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970B1 - 마찰클러치 - Google Patents

마찰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970B1
KR100320970B1 KR1019920022385A KR920022385A KR100320970B1 KR 100320970 B1 KR100320970 B1 KR 100320970B1 KR 1019920022385 A KR1019920022385 A KR 1019920022385A KR 920022385 A KR920022385 A KR 920022385A KR 100320970 B1 KR100320970 B1 KR 100320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spring
friction clutch
diaphragm spring
pressu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2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401A (ko
Inventor
볼프강라이크
에드문트마우쳐
칼루드비히킴미히
크리스토프비트만
Original Assignee
게르하르트 로터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르하르트 로터,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게르하르트 로터
Publication of KR930010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9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F16D13/71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in which the clutching pressure is produced by spring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찰클러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자동차용 마찰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압력플레이트가 교대하여 고정하여지나 일정한 범위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하우징과 압력플레이트 사이에는 축방향으로 긴장된 접촉압력 플레이트 스프링이 있으며 이 스프링 한측면에서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링과 같은 회전 베어링 둘레에서 회전하고 다른한 측면에서 이같은 압력플레이트와 반대의 압력플레이트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는 클러치 디스크의 방향으로 프리휠과 같이 압력플레이트를 바이어스시키며, 클러치 디스크의 마찰라이닝에서 발생되는 마모를 보상하는 조절장치가 제공되어 접촉압력 플레이트 스프링을 통해 압력플레이트의 실질적인 일정한 작용력 바이어싱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마찰클러치
본 발명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지만 하우징에 대해 제한된 크기만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판을 가진 차량용 마찰클러치에 관련되고, 축방향으로 인장된 다이아프렘스프링이 하우징 및 압력판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은 한쪽 측면에서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베어링 주위서 회전가능하고, 다른 한쪽 측면에서 클러치디스크를 향해 압력판을 편향시키며, 플라이휠과 같은 카운터압력판 및 상기 압력판사이에 클러치디스크가 고정될 수 있고, 클러치디스크의 마찰라이닝들위에 발생하는 마모를 보상하기 위해 조정장치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문헌 제 DE-OS 29 16 755호 및 35 18 781호에 의하면, 다이아프렘스프링을 통해 압력판을 편향시키는 일정한 하중이 자동조정장치에 의해 발생된다. 한 개이상의 센서에 의존하여 이동가능한 조정장치들이 센서에 의해 장착되고, 압력판 및 다이아프렘스프링사이에서 작동한다. 접선방향으로 장착된 판스프링들에 의한 압력판 및 하우징사이의 관절연결에 기인하여, 마찰클러치가 분리될 때, -상기 판스프링의 하중은 다이아프렘스프링의 접촉하중을 향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경미해야 하고 -중량이 상대적으로 큰 압력판이 축방향으로 진동될 수 있고, 그 결과 다이아프렘스프링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할 수 있으며, 압력판이 클러치 디스크와 근접할때까지 상기 조정장치는 개방상태에서 조정작용을 수행하고, 그 결과 더 이상 마찰클러치를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마찰클러치의 기능이 손상될 뿐만 아니라 마찰클러치는 위험해진다. 상기 이유에 의해 상기 조정장치는 실제로 성공하지 못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점을 제거하고 상기 형태의 조정수단을 제공하며, 상기 조정수단이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심지어 험한 작동상태동안에도 이용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 및 신뢰성있는 안전기능을 가지고, 또한 설치공간이 작고, 경제적으로 제조되는 조정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소요분리하중이 마찰클러치의 사용수명동안 작아야 하고, 마찰클러치의 사용수명이 증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따르는 마찰클러치에 의하면,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의해 하중을 받는 압력판이 구성되고,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은 한쪽측면에서 하우징에 지지되고, 다른 한쪽측면에서 하우징위에 원형으로 배열되고 하우징 및 다이아프렘스프링사이에 제공된 회전베어링주위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며, 마모에 의존하여 하우징측부의 지지패드를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지게 이동시키고 조정기구에 의해 추가로 이동될 수 있는 자동작동식 조정장치가 구성되며, 다이아프렘스프링은 회전베어링을 향해 지지하중을 받으며 지지된다. 키이(Key)이음식 결합수단이 아니라 탄성하중을통해 하중들의 작용에 의해서만 다이아프렘스프링이 분리하중에 대해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하중이 영구적으로 작용한다. 다이아프렘스프링이 정해진 설치위치에 위치하고 마모작용에 의한 원추형상이 변화하지 않을 때, 다이아프렘스프링의 분리경로에 걸쳐서,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의해 가해지고 지지하중과 상호작용하는 하중보다 지지하중이 더 크지만, 마모작용에 의한 원추형상이 변화할때, 다이아프렘스프링의 분리경로중 일부영역에 걸쳐서, 지지하중에 대해 다이아프렘스프링이 가하는 하중보다 지지하중이 더 작도록, 다이아프렘스프링은 다이아프렘스프링의 작동영역에 걸쳐서 감소하는 특징의 특성곡선에 따라 작동한다. 한 개의 스프링요소 또는 적어도 스프링요소시스템에 의해 지지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 다이아프렘스프링에 대해 작용하는 - 현저한 상태의 - 탄성하중들, 따라서 (토크전달기능 또는 상승작용의 )판스프링들, 라이닝서스펜션(lining suspension) 또는 "대체물"의 서스펜션 기능을 통해 작용하는 하중들의 합이 상기 "지지하중" 이 된다.
적어도 대부분의 지지하중을 가하는 에너지저장장치는 센서스프링과 같이 조정작용동안 형상을 변하시키는 스프링이 선호된다. 그러나 지지하중을 가하는 에너지저장장치는 판스프링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측부위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지지체의 반경방향높이에서, 센서스프링이 다이아프렘스프링위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다이아프렘스프링 및 하우징사이에서 조정장치가 축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조정장치는 특히 경사면들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찰클러치의 사용수명동안, 마찰클러치가 연결될 때, 다이아프렘스프링은 향상 동일한 원추형상 및 인장상태를 가지고, -마찰라이닝들, 압력판 또는 하우징또는 압력판위의 지지체들, 또는 다이아프렘스프링또는 플라이휠의 마찰면과 같은 요소들위에 발생하는 마모작용과 독립적으로, 압력판 및 클러치 디스크를 편향시키는 하중은 일정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판의 중량은 조정 장치의 중량에 의해 증가되지 않는다. 또한 클러치디스크에 발생하는 마모작용으로부터 보호되고, 마찰열로부터 보호되는 영역내에 상기 조정장치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마찰클러치에 의하면, 회전운동을 위해 하우징위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은 두 개의 지지패드들사이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패드들중 압력판을 향하는 지지패드는 다이아프렘스프링을 향해 탄성하중을 받고, 마찰클러치가 분리되는 동안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의해 지지패드위에 작용하는 하중은 마찰라이닝의 마모에 따라 증가하고, 탄성하중을 받는 지지패드위에 작용하는 지지하중보다 더 크다. 다이아프렘스프링의 특성곡선에 의하면, 마찰클러치내부에 위치한 다이아프렘스프링의 정해진 설치위치로부터 개시하여, 마찰라이닝의 마모에 의해 이완방향이 형성되면, 우선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의해 가해진 하중 및 소요분리하중이 증가하고, 다이아프렘스프링의 정해진 설치위치에 대한 변형 또는 인장상태에 기인한 위치에 따라,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이 분리과정동안 감소한다. 다이아프렘스프링의 상기 구성에 따르면, 지지패드위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의해 가해진 하중이 지지하중을 초과할 때, 다이아프렘스프링은 하우징측부의 지지패드로부터 센서스프링을 분리시키고, 조정장치가 조정기구의 하중에 의해 추가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분리과정동안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의해 지지패드위에 작용하는 하중 및탄성하중을 받는 지지패드위에 작용하는 반작용하중사이에 항상 하중평형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이 지지패드의 추가회전운동 및 추가 축방향운동을 방해할때까지, 지지패드는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다이아프렘스프링의 특성곡선에서 마찰클러치의 분리영역중 적어도 일부분 또는 전체 분리영역에 걸쳐서 하중이 감소하는 다이아프렘스프링이 마찰클러치내에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마찰클러치가 분리된 상태에서 하중-경로에 관한 사인(sine)파 형상의 특성곡선에 따라, 다이아프렘스프링이 최소점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도록, 다이아프렘스프링의 설치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탄성하중을 받는 지지패드위에 가해지는 반작용하중이 에너지저장장치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에너지저장장치는 적어도 정해진 조정영역에서 일정한 하중을 가한다. 예비인장상태로 마찰클러치내부에 설치된 다이아프렘스프링이 상기 목적에 적합하다.
반경방향의 외측영역에 의해 압력판을 편향시키고, 반경방향의 내측영역에 의해 두 개의 지지패드사이에 장착되는 다이아프렘스프링을 가진 마찰클러치와 본 발명의 조정장치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다이아프렘스프링은 이중아암(double arm)구조의 레버로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작동부형태의 몰딩구성된 레버를 가진 다이아프렘스프링의 마찰클러치 뿐만아니라, 별도의 레버들을 가진 다이아프렘스프링의 마찰 클러치가 제공될 수 있다.
마모에 대한 조정작용을 충족시키고 마찰클러치에 대한 최적의 접촉압력을제공하기 위하여, 탄성하중을 받는 지지패드와 떨어져 위치하고, 다이아프렘스프링의 측부위에 제공되는 지지패드가 압력판을 향해 축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가능하고, 다이아프렘스프링에 대해 지지패드를 편향시키는 에너지저장장치에 의해 하우징측부의 대응 지지패드가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마찰라이닝들의 마모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패드의 변위에 따라 대응 지지패드가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고, 다이아프렘스프링은 유극없는 회전베어링을 가질 수 있다.
다이아프렘스프링 및 하우징사이에 제공된 조정장치에 의해 대응 지지패드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조정장치는 링모양을 가진 결합구조의 부품을 가지며, 적어도 마찰클러치의 연결상태에서 상기 부품은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의해 축방향으로 편향된다. 마모작용에 따라 회전베어링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조정장치 또는 상기 조정장치의 링모양의 부품은 축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사부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링모양의 부품은 대응 지지패드를 지지하고, 와이어링에 의해 상기 대응 지지패드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링은 상기 부품의 원주방향 요홈내에 배열되고, 키이음에 의해 상기 요홈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키이음이 스냅(snap )끼워맞춤식 연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조정작용을 위해 상기 경사부들이 원통형 또는 구형의 회전운동체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들의 경사각을 적합하게 선택하면, 상기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가 축방향하중을 받을 때, 자동구속기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경사부는 해당 카운터경사부와 상호작용한다. 경사부를 지지하는 부품 및 하우징사이에 장착될 수 있는 링모양의 부품에 의해 카운터경사부가 지지될 수있다. 하우징에 카운터경사부를 구성하여, 마찰클러치의 구조가 간단해 질 수 있다. 카운터경사부가 임프린팅(imprinting)가공될 수 있기 때문에, 판재금속의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구성이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의 반경방향 영역들에서 상기 임프린팅가공이 수행될 수 있다.
마찰클러치를 경제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적어도 조정장치의 일부분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상기 플라스틱부품들이 인젝션몰딩(injection molding)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polyamide)와 같은 열가소성수지가 상기 플라스틱으로서 적합하다. 최소량의 가열작용에 노출되는 영역에 조정장치가 위치하기 때문에, 플라스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중량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질량 관성모멘트가 작아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정장치는 마찰클러치의 분리방향에 대하여, 자유륜과 같이 작동하지만, 분리방향의 반대방향에 대하여 자동구속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는 축방향으로 4°도내지 20°도 또는 5°도내지 12°도의 경사각을 가진다.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는 마찰결합을 통해 자동구속기능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자동구속작용이 완전한 키(key)구속기능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경사부들중 한쪽은 연성을 가지고, 다른 한쪽은 형상단면을 가지거나 양쪽 경사부들이 형상단면들을 가진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불필요한 재설정작업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수단이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정장치에 의하면, 예비인장상태로 설치되고, 경사부를 지지하는 한 개이상의 부품 및 카운터경사부를 지지하는 한 개이상의 부품을 조정방향으로탄성편향시키는 스프링이 원주방향으로 작동하는 조정기구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이아프렘스프링과 같은 다른 스프링들 및 축방향으로 지지패드를 편향시키는 스프링의 기능이 변화되지 못하도록 상기 탄성편향작용이 수행될 수 있다.
반경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조정쐐기 또는 구름운동체와 같은 여러개의 조정요소들이 상기 조정장치에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조정장치는 속도에 의존한다. 내연기관의 특정작동단계에서 조정장치를 작동 또는 구속하기 위해, 조정장치의 개별 조정요소들위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이용될 수 있다. 마모에 대한 조정기능이 저속에서만 발생하도록, 예를 들어, 대략 공회전속도이하에서, 특정속도로부터 원심력에 의존하는 수단에 의해 조정장치의 작동이 방해될 수 있다. 그 결과 고속에서 진동작용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불필요한 조정작용이 형성되지 못한다.
