동)와 마찰클러치(1)가 연결상태에 있을 때 다이아프렘 스프링으로 가해진 접촉압력의 변화를 일으키는 카운터 압력판(6)으로의 운동이 발생한다. 이 변화는 점(41)을 점(41')로 이동시키고, 점(44)을 점(44')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변화에 의해 센서스프링(13)과 다이아프렘 스프링(4) 사이에 구성된 지지패드(11)의 영역에서 마찰클러치(1)와 분리될 때에 형성된 최초의 힘의 평형상태가 파괴된다. 마찰라이닝의 마모로 유발된 압력판(3)의 다이아프렘 스프링 접촉압력증가는 분리하중경로에서 변위증가를 유발한다. 결과적인 분리하중경로는 쇄선(50)으로 도 26에 도시된다. 마찰클러치(1)의 분리가 이루어질 때 분리하중곡선의 증가는 다이아프렘 스프링(4)상의 센서스프링(13)에 의해 가해진 축방향 힘을 극복하여, 센서스프링(13)은 마찰라이닝(7)의 마모에 상응하는 축방향경로에 의해 회전베어링(5)의 구성영역에서 휘어진다. 센서스프링(13)이 휘어질 때, 다이아프렘 스프링(4)은 압력판(3)의 지지캠(3a)에 지지되어, 상기 다이아프렘 스프링(4)은 원추모양(conicity)과 다이아프렘 스프링(4)에 저장된 에너지와 토오크(torque)와 결과적으로 센서스프링(13)과 지지패드(11) 위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4)으로 가해진 힘을 변화시킨다. 도 24와 관련하여, 상기 변화는 다이아프렘 스프링(4)으로 가해진 힘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일어난다. 센서스프링(13)상의 지지패드(11)가 구성되는 영역내의 다이아프렘 스프링(4)으로 가해진 축방향하중이 센서스프링(13)에서 발생되는 반작용력과 균형을 이룰 때까지 상기 변화가 지속된다. 도 24의 선도에서 점(41', 44')은 점(41, 44)을 향해 다시 움직인다. 상기 평형이 회복되면 압력판(3)은 마찰라이닝(7)으로부터 다시 제거된다. 마찰클러치(1)의 분리시, 마모를 조정할 때 조정장치(16)의 조정링(A16)은 예비인장상태의 원형스프링(SP)에 의해 회전되고, 지지패드(11)는 마찰라이닝의 마모에 따라 움직여 다이아프렘 스프링(4)에 구성된 회전베어링(5)의 기능이 보장된다. 조정과정후 분리하중경로는 도 26의 곡선(49)과 일치한다. 도 26의 곡선(50, 51)은 곡선(49, 50)이 분리하중대 경로곡선에 해당되므로, 압력판(3)의 축방향경로를 나타낸다.
도 27의 선도는 클러치분리시 다이아프렘 스프링(4) 또는 하우징(2) 위에 가해진 하중에 의한 분리경로에 대한 하중곡선을 도시하며 극한값이 존재하게 된다. 우선 도 27이 클러치연결위치로부터 출발하여 도 24의 점(41)에 해당하는 하중이 하우징(2)과 다이아프렘 스프링(4)의 압력판(3)에 작용한다. 클러치분리시 하우징(2)나 지지패드(12)상의 다이아프렘 스프링(4)으로 가해진 축방향하중은 도 27의 선(52)을 따라 감소하여 점(53)에 도달한다. 종래기술을 따르는 클러치의 경우,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하우징에 축방향으로 회전되게 장착되고, 지지패드(11)가 하우징(2)과 축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지도록 연결되면, 클러치 분리방향으로 점(53)을 초과할 때, 축방향의 반대방향운동이 하우징(2) 위에서 회전베어링(5)과 반경방향으로 평면을 이루는 다이아프렘 스프링(4)을 통해 이루어진다. 회전베어링(5)이 구성되는 영역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4)을 통한 축방향의 반대방향 하중이 센서스프링(13)에 가해진다. 점(54)에 도달할 때 다이아프렘 스프링(4)은 압력판(3)의 지지캠(3a)로부터 상승된다. 최소한 상기 점(54)까지 마찰클러치(1)의 분리운동은 라이닝 서스펜션(10)으로 가해진 축방향하중에 의해 촉진되는데, 라이닝 서스펜션(10)은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해 반작용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라이닝 서스펜션(10)에 의해 가해진 하중은 스프링단부(4c)가 구성되는 영역에서 분리경로를 증가시키고 압력판(3)의 축방향 분리경로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그리하여 선(52)은 라이닝 서스펜션(10)에 의해 다이아프렘 스프링(4)상의 지지캠(3a)에 가해진 축방향 하중과 스프링단부(4c)에 작용하는 분리하중의 결과력을 나타낸 선이다. 분리가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점(54)을 넘을 때, 지지패드(11)상의 다이아프렘 스프링(4)으로 가해진 축방향하중은 센서스프링(13)에 의해 가해진 역방향하중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두 하중은 압력판(3)을 통해 마찰라이닝(7)이 이완된 후 균형을 잡게 되며, 분리과정이 계속되면서 회전베어링(5)이 구성되는 영역에서 센서스프링(13)으로 가해진 축방향하중은 계속되는 분리하중보다 약간 크다. 도 27의 선도를 따르는 특성곡선(52)의 부분(55)에 있어서, 분리경로가 증가할 때, 분리하중 또는 지지패드(11)상의 다이아프렘 스프링(4)으로 가해진 하중은 점(54)에서 생기는 분리하중과 비교할 때 작아진다. 쇄선(56)은 마찰클러치(1)의 상태와 일치하고, 마모는 마찰라이닝(7)이 구성되는 영역에서 발생하나, 회전베어링(5)이 구성되는 영역에서는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마모로 인한 다이아프렘 스프링(4)의 설치점의 변화는 센서스프링(13)과 지지패드(11)와 하우징(2)에 가해진 하중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마찰클러치(1)가 새로 분리될 때 지지패드(11)가 구성되는 영역에 놓인 센서스프링(13)상의 다이아프렘 스프링(4)으로 가해진 축방향하중이 센서스프링(13)의 역방향하중보다 크게되는 점(54)을 향해 하중이 이동하게 되고, 상기 조정과정은 센서스프링(13)을 통해 수행된다. 원형스프링(SP)에 의한 상기 조정과정을 통해 고정링(A16)의 회전과 지지패드(12)의 축방향 이동을 통해 점(54')은 점(54)를 향해 다시 움직이며, 원하는 균형상태가 센서스프링(13)과 다이아프렘 스프링(4) 사이의 회전베어링(5)이 구성되는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실제로 상기 조정작용은 연속적으로 또는 미소변화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특성곡선들과 점 사이에는 큰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다.
몇몇 기능변수나 작동점은 마찰클러치(1)의 작동시간에 걸쳐 변화된다. 예를 들어, 마찰클러치(1)의 부적합한 작동에 의해 라이닝서스펜션(10)의 축방향 서스펜션은 감소되어 라이닝 서스펜션(10)이 과열된다. 그러나 다이아프렘 스프링(4)의 특성곡선(40)의 모양이 센서스프링(13)의 곡선과 상응하도록 선택함으로써 마찰클러치(1)의 기능이 보장된다. 라이닝 서스펜션(10)의 축방향구성은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비교할 때, 다이아프렘 스프링(4)이 보다 압축을 받는 위치에 놓이게 만들고, 압력판상의 다이아프렘 스프링(4)에 의해 가해진 접촉압력은 도 24의 특성곡선(40)과 관련하여 볼 때 약간 적다. 더욱이 센서스프링(13)의 상응하는 축방향변형과 지지패드(11)의 상응하는 축방향변위가 일어난다.
본 발명을 따르고, 마찰라이닝(7)상의 마모가 증가할 때 다이아프렘 스프링(4)에 작용하는 지지력은 증가한다. 지지력의 증가는 마찰라이닝 (7) 전체에 걸쳐 최대 허용마모경로중 일부로 제하된다. 다이아프렘 스프링(4)의 지지력증가는 센서스프링(13)의 상응하는 설계를 통해 만들어진다. 이완경로(48)에 대하여 상응하는 특성곡선은 도 25의 쇄선으로 도시되고 (47a)로 표시된다. 마모가 증가하면서 다이아프렘 스프링(4)의 지지력증가는 라이닝서스펜션의 감소 즉 라이닝내에서 조정되는 압력판(3)의 다이아프렘 스프링(4)의 접촉압력의 강하를 최소한 부분적으로 보상된다. 다이아프렘 스프링(4)의 지지력은 라이닝서스펜션의 설치 또는 라이닝구성부의 부가(embedding)에 비례하여 증가된다. 라이닝 구성부 부가(embedding)의 결과 및 라이닝서스펜션과 라이닝마모에 의해 라이닝에 구성된 마찰면 사이의 거리감소에 의해, 라이닝 구성영역내에서 디스크 두께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지지력은 증가해야 한다. 도 25의 이완경로(48)내에 위치하는 두 개의 구성부에 있어서 지지력의 증가는 제2 구성부내에서 보다 제1 구성부에 걸쳐서 더 크게 이루어진다. 라이닝과 다이아프렘 스프링부분 사이의 최대 임베딩 부분이 마찰클러치의 전체 수명과 비교할 때 작은 시간간격내에서 발생하고, 스프링부분과 마찰라이닝 사이의 비율은 실제로 안정화되는 잇점이 있다. 이것은 특정한 임베딩후 임베딩에 관해 더 이상 중요한 변화가 없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작동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지지력증가는 라이닝마모 부분중 일부에 걸쳐 발생한다.
마찰라이닝마모를 보상하는 조정과정의 판스프링(9)에 의해 가해진 어떤 축방향하중도 고려되지 않는다. 클러치분리 작용은 상응하는 마찰라이닝(7)으로부터 압력판(3)을 제거하는 방향 즉 다이아프렘 스프링(4)에 대해 힘을 가하는 압력판(3)을 향해 판스프링(9)에 예비인장력을 주어 촉진된다. 판스프링(9)에 의해 가해진 축방향하중은 센서스프링(13)과 다이아프렘 스프링(4)에 의해 가해진 하중 및 분리하중에 더해진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축방향하중은 도 24에서 도 27까지를 따르는 선도에 대한 기술시 고려되지 않는다. 하우징(2) 측부상의 구름운동이 이루어지는 지지패드(12)에 대해, 마찰클러치(1)의 분리상태에서 작동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4)에 전달되는 하중은 주로 다이아프렘 스프링(4)에 작용하는 분리하중과 센서스프링(13)과 판스프링(9)에 가해진 하중의 합이다. 판스프링(9)은 하우징(2)과 입력판(3) 사이에 설치되어 마찰라이닝(7)의 마모가 증가할 때, 다이아프렘 스프링(4)상의 판스프링(9)에 의해 가해진 축방향하중은 더 커진다. 예를 들어 도 25의 이완경로(48)에 걸쳐 그리고 조정장치(16)의 마모보상경로에 걸쳐 판스프링(9)에 의해 가해진 축방향하중은 선(47b)에 따르는 곡선을 갖는다. 도 25에 있어서, 센서스프링(13)의 중앙부가 휘어짐에 따라, 압력판(3)상의 판스프링(9)에 의해 가해지고 다이아프렘 스프링(4) 위에 작용하는 재설정하중이 증가한다. 특성곡선(47b)에 따르는 하중곡선과 다이아프렘 스프링 특성공선을 합하면 다이아프렘 스프링(4)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즉, 하우징측부상의 지지패드(12)에 대해 다이아프렘 스프링(4)을 누르는 방향을 향하는 결과력(resulting force)곡선을 만든다. 곡선(47d)이 시작하는 부분에서 다소 일정한 하중을 가지는 부분으로 변화하는 초기의 하중상승이 있는 곡선(47a)을 얻기 위해, 도 25의 곡선(47c)에 상응하는 특성곡선을 따르도록 센서스프링(13)을 설계하는 것이 편리하다. 곡선(47c)을 따르는 하중곡선과 곡선(47b)을 따르는 하중곡선을 합하면 곡선(47a)을 따르는 하중곡선이 이루어진다. 판스프링(9)에 알맞게 예비인장하중을 주어, 센서스프링(13)으로 가해지는 지지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판스프링(9)을 알맞게 구성함으로써 라이닝에 구성된 라이닝서스펜션(10) 또는 임베딩(embedding)의 감소를 최소한 부분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마찰클러치의 수명을 통해 다이아프렘 스프링(4)은 압력판(3)상에 최소한 개략적으로 균일한 접촉압력을 가하도록 다이아프렘 스프링(4)은 같은 작동점과 작동면적(부분)을 유지하게 된다. 더욱이 조정링(A16)에 작용하는 원형스프링(SP, SPa)에 의해 형성되고, 센서스프링(13) 또는 판스프링(9)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축방향하중은 센서스프링(13) 또는 판스프링(9)을 설계할 때 고려되야 한다.
