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4432A -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클러치 - Google Patents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4432A
KR20140104432A KR1020147016060A KR20147016060A KR20140104432A KR 20140104432 A KR20140104432 A KR 20140104432A KR 1020147016060 A KR1020147016060 A KR 1020147016060A KR 20147016060 A KR20147016060 A KR 20147016060A KR 20140104432 A KR20140104432 A KR 20140104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diaphragm
ratchet
tab
displa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6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르베 모렐
크리스토프 달리앙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filed Critical 발레오 앙브라이아쥐
Publication of KR20140104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16D13/757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the adjusting device being located on or inside the clutch cover, e.g. acting on the diaphragm or on the pressure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클러치. 본 발명은 래칫 휠(56)을 작동시키는 래칫(60)을 포함하는 마모 보상 수단(33)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래칫은 덮개(8)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설계된 제어 스톱(66)을 포함하고, 다이아프램이 클러치 연결 위치 및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 사이에서 규정된 통상의 작동 구역 밖으로 변위될 때 상기 제어 스톱(66)이 상기 다이아프램에 의하여 상기 덮개(8)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래칫을 설계한다.

Description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클러치{CLUTCH WITH COMPENSATION FOR WEAR, NOTABLY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클러치 및 더 구체적으로는 마모 보상 이중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이중 클러치는 자동형일 수 있는 기어박스의 2개의 공축 입력축과 차량의 엔진축을 교대로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이중 클러치는 차량 바퀴로의 엔진 토크의 전달을 유지하면서 기어비를 변경할 수 있다. 실제로, 2개의 클러치는 각각 짝수 기어비 및 홀수 기어비와 연관된다. 기어비 변경시, 제 1 클러치는 클러치 연결해제되고 반면에 제 2 클러치는 클러치 연결되므로, 엔진 토크가 점진적으로 제 1 클러치에서 제 2 클러치로 전달될 수 있다.
각각의 클러치는 엔진축 및 덮개와 일체형으로 회전하는 압력 플레이트와 협력하도록 설계된 다이아프램을 포함하는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각각의 다이아프램은 휴지 위치 및 활성 위치 사이에서 상응하는 클러치 베어링에 의하여 변위할 수 있다. 클러치 유형에 따라, 다이아프램의 활성 위치는 엔진축과 기어박스의 결합 또는 결합 해제에 상응하고 다이아프램의 휴지 위치는 이들 축의 결합 해제 또는 결합에 상응한다. 따라서, 각각 노말 오픈형 클러치(normal open type clutch) 및 노말 클로즈형 클러치(normal close type clutch)라고 불린다.
클러치 베어링은 다이아프램에 소정의 힘을 인가하여 이것을 소정 거리로 변위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조종되는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응하는 다이아프램에 의하여 구동되는 각 클러치의 압력 플레이트는 상응하는 반응 플레이트 상에서 마찰 디스크를 조이도록 설계된다. 반응 플레이트는 각 클러치에 대하여 마련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는, 2개의 마찰 디스크 사이에 설치된, 2개의 클러치에 공통인 하나의 반응 플레이트가 이용된다.
각각의 마찰 디스크는 기어박스의 입력축에 회전 연결되고, 각각의 반응 플레이트는 엔진축에 연결된 플라이휠과 일체형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응하는 압력 플레이트와 반응 플레이트 사이에서 마찰 디스크가 조여짐으로써 엔진축과 기어박스의 입력축 사이에서 토크의 전달이 가능하다.
엔진의 이용은 마찰 디스크의 마찰 라이닝 및 연관된 압력 플레이트 및 반응 플레이트의 대응 소재의 마모를 유발한다. 이것은 연관된 반응 플레이트에 대한 각 압력 플레이트의 위치가 변화하여 마찰 디스크의 조임 하중이 변화하고 및/또는 접촉 지점 및 클러치 베어링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유발된다. 접촉 지점은 클러치의 클로징 동안 엔진 토크의 일부가 기어박스의 축으로 전달되기 시작하는 위치이다.
본 출원인 명의의 프랑스 공개 특허 제 2 847 626 호는 반응 플레이트에 고정된 덮개에 설치된 다이아프램과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는 마모 보상 수단이 장착된 클러치를 제안한다. 이들 마모 보상 수단은 압력 플레이트의 상보적 카운터 램프와 협력하는 원주상 램프를 갖는 링을 포함한다. 상기 램프를 갖는 링은 또한 다이아프램의 지지체의 역할을 하므로, 압력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링의 회전으로 카운터 램프에 대한 램프의 변위가 유발되고, 이로써 다이아프램, 덮개 및 반응 플레이트에 대한 압력 플레이트의 축방향 변위가 유발된다. 이렇게, 연관된 압력 플레이트와 반응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켜 압력을 보상한다.
톱니 부재가 또한 상기 램프를 갖는 링에 고정되어 상기 덮개에 고정된 카트리지 안에 설치된 웜(worm)과 맞물리는데, 이 톱니 부재는 웜에 대하여 수직이다.
상기 웜은 상기 덮개에 고정된 래칫(ratchet)과 협력하는 래칫 휠과 회전 연결된다. 상기 웜 및/또는 래칫 휠은 탄성 기구에 의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날개부에 축방향으로 부착된다.
래칫은, 마모의 경우 상기 래칫 휠의 회전을 회전 방향으로는 허용하고 상기 래칫 휠의 회전을 반대 회전 방향으로는 방해하도록 상기 래칫 휠의 톱니와 협력하는 제어 탭을 구비한 탄성 박층의 형태로 존재하며,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래칫의 복원 탭에 베어링 지지되어 그 작동 동안 제어 탭을 변위시킨다. 래칫은 다이아프램의 작동 동안 반응 플레이트에 대하여 고정 덮개 상에 베어링 지지되도록 설계된 제어 스톱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로써, 마모의 경우 및 다이아프램의 연속 작동 동안, 래칫은 래칫 휠 및 웜의 회전을 유발하고, 상기 웜은 톱니 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램프를 갖는 링의 회전을 유발한다. 따라서, 압력 플레이트와 덮개 사이의 거리가 점차로 증가하고 연관된 반응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가 점차로 감소하여 마모가 보상된다.
노말 클로즈형 클러치에서, 다이아프램은 클러치 연결 위치와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며, 래칫의 제어 스톱은 클러치 연결 위치와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 사이에 위치된 한 지점에서 고정 덮개 상에 베어링 지지된다.
노말 오픈형 클러치에서는,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 너머에 위치된 작동 구역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작동의 경우, 다이아프램이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 너머로 변위하여 기어박스의 바닥부,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클러치 포크의 지지체 또는 상응하는 클러치 베어링의 액추에이터일 수 있는 고정 스톱과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의 경우는 예컨대 엔진의 정지 또는 엔진의 지연 작동이다.
