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657B1 - 마찰클러치 - Google Patents
마찰클러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29657B1 KR100429657B1 KR1019920022384A KR920022384A KR100429657B1 KR 100429657 B1 KR100429657 B1 KR 100429657B1 KR 1019920022384 A KR1019920022384 A KR 1019920022384A KR 920022384 A KR920022384 A KR 920022384A KR 100429657 B1 KR100429657 B1 KR 1004296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ure plate
- clutch
- friction clutch
- friction
- diaphragm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F16D13/71—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in which the clutching pressure is produced by spring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적으로 고정되게 하우징에 연결되나 제한된 양까지 축상으로 변위되는 차량용 마찰 클러치에 관련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되고 연결되지만 제한된 크기만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압력판을 가진 차량용 마찰 클러치에 관련되고, 하우징 및 압력판 사이에 한 개 이상의 다이아프램스프링이 구성되며,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이 클러치디스크를 향해 압력판을 편향시키고, 플라이휠과 같은 카운터압력판 및 압력판 사이에 상기 클러치디스크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형태의 클러치가 예를 들어 문헌 제 DE-OS 24 60 963호, 제 DE-OS 24 41 141호, 및 제 898 531호, 제 DE-AS 1 267 916호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찰클러치의 기능 및 사용수명과 관련하여 상기 마찰클러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마찰클러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하중이 본 발명에 의해 감소되고, 마찰클러치의 사용수명동안, 사실상 일정한 분리하중경로가 보장된다. 본 발명의 마찰클러치는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제조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러치디스크의 마찰라이닝 위에 발생하는 마모를 자동으로 보상하고 다이아프램스프링을 통해 압력판을 편향시키는 하중을 균일하게 만드는 조정장치가 제공되고, 분리과정, 적어도 작동수단의 작동경로의 일부분 또는 압력판의 분리경로의 일부분에 걸쳐서, 마찰클러치 또는 클러치디스크로부터 전달될 수 있는 모멘트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장치 및 마찰클러치의 분리 및 연결을 위한 작동수단이 마찰클러치에 구성된다. 상기 장치를 이용하면, 마찰클러치가 연결되는 동안 및 압력판 및 카운터압력판사이의 마찰라이닝에 인장작용이 개시될 때, 마찰클러치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모멘트가 점진적으로 또는 급진적으로 상승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마찰클러치에 있어서, 마찰클러치의 사용수명에 걸쳐서, 마찰클러치가 연결될 때, 다이아프램스프링은 동일한 예비인장상태를 가지고, 압력판을 편향시키는 일정한 하중이 제공된다. 또한 마찰클러치가 분리되는 동안, 마찰 클러치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모멘트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장치를 이용하면, 소요 최대분리하중 또는 분리하중경로를 최소화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장치가 마찰클러치의 분리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이다. 상기 장치는 축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탄성장치를 가질 수 있고, 작동수단 또는 다이아프램스프링 또는 압력판 또는 카운터압력판 위에 상기 탄성장치는 반작용하중을 가하며, 다이아프램스프링에 의해 압력판 위에 가해지는 하중과 상기 반작용하중이 직렬로 작용한다.
특히 다이아프램스프링에 의해 편향되는 압력판부분의 축방향 이동경로에 걸쳐서 마찰클러치가 분리되는 동안, 마찰클러치 또는 클러치디스크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모멘트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마찰클러치의 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경우에 있어서, 카운터압력판 위에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나사와 같은 고정부분들 및 작동수단의 회전베어링 또는 다이아프램스프링 사이의 하중전달경로내에 상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경우에 있어서, 압력판의 마찰면 및 작동수단의 회전베어링 또는 다이아프램스프링 사이에 하중전달경로에 상기 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형태의 장치가 예를 들어 문헌 제 DE OS 37 42 354 호 및 제 DE-OS 1 450 201호에 공지되어 있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어, 마찰라이닝들 사이에 제공된 라이닝스프링 세그먼트와 같은 소위 "라이닝서스펜션(lining suspension)"으로 제조되고 연속적으로 장착되는 클러치디스크의 두 개의 마찰라이닝들 사이에서 상기 장치가 축방향으로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문헌 제 DE-OS 36 31 863호에 공지되어 있다.
점진적으로 모멘트를 증감시키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이 문헌 제 DE-OS 21 64 297호에 공지되고, 상기 방법에 있어서, 플라이휠(flywheel)은 두 개의 구성부품으로 설계되고, 카운터압력판을 구성하는 부품은 내연기관의 출력축에 연결된 부품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마찰클러치의 기능 및 구성을 위하여, 장치가 클러치구성부품들 사이에서 축방향탄성특성을 허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마찰클러치가 분리될때, 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이 최저상태이고, 마찰클러치가 연결되어, 마찰클러치의 연결경로에 걸쳐서, 상기 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이 점진적으로 최대상태로 증가하도록, 상기 장치가 장착되고, 상기 하중증가는 작동수단 또는 압력판의 연결경로의 일부분에서만 발생한다.
마찰클러치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모멘트가 압력판의 축방향 최대경로 또는 작동수단의 작동경로 중 40% 내지 70%에 걸쳐 점진적으로 증감되도록 상기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클러치디스크, 압력판 및 카운터압력판 같은 부품들에 발생하는 변형을 보상하고, 하중전달을 만족스럽게 분리시키기 위해 작동경로의 나머지영역이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클러치의 작동을 위한 하중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어도 마찰클러치의 분리경로중 일부분에 걸쳐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이 감소하는 하중-경로곡선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고, 즉 압축 또는 변형경로 중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이 감소하는 하중곡선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분리경로중 일부분에 걸쳐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예비인장상태 또는 변형상태가 장치의 스프링하중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찰클러치가 분리되는 과정동안, 장치의 스프링하중은 다이아프램스프링에 대해 상호작용하고, 분리영역내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의 하중경로곡선이 감소하기 때문에, 압력판 또는 마찰라이닝 위에 다이아프램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한다. 추가로 중첩되는 스프링작용이 없다면, 장치에 의해가해지는 하중곡선 및 다이아프램스프링의 하중곡선사이의 차이로부터 마찰클러치를 분리하기 위한 하중곡선은 증가하게 된다. 마찰라이닝으로부터 압력판이 제거되고, 압력판을 통해 클러치디스크가 구속해제되면, 분리하중곡선의 나머지 부분 또는 소요분리하중이 주로 다이아프램스프링에 의해 결정된다. 압력판을 통해 클러치디스크가 구속해제될 때, 다이아프램스프링을 작동하기 위한 하중이 상대적으로 작게 되도록 장치의 하중-경로 특성 및 다이아프램스프링의 하중-경로 특성이 서로 비교된다. 따라서 압력판을 통해 클러치디스크가 구속해제될 때까지, 다이아프램스프링의 특성과 근접하거나 동일한 상기 장치의 스프링특성 또는 하중특성에 의해 다이아프램스프링은 매우 작은 작동하중만 필요하고 극단적인 경우 불필요하게 된다.
적합한 다이아프램스프링으로서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은 한쪽측면에서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링형상을 가지는 회전베어링주위에서 회전가능하고, 다른 한쪽 측면에서 압력판을 편향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다이아프램스프링은 원형체를 가지고, 작동수단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원형체로부터 스프링작동부가 반경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연장구성된다. 회전운동을 위해 하우징 위에 장착된 레버들을 이용하여 작동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마찰클러치내에 장착되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형태의 스프링들에 의해 압력판에 접촉하중이 가해져서, 마찰클러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들에 의해 압력판 위에 가해지는 하중은 최대이고, 마찰클러치가 분리되는 동안, 압력판 위에 가해지는 하중은 감소된다. 마찰클러치의 회전축에 대해 코일스프링을 경사지게 위치설정하면, 상기 작용이 가능하다.
소위 가압형 클러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하우징 위에서 회전운동을 하도록 다이아프램스프링이 두 개의 지지패드들 사이에서 지지된다. 상기 형태의 클러치를 이용하면, 마찰클러치를 분리하기 위한 작동수단은 압력판을 향해 편향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가압형 클러치에 국한되지 않으며, 풀타입(pull-type)의 클러치를 포함하고, 마찰클러치 분리를 위한 작동수단이 압력판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편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인(sine)곡선형태의 하중-경로곡선을 갖도록 설계되고, 마찰클러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하중 최대값 다음에 이어지는 감소하는 특성곡선영역 위에 작동점이 제공되도록 설치되는 다이아프램스프링이 마찰클러치에 구성된다. 따라서 제 1 하중 최대값 및 이어지는 하중 최소값 사이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의 하중비율은 1:0.4 내지 1:0.7이 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스프링단부와 같은 작동수단 위에 연결되는 분리장치에 의해 마찰클러치가 작동될 수 있고, 가속페달과 유사하게 설계되는 클러치페달에 의해 상기분리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클러치페달을 설계하면, 마찰클러치를 분리하기 위한 하중 또는 하중곡선이 매우 작은 값으로 되기 때문에 유리하고, 그 결과 가속페달과 같은 클러치페달을 이용하여 작동하중을 측정하는 작업이 향상된다.
마찰클러치의 사용수명동안 발생하는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최대하중들을 감소시키고 본 발명에 따라 마찰클러치를 구성하면, 구성부품들이 감소되고, 구성부품의 소요강도가 감소될 수 있어서, 제조비용이 상당히 절감될 수 있다. 분리하중을 감소시키면, 마찰클러치 및 분리장치내에서 마찰 및 탄성손실이 감소되고, 그 결과 마찰클러치 또는 분리장치의 효율이 상당히 개선된다. 따라서, 전체 장치가 최적으로 설계되고, 본 발명에 따른 설계는 일반적으로 마찰클러치 특히 하기 문헌들(DE-OS 29 16 755, DE-PS 29 20 932, DE-OS 35 18 781, DE-OS 40 92 382, FR-OS 2 605 692, FR-OS 2 606 477, FR-OS 2 599 444, FR-OS 2 599 446, GB-PS 1 567 019, US-PS 4 924 991, US-PS 4 191 285, US-PS 4 057 131, JP-GM 3 25026, JP-GM 3-123, JP-GM 2-124326, JP-GM-1-163218, JP-OS 51-126452, JP-GM 3-19131, JP-GM 3-53628에 공지된 마찰클러치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
적어도 라이닝마모를 독립적으로 또는 자동으로 보상하는 마찰클러치를 이용하면, - 적어도 마찰클러치의 사용수명동안 클러치디스크의 대략 일정한 인장하중이 보장되고 - 마찰클러치, 클러치디스크 및 플라이휠과 같은 카운터압력판이 조립유니트 또는 모듈(module)을 구성하므로 유리하다. 상기 조립유니트를 이용하면, 예를 들어 용접 또는 키이연결과 같은 비분리형 결합 또는 플라스틱재료성형에 의해 하우징이 카운터압력판과 연결되므로 비용측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변형예를 이용하면,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이 불필요해진다. 상기 형태의 조립유니트를 이용하면, 마모한계를 초과할 때, 하우징과 같은 구성부품들을 손상시키지 않고, 클러치디스크 또는 라이닝을 교체할 수 없다. 마모-조정 클러치를 사용하면, 차량의 사용수명동안 만족스런 기능이 보장되도록 조립유니트를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러치의 수명 및 조립유니트의 수명이 차량의 수명과 신뢰성있게 일치되도록, 대형마찰클러치 또는 클러치모듈의 조정여유 및 클러치디스크의 마모여유를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모조정장치를 가진 마찰클러치가 소위 이중질량체구조의 플라이휠과 결합되는 것이 유리하고, 클러치디스크를 삽입하여, 기어박스와 연결될 수 있는 플라이휠의 질량체위에 마찰클러치가 장착될 수 있고, 플라이휠의 또 다른 질량체가 내연기관의 출력축과 연결가능하다. 마찰클러치를 이용할 수 있는 이중질량체구조의 플라이휠은 예를 들어 문헌 DE-OS 37 21 712, 37 21 711, 41 17 571, 41 17 582 및 41 17 579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헌의 전체 내용들은 본 발명에 속하며, 따라서 상기 문헌들의 특징들은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문헌 제 DE OS 41 17 579호에 공지된 것과 같이, 파손없이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를 통해 하우징이 플라이휠의 질량체에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라이닝마모를 보상하는 장치를 가진 마찰클러치를 이용하면, 마찰클러치, 좀더 구체적으로 클러치디스크에 인장하중을 가하는 에너지저장장치의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저장장치가 소요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디스크에 대해 고정하중만을 작용하도록, 상기 에너지저장장치가 설계될 수 있다. 에너지저장장치는 한 개이상의 다이아프램스프링 또는 여러 개의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중질량체구조의 플라이휠과 함께 자동조정기능의 마찰클러치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기어박스와 연결될 수 있는 플라이휠질량체의 마찰면 외경 또는 클러치디스크의 반경방향외측에 회전기능의 탄성댐퍼가 제공되고, 상기탄성댐퍼는 두 개의 질량체들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이중질량체구조의 플라이휠을 이용하면, 클러치디스크의 마찰직경이 종래기술의 클러치디스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아야만 하고, 그 결과 정해진 엔진토크를 전달하기 위하여, 접촉압력하중은 평균마찰반경의 비율에 따라 증가해야만 한다. 종래기술의 클러치를 이용하면, 분리하중은 증가된다. 분리경로에 대하여, 클러치디스크에 의해 전달되는 토크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면서 마모조정기능의 클러치를 이용하면, 분리하중이 감소될 수 있고, 분리하중의 증가를 피할 수 있으며, 종래기술의 클러치와 비교하여 분리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찰클러치에 의하면, 마찰라이닝의 외경이 감소하고 접촉압력하중이 증가하더라도, 소요분리하중은 작게 유지될 수 있다. 분리하중이 감소되므로 두 개의 플라이휠 질량체들이 서로 회전운동하는 구름운동베어링 위의 변형(strain)이 감소한다. 또한, 마모조정기능에 의해, 클러치의 사용수명이 증가하고, 그 결과 차량의 사용수명동안, 클러치디스크의 교체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리벳연결 또는 용접에 의해 기어박스에 연결될 수 있는 플라이휠 질량체에 상기 하우징이 연결될 수 있다. 클러치벨에 대한 제한된 윤곽 또는 제한된 설치공간이 제공되어 유리하고, 상기 윤곽을 이용하면, 기어박스의 측면에서 나사에 의해 하우징이 플라이휠에 연결될 수 있다. 내연기관의 출력축 위에 마찰클러치 및 플라이휠이 구성되고 종래기술을 따르는 클러치유니트의 고정부분에 있어서, 라이닝에 대한 마모를 조정하는 일체형 조정장치를 가진 마찰클러치를 이용하면, 크랭크축과 같은 내연기관의 출력축에 의해 발생되는 축방향진동, 비틀림(torsional) 및트위스팅(twisting)진동들이 클러치유니트에 전달된다. 클러치유니트 및 조정장치의 작동시, 상기 진동들에 의해 손상되지 않고, 마모보상장치의 불필요한 조정작용이 억제되도록, 상기 마모보상장치에 작용하는 상기 클러치유니트 및 조정장치의 관성력들이 조정장치의 설계시 고려되어야 한다. 축방향진동 및 비틀림진동을 통해 일어나는 불필요한 작용을 방지하고, 라이닝마모를 보상하는 조정장치의 설계와 관련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정장치를 갖춘 클러치유니트가 내연기관의 출력축에 의해 발생되는 축방향 진동 및 굽힘(bending)진동으로부터 격리된다. 축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품에 의해, 클러치유니트가 내연기관의 출력축과 연결되면, 상기 격리작용이 가능하다. 내연기관의 출력축에 의해 클러치유니트 위에 발생되는 축방향진동 및 비틀림 또는 굽힘 진동들이 특정값으로 감쇠되고, 상기 탄성부품에 의해 억제되도록 탄성부품의 강성이 결정되어 마찰클러치의 조정장치가 만족스럽게 작동된다. 상기 형태의 탄성부품은 문헌 제 EP-OS 0 385 752호 및 제 0 464 997호 및 SAE 기술논문 9 003 91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헌의 내용들은 본 발명의 공개내용에 속한다. 탄성부품을 이용하면, - 특히 분리된 마찰클러치에 있어서 -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진동 또는 플라이휠진동을 통해 하우징에 대하여 압력판이 축방향으로 진동하여 발생하는 불필요한 마모조정작용이 방지될 수 있다. 축방향 탄성디스크와 같이 적어도 상기 진동들을 억제하는 장치가 없는 클러치유니트 또는 클러치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진동들은 클러치디스크의 마모상태와 무관하게 수정 및 조정되고, 마찰클러치에 구성된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접촉압력하중은 하중최소값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소요 모멘트는 더 이상 전달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을 따르고 독립적이거나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보상기능을 가진 마찰클러치가 차량용 구동유니트에서 이용될 수 있고, 상기 차량은 마찰클러치 및 자동 또는 반자동 기어박스를 가지며, 상기 마찰클러치는 내연기관 및 기어박스사이에 장착되고, 기어박스의 작동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마찰클러치는 완전히 자동으로 작동하는 것이 선호된다. 마찰클러치의 자동작동 또는 완전자동작동이 문헌 제 DE 03 40 11 850.9호에 공지되며, 소요 수단 및 작동방법에 관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는 상기 문헌을 참고한다.
자동 또는 반자동 기어박스 및 종래기술의 마찰클러치를 가진 구동유니트들을 이용하여, 클러치작동 및 클러치작동에 요구되는 액츄에이터(actuator)특히 피스톤 및 실린더유니트 및 전기모터 등을 설계할 때, 종래기술의 클러치는 상대적으로 큰 분리하중을 요구하므로, 대형 또는 매우 강한 액츄에이터가 필요하다. 즉 치수가 커져서 중량 및 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상기 대형 액츄에이터는 질량 관성때문에 응답시간(response time)도 상대적으로 느리다. 서보(servo)실린더를 이용하면, 가압매체의 유동체적이 커지므로, 해당 마찰클러치에 대한 소요작동시간을 위하여 공급펌프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커야한다. 상기 문제점들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문헌 제 DE-OS 33 09 427호를 참고하면, 상대적으로 치수가 더 작은 액츄에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보상기능의 해당 스프링을 통해 마찰클러치를 분리하기 위한 작동하중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클러치에 있어서, 분리하중은 사용수명동안 상당히 변동하며, 즉 상기 분리하중은 신품의 경우 상대적으로 작고, 사용수명동안 라이닝 위에서 마모증가와 함께 증가하기 때문에, 소요 분리하중의 일부만이 보상기능의 스프링을 통해 감소될 수 있다. 모든 공차를 고려할 때, 보상기능의 스프링을 사용하더라도, 액츄에이터의 소요 분리능력이 종래기술의 신품클러치에 대한 분리능력보다 커진다. 모터 및 자동 또는 반-자동 기어박스로 구성된 구동유니트와 함께, 라이닝마모보상기능을 가진 본 발명의 마찰클러치를 이용하면, 상기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클러치내부에서 분리하중은 상당히 감소될 수 있고, 신품 클러치의 분리하중경로 또는 상기 분리하중값은 클러치의 전체 사용수명동안, 불변상태를 유지한다. 액츄에이터들의 구동능력 또는 작동능력이 상대적으로 작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액츄에이터의 설계시 유리하고, 전체 분리장치내부에서 발생하는 하중 및 압력은 상대적으로 작다. 구성부품들의 마찰 또는 탄성에 기인하여 분리장치 내부에 발생하는 손실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된다.
제1도 내지 제37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이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제1도 및 제2도의 마찰클러치(1)는 압력판(3)과 하우징(2)으로 구성되고, 상기 압력판(3)은 제한된 크기만큼 축방향으로 변위발생이 가능하지만 회전할 수 없게 하우징(housing)과 연결된다. 다이아프램스프링(4)은 압력판과 하우징(2)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인장력을 받고, 하우징(2)에 의해 지지되는 링형상의 회전베어링(5)주위에서 회전가능하고, 플라이휠(flywheel)과 같은 카운터압력판(counter pressure plate)(6)을 향해 압력판(3)을 편향시키며, 카운터압력판(6)은 고정나사(6a)에 의해 하우징(2)에 고정되고, 클러치디스크(8)의 마찰라이닝(lining)(7)은 압력판(3)과 카운터압력판(6)의 마찰면 사이에서 고정된다.
