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1200B1 - 마찰클러치 - Google Patents
마찰클러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81200B1 KR100481200B1 KR1019970007158A KR19970007158A KR100481200B1 KR 100481200 B1 KR100481200 B1 KR 100481200B1 KR 1019970007158 A KR1019970007158 A KR 1019970007158A KR 19970007158 A KR19970007158 A KR 19970007158A KR 100481200 B1 KR100481200 B1 KR 1004812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utch
- diaphragm spring
- friction clutch
- friction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16D13/757—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the adjusting device being located on or inside the clutch cover, e.g. acting on the diaphragm or on the pressure pl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F16D2013/706—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the axially movable pressure plate is supported by lea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라이닝과 분리함으로써 또는 마찰라이닝에 대하여 지탱함으로써 클러치를 분리하거나 연결하기 위해 프레셔 플레이트를 클러치 커버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마찰클러치에 대한 것이다. 마찰 라이닝상에서 마모는 프레셔 플레이트를 향하여 커버에 대해 기울일 수 있는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위한 시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게 만들어진 조절유닛에 의해 보상된다. 클러치가 분리된 후에 다이어프램 스프링에 의해 가해진 힘의 크기가 좁은 범위내에서 변할 수 있게, 다이어프램 스프링에 의해 지탱되고 또는 커버에 의해 지탱되는 탄성성분이 다이어프랭 스프링에 작용한다. 이 탄성 성분은 조절유닛의 작동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찰클러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마찰라이닝을 가지는 클러치 디스크와 공동 작용하는 마찰클러치를 개선한 것이다. 상기 마찰라이닝은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회전식 프레셔 플레이트와 플라이 휠과 같이 구동되는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어서 연결된 클러치는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를 위한 원동기와 클러치 디스크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상에서 마모를 보상하도록 만들어진 조절유닛이 장착된 마찰클러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 조절유닛들은 독일특허 Nos. 42 39 291, 43 06 505, 42 43 289, 43 42 390 및 43 22 677에 나타나 있다. 마모보상유닛을 가진 또다른 마찰클러치는 US 특허 NO. 5,450,934에 나타나 있다.
위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특성을 가지는 마찰클러치가 연결될 때, 프레셔 플레이트는 상당한 힘을 클러치 디스크의 인접한 마찰라이닝을 내리누른다. 한편, 마찰라이닝에서 프레셔 플레이트를 분리하는데 비교적 작은 힘이 들도록, 클러치의 유효수명동안 비교적 작은 분리력이 거의 변하지 않고 유지되는 마찰클러치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클러치의 유효수명은 클러치 디스크 마찰라이닝의 마모정도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대체로, 마찰클러치의 수명동안 상기 분리력의 크기는 비교적 좁은 오차 범위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분리력의 현저한 변화는 다음과 같은 많은 이유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예를들어, 발로 조작되는 마찰클러치가 장착된 자동차의 사용자는,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라이닝상의 마모정도에 관계없이 클러치 페달을 내리누르는데 일정한 내성을 갖도록 해야한다. 이것은, 자동차 운전자가 필요한 신뢰도 및 예측도로 클러치 페달을 작동할 수 있게 한다.
대체로,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라이닝에 대하여 프레셔 플레이트를 기울게 하기 위한 장치는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포함한다. 마찰클러치가 완전히 연결되었을 때 상당한 힘으로 다이어프램 스프링이 프레셔 플레이트를 기울게 하지만 클러치의 분리시에는 비교적 작거나 거의 일정한 힘이 적용되어도 되도록, 클러치가 분리되는 동안 관련된 구역에서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특성곡선이 현저히 내려오게 다이어프램 스프링은 설치되어야 한다. 또, 클러치 페달에 비교적 작은 힘으로 클러치가 분리되고 마찰 클러치의 조립시에 최종오차를 상쇄할 수 있도록 분리가 이루어졌을 때 프레셔 플레이트가 추가로 축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다이어프램 스프링은 만들어져야 한다. 다이어프램 스프링,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라이닝상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가 장착된 종래기술의 마찰클러치는 위에서 열거된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분리력의 크기에 대하여 위에서 대략 나타낸 요구사항 모두를 만족시키는 공지된 마찰클러치의 결점에 대한 주요 이유중 하나는, 클러치의 실제 분리동안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특성 곡선이 큰 하향 기울기를 나타낼지라도, 이 곡선은 바로 현저한 상향 기울기를 나타내는데 있다. 즉, 클러치 분리력은 분리의 초기 단계동안 비교적 낮지만 다음 단계에서 현저히 커지게 된다. 이것은 위에서 개괄적으로 설명한 특성을 가지는 마찰 클러치가 장착된 파워트레인을 포함한 자동차 소유주의 불만 요소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러치디스크의 마찰라이닝상에서 마모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가 장착된 공지된 마찰클러치보다 분리력의 진행이 좀더 만족스러운 마찰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라이닝에서 프레셔 플레이트를 분리하는 각각의 또 모든 중요단계동안 분리력이 거의 변하지 않게 만들어진 마찰클러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셔 플레이트상에서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기울게하는 새롭고 개선된 장치를 갖춘 마찰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이어프램스프링의 변형도를 제한하기 위한 새롭고 개선된 장치를 포함한 마찰클러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현재 공지된 마찰클러치의 다이어프램 스프링보다 좀더 유용한 새롭고 개선된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갖춘 마찰클러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이어프램 스프링과 프레셔 플레이트를 위한 새롭고 개선된 커버를 가지는 마찰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클러치의 전체 유효 수명동안 마모보상 유닛의 작동이 어떤 다른 성분 부품에 의해 불리하게 영향받지 않는 마찰클러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하고, 경량이며 비용이 적게드는 비교적 작은 수의 성분 부품으로 조립된 마찰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이어프램 스프링, 프레셔 플레이트,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 커버 및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라이닝상에 마모를 보상하기위한 장치가 장착된 마찰클러치를 조작하는 새롭고 개선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특성을 갖춘 마찰클러치를 장착한 파워트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파워트레인이 연소엔진과 같은 원동기와 수동 또는 자동인 변속기 사이에 상기 특성을 갖춘 마찰클러치를 장착한 자동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클러치디스크의 마찰라이닝상에 마모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를 가지는 공지된 마찰클러치를 개선하고, 공지된 마찰클러치에 대해 우수한 대체물로서 자동차에 설치될 수 있는 마찰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클러치의 반복된 연결 및 분리에 의하여 마모가 증가하기 쉬운 마찰라이닝을 가지는 회전식 클러치 디스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한 마찰클러치를 실현하는 것이다. 개선된 클러치는, 기정의 축둘레로 클러치 디스크와 함께 회전할 수 있는 커버, 커버에 의해 지탱되는 시이트, 커버와 클러치디스크 사이에 배치되고 커버와 함께 회전할 수 있는 프레셔 플레이트, 마찰라이닝을 향하여 프레셔 플레이트를 밀어서 클러치와 연결되게 배치된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포함한다. 프레셔 플레이트는 마찰라이닝과 미약한 연결부, 즉 제1단 및 마찰라이닝과 거의 분리된 부분, 즉 제2단을 포함한 거리를 통하여 마찰라이닝에서 분리되어 커버의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 이 클러치는 마찰라이닝상에 마모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이 보상장치는 커버와 다이어프램 스프링사이에서 작동되고 프레셔 플레이트를 향하여 기정의 축방향으로 시이트를 움직이게 배치된다.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기울게 하는 힘의 적용에 응하여 상기 거리를 통하여 프레셔 플레이트를 움직여줌으로써 다이어프램 스프링은 클러치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시이트에 대하여 기울어지는데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기울게하는 힘은, 클러치가 분리된 제2단 동안 프레셔 플레이트에서 분리되어 기정의 축방향으로 다이어프램 스프링에 작용하도록 배치된 탄성 성분의 기울어짐하에서 변할 수 있다. 보상장치는 프레셔 플레이트에서 분리되어 기정의 축방향으로 탄성성분의 기울어짐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클러치 커버는 자동차의 연소엔진과 같은, 원동기로부터 토크를 받아들일 수 있다.
다이어프램 스프링은 클러치 커버에서 분리된 면을 가지고, 시이트는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면과 연결된 부재를 포함한다. 또 클러치는 다이어프램 스프링에 대하여 시이트 부재를 기울게하기 위한 탄성장치를 포함한다. 탄성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데 이 스프링은 시이트의 상기 부재를 기정의 축방향으로, 커버를 향하게 한다. 마찰라이닝 상에 마모는 마찰클러치의 유효수명이 결정되고, 상기 프레셔 플레이트가 상기 제 1 단계의 운동을 완료한 후에 다이아프램 스프링이 형성하는 위치로 상기 다이아프램 스프링을 기울이기 위한 힘이 탄성장치에 의해 상기 유효수명동안 축방향으로 작용한다.
탄성 성분이 마찰클러치의 커버를 향하여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기울게 하도록 탄성성분이 설치될 수 있다.
탄성성분은 다이어프램 스프링 또는 커버에 대하여 지탱되도록 커버나 다이어프램 스프링에 대하여 작용한다.
탄성 성분은 다이어프램 스프링이나 커버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다; 예를들면, 탄성성분은 다이어프램 스프링과 일체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이어프램 스프링은 에너지 저장 환상 주요부로 이루어지는데 그것은 간격을 두고 기정의 축 둘레를 에워싸고, 연장된 텅(tongue)의 형태인 돌기부는 기정의 축을 향하여 주요부로부터 뻗어있다. 탄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클러치는 클러치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시이트에 대하여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기울게하기 위한 분리 베어링 등의 장치를 포함하고,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돌기부들은 탄성성분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 및 다른 추가적인 돌기부를 포함하는데 이 추가된 돌기부는 마찰클러치를 연결하거나 분리하기 위해, 특히 클러치를 분리하기 위해 시이트에 대하여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기울게하는 틸팅장치에 의해 연결된다. 하나의 돌기부는 마찰라이닝으로 부터 제 1 축방향의 거리상에 배치된 부분을 포함하고 추가 돌기부는 마찰클러치의 연결된 상태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마찰라이닝으로부터 제2 축방향의 거리상에 배치된 부분을 포함한다. 마찰클러치의 연결된 상태에서, 돌기부는 추가 돌기부보다 프레셔 플레이트에 좀더 가까이 배치된다.