예비 인장상태의 판스프링(9)을 갖는 마찰클러치(1)를 설계할 때, 마찰라이닝(7)상의 압력판(3)으로 가해진 축방향하중은 판스프링(9)의 예비인장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판스프링(9)이 다이아프렘 스프링(4)을 향하여 예비인장될 때, 다이아프렘 스프링(4)에 의해 가해진 접촉압력이 판스프링(9)의 예비인장력에 의해 감소된다. 이런 종류의 마찰클러치(1)에 의해 판스프링(9)의 인장특성곡선과 다이아프렘 스프링(4)의 접촉압력 특성곡선을 중첩하여 만들어지는 마찰라이닝(7) 또는 압력판(3)의 접촉압력 특성곡선이 나타난다. 마찰클러치(1)의 작동범위를 고려할 때, 도 24의 특성곡선(40)이 마찰클러치(1)가 새로운 상태에 있을 때, 예비인장된 판스프링(9)과 작동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4)의 결과로 나타나는 하중곡선을 나타낸다고 가정하면, 마찰라이닝의 마모에 따르는 압력판(3)과 카운터압력판(6) 사이의 거리감소는 곡선을 감소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도 24의 쇄선(40a)은 전체 마찰 라이닝 마모가 1.5㎜일 때의 곡선이다. 마찰클러치의 수명에 걸쳐 이루어지는 곡선(40a)을 향한 곡선(40)의 변위를 통해, 센서스프링(13)상의 다이아프렘 스프링(4)에 의한 마찰클러치(1)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가해진 축방향하중은 감소하고, 즉 마모가 증가함에 따라, 다이아프렘 스프링(4)상의 판스프링(9)에 의해 가해진 역방향모멘트(counter moment)에 의해 축방향하중은 감소한다. 이 역방향모멘트는 압력판(3)과 다이아프렘 스프링(4) 사이의 반경방향거리와 지지캠(3a)과 회전베어링(5)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 때문에 존재한다.
도 28 및 도 29의 마찰클러치(101)는 조정링(117)이 코일스프링(126)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구성된다는 점이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마찰클러치(1)와 크게 다르다. 마찰라이닝 위의 마모를 보상하는 기능 및 방법에 있어서 조정링(117)과 도 18에서 도 20까지의 조정링(A16)은 일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세 개의 코일스프링(126)은 원주둘레에 균일하게 펼쳐지고, 하우징(2)과 조정링(117) 사이에서 예비인장상태로 있게 된다.
특히 도 30에서 봤을 때, 아크(arc)모양으로 구성된 코일스프링(126)이 조정링(117)에 하중을 가하기 위해 단부중 하나와 원주방향으로 지지되고, 원주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구성되는 스텝(step)(127)위에 조정링(117)이 구성된다. 코일스프링(126)의 다른 단부는 하우징(2)에 의해 지지된 정지나사(128)에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 정지나사(128)는 하우징(2)에 구성되고 나사모양의 체결부품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이 정지나사(128)는 하우징(2)과 축방향을 향하고 몰딩(moulding)에 의해 일체로 구성가능하다. 상기 정지나사(128)는 예를 들어 금속판재로 구성되는 하우징(2)의 외부를 향해 축방향을 향하는 몰딩된 오목부나 탭(tab)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도 29 및 도 30에 있어서, 조정링(117)은 내부원주에 형성되어, 스프링 안내부(129)는 최소한 코일스프링(126)의 확장구성영역내에 구성되고, 선호적으로 코일스프링(126)의 이완경로에 걸쳐 마모를 조정하는데 필요한 조정링(117)의 회전각에 걸쳐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 안내부는 코일스프링(126)이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안내부(129)는 단면에서 봤을 때 반원형인 오목부로 형성되고, 경계면은 코일스프링(126)의 단며과 일치한다.
이런 종류의 설계는 마찰클러치가 회전할 때 코일스프링(126)에 대한 안내부가 구성되어 있어 축방향이탈을 방지하는 장점을 갖는다. 도 29의 코일스프링(126)에 대해 추가로 요구되는 안전성에 관해, 하우징(2)은 반경방향의 내측변부영역에서 코일스프링(126)과 겹쳐지고 축방향을 향하고 몰딩으로 구성되는 내측변부(130)를 갖는다. 개별적으로 몰딩이 이루어지는 내측변부(130) 대신에 하우징(2)은 원주에 걸쳐 확장구성하고, 축방향을 향하는 내측변부(130)를 갖는다. 내측변부(130)는 다이아프렘 스프링(4)의 이완을 제한한다.
도 28에서 도 30까지의 코일스프링(126)에 의한 안내작용의 장점을 보면, 마찰클러치(1)가 회전할 때 코일스프링(126)에 구성된 각각의 권선이 조정링(117)상의 원심력작용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지지되고, 원주방향으로 코일스프링(126)에 의해 가해지 조정력은 조정링(117)과 스프링권선 사이에 형성되는 마찰저항에 의해 감소되거나 심지어 완전히 제거된다. 마찰클러치(101)의 회전중, 코일스프링(126)은 실제적으로 (스프링 작용을 억제하는 마찰력 때문에) 강성을 가지게 된다.
적어도 내연기관의 공회전 속도 이상의 속도에서, 조정링(117)은 코일스프링(126)에 의해 회전방지가 이루어진다. 마찰라이닝 마모에 대한 보상은 공회전속도나 최소한 공회전 속도근처에서 마찰클러치(101)가 작동할 때 일어난다. 조정링(117)의 마모보상은 내연기관이 정지해 있고 마찰클러치(101)가 비회전시에만 발생된다.
마찰클러치(1)의 회전시 또는 특정속도를 넘을 때 이루어지는 회전방지과정은 도 17 및 도 18의 실시예의 경우에서 유리하다. 이것을 위해 조정링(A16)상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통해 회전방지가 보장되고 원형스프링(SP, SPa)에 의한 조정력 작용방지가 이루어지는 장치가 구성된다. 조정링(A16)위의 조정스프링에 의해 가해진 회전모멘트 보다 큰 정지모멘트를 조정링(A16)위에 형성하는 마찰이 존재하고, 상기 마찰을 만드는 조정링(A16)의 내측변부에 회전방지장치가 지지되고, 원심력에 의해 외측반경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최소한 하나의 웨이트(weight)에 의해 상기 회전방지장치가 구성된다.
하우징(2)으로 지지되는 지지장치는 코일스프링(126)의 확장구성부중의 최소한 일부영역이 반경방향으로 구성되도록 구성된다. 도 28과 도 29의 실시예에서 지지장치는 정지나사(128)와 일체로 구성가능하다. 이것을 위해, 정지나사(128)는 각을 이루게 구성되어 확장구성부의 일부영역에 걸쳐 코일스프링(126) 내부로 돌출하고, 원주방향으로 확장구성된다. 최소한 스프링권선의 일부는 최소한 반경방향으로 안내되고 지지된다.
도 29에서 알 수 있듯이 도 18의 지지패드(11)의 구성은 생략되고 센서스프링(113)의 스프링단부가 구성된 영역에 형성된 몰딩영역을 대체된다. 이것을 위해, 설형요소(113c)는 다이아프렘 스프링(4)을 향하는 측부 및 스프링단부에서 볼(ball)모양이다.
도 31에서 도 33는 본 발명을 따르는 마모조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각각의 조정부품(217A)은 조정링 대신에 사용가능하다. 상기 조정부품(217A)은 하우징(202)의 원주위에 균일하게 펼쳐진다. 조정부품(217A)은 원주방향으로 확장구성되고, 축방향으로 상승구조를 이루는 경사부(218)로 구성된 원판에 의해 형성된다. 하우징(202)에 의해 지지되는 핀모양의 확장구성부(215a)를 통해 확장구성되는 보아(bore)로 원형의 상기 조정부품(217A)이 구성되어, 링모양의 조정부품(217A)은 상기 확장구성부(215a) 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하우징(202)은 경사부(218)를 위한 카운터 경사부(224)를 형성하는 압인부(225)로 구성된다. 스프링(226)은 조정부품(217A)과 하우징(202) 사이에 인장되고, 조정이 이루어지는 회전방향으로 조정부품(217A)을 이동시킨다. 도 31에 있어서, 스프링(226)은 확장구성부(215a)의 주위에서 뻗어가서 코일스프링을 구성한다. 하우징(202) 위에서 스프링의 한 단부를 지지하고, 상응하는 조정부품(217A) 위에서 스프링의 다른 단부를 지지하는 압인부가 구성된다. 지지패드(205a)가 구성되는 부분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204) 또는 센서스프링(213)의 축방향 변위가 발생할 때 조정부품(217A)이 회전하고, 상기 축방향변위는 카운터경사부(224) 위에서 상승하는 경사부(218)에 의해 보상된다.
하우징(202)에 구성된 센서스프링(213)의 축방향지지작용은 하우징(202)에서 축방향으로 성형되고 센서스프링(213)의 외측면으로 힘을 받는 탭(214)에 의해 이루어진다.
링모먕의 조정부품(217A)은 조정작용과 관련하여 원심력에 무관하게 설계되는 장점이 있다.