원주방향으로 또는 접선방향으로 정렬된 판스프링(leaf spring)(9)에 의해 압력판(3)이 하우징(2)과 회전할 수 없게 고정된다. 실시예를 참고할 때, 클러치디스크(8)는 라이닝서스펜션(10)을 가지며, 2개의 마찰라이닝(7)을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제한된 변위만큼 이동시키고 마찰라이닝(7)에 작용하는 측방향하중을 점진적으로 상승시켜서, 마찰클러치(1)가 연결되는 동안, 상기 라이닝서스펜션(10)의 토크는 점진적으로 상승한다. 마찰라이닝(7)들이 지지디스크 위에 축방향으로 강하게 배열되는 클러치디스크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있어서, "라이닝 스프링 세트(lining spring set)"의 서스펜션이 다이아프램스프링과 직렬로 배열되고, 즉 하우징과 플라이휠 사이, 하우징측면에 위치한 지지패드와 하우징사이, 다이아프램스프링과 압력판 사이에 배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아프램스프링(4)은 접촉압력을 가하는 원형체(4a)로 구성되고, 원형체로부터 스프링작동부(4b)가 내측반경방향으로 돌출한다. 다이아프램스프링(4)은 반경방향의 외측영역에 의해 압력판(3)을 편향시키고, 반경방향의 내측영역에 의해 회전베어링(5)근처에서 경사구조로 구성된다.
회전베어링(5)은 두 개의 회전하는 지지패드(11,12)를 가지고, 상기 지지패드들은 와이어링(wire ring)으로 구성되며, 그 사이에 다이아프램스프링(4)이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죄어진다. 압력판(3)을 향하고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측면에 구성되는 지지패드(11)가 센서스프링(13)에 의해 하우징(2)을 향해 축방향으로 편향된다. 하우징(2)위에서 외측변부(13a)에 의해 지지되고, 반경방향으로 내측에 구성된 부분들에 의해 상기 지지패드(11)를 다이아프램스프링(4)에 편향시켜 하우징(2)을 향해 편향시키는 센서스프링(13)이 판스프링 또는 판스프링형태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압력판(3) 및 다이아프램스프링(4)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구성되는 센서스프링(13)이 링모양부(13b)를 가지고, 링모양부(13b)의 내측 변부로부터 내측반경방향으로 돌출요소가 연장구성되며, 상기 돌출요소들이 지지패드(11)위에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스프링(13)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단부(14)가 하우징(2)에 고정되고, 센서스프링을 위한 회전지지단부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단부(14)는 원주둘레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부착 또는 리벳이음된 각각의 부품들로 구성된다. 지지단부(14)는 원형고리모양의 폐쇄부품으로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2)의 축방향으로 형성된 압입부 또는 돌출요소형상의 절단부에 의해 상기 지지단부(14)가 하우징(2)으로부타 직접 몰딩(moulding)으로 구성되며, 하우징(2)을 구성하고 축방향을 향하는 오목부나 센서스프링(13)을 삽입 및 인장한 후에 구성재료를 변형하여, 상기 센서스프링(13)의 외측변부아래에서 상기 지지단부(14)가 가압된다. 또한, 센서스프링(13)이 우선 예비인장되고, 상기 센서스프링(13)의 외측변부(13a)가 지지단부(14)의 상부를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베이요네트(bayonet)형상의 구속장치가 지지단부(14) 및 센서스프링(13)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다음에, 하우징(2)에 대해 센서스프링(13)을 적합하게 회전시켜, 센서스프링(13)의 지지영역이 지지단부(14)와 인접하게 된다. 링형상의 링모양부(13b) 위에서 외측반경방향으로 돌출구조를 이루는 연장아암에 의해 센서스프링(13)의 지지영역이 형성된다.
센서스프링(13) 및 다이아프램스프링(4)을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지지패드(11,12)의 중심잡기를 위해,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중심잡기수단의 리벳(15)이 하우징(2)에 고정된다. 각각의 리벳(15)은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리벳축(15a)을 가지고, 상기 리벳축(15a)은 인접한 스프링작동부(4b)들 사이에 형성된 절단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되고, 돌출요소(13c)위의 몰딩부(13d)와 부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스프링(13)은 정해진 작동경로에 걸쳐 일정한 하중을 발생시킨다. 스프링단부(4c)에 가해지는 클러치분리하중은 상기 센서스프링(13)에 수용되고, 센서스프링(13)으로부터 지지패드(11)위에 가해진 저항력 및 지지패드(11)상의 분리하중사이에 평형상태가 형성된다. 마찰클러치(1)가 작동하는 동안, 스프링작동부(4b)의 분리레버 또는 스프링단부(4c)위에 가해져서, 센서스프링(13)과 반작용하는 최대하중이 상기 분리하중을 형성한다. 하우징(2)의 측부에 배열된 지지패드(12)는 조정장치(16)에 의해 하우징(2)에 지지된다. 상기 조정장치(16)는 다이아프램스프링(4)과 하우징(2)사이의 축방향 공간내에 구성된다. 상기 조정장치(16)가 구성되어, 카운터압력판(6) 또는 압력판(3)을 향해 지지패드(11,12)의 축방향변위가 발생할 때, 불필요한 유극(play)이 하우징과 지지패드(12)사이 또는 지지패드(12)와 다이아프램스프링(4)사이에 발생하지 못한다. 따라서, 마찰클러치(1)가 작동하는 동안, 불필요한 아이들(idle)경로가 형성되지 않고, 마찰클러치(1)는 최적의 효율을 가지고 만족스럽게 작동한다. 마찰라이닝(7)과 압력판(3) 그리고 마찰라이닝(7)과 카운터압력판(6)의 마찰면상의 축방향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에, 지지패드(11,12)는 축방향변위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을 따르는 장치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영역들 및 지지패드(11,12)들 위에 마모가 발생하고, 지지캠(3a)의 구성영역 또는 지지캠과 마주보는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영역에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에, 조정작용이 수행된다. 회전베어링(5)의 자동조정이 이루어지는 방법이 제8도 내지 제11도의 개략도와 함께 더 상세히 설명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조정장치(16)가 스프링으로 편향되는 링형상의 조정링(17)으로 구성된다. 조정링(17)의 원주위에 구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되며 축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사부(18)가 조정링(17)에 구성된다. 경사부(18)가 하우징평면부(2a)를 향하도록 조정링(17)이 지지패드(12)에 설치된다. 경사부(18)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조정링(17)의 측부에 위치하며 요홈(groove)구조를 가진 소켓(socket)(19)(18도)내에서 와이어링(wire-ring)형상의 지지패드(12)가 중앙에 배열된다. 상기 소켓(19)은 지지패드(12)가 조정링(17)상에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설계된다. 소켓(19)과 인접하는 조정 링(17)의 구성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패드(12)를 고정되게 죄거나, 지지패드(12)를 위하여 스냅연결부를 형성한다. 지지패드(12) 및 조정링(17)이 서로 다른 재료로 구성될 때, 와이어링구조의 지지패드(12)가 개방되어, 원주위의 적어도 한 지점에서 분리되면, 폭넓은 온도 변화에 기인한 의해 발생하는 팽창차를 보상하는 것이 편리하며, 지지패드(12)는 소켓(19)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이동하고, 지지패드(12)는 소켓(19)의 직경변화에 적응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조정링(17)은 내열성을 가지는 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 같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조정링(17)은 인젝션몰딩(injectionmoulding)부품으로 제조된다. 비중이 낮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조정링은 질량관성이 작아서, 압력진동에 대한 민감도가 감소된다. 또한 지지패드(12)는 플라스틱재료의 링에 의해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정링(17)은 몰딩으로 구성되는 판재금속부품으로 제조되거나 소결작업에 의해 만들어진다. 또한 적합한 재료를 선택하면, 지지패드(12)는 조정링(17)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패드(11)는 센서스프링(13)에 의해 직접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돌출요소(13c)의 단부가 요홈과 같은 오목부나 몰딩구성영역을 갖는다.
원주에 균일하게 분포되고 축방향으로 구성된 리벳축(15a)들에 의해 조정링(17)의 중심잡기가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을 위해, 조정링(17)은 센터링(centering)부분(20)을 가지고, 상기 센터링부분은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요홈부(21)들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요홈부(21)들은 지지패드(11)의 반경방향내측에 위치한다. 요홈부(21)를 형성하기 위해, 조정링(17)은 내측변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연장캠(22)을 가지고, 상기 연장캠(22)은 요홈부(21)의 반경방향 내부윤곽을 형성한다.
제3도를 참고할 때, 각각의 경사부(18)가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요홈부(21)사이에 구성된다. 요홈부(21)들에 의해 하우징(2)에 대해 조정링(17)이 적어도 일정회전각을 허용하도록 상기 요홈부(21)들이 원주방향으로 구성되고, 압력판(3) 및 카운터압력판(6)의 마찰면들과 마찰라이닝(7)위에서 발생하는 마모와, 클러치자체의 마모, 그 결과 지지패드(11,12), 삽입된 다이아프램스프링의 구성영역, 지지캠(3a) 또는 지지캠을 마주보는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구성영역에서 발생하는마모가 마찰클러치(1)의 사용수명동안 조정된다. 상기 조정링(17)의 회전각은 경사부의 구성에 따라 8°도 내지 60°도 또는 10°도 내지 30°가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은 12°에 해당되고, 경사부의 경사각(23)은 12°에 해당한다. 조정링(17)의 경사부(18)가 제21도 및 제22도에 도시된 지지링(25)의 카운터경사부(24)에서 가압될 때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경사부(18)와 카운터경사부(24)사이에서 발생하는 미끄럼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경사각(23)이 선택된다. 쌍을 이루는 경사부(18) 및 카운터경사부(24)의 구성영역에서 구성재료에 따라, 상기 경사각(23)은 5°도 내지 20°도의 범위에 있다.
원주방향 즉 조정이 이루어지는 회전방향으로 경사부(18)가 지지링(25)의 카운터경사부(24) 위에서 움직일 때, 압력판(3)을 향해 조정링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조정링(17)이 탄성력을 가하므로, 조정링(17)이 하우징평면부(2a)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고할 때, 두 개의 권선을 갖고, 한쪽 단부에서 조정링(17)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레그(leg)(27)를 가지고, 다른 한쪽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배열된 레그(28)를 가지며, 링모양으로 구성된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26)에 의해 조정링(17)위에 탄성인장상태가 형성되고, 회전운동에 대해 고정상태로 상기 레그(28)가 하우징(2)에 걸려져 있다. 상기 스프링(26)이 탄성인장상태로 설치된다.
제5도 및 제6도의 지지링(25)은 경사부(18)에 의해 형성된 면과 함께 짝을 이루는 면을 형성하는 카운터경사부(24)를 가지며, 경사부(18)와 카운터경사부(24)에 의해 형성된 면들은 일치하게 된다. 카운터경사부(24)의 경사각(29)은경사부(18)의 경사각(23)에 일치한다. 제3도 및 제4도를 비교할 때, 경사부(18) 및 카운터경사부(24)가 유사한 방법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지지링(25)은 원주방향으로 분포된 요홈부(30)를 가지고, 상기 요홈부(30)를 통해 리벳(15)들이 리벳이음된다.
제2도에 있어서, 또 다른 링모양의 스프링(26a)이 점선으로 도시되어, 상기 스프링(26)과 같이, 한쪽 측면에서 하우징(2)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한쪽 측면에서 조정링(17)과 연결되도록 상기 스프링(26)은 단부영역에서 구부러져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6a)이 조정링(17)에 비틀림하중을 가하도록, 상기 스프링(26a)은 탄성인장하중을 받으며 설치된다. 마찰클러치(1)가 회전하는 동안, 스프링(26) 또는 스프링(26a)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스프링하중이 강화되기 때문에, 두 개의 스프링(26,26a)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상기 스프링(26,26a)들에 의해 형성되도록 원심력이 적어도 조정링(17)에 작용할 때, 원주방향을 향해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들이 상기 스프링(26,26a)들에 의해 형성되도록, 코일(coil) 모양의 스프링(26,26a)이 구성된다. 제2도를 참고할 때, 두개의 스프링(26,26a)은 한개 이상의 권선을 가지고, 상기 스프링(26,26a)은 서로 다른 권선직경을 가지며, 조정링(17)위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원주방향하중을 발생시키고, 스프링(26,26a)위에 작용하며 스프링들과 연관되는 원심력들이 개별 스프링(26,26a)의 권수 또는 와이어 두께에 의해 보상된다. 제2도에 있어서, 스프링(26)은 상기 조정링(17)의 반경방향내측에 장착되고, 스프링(26a)은 조정링(17)의 반경방향외측에 장착된다. 그러나 두개의 스프링은 조정링(17)의 반경방향의 내측 또는 외측과 상응하는 구성부분위에 장착될 수 있다.
스프링(26)은 제7도에서 평면도로 도시된다. 스프링(26)이 인장하중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레그(leg)(27,28)는 40°도와 120°도를 이루는 오프셋각(31)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오프셋각(31)은 85°도이다. 새로운 마찰라이닝(7)들이 위치할 때, 마찰클러치(1)내부에 형성되는 레그(28)에 대한 레그(27)의 상대위치(32)가 도시된다. 마찰라이닝(7)상의 최대허용마모에 해당하는 레그(27)의 위치(33)가 도시된다. 조정각(34)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12°도이다. 상기 스프링(26)이 인장하중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단지 한개의 권선(35)이 두 개의 레그(27,28)들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상기 스프링(26)이 구성된다. 나머지 원주방향의 구성영역에서 두 개의 권선은 서로 축방향을 향해 상하위치를 가진다. 스프링(26a)은 스프링(26)과 유사하게 구성되나, 제2도의 조정링(17)에 대해 다른 인장방향 및 더 큰 권선직경을 갖는다. 그러나 조정링(17)위에서 스프링(26)에 의해 작용하는 하중은 스프링(26a)의 하중보다 크다.
마찰클러치(1)가 신품일 때, 경사부(18)와 카운터경사부(24)에 형성되는 축방향캠(18a,24a)은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더욱 결합되어, 서로 상하에 위치하는 조정링(17)과 지지링(25)이 최소의 축방향공간을 요구한다.
제1도 및 제2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카운터경사부(24)와 축방향 캠(24a)이 단일 부품으로 도시된다. 하우징 공간내부로 연장구성되고 캠형상부를 임프린팅(imprinting)하여, 카운터경사부(24)가 하우징(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임프린팅가공법은 일체로 구성되는 판재금속의 하우징에 대하여 특히 유리하다.
마찰클러치(1)를 조립하기 전에, 수축된 위치에 조정링(17)을 고정하기 위해, 하우징(2)위의 다른 한쪽 측부에서 지지되는 회전 및 지지수단을 위한 결합부(36)가 상기 조정링(17)의 연장캠(22)에 구성된다. 마찰클러치(1)를 제조 또는 조립할 때, 상기 회전 및 지지수단이 제공되고, 카운터압력판(6)위에 마찰클러치(1)를 끼워 맞춘 후, 상기 회전 및 지지수단이 마찰클러치로부터 제거되며, 조정장치(16)가 작동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제1도의 장방형요홈(37)이 하우징(2)에서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며, 오목부가 조정링(17)에 구성된다. 최대 마모량의 조정각에 따라 조정링(17)이 후향회전운동하도록, 장방형 요홈(37)이 적어도 한 개의 연장부로 구성되어야 한다. 마찰클러치(1)를 조립한 후, 조정링(17)의 오목부(38)와 하우징(2)에 구성된 장방형요홈(37)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회전공구를 통과시킬 수 있다. 조정링(17)은 회전공구에 의해 회전되어, 하우징(2)의 하우징평면부(2a)를 향해 움직이며, 상기 하우징평면부(2a)에 대해 축방향으로 최소 공간을 차지한다. 하우징(2) 및 조정링(17)이 회전하지 않도록, 조정링(17) 및 하우징(2)의 플러시(flush)요홈에 결합되는 클립 또는 핀에 의해 상기 조정링(17)이 고정된다. 카운터 압력판(6)에 마찰클러치(1)를 끼워맞춘 후, 상기 핀이 제거되면, 조정장치(16)가 구속해제된다. 하우징(2)의 장방형요홈(37)은 카운터압력판(6)으로부터 마찰클러치(1)가 분리되는 동안 또는 분리된 후에, 조정링(17)이 수축된 위치로 움직이도록 설계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우선 다이아프램스프링(4)은 지지패드(12)에 축방향 하중을 가하지 않고, 그 결과 조정링(17)이 회전되도록 마찰클러치(1)가 분리된다.
내연기관에 이미 고정된 마찰클러치의 구성부품들을 기능상 정확한 위치에 구성하기 위해, 마찰클러치가 카운터압력판위에 끼워맞춰진 후에만, 조정링(17)을 후방으로 회전시키거나 리세트(reset)하게 된다. 그러므로, 마찰클러치(1)는 가령 보조공구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다음에 이완상태의 조정링(17)이 압력판에 대해 후퇴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에 조정링(17)이 상기 후퇴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마찰클러치(1)가 다시 연결된다.
상기 마찰클러치(1)의 작동방법은 제8도 내지 제11도의 선도들에 나타난 특성곡선들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제8도를 참고할 때, 두 개의 지지부분들 사이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4)이 변형되는 동안,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원추형상(conicity)변화에 의존하는 축방향하중이 특성곡선(40)으로 도시되고, 두 개의 지지부분들의 반경방향거리가 압력판(3)위에서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한 지지캠(3a) 및 회전베어링(5)사이의 반경방향 거리와 일치한다. 지지패드들 사이의 축방향 경로는 가로좌표에 도시되고, 다이아프램스프링에 의해 발생되는 축방향하중은 세로좌표에 도시된다. 다이아프램스프링(4)이 평평한 상태가 점(41)에 해당하고, 마찰클러치(1)가 연결될 때, 상기 점(41)은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설치위치에 해당하며, 해당 설치위치에 대하여 다이아프램스프링(4)이 압력판(3)위에 최대접촉압력을 가하는 위치가 된다.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설치위치를 변경 및 세팅하여, 상기 점(41)이 특성곡선(40)에서 아래 또는 위로 이동될 수 있다.
선(42)은 두 개의 마찰라이닝(7)들 사이에 작용하고, 라이닝서스펜션(10)에의해 가해진 축방향 팽창력을 나타낸다. 압력판(3)위에 가해진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축방향하중에 의해 상기 축방향팽창력이 상쇄된다. 라이닝서스펜션(10)의 탄성변형에 필요한 축방향하중이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압력판(3)위에 가해진 하중과 일치하는 것이 유리하고,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하중은 상대적으로 더 커질 수 있다. 마찰클러치(1)가 분리되는 동안, 라이닝서스펜션(10)은 경로(43)에 걸쳐서 느슨해진다. 압력판(3)의 해당 축방향변위에 해당하는 상기 경로(43)를 따라 마찰클러치(1)가 분리되고 즉 라이닝서스펜션(10)이 분리되는 점(41)의 하중보다 더 작은 최대분리하중이 요구된다. 점(44)을 초과할 때, 마찰라이닝(7)들은 분리되고,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특성곡선에 나타나는 감소범위에 의하여, 아직까지 가해지는 분리하중은, 점(41)에 해당하는 하중과 비교할 때, 상당히 감소된다. 사인(sine)곡선을 나타내는 특성곡선(40)의 최소점(45)에 도달할 때까지, 마찰클러치(1)의 분리하중이 감소한다. 최소점(45)을 초과할 때, 마찰클러치(1)의 소요분리하중은 다시 증가하고, 스프링단부(4c)가 분리경로를 형성하여, 최소점(45)을 초과할 때조차도, 분리하중은 점(44)에서 증가하여, 최대분리하중을 초과하지 못하고, 최대분리하중보다 작게 유지된다. 따라서 점(46)을 초과하지 못한다.
하중에 대해 센서(sensor)로서 작동하는 센서스프링(13)은 제9도의 특성곡선(47)에 해당하는 하중-경로(force-path)곡선을 갖는다. 센서스프링(13)의 원추상태가 이완된 위치로부터 변화할 때, 즉 지지패드(11) 및 지지단부(14)사이의 반경방향거리에 해당하는 반경방향거리를 갖는 두 개의 지지부분들 사이에서 센서스프링(13)이 변화할 때, 나타나는 하중경로선도가 특성곡선(47)에 해당한다. 특성곡선(47)을 참고할 때, 상기 센서스프링(13)은 경로(48)를 가지고, 상기 경로(48)에 대해 센서스프링(13)에 의해 발생되는 축방향하중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경로(48)에서 발생되는 하중은 제8도의 점(44)에서 증가하는 클러치분리하중과 일치하도록 선택된다.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병진운동에 따라, 점(44)에 해당하는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하중과 비교할 때, 센서스프링(13)에 의해 가해진 지지력은 감소된다.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의 병진운동비율은 대부분의 경우 1:3 내지 1:5이지만 1:3보다 더 작거나 1:5보다 더 클 수도 있다.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의 병진운동비율은 지지캠(3a)에 대한 회전베어링(5)의 반경방향 거리 및 스프링단부(4c)에 대한 회전베어링(5)의 반경방향거리사이의 비율에 해당한다.