조정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고 신뢰성있는 기능을 가져서, 경사부 또는 카운터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영역들을 가지고 하우징에 대해 이동가능한 부품들이 탄성인장된다. 하우징에 대해 이동가능한 해당 경사부에 해당하는 부품만이 편향된다. 탄성인장에 의해 원주방향의 하중이 발생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마찰클러치에 있어서, 다이아프렘스프링과 같이 디스크스프링(disk spring)으로 설계된 센서스프링이 하우징과 같은 축방향고정부품위에서 센서스프링의 반경방향외측영역에 의해 지지되고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한 지지패드가 센서스프링의 반경방향내측영역에 의해 편향되는 것이 유리하다. 센서스프링에 지지패드를 구성하도록 상기 지지패드가 센서스프링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스프링을 인장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지지부분이 하우징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하우징에 부착된 개별 지지요소들에 의해 상기 지지부분들이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분들은 하우징과 일체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지지기능을 위해 센서스프링의 하부에서 축방향으로 결합하는 하우징위에 오목부 또는 절단부 및 몰딩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압력판 및 카운터압력판사이에 고정될 수 있는 클러치디스크가 마찰라이닝들을 가지고, 문헌 제 DE-OS 36 31 863 호에 공지된 라이닝서스펜션(lining suspension)이 상기 마찰라이닝들사이에 제공되면, 분리하중 또는 요구되는 최대분리하중을 최소화하는데 유리하다. 마찰클러치가 연결상태에 있을 때, 인장상태의 라이닝서스펜션은 압력판위에 반작용하중을 가하고, 상기 압력판위에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반작용하중과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클러치디스크를 이용하면, 마찰클러치의 분리과정이 용이해진다.
분리과정시 압력판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탄성인장상태의 라이닝서스펜션에 의해 상기 압력판이 후방으로 가압되며, 동시에 다이아프렘스프링의 특성곡선중 분리영역에 존재하고 상대적으로 급격히 감소하는 부분에 기인하여,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의해 압력판위에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된다.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의해 압력판위에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하면, 상기 압력판위에서 라이닝서스펜션에 의해 작용하는 재설정하중은 감소한다. 라이닝서스펜션의 재설정하중 및 다이아프렘스프링의 접촉하중사이의 차이로부터 마찰클러치를 분리기 위한 소요분리하중이 형성된다. 라이닝서스펜션이 이완되고, 압력판이 마찰라이닝들로부터 상승되며, 압력판을통해 클러치디스크가 구속해제되는 동안, 소요 분리하중은 주로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의해 결정된다. 압력판을 통해 클러치디스크를 구속해제하는 동안, 다이아프렘스프링을 작동시키기 위한 하중이 상대적으로 작게 유지되도록, 하중-경로에 관한 라이닝서스펜션의 특성곡선 및 하중-경로에 관한 다이아프렘스프링의 특성곡선이 서로 일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압력판에 의해 클러치디스크가 구속해제될때까지, 라이닝서스펜션의 특성곡선을 다이아프렘스프링의 특성곡선과 적응 또는 일치시키면,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요구되는 하중은 매우 경미하거나 극단적인 경우 영일 수 있다. 또한 마찰클러치의 분리상태에서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접촉하중과 비교하면, 클러치디스크가 구속해제될 때, 회전운동에 대하여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의해 설정되는 하중 또는 다이아프렘스프링을 회전시키기위한 하중은 매우 작다. 압력판을 통해 클러치디스크를 구속해제할 때, 마찰클러치를 분리하기 위해, 다이아프렘스프링을 작동시키기 위한 하중은 매우 경미하거나 영이된다. 다이아프렘스프링을 작동시키는 하중은 0 N 내지 200 N 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적어도 압력판을 통해 클러치디스크를 구속해제할때,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축방향하중은 영이 되고, 분리과정이 계속될 때,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은 음의 값을 가져서, 다이아프렘스프링의 하중작용이 변화하도록 마찰클러치가 구성될 수 있다. 즉 마찰클러치가 완전히 분리될 때, 마찰클러치는 자신에 의해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외부의 하중작용에 의해 연결작동이 다시 개시될 수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27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클러치의 도면.
도 2 는 도 1의 선 II-II를 따라 본 단면도.
도 3 는 도 1 및 도 2를 따르고 마찰클러치와 함께 사용되는 조정링의 도면.
도 4 는 도 3의 선 IV-IV 를 따라 본 단면도.
도 5 는 도 1 및 도 2를 따르고 마찰클러치와 함께 사용되는 지지 링의 도면.
도 6 는 도 5의 선 VI-VI를 따라 본 단면도.
도 7 및 도 7a는 조정링 위에서 회전력을 작용하는 스프링의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을 따르는 마찰클러치의 조정요소 및 각각의 스프링 사이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특성곡선들의 선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을 따르는 마찰클러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3은 도 12의 선 VIII-VIII을 따라 본 단면도.
도 14는 도 12 및 도 13을 따르고 마찰클러치와 함께 사용되는 조정링의 도면.
도 15 내지 도 17은 보상장치를 가진 다른 마찰클러치의 상세도.
도 18 및 도 19는 마찰클러치의 분리하중곡선에 발생하고, 다이아프렘스트링및 라이닝서스펜션(lining suspension) 사이의 상호작용 및 효과를 나타내는 특성 곡선들을 나타내는 선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르는 또 다른 마찰클러치의 부분 단면도.
도 20a는 도 20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본 부분 단면도.
도 21은 도 20의 선 X X I-X X I에 따른 단면도.
도 22는 도 20 및 도 21에 따른 마찰클러치와 함께 사용되는 조정링의 부분 단면도.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클러치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 25는 도 12 및 도 13 및 도 20 및 도 21을 따르는 마찰클러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조정링의 도면.
도 26 내지 도 29는 마찰클러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30 내지 도 32는 마찰클러치의 또다른 형태의 실시예로서 도 31은 도 30의 화살표(A) 방향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화살표 (B-B) 방향의 단면도.
* 부호 설명
1... 마찰클러치 4... 다이아프렘 스프링
4a... 원형체 4b... 스프링 작동부
4c... 스프링 단부 5... 회전베어링
13... 센서스프링 13a... 외측변부
13b... 링 모양부 13c... 돌출요소
13d... 몰딩부 16... 조정장치
18... 경사부 20... 센터링부분
22... 연장캠 24... 카운터경사부
26... 스프링 28... 레그
17... 조정링
도 1 및 도 2의 마찰클러치(1)는 압력판(3)과 하우징(2)으로 구성되고, 상기 압력판(3)은 제한된 크기만큼 축방향으로 변위발생이 가능하지만 회전가능하게 하우징(housing)에 연결된다. 다이아프렘스프링(4)은 압력판 과 하우징(2)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인장력을 받고, 하우징(2)에 의해 지지되는 링모양의 회전베어링(5)주위에서 회전가능하고, 플라이휠(flywheel)과 같은 카운터압력판(counter pressure plate)(6)을 향해 압력판(3)을 편향시키며, 카운터압력판(6)은 고정나사(6a)에 의해 하우징(2)에 고정되고, 클러치디스크(8)의 마찰라이닝(lining)(7)은 압력판(3)과 카운터압력판(6)의 마찰면사이에서 고정된다.
원주방향으로 또는 접선방향의 판스프링(leaf spring)(9)에 의해 압력판(3)이 하우징(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실시예를 참고할 때, 클러치디스크(8)는 라이닝서스펜션(10)을 가지며, 2개의 마찰라이닝(7)을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제한된 변위만큼 이동시키고 마찰라이닝(7)에 작용하는 축방향하중을 점진적으로 상승시켜서, 마찰클러치(1)가 연결되는 동안, 상기 라이닝서스펜션(10)의 토크는 점진적으로 상승한다. 마찰라이닝(7)들이 지지디스크위에 축방향으로 강하게 배열되는 클러치디스크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있어서, "라이닝 스프링세트(lining spring set)"의 서스펜션이 다이아프렘스프링과 직렬로 배열되고, 즉 하우징과 플라이휠사이, 하우징측면에 위치한 지지패드와 하우징사이, 다이아프렘스프링과 압력판사이에 배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은 접촉압력을 가하는원형체(4a)로 구성되고, 원형체로부터 스프링작동부(4b)가 내측반경방향으로 돌출한다. 다이아프렘스프링(4)은 반경방향의 외측영역에 의해 압력판(3)을 편향시키고, 반경방향의 내측영역에 의해 회전베어링(5)근처에서 경사구조로 구성된다.
회전베어링(5)은 두 개의 회전하는 지지패드(11,12)를 가지고, 상기 지지패드들은 와이어링(wire ring)으로 구성되며, 그 사이에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죄어진다. 압력판(3)을 향하고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측면에 구성되는 지지패드(11)가 센서스프링(13)에 의해 하우징(2)을 향해 축방향으로 편향된다. 하우징(2)위에서 외측변부(13a)에 의해 지지되고, 반경방향으로 내측에 구성된 부분들에 의해 상기 지지패드(11)를 다이아프렘스프링(4)에 편향시켜 하우징(2)을 향해 편향시키는 센서스프링(13)이 판스프링 또는 판스프링형태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압력판(3) 및 다이아프렘스스프링(4)사이에서 축방향으로 구성되는 센서스프링(13)이 링모양부(13b)를 가지고, 링모양부(13b)의 내측 변부로부터 내측반경방향으로 돌출요소가 연장구성되며, 상기 돌출요소들이 지지패드(11)위에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스프링(13)을 지지하기 위해, 지지단부(14)가 하우징(2)에 고정되고, 센서스프링을 위한 회전지지단부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단부(14)는 원주둘레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부착 또는 리벳이음된 각각의 부품들로 구성된다. 지지단부(14)는 원형고리모양의 폐쇄부품으로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2)의 축방향으로 형성된 압입부 또는 돌출요소형상의 절단부에 의해 상기 지지단부(14)가 하우징(2)으로부터 직접 몰딩(moulding)으로 구성되며, 하우징(2)을 구성하고 축방향을 향하는 오목부나 센서스프링(13)을 삽입 및 인장한 후에 구성재료를 변형하여, 상기 센서스프링(13)의 외측변부아래에서 상기 지지단부(14)가 가압된다. 또한, 센서스프링(13)이 우선 예비인장되고, 상기 센서스프링(13)의 외측변부(13a)가 지지단부(14)상부를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베이요네트(bayonet)형상의 구속장치가 지지단부(14) 및 센서스프링(13)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다음에, 하우징(2)에 대해 센서스프링(13)을 적합하게 회전시켜, 센서스프링(13)의 지지영역이 지지단부(14)와 인접하게 된다. 링모양의 링모양부(13b)위에서 외측반경방향으로 돌출구조를 이루는 연장아암에 의해 센서스프링(13)의 지지영역이 형성된다.
센서스프링(13) 및 다이아프렘스프링(4)을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지지패드(11,12)의 중심잡기를 위해,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중심잡기수단의 리벳(15)이 하우징(2)에 고정된다. 각각의 리벳(15)은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리벳축(15a)을 가지고, 상기 리벳축(15a)은 인접한 스프링작동부(4b)들사이에 형성된 절단부를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되고, 돌출요소(13c)위의 몰딩부(13d)와 부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스프링(13)은 정해진 작동경로에 걸쳐 일정한 하중을 발생시킨다. 스프링단부(4c)에 가해지는 클러치분리하중은 상기 센서스프링(13)에 수용되고, 센서스프링(13)으로부터 지지패드(11)위에 가해진 저항력 및 지지패드(11)상의 분리하중 사이에 평형상태가 형성된다. 마찰클러치(1)가 작동하는 동안, 스프링작동부(4b)의 분리레버 또는 스프링단부(4c)위에 가해져서, 센서스프링(13)과 반작용하는 최대하중이 상기 분리하중을 형성한다.
하우징(2)의 측부에 배열된 지지패드(12)는 조정장치(16)에 의해 하우징(2)에 지지된다. 상기 조정장치(16)는 다이아프렘스프링(4)과 하우징(2)사이의 축방향 공간내에 구성된다. 상기 조정장치(16)가 구성되어, 카운터압력판(6) 또는 압력판(3)을 향해 지지패드(11,12)의 축방향변위가 발생할 때, 불필요한 유극(play)이 하우징과 지지패드(12)사이 또는 지지패드(12)와 다이아프렘스프링(4)사이에 발생하지 못한다. 따라서, 마찰클러치(1)가 작동하는 동안, 불필요한 아이들(idle)경로가 형성되지 않고, 마찰클러치(1)는 최적의 효율과 만족스런 작동이 이루어다. 마찰라이닝(7)과 압력판(3) 그리고 마찰라이닝(7)과 카운터압력판(6)의 마찰면상의 축방향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에, 지지패드(11,12)는 축방향변위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을 따르는 장치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다이아프렘스프링의 영역들 및 지지패드(11,12)들위에 마모가 발생하고, 지지캠(3a)의 구성영역 또는 지지캠과 마주보는 다이아프렘스프링의 영역에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에, 조정작용이 수행된다. 회전베어링(5)의 자동조정이 이루어지는 방법이 도 8 내지 도 11의 개략도와 함께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3 및 도4에 도시된 조정장치(16)가 스프링으로 편향되는 링모양의 조정 링(17)으로 구성된다. 조정 링(17)의 원주위에 구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되며 축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사부(18)가 조정링(17)에 구성된다. 경사부(18)가 하우징평면부(2a)를 향하도록 조정링(17)이 지지패드(12)에 설치된다. 경사부(18)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조정링(17)의 측부에 위치하며 요홈(groove)구조를 가진 소켓(socket)(19)(도2)내에서 와이어링(wire-ring)형상의 중앙에 배열된다. 상기 소켓(19)은 지지패드(12)가 조정링(17)상에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설계된다.소켓(19)과 인접하는 조정 링(17)의 구성영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패드(12)를 고정되게 죄거나, 지지패드(12)를 위하여 스냅연결부를 형성한다. 지지패드(12) 및 조정 링(17)이 서로 다른 재료로 구성될 때, 와이어링구조의 지지패드(12)가 개방되어, 원주위의 적어도 한 지점에서 분리되면, 폭넓은 온도 변화에 기인한 의해 발생하는 팽창차를 보상하는 것이 편리하며, 지지패드(12)는 소켓(19)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이동하고, 지지패드(12)는 소켓(19)의 직경변화에 적응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조정 링(17)은 내열성을 가지는 섬유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같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조정 링(17)은 인젝션몰딩(injection moulding)부품으로 제조된다. 비중이 낮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조정링은 질량관성이 작아서, 압력진동에 대한 민감도가 감소된다. 또한 지지패드(12)는 플라스틱재료의 링에 의해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정링(17)은 몰딩으로 구성되는 판재 금속부품으로 제조되거나 소결작업에 의해 만들어진다. 또한 적합한 재료를 선택하면, 지지패드(12)는 조정링(17)과 일체로 구성될수 있다. 지지패드(11)는 센서스프링(13)에 의해 직접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돌출요소(13c)의 단부가 요홈과 같은 오목부나 몰딩구성영역을 갖는다.