탄성 성분은 커버를 향한 방향으로만 다이어프램 스프링이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이 선호되고, 보상장치는 프레셔 플레이트를 향한 방향으로만 시이트틀 움직이게 배치될 수 있다.
마찰클러치는 클러치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방향으로, 특히 클러치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기울어짐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이 제한장치는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일부를 위한 스톱부분을 포함한다. 예를들어, 이 제한장치는 커버에 의해 지탱되는 환상부재형태의 스톱부분을 포함하고, 다이어프램 스프링은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기울어짐에 응하여 환상부재와 연결할 수 있는 텅형태의 추가 돌기부같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포함한다. 탄성성분은 미리 정해진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장착될 수 있고, 제한장치는 탄성부품을 위한 환상부재같은 스톱부분을 포함한다. 이 제한장치는 커버에 환상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이 연결장치는 미리정해진 축의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아암을 포함한다. 커버 및 제한장치의 환상부재와 아암이 일체형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환상부재의 원주방향에서 볼 수 있는것처럼,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돌기부는 연결장치의 탄성아암을 대신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것처럼,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돌기부는 탄성성분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시이트에 대하여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기울어짐에 응하여 환상부재에 인접해 있다.
탄성성분은 시이트에 대하여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기울어짐에 따라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커버에 의해 지탱될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 간주되는 새로운 특징들은 청구항에서 특히 잘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많은 다른 중요한 특징과 잇점과 함께, 개선된 마찰클러치와 그것의 구조, 조립방법, 설치 및 조작은 첨부도면을 참고로하여 선호되는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숙독함으로써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과 2에서는, 자동차의 연소엔진과 같은 원동기로부터 토크를 받아들일 수 있고 두 개의 마찰라이닝들(7)을 가지는 동축의 클러치 디스크(8)에 토크를 전달하는 마찰클러치(1)가 나타나있다. 마찰클러치(1)가 연결되었을 때, 마찰클러치(1)의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플라이 휠(6)의 환상 마찰면과 현저하게 접촉한다.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가 자동차에서 연소엔진의 출력요소에 연결될 수 있는 방법이 상기 VS 특허 NO.5,450,934에서 충분히 설명된다.
마찰클러치(1)가 연결되었을 때, 다른 마찰라이닝(7)이 프레셔 플레이트(3)의 인접한 환상마찰면과 현저하게 접촉하는데 이 마찰면은 클러치 커버(2)를 통하여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에서 토크를 받아들이고 마찰클러치(1)와 클러치 디스크(8)의 공통축 X방향으로 움직임을 제한한다. 커버(2)는 판금제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볼트나 다른 방법으로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에 고정된다. 프레셔 플레이트가 플레이트(3,6)의 모든 각운동을 공유할 수 있게, 그러나 클러치 디스크(8)와 커버의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말단 벽(2a)사이에서 X축 방향으로 운동을 제한할 수 있게 프레셔 플레이트(3)를 커버(2)와 연결하기 위해 판 스프링(9)이 제공된다. 선호적으로 다이어프램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클러치 스프링(4)은 커버(2) 상에서 복합 시이트(5)에 기울어져 장착되고 전체 원주상에 걸쳐 방사상으로 바깥쪽 주요부(4a)를 가지는데 마찰클러치(1)가 연결되었을 때 바깥쪽 주요부는 프레셔 플레이트(3) 상에서 돌기부(3a)의 고리, 즉 환상 돌기부에 대하여 지탱된다; 그후에 다이어프램 스프링(4)은 프레셔 플레이트(3)와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가 클러치 디스크(8)의 각각의 라이닝(7)과 마찰에 의해 연결되게 하여서 클러치 디스크의 허브는 토크를 구동되는 부분, 예를들면, 자동차의 파워트레인에서 수동 또는 자동변속기의 입력축으로 전달할 수 있다.
시이트(5)는 프레셔 플레이트(3)의 돌기부(3a)의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주요부분(4a)을 비스듬히 유지하는 환상 구조물인데, 상기 마찰클러치(1)는 푸쉬타입 클러치이므로 프레셔 플레이트(3)를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에서 분리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텅형태인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뻗어있는 돌기부의 자유단부 즉 팁(4c)은 화살표 Ⅱ 방향으로 적절한 베어링 등에 의해 내리눌러져야 한다. 이것은 클러치 디스크(8)의 마찰라이닝(7)에 대하여 플레이트(3,6)를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또 설명된 클러치 디스크(8)는 서로 떨어져 축방향으로 두 개의 마찰 라이닝들(7)을 두게 설치되고 만들어지며 두 마찰라이닝들(7) 사이에 배치된 탄성장치(10)를 포함한다(각각의 마찰라이닝은 단일 와셔부분 또는 한세트의 환상으로 배치된 부분을 포함한다). 탄성장치(10)는, 마찰클러치(1)가 분리되어 있는 동안 프레셔 플레이트(3)가 카운터 프레셔 플레이트(6)에서 떨어져 축방향으로 움직일 때 전달된 토크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프레셔 플레이트(3)가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일 때 클러치 디스크(8)에 의해 전달된 토크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게 한다.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에서 떨어져 한방향으로, 즉 커버(2)의 바닥벽(2a)을 향하여, 프레셔 플레이트(3)가 축방향운동을 끝내기전에, 탄성장치(10)의 기울기가 0으로 감소해서(즉, 두 개의 마찰라이닝(7)은 서로 서로로부터 최대 축방향 거리에서 여러위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카운터 프레셔 플레이트(6)로 부터 최대거리에서, 즉 쑥 들어간 위치로 프레셔 플레이트(3)를 움직이는 마지막 단계는 프레셔 플레이트의 마찰면이 인접한 마찰라이닝(7)과 접촉하지 않는 동안 일어날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이 선호된다.
그러나, 클러치의 연결상태에서 플레이트(3,6)에 의해 연결할 수 있는 마찰라이닝(7)만 적용하고 서로 분리되어 축방향으로 마찰라이닝을 기울게 하기위한 탄성장치(10)를 이용되지 않는 클러치 디스크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런 클러치 디스크에서, 마찰라이닝은 클러치 디스크의 방사상으로 바깥쪽 부분을 형성하는 단단한 캐리어에 다소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주요부분(4a)을 위한 시이트(5)는 다이어프램 스프링측면에 일체형, 즉 복합환상부재(11)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물인데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은 커버(2)의 바닥벽(2a)을 향하는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측면에 복합부재(12) 및 프레셔 플레이트(3)를 향한다. 복합 시이트(5)의 부재(11)는 다이어프램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에너지저장 탄성장치(13)에 의해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인접한 측면에 대하여(즉, 커버(2)의 바닥 벽(2a)을 향하여 축 X방향으로) 기울어진다. 탄성장치(13)의 방사상으로 향한 최외측부(13a)는 커버(2)에 맞서 작용하고, 이 탄성장치는 한세트의 방사상으로 내부로 뻗어있는 부분(13c)을 포함하는데 그것은 방사상으로 향한 최외측부(13a)와 일체형이고 복합시이트(5)의 부재(11)를 구성하기 위해서 축X방향으로(즉, 커버(2)의 바닥벽(2a)을 향하여) 구부려진 단부, 팁을 가진다. 또 탄성장치(13)는 선호적으로 원주 전체에 중심부분(13b)을 포함하는데 이 중심부분은 부재(11)를 구성하는 방사상으로 내부로 뻗어있는 부분(13c) 및 커버(2)의 방사상으로 바깥쪽 부분의 방사상으로 안으로 뻗어있는 부분, 러그(14)에 인접하여 접촉한 방사상 최외측부(13a)를 함께 구성하는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뻗어있는 아암과 일체형이다. 탄성장치(13)는 커버의 러그(14)에 13a에서 맞서 작용하고 도1에 나타낸 것처럼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좌측면에 대하여 지탱한다. 러그(14)는 틀로 찍어내거나 안쪽으로 구부려진 판금재 커버(2)의 일부를 구성한다.
커버(2)에 대하여 다이어프램 스프링(4)을 중심에 두고 스프링(4)이 커버의 모든 각운동을 공유하기 위한 장치는, 바닥벽(2a)의 원주방향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서로 같은 거리로 놓여있는 한세트의 리벳(15)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리벳(15)을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이웃한 방사상으로 안으로 뻗어있는 돌기부분(4b)사이에 슬롯의 방사상으로 최외측부를 통하여 X축과 평행하게 뻗어있고 바닥벽(2a)에 고정된다.
설명된 탄성장치(13)는 센서와 같은 역할을 하는 다이어프램 스프링이고 기선택된 영역, 즉 반드시 5mm이상이 아니라 2mm영역내에서 일정한 힘을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주요부분(4a)의 인접한 면에 가하도록 만들어진다. 즉, 만약 스프링(4)의 주요부분(4a)이 2mm에서 5mm사이의 거리를 통하여 커버(2)의 바닥벽(2a)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면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인접면에 대하여 시이트(5)에 구성된 부재(11)의 기울어짐은 거의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다이어프램 스프링(4)상에서 센서(13)의 바이어스는 미리 응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설치되어서 커버(2)의 바닥벽(2a)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프레셔 플레이트(3)를 움직이는 판 스프링(9)의 바이어스상에 겹쳐진다. 따라서, 다이어프램 스프링(4)은 일부는 판스프링(9)에 의해 가해지고 일부는 탄성장치 또는 센서(13)에 의해 가해진 힘의 영향을 받는다(스프링(9)은 미리 응력받은 상태에서 설치되어서 그것들은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에서 떨어져 축방향으로, 즉 클러치 디스크(8)의 인접한 마찰라이닝(7)에서 분리되어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합성력은, 클러치 디스크(8)의 마찰라이닝과 마찰클러치(1)를 분리하기 위해서 화살표Ⅱ방향으로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부분을 형성하는 돌출부분(4b)의 팁(4c)에 맞서 적용되어야 한다.