회전베어링(5)의 구성영역에서 마찰라이닝(7)을 향하는 축방향경로를 회전베어링(5)이 수용할 수 있도록, 센서스프링(13)이 마찰클러치(1)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축방향경로는 마찰면 및 마찰라이닝의 마모에 기인하고 카운터압력판(6)을 향하는 압력판(3)의 축방향조정경로와 일치할 뿐만 아니라, 적어도 회전베어링(5)에 대해 일정한 축방향지지력을 보장한다. 조립공차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되기 때문에, 특성곡선(47)의 경로(48)는 적어도 상기 마모경로에 해당하거나, 상가 마모경로보다 더 커야 한다.
마찰클러치(1)가 분리될 때, 점(44)에 해당하는 마찰라이닝(7)의 하중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마찰라이닝(7)들 사이에 소위 이중구조의 부분라이닝서스펜션(suspension)과 같은 탄성부분들을 이용할 수 있고, 각각의 탄성부분들은 쌍을 이루며 앞뒤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분들의 각 쌍은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예비인장응력을 가질 수 있다. 마찰라이닝들 사이에 제공된 상기 탄성부분들을 예비인장상태로 만들면, 상기 탄성부분들이 작동하는 동안 마찰라이닝의 반대측부에 발생하는 결합손실이 보상된다. 상기 결합손실은 마찰부분들이 반대측부안으로 구성될 때 발생하는 손실이다. 두 개의 마찰라이닝(7)들 사이에 축방향경로가 형성되고, 마찰라이닝들 사이에서 라이닝서스펜션이 예비인장응력을 가지면, 마찰클러치(1)가 분리될 때, 마찰라이닝들 사이의 라이닝서스펜션에 의해 상기 압력판(3)이 경로(43)에 걸쳐 후방으로 가압된다. 명확한 경로(43)를 구하기 위해, 라이닝서스펜션(10)이 이완되는 방향의 정지위치 및 인장되는 방향의 정지위치에 의해 마찰라이닝들사이의 축방향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용된 라이닝서스펜션은 본 발명에서 첨부된 특허출원 P 42 06 880.0에 공지되어 있다.
제10도에 있어서, (제8도를 참고할 때) 점(41)의 상태로부터 점(44)의 상태로 압력판을 이동시키기 위해,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스프링단부(4c)와 결합된 클러치분리요소를 통해 마찰클러치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하중이 특성곡선(49)에 의해 도시된다. 특성곡선(49)은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스프링단부(4c)의 하중상태를 나타낸다.
마찰라이닝의 마모를 자동으로 보상하는 조정장치(16) 또는 마찰클러치(1)의 최적기능을 위해, 제10도의 특성곡선(49)을 참고할 때, 센서스프링(13) 및 라이닝 서스펜션(10)에 의해 가해지는 누적하중이 지지패드(11)위에 가해지는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하중보다 크다. 마찰라이닝(7)으로부터 압력판(3)이 상승한 후에, 다이아프램스프링(4)위에서 센서스프링(13)에 의해 가해진 하중은, 제10도(특성곡선 (49))에 따라 변화하고, 마찰클러치를 분리하기 위해,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스프링 단부(4c)에 가해지는 분리하중보다 적어도 같거나 크다. 따라서 스프링(26)의 하중을 받는 조정링(17)의 회전운동 및 그 결과 적어도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설치위치에 해당하는 특성곡선(40)의 점(41)이 초과되지 않을 때까지,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축방향이동이 방지되도록, 지지패드(11)에 대한 센서스프링(13)의 하중이 결정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세부적인 설치위치에 대해 설명하고, 마찰라이닝(7)의 마모는 고려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마찰라이닝(7)들이 축방향으로 마모될 때, 압력판(3)은 카운터압력판(6)을 향해 이동하여, 원추상태가 변화하고 (스프링단부(4c)가 우측으로 이동,) 마찰클러치(1)가 연결상태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접촉압력이 변화한다. 상기 변화에 의해 점(41)은 점(41')으로 이동되고, 점(44)은 점(44')으로 이동된다. 상기 변화에 의해, 센서스프링(13) 및 다이아프램스프링(4) 사이에 구성된 지지패드(11)의 영역에서 마찰클러치(1)가 분리될 때에 원래 존재하는 하중평형상태가 파괴된다. 마찰라이닝의 마모에 기인한 압력판(3)에 대한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접촉압력증가는 특성곡선의 경로에서 변위를 증가시킨다. 상기 변화에 기인하는 분리하중에 관한 특성곡선(50)이 제10도에 도시된다. 마찰클러치(1)가 분리될때, 특성곡선에서 분리하중의 증가는 센서스프링(13)에 의해 다이아프램스프링(4)위에 가해진 축방향하중을 극복하여, 회전베어링(5)의 영역에서 마찰라이닝(7)의 마모에 상응하는 축방향경로만큼 센서스프링(13)이 휘어진다. 센서스프링(13)이 휘어질 때, 다이아프램스프링(4)은 압력판(3)의 지지캠(3a)에 지지되어,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4)은 원추형상을 변화시켜, 다이아프램스프링(4)에 에너지 및 토크(torque)를 저장하고, 그 결과 지지패드(11) 위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4)에 의해 가해지고 압력판(3)위에서 센서스프링(13)에 의해 가해진 하중을 저장한다. 제8도를 참고할 때, 상기 변화에 기인하여, 압력판위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4)에 의해 가해진 하중이 감소된다. 지지패드(11)의 구성영역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4)에 의해 가해진 축방향하중이 센서스프링(13)에서 발생되는 반작용력과 균형을 이룰 때까지, 상기 변화가 지속된다. 제8도의 선도에서 점(41', 44')은 점(41,44)을 향해 다시 움직인다. 평형상태가 회복되면, 압력판(3)이 마찰라이닝(7)들로부터 다시 제거된다. 마모를 조정하는 동안, 마찰클러치(1)가 분리될 때, 센서스프링(13)은 휘어지며, 조정장치(16)의 조정링(17)은 예비인장상태의 스프링(26)에 의해 회전되고, 지지패드(11)가 마찰라이닝들의 마모량만큼 이동하고, 다이아프램스프링(4)에 구성된 회전베어링(5)의 기능이 보장된다. 조정과정 후에, 분리하중의 변화는 제10도의 특성곡선(49)과 일치한다. 제10도의 특성곡선(50,51)은 압력판(3)의 축방향경로 대 하중변화를 나타내고, 분리하중 대 경로곡선은 특성곡선(49,51a)과 일치한다.
제11도의 선도는 마찰클러치를 분리할 때, 센서스프링(13) 또는 하우징(2)위에 가해진 하중 및 분리경로를 도시하며, 극한값을 가진다. 우선 제1도에 도시된마찰클러치의 연결위치로부터, 제8도의 점(41)에 해당하는 하중이 하우징(2) 및 압력판(3)위에 작용한다. 마찰클러치가 분리될 때, 하우징(2) 또는 지지패드(12)위에, 가해진 다이아프램스프링(13)의 축방향하중이 제11도의 특성곡선(52)을 따라 감소하여, 점(53)에 도달한다. 종래기술을 따르는 마찰클러치의 경우, 다이아프램스프링이 회전가능하게 하우징위에 축방향으로 장착되고, 지지패드(11)가 구부러질 수 없도록 하우징(2)과 축방향으로 연결되면, 마찰클러치가 분리되어 점(53)을 초과할 때, 반경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하중은 축방향으로 역전된다. 회전베어링(5)의 구성영역에서, 축방향으로 역전되는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하중이 센서스프링(13)에 의해 수용된다. 점(54)에 도달할 때, 다이아프램스프링(4)은 압력판(3)의 지지캠(3a)으로부터 상승된다. 라이닝서스펜션(10)의 축방향하중이 다이아프램스프링의 하중에 대해 작용하기 때문에, 적어도 상기 점(54)까지, 라이닝서스펜션(10)의 축방향하중에 의해 마찰클러치(1)가 분리된다. 스프링단부(4c)의 구성영역에서 분리경로를 증가시키고 압력판(3)의 축방향경로가 증가함에 따라, 라이닝서스펜션(10)의 축방향하중은 감소한다. 라이닝서스펜션(10)에 의해 지지캠(3a)에 작용하는 축방향하중 및 스프링단부(4c)에 작용하는 분리하중의 결과력이 특성곡선(52)으로 도시된다. 마찰클러치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점(54)을 초과할 때, 지지패드(11)위에 가해진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축방향하중은 센서스프링(13)의 역방향하중에 의해 수용되고, 적어도 압력판(3)을 통해 마찰라이닝(7)들이 이완된 후에, 상기 두 하중들이 균형을 이루며, 분리과정이 계속될 때, 회전베어링(5)의 구성영역에서 센서스프링(13)의 축방향하중은 분리하중보다 약간 크다. 제11도에 도시된 특성곡선(52)의 부분(55)에 의하면, 경로가 증가할 때, 지지패드(11)위에 가해진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하중 또는 분리하중이 점(54)에서 상승하는 분리하중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마찰라이닝(7)에 마모가 발생되고, 회전베어링(5)의 구성영역에서 조정작용이 없는 마찰클러치(1)의 상태가 점선의 부분(56)으로 도시된다. 마모에 기인하여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설치위치가 변화하면, 센서스프링(13), 지지패드(11) 및 하우징(2)위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된다. 그 결과 점(54)이 점(54')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점(54')에 의하여 마찰클러치(1)가 새로 분리되는 동안, 지지패드(11)의 구성영역에서 센서스프링(13)위에 가해진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축방향하중은 센서스프링(13)의 하중보다 크고, 센서스프링(13)이 축방향을 향해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조정과정이 수행된다. 스프링(26)에 의해 상기 조정과정이 이루어지고, 조정링(17)이 회전되고, 지지패드(12)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점(54')은 점(54)을 향해 다시 이동하고, 센서스프링(13) 및 다이아프램스프링(4) 사이의 회전베어링(5)에서 원하는 균형상태가 형성된다.
실제로 상기 조정작용은 연속적으로 또는 미소변화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특성곡선들과 점들에서 큰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다.
몇몇 기능변수나 작동점은 마찰클러치(1)의 작동시간에 걸쳐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클러치(1)의 부적합한 작동에 의해 라이닝서스펜션(10)의 축방향서스펜션이 감소되면 라이닝서스펜션(10)이 과열된다. 그러나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특성곡선(40)을 적합하게 구성하고, 센서스프링(13)의 특성곡선(47)을 적응시키면 마찰클러치(1)의 기능이 신뢰성있게 보장된다. 제1도에 도시된 적응상태와 비교할 때, 라이닝서스펜션(10)의 축방향 적응상태에 의해 다이아프램스프링(4)은 상대적으로 더욱 압축된 위치를 점유하고, 제8도의 특성곡선(40)을 참고할 때, 압력판위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4)에 의해 가해진 접촉압력은 경미하게 적다. 또한 센서스프링(13)의 해당 축방향변형 및 지지패드(11)의 해당 축방향변위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마찰라이닝(7)상의 마모가 증가할 때, 다이아프램스프링(4)에 작용하는 지지력은 증가한다. 마찰라이닝(7)전체에 걸쳐 최대허용마모경로 중 일부경로에서만 지지력이 증가된다.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지지력증가는 센서스프링(13)의 해당 설계를 통해 형성된다. 경로(48)에 해당하는 해당 특성곡선이 제9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47a)이다. 마모증가에 의한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지지력이 증가하면, 라이닝서스펜션의 감소 즉 마찰라이닝들 사이의 라이닝서스펜션에 의해 조정되는 압력판(3)에 대한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접촉압력의 감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된다. 라이닝서스펜션의 접착작용 또는 마찰라이닝들 사이의 라이닝서스펜션의 압입작용에 비례하여, 다이아프램스프링(4)을 위한 지지력이 증가한다. 클러치디스크의 두께가 마찰라이닝들의 구성영역에서 감소하고, 라이닝서스펜션의 압입작용 또는 접착작용 또는 마찰라이닝의 마모에 기인한 마찰면들 사이의 거리감소에 따라, 다이아프램스프링을 위한 지지력이 증가해야 한다. 제9도의 경로(48)내에 위치하는 두 개의 부분들에 있어서, 지지력의 증가는 후방부분에서 보다 전방부분영역에서 더 크다. 마찰라이닝들 및 라이닝서스펜션들사이에서 대부분의 상기 압입작용이 짧은 시간동안 이루어지고, 상기 시간은 마찰클러치의 전체 수명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작고, 라이닝서스펜션들 및 마찰라이닝사이의 관계가 안정화되기 때문에 상기 구성이 유리하다. 그 결과 일정한 압입작용 후에, 압입작용에 대해 심각한 변화는 없다. 그러나 다이아프램스프링에 대한 지지력증가는 마찰라이닝마모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발생할 수 있다.
마찰라이닝의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과정에 관한 상기 설명에서, 판스프링(9)에 의해 가해진 축방향하중은 고려되지 못했다. 해당 마찰라이닝(7)으로부터 압력판(3)을 제거하여, 압력판(3)이 다이아프램스프링(4)을 가압하면, 판스프링(9)을 예비인장하여 마찰클러치의 분리작용이 용이해진다. 판스프링(9)에 의해 가해진 축방향하중은 센서스프링(13) 및 다이아프램스프링(4)에 의해 가해진 하중 및 분리하중과 중첩된다. 판스프링(9)에 의해 가해지는 상기 축방향하중은 제8도 내지 제11도의 선도들에 대한 설명에서 고려되지 못했다. 구름운동하는 지지패드(12)에 대해, 다이아프램스프링(4)을 마찰클러치(1)의 분리상태로 편향시키는 총 하중은, 주로 다이아프램스프링(4)에 잔류하는 분리하중 및 센서스프링(13) 및 판스프링(9)에 가해진 하중들의 합이다. 판스프링(9)은 하우징(2) 및 압력판(3)사이에 설치되어, 마찰라이닝(7)의 마모가 증가할 때, 다이아프램스프링(4)위에서 판스프링(9)에 의해 가해진 축방향하중은 증가한다. 예를 들어, 제9도의 경로(48) 및 조정장치(16)의 마모보상경로에 대하여, 판스프링(9)에 의해 가해진 축방향하중은 특성곡선(47b)을 따른다. 제9도를 참고할 때, 센서스프링(13)이 나타내는 특성곡선의 휘어짐이 증가함에 따라, 압력판(3)위에서 판스프링(9)에 의해 가해지고 다이아프램스프링(4)위에 작용하는 재설정하중이 증가한다. 특성곡선(47b) 및 다이아프램스프링의 특성곡선을 합하면, 다이아프램스프링(4)위에서 축방향으로 작용하고, 지지패드(12)에 대해 다이아프램스프링(4)을 가압하는 하중의 특성곡선이 형성된다. 조정작용이 개시되는 영역(47d)에서, 초기에 일정하게 하중이 증가하는 특성곡선(47a)을 구하기 위하여, 특성곡선이 제9도의 특성곡선(47c)과 일치하는 센서스프링을 구하는 것이 편리하다. 특성곡선(47c)과 특성곡선(47b)을 중첩하면 특성곡선(47a)이 형성된다. 판스프링(9)을 적합하게 예비인장하면, 센서스프링(13)의 지지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판스프링(9)을 적합하게 구성 및 배열하면, 마찰라이닝들 내부의 라이닝서스펜션(10)의 압입작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다이아프램스프링(4)이 동일한 작동점 및 작동영역을 유지하여, 마찰클러치의 작동수명을 통해, 다이아프램스프링(4)은 압력판(3)위에 거의 일정한 접촉압력을 가한다. 또한 센서스프링(13) 또는 판스프링(9)을 설계할 때, 조정링(17)에 작용하는 스프링(26,26a)에 의해 형성되고, 센서스프링(13) 또는 판스프링(9)과 상호작용하는 축방향하중이 고려되어야 한다.
예비인장상태의 판스프링(9)을 갖는 마찰클러치(1)를 설계할 때, 마찰라이닝(7)위에 가해지는 압력판(3)의 축방향하중은 판스프링(9)의 예비인장상태에 의해 변화된다. 판스프링(9)이 다이아프램스프링(4)을 향해 예비인장될 때, 다이아프램스프링(4)에 의해 가해진 접촉압력이 판스프링(9)의 예비인장력에 의해 감소된다. 상기 마찰클러치(1)를 이용하면, 판스프링(9)의 인장특성곡선 및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접촉압력 특성곡선을 중첩하여 형성되는 마찰라이닝(7) 또는 압력판(3)의 접촉압력특성곡선이 제공된다. 마찰클러치(1)가 새로운 상태에 있을 때, 작동범위를 고려하여, 예비인장된 판스프링(9) 및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하중곡선이 제8도의 특성곡선(40)으로 도시되면, 마찰라이닝의 마모에 기인한 압력판(3) 및 카운터압력판(6)사이의 거리감소는 특성곡선을 감소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8도를 참고할 때, 마찰라이닝의 전체 마모량이 1.5mm일때의 특성곡선(40a)이 점선으로 도시된다. 마찰클러치의 작동수명동안 특성곡선(40)이 특성곡선(40a)을 향해 이동하면, 마찰클러치(1)의 분리되는 동안, 다이아프램스프링(4)위에서 판스프링(9)에 의해 가해진 역방향모멘트에 기인하여, 마모가 증가함에 따라, 센서스프링(13)위에 가해지는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축방향하중이 감소한다. 압력판(3) 및 다이아프램스프링(4)사이의 지지캠(3a)과 회전베어링(5)사이의 반경방향거리에 기인하여, 상기 역방향 모멘트가 존재한다.
조정링(117)이 코일스프링(126)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구성되므로, 제12도 및 제13도의 마찰클러치(101)는 제1도 및 제2도와 마찰클러치(1)와 상이하다. 마찰라이닝들 위에서 마모를 보상하는 작용 및 방법에 있어서, 조정링(117)은 제2도 내지 제4도의 조정링(17)에 해당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세 개의 코일스프링(126)은 원주둘레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하우징(2) 및 조정링(117)사이에서 예비인장상태로 있게 된다.
제14도를 참고할 때, 조정링(117)의 내측원주부위에 반경방향의 스텝(step)(127)들이 구성되고, 조정링(117)을 편향시키기 위해, 아크(arc)모양으로 배열된 코일스프링(126)이 코일스프링의 한쪽단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지지된다.하우징(2)에 의해 지지된 나사연결부(128)에서 코일스프링(126)의 다른 한쪽 단부가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나사연결부(128)는 하우징(2)과 일체로 구성된 축방향 몰딩(moulding)부분으로 구성가능하다. 상기 나사연결부(128)는 예를 들어 금속판재로 구성되는 하우징(2)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몰딩된 오목부 또는 탭(tab)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13도 및 제14도를 참고할 때, 조정링(117)은 내부원주에 형성되어, 스프링안내부(129)가 적어도 코일스프링(126)의 연장구성영역내에 제공되고, 코일스프링(126)의 이완경로 또는 마모조정작용에 요구되는 조정링(117)의 회전각에 걸쳐 구성되는 것이 선호되며, 상기 스프링안내부에 의해 코일스프링(126)이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반경방향으로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안내부(129)는 반원형단면의 오목부로 형성되고, 스프링안내부(129)의 경계면은 코일스프링(126)의 단면과 일치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마찰클러치가 회전할 때, 코일스프링(126)에 대해 스프링안내부가 제공되어, 코일스프링들이 축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3도를 참고할 때, 추가로 코일스프링(126)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하우징(2)은 반경방향의 내측변부영역에서 축방향의 몰딩구성부(130)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몰딩구성부(130)는 축방향으로 코일스프링(126)과 겹쳐진다. 몰딩구성부(130)대신에, 하우징(2)은 원주에 걸쳐 연장구성되는 축방향내측변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몰딩구성부(130)는 다이아프램스프링(4)의 이완작용을 제한할 수 있다.
제12도 내지 제14도의 코일스프링(126)에 의하면, 마찰클러치(1)가 회전할때, 코일스프링(126)에 구성된 각각의 권선이 조정링(117)위에서 원심력작용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지지되고, 코일스프링(126)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가해지는 조정력이 조정링(117) 및 스프링 권선 사이에 형성되는 마찰저항에 기인하여, 감소되거나 심지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마찰클러치(101)가 회전하는 동안 탄성작용을 억제하는 마찰력에 기인하여, 코일스프링(126)은 휘어지지 못한다.