이러한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 너머로의 변위는 상이한 부품들의 치수 공차 및 클러치의 이용 조건이 어떠하든지 항상 클러치 연결해제 지점에 도달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이들 공차 및 조건은 예컨대 차량의 휴지 위치 및 클러치 연결해제 지점 사이에 추가의 안전 코스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노말 오픈형 클러치에서, 제어 스톱은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 근처 다이아프램의 클러치 연결 위치와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 사이에 위치된 구역에서 덮개와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작동의 경우,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제어 스톱을 상기 덮개에 베어링 지지되도록 가압하여, 상기 래칫이 상기 덮개 상에 지지되어 유지되고, 상기 복원 탭은 상기 다이아프램이 예컨대 기어박스의 바닥부에 베어링 지지되어 움직이지 않을 때까지 계속해서 변형된다.
이렇게, 복원 탭은 변형과 큰 응력을 받게 되는데, 이것은 마모 보상 기능의 열화를 유발할 수 있다.
이렇게 기어박스의 바닥부에서의 부동화는 예컨대 클러치의 반복적이고 매우 심한 사용으로 인한 부적절한 보상을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이중 클러치의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특히 이 문제에 대하여 간단하고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해결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축에 회전 연결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반응 플레이트, 피구동축에 연결되도록 설계되고 마찰 라이닝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마찰 디스크, 상기 반응 플레이트에서 상기 마찰 디스크를 조이거나 해제하는 방식으로 환형 다이아프램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플레이트, 및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카운터 램프 수단과 협력하는 램프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카운터 램프 수단에 대한 상기 램프 수단의 회전으로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도록 하는 마모 보상 수단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클러치를 제안하며, 상기 램프 수단은, 상기 다이아프램의 작동 동안 변위될 수 있는 래칫과 협력하는 래칫 휠에 연결된 웜과 맞물리는 톱니부를 구비하며, 상기 래칫은, 마모의 경우 상기 래칫 휠의 회전을 회전 방향으로는 허용하고 상기 래칫 휠의 회전을 반대 회전 방향으로는 방해하도록 상기 래칫 휠의 톱니와 협력하는 제어 탭을 구비한 탄성 박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래칫은 복원 탭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다이아프램은 제 1 작동의 경우에서는 상기 래칫 휠의 방향으로 상기 제어 탭을 가압하고 제 2 작동의 경우에서는 상기 래칫 휠의 제어 탭으로부터 멀어지게 하기 위해 복원 탭을 가압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래칫은 상기 다이아프램의 작동 동안 상기 반응 플레이트에 대하여 고정부에 베어링 지지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스톱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 클러치는 상기 다이아프램이 클러치 연결 위치 및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 사이에 규정된 정상 작동 구역 밖으로 변위될 때 상기 제어 스톱이 상기 다이아프램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에 베어링 지지되도록 상기 래칫을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본 발명은 클러치 연결 위치 및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 사이에 규정된 정상 작동 구역을 넘어 위치된 특별 작동 구역으로 제어 스톱의 베어링을 옮기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원 탭의 변형이 사용 진폭 및 주파수에서 제한되어, 그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래칫의 수명이 상당히 증가된다. 이러한 이점으로 인하여 또한 상기 복원 탭을 제작하는 데 덜 저항성인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결과적으로 다이아프램이 정상 작동 구역 밖으로 변위될 때만 마모 보상 수단이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이아프램은 탄성 구역을 포함하고 클러치의 베어링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설계되며, 클러치는 상기 클러치 베어링에 의하여 상기 다이아프램에 제한된 하중이 인가되거나 하중이 인가되지 않을 때 상기 다이아프램이 상기 탄성 구역의 작용에 의하여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로 변위하는 식의 노말 오픈형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정상 작동 동안,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마찰 디스크가 해제되고 상기 제어 스톱이 상기 고정부에 베어링 지지되지 않는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 및 상기 마찰 디스크가 상기 압력 플레이트에 의하여 상기 반응 플레이트에 대하여 조여져 상기 다이아프램이 상기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를 넘어 상기 래칫의 제어 스톱이 상기 고정부에 베어링 지지되는 제 1 극한 위치까지 변위될 수 있는 클러치 연결 위치 사이에서 움직인다.
유리하게는,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클러치 연결 위치를 넘어 상기 래칫의 제어 탭이 상기 다이아프램에 의하여 상기 래칫 휠의 방향으로 압력을 받는 제 2 극한 위치까지 변위할 수 있다.
이렇게, 래칫의 작동은 상기 다이아프램이 상기 제 1 극한 위치와 제 2 극한 위치 사이에서 교대로 변위하는 경우에만 이루어진다.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제어 탭 및 상기 복원 탭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다이아프램의 위치에 따라 상기 탭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와 접촉하도록 설계된 작동 핑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탭과 상기 복원 탭 사이의 거리는 상기 작동 핑거의 두께보다 크다.