상기 복합 시이트(5)의 환상 부재(12)는 커버(2)의 바닥벽(2a)과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주요부분(4a)의 인접한 면 사이에 설치되고 클러치디스크(8)의 마찰라이닝(7)상에 마모를 상쇄하는데 필요한 비율로 보상유닛(16)에 의해 축 X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이동된다. 보상유닛(16)은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를 향하여 복합 시이트(5)의 부재(12) 상에 작용하고, 즉, 이 유닛은 마찰라이닝(7) 상에 마모를 보상하는데 필요한 비율로 마찰라이닝을 향하여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주요부분(4a)을 움직인다; 그러나, 다이어프램 스프링(4), 프레셔 플레이트(3),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 및 마찰라이닝(7)상에 마모를 보상할 수 있게 주요부분(4a)의 축방향 변위량이 정해진다. 보상유닛(16)은 화살표 Ⅱ방향으로, 즉,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를 향하여 축 X방향으로 복합 시이트(5)의 부재(12)에 작용하고 커버(2)의 바닥벽(2a)에 맞서 작용한다.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를 향하여 다이어프램 스프링(4) 주요부분(4a)의 축방향위치가 센서(13)와 판 스프링(9)에 대하여 조절된다. 보상유닛(16)에 의해 수행되는 조절의 목적은, 시이트(5)의 부재(12) 및 커버(2)의 바닥벽(2a) 또는 부재(12)와 다이어프램 스프링(4) 주요부분(4a)의 인접면 사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틈(유극)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이런틈이 없으면 마찰클러치(1)의 작동동안 운동이 상실되지 않으므로 마찰클러치의 더 쉬운 조작용이성, 더 만족스러운 작동 및 더나은 효율성에 기여한다.
도 1, 2에 나타낸 보상유닛(16)은 환상부재(17)로 이루어지는데 환상부재의 한쪽면은 부재(17)의 원주방향으로 뻗어있고 축X방향으로 기울어진 일련의 램프(18)를 갖추고 있다. 램프(18)가 바닥벽(2a)의 내벽에 제공된 보충램프(19)와 마주보게 보상유닛(16)의 부재(17)는 커버(2)에 설치된다. 프레셔 플레이트를 향하여 뻗어있는 부재(17)는 복합 시이트(5)의 부재(12)에 연결된다. 상기 리벳(15)은, 보상유닛(16)의 부재(17)를 중심에 두게 할뿐만 아니라 커버(2)내에서 다이어프램 스프링(4)을 중심에 두게한다. 램프(19)는 틀로 찍어내거나 다른 방법으로 변형시킨 바닥벽(2a)의 부분이다. 보충램프(19)를 만들때에 슬롯(20a)을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선호되는데 이 슬롯은, 보충램프가 실제 사용될대 마찰클러치(1)의 인접 부분의 적절한 냉각이 가능하도록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커버(2)의 바닥벽(2a)과 환상부재(17)상에서 램프(18,19)의 길이와 기울기는 마찰클러치(1) 및 클러치 디스크(8)의 전체유효수명동안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를 향하여 축 X방향으로 수반하는 운동과 함께 부재(17)의 각 변위가 마찰 라이닝(7)상에서 보상하기에 충분하게 선택된다. 축 X와 직각을 이루는 면에 대하여 램프(18)의 기울기는 램프(19)의 기울기와 동일하거나 거의 같고 약 4-12도 사이의 범위내에 있다. 이 기울기는, 마찰클러치(1) 및 클러치 디스크(8)의 유효수명동안 유닛(16)이 마찰라이닝(7)상에서 마모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할뿐만 아니라 두세트의 램프(18,19) 사이에서 자체 고정 작용을 할 수 있게 한다. 즉, 램프의 기울기 선택은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를 향하여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주요부분(4a)과 시이트(5) 부재(12)의 적절하지 못한 변위 가능성을 제거한다. 램프(18,19)의 인접한 표면사이에서 마찰연결량은, 표면가공처리의 적절한 선택/표면 물질 마찰계수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도 2에서 아주 잘 나타난 것처럼, 원주방향으로, 즉 커버(2)의 바닥벽(2a)에서 분리되어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향에서 인접한 램프(19)를 따라 램프(18)가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게 하는 방향으로 보상유닛(16)의 환상부재(17)는 기울어진다. 이 부재(17)를 기울어지게 하기위한 장치는 세 개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있는 코일스프링(20)을 포함하는데 이 코일 스프링은 커버(2)에 맞서 작용하고 부재(17)상에서 지탱된다. 환상부재(17)의 원주방향에서 나타난 것처럼, 이 스프링은 서로서로 등거리로 이격되는 것이 선호되고 축X에 접근하여 또는 곡률의 중심에서 직선축 또는 아치모양의 축을 가진다. 현재 선호되는 스프링(20)의 수는 세 개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네 개 또는 그 이상의 스프링이나 세 개이하의 스프링을 적용할 수도 있다. 설명된 코일 스프링(20)은 커버(2)의 바닥벽(2a)과 일체형으로 구성된 원주방향으로 뻗어있는 러그(21)를 둘러싸고 각 스프링 회선 한쪽 단부는 바닥벽(2a)과 인접해 있고 스프링 회선의 다른 단부는 환상 부재(17)의 아암(23)의 방사상으로 내부단부에서 U형태인(포크모양인)부분(24)과 인접해 있다.
판 스프링(9)과 탄성장치(13)에 의해 제공되고 축 X방향으로 다이어프램 스프링(4)상에 작용하는 합성력은,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를 향하여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주요부분(4a)과 복합 시이트(5)의 부재를 움직이는 방향으로 부재(17)를 회전시키는 코일 스프링(20)의 바이어스뿐만 아니라, 화살표 Ⅱ 방향으로 돌기부(4b)의 팁(4c)에 US특허 NO. 5,450,934의 도 35에 나타난 베어링 등에 의해 적용된 클러치 분리력을 상쇄한다. 마찰클러치(1)가 분리될 때, 즉, 플레이트(3,6)의 마찰라이닝에 의해 마찰라이닝(7)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을 때, 힘은 평형상태에 놓인다. 클러치 분리력의 크기는 상기 분리 베어링 또는 다른 적절한 클러치 분리장치에 의해 다이어프램 스프링이 기울어져 있는 동안 변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분리력은, 도1에 나타난 것처럼 시계방향으로 돌기부분(4b)를 회전시켜서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에서 분리되어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주요부분(4a)의 방사상으로 최외측부를 움직이기 위해서 지름(4d)에서 돌기부분(4b)의 팁(4c)에 적용된다.
클러치 디스크(8)가 새것일 때, 즉 마찰라이닝(7) 상에 마모정도가 거의 무시할 만할 때, 환상부재(17)가 커버(2)의 바닥벽(2a)으로부터 최소 축방향 거리에 배치되게 램프(18) 및 공동작용하는 보충램프(19)가 놓인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도 1과 2의 실시예에서, 마찰클러치(1)는 다이어프램 스프링(4)과 일체형인 탄성성분, 즉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성분을 포함한다. 이 탄성성분은 텅 형태인 다수의 돌기부(26)를 포함하고, 돌기부분(4b)의 팁(4c)으로 부터 축방향으로 떨어져 있고 방사상으로 안쪽 단부에 위치한 팁(26c)이 상기 돌기부(26)에 구성되며,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주요부분(4a)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뻗어있다. 마찰클러치(1)가 연결될 때, 즉 다이어프램 스프링(4)이 프레셔 플레이트(3)를 인접한 마찰라이닝(7)을 향해 밀때, 마찰라이닝들은 마찰면들사이에서 고정되고 플레이트(3,6)의 회전운동을 공유하게 한다(즉, 마찰클러치(1)와 클러치 디스크(8)를 포함한 자동차가 움직일 때, 클러치 디스크(8)의 각 운동을 플레이트(3,6)가 공유하도록 한다). 상기 돌기부분(4b)은 클러치 분리장치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돌기부(26)는 돌기부(4b)과 거의 동일하다. 예를들어, 다이어프램 스프링(4)은 동일거리에 배열되고 6개의 돌기부(26)들로 구성된 탄성성분을 포함하고, 각각의 돌기부(26)는 주요부분(4a)의 원주방향에 대해 돌기부분(4b)들의 쌍과 교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나타낸 번호 27은 축X와 화살표 Ⅱ 방향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돌기부분(4b)의 팁(4c)과 돌기부(26)의 팁(26c)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나타낸다. 이 거리(27)는, 프레셔 플레이트가 인접한 마찰 라이닝과 계속 접촉하는 동안 판 스프링(9)을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에서 분리하여 프레셔 플레이트(3)의 마찰면으로 움직이기 위해서 팁(4c)에 의해 포함된 화살표 Ⅱ 방향으로 팁(4c)의 전체 축방향 운동단계이다.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를 향한 팁(4c)의 축방향 운동은 탄성성분 부분을 형성하는 돌기부(26)의 팁(26c)에 의해 공유된다. 팁(4c, 26c)의 축방향 운동단계(27)가 마무리되었을 때, 팁(26c)은 도1,2의 실시예에서, 커버(2)의 부분을 형성하는 스톱의 환상부재(29)에 의해 연결되어서 팁(4c)의 축방향 운동의 다음 단계(28)는 연결된 팁(26c)에 대하여 일어나고 팁(4c)이 스톱의 환상부재(29)에 의해 연결될 때 종결된다. 부재(29)를 향하여 팁(4c)의 축방향 운동단계(28)가 나타나고 그동안 프레셔 플레이트(3)는 인접한 마찰라이닝(7)에서 분리되지만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에서 떨어져, 즉, 판 스프링(9)의 바이어스하에서 더 움직여질 것이다. 팁(4c)은 스톱의 환상부재(29)와 실제로 접촉할 필요는 없다.(도1의 하반부를 보라. 그것은 부재(29)와 실제 접촉해 있는 돌기부들(26)중 하나의 팁(26c)과 부재(29)에서 약간 이격된 인접한 돌기부분(4b)의 팁(4c)을 나타낸다.).
마찰클러치(1)가 분리되었을 때, 팁(26c)은, 축X와 직각을 이루고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에서 분리되어 제 1 축 방향의 거리에 배치된 제 1 평면에 배치되고, 그후에 팁(4c)은, 축 X와 직각을 이루고 팁(26c)이 배치된 제 1 평면보다 플레이트(6)에서 조금 더 떨어진 축 방향의 거리에 놓인 제 2 평면에 배치된다.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원뿔부는 마찰클러치(1)가 분리되어 있는 동안 변하는데 왜냐하면 주요부분(4a)은 복합 시이트(5)의 부재들(11,12) 사이에서 기울어져 있다.
