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7023A - 수동 체인 블록 - Google Patents

수동 체인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7023A
KR19980087023A KR1019980017294A KR19980017294A KR19980087023A KR 19980087023 A KR19980087023 A KR 19980087023A KR 1019980017294 A KR1019980017294 A KR 1019980017294A KR 19980017294 A KR19980017294 A KR 19980017294A KR 19980087023 A KR19980087023 A KR 19980087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link
rod
load
she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2999B1 (ko
Inventor
에이키티 고바야시
다카시 우에스기
Original Assignee
츠다 스사쿠
조지루시 첸 부롯쿠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다 스사쿠, 조지루시 첸 부롯쿠 (주) filed Critical 츠다 스사쿠
Publication of KR19980087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 B66D3/16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operated by an endless chain passing over a pulley or a spr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Jib Cranes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체인 블록의 크기를 감소시키면서, 언로딩측의 로드 체인의 끝을 고정하고 또한 로드 체인의 원활한 감음 및 풀림 동작을 보장하는 고정 수단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동 체인 블록에 관한 것이다. 수동 체인 블록에 있어서, 고정 핀은 각 측 플레이트주위의 가장자리 부분 위치에 배치되어 체인 스플릿과 고정 핀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로드 체인의 제 1 링크의 로딩측상의 단부 선단의 회전 트레일간의 간격이 로드 체인의 링크 폭보다 크게 만들어 질 수 있고, 또한 로딩측의 로드 체인의 전체 길이가 감아 올려졌을 때, 제 1 링크에 인접하는 제 2 링크의 로딩 측상의 단부가 체인 가이드의 언로딩측상의 단부와 맞닿을 수 있다.

Description

수동 체인 블록
본 발명은 수동 체인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드 휠위를 지나는 핸드 체인을 당김으로써 로드 시브가 회전구동되어 로드 시브위를 지나는 로드 체인을 감고 풀수 있도록 되어 있는 수동 체인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형태의 수동 체인 블록은 베어링을 통해 한쌍의 측 플레이트사이에서 지지되는 로드 시브와, 구동축으로 로드 시브를 구동하기 위한 핸드 휠을 구비한다. 로드 시브위에 감긴 로드 체인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기 위해, 핸드 휠은 핸드 휠위를 지나는 핸드 체인을 당김으로써 회전구동되어, 로드 시브가 회전구동되도록 한다.
적재 하물을 매다는 로드 체인의 로딩측과 반대측에 있는 언로딩측의 로드 체인은 한쌍의 측 플레이트사이에 고정핀으로 단부에 고정된다. 또한, 로드 체인이 로드 시브위를 원활하게 지나도록 하여 원활한 감기 및 풀림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로드 시브위에 로드 체인이 감기도록 안내하기 위한 대략 반원형의 체인 가이드가 한쌍의 측 플레이트사이의 로드 시브주위에 제공되어, 로드 시브위에 놓인다. 로드 체인을 로드 시브에 및 로드 시브로부터 이동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체인 스플릿이 로드 시브아래에 제공된다.
언로딩측의 로드 체인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이 한쌍의 측 플레이트사이에서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핀은 바람직하게는 최종 조립단계에서 2개의 측 플레이트중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어야 한다. 한편, 최종 조립단계에서, 핸드 휠, 기어 커버 및 다른 부품은 이미 체인 블록 바디내에 조립되고, 그래서 조립될 고정핀에 대한 위치는 각 측 플레이트주위의 가장자리부에 한정된다.
고정핀이 각 측 플레이트주위의 가장자리부에서 지나치게 안쪽 위치에 배치되면, 로딩측의 로드 체인이 감겨 올려질 때, 고정핀에 고정된 언로딩측의 로드 체인의 체인 링크와 언로딩측으로 이동하는 로드 체인의 체인 링크가 서로 접촉하여 꼬이게 되어, 원활한 권취 동작을 방해할 염려가 있다.
