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1613A -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 - Google Patents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1613A
KR20170061613A KR1020160157694A KR20160157694A KR20170061613A KR 20170061613 A KR20170061613 A KR 20170061613A KR 1020160157694 A KR1020160157694 A KR 1020160157694A KR 20160157694 A KR20160157694 A KR 20160157694A KR 20170061613 A KR20170061613 A KR 20170061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compensating
diaphragm
detecting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질르 르바
티보 라포르쥬
엠마누엘 코멘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filed Critical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ublication of KR20170061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16D13/757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the adjusting device being located on or inside the clutch cover, e.g. acting on the diaphragm or on the pressur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16D2021/0607Double clutch with torque input plate in-between the two clutches, i.e. having a central input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02Relating the clutch
    • F16D2500/50233Clutch wear adjustment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적어도 하나의 반응 플레이트(4), 제1 및 제2 마찰 디스크(5a, 5b), 각각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9a, 9b)에 의해 가동되는 제1 및 제2 압력 플레이트(3a, 3b), 고정식 덮개(6), 제1 다이어프램(9a)과 고정식 덮개(6)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 및 제2 다이어프램(9b)과 제2 압력 플레이트(3b)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이중 클러치(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CLUTCH DEVICE WITH WEAR COMPENSATION,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클러치 장치는 전형적으로 반응 플레이트, 이동식 압력 플레이트 및 상기 반응 플레이트와 상기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마찰 디스크를 포함한다. 압력 플레이트의 운동은 다이어프램에 의해 제어되며, 이 다이어프램은 클러치 베어링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압력 플레이트는 마찰 디스크가 상기 압력 플레이트와 반응 플레이트 사이에서 조여지는 클러치 연결 위치 및 상기 마찰 디스크가 풀리는 클러치 분리 위치 사이에서 움직인다.
클러치 장치의 사용은 마찰 디스크의 라이닝 및 연관 반응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의 대응 재료의 마모를 유발한다. 이것은 연관 다이어프램에 대한 및/또는 반응 플레이트에 대한 압력 플레이트의 위치 변화에 의해 유발되어, 마찰 디스크의 조임 하중 및 클러치 베어링의 코스 및 바이팅 포인트의 변경을 발생시킨다. 바이팅 포인트는 클러치 장치를 통해 토크가 전달될 수 있기 시작하는 위치이다.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는 문헌 FR 2 780 119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장치는 덮개를 포함하며, 이 덮개의 내부에는, 마찰 디스크 상에 지지되도록 설계되는 압력 플레이트, 상기 압력 플레이트와 상기 덮개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압력 플레이트가 상기 마찰 디스크에 대하여 밀린 완전히 클러치 연결된 위치와 상기 압력 플레이트가 상기 압력 플레이트의 복원 수단을 매개로 하여 상기 마찰 디스크로부터 떨어진 완전히 클러치 분리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압력 플레이트를 가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다이어프램이 설치된다.
마찰 디스크의 마모 보정 수단은 다이어프램과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며, 소정 범위에서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보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플레이트 측을 향한 카운터-램프와 협력하는 램프를 포함하여,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카운터-램프에 대한 상기 램프의 각도 위치에 따라 상기 마찰 디스크의 마모를 보상한다.
상기 장치는, 마찰 디스크가 마모된 경우에는 상기 이동식 부재를 변위시킬 수 있고 이 마모가 불충분한 경우에는 이러한 변위를 방해할 수 있는 마모 검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보정 부재에 대하여 소정 범위에서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플레이트 측을 향한 카운터-램프와 협력하는 램프를 포함한다.
끝으로, 상기 장치는 적어도 상기 이동식 부재들의 램프를 연관 카운터 램프에 대하여 제약하는 압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압박 부재는 마찰 디스크의 마모가 검출될 때 상기 이동식 부재들을 방출하는 식으로 고정식 스토퍼와 협력할 수 있다.
이동식 보정 부재는,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가 압박 부재에 의하여 그리고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방출될 때, 그 자신과 압박 부재 사이의 간극을 보정하도록 스프링에 의하여 구동된다. 한편, 이동식 검출 부재는, 상기 이동식 검출 부재가 압박 부재에 의하여 그리고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방출될 때, 그 자신과 압박 부재 사이의 간극을 보정하도록 다른 스프링에 의하여 구동된다.
작동시, 유닛은 연속적인 클러치 연결 단계 및 클러치 분리 단계를 교대로 거친다.
연결 단계에서, 다이어프램은 간극 보정 부재를 매개로 하여 압력 플레이트 상에 지지된다. 클러치 분리 단계에서, 압력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탭의 형태를 취하는 복원 수단을 매개로 하여 그 클러치 분리 위치를 향해 복원된다.
마찰 디스크가 마모되지 않고 압력 플레이트와 반응 플레이트의 대응 재료가 마모되지 않은 경우, 압박 부재는 계속적으로 검출 부재 및 보정 부재가 압력 디스크 상에서 지지되도록 유지한다. 즉, 상기 부재들은 부동화된다.
마모의 경우, 압박 부재는 스토퍼 상에 지지되며 상기 압박 부재와 상기 검출 부재 사이에 간극이 생성된다. 이 검출 부재는 스프링에 의해 제약되므로, 상기 간극을 메우는 식으로 변위된다. 클러치 연결 위치에서, 보정 부재 상에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인가되는 하중은, 압력 플레이트 상에서의 지지 및 마찰에 의하여, 이 보정 부재의 변위를 방해한다. 뒤이어, 다이어프램이 그 클러치 분리 위치로 변위될 때, 압력 플레이트의 복원 탭이 압력 플레이트를 간극 보정 부재에 대하여 밀어붙이고 간극 보정 부재를 다이어프램에 대하여 밀어붙이게 된다. 복원 탭에 의하여 인가되는 하중은 비교적 작아서 간극에서의 마찰에도 불구하고 상응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인가되는 응력하에서도 간극 보정 부재의 변위를 허용할 수 있다. 이 변위는 압박 부재와 보정 부재 사이의 간극을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마찰 플레이트의 마모 및 연관된 반응 플레이트 및 압력 플레이트의 대응 재료의 마모가 보정된다.
이러한 작동은 특히 간극에서의 마찰에도 불구하고 보정 부재가 변위할 수 있도록 비교적 작은 하중을 인가하는 압력 플레이트의 복원 수단의 이용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복원 수단은 축 방향 바이브레이션을 전달하여 압력 플레이트의 펌핑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동에 해를 끼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 명의의 특허 출원 FR 3 009 592호는, 클러치 장치의 마찰 디스크 상에 지지되도록 설계되는 압력 플레이트, 압력 플레이트가 마찰 디스크에 대하여 밀린 완전히 클러치 연결된 위치와 압력 플레이트가 압력 플레이트의 복원 수단을 매개로 하여 상기 마찰 디스크로부터 떨어진 완전히 클러치 분리된 위치 사이에서 압력 플레이트를 가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클러치 장치는,
-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는 마찰 디스크의 마모 보정 수단으로서, 소정 범위에서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보정 부재를 포함하고 압력 플레이트 측을 향한 카운터-램프와 협력하는 램프를 포함하여,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카운터-램프에 대한 상기 램프의 위치에 따라 마찰 디스크의 마모를 보상하는 상기 마모 보정 수단,
- 마찰 디스크의 마모의 경우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를 변위시킬 수 있고 이 마모가 불충분한 때에는 이러한 변위를 방해할 수 있는 마모 검출 수단으로서, 이동식 보정 부재에 대하여 소정 범위에서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플레이트 측을 향한 카운터-램프와 협력하는 램프를 포함하는 상기 마모 검출 수단,
- 적어도 상기 검출 부재의 램프를 연관 카운터-램프에 대하여 제약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박 부재로서, 마찰 디스크의 마모가 검출될 때 상기 이동식 부재들을 방출하는 식으로 고정식 스토퍼와 협력할 수 있는 압박 부재를 포함하는 마모 보정 메카니즘을 포함하고,
- 이동식 보정 부재는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가 상기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방출될 때 변위되도록 구동되고,
- 이동식 검출 부재는, 상기 이동식 검출 부재가 상기 압박 부재 및 상기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방출될 때, 변위되어 그 자신과 상기 압박 부재 사이의 간극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정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다이어프램은 완전히 클러치 연결된 위치에서 이동식 검출 부재를 방출하고 이동식 보정 부재의 변위를 방해하며, 완전히 클러치 분리된 위치에서, 다이어프램은 이동식 보정 부재를 방출하고 이동식 검출 부재의 변위를 방해할 수 있으며, 다이어프램은 그 완전히 클러치 연결된 위치와 완전히 클러치 분리된 위치 사이에서 항상 적어도 상기 이동식 부재들 중 하나 위에 지지된다.
이러한 식으로, 압력 플레이트의 복원 수단은 큰 하중을 인가할 수 있고, 이 하중은 다이어프램의 위치에 따라 이동식 보정 부재에 의해 이어서 다이어프램 또는 이동식 검출 부재에 의해 이어서 다이어프램에 의해 인계된다. 실제로, 상기 이동식 부재들은, 변위시, 압력 플레이트의 복원 수단에 의해 인가되는 하중을 받지 않으므로, 마모의 경우 용이하게 변위될 수 있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스프링 탭이 큰 강성을 갖는 것과 같이, 큰 하중을 인가하는 압력 플레이트의 복원 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축방향 바이브레이션의 전달을 제한하고 압력 플레이트의 펌핑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식 검출 부재 및 이동식 보정 부재는, 탄성 부재에 의해, 예를 들어 텐션 스프링에 의해 구동된다.
특히,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텐션 스프링이 검출 부재와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또는 압력 플레이트에 회전식으로 커플링되는 덮개와 검출 부재 사이에 설치된다.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텐션 스프링은 검출 부재와 보정 부재 사이에 설치된다. 이들 제2 스프링은 검출 부재에 대한 보정 부재의 동력화 기능을 보장한다.
다이어프램의 위치는 마찰 디스크, 압력 플레이트 및/또는 반응 플레이트의 마모에 의존한다. 특히, 예컨대 다이어프램과 방사 평면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는 마모에 따라 달라진다. 현재의 마모 보정 수단은 마모에 따른 이 위치 변동을 고려하지 않는다.
한편, 검출 부재 상에서의 압박 부재의 방사상 지지 위치는 마모 보정 부재 상에서의 압박 부재의 방사상 지지 위치와 상이하다. 압박 부재는 방사 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을 수 있으므로, 검출 부재 상에서의 압박 부재의 지지 지점 및 마모 보정 부재 상에서의 압박 부재의 지지 지점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을 수 있고, 이 오프셋은 압박 부재와 방사 평면의 각도에 따라, 즉 상기한 마모에 따라 달라진다. 현재의 마모 보정 수단은 이 현상을 고려하지 않는다.
특허 출원 FR 3 009 592호는 이중 클러치의 이러한 마모 보정 수단을 응용한다.
이중 클러치는 특히 차량의 엔진 샤프트를 자동식일 수 있는 기어박스의 두 공축 입력 샤프트와 교대로 연결할 수 있다.
그래서, 이중 클러치는 차량의 차륜으로의 엔진 토크 전달을 유지하면서 기어비를 변경할 수 있다. 실제로, 2개의 클러치는 각각 짝수 및 홀수 기어비에 연관된다. 기어비 변경시, 제1 클러치는 분리되고 제2 클러치는 연결되므로, 엔진 토크는 제1 클러치로부터 제2 클러치로 점진적으로 전달된다.