6개의 돌기부들(26)을 포함한 탄성 성분의 전체 변형은 12개의 돌기부분(4b)을 포함한 클러치 분리장치의 전체 변형보다 적게 변형되므로, 돌기부(26)는 돌기부분(4b)의 변형정도보다 현저하게 많이 변형되고 그때 팁(26c)은 스톱의 환상부재(29)와 접촉하지만 팁(4c)은 화살표 Ⅱ 방향으로 계속 움직인다. 도 1 의 하반부에 나타낸 축방향의 위치에 팁(26c,4c)이 놓일 때 마찰클러치(1)는 완전히 분리된다.
돌기부(26)를 포함한 탄성성분의 목적은, 마찰라이닝(7)과 프레셔 플레이트(3)가 완전히 분리되었을 때, 즉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를 향하여 팁(4c)의 모든 축방향운동 단계(27)가 종결되었을 때 도 1의 하반부에서 나타낸 확장된 위치로 분리력의 크기가 계속 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일단 팁(26c)이 부재(29)와 접촉하면, 돌기부(26)들은 복합 시이트(5)의 부재(11,12) 사이에서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추가적 기울어짐에 따라 변형되어서 돌기부(26)는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추가적 기울어짐, 즉, 인접한 마찰 라이닝(7)과 실제 접촉부에서 떨어져 프레셔 플레이트(3)를 움직이는데 큰 내성을 부여한다. 돌기부(26)는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부분(4a + 4b + 4c)들에 화살표 Ⅱ로 나타낸 방향에 반대로 작용하는 힘을 가한다. 즉, 돌기부(26)의 증가한 기울어짐은 커버(2)의 바닥벽(2a)을 향하여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부분을 민다. 그후에 돌기부(26)는 탄성센서(13) 및 판 스프링(9)과 함께 작용한다.
마찰 라이닝(7) 상에 마모를 보상하는 것은 화살표 Ⅱ로 나타낸 방향에서 시이트(5)의 축방향 운동을 포함하고, 탄성성분의 점진적인 응력을 받는 돌기부(26)는 화살표 Ⅱ로 나타낸 방향의 반대방향에서 다이어프램 스프링(4)에 작용하기 때문에, 마찰라이닝(7)상에 마모를 보상하는 보상유닛(16)의 작동은 돌기부(26)를 포함한 탄성 성분에 의해 거의 영향받지 않는다.
스톱의 환상부재(29)는, 마찰클러치(1)가 분리되어있는 동안 팁(4c, 26c)의 지나친 운동을 막는 장치로서 기능을 한다. 이 환상부재는 서로서로 인접한, 즉 독립 돌기부(26)에 의해 서로 떨어져 있지 않은 돌기부분(4b)을 대신하는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아암(30)과 일체형이다; 바닥벽(2a)과 부재(29)가 축 X와 직각이고 두 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아암(30)은 바닥벽(2a)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보통 축 X의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마찰클러치(1)가 분리되어있는 동안 화살표 Ⅱ 방향으로 베어링등으로 연결된 팁(4c) 부분에 의해 형성된 원의 지름(4d)과 같게 환상부재(29)의 중심 지름이 선택된다. 축 X방향에서 볼수 있는 것처럼 다이어프램 스프링(4)과 프레셔 플레이트(3) 사이에 환상부재(29) 평면이 배치된다.
돌기부를 포함한 탄성성분이 요구되는 거리와 힘 관계를 나타내도록 예를들면, 마찰클러치(1)의 최적 조작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도록 돌기부(26)의 크기, 구성, 개수가 선택된다.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주요부분(4a)의 원주 방향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적어도 두개의 등거리 돌기부(26)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돌기부(26)의 개수는 받아들일 수 있는 최소의 개수, 두개를 초과할 수 있다.
또, 팁(4c, 26c)을 위한 스톱의 환상부재를 커버(2)의 바닥벽(2a)과 연결하는 아암(30)의 수는 광범위하게 바꿀 수 있다. 가령, 도 2에 나타나있고 6개의 등거리로 놓인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아암(30)을 적용한 연결부는, 단지 3개로 이루어진 등거리 아암을 포함한 연결부 또는 전체 9개로 이루어진 등거리 아암을 포함한 연결부로 대체할 수 있다. 아암(30)의 수는 필요한 분리력의 크기 및 돌기부의 탄성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번호 31은 바닥벽(2a)의 주요돌기부와 환상부재(29) 사이에 뻗어있는 오우프닝을 나타낸다; 이 오우프닝은 아암(30)에 의해 서로서로 분리되어있고 각각은 하나의 돌기부(26) 및 한쌍의 돌기부분(4b)들의 통로를 위한 공간을 가진다. 각각의 돌기부(26)는 각각의 짝을 이룬 돌기부분(4b)과 접해져 있다. 돌기부분들의 인접한 두 쌍들의 이웃한 돌기부분(4b)들사이에서 슬롯은 각각의 아암(30)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만큼 충분히 넓다.
마찰클러치(1)를 조립하는 동안 분리된 돌기부(26)와 각각의 쌍을 이룬 돌기부분(4b)을 오우프닝(31)으로 끼운다. 이것 때문에, 스프링에 응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내부지름은 환상부재(29)의 최대 지름보다 더 크다. 이것은, 커버(2)의 축방향으로 돌기부들을 움직임으로써 6개 그룹의 돌기부(26)들이 각각의 오우프닝(31)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볼트등으로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에 커버를 부착하는 동안 다이어프램 스프링(4)에 응력이 가해져서 응력이 가해진 스프링(4)의 내부 지름은 감소되고 환상부재(29)는 팁(4c, 26c)의 축방향운동 경로상에 배치된다. 클러치 집합체 유효수명의 각각의 또 모든 기간동안 마찰클러치(1)가 작동하게, 즉, 프레셔 플레이트(3)가 인접한 마찰 라이닝(7)에서 완전히 분리되게 원래 상태의 마찰클러치 집합체 1 + 8이 분리되어 있는 동안, 즉 마찰 라이닝(7) 상에 마모가 거의 0에 가까울 때 돌기부분(4b)의 팁(4c)이 포함할 수 있는 최대 허용거리(27 + 28)가 선택되어야 한다. 사실상, 마찰 라이닝상에 마모가 최대 허용치에 도달했을 때 클러치 커버(2)의 바닥벽(2a)을 향하여 인접한 마찰 라이닝(7)에서 사실상 분리된 위치너머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프레셔 플레이트(3)가 가지도록 클러치 집합체 1 + 8을 만드는 것이 선호된다. 따라서, 원 상태의 클러치 집합체에서 거리 27 + 28을 통하여 복합 시이트(5)의 축방향 위치가 프레셔 플레이트(3)의 완전한 운동을 할 수 있게 클러치 집합체 1+8, 보상유닛(16), 다이어프램 스프링(4) 및 센서(13)를 포함한 마모 보상 어셈블리가 만들어지고, 조립되고 조절된다.
하기에서는 팁(26c, 4c)을 위한 커버(2)의 스톱(29 + 30)의 환상부재에 대하여 돌기부분(4b)의 팁(4c)에 의해 포함될 수 있는 거리의 특정한 예가 도시된다. 프레셔 플레이트(3)에 의해 포함된 규정된 거리는 8.4㎜에서 9㎜ 사이이다. 한편, 복합 시이트가 13㎜를 초과하는 거리를 움직일 때 복합 시이트(5)가 부적절한 위치에 놓이게 클러치 집합체 1+8이 조립된다(마모되기 쉬운 모든 부분은 원상태대로 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과 같은 클러치 분리장치의 부적절한 조작때에도, 돌기부분(4b)의 팁(4c)이 약 11.5㎜인 거리 27+28을 포함할 수 있게 환상부재(29)의 위치 및 디자인이 정해진다(마찰 라이닝(7)등에서 마모는 거의 무시할 수 있다. ). 일단 팁(4c)이 환상부재(29)와 연결된다면, 커버(2)의 탄성은 약 0.5㎜ 범위에서 환상부재(29)와 함께 팁(4c)의 추가적 운동을 가능케 한다; 베어링 등에 의해 다소 계획보다 큰 분리력의 적용에 의해 상기 운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돌기부분(4b)의 팁(4c)은 11.5㎜ + 0.5㎜ = 12㎜의 최대거리(27+28)를 포함한다.
마찰라이닝상에 마모가 최대허용치에 도달했을 때 마찰라이닝(7)상에 최대 허용마모는 2.5㎜의 범위내에 있고, 즉 돌기부분(4b)의 팁(4c)은 약 9㎜의 거리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마찰라이닝(7)상에 최대 허용마모를 보상하는 2.5㎜의 거리를 통하여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를 향하여 커버(2)의 바닥벽(2a)에 대하여 복합 시이트(5)가 움직이면, 결합된 운동 27 + 28은 약 9㎜로 줄게된다. 마찰 라이닝상에 마모의 최대허용 단계에서 조차, 거리는 8.4㎜에서 9㎜의 범위내에서 유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실상, 부가적 마모를 위한 공간, 즉 0.6㎜정도의 공간이 있다.
또 마찰클러치(1)는, 클러치 회전 속도의 전 범위의 어떤 단계동안 다이어프램 스프링(4)상에서 축방향의 유지력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장치(22)를 갖추고 있다. 이 유지력은, 하나이상의 RPM영역내에서 마찰클러치(1)를 방해하는 어떤 요소에서조차, 마찰라이닝(7)상에 마모이외의 이유로 인한 탄성장치(13)의 이일딩 때문에 보상유닛(16)에 의해 어떤 불필요한 조절들은 수행되지 않을 것이다. 즉, 장치(22)는 바람직하지 못한 탄성장치(13)의 축방향의 이일딩 즉, 마찰라이닝상에서 마모에 의해 유도된 것과 다른 이일딩을 상쇄하도록 만들어진다.
장치(22)는 원심력에 의해 작동되고, 설명된 장치(22)는 탄성장치(13)의 방사상 최외측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텅을 포함한다. 이런 텅은 부품(13a)과 일체형으로 만들어지고 축 X와 평행하게 커버(2)의 바닥벽(2a)을 향하여 뻗어있다. 설명된 탄성장치(13)는 다이어프램 스프링이기 때문에, 장치(22)의 텅위에 원심력을 가하면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원뿔을 변화시키고 이것은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인접면상에서 부재(11)가 더 많이 기울어지게 한다. 다이어프램 스프링(4)상에서 탄성장치(13)를 기울게 하는 원심력의 작용범위는 커버(2)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즉 장치(22)의 텅을 둘러싸고 있는 커버 부분은 텅을 위한 스톱으로서 작용해서 증가한 원심력의 작용하에서 탄성장치(13)가 기울어지게 한다. 장치(22) 상에서 원심력의 작용하에 발생한 힘은 탄성장치(13)의 초기응력에 따른 힘에 부가된다.
