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7285A - 차량용 전조등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7285A
KR19980087285A KR1019980018467A KR19980018467A KR19980087285A KR 19980087285 A KR19980087285 A KR 19980087285A KR 1019980018467 A KR1019980018467 A KR 1019980018467A KR 19980018467 A KR19980018467 A KR 19980018467A KR 19980087285 A KR19980087285 A KR 19980087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ischarge bulb
width direction
lens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4931B1 (ko
Inventor
가즈야 하시가야
Original Assignee
고지마 류조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지마 류조,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고지마 류조
Publication of KR19980087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9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7Discharge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60Q1/0094Arrangement of electronic circuits separated from the light source, e.g. mounting of housings for starter circuits for discharge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35Spatial arrangement relative to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7Discharge light sources
    • F21S41/172High-intensity discharg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Cover g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전 벌브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 방전 벌브가 가지는 큰 파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4등식 전조등에 있어서, 우측 전조등(10)을 그 차폭 방향 외방측의 방전 벌브(18)을 구비한 등기구(10A)가 차체 전단부의 코너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그 렌즈(12)의 표면(12a)의 형상을 차폭 방향 외방을 향하여 후방측으로 만곡한 곡면 형상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렌즈 표면(12a)의 차폭 방향 최외측 단부(12b)에서는, 그 법선의 수평 성분 N1의 방향이 차체 전후 방향의 축선 L에 대하여 차폭 방향 외방측으로 각도 α(α = 약 70°)로 경사시키도록 한다. 이로써, 방전 벌브(18)의 발광부(18a)와 렌즈 표면(12a)의 차폭 방향 최외측 단부(12b)를 잇는 직선이 차체 전후 방향의 축선 L에 대하여 이루는 측방으로 벌어진 각도를 큰 값으로 설정 가능하게 하고, 방전 벌브(18)로부터의 직사광을 차량 우측으로 조사시켜서 노견 등의 시인성을 높인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조등
본원 발명은 방전 벌브(bulb)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렌즈 형상에 관한 것이다.
방전 벌브는 고휘도 조사(高輝度 照射)가 가능하여, 근래 차량용 전조등의 광원으로서도 채용되어 왔다. 방전 벌브는 파워의 면에서도 할로겐 벌브 등에 비하여 상당히 크므로, 방전 벌브를 구비한 전조등에서는, 예컨대 그 조사 각도를 넓게 설정하는 것과 같이 방전 벌브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전조등은 차체 전단부에 좌우 한쌍 설치되지만, 이들 각 전조등의 차량 방향 외측에는 전측의 방향 전환 표시등(front turn signal lamp) 혹은 차폭 표시등(clearance lamp) 등이 설치되므로, 각 전조등은 그만큼 차체 중앙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전조등의 렌즈는 그 표면 형상이 차체 전단부의 전면 형상을 따른 곡면 형상, 즉 차폭 방향 외방(外方)을 향하여 후방측으로 다소 만곡한 곡면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고 해도, 그 좌우 경사 각도는 그다지 크지 않는 것이었다. 이것은 방전 벌브를 구비한 전조등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구성의 전조등에서는, 방전 벌브의 발광부와 렌즈 표면의 차폭 방향최외측 단부를 잇는 직선이 차체 전후 방향의 축선에 대하여 이루는 측방으로 벌어진 각도는 비교적 작으며, 이것을 충분히 큰 값으로 설정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종래 리플렉터(reflector)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한 차량 전방 조사라는 전조등 본래의 기능에 더하여, 방전 벌브로부터의 직사광을 차량 측방으로 조사시켜 노견(路肩) 등의 시인성(視認性)을 높이는 방전 벌브가 가지고 있는 큰 파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수법을 채용할 수 없었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방전 벌브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 방전 벌브가 가지고 있는 큰 