원주에 균일하게 분포되고 축방향으로 구성된 리벳축(15a)들에 의해 조정링(17)의 중심잡기가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을 위해, 조정 링(17)은 센터링(centering)부분(20)을 가지고, 상기 센터링부분은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요홈부(21)들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요홈부(21)들은 지지패드(11)의 반경방향내측에 위치한다. 요홈부(21)를 형성하기 위해, 조정 링(17)은 내측변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연장캠(22)을 가지고, 상기 연장캠(22)은 요홈부(21)의 반경방향 내부윤곽을 형성한다.
도 3을 참고할 때, 각각의 경사부(18)가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요홈부(21)사이에 구성된다. 요홈부(21)들에 의해 하우징(2)에 대해 조정 링(17)이 적어도 일정회전각을 허용하도록 상기 요홈부(21)들이 원주방향으로 구성되고, 압력판(3) 및 카운터압력판(6)의 마찰면들과 마찰라이닝(7)위에서 발생하는 마모와, 클러치자체의 마모, 그 결과 지지패드(11,12), 삽입된 다이아프렘스프링의 구성영역, 지지캠(3a) 또는 지지캠을 마주보는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구성영역에서 발생하는 마모가 마찰클러치(1)의 사용수명동안 조정된다. 상기 조정링(17)의 회전각은 경사부의 구성에 따라 8°도내지 60°도 또는 10°도 내지 30°가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은 12°에 해당되고, 경사부의 경사각(23)은 12°에 해당한다. 조정 링(17)의 경사부(18)가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지지링(25)의 카운터경사부(24)에서 가압될 때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경사부(18)와 카운터경사부(24)사이에서 발생하는 미끄럼운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경사각(23)이 선택된다. 쌍을 이루는 경사부(18) 및 카운터경사부(24)의 구성영역에서 구성재료에 따라, 상기 경사각(23)은 5°도 내지 20°도의 범위에 있다.
원주방향 즉 조정이 이루어지는 회전 방향 그 결과, 경사부(18)가 지지 링(25)의 카운터경사부(24) 위에서 움직일 때, 압력판(3)을 향해 조정링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조정링(17)이 탄성력을 가하므로, 하우징평면부(2a)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할 때, 두 개의 권선을 갖고, 한쪽단부에서 조정 링(17)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레그(leg)(27)를 가지고, 다른 한쪽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배열된 레그(28)를 가지며, 링모양으로 구성된 적어도 한 개의 스프링(26)에 의해 조정링(17)위에 탄성인장상태가 형성되고, 회전운동에 대해 고정상태로 상기 레그(28)가 하우징(2)에 걸려져 있다. 상기 스프링(26)이 탄성인장상태로 설치된다.
도 5 및 도 6의 지지 링(25)은 경사부(18)에 의해 형성된 면과 함께 짝을 이루는 면을 형성하는 카운터경사부(24)를 가지며, 경사부(18)와 카운터경사부(24)에 의해 형성된 면들은 일치하게 된다. 카운터경사부(24)의 경사각(29)은 경사부(18)의 경사각(23)에 일치한다. 도 3 및 도 4를 비교할 때, 경사부(18) 및 카운터경사부(24)가 유사한 방법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지지링(25)은 원주방향으로 분포된 요홈부(30)를 가지고, 상기 요홈부(30)를 통해 리벳(15)들이 리벳이음된다.
도 2에 있어서, 또 다른 링모양의 스프링(26a)이 점선으로 도시되어, 상기 스프링(26)과 같이, 한쪽 측면에서 하우징(2)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한쪽 측면에서 조정 링(17)과 연결되도록 상기 스프링(26)은 단부영역에서 구부러져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6a)이 조정 링(17)에 비틀림하중을 가하도록, 상기 스프링(26a)은 탄성인장하중을 받으며 설치된다. 마찰클러치(1)가 회전하는동안, 스프링(26) 또는 스프링(26a)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스프링하중이 강화되기 때문에, 두 개의 스프링(26,26a)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적어도 조정링(17)에 상기 스프링(26,26a)들에 의해 형성되도록 원심력이 작용할 때, 반대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들이 상기 스프링(26,26a)들에 의해 형성되도록, 스프링(26,26a)은 코일(coil)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2를 참고할 때, 두 개의 스프링(26,26a)은 한개이상의 권선을 가지고, 상기 스프링(26,26a)은 서로 다른 권선직경을 가지며, 조정링(17)위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원주방향하중을 발생시키고, 스프링(26,26a)위에 작용하며 스프링들과 연관되는 원심력들이 개별 스프링(26,26a)의 권수 또는 와이어 두께에 해당하는 구성에 의해 보상된다. 도 2에 있어서, 스프링(26)은 상기 조정 링(17)의 반경방향내측에 장착되고, 스프링(26a)은 조정 링(17)의 반경방향외측에 장착된다. 그러나 두개의 스프링은 조정 링(17)의 반경방향의 내측 또는 외측과 상응하는 구성부분위에 장착될 수 있다.
스프링(26)은 도7에서 평면도로 도시된다. 스프링(26)이 인장하중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레그(leg)(27,28)는 40°도와 120°도를 이루는 오프셋각(31)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오프셋각(31)은 85°도이다. 새로운 마찰라이닝(7)들이 위치할 때, 마찰클러치(1)내부에 형성되는 레그(28)에 대한 레그(27)의 상대위치(32)가 도시된다. 마찰라이닝(7)상의 최대허용마모에 해당하는 레그(27)의 위치(33)가 도시된다. 조정각(34)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12°도이다. 상기 스프링(26)이 인장하중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단지 한개의 권선(35)이 두 개의 레그(27,28)들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상기스프링(26)이 구성된다. 나머지 원주방향의 구성영역에서 두 개의 권선은 서로에 대해 상하로 축방향으로 위치한다. 스프링(26a)은 스프링(26)과 유사하게 구성되나, 도 2의 조정링(17)에 대해 다른 인장 방향 및 더큰 권선직경을 갖는다. 그러나 조정링(17)위에서 스프링(26)에 의해 작용하는 하중은 스프링(26a)의 하중보다 크다.
마찰클러치(1)가 신품일 때, 경사부(18)와 카운터경사부(24)에 형성되는 축방향 캠(18a,24a)은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더욱 결합되어, 서로 상하에 위치하는 조정링(17)과 지지링(25)이 최소의 축방향공간을 요구한다.
도 1 및 도 2 의 실시예에 있어서, 카운터경사부(24)와 축방향 캠(24a)이 단일 부품으로 도시된다. 하우징 공간내부로 연장구성되고 캠형상부를 임프린팅(imprinting)하여, 카운터경사부(24)가 하우징(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임프린팅가공법은 일체로 구성되는 판재금속의 하우징에 대하여 특히 유리하다.
마찰클러치(1)를 조립하기 전에, 수축된 위치에 조정링(17)을 고정하기 위해, 하우징(2)위의 다른한쪽 측부에서 지지되는 회전 및 지지수단을 위한 결합부(36)가 상기 조정링(17)의 연장캠(22)에 구성된다. 마찰클러치(1)를 제조 또는 조립할 때, 상기 회전 및 지지수단이 제공되고, 카운터압력판(6)위에 마찰클러치(1)를 끼워 맞춘후, 상기 회전 및 지지수단이 마찰클러치로부터 제거되며, 조정장치(16)가 작동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도 1의 정방형 요홈(37)이 하우징(2)에서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며, 오목부가 조정링(17)에 구성된다. 최대 마모량의 조정각에 따라 조정링(17)이 후향회전운동하도록, 장방형 요홈(37)이 적어도 한 개의 연장부로 구성되어야 한다. 마찰클러치(1)를 조립한 후, 조정링(17)의 오목부(38)와 하우징(2)에 구성된 장방형요홈(37)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회전공구를 통과시킬 수 있다. 조정링(17)은 회전공구에 의해 회전되어, 하우징(2)의 하우징 평면부(2a)를 향해 움직이며, 상기 하우징평면부(2a)에 대해 축방향으로 최소 공간을 차지한다. 하우징(2) 및 조정링(17)이 회전하지 않도록, 조정링(17) 및 하우징(2)의 플러시(flush)요홈에 결합되는 클립 또는 핀에 의해 상기 조정링(17)이 고정된다. 카운터 압력판(6)에 마찰클러치(1)를 끼워맞춘 후, 상기 핀이 제거되면, 조정장치(16)가 구속해제된다. 하우징(2)의 장방형요홈(37)은 카운터압력판(6)으로부터 마찰클러치(1)가 분리되는 동안 또는 분리된 후에, 조정링(17)이 수축된 위치로 움직이도록 설계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우선 다이아프렘스프링(4)은 지지패드(12)에 축방향 하중을 가하지 않고, 그 결과 조정링(17)이 회전되도록 마찰클러치(1)가 분리된다.
내연기관에 이미 고정된 마찰클러치의 구성부품들을 기능상 정확한 위치에 구성하기 위해, 마찰클러치가 카운터압력판위에 끼워맞춰진 후에만, 조정링(17)을 후방으로 회전시키거나 리세트(reset)하게 된다. 그러므로, 마찰클러치(1)는 가령 보조공구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다음에 이완상태의 조정링(17)이 압력판에 대해 후퇴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에 조정링(17)이 상기 후퇴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마찰클러치(1)가 다시 연결된다.
상기 마찰클러치(1)의 작동방법은 도 8 내지 도11의 선도들에 나타난 특성곡선들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8을 참고할 때, 두 개의 지지부분들사이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변형되는 동안,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원추형상(conicity)변화에 의존하는 축방향하중이 특성곡선(40)으로 도시되고, 두 개의 지지부분들의 반경방향거리가 압력판(3)위에서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한 지지캠(3a) 및 회전베어링(5)사이의 반경방향 거리와 일치한다. 지지패드들사이의 축방향 경로는 가로좌표에 도시되고,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의해 발생되는 축방향하중은 세로좌표에 도시된다.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평평한 상태가 점(41)에 해당하고, 마찰클러치(1)가 연결될 때, 상기 점(41)은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설치위치에 해당하며, 해당 설치위치에 대하여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압력판(3)위에 최대접촉압력을 가하는 위치가 된다.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설치위치를 변경 및 세팅하여, 상기 점(41)이 특성곡선(40)위에서 아래 또는 위로 이동될 수 있다.
선(42)은 두 개의 마찰라이닝(7)들사이에 작용하고, 라이닝서스펜션(10)에 의해 가해진 축방향 팽창력을 나타낸다. 압력판(3)위에 가해진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축방향하중에 의해 상기 축방향팽창력이 상쇄된다. 라이닝서스펜션(10)의 탄성변형에 필요한 축방향하중이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압력판(3)위에 가해진 하중과 일치하는 것이 유리하고,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하중은 상대적으로 더 커질 수 있다. 마찰클러치(1)가 분리되는동안, 라이닝서스펜션(10)은 경로(43)에 걸쳐서 느슨해진다. 압력판(3)의 해당 축방향변위에 해당하는 상기 경로(43)를 따라 마찰클러치(1)가 분리되고 즉 라이닝서스펜션(10)이 분리되는 점(41)의 하중보다 더 작은 최대분리하중이 요구된다. 점(44)을 초과할 때, 마찰라이닝(7)들은 분리되고,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특성곡선에 나타나는 감소범위에 의하여, 아직까지 가해지는 분리하중은, 점(41)에 해당하는 하중과 비교할 때, 상당히 감소된다. 사인(sine)곡선을 나타내는 특성곡선(40)의 최소점(45)에 도달할 때까지, 마찰클러치(1)의 분리하중이 감소한다. 최소점(45)을 초과할 때, 마찰클러치(1)의 소요분리하중은 다시 증가하고, 분리경로가 스프링단부(4c)의 구성영역에 형성되어, 최소점(45)을 초과할 때조차도, 분리하중은 점(44)에서 증가하여, 최대분리하중을 초과하지 못하고, 최대분리하중보다 작게 유지된다. 따라서 점(46)을 초과하지 못한다.
하중에 대해 센서(sensor)로서 작동하는 센서스프링(13)은 도9 의 특성곡선(47)에 해당하는 하중-경로(force-path)곡선을 갖는다. 센서스프링(13)의 원추상태가 이완된 위치로부터 변화할 때, 즉 지지패드(11) 및 지지단부(14)사이의 반경방향거리에 해당하는 반경방향거리를 갖는 두 개의 지지부분들사이에서 센서스프링(13)이 변화할 때, 나타나는 하중경로선도가 특성곡선(47)에 해당한다. 특성곡선(47)을 참고할 때, 상기 센서스프링(13)은 경로(48)를 가지고, 상기 경로(48)에 대해 센서스프링(13)에 의해 발생되는 축방향하중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경로(48)에서 센서스프링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은, 도 8의 점(44)에서 증가하는 클러치 분리하중과 일치하도록 선택된다.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병진운동에 따라, 점(44)에 해당하는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하중과 비교할 때, 센서스프링(13)에 의해 가해진 지지력은 감소된다.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의 병진운동비율은 대부분의 경우 1:3 내지 1:5이지만, 1:3보다 더 작거나 1:5보다 더 클 수도 있다.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의 병진운동비율은 지지캠(3a)에 대한 회전베어링(5)의 반경방향 거리 및 스프링단부(4c)에 대한 회전베어링(5)의 반경방향거리사이의 비율에 해당한다.