마찰클러치(1)가 분리되어 있는동안,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에서 분리되어, 즉 판 스프링(9)의 바이어스하에서 움직이는 프레셔플레이트의 마찰면이 인접한 마찰라이닝(7)과 분리될 때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돌기부(26)의 팁(26c)이 부재(29)에 닿을 수 있게 커버(2)의 스톱 환상부재(29)와 팁(26c) 사이에 거리가 선택된다. 달리말하면, 마찰클러치(1)가 분리되었을 때, 즉 마찰라이닝(7)이 플레이트(3,6)의 마찰면 사이에서 더 이상 고정되지 않을 때, 플레이트(3,6)가 토크를 클러치 디스크(8)에 더 이상 전달하지 않을 때, 팁(26c)은 부재(29)와 실제 접촉하게 움직여진다. 이때에, 탄성장치(10)는 서로서로 분리하여 두 개의 마찰라이닝의 추가적 축방향 운동을 일으키기 위해서 에너지를 저장하지 않는다.
플레이트(3,6)의 마찰면이 인접한 마찰 라이닝(7)과 분리된 후에 바로 팁(26 c)에 의해 연결되게 환상부재(29)의 축방향 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선호된다.
마찰클러치(1)가 분리되고 베어링이 부재(29)를 향하여 팁(4c)을 계속 내리누르면, 돌기부(26)를 포함한 탄성성분은, 클러치 분리력의 거리-힘 특성이 최적의 값을 따르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팁(26c)에 의해 연결될 때, 즉 플레이트(3,6)가 클러치 디스크(8)에 대하여 회전하기 자유로울 때, 돌기부(26)의 경사, 고정, 크기, 구성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부재(29)를 향하여 팁(4c)의 운동단계동안 클러치분리력의 진행을 "선형화"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선형화" 라는 용어는, 부재(29)를 향한 팁(4c)의 각각의 운동단계동안 클러치 분리력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나타낸다; 분리력의 크기는 기정의 수용범위(비교적 좁은 범위)내에서 유지되고 변하지 않는다.
도 3의 좌표계에서 나타낸 곡선은 명료성과 단순함을 위한 다소 이상화된 형태이고, 마찰클러치(1)와 클러치 디스크(8)를 포함한 집합체의 작용 및 기능을 나타낸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될 것이다.
곡선(33)은,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에 대한 프레셔 플레이트(3)의 운동에 기인한 판 스프링(9)의 기울기변화 및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변형동안 축방향의 합성력을 나타낸다.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변형은, 복합시이트(5)와 프레셔 플레이트의 돌기부(3a)사이의 방사상 거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두 인접부 사이에서 축방향의 상대 운동량은 가로좌표를 따라 ㎜단위로 나타내고, 다이어프램 스프링(4)과 판 스프링(9)에 의해 유도된 하중(kN)을 세로좌표상에 나타낸다.
곡선(33)상의 점(34)은 마찰클러치(1)가 연결되었을 때,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기울기, 즉, 프레셔 플레이트(3)상에서 스프링(4)의 최대기울기를 나타낸다. 점(34)은 스프링(4)의 초기기울기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즉 스프링의 초기 원뿔형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곡선(33)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곡선(35)은, 마찰클러치(1)가 분리된 초기단계동안, 서로서로 분리되어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탄성장치(10)가 마찰라이닝에 가한 가변성 힘의 발달, 즉 마찰라이닝(7)상에서 탄성장치(10)의 기울기변화를 나타낸다. 또, 곡선(35)은 탄성장치(10)의 바이어스와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는 다른 바이어스를 나타낸다; 이 추가된 바이어스는 커버(2)의 탄성, 복합 시이트(5)의 탄성, 시이트(5)의 하나 이상의 탄성 성분의 탄성을 나타낸다.
각각의 마찰라이닝(7)을 통하여 프레셔 플레이트(3) 상에서 탄성장치(10)의 축방향 바이어스는 프레셔 플레이트상에서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바이어스에 반대로 작용한다. 그것은 마찰클러치(1)와 연결된 상태에서 프레셔 플레이트(3) 상에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바이어스와 조화를 이룰 수 있게 탄성장치(10)의 축방향으로 최대 압축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축방향 힘을 선택하는데 유리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마찰클러치(1)가 분리되어있는 동안 탄성장치(10)는 에너지를 분산시키고 그동안 프레셔 플레이트(3)는 거리(36)를 포함한다. 즉, 거리(36)는 탄성장치(10)의 바이어스하에서 서로서로 떨어져 움직이는 두 개의 마찰라이닝(7)의 최대운동량을 나타낸다. 즉, 탄성장치(10)와 판 스프링(9)이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로 부터 멀리 프레셔 플레이트(3)를 움직일 수 있다는 점에서 다이어프램 스프링(4)을 기울게 할 때 탄성장치는 돌기부분(4b)의 팁(4c)위에 작용하는 힘을 보조하므로 탄성장치(10)는 마찰클러치(1)의 분리를 돕는다. 따라서, 화살표 Ⅱ방향으로 돌기부분(4b)의 팁(4c)위에 작용하는 비교적 작은 분리력으로도 마찰클러치(1)를 충분히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요구되는 최대 분리력은 탄성장치(10)의 부재시에 필요한 것보다 작다(클러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경사는 곡선(33)상에 점(34)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분리력이 곡선(33)상에 점(37)으로 나타낸 부분에 도달하거나 초과할 때, 프레셔 플레이트(3)는 마찰라이닝(2)에서 분리되고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특성곡선의 대응하는 부분의 하향특성 때문에, 마찰클러치(1)의 분리된 다음 단계동안 적용되어야 하는 힘은 곡선(33)상에 점(34)으로 나타낸 힘보다 더 작다. 돌기부(26)를 포함한 탄성 성분의 부재시에, 분리력은 도3에서 곡선(33)상에 점(38)으로 나타낸 값으로 계속 감소된다. 마찰클러치(1)의 분리방향으로 고려하면 곡선(33)은 점(38)을 초과해 위쪽으로 경사지게 된다.
실선으로 나타낸 곡선(39)은 클러치 분리력의 진행을 나타내는데 이 분리력은 돌기부(26)를 포함한 탄성성분의 부재시에 돌기부분(4b)의 팁(4c)에 적용되어야 한다. 팁(4c)에서 다이어프램 스프링(3)의 실제 축방향운동은, 돌기부분(4b)의 탄성 및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레버암의 작용정도에 따라 프레셔 플레이트(3)의 돌기부(3a)의 실제 축방향 운동보다 더 크게된다. 이 레버암은 4d와 11사이의 방사상거리에 대한 3a와 11 사이의 방사상 거리 비율로 결정된다. 많은 예시에서, 이 비율은 3:1 과 5:1 사이이다. 즉, 11에서 4d까지의 거리는 11에서 3a까지의 거리보다 몇배 더 길다. 4d에서 분리력은 곡선(33)에 나타낸 값과 비교해 정해진 비율에 따라 감소된다.
도 3에서 번호 40은, 만일 분리력이 곡선(33)으로 나타낸 것이라면 인접한 마찰라이닝(7)과 실제 접촉부로부터 분리된 방향으로 프레셔 플레이트에 의해 포함되어야 하는 거리를 나타낸다. 거리(40)를 통과하는 운동은, 분리력이 곡선(33)상에 값(42)에 도달했을 때 종결된다. 대체로, 42에서 분리력의 크기가 곡선(33)상에 점(37)으로 나타낸 것보다 작게 되도록 거리(40,41)는 선택된다. 이것은, 만약 돌기부(26) 또는 동일 탄성성분을 포함한 탄성성분이 마찰클러치에 장착되지 않는다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거리(41)를 통과하는 운동의 종결시에 그런 분리력의 선택은 보상 유닛(16)에 의해 모든 부적절한 조절, 즉 마찰 라이닝(7) 상에서 존재치 않는 마모에 대한 "보상" 을 막는다.
돌기부(26)를 포함한 탄성성분 때문에, 거리(41=36+40)를 완전히 포함할 때, 즉 분리가 완전히 이루어졌을 때 가해지는 분리력의 크기는 곡선(33)상에 점(37)으로 나타낸 힘의 크기를 초과할 수 있다. 이것은, 돌기부(26)를 포함한 탄성성분이, 평행하게 작용하여 탄성성분(13)의 기울어짐을 돕는 축방향의 힘을 다이어프램 스프링(4)상에 직간접적으로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선곡선(39)으로 나타낸 분리력의 발달, 즉 지름(4d)에서 팁(4c)상에 가해지는 힘의 진행으로 알 수 있는 것처럼, 프레셔 플레이트(3)가 인접한 마찰 라이닝(7)과 접촉하지 않을 때, 즉 프레셔 플레이트의 두 개의 가장끝 위치 사이에서 전체거리(41)의 단계(36)가 종결될 때, 상기 힘의 현저한 크기 변화가 나타난다. 돌기부(26) 부재시에, 분리력은 43에 나타낸 최대값으로 증가하거나 실선 곡선(39)상에서 44로 나타낸 최소값으로 감소한다. 43과 44 사이에서 이런 상당한 차이는 바람직하지 못한데 왜냐하면 인접한 마찰 라이닝(7)과 실제 접촉하는 부분에서 분리되어 프레셔 플레이트(3)의 운동(거리40) 동안 팁(4c)상에서 클러치 분리력 및 연결력의 크기를 조절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마찰클러치가 풋페달 또는 서보같은 적절한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지에 관계없이 이런 문제점들은 존재한다.