도 31의 조정부품(217A) 대신에, 마모조정을 위해 반경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변위가 이루어지는 쐐기 모양을 이루는 각각의 조정부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쐐기형 조정부품은 상응하는 조정부품을 안내하기 위해 확장구성부(215a)가 확장구성되는 장방형 요홈으로 구성된다. 쐐기모양의 조정부품에 작용하는 원심력 때문에 조정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에너지저장장치가 조정방향으로 쐐기형조정부품을 이동시키도록 구성가능하다. 마찰클러치의 회전축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에 대해 경사각을 이루는 조정부품의 쐐기면(wedge face)은 하우징의 측면 또는 작동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측면에 구성가능하다. 상기 형태의 쐐기형 조정부품을 이용하면, 조정부품들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최소값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조정부품들을 경량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경사면을 형성하는 구성부품들 사이의 재질선택은 마찰클러치의 사용수명에 걸쳐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 사이에서 접착(adhesion)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접착을 피하기 위해 상기 구성품들중의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경사부 또는 카운터 경사부에 코팅(coating)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팅에 의해 두개의 금속성 구성부품들을 사용시 부식을 피할 수 있다. 서로에 대해 지지가 이루어지고 경사부 및 카운터 경사부를 형성하는 구성부품들이 서로 다른 팽창계수(expansions efficient)의 재질로 제조되어, 마찰클러치 작동시 발생하는 온도변화에 의해 접촉상태에 있고 경사부를 형성하는 표면층들이 서로에 대해 상대운동이 이루어져서 조정기능의 경사부를 형성하는 구성부품들 사이의 접착이 방지된다. 경사부 및 카운터 경사부를 구성하는 구성부품들은 항상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구성부품들은 항상 서로 다른 팽창특성을 통해 서로에 대해 상대운동을 하므로 상기 구성부품들의 접착은 발생하지 않는다. 구성부품들의 서로 다른 강도 특성 및 구성에 의해 상기 구성부품들에 작용하는 원심력은 접착을 방지하는 서로 다른 팽창특성을 발생시키므로, 경사부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경사부와 카운터 경사부 사이의 접착(adhesion)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클러치가 분리되거나 마모조정이 이루어질 때 각각의 조정부품에 축방향하중을 가하는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조정링(A16, A117)은 마모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 구성부품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작용은 다이아프렘 스프링(4)과 센서스프링(13)에 의해 회전베어링(5)이 구성된 부분에서 수행가능하다.
도 34의 선도에 있어서, 하중 - 경로 특성곡선(340)에 있어서, 최소점(345)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은 비교적 작다(약 450Nm). 하중 - 경로 특성곡선(340)을 따르는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최대하중값은 7,600Nm이다. 하중 - 경로 특성곡선(340)은, 도 24의 하중경로 특성곡선(40) 및 다이아프렘 스프링(4)과 관련한 설명에서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지지요소 사이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을 변형함으로 작성된다.
하중 - 경로 특성곡선(340)은 라이닝 서스펜션 특성곡선(342)과 결합가능하다. 도 34에 있어서, 라이닝서스펜션 특성곡선(342)의 하중경로곡선은 하중 - 경로 특성곡선(340) 또는 서로 미소거리에서 변화하는 두 개의 특성곡선들에 근접하여, 마찰 클러치는 매우 미소한 하중으로도 작동가능하다. 라이닝서스펜션의 작동부분에 있어서, 이론적인 분리하중은 하주-경로 특성곡선(340)과 라이닝서스펜션 특성곡선(342)에 형성되고 수직으로 중첩을 이루는 두 개의 지점 사이의 거리로부터 발생된다. 실제로 분리하중은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스프링단부와 같은 구성부품의 병진운동(translation)에 의해 감소된다. 상기 효과는 도 17 및 도 18의 실시예와 함께 도 24에서 도 27까지의 선도에 나타나 이다.
도 34에서, 쇄선으로 도시된 다이아프렘 스프링 특성곡선(440)은 최소점(445)을 가지며, 상기 최소점(445)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은 음(negative)의 값을 가져서 마찰클러치는 클러치 연결방향이 아니라 클러치 분리방향으로 작동한다. 즉, 클러치분리시 점(461)을 초과할 때, 마찰클러치는 자동으로 개방상태로 유지된다. 다이아프렘 스프링 특성곡선(440)은 라이닝서스펜션 특성곡선(442)과 결합된다. 분리하중을 최소로 하기 위해, 라이닝서스펜션 특성곡선(442)과 다이아프렘 스프링 특성곡선(440)을 가능한 한 평행하게 유지해야 한다.
도 35는 마찰클러치를 분리하기 위해,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구성된 스프링 단부에 적용되는 하중 - 경로 특성곡선(340), 라이닝서스펜션 특성곡선(342), 다이아프렘 스프링 특성곡선(440) 및 라이닝서스펜션 특성곡선(442)에 대한 분리하중곡선을 나타낸다. 하중 - 경로 특성곡선(340) 및 라이닝서스펜션 특성곡선(342)과 관련되는 분리하중곡선(349)은 항상 양의 값을 가지며, 다시 말해 마찰클러치를 분리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분리하중은 분리방향으로 항상 필요하다. 다이아프렘 스프링 특성곡선(440) 및 라이닝서스펜션 특성곡선(442)과 관련된 분리하중곡선(449)은 분리하중감소부(449a)에서 처음으로 분리하중이 감소하고 양의 하중으로부터 음의 하중으로 변화하여, 마찰클러치는 클러치분리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36, 도 36a, 도 37의 마찰클러치(501)의 실시예에서, 센서스프링(513)은 베이요네트(bayonet) 모양의 결합부(514)에 의해 하우징(502)상에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이것을 위해 센서스프링(513)은 하우징 외부로 성형된 탭의 형태로 하우징 지지부(502a)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스프링기저부(513f)의 외측원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구성되는 확장아암(513d)으로 구성된다. 하우징지지부(502a)는 하우징(502)에서 축방향으로 구성된 하우징 변부(502b)의 외부로 성형되며, 이것을 위해 하우징지지부(502a)가 하우징으로부터 절단면(502c, 502d)에 의해 최소한 부분적으로 성형되는 것이 편리하다. 최소한 부분적으로 하우징지지부(502a)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 지지부(502a)들은 보다 쉽게 이상적인 위치로 성형된다. 도 37에 있어서, 하우징지지부(502a)와 확장아암(513d)은 서로 일치되어, 하우징(502)에 관해 센서스프링(513)의 중심잡기가 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지지부(502a)는 축방향의 스텝(502e)이 구성된다.
베이요네트 모양의 결합부(514)를 구성하고, 하우징(502)에 관해 센서스프링(513)의 위치설정을 확실히 하기 위해, 하우징(502)의 원주상에 균일하게 분포된 최소한 세 개의 하우징지지부(502a)는 하우징의 다른 부분에 대해 일치되게 구성하여, 센서스프링(513)과 하우징(502) 사이의 상대회전운동후, 확장아암(513d)은 원주방향의 회전제한부(502f)에 인접하게 되어, 센서스프링(513)과 하우징(502) 사이의 다른 상대회전운동이 방지된다. 회전제한부(502f)는 하우징(502)내의 축방향요홈으로 도 36a와 같이 형성된다. 도 36a에 있어서 선호적으로 최소한 세 개의 하우징지지부(502a)는 센서스프링(513)의 확장아암(513d)과 하우징(502) 사이의 또다른 회전제한부(502g)를 구성하는 것이 명백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동일한 하우징지지부(502a)는 두가지 회전방향에 대해 회전제한부(502f, 502g)를 형성한다. 센서스프링(513)과 하우징(502) 사이의 구속해제(unlocking)를 방지하는 회전제한부(502g)는 하우징지지부(502a)의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구성된 변부에 의해 형성된다. 원주방향의 회전제한부(502f, 502g)는 하우징(502)에 관해 원주방향으로 센서스프링(513)의 명확한 위치설정기능을 제공한다. 결합부(514)를 구성하기 위해 센서스프링(513)은 하우징(502)을 향해 축방향으로 인장되어, 확장아암(513d)은 절단면(502c, 502d)의 내부로 축방향으로 돌출하여 하우징지지부(502a) 위에서 축방향을 가리킨다. 하우징(502)과 센서스프링(513)은 확장아암(513d)들중 일부가 회전제한부(502f)에 인접할 때까지 서로에 대해 회전한다.
원주방향으로 보았을 때 확장아암(513d)들중 일부가 회전제한부(502f, 502g) 사이에 위치하고, 모든 확장아암(513d)들이 하우징(502)쪽의 하우징지지부(502a) 위에 위치하도록 센서스프링(513)의 부분이완운동이 일어난다. 발명에 따른 베이요네트(bayonet) 모양의 결합부(514)의 설계를 통해, 마찰클러치(501)를 끼워맞출때, 확장아암(513d)은 하우징(502)쪽의 하우징지지부(502a)와 인접하지 않게 된다.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센서스프링(513)의 스프링하중을 가하는 원형의 스프링기저부(513f)는 다이아프렘 스프링과 압력판 상의 지지영역의 외측반경방향에 갖추어진다. 그러나 많은 경우, 센서스프링의 원형의 스프링기저부(513f)는 다이아프렘 스프링과 압력판 사이의 지지영역의 내측반경방향에 구성되는 것이 편리하다. 도 17 및 도 18의 실시예에서, 센서스프링(13)의 축방향인장력을 가하는 센서스프링기저부(13b)가 다이아프렘 스프링(4)과 압력판(3) 사이의 지지캠(3a)의 방사상 내부에 갖추어진다.
도 36 및 도 37의 실시예에서, 하우징상부에 위치하는 카운터 경사부(524)는 하우징(502)에 형성된 캠모양의 오목부로 구성된다. 또한 조정링(517)과 하우징(502) 사이에서 고정되는 코일스프링(526)은 조정링(517)과 일체로 구성되고, 원주방향으로 확장구성되는 안내핀(528)에 의해 안내된다. 제21도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상기 안내핀(528)은 코일스프링(526)의 내경과 일치하는 장방형 단면이 축방향으로 구성된다. 적어도 코일스프링(526)의 종방향확장구성부의 일부분위로 상기 안내핀(528)이 확장구성된다. 최소한 스프링권선의 일부는 최소한 반경방향으로 안내되고 지지된다. 더욱이 코일스프링(526)은 축방향으로 굽어지거나 튀어나가지 못한다. 안내핀(528)은 마찰클러치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조정링(517)의 일부가 도 38에 도시된다. 조정링(517)은 코일스프링(526)을 지지하기 위해 원주방향으로 확장구성되는 안내핀(528)을 내측반경방향의 성형부(527)에 구성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안내핀(528)은 사출성형된 부분으로 만들어진 플라스틱제의 조정링(517)과 일체로 구성된다. 안내핀(528)이 구성되는 부분은 개별구성부품으로 구성되거나 스냅(snap)방식의 끼워맞춤식 잠금장치에 의해 조정링(517)과 연결된다. 선호적으로 스냅방식의 끼워맞춤 잠금장치로 설계된 최소한 세 개의 잠금요소들에 의해 조정링(517)과 연결되고 원주위로 요구된다면 개방가능한 링에 의해 형성된다.
도 28 및 도 29에 있어서, 코일스프링(526)은 조정링(517) 및 하우징(502)이 구성된 영역에서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지지된다.
코일스프링(526) 근처의 하우징(502) 부분은 하우징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모양으로 또는 벽을 형성하는 축방향의 오목부(526a)에 의해 형성된다. 코일스프링(526)의 오목부(526a)는 코일스프링(526)의 상응하는 단부가 안내되고 불필요한 운동에 대해 축방향으로 그리고 반경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설계된다.
도 39의 마찰클러치(601)에 있어서, 센서스프링(613)은 압력판(603)으로부터 떨어진 하우징(602)의 측부에 구성된다. 압력판(603)을 지지하는 하우징(602) 내부에 센서스프링(613)을 구성함으로써 센서스프링(613)의 열변형(thermalstrain)은 감소되고 과열에 의한 센서스프링(613)의 안정성이 보호된다. 또한 센서스프링(613)의 개선된 냉각효과가 하우징(602)의 외측부에서 이루어진다.