회전베어링(5)의 구성영역에서 마찰라이닝(7)을 향하는 축방향경로를 회전베어링(5)이 수용할 수 있도록, 센서스프링(13)이 마찰클러치(1)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축방향경로는 마찰면 및 마찰라이닝의 마모에 기인하고 카운터압력판(6)을 향하는 압력판(3)의 축방향조정경로와 일치할뿐만 아니라, 적어도 회전베어링(5)에 대해 일정한 축방향지지력을 보장한다. 조립공차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되기 때문에, 특성곡선(47)의 경로(48)는 적어도 상기 마모경로에 해당하거나, 상기 마모경로보다 더 커야 한다.
마찰클러치(1)가 분리될 때, 점(44)에 해당하는 마찰라이닝(7)의 하중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마찰라이닝(7)들사이에 소위 이중구조의 부분 라이닝서스펜션(suspension)과 같은 탄성부분들을 이용할 수 있고, 각각의 탄성부분들은 쌍을 이루며 앞뒤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분들의 각 쌍은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예비인장응력을 가질 수 있다. 마찰라이닝들사이에 제공된 상기 탄성부분들을 예비인장상태로 만들면, 상기 탄성부분들이 작동하는 동안 마찰라이닝의 반대측부에 발생하는 결합손실이 보상된다. 상기 결합손실은 마찰부분들이 반대측부안으로 구성될 때 발생하는 손실이다. 두 개의 마찰라이닝(7)들사이에 축방향경로가 형성되고, 마찰라이닝들사이에서 라이닝서스펜션이 예비인장응력을 가지면, 마찰클러치(1)가 분리될 때, 마찰라이닝들 사이의 라이닝서스펜션에 의해 상기 압력판(3)이 경로(43)에 걸쳐 후방으로 가압된다. 명확한 경로(43)를 구하기 위해, 라이닝서스펜션(10)이 이완되는 방향의 정지위치 및 인장되는 방향의 정지위치에 의해 마찰라이닝들 사이의 축방향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용된 라이닝서스펜션은 본 발명에서 첨부된 특허출원 P 42 06 880.0에 공지되어 있다.
도 10에 있어서, (도8을 참고할 때) 점(41)의 상태로부터 점(44)의 상태로 압력판을 이동시키기 위해,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스프링단부(4c)와 결합된 클러치분리요소를 통해 마찰클러치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하중이 특성곡선(49)에 의해 도시된다. 특성곡선(49)은 다이아프렘스프링의 스프링단부(4c)의 하중상태를 나타낸다.
마찰라이닝의 마모를 자동으로 보상하는 조정장치(16)또는 마찰클러치(1)의 최적기능을 위해, 도 10의 특성곡선(49)을 참고할 때, 센서스프링(13) 및 라이닝서스펜션(10)에 의해 가해지는 누적하중이 지지패드(11)위에 가해지는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하중보다 크다. 마찰라이닝(7)으로부터 압력판(3)이 상승한 후에, 다이아프렘스프링(4)위에서 센서스프링(13)에 의해 가해진 하중은, 도 10에 따라 (특선곡선(49))에 따라 변화하고, 마찰클러치를 분리하기 위해, 다이아프렘스프링의 스프링단부(4c)에 가해지는 분리하중보다 적어도 같거나 크다. 따라서 스프링(26)의 하중을 받는 조정링(17)의 회전운동 및 그 결과 적어도 다이아프렘스프링의 설치위치에 해당하는 특성곡선(40)의 점(41)이 초과되지 않을 때까지, 다이아프렘스프링의 축방향이동이 방지되도록, 지지패드(11)에 대한 센서스프링(13)의 하중이 결정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세부적인 설치위치에 대해 설명하고, 마찰라이닝(7)의 마모는 고려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마찰라이닝(7)들이 축방향으로 마모될 때, 압력판(3)은 카운터압력판(6)을 향해 이동하여, 원추상태가 변화하고 (스프링단부(4c)가 우측으로 이동,) 마찰클러치(1)가 연결상태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접촉압력이 변화한다. 상기 변화에 의해 점(41)은 점(41')으로 이동되고, 점(44)은 점(44')으로 이동된다. 상기 변화에 의해, 센서스프링(13) 및 다이아프렘스프링(4) 사이에 구성된 지지패드(11)의 영역에서 마찰클러치(1)가 분리될 때에 원래 존재하는 하중 평형상태가 파괴한다. 마찰라이닝의 마모에 기인한 압력판(3)에 대한 다이아프렘스프링의 접촉압력증가는 특성곡선의 경로에서 변위를 증가시킨다. 상기 변화에 기인하는 분리하중에 관한 특성곡선(50)이 도 10에 도시된다. 마찰클러치(1)가 분리될 때, 특성곡선에서 분리하중의 증가는 센서스프링(13)에 의해 다이아프렘스프링(4)위에 가해진 축방향하중을 극복하여, 회전베어링(5)의 영역에서 마찰라이닝(7)의 마모에 상응하는 축방향경로만큼 센서스프링(13)이 휘어진다. 센서스프링(13)이 휘어질 때, 다이아프렘스프링(4)은 압력판(3)의 지지캠(3a)에 지지되어,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4)은 원추형상을 변화시켜, 다이아프렘스프링(4)에 에너지 및 토크(torque)를 저장하고, 그 결과 지지패드(11) 위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에 의해 가해지고 압력판(3)위에서 센서스프링(13)에 의해 가해진 하중을 저장한다. 도8을 참고할 때, 상기 변화에 기인하여, 압력판위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에 의해 가해진 하중이 감소된다. 지지패드(11)의 구성영역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에 의해 가해진 축방향하중이 센서스프링(13)에서 발생되는 반작용력과 균형을 이룰 때까지, 상기 변화가 지속된다. 도 8의 선도에서 점(41', 44')은 점(41,44)을 향해 다시 움직인다. 상기 평형이 회복되면, 압력판(3)이 마찰라이닝(7)들로부터 다시제거된다. 마모를 조정하는 동안, 마찰클러치(1)가 분리될 때, 센서스프링(13)은 휘어지며, 조정장치(16)의 조정링(17)은 예비인장상태의 스프링(26)에 의해 회전되고, 지지패드(11)가 마찰라이닝들의 마모량만큼 이동하고, 다이아프렘스프링(4)에 구성된 회전베어링(5)의 기능이 보장된다. 조정과정 후에, 분리하중의 변화는 도 10의 특성곡선(49)과 일치한다. 도 10의 특성곡선(50,51)은 압력판(3)의 축방향경로 대 하중변화를 나타내고, 분리하중 대 경로곡선은 특성곡선(49,51a)과 일치한다.
도 11의 선도는 마찰클러치를 분리할 때, 센서스프링(13) 또는 하우징(2)위에 가해진 하중 및 분리경로를 도시하며, 극한값을 가진다. 우선 도1에 도시된 마찰클러치의 연결위치로부터, 도 8의 점(41)에 해당하는 하중이 하우징(2) 및 압력판(3)위에 작용한다. 마찰클러치가 분리될 때, 하우징(2) 또는 지지패드(12)위에, 가해진 다이아프렘스프링(13)의 축방향하중이 도11의 특성곡선(52)을 따라 감소하여, 점(53)에 도달한다. 종래기술을 따르는 마찰클러치의 경우, 다이아프렘스프링이 회전가능하게 하우징위에 축방향으로 장착되고, 지지패드(11)가 구부러질 수 없도록 하우징(2)과 축방향으로 연결되면, 마찰클러치가 분리되어 점(53)을 초과할때, 반경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하중은 축방향으로 역전된다. 회전베어링(5)의 구성영역에서, 축방향으로 역전되는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하중이 센서스프링(13)에 의해 수용된다. 점(54)에 도달할 때, 다이아프렘스프링(4)은 압력판(3)의 지지캠(3a)으로부터 상승된다. 라이닝서스펜션(10)의 축방향하중이 다이아프렘스프링의 하중에 대해 작용하기 때문에, 적어도 상기 점(54)까지, 라이닝서스펜션(10)의 축방향하중에 의해 마찰클러치(1)가 분리된다. 스프링단부(4c)의 구성영역에서 분리경로를 증가시키고 압력판(3)의 축방향경로가 증가함에 따라, 라이닝서스펜션(10)의 축방향하중은 감소한다. 라이닝서스펜션(10)에 의해 지지캠(3a)에 작용하는 축방향하중 및 스프링단부(4c)에 작용하는 분리하중의 결과력이 특성곡선(52)으로 도시된다. 마찰클러치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점(54)을 초과할 때, 지지패드(11)위에 가해진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축방향하중은 센서스프링(13)의 역방향하중에 의해 수용되고, 적어도 압력판(3)을 통해 마찰라이닝(7)들이 이완된 후에, 상기 두 하중들이 균형을 이루며, 분리과정이 계속될 때, 회전베어링(5)의 구성영역에서 센서스프링(13)의 축방향하중은 분리하중보다 약간 크다. 도 11에 도시된 특성곡선(52)의 부분(55)에 의하면, 경로가 증가할 때, 지지패드(11)위에 가해진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하중 또는 분리하중이 점(54)에서 상승하는 분리하중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마찰라이닝(7)에 마모가 발생되고, 회전베어링(5)의 구성영역에서 조정작용이 없는 마찰클러치(1)의 상태가 점선의 부분(56)으로 도시된다. 마모에 기인한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설치위치가 변화하면, 센서스프링(13), 지지패드(11) 및 하우징(2)위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된다. 그 결과 점(54)이 점(54')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점(54')에 의하여 마찰클러치(1)가 새로 분리되는 동안, 지지패드(11)의 구성영역에서 센서스프링(13)위에 가해진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축방향하중은 센서스프링(13)의 하중보다 크고, 센서스프링(13)이 축방향을 향해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조정과정이 수행된다. 스프링(26)에 의해 상기 조정과정이 이루어지고,조정링(17)이 회전되고, 지지패드(12)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점(54')은 점(54)을 향해 다시 이동하고, 센서스프링(13) 및 다이아프렘스프링(4) 사이의 회전베어링(5)에서 원하는 균형상태가 형성된다.
실제로 상기 조정작용은 연속적으로 또는 미소변화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특성곡선들과 점들에서 큰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다.
몇몇 기능변수나 작동점은 마찰클러치(1)의 작동시간에 걸쳐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클러치(1)의 부적합한 작동에 의해 라이닝서스펜션(10)의 축방향서스펜션이 감소되면 라이닝서스펜션(10)이 과열된다. 그러나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특성곡선(40)을 적합하게 구성하고, 센서스프링(13)의 특성곡선(47)을 적응시키면 마찰클러치(1)의 기능이 신뢰성있게 보장된다. 도1에 도시된 적응상태와 비교할 때, 라이닝서스펜션(10)의 축방향 적응상태에 의해 다이아프렘스프링(4)은 상대적으로 더욱 압축된 위치를 점유하고, 도8의 특성곡선(40)을 참고할 때, 압력판 위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에 의해 가해진 접촉압력은 경미하게 적다. 또한 센서스프링(13)의 해당 축방향변형 및 지지패드(11)의 해당 축방향변위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마찰라이닝(7)상의 마모가 증가할 때, 다이아프렘스프링(4)에 작용하는 지지력은 증가한다. 마찰라이닝(7)전체에 걸쳐 최대허용마모경로 중 일부경로에서만 지지력이 증가된다.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지지력증가는 센서스프링(13)의 해당 설계를 통해 형성된다. 경로(48)에 해당하는 해당 특성곡선이 도9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47a)이다. 마모증가에 의한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지지력이 증가하면, 라이닝서스펜션의 감소 즉 마찰라이닝들사이의 라이닝서스펜션에 의해 조정되는 압력판(3)에 대한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접촉압력의 감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된다. 라이닝서스펜션의 접착작용 또는 마찰라이닝들사이의 라이닝서스펜션의 압입작용에 비례하여, 다이아프렘스프링(4)을 위한 지지력이 증가한다. 클러치디스크의 두께가 마찰라이닝들의 구성영역에서 감소하고, 라이닝서스펜션의 압입작용 또는 접착작용 또는 마찰라이닝의 마모에 기인한 마찰면들사이의 거리감소에 따라, 다이아프렘스프링을 위한 지지력이 증가해야 한다. 도 9의 경로(48)내에 위치하는 두 개의 부분들에 있어서, 지지력의 증가는 후방부분에서 보다 전방부분영역에서 더 크다. 마찰라이닝들 및 라이닝서스펜션들 사이에서 대부분의 상기 압입작용이 짧은 시간동안 이루어지고, 상기 시간은 마찰클러치의 전체 수명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작고, 라이닝서스펜션들 및 마찰라이닝 사이의 관계가 안정화되기 때문에 상기 구성이 유리하다. 그 결과 일정한 압입작용후에, 압입작용에 대해 심각한 변화는 없다. 그러나 다이아프렘스프링에 대한 지지력증가는 마찰라이닝마모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발생할 수 있다.