파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차량 전조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렌즈 형상으로 고안함으로써, 상기 목적 달성을 꾀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원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하는 것과 같이, 방전 벌브와, 이 방전 벌브로부터의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와, 이 리플렉터의 전방에 설치된 렌즈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표면 형상이 차폭 방향 외방을 향하여 후방측으로 만곡한 곡면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렌즈 표면의 차폭 방향 최외측 단부에 있어서의 법선의 방향이 차체 전후 방향의 축선에 대하여 차폭 방향 외방측으로 45°이상 경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 「렌즈」는 차폭 방향 외방을 향하여 후방측으로 만곡한 곡면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면, 그 곡면 형상의 구체적 양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성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서는 방전 벌브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 그 렌즈의 표면 형상이 차폭 방향 외방을 향하여 후방측으로 만곡한 곡면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렌즈 표면의 차폭 방향 최외측 단부에 있어서의 법선의 방향이 차체 전후 방향의 축선에 대하여 이루는 차폭 방향 외방측으로 45°이상 경사하고 있으므로, 상기 방전으로 벌브의 발광부와 상기 렌즈 표면의 차폭 방향 최외측 단부를 잇는 직선이 차체 전후 방향의 축선에 대하여 이루는 측방으로 벌어진 각도를 상당히 큰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리플렉터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한 차량 전방 조사라는 전조등 원래의 기능에 더하여, 방전 벌브로부터의 직사광을 차량 측방으로 조사시켜 노견의 시인성을 높이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의하면, 방전 벌브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 방전 벌브가 가지고 있는 큰 파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더구나,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전조등을 차체 전단부의 코너부에 설치하는 것도 용이하게 가능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전조등 본체뿐만 아니라 상기 방전 벌브를 점등(點燈)시키기 위한 점등 회로 유니트(unit)에 관해서도 상기 코너부에 배치할 수가 있고, 이에 따라 기관실(engine room)내의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조등을 차체 전단부의 코너부에 마련하도록 하였을 때에는, 기관실내에서 상기 리플렉터의 하방에 위치하는 영역이 사공간(dead space)이 되기 쉬우므로, 청구항 2에 기재하는 것과 같이, 상기 점등 회로 유니트를 상기 리플렉터의 하방 근방에 배치하면, 기관실내의 사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점등 회로 유니트는 상기 리플렉터의 하방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면, 그 구체적인 배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상기 리플렉터의 하면벽 외면에 장착하는 구조 혹은 상기 전조등이 상기 리플렉터를 수용하는 램프 본체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이 램프 본체의 하면벽 외면에 장착하는 구조 등이 채용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청구항 3에 기재하는 것과 같이, 상기 렌즈의 표면 형상을 상방을 향하여 후방측으로 만곡한 곡면 형상으로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렌즈의 표면의 최상단부에서의 법선의 방향을 차체 전후 방향의 축선에 대하여 상방측으로 45°이상 경사시키도록 하면, 스포츠카형의 둥그스름한 차체 형상을 가지고 있는 차량에 대해서도 상기 전조등을 차체 전단부의 코너부에 마련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렌즈의 표면이 차폭 방향 외방뿐만 아니라 상방을 향해서도 후방측으로 만곡하고 있는 경우에는, 기관실내에서 상기 리플렉터의 하방으로 위치하는 영역이 큰 사공간이 되기 쉬우므로, 상기 점등 회로 유니트를 상기 리플렉터의 하방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특히 효과적이다. 더구나, 이 경우 상기 리플렉터 혹은 상기 램프 본체의 하면벽 외면은 비교적 큰 면적을 가지고 있게 되므로, 이하 면벽 외면에 상기 점등 회로 유니트를 장착하도록 한 경우에는, 그 장치 가능 범위가 넓어지고, 이에 따라 장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기 렌즈 표면의 차폭 방향 최외측 단부 혹은 최상단부에서의 법선의 방향은 차체 전후 방향의 축선에 대하여 차폭 방향 외방측 또는 상방측으로 45°이상 경사하고 있으면, 상기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상기 각각의 경사 각도가 더욱 큰 경우(예컨대 경사 각도 60°이상인 경우)에는 한층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구성에 더하여, 청구항 4에 기재한 것과 같이, 상기 방전 벌브의 전방에 상기 방전 벌브로부터 전방으로 향하는 직사광을 차폐하는 차폐부(shade)를 설치하고, 이 차폐부와 상기 리플렉터 반사면의 차폭 방향 최외측 단부와의 사이에, 상기 방전 벌브로부터 측방으로 향하는 직사광을 통통시키는 측방 광통과 스페이스를 형성해 놓으면, 등기구(燈器具) 배광상 유해한 전방으로의 직사광을 차단한 뒤에, 상기 측방 광통과 스페이스를 통과하여 상기 렌즈를 투과한 직사광에 의해 등기구 측방 조사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전조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 형태의 렌즈를 단일품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조등