한편, 고정핀이 지나치게 바깥쪽 위치에 배치되면, 이 때 측 플레이트은 폭이 증가되어야 하고, 따라서 체인 블록은 크기가 감소될 수 없다. 그 외에, 로딩측의 로드 체인의 전체 길이가 풀릴 때, 언로딩측의 로드 체인이 고정핀과 로드 시브사이에서 팽팽하게 되고, 팽팽하게 된 언로딩측의 로드 체인이 체인 가이드를 밀어내어 체인 가이드의 변형을 야기한다고 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언로딩측의 로드 체인의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로드 체인의 원활한 감기 및 풀림 동작을 보장하며, 한편 체인 블록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수동 체인 블록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베어링 수단을 통해 한쌍의 측 플레이트사이에서 지지되고 위에 로드 체인이 감기는 로드 시브와, 로딩측의 상기 로드 체인에 대향하는 언로딩측의 상기 로드 체인의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한쌍의 측 플레이트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로드 체인을 상기 로드 시브위에 감기도록 안내하기 위해, 상기 로드 시브위 및 로드 시브를 따라 설치되는 체인 가이드와, 상기 로드 체인이 상기 로드 시브에 및 로드 시브로부터 이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상기 로드 시브아래에 설치되는 체인 스플릿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각 측 플레이트주위의 가장자리부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로드 체인의 제 1 링크 로딩측상의 단부 선단의 회전 트레일과 상기 체인 스플릿간의 간격이 상기 로드 체인의 링크 폭보다 커지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로딩측의 상기 로드 체인의 전체 길이가 풀릴 때, 제 1 링크에 인접하는 제 2 링크의 로딩측상의 단부가 상기 체인 가이드의 언로딩측상의 단부와 접촉할 수 있는 신규의 수동 체인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에 의하면, 언로딩측의 로드 체인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은 각 측 플레이트주위의 가장자리부의 위치에 배치되므로, 고정수단은 체인 블록의 최종 조립단계에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로드 체인의 제 1 링크 로딩측상의 단부 선단의 회전 트레일과 체인 스플릿간의 간격이 로드 체인 링크 폭보다 크게 설정되어, 로딩측의 로드 체인이 감아올려질 때, 제 1 링크와 언로딩측으로 풀린 로드 체인의 링크가 서로 접촉하여 꼬이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권취동작을 보장한다. 또한, 로딩측의 로드 체인의 전체 길이가 풀릴 경우, 제 1 링크에 인접하는 제 2 링크의 로딩측상의 단부가 체인 가이드의 언로딩측상의 단부와 맞닿게 되어, 로드 체인이 체인 가이드를 따라 연장하는 각도에서 제 2 링크에 인접하는 제 3 링크가 체인 가이드와 로드 시브사이를 이동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은 제 1 링크를 위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에는 상기 제 1 링크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단차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링크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축의 단차부는 한쌍의 측 플레이트사이의 로드 체인의 횡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여, 로드 체인이 로드 시브와 체인 가이드사이에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로드 체인은 원활하게 감기고 풀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축은 제 1 링크를 위에 지지하기 위한 축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축지지부는 타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링크를 위에서 직접 지지하는 축지지부를 타원형 단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지지축의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그 결과, 고정수단의 강도를 향상시켜 체인 블록의 내구성을 개선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수동 체인 블록의 종단면도.
도 2는 로드 시브(3)위에 감긴 로드 체인(9)의 상태를 나타내는, 한쌍의 측 플레이트사이의 중심을 따라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풀리고 있는 로딩측의 로드 체인(9)의 전체 길이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2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4는 좌측 플레이트(1)에 부착되는 체인 가이드(39)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의 선 A-A에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6은 고정핀(40)의 고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우측 플레이트 외벽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고정핀(40)의 정면도.