마찰라이닝의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과정에 관한 상기 설명에서, 판스프링(9)에 의해 가해진 축방향하중은 고려되지 못했다. 해당 마찰라이닝(7)으로부터 압력판(3)을 제거하여, 압력판(3)이 다이아프렘스프링(4)을 가압하면, 판스프링(9)을 예비인장하여 마찰클러치의 분리작용이 용이해진다. 판스프링(9)에 의해 가해진 축방향하중은 센서스프링(13) 및 다이아프렘스프링(4)에 의해 가해진 하중 및 분리하중과 중첩된다. 판 스프링(9)에 의해 가해지는 상기 축방향하중은 도 8 내지 도 11의 선도들에 대한 설명에서 고려되지 못했다. 구름운동하는 지지패드(12)에 대해, 다이아프렘스프링(4)을 마찰클러치(1)의 분리상태로 편향시키는 총 하중은, 주로 다이아프렘스프링(4)에 잔류하는 분리하중 및 센서스프링(13) 및 판스프링(9)에 가해진 하중들의 합이다. 판스프링(9)은 하우징(2) 및 압력판(3)사이에 설치되어, 마찰라이닝(7)의 마모가 증가할 때, 다이아프렘스프링(4)위에서 판스프링(9)에 의해 가해진 축방향하중은 증가한다. 예를 들어, 도 9의 경로(48) 및 조정장치(16)의 마모보상경로에 대하여, 판스프링(9)에 의해 가해진 축방향하중은 특성곡선(47b)을 따른다. 도 9를 참고할 때, 센서스프링(13)이 나타내는 특성곡선의 휘어짐이 증가함에 따라, 압력판(3)위에서 판스프링(9)에 의해 가해지고 다이아프렘스프링(4)위에 작용하는 재설정하중이 증가한다. 특성곡선(47b) 및 다이아프렘스프링의 특성곡선을 합하면, 다이아프렘스프링(4)위에서 축방향으로 작용하고, 지지패드(12)에 대해 다이아프렘스프링(4)을 가압하는 하중의 특성곡선이 형성된다. 조정작용이 개시되는 영역(47d)에서, 초기에 일정하게 하중이 증가하는 특성곡선(47a)을 구하기 위하여, 특성곡선이 도9의 특성곡선(47c)과 일치하는 센서스프링을 구하는 것이 편리하다. 특성곡선(47c)과 특성곡선(47b)을 중첩하면 특성곡선(47a)이 형성된다. 판스프링(9)을 적합하게 예비인장하면, 센서스프링(13)의 지지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판스프링(9)을 적합하게 구성 및 배열하면, 마찰라이닝들 내부의 라이닝서스펜션(10)의 압입작용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동일한 작동점 및 작동영역을 유지하여, 마찰클러치의 작동수명을 통해, 다이아프렘스프링(4)은 압력판(3)위에 거의 일정한 접촉압력을 가한다. 또한센서스프링(13) 또는 판스프링(9)을 설계할 때, 조정링(17)에 작용하는 스프링(26, 26a)에 의해 형성되고, 센서스프링(13) 또는 판스프링(9)과 상호작용하는 축방향하중이 고려되어야 한다.
예비인장상태의 판스프링(9)을 갖는 마찰클러치(1)를 설계할 때, 마찰라이닝(7)위에 가해지는 압력판(3)의 축방향하중은 판스프링(9)의 예비인장상태에 의해 변화된다. 판스프링(9)이 다이아프렘스프링(4)을 향해 예비인장될 때, 다이아프렘스프링(4)에 의해 가해진 접촉압력이 판스프링(9)의 예비인장력에 의해 감소된다. 상기 마찰클러치(1)를 이용하면, 판스프링(9)의 인장특성곡선 및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접촉압력 특성곡선을 중첩하여 형성되는 마찰라이닝(7) 또는 압력판(3)의 접촉압력특성곡선이 제공된다. 마찰클러치(1)가 새로운 상태에 있을 때, 작동범위를 고려하여, 예비인장된 판스프링(9) 및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하중곡선이 도 8의 특성곡선(40)으로 도시되면, 마찰라이닝의 마모에 기인한 압력판(3) 및 카운터압력판(6)사이의 거리감소는 특성곡선을 감소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8을 참고할 때, 마찰라이닝의 전체 마모량이 1.5mm일때의 특성곡선(40a)이 점선으로 도시된다. 마찰클러치의 작동수명동안 특성곡선(40)이 특성곡선(40a)을 향해 이동하면, 마찰클러치(1)의 분리되는 동안, 다이아프렘스프링(4)위에서 판스프링(9)에 의해 가해진 역방향모멘트에 기인하여, 마모가 증가함에 따라, 센서스프링(13)위에 가해지는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축방향하중이 감소한다. 압력판(3) 및 다이아프렘스프링(4)사이의 지지캠(3a)과 회전베어링(5)사이의 반경방향거리에 기인하여, 상기 역방향 모멘트가 존재한다.
조정링(117)이 코일스프링(126)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구성되므로, 도 12 및 도 13의 마찰클러치(101)는 도 1 및 도 2의 마찰클러치(1)와 상이하다. 마찰라이닝들 위에서 마모를 보상하는 작용 및 방법에 있어서, 조정링(117)은 도 2 내지 도 4의 조정링(17)에 해당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세 개의 코일스프링(126)은 원주둘레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하우징(2) 및 조정링(117)사이에서 예비인장상태로 있게된다.
도 14를 참고할 때, 조정링(117)의 내측원주부위에 반경방향의 스텝(step)(127)들이 구성되고, 조정링(117)을 편향시키기 위해, 아크(arc)모양으로 배열된 코일스프링(126)이 코일스프링의 한쪽단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지지된다. 하우징(2)에 의해 지지된 나사연결부(128)에서 코일스프링(126)의 다른 한쪽 단부가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나사연결부(128)는 하우징(2)과 일체로 구성된 축방향 몰딩(moulding)부분으로 구성가능하다. 상기 나사연결부(128)는 예를들어 금속판재로 구성되는 하우징(2)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몰딩된 오목부 또는 탭(tab)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13 및 도 14를 참고할 때, 조정링(117)은 내부원주에 형성되어, 스프링안내부(129)가 적어도 코일스프링(126)의 연장구성영역내에 제공되고, 코일스프링(126)의 이완경로 또는 마모조정작용에 요구되는 조정링(117)의 회전각에 걸쳐 구성되는 것이 선호되며, 상기 스프링 안내부에 의해 코일스프링(126)이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반경방향으로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 안내부(129)는 반원형단면의 오목부로 형성되고, 스프링안내부(129)의 경계면은 코일스프링(126)의 단면과 일치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마찰클러치가 회전할 때, 코일스프링(126)에 대해 스프링안내부가 제공되어, 코일스프링들이 축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할 때, 추가로 코일스프링(126)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하우징(2)은 반경방향의 내측변부영역에서 축방향의 몰딩구성부(130)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몰딩구성부(130)는 축방향으로 코일스프링(126)과 겹쳐진다. 몰딩구성부(130) 대신에, 하우징(2)은 원주에 걸쳐 연장구성되는 축방향내측변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몰딩구성부(130)는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이완작용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의 코일스프링(126)에 의하면, 마찰클러치(1)가 회전할 때, 코일스프링(126)에 구성된 각각의 권선이 조정링(117)위에서 원심력작용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지지되고, 코일스프링(126)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가해지는 조정력이 조정링(117) 및 스프링 권선 사이에 형성되는 마찰저항에 기인하여, 감소되거나 심지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마찰클러치(101)가 회전하는 동안 탄성작용을 억제하는 마찰력에 기인하여, 코일스프링(126)은 휘어지지 못한다.
적어도 내연기관의 공회전속도 이상의 속도에서, 조정링(117)은 코일스프링(126)에 의해 회전될 수 없다. 공회전속도 또는 적어도 공회전속도근처에서 마찰클러치(101)를 작동할 때, 마찰라이닝의 마모에 대한 보상작용이 일어난다. 내연기관이 정지해 있고 마찰클러치(101)가 회전하지 않을 때만 조정링(117)의 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마찰클러치(1)가 회전하는 동안 또는 특정속도를 초과할 때, 조정작용이 방지되는 과정이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 유리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조정링(117)위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회전작용에 대해 안전하고, 즉 스프링(26,26a)의 조정하중에 대해 안전한 안전수단이 하우징(2)위에 제공될 수 있다. 원심력 작용을 통해 외측반경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고, 조정링(17)의 내측변부위에 지지되는 적어도 한개의 웨이트(weight)에 의해 상기 안전수단이 구성될 수 있고, 조정링(17)위에서 저항모멘트를 발생시키는 마찰력이 상기 안전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저항모멘트는 조정링(17)위에서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회전모멘트보다 크다.
코일스프링(126)의 연장구성부분중 적어도 일부영역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해 하우징(2)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수단이 구성된다. 도12 및 도13의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수단은 나사연결부(128)와 일체로 구성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나사연결부(128)는 각을 형성하며, 코일스프링의 연장구성부의 일부영역에 걸쳐 코일스프링(126) 내부로 돌출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영역을 상기 나사 연결부들이 가진다. 스프링권선들 중 적어도 일부분은 적어도 반경방향으로 안내 및 지지된다.
도 13을 참고할 때, 도 2의 지지패드(11)의 구성이 생략되고, 센서스프링(113)의 단부영역에 형성된 몰딩부분으로 대체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돌출요소(113c)의 단부가 다이아프렘스프링(4)을 향하는 측부에서 볼(ball)모양을 가진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고할 때, 본 발명에 따르는 마모조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링모양을 가진 한개의 링대신에 개별 조정부품(217)들이 이용될수 있다. 상기 조정부품(217)은 하우징(202)의 원주위에 균일하게 분포한다. 원주 방향으로 연장구성되고, 축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사부(218)로 구성된 원판형상부품들에 의해 상기 조정 부품(217)이 구성된다. 원형의 상기 조정부품(217)이 중앙의 구멍(219)을 가지고, 하우징(202)에 의해 지지되는 핀모양의 부착요소(215a)가 상기 구멍(219)을 통해 연장구성되어, 링모양의 조정부품(217)은 상기 부착요소(215a)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경사부(218)를 위한 카운터경사부(224)를 형성하는 몰딩부분(225)이 하우징(202)에 구성된다. 스프링(226)은 조정부품(217) 및 하우징(202)사이에 인장되고, 조정이 이루어지는 회전방향으로 조정부품(217)을 편향시킨다. 도 15를 참고할 때, 스프링(226)은 부착요소(215a)의 주위에 연장구성되어 코일스프링을 구성한다. 하우징(202)위에서 스프링의 한쪽 단부를 지지하고, 해당 조정부품(217)위에서 스프링의 다른 한쪽 단부를 지지하는 몰딩부분들이 스프링(226)의 단부들에 구성된다. 회전지지체(205)의 구성영역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204) 또는 센서스프링(213)의 축방향변위가 발생할 때, 카운터경사부(224)위에서 상승하는 경사부(218)에 의해 상기 축방향변위가 보상된다.
하우징(202)의 축방향구성부로부터 성형되고, 센서스프링(213)의 외측부를 향해 가압되는 탭(214)들에 의해, 하우징(202)에 구성된 센서스프링(213)이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링모양의 조정부품(217)에 의하면, 원심력과 독립적으로 조정작용이 이루어진다.
도 15의 조정부품(217) 대신에, 마모조정을 위해 반경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변위가 이루어지고 쐐기 모양을 가진 각각의 조정부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쐐기형 조정부품은 상응하는 조정부품을 안내하기 위해 부착요소(215a)가 연장구성되는 장방향요홈을 가질 수 있다. 쐐기모양의 조정부품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기인하여, 조정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조정방향으로 쐐기형조정부품을 편향시키는 에너지저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쐐기형 조정부품들을 안내하기 위하여, 하우징(202)은 몰딩부분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의 측부 또는 다이아프렘스프링의 측부위에 조정부품들의 쐐기면들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쐐기면들은 마찰클러치의 회전축과 수직인 면에 대해 일정한 경사각을 가진다. 상기 형태의 쐐기형조정부품을 이용하면, 조정부품들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최소값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조정부품들을 경량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마찰클러치의 사용수명동안,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사이에서 접착(adhesion)이 발생하지 않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구성부품재료들이 선택된다. 조정작용을 방해할 수 있는 상기 접착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성품들중의 적어도 한개가 경사부 또는 카운터경사부에 코팅(coating)을 가질 수 있다. 두개의 금속성 구성부품들을 사용시,상기 코팅에 의해 부식을 피할 수 있다. 서로 지지되고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를 형성하는 구성부품들이 서로 다른 팽창 계수의 재료로 제조되어, 마찰클러치가 작동하는 동안, 온도변화에 기인하여,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의 접촉면들이 서로에 대해 이동할 때, 커운터 경사부 및 경사부를 형성하는 구성부품들사이의 접촉작용이 방지될 수 있다.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를 구성하는 구성부품들은 항상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는 항상 서로 다른 팽창특성을 통해 서로에 대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는 접착되지 못한다.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들이 서로 다른 강도 및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에 작용하는 원심력은 서로 다른 팽창 및 운동을 형성하여, 접착작용을 방지하므로, 카운터경사부 및 경사부는 분리될 수 있다.
경사부와 카운터경사부 사이의 접착(adhesion)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클러치가 분리되거나 마모조정이 이루어질 때, 각각의 조정부품에 축방향하중을 가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마모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분을 가진 구성부품에 조정링(17,117)이 축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회전베어링(5)이 구성된 영역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4) 및 센서스프링(13)에 의해 상기 연결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18을 참고할 때, 다이아프렘스프링의 하중 및 경로에 대한 특성곡선(340)에 있어서, 최소점(345)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은 비교적 작다(약 450 Nm). 상기 특성곡선(340)을 따르는 다이아프렘스프링의 최대하중값은 7600Nm이다. 도 8의 특성곡선(40) 및 다이아프렘스프링(4)과 관련한 설명에서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지지체들사이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을 몰딩 및 구성할 때, 상기 특성곡선(340)이 제공된다.