10A,10B,10C : 등기구
12 : 렌즈
12a : 표면
12b : 차폭 방향 최외측 단부
12c : 최상단부
14 : 본체
14a : 하면벽
16 : 리플렉터
16a : 반사면
16b : 차폭 방향 최외측 단부
18 : 방전 벌브
18a : 발광부(아크)
20 : 차폐부
20a : 차폐부 본체
20b : 다리부
22 : 연장부
22a : 차폭 방향 외측 단부의 전단면
28 : 점등 회로 유니트
Ax,Ax' : 광축
L : 차체 전후 방향의 축선
N : 법선
N1 : 수평 성분
N2 : 연직 성분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전조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그 Ⅱ-Ⅱ선 및 Ⅲ-Ⅲ 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조등(10)은 소위 4등식 전조등에서 차체 우측에 설치되는 전조등으로서, 2개의 등기구(10A,10B)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전조등(l0)에서는 상기 양 등기구(10A,10B)의 동시 점등에 의해 주등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등기구(10A)의 점등에 의해 측면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등기구(10A)는 렌즈(12)와 램프 본체(14)로 형성되는 좌우 한쌍의 공간 중, 차폭 방향 외방측에 위치하는 공간에, 방전 벌브(18) 및 차폐부(20)가 장착된 리플렉터(reflector)(16)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등기구(l0B)는 이미 한편의 차량 방향 내방측(內方側)에 위치하는 공간에, 할로겐 벌브(18') 및 차폐부(20')가 장치된 리플렉터(16)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렌즈(12)는 도수 없는 렌즈로서, 상기 각 배광 패턴은 상기 리플렉터(16,16')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리플렉터(16,16')의 반사면(16a,16a') 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Ax,Ax')를 중심축으로 하는 회전 방물면(回轉放物面)을 기준면으로서 각각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복수의 반사면 소자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반사면 소자에 의해 상기 방전 벌브(18), 할로겐 벌브(18')로부터의 빛을 전방으로 확산 반사 혹은 편향 반사시켜 상기 각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방전 벌브(18)는 메탈 할라이드 방전 벌브로서, 그 광축(기준축)을 상기 광축 Ax와 일치시키는 동시에, 그 발광부(아크)(18a)를 리플렉터(16)의 기준면인 회전 방물면의 초점 위치보다 약간 전방으로 위치시키도록 하여, 리플렉터(16)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전 벌브(18)는 그 점등(點燈) 때문에 고전압을 필요로 하므로, 벌브 소켓(24) 및 고압 코드(26)를 통해 점등 회로 유니트(28)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점등 회로 유니트(28)는 상기 램프 본체(14)의 하면벽(14a)의 외면에 나사 고정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차폐부(20)는 상기 방전 벌브(18)의 전방을 덮는 컵형의 차폐부 본체(20a)와, 이 차폐부 본체(20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리플렉터(16)에 고정되는 다리부(脚部)(2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폐부 본체(20a)에 의해서, 방전 벌브(18)로부터 등기구 전방으로 향하는 직사광을 차폐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렌즈(12)의 표면 형상은 도 4에서 단일품으로 도시하는 것과 같이, 차폭방향 외방 및 상방을 향하여 후방측으로 만곡한 곡면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고, 그 차폭 방향 외측 단부 및 상단부에 근접함에 따라서 크게 후방측으로 돌아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12)의 표면(12a)의 차폭 방향 최외측 단부(12b)에서는, 그 각 부위에 있어서, 상기 표면(12a)의 법선 N(의 수평성분 Nl)의 방향이 차체 전후 방향의 축선 L(상기 리플렉터(16)를 경사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기 광축 Ax와 같은 방향의 축선)에 대하여 차폭 방향 외방측에 각도 α(α = 약 70°)로 경사하고 있다. 또한, 상기 렌즈(12)의 표면(12a)의 최상 단부(12c)에 있어서는, 그 각 부위에 있어서, 상기 표면(12a)의 법선 N(의 연직 성분 N2)의 방향이 상기 축선 L에 대하여 상방측으로 각도 β(β = 약 70°)로 경사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기 렌즈(12)의 상기 차폭 방향 최외측 단부(12b)의 위치는 상기 방전 벌브(18)의 발광부(18a)에 대하여 대략 바로 옆의 위치로 되어 있다.