영역(40)내에서 분리력 크기의 현저한 변화는 점37, 38 및 42를 포함하는 곡선(33)의 부분을 관찰함으로써 확실히 알 수 있다. 인접한 마찰 라이닝(7)에서 떨어져 프레셔 플레이트(3)의 운동(40) 동안 돌기부(26)를 포함한 탄성성분의 존재는 상당한 개선을 이끈다; 팁(26c)이 환상 부재(29)와 접할 때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를 향하여 팁(4c)의 연속 전진에 따라 돌기부(26)를 구부리는 동안 탄성 성분 기울기 변화는 도3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특성 곡선(45)에 나타난다. 도 1 에서 거리 27/28의 선택에 따라, 도 3의 40에 해당하는 거리 28을 통과하는 팁(4c)의 운동동안 또는 거리(28)를 통과하는 팁(4c)운동중 일부에서만, 즉 프레셔 플레이트(3)가 인접한 마찰 라이닝(7)과 실제 접촉의 종결에 이어 커버(2)의 바닥벽(2a)을 향한 방향을 포함하는 거리를 통과하게 움직이는 동안 돌기부(26)는 효과적이다(즉, 돌기부들은 나머지 다이어프램 스프링(4)을 기울인다).
곡선(33)상에 나타낸 분리력의 크기가 점(37)으로 나타낸 힘과 차이가 생길 때 돌기부(26)가 순간적으로 작동되게 탄성성분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선(33)상에서 점(37)은 곡선(39)상에서 점(46)에 해당한다. 돌기부(26)가 있을 때, 지름 4d에서 팁(4c)에 곡선(33,45)으로 나타낸 것을 포함하는 합성력(47)이 가해진다. 곡선(47)은 곡선(39)의 점(48)에서 출발한다; 점(48)은 팁(4c, 26c)을 위한 스톱의 환상부재(29)와 접촉하는 팁(26c)을 나타낸다. 돌기부(26)는, 인접한 마찰라이닝(7)에서 프레셔 플레이트(3)의 분리에 이어, 카운터 프레셔 플레이트(6)에서 분리되게 프레셔 플레이트(3)를 계속 움직이는데 필요한 힘이 돌기부(26)의 부재시보다 더 커지게 한다. 또, 돌기부(26)는 프레셔 플레이트(3)를 인접한 마찰라이닝(7)에서 분리되게 움직이는데 필요한 분리력의 진행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이것은 곡선(47)에 의해 나타낸 힘의 크기를 관찰함으로써 알 수 있다.
모두 6개의 돌기부(26)들에 구성된 팁(26c)들이 동시에 환상부재(29)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복합 시이트(5)에 대하여 스프링(4)을 기울게 하는 다른 단계동안 팁(26c)이 부재(29)와 연결될 수 있도록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돌기부분(4b)과 주요부분(4a)에 대하여 돌기부(26)의 초기 응력이 가해지지 않은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동시에 환상부재(29)를 연결하게 하는 돌기부(26) 그룹의 수와 돌기부(26)의 전체수에 따라, 넓은 범위내에서 탄성성분의 기울어짐을 조정할 수 있다(돌기부 그룹의 수는 1에서 n사이에서 바뀔수 있고 여기에서 n은 돌기부(26)의 전체수이다.)
개선된 마찰클러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3에서 나타낸 직선(45)에서 벗어난 특성 곡선을 가지게 만들어진 탄성성분이 적용된다(이 탄성성분은 돌기부(26) 및 동일한 바이어스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탄성성분의 기울기는 상향 혹은 하향 특성을 보여준다.
다이어프램 스프링(4), 탄성장치(13), 판 스프링(9) 및 코일 스프링(20)의 추가 매개변수뿐만 아니라 보상 유닛(16)의 정확한 조작방법에 관한한, US 특허NO. 5,450,934와 독일특허 NO. 44 18 026을 참고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독일 특허 NO. 44 18 026의 도 84, 85, 86,89의 특성곡선은 개개의 스프링, 탄성요소와 본 발명의 마찰클러치(1)에서 16에 이용될 수 있는 마모보상 유닛의 탄성성분 사이의 관계를 충분히 나타낸다.
도 1 의 하반부에서, 마찰라이닝(7)상에 증가한 마모에 대하여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를 향해 다이어프램 스프링(4)이 이동될 수 있다. 즉, 마찰클러치(1)와 클러치 디스크(8)를 포함한 집합체의 유효수명동안, 돌기부(26)의 변형량은 마찰라이닝(7)상에 증가한 마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클러치 집합체 1+8의 유효수명동안 환상부재(29)의 인접면과 팁(26c)상에서 마모가 발생한다는 사실 때문에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이동은 다소 지연된다. 또, 돌기부(26)의 변형량은 하향하는 거리-힘의 관계 특성을 가지는 탄성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부분적으로 보상된다.
탄성장치(13)의 기울기와 분리력 사이의 비율은 0.8 에서 1.1 사이 또는 0.9에서 1 사이의 영역내에 있다.
돌기부(26)를 포함하는 탄성성분이 다이어프램 스프링(4)과 일체형으로 구성되어서 단순하고, 소형이며, 조립이 간편하고 저비용인 마찰클러치(1)가 제공된다. 돌기부분(4b)에 대하여 전체돌기부(2b)를 반드시 이동시킬 필요는 없다. 즉, 돌기부분(4b)의 팁(4c)에 대하여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축방향으로 돌기부(26)의 팁(26c)만 이동시켜도 충분하다.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를 향하여 팁(4c)에 대하여 팁(26c)을 축방향으로 옮기는 특징은 소위 푸쉬-타입 마찰클러치에서는 아주 중요하다(도 1, 2의 마찰클러치(1)는 푸쉬-타입 클러치이다). 여기에서 다이어프램 스프링(4)은, 5에서 기울어질 수 있고 5와 3a사이에서 더 짧은 아암을 가지고 5와 4d사이에서 더 긴 아암을 가지는 두 개의 아암을 가지는 레버와 다르지 않게 작용한다. 거리(40 또는 41)가 초과할 때 또는 마찰클러치(7)가 최대허용 마모량에 도달할 때 환상부재(29)는 팁(4c)에 의해 연결된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환상부재(29)는 팁(c)과 팁(26c)을 위한 스톱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집합체 1+8의 중요한 장점은, 마찰클러치(1)를 작동(연결 또는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의 진행에 영향을 주는, 돌기부(26)를 포함한 탄성 성분이 마찰라이닝상에 마모를 보상하기 위해서 다이어프램 스프링(4)을 조정하는데 영향을 주는 (화살표 Ⅱ방향으로) 힘을 보상유닛(16)에 가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보상유닛(16)의 적절한 조작과 디자인에 유리한 돌기부(26)를 포함한 탄성성분에 의해 다이어프램 스프링(4)상에 가해진 힘을 탄성장치(13)가 상쇄하지 않아도 되게 한다.
도 4 는 도 1에서 나타낸 형태의 클러치 디스크와 함께 작동되는 개선된 마찰클러치(101)의 일부를 나타내었다. 마찰클러치1과 101의 중요한 차이점은, 마찰클러치 101은 다이어프램 스프링(104)과 일체형으로 만들어지지 않은 탄성성분(126)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상기 탄성성분(126)은 적절하게 리벳(127)에 의해 다이어프램 스프링(104)에 고정된 독립부분이다. 탄성성분(126)은 판스프링의 형태로 환상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일련의 돌기부로 이루어진다. 즉 그것은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돌기부(26)에 해당하는 텅(126a)형태로 방사상으로 내부로 뻗어있는 여러개의 탄성 돌기부를 가진 일체형의 환상부분이다. 또 환상부재(129)를 포함한 스톱의 아암(130)을 위해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슬롯을 가지고 와셔 형태의 몸체인 막과 같은 탄성성분을 적용할 수 있다. 아암(130)은 커버(102)의 바닥벽(102a) 및 부재(129)와 일체형이다.
도 4 는 부분적으로 변형된(기울어진) 상태에서, 즉 성분(126)의 탄성돌기부가 작동하기 시작하는 상태에서 다이어프램 스프링(104)을 나타낸다. 한편, 프레셔 플레이트(103)는 마찰클러치와 완전히 연결된 상태에 해당하는 축방향의 위치에 나타나 있다. 따라서, 다이어프램 스프링(104)의 원주상에 놓인 와셔형태의 주요부분(104a)의 방사상 방향에서 바깥부분(104b)과 프레셔 플레이트(103)의 돌기부(103b)사이에 틈, 즉 유극이 있다.
도 5는 마찰클러치(201)를 나타내는데 여기에서 탄성성분(226)은 주요부분(226a)에서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뻗어있는 텅형태의 돌기부(226b)와 원주상에 주요부분 또는 몸체(226a)로 이루어진다. 다이어프램 스프링(204)이 클러치(201)를 분리하는 분리력에 의해 기울어질 때,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돌기부(204b)는 돌기부(226b)와 연결되어서 탄성성분(226)은 베어링 등에 의해 돌기부(204b)의 축방향 변위에 따라 에너지를 저장한다. 탄성성분(226)의 방사상으로 바깥쪽 부분은 도5에서만 나타낸 리벳(215)에 장착된다. 일단 돌기부(226b)일부가 각각의 돌기부(204b)에 의해 연결되고 분리력은 완전히 분리된 마찰클러치(201)를 향하여 다이어프램 스프링(2040을 계속 기울게 한다면, 연결된 돌기부(226b)는 주요부분(226a)에 대해 회전하여서 탄성성분(226)은 다이어프램 스프링(204)과 평행하게 작동하여 클러치(201)를 분리하기 시작한다.
클러치 커버(202)의 후벽과 환상부재(229)와 일체형인 아암(230)을 위한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슬롯뿐만 아니라, 원주상에서 방사상으로 향한 바깥쪽 부분과 방사상으로 향한 안쪽 부분을 가진 막으로 상기 탄성성분(226)을 대체할 수 있다.
도 5 는, 클러치(201)가 완전히 연결된 위치(A) 및 새로운 즉 전혀 마모되지 않은 클러치(201)가 거의 완전히 분리된 위치(B)를 포함해 두 개의 다른 위치에서 다이어프램 스프링(204)을 나타낸다. 돌기부(226b)의 팁(226c)과 스톱(229+230)의 환상부재(229) 사이의 틈(228a)은 클러치(201)의 유효수명동안 마찰 라이닝상에 마모를, 보상하는데 필요하다. 즉,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상에 최대허용마모를 보상하기 위해서 프레셔 플레이트(203)를 향하여 다이어프램 스프링(204)의 축방향 변위량을 상쇄하는데 필요하다. 이것은 마찰클러치(201)의 전체 유효수명동안 일정한(최적) 작동점을 만들고 유지하게 한다.