상기 특성곡선(340)은 라이닝서스펜션의 특성곡선(342)과 관련될 수 있다. 도 18을 참고할 때, 라이닝서스펜션의 특성곡선(342)은 특성곡선(340)과 근접하거나 서로 미소한 거리를 두고 변화하여, 마찰클러치는 매우 미소한 하중으로도 작동 가능하다. 라이닝서스펜션의 작동영역에 있어서, 이론적인 분리하중은 특성곡선(340) 및 특성곡선(342)사이의 수직방향거리(360)에 해당한다. 실제로 요구되는 분리하중은 다이아프렘스프링의 스프링단부들과 같은 구성부품의 병진운동(translation)에 의해 감소된다. 상기 작용이 도 1 및 도2 의 실시예와 함께 도 8에서 도11의 선도들에 도시된다.
도 18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다이아프렘스프링의 특성곡선(440)은 최소점(445)을 가지며, 상기 최소점(445)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의해 가해진 하중은 음(negative)의 값을 가져서, 마찰클러치는 마찰클러치의 연결방향이 아니라 마찰클러치의 분리방향으로 작동한다. 즉, 마찰클러치를 분리할 때 점(461)을 초과하면, 마찰클러치는 자동으로 개방상태로 유지된다. 분리하중을 최소로 하기 위해, 다이아프렘스프링의 특성곡선(440)은 라이닝서스펜션의 특성곡선(442)과 관련된다. 라이닝서스펜션의 특성곡선(442)과 다이아프렘스프링의 특성곡선(440)을 가능한 한 평행하게 유지해야 한다.
도 19를 참고할 때, 마찰클러치를 분리하기 위해, 다이아프렘스프링에 구성된 스프링단부에 적용되는 특성곡선(340), 특성곡선(342), 특성곡선(440) 및 특성곡선(442)에 대한 하중 대 경로관계가 도시된다. 특성곡선(340) 및 특성곡선(342)과 관련되는 분리하중의 특성곡선(349)은 항상 양의 값을 가지며, 다시 말해 마찰 클러치를 분리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하중은 항상 분리방향으로 요구된다. 특성곡선(440) 및 특성곡선(442)과 관련된 분리하중의 특성곡선(449)은 영역(449a)을 가지며, 상기 영역 분리하중이 처음에 감소하고, 양의 값으로부터 음의 값으로 변화하여, 마찰클러치의 분리상태에서 해당 마찰클러치는 마찰클러치의 분리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하중이 불필요하다.
도 20, 도 20a, 도 21의 마찰클러치(501)의 실시예에서, 하우징(502)위에서 센서스프링(513)은 하우징으로부터 몰딩된 탭(tab)형태의 결합부(514)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이것을 위해, 센서스프링(513)은 하우징으로부터 몰딩된 탭(tab)형태의 확장아암(513d)을 가지고, 상기 확장아암(513d)은 하우징지지부(502a)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스프링지지부(513b)의 외측원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된다. 하우징지지부(502a)는 하우징에서 축방향으로 구성된 하우징변부(502b)로부터 성형되며, 하우징으로부터 절단면(502c, 502d)에 의해 하우징지지부(502a)가 부분적으로 성형되는 것이 유리하다. 부분적으로 하우징지지부(502a)를 둥글게 절단하면, 하우징지지부(502a)들은 보다 용이하게 이상적인 위치에 성형될 수 있다. 도 21을 참고할 때, 하우징지지부(502a)와 확장아암(513d)은 서로 일치되어, 하우징(502)에 의해 센서스프링(513)의 중심잡기가 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지지부(502a)는 축방향 스텝(502e)을 가진다.
베이요네트모양의 결합부(514)를 구성하고, 하우징(502)에 대해 센서스프링(513)을 위치설정하기위해, 하우징(502)의 원주상에 균일하게 분포된 세 개이상의 하우징지지부(502a)가 하우징의 다른 영역에 대해 일치되게 구성되어, 센서스프링(513) 및 하우징(502)사이의 상대회전운동후 에, 해당 확장아암(513d)은 원주방향의 회전제한부(502f)와 근접하게 위치하고, 센서스프링(513) 및하우징(502)사이의 다른 상대회전운동이 방지된다. 도20a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제한부(502f)는 하우징(502)내부의 축방향요홈으로 구성된다. 도 20a를 참고할 때, 세 개이상의 하우징지지부(502a)가 센서스프링(513)의 확장아암(513d) 및 하우징(502)사이에서 또 다른 회전제한부(502g)를 구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두가지 회전방향을 위한 회전제한부(502f, 502g)가 동일한 하우징지지부(502a)에 의해 형성된다. 센서스프링(513) 및 하우징(502)사이의 구속해제작용을 방지하는 회전제한부(502g)가 하우징지지부(502a)의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구성된 변부에 의해 형성된다. 원주 방향의 회전제한부(502f, 502g)는 하우징(502)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센서스프링(13)의 명확한 위치설정기능을 제공한다. 결합부(514)를 구성하기 위해, 센서스프링(513)은 하우징(502)을 향해 축방향으로 인장되어, 확장아암(513d)은 절단면(502c, 502d)의 내부 및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하우징지지부(502a)위에서 축방향으로 배열된다. 확장아암(513d)들중 일부가 회전제한부(502f)와 근접할 때까지, 하우징(502) 및 센서스프링(513)은 서로에 대해 회전운동될 수 있다.
원주방향에 대하여, 확장아암(513d)들중 일부가 회전제한부(502f, 502g)사이에 위치하고, 모든 확장아암(513d)들이 하우징(502)위에서 하우징지지부(502a)에 위치하도록, 센서스프링(513)이 부분적으로 이완된다. 마찰클러치(501)를 조립할때, 상기 베이요네트(bayonet)모양의 결합부(514)를 이용하면, 확장아암(513d)이 하우징(502)위에서 하우징지지부(502a)와 근접하지 못한다.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센서스프링(513)의 탄성하중을 가하는 원형의 스프링기저부(513b)가 다이아프렘스프링 및 압력판 사이에서 지지영역의 외측에 반경방향으로 제공된다. 다수의 경우에 있어서, 센서스프링의 스프링기저부(513b)는 다이아프렘스프링 및 압력판사이에서 지지영역의 내측에 반경방향으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 1 및 도 2 의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스프링(13)의 축방향인장력을 가하는 링모양부(13b)가 다이아프렘스프링(4) 및 압력판(3)사이에서 지지캠(3a)의 내부에 반경방향으로 제공된다.
도 20 및 도21의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상부에 위치하는 카운터경사부(524)는 캠모양의 오목부로 구성되고, 상기 오목부가 하우징(502)에 구성된다. 또한 조정링(517) 및 하우징(502)사이에서 고정되는 코일스프링(526)은 안내핀(528)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안내핀(528)은 조정링(517)과 일체로 구성되고,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된다. 도 21을 참고할 때, 상기 안내핀(528)은 코일스프링(526)의 내경과 일치하는 장방형단면을 축방향으로 가진다. 적어도 코일스프링(526)의 종방향 확장구성부의 일부분위에 상기 안내핀(528)이 연장구성된다. 스프링권선의 일부는 적어도 반경방향으로 안내되고 지지된다. 또한 코일스프링(526)은 축방향으로 굽어지거나 튀어나가지 못한다. 안내핀(528)은 마찰클러치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조정링(517)의 일부분이 도 22에 도시된다. 조정링(517)은 내측반경방향으로 배열된 성형부(527)를 가지고, 코일스프링(526)을 지지하기 위해 원주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안내핀(528)이 상기 성형부(527)에 의해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인젝션몰딩부품으로 제조된 플라스틱제의 조정링(517)과 상기 안내핀(528)이일체로 구성된다. 안내핀(528)은 개별부품으로 구성되거나 스냅(snap)끼워맞춤식 잠금장치에 의해 조정링(517)과 연결되는 단일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냅끼워 맞춤식 잠금장치로 설계된 세 개이상의 잠금요소들에 의해 조정링(517)과 연결되고, 필요에 따라 원주위에서 개방될 수 있는 상기 안내핀(528)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의 구성에서와 같이, 코일스프링(526)은 조정링(517) 또는 하우징(502)에 적합하게 구성된 영역에서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526)을 위한 하우징의 지지부분들이 하우징으로부터 몰딩된 축방향돌출부 또는 하우징벽을 형성하는 축방향의 오목부(526a)들에 의해 형성된다. 코일스프링(526)의 해당 단부들이 안내되고 불필요한 운동에 대해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코일스프링(526)의 오목부(526a)가 설계된다.
도 23의 마찰클러치(601)에 있어서, 압력판(603)으로부터 떨어진 하우징의 측부에 센서스프링(613)이 구성된다. 압력판(603)을 고정하는 하우징(602)으로부터 센서스프링(613)을 외측에 배열하면, 센서스프링(613)의 열변형이 감소되고, 과열에 의한 센서스프링(613)의 위험이 방지된다. 또한 하우징(602)의 외측부에서 센서스프링(613)의 냉각효과가 개선된다.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져 작동하는 다이아프렘스프링(604)의 측부에 구성된 지지패드(611)가 리벳(615)에 의해 지지되고, 리벳(615)들은 센서스프링(613)과 축방향으로 연결되고, 하우징(602) 및 다이아프렘스프링(604) 의 해당 요홈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벳(615)은 센서스프링(613)과 리벳이음된다. 리벳(615) 대신에, 센서스프링(613) 및 지지패드(611)사이에 연결부를 제공하는 다른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내측반경방향의 구성영역에서 센서스프링(613)은 축방향의 탭들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탭들은 해당 몰딩부분을 통해 직접 지지패드(611)을 구성하거나, 반경방향의 해당 구성부분에 의해 지지패드(611)를 지지한다. 센서스프링(613)에 고정된 리벳(615) 대신에, 센서스프링(613)에 대해 관절운동하도록 부착된 다른형태의 구성부품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4의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아프렘스프링(704)에 대해 회전베어링(705)의 내측에서 센서스프링(713)이 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된다. 센서스프링(713)은 센서스프링의 내측반경방향영역에 의해 하우징(702)위에서 지지되고, 탭(715)을 가지며, 상기 탭은 다이아프렘스프링(704)의 해당 슬릿 또는 요홈을 통해 연장구성되고, 센서스프링(713)을 축방향으로 지지한다.
도 25의 조정링(817)은 도 20 및 도 21 의 마찰클러치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되고, 내측반경방향을 향하는 몰딩부(827)가 조정링(817)에 구성된다. 몰딩부(827)는 반경방향몰딩부(827a)로 구성되고, 상기 반경방향몰딩부(827a)는 코일스프링(826)의 지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코일스프링(826)은 하우징 및 조정링(817)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인장된다. 코일스프링(826)을 안내하고 코일스프링(826)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링(828)이 외부원주위에 개방상태로 제공된다. 링(828)은 반경방향몰딩부(827a)와 결합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반경방향몰딩부(827a)가 링(828)과 스냅끼워맞춤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반경방향몰딩부(827a)는 원주방향의 요홈들을 가진다. 하우징위에서 코일스프링(826)은 하우징의 축방향탭(axial tab)(826a)에 의해 지지된다. 축방향탭(826a)은 링(828)을 지지하는 축방향의 탭단면부(826b)를 가진다. 링(828)이 축방향탭(826a)에 관해 적어도 마찰클러치의 마모경로에 해당 축방향변위를 가지도록 탭단면부(826b)가 구성된다. 링(828)을 지지하기 위해 반경방향몰딩부(827a)에 형성된 요홈 및 축단면부(826b)는 축방향에 대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성되고, 즉 반경방향몰딩부(827a)의 요홈은 한쪽축방향에 대해 개방되어 있고, 탭단면부(826b)는 다른 한쪽 축방향에 대해 개방되어 있다.
도 26 의 마찰클러치(901)의 있어서, 마찰클러치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다이아프렘스프링(904)이 다이아프렘스프링(904)의 스프링기저체(904a)의 중앙부분에서 지지된다. 스프링기저체(904a)는 압력판(903)위에서 외측반경방향으로 지지되고, 회전베어링(905)위에서 내측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된다. 즉 지금까지 알려진 다이아프렘스프링구조의 마찰클러치와 비교할 때, 회전베어링(905)이 다이아프렘스프링(904)의 스프링단부를 형성하는 슬릿(slit)단부나 다이아프렘스프링(904)의 스프링 기저체(904a)의 내측변부로부터 떨어져 위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베어링(905)의 외측반경방향에 구성된 스프링기저체에 대한 회전베어링(905)의 내측 반경방향에 구성된 스프링기저체의 반경방향폭비율(radial width ratio)은 1:2이다. 상기 비율은 1:6 내지 1:2 인 것이 유리하다. 다이아프렘스프링(904)의 상기 지지작용에 의해, 회전베어링(905)의 구성영역내에서 스프링기저체(904a)의 손상 또는 과도한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6에 있어서, 압력판(903)에 구성된 축방향 베어링캠(903a)이 점선으로 도시된다. 특히 지지캠(903b)의 구성영역에서 압력판(903)의 베어링캠(903a)에 의해, 마찰클러치(901)에 대해 다이아프렘스프링(904)의 중심잡기가 가능하다. 외경 중심잡기에 의해 다이아프렘스프링(904)이 하우징(902)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고정되어, 도 26에 도시된 중심잡기기능의 리벳(915)이 불필요해진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경중심잡기는 하우징(902)으로부터 몰딩되는 오목부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찰클러치(901)에 있어서, 하중을 가하는 내부기저체(913a)가 베어링캠(903a)의 반경방향내부에 제공되도록, 센서스프링(913)이 구성된다. 한쪽 측면위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904)을 지지하고 다른 한쪽 측면에서 하우징(902)에서 지지되도록, 반경방향의 연장아암이 센서스프링(913)위에 구성되고, 상기 연장아암들은 한쪽 측부에서 내부기저체(913a)로부터 내측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되고, 다른 한쪽 측부에서 내부기저체(913a)로부터 외측반경방향으로 연장구성된다.