적어도 내연기관의 공회전속도 이상의 속도에서, 조정링(117)은 코일스프링(126)에 의해 회전될 수 없다. 공회전속도 또는 적어도 공회전속도근처에서 마찰클러치(101)를 작동할 때, 마찰라이닝의 마모에 대한 보상작용이 일어난다. 내연기관이 정지해 있고 마찰클러치(101)가 회전하지 않을 때만 조정링(117)의 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마찰클러치(1)가 회전하는 동안 또는 특정속도를 초과할 때, 조정작용이 방지되는 과정이 제1도 및 제2도의 실시예에서 유리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조정링(117)위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회전작용에 대해 안전하고, 즉 스프링(26,26a)의 조정하중에 대해 안전한 안전수단이 하우징(2)위에 제공될 수 있다. 원심력 작용을 통해 외측반경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고, 조정링(17)의 내측변부위에 지지되는 적어도 한개의 웨이트(weight)에 의해 상기 안전수단이 구성될 수 있고, 조정링(17)위에서 저항모멘트를 발생시키는 마찰력이 상기 안전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저항모멘트는 조정링(17)위에서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회전모멘트보다 크다.
코일스프링(126)의 연장구성부분 중 적어도 일부영역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되어 코일스프링을 구성한다. 하우징(202)위에서 스프링의 한쪽 단부를 지지하고, 해당 조정부품(217)위에서 스프링의 다른 한쪽 단부를 지지하는 몰딩부분들이 스프링(226)의 단부들에 구성된다. 회전지지체(205)의 구성영역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204) 또는 센서스프링(213)의 축방향변위가 발생할 때, 카운터경사부(224)위에서 상승하는 경사부(218)에 의해 상기 축방향변위가 보상된다.
하우징(202)의 축방향구성부로부터 성형되고, 센서스프링(213)의 외측부를 향해 가압되는 탭(214)들에 의해, 하우징(202)에 구성된 센서스프링(213)이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링모양의 조정부품(217)에 의하면, 원심력과 독립적으로 조정작용이 이루어진다.
제15도의 조정부품(217) 대신에, 마모조정을 위해 반경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변위가 이루어지고 쐐기 모양을 가진 각각의 조정부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쐐기형 조정부품은 상응하는 조정부품을 안내하기 위해 부착요소(215a)가 연장구성되는 장방형요홈을 가질 수 있다. 쐐기모양의 조정부품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기인하여, 조정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조정방향으로 쐐기형조정부품을 편향시키는 에너지저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쐐기형 조정부품들을 안내하기 위하여, 하우징(202)은 몰딩부분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의 측부 또는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측부위에 조정부품들의 쐐기면들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쐐기면들은 마찰클러치의 회전축과 수직인 면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을 가진다. 상기 형태의 쐐기형조정부품을 이용하면, 조정부품들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최소값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조정부품들기 위해 하우징(2)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수단이 구성된다. 제12도 및 제13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수단은 나사연결부(128)와 일체로 구성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나사연결부(128)는 각을 형성하며, 코일스프링의 연장구성부의 일부영역에 걸쳐 코일스프링(126) 내부로 돌출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영역을 상기 나사연결부들이 가진다. 스프링권선들 중 적어도 일부분은 적어도 반경방향으로 안내 및 지지된다.
제13도를 참고할 때, 제2도의 지지패드(11)의 구성이 생략되고, 센서스프링(113)의 단부영역에 형성된 몰딩부분으로 대체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돌출요소(113c)의 단부가 다이아프램스프링(4)을 향하는 측부에서 볼(ball)모양을 가진다.
제15도 내지 제17도를 참고할 때, 본 발명에 따르는 마모조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링모양을 가진 한개의 링대신에 개별 조정부품(217)들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조정부품(217)은 하우징(202)의 원주위에 균일하게 분포한다.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되고, 축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사부(218)로 구성된 원판형상부품들에 의해 상기 조정부품(217)이 구성된다. 원형의 상기 조정부품(217)이 중앙의 구멍(219)을 가지고, 하우징(202)에 의해 지지되는 핀모양의 부착요소(215a)가 상기 구멍(219)을 통해 연장구성되어, 링모양의 조정부품(217)은 상기 부착요소(215a)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경사부(218)를 위한 카운터경사부(224)를 형성하는 몰딩부분(225)이 하우징(202)에 구성된다. 스프링(226)은 조정부품(217) 및 하우징(202)사이에 인장되고, 조정이 이루어지는회전방향으로 조정부품(217)을 편향시킨다. 제15도를 참고할 때, 스프링(226)은 부착요소(215a)의 주위에 연장구성을 경량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마찰클러치의 사용수명동안,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 사이에서 접착(adhesion)이 발생하지 않도록 경사면의 구성재료들이 선택된다. 조정작용을 방해할 수 있는 상기 접착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성부품들 중의 적어도 한개가 경사부 또는 카운터경사부에 코팅(coating)을 가질 수 있다. 두개의 금속성 구성부품들을 사용시, 상기 코팅에 의해 부식을 피할 수 있다. 서로 지지되고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를 형성하는 구성부품들이 서로 다른 팽창계수의 재료로 제조되어, 마찰클러치가 작동하는 동안, 온도변화에 기인하여,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의 접촉면들이 서로에 대해 이동할 때, 카운터경사부 및 경사부를 형성하는 구성부품들사이의 접착작용이 방지될 수 있다.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를 구성하는 구성부품들은 항상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는 항상 서로 다른 팽창특성을 통해 서로에 대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는 접착되지 못한다.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들이 서로 다른 강도 및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에 작용하는 원심력은 서로 다른 팽창 및 운동을 형성하여, 접착작용을 방지하므로, 카운터경사부 및 경사부는 분리될 수 있다.
경사부와 카운터경사부 사이의 접착(adhesion)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클러치가 분리되거나 마모조정이 이루어질 때, 각각의 조정부품에 축방향하중을 가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마모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분을 가진 구성부품에 조정링(17,117)이 축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회전베어링(5)이 구성된 영역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4) 및 센서스프링(13)에 의해 상기 연결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8도를 참고할 때, 다이아프램스프링의 하중 및 경로에 대한 특성곡선(340)에 있어서, 최소점(345)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은 비교적 작다(약 450 Nm). 상기 특성곡선(340)을 따르는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최대하중값은 7600Nm이다. 제8도의 특성곡선(40) 및 다이아프램스프링(4)과 관련한 설명에서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지지체들 사이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을 몰딩 및 구성할 때, 상기 특성곡선(340)이 제공된다.
상기 특성곡선(340)은 라이닝서스펜션의 특성곡선(342)과 관련될 수 있다. 제18도를 참고할 때, 라이닝서스펜션의 특성곡선(342)은 특성곡선(340)과 근접하거나 서로 미소한 거리를 두고 변화하여, 마찰클러치는 매우 미소한 하중으로도 작동가능하다. 라이닝서스펜션의 작동영역에 있어서, 이론적인 분리하중은 특성곡선(340) 및 특성곡선(342)사이의 수직방향거리(360)에 해당한다. 실제로 요구되는 분리하중은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스프링단부들과 같은 구성부품의 병진운동(translation)에 의해 감소된다. 상기 작용이 제1도 및 제2도의 실시예와 함께 제8도 내지 제11도의 선도들에 도시된다.
제18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다이아프램스프링의 특성곡선(440)은 최소점(445)을 가지며, 상기 최소점(445)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에 의해 가해진 하중은 음(negative)의 값을 가져서, 마찰클러치는 마찰클러치의 연결방향이 아니라마찰클러치의 분리방향으로 작동한다. 즉, 마찰클러치를 분리할 때 점(461)을 초과하면, 마찰클러치는 자동으로 분리상태로 유지된다. 분리하중을 최소로 하기 위해, 다이아프램스프링의 특성곡선(440)은 라이닝서스펜션의 특성곡선(442)과 관련된다. 라이닝서스펜션의 특성곡선(442)과 다이아프램스프링의 특성곡선(440)을 가능한 한 평행하게 유지해야 한다.
제19도를 참고할 때, 마찰클러치를 분리하기 위해, 다이아프램스프링에 구성된 스프링단부에 적용되는 특성곡선(340), 특성곡선(342), 특성곡선(440) 및 특성곡선(442)에 대한 하중 대 경로관계가 도시된다. 특성곡선(340) 및 특성곡선(342)과 관련되는 분리하중의 특성곡선(349)은 항상 양의 값을 가지며, 다시 말해 마찰클러치를 분리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하중은 항상 분리방향으로 요구된다. 특성곡선(440) 및 특성곡선(442)과 관련된 분리하중의 특성곡선(449)은 영역(449a)을 가지며, 상기 영역의 분리하중은 처음에 감소하고, 양의 값으로부터 음의 값으로 변화하여, 마찰클러치의 분리상태동안 마찰클러치의 분리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하중이 해당 마찰클러치에서 불필요하다.
제20도, 제20a도, 제21도의 마찰클러치(501)의 실시예에서, 하우징(502)위에서 센서스프링(513)은 하우징으로부터 몰딩된 탭(tab)형태의 결합부(514)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이것을 위해, 센서스프링(513)은 하우징으로부터 몰딩된 탭(tab) 형태의 확장아암(513d)을 가지고, 상기 확장아암(513d)은 하우징지지부(502a)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스프링지지부(513b)의 외측원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된다. 하우징지지부(502a)는 하우징에서 축방향으로 구성된 하우징변부(502b)로부터 성형되며, 하우징으로부터 절단면(502c, 502d)에 의해 하우징지지부(502a)가 부분적으로 성형되는 것이 유리하다. 부분적으로 하우징지지부(502a)를 둥글게 절단하면, 하우징지지부(502a)들은 보다 용이하게 이상적인 위치에 성형될 수 있다. 제21도를 참고할 때, 하우징지지부(502a)와 확장아암(513d)은 서로 일치되어, 하우징(502)에 의해 센서스프링(513)의 중심잡기가 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지지부(502a)는 축방향 스텝(502e)을 가진다.
베이요네트모양의 결합부(514)를 구성하고, 하우징(502)에 대해 센서스프링(513)을 위치설정하기 위해, 하우징(502)의 원주상에 균일하게 분포된 세 개이상의 하우징지지부(502a)가 하우징의 다른 영역에 대해 일치되게 구성되어, 센서스프링(513) 및 하우징(502)사이의 상대회전운동 후에, 해당 확장아암(513d)은 원주방향의 회전제한부(502f)와 근접하게 위치하고, 센서스프링(513) 및 하우징(502)사이의 다른 상대회전운동이 방지된다. 제20a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제한부(502f)는 하우징(502)내부의 축방향요홈으로 구성된다. 제20a도를 참고할 때, 세 개이상의 하우징지지부(502a)가 센서스프링(513)의 확장아암(513d) 및 하우징(502)사이에서 또 다른 회전제한부(502g)를 구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두가지 회전방향을 위한 회전제한부(502f, 502g)가 동일한 하우징지지부(502a)에 의해 형성된다. 센서스프링(513) 및 하우징(502)사이의 구속해제작용을 방지하는 회전제한부(502g)가 하우징지지부(502a)의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구성된 변부에 의해 형성된다. 원주방향의 회전제한부(502f, 502g)는 하우징(502)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센서스프링(13)의 명확한 위치설정기능을 제공한다. 결합부(514)를 구성하기 위해, 센서스프링(513)은 하우징(502)을 향해 축방향으로 인장되어, 확장아암(513d)은 절단면(502c, 502d)의 내부 및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하우징지지부(502a)위에서 축방향으로 배열된다. 확장아암(513d)들 중 일부가 회전제한부(502f)와 근접할 때까지, 하우징(502) 및 센서스프링(513)은 서로에 대해 회전운동될 수 있다.
원주방향에 대하여, 확장아암(513d)들 중 일부가 회전제한부(502f, 502g)사이에 위치하고, 모든 확장아암(513d)들이 하우징(502)위에서 하우징지지부(502a)에 위치하도록, 센서스프링(513)이 부분적으로 이완된다. 마찰클러치(501)를 조립할때, 상기 베이요네트(bayonet)모양의 결합부(514)를 이용하면, 확장아암(513d)이 하우징(502)위에서 하우징지지부(502a)와 근접하지 못한다.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센서스프링(513)의 탄성하중을 가하는 원형의 스프링기저부(513b)가 다이아프램스프링 및 압력판 사이에서 지지영역의 외측에 반경방향으로 제공된다. 다수의 경우에 있어서, 센서스프링의 스프링기저부(513b)는 다이아프램스프링 및 압력판 사이에서 지지영역의 내측에 반경방향으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제1도 및 제2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스프링(13)의 축방향인장력을 가하는 링모양부(13b)가 다이아프램스프링(4) 및 압력판(3)사이에서 지지캠(3a)의 내부에 반경방향으로 제공된다.
제20도 및 제2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상부에 위치하는 카운터경사부(524)는 캠모양의 오목부로 구성되고, 상기 오목부가 하우징(502)에구성된다. 또한 조정링(517) 및 하우징(502)사이에서 고정되는 코일스프링(526)은 안내핀(528)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안내핀(528)은 조정링(517)과 일체로 구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된다. 제21도를 참고할 때, 상기 안내핀(528)은 코일스프링(526)의 내경과 일치하는 장방형단면을 축방향으로 가진다. 적어도 코일스프링(526)의 종방향확장구성부의 일부분위에 상기 안내핀(528)이 연장구성된다. 스프링권선의 일부는 적어도 반경방향으로 안내되고 지지된다. 또한 코일스프링(526)은 축방향으로 굽어지거나 튀어나가지 못한다. 안내핀(528)은 마찰클러치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조정링(517)의 일부분이 제22도에 도시된다. 조정링(517)은 내측반경방향으로 배열된 성형부(527)를 가지고, 코일스프링(526)을 지지하기 위해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안내핀(528)이 상기 성형부(527)에 의해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인젝션몰딩부품으로 제조된 플라스틱제의 조정링(517)과 상기 안내핀(528)이 일체로 구성된다. 안내핀(528)은 개별부품으로 구성되거나 스냅(snap)끼워맞춤식 잠금장치에 의해 조정링(517)과 연결되는 단일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냅끼워맞춤식 잠금장치로 설계된 세 개이상의 잠금요소들에 의해 조정링(517)과 연결되고, 필요에 따라 원주위에서 개방될 수 있는 상기 안내핀(528)이 구성될 수 있다.
제12도 및 제13도의 구성에서와 같이, 코일스프링(526)은 조정링(517) 또는 하우징(502)에 적합하게 구성된 영역에서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526)을 위한 하우징의 지지부분들이 하우징으로부터 몰딩된 축방향돌출부 또는 하우징벽을 형성하는 축방향의 오목부(526a)들에 의해 형성된다. 코일스프링(526)의 해당 단부들이 안내되어 불필요한 운동에 대해 축방향 또는 반경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코일스프링(526)의 오목부(526a)가 설계된다.
제23도의 마찰클러치(601)에 있어서, 압력판(603)으로부터 떨어진 하우징의 측부에 센서스프링(613)이 구성된다. 압력판(603)을 고정하는 하우징(602)으로부터 센서스프링(613)을 외측에 배열하면, 센서스프링(613)의 열변형이 감소되고, 과열에 의한 센서스프링(613)의 위험이 방지된다. 또한 하우징(602)의 외측부에서 센서스프링(613)의 냉각효과가 개선된다.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져 작동하는 다이아프램스프링(604)의 측부에 구성된 지지패드(611)가 리벳(615)에 의해 지지되고, 리벳(615)들은 센서스프링(613)과 축방향으로 연결되고, 하우징(602) 및 다이아프램스프링(604)의 해당 요홈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벳(615)은 센서스프링(613)과 리벳이음된다. 리벳(615) 대신에, 센서스프링(613) 및 지지패드(611)사이에 연결부를 제공하는 다른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내측반경방향의 구성영역에서 센서스프링(613)은 축방향의 탭들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탭들은 해당 몰딩부분을 통해 직접 지지패드(611)를 구성하거나, 반경방향의 해당 구성부분에 의해 지지패드(611)를 지지한다. 센서스프링(613)에 고정된 리벳(615) 대신에, 센서스프링(613)에 대해 관절운동하도록 부착된 다른형태의 구성부품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4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아프램스프링(704)에 대해 회전베어링(705)의 내측에서 센서스프링(713)이 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된다. 센서스프링(713)은 센서스프링의 내측반경방향영역에 의해 하우징(702)위에서 지지되고, 탭(715)을 가지며, 상기 탭은 다이아프램스프링(704)의 해당 슬릿 또는 요홈을 통해 연장구성되고, 센서스프링(713)을 축방향으로 지지한다.
제25도의 조정링(817)은 제20도 및 제21도의 마찰클러치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되고, 내측반경방향을 향하는 몰딩부(827)가 조정링(817)에 구성된다. 몰딩부(827)는 반경방향몰딩부(827a)로 구성되고, 상기 반경방향몰딩부(827a)는 코일스프링(826)의 지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코일스프링(826)은 하우징 및 조정링(817)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인장된다. 코일스프링(826)을 안내하고 코일스프링(826)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링(828)이 외부원주위에 개방상태로 제공된다. 링(828)은 반경방향몰딩부(827a)와 결합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반경방향몰딩부(827a)가 링(828)과 스냅끼워맞춤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반경방향몰딩부(827a)는 원주방향의 요홈들을 가진다. 하우징위에서 코일스프링(826)은 하우징의 축방향탭(axial tab)(826a)에 의해 지지된다. 축방향탭(826a)은 링(828)을 지지하는 축방향의 탭단면부(826b)를 가진다. 링(828)이 축방향탭(826a)에 관해 적어도 마찰클러치의 마모경로에 해당 축방향변위를 가지도록 탭단면부(826b)가 구성된다. 링(828)을 지지하기 위해 반경방향몰딩부(827a)에 형성된 요홈 및 축단면부(826b)는 축방향에 대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성되고, 즉 반경방향몰딩부(827a)의 요홈은 한쪽축방향에 대해 개방되어 있고, 탭단면부(826b)는 다른 한쪽 축방향에 대해 개방되어 있다.
제26도의 마찰클러치(901)에 있어서, 마찰클러치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다이아프램스프링(904)이 다이아프램스프링(904)의 스프링기저체(904a)의 중앙부분에서 지지된다. 스프링기저체(904a)는 압력판(903)위에서 외측반경방향으로 지지되고, 회전베어링(905)위에서 내측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된다. 즉 지금까지 알려진 다이아프램스프링구조의 마찰클러치와 비교할 때, 회전베어링(905)이 다이아프램스프링(904)의 스프링단부를 형성하는 슬릿(slit)단부나 다이아프램스프링(904)의 스프링기저체(904a)의 내측변부로부터 떨어져 위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베어링(905)의 외측반경방향에 구성된 스프링기저체에 대한 회전베어링(905)의 내측반경방향에 구성된 스프링기저체의 반경방향폭비율(radial width ratio)은 1:2이다. 상기 비율은 1:6 내지 1:2 인 것이 유리하다. 다이아프램스프링(904)의 상기 지지작용에 의해, 회전베어링(905)의 구성영역내에서 스프링기저체(904a)의 손상 또는 과도한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제26도에 있어서, 압력판(903)에 구성된 축방향 베어링캠(903a)이 점선으로 도시된다. 특히 지지캠(903b)의 구성영역에서 압력판(903)의 베어링캠(903a)에 의해, 마찰클러치(901)에 대해 다이아프램스프링(904)의 중심잡기가 가능하다. 외경중심잡기에 의해 다이아프램스프링(904)이 하우징(902)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고정되어, 제26도에 도시된 중심잡기기능의 리벳(915)이 불필요해진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경중심잡기는 하우징(902)으로부터 몰딩되는 오목부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찰클러치(901)에 있어서, 하중을 가하는 내부기저체(913a)가베어링캠(903a)의 반경방향내부에 제공되도록, 센서스프링(913)이 구성된다. 한쪽 측면위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904)을 지지하고 다른 한쪽 측면에서 하우징(902)에서 지지되도록, 반경방향의 연장아암이 센서스프링(913)위에 구성되고, 상기 연장아암들은 한쪽 측부에서 내부기저체(913a)로부터 내측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되고, 다른 한쪽 측부에서 내부기저체(913a)로부터 외측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된다.
제27도에 도시된 마찰클러치(1001)의 수정예에 의하면, 마찰클러치의 클러치 분리하중 또는 다이아프램스프링(1004)의 하중에 대해, 센서스프링(1013)에 의한 하중이 가해지고, 하우징(1002) 및 압력판(1003) 사이에서 상기 센서스프링(1013)은 축방향으로 인장력을 받는다. 상기 형태의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베어링(1005)에 의해 경사부분내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1004)은 마찰클러치의 분리방향으로 지지되지 않는다. 센서스프링(1013)의 예비인장력에 의해 지지패드(1012)위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1004)이 지지된다. 마찰클러치(1001)가 분리되는 동안, 센서스프링(1013)에 의해 다이아프램스프링(1004)위에 가해지는 축방향하중이 마찰클러치(1001)의 소요분리하중보다 더 크도록 센서스프링이 구성된다. 마찰라이닝(lining)들위에 마모가 발생되지 않는다면, 다이아프램스프링(1004)은 항상 지지패드(1012) 또는 하우징측부의 지지체와 인접하도록 유지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상기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방법으로, 개별 축방향하중들 및 중첩하중들 사이에 적합성이 존재해야 한다. 압력판(1003) 및 하우징(1002)사이에 구성되는 판스프링요소, 다이아프램스프링(1004), 마찰클러치(1001)에 대한 분리하중, 조정링(1017)위에 작용하는 구성요소 및 센서스프링(1013)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하중들은 서로에 대해 적합성을 가져야 한다.