상기 리플렉터(16)의 전방에는, 이 리플렉터(16)의 개구 주연부를 둘러싸도록 하여 연장부(extention)(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장부(22)는 그 전단이 상기 렌즈(12)의 내면 근방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22)의 차폭 방향 외측 단부의 전단면(22a)의 위치는 상기 렌즈(12)의 상기 차폭 방향 최외측 단부(12b)보다도 약간 전방에서, 또한 상기 리플렉터(16)의 반사면(16a)의 차폭 방향 최외측 단부(16b)와 대략 동일한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방전 벌브(18)의 발광부(18a)의 중심 위치와 상기 리플렉터(16)의 상기 차폭 방향 최외측 단부(16b)를 잇는 직선 A는 상기 방전 벌브(18)의 발광부(18a)에서 등기구 측방으로 연장되는 직선이 되고, 이 직선 A 근방에 상기 연장부(22)의 상기 전단면(22a)이 위치하고, 상기 직선 A의 약간 후방에 상기 렌즈(12)의 상기 차폭 방향 최외측 단부(12b)가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상기 직선 A와 상기 방전 벌브(18)의 발광부(18a)의 중심 위치로부터 상기 차폐부(20)의 차폐부 본체(20a)의 후단 위치를 잇는 직선 B와의 사이의 각도 θ의 범위내는, 상기 방전 벌브(18)로부터 측방으로 향하는 직사광을 통과시키는 측방 광통과(光通過) 스페이스가 되고, 상기 측방 광통과 스페이스를 통과한 직사광은 상기 렌즈(12)를 투과하여 차폭 방향 외방으로 약간 경사져서 전방으로 조사된다. 그 때, 등기구 배광상 유해한 전방으로의 직사광은 상기 차폐부 본체(20a)에 의해 차단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전조등(10)은 우측 전조등이고, 그 등기구(10A)는 차체 전단부의 우측 코너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직사광에 의해 차량 우측이 조사되고, 이에 따라 주행로 우측 노견의 시인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방전 벌브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 방전 벌브가 가지고 있는 큰 파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더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등기구(10A)가 차체 전단부의 코너부에 설치되고 있고, 상기 등기구(10A) 본체뿐만 아니라 상기 방전 벌브(18)를 점등시키기위한 점등 회로 유니트(28)도 상기 코너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기관실내의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할 수가 있다.