도 27에 도시된 마찰클러치(1001)의 수정예에 의하면, 마찰클러치의 클러치 분리하중 또는 다이아프렘스프링(1004)의 하중에 대해, 센서스프링(1013)에 의한 하중이 가해지고, 하우징(1002) 및 압력판(1003) 사이에서 상기 센서스프링(1013)은 축방향으로 인장력을 받는다. 상기 형태의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베어링(1005)에 의해 경사부분내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1004)은 마찰클러치의 분리방향으로 지지되지 않는다. 센서스프링(1013)의 예비인장력에 의해 지지패드(1012)위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1004)이 지지된다. 마찰클러치(1001)가 분리되는 동안,센서스프링(1013)에 의해 다이아프렘스프링(1004)위에 가해지는 축방향하중이 마찰클러치(1001)의 소요분리하중보다 더 크도록 센서스프링이 구성된다. 마찰라이닝(lining)들위에 마모가 발생되지 않는다면, 다이아프렘스프링(1004)은 항상 지지패드(1012) 또는 하우징측부의 지지체와 인접하도록 유지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상기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방법으로, 개별 축방향하중들 및 중첩하중들 사이에 적합성이 존재해야 한다. 압력판(1003) 및 하우징(1002)사이에 구성되는 판스프링요소, 다이아프렘스프링(1004), 마찰클러치(1001)에 대한 분리하중, 조정링(1017)위에 작용하는 구성요소 및 센서스프링(1013)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하중들은 서로에 대해 적합성을 가져야 한다.
도 28의 마찰클러치(1101)에 의하면, 하우징(1102)의 측부에 위치하고, 링모양을 가진 지지패드(1112)의 외부에서 센서스프링(1113)이 반경방향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판(1103)위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1104)과 센서스프링(1113)사이의 상호지지작용이 다이아프렘스프링(1104)의 외측부(1113a)에서 형성된다. 하우징(1102)에서 지지되도록 센서스프링(1113)은 반경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는 아암(1113b)을 가지고, 상기 아암(1113b)은 베이요네트식 구속요소(1514)에 의해 하우징(1102)위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도 20 내지 도 21에서 설명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센서스프링(1113)을 조립하기 위해, 하우징(1102)은 해당 축방향 요홈(1502b)을 가지며, 베이요네트식 구속요소(1514)를 형성하도록, 센서스프링(1113)의 아암(1113b)이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센서스프링(1113)의 예비인장력에 의해, 하우징측부에서지지패드(1112)에 대해 다이아프렘스프링(1104)이 지지된다.
마찰클러치의 기능이 도 27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센서스프링의 하중을 조정점(adjustment point)에서 분리하중과 일치하도록 센서스프링이 설계된다. 마찰라이닝(또는 다른 부분에서)위에 마모가 발생하여, 다이아프렘스프링의 각도가 변화하고 다이아프렘스프링의 하중이 변화하면, 다이아프렘스프링이 먼저 지지패드(1012) 근처로 이동하고, 조정점까지 이동된다. 상기 조정점에서 라이닝서스펜션과 함께 분리하중이 센서스프링의 하중-잔류하중(residual force)-과 동일하기 때문에, 분리하중 및 센서스프링의 하중사이에서 하중평형이 다시 이루어질 때까지, 압력판위의 지지패드 주위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이 회전한다. 다이아프렘스프링은 하우징측부의 지지패드로부터 분리되고, 조정작용을 위해 이완된다. 추가로 분리작용이 이루어질 때, 분리하중은 다시 감소하며, 센서스프링의 하중이 우세하고, 압력판을 통해서 다이아프렘스프링은 하우징측면에서 지지패드(1012)를 가압하며, 다이아프렘스프링은 상기 지지패드주위에서 추가로 회전한다. 하우징위의 지지부로부터 압력판위의 지지부로 다이아프렘스프링이 이동됨에 따라, 다이아프렘스프링은 이중-아암레버(double-armed lever)로서 작용한다. 다이아프렘스프링은 압력판위에 작용하는 분리하중에 의해 압력판위에서 일시적으로 지지되며, 그 결과 하우징위에서 지지패드로부터 일시적으로 상승된다. 추가로 분리된 후에, 분리운동과 관련한 하중감소에 기인하여, 센서스프링의 하중이 우세해지며, 하우징측부의 지지패드에 대해 상기 센서스프링은 다이아프렘스프링을 가압하고, 조정장치의 조정작용이 종료된다. 다음에, 다이아프렘스프링이 다시 추가의 분리경로를 위해 이중-아암레버(double-armed lever)로서 작동하게 된다. 다이아프렘스프링에 대해 직접 또는 간접으로 작용하는 모든 탄성하중을 고려하여, 다이아프렘스프링이 설계되어야 한다. 상기 탄성하중은 조정작용에 따라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부품들 및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들이다.
도 28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찰클러치의 연결상태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1104)은 이중-아암 레버로서 작동하거나 인장상태가 유지되며, 다이아프렘스프링(1104)은 하우징위의 지지패드(1112) 및 압력판위의 지지캠(1103a)사이에서 인장되고, 마찰클러치(1101)가 분리되는 동안, 다이아프렘스프링이 센서스프링(1113)위에서 단지 지지되며, 외측부(1113a) 주위에서 회전되고, 동시에 외측부(1113a)가 단일-아암 레버(single armed lever)로서 작용하도록, 외측부(1113a)는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적합한 설계 및 적용에 의해, 다른 도면의 다이아프렘스프링에서와 같이, 도 28의 센서스프링(1113)은 다이아프렘스프링(1104)의 모든 직경부분위에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위의 회전영역(1105) 및 압력판위의 지지캠(1103a)사이에 위치한 직경부분에서 센서스프링(1113)은 다이아프렘스프링(1104)위에 지지될 수 있다. 하우징위의 회전영역(1105) 내부에서 센서스프링(1113)이 다이아프렘스프링(1104)위에서 반경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외측부(1113a)의 크기가 다이아프렘스프링(1104)위에서 작아질수록, 센서스프링(1113)에 의해 가해지는 축방향지지력은 더욱 더 커지게 된다. 다이아프렘스프링(1104) 및센서스프링(1113)사이의 외측부(1113a)가 다이아프렘스프링(1104)의 회전영역(1105)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질수록, 일정하중을 가진 센서스프링(1113)의 부분은 더욱 커진다.
도 29의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도 1 내지 도 14와 관련한 설명과 유사한 방법으로 작동하는 조정장치(1216)가 구성된다. 다이아프렘스프링(1204)은 링모양의 두 개의 지지패드(1211, 1212)사이에 장착된다. 압력판(1203)과 근접한 지지패드(1211)가 센서스프링(1213)에 의해 편향(bias)된다. 마찰클러치의 사용수명에 걸쳐, 조정링의 경사부가 하우징위의 카운터경사부(counter ramp)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격리장치(1261)가 상기 마찰클러치(1201)에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의 설명과 같은 방법에 따라, 하우징위에 회전되게 고정된 지지링(1225)위에 카운터경사부들이 제공된다. 마모조정작용동안,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사이에서 접착현상은 발생하지 못한다.
마찰클러치(1201)가 분리되고 마찰라이닝(1207)위에 마모가 존재할 때, 조정링(1217)위에 축방향하중을 가할 수 있는 분리기구가 상기 격리장치(1261)에 구성되고, 경사부 및 카운터경사부사이에 존재하는 접착작용이 제거된다. 격리장치(1261)는 축방향의 탄성요소(1262)를 포함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요소(1262)는 다이아프렘스프링(1204)과 축방향으로 연결된다. 상기 탄성요소(1262)는 링모양의 박막구조를 가지거나 다이아프렘스프링과 유사한 탄성기저체(1262a)이며, 상기 탄성기저체(1262a)는 다이아프렘스프링(1204)에 대해 외측반경방향으로 연결된다. 탄성기저체(1262a)의 반경방향 내측변부로부터, 축방향의 탭(1263)이 연장구성되고, 상기 탭은 원주위에 분포하며, 다이아프렘스프링(1204)내부의 축방향 요홈들을 통해 돌출한다. 탭들의 자유단부에서 탭(1263)들은 정지부(1264)를 가지고, 상기 정지부(1264)들은 조정링(1217)의 카운터정지부(1265)와 상호작용한다. 조정링(1217)내에서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요홈 또는 원주방향의 요홈에 의해 카운터정지부(1265)가 형성된다. 적어도 마찰클러치가 분리되는 동안, 정지부(1264) 및 카운터정지부(1265)가 서로 접촉하지 못하도록, 마찰클러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정지부(1264) 및 카운터정지부(1265)사이의 거리가 결정된다. 마찰클러치가 완전히 분리될 때, 정지부(1264)는 카운터정지부(1265)와 단지 근접하는 것이 선호되며, 탄성요소(1262)가 조정링(1217) 및 다이아프렘스프링(1204) 사이에서 탄성인장될 수 있다. 따라서 마찰라이닝에서 마모가 발생하여 지지패드(1211)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하우징위의 경사부로부터 조정링(1217)이 자동으로 상승된다. 만약 분리장치의 오작동에 기인하여, 분리경로가 과도하면, 격리장치(1261)는 조정링(1217)의 조정작용을 막아야 한다. 다이아프렘스프링(1204)의 회전각이 분리방향으로 과도할때, 탄성요소(1262)가 다이아프렘스프링(1204)에 대하여 조정링(1217)을 인장시키며, 조정링(1217)이 다이아프렘스프링(1204)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도 8의 점(46)을 초과할 때, 센서스프링(1213)의 지지력이 극복되기 때문에, 조정링(1217)이 다이아프렘스프링(1204)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클러치디스크위에 마모가 없는 경우에도 조정작용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 작동점이 변화되고, 다이아프렘스프링(1204)의 설치위치가 변화하며, 접촉 압력이 감소된다.도 8을 참고할 때, 점(41)이 최소점(45)을 향해 특성곡선(40)을 따라 이동한다.
도 30 내지 도 32를 따르는 마찰클러치의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1302)과 일체로 형성된 탭(1328)위에 각각의 코일스프링(1326)이 설치된다. 예를 들어, 펀칭(punching)가공된 U자형 절단면(1302a)을 형성하여, 탭(1328)이 하우징(1302)의 판재금속으로부터 몰딩된다. 원주방향을 따라, 탭(1328)들이 아크(arc)모양 또는 접선방향으로 연장구성되며, 축방향에 대해 바로 인접한 하우징과 대략 동일한 위치에 배열되는 것이 선호된다. 도 32의 실시예에 있어서, 탭(1328)두께의 1/2만큼 탭(1328)이 하우징(1302)의 기저부분(1302b)에 오프셋(off-set)된다. 탭(1328)위에 제공된 코일스프링(1326)이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탭(1328)의 폭이 결정된다.
코일스프링(1326)에 의해 조정(adjustment)방향으로 편향(bias)되는 조정링(1317)은 조정링(1317)의 내측원주위에서 내측반경방향을 향하는 연장아암(1327)을 가지고, 상기 연장아암(1327)은 하우징(1302) 및 다이아프렘스프링(1304)사이에서 연장구성된다. 상기 연장아암(1327)은 내측 반경방향 및 축방향을 향하거나 U자형상을 가진 몰딩부(1327a)를 가지며, 축방향을 향하는 두 개의 스프링지지부(1327b)는 양측면에서 스프링안내기능의 탭(1328)과 결합한다. 상기 목적을 위해, 두 개의 스프링지지부(1327b)가 하우징(1302)의 U자형 절단면(1302a)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구성된다. 코일스프링(1326)은 상기 몰딩부(1327a) 또는 스프링지지부(1327b)위에서 지지된다.
하우징(1302)내에서 압인가공된 카운터경사부(1324)위에서 조정링(1317)이경사부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마찰클러치의 회전방향으로 공기통로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카운터경사부(1324)를 형성하는 하우징의 오목부가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마찰클러치가 회전하는 동안, 자동공기순환을 통해 냉각작용이 개선된다. 특히 플라스틱제의 조정링(1317)이 냉각되며, 상기 냉각작용에 의해 조정링의 열부하가 크게 감소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마찰클러치의 다이아프렘스프링에 작용하는 센서 스프링의 하중이 예를들어 하우징 및 압력판사이에 제공된 판스프링에 의해 가해질 수 있고, 상기 판스프링은 압력판 및 하우징을 함께 결합시켜, 압력판이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으로 제한된 크기만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특수한 센서스프링이 불필요하며, 도 1 및 도 2를 따르는 마찰클러치(1)의 판스프링(9)이 센서스프링(13)의 기능을 추가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서 센서스프링(13) 및 지지링(11)은 불필요해진다. 마찰클러치(1)가 작동하고, 마찰라이닝위에 마모가 존재하지 않을 때,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하우징위에서 지지패드(12)와 근접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판스프링(9)이 설계되어야 한다. 해당 마모작용이 마찰라이닝(7)위에 발생하여,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분리하중이 증가할 때, 마모에 따른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조정작용이 상기 판 스프링(9)에 의해 허용된다. 적어도 마찰클러치 또는 압력판의 최대 소요조정경로에 걸쳐서, 마찰클러치내부의 판스프링은 하중-경로에 대한 선형의 특성곡선을 가진다. 도 9의 설명을 참고할 때, 판스프링(9)은 특성곡선(47) 또는 특성곡선(47a)을 따르는 경로(48)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설명된 개별적인 구성요소 또는 특징에 의한 구체예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에 속하는 범위내에서 새로운 특징과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46)

  1. 하우징(2),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지만 하우징(2)에 대해 제한된 크기만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압력판(3)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2) 및 압력판(3)사이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구성되며, 상기 압력판(3) 및 카운터압력판(6)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는 클러치디스크(8)를 향해 압력판(3)을 편향시키기 위하여, 분리하중에 의해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접촉압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상기 하우징(2)상의 지지하중에 의하여 지지되는 회전베어링(5)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베어링(5)이 조정장치(16)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조정장치(16)가 조정기구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클러치디스크(8)의 마찰라이닝(7)들위에 발생한 마모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조정장치(16)가 하우징(2) 및 다이아프렘스프링(4)사이에서 자동으로 작동되고, 회전베어링(5)을 향해 다이아프렘스프링(4)을 가압하기 위한 센서스프링(13)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작동경로에 걸쳐 특성곡선이 감소하는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도 8).