제28도 및 제29도에 도시된 마찰 클러치(1101)는 하우징(1102) 및 압력판(1103)을 가지고, 상기 압력판(1103)은 상기 하우징(1102)에 회전되지 못하도록 연결되나 제한된 범위까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다이아프램스프링(1104)은 압력판(1103) 및 하우징(1102)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압착되고,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1104)은 하우징(1102)에 의해 지지된 링형상 회전 베어링(1105)에 대해 회전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2)에 고정연결된 플라이휠과 같은 카운터 압력판(1106)의 방향으로 압력판(1103)을 편향시키고, 따라서 클러치 디스크(1108)의 마찰 라이닝(1107)은 카운터 압력판(1106) 및 압력판(1103)의 마찰면 사이에서 압착된다.
압력판(1103)은 원주방향으로 또는 접선방향으로 정렬된 판스프링(1109)에 의해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우징(1102)에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클러치 디스크(1108)는 소위 라이닝 서스펜션(1110)을 가지고, 두 마찰 라이닝(1107)의 서로를 향한 제한된 축방향 변위를 통해 마찰 라이닝에 작용하는 축방향력이 점진적으로 상승하면, 마찰클러치가 분리되는 동안 상기 라이닝서스펜션(1110)에 의해 토오크가 점진적으로 증대된다. 또한, 마찰 라이닝(1107)이 하나 이상의 지지 디스크에 축방향으로 부착되고 또한 라이닝 서스펜션(1110)에 대한 다른 위치에, 예를 들어 다이아프램스프링(1104) 및 압력판(1103) 사이에 대체구성이 제공되도록, 클러치디스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1104)은 접촉 압력을 가하는 원형체(1104a)를 가지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정렬된 스프링작동부(1104b)가 상기원형체로부터 연장구성된다. 따라서, 반경방향으로 더욱 외측에 위치한 영역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1104)이 압력판(1103)과 접촉하고 또한 반경방향으로 더욱 내측에 위치한 영역에서 회전 베어링(1105)에 대해 경사져 구성될 수 있도록,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1104)이 구성된다. 회전 베어링(1105)은 두 지지패드(1111,1112)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패드(1111,1112)는 와이어 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패드(1111,1112)에 다이아프램스프링이 축방향으로 유지되고 압착된다. 다이아프램스프링(1104)을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하고 또한 하우징(1102)에 대해 지지패드(1111,1112)에 잡기 및 고정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리벳(1115) 형태의 유지 수단이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리벳(1115)은 인접한 스프링작동부(1104b)들 사이에 구비된 절단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된 리벳축(1115a)을 가지며 연장구성된다.
마찰클러치(1101)는 압력판(1103) 및 카운터 압력판(1106)의 마찰면과 마찰라이닝(1107)의 축방향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장치를 가진다. 상기 조정장치는 보상장치(1116) 및 경로제한수단(1117)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상장치(1116)는 다이아프램스프링(1104) 및 압력판(1103)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경로제한수단(1117)은 압력판(103)의 분리 경로를 제한하는 경로 센서로서 구성된다.
마모 센서로서 작용하는 경로제한수단(1117)은 각각 소켓(socket)(1118)을 가지고, 상기 소켓(1118)은 압력판(1103)의 보어(1120)에 회전되지 못하도록 내장된다. 소켓(1118)은 슬릿(1121)을 형성하고, 상기 슬릿(1121)을 통하여 판스프링 형태의 두 마모센서(1122)가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된다. 마모센서(1122)는 서로 지지되고, 하나 이상의 마모센서(1122)가 곡선형상으로 구성되며, 두 마모센서(1122)가 반대 방향으로 곡선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마모센서(1122)는 예비인장된 상태에서 소켓에 내장되고, 소켓(1118)에 대해 정해진 마찰 저항을 받으며 마찰클러치(1101)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마찰 클러치(1101)가 연결될 때 상기 마모센서(1122)가 축방향으로 정렬된 클러치 부품에 대해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1102)의 외측 변부 영역(1123)에 대해) 유극(1124)을 가지도록, 마모센서(1122)의 축방향 길이가 선택되고, 상기 유극은 압력판(1103)의 예정된 분리 경로에 상응한다. 마찰 클러치가 연결될 때, 마모센서(1122)는 카운터 압력판(1106)에 지지되고, 상기 마모센서(1122)의 정지부(1122a)는 하우징(1102)으로부터 이격되며, 따라서 마찰 라이닝(1107)이 마모됨에 따라 압력판(1103)이 마찰라이닝의 상기 마모에 상응하게 마모센서(1122)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되며, 따라서 마모센서(1122) 및 소켓(1118) 사이의 마찰 결합 작용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소켓(1118)은 플라스틱 또는 마찰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선호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어(1120)가 압력판 캠(1125)에 구성되고, 상기 보어(1120)에 소켓(1118)이 압입되며, 축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압력판 캠(1125)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구성되며, 상기 압력판 캠(1125)에 판스프링(1109)이 리벳 연결부(1109a)에 의해 고정된다. 하우징(1102)을 마주하는 단부에서 소켓(1118)이 칼라(collar)(1118a)를 가지고 또한 상기 칼라(1118a)에 의해서 상기 소켓(1118)이 압력판(1103)에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소켓(1118)이 카운터 압력판(1106)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또한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8도에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1109)이 소켓(1118) 주위에 부분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연결되고 또한 보어(1120)에 축방향으로 고정된 상기 소켓(1118)을 압착시키기 때문에, 소켓(1118)이 하우징(1102)을 향해 보어(1120)의 외부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소켓이 프로파일(profile) 부분, 특히 요홈을 가지고, 상기 요홈은 소켓 위로 연결된 판스프링(1109)의 영역(1119)을 고정하기 때문에, 소켓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보상장치(1116)는 보상 부품을 가지고, 상기 보상 부품은 다이아프램스프링(1104)에 의해 편향되며, U자형 단면을 가진 금속시이트의 보상링(1126)을 가지고, 상기 보상링(1126)의 평면도가 제32도에 도시되어 있다. 보상링(1126)은 다이아프램스프링(1104)을 마주보는 베이스(1127)에서 링형상을 가지고 축방향을 향하는 한개 이상의 돌출부(1128)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1128)는 원주에 균일하게 구성되며, 금속 시이트 재료의 오목한 요홈에 의해 형성된다.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돌출부(1128) 사이의 영역에서 냉각을 위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돌출부(1128)들에 의해 반경방향 포트(port)가 원형체(1104a) 및 보상링(1126) 사이에 형성된다. 제2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링(1126)은 압력판(1103)에 대해 중심설정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압력판(1103)은 하나 이상의 스텝(1129)을 가지고, 상기 스텝(1129)은 보상링(1126)의 반경방향의 내측을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된 벽(1130)을 압력판(1103)에 대해 중심설정한다. 스텝(1129)은 원주를 통해 연장구성된 폐쇄면 또는 원주를 통해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구성된 세그먼트 형상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상링(1126)은 반경방향의 외측을향해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된 벽(1131)을 가지고, 상기 벽(1131)은 벽(1130) 및 베이스(1127)와 함께 링형상 자유공간(1126a)을 형성한다. 보상링(1126)은 반경방향 외부에서 반경방향의 캠(1132)을 가지고, 상기 캠(1132)을 정지부를 형성하며, 경로제한수단(1117)의 마모센서(1122) 형태이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부품에 구성된 카운터 정지부(1133)와 상기 정지부가 상호작용한다. 카운터 정지부(1133)는 노우즈(nose)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노우즈는 마모센서(1122)에 성형되며, 캠(1132) 위로 연결되도록 반경방향으로 내측을 향한다. 압력판(1103)으로부터 이격된 방향으로, 따라서 하우징을 향해 보상링(1126)의 축방향 변위는 카운터 정지부(1133)에 의해 제한된다.
보상링(1126) 및 압력판(1103) 사이에 조정장치(1134)가 구성되고, 상기 조정장치(1134)는 마찰 클러치(1101)가 분리되는 동안 그리고 마찰라이닝에 마모가 존재할 때, 보상링(1126)의 자동 조정을 가능하게 하며, 마찰클러치가 연결되는 동안 자동으로 구속되고, 따라서 차단 작용을 제공하며, 마찰 클러치(1101)가 연결되는 동안, 압력판(1103)에 대해 보상링(1126)이 정해진 축방향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정해진 상기 위치는 단지 분리 과정 동안만 변화될 수 있고, 마찰라이닝에 발생하는 마모에 상응한다.
조정장치(1134)는 복수개의 웨지(1135,1136)의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웨지(1135,1136)는 원주에 균일하게 구성되며, 보상링(1126)에 형성된 원형의 자유 공간(1126a)에 내장된다. 압력판(1103)의 링형상 면(1137)에 지지되는 웨지(1136)는 회전되지 못하도록 보상링(1126)에 연결되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보상링(1126)은 상기 보상링(1126)의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된 벽(1130,1131)의 영역에서 요홈 형태의 성형 영역(1138,1139)을 가지고, 상기 성형 영역(1138,1139)은 자유 공간(1126a)의 영역에서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는 웨지(1136)의 상응하는 오목부 또는 그루브(1140,1141)에 연결된다. 그루브(1140,1141) 또는 성형 영역(1138,1139)은 클러치(1101)의 축방향으로 구성된다. 제3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1135)는 보상링(1126)의 베이스(1127) 및 웨지(1136) 사이에 축방향으로 내장된다. 웨지(1135,1136)는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상승되는 경사부(1142,1143)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1142,1143)에 의해 웨지(1135,1136)는 서로에 대해 지지된다. 웨지(1135)는 다른 한 면에서 보상링(1126)의 베이스(1127)에 지지되고, 상기 보상링(1126)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경사부(1142,1143)는 서로에 대해 인장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코일 스프링(1144) 형태의 에너지 축적기가 자유 공간(1126a)에 내장되고, 보상링(1126)에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된 웨지(1136)의 한쪽 단부에 의해 지지되며, 원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웨지(1135)의 다른 한쪽 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코일 스프링(1144)을 지지하기 위해, 웨지(1135,1136)는 해당 코일스프링을 마주보는 상기 웨지(1135,1136)의 단부에서 돌출부(1145,1146)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1145,1146)는 스프링 권선에 연결되며, 따라서 스프링 단부를 고정시킨다. 또한, 코일스프링(1144)은 벽(1130,1131) 및 보상링(1126)의 베이스(1127)를 통해 안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상링(1126)은 압력판(1103)에 대해 회전되지 못하도록고정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제3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판(1103)은 핀(1147) 형태의 축방향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핀(1147)은 요홈(1148)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되며, 상기 요홈(1148)은 캠(1132)의 영역에 구성된다. 회전을 방지하는 상기 고정을 통하여, 마찰 클러치의 작동 중 캠(1132)의 정지 영역은 항상 마모센서(1122)의 카운터 정지부(1133) 아래에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웨지(1135,1136)는 내열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상기 내열성 플라스틱은 예를 들어 섬유 강화 듀로플라스틱(duroplastic) 또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이다. 조정 요소로서 작용하는 웨지(1135,1136)는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간단히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웨지(1135,1136)가 라이닝 재료와 같은 마찰 재료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웨지(1135,1136)는 성형된 금속 시이트 부품 또는 소결 부품으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압력판(1103) 및 카운터 압력판(1106)의 마찰면과 마찰 라이닝(1107)에 발생되는 마모의 조정작용이, 마찰 클러치(1101)의 전체 사용 수명 동안 보장되도록, 경사부(1142,1143)의 경사각 및 연장크기가 설계된다. 경사부(1142,1143)가 서로에 대해 가압될 때 발생하는 마찰이 상기 경사부 사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마찰 클러치의 회전축과 직각인 평면과 비교하여 경사부(1142,1143)의 웨지각 또는 경사각(1149)이 선택된다. 경사각(1149)은 5°내지 20°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고, 경사부(1142,1143) 영역을 구성하는 재료에 따라 10°가 선호된다. 웨지(1135)의 팁이 회전방향(1150)을 향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웨지(1135)가 구성된다.
경로제한수단(1117)에 구성된 마모센서(1122)가 이동하는데 필요한 하중보다보상링(1126)에 작용하는 축방향력이 작도록, 코일 스프링(1144)에 의한 경사부(1142,1143)의 인장상태 및 경사각(1149)이 설계된다.
또한, 다이아프램스프링(1104)을 설계할 때,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1104)에 의해 압력판(1103)에 대해 가해지는 접촉 압력이 마모센서(1122)가 이동하는데 필요한 하중 및 마모센서(1122)의 인장력에 의해 증가되어야 하고, 상기 마모센서(1122)는 하우징(1102) 및 압력판(1103) 사이에서 인장된다. 또한 다이아프램스프링(1104) 및 보상링(1126) 사이의 마모작용 및 마모센서(1122) 및 카운터 압력판(1106) 사이와 마모센서(1122) 및 하우징(1102) 사이의 접촉 마모작용이 마찰라이닝(1107)의 마모에 비해 경미하도록, 개별 부품이 설계되어야 한다.
경사부(1142,1143) 및 웨지(1135,1136) 사이의 불필요한 조정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한 개의 경사부에 걸리도록 한 개 이상의 경사부(1142,1143)에 작은 돌출부가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마모를 보상하기 위한 조정이 가능하고 또한 경사부는 서로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돌출부가 설계될 수 있다. 두 경사부(1142,1143)가 서로 연결된 돌출부를 가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치형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치형부분의 높이는 작고, 보상링에서 경사부(1142,1143)의 상대 변위만을 허용한다. 상기 치형부(1143a)는 경사부(1142,1143)의 일부 영역을 통해 제30도에 도시되어 있다. 경사부(1142,1143)의 하나만이 돌출부를 가지는 경우에, 돌출부가 상기 돌출부를 지지하는 경사부와 연결되거나 상기 경사부 내부로 다소 돌출될 수 있도록, 다른 한 개의 경사부를 형성하는 재료보다 상기 돌출부가 더 큰 경도를 가지도록 상기돌출부가 설계될 수 있다.
마찰클러치가 연결되는 동안 압력판(1103)에 발생되는 고열로 인해 마모센서(1122)가 인장력을 잃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소켓(1118)이 높은 마찰값 및 낮은 열전도성을 가진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선호된다. 웨지(1135,1136)는 동일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압력판의 냉각작용을 개선하기 위해, 반경방향으로 정렬된 요홈이 압력판(1103)의 원주에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상기 요홈(1151)이 제29도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원주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반경방향의 요홈(1151)은 웨지의 두인접쌍 사이에 구성되고, 보상링(1126) 및 압력판(1103) 사이에서 연장구성된다. 보상링(1126)은 코일스프링(1144)의 영역에서 축방향 절단부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축방향 절단부는 베이스(1127)로부터 연장구성되며, 반경방향 포트가 다이아프램스프링(1104) 및 보상링(1126) 사이에 형성된다.
여러 지지점에서 내마모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해당 영역에 경화 크롬판, 몰리브덴 코팅층과 같은 내마모층이 구성되거나, 특정 내마모성 부품이 접촉점에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플라스틱 슈(shoe)가 카운터 압력판(1106) 및 하우징(1102)이 인접한 영역에서 마모센서(1122)에 구성될 수 있다.
마찰 클러치(1101)가 분리되는 동안 마모센서(1122)가 압력판(1103)을 하우징(1102)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압력판(1103)에 토오크를 전달하는 마모센서(1122)는 압력판(1103) 및 하우징(1102) 사이에서 예비인장된다. 따라서, 전체 분리 단계동안 그리고 경로제한수단(1117)이 작동될 때까지, 보상링(1126)은 다이아프램스프링(1104)과 인접하게 유지된다.
마찰클러치가 분리될 때, 다이아프램스프링(1104)의 외측 변부가 보상링(1126)으로부터 다소 들어올려지도록, 스프링단부(1104c)에서 클러치의 분리 경로가 선택된다. 즉 마찰 클러치(1101)가 분리되는 동안 다이아프램스프링(1104)을 통해 편향되는 압력판 직경 범위의 다이아프램스프링 경로가 마모센서(1122)에 의해 고정된 압력판(1103)의 유극(1124)보다 크다.
개별 부품에 관한 제29도의 상대 위치는 신품의 마찰 클러치가 가지는 상태에 해당된다. 축방향 마모, 특히 마찰 라이닝(1107)에 발생되는 축방향 마모의 경우, 압력판(1103)의 위치는 카운터 압력판(1106)을 향해 이동되어, 우선 원추형상이 변화되고, 그 결과 마찰 클러치(1101)가 연결된 상태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에 의해 가해진 접촉 압력이 증가된다. 상기 증가는 마모센서(1122)에 대한 압력판(1103)의 축방향 위치를 변화시키고, 상기 마모센서(1122)는 카운터 압력판(1106)에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보상링(1126)에 작용하는 다이아프램스프링의 하중으로 인해, 마찰라이닝이 마모되어 발생되는 카운터 압력판(1106)의 축방향 변위를 상기 보상링(1126)이 추종하고, 마모센서(1122)의 카운터 정지부(1133) 역할을 수행하는 영역으로부터, 보상링(1126)의 캠(1132)은 라이닝 마모에 해당하는 양만큼 들어올려진다. 보상링이 다이아프램스프링(1104)에 의해 압력판(1103)을 향해 편향되고 또한 조정 장치(1134)가 연결 과정 동안 자동잠금 상태이며 축방향 잠금장치로서 작동하기 때문에, 연결 과정 동안 보상링(1126)은 압력판(1103)에 대해 상기 보상링(1126)의 축방향 위치를 유지한다. 마찰 클러치(1101)가 분리되는 동안, 압력판은 마모센서(1122)에 의해 하우징(1102)을 향해 편향되고, 마모센서(1122)가 하우징(1102) 또는 하우징 외측 변부 영역(1123)에 인접될 때까지 이동된다. 압력판(1103)이 들어올려지는 경로에 상응하는 상기 분리 경로까지, 압력판(1103)에 대한 보상링(1126)의 축방향 위치가 유지된다. 분리 과정이 계속되면서 압력판(1103)은 축방향으로 정지되어 구성되고, 보상링(1126)의 캠(1132)이 마모센서(1122)의 카운터 정지부(1133)와 인접할 때까지, 보상링(1126)은 편향 직경 영역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의 분리운동을 축방향으로 추종한다. 보상링(1126)의 축방향 변위는 웨지(1135)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웨지(1135)는 코일스프링(1144)에 의해 편향된다. 보상링(1126)이 마모센서(1122)의 카운터 정지부(1133)에 대해 인장될 때까지, 상기 웨지(1135)는 웨지(1136)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이동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압력판(1103)이 판스프링(1109)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상기 판스프링(1109)이 축방향 예비인장상태를 가지도록, 상기 판스프링(1109)이 하우징(1102) 및 압력판(1103)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예비인장상태에 의해 하우징(1102)을 향해 압력판(1103)에 하중이 가해진다. 다이아프램스프링(1104)이 분리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보상링(1126)이 판스프링(1109)에 의해 압력판(110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구속되기 때문에, 다이아프램스프링(1104)은 보상링(1126)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1104)의 반경방향 외측 영역에 의해 들어올려진다. 분리 과정 중 상기 형태의 보상링(1126)으로부터 다이아프램스프링(1104)이 경마하게 들어올려지면, 경로제한수단(1117) 및 조정장치(1134)의 기능수행에 특히 유리하다.
보상링(1126)의 조정작용이 항상 마찰라이닝의 마모량에 따라 웨지(1135,1136)에 의해 수행되도록, 본 발명의 경로제한수단(1117) 및 조정 장치(1134)가 구성된다. 이것은 보상링(1126)이 웨지(1135,1136) 형태의 조정 수단 및 마모센서(1122)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인장되기 때문이고, 그 결과 보상링(1126)이 마찰라이닝의 상응 해당 마모량보다 크게 조정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하우징(1102)의 강한 충격의 경우에도, 마모센서(1122)가 자동 잠금 조정 장치(1134)에 의해, 즉 카운터 정지부(1133)에 의해 압력판(110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조정 장치에 의하면, 스프링작동부(1104b)와 같은 분리 수단의 영역에서 과도한 운동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압력판이 축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경로제한수단(1117) 및 조정장치(1134)의 조정작용이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마찰 클러치의 분리 상태에서 축방향 하중은 카운터 압력판(1106)을 향해 마모센서(1122)에 작용할 수 있고, 마모센서(1122)가 상기 압력판(1103)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을 때, 상기 축방향 하중은 마모센서(1122) 및 압력판(1103) 사이의 하중구속상태보다 크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정 장치에 의하면, 다이아프램스프링은 클러치의 전체 사용 수명 동안 동일한 특성곡선 범위에 대해 작동되고, 마찰 클러치(1101)의 연결상태에서, 일정한 인장 위치를 가지며, 따라서 압력판(1103)에 일정한 접촉 압력을 가한다.