하우징(602)으로부터 떨어져 작동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604)의 측부에 구성된 지지패드(611)의 지지작용은 센서스프링(613)에서 축방향으로 연결되고, 하우징(602)과 다이아프렘 스프링(604)에 구성된 요홈을 통해 축방향으로 확장구성되는 리벳(615)에 의해 이뤄진다.
상기 리벳(615)는 센서스프링(613)에 리벳이음이 이루어진다. 리벳(615) 대신에 다른 장치가 센서스프링(613)과 미끄럼운동이 이루어지는 지지패드(611) 사이에 연결부를 구성한다. 내측반경방향의 구성영역에서 상응하는 성형부를 통해 직접적으로 지지패드(611)를 구성하거나, 반경방향의 구성영역으로 지지패드(611)를 지지하는 축방향의 탭(tab)이 센서스프링(613)에 구성된다. 센서스프링(613)에 고정된 리벳(615) 대신에 센서스프링(613)으로 불연속적인 운동을 위해 다른 형태의 구성부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0의 실시예에서, 센서스프링(713)은 작동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704)을 위해 회전베어링(715)의 내측반경방향으로 확장구성된다. 센서스프링(713)은 반경방향의 내부영역에 의해 하우징(702) 위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하우징(702)는 다이아프렘 스프링(704)내에서 슬릿(slit) 또는 요홈을 통해 확장구성되고, 센서스프링(713)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탭(715)으로 구성된다.
도 41의 조정링(817)은 도 20 및 도 21의 마찰클러치와 함께 사용된다. 조정링(817)은 반경방향으로 확장구성되고, 내측반경방향의 돌출성형부(827)로 구성된다. 돌출성형부(827)는 조정링(817)과 하우징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인장되는 코일스프링(826)의 지지부를 형성하는 반경방향성형부(827a)로 구성된다. 코일스프링(826)을 안내하고 코일스프링(826)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링(828)이 외부 원주위에서 개방상태로 구성된다. 링(828)은 반경방향성형부(827a)에 결합된다. 이것을 위해, 반경방향성형부(827a)는 링(828)과 관련하여 스냅끼워맞춤식 결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요홈이 확장구성된다. 하우징 위에 구성된 코일스프링(826)의 지지작용은 하우징 위에 구성된 축방향 탭(axial tab)(826a)으로 형성된다. 축방향 탭(826a)의 각각은 링(828)을 지지하도록, 축방향의 탭단면부(826b)로 구성된다. 링(828)이 축방향탭(826a)에 관해 최소한 마찰 클러치의 마모경로에 상응하는 축방향변위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링(828)을 지지하는 반경방향성형부(827a)에 형성된 요홈과 축단면부(826b)을 축방향으로 보면, 반경방향성형부(827a)의 요홈은 한쪽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개방상태에 있고 탭단면부(826b)는 다른쪽 축방향에서 개방상태를 이루는 것이 편리하다.
도 42의 마찰클러치(901)에 있어서, 클러치분리가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904)의 지지기능은 다이아프렘 스프링(904)의 스프링 기저체(904a)의 중앙부분에서 일어난다. 스프링기저체(904a)는 압력판(903) 위에서 외측반경방향으로 지지되고, 회전베어링(905) 위에서 내측반경방향으로 확장구성된다. 즉 지금까지 알려진 다이아프렘 스프링 클러치와 비교할 때 회전베어링(905)이 다이아프렘 스프링(904)의 스프링단부를 형성하는 슬릿(slit)단부나 다이아프렘 스프링(904)의 스프링기저체(904a)의 내측변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회전베어링(905)의 외측반경방향에 구성된 스프링기저체에 대해 회전베어링(905)의 내측반경방향에 구성된 스프링기저체의 반경방향폭비율(radial width ratio)은 1:2이다. 상기 비율이 1:6과 1:2 사이에 있으며 편리하다. 다이아프렘 스프링(904)의 상기 지지작용에 의해, 회전베어링(905)의 구성영역내에서 스프링 기저체(904a)의 손상이나 과도한 변형이 방지가능하다.
도 42에 있어서, 압력판(903)에 구성된 축방향의 베어링캠(903a)이 점선으로 도시된다. 압력판(903)에 구성되 베어링캠(903a)에 의해, 특히 지지캠(903b)의 구성영역에서 마찰클러치(901)에 관해 다이아프렘 스프링(904)의 중심잡기가 가능하다. 외경중심잡기에 의해 다이아프렘 스프링(904)은 하우징(902)에 관해 반경방향으로 지지되어, 도 42의 중심잡기기능의 리벳(915)이 불필요해진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경중심잡기는 하우징(902)으로부터 성형되는 오목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마찰클러치(901)에 있어서, 힘이 가해지는 내부기저체(913a)가 베어링캠(903a)의 반경방향 내부에 구성되도록 센서 스프링(913)이 구성된다. 한쪽 측면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904)을 지지하고 다른쪽 측면에서 하우징(902)을 지지하기 위해, 내측반경방향으로 내부기저체(913a) 위에서 확장구성되고 외측반경방향으로 내부기저체(913a)로부터 확장구성되며 반경방향을 향하는 확장아암이 센서스프링(913)에 구성된다.
도 43의 마찰클러치(1001)의 수정예에 의하면, 마찰클러치의 클러치분리하중에 대한 반력 또는 다이아프렘 스프링(1004)의 회전력이, 하우징(1002)과 압력판(1003)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인장력을 받는 센서 스프링(1013)에 의해 가해진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다이아프렘 스프링(1004)은 회전경사부(1005)내에서 클러치분리가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다. 지지패드(1012)상의 다이아프렘 스프링(1004)의 수용은 센서스프링(1013)의 예비인장력에 의해 보장된다. 마찰클러치(1001)의 분리시, 센서스프링(1013)에 의해 가해지는 축방향 하중이 마찰클러치(1001)의 소요분리하중보다 더 크도록 센서스프링(1013)이 구성된다. 마찰라이닝(lining)상에 마모가 발생되지 않는다면, 다이아프렘 스프링(1004)은 항상 지지패드(1012)와 인접하도록 유지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이전의 실시예들과 관련한 구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개별적인 축방향 하중과 중첩하중 사이에 순응성(conformity)이 존재해야 한다. 압력판(1003)과 하우징(1002) 사이에 구성되는 판스프링 요소를 통해, 다이아프렘 스프링(1004)을 통해, 마찰클러치(1001)에 대한 클러치분리하중을 통해, 조정링(1017)위에 작용하는 조정링 구성요소들을 통해, 센서스프링(1013)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개별적인 축하중 및 중첩하중들은 서로에 대해 적합하게 순응되어 진다.
도 44의 마찰클러치(1101)에 의해, 센서스프링(1113)이 하우징 위에 위치하고, 링모양을 가지는 지지패드(1112)의 외부에서 반경방향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아프렘 스프링(1104)과 센서스프링(1113) 사이의 상호지지작용은 또한 지지캠(1103a)의 외부에서 반경방향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102)에서의 지지를 위해서 센서스프링(1113)은 반경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는 포인팅 아암(1113b) 형태로 반경방향 외측의 몰딩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포인팅아암(1113b)은 베이요네트식 체결구(bayonet lock)(1514)에 의해 하우징(1102)상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도 36에서부터 도 37까지에서 설명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센서스프링(1113)에 맞추도록, 하우징(1102)은 상응하는 축방향 요홈(1502b)을 가지며 그 속에서 센서스프링(1113)의 방사상 바깥측의 지지아암이 베이요네트식 체결구(1514)를 형성하도록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하우칭측에서의 지지페드(1112)에 대한 다이아프렘 스프링(1104)의 지지작용이 센서스프링(1113)의 예비인장력에 의해 보장된다.
클러치의 기능이 도 43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센서스프링의 하중을 조정점(adjustment point)내의 분리하중과 일치하도록 센서스프링이 설계된다. 만약 마찰라이닝의 마모(또는 다른 부분에서의 마모) 발생후, 그 결과 다이아프렘 스프링 각도변화와 보다 높은 다이아프렘 스프링 작용력의 변화가 발생된다면,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먼저 지지패드(1012) 근처로 이동하고, 조정점까지 이동된다. 상기 조정점에서 라이닝과 함께 분리하중이 센서스프링하중-잔류하중(residual force)-과 등가하기 때문에, 분리하중과 센서스프링하중 사이에 하중평형이 다시 이루어질 때까지, 분리가 이루어질 때, 압력판 위에서 그리고 지지패드 주위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회전한다. 다이아프렘 스프링은 하우징측면에서 지지패드로부터 제거되고 조정작용을 위해 구속해제된다. 추가로 분리작용이 이루어질 때, 분리하중은 다시 떨어지며, 센서스프링하중이 우세하고, 압력판을 통해서 하우징측면에서 지지패드(1012)를 향해 다이아프렘 스프링을 가압하며, 이에 의해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은 상기 지지패드를 둘레에서 더욱더 회전한다.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하우징측면상에 위치한 지지부로부터 압력판상에 위치한 지지부로 이동됨에 따라, 다이아프렘 스프링은 이중-아암레버(double-armed lever)로서 작용한다. 다이아프렘 스프링은 압력판위에 존재하는 분리하중과 함께 압력판위에서 일시적으로 지지되며, 그 결과 하우징측면에서 지지패드로부터 일시적으로 상승된다. 추가의 분리운동이 이루어진 후에 센서스프링의 하중은 센서스프링의 하중과 관련한 하중감소의 작용력의 결과, 우세해지며 상기 센서스프링은 다이아프렘 스프링을 하우징측에서 지지패드를 향해 누르며, 이에 의해서 조정장치가 방해받고, 조정과정이 종료된다. 다음에,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다시 추가의 분리경로를 위해서 이중-아암레버(double-armed lever)로서 작동하게 된다. 다이아프렘 스프링은 직, 간접으로 다이아프렘 스프링을 향해 작용하는 모든 스프링하중을 고려해 넣도록 설계될 것이다. 상기 언급한 스프링하중으로는 다이아프렘 스프링과 하우징과 관련해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응하는 보상과정 또는 조정과정에서 관련한 구성부품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들이 있다.
도 44를 따르는 실시예의 장점을 보면, 마찰클러치의 연결상태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1104)은 이중-아암 레버로서 작동하거나 실제로 인장상태가 유지되며, 다이아프렘 스프링(1104)이 하우징위의 지지패드(1112)와 압력판위의 지지캠(1103a) 사이에서 인장상태가 유지되나, 마찰클러치(1101)의 분리과정중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이 센서스프링(1113) 상에서만 지지되면, 스프링지지부(1113a) 주위에서 회전되고, 동시에 스프링지지부(arm)(1113a)의 축방향 이동이 발생하여, 실제로는 이것이 단일-아암 레버(single armed lever)로서 작용한다.