따라서, 작동 핑거와 상기 탭들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 간극의 치수로, 필요할 때만 래칫이 가동되도록, 상기 작동 핑거가 상기 제어 탭 또는 상기 복원 탭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되기 시작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구동축에 회전 연결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반응 플레이트, 피구동축에 연결되도록 설계되고 마찰 라이닝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마찰 디스크, 상응하는 클러치 베어링에 의하여 변위할 수 있는 환형 다이아프램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 반응 플레이트에서 상기 마찰 디스크를 조이거나 해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플레이트, 및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카운터 램프 수단과 협력하는 램프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카운터 램프 수단에 대한 상기 램프 수단의 회전으로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는 마모 보상 수단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클러치를 대상으로 하며, 상기 램프 수단은, 상기 다이아프램의 작동 동안 변위될 수 있는 래칫과 협력하는 래칫 휠에 연결된 웜과 맞물리는 톱니부를 구비하며, 상기 래칫은, 마모의 경우 상기 래칫 휠의 회전을 회전 방향으로는 허용하고 상기 래칫 휠의 회전을 반대 회전 방향으로는 방해하도록 상기 래칫 휠의 톱니와 협력하는 제어 탭을 구비한 탄성 박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래칫은 복원 탭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제어 탭과 상기 복원 탭 사이에 삽입된 상기 래칫의 작동을 위한 외측 둘레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아프램은 제 1 작동의 경우에서는 상기 래칫 휠의 방향으로 상기 제어 탭을 가압하고 제 2 작동의 경우에서는 상기 래칫 휠의 제어 탭으로부터 멀어지게 하기 위해 복원 탭을 가압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래칫은 상기 다이아프램의 작동 동안 상기 반응 플레이트에 대하여 고정부에 지지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스톱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 클러치는, 상기 다이아프램이 상기 클러치 베어링에 의하여 상기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를 넘어 변위될 때, 상기 제어 스톱이 상기 다이아프램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에 베어링 지지되어, 상기 작동 핑거가 이 위치의 상류로 클러치 연결 위치 및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 사이에 규정된 정상 작동 구역 밖의 극한 위치까지 변위될 수 있도록 래칫을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형의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이중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끝으로, 본 발명은 엔진의 출력축에 연결된 마모 보상 클러치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출력축이 소위 엔진의 정상 작동에 상응하는 제 1 범위의 값에 속하는 회전 속도를 가질 때, 상기 반응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마찰 디스크를 조이거나 해제하는 클러치 연결 위치 및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 사이의 정상 작동 구역 안에서 상기 다이아프램이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엔진 출력축이 엔진의 지연 작동 및/또는 정지에 상응하는 제 2 범위의 값에 속하는 회전 속도를 가질 때, 상기 다이아프램이 상기 정상 작동 구역 밖으로 변위되어 상기 제어 스톱이 상기 반응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고정부에 베어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범위의 값은 300 rpm을 초과하고, 상기 제 2 범위의 값은 800 rpm 미만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 실시예로서 기술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교시에서 본 발명의 다른 상세 사항, 특징 및 이점이 명백해질 것이고 본 발명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클러치의 축방향 반쪽 단면도,
도 2는 이중 클러치의 일부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클러치의 마모 보상 수단을 도시하는 상세 사시도,
도 6은 이중 클러치의 일부의 사시도이자 축방향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특히 톱니 부재의 위치 유지를 도시하는 두 변형예의 상세도이자 측면 사시도,
도 9는 이중 클러치의 일부의 파단 사시도,
도 10은 제 2 클러치의 베어링 와셔에 마련된 개구부를 도시하는 상세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덮개 상에서 제 1 다이아프램의 센터링을 위한 리벳의 위치를 도시하는 상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클러치의 일부의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 마모 보상 수단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다이아프램의 상이한 작동 단계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도 1 및 도 2는 기어박스의 제 1 및 제 2 입력축(1, 2)과 엔진을 연결하도록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클러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중 클러치는 상이한 부품들의 기어 변경을 위한 제 1 및 제 2 클러치(3, 4)를 포함한다.
제 1 클러치는 제 1 압력 플레이트(5) 및 반응 플레이트(6)를 포함하며, 이들 사이에 제 1 마찰 디스크(7)가 있다. 제 1 압력 플레이트(5)는 반응 플레이트(6)에 회전 연결되고, 상기 반응 플레이트(6)에서 상기 제 1 마찰 디스크(7)를 조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마찰 디스크(7)를 해제하는 클러치 연결 위치 및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반응 플레이트에 대하여 병진 운동한다.
상기 반응 플레이트(6)는 엔진축에 연결되는 덮개(8)에 고정된다. 상기 제 1 마찰 디스크(7)는 기어박스의 제 1 입력축(1)에 연결된다. 이렇게, 제 1 클러치(3)의 클러치 연결 위치에서, 엔진축은 상기 기어박스의 제 1 입력축(1)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압력 플레이트(5)는 상기 반응 플레이트(6) 및 상기 덮개(8)에 대하여 병진 운동하고 전방으로 연장되는 덮개(9)에 고정된다.
제 1 다이아프램(10)은 리벳(11)을 매개로 하여 상기 덮개(8)에 피봇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그 피봇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다이아프램의 센터링이 보장된다.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0)은 베어링 지지 구역(12)에서 상기 덮개(8)에 베어링 지지되는 탄성의 환형 금속판의 형태로 존재하며, 상기 제 1 다이아프램은 이 베어링 지지 구역(12)의 주위에서 피봇된다. 상기 베어링 지지 구역(12)은 상기 덮개(8)로부터 돌출한 부분으로 형성된다.
제 1 클러치(10)의 제어는 전형적으로는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0)의 방사상 내부 둘레와 협력하는 제 1 클러치 베어링(13)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0)은 상기 클러치 베어링(13)에 의하여 인가된 힘을 상기 이동식 덮개(9)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 1 압력 플레이트(5)에 전달하는 레버를 형성한다.
제 1 마찰 디스크(7)를 효과적으로 조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0)은 휴지 상태에서 전부하(preload)를 받는다. 이러한 전부하가 없으면, 상기 다이아프램(10)은 휴지 상태에서 상응하는 마찰 디스크(7)에 효율적인 조임 하중을 인가하기 위하여 비교적 큰 클러치 베어링(13) 시작 코스를 필요로 하는 탄성 상태에 있게 된다. 제 1 클러치 베어링(13)이 작동될 때, 이것은 상기 제 1 마찰 디스크(7)의 조임이 시작되기 전에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0)의 전부하의 평형을 맞춘다.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0)의 전부하는 상기 마찰 디스크를 조이기 위하여 클러치 베어링이 접근하는 코스를 줄일 수 있고 예컨대 클러치 베어링의 볼베어링 및 클러치를 지지하는 볼베어링 상에 항상 최소의 전부하 하중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의 수명이 증가하고 클러치의 진동이 제한된다.
제 1 클러치는 노말 오픈형이다. 따라서, 다이아프램의 휴지 위치는 클러치 장치의 연결해제 상태에 상응한다. 다이아프램은 바람직하게는 다이아프램을 그 휴지 위치를 향해 복귀시킬 수 있는 접시 스프링 와셔(Belleville washer)형의 일부를 구비한다.
제 1 다이아프램(10)의 휴지 위치에서, 즉 제 1 스토퍼(13)가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0)에 하중을 전혀 인가하지 않거나 거의 인가하지 않을 때,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0)은 상기 제 1 압력 플레이트(5)에 하중을 전혀 (또는 거의) 인가하지 않는다. 상기 압력 플레이트(5)는 탄성 탭과 같은 적절한 복원 수단을 매개로 하여 상기 반응 플레이트(6)로부터 떨어져, 상기 제 1 마찰 디스크(7)를 해제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제 1 실시형태에서, 리벳(11)은 원통형이고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0)의 방사상 내부 둘레에서 연장되는 상기 다이아프램의 방사상 핑거(15)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되도록 더 큰 직경의 헤드(14)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제 2 실시형태에서, 상기 리벳(11)은 베어링의 역할을 하도록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0)의 핑거(15)에 대하여 연장되는 2개의 방사 부분을 갖는 일반적으로 T자 형상의 헤드(1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리벳(11)의 방사상 크기를 제한할 수 있다.
제 2 클러치는, 제 2 압력 플레이트(16), 및 상기 반응 플레이트(6)와 상기 제 2 압력 플레이트(16)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 2 마찰 디스크(17)를 포함한다. 두 클러치(3, 4)에 대하여 동일한 반응 플레이트(6)가 이용되며, 각각의 마찰 디스크(7, 17)는 상기 반응 플레이트(6)의 두 방사상 지지면 중 하나의 측에 배치된다. 제 2 압력 플레이트(17)는 상기 반응 플레이트(6)에 회전 연결되고 상기 제 2 마찰 디스크(17)를 상기 반응 플레이트(6)에 대하여 조이거나 또는 상기 제 2 마찰 디스크(17)를 해제하는 클러치 연결 위치 및 클러치 연결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반응 플레이트에 대하여 병진 운동한다.