따라서, 클러치디스크의 마찰라이닝(1107)이 라이닝 서스펜션(1110)을 통해 서로에 대해 탄성을 가지고 지지되는 클러치디스크와 조합하여, 분리 경로에 대해감소하는 하중 특성 곡선을 가진 다이아프램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만약 마찰클러치의 사용 수명 동안, 마찰라이닝의 특성곡선이 현저하게 변화하지 않으면, 효과적으로 가해지는 분리하중이 비교적 낮은 수준이 될 수 있고, 마찰클러치의 사용 수명 동안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형태의 클러치가 분리되는 동안, 다이아프램스프링(1104)은 회전 베어링(1105)에 대해 회전되고, 라이닝 서스펜션(1110)은 압력판(1103)의 축방향 분리 경로 중 정해진 일부 영역을 통해 이완되며, 따라서 라이닝 서스펜션(1110)에 의해 가해진 축방향력은 마찰 클러치(1101)의 분리 과정에 사용된다. 즉 마찰클러치(1101)의 연결 위치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1104) 및 마모센서(1122)의 설치 위치로부터 이론적으로 발생되는 최대 접촉 압력보다 작은 최대 접촉 압력이 가해져야 한다. 라이닝 서스펜션(1110)이 이완 영역을 초과할 때, 마찰 라이닝(1107)이 구속해제되고, 다이아프램스프링(1104)이 작동하고 감소하는 특징을 가진 곡선 범위에 의하여, 아직까지 가해져야 하는 분리하중은 제29도의 설치 위치에 해당하는 분리하중에 비해 현저히 감소된다. 분리 과정이 계속되면서, 분리하중은 다이아프램스프링(1104)의 사인곡선형 특성곡선의 최소점에 도달할 때까지 더욱 감소된다.
마찰 클러치(1101)가 회전할 때, 코일 스프링(1144)의 개별 스프링 권선이 보상링(1126)의 벽(1131)에 지지되고 코일스프링(1144)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되거나 스프링권선 및 보상링(1126) 사이에서 발생된 마찰 저항에 의해 상승되도록, 제28도 및 제29도에 도시된 경로제한수단(1117) 및 조정장치(1134)가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마찰 클러치(1101)가 회전하는 동안,스프링 작용을 억제하는 마찰력에 의해, 코일스프링(1144)은 고정된다. 또한, 웨지(1135)에 작용하는 원심력으로 인해, 상기 웨지(1135)는 보상링(1126)의 벽(1131)에 반경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고, 웨지(1135) 및 보상링(1126)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내연기관의 공회전 속도 이상의 속도 범위에서, 조정장치(1134)는 코일스프링(1144)에 의해 회전될 수 없다. 따라서, 마찰 클러치(1101)가 공회전 속도 또는 적어도 대략 공회전 속도에서 작동할 때에만, 마찰라이닝의 마모가 보상되도록, 마찰클러치(1101)가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내연 기관이 정지되었을 때, 따라서 마찰 클러치(1101)가 회전되지 않거나 매우 저속으로 회전될 때에만 마찰라이닝의 마모가 보상되도록, 보상링(1126)의 차단작용이 조정 장치(1134)의 상응하는 구성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마찰 클러치가 작동하는 동안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와 상호작용하는 부품사이에 조정작용을 방해하는 접착작용이 발생되지 않도록, 경사부를 형성하는 웨지(1135,1136) 및 상기 웨지(1135,1136)와 상호작용하는 부품 사이의 재료가 선택된다. 상기 접착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램프 또는 지지면 영역에서 한 개 이상의 코팅이 상기 웨지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 및 카운터 경사부 사이의 접착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 클러치가 분리되는 동안 그리고 마모가 보상되는 동안 조정 요소에 축방향력을 가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조정 요소는 상기 경사부를 분리시킨다.
마찰 클러치(1101)가 신품상태이고, 따라서 마찰클러치가 클러치디스크(1108)를 삽입하여 카운터 압력판(1106)에 고정되기 전에, 상기 마찰클러치의 상태에서, 보상링(1126)이 압력판(1103)을 향해 가장 후퇴된 위치에 구성되고 또한 압력판(1103) 또는 보상링(1126)에 대해 축방향 구성 공간이 최소화되도록, 웨지(1135)는 제30도에 도시된 위치에 비해 웨지(1136)에 대해 더 후퇴된 위치에 구성된다. 마찰 클러치(1101)를 조립하기 전에, 웨지(1135)를 상기 웨지(1135)의 제한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웨지(1135)는 회전 및 유지 수단용 요홈(1152) 형태의 연결 영역을 가진다. 상기 수단이 마찰 클러치(1101)를 제조 또는 조립하는 동안 구성되고, 마찰 클러치(1101)를 카운터 압력판(1106)에 조립한 후에 제거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조정장치(1134)가 작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30도 및 제3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정렬된 타원형 요홈(1153)이 보상링(1126)에 구성되고, 유지 수단 또는 회전 공구가 요홈(1152)에 연결되도록 상기 타원형 요홈(1153)을 통하여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원주방향으로 구성된 타원형 요홈(1153)은 하나 이상의 연장부를 가져야 하고, 상기 연장부는 원주방향으로 웨지(1135)의 최대 마모 조정각에 상응하는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마찰 클러치가 신품상태로 구성될 때, 원주방향의 후퇴 위치에 유지되는 웨지(1135)가 마모센서(1122)에 의해 상기 위치에 유지될 수 있고, 상기 마모센서(1122)는 보상링(1126)을 상기 보상링(1126)의 후퇴 위치에 고정시킨다. 압력판(1103)에 대해 마모센서(1122)를 이동시키는데 소요되는 하중이, 웨지(1135)를 편향시키는 코일스프링(1144)에 의해 발생되고 또한 보상링(1126)에 작용하는 하중보다 크도록,마모센서(1122) 및 압력판(1103) 사이의 자동 조정 연결부가 설계되어야 한다.
제28도 및 제29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경사부(1143)는 경사면을 임프린팅(imprinting) 가공하여 보상링(1126)에 직접 형성될 수 있고, 보상링(1126)은 코일스프링(1144)에 의해 압력판(110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여야 한다. 상기 구성에서, 웨지(1136)는 압력판(1103)에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되거나, 상기 압력판(1103)에 직접 성형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마찰 클러치의 사용 수명 동안, 마모센서(1122) 및 보상링(1126) 사이에 축방향 제한부가 구성되도록, 캠(1132)으로서 형성된 정지부는 보상링(1126)의 소요 조정 회전각에 상응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마찰 클러치(1101)가 조립될때에도 보상링(1126)은 특히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된 캠(1132)을 통하여 반경방향외부로부터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캠(1132)은 반경방향 포트를 통하여 접근가능하며, 상기 반경방향 포트는 하우징(1102)의 외측 슬리브(sleeve)에 구비된다. 상기 반경방향 포트에 압력판(1103)의 토오크 전달용 압력판 캠(1125) 및 마모센서(1122)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정 장치의 원리가 소위 견인형 마찰 클러치에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상기 견인형 마찰 클러치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은 회전 운동을 위해 반경방향 외측 변부 영역에 의해 하우징에 지지되며, 반경방향 내측 변부 영역으로 압력판을 편향시킨다. 상기 클러치는 제33도에 도시되어 있다. 다이아프램스프링(1204) 및 압력판(1203) 사이에 조정장치(1234)가 구성되고, 상기 조정장치(1234)는 제28도 및 제29도와 관련하여 상기 조정장치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조정링(1226)은센서 요소(1217)에 의해 마모 센서(1222)와 상호작용한다. 압력판(1203)에 대한 마모 센서(1222)의 조정작용은 정지 영역(1222a)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정지 영역(1222a)은 하우징(1202)에 지지된다. 마모 센서(1222)는 정지부(1333)를 지지하고, 상기 정지부(1233)는 분리과정 중 압력판(1203)의 축방향 경로를 제한한다. 제33도에 따른 조정 장치의 만족스러운 기능수행을 위해, 조정링(1226)은 마모 센서(1222)에 대해 경미한 축방향 이동을 한다. 마모 센서(1222) 및 조정링(1226) 사이의 유극이 상응 정지 연결부(1233a)에 구성되거나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여 탄성 가요성을 가지는 반경방향의 영역(1226a)이 조정링(1226)에 구성될 수 있다.
제3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센서 요소(1317)는 압력판(1303)에 직접 내장된다. 마모 센서(1322)는 정지 영역(1322a)을 가지고, 상기 정지 영역(1322a)은 하우징 영역(1323)과 상호작용하며, 상기 하우징 영역(1323)은 카운터 정지부를 형성한다. 하우징 영역(1323)은 고정 수단(1302a)과 일체구조로 구성되고, 회전 운동을 위해 다이아프램스프링(1304)은 상기 고정 수단(1302a)에 의해 하우징(1302)에 장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수단(1302a)은 탭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탭은 하우징과 일체구조로 제조되며, 다이아프램스프링(1304)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된다. 조정 장치(1334)가 센서 요소(1317)의 반경방향 외측에 구성되고, 상기 센서 요소(1317)는 원형체(1304a)의 반경방향 영역에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 클러치의 구성에 따라, 더 두꺼운 마찰 라이닝을 이용하면, 축방향의 라이닝 마모 체적을 증가시켜서 클러치의 사용 수명을 증가시킬 수있고, 압력판에 작용하고 에너지 축적기에 반작용하는 한 개 이상의 스프링 수단과 함께, 마찰 클러치의 분리 경로에 대해 감소하는 하중-경로 특성곡선을 가지는 에너지 축적기를 이용하여, 분리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마찰 클러치가 연결 및 분리되는 동안, 스프링 수단은 토오크를 점진적으로 증가 및 감소시키고, 클러치 작동 경로 또는 압력판 경로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상기 토오크가 마찰 클러치에 의해 전달가능하다. 상기 스프링 수단이 다이아프램스프링과 같은 마찰 클러치의 접촉 압력 스프링과 직렬로 연결되는 것이 선호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 클러치의 구성에 따라, 분리하중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마찰 클러치의 사용 수명 동안 상기 감소작용이 변화되지 않으며, 즉 비교적 작은 공차 범위내에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찰 클러치에 있어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은 작동범위에서 비교적 급경사의 하중-경로 곡선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은 종래 기술의 마찰클러치에서 마찰라이닝이 마모되는 경우에, 다이아프램스프링은 분리하중을 급격히 상승시킨다.
본 발명의 조정작용이 없는 마찰클러치에 있어서, 마찰라이닝의 마모가 증가됨에 따라, 우선 마찰 클러치의 연결 상태에 해당하는 점(41)(제8도)은 특성곡선(40)을 따라 최대점(41a)을 향해 이동된다. 분리과정 동안, 상기 최대점(41a)에서 분리하중이 강하되지만, 마찰 클러치가 신품 상태로 구성될 때의 분리하중곡선에 비하여, 분리하중 곡선의 전체 값들은 증가된다. 즉 점(41)이 최대점(41a)과 일치할 때까지 경로(43)가 좌측으로 이동된다. 점(44)은 특성곡선(40)을 따라 이동된다. 마찰라이닝이 더욱 마모될 때, 다이아프램스프링에 의해 가해진 접촉 압력이 점차 감소되도록, 마찰 클러치의 연결 상태에 해당하는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설치위치가 최대점(41a)으로부터 점(41b)을 향해 이동된다. 다이아프램스프링에 의해 점(41b)에 가해진 접촉 압력은 마찰 클러치의 신품 상태에서 점(41)에 가해진 접촉압력에 상응한다. 최대점(41a)의 초과시, 분리 과정 동안, 분리 하중이 클러치 작동 경로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증가된다. 최대 허용 마모 경로 또는 점(41b)에 도달할 때, 경로(43a)에 대해 분리하중이 증가한다. 라이닝 서스펜션 또는 라이닝서스펜션 대체물이 있는 때에도 분리하중의 증가가 유지된다.
마찰 클러치 및 상기 마찰 클러치의 조정 장치를 설계할 때, 내연기관의 크랭크축이 플라이휠에 축방향 및 비틀림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 고려되어야 하고, 상기 진동은 플라이휠에 고정된 마찰 클러치에도 전달된다. 제1도 내지 제27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하중 센서를 가진 조정 장치가 구성된 실시예에 대하여, 마찰 클러치 및 조정 장치가 만족스럽게 기능할 수 있도록, 즉 상기 진동의 결과로 원하지 않는 조정작용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하중 센서의 조정 하중은 하중 센서에 작용할 수 있는 관성력보다 커야 한다. 상기 관성력은 다이아프램스프링, 조정링 또는 조정 요소의 질량을 통해 형성되고, 하중 센서의 상응 질량 비율을 통해 형성되며, 다른 부품 또는 요소의 최대 가능 축방향 가속도와 곱해진 상기 다른 부품의 질량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최대 가능 축방향 가속도는 플라이휠의 축방향 및 굽힘 진동으로부터 형성된다. 제27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센서 스프링(1013)은 압력판(1003)에 지지되고, 상기 압력판(1003)의 관성도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센서 스프링에 의해 가해진 하중은 상기 센서 스프링에 작용하는 하중보다 크고, 상기 센서 스프링에 작용하는 하중은 센서 스프링의 관성에 기인하여, 상기 센서 스프링에 작용하는 부품의 질량과 최대 가능 축방향 가속도를 곱하여 형성된다. 상기 관성력은 마찰 클러치의 작동 중 그리고 마찰 클러치의 분리 상태에서 불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제29도 내지 제34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개별 부품의 관성과 상기 부품에 작용하는 축방향 및 회전 진동의 결과로 발생되는 하중이, 마모 센서 및 조정 장치를 설계할 때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일체구조를 가지고 마모 보상 수단을 가지는 마찰 클러치를 설계할때, 구성 요소의 질량을 고려해야 하고, 상기 구성요소 및 보상수단에 축방향 또는 회전 진동이 전달될 수 있다. 제28도 내지 제34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고려되는 부품은 경사부 작동에 영향을 준다.
제35도에 분리된 플라이휠(1401)이 도시되고, 상기 플라이휠(1401)은 내연기관의 크랭크축(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된 제 1 플라이휠 질량체(1402) 및 제 2 플라이휠 질량체(1403)를 가진다. 마찰 클러치(1404)는 클러치 디스크(1405)의 삽입으로 제 2 플라이휠 질량체(1403)에 고정되고, 상기 클러치 디스크(1405)를 통해 기어박스(gearbox)(도시되지 않음)가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다. 플라이휠 질량체(1402,1403)는 구름베어링(1406)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1 플라이휠 질량체(1402)를 내연기관의 피동축에 조립하기 위한 고정 나사(1408)가 통과되는 보어(1407)의 반경방향 내부에 상기 구름베어링(1406)이 장착된다. 플라이휠 질량체(1402,1403) 사이에 댐퍼(1409)가 구성되고, 상기댐퍼(1409)는 압축기능의 코일 스프링(1410)을 가지며, 상기 코일 스프링(1410)은 링형상 챔버(chamber)(1411)에 구성되고, 상기 챔버(1411)는 토로이달형상의 영역(1412)을 형성한다. 챔버(1411)는 오일 또는 그리스(grease)와 같은 점성 매개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진된다.
제 1 플라이휠 질량체(1402)는 금속 시이트로 제작된 몸체(1413)로 형성된다. 몸체(1413)는 반경방향으로 정렬된 플랜지(1414)를 가지고, 상기 플랜지(1414)가 일체구조의 축방향 부착물(1415) 내부에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며, 상기 축방향 부착물(1415)은 보어(1407)에 의해 둘러싸여 구성된다. 구름 베어링(1406)에 단일열로 구성된 구름운동체(1406a)가 내측링(1416)을 향해 축방향 부착물(1415)의 단부에 대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내장된다. 구름운동체(1406a)의 외측링(1417)은 제 2 플라이휠 질량체(1403)를 지지하고, 상기 제 2 플라이휠 질량체(1403)는 평평한 디스크형 몸체로서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플라이휠 질량체(1403)는 중앙 요홈을 가지고, 상기 요홈에 구름베어링(1406)이 내장된다. 플랜지(1414)는 접시 형상부(1418)를 향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구성되고, 코일 스프링(1410)의 적어도 외측 원주부분을 통하여 상기 접시 형상부(1418)가 상기 코일 스프링(1410)의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1410)을 안내하고 지지한다. 접시형상부(1418)에 고정된 벽(1419)은 코일 스프링(1410)의 원주 주위에 부분적으로 연결된다. 벽(1419)은 몸체(1413)에 (용접부(1420)에서) 용접된다. 원주방향으로 보았을 때, 영역(1412)은 개별 소켓으로 분리되고, 상기 소켓에 코일 스프링(1410)이 내장된다. 원주방향으로 보았을 때, 개별 소켓은 코일 스프링(1410)에 대한 편향영역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상기 편향 영역은 몸체(1413)에 스탬프(stamp)가공된 포켓 및 벽(1419)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1410)에 대한 제 2 플라이휠 질량체(1403)에 연결된 편향 영역(1421)은 하우징(1422)에 의해 지지된다.
편향 영역(1421)은 반경방향 아암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편향 영역(1421)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1422)의 축방향 영역(1423)에 구성되며, 영역(1412)에, 즉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코일 스프링(1410)의 단부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연결된다. 축방향 영역(1423)은 축방향 부분(1423a)에 의해 제 2 플라이휠 질량체(1403) 주위에 연결되고, 오목부 또는 다른 형태의 고정장치에 의해 상기 제 2 플라이휠 질량체(1403)에 고정연결되며, 상기 오목부는 축방향 부분(1423a)에 형성되고, 플라이휠 질량체(1403)의 압축부분에 연결된다.
플라이휠 질량체(1403)의 외측부에 중심잡기된 하우징(1422)은 편향 영역(1421)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하우징(1422)의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정렬된 링형상부(1426)를 가지고, 회전 운동을 위해 다이아프램스프링(1427)이 상기 링형상부(1426)에 유지되며, 다이아프램스프링은 이중아암 레버로서 작동된다. 다이아프램스프링(1427)의 반경방향 외측부에 의해 압력판(1428)이 편향되고, 따라서 클러치 디스크(1405)의 마찰 라이닝(1429)은 제 2 플라이휠 질량체(1403) 및 압력판(1428)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압착된다. 라이닝 서스펜션(1465)은 마찰 라이닝(1429) 사이에 구성된다.
제3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422) 또는 영역(1412)은 제 2 플라이휠 질량체(1403)에서 반경방향으로 가장 외측부에 장착된다. 몸체(1413)가 영역(1412)을 지지하고 또한 제 1 플라이휠 질량체(1402)를 내연기관의 피동축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내연기관의 피동축에 인접하고, 간극 또는 공기 간극(1430)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1413)는 비교적 큰 반경방향 연장부를 통하여 챔버(1411)의 반경방향 내부에서 제 2 플라이휠 질량체(1403)와 마주보게 구성되고, 근소한 간격으로 인접되며, 그 결과 플라이휠(1401), 마찰클러치(1404) 및 클러치 디스크(1405)로 구성된 장치가 축방향으로 콤팩트한 구조를 형성한다. 챔버(1411)가 밀봉부(1431)에 의해 밀봉되고, 상기 밀봉부(1431)는 반경방향 벽(1419)의 내측 영역 및 하우징(1422)의 외측면 사이에서 작동된다.
냉각 공기 유동이 상기 간극(1430)을 통과하여 상기 간극(1430)은 플라이휠(1401)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냉각 공기 순환을 위하여, 제 2 플라이휠 질량체(1403)는 마찰면(1432)의 반경방향 내부에서 축방향 요홈(1433)을 가지고, 상기 요홈(1433)은 엔진측의 몸체(1413)를 향해 연장구성되며, 간극(1430)과 연결된다. 냉각 작용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제 2 플라이휠 질량체(1403)는 다른 축방향 포트(port)(1435)를 가지고, 상기 축방향 포트(1435)는 반경방향으로 더욱 외측에 구성되며, 마찰면(1432)으로부터 이격된 면에서 간극(1430)과 연결되고, 마찰클러치(1404)를 마주하는 플라이휠 질량체(1403)의 면에서 마찰면(1432)의 반경방향 외부로 개방된다. 플라이휠 질량체(1403)는 포트 또는 요홈(1433)의 반경방향 내부에서 다른 포트(1434)를 가지고, 상기 포트(1434)는 고정 나사(1408)를 내장하고 또한 안내한다.