도 8은 고정핀(40)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측 플레이트 4,5 : 베어링
11 : 핸드 휠 12 : 메커니컬 브레이크
14 : 기어 감속 기구 30 : 폴 스프링
35 : 베어링 40 : 고정핀
66 : 지지축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결코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수동 체인 블록의 종단면도이다. 이 수동 체인 블록에 있어서, 위쪽에 로드 체인(9)(도 1, 도 3 및 도 5에만 도시됨)이 통과하는 로드 시브(3)는 한쌍의 이격되고, 대향하는 좌우 측 플레이트(1,2)사이에서 한쌍의 베어링(4,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구동축(6)은 로드 시브(3)의 샤프트 보어내에 삽입되어 지지되므로 로드 시브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된다. 위에 핸드 체인(도시하지 않음)이 감기는 핸드 휠(11)은 우측 플레이트(2)의 외측에 있는 하나의 축방향 단부에서 구동축(6)과 나사결합한다. 세트 핀(37)는 구동축(6)의 축방향 단부내에 삽입된다. 메커니컬 브레이크(12)를 구비하는 전동 기구(13)는 핸드 휠(11)과 로드 시브(3)사이에 제공된다.
전동 기구(13)는 구동축(6)에 연결되어 허브에 대해 비회전식인 피동 허브(20)(도 1에서 허브에 대해 나사결합됨), 피동 허브(20)의 플랜지부와 핸드 휠(110사이에 개재되고 피동 허브(2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역회전 스톱 기어(21), 및 피동 허브(20)와 역회전 스톱 기어(21)사이 및 역회전 스톱 기어(21)와 핸드 휠(11)에 각각 개재된 라이닝 판(22, 23)을 포함한다. 우측 플레이트(2)에는 폴 샤프트(34)가 제공되고, 폴 샤프트에는 역회전 스톱 기어(21)와 결합가능한 역회전 스톱 폴(24)이 요동가능하게 부착된다. 역회전 스톱 기어(24)와 우측 플레이트(2)사이에는 역회전 스톱 폴(24)을 역회전 스톱 기어(21)를 향해 편의하는 폴 스프링(30)이 개재되어 있다. 메커니컬 브레이크(12)는 역회전 스톱 폴(24), 역회전 스톱 기어(21), 피동 허브(20) 및 라이닝 판(22, 23)으로 구성된다.
한편, 구동축(6)은 다른 축방향 단부에서 베어링(35)에 의해 지지되고, 복수의 감속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 감속 기구(14)는 좌측 플레이트(1)의 외측면에서 베어링(35)과 로드 시브(3)사이에 제공된다. 기어 감속 기구(14)는 구동축(6)의 축방향 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제 1 기어(25), 제 1 기어(25)와 결합되고 한쌍의 중간 축(26)에 의해 지지되는 한쌍의 제 2 기어(27), 제 2 기어(27)와 결합되고 한쌍의 중간 축(26)에 의해 지지되는 한쌍의 제 3 기어(28)(한쌍의 중간 축(26), 제 2 기어(27)와 제 3 기어(28)중 각각 하나만이 도 1 도시되어 있음), 로드 시브(3)의 연장부에 연결되고 제 3 기어(28)에 결합된 제 4 기어(29)를 포함한다.
기어 감속 기구(14)를 덮는 기어 커버(15)와 한쪽 측면에서 개구하고, 핸드 휠(11)을 덮는 휠 덮개(19)는 한쌍의 좌우 측 플레이트(1,2)의 외측위에 각각 3개의 한쌍의 측 플레이트(1,2)(단지 하나의 스테이 볼트(16)가 도 1에 도시됨)을 연결하는 3개의 스테이 볼트(16, 17, 18)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우측 플레이트(2)과 핸드 휠(11)사이에는 역회전 스톱 기어(21)의 외주를 덮는 브레이크 커버(31)가 개재되어 있다. 부호(36)는 체인 블록를 매다는 매달기 훅(hanging hook)을 나타낸다.