각각의 클러치는, 덮개 및 엔진 샤프트의 회전으로 구동되는 압력 플레이트와 협력하도록 설계된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각각의 다이어프램은 휴지 위치와 활성 위치 사이에서 상응하는 클러치 베어링에 의해 변위할 수 있다. 클러치의 유형에 따라, 다이어프램의 활성 위치는 기어박스와 엔진 샤프트의 연결 또는 분리에 상응하고 다이어프램의 휴지 위치는 이들 샤프트의 분리 또는 연결에 상응한다. 그래서, 각각 노말 오픈 클러치 및 노말 클로즈드 클러치라 불린다.
안전상의 이유에서, 적어도 클러치들 중 하나는 노말 오픈형이다.
클러치 베어링은 다이어프램에 소정의 힘을 인가하여 이것을 소정 거리 변위시키기 위하여 전자 계산기에 의해 조종되는 엑츄에이터에 의해 제어된다.
상응하는 다이어프램에 의해 구동되는 각각의 클러치의 압력 플레이트는 상응하는 반응 플레이트 상에서 마찰 디스크를 조이도록 설계된다. 각각의 클러치에 대하여 하나의 반응 플레이트가 마련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는, 2개의 마찰 디스크 사이에 설치된, 2개의 클러치에 공통인 유일한 반응 플레이트를 이용한다.
각각의 마찰 디스크는 기어박스의 입력 샤프트에 회전 연결되고 각각의 반응 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엔진 샤프트에 연결된 플라이휠과 일체형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상응하는 반응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서 마찰 디스크가 조여짐으로써 연관된 기어박스의 입력 샤프트와 엔진 샤프트 사이에 토크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클러치의 사용은 마찰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 및 연관된 반응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의 대응 재료의 마모를 야기한다. 이것은 연관 다이어프램에 대한 및/또는 반응 플레이트에 대한 각각의 압력 플레이트의 위치 변화에 의해 유발되어, 마찰 디스크의 조임 하중 및 클러치 베어링의 코스 및 바이팅 포인트의 변경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 바이팅 포인트는 클러치가 닫힐 때 엔진 토크가 기어박스의 샤프트로 전달되기 시작하는 위치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마모는, 제1 클러치에, 즉 홀수 기어비에 연관된 클러치에 속하는 반응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 및 마찰 디스크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그래서, 이중 클러치가 본 발명에 따른 유일의 마모 보정 메카니즘만을 포함하는 경우,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제1 클러치의 일부를 형성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클러치는 제1 클러치에 장착되는 마모 보정 메카니즘과 제2 클러치에 장착되는 메카니즘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특허 출원 FR 3 009 592호는 특히 제1 클러치에 장착되는 제1 마모 보정 메카니즘 및 제2 클러치에 장착되는 제2 마모 보정 메카니즘의 사용을 개시한다.
이 특허 출원에는, 구동 샤프트에 회전 커플링되도록 설계된 반응 플레이트, 각각 제1 및 제2 피구동 샤프트에 커플링되도록 설계된 제1 및 제2 마찰 디스크, 반응 플레이트 상에서 제1 및 제2 마찰 디스크를 조이거나 풀도록 하는 방식으로 각각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가동되는 제1 및 제2 압력 플레이트(제1 압력 플레이트는 반응 플레이트에 대하여 병진 운동으로 이동식 덮개에 고정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식 덮개 상에 상기 제1 다이어프램이 지지됨으로써 가동됨), 제1 다이어프램과 이동식 덮개 사이에 삽입되는 제1 마찰 디스크의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 제2 다이어프램과 제2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는 제2 마찰 디스크의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을 포함하는 이중 클러치가 개시된다.
작동시, 이동식 덮개는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의 구성 요소들의 양호한 포지셔닝을 어렵게 하는 변형을 발생시킬 수 있는 큰 기계적 응력을 받는다. 이것은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의 양호한 포지셔닝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모의 모든 과잉 보상 또는 과소 보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모 검출 및 보정 부재의 양호한 위치를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를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 회전축을 중심으로, 구동 샤프트에 회전 커플링되도록 설계된 반응 플레이트,
- 피구동 샤프트에 커플링되도록 설계된, 마찰 라이닝을 구비한 마찰 디스크,
- 상기 반응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마찰 디스크를 조이거나 풀도록 하는 방식으로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가동되는 압력 플레이트,
- 상기 마찰 디스크의 마모를 보정할 수 있는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으로서, 상기 반응 플레이트에 대한 고정식 부품, 예컨대 덮개와 상기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는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로서,
상기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은,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고정식 부품 사이에 또는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는 마모 보정 수단으로서, 소정 범위에서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보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식 부품 또는 상기 압력 플레이트 측을 향한 카운터-램프와 협력하는 램프를 포함하여,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고정식 부품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카운터-램프에 대한 상기 램프의 위치에 따라 상응하는 마모를 보상하는 상기 마모 보정 수단,
마모의 경우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를 변위시킬 수 있고 마모가 불충분한 때에는 이러한 변위를 방해할 수 있는 마모 검출 수단으로서, 이동식 보정 부재에 대하여 소정 범위에서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식 부품 또는 상기 압력 플레이트 측을 향한 카운터-램프와 협력하는 램프를 포함하는 상기 검출 수단,
적어도 상기 검출 부재의 램프를 연관 카운터-램프에 대하여 제약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박 부재로서, 마모가 검출될 때 상기 검출 부재를 방출하는 식으로 고정식 스토퍼와 협력할 수 있는 압박 부재를 포함하고,
이동식 보정 부재는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가 상기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방출될 때 변위되도록 구동되고,
이동식 검출 부재는, 상기 이동식 검출 부재가 상기 압박 부재에 의하여 및 상기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방출될 때, 변위되어 그 자신과 상기 압박 부재 사이의 간극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정하도록 구동되며,
각각의 검출 부재 및 각각의 보정 부재가, 그 축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는 고리의 형태로 존재하고, 상응하는 다이어프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단부 및 고정식 덮개 또는 제2 압력 플레이트의 측부에 연결되는 카운터-램프와 협력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한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클러치 장치에 있어서,
검출 부재 및/또는 보정 부재가, 상응하는 압박 부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보조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램프가, 상기 검출 부재 또는 상기 보정 부재의 축에 수직인 방사 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사 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보조 램프를 사용하면, 마모가 없을 때의 다이어프램의 위치와 마찰 디스크, 압력 플레이트 및/또는 반응 플레이트가 마모된 경우의 다이어프램의 위치 사이에서 다이어프램의 위치 변화를 고려할 수 있다. 선행 기술에서, 다이어프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검출 부재와 보정 부재의 상응하는 축방향 단부이며, 이들 단부는 방사 평면에서 연장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이어프램은, 검출 부재 상에 그리고 보정 부재 상에 상기 다이어프램을 지지하는 구역의 방사상 외부에 위치하는 구역에서, 상응하는 압력 플레이트 상에 또는 상기 압력 플레이트에 연결된 부품 상에 지지될 수 있고,
보조 램프는, 마모가 없을 때 압박 부재가 베어링 지지되는 제1 지점, 및 마찰 디스크, 압력 플레이트 및/또는 연관된 반응 플레이트가 완전히 마모된 상태에서 압박 부재가 베어링 지지되는 제2 지점을 가지며,
제1 및 제2 지점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x라고 하면, x는 이하의 관계식으로 정의되고: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 a는, 상응하는 다이어프램 상의 검출 부재 또는 보정 부재의 지지부와, 상응하는 압력 플레이트 상의 또는 상기 압력 플레이트에 연결된 부품 상의 상기 다이어프램의 지지부 사이의 방사상 거리이고,
- b는, 상응하는 다이어프램 상의 검출 부재 또는 보정 부재의 지지부와, 상기 다이어프램을 가동시킬 수 있는 클러치 베어링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방사상 내부 구역 사이의 방사상 거리이며,
- u는 축 방향으로 마찰 디스크, 압력 플레이트 및/또는 연관된 반응 플레이트의 최대 마모임],
보조 램프의 기울기는 카운터-램프와 협력하는 상응하는 램프의 기울기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다.
이러한 클러치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노말 오픈형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이어프램은, 검출 부재 상에 그리고 보정 부재 상에 상기 다이어프램을 지지하는 구역의 방사상 내부에 위치하는 구역에서, 상응하는 압력 플레이트 상에 또는 상기 압력 플레이트에 연결된 부품 상에 지지될 수 있고,
보조 램프는, 마모가 없을 때 압박 부재가 베어링 지지되는 제1 지점, 및 마찰 디스크, 압력 플레이트 및/또는 연관된 반응 플레이트가 완전히 마모된 상태에서 압박 부재가 베어링 지지되는 제2 지점을 가지며,
제1 및 제2 지점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x라고 하면, x는 이하의 관계식으로 정의되고: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 a는, 상응하는 다이어프램 상의 검출 부재 또는 보정 부재의 지지부와, 상응하는 압력 플레이트 상의 또는 상기 압력 플레이트에 연결된 부품 상의 상기 다이어프램의 지지부 사이의 방사상 거리이고,
- b는, 상응하는 다이어프램 상의 검출 부재 또는 보정 부재의 지지부와, 상기 다이어프램을 가동시킬 수 있는 클러치 베어링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방사상 내부 구역 사이의 방사상 거리이며,
- u는 축 방향으로 마찰 디스크, 압력 플레이트 및/또는 연관된 반응 플레이트의 최대 마모임],
보조 램프의 기울기는 카운터-램프와 협력하는 상응하는 램프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된다.
이러한 클러치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노말 클로즈드형이다.
상기 관계식은 상기한 지지 지점에 따라 기하학적 형상, 특히 압박 부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보조 램프의 경사(즉 방사 평면에 대한 기울기)를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램프의 기하학적 형상은 다이어프램의 위치가 어떠하든 (마찰 디스크, 압력 플레이트 및/또는 반응 플레이트의 마모가 있든 없든) 검출 부재 및/또는 보정 부재의 양호한 포지셔닝을 보장할 수 있다.
검출 부재 및 보정 부재는 동심일 수 있고, 압박 부재는 이동식 보정 부재 또는 검출 부재의 방사상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클러치 장치의 한 요소에 고정되며, 보정 부재의 보조 램프는, 방사 평면에 대하여, 검출 부재의 보조 램프의 상기 방사 평면에 대한 기울기와 상이한 기울기를 가진다.
검출 부재 상에서의 압박 부재의 방사상 지지 위치는 마모 보정 부재 상에서의 압박 부재의 방사상 지지 위치와 상이하다. 압박 부재는 방사 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을 수 있으므로, 검출 부재 상에서의 압박 부재의 지지 지점 및 마모 보정 부재 상에서의 압박 부재의 지지 지점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을 수 있고, 이 오프셋은 압박 부재와 방사 평면의 각도에 따라, 즉 상기한 마모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한 특징은 이 현상의 고려를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x의 실제 값은 상기 관계식에 의해 주어지는 x의 이론 값과 다소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검출 부재 또는 보정 부재의 보조 램프의 x의 실제 값은 예컨대 상기 관계식에 의해 주어지는 x의 이론 값에 대하여 20% 전후로 상이할 수 있다.
클러치 장치는 압박 부재에 연결된 베어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어링 부재는 마모의 경우 압박 부재를 검출 부재 및/또는 보정 부재로부터 떼어 놓도록 설계되며, 상기 베어링 부재는 검출 부재와 보정 부재 사이에 방사상으로 위치하는 구역에서 상기 압박 부재에 연결된다.
베어링 부재는, 검출 부재와 보정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구역에서 압박 부재에 연결되므로, 압박 부재의 진동 효과를 제한하는데, 이러한 진동은 검출 부재 및/또는 보정 부재 상에서 압박 부재가 연결되는 지지 구역의 위치에 대해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기한 특징은, 상기 이동식 부재들의 위치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상응하는 마모 검출 및 보상 수단의 양호한 작동을 보장하고 마모의 과잉 보상 또는 과소 보상을 방지할 수 있다.