  3. 제 1 항에 있어서, 분리하중에 대하여 상호작용하는 하중에 의해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정해진 설치위치에 위치하고 마모작용에 의한 원추형상이 변화하지 않을 때,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분리경로에 걸쳐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에 의해 가해지고 지지하중과 상호작용하는 하중보다 지지하중이 더 크지만, 마모작용에 의한 원추형상이 변화할 때,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분리경로중 일부영역에 걸쳐서, 지지하중에 대해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가하는 하중보다 지지하중이 더 작도록, 지지하중 및 다이아프렘스프링의 하중이 서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하중이 한 개이상의 센서스프링(13)에의해 가해지고, 하우징위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4) 또는 지지패드(12)의 마모에 기인한 조정작용에 대해, 상기 센서스프링(13)이 센서스프링(13)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16)가 다이아프렘스프링(4) 및 하우징(2)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16)가 경사부(18) 및 카운터경사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지지하중이 한 개의 센서스프링(13)에 의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9. 제 8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위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지지체의 반경방향높이에, 지지하중을 가하는 상기 센서스프링(13)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두 개의 지지패드(11,12)들사이 및 하우징(2)위에서 회전하며 지지되고, 상기 지지패드들 중 압력판(3)을 향하는 지지패드(11)가 다이아프렘스프링(4)을 향해 탄성하중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11. 제 10 있어서, 지지하중에 의해 탄성하중을 받는 지지패드(11)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탄성하중을 받는 지지패드(11)가 이동하는 동안,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분리하중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지지패드(11)위에 작용하는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분리하중 및 지지패드(11)위에 작용하는 대응하중사이에 하중평형이 형성될 때까지, 탄성하중을 받는 지지패드(11)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탄성하중을 받는 지지패드(11)위에 작용하는 대응하중이 센서스프링에 의해 발생되고, 상기 센서스프링은 정해진 조정영역에 대하여 일정한 하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15. 제 4 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지지하중을 발생시키는 센서스프링(13)이 센서로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탄성하중을 받는 지지패드(11)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측부에 제공되는 지지패드(12)가 압력판(3)을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만 반대방향으로 구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16)를 추가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조정기구가 스프링(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16)는 원형의 조정링(17)을 가지고, 마찰클러치(1)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조정링(17)이 다이아프렘스프링(4)에 의해 축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16)는 축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사부(18) 및 카운터경사부(2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20. 제 18 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조정링(17)위에 경사부(1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원형의 조정링(17)이 지지패드(12)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경사부(18)는 해당 카운터경사부(24)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카운터경사부(24)가 링모양의 지지링(25)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경사부(18)를 지지하는 조정링(17) 및 하우징(2)사이에서 상기 지지링(25)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하우징(2)에서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하우징평면부(2a)내에 상기 카운터경사부(24)가 직접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25. 제 1 항에 있어서, 마찰클러치(7)가 분리되는 방향에 대해 상기 조정장치(16)가 자유륜과 같이 작동하고, 마찰클러치가 연결되는 방향에 대해 자동으로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26. 제 19 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적어도 경사부(18)가 4°도 내지 20°도의 경사각(2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27. 제 19 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경사부(18)들이 지지링(25)의 카운터경사부(24)와 마찰결합하여 자동구속되는 경사각(23)이 상기 경사부(18)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28. 제 19 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경사부(18)를 지지하는 한 개이상의 부품 또는 카운터경사부(24)를 지지하는 부품이 조정방향으로 탄성하중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장치(16)는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조정링(17)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장치(16)가 속도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장치(16)가 속도에 의존하여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3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장치(16)의 작동이 특정속도이상에서 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장치(16)가 공회전속도이하에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3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장치(16)는 속도가 영일 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35. 제 19 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경사부(18) 또는 카운터경사부(24)를 가지고, 하우징(2)에 대해 이동가능한 조정장치의 구성부품들이 탄성인장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인장력은 원주방향의 하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37. 제 3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지지하중을 가하는 센서스프링(13)이 외측변부(13a)에 의해 하우징(2)위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38.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지지하중을 발생시키는 센서스프링(513)을 위해 하우징지지부(502a)가 하우징(502)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39. 제 1 항에 있어서, 클러치디스크(8)의 마찰라이닝(7)들사이에 라이닝서스펜션(1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40. 제 39 항에 있어서, 라이닝서스펜션(10)의 운동경로에 걸쳐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에 의해서 압력판위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하중-경로의 특성곡선과 근사한 하중-경로의 특성곡선을 클러치디스크(8)의 마찰라이닝(7)들사이에 구성된 라이닝서스펜션(10)이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41. 제 1 항에 있어서, 마찰클러치(1)의 분리상태에서, 마찰클러치위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을 작동시키기 위한 하중이 - 150 Nm 내지 +15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42. 제 1 항에 있어서, 카운터압력판(6)에 대해 클러치디스크(8)를 분리한 후에,하중-경로에 관한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특성곡선은 양의 값으로부터 음의 값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43.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우징에 대하여 제한된 크기만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판(3),
    -하우징(2) 및 압력판(3)사이에서 작동하는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구성되고, 상기 압력판(3) 및 카운터압력판(6)사이에 구성될 수 있는 클러치디스크(8)를 향해 상기 압력판(3)이 편향되며,
    -클러치디스크(8)의 마찰라이닝(7)들위에 발생하는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장치(16)가 구성되고,
    -마찰클러치(1)가 연결상태일 때, 하우징(2)에 의해 지지되는 링모양의 지지패드(12)위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지지될 수 있으며,
    -마찰클러치(1)가 분리된 상태일 때,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지지패드(12)내에서 회전될 수 있고,
    -마찰클러치(1)가 분리되는 과정동안, 다이아프렘스프링(4)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탄성요소가
    ·하우징(2) 및 압력판(3)사이의 판스프링(9),
    ·분리하중에 대해 다이아프렘스프링(4)을 지지하는 센서스프링(13),
    ·조정장치(16)의 조정기능을 형성하는 스프링(26),
    ·클러치디스크(8)의 마찰라이닝(7)들사이에 제공된 라이닝서스펜션(10)들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탄성요소가 분리하중과 상호작용하고, 압력판(3)을 통해 마찰라이닝(7)들이 이완되는 동안, 분리하중과 일치하는 결과지지하중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44.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우징에 대하여 제한된 크기만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판(3),
    -하우징(2) 및 압력판(3)사이에서 작동하는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구성되고, 다이아프렘스프링(4)을 위한 회전베어링의 지지체가 상기 하우징(2)에 구성되며, 상기 압력판(3) 및 카운터압력판(6)사이에 구성될 수 있는 클러치디스크(8)를 향해 상기 압력판(3)이 편향되며,
    -클러치디스크(8)의 마찰라이닝(7)들위에 발생하는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장치(16)가 구성되고,
    -마찰라이닝(7)들위에 발생하는 마모와 독립적으로 다이아프렘스프링을 통해서 압력판(3)을 편향시키는 일정한 하중이 상기 조정장치(16)에 의해 발생되며,
    -링모양을 가진 탄성의 원형체(4a)를 가지고, 상기 원형체로부터 내측반경방향으로 구성되고 작동수단을 형성하는 스프링작동부(4b)들이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4)에 구성되고,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하우징(2)에 대하여 이중아암레버에 의해 고정되며,
    -마찰클러치가 분리되고, 압력판(3)을 통해 마찰라이닝(7)들이 이완되는 동안, 압력판(3)과 떨어진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측면위에 작용하는 축방향하중 및 압력판(3)을 향하는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측면위에 작용하는 축방향하중이 균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45.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우징에 대하여 제한된 크기만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판(3),
    -하우징(2) 및 압력판(3)사이에서 작동하는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구성되고, 다이아프렘스프링(4)을 위한 회전베어링의 지지체가 상기 하우징(2)에 구성되며, 상기 압력판(3) 및 카운터압력판(6)사이에 구성될 수 있는 클러치디스크(8)를 향해 상기 압력판(3)이 편향되며,
    -클러치디스크(8)의 마찰라이닝(7)들위에 발생하는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장치(16)가 구성되고,
    -마찰라이닝(7)들위에 발생하는 마모와 독립적으로 다이아프렘스프링을 통해서 압력판(3)을 편향시키는 일정한 하중이 상기 조정장치(16)에 의해 발생되며,
    -분리하중을 제외한 다이아프렘스프링위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모든 하중들이 다이아프렘스프링위에 결과지지하중을 발생시키고, 압력판(3)을 통해 마찰라이닝(7)들이 이완되는 동안 다이아프렘스프링(4)위에 작용하는 분리하중의 크기와 상기 결과지지하중의 크기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46.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우징에 대하여 제한된 크기만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판(3),
    -하우징(2) 및 압력판(3)사이에서 작동하는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구성되고,
    -상기 압력판(3) 및 카운터압력판(6)사이에 고정될 수 있는 클러치디스크(8)를 향해 상기 압력판(3)이 편향되며,
    -클러치디스크(8)의 마찰라이닝(7)들위에 발생하는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장치(16)가 구성되고,
    -마찰클러치가 분리된 상태에서, 하우징(2)에 의해 지지되고 링모양의 영역으로 다이아프렘스프링을 편향시키는 링모양의 지지체위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이 지지될 수 있고,
    -마찰클러치가 분리되는 동안 압력판(3)을 통해 마찰라이닝(7)들이 이완될 때, 분리하중을 제외한 다이아프렘스프링위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모든 하중들이 결과지지하중을 발생시키고, 하우징의 측부위에 제공된 지지체를 향해 상기 결과 지지하중이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을 축방향으로 편향시키며,
    다이아프렘스프링(4)을 통해 마찰라이닝(7)들이 이완되고 마찰라이닝들위에 마모가 발생하지 않을 때, 하우징(2)의 측부에서 지지체가 구성된 반경방향높이에서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이중아암레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다이아프렘스프링(4)위에 작용하는 분리하중의 크기와 상기 결과지지하중의 크기와 동일하고,
    다이아프렘스프링(4)을 통해 마찰라이닝(7)들이 이완되고 마찰라이닝(7)들위에 충분한 마모가 발생할 때, 압력판(3)위에 지지된 링모양의 영역주위에서 상기다이아프렘스프링(4)이 전체 회전영역중 일부영역에 걸쳐서 단일아암레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다이아프렘스프링(4)위에 작용하는 분리하중의 크기보다 상기 결과지지하중의 크기가 더 작고, 상기 일부영역의 전후에서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이중아암구조의 레버로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KR1019920022385A 1991-11-26 1992-11-26 마찰클러치 KR100320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138806.2 1991-11-26
DE4138806 1991-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401A KR930010401A (ko) 1993-06-22
KR100320970B1 true KR100320970B1 (ko) 2002-06-24

Family

ID=64455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2385A KR100320970B1 (ko) 1991-11-26 1992-11-26 마찰클러치
KR1019920022384A KR100429657B1 (ko) 1991-11-26 1992-11-26 마찰클러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2384A KR100429657B1 (ko) 1991-11-26 1992-11-26 마찰클러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0320970B1 (ko)
RU (1) RU2137955C1 (ko)
ZA (2) ZA9291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7362B1 (ko) * 1997-11-21 2001-05-02 박호군 이온빔을이용한산화물기판표면의전처리방법및이를이용한질화물박막형성방법
KR100809738B1 (ko) * 2007-03-12 2008-03-0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DE112013001489A5 (de) * 2012-03-16 2014-12-04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Reibungskupplung mit Fliehkraftpendel
FR3054275B1 (fr) * 2016-07-25 2018-08-10 Valeo Embrayages Ensemble pour un dispositif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402A (ko) 1993-06-22
KR930010401A (ko) 1993-06-22
RU2137955C1 (ru) 1999-09-20
KR100429657B1 (ko) 2004-08-25
ZA929144B (en) 1994-05-25
ZA929145B (en) 1994-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9653B1 (ko) 마찰클러치(명칭정정)
KR100326410B1 (ko) 마찰클러치
KR100326408B1 (ko) 마찰클러치
JP3715660B2 (ja) 摩擦クラッチ
US5641048A (en) Friction clutch
GB2264989A (en) Friction clutch
JP4236711B2 (ja) 摩擦クラッチ
JPH0861390A (ja) 摩擦クラッチ
GB2335955A (en) Wear adjusting friction clutch with constant force release spring arrangement.
KR100320970B1 (ko) 마찰클러치
EP0795695B1 (en) Clutch cover assembly with a wear compensation mechanism
KR100671672B1 (ko) 마찰 클러치
GB2294301A (en) Friction clutch
US6325193B1 (en) Friction clutch with an adjustment limiting device
JP3638422B2 (ja)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US6460675B1 (en) Slip clutch with a linear friction wear take-up device,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CA2446423C (en) Friction clutch
GB2305475A (en) Friction clutch
WO2000011365A1 (en) Friction clutch with wear adjustment and constant lift device
JP3519081B6 (ja) クラッチユニット
GB2372079A (en) Constant lift mechanism for wear adjustable clutch
GB2304160A (en) Friction clutch
WO2000034675A2 (en) Friction clu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