다이어프램 스프링(204)에 의해 유지되거나 일체형으로 만드는 대신에, 마찰클러치(201)의 탄성성분(226)은 리벳(215) 또는 다른 적절한 방법으로 커버(202)의 바닥벽에 장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이어프램 스프링(204)은 별도로 만들어진 부분이고 클러치(201)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다이어프램 스프링(204)의 초기운동이 종결되었을 때 탄성성분(226)의 돌기부(226b)와 연결되는 돌기부(204b)를 가진다. 탄성성분(226)은 미리 응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장착될 필요는 없다. 즉, 응력은 프레셔 플레이트(203)를 향하여 돌기부(204b)팁의 축방향 운동이 종결되었을때에만 가해지기 시작한다.
탄성성분(326)이 다른 방법으로 커버(302)에 장착된다는 점에서 도 5의 마찰클러치(201)와 다른 마찰클러치의 일부를 도 6이 나타낸다. 상기 탄성성분(326)은 리벳(315)의 몸체(315a)를 위한 오우프닝을 갖춘 방사상 방향으로 바깥쪽 부분을 포함한다. 성분(226,326)이 각각의 다이어프램 스프링(204)과 함께 작동하는 방법은, 도1, 2의 마찰클러치(1)에서 다이어프램 스프링(4)과 돌기부(26) 사이의 공동작용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차이점은 다이어프램 스프링이나 막과 유사하게 작용하는 탄성성분(226,326)을 사용함으로써, 다이어프램 스프링(204,304)을 기울이기 위한 분리력의 진행과 겹쳐지는 비선형의 힘-거리 관계를 이룰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에서는, 돌기부(26)를 포함한 탄성성분 대신에 또는 탄성성분과 함께 이용될 수 있는 탄성성분(426)의 일부를 나타내었다. 성분(426)이 다이어프램 스프링(4)과 함께 이용된다면, 돌기부(26)는 돌기부분(4b)에 대하여 변위될 수 없다. 즉, 다이어프램 스프링(4)은 동시에 환상부재(29)와 모두연결되는 팁(4c)을 가지는 총 18개의 돌기부분(4b)로 이루어진다. 도 1의 탄성성분(426)은 다이어프램 스프링 또는 막인데 이 다이어프램 스프링은 커버(2)에 대하여 환상부재(29)에 의해 중심에 놓이고 마찰클러치(1)가 분리된 초기단계의 종결시에 돌기부분(4b)의 팁(4c)에 의해 연결된다. 카운터프레셔 플레이트(6)를 향한 팁(4c)의 축방향 변위 다음 단계는 탄성성분(426)의 탄성변형을 일으키고 그것은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기울어짐에 반대로 발생한다.
개선된 클러치 집합체의 중요한 장점은 탄성장치가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요구되는 추가적 분리력이 마모보상 유닛 또는 보상유닛(16)의 조작시에 불리하게 가해지지 않는 것인데 왜냐하면 탄성성분에 의해 발생된 힘은 도 1의 화살표 Ⅱ로 나타낸 방향에 반대로 다이어프램 스프링(4,104,204,304)에 작용한다. 즉 탄성 성분은 센서(13) 및 판스프링(9)과 같은 방향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개선된 마찰클러치는 힘-거리 관계선택 또는 새로운 탄성성분의 특징을 위한 많은 공간을 가지는 형태이다. 예를들어,-인접한 마찰면으로부터 프레셔 플레이트의 실제 분리에 뒤이어 가해지는 최대 분리력은 다이어프램 스프링(4)상에서 판 스프링(9) 또는 센서(13)의 기울기를 초과할 수 있다. 다시말해서, 프레셔 플레이트가 인접한 마찰 라이닝과 분리된 후에, 탄성성분은 센서 및 판스프링을 기울게 하는 것을 돕는 힘을 가할 수 있다.
더 많은 설명하지 않아도, 상기에서 본 발명의 요점을 충분히 나타내었으므로, 현 지식을 이용함으로써 위에서 대략 나타낸 마찰클러치 기술분야에 기여한 일반적인 면과 특별한 면의 특징을 빼놓지 않고 다양하게 쉽게 적용할 수 있고, 이런 적용은 첨부된 청구항 범위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찰클러치와 클러치 디스크의 축방향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화살표 Ⅱ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3 은 다이어프램 스프링 및 마찰클러치의 다른 탄성장치에 의해 가해진 하중을 세로좌표상에 나타내고 프레셔 플레이트의 이동량을 가로좌표상에 나타낸 좌표.
도 4 는 도 1과 2의 마찰클러치를 변경한 마찰클러치의 축방향 단면도.
도 5 는 도 1과 2에서 나타낸 마찰클러치의 제 2 변경예인 마찰클러치의 축방향 단면도.
도 6 은 또다른 마찰 클러치의 일부를 나타낸 축방향 단면도.
부호설명
1, 101.......마찰클러치 2,102,202,302..클러치 커버
3,103........플레셔 플레이트 4,104,204,304..다이어프램 스프링
5............복합 시이트 6..............플라이 휠
7............마찰라이닝 8..............클러치 디스크
9............판 스프링 10,13..........탄성장치
11,12,17,29,129,229..환상부재 14,21..........러그
15,127,215,315..리벳 16.............보상유닛
18,19........램프 20.............코일 스프링
26,126,226,326,426..탄성성분 30,130.........아암
31...........오우프닝
Claims (30)
- 미리 정해진 축주위로 클러치 디스크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커버(2)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 의해 지탱되는 시이트(5)를 포함하며, 커버와 클러치 디스크 사이에 배치되고 커버와 함께 회전할 수 있는 프레셔 플레이트(3)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셔 플레이트를 마찰 라이닝을 향해 밀어서 마찰클러치를 연결시키는 다이어프램 스프링(4)을 포함하며, 이 프레셔 플레이트는, 마찰라이닝(7)과 분리되는 제2단계(40) 및 마찰라이닝(7)과 연결이 약해지는 제1단계(36)를 포함하는 거리(41)를 통해 마찰 라이닝(7)들로 부터 떨어져 커버의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마찰 라이닝들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장치(16)를 포함하며, 이 보상장치는 커버(2) 및 다이어프램 스프링(4)사이에서 작동되고 프레셔 플레이트를 향하여 상기 축방향으로 시이트를 움직이게 하고, 마찰클러치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제 2단계(40)의 일부분동안 프레셔 플레이트(3)에서 떨어져 상기 축방향으로 다이어프램 스프링(4)에 작용하는 탄성의 돌기부(26)가 배열되고, 돌기부가 작용하는 동안 변화하는 힘이 다이어프램 스프링에 적용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거리(41)만큼 프레셔 플레이트(3)가 운동하여 마찰클러치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4)이 시이트(5)에 대해 기울어지고, 상기 돌기부는 마찰클러치를 분리하는 방향(Ⅱ)으로 보상장치(16)에 대해 힘을 작용하지 않고, 반복된 클러치의 연결 및 분리에 의해 마모가 증가하는 마찰라이닝들을 가지며 회전클러치 디스크와 함께 사용되는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한 마찰클러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가 자동차의 원동기로 부터 토크를 받아들일 수 있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4)은 커버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면을 가지고 스프링의 이면과 연결되는 부재(11)를 시이트(5)가 포함하고, 스프링에 대하여 상기 부재(11)를 기울게 하기 위한 탄성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3)을 포함하고 이 스프링은 커버(2)를 향하여 상기 축방향으로 시이트(5)의 부재(11)를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라이닝(7)들사이에서 발생되는 마모에 의해 마찰클러치의 유효수명이 결정되고, 상기 프레셔 플레이트가(3)가 상기 제 1 단계(36)의 운동을 완료한 후에 다이아프램 스프링(4)이 형성하는 위치로 상기 다이아프램 스프링(4)을 기울이기 위한 힘이 상기 탄성장치에 의해 상기 유효수명동안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6)가 커버(2)를 향하여 스프링을 기울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1항에 있어서, 커버(2) 및 다이어프램 스프링(4)중 한 개에 대하여 반작용하고 커버(2) 및 다이어프램 스프링(4)중 다른 한 개에 대하여 내리누르게 돌기부(26)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6)가 다이어프램 스프링(4)에 의해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6)가 커버(2)에 의해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다이어프램 스프링(4)과 일체형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4)은 축둘레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에너지 저장 환상주요부분(4a)과 상기 축을 향하여 주요부분(4a)에서 뻗어있는 돌기부분(4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부(26)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분(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11항에 있어서, 클러치는 분리하는 방향으로 시이트(5)에 대하여 스프링(5)을 기울게 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분(4b)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6) 및 틸팅 장치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6)는 마찰라이닝에서 축방향의 제1거리에 놓인 부분(26c)을 포함하고, 추가의 돌기부들은 클러치가 연결되거나 분리된 상태에서 마찰라이닝으로부터 다른 제2축방향의 거리에 놓인 부분(4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13항에 있어서, 클러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돌기부(26)의 부분(26c)이 또 다른 돌기부의 부분(4c)보다 프레셔 플레이트(3)에 더 가깝게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1항에 있어서, 클러치가 분리하는 방향(Ⅱ)으로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기울이는 양을 제한하는 제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장치는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일부를 위한 스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장치는 커버(2)에 의해 지탱되는 환상부재를 포함하고, 다이어프램 스프링은 상기 시이트에 대한 다이어프램 스프링을 기울어짐에 응답하여 환상부재와 연결할 수 있는 한 개이상의 돌기부(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6)는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제한장치는 탄성성분을 위한 스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6)는 커버(2)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다이어프램 스프링(4)을 기울이게 하고, 상기 보상장치(16)는 프레셔 플레이트(3)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시이트(5)를 움직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4)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분(4b)를 포함하고, 돌기부(26)는 커버(2)에 의해 지탱되고 시이트(5)에 대하여 스프링의 기울어짐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분(4b)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1항에 있어서, 클러치를 분리하는 방향(Ⅱ)으로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기울어짐 정도를 제한하는 제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한장치는 다이어프램 스프링(4)에 의해 연결할 수 있는 환상부재(29)와 상기 커버(2)에 환상부재(29)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가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아암(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21항에 있어서, 환상부재(29) 및 연결장치(30)중 한 개이상이 커버(2)와 일체형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아암(30)을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4)은 환상부재(29)의 원주방향에 대해 상기 아암(30)과 번갈아 놓인 돌기부분(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2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분(4b)는 상기 돌기부(26)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24항에 있어서, 다이어프램 스프링의 기울어짐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분(4b)이 환상부재(29)에 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반복되는 마찰클러치(1)의 연결 및 분리작용에 의해 마모가 증가하는 클러치디스크(8)를 가지고, 상기 클러치디스크(8)와 근접하게 배열되고 미리 정해진 축주위에서 회전가능한 프레셔 플레이트(3)를 가지며, 상기 프레셔 플레이트(3)를 마찰라이닝을 향해 밀어서 마찰클러치와 연결시키는 다이어프램 스프링(4)을 가지고, 상기 프레셔 플레이트가 상기 클러치디스크(8)와 분리되는 제 2 단계(40) 및 상기 클러치디스크(8)와 연결이 약해지는 제 1 단계(36)를 포함하는 거리(41)를 통해 상기 클러치 디스크(8)로부터 떨어져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클러치 디스크(8)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장치(16)를 가지며, 상기 보상장치(16)는 프레셔 플레이트(3)를 향해 축방향으로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4)위에 작용하고, 마찰클러치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제 2 단계(40)의 일부분동안 프레셔 플레이트(3)에서 떨어져 상기 축방향으로 다이어프램 스프링(4)에 작용하는 탄성의 돌기부(26)가 배열되고, 돌기부가 작용하는 동안 변화하는 힘이 다이어프램 스프링에 작용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거리(41)만큼 프레셔 플레이트(3)가 운동하고 마찰클러치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4)이 상기 프레셔 플레이트(3)에 대해 이동하며, 상기 돌기부는 마찰클러치를 분리하는 방향(Ⅱ)으로 보상장치(16)에 대해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4)은 마찰클러치(1)의 커버(2)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6)는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4)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마찰클러치의 커버에 의해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9608454.7 | 1996-03-05 | ||