베어링 부재는, 검출 부재와 보정 부재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구역에서, 압박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베어링 부재는, 클러치 장치의 고정식 부품 또는 이동식 부품에 연결되는 단부, 및 압박 부재에 연결되는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압박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탭을 포함할 수 있고, 이 탄성 탭의 일단부는 상응하는 이동식 검출 부재 상에 또는 이동식 보정 부재 상에 베어링 지지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은 완전히 클러치 연결된 위치에서 이동식 검출 부재를 방출하고 이동식 보정 부재의 변위를 방해할 수 있고, 완전히 클러치 분리된 위치에서 다이어프램은 이동식 보정 부재를 방출하고 이동식 검출 부재의 변위를 방해할 수 있으며, 다이어프램은 그 완전히 클러치 연결된 위치와 완전히 클러치 분리된 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상기 이동식 부재들 중 하나 상에 언제나 베어링 지지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유형의 클러치 장치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이중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중 클러치는,
- 구동 샤프트에 회전 커플링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반응 플레이트,
- 각각 제1 및 제2 피구동 샤프트에 커플링되도록 설계된, 마찰 라이닝을 구비한 제1 및 제2 마찰 디스크,
- 상기 반응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마찰 디스크를 조이거나 풀도록 하는 방식으로 각각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가동되는 제1 및 제2 압력 플레이트로서, 상기 제1 압력 플레이트는 상기 반응 플레이트에 대하여 병진 운동하여 이동식 덮개에 고정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식 덮개 상에 상기 제1 다이어프램이 지지됨으로써 가동되는 제1 및 제2 압력 플레이트,
- 반응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제2 압력 플레이트, 제2 마찰 디스크 및/또는 제2 다이어프램을 수용하는 고정식 덮개,
- 제1 마찰 디스크의 마모를 보상할 수 있는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으로서, 제1 다이어프램과 상기 고정식 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
- 제2 마찰 디스크의 마모를 보상할 수 있는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으로서, 제2 다이어프램과 상기 제2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과 상기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은, 각각
상기 제1 다이어프램과 상기 고정식 덮개 사이에 또는 상기 제2 다이어프램과 상기 제2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는 마모 보정 수단으로서, 소정 범위에서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보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식 덮개 또는 상기 제2 압력 플레이트 측을 향한 카운터-램프와 협력하는 램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다이어프램과 상기 고정식 덮개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제2 다이어프램과 상기 제2 압력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카운터-램프에 대한 상기 램프의 위치에 따라 상응하는 마모를 보상하는 상기 마모 보정 수단,
마모의 경우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를 변위시킬 수 있고 이 마모가 불충분한 때에는 이러한 변위를 방해할 수 있는 마모 검출 수단으로서, 이동식 보정 부재에 대하여 소정 범위에서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식 덮개 또는 상기 제2 압력 플레이트 측을 향한 카운터-램프와 협력하는 램프를 포함하는 상기 검출 수단,
적어도 상기 검출 부재의 램프를 연관된 카운터-램프에 대하여 제약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박 부재로서, 마모가 검출될 때 상기 검출 부재를 방출하는 식으로 고정식 스토퍼와 협력할 수 있는 압박 부재를 포함하며,
이동식 보정 부재는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가 상기 제1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또는 제2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방출될 때 변위되는 식으로 구동되고,
이동식 검출 부재는, 상기 이동식 검출 부재가 상기 압박 부재에 의하여 및 상기 제1 다이어프램 또는 제2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방출될 때, 변위되어 그 자신과 상기 압박 부재 사이의 간극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정하는 식으로 구동되며,
검출 부재 및/또는 보정 부재는 상응하는 압박 부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보조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램프는 상기 검출 부재 또는 상기 보정 부재의 축에 수직인 방사 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각각의 이동식 검출 부재는, 상응하는 다이어프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단부, 및 고정식 덮개 또는 제2 압력 플레이트 측의 연관 카운터-램프와 협력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한 단부를 포함하는 고리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연관된 카운터-램프에 대한 이동식 검출 부재의 램프의 변위는 이동식 검출 부재의 피봇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이동식 보정 부재는, 상응하는 다이어프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단부, 및 고정식 덮개 또는 제2 압력 플레이트의 측을 향한 연관 카운터-램프와 협력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한 단부를 포함하는 고리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연관된 카운터-램프에 대한 이동식 보정 부재의 램프의 변위는 이동식 보정 부재의 피봇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베어링 부재는 고정식 덮개 또는 이동식 덮개에 연결되는 단부 및 압박 부재에 연결되는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베어링 부재는, 마모의 경우 고정식 덮개 또는 이동식 덮개 상에 베어링 지지될 수 있는 단부, 및 압박 부재 상에 고정되거나 베어링 지지되는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베어링 부재는, 마모의 경우 고정식 덮개 또는 이동식 덮개에 고정되는 단부, 및 압박 부재 상에 베어링 지지되는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클러치 또는 클러치 장치는 또한 이하의 특징들 중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 보조 램프는 평면형 표면으로 형성된다.
- 보조 램프는 다이어프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검출 부재 또는 보정 부재의 축방향 단부에 대하여 쑥 들어간 상태로 위치한다.
- 방사 평면에 대한 보조 램프의 각도는 0.1 내지 5°이다.
- 제1 압력 플레이트는 반응 플레이트에 대항하여 예를 들어 제1 압력 플레이트와 반응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탄성 복원 탭과 같은 제1 탄성 복원 수단에 의하여 그 클러치 분리 위치를 향해 복원된다.
- 제2 압력 플레이트는 반응 플레이트에 대항하여 예를 들어 제2 압력 플레이트와 반응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제2 탄성 복원 탭과 같은 제2 탄성 복원 수단에 의하여 그 클러치 분리 위치를 향해 복원된다.
- 상기 탄성 탭들은 반응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들의 회전 커플링을 보장한다.
- 제1 클러치는 노말 오픈형이다.
- 제2 클러치는 노말 오픈형이다.
- 이중 클러치는 제1 마찰 디스크 및 제2 마찰 디스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하나의 반응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 제1 다이어프램은 환형의 탄성 금속 시트의 형태로 존재하고 이동식 덮개의 지지 구역 주위에 진동식으로 설치된다.
- 제2 다이어프램은 환형의 탄성 금속 시트의 형태로 존재하고 이의 방사상 외부 둘레는 고정식 덮개에 대하여 진동식으로 설치된다.
- 탄성 부재는 제2 다이어프램의 방사상 외부 둘레를 고정식 덮개 상에 지지 상태로 유지한다.
- 고정식 덮개는, 제2 압력 플레이트, 제2 마찰 디스크 및/또는 제2 다이어프램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환형부에 연결되는, 반응 플레이트 상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방사상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식 덮개의 환형부는 방사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환형부에 의해 연장된다.
- 고정식 덮개의 방사상 부분에 카운터-램프가 마련된다.
- 이동식 덮개는, 방사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연장되고 제1 다이어프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에 의해 연장되는, 고정식 덮개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제1 압력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는 방사상 외측부를 포함한다.
- 상기 이동식 부재들의 램프들과 연관 카운터-램프의 각도는 2∼20°이다.
- 검출 부재는 상응하는 마모 보정 부재의 방사방향으로 외부에 위치한다.
-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텐션 스프링과 같은 제1 탄성 부재는 한편으로 검출 부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고정식 덮개 또는 제2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다.
- 예를 들어 핀형 스프링과 같은 제2 탄성 부재는 각각의 검출 부재와 상응하는 보정 부재 사이에 설치된다.
- 제1 탄성 부재는 제2 탄성 부재에 의해 인가되는 접선방향 또는 원주방향 하중보다 큰 접선방향 또는 원주방향 하중을 인가한다.
- 제1 탄성 부재의 길이는, 예를 들어 120°정도의 큰 각도 범위에서 검출 부재의 변위를 일으킬 수 있도록 크다.
- 각각의 압박 부재는 축방향 하중을 인가하는 탄성 탭의 형태로 존재한다.
- 압박 부재는, 제1 단부에서 고정식 덮개에 고정되고, 제2 단부에서 상응하는 마모 검출 부재 및 보정 부재 상에, 예를 들어 제1 이동식 검출 및 보정 부재 상에 베어링 지지될 수 있어, 카운터-램프 상에 지지되는 램프를 제약한다.
- 압박 부재는, 제1 단부에서 압력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제2 단부에서 상응하는 마모 검출 부재 및 보정 부재 상에, 예를 들어 제2 이동식 검출 및 보정 부재 상에 베어링 지지될 수 있어, 카운터-램프 상에 지지되는 램프를 제약한다.
- 베어링 부재는 상기 탄성 탭의 제2 단부에 고정된다.
- 베어링 부재는, 방사방향으로 상응하는 마모 검출 부재 및 보정 부재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방사방향으로 상기 이동식 부재들 사이의 중간에, 예컨대 리벳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부재의 나머지보다 더 큰 치수의 확대된 헤드를 형성하고 숄더부를 규정하는 원통형 제2 단부를 포함한다.
- 베어링 부재의 확대된 헤드는 이동식 덮개 또는 고정식 덮개의 방사상 표면에 베어링 지지될 수 있다.
- 베어링 부재의 확대된 헤드는 상응하는 압력 플레이트의 변위가 클 때, 즉 마찰 디스크의 라이닝 및/또는 연관되는 반응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의 대응 재료의 마모가 클 때 상응하는 방사상 면에 베어링 지지되도록 설계된다.
- 검출 부재 및 보정 부재는 이들이 방사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포함한다.
- 검출 부재 및 보정 부재는, 정면에서 보아, 상기 이동식 부재들이 방사 방향으로 서로 국소적으로 떨어져 있는 볼록부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갖는 대체로 원의 형태이고, 압박 부재는 상기 구역에서 상기 이동식 부재의 상응하는 단부들 상에 베어링 지지된다.
- 압박 부재는 검출 부재와 보정 부재 사이에 분배되는 압박력을 발휘하며, 축(X)을 따른 이 힘의 축방향 성분은 검출 부재와 보정 부재 사이에 위치된 적용 반경 상에 적용될 수 있다.
- 이동식 보정 부재 및 이동식 검출 부재는 동심이다.
- 대체로 원 형태의 검출 부재 및 보정 부재는, 상기 이동식 부재들이 방사 방향으로 국소적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볼록부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포함하고, 압박 부재는 상기 볼록부가 제공된 구역에서 이동식 부재들의 상응하는 단부 상에 베어링 지지된다.
- 압박 부재에 연결되는 베어링 부재의 단부는 상기 볼록부가 제공된 구역에 수용된다.
- 축방향 차지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의 이동식 보정 부재 및 검출 부재는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의 이동식 보정 부재 및 검출 부재의 방사방향으로 외부에 또는 방사방향으로 내부에 위치한다.
-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부재는 제1 다이어프램 및 제2 다이어프램을 축방향으로 가로지른다.
-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부재는 제1 다이어프램 및 이동식 덮개를 축방향으로 가로지른다.
-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부재는 제2 다이어프램 및 고정식 덮개를 축방향으로 가로지른다.
- 베어링 부재는 이중 클러치의 축을 따라 이동식 덮개에 대하여 또는 고정식 덮개에 대하여 자유도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 실시예로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의 교시에 의하여 보다 잘 이해되고 본 발명의 다른 상세 사항, 특징 및 이점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클러치의 사시도로서, 일부가 파단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은 이중 클러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클러치 장치의 축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클러치에 장착되거나 또는 제2 클러치에 장착된 검출 부재 및 보정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마모가 없을 때 제1 클러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마모의 경우 제1 클러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마모가 없을 때 제2 클러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마모의 경우 제2 클러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클러치의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제2 클러치의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제1 클러치의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제2 클러치의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2는 마모 없는 상태와 마모 있는 상태 사이에서 제1 다이어프램 및 이동식 덮개의 위치의 차이를 나타내는, 노말 오픈형의 제1 클러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3은, 제1 마찰 클러치, 제1 압력 플레이트 및/또는 반응 플레이트의 마모 없는 상태 및 마모 있는 상태에서, 도 22의 제1 다이어프램의 위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검출 부재 또는 보정 부재의 일부의 상세도이다.