적절한 설계 및 적용에 의해, 도 44를 따르는 센서스프링(1113)은 다른 도면의 다이아프렘 스프링에서와 같이 다이아프렘 스프링(1104)의 모든 직경위에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스프링(1113)은 하우징위에 위치한 스프링회전영역(1105)과 압력판위에 위치한 지지캠(1103a) 사이에 위치한 직경위의 평평한 부분과 다이아프렘 스프링(1104) 위에서 지지될 수 있다. 더구나 다이아프렘 스프링(1104)상의 센서스프링(1113)을 위한 지지작용은 역시 하우징상에 위치한 스프링회전영역(1105) 안쪽에서 방사상으로 이루어진다. 센서스프링(1113)에 의해 가해지는 축방향 지지력은 스프링지지부(1113a)가 플레이트스프링(1104)상에서 작아질수록 더욱더 커지게 된다. 또한 센서스프링(1113)의 구성부분중 일정한 작용력을 가지는 스프링영역은 다이아프렘 스프링(1104)과 센서스프링(1113) 사이의 스프링지지부(1113a)가 다이아프렘 스프링(1104)의 하우징위에서 스프링회전영역(1105)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더욱더 커지게 된다.
도 45를 따르는 실시예는 상기 도면을 특히 도 17에서부터 도 30까지의 도면설명과 유사하게 작용하는 조정장치(1216)을 가진다. 작동중인 다이아프렘 스프링(1204)은 링모양의 두 개의 지지패드(1211, 1212) 사이에 장착되어 회전된다. 압력판(1203)을 연결시키는 지지패드(1211)는 센서스프링(1213)에 의해 편향(bias)된다. 마찰클러치(1201)는 마찰클러치의 사용수명에 걸쳐 조정링의 경사부가 하우징에 구성된 카운터경사부(counter ramp)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격리장치(1261)를 가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카운터 경사부는 도 18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하우징에 회전이 되게 고정되는 지지링(1225)상에 제공된다. 경사부와 카운터 경사부 사이의 부착에 의해 더 이상 발생되지 않는 바람직한 마모조정이 이루어진다.
마찰클러치(1201)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그리고 마찰라이닝(1207)상에 마모가 존재하는때, 조정링(1217)상에서 축방향 하중을 작용가능한 결합해제기구(tear-loose mechanism)가 상기 격리장치(1261)에 의해 형성되어, 경사부와 카운터 경사부 사이에 존재하는 접착연결이 해제된다. 격리장치(1261)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축방향 탄성요소(1262)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요소(1262)는 다이아프렘 스프링(1204)에 축방향으로 연결된다. 상기 탄성요소(1262)는 링모양의 박막구조를 가지거나 다이아프렘 스프링과 유사한 탄성기저체(1262a)이며 상기 탄성기저체(1262a)는 다이아프렘 스프링(1204)에 대해 외측으로 반경방향을 향해 연결된다. 링모양의 탄성기저체(1262a)의 반경방향 내측변부로부터, 원주둘레로 펼쳐지고 다이아프렘 스프링(1204)내의 축방향 요홈들을 통해 돌출한 축방향 탭(1263)이 확장구성된다. 이들의 자유단부영역에서 조정링(1217)의 카운터정지부(1265)와 상호작용하는 정지부(1264)를 가진다. 카운터정지부(1265)는 조정링(1217) 내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된 요홈에 의해 그리고 원주위 홈에 의해 형성된다. 마찰클러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정지부(1264)와 카운터 정지부(1265) 사이의 거리는 클러치 분리상태의 대부분에 걸쳐 정지부(1264)와 카운터 정지부(1265) 사이에 아무런 접촉도 존재하지 않도록 측정된다. 선호되게 마찰클러치가 완전히 분리될 때, 정지부(1264)는 카운터정지부(1265)와 단지 인접하게 되며 탄성요소(1262)가 조정링(1217)과 다이아프렘 스프링(1204) 사이에서 탄성인장상태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마찰라이닝상에서 마모에 의해 지지프대(1211)의 축방향 이동이 발생하면, 조정링(1217)이 하우징위의 경사부로부터 자동으로 상승된다. 가령 분리장치의 잘못된 기본조정기능 때문에 분리경로가 과도할 때, 격리장치(1261)는 조정링(1217)의 조정작용을 막아야 한다. 다이아프렘 스프링(1204)의 회전각이 분리방향으로 과도할 때, 탄성요소(1262)가 다이아프렘 스프링(1204)에 대하여 조정링(1217)을 인장시키며, 이에 의해서 조정링(1217)이 다이아프렘 스프링(1204)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분리가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도 8의 점(46)의 초과할 때, 조정링(1217)이 다이아프렘 스프링(1204)에 대하여 회전되게 고정되는데, 도 8의 점(46)을 초과하자마자, 센서스프링(1213)의 지지력이 극복되는데 이것은, 클러치디스크에서 마모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도 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는 결국 작동점에서의 변화를 일으키게 되며, 따라서 다이아프렘 스프링(1204)의 설치위치변화시 더 작은 접촉하중 방향으로 변화를 일으킨다. 이것은 도 24에서 작동점(41)이 최소분리하중방향(45)으로 특성곡선(40)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46에서부터 도 48까지의 세부설명에 따라 설계된 마찰클러치의 한 실시예에서, 개별적인 코일스프링(1326)이 하우징(1302)과 일체로 형성된 탭(1328)위에 설치된다. 탭(1328)은 가령 펀칭(punching) 가공된 U자형 단면(1302a)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1302)의 판재금속으로부터 몰딩된다. 원주방향으로 볼 때 도시된 탭(1328)은 아크(arc) 모양으로 도는 접선방향으로 확장구성되며, 축방향으로 볼 때 바로 인접하여 있는 하우징가 거의 같은 위치에 있는 것이 선호된다. 도 48의 실시예에서, 탭(1328)은 하우징(1302)을 구성하는 기저영역(1302)의 두께가 탭(1328)의 두께의 1/2이 되도록 오프셋(off-set)된다. 탭(1328)의 폭은 탭(1328)위에 제공된 코일스프링(1326)이 반경방향 및 축방향 모두로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코일스프링(1326)에 의해 조정(adjustment)방향으로 편향(bias)되는 조정링(1317)은 조정링(1317)의 내측원주상에서 반경방향으로 내측으로 오목하게 몰딩된 부분 또는 하우징(1302)과 다이아프렘 스프링(1304) 사이에서 확장구성되는 확장아암(1327)을 가진다. 상기 확장아암(1327)은 반경방향으로 내측을 향하게 축방향의 포오크(fork) 또는 U자형 몰딩부(1327a)를 가지며, 축방향을 향하는 두 개의 스프링지지부(1327b)는 양측면에서 스프링안내기능의 탭(1328)과 결합한다. 상기 목적을 위해 두 개의 스프링지지부(1327b)가 하우징(1302)의 U자형 단면(1302a)을 통해 축방향으로 확장구성된다. 코일스프링(1326)은 U자형 몰딩부(1327a) 또는 스프링 지지부(1327b) 상에서 지지된다.
하우징(1302) 내에서 조절링(1317)은 앞서의 도면과 관련해서 이미 설명한 방법과 유사하게 압인가공된 카운터 경사부(1324) 상에서 경사부를 지지한다. 그러나 카운터 경사부(1324)를 형성하는 하우징의 만입구(indentation)를 클러치의 회전방향으로 공기통로개구(1324)를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상응하는 마찰클러치의 회전중에 상기 설계에 의해 개선된 냉각작용이 자동공기순환을 통해서 달성된다. 특히 플라스틱제의 조정링(1317)은 냉각되며, 상기 냉각작용에 의해 상기 부품의 열부하가 크게 줄어들게 된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클러치의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작용하는 센서스프링의 하중은 가령 클러치 하우징과 압력판 사이에 구성되는 판스프링에 의해 가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판스프링은 압력판과 하우징을 함께 결합시키어 이들이 선택적으로 고정되나 축방향으로 제한된 범위에서 상호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설계에 의해, 특수한 센서스프링이 필요 없거나, 도 1 및 도 2를 따르는 마찰클러치(1)의 판스프링(9)은 추가의 센서스프링(13)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스프링(13)과 지지링(11)은 필요없게 된다. 마찰클러치(1)의 작동시, 라이닝에 마모가 존재하지 않을 때 다이아프렘 스프링(4)이 하우징위에서 지지패드(12)와 인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판스프링(9)이 설계되어져야 한다. 상응하는 마모가 라이닝(7)에 발생하여 다이아프렘 스프링(4)의 분리하중이 증가할 때, 판스프링(9)은 마모에 상응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4)의 조정을 허용해야 한다. 마찰클러치내에 설치된 판스프링은 적어도 마찰클러치 또는 압력판의 최대 소요조정경로에 걸쳐서 선형 하중 - 경로 특성곡선을 갖게 된다. 도 25와 관련해서 설명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9)은 특성곡선(47) 또는 특성곡선(47a)을 따르는 이완경로(48)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설명된 개별적인 구성요소 또는 특징에 의한 구체예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에 속하는 범위내에서 새로운 특징과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출원인은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주장하는 바이다. 본 특허청구항은 더 넓은 특허보호를 얻기 위해 편견없이 제한된 단어를 사용한다.