점성 매개물로 충진된 챔버(1411)를 밀봉하기 위해 다른 밀봉부(1436)가 구성되고, 상기 밀봉부(1436)는 막 형상 또는 다이아프램스프링 형상의 부품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부품은 간극(1430)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된다.
벽(1419)은 시동용 링기어(1439)를 지지하고, 상기 링기어(1439)는 용접에 의해 상기 벽(1419)에 연결된다. 제35도를 참고할 때, 이중 플라이휠 질량체(1402,1403) 구조의 플라이휠은 마찰클러치(1404) 및 클러치 디스크로 구성된 클러치 조립체와 함께, 하나의 구성 유니트(A)를 형성하고, 상기 구성 유니트(A)는 미리 조립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간단한 방법으로 내연기관의 크랭크축에 이송되고, 보관되며 나사체결될 수 있다. 구성 유니트(A)를 조립하기 위해, 클러치 디스크(1405)가 삽입되어 우선 마찰클러치(1404) 및 제 2 플라이휠 질량체(1403)와 연결된다. 다음에, 마찰클러치(1404), 플라이휠 질량체(1403) 및 클러치 디스크(1405)로 구성된 서브유니트(sub-unit)가 몸체(1413)와 함께 축방향으로 구성되고, 하우징(1422)의 축방향 영역(1423)에 구성된 벽(1419)이 몸체(1413)의 외측 영역에 인접하게 구성되며, 상기 몸체(1413)에 ((1420)에서) 용접될 수 있다. 몸체(1413) 및 벽(1419)을 축방향으로 연결하기 전에, 코일스프링(1410)이 영역(1412)에 구성된다. 또한, 구성 유니트(A)는 이미 구름베어링(1406)과 일체구조로 형성되었고, 상기 구름베어링(1406)은 축방향 부착물(1415)에 구성된다. 고정 나사(1408)는 인버스(inbus) 나사의 형태로 플랜지(1414)의 보어(1407)에 미리 조립된다. 따라서, 고정나사(1408)는 제35도의 하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고정나사는 구성유니트(A)의 상기 위치에서 손실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고정된다.
압력판(1428) 및 제 2 플라이휠 질량체(1403)의 마찰면(1432) 사이에 구성되고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해 미리 중삼잡기된 위치에 클러치 디스크(1405)가 압착되고, 내연기관의 피동축에 구성된 구성유니트(A)를 조립하는 동인, 나사체결용 공구가 통과될 수 있는 위치에 개구부(1443)가 구성되며, 상기 개구부(1443)는 클러치 디스크에 구성된다. 구성유니트(A)의 고정나사(1408)가 만족스럽게 고정되도록, 개구부(1443)는 고정나사(1408)의 나사머리(1440)보다 작다.
또한, 다이아프램스프링(1427)에, 즉 스프링단부(1427a)에 나사체결용 공구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 또는 절단부(1444)가 구성된다. 절단부(1444)가 스프링단부(1427a) 사이의 슬릿에 확대 영역 또는 팽창부를 형성하도록, 절단부(1444)가 구성될 수 있다. 다이아프램스프링(1427)의 절단부(1444), 클러치 디스크(1405)의 개구부(1443) 및 플라이휠 질량체(1403)의 포트(1434)는 축방향으로 서로 일치하여, 크랭크축에 구성유니트(A)를 위치설정하여 조립하기 위한 보어(1407)의 비대칭 배열에서도, 인버스 키이(key)와 같은 조립 공구가 개구부를 만족스럽게 통과할 수 있고, 나사(1408)의 나사머리(1440)에 구성된 요홈에 연결된다.
클러치 디스크의 소요 중심잡기 과정, 클러치 디스크의 삽입, 클러치의 조립, 중심잡기 핀의 삽입, 클러치의 중심잡기, 나사의 삽입, 클러치의 나사체결 및 중심잡기 핀의 제거와 같은 여러 작업 단계가 필요없기 때문에, 상기 형태의 구성유니트(A)는 플라이휠 조립을 더 용이하게 한다.
마찰 클러치(1404)는 조정 장치(1445)를 가지고, 상기 조정 장치(1445)는 제13도 내지 제27도와 관련하여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센서 스프링(1446)및 조정링(1447)에 의해 마모를 보상한다.
제36도에 도시된 토오크 전달 장치(1501)는 카운터 압력판(1503)을 가지고, 상기 카운터 압력판(1503)은 내연기관의 크랭크축(K)에 회전되지 못하도록 연결되며, 마찰 클러치(1504)는 클러치 디스크(1505)의 삽입으로 상기 카운터 압력판(1503)에 조립된다. 클러치 디스크(1505)는 도시되지 않은 기어박스의 입력축에 내장될 수 있다.
하우징(1522)은 축방향으로 정렬된 영역(1523)을 가지고, 상기 영역(1523)은 압력판(1528) 및 클러치 디스크(1505)의 마찰 라이닝(1529) 상부 및 반경방향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연결된다. 슬리브형 또는 튜브형 영역(1523)의 단부(1523a)는 카운터 압력판(1503) 주위에 연결되고, 오목부(1524)의 외측 원주에 연결된다. 또한, 하우징(1522) 및 카운터 압력판(1503)은 다른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용접 또는 나사 연결 또는 반경방향으로 삽입된 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카운터 압력판(1503)의 외측에 중심잡기된 하우징(1522)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정렬된 링형상부(1526)를 가지고, 회전 운동을 위해 다이아프램스프링(1527)이 상기 링형상부(1526)에 장착되며,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1527)은 이중아암 레버로서 작동된다. 다이아프램스프링(1527)은 반경방향의 외측 영역에 의해 압력판(1528)을 편향시키고, 따라서 마찰 라이닝(1529)이 카운터 압력판(1503) 및 압력판(1528)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압착된다. 다이아프램스프링(1527)은 분리 시스템에 의해 마찰클러치(1504)를 작동시키기 위한 반경방향의 스프링단부(1527a)를 가진다. 압력판(1528) 및 하우징(1522) 사이에서 토오크를 전달하기 위하여, 판스프링 요소(1521) 형태의 토오크 전달 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판스프링 요소(1521)는 한단부에서 리벳 연결부(1521a)에 의해 하우징(1522)에 고정연결되며, 다른 한 단부에서 리벳 연결부에 의해 압력판(1528)에 연결된다. 제35도의 상반부에서 마찰 라이닝의 반경방향 연장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판(1528) 및 판스프링 요소(1521) 사이의 연결은 블라인드(blind) 리벳 연결에 의해 형성된다.
마찰 클러치(1504) 또는 토오크 전달 장치(1501)는 조정 장치(1545)를 가지고, 상기 조정 장치(1545)는 제1도 내지 제27도와 관련하여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센서 스프링(1546) 및 조정링(1547)에 의해 마모가 보상되도록 한다.
제35도 및 제36도에서, 카운터 경사부가 각각 마찰 클러치의 회전방향으로 공기 통로 개구부(1547a)를 형성하도록, 하우징에 직접 임프린팅 가공된 상기 카운터 경사부가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마찰클러치가 회전할 때 자동 공기 순환을 통하여 마찰 클러치의 더 양호한 냉각 작용이 이루어진다. 특히,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조정링(1447) 또는 조정링(1547)은 상기 방법으로 냉각되어, 상기 조정링의 열부하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마찰 클러치(1504) 또는 카운터 압력판(1503)은 탄성 부품(1550)에 의해 크랭크축(K)에 고정되고, 따라서 상기 마찰 클러치(1504) 또는 카운터 압력판(1503)은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되나, 제한된 범위까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품(1550)은 디스크 형상이고, 크랭크축(K)에 의해 마찰 클러치(1504)에 형성된 축방향 또는 비틀림 및 굽힘 진동이 마찰 클러치(1504) 및 특히 조정 장치(1545)의 만족스러운 기능수행을 보장하는 정도까지 탄성부품(1550)에 의해 감소되도록, 상기 탄성부품(1550)의 강도가 구성된다. 크랭크축과 같은 내연기관 피동축의 축방향 및 굽힘 진동에 대해, 마찰 클러치(1504)가 탄성부품(1550)에 의해 최대크기로 분리될 수 있다. 그 결과 마찰 클러치(1504) 또는 조정 장치(1545)의 기능이 손상되지 않는다. 크랭크축(K)으로부터 마찰 클러치(1504)가 분리되지 못하면, 진동에 의해 부품에 작용하는 상기 부품의 질량 및 가속도로 인해, 조정 장치(1545)의 불필요한 조정기능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을 여과시키는 탄성부품(1550)이 없다면, 특히 상기 조정 장치(1545)를 설계할 때, 조정 장치에 의해 발생된 관성력이 고려되어야 하고, 따라서 라이닝 마모에 기초하지 않은 조정 장치의 조정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가의 대응 수단 또는 추가 수단이 요구된다.
제36도에 따른 토오크 전달 장치(1501)에 있어서, 조정 장치(1545)는 하우징(1522) 및 다이아프램스프링(1527) 사이에 작용한다. 또한, 토오크 전달 장치(1501)에 제28도 내지 제34도에 따른 마찰 클러치가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마찰 클러치에서 조정 장치는 다이아프램스프링 및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에 의해 편향된 압력판 사이에 작용한다.
카운터 압력판(1503)은 나사 연결부(1551)에 의해 디스크 형상의 탄성부품(1550)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고정연결된다. 압력판(1428)에 대한 판스프링의 고정과 관련하여 제35도의 상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연결부(1551) 대신에 블라인드 리벳 연결부가 사용될 수 있다. 탄성 부품(1550)과 카운터 압력판(1503) 사이에 구성된 나사연결부(1551)의 반경방향 내부 및 상기탄성부품(1550)과 카운터압력판(1503) 사이의 축방향 간극(1552)이 구성되고, 상기 간극은 상기 탄성부품(1550) 및 카운터압력판(1503) 사이에서 축방향 진동의 최대 진폭을 결정한다. 크랭크축(K)을 향하는 마찰 클러치(1504)의 최대 축방향 변위는 카운터 압력판(1503)의 반경방향 내측 영역에 의해 제한될 수 있고, 상기 카운터 압력판(1503)은 탄성부품(1550) 위에 정지된다. 정상 작동 조건하에서, 특히 내연기관의 만족스러운 기능수행 중 상기 지지작용은 발생되지 않는다. 카운터 압력판(1503)은 축방향 돌출부(1553) 주위에 연결되고, 상기 축방향 돌출부(1553)는 링 또는 디스크 형상을 가진 부품(1554)의 일부이다. 상기 부품(1554)은 탄성 부품(1550)의 반경방향 내측 영역에 고정연결될 수 있다. 탄성 부품(1550) 및 부품(1554)은 크랭크축(K)의 원형 돌출부(1555)에 중심설정되고, 나사 연결부(1556)에 의해 상기 원형 돌출부(1555)에 고정연결된다. 따라서, 탄성 부품(1550)의 반경방향 내측 영역은 크랭크축(K)의 단부면(1557) 및 부품(1554)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압착된다.
부품(1554)의 축방향 돌출부(1553)는 탄성 부품(1550)으로부터 이격된 단부에서 반경방향 영역(1558)을 가지고, 다른 한쪽의 축방향으로 상기 반경방향 영역(1558)은 카운터 압력판(1503) 또는 마찰 클러치(1504)의 축방향 변위를 제한한다. 응력을 받지 않은 탄성 부품(1550)에 의하여, 반경방향영역(1558) 및 카운터 압력판(1503) 사이에 축방향 간극(1559)이 구성된다. 상기 간극(1559)은 간극(1552)과 유사하게 축방향으로 크기를 가진다. 카운터 압력판(1503)의 축방향 안내를 위하여, 카운터 압력판(1503)은 상기 카운터 압력판(1503)의 내측 슬리브면에 의해 축방향 돌출부(1553)에 유극없이 내장될 수 있다. 카운터 압력판(1503)의 내측 슬리브면 및 축방향 돌출부(1553) 사이에 작은 공기 간극이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고, 그 결과 정상 작동 조건하에서 상기 두 부품 사이에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품(1550)에도 불구하고 계속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해 진동 에너지를 상쇄하는 장치가 구성된다. 제3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마찰 연결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37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댐퍼(1560)가 카운터 압력판(1503)의 내측 영역 및 돌출부(1553)의 외측 슬리브면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감쇠 수단은 예를 들어 링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링은 원주방향으로 파형을 가지고, 상기 파형은 반경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댐퍼(1560)는 반경방향으로 압착되어 구성되고, 따라서 축방향 진동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댐퍼(1560) 및 카운터 압력판(1503)의 내측 슬리브면 사이에 마찰이 형성된다. 따라서, 카운터 압력판(1503)에 대한 감쇠된 지지작용이 축방향 돌출부(1553)에 형성된다. 댐퍼(1560)는 원주위에서 통해 분리될 수 있어 개방될 수 있다.
시동용 링기어(1561)가 탄성 부품(1550)의 반경방향 외부에 지지된다.
탄성 부품(1550), 카운터 압력판(1503), 클러치 디스크(1505) 및 마찰 클러치(1504)는 구성 유니트를 형성하고, 상기 구성 유니트가 미리 조립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간단한 방법으로 내연기관의 크랭크축(K)에 이송되고 장착되며 나사체결될 수 있다. 인버스 나사 형태의 나사연결부(1556)는 미리 조립되고, 따라서 구조 장치에 수용되며, 손실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압력판(1528) 및 카운터 압력판(1503) 사이에서 크랭크축의 회전축에 대하여 미리 중심설정된 위치에 클러치 디스크(1505)가 압착되고, 상기 클러치 디스크(1505)에 구성된 또한 클러치 디스크(1505)의 스프링 댐퍼 반경방향 내부에 구성된 개구부(1562)가 형성되는 위치에서 압착되며, 크랭크축(K)에 대해 구성 유니트를 조립하는 동안, 나사체결용 공구(1563)가 통과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개구부(1562)가 구성된다. 또한, 다이아프램스프링(1527)은 공구(1563)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 또는 절단부(1564)를 가진다. 인버스 키이와 같은 조립 공구가 나사연결부(1556)의 나사머리에 연결될 수 있도록, 다이아프램스프링(1527)의 개구부 또는 절단부(1564)가 클러치 디스크(1505)의 개구부(1562)와 일치한다.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라이닝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 장치(1545)를 가진 마찰 클러치(1504)를 이용하면, 마찰 클러치, 특히 다이아프램스프링(1527)을 최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1527)은 클러치 디스크에 인장력을 가한다. 다이아프램스프링이 단지 압착력만을 가하도록,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압착력은 클러치 디스크에 대한 소요 토오크의 전달에 필요하다. 조정 장치(1545)에 의하여, 다이아프램스프링(1527)은 전체 사용 수명 동안 토오크 전달 장치(1501)의 연결 상태에서 동일한 설치 위치를 유지한다. 또한, 토오크 전달 장치(1501)에 구성된 라이닝 서스펜션(1565)에 의하여, 분리력 또는 분리력 곡선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토오크 전달 장치(1501)가 연결 및 분리되는 동안, 압력판(1528) 작동 경로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상기 라이닝 서스펜션(1565)은 상기 토오크 전달 장치에 의해 전달가능한 토오크를 점진적으로 감소 및 증가시킨다. 따라서, 라이닝 서스펜션과 같은 장치 및 압력판에 작용하는 다이아프램스프링에 의해 가해진 하중 또는 하중-경로 특성을 적합하게 조합하여, 원하는 분리하중 곡선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품에 분리하중이 작게 작용하기 때문에, 축방향, 굽힘 또는 비틀림 진동에 대한 소요 감쇠 기능을 위하여, 탄성 부품(1550)을 최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클러치를 분리시키는데 소요되는 작동력은 토오크 전달 장치의 축방향 변위없이 부품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개별 특징 및 요소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는 변형을 포함한다. 또한,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된 기능수행 방법 또는 개별 특징은 독립 발명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도 내지 제37도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 클러치의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선 Ⅱ-Ⅱ를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마찰 클러치에 사용되는 조정링의 도면.
제4도는 제3도의 선 IV-IV를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마찰 클러치에 사용되는 지지링의 도면.
제6도는 제5도의 선 VI-VI를 따른 단면도.
제7도 및 제7a도는 조정링에 비틀림하중을 가하는 스프링의 도면.
제8도 내지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 클러치의 조정 요소 및 개별 스프링의 상호작용이 도시되어 있는 상이한 특성곡선의 다이어그램.
제12도 및 제13도는 마찰 클러치 구성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고, 제13도는 제12도의 선 XⅢ을 따른 단면도.
제14도는 제12도 및 제13도의 마찰 클러치에 사용되는 조정링의 도면.
제15도 내지 제17도는 조정 장치를 가진 다른 마찰 클러치의 상세도.
제18도 및 제19도는 마찰 클러치의 분리하중 곡선에 따라 형성되는 작용과 라이닝 서스펜션 및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상호작용이 도시되어 있는 다양한 특성곡선의 다이어그램.
제20도는 본 설명에 따른 다른 마찰 클러치의 부분도.
제20a도는 제20도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본 부분도.
제21도는 제20도의 선 XXI 에 따른 단면도.
제22도는 제20도 및 제21도의 마찰 클러치에 사용가능한 조정링의 부분도.
제23도 및 제2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 클러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
제25도는 제12도 및 제13도 또는 제20도 및 제21도의 마찰 클러치에 사용될 수 있는 조정링의 도면.
제26도와 제27도는 마찰 클러치의 변형예에 대한 도면.
제2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 클러치의 도면.
제29도는 제28도의 선 Ⅱ-Ⅱ를 따른 단면도.
제30도는 제28도의 선 Ⅲ-Ⅲ을 따른 단면도.
제31도는 제28도의 선 IV-IV를 따른 부분도.
제32도는 제28도 및 제29도의 마찰 클러치에 사용되는 조정링의 도면.
제33도 및 제3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 클러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상세도.
제35도는 혼전 진동 댐퍼를 구비하고 또한 두 질량체로 분리된 플라이휠과 본 발명에 따른 마찰 클러치의 도면.
제36도 및 제3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 클러치를 가진 토오크 전달 장치의도면.
* 부호설명
1...마찰클러치 2...하우징
3...압력판 4...다이아프램스프링
5...회전베어링 6...카운터압력판
7...마찰라이닝 8...클러치디스크
11,12...지지패드 13...센서스프링
15...리벳 16...조정장치
17...조정링 18,24...경사부
Claims (55)
- 하우징에 회전되지 못하도록 연결되나 제한된 범위까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판을 가진 자동차용 마찰 클러치에 있어서,하우징 및 압력판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이아프램스프링이 구성되고,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은 압력판 및 카운터 압력판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는 클러치 디스크의 방향으로 압력판을 편향시키며,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 장치가 구성되고, 상기 조정 장치는 다이아프램스프링을 통해 압력판을 편향시키는 일정한 하중을 발생시키며, 마찰 클러치는 연결 및 분리를 위한 작동 수단을 가지고, 분리 과정 동안 작동 수단의 작동 경로 중 일부 작동 경로에 대하여 마찰 클러치 또는 클러치 디스크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토오크의 점진적 감소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가지며, 조정 장치는 작동 수단에 대한 회전 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회전 베어링은 마찰의 발생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조정 장치는 다이아프램스르링의 각을 이룬 구성을 연결 상태에서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조정 장치는 링을 포함하며, 상기 링은 마모에 따라 회전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분리 과정 동안 다이아프램스프링에 의해 편향된 압력판의 축방향 변위 경로 중 일부 축방향 변위 경로에 대하여 마찰 클러치에 의해 전달되는 토오크의 점진적 감소를 발생시키는 장치가 마찰 클러치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장치는 카운터 압력판에 대한 하우징의 고정 영역과 작동 수단 또는 다이아프램스프링 사이의 하중전달경로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장치는 압력판의 마찰면과 작동 수단 또는 다이아프램스프링 사이의 하중전달경로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장치는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 사이에 축방향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장치는 클러치 구성부품 사이에 축방향 탄성 가요성이 형성되도록 하고, 클러치가 분리될 때 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이 최소이고 클러치가 연결될 때 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이 최대로 점진적으로 상승되도록 장치가 구성되며, 상기 상승은 연결 경로 중 일부 연결 경로에 대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작동 수단의 작동 경로 중 40% 내지 70%에 대하여 마찰 클러치에 의해 전달되는 토오크의 점진적 증가 또는 점진적 감소는 상기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은 마찰 클러치의 분리 경로중 일부 분리 경로에 대하여 감소하는 하중-경로 곡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은 판스프링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은 한 면에서 링형상 회전 베어링에 대해 회전될 수 있으며, 다른 한 면에서 압력판을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9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은 원형체를 가지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정렬된 스프링작동부가 작동 수단을 형성하도록 상기 원형체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은 회전 운동을 위해 두 지지패드 사이에서 하우징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9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은 사인곡선형 하중-경로 특성곡선을 가지고, 마찰 클러치의 연결 상태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작동점은 제 1 하중 최대값 후의 감소하는 특성곡선 영역에 형성되며, 다이아프램스프링은 제 1 하중 최대값 및 상기 제 1 하중 최대값 후의 하중 최소값 사이에서 1:0.4 내지 1:0.7의 하중 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카운터압력판에 회전되지 못하도록 연결되나 제한된 범위까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판을 가진 사전조립된 클러치 유닛에 있어서,하우징에 지지된 하나 이상의 다이아프램스프링은 클러치 디스크의 방향으로 압력판을 편향시키고, 상기 클러치 디스크는 압력판 및 카운터 압력판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으며,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 장치가 구성되고, 상기 조정 장치는 다이아프램스프링을 통해 압력판을 편향시키는 일정한 하중을 발생시키며, 클러치 유닛은 연결 및 분리를 위한 작동 수단을 가지고, 다이아프램스프링과 일련으로 장착된 하나 이상의 스프링 수단을 가진 장치를 가지며, 분리 과정 동안 작동 수단의 작동 경로 중 일부 작동 경로에 대하여 상기 스프링 수단은 클러치 디스크에 의해 전달되는 토오크의 점진적 감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유닛.