도 25는 마모 없는 상태와 마모 있는 상태 사이에서 제2 다이어프램 및 제2 압력 플레이트의 위치의 차이를 나타내는, 노말 클로즈드형의 제2 클러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6은, 제2 마찰 클러치, 제2 압력 플레이트 및/또는 반응 플레이트의 마모 없는 상태 및 마모 있는 상태에서, 도 25의 제2 다이어프램의 위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7은 도 25의 검출 부재 또는 보정 부재의 일부의 상세도이다.
도 28 및 도 29는 각각 마모 없는 상태 및 마모 있는 상태에서 검출 부재 및 보정 부재에 대한 다이어프램의 위치를 도시한 세부의 개략도이다.
도 30은 상이한 기울기를 갖는 보조 램프를 구비한 검출 부재 및 보정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마모 보정 이중 클러치(1)가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기어 박스의 제1 및 제2 입력 샤프트(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엔진을 커플링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중 클러치의 축은 X로 표시된다. 이중 클러치는 기어 시프트가 상이한 (클러치 메카니즘이라고도 일컬어지는) 제1 및 제2 클러치(2a, 2b)를 포함한다.
제1 클러치(2a)는 제1 압력 플레이트(3a) 및 반응 플레이트(4)를 포함하고, 이들 사이에 제1 마찰 디스크(5a)가 연장된다. 제1 압력 플레이트(3a)는 반응 플레이트(4)에 회전 커플링되고 반응 플레이트(4) 상에서 제1 마찰 디스크(5a)를 조이거나 또는 제1 마찰 디스크(5a)를 방출하는 클러치 연결 위치와 클러치 분리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반응 플레이트에 대하여 병진 운동으로 움직인다.
반응 플레이트(4)는 고정식 덮개라 불리는 덮개(6) 상에 고정되고, 이 덮개 자체는 엔진 샤프트에 커플링되도록 설계된다. 제1 마찰 디스크(5a)는 기어 박스의 제1 입력 샤프트에 거플링되도록 설계된다. 이렇게, 제1 클러치(2a)의 클러치 연결 위치에서, 엔진 샤프트는 기어 박스의 제1 입력 샤프트에 커플링된다.
제1 압력 플레이트(3a)는 전방으로 연장되고 반응 플레이트(4) 및 고정식 덮개(6)에 대하여 병진 운동으로 이동식 덮개(7) 상에 고정된다. 제1 압력 플레이트(3a)와 반응 플레이트(4) 사이에 제1 탄성 복원 탭(8a)이 설치된다.
제1 클러치(2a)는 탄성 환형 금속 시트의 형태로 존재하는 제1 다이어프램(9a)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동식 덮개(7)의 지지부(10)를 중심으로 하여 진동하도록 설치된다.
제1 클러치(2a)의 제어는 전형적으로는 제1 다이어프램(9a)의 방사상 내부 둘레와 협력하는 제1 클러치 베어링(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제1 다이어프램(9a)은 이동식 덮개(7)를 매개로 하여 제1 압력 플레이트(3a)에 제1 클러치 베어링에 의하여 인가되는 힘을 전달하는 레버를 형성한다.
제1 마찰 디스크(3a)를 효과적으로 조일 수 있기 위하여, 제1 다이어프램(9a)은 휴지 상태에서 전부하(preload)를 받는다. 이러한 전부하가 없으면, 제1 다이어프램(9a)은 휴지 상태에서 제1 마찰 디스크(3a)에 효율적인 조임 하중을 인가하기 위하여 비교적 큰 제1 클러치 베어링의 코스 개시를 필요로 하는 탄성 상태에 있게 된다. 제1 클러치 베어링이 가동될 때, 이것은 상기 제1 마찰 디스크(3a)의 조임이 시작되기 전에 상기 제1 다이어프램(9a)의 전부하와 평형을 이룬다. 제1 다이어프램(9a)의 전부하는, 제1 마찰 디스크(3a)를 조이기 위하여 제1 클러치 베어링이 접근하는 코스를 줄일 수 있게 하고, 예컨대 제1 클러치 베어링의 볼베어링 및 이중 클러치(1)를 지지하는 볼베어링 상에 항상 최소의 전부하 하중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의 수명이 증가하고 이중 클러치(1)의 바이브레이션이 제한된다.
제1 클러치(2a)는 노말 오픈형이다. 따라서, 제1 다이어프램(9a)의 휴지 위치는 제1 클러치(2a)의 클러치 분리 상태에 상응한다. 제1 다이어프램(9a)은 바람직하게는 제1 다이어프램(9a)을 그 휴지 위치를 향해 복원시킬 수 있는 접시 스프링 와셔형의 부분을 구비한다.
제1 다이어프램(9a)의 휴지 위치에서, 즉 제1 베어링이 제1 다이어프램(9a)에 하중을 전혀 또는 거의 인가하지 않을 때, 제1 다이어프램(9a)은 제1 압력 플레이트(3a) 상에 하중을 전혀 (또는 거의) 인가하지 않는다. 제1 압력 플레이트(3a)는 탄성 탭(8a)을 매개로 하여 반응 플레이트(4)로부터 떨어짐으로써 제1 마찰 디스크(5a)를 풀어준다.
제2 클러치(2b)는, 제2 압력 플레이트(3b), 및 반응 플레이트(4)와 제2 압력 플레이트(3b) 사이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마찰 디스크(5b)를 포함한다. 이로써, 2개의 클러치(2a, 2b)에 대하여 동일한 반응 플레이트(4)가 사용되고, 각각의 마찰 디스크(5a, 5b)는 반응 플레이트(4)의 두 방사상 지지면들 중 하나의 측부에 배치된다. 제2 압력 플레이트(3b)와 반응 플레이트(4) 사이에 제2 탄성 복원 탭(8b)이 설치된다.
제2 압력 플레이트(3b)는 반응 플레이트(4)에 회전 커플링되고 상기 반응 플레이트(4) 상에서 제2 마찰 디스크(5b)가 조여지거나 또는 제2 마찰 디스크(5b)가 풀리는 클러치 연결 위치와 클러치 분리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반응 플레이트에 대하여 병진 운동으로 움직인다.
제2 마찰 디스크(5b)는 기어 박스의 제2 입력 샤프트에 커플링된다. 이로써, 제2 클러치(2b)의 클러치 연결 위치에서, 엔진 샤프트는 기어 박스의 제2 입력 샤프트에 커플링된다.
제2 클러치(2b)는 탄성 환형 금속 시트의 형태로 존재하는 제2 다이어프램(9b)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것의 방사상 외부 둘레는 고정식 덮개에 대하여 진동식으로 설치된다. 탄성 부재(11)는 제2 다이어프램의 방사상 외부 둘레(12)를 상기 고정식 덮개(6) 상에 지지되는 유지한다(도 4).
제2 클러치(2b)의 제어는 전형적으로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하중 전달 장치를 매개로 하여 제2 다이어프램(9b)의 방사상 내부 둘레와 협력하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제2 클러치 베어링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제2 마찰 디스크(5b)를 효율적으로 조일 수 있기 위하여, 제2 다이어프램(9b)은 제2 압력 플레이트(3b)에 제2 클러치 베어링(20)에 의하여 인가되는 힘을 전달하는 레버를 형성한다.
제2 클러치(2b)도 노말 오픈형이다. 제2 다이어프램(9b)의 휴지 위치에서, 즉 제2 베어링이 제2 다이어프램(9b)에 하중을 전혀 또는 거의 인가하지 않을 때, 제2 다이어프램(9b)은 제2 압력 플레이트(3b) 상에 하중을 전혀 (또는 거의) 인가하지 않는다. 제2 압력 플레이트(3b)는 탄성 탭(8b)을 매개로 하여 반응 플레이트(4)로부터 떨어짐으로써 제2 마찰 디스크(3b)를 풀어준다.
고정식 덮개(6)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제2 압력 플레이트(3b), 제2 마찰 디스크(5b) 및/또는 제2 다이어프램(9b)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환형부(6b)에 연결되는, 반응 플레이트(4)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방사상 클램프(6a)를 포함한다. 상기 환형부(6b)는 방사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환형부(6c)에 의해 연장된다.
한편, 이동식 덮개(7)는, 방사방향으로 내부를 향해 연장되고 제1 다이어프램(9a)의 지지(10)에 기여하는 부분(7b)에 의해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압력 플레이트(3a)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고정식 덮개(6)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방사상 외측부(7a)를 포함한다.
제1 마찰 디스크(5a), 제1 압력 플레이트(3a) 및/또는 반응 플레이트(4)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하여, 제1 클러치(2a)에는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이 장착된다.
제1 클러치(2a)에 장착된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은 축방향으로 고정식 덮개(6)와 제1 다이어프램(9a) 사이에, 더 정확하게는 축방향으로 제1 다이어프램(9a)과 고정식 덮개(6)의 방사상 부분(6c) 사이에 삽입된다.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은, 제1 다이어프램(9a)을 지지할 수 있는 단부 및 직접 고정식 덮개(6)의 방사상 부분(6c)에 마련된 연관 카운터-램프(15a)와 협력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14a)를 포함한 단부를 갖는 고리의 형태로 존재하는 제1 이동식 보정 부재(13a)를 포함한다(예컨대 도 6 참조). 물론, 카운터-램프(15a)는 독립적인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고정식 덮개(6)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은, 제1 다이어프램(9a)을 지지할 수 있는 단부 및 직접 고정식 덮개(6)의 방사상 부분(6c)의 카운터-램프(15a)와 협력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17a)를 포함한 단부를 갖는 고리의 형태로 존재하는 제1 이동식 검출 부재(16a)를 또한 포함한다(예컨대 도 6 참조).
예컨대, 이동식 부재들(13a, 16a)의 램프(14a, 17a)와 고정식 덮개(6)의 카운터-램프(15a)의 각도는 2∼20°이다.
상기 2개의 이동식 부재들(13a, 16a)은 동심이고 서로 분리되며, 제1 검출 부재(16a)는 방사 방향으로 제1 마모 보정 부재(13a)의 외부에 위치한다. 변형예에서, 상기 이동식 부재들(13a, 16a)의 각각의 위치는 뒤바뀔 수 있다. 그러나, 이동식 부재들(13a, 16a)의 역전의 가능성은 메카니즘의 내부 아키텍쳐와 연관된다.
예컨대 스터드와 같은 센터링 수단이 이동식 부재들(13a, 16a)의 양호한 포지셔닝을 보장한다.
예컨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텐션 스프링과 같은 제1 탄성 부재(18a)가 제1 검출 부재(16a)와 고정식 덮개(6) 사이에 설치된다.
예컨대 핀형 스프링과 같은 제2 탄성 부재(19a)는 제1 검출 부재(16a)와 제1 보정 부재(13a) 사이에 설치된다.
제1 스프링(18a)의 길이는 큰 각도 범위(예컨대, 120°정도)에서 제1 검출 부재(16a)의 변위를 일으킬 수 있도록 크다.
제1 클러치(2a)는 또한 축 방향 하중을 인가하는 탄성 탭의 형태로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압박 부재(20a)(도 2)를 포함한다. 상기 탭(20a)은 제1 단부에서 고정식 덮개(6)에 고정되고 제2 단부에서 제1 검출 부재(16a) 상에 및 제1 마모 보정 부재(13a) 상에 베어링 지지될 수 있어, 이들을 고정식 덮개(6)의 방사부(6c) 상에 지지되도록 제약한다.