Claims (87)

  1. 하우징에 대하여 비회전적으로 그러나 축방향으로 제한적으로 변위발생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압력판으로 구성되는 마찰클러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이 - 카운터 압력판 위에서 마찰클러치의 조립상태를 이루며 - 클러치디스크의 방향으로 압력판을 편향시키고, 상기 클러치디스크는 압력판과 카운터압력판 사이에서 고정되고, 추가로 조정장치(16)는 적어도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라이닝의 마모를 보상하고 실제로 판스프링을 통하여 압력판(3)을 편향시키는 일정하중을 발생시키며, 마찰클러치는 연결과 분리를 위한 작동장치(4b)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장치는 축방향으로 변위발생이 가능한 분리장치(22)에 의해 작동가능하고, 장치(29, 3b, 436)가 작동장치(4b, 4096)의 분리운동을 제한하여 작동장치에 대한 허용할 수 없이 높은 편향 및/또는 변형의 작용을 방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2. 하우징에 대하여 비회전적으로 그러나 축방향으로 제한적으로 변위발생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압력판으로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이 - 카운터 압력판 위에서 마찰클러치의 조립상태를 이루며 - 클러치디스크의 방향으로 압력판을 편향시키고, 상기 클러치디스크는 압력판과 카운터압력판 사이에서 고정되고, 압력판은 하우징(40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원형 기저체(409a)로 구성되며, 원형기저체로부터 작동하는 설형 요소(404b)가 내측반경방향으로 연장가능한 마찰 클러치에 있어서,
    클러치는 클러치분리시 작동하는 설형요소의 회전각을 제한하고, 작동하는 설형요소의 반경방향 확장영역내에서 작동하고, 선호적으로 적어도 상기 영역에 인접하거나 작동하는 설형요소(404b)의 반경방향 내측영역내에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한장치가 적어도 하우징(2, 402)상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한장치는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기능의 정지장치(43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5. 제1, 3 또는 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제한장치(436)가 분리부품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품(34)과 클러치하우징(2) 사이에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6. 제1항 또는 3항에서 5항까지의 항중 한 항에 있어서, 분리운동은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제한정지장치(436)에 대해 정지기능이 이루어지는 작동장치(4b)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7. 전항들에 있어서, 판스프링은 링모양의 기저체(4a)로 구성되고, 이것으로부터 작동장치를 형성하는 내측반경방향을 향하는 설형요소를 연장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8. 전항들에 있어서, 판스프링이 회전각운동을 위해 장착되고, 제한장치(436)는 상기 회전각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9. 전항들에 있어서, 제한장치(436)는 마찰클러치내에서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10. 제1항 또는 제3에서 제9들 중 한 항에 있어서, 분리경로의 제한은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정지장치(436)에 대해 정지기능이 이루어지는 내측반경방향의 판스프링 설형요소단부(404c)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제한정지장치(436)는 판스프링 설형요소가 압력판(403)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제한정지장치(436)는 반경방향으로 정렬된 연결웨브(437)에 의해 하우징에 연결되는 링모양의 정지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하우징으로부터 출발하는 연결웨브(437)는 반경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며, 압력판(403)의 방향으로, 축방햐으로 경사지게 구성되고, 판스프링 설형요소들 사이의 슬릿들을 통해 확장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14. 작동장치 위에서 작동하는 분리장치(601)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제1항 또는 제3항에서부터 제13항들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장치(662, 664, 666, 667)가 작동장치(604)위에 작동하는 분리하중을 제한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15. 전항들에 있어서, 라이닝서스펜션(10)은 클러치디스크의 마찰라이닝들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16. 전항들에 있어서, 마찰클러치가 눌림식 클러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17. 회전되게 고정되지만, 하우징에 대해 제한된 량만큼 변위발생이 가능한 압력판을 가진 마찰클러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 카운터압력판 위에서 마찰클러치의 조립상태에서 - 압력판과 카운터 압력판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는 마찰클러치를 향하여 압력판을 편향시키고, 마찰클러치는 동일요소 위에 작용하는 분리장치(601)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분리 및 연결을 위한 작동장치(604)로 구성되며, 장치(662, 664, 666, 667)은 작동장치위에 가해질 수 있는 작동하중을 제한하기 위해 분리장치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18. 제14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작동하중의 제한은 분리장치의 하중전달 경로내에 제공되고, 어떤 작동하중을 초과할 때 왕복(yield)이 이루어지는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19. 제18항에 있어서, 항복장치는 탄성 도는 레질리언트(resilient)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20. 제14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분리장치는 최대분리하중을 제한하기 위해 밸브(662, 664, 666, 667)가 제공되는 가압매체 회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21. 제1항 또는 제3항에서부터 제20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최대작동하중을 제한하는 장치가, 판스프링 설형요소와 같이, 클러치페달 또는 작동모터 및 마찰클러치의 작동장치(4b) 사이에서 하중전달경로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22. 제14항에서 제21항까지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최대 압력을 제한하기 위해 장치(662, 664, 666, 667)가 제공되는 가압매체 회로를 분리장치가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23. 제14항에서 제22항까지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클러치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최대하중보다 적어도 약간 더 큰 최대하중이 설정된 마찰클러치의 작동장치(4b) 상에 작용하는 하중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24. 제17항에 있어서, 제23항까지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하중제한장치가 예를 들어 유압식 또는 스프링식 저장장치와 같은 버퍼(buffer)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25. 마찰클러치의 연결과 분리를 위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작동장치에 의해서, 액츄에이터는 안정장치와 연결되어 있고, 안전장치를 통해 기정의 작동하중 또는 액츄에이터의 기정토크를 초과할 때 클러치에 가해지는 토크 또는 작동하중이 기정가능한 량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26.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나, 하우징에 대하여 제한된 량으로 축방향에 대해서 변위발생이 가능한 압력판을 가지고 특히 차량용 마찰클러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마찰클러치 사이에는 접촉압력판스프링이 구성되며, 상기 접촉압력판스프링은 한편으로 접촉압력판의 양측에 장착되는 회전베어링 주위에서 회전가능하고, 다른 한편으로 - 마찰클러치의 조립상태에서 카운터 마찰판위에서 - 플라이휠과 같은 카운터 압력판과 압력판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는 클러치 디스크를 향해 압력판을 편향시키고,
    하우징의 측면에서 회전지지패드(412)는 적어도 클러치디스크의 마찰라이닝의 마모를 보상하는 자동조정장치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크기가 속도에 의존하여 변하고, 하우징측면에서 회전패드를 향하는 지지력의 작용하에서 카운터 압력판 스프링(404)이 직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27. 제1항에서 제26항까지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416)는 하우징(402)과 판스프링(404) 사이에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지지력이 하우징과 떨어진 판스프링의 측면에 제공되는 회전지지패드(411)를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29. 제26항에서 제28항까지 항들 중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력은 원심력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30. 전항들에 있어서, 판스프링(404)은 클러치분리력에 대하여 하우징 위에서 하중구속결합만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31. 제26항에서 제30항까지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지지력은 판스프링(404) 또는 하우징 측면쪽의 지지패드(412)의 마모조정시 모양이 변화하고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 모양의 에너지저장장치(413)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32. 제26항에서 제31항까지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지지력은 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33. 제26항에서 제32항까지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원심력에 의존하는 장치(450)는 판스프링과 같은 요소(413)에 의해 발생되는 기본 지지력과 평행하게 작용하는 지지력을 발생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원심력에 의존하는 장치(450)는 마찰클러치의 정지 또는 저속에서만 마모조정작용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35. 제26항에서 제34항까지의 항들 중에 한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416)의 조정기능은 실제로 특정속도 이상에서 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36. 제26항에서 제35항까지의 항들 중에 한 항에 있어서, 기본 지지력을 발생하는 판스프링모양의 요소(413)에 의해 지지되는 설형요소들에 의해 원심력 의존장치(4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설형요소(450)가 판스프링 모양이 요소(413)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장치.
  38. 하우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나 제한된 량으로 축방향으로 변위발생이 가능한 압력판으로 구성되는 마찰클러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과 같은 접촉 압력 스프링이 하우징 및 압력판 사이에서 작동하며, 조정장치가 적어도 마찰클러치의 마모를 자동으로 보상하도록 구성되며, 마찰클러치가 카운터압력판 위에 설치되지 않을 때, 조정장치는, 시작위치에 놓이고, 마찰클러치의 사용수명에 걸쳐 실제로 접촉압력스프링을 통해서 압력을 편향하는 일정하중을 발생시키며, 마찰클러치는 연결과 분리를 위한 작동장치(204)를 가지고, 마찰클러치의 비설치 상태에서 조정장치(216)는 시작위치로부터 과도한 (의도하지 않은) 변위발생에 대해 안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츨클러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조정장치(216)의 고정이 적어도 마찰클러치(201)가 카운터 압력판 위체 장착된 후에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40.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조정장치는 적어도 마찰클러치(201)의 비 조립상태에서 안전장치(261)를 통해 회전방지가 되는 회전가능한 링(21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41. 제38항에서 제40항까지의 항들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조정링(717)은 접촉압력스프링(704)과 하우징(702)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구성되고, 추가로 어떤 코니시티(conicity)가 초과될 때 판스프링(704)에 의해 연결되는 반경방향 확장아암(77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42. 제38항에서 제42항까지의 항들 중의 한 항에 있어서, 마찰클러치(701)가 설치될 때 조정장치의 의도하지 않은 변위발생을 방지하는 장치(773)는 또한 마찰클러치(701)가 끼워 맞춰지고 작동장치(704c)의 어떤 분리경도(772)가 초과될 때 조정장치(716)를 또한 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조정장치의 방해기능이 조정장치의 조정링(717)의 영역들과 인접한 판스프링(704) 위에 제공되는 영역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44. 제43항에 있어서, 판스프링(704)의 외측변부 영역은 판스프링(704)의 기정의 코니시티가 초과될 때 조정링의 반경방향 확장아암(717) 위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45. 전항들에 있어서, 접촉압력을 발생시키는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이 하우징(402)과 압력판(403)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인장력을 받고, 다른 측면에서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베어링 주위에서 회전하며, 다른 측면에서 클러치 디스크를 향해 압력판(403)을 편향시키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베어링은 하우징(402)과 다이아프렘 스프링(404) 사이에서 작동하는 마모보상 자동조정장치(476)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다이아프렘 스프링은 회전베어링을 향해 작용하는 지지력의 작용을 받으며,
    클러치(401)의 분리시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회전운동을 제공하는 장치(436)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46. 제45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렘 스프링은 작업범위에 걸쳐 강하특성곡선을 가지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47.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이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분리하중에 대해서만 지지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48. 제45항에서 제47항까지의 항들 중에서, 지지력 및 다이아프렘 스프링 하중이 서로 일치되어,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제안된 설치위에 의해 그리고 코니시티의 마모조건에 의한 변화를 제외하며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분리경로에 걸쳐서 지지력이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고 지지력에 반작용하는 하중보다 크지만,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코니시티의 마모조건에 의한 변화에 의해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분리경로중 일부분에 걸쳐 지지력은 지지력에 대해 다이아프렘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49. 제45항에서 제48항까지의 항들 중에 한 항에 있어서, 마모조건에 의한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의 조정에 의해 모양이 변화하는 스프링(413)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저장장치 또는 하우징측면위의 지지패드에 의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50. 제45항에서 제49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416)는 다이아프렘 스프링(404) 및 하우징(402)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51. 제45항에서 제50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는 경사부와 같은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52. 제45항에서 제51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지지력은 다이아프렘 스프링 모양의 요소(413)에 의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53. 제52항에 있어서, 지지력을 작용하는 다이아프렘 스프링(413)은 축방향으로 변위발생이 가능한 지지대(411)의 반경방향 높이에서 다이아프렘 스프링(404) 위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54. 제45항에서 제53항까지의 항들중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압력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은 두개의 지지패드(411, 412) 사이에서 하우징(402) 위에 회전운동을 위해 지지되고, 지지패드들 중에서-압력판(403)을 향하는 지지패드는 접촉압력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의 방향으로 스프링하중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지지력에 의해 스프링 하중을 받는 지지패드(411)는 축방향으로 변위발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56. 