DE196084547 | 1996-03-05 | ||
DE19608454 | 1996-03-0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66143A KR970066143A (ko) | 1997-10-13 |
KR100481200B1 true KR100481200B1 (ko) | 2005-07-25 |
Family
ID=7787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07158A KR100481200B1 (ko) | 1996-03-05 | 1997-03-05 | 마찰클러치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2) | US5803224A (ko) |
JP (1) | JP4236711B2 (ko) |
KR (1) | KR100481200B1 (ko) |
BR (1) | BR9701170A (ko) |
DE (1) | DE19707785A1 (ko) |
ES (1) | ES2142719B1 (ko) |
FR (1) | FR2745870B1 (ko) |
GB (1) | GB2310899B (ko) |
IT (1) | IT129002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3276A (ko) | 2017-09-21 | 2019-03-29 | 이운상 |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707785A1 (de) * | 1996-03-05 | 1997-10-30 | Luk Lamellen & Kupplungsbau | Reibungskupplung |
US5904233A (en) * | 1996-03-14 | 1999-05-18 | Exedy Corporation | Clutch cover assembly having a wear compensation mechanism with diaphragm spring attitude control |
WO1998039574A1 (en) * | 1997-03-06 | 1998-09-11 | Kemper Yves J | Clutch spring assembly |
CN1117223C (zh) * | 1997-12-09 | 2003-08-06 | 卢克摩擦片和离合器有限公司 | 摩擦离合器 |
US6145642A (en) * | 1998-03-19 | 2000-11-14 |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 Friction clutch with automatic compensation for wear |
CN100378360C (zh) * | 1999-05-31 | 2008-04-02 | 卢克摩擦片和离合器有限公司 | 摩擦离合器 |
DE10147817C5 (de) * | 2001-09-27 | 2011-02-24 | Siemens Ag | Verfahren zur Verschleisserkennung bei einer Bremse oder einer Kupplung |
US6827192B2 (en) * | 2002-04-25 | 2004-12-07 | Zf Sachs Ag | Resilient plate for adjustable clutches |
DE102004007295B3 (de) * | 2004-02-14 | 2005-09-29 | Dr.Ing.H.C. F. Porsche Ag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imulation einer manuellen Bedieneinrichtung |
DE102008027056A1 (de) | 2007-06-13 | 2008-12-18 |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 Reibungskupplung |
JP5340294B2 (ja) * | 2007-09-24 | 2013-11-13 |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 摩擦クラッチ |
PL2249784T3 (pl) * | 2008-02-08 | 2016-12-30 | Produkt do higieny jamy ustnej i sposoby jego stosowania i wytwarzania | |
DE102013218723A1 (de) * | 2013-09-18 | 2015-03-19 |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 Deckelanordnung für eine Reibungskupplung |
EP3077689B1 (de) * | 2013-12-06 | 2019-09-18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Rücksystem für eine reibkupplung |
DE102014215581A1 (de) * | 2014-08-06 | 2016-02-11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Deckelanordnung für eine Reibungskupplung |
DE102015212310B4 (de) * | 2015-07-01 | 2019-10-10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Deckelanordnung für eine Reibungskupplung |
DE102016217661A1 (de) | 2016-09-15 | 2018-03-15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Deckelanordnung für eine Reibungskupplung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94595E (fr) * | 1967-12-15 | 1969-09-12 | Ferodo Sa | Perfectionnements aux embrayages a diaphragme. |
GB2055995B (en) * | 1979-08-02 | 1983-04-13 | Laycock Eng Ltd | Friction clutch |
JPH04136525A (ja) * | 1990-09-28 | 1992-05-11 | Aisin Seiki Co Ltd |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
SE512438C2 (sv) * | 1991-11-26 | 2000-03-20 | Luk Lamellen & Kupplungsbau | Friktionskoppling |
DE4306505B4 (de) * | 1992-03-10 | 2004-01-29 |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 Reibungskupplung |
DE4322677B4 (de) * | 1992-07-11 | 2005-05-12 |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 Reibungskupplung |
GB2305475B (en) * | 1992-07-11 | 1997-05-21 | Luk Lamellen & Kupplungsbau | Friction clutch |
KR0140660B1 (ko) * | 1992-07-11 | 1998-07-01 | 게르하르트 로테르 | 마찰클러치 |
KR100326408B1 (ko) * | 1992-12-22 | 2002-10-31 |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카게 | 마찰클러치 |
GB2278894B (en) * | 1993-05-26 | 1997-12-24 | Luk Lamellen & Kupplungsbau | Friction clutch |
CN1103140A (zh) * | 1993-09-13 | 1995-05-31 | 卢克摩擦片和离合器有限公司 | 分离装置 |
DE19507965B4 (de) * | 1994-03-12 | 2012-01-26 |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 Reibungskupplung |
US5509518A (en) * | 1994-04-21 | 1996-04-23 | Valeo Clutches And Transmissions, Inc. | Diaphragm clutch assembly with wear compensator |
US5628389A (en) * | 1994-07-20 | 1997-05-13 |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 Friction clutch |
US5641048A (en) * | 1994-11-14 | 1997-06-24 |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 Friction clutch |
GB2296541B (en) * | 1994-12-24 | 1999-01-06 | Fichtel & Sachs Ag | Friction clutch |
DE19707785A1 (de) * | 1996-03-05 | 1997-10-30 | Luk Lamellen & Kupplungsbau | Reibungskupplung |
-
1997
- 1997-02-27 DE DE19707785A patent/DE19707785A1/de not_active Withdrawn
- 1997-02-28 FR FR9702419A patent/FR2745870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3-03 US US08/811,429 patent/US5803224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3-04 BR BR9701170A patent/BR9701170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3-04 IT IT97MI000478A patent/IT1290022B1/it active IP Right Grant
- 1997-03-04 JP JP04891397A patent/JP423671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3-05 KR KR1019970007158A patent/KR10048120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3-05 ES ES009700484A patent/ES2142719B1/es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3-05 GB GB9704585A patent/GB2310899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
- 1998-09-04 US US09/148,612 patent/US6085883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3276A (ko) | 2017-09-21 | 2019-03-29 | 이운상 |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9242782A (ja) | 1997-09-16 |
KR970066143A (ko) | 1997-10-13 |
BR9701170A (pt) | 1998-12-15 |
FR2745870A1 (fr) | 1997-09-12 |
DE19707785A1 (de) | 1997-10-30 |
ES2142719B1 (es) | 2000-11-16 |
ITMI970478A1 (it) | 1998-09-04 |
US6085883A (en) | 2000-07-11 |
US5803224A (en) | 1998-09-08 |
IT1290022B1 (it) | 1998-10-19 |
GB9704585D0 (en) | 1997-04-23 |
GB2310899B (en) | 2000-03-08 |
ES2142719A1 (es) | 2000-04-16 |
FR2745870B1 (fr) | 1999-03-19 |
GB2310899A (en) | 1997-09-10 |
JP4236711B2 (ja) | 2009-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81200B1 (ko) | 마찰클러치 | |
US5971124A (en) | Friction clutch | |
US6000515A (en) | Clutch assembly | |
US6085882A (en) | Friction clutch | |
US5588517A (en) | Clutch operating apparatus | |
KR100429653B1 (ko) | 마찰클러치(명칭정정) | |
US5628389A (en) | Friction clutch | |
US5894916A (en) | Friction clutch | |
JP3016181B2 (ja) | 摩耗補償機構を有する摩擦クラッチ | |
GB2294982A (en) | Friction clutch | |
US6305522B2 (en) | Clutch disc | |
US6050381A (en) | Wear compensation mechanism for clutch mechanism | |
JP2000205297A (ja) | 過度調節保護の付いた自動調節摩擦クラッチ | |
JP3717690B2 (ja) |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 |
EP1002200A1 (en) | Clutch assembly | |
EP0795695B1 (en) | Clutch cover assembly with a wear compensation mechanism | |
JPH09504355A (ja) | 特に自動車用の摩擦クラッチ | |
US5862901A (en) | Friction clutch that produces pressure force with two springs | |
US6460675B1 (en) | Slip clutch with a linear friction wear take-up device,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 |
JPH11173342A (ja) |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 |
KR20170061613A (ko) |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 | |
KR100429657B1 (ko) | 마찰클러치 | |
US20040245063A1 (en) | Pressure plate assembly for a friction clutch | |
JP2002266894A (ja) | 摩擦クラッチ | |
GB2182401A (en) | Diaphragm spring clutch cover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22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