또, 이와 같이 상기 등기구(10A)를 차체 전단부의 코너부에 설치하도록 하였을 때에는, 기관실내에서 상기 리플렉터(16)의 하방으로 위치하는 영역이 사공간이 되기 쉽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점등 회로 유니트(28)가 상기 램프 본체(14)의 하면벽(14a)의 외면(즉 상기 리플렉터(16)의 하방 근방)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기관실내의 사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렌즈(12)의 표면 형상이 상방을 향하여 후방측으로 만곡한 곡면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렌즈(12)의 표면(12a)의 최상 단부(12c)에서의 법선 N의 방향이 차량 전후 방향의 축선 L에 대하여 상방측으로 상당히 크게 경사하고 있으므로, 스포츠카형의 둥그스름한 차체 형상을 가지고 있는 차량에 대해서도, 상기 등기구(10A)를 차체 전단부의 코너부에 구비하는 것이 용이하여진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렌즈(12)의 표면이 차폭 방향 외방뿐만 아니라 상방을 향해서도 후방측으로 만곡하고 있는 경우에는, 기관실내에서 상기 리플렉터(16)의 하방에 위치하는 영역이 큰 사공간이 되기 쉬우므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상기 점등 회로 유니트(28)를 상기 램프 본체(14)의 하면벽(14a)의 외면에 고정하고 상기 리플렉터(16)의 하방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특히 효과적이다. 더구나, 이 경우, 상기 하면벽(14a)의 외면은 비교적 큰 면적을 가지게 되므로, 상기 하면벽(14a)의 외면에 대한 상기 점등 회로 유니트(28)의 장치 가능 범위가 넓어지고, 그 장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차체 좌측에 설치되는 전조등에 대해서도, 상기 전조등(10)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조등(10)은 4등식 전조등에 있어서의 우측 전조등이고, 그 2개의 등기구(10A,10B)는 그 차폭 방향 외방측에 위치하는 등기구(10A)가 차체 전단부의 코너부에 설치되어 있어, 전후에 오프셋(offset)한 배치가 되어 있고, 차폭 방향 내방측에 위치하는 등기구(10B)의 후방 근방은 사공간이 되기 쉽다. 그래서, 상기 점등 회로 유니트(28)를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상기 리플렉터(16)의 하방 근방에 배치하는 대신에, 상기 등기구(10B)의 후방 근방에 설치하면 사공간의 효율적 이용을 꾀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렌즈(12)의 표면(12a)의 차폭 방향 최외측단부(12b)에서의 법선 N(의 수평성분 Nl)의 경사 각도 α가 상기 차폭 방향 최외측 단부(12b)의 각 부위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값(약 70°)이라고 하여 설명하였지만, 45°이상(바람직하게는 60°이상)의 경사 각도이면, 상기 각 부위에서 다른 경사 각도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동일하게,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렌즈(12)의 표면(12a) 최상 단부(12c)에 있어서의 법선 N(의 연직 성분 N2)의 경사 각도 β가 상기 최상 단부(12c)의 각 부위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값(약 70°)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45°이상(바람직하게는 60°이상)의 경사 각도이면, 상기 각 부위에서 다른 경사 각도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 방전 벌브로부터의 직사광을 차량 측방으로 조사시켜 노견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음으로써 방전 벌브가 가지고 있는 큰 파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전조등 본체와 점등 회로 유니트를 코너부에 배치함으로써 기관실내의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Claims (5)

  1. 방전 벌브와, 이 방전 벌브로부터의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와, 이 리플렉터의 전방에 설치된 렌즈를 구비한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표면 형상이 차폭 방향 외방을 향하여 후방측으로 만곡한 곡면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렌즈 표면의 차폭 방향 최외측 단부에 있어서의 법선의 방향이 차체 전후 방향의 축선에 대하여 차폭 방향 외방측으로 45°이상 경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벌브를 점등(點燈)시키기 위한 점등 회로 유니트가 상기 리플렉터의 하방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표면 형상이 상방을 향하여 후방측으로 만곡한 곡면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렌즈의 표면의 최상단부에서의 법선의 방향이 차체 전후 방향의 축선에 대하여 상방측으로 45°이상 경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벌브의 전방에, 상기 방전 벌브로부터 전방으로 향하는 직사광을 차폐하는 차폐부(shade)가 설치되고 있고, 상기 차폐부와 상기 리플렉터의 반사면의 차폭 방향 최외측 단부와의 사이에, 상기 방전 벌브로부터 측방으로 향하는 직사광을 통과시키는 측방 광통과(光通過)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벌브의 전방에, 상기 방전 벌브로부터 전방으로 향하는 직사광을 차폐하는 차폐부가 설치되고 있고, 상기 차폐부와 상기 리플렉터의 반사면의 차폭 방향 최외측 단부와의 사이에, 상기 방전 벌브로부터 측방으로 향하는 직사광을 통과시키는 측방 광통과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KR1019980018467A 1997-05-22 1998-05-22 차량용전조등 KR100294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48635 1997-05-22
JP14863597A JP3163271B2 (ja) 1997-05-22 1997-05-22 車輌用前照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285A true KR19980087285A (ko) 1998-12-05