제45항에서부터 제55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하중을 받는 지지패드(411)의 변위발생이 이루어지는 동안, 접촉압력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분리하중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57. 제54항에서부터 제56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하중을 받는 지지패드(411)는 지지패드(411) 위에 작용하는 접촉압력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의 분리하중과 상기 지지패드 위에 작용하는 지지하중 사이에 힘평형이 설정될 때까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58. 제54항에서 제57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하중을 받는 지지패드(411) 위에 작용하는 지지하중은 제시된 조정영역에 걸쳐서 실제로 일정한 하중을 가지는 에너지저장장치(413)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59. 제54항에서 제58항까지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지지력을 발생시키는 에너지저장장치는 센서로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60. 제54항에서 제59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하중을 받는 지지패드(411)로부터 떨어져 있는 접촉압력 다이아프렘 스프링의 측면에 제공되는 카운터 지지패드(412)는 압력판을 향해 축방향으로 변위발생이 가능하나 구속이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61. 제45항에서 제60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416)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가 스프링(417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62. 제45항에서 제61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마찰클러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접촉압력 다이아프렘 스프링(404)에 의해 축방향으로 편향되는 접촉식의 링모양의 구성부품(417)이 조정장치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63. 제45항에서 제62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416)는 축방향으로 상승하는 조정기능의 경사부(418, 41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64. 제63항에 있어서, 경사부들은 링모양의 구성부품(417) 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65. 제62항에서 제65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링모양의 구성부품(417)은 카운터 지지패드(412)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66. 제63항에서 제65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경사부들이 해당하는 카운터경사부(419)와 서로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67. 제66항에 있어서, 카운터경사부(24)는 경사부(18)를 지지하는 구성부품(17)과 하우징(2) 사이에 장착되는 링모양의 구성부품(25)에 의해 지지되는 것(도 18)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68. 제67항에 있어서, 카운터경사부(18)는 하우징(2)의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영역(2a) 내에서 직접설치되는 것(도 1)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69. 제1항에서 제68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16)는 - 마찰클러치의 분리방향으로 관찰할 때 - 프리휠(freewheel)과 같이 작용하지만 분리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자동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70. 제63항에서 제69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경사부(18, 24)는 경사각이 4° 및 20°도 사이, 선호적으로 5°도에서 12°도 사이의 경사각(23, 29)을 가지는 것(도 20, 도 22)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71. 제63항에서 제70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경사부는 경사부 및 카운터 경사부의 마찰 연결에 의해 자동체결이 이루어지는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72. 제63항에서 제71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경사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품 및/또는 카운터 경사부를 지지하는 구성부품 또는 카운터 경사영역이 조정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한 편향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73. 제1항에서 제72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는 변위발생이 가능한 여러 개의 조정요소(217)로 구성되는 것(도 31에서 도 33까지)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74. 제1항에서 제73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가 속도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75. 제1항에서 제74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가 속도에 의존하여 방해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76. 제1항에서 제75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는 특정한계 이상의 속도에서 방해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77. 제1항에서 제76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는 아이들링 속도 또는 아이들링 속도 이하의 속도에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78. 제1항에서 제77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는 실제로 속도가 영일 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79. 제51항에서 제78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경사부 및/또는 카운터 경사부 또는 영역을 가지고, 하우징에 대해 변위발생이 가능한 조정장치의 구성부품들이 탄성을 가지며 인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80. 제79항에 있어서, 스프링 인장에 의해 원주방향 하중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81. 제45항에서 제80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지지력을 가하는 센서스프링(13)이 하우징 위에서 외측반경방향 영역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82. 제45항에서 제81항까지의 항들 중 한 항에 있어서, 지지영역(451)들은 지지하중을 발생시키는 센서스프링을 위해 하우징(402) 위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83. 전항에 있어서, 라이닝 서스펜션(10) 또는 라이닝 서스펜션 대체물이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라이닝(7) 사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84. 제83항에 있어서, 클러치디스크의 마찰라이닝(7)들 사이에 제공되는 라이닝서스펜션(10)은 라이닝서스펜션의 스프링 경로에 걸쳐서 접촉압력 다이아프렘 스프링(4)에 의해 압력판 위에 작용하는 하중의 경로 - 하중특성에 근접하는 경로 - 하중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85. 전항들에 있어서, 클러치가 분리된 상태에서, 접촉압력 다이아프렘 스프링(4) 또는 마찰클러치를 작동하는데 요구되는 하중이 - 150Nm와 +150Nm 사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86. 전항들에 있어서, 카운터 압력판을 통해 클러치디스크를 구속해제한 후에, 접촉 압력 다이아프렘 스프링(4)이 양의 하중 - 경로 곡선으로부터 음의 하중 - 경로 곡선으로 변하는 것(도 34)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87. 제2항에 있어서, 클러치는 클러치의 분리시 작동하는 설형요소(404a)의 회전각을 제한하고, 작동하는 설형요소(404a)의 내측반경방향영역(404c) 내에서 또는 적어도 상기 영역에 인접한 지지장치(43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KR1019970706244A 1992-07-11 1993-07-07 마찰클러치 KR100326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222842 1992-07-11
DEP4222842.5 1992-07-11
DEP4431131.4 1992-09-17
DE4231131 1992-09-17
DE4317587 1993-05-26
DEP4317587.2 1993-05-26
PCT/EP1993/001760 WO1994001692A1 (de) 1992-07-11 1993-07-07 Kupplungsaggrega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0782A Division KR940702591A (ko) 1992-07-11 1993-07-07 클러치 유닛(clutch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837A true KR19980702837A (ko) 1998-08-05
KR100326410B1 KR100326410B1 (ko) 2002-11-11

Family

ID=2720395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244A KR100326410B1 (ko) 1992-07-11 1993-07-07 마찰클러치
KR1019940700782A KR0140660B1 (ko) 1992-07-11 1993-07-07 마찰클러치
KR1019940700782A KR940702591A (ko) 1992-07-11 1993-07-07 클러치 유닛(clutch unit)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0782A KR0140660B1 (ko) 1992-07-11 1993-07-07 마찰클러치
KR1019940700782A KR940702591A (ko) 1992-07-11 1993-07-07 클러치 유닛(clutch unit)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6000515A (ko)
JP (1) JP3766086B2 (ko)
KR (3) KR100326410B1 (ko)
AU (1) AU4565293A (ko)
BR (1) BR9305581A (ko)
CZ (1) CZ291792B6 (ko)
DE (1) DE4393128D2 (ko)
ES (1) ES2138471B1 (ko)
FR (4) FR2693522B1 (ko)
GB (1) GB2276922B (ko)
HU (1) HU217603B (ko)
IT (1) IT1264919B1 (ko)
SK (1) SK284173B6 (ko)
WO (1) WO199400169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672B1 (ko) * 1999-05-31 2007-01-18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 카게 마찰 클러치
KR20140024814A (ko) * 2012-08-21 2014-03-03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클러치의 압력 플레이트의 위치결정 방법
KR20140146067A (ko) * 2012-03-16 2014-12-24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원심력 진자를 구비한 마찰 클러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78894B (en) * 1993-05-26 1997-12-24 Luk Lamellen & Kupplungsbau Friction clutch
DE19504847B4 (de) * 1994-02-23 2006-04-27 Luk Gs Verwaltungs Kg Überwachungsverfahren für ein Drehmoment-Übertragungssystem eines Kraftfahrzeugs
GB2319820B (en) * 1994-02-23 1998-10-07 Luk Getriebe Systeme Gmbh Torque transfer system
US5890992A (en) * 1994-02-23 1999-04-06 Luk Getriebe-Systeme Gmbh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the transmission of torque in power trains
ES2119667B1 (es) * 1994-12-24 1999-04-01 Fichtel & Sachs Ag Embrague de friccion con muelle auxiliar para asistir a la fuerza de desembragado.
FR2735823B1 (fr) * 1995-06-22 1997-09-05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e jeu,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19707785A1 (de) * 1996-03-05 1997-10-30 Luk Lamellen & Kupplungsbau Reibungskupplung
DE19712888A1 (de) * 1997-03-27 1998-10-08 Mannesmann Sachs Ag Reibungskupplung mit selbsttätigem Verschleißausgleich
FR2767167B1 (fr) * 1997-08-04 2003-10-03 Luk Lamellen & Kupplungsbau Embrayage a friction
US6145642A (en) * 1998-03-19 2000-11-14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Friction clutch with automatic compensation for wear
DE19846955A1 (de) * 1998-10-12 2000-04-13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Unter Last schaltbares Wendegetriebe
IT1317624B1 (it) 1999-03-16 2003-07-15 Luk Lamellen & Kupplungsbau Dispositivo per la trasmissione di un momento torcente, in particolaredi un motore termico ad un cambio disposto a valle in un autoveicolo.
AU2001281725A1 (en) 2000-08-31 2002-03-1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Method for the situation-dependent switching off of the rest current in a clutchactuator
JP5023372B2 (ja) 2000-11-22 2012-09-12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クラッチ装置
US6827192B2 (en) 2002-04-25 2004-12-07 Zf Sachs Ag Resilient plate for adjustable clutches
US6814207B2 (en) 2002-11-26 2004-11-09 Midway Industries, Inc. Friction clutch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powertrain
DE102004009834A1 (de) * 2003-03-03 2004-09-16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Antriebsstrang
JP4497040B2 (ja) * 2005-07-08 2010-07-07 日立工機株式会社 振動ドリル
DE602006014020D1 (de) * 2005-11-08 2010-06-10 Christian Salesse Klemm- oder greifwerkzeug mit einem autonomen ausgleichssystem
EP1957815A1 (de) * 2005-11-29 2008-08-20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Kupplungsaggregat
DE102006018555B4 (de) * 2006-04-21 2007-12-27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Trennbare Kuppl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selbsttätiger Verschleiß- und Temperaturnachstellung
EP1961985B1 (de) * 2007-02-23 2011-09-1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Nehmerzylinder mit Wegmesseinrichtung
ATE530788T1 (de) * 2007-06-28 2011-11-15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Kupplungsaggregat
FR2922283B1 (fr) 2007-10-10 2011-10-21 Valeo Embrayages Mecanisme d'embrayage,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JP5349592B2 (ja) * 2008-07-25 2013-11-20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環状の軸方向摩耗補償装置
DE102008049931B4 (de) * 2008-10-02 2012-03-22 Autoliv Development Ab Kraftbegrenz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CN102203447B (zh) * 2008-11-03 2013-11-06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具有运输保持装置的离合器装置
FR2941755B1 (fr) * 2009-01-30 2011-04-08 Valeo Embrayages Mecanisme a double embrayag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commande a double fourchette
DE102010026285B4 (de) 2010-07-06 2014-02-06 Autoliv Development Ab Kraftbegrenz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1087066A1 (de) 2010-12-22 2012-06-2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elbstnachstellende Kupplung
DE102011008405B4 (de) 2011-01-12 2020-10-15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einer geschwindigkeitsgeregelten Kraftbegrenzungseinrichtung
WO2013007232A1 (de) * 2011-07-11 2013-01-1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trennkupplung in einem hybridischen antriebsstrang und antriebsstrang