핸드 휠(11)이 정상 회전 방향으로 핸드 체인(9)을 당겨 구동될 때, 구동축(6)은 전동 기구(13)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축의 구동은 로드 시브(3)를 회전구동하기 위해 로드 시브(3)에 기어 감속 기구(14)를 통해 전달되어, 로드 시브(3)위를 지나는 로딩측, 즉 최선단에 훅을 가지며 적재 하물을 매다는 로드 체인측의 로드 체인(9)이 하물을 끌어올리도록 감긴다. 끌어올려진 하물은 메커니컬 브레이크(12)의 작용으로 매달린 상태로 유지된다.
끌어올려진 하물이 하강될 때, 핸드 휠(11)은 핸드 체인을 당김으로써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역방향으로 구동되는 핸드 휠(11)은 구동축을 따라 후방으로 체결되어, 로드 시브(3)를 역방향으로 구동하고, 한편 메커니컬 브레이크(12)는 하물을 점진적으로 하강시키기 위해 교대로 작동 및 비작동된다.
도 2은 로드 시브(3)위에 감겨 있는 로드 체인(9)의 상태를 나타내는, 한쌍의 측 플레이트사이의 중심을 따라 수직으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대응하는 단면도로서, 풀리고 있는 로딩측 체인(9)의 전체길이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좌측 플레이트(1)에 고정되어 있는 체인 가이드(39)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선 A-A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고정핀(40)의 부속품을 나타내기 위해, 우측 플레이트(2) 외벽의 주요부를 나타내고, 도 7은 고정핀(40)의 정면도이고, 도 8은 고정핀(40)의 측면도이다. 고정수단을 통해 언로딩측의 로드 체인(9)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로드 체인(9)은 로드 시브(3)위에 감기고, 로드 시브(3)를 가로질러 로드 체인(9)의 로딩측에 대향하는 언로딩측의 로드 체인(9)의 단부, 즉 언로딩측의 로드 체인 최선단에 있는 제 1 링크(41)는 고정수단을 형성하는 고정 핀(40)으로 지지된다.
로드 시브(3)위에 감기도록 로드 체인(9)를 안내하는 대략 반원형의 체인 가이드(39)는, 로드 시브(3)위에 놓이도록, 주어진 간격으로 체인 가이드(3)로부터 이격되어 로드 시브(3)위에 배열 및 로드 시브를 따라 연장한다. 체인 가이드(39)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쌍의 측 플레이트(1, 2)사이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단면이 얇은 판형이다. 체인 가이드(39)는 수직 링크(45)를 안내하기 위해 로드 체인(9)의 각 수직 링크(45)의 상부를 수용하기 위한, 단면이 대략 반원형의 볼록한 홈(42)과, 로드 체인(9)의 각 수평 링크(46)를 안내하기 위해, 길이방향에서 체인 가이드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볼록한 홈의 양측에서 평평하게 형성된 평탄부(47)를 가진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체인 가이드(39)는 로딩측의 단부에 로딩측 안내부(43)가 제공되고, 로드 시브(3)와 체인 가이드(39)사이를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로드 체인(9)를 안내하기 위해 위쪽을 향하는 단부를 가진다. 또한, 체인 가이드(39)는 언로딩측의 단부에 유사한 언로딩측 안내부(44)가 제공되고, 로드 시브(3)와 체인 가이드(39)사이를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로드 체인(9)을 안내하기 위해 위쪽을 향하는 단부를 가진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를 들면, 체인 가이드(39)에는 평탄부(47)로부터 연속하여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돌기(48)가 형성되어 있고, 반면 다른 편에는 각 측 플레이트(1, 2)(도 4는 좌측 플레이트만을 도시함)에는 내부에 돌기(48)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 구멍(49)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48)가 고정 구멍(49)에 고정된 후, 3개의 스테이 볼트(16, 17, 18)가 양 측 플레이트(1, 2)사이에 끼인 관계로 체인 가이드(39)를 고정하기 위해 조여져서 이들 사이에 체인 가이드(39)를 지지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로드 체인(9)을 로드 시브(3)에 및 로드 시브로부터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체인 스플릿(32)이 로드 시브(3)아래 즉 대략 로드 시브아래 우측에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체인 스플릿(32)은 대략 사각형 판형상이고, 로딩측의 로드 체인(9)의 체인 링크와 언로딩측의 체인 링크가 안내되어 로드 시브(3)에 및 로드 시브로부터 원활하게 이동되는 판형상 부분과, 판형상 부분의 대략 정상 중앙부로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볼록한 부분(50)을 포함한다. 