제 2 마찰 디스크(17)는 기어박스의 제 2 입력축(2)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 2 클러치(4)의 클러치 연결 위치에서, 엔진축은 상기 기어박스의 제 2 입력축(2)에 연결된다.
제 2 다이아프램(18)은 리벳(11')을 매개로 하여 상기 덮개(8)에 피봇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다이아프램(18)의 피봇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다이아프램(18)의 센터링을 보장한다(도 1). 상기 제 2 다이아프램(18)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덮개(8)에 지지 구역(19)에서 지지되는 탄성 환형 금속판의 형태로 존재하므로, 상기 제 2 다이아프램(18)은 이 지지 구역(19)의 둘레에서 피봇된다.
상기 제 2 클러치(4)의 제어는 전형적으로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하중 전달 장치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 2 다이아프램(18)의 방사상 내부 둘레와 협력하는 제 2 클러치 베어링(2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다이아프램(18)은, 상기 제 2 마찰 디스크(17)를 효율적으로 조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압력 플레이트(16)의 상기 제 2 클러치 베어링(20)에 의하여 인가된 힘을 전달하는 레버를 형성한다. 상기 제 2 압력 플레이트(16) 상에서 상기 제 2 다이아프램(18)의 지지 구역은 도 1에 부호 21로 표시되며, 이 구역(21)은 상기 덮개(8) 상의 상기 다이아프램(18)의 지지 구역(19)과 상기 제 2 다이아프램(18) 상의 상기 제 2 클러치 베어링(20)의 지지 구역 사이에 방사상으로 위치된다.
리벳(23)을 매개로 하여 상기 덮개(8)에 고정된 베어링 와셔(22)(도 9 및 도 10)는, 상기 제 2 다이아프램(18)의 방사상 외부 둘레를 상기 지지 구역(19)에 부착하고 그 위치를 유지한다.
상기 제 2 클러치(4)도 역시 노말 오픈형이다. 상기 제 2 다이아프램(18)의 휴지 위치에서, 즉 제 2 클러치 베어링(20)이 상기 제 2 다이아프램(18)에 하중을 전혀 인가하지 않거나 거의 인가하지 않을 때, 상기 제 2 다이아프램(18)은 상기 제 2 압력 플레이트(16)에 하중을 전혀 (또는 거의) 인가하지 않는다. 상기 제 2 압력 플레이트(16)는 탄성 탭과 같은 적절한 복원 수단을 매개로 하여 상기 반응 플레이트(6)로부터 떨어져, 상기 제 2 마찰 디스크(17)를 해제한다. 상기 제 2 다이아프램(18), 상기 제 2 압력 플레이트(16) 및 상기 제 2 마찰 디스크(17)는 상기 덮개(8) 안에 수용된다. 상기 제 1 마찰 디스크(7) 및 상기 제 1 압력 플레이트(5)는 상기 덮개(8) 및 상기 반응 플레이트(6)에 대하여 고정되어 후드(24) 안에 수용된다.
상기 덮개(8)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제 2 클러치(4)의 상기한 요소들을 둘러싸는 환형부(26)(도 1)에 연결된, 반응 플레이트(6) 상에의 고정 역할을 하는 방사상 플랜지(25)를 포함하며, 상기 환형부는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되는 환형부(27)에 의하여 연장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덮개(9)는 상기 덮개(8)를 둘러싸고 상기 제 1 압력 플레이트(5)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방사상 외측부(28)를 포함하며, 이것은 앞에서 방사상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부분(29)에 의하여 연장되고, 상기 부분은 상기 제 2 다이아프램(18)의 방향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가장자리부(30)에 의하여 연장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형의 가장자리부(30)의 자유 에지(31)는 제 1 다이아프램(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방사상의 면을 형성하여, 제 1 클러치(3)가 보관(storage) 위치에 있을 때, 즉 기어박스에 이중 클러치가 설치되기 전에 상기 다이아프램의 유격을 제한한다. 별법으로,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리벳(11)의 헤드(14) 상에 지지될 수도 있다.
일단 이중 클러치가 차량에 설치되면,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0)은 상기 제 1 클러치 베어링(13)에 대하여 지지되고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에서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0)은 더 이상 상기 자유 에지(31) 또는 상기 리벳(11)의 헤드 상에 지지되지 않는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사상 외측부(28)는 상기 반응 플레이트(6)의 전방을 향하는 방사면(33)에 지지되도록 설계되고 후방을 향하는 방사면(32)을 포함한다. 이로써, 차량의 기어박스에 설치하기 전, 이중 클러치의 운반 단계에서 상기 이동식 덮개(9)의 변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마찰 디스크(7)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압력 플레이트(5) 및/또는 상기 반응 플레이트(6), 상기 제 1 클러치(3)에는 마모 보상 수단(33)이 장착된다.
이들 마모 보상 수단(33)의 구조 및 기능은, 본 출원인 명의의 프랑스 공개 특허 제 2 847 626 호에 개시된 수단과 유사하지만, 그 배치는 상이하다.
마모 보상 수단(33)은 링(34)을 포함하며, 이것은 상기 이동식 덮개(9)의 상기 원통형의 가장자리부(30) 둘레에 설치되고 후방을 향해 나팔 모양으로 벌어지는 원뿔대 부분(36)에 의하여 연장된 방사상 부분(35)을 방사상 내측에서 외측으로 구비하며, 상기 원뿔대 부분은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가장자리부(37)에 의하여 연장되고, 상기 가장자리부의 자유 단부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기울어진 원주상으로 연장되는 램프(38)를 형성한다. 이들 램프(38)는 특히 도 2, 도 3, 도 5, 도 7, 도 8 및 도 9에서 볼 수 있다.
상기 링(34)은 상기 원통형의 가장자리부(30) 둘레에서 병진 운동 및 회전 운동하도록 설치된다.
4개의 레그(39, 40)가 상기 링(34)의 가장자리부(37)로부터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된다(도 2). 2개의 레그(39)는, 그 외부 에지가 이것의 부분에서만 연장되는 톱니부(42)를 포함하는 원호형 톱니 부재(41)의 고정에 이용된다. 다른 2개의 레그(40)는 상기 톱니 부재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여 위치된 마찬가지로 원호형의 평형 부재(43)의 고정에 이용된다. 상기 톱니 부재(41) 및 상기 평형 부재(43)의 원주상 단부는 리벳(44)을 매개로 하여 상응하는 레그(39, 40)에 고정된다.