베어링 부재(21a)는 상기 탭(20a)의 제2 단부 상에 고정된다. 베어링 부재(21a)는 대체로 스터드 형태를 갖는다. 베어링(21a)의 스터디는 특히, 방사방향으로 제1 검출 부재(16a)와 제1 마모 보정 부재(13a)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방사방향으로 상기 이동식 부재들(13a, 16a) 사이의 중간에서 예를 들어 리벳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제1 단부(22a)(도 4), 및 상기 스터드(21a)의 나머지보다 더 큰 치수의 확대된 헤드를 형성하고 숄더부를 규정하는 원통형 제2 단부(23a)를 포함한다. 베어링 부재(21a)는 이동식 덮개(7)의 구멍을 관통하고 이동식 덮개(7)에 마련된 카운터 싱크(24)에 의해 형성되는 방사상 바닥면 위에 베어링 지지될 수 있다.
특히, 베어링 부재(21a)의 확대된 헤드(23a)는 제1 압력 플레이트(3a)의 변위가 클 때, 즉 제1 마찰 디스크(5a)의 라이닝 및/또는 반응 플레이트(4)와 제1 압력 플레이트(3a)의 대응 재료의 마모가 클 때 상응하는 카운터 싱크(24)의 바닥면에 베어링 지지되도록 설계된다.
방사방향으로 상기 이동식 부재들(13a, 16a) 사이에서 상기 탭(20a) 상에 베어링 부재(21a)의 제1 단부(22a)를 고정시킬 수 있기 위해서, 이들 이동식 부재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이 서로 떨어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식 부재들(13a, 16a)은, 정면에서 보아, 상기 이동식 부재들(13a, 16a)이 방사 방향으로 서로 국소적으로 떨어져 있는 볼록부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구역(25)을 갖는 대체로 원의 형태이고, 상기 탭(20a)의 제2 단부는 상기 구역(25) 중 하나에서 상기 이동식 부재들(13a, 16a)의 상응하는 제2 단부들 상에 베어링 지지된다. 도 5에서는, 3개의 구역(25)이 도시되어 있고, 제1 클러치는 각각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은 구조의 베어링 부재(21a)를 구비하는 3개의 탭(2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개의 구역(25)은 원주 전체에 걸쳐 규칙적으로 분포되므로 120°의 각도를 이루어 어긋나 있다.
이제,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은, 제1 마찰 디스크(5a)의 라이닝이 전혀 또는 거의 마모되지 않은 경우 및 제1 압력 플레이트(3a) 및 반응 플레이트(4)의 대응 재료가 마모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축적된 축방향 마모가 0.05 mm 미만인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클러치 연결된 위치에서 그리고 마모가 없을 때, 제1 다이어프램(9a)은 제1 보정 부재(13a) 상에 베어링 지지되어, 탄성 복원 수단(8a)에 대항하여 제1 압력 플레이트(3a)를 다시 밀어낸다. 따라서 제1 압력 플레이트(3a) 및 상응하는 반응 플레이트(4)(축방향으로 고정됨)는 라이닝을 갖는 제1 마찰 디스크(5a)를 조인다. 이 위치에서, 베어링 부재(21a)의 헤드(23a)는 이동식 덮개(7)의 카운터 싱크(24)의 바닥면과 같은 높이에 이른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클러치 분리된 위치에서 그리고 마모가 없을 때, 제1 다이어프램(9a)은 제1 검출 부재(16a) 상에 베어링 지지되고, 제1 다이어프램(9a)과 제1 보정 부재(13a)의 상응하는 단부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그래서, 현저한 마모가 없는 경우, 탄성 탭(20a)의 제2 단부 및/또는 제1 다이어프램(9a)은, 제1 클러치(2a)의 작동 단계(클러치 연결/클러치 분리)가 무엇이든, 제1 검출 부재(16a) 및 제1 보정 부재(13a)를 고정식 덮개(6) 상에 지지하여 유지하는 것이 확인된다. 이 경우, 상기 이동식 부재들(13a, 16a)과 고정식 덮개(6) 사이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 토크는 스프링(18a, 19a)에 의해 인가되는 토크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이동식 부재들(13a, 16a)은, 제1 클러치(2a)의 작동 단계가 무엇이든, 고정식 덮개(6)에 대한 회전이 부동화된다.
도 8 내지 도 11은 제1 마찰 디스크(5a)의 라이닝이 (또는 제1 압력 플레이트(3a) 및 반응 플레이트(4)의 대응 재료가) 크게 마모되어 제1 클러치(2a)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상이 필요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부재(21a)의 헤드(23a)는 완전히 클러치 연결된 위치에서 이동식 덮개(7)의 카운터 싱크(24)의 바닥면 상에 베어링 지지되어, 탄성 탭(20a)의 제2 단부가 제1 검출 부재(16a)의 상응하는 제2 단부로부터 떨어진다. 따라서, 제1 검출 부재(16a)의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탭(20a)의 제2 단부 사이에 간극(j1)이 형성된다.
그래서, 특히 제1 압박 부재(20a)가 제1 검출 부재(16a)의 상응하는 제2 단부 상에 지지될지라도 제1 압박 부재(20a)와 제1 마모 보정 부재(13a)의 상응하는 제2 단부 사이에 축방향 간극이 존재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제1 검출 부재(16a)의 단부 및 제1 검출 부재(16a)의 제2 단부가 혼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보정 부재(13a)의 단부와 제1 보정 부재(13a)의 제2 단부가 혼용될 수 있다.
이렇게, 축방향 하중을 더 이상 받지 않는 제1 검출 부재(16a)는, 제1 탄성 부재(18a)에 의해 회전 연동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간극(j1)을 메운다(도 9). 이 회전 동안, 제2 탄성 부재(19a)는 구속된다.
제1 검출 부재(16a)의 회전은, 예를 들어 제1 검출 부재(16a)의 상응하는 제2 단부가 다시 상기 탭(20a)의 제2 단부 상에 베어링 지지될 때, 정지된다. 이 단계 동안, 제1 보정 부재(13a)는 제1 다이어프램(9a)에 의해 고정식 덮개(6) 상에 지지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부재는 고정식 덮개(6)에 대한 회전이 부동화된다.
이어지는 클러치 분리 단계 동안, 제1 다이어프램(9a)은 제1 보정 부재(13a)로부터 제1 검출 부재(16a)로 그 지지를 이전한다. 도 10 및 도 11은 이러한 이전 동안 이들 요소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클러치 분리 동안, 제1 압력 플레이트(3a)가 상응하는 복원 탭(8a)을 매개로 하여 반응 플레이트(4)로부터 떨어져, 제1 마찰 디스크(5a)를 방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이어프램(9a)은 완전히 클러치 분리된 위치에 있을 때, 제1 보정 부재(13a)를 완전히 방출한다. 이 위치에서, 제1 검출 부재(16a)는 제1 다이어프램(9a) 및 고정식 덮개(6) 상에 지지됨으로써 회전이 고정되어 유지된다. 한편, 베어링 부재(21a)의 헤드(23a)는 이동식 덮개(7)의 카운터 싱크(24)의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지고 이동식 탭(20a)의 제2 단부는 제1 보정 부재(13a)의 상응하는 제2 단부에 대하여 간극(j2) 만큼 떨어진다.
따라서, 제2 탄성 부재(19a)에 의해 구속되는 제1 보정 부재(13a)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연동되어, 상기 제1 보정 부재(13a)와 상기 탭(20a) 사이의 간극(j2)의 전부 또는 일부를 메운다.
고정식 덮개(6)에 대한 제1 보정 부재(13a)와 제1 검출 부재(16a)의 피봇은, 램프(14a, 17a) 및 카운터-램프(15a)를 매개로 하여, 상기 부재들(13a, 16a) 상의 제1 다이어프램(9a)의 지지 구역과 고정식 덮개(6)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제1 마찰 디스크(5a)의 라이닝의 마모 및/또는 제1 압력 플레이트(3a)와 반응 플레이트(4)의 대응 재료의 마모가 점진적으로 보상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또한, 일정한 전부하 하중이 유지되고 기계적 응력이 감소되도록, 제1 다이어프램(9a)의 작동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제2 마찰 디스크(5b), 제2 압력 플레이트(3b) 및/또는 반응 플레이트(4)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하여, 제2 클러치(2b)에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이 장착된다.
제2 클러치(2b)에 장착되는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은 축방향으로 제2 다이어프램(9b)과 제2 압력 플레이트(3b) 사이에 삽입된다.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은, 제2 다이어프램(9b)이 베어링 지지될 수 있는 단부 및 직접 제2 압력 플레이트(3b) 상에 마련된 연관 카운터-램프(15b)와 협력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14b)를 포함한 단부를 포함하는 고리의 형태로 존재하는 제2 이동식 보정 부재(13b)를 포함한다.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은, 제2 다이어프램(9b)이 베어링 지지될 수 있는 단부 및 제2 압력 플레이트(3b)의 카운터-램프(15b)와 협력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17b)를 포함한 단부를 포함하는 고리의 형태로 존재하는 제2 이동식 검출 부재(16b)를 또한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이동식 부재들(13b, 16b)의 램프(14b, 17b)와 제2 압력 플레이트(3b)의 카운터-램프(15b)의 각도는 2∼20°이다.
상기 2개의 이동식 부재들(13b, 16b)은 동심이고 예를 들어 센터링 및 이격 스터드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2 이동식 검출 부재(16b)는 방사 방향으로 상응하는 제2 이동식 보정 부재(13b)의 외부에 위치한다. 변형예에서, 상기 이동식 부재들(13b, 16b)의 각각의 위치는 뒤바뀔 수 있다.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텐션 스프링(18b)이 제2 검출 부재(16b)와 제2 압력 플레이트(3b) 사이에 설치된다.
예컨대 핀형 스프링과 같은 제2 스프링(19b)은 제2 검출 부재(16b)와 제2 보정 부재(13b) 사이에 설치된다.
제1 스프링(18b)의 길이는 큰 각도 범위(예컨대, 120°정도)에서 제2 검출 부재(16b)의 변위를 일으킬 수 있도록 크다.
제2 클러치(2b)는 또한 축 방향 하중을 인가하는 탄성 탭의 형태로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압박 부재(20b)를 포함한다. 상기 탭(20b)은 제1 단부에서 압력 플레이트(3b)에 고정되고 제2 단부에서 제2 검출 부재(16b)의 상응하는 제2 단부 상에 베어링 지지되어, 이것을 제2 압력 플레이트(3b) 상에 지지되도록 제약한다.
베어링 부재(21b)는 상기 탭(20b)의 제2 단부 상에 고정된다. 베어링 부재(21b)는 대체로 스터드 형태를 갖는다. 베어링(21b)의 스터디는 특히, 방사방향으로 제2 검출 부재(16b)와 제2 마모 보정 부재(13b)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방사방향으로 상기 이동식 부재들(13b, 16b) 사이의 중간에서 예를 들어 리벳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제1 단부(22b), 및 상기 스터드(21b)의 나머지보다 더 큰 치수의 확대된 헤드를 형성하고 숄더부를 규정하는 원통형 제2 단부(23b)를 포함한다. 베어링 부재(21b)는 고정식 덮개(6)의 구멍을 관통하고 고정식 덮개(6)의 방사상 면 위에 베어링 지지될 수 있다.
특히, 베어링 부재(21b)의 확대된 헤드(23b)는 제2 압력 플레이트(3b)의 변위가 클 때, 즉 제2 마찰 디스크(5b)의 라이닝 및/또는 반응 플레이트(4)와 제2 압력 플레이트(3b)의 대응 재료의 마모가 클 때 상응하는 방사상 면에 베어링 지지되도록 설계된다.