- 카운터압력판에 회전되지 못하도록 연결되나 제한된 범위까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판을 가진 클러치 유닛에 있어서,하나 이상의 다이아프램스프링은 클러치 디스크의 방향으로 압력판을 편향시키고, 상기 클러치 디스크는 압력판 및 카운터 압력판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으며,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 장치가 구성되고, 상기 조정장치는 다이아프램스프링을 통해 압력판을 편향시키는 일정한 하중을 발생시키며, 마찰 클러치는 연결 및 분리를 위한 작동 수단을 가지고, 분리 과정 동안 작동 수단의 작동 경로 중 일부 작동 경로에 대하여 마찰 클러치 또는 클러치 디스크에 의해 전달되는 토오크의 점진적 감소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가지며, 카운터 압력판은 이중질량체 플라이휠 중 한 질량체의 부품이고, 상기 이중질량체 플라이휠의 질량체는 회전 진동 댐퍼의 작용에 대하여 서로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다른 하나의 질량체는 내연기관의 피동 출력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유닛.
- 제 14 항에 있어서, 연결부에 의해 하우징이 카운터 압력판에 의해 형성된 플라이휠 질량체에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유닛.
-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비틀림 진동 댐퍼가 클러치 디스크의 최외측 마찰 직경의 반경방향 외부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유닛.
- 카운터압력판에 회전되지 못하도록 연결되나 제한된 범위까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판을 가진 마찰 클러치로 구성된 자동차 내연기관용 클러치 유닛에 있어서,하나 이상의 다이아프램스프링은 클러치 디스크의 방향으로 압력판을 편향시키고, 상기 클러치 디스크는 압력판 및 카운터 압력판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으며, 마찰 클러치는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 장치를 가지고,상기 조정 장치는 사용 수명 중 다이아프램스프링을 통해 압력판을 편향시키는 일정한 하중을 발생시키며, 마찰 클러치는 연결 및 분리를 위한 작동 수단을 가지고, 분리 과정 동안 작동 수단의 작동 경로 중 일부 작동 경로에 대하여 마찰 클러치 또는 클러치 디스크에 의해 전달되는 토오크의 점진적 감소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가지며, 마찰 클러치는 축방향으로 탄성적인 탄성부품에 의해 내연기관의 피동축과 연결되고, 출력축에 의해 마찰 클러치에 형성된 축방향 진동 및 비틀림 진동 또는 굽힘 진동이 마찰 클러치와 조정 장치의 기능을 보장하는 정도까지 탄성 부품에 의해 감쇠되도록, 상기 탄성 부품의 강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유닛.
- 제 17 항에 있어서, 클러치의 분리에 소요되는 작동하중이 클러치 유닛의 축방향 이동없이 탄성부품에 의해 지지되도록, 탄성부품의 강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유닛.
-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장치는 스프링 수단을 가지고, 상기 스프링 수단은 다이아프램스프링과 일련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유닛.
- 제 17 항에 있어서, 카운터 압력판은 회전 진동 댐퍼에 의해 내연기관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유닛.
- 기어박스의 작동에 따라 제어되고 기어박스 및 구동 모터 사이에 장착되는 압력판을 가진 마찰 클러치와 자동 또는 반자동 기어 박스로 구성된 자동차용 구동 유닛에 있어서,압력판은 카운터압력판에 회전되지 못하도록 연결되나 제한된 범위까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카운터 압력판은 구동 모터의 출력축과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다이아프램스프링은 클러치 디스크의 방향으로 압력판을 편향시키고, 상기 클러치 디스크는 압력판 및 카운터 압력판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으며,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 장치가 구성되고, 상기 조정 장치는 다이아프램스프링을 통해 압력판을 편향시키는 일정한 하중을 발생시키며, 마찰 클러치는 마찰 클러치의 연결 및 분리를 위한 작동 수단을 가지고, 분리 과정 동안 작동 수단의 작동 경로 중 일부 작동 경로에 대하여 마찰 클러치 또는 클러치 디스크에 의해 전달되는 토오크의 점진적 감소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유닛.
- 제 21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은 분리 경로 중 일부 분리 경로에 대하여 감소하는 하중-경로 특성곡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유닛.
-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작동 수단 또는 입력판의 작동 경로 중 40% 내지 70%에 대하여 마찰 클러치에 의해 전달되는 토오크의 점진적 증가 또는점진적 감소는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유닛.
- 클러치 하우징에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되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판, 예비응력을 가진 상태에서 압력판 및 클러치 하우징 사이에 구성된 다이아프램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은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외측 원주 영역 및 상기 외측 원주 영역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영역에서 클러치 하우징 및 압력판의 보상링에 지지되며, 조정 장치의 삽입으로 접촉이 이루어지고, 상기 조정 장치는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 마모에 상응하게 다이아프램스프링으로부터 압력판의 축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마찰 라이닝을 가진 클러치 디스크의 삽입으로 카운터압력판에 고정된 압력판의 자동 마모 보상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마찰 클러치에 있어서,하나 이상의 분리된 마모센서가 압력판의 원주에 구성되고, 상기 마모센서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구성된 카운터 정지부는 조정 장치의 보상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며, 각 상기 마모센서는 하나 이상의 이동부를 통해 회전축에 평행하게 압력판의 보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이동부 주위에 구성된 소켓에 의하여 마찰에 의해 유지되며, 이동부는 마찰에 의해 보어에서 유지되고, 각 상기 마모센서는 하우징에 구성된 축방향 정지부와 공동작동되며, 상기 정지부는 카운터 압력판의 방향으로 상기 마모센서의 이동을 제한하고, 조정 장치와 공동작동되며, 상기 조정 장치를 통해 자동 조정기능이 수행되고, 마모 발생 후의 분리 과정 중 조정 장치는 상기 마모센서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구성된 카운터정지부 및 압력판 사이에서 조정된 또한 증가된 거리로 연장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클러치 하우징에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되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판, 예비응력을 가진 상태에서 압력판 및 클러치 하우징 사이에 구성된 다이아프램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은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외측 원주 영역 및 상기 외측 원주 영역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영역에서 클러치 하우징 및 압력판의 보상링에 지지되며, 조정 장치의 삽입으로 접촉이 이루어지고, 상기 조정 장치는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 마모에 상응하게 다이아프램스프링으로부터 압력판의 축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마찰 라이닝을 가진 클러치 디스크의 삽입으로 카운터압력판에 고정된 압력판의 자동 마모 보상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마찰 클러치에 있어서,복수개의 분리된 마모센서가 압력판의 원주에 구성되고, 상기 마모센서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구성된 카운터정지부는 조정 장치의 보상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며, 각 상기 마모센서는 회전축에 평행하게 압력판의 보어에 유극없이 장착되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마찰에 의해 제한되고, 각 상기 마모센서는 하우징에 구성된 축방향 정지부와 공동작동되며, 상기 정지부는 카운터압력판의 방향으로 상기 마모센서의 이동을 제한하고, 조정 장치와 공동작동되며, 상기 조정 장치를 통해 자동 조정기능이 수행되고, 마모 발생 후의 분리 과정 중 조정 장치는 상기 마모센서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구성된 카운터정지부 및 압력판 사이에서조정된 또한 증가된 거리로 연장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마찰 클러치에 있어서,상기 마찰 클러치는 클러치 하우징, 압력판, 다이아프램스프링, 조정 장치, 하나 이상의 마모센서, 하나 이상의 정지부 및 하나 이상의 카운터정지부로 구성되고,상기 클러치 하우징은 회전축에 대해 회전가능한 카운터압력판에 고정되며,상기 압력판은 클러치 하우징에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되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압력판은 마찰 라이닝을 통해 카운터압력판의 클러치 디스크를 지지할 수 있으며,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은 예비인장을 가진 상태에서 클러치 하우징의 지지패드 및 압력판에 의해 지지된 보상링 사이에서 지지되고,상기 조정 장치는 다이아프램스프링 및 압력판 사이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지지 경로에 구성되며, 상기 조정 장치는 하나 이상의 웨지를 가지고, 상기 웨지는 마찰 클러치의 분리 및 마찰 라이닝의 마모시 다이아프램스프링으로부터 압력판의 축방향 이동을 발생시키며,상기 마모센서는 압력판에 구성되고, 상기 마모센서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나, 소켓에 의해 압력판에 대하여 이동제한되며,상기 정지부는 카운터압력판을 향해 상기 마모센서의 이동을 제한하고,상기 카운터정지부는 상기 마모센서에 구성되며, 압력판에 대해 웨지의 조정경로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각 마모센서는 압력판의 보어에 대해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카운터정지부는 조정 장치에 직접 형성되고, 압력판은 클러치 분리 방향으로 판스프링에 의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마모센서 및 보어 사이에 마찰 증가 특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정 장치는 2개 이상의 축방향으로 연속으로 구성된 경사부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부는 회전축에 동심으로 구성된 압력판의 스텝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경사부 중 하나는 압력판에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하나는 다이아프램스프링에 지지되며, 상기 두 경사부는 마주하는 영역에 지지되고, 서로에 대해 두 경사부를 인장시키는 코일스프링이 구성되며, 상기 코일스프링은 마모가 발생된 후 공간의 축방향 증가 방향으로 두 경사부를 서로에 대해 회전시키고, 경사부 중 하나는 보상링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30 항에 있어서, 보상링은 금속 시이트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하우징에 회전되지 못하도록 연결되나 제한된 범위까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판을 가진 자동차용 마찰 클러치에 있어서,하우징 및 압력판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이아프램스프링이 구성되고,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은 압력판 및 카운터 압력판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는 클러치 디스크의 방향으로 압력판을 편향시키며,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 장치가 구성되고, 상기 조정 장치는 다이아프램스프링을 통해 압력판을 편향시키는 일정한 하중을 발생시키며, 조정은 분리 과정 중 발생되고, 조정 장치가 다이아프램스프링에 의해 축방향으로 하중제거될 때 마찰 라이닝의 마모로부터 발생되는 조정을 억제하는 수단이 조정 장치에 구성되며, 마찰 클러치는 연결 및 분리를 위한 작동 수단과 작동 수단에 대한 축방향으로 고정된 회전 베어링을 가지고, 분리 과정 동안 작동 수단의 작동 경로 중 일부 작동 경로에 대하여 마찰 클러치 또는 클러치 디스크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토오크의 점진적 감소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32 항에 있어서, 분리 과정 동안 다이아프램스프링에 의해 편향된 압력판의 축방향 변위 경로 중 일부 축방향 변위 경로에 대하여 마찰 클러치에 의해 전달되는 토오크의 점진적 감소를 발생시키는 장치가 마찰 클러치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장치는 카운터 압력판에 대한 하우징의 고정 영역과 작동 수단 또는 다이아프램스프링 사이의 하중전달경로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32 항에 있어서, 장치는 압력판의 마찰면과 작동 수단 또는 다이아프램스프링 사이의 하중전달경로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32 항에 있어서, 장치는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 사이에 축방향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32 항에 있어서, 장치는 클러치 구성부품 사이에 축방향 탄성 가요성이 형성되도록 하고, 클러치가 분리될 때 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이 최소이고 클러치가 연결될 때 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이 최대로 점진적으로 상승되도록 장치가 구성되며, 상기 상승은 연결 경로 중 일부 연결 경로에 대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32 항에 있어서, 작동 수단의 작동 경로 중 40% 내지 70%에 대하여 마찰클러치에 의해 전달되는 토오크의 점진적 증가 또는 점진적 감소는 상기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32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은 마찰 클러치의 분리 경로 중 일부 분리 경로에 대하여 감소하는 하중-경로 곡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32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은 판스프링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은 한 면에서 링형상 회전 베어링에 대해 회전될 수 있으며, 다른 한 면에서 압력판을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40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은 원형체를 가지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정렬된 스프링작동부가 작동 수단을 형성하도록 상기 원형체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40 항 또는 제 41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은 회전 운동을 위해 두 지지패드 사이에서 하우징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40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은 사인곡선형 하중-경로 특성곡선을 가지고, 마찰 클러치의 연결 상태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작동점은 제 1 하중 최대값 후의 감소하는 특성곡선 영역에 형성되며, 다이아프램스프링은 제 1 하중 최대값 및 상기 제 1 하중 최대값 후의 하중 최소값 사이에서 1:0.4 내지 1:0.7의 하중 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하우징에 회전되지 못하도록 연결되나 제한된 범위까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판을 가진 자동차용 마찰 클러치에 있어서,하우징 및 압력판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이아프램스프링이 구성되고,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은 압력판 및 카운터 압력판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는 클러치 디스크의 방향으로 압력판을 편향시키며,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 장치가 구성되고, 상기 조정 장치는 다이아프램스프링을 통해 압력판을 편향시키는 일정한 하중을 발생시키며, 마찰 클러치는 연결 및 분리를 위한 작동 수단을 가지고, 분리 과정 동안 작동 수단의 작동 경로 중 일부 작동 경로에 대하여 마찰 클러치 또는 클러치 디스크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토오크의 점진적 감소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가지며, 조정 장치는 작동 수단에 대한 회전 베어링을 가지고, 상기 회전 베어링은 마찰의 발생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조정 장치는 하나 이상의 링을 포함하고, 상기 링은 마모에 따라 회전가능하며,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복수개의 경사부를 가지며, 상기 경사부는 원형 배열로 구성되고, 축방향으로 경사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44 항에 있어서, 분리 과정 동안 다이아프램스프링에 의해 편향된 압력판의 축방향 변위 경로 중 일부 축방향 변위 경로에 대하여 마찰 클러치에 의해 전달되는 토오크의 점진적 감소를 발생시키는 장치가 마찰 클러치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44 항 또는 제 45 항에 있어서, 장치는 카운터 압력판에 대한 하우징의 고정 영역과 작동 수단 또는 다이아프램스프링 사이의 하중전달경로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45 항에 있어서, 장치는 압력판의 마찰면과 작동 수단 또는 다이아프램스프링 사이의 하중전달경로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44 항에 있어서, 장치는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 사이에 축방향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44 항에 있어서, 장치는 클러치 구성부품 사이에 축방향 탄성 가요성이 형성되도록 하고, 클러치가 분리될 때 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이 최소이고 클러치가 연결될 때 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이 최대로 점진적으로 상승되도록 장치가 구성되며, 상기 상승은 연결 경로 중 일부 연결 경로에 대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44 항에 있어서, 작동 수단의 작동 경로 중 40% 내지 70%에 대하여 마찰 클러치에 의해 전달되는 토오크의 점진적 증가 또는 점진적 감소는 살기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44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은 마찰 클러치의 분리 경로 중 일부 분리 경로에 대하여 감소하는 하중-경로 곡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44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은 판스프링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다이아프램스프링은 한 면에서 링형상 회전 베어링에 대해 회전될 수 있으며, 다른 한 면에서 압력판을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52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은 원형체를 가지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정렬된 스프링작동부가 작동 수단을 형성하도록 상기 원형체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52 항 또는 제 53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은 회전 운동을 위해 두 지지패드 사이에서 하우징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 제 52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은 사인곡선형 하중-경로 특성곡선을가지고, 마찰 클러치의 연결 상태에서 다이아프램스프링의 작동점은 제 1 하중 최대값 후의 감소하는 특성곡선 영역에 형성되며, 다이아프램스프링은 제 1 하중 최대값 및 상기 제 1 하중 최대값 후의 하중 최소값 사이에서 1:0.4 내지 1:0.7의 하중 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 클러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4138806 | 1991-11-26 | ||
DEP4138806.2 | 1991-11-26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63145A Division KR100429653B1 (ko) | 1991-11-26 | 1997-11-26 | 마찰클러치(명칭정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0402A KR930010402A (ko) | 1993-06-22 |
KR100429657B1 true KR100429657B1 (ko) | 2004-08-25 |
Family
ID=64455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22384A KR100429657B1 (ko) | 1991-11-26 | 1992-11-26 | 마찰클러치 |
KR1019920022385A KR100320970B1 (ko) | 1991-11-26 | 1992-11-26 | 마찰클러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22385A KR100320970B1 (ko) | 1991-11-26 | 1992-11-26 | 마찰클러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2) | KR100429657B1 (ko) |
RU (1) | RU2137955C1 (ko) |
ZA (2) | ZA929145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4251A (ko) * | 2016-07-25 | 2019-04-01 |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 특히 차량을 위한 클러치 장치용 조립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87362B1 (ko) * | 1997-11-21 | 2001-05-02 | 박호군 | 이온빔을이용한산화물기판표면의전처리방법및이를이용한질화물박막형성방법 |
KR100809738B1 (ko) * | 2007-03-12 | 2008-03-06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진공청소기 |
KR102073315B1 (ko) * | 2012-03-16 | 2020-02-03 |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 원심력 진자를 구비한 마찰 클러치 |
-
1992
- 1992-11-25 ZA ZA929145A patent/ZA929145B/xx unknown
- 1992-11-25 RU RU92004443A patent/RU2137955C1/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2-11-25 ZA ZA929144A patent/ZA929144B/xx unknown
- 1992-11-26 KR KR1019920022384A patent/KR10042965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2-11-26 KR KR1019920022385A patent/KR10032097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4251A (ko) * | 2016-07-25 | 2019-04-01 |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 특히 차량을 위한 클러치 장치용 조립체 |
KR102470316B1 (ko) | 2016-07-25 | 2022-11-25 |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 특히 차량을 위한 클러치 장치용 조립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0402A (ko) | 1993-06-22 |
ZA929144B (en) | 1994-05-25 |
KR930010401A (ko) | 1993-06-22 |
KR100320970B1 (ko) | 2002-06-24 |
RU2137955C1 (ru) | 1999-09-20 |
ZA929145B (en) | 1994-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29653B1 (ko) | 마찰클러치(명칭정정) | |
KR100326410B1 (ko) | 마찰클러치 | |
JP3715660B2 (ja) | 摩擦クラッチ | |
KR100326408B1 (ko) | 마찰클러치 | |
RU2143618C1 (ru) | Механизм выключения сцепления | |
KR101336369B1 (ko) | 두 개의 클러치 팩을 구비하여 이중으로 작용하는 클러치,그리고 상기 클러치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 |
KR100516755B1 (ko) | 마찰클러치 | |
KR100481200B1 (ko) | 마찰클러치 | |
GB2294301A (en) | Friction clutch | |
KR100429657B1 (ko) | 마찰클러치 | |
GB2337573A (en) | Clutch disc with hub centring spring | |
JP3638422B2 (ja) |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 |
KR20010032819A (ko) | 이중 질량부 감쇠 플라이휠 | |
EP1427947B1 (en) | Clutch driven plate | |
CA2446423C (en) | Friction clutch | |
GB2305474A (en) | A friction clutch | |
GB2175655A (en) | Fricton clutch | |
RU2128792C1 (ru) | Фрикционная муфта, автомобиль с фрикционной муфтой, сцепной агрегат (варианты), сцепной агрегат дл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узел привода | |
GB2304160A (en) | Friction clutch | |
JP2002526731A (ja) | 特に自動車用のデュアル質量部材ダンピングフライホイール | |
US7021448B2 (en) | Clutch disk for a friction clutch | |
JP3519081B6 (ja) | クラッチユニ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321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