볼록한 돌기(50)는 로드 체인(9)이 로드 시브(3)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로딩측과 로드 시브(3)로부터 풀리는 언로딩측의 체인 링크를 되감아서, 로드 시브(3)로부터 체인 링크를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체인 스플릿(32)은, 그 각 측면에 외향 돌기(51)가 제공되고, 한편, 측 플레이트(1,2)의 각각에는 돌기(51)의 형체와 일치하도록 된 끼움 구멍(52)이 제공된다. 돌기(51)가 끼움 구멍(52)에 끼워진 후, 3개의 스테이 볼트(16, 17, 18)가 조여져서 양 측 플레이트사이에서 체인 스플릿(32)을 지지하기 위해 양 측 플레이트(1, 2)사이에서 협지된 관계로 체인 스플릿(32)을 고정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장치에 있어서, 고정핀(40)은 각 측 플레이트(1, 2)주위의 가장자리부의 한 위치에 배치되어 고정핀(40)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로드 체인(9)의 제 1 링크(41)의 로딩측의 단부(53) 선단의 회전 트레일(54)과 체인 스플릿(32)사이의 간격(73)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로드 체인(9)의 링크 폭보다 크게 만들어질 수 있고, 또한 로딩측의 로드 체인(9)의 전체 길이가 풀릴 경우, 제 1 링크(41)에 인접하는 제 2 링크(55)의 단부(56)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체인 가이드(39)의 언로딩측의 단부와 맞닿을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핀(40)은 가장자리부근에서 한쌍의 측 플레이트(1,2)사이에 제공된다. 고정핀(40)이 한쌍의 측 플레이트(1, 2)사이에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정핀(40)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측 플레이트(1,2)중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부터 체인 블록의 최종 조립단계에서 삽입되어야 한다. 이것은 핸드 휠(11), 기어 커버(15) 등이 최종 조립단계에서 체인 블록내에 이미 조립되어 있으므로, 조립된 부품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고정핀(40)이 삽입되는 위치는 각 측 플레이트(1, 2)주위의 가장자리부로 제한되기 때문이다.
고정핀(40)이 각 측 플레이트(1,2)주위의 가장자리부내에서 지나치게 안쪽 위치로 위치되면, 로딩측의 로드 체인(9)이 감길 때, 고정핀(4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링크(41)와 로딩측으로 풀리는 로드 체인(9)의 체인 링크는 서로 접촉하여 엉키게되어, 원활한 권취 동작이 방해를 받는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핀(40)은 체인 스플릿(32)과 이격된 위치 관계로 된 위치에 배치되어, 제 1 링크(41)의 언로딩측의 단부(53) 선단의 회전 트레일(54)과 체인 스플릿(32)의 판형상, 언로딩측 벽면(57)간의 간격(화살표 73으로 나타냄)이 로드 체인(9)의 링크(예를 들면, 도 2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링크(58))의 폭보다 크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위치에 배치된 고정핀(40)은 로딩측의 로드 체인(9)이 감길 때, 로딩측으로 감긴 로드 체인(9)의 링크(화살표(59)로 나타낸 방향으로 풀리는 제 3링크(60)의 상태는 도2에 가상선으로 표시된 링크(58)로 도시됨)와 제 1 링크(41)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권취 동작을 보장한다고 하는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한편, 고정핀(40)이 각 측 플레이트(1, 2)주위 가장자리부에서 지나치게 바깥쪽 위치에 위치되면, 이 때 측 플레이트(1, 2)은 폭이 증가되어야 하고, 따라서 체인 블록은 크기가 감소될 수 없다. 이에 더하여, 로딩측의 로드 체인(9)의 전체 길이가 풀렸을 때, 로딩측의 로드 체인(9)은 고정핀(40)과 로드 시브(3)사이에서 팽팽하게 되어, 그 팽팽하게 된 로딩측의 로드 체인(9)이 체인 가이드(39)를 밀어올려 체인 가이드(39)의 변형을 일으킨다. 