이제,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 및 도 13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은, 제2 마찰 디스크(5b)의 라이닝이 전혀 또는 거의 마모되지 않은 경우 및 연관된 제2 압력 플레이트(3b) 및 반응 플레이트(4)의 대응 재료가 마모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축적된 축방향 마모가 0.05 mm 미만인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는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클러치 연결된 위치에서 그리고 마모가 없을 때, 제2 다이어프램(9b)은 제2 보정 부재(13b) 상에 베어링 지지되어, 탄성 복원 수단(8b)에 대항하여 제2 압력 플레이트(3b)를 다시 밀어낸다. 따라서 제2 압력 플레이트(3b) 및 상응하는 반응 플레이트(4)(축방향으로 고정됨)는 라이닝을 갖는 제2 마찰 디스크(5b)를 조인다. 이 위치에서, 베어링 부재(21b)의 헤드(23b)는 고정식 덮개(6)의 방사상 면과 같은 높이에 이른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클러치 분리된 위치에서 그리고 마모가 없을 때, 제2 다이어프램(9b)은 제2 검출 부재(16b) 상에 베어링 지지되고, 제2 다이어프램(9b)과 제2 보정 부재(13b)의 상응하는 단부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그래서, 현저한 마모가 없는 경우, 탄성 탭(20b)의 제2 단부 및/또는 제2 다이어프램(9b)은, 제2 클러치(2b)의 작동 단계(클러치 연결/클러치 분리)가 무엇이든, 제2 검출 부재(16b) 및 제2 보정 부재(13b)를 제2 압력 플레이트(3b) 상에 지지하여 유지하는 것이 확인된다. 이 경우, 상기 이동식 부재들(13b, 16b)과 제2 압력 플레이트(3b) 사이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 토크는 스프링(18b, 19b)에 의해 인가되는 토크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이동식 부재들(13b, 16b)은, 제2 클러치(2b)의 작동 단계가 무엇이든, 제2 압력 플레이트(3b) 대한 회전이 부동화된다.
도 14 내지 도 17은 제2 마찰 디스크(5b)의 라이닝이 (또는 제2 압력 플레이트(3b) 및 반응 플레이트(4)의 대응 재료가) 크게 마모되어 제2 클러치(2b)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상이 필요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부재(21b)의 헤드(23b)는 완전히 클러치 연결된 위치에서 고정식 덮개(6)의 방사상 면에 베어링 지지되어, 탄성 탭(20b)의 제2 단부가 제2 검출 부재(16b)의 상응하는 제2 단부로부터 떨어진다. 따라서, 제2 검출 부재(16b)의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탭(20b)의 제2 단부 사이에 간극(j'1)이 형성된다.
어떤 경우에는 제2 검출 부재(16b)의 단부 및 제2 검출 부재(16b)의 제2 단부가 혼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보정 부재(13b)의 단부와 제2 보정 부재(13b)의 제2 단부가 혼용될 수 있다.
이렇게, 축방향 하중을 더 이상 받지 않는 제2 검출 부재(16b)는, 제1 탄성 부재(18b)에 의해 회전 연동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간극(j'1)을 메운다(도 9). 이 회전 동안, 제2 탄성 부재(19b)는 구속된다.
제2 검출 부재(16b)의 회전은, 예를 들어 제2 검출 부재(16b)의 상응하는 제2 단부가 다시 상기 탭(20b)의 제2 단부 상에 베어링 지지될 때, 정지된다. 이 단계 동안, 제2 보정 부재(13b)는 제2 다이어프램(9b)에 의해 제2 압력 플레이트(3b) 상에 지지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부재는 제2 압력 플레이트(3b)에 대한 회전이 부동화된다.
이어지는 클러치 분리 단계 동안, 제2 다이어프램(9b)은 제2 보정 부재(13b)로부터 제2 검출 부재(16a)로 그 지지를 이전한다. 도 15 및 도 16은 이러한 이전 동안 이들 요소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클러치 분리 동안, 제2 압력 플레이트(3b)가 상응하는 복원 탭(8b)을 매개로 하여 반응 플레이트(4)로부터 떨어져, 제2 마찰 디스크(5b)를 방출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다이어프램(9b)은 완전히 클러치 분리된 위치에서, 제2 보정 부재(13b)를 완전히 방출한다. 이 위치에서, 제2 검출 부재(16b)는 제2 다이어프램(9b) 및 제2 압력 플레이트(3b) 상에 지지됨으로써 회전이 고정되어 유지된다. 한편, 베어링 부재(21b)의 헤드(23b)는 고정식 덮개(6)의 방사상 면으로부터 떨어지고 이동식 탭(20b)의 제2 단부는 제2 보정 부재(13b)의 상응하는 제2 단부에 대하여 간극(j'2) 만큼 떨어진다.
따라서, 제2 탄성 부재(19b)에 의해 구속되는 제2 보정 부재(13b)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연동되어, 상기 제2 보정 부재(13b)와 상기 탭(20b) 사이의 간극(j'2)의 전부 또는 일부를 메운다.
제2 압력 플레이트(3b)에 대한 제2 보정 부재(13b)와 제2 검출 부재(16b)의 피봇은, 램프(14b, 17b) 및 카운터-램프(15b)를 매개로 하여, 상기 부재들(13b, 16b) 상의 제2 다이어프램(9b)의 지지 구역과 제2 압력 플레이트(3b)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써 제2 마찰 디스크(5b)의 라이닝의 마모 및/또는 제2 압력 플레이트(3b)와 반응 플레이트(4)의 대응 재료의 마모가 점진적으로 보상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또한, 일정한 전부하 하중이 유지되고 기계적 응력이 감소되도록, 제2 다이어프램(9b)의 작동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개시한 실시형태 각각에서, [탄성 탭(8a, 8b)에 의해 형성되는] 압력 플레이트(3a, 3b)의 복원 수단은 큰 하중을 발휘할 수 있고, 이 하중은, 상기 다이어프램(9a, 9b)의 위치에 따라, 상응하는 이동식 보정 부재(13a, 13b)에 의해, 이어서 상응하는 다이어프램(9a, 9b) 또는 상응하는 이동식 검출 부재(16a, 16b)에 의해, 이어서 상응하는 다이어프램(9a, 9b)에 의해 인계된다. 실제로, 상기 이동식 부재들(13a, 13b, 16a, 16b)은 그 변위 동안 압력 플레이트(3a, 3b)의 복원 수단(8a, 8b)에 의해 인가되는 하중을 받지 않으므로, 마모의 경우 스프링(18a, 18b, 19a, 19b)에 의해 용이하게 그 변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탭(8a, 8b)이 큰 강성을 갖는 것과 같이, 큰 하중을 발휘하는 압력 플레이트(3a, 3b)의 복원 수단(8a, 8b)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축방향 바이브레이션의 전달을 제한하여 펌핑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박 부재를 형성하는 탭(20a, 20b)은 각각 고정식 덮개(6) 및 압력 플레이트(3b)에 고정되므로 작동시 클러치 연결 및 클러치 분리 사이클로 인한 피로 현상을 겪지 않는다.
도 18 및 도 19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변형에에 따르면, 각각의 베어링 부재(21a, 21b)는 상응하는 탄성 탭(20a, 20b)의 제2 단부에 축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단부(22a, 22b)에 상기 탄성 탭(20a, 20b)의 베어링 부재(21a, 21b)를 고정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다. 이 경우, 상기 베어링은 마모의 경우 베어링 부재(21a, 21b)에 의해 상응하는 검출 부재(16a, 16b)로부터 탭(20a, 20b)의 제2 단부를 떼어낼 수 있도록 배향된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다른 변형에에 따르면, 각각의 베어링 부재(21a, 21b)의 제1 단부(23a, 23b)는 각각 이동식 덮개(7) 또는 고정식 덮개(6)에 대하여 고정되고, 각각의 베어링 부재(21a, 21b)의 제2 단부(22a, 22b)는 상응하는 탄성 탭(20a, 20b)의 제2 단부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설계된다.
한편으로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을 제1 다이어프램(9a)과 고정식 덮개(6) 사이에 포지셔닝하고,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을 제2 다이어프램(9b)과 제2 압력 플레이트(3b) 사이에 포지셔닝하는 것은, 이중 클러치(1)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어, 이것의 방사상 차지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을 작동시 변형을 적게 받는 부재들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수단의 작동을 더 잘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동식 부재들(13a, 13b, 16a, 16b)의 위치가 더 잘 제어된다.
한편, 검출 부재와 보정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구역에서 각각의 베어링 부재(21a, 21b)가 상응하는 탭(20a, 20b)의 제2 단부에 연결되므로, 이 제2 단부의 변형을 최대로 감소시킬 수 있어, 상이한 이동식 부재들(13a, 13b, 16a, 16b)의 축방향 위치를 최선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하여 마모의 보정도 최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마모의 모든 과잉 보상 또는 과소 보상이 방지 또는 제한된다.
본 발명은 또한 노말 클로즈드형 클러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클러치, 특히 상기 개시된 것, 즉 노말 오픈형과 유사한 제1 클러치(2a)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제1 다이어프램(9a) 상에서 보정 부재(13a) 및 검출 부재(16a)의 지지부는 P1으로 규정한다. 어림잡아, 이 지지부 P1은 제1 다이어프램(9a) 상의 보정 부재(13a) 및 검출 부재(16a)의 실제 지지부 사이의 방사상 중간에서 선택된다.
이동식 덮개(7) 상의 제1 다이어프램(9a)의 지지부는 P2로 규정한다.
제1 다이어프램(9a)의 방사상 내부 둘레 상의 클러치 베어링의 지지부는 P3으로 규정하며, 상기 클러치 베어링은 도 22에 화살표로 지시되는 하중 F1을 인가한다.
지점 P2는 지점 P1의 방사상 외부에 위치하고 지점 P1은 지점 P3의 방사상 외부에 위치한다.
이동식 덮개(7) 및 제1 다이어프램(9a)은, 그 클러치 분리 위치에서, 제1 마찰 디스크(5a), 제1 압력 플레이트(3a) 및 반응 플레이트(4)가 마모되지 않은 상태(실선) 및 마모된 상태(점선)로 도시되어 있다.
도 23도 또한 마모되지 않은 상태(실선) 및 마모된 상태(점선)에서의 제1 다이어프램(9a)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마모된 경우 및 마모가 없는 경우에서의 점 P2 사이의 축방향 거리는 u1으로 표시되는 실제의 최대 마모를 나타낸다. 마모된 경우 및 마모가 없는 경우에서의 점 P1 사이의 축방향 거리는 h1으로 표시된다. h1 값은 이하의 관계식으로 정의된다.
Figure pat00003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마모의 보정을 실행하기 위하여, 제1 마찰 디스크(5a), 제1 압력 플레이트(3a) 및/또는 반응 플레이트(4)가 마모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그 위치와 마모된 경우에서의 그 위치 사이에서 제1 다이어프램(9a)의 위치의 변동을 고려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를 위하여,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 부재(13a) 및 검출 부재(16a)에는 각각, 제1 다이어프램(9a)의 방향으로 배향되고 주 램프라고 수식될 수 있는 램프(14a, 17a)의 반대쪽에 보조 램프(26a)가 마련된다. 압박 부재(20a)는 보조 램프(26a) 상에 베어링 지지되도록 설계된다. 마모됨에 따라, 보정 부재(13a) 및 검출 부재(16a)는 주 램프(14a, 17a)가 연관 카운터-램프(15a)에 대하여 활주하도록 그 축(X)을 중심으로 피봇한다. 마찬가지로, 압박 부재(20a)는 마모가 없는 경우 이것이 위치하는 지점 A1로부터 제1 마찰 디스크(5a), 제1 압력 플레이트(3a) 및/또는 반응 플레이트(4)가 최대로 마모된 경우 이것이 위치하는 지점 B1까지 활주한다. 압박 부재(20a)의 변위 방향은 도 24에서 화살표로 표시된다.