상기 램프(38)는 상기 이동식 덮개(9)의 상기 방사상 부분(29)의 뒷면(46)에 형성된 카운터 램프(45) 상에 지지된다(도 9).
이로써, 상기 이동식 덮개(9)에 대한 상기 램프(38)를 갖는 링(34)의 회전은 상기 이동식 덮개(9)의 상기 원통형의 가장자리부(30)의 길이를 따른 상기 링(34)의 변위를 유발한다.
상기 이동식 덮개(9)를 상기 덮개(8) 및 상기 반응 플레이트(6)와 회전 연결함으로써, 상기 램프(38)를 갖는 링(34)을 피봇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톱니 부재(41)의 톱니부(42)가 상기 덮개(8)에 고정된 카트리지(48) 안에 설치된 웜(47)과 맞물린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웜(47)은 상기 덮개(8)의 상기 방사상 부분(27)의 외벽 (또는 전방 벽)에 고정된 카트리지의 내측에서 축(49) 둘레에서 피봇하도록 설치된다. 외벽이란 상기 제 2 마찰 디스크(17), 상기 제 2 압력 플레이트(16) 및 상기 제 2 다이아프램(18)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에 대향되는 상기 덮개(8)의 벽을 가리킨다.
특히 도 3, 도 4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48)는 일반적으로 U자 형태를 취하며, 상기 U자 형태의 두 분기 또는 날개(50, 51)는 축의 단부(49)를 가지며, 상기 U자 형태의 바닥은 부분적으로 상기 웜(47)을 둘러싸면서 한쪽 날개(50)로부터 다른쪽 날개(51)로 연장된다.
상기 카트리지(48)의 홈부(도 3)는 더 양호한 원심력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날개(50, 51)의 자유 단부는 상기 덮개(8)에의 고정을 위한 측방 플랜지(53)를 구비한다. 이들 플랜지(50, 51)는, 그 헤드(54)가 상기 톱니 부재(41)의 후방 벽과 마주보고 연장되는 리벳에 의하여 상기 덮개(8)에 고정된다. 도 7 및 도 8에 더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48)는 상기 톱니 부재(41)의 전면과 마주보고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부(55)를 추가로 포함한다. 작동시 상기 톱니 부재(41)는 상기 가장자리부(55) 상에서 전부하를 받는다.
도 7의 변형예에서, 상기 카트리지(48)의 상기 날개(50, 51)는 상기 톱니 부재(41)의 후면과 마주보도록 향하는 면(55')을 포함한다.
상기 카트리지(48)의 상기 면(55') 및 가장자리부(55)는, 상기 톱니 부재의 톱니부가 상기 웜(47)의 축과 직교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톱니 부재(41)의 굽힘 또는 축방향 변위를 제한하는 베어링을 형성한다.
도 7의 변형예에서, 상기 톱니 부재(41)의 굽힘 또는 축방향 변위를 제한하는 베어링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카트리지의 가장자리부(55) 및 상기한 리벳의 헤드(54)이다.
상기 축(49)은, 예컨대 상기 웜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웜(47)과 회전 연결된 래칫 휠(56)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날개(51)와 상기 래칫 휠(56) 사이에 탄성 기구(57)가 설치되어, 대향되는 날개(50)에 대하여 상기 래칫 휠(56) 및 사이 웜(47)을 부착시킨다. 이 날개(50)는, 마찰에 의한 마모를 제한하고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경화처리된, 상기 웜(47)과 접촉하도록 설계된 내면(58)을 가진다(도 3). 이러한 경화처리는 드로잉, 널링, 롤링에 의하여, 기계적 연마에 의하여 또는 전해 연마 또는 전해질 연마와 같은 전기화학적 조작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8)의 외측에 상기 카트리지(48)를 설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식 덮개(9)에 개구부(59)가 마련되고, 상기 카트리지(48)는 부분적으로 이 개구부(59)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래칫 휠(56)은 상기 덮개(8)의 상기 방사상 부분(27)의 전면에 고정된 금속성 탄성 박층의 형태로 존재하는 래칫(60)과 협력한다.
상기 래칫(60)은, 실질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덮개(8)의 전면에 고정된 방사상 내측부, 및 상기 방사상 내측부와 앵글을 형성하고 상기 덮개(8)의 개구부(61)를 가로질러 후방으로 형장되는 방사상 외측부를 구비한다.
상기 래칫(60)의 구조는 프랑스 공개 특허 제 2 847 626 호에 개시된 래칫의 구조와 유사하다.
특히, 래칫(60)의 방사상 외측부는 마모의 경우 상기 래칫 휠(56)의 회전을 회전 방향으로는 허용하고 상기 래칫 휠(56)의 회전을 반대 회전 방향으로는 방해하도록 상기 래칫 휠(56)의 톱니와 협력하는 제어 탭(62)을 포함한다(도 1, 도 6 및 도 13). 상기 래칫(60)의 방사상 외측부는 또한 복원 탭(63)을 포함한다(도 1, 도 6, 도 14 및 도 15).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0)은, 클러치 연결해제 단계에서는 상기 래칫(60)의 복원 탭(63)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되도록 설계되고 클러치 연결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 탭(62)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되도록 설계된, 상기 래칫(60)의 작동을 위한 외측 둘레 핑거(64)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 핑거(64)는 상기 제어 탭(62)과 상기 복원 탭(63)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8)의 위치에 따라 상기 탭들(62, 63)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와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제어 탭(62)과 상기 복원 탭(63) 사이의 거리는 상기 작동 핑거(64)의 두께보다 커서, 상기 핑거(64)와 상기 탭들(62, 64) 사이에 공차(j)가 형성된다(도 15).
상기 작동 핑거(64) 및 상기 복원 탭(63)의 변위를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상기 베어링 와셔(28)는 클러치 연결해제 단계에서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8)의 작동 동안 상기 작동 핑거(64) 및 상기 복원 탭(63)을 통과시킬 수 있는 개구부(65)를 포함한다(도 1 및 도 10).
상기 래칫(60)의 방사상 외측부는 클러치 연결해제 단계에서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8)의 작동 동안 상기 덮개(8)의 개구부(61)의 측방 에지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되도록 설계된 제어 스톱을 형성하는 2개의 측방 레그(66)를 추가로 포함한다(도 3, 도 4, 도 6, 도 14 및 도 15).
이제, 마모 보상 수단(33)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작동은 프랑스 공개 특허 제 2 847 626 호의 마모 보상 수단의 작동과 유사하다.
먼저, 제 1 마찰 디스크(7)의 라이닝(67), 제 1 압력 플레이트(5) 및 반응 플레이트(6)가 사용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클러치 연결 단계에서, 제어 탭(62)을 가압함으로써 제 1 다이아프램(10)의 외부 둘레 및 작동 핑거(64)가 전방을 향해 변위되도록 제 1 다이아프램(10)은 제 1 클러치 베어링(13)에 의하여 변위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 탭(62)의 자유 단부는 상기 래칫 휠(56)의 톱니의 바닥으로 밀려 들어간다.