DE102011086009A1 (de) 2011-11-09 2013-05-1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elbstnachstellende Kupplung
DE102011087413A1 (de) 2011-11-30 2013-06-06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zwei parallel wirkenden Kraftbegrenzungseinrichtungen
FR3000152B1 (fr) * 2012-12-20 2015-01-16 Valeo Embrayages Embrayage a rattrapage d'usur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2014202142B3 (de) 2014-02-06 2015-03-19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einer geschwindigkeitsgeregelten Kraftbegrenzungseinrichtung
US10082184B2 (en) 2015-03-02 2018-09-25 Rolls-Royc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liminating adverse clutch vibratory responses
CN105402271A (zh) * 2015-11-30 2016-03-16 南京金城机械有限公司 摩托车发动机用摩擦片式离合器脱离装置
RU2622172C1 (ru) * 2016-01-12 2017-06-13 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Макушин Узел сцепления силового агрегата транспортных и транспортн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х машин с центрированием ведущих дисков сменными элементами
DE102020121623A1 (de) * 2020-04-24 2021-10-2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ybridmodul

Family Cites Families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6425A (en) * 1934-05-25 1937-04-06 Borg Warner Friction clutch
DE704791C (de) * 1939-06-03 1941-04-07 Goetzewerk Friedrich Goetze Ak Zentral betaetigte Nachstellvorrichtung fuer die Druckhebel von Lamellenkupplung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DE898531C (de) * 1947-06-14 1953-11-30 Borg Warner Ein- und ausrueckbare Scheibenreibungskupplung
US3061062A (en) * 1959-11-02 1962-10-30 Borg Warner Clutch
DE1267916B (de) * 1959-11-02 1968-05-09 Borg Warner Zweischeibenkupplung
US3176814A (en) * 1962-10-01 1965-04-06 Dana Corp Resilient lock for clutch adjusting device
FR1392569A (fr) * 1964-01-24 1965-03-19 Ferodo Sa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embrayages, notamment aux embrayages du type à diaphragme
DE1450201A1 (de) * 1964-01-24 1969-08-21 Ferordo Sa Franc Kupplung,insbesondere Membrankupplung
US3758094A (en) * 1969-12-03 1973-09-11 Automotive Prod Co Ltd Friction clutches and to engaging load applying spring means for such friction clutches
FR2242893A5 (en) * 1973-08-28 1975-03-28 Ferodo Sa Gearshift-lever housing for diaphragm clutch on vehicle - has diaphragm attached to cover via bolts and intermediary supports
US3876049A (en) * 1973-09-24 1975-04-08 Lipe Rollway Corp Self-adjusting release mechanism for friction clutches
DE2460963A1 (de) * 1974-12-21 1976-07-01 Luk Lamellen & Kupplungsbau Reibungskupplung, insbesondere fuer kfz
JPS51126452A (en) * 1975-04-25 1976-11-04 Aisin Seiki Co Ltd Friction clutch
FR2339100A1 (fr) * 1976-01-26 1977-08-19 Skf Ind Trading & Dev Palier de debrayage pour dispositif d'embrayage
GB1567019A (en) * 1976-03-24 1980-05-08 Automotive Prod Co Ltd Friction clutches
US4057131A (en) * 1976-05-10 1977-11-08 Dana Corporation Multiple disk clutch stamped adapter ring
US4086996A (en) * 1976-12-28 1978-05-02 Borg-Warner Corporation Self-adjusting clutch release bearing carrier assembly
US4191285A (en) * 1977-09-06 1980-03-04 Borg-Warner Corporation Wear compensator for Belleville spring clutch
DE2844493B2 (de) * 1977-10-22 1980-08-21 Automotive Products Ltd., Leamington Spa, Warwickshire (Ver. Koenigreich) Selbstausrichtbares Ausrückwälzlager für Kupplungen
DE2752904A1 (de) * 1977-11-26 1979-05-31 Luk Lamellen & Kupplungsbau Ausruecksystem fuer reibungskupplungen von kfz
US4285424A (en) * 1978-04-14 1981-08-25 Dana Corporation Locking device for a friction type clutch
US4228883A (en) * 1978-04-27 1980-10-21 Borg-Warner Corporation Automatic wear adjuster for Belleville spring clutches
US4207972A (en) * 1978-05-26 1980-06-17 Borg-Warner Corporation Automatic wear compensator for Belleville spring clutches
US4225028A (en) * 1978-11-03 1980-09-30 Lipe-Rollway Corporation Self-adjusting release mechanism with adjustment limiting means
JPS5843612B2 (ja) * 1979-07-16 1983-09-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クリアランス調整装置
DE2932009A1 (de) * 1979-08-07 1981-03-26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77815 Bühl Reibungskupplung,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US4425991A (en) * 1981-05-18 1984-01-17 Hays Bill J Automotive clutch improvements
DE3309427A1 (de) * 1982-03-18 1983-10-06 Valeo Betaetigungsvorrichtung fuer eine kupplung, ein regelgetriebe, eine bremse, oder aehnliches
FR2528925A1 (fr) * 1982-06-21 1983-12-23 Valeo Mecanisme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4660702A (en) * 1985-04-24 1987-04-28 Dana Corporation Clutch release bearing
DE3518781A1 (de) * 1985-05-24 1986-11-27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Selbstnachstellende kupplung
GB8514875D0 (en) * 1985-06-12 1985-07-17 Automotive Prod Plc Clutch cover assembly
FR2599446B1 (fr) * 1986-06-03 1988-08-05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rattrapage d'usure continu
FR2599444B1 (fr) * 1986-06-03 1988-08-05 Valeo Embrayage multidisques,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3721711C2 (de) * 1986-07-05 1997-09-04 Luk Lamellen & Kupplungsbau Einrichtung zum Dämpfen von Schwingungen
JP2718413B2 (ja) * 1986-07-05 1998-02-25 ルーク・ラメレン・ウント・クツプルングスバウ・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振動緩衝装置
DE3631863C2 (de) * 1986-09-19 1995-05-24 Fichtel & Sachs Ag Kupplungsscheibe mit doppelt angeordneten Federsegmenten und wechselseitig verbauten Belagnieten
FR2605692B1 (fr) * 1986-10-23 1989-05-19 Valeo Dispositif d'embrayage a rattrapage d'usure
FR2606477B1 (fr) * 1986-11-06 1989-02-24 Valeo Dispositif d'embrayage a rattrapage d'usure automatique
FR2608238B1 (fr) * 1986-12-15 1991-01-25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progressivite d'actionnement
IT1216070B (it) * 1987-03-13 1990-02-22 Luk Lamellen & Kupplungsbau Componente previsto nella linea ditrasmissione di un veicolo.
JPS63270925A (ja) * 1987-04-27 1988-11-08 Daikin Mfg Co Ltd クラツチカバ−アツセンブリ
JPH0615286Y2 (ja) * 1987-10-08 1994-04-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比例減圧弁
JPH01163218A (ja) * 1987-12-19 1989-06-27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繊維強化樹脂組成物
GB2219361A (en) * 1988-05-24 1989-12-06 Luk Lamellen & Kupplungsbau Friction clutch and process for the assembly thereof
JP2536606B2 (ja) * 1988-10-31 1996-09-1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ブレ―キエネルギ―回生装置
DE4011850B4 (de) * 1989-04-17 2006-04-27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Verfahren zum Steuern einer zwischen einer Antriebsmaschine und einem Getriebe wirksamen automatisierten Reibungskupplung
FR2645805B1 (fr) * 1989-04-17 1995-07-13 Luk Lamellen & Kupplungsbau Procede de commande d'un embrayage a friction automatise agissant entre un moteur d'entrainement et une transmission, appareillage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et regulation associee d'un embrayage a friction
JPH03123A (ja) * 1989-05-29 1991-01-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タンク内のスラリー濃度調整方法
JPH0319131A (ja) * 1989-06-16 1991-01-28 Kobe Steel Ltd 磁気デイスク用基板の製造方法
DE3920372C1 (ko) * 1989-06-22 1990-08-02 Webasto Ag Fahrzeugtechnik, 8035 Stockdorf, De
JPH0532664Y2 (ko) * 1989-07-20 1993-08-20
JPH0353628A (ja) * 1989-07-21 1991-03-07 Fujitsu Ltd 光通信方式
JPH041730U (ko) * 1989-12-29 1992-01-08
JPH0532665Y2 (ko) * 1990-03-14 1993-08-20
FR2662767B1 (fr) * 1990-05-31 1996-09-27 Luk Lamellen & Kupplungsbau Volant divise.
DE4117579B4 (de) * 1990-05-31 2007-07-12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DE4117582B4 (de) * 1990-05-31 2008-02-14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US5070984A (en) * 1990-10-22 1991-12-10 Fehring Thomas C Adjustable centrifugal clutch
FR2670548B1 (fr) * 1990-12-13 1995-06-23 Valeo Disque de friction, notamment pour embrayage.
DE4117547A1 (de) * 1991-05-29 1992-12-03 Teves Gmbh Alfred Zuendschluessel mit eingebauter energiequelle
US5178248A (en) * 1991-11-06 1993-01-12 Eaton Corporation Coupling assembly
SE512438C2 (sv) * 1991-11-26 2000-03-20 Luk Lamellen & Kupplungsbau Friktionskoppling
DE4300665B4 (de) * 1992-03-05 2004-05-19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Mittels Reibung arbeitendes Drehmomentübertragungsorgan
DE4306505B4 (de) * 1992-03-10 2004-01-29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Reibungskupplung
RU2238451C2 (ru) * 1992-03-10 2004-10-20 Лук Ламеллен унд Купплюнгсбау ГмбХ Фрикционная муфта и устройство сцепления
US5251737A (en) * 1992-03-31 1993-10-12 Dana Corporation Self-adjusting means and method for friction clutches
US5320205A (en) * 1992-11-12 1994-06-14 Dana Corporation Wear adjustment for a clutch
JP3317630B2 (ja) * 1996-04-04 2002-08-26 株式会社エクセディ 摩擦クラッ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672B1 (ko) * 1999-05-31 2007-01-18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 카게 마찰 클러치
KR20140146067A (ko) * 2012-03-16 2014-12-24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원심력 진자를 구비한 마찰 클러치
KR20140024814A (ko) * 2012-08-21 2014-03-03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클러치의 압력 플레이트의 위치결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9400966D0 (en) 1994-06-28
KR940702591A (ko) 1994-08-20
FR2753760A1 (fr) 1998-03-27
GB2276922A (en) 1994-10-12
WO1994001692A1 (de) 1994-01-20
ES2138471A1 (es) 2000-01-01
FR2769058B1 (fr) 2006-09-08
US6098772A (en) 2000-08-08
JP2004069072A (ja) 2004-03-04
US6000515A (en) 1999-12-14
FR2724209A1 (fr) 1996-03-08
KR0140660B1 (ko) 1998-07-01
ITMI931515A0 (it) 1993-07-09
DE4393128D2 (de) 1997-07-24
ITMI931515A1 (it) 1995-01-09
ES2138471B1 (es) 2001-04-16
HU217603B (hu) 2000-02-28
JPH06511073A (ja) 1994-12-08
BR9305581A (pt) 1996-01-02
CZ84494A3 (en) 1994-07-13
GB2276922B (en) 1997-05-21
FR2724209B1 (fr) 1998-04-30
CZ291792B6 (cs) 2003-05-14
FR2753760B1 (fr) 1998-12-31
SK40094A3 (en) 1994-10-05
FR2693522A1 (fr) 1994-01-14
AU4565293A (en) 1994-01-31
KR100326410B1 (ko) 2002-11-11
JP3766086B2 (ja) 2006-04-12
FR2693522B1 (fr) 1996-03-22
HUT68248A (en) 1995-06-28
SK284173B6 (sk) 2004-10-05
FR2769058A1 (fr) 1999-04-02
JP3519081B2 (ja) 2004-04-12
GB9404648D0 (en) 1994-06-08
IT1264919B1 (it) 199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0660B1 (ko) 마찰클러치
KR100429653B1 (ko) 마찰클러치(명칭정정)
JP3715660B2 (ja) 摩擦クラッチ
KR100326408B1 (ko) 마찰클러치
RU2143618C1 (ru) Механизм выключения сцепления
DE4322677B4 (de) Reibungskupplung
RU2238451C2 (ru) Фрикционная муфта и устройство сцепления
GB2287994A (en) Friction clutch
KR100516755B1 (ko) 마찰클러치
WO1999064756A1 (en) Clutch assembly
KR100419587B1 (ko) 무정지자동조정다이어프램클러치
GB2294301A (en) Friction clutch
EP0795695B1 (en) Clutch cover assembly with a wear compensation mechanism
KR100671672B1 (ko) 마찰 클러치
US6325193B1 (en) Friction clutch with an adjustment limiting device
KR100429657B1 (ko) 마찰클러치
GB2341651A (en) Device for varying pressure plate contact force
DE4345215B4 (de) Kupplungsaggregat
GB2305474A (en) A friction clutch
US5906257A (en) Clutch cover assembly
GB2304160A (en) Friction clutch
RU2156896C2 (ru) Узел сцепления и фрикционная муфта для узла сцепления (варианты)
RU2128792C1 (ru) Фрикционная муфта, автомобиль с фрикционной муфтой, сцепной агрегат (варианты), сцепной агрегат дл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узел привода
JP3519081B6 (ja) クラッチユニット
SE521261C2 (sv) Friktionskoppling med en tryckplatta 16755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