보조 램프(26a)는 제1 다이어프램(9a)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보정 부재(13a) 또는 검출 부재(16a)의 단부(27a)에 대한 보강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보조 램프(26a)는 주 램프(14a, 17a)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다시 말해서, 지점 A1은 제1 다이어프램(9a) 또는 상기 단부(27a)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지점 B1은 제1 다이어프램(9a) 또는 상기 단부(27a)에 가까이 위치한다.
지점 A1과 B1 사이의 축방향 거리 x는 이하의 관계식을 입증한다.
Figure pat00004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클러치, 특히 상기 개시된 것과 상이한 제2 클러치(2b), 즉 노말 오픈형 제2 클러치(2b)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제2 다이어프램(9b) 상에서 보정 부재(13b) 및 검출 부재(16b)의 지지부는 P'1으로 규정한다. 어림잡아, 이 지지부 P1은 제2 다이어프램(9b) 상의 보정 부재(13b) 및 검출 부재(16b)의 실제 지지부 사이의 방사상 중간에서 선택된다.
제2 압력 플레이트(3b) 상의 제2 다이어프램(9b)의 지지부는 P'2로 규정한다.
제2 다이어프램(9b)의 방사상 내부 둘레 상의 클러치 베어링의 지지부는 P'3으로 규정하며, 상기 클러치 베어링은 도 25에 화살표로 지시되는 하중 F2를 인가한다.
지점 P'2는 지점 P'1의 방사상 내부에 위치하고 지점 P'2은 지점 P'3의 방사상 외부에 위치한다.
제2 압력 플레이트(3b) 및 제2 다이어프램(9b)은, 그 클러치 분리 위치에서, 제2 마찰 디스크(5b), 제2 압력 플레이트(3b) 및 반응 플레이트(4)가 마모되지 않은 상태(실선) 및 마모된 상태(점선)로 도시되어 있다.
도 26도 마모되지 않은 상태(실선) 및 마모된 상태(점선)에서의 제2 다이어프램(9b)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마모된 경우 및 마모가 없는 경우에서의 점 P'2 사이의 축방향 거리는 u2로 표시되는 실제의 최대 마모를 나타낸다. 마모된 경우 및 마모가 없는 경우에서의 점 P'1 사이의 축방향 거리는 h2로 표시된다. h2 값은 이하의 관계식으로 정의된다.
Figure pat00005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마모의 보정을 실행하기 위하여, 제2 마찰 디스크(5b), 제2 압력 플레이트(3b) 및/또는 반응 플레이트(4)가 마모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그 위치와 마모된 경우에서의 그 위치 사이에서 제2 다이어프램(9b)의 위치의 변동을 고려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를 위하여,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 부재(13b) 및 검출 부재(16b)에는 각각, 제2 다이어프램(9b)의 방향으로 배향되고 주 램프라고 수식될 수 있는 램프(14b, 17b)의 반대쪽에 보조 램프(26b)가 마련된다. 압박 부재(20b)는 보조 램프(26b) 상에 베어링 지지되도록 설계된다. 마모됨에 따라, 보정 부재(13b) 및 검출 부재(16b)는 주 램프(14b, 17b)가 연관 카운터-램프(15b)에 대하여 활주하도록 그 축(X)을 중심으로 피봇한다. 마찬가지로, 압박 부재(20b)는 마모가 없는 경우 이것이 위치하는 지점 A2로부터 제2 마찰 디스크(5b), 제2 압력 플레이트(3b) 및/또는 반응 플레이트(4)가 최대로 마모된 경우 이것이 위치하는 지점 B2까지 활주한다. 압박 부재(20b)의 변위 방향은 도 27에서 화살표로 표시된다.
보조 램프(26b)는 제2 다이어프램(9b)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보정 부재(13b) 또는 검출 부재(16b)의 단부(27b)에 대한 보강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보조 램프(26b)는 주 램프(14b, 17b)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다시 말해서, 지점 A2는 제2 다이어프램(9b) 또는 상기 단부(27b)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지점 B2는 제2 다이어프램(9b) 또는 상기 단부(27b)에 가까이 위치한다.
지점 A2와 B2 사이의 축방향 거리 x는 이하의 관계식을 입증한다.
Figure pat00006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각각의 압박 부재(20a, 20b)는 축방향 하중을 발휘하는 탄성 탭의 형태로 존재한다. 예컨대 압박 부재(20a)의 경우, 이것은 제1 단부에서 보정 부재(13a) 및 검출 부재(16a)의 방사상 내부에 위치하는 구역에 있어서 고정식 덮개(6)에 고정된다.
도 28은 마모가 없을 때 압박 부재(20a) 및 보정 및 검출 부재(13a, 16a)의 위치를 도시한 것인 반면 도 29는 마모의 경우의 동일 부재들(20a, 13a, 16a)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압박 부재(20a)의 기울기는 마모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 확인된다. 보정 부재(13a) 상의 압박 부재(20a)의 지지 지점은 검출 부재(16a) 상의 압박 부재(20b)의 지지 지점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데, 이 오프셋은 부호 D로 표시된다. 이 오프셋(D)은 마모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 확인된다. 이 오프셋은 실제로 마모가 없는 경우보다 마모된 경우에 더 크다.
이 현상을 고려하기 위하여, 검출 부재(16a)의 보조 램프(26a)는 방사 평면에 대하여 기울기 α1을 가질 수 있는데, 이 기울기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 부재(13a)의 보조 램프(26a)의 상기 방사 평면에 대한 기울기 α2와 상이하다.
그래서, 해당 보조 램프(26a) 중 하나 및/또는 다른 하나의 x의 실제 값은 상기 관계식에 의해 주어지는 x의 이론 값과 다소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검출 부재(16a) 또는 보정 부재(13a)의 보조 램프(26a)의 x의 실제 값은 예컨대 상기 관계식에 의해 주어지는 x의 이론 값에 대하여 20% 전후로 상이할 수 있다.

Claims (10)

  1. 회전축(X)을 중심으로, 구동 샤프트에 회전 커플링되도록 설계된 반응 플레이트(4),
    피구동 샤프트에 커플링되도록 설계된, 마찰 라이닝을 구비한 마찰 디스크(5a, 5b),
    상기 반응 플레이트(4) 상에서 상기 마찰 디스크(5a, 5b)를 조이거나 풀도록 하는 방식으로 다이어프램(9a, 9b)에 의하여 가동되는 압력 플레이트(3a, 3b),
    상기 마찰 디스크(5a, 5b)의 마모를 보정할 수 있는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으로서, 상기 반응 플레이트(4)에 대하여 고정되는 부품(6), 예컨대 덮개(6)와 상기 압력 플레이트(3a, 3b) 사이에 삽입되는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로서,
    상기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은,
    상기 다이어프램(9a, 9b)과 상기 고정식 부품(6) 사이에 또는 상기 다이어프램(9a, 9b)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3a, 3b) 사이에 삽입되는 마모 보정 수단(13a, 13b)으로서, 소정 범위에서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보정 부재(13a, 13b)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식 부품(6) 또는 상기 압력 플레이트(3a, 3b) 측을 향한 카운터-램프(15a, 15b)와 협력하는 램프(14a, 14b)를 포함하여, 상기 다이어프램(9a, 9b)과 상기 고정식 부품(6)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다이어프램(9a, 9b)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3a, 3b)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카운터-램프(15a)에 대한 상기 램프(14a, 14b)의 위치에 따라 상응하는 마모를 보상하는 상기 마모 보정 수단(13a, 13b),
    마모의 경우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13a, 13b)를 변위시킬 수 있고 마모가 불충분한 때에는 이러한 변위를 방해할 수 있는 마모 검출 수단(16a, 16b)으로서, 이동식 보정 부재(13a, 13b)에 대하여 소정 범위에서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부재(16a, 16b)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식 부품(6) 또는 상기 압력 플레이트(3b) 측을 향한 카운터-램프(15a, 15b)와 협력하는 램프(17a, 17b)를 포함하는 상기 검출 수단,
    적어도 상기 검출 부재(16a, 16b)의 램프(17a, 17b)를 연관된 카운터-램프(15a, 15b)에 대하여 제약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박 부재(20a, 20b)로서, 마모가 검출될 때 상기 검출 부재(16a, 16b)를 방출하는 식으로 고정식 스토퍼(21a, 21b)와 협력할 수 있는 압박 부재(20a, 20b)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13a, 13b)는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13a, 13b)가 상기 다이어프램(9a, 9b)에 의하여 방출될 때 변위되도록 구동되고,
    상기 이동식 검출 부재(16a, 16b)는, 상기 이동식 검출 부재(16a, 16b)가 상기 압박 부재(20a, 20b)에 의하여 및 상기 다이어프램(9a, 9b)에 의하여 방출될 때, 변위되어 그 자신과 상기 압박 부재(20a, 20b) 사이의 간극(j1, j'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정하도록 구동되며,
    각각의 검출 부재(16a, 16b) 및 각각의 보정 부재(13a, 13b)가, 그 축(X)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는 고리의 형태로 존재하고, 상응하는 다이어프램(9a, 9b)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단부 및 고정식 덮개(6) 또는 제2 압력 플레이트(3b) 측에 연결되는 카운터-램프(15a, 15b)와 협력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14a, 14b)를 포함한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클러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 부재(16a, 16b) 및/또는 보정 부재(13a, 13b)가, 상응하는 압박 부재(20a, 20b)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보조 램프(26a, 26b)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램프(26a, 26b)가, 상기 검출 부재(16a, 16b) 또는 상기 보정 부재(13a, 13b)의 축(X)에 수직인 방사 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9a, 9b)은, 검출 부재(16a) 상에 그리고 보정 부재(13a) 상에 상기 다이어프램(9a, 9b)을 지지하는 구역의 방사상 외부에 위치하는 구역에서, 상응하는 압력 플레이트(3a, 3b) 상에 또는 상기 압력 플레이트(3a, 3b)에 연결된 부품(7) 상에 지지되고,
    상기 보조 램프(26a, 26b)는, 마모가 없을 때 압박 부재(20a, 20b)가 베어링 지지되는 제1 지점(A1, A2), 및 마찰 디스크(5a, 5b), 압력 플레이트(3a, 3b) 및/또는 연관된 반응 플레이트(4)가 완전히 마모된 상태에서 압박 부재(20b)가 베어링 지지되는 제2 지점(B1, B2)을 가지며,
    제1 및 제2 지점(A1, A2 ; B1, B2)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x라고 하면, x는 이하의 관계식으로 정의되고:
    Figure pat00007

    [상기 식에서:
    a는, 상응하는 다이어프램(9a, 9b) 상의 검출 부재(16a, 16b) 또는 보정 부재(13a, 13b)의 지지부와, 상응하는 압력 플레이트(3a, 3b) 상의 또는 상기 압력 플레이트(3a, 3b)에 연결된 부품(7) 상의 상기 다이어프램(9a, 9b)의 지지부 사이의 방사상 거리이고,
    b는, 상응하는 다이어프램(9a, 9b) 상의 검출 부재(16a, 16b) 또는 보정 부재(13a, 13b)의 지지부와, 상기 다이어프램을 가동시킬 수 있는 클러치 베어링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상기 다이어프램(9a, 9b)의 방사상 내부 구역 사이의 방사상 거리이며,
    u는 축 방향으로 마찰 디스크(5a, 5b), 압력 플레이트(3a, 3b) 및/또는 연관된 반응 플레이트(4)의 최대 마모임],
    상기 보조 램프(26a, 26b)의 기울기는 카운터-램프(15a, 15b)와 협력하는 상응하는 램프(14a, 14b, 17a, 17b)의 기울기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9a, 9b)은, 검출 부재(16a) 상에 그리고 보정 부재(13a) 상에 상기 다이어프램(9a, 9b)을 지지하는 구역의 방사상 내부에 위치하는 구역에서, 상응하는 압력 플레이트(3a, 3b) 상에 또는 상기 압력 플레이트(3a, 3b)에 연결된 부품(7) 상에 지지되고,
    상기 보조 램프(26a, 26b)는, 마모가 없을 때 압박 부재(20a, 20b)가 베어링 지지되는 제1 지점(A1, A2), 및 마찰 디스크(5a, 5b), 압력 플레이트(3a, 3b) 및/또는 연관된 반응 플레이트(4)가 완전히 마모된 상태에서 압박 부재(20a, 20b)가 베어링 지지되는 제2 지점(B1, B2)을 가지며,
    제1 및 제2 지점(A1, A2 ; B1, B2)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x라고 하면, x는 이하의 관계식으로 정의되고:
    Figure pat00008

    [상기 식에서:
    a는, 상응하는 다이어프램(9a, 9b) 상의 검출 부재(16a, 16b) 또는 보정 부재(13a, 13b)의 지지부와, 상응하는 압력 플레이트(3a, 3b) 상의 또는 상기 압력 플레이트(3a, 3b)에 연결된 부품(7) 상의 상기 다이어프램(9a, 9b)의 지지부 사이의 방사상 거리이고,