클러치 연결해제 동안,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0)의 외부 둘레는 후방으로 그 휴지 위치를 향해 변위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0)의 작동 핑거(64)는 상기 래칫(60)의 복원 탭(63) 상에 지지된다. 그 결과, 상기 래칫(60)의 제어 탭(62)과 복원 탭(63)은, 상기 래칫(60)의 측방 레그(66)가 상기 덮개(8)의 개구부(61)의 측방 에지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될 때까지 후방으로 변위된다. 마모가 일어나지 않을 경우, 상기 래칫 휠(56)의 상응하는 톱니의 마주보는 제어 탭(62)을 제거하는 것 만으로는 상기 톱니가 튀어오르게 하는 데 불충분한다. 따라서, 래칫 휠(56)은 후속되는 클러치 연결 단계 동안 회전 연동될 수 없고 마모 보상 수단(33)은 반응 플레이트(6)에 대하여 제 1 압력 플레이트(5)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다.
반대로, 제 1 마찰 디스크(7), 제 1 압력 플레이트(5) 및/또는 반응 플레이트(6)가 사용되는 경우, 클러치 연결 단계에서,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0)의 외부 둘레 및 제어 탭(62)은 상기 래칫 휠(56)을 상기 축(49) 주위에서 가볍게 회전시키기에 충분히 많이 전방을 향해 변위될 수 있다. 이 클러치 연결 단계에서, 링(34)은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0)과 상기 이동식 덮개(9) 사이에 끼여서 회전하지 못한다. 따라서, 톱니 부재(41)도 위치에서 움직이지 못한다. 탄성 기구(57)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톱니 부재(41)의 톱니와 맞물리는 래칫 휠(56) 및 웜(47)의 회전은 상기 날개(51)의 방향으로 상기 축(49)의 길이를 따라 래칫 휠(56)-웜(47) 유닛의 미끄러짐을 유발한다. 물론, 래칫 휠(56)의 톱니의 폭과 제어 탭(62)의 폭은 이 미끄러짐 동안 이들의 협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폭이다.
후속되는 클러치 연결해제 단계 동안, 톱니 부재(41)를 구비하는 링(34)이 해제되고, 제어 탭(62)과 스프링이 래칫 휠(56)과 웜(47)이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해하고, 탄성 복원 기구(57)의 작용하에 상기 날개(50)의 방향으로 상기 축(49)의 길이를 따라 래칫 휠(56)-웜(47) 유닛이 미끄러진다. 이로써, 상기 이동식 덮개(9)에 대한 상기 링(34)의 회전이 유발된다. 따라서, 램프(38)가 카운터 램프(44)에 대하여 변위되어 링(34)과 이동식 덮개(9)가 멀어진다. 상기 링(34)에서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0)의 지지 구역(68)과 상기 이동식 덮개(9)의 방사상 부분(29)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어, 최종적으로 제 1 압력 플레이트(5)와 반응 플레이트(6) 사이의 거리가 줄어 마모를 보상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마모에 의해 발생된 간극을 완전히 보상하기 위해서 클러치 연결 단계 및 클러치 연결해제 단계가 복수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클러치 메카니즘(3, 4) 중 하나에 마모 보상 수단(33)이 장비되어 축방향 및 방사 방향으로 크기가 감소된 이중 클러치를 제안한다. 이 마모 보상 수단(33)의 구조 및 기능은 프랑스 공개 특허 제 2 847 626 호의 구조 및 기능과 유사하나, 이중 클러치의 전방에 이것을 배치하여 이중 클러치의 밀도를 증가시켜 이중 클러치의 후방에 위치한 클러치 메카니즘(3)의 마모 보상을 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래칫(60) 및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0)의 상이한 작동 단계를 따라가 본다.
도 16에는 상기 제 1 다이아프램(10)의 작동 핑거(64)의 전체 코스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코스는 제 1 극한 위치(A) 및 제 2 극한 위치(F)에 의하여 한정된다. 위치 A를 다이아프램의 코스의 시작(0%)이라 하고 위치 F를 상기 코스의 끝(100%)이라 한다.
상기 코스의 전체 길이를 따라, 작동 핑거(64)는 B, C, D 및 E로 표시된 연속적인 중간 위치를 통과한다.
위치 B는 통상 작동 단계에서 작동 핑거(64)에 의해 도달되는 최대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를 나타낸다.
위치 E는 통상 작동 단계에서 작동 핑거(64)에 의해 도달되는 최대 클러치 연결 위치를 나타낸다.
정상 작동 구역(Z1)은 반응 플레이트(6)에 대하여 제 1 마찰 디스크(7)를 조이거나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상기 개시된 클러치 연결 단계 및 클러치 연결해제 단계에 의하여 규정된다.
엔진이 지연 회전하거나 또는 정지할 때, 다이아프램은 그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를 너머 변위될 수 있어 작동 핑거(64)가 위치 B의 상류로, 그 제 1 극한 위치 A까지 변위될 수 있다.
또한, 상세히 후술하는 이유에서, 상기 작동 핑거(64)는 E 지점의 하류로, 그 제 2 극한 위치 F까지 변위될 수 있다.
복원 탭(63)의 큰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래칫(60), 그 작동 핑거(64) 및 덮개(8)는, 작동 핑거(64)가 A 위치 및 B 위치 사이에 위치된 구역(Z2)으로, 즉 정상 작동 구역(Z1) 밖으로 변위될 때만 제어 스톱(66)이 상기 덮개(8)에 대하여(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덮개(8)의 개구부(61)의 에지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스톱(66)은 작동 핑거(64)가 그 제 1 극한 위치 A 또는 이 위치 A의 근처에 있을 때만 상기 덮개(8)에 대하여 베어링 지지된다.
상기 작동 핑거(64)는 상기 위치 A와 C 사이에 규정된 구역(Z4)에서 복원 탭(63)과 접촉하는데, 위치 C는 상기 작동 핑거(64)가 상기 복원 탭(63)에 베어링 지지되기 시작하는 위치이다. 위치 C는 정상 작동 구역(Z1) 안에 위치될 수 있고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B)의 근처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 핑거가 정상 작동 구역(Z1) 밖으로 구역(Z4)으로 변위될 때 복원 탭(63)이 지나치게 크게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은 또한 마모 보상 수단(33)을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작동 핑거(64)가 그 제 1 극한 위치 A에 도달할 때까지 변위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상응하는 클러치 베어링(13)을 제어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반드시는 아니지만, 래칫 휠(56), 제어 탭(62) 및 래칫(60)은 작동 핑거(64)가 정상 작동 구역(Z1)을 넘어 제 2 극한 위치 F에 도달할때만 래칫 휠(56)을 작동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위치 E 및 F 사이에 위치된 구역은 도 16에서 Z3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식으로, 마모 보상 수단(33)은 작동 핑거(64)가 두 극한 위치 A 및 F 사이에서 교대로 변위될 때만 작동된다.