이 때문에,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핀(40)은 로딩측의 로드 체인(9)의 전체 길이가 풀렸을 때, 제 1 링크(41)에 인접하는 제 2 링크(55)의 로딩측의 단부(56)가 체인 가이드(39)의 언로딩측의 단부에서 언로딩측 가이드부(44)내의 평탄부(47)와 접촉할 수 있도록 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특정 위치에 배치된 고정핀(40)은 제 2 링크(55)의 로딩측의 단부(56)가 로딩측의 로드 체인(9)의 전체 길이가 풀렸을 때 언로딩측 가이드부(44)의 평탄부(47)와 접촉되게 하고, 그 자체로 로드 체인이 체인 가이드(39)를 따라 언로딩측 가이드부(44)를 통해 연장하는 각도에서 제 2 링크(55)에 인접하는 제 3 링크(60)가 로드 시브(3)와 체인 가이드(39)사이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로드 체인(9)이 체인 가이드(39)를 밀어올리는 것을 피하게 하여 체인 가이드(39)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강도부분인 제 2 링크(55)의 로딩측 단부(56)는 체인 가이드(39)의 평탄부(47)의 각 측면과 접촉하게 되므로, 접촉으로 인한 제 2 링크(55)의 피로 파손이 최소화되어 로드 체인(9)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체인 가이드(39)는 제 2 링크(55)로부터 가해진 힘이 평탄부(47)의 각 측면위에 분산되도록 하므로, 접촉으로 인해 체인 가이드상에 작용된 힘이 감소되어 체인 가이드(39)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특정 위치에 있는 고정핀(40) 배치는 최종 조립단계에서 고정핀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체인 블록의 크기를 감소시키면서, 로드 체인의 원활한 상하권취동작을 보장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한쌍의 측 플레이트(1,2)사이에서의 고정핀(40)의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부로 고정핀(40)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멍(61, 62, 63)은 기어 커버(15)주위의 가장자리부와 상기한 위치에 배치된 고정핀(40)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2개의 측 플레이트(1, 2)에 각각 뚫린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핀(40)은 제 1 링크(40)를 위에 지지하는 지지축(66)과, 지지축(66)보다 직경이 크고 지지축(66)의 일단부에 원형으로 형성된 헤드(67)와, 세트 핀(65)을 삽입하기 위해 다른 단부에 형성된 핀 구멍(64)을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핀(40)은 기어 커버(15)의 외측으로부터 기어 커버(15)와 좌측 플레이트(1)의 삽입구멍(61, 62)으로 삽입되어, 지지축(66)이 양쪽 측 플레이트(1, 2)사이의 제 1 링크(41)를 통과하고 이후 우측 플레이트(2)의 삽입구멍(63)안에 삽입되게 하며, 이후 세트 핀(65)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핀구멍(64)으로 끼워진다. 이로써, 고정핀(40)은 양 측 플레이트(1,2)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고정핀(40)은 조립을 위해 우측 플레이트(2)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되어도 되고,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스냅 링이 세트 핀(65) 대신에 고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핀(40)의 지지축(66)에는 제 1 링크(41)의 축방향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단차부(68)가 제공된다. 제 1링크(41)의 축방향 운동을 제한하는 단차부(68)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쌍의 측 플레이트(1, 2)사이의 로드 체인의 횡방향 운동(도 5에 화살표(69)로 나타낸 방향에서)이 제한되도록 하여, 로드 시브(3)와 체인 가이드(39)사이로 로드 체인(9)을 원활하게 안내한다. 그러므로, 로드 체인(9)은 원활하게 감기고 풀릴 수 있다. 단지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양 측 플레이트(1,2)사이에서 제 1 링크(41)의 횡방향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작용하는 단차부(68)에 더하여, 도 5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원통형 부재(70)가 어떤 경우에는 사용될 수 있다. 