    b는, 상응하는 다이어프램(9a, 9b) 상의 검출 부재(16a, 16b) 또는 보정 부재(13a, 13b)의 지지부와, 상기 다이어프램을 가동시킬 수 있는 클러치 베어링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상기 다이어프램(9a, 9b)의 방사상 내부 구역 사이의 방사상 거리이며,
    u는 축 방향으로 마찰 디스크(5a, 5b), 압력 플레이트(3a, 3b) 및/또는 연관된 반응 플레이트(4)의 최대 마모임],
    상기 보조 램프(26a, 26b)의 기울기는 카운터-램프(15a, 15b)와 협력하는 상응하는 램프(14a, 14b, 17a, 17b)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부재(16a, 16b) 및 보정 부재(13a, 13b)는 동심이고, 압박 부재(20a, 20b)는 검출 부재(16a, 16b) 또는 이동식 보정 부재(13a, 13b)의 방사상 내부에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클러치 장치의 요소에 고정되며, 보정 부재(13a, 13b)의 보조 램프(26a, 26b)는 방사 평면에 대하여 기울기를 가지며 이 기울기는 검출 부재(16a, 16b)의 보조 램프(26a, 26b)의 상기 방사 평면에 대한 기울기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압박 부재(20a, 20b)에 연결된 베어링 부재(21a, 21b)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부재(21a, 21b)는 마모의 경우 압박 부재(20a, 20b)를 검출 부재(16a, 16b) 및/또는 보정 부재(13a, 13b)로부터 떼어 놓도록 설계되며, 상기 베어링 부재(21a, 21b)는 검출 부재(16a, 16b)와 보정 부재(13a, 13b) 사이에 방사상으로 위치하는 구역에서 압박 부재(20a, 20b)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21a, 21b)는, 검출 부재(16a, 16b)와 보정 부재(13a, 13b) 사이의 중간에 방사상으로 위치하는 구역에서, 압박 부재(20a, 20b)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부재(21a, 21b)는, 클러치 장치의 고정식 부품(6) 또는 이동식 부품(7)에 연결되는 단부(23a, 23b), 및 압박 부재(20a, 20b)에 연결되는 단부(2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탭(20a, 20b)을 포함하고, 이 탄성 탭의 일단부는 이동식 검출 부재(16a, 16b) 상에 또는 상응하는 이동식 보정 부재(13a, 13b) 상에 베어링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9a, 9b)은 완전히 클러치 연결된 위치에서는 이동식 검출 부재(16a, 16b)를 방출하고 이동식 보정 부재(13a, 13b)의 변위를 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다이어프램(9a, 9b)은 완전히 클러치 분리된 위치에서는 이동식 보정 부재(13a, 13b)를 방출하고 이동식 검출 부재(16a, 16b)의 변위를 방해하며, 다이어프램(9a, 9b)은 그 완전히 클러치 연결된 위치와 완전히 클러치 분리된 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상기 이동식 부재들(13a, 13b, 16a, 16b) 중 하나 위에 항상 베어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이중 클러치(1)로서,
    상기 이중 클러치는,
    구동 샤프트에 회전 커플링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반응 플레이트(4),
    각각 제1 및 제2 피구동 샤프트에 커플링되도록 설계된, 마찰 라이닝을 구비한 제1 및 제2 마찰 디스크(5a, 5b),
    상기 반응 플레이트(4)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마찰 디스크(5a, 5b)를 조이거나 풀도록 하는 방식으로 각각 제1 및 제2 다이어프램(9a, 9b)에 의하여 가동되는 제1 및 제2 압력 플레이트(3a, 3b)로서, 상기 제1 압력 플레이트(3a)는 상기 반응 플레이트(4)에 대하여 병진 운동하여 이동식 덮개(7)에 고정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식 덮개(7) 상에 상기 제1 다이어프램(9a)이 지지됨으로써 가동되는 제1 및 제2 압력 플레이트(3a, 3b),
    반응 플레이트(4)에 고정되고 제2 압력 플레이트(3b), 제2 마찰 디스크(5b) 및/또는 제2 다이어프램(9b)을 수용하는 고정식 덮개(6),
    제1 마찰 디스크(5a)의 마모를 보정할 수 있는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으로서, 제1 다이어프램(9a)과 고정식 덮개(6)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
    제2 마찰 디스크(5b)의 마모를 보정할 수 있는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으로서, 제2 다이어프램(9b)과 제2 압력 플레이트(3b)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과 상기 제2 마모 검출 및 보정 수단은, 각각
    상기 제1 다이어프램(9a)과 상기 고정식 덮개(6) 사이에 또는 상기 제2 다이어프램(9b)과 상기 제2 압력 플레이트(3b) 사이에 삽입되는 마모 보정 수단(13a, 13b)으로서, 소정 범위에서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보정 부재(13a, 13b)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식 덮개(6) 또는 상기 제2 압력 플레이트(3b) 측을 향한 카운터-램프(15a, 15b)와 협력하는 램프(14a, 14b)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다이어프램(9a)과 상기 고정식 덮개(6)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제2 다이어프램(9b)과 상기 제2 압력 플레이트(3b)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카운터-램프(15a)에 대한 상기 램프(14a, 14b)의 위치에 따라 상응하는 마모를 보상하는 상기 마모 보정 수단,
    마모의 경우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13a, 13b)를 변위시킬 수 있고 이 마모가 불충분한 때에는 이러한 변위를 방해할 수 있는 마모 검출 수단(16a, 16b)으로서, 이동식 보정 부재(13a, 13b)에 대하여 소정 범위에서 움직이는 적어도 하나의 검출 부재(16a, 16b)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식 덮개(6) 또는 상기 제2 압력 플레이트(3b) 측을 향한 카운터-램프(15a, 15b)와 협력하는 램프(17a, 17b)를 포함하는 상기 검출 수단,
    적어도 상기 검출 부재(16a, 16b)의 램프(17a, 17b)를 연관된 카운터-램프(15a, 15b)에 대하여 제약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박 부재(20a, 20b)로서, 마모가 검출될 때 상기 검출 부재(16a, 16b)를 방출하는 식으로 고정식 스토퍼(21a, 21b)와 협력할 수 있는 압박 부재(20a, 20b)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13a, 13b)는 상기 이동식 보정 부재(13a, 13b)가 상기 제1 다이어프램(9a)에 의하여 또는 제2 다이어프램(9b)에 의하여 방출될 때 변위되도록 구동되고,
    상기 이동식 검출 부재(16a, 16b)는, 상기 이동식 검출 부재(16a, 16b)가 상기 압박 부재(20a, 20b)에 의하여 및 상기 제1 다이어프램(9a) 또는 제2 다이어프램(9b)에 의하여 방출될 때, 변위되어 그 자신과 상기 압박 부재(20a, 20b) 사이의 간극(j1, j'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정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검출 부재(16a, 16b) 및/또는 보정 부재(13a, 13b)는 상응하는 압박 부재(20a, 20b)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보조 램프(26a, 26b)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램프(26a, 26b)는 상기 검출 부재(16a, 16b) 또는 상기 보정 부재(13a, 13b)의 축(X)에 수직인 방사 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클러치.
KR1020160157694A 2015-11-26 2016-11-24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 KR201700616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61425 2015-11-26
FR1561425A FR3044375B1 (fr) 2015-11-26 2015-11-26 Dispositif d'embrayage a rattrapage d'usur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613A true KR20170061613A (ko) 2017-06-05

Family

ID=5530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694A KR20170061613A (ko) 2015-11-26 2016-11-24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70061613A (ko)
CN (1) CN106907402B (ko)
FR (1) FR30443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0100B (zh) * 2017-06-29 2021-11-02 南京法雷奥离合器有限公司 用于离合器结构的盖、离合器机构和组装所述机构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40412C2 (de) * 1994-11-11 2002-11-14 Zf Sachs Ag Reibungskupplung mit automatischem Verschleißausgleich
BR9901492A (pt) * 1998-06-18 2000-01-04 Mannesmann Sachs Ag Módulo de placas de pressão..
DE10049649A1 (de) * 2000-10-07 2002-04-11 Zf Sachs Ag Druckplattenbaugruppe
DE102008044046B4 (de) * 2007-12-22 2022-06-09 Zf Friedrichshafen Ag Druckplattenbaugruppe, insbesondere für eine Reibungskupplung mit automatischem Verschleißausgleich
JP4967051B2 (ja) * 2010-08-20 2012-07-04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JP5963760B2 (ja) * 2010-11-19 2016-08-03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アー・ゲ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調整装置
KR101380145B1 (ko) * 2012-06-19 2014-04-02 주식회사 서진오토모티브 마찰클러치의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
DE102014207725A1 (de) * 2013-05-16 2014-11-20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Einhängesicherung einer Rollfeder in einer Kupplungsvorrichtung und Einhängeverfahren für (Roll-) Federn
FR3009592B1 (fr) * 2013-08-08 2015-07-31 Valeo Embrayages Dispositif d'embrayage a rattrapage d'usur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07402A (zh) 2017-06-30
CN106907402B (zh) 2020-08-07
FR3044375A1 (fr) 2017-06-02
FR3044375B1 (fr) 2017-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8998B1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클러치 장치
EP3524841B1 (en) Pneumatic clutch actuator
US8770366B2 (en) Friction clutch unit
EP2772658B1 (en) Clutch device
KR100516755B1 (ko) 마찰클러치
KR20140104432A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클러치
JPH0327768B2 (ko)
KR100481200B1 (ko) 마찰클러치
KR20140104431A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이중 클러치
JP2000205297A (ja) 過度調節保護の付いた自動調節摩擦クラッチ
US6050381A (en) Wear compensation mechanism for clutch mechanism
KR102303512B1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
US9593725B2 (en) Self-adjusting clutch reaction plate
JP2000179570A (ja)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US7066313B2 (en) Self-adjusting clutch
JPH09504355A (ja) 特に自動車用の摩擦クラッチ
KR20170061612A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
US5509518A (en) Diaphragm clutch assembly with wear compensator
KR20170061613A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
US6789656B2 (en) Clutch cover assembly
CN113027937A (zh) 摩擦离合器和离合器系统
US20140367218A1 (en) Friction clutch with readjustment device
JP4254303B2 (ja) 車両用摩擦クラッチ
JPH11173342A (ja)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JP6173319B2 (ja) ク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