작동 핑거(64)는 위치 D 및 F 사이에 한정되는 구역(Z5)에서 제어 탭과 접촉하는데, 위치 D는 작동 핑거(64)가 제어 탭(63) 상에 베어링 지지되기 시작하는 위치이다. 위치 D는 정상 작동 구역(Z1) 안에 위치될 수 있다.
간극(j)(도 15) 때문에, 작동 핑거(64)는 위치 C 및 D 사이에 위치된 구역에 있을 때 상기 탭들(62, 63) 중 어느 것에도 지지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위치 A 및 F를 작동 핑거(64)의 전체 코스의 각각 0% 및 100%에 위치되는 것으로 규정할 경우, 위치 B는 상기 전체 코스의 2∼30%에 속하는 구역에 위치하고, 위치 C는 상기 전체 코스의 2∼35%에 속하는 구역에 위치하며, 위치 D는 상기 전체 코스의 35∼100%에 속하는 구역에 위치하고, 위치 E는 상기 전체 코스의 60∼100%에 속하는 구역에 위치한다.

Claims (11)

  1. 구동축에 회전 연결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반응 플레이트(6), 피구동축(1, 2)에 연결되도록 설계되고 마찰 라이닝(67)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마찰 디스크(7, 17), 상기 반응 플레이트(6) 상에서 상기 마찰 디스크(7, 17)를 조이거나 해제하는 방식으로 환형 다이아프램(10, 18)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플레이트(5, 16), 및 상기 다이아프램(10)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5) 사이에 배치되고 카운터 램프 수단(9, 44)과 협력하는 램프 수단(34, 38)을 포함하여, 상기 카운터 램프 수단(9, 44)에 대한 상기 램프 수단(34, 38)의 회전으로 상기 다이아프램(10)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5)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도록 하는 마모 보상 수단(33)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클러치로서,
    상기 램프 수단(34, 38)은, 상기 다이아프램(10)의 작동 동안 변위될 수 있는 래칫(60)과 협력하는 래칫 휠(56)에 연결된 웜(47)과 맞물리는 톱니부(41, 42)를 구비하며, 상기 래칫(60)은, 마모의 경우 상기 래칫 휠(56)의 회전을 회전 방향으로는 허용하고 상기 래칫 휠(56)의 회전을 반대 회전 방향으로는 방해하도록 상기 래칫 휠(56)의 톱니와 협력하는 제어 탭(62)을 구비한 탄성 박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래칫(60)은 복원 탭(63)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다이아프램(10)은 제 1 작동의 경우에서는 상기 래칫 휠(56)의 방향으로 상기 제어 탭(62)을 가압하고 제 2 작동의 경우에서는 상기 래칫 휠(56)의 제어 탭(62)으로부터 멀어지게 하기 위해 복원 탭(63)을 가압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래칫은 상기 다이아프램(10)의 작동 동안 상기 반응 플레이트(6)에 대하여 고정부(8)에 베어링 지지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스톱(66)을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마모 보상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이 클러치 연결 위치 및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B, E) 사이에 규정된 정상 작동 구역(Z1) 밖으로 변위될 때 상기 제어 스톱(66)이 상기 다이아프램(10)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8)에 베어링 지지되도록 상기 래칫(60)을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 클러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클러치 베어링(13)에 의하여 상기 다이아프램(10)에 제한된 하중이 인가되거나 하중이 인가되지 않을 때 상기 다이아프램(10)이 휴지 위치로 복귀하는 식의 노말 오픈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 클러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클러치 베어링(13)에 의하여 상기 다이아프램(10)에 제한된 하중이 인가될 때 상기 다이아프램(10)이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로 복귀하는 식의 노말 오픈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 클러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정상 작동 동안, 상기 다이아프램(10)은 상기 마찰 디스크(7)가 해제되고 상기 제어 스톱(66)이 상기 고정부(8)에 베어링 지지되지 않는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B) 및 상기 마찰 디스크(7)가 상기 압력 플레이트(5)에 의하여 상기 반응 플레이트(6)에 대하여 조여지는 클러치 연결 위치(E) 사이에서 이동하고, 상기 다이아프램(10)이 상기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B)를 넘어 상기 래칫(60)의 제어 스톱(66)이 상기 고정부(8)에 베어링 지지되는 제 1 극한 위치(A)까지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 클러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를 넘어 변위하여 고정 스톱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 클러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톱은 기어 박스의 바닥부,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클러치 포크의 지지체 또는 상응하는 클러치 베어링의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 클러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과 함께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10)은, 클러치 연결 위치(E)를 넘어, 상기 래칫(60)의 제어 탭(63)이 상기 다이아프램(10)에 의하여 상기 래칫 휠(56)의 방향으로 압력을 받는 제 2 극한 위치(F)까지 변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 클러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은, 상기 제어 탭(62) 및 상기 복원 탭(63)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다이아프램(10)의 위치에 따라 상기 탭들(62, 63)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와 접촉하도록 설계된 작동 핑거(6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탭(62)과 상기 복원 탭(63) 사이의 거리가 상기 작동 핑거(64)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 클러치.
  9. 구동축에 회전 연결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반응 플레이트(6), 피구동축(1, 2)에 연결되도록 설계되고 마찰 라이닝(67)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마찰 디스크(7, 17), 상응하는 클러치 베어링에 의하여 변위할 수 있는 환형 다이아프램(10, 18)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 반응 플레이트(6)에서 상기 마찰 디스크(7, 17)를 조이거나 해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플레이트(5, 16), 및 상기 다이아프램(10)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5) 사이에 배치되고 카운터 램프 수단(9, 44)과 협력하는 램프 수단(34, 38)을 포함하여, 상기 카운터 램프 수단(9, 44)에 대한 상기 램프 수단(34, 38)의 회전으로 상기 다이아프램(10)과 상기 압력 플레이트(5)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도록 하는 마모 보상 수단(33)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클러치로서,
    상기 램프 수단(34, 38)은, 상기 다이아프램(10)의 작동 동안 변위될 수 있는 래칫(60)과 협력하는 래칫 휠(56)에 연결된 웜(47)과 맞물리는 톱니부(41, 42)를 구비하며, 상기 래칫(60)은, 마모의 경우 상기 래칫 휠(56)의 회전을 회전 방향으로는 허용하고 상기 래칫 휠(56)의 회전을 반대 회전 방향으로는 방해하도록 상기 래칫 휠(56)의 톱니와 협력하는 제어 탭(62)을 구비한 탄성 박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래칫(60)은 복원 탭(63)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다이아프램(10)은 상기 제어 탭(62)과 상기 복원 탭(63) 사이에 삽입된 상기 래칫(60)의 작동을 위한 외측 둘레 핑거(64)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아프램(10)은 제 1 작동의 경우에서는 상기 래칫 휠(56)의 방향으로 상기 제어 탭(62)을 가압하고 제 2 작동의 경우에서는 상기 래칫 휠(56)의 제어 탭(62)으로부터 멀어지게 하기 위해 복원 탭(63)을 가압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래칫은 상기 다이아프램(10)의 작동 동안 상기 반응 플레이트(6)에 대하여 고정부(8)에 지지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스톱(66)을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마모 보상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이 상기 클러치 베어링에 의하여 상기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B)를 넘어 변위될 때, 상기 제어 스톱(66)이 상기 다이아프램(10)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8)에 베어링 지지되어, 상기 작동 핑거(64)가 이 위치(B)의 상류로 클러치 연결 위치 및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B, E) 사이에 규정된 정상 작동 구역(Z1) 밖의 극한 위치(A)까지 변위될 수 있도록 상기 래칫(60)을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 클러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자동차용의 이중 클러치.