KR100294931B1 KR100294931B1 (ko) 2001-07-12

Family

ID=1545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467A KR100294931B1 (ko) 1997-05-22 1998-05-22 차량용전조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57748B1 (ko)
JP (1) JP3163271B2 (ko)
KR (1) KR100294931B1 (ko)
CN (1) CN1103018C (ko)
DE (1) DE19823105B4 (ko)
GB (1) GB23255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0927B2 (ja) 1998-09-16 2006-08-1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DE19851174B4 (de) * 1998-11-06 2006-04-13 Reitter & Schefenacker Gmbh & Co. Kg Signalleuchte, insbesondere Heckleuchte, von Fahrzeugen, vorzugsweise von Kraftfahrzeugen
JP3737373B2 (ja) * 2001-03-02 2006-01-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4594566B2 (ja) * 2001-09-13 2010-12-0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ランプユニット
WO2021137361A1 (ko) * 2019-12-31 2021-07-08 (주)에이엠에스 리플렉터가 구비된 차량용 적응제어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5101A (ja) * 1988-03-16 1989-09-20 Koito Mfg Co Ltd 車輌用灯具
US4972302A (en) * 1988-07-18 1990-11-20 Stanley Electric Co., Ltd. Vehicle lamp having inner lens and reflector
JP2788533B2 (ja) * 1990-04-20 1998-08-2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2507834B2 (ja) * 1991-02-08 1996-06-1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投射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US5107405A (en) * 1991-08-20 1992-04-21 Koito Manufacturing Co., Ltd. Motor vehicle headlamp
DE4242527C2 (de) * 1992-12-16 1996-02-08 Hella Kg Hueck & Co Fahrzeugleuchte
JP2828584B2 (ja) * 1993-12-27 1998-11-2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DE4406393A1 (de) * 1994-02-26 1995-08-31 Bosch Gmbh Robert Scheinwerfer-Leuchteneinheit für Fahrzeuge
JP3013141B2 (ja) * 1994-04-15 2000-02-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JP3007265B2 (ja) 1994-05-24 2000-02-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灯具
JP3061248B2 (ja) * 1995-01-20 2000-07-1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3193603B2 (ja) * 1995-12-25 2001-07-3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US5879073A (en) * 1996-01-29 1999-03-09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ular lamp having discharge bul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823105B4 (de) 2004-03-18
GB9810903D0 (en) 1998-07-22
GB2325517B (en) 2000-01-12
CN1103018C (zh) 2003-03-12
JP3163271B2 (ja) 2001-05-08
JPH10321010A (ja) 1998-12-04
KR100294931B1 (ko) 2001-07-12
CN1200451A (zh) 1998-12-02
GB2325517A (en) 1998-11-25
DE19823105A1 (de) 1998-11-26
US6257748B1 (en) 2001-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4089B2 (ja) 車両用前照灯
US6402355B1 (en) Vehicular headlamp having improved low-beam illumination
US20070091629A1 (en) Vehicle Lighting Device
US8851726B2 (en) Vehicle lighting apparatus
JP3145930B2 (ja) 車輌用前照灯
EP2075500B1 (en) Vehicle headlamp
EP1139010B1 (en) Vehicle lamp comprising tube-like lamp element
US7237934B2 (en) Vehicle headlamp
JP2002109915A (ja) 車両用前照灯
US6913377B2 (en) Projection-type vehicular headlamp
US5971575A (en) Shade and vehicle headlamp having the same
KR102006319B1 (ko) 차량용 조명 기구
KR100294931B1 (ko) 차량용전조등
US6328463B1 (en) Automobile headlamp
JP3145927B2 (ja) 車輌用前照灯
JP2811144B2 (ja) 車両用灯具
JPH1125710A (ja) 車輌用前照灯
JPH11144501A (ja) 車輌用前照灯
US20030174511A1 (en) Vehicular headlamp having improved low-beam pattern
CN210424859U (zh) 车辆用灯具
JP2002367411A (ja) 車輌用前照灯
JP2003257221A (ja) 車両用前照灯
KR200156486Y1 (ko) 자동차용 전조등
JPH05334902A (ja) 車両用プロジェクタ式ランプ
KR20230166689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