  11. 엔진의 출력축에 연결된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마모 보상 클러치의 작동 방법으로서, 상기 출력축이 소위 엔진의 정상 작동에 상응하는 제 1 범위의 값에 속하는 회전 속도를 가질 때, 상기 반응 플레이트(6) 상에서 상기 마찰 디스크(7)를 조이거나 해제하는 클러치 연결 위치 및 클러치 연결해제 위치 사이의 정상 작동 구역(Z1) 안에서 상기 다이아프램(10)이 변위되며, 상기 엔진 출력축이 엔진의 지연 작동 및/또는 정지에 상응하는 제 2 범위의 값에 속하는 회전 속도를 가질 때, 상기 다이아프램이 상기 정상 작동 구역(Z1) 밖으로 변위되어 상기 제어 스톱(66)이 상기 반응 플레이트(6)에 대하여 상기 고정부(8)에 베어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 클러치의 작동 방법.
KR1020147016060A 2011-12-16 2012-12-14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클러치 KR201401044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61786 2011-12-16
FR1161786A FR2984433B1 (fr) 2011-12-16 2011-12-16 Embrayage a rattrapage d'usur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PCT/FR2012/052939 WO2013088089A1 (fr) 2011-12-16 2012-12-14 Embrayage a rattrapage d'usur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432A true KR20140104432A (ko) 2014-08-28

Family

ID=4755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060A KR20140104432A (ko) 2011-12-16 2012-12-14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클러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791527A1 (ko)
KR (1) KR20140104432A (ko)
CN (1) CN103998808B (ko)
FR (1) FR2984433B1 (ko)
WO (1) WO20130880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0159B1 (fr) * 2013-09-05 2015-08-21 Valeo Embrayages Dispositif d'embrayage a rattrapage d'usure
US20150267759A1 (en) * 2014-03-18 2015-09-2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djustment tab for an adjustment means of a self-adjusting clutch and a clutch assembly comprising the improved adjustment tab
FR3031776B1 (fr) * 2015-01-15 2017-01-13 Valeo Embrayages Mecanisme de rattrapage d'usure pour un dispositif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3038947B1 (fr) * 2015-07-16 2017-07-28 Valeo Embrayages Cordon rampe pour un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d'un mecanisme d'embrayage
FR3044374B1 (fr) * 2015-11-26 2017-12-22 Valeo Embrayages Dispositif d'embrayage a rattrapage d'usur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3057314B1 (fr) * 2016-10-12 2018-11-16 Valeo Embrayages Mecanisme d'embrayage a rattrapage d'usur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3065767B1 (fr) * 2017-04-26 2019-04-26 Valeo Embrayages Mecanisme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CN113103862B (zh) * 2021-04-10 2022-08-05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履带式越障车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1754B1 (fr) * 1991-11-26 1999-08-27 Luk Lamellen & Kupplungsbau Embrayage a friction
FR2765288B1 (fr) * 1997-06-17 1999-10-01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des garnitures de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JP2004028252A (ja) * 2002-06-27 2004-01-29 Aisin Seiki Co Ltd クラッチ制御装置
ATE409290T1 (de) * 2002-10-16 2008-10-15 Luk Lamellen & Kupplungsbau Getriebe und verfahren zum ansteuern einer kupplung, insbesondere einer doppelkupplung
FR2847626B1 (fr) * 2002-11-25 2005-08-19 Valeo Embrayages Embrayages a friction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des garnitures de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FR2847625B1 (fr) * 2002-11-25 2005-01-07 Valeo Embrayages Embrayages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des garnitures de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2004019513A1 (de) * 2004-04-22 2005-11-10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Betätigen eines automatisierten Kupplungssystems
FR2922283B1 (fr) * 2007-10-10 2011-10-21 Valeo Embrayages Mecanisme d'embrayage,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98808B (zh) 2016-10-12
CN103998808A (zh) 2014-08-20
WO2013088089A1 (fr) 2013-06-20
EP2791527A1 (fr) 2014-10-22
FR2984433B1 (fr) 2014-01-10
FR2984433A1 (fr) 201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4432A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클러치
KR20150096418A (ko) 특히 자동차용의 간극 조정기를 구비한 클러치
KR102218998B1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클러치 장치
KR20140104431A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상 이중 클러치
JP3086847B2 (ja) クラッチ解除力を補助するための補助ばねを有する摩擦クラッチ
KR102154873B1 (ko) 자동차용의 클러치 장치
JPS639748A (ja) ダンパ−タイプフライホイ−ルを有するクラッチ
JP2013543093A (ja) クラッチ装置
US8607953B2 (en) Clutch with clearance recovery devices
US5706924A (en) Clutch including a wear take-up device,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US6260684B1 (en) Clutch mechanism for friction clutch
KR102001270B1 (ko) 특히 자동차용의 토크 전달 유닛
KR102303512B1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
KR20140040028A (ko) 개선된 마모 보상 장치를 갖춘 클러치 시스템
EP2048396B1 (fr) Mécanisme d'embrayage, en particulier pour véhicule automobile
US6161669A (en) Clutch mechanism for clutch friction with low declutching effort
CN113027937A (zh) 摩擦离合器和离合器系统
US9151338B2 (en) Friction clutch with readjustment device
CN113167338A (zh) 动力传递装置
JP3083289B2 (ja) 摩擦クラッチ
KR20170061612A (ko) 특히 자동차용의 마모 보정 클러치 장치
JP6173319B2 (ja) クラッチ装置
EP0640772A1 (en) Clutch release assembly for a friction clutch
CN106907402B (zh) 尤其用于机动车辆的磨损补偿式离合器装置
CN107575501B (zh) 磨损补偿式离合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