고정핀(40)이 조립될 때, 제 1 링크(41)는 먼저 지지축(66)에 끼워지고 이후 원통형 부재(70)는 지지축에 끼워져서 지지축에 고정된다. 이러한 배치로, 양 측 플레이트(1, 2)사이의 제 1 링크(41)의 횡방향 운동이 단차부(68)와 원통형 부재(70)에 의해 양측면으로부터 제한되어, 제 1 링크를 더욱 적당한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핀(40)의 지지축(66)은 제 1 링크(41)가 지지되는 단면 타원형의 축지지부(71)와 단면 타원형의 축지지부(71)보다 약간 큰 대경부(72)로 구성된다. 단면 타원형으로 제 1 링크(41)를 직접 위에서 지지하는 축지지부(71)를 형성하는 것은 지지축(66)의 강도가 지지축(66)의 직경을 증가시키지 않고, 즉 표준 크기의 링크 개구내에 삽입가능한 지지축의 범위내에서 개선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축지지부(71)와 더욱 큰 직경을 가진 대경부(72)는 고정핀(40)의 전체 강도가 개선되도록 하여, 체인 블록의 내구성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예시된 실시예는 핸드 휠(11)이 구동축(6)에 직접 체결되는 장치를 취하지만, 허브가 구동축(6)에 나사결합되고, 핸드 휠(11)이 허브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핸드 휠(11)의 회전에 저항력을 부여하기 위한 과부하 방지 기구가 허브와 핸드 휠(11)사이에 제공되는 변형된 장치를 취해도 된다.

Claims (3)

  1. 베어링 수단을 통해 한쌍의 측 플레이트사이에서 지지되고 위에 로드 체인이 감기는 로드 시브와, 로딩측의 상기 로드 체인에 대향하는 언로딩측의 상기 로드 체인의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상기 한쌍의 측 플레이트사이에 설치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로드 체인을 상기 로드 시브위에 감기도록 안내하기 위해, 상기 로드 시브위에 설치되어 로드 시브를 따라 연장하는 체인 가이드와, 상기 로드 체인이 상기 로드 시브에 및 로드 시브로부터 이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상기 로드 시브아래에 설치되는 체인 스플릿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각 측 플레이트주위의 가장자리부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로드 체인의 제 1 링크 로딩측상의 단부 선단의 회전 트레일과 상기 체인 스플릿간의 간격이 상기 로드 체인의 링크 폭보다 커지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로딩측의 상기 로드 체인의 전체 길이가 풀릴 때, 제 1 링크에 인접하는 제 2 링크의 로딩측상의 단부가 상기 체인 가이드의 언로딩측의 단부와 접촉할 수 있는 수동 체인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제 1 링크를 위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에는 상기 제 1 링크의 축방향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단차부가 제공되는 수동 체인 블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제 1 링크를 위에 지지하기 위한 축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축지지부는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수동 체인 블록.
KR1019980017294A 1997-05-15 1998-05-14 수동 체인 블록 KR100262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25186 1997-05-15
JP9125186A JP2919810B2 (ja) 1997-05-15 1997-05-15 手動式チェンブロッ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023A true KR19980087023A (ko) 1998-12-05
KR100262999B1 KR100262999B1 (ko) 2000-08-01

Family

ID=1490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294A KR100262999B1 (ko) 1997-05-15 1998-05-14 수동 체인 블록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062543A (ko)
EP (1) EP0878434B1 (ko)
JP (1) JP2919810B2 (ko)
KR (1) KR100262999B1 (ko)
CN (1) CN1096413C (ko)
AU (1) AU729065B2 (ko)
CA (1) CA2236731C (ko)
DE (1) DE69834688T2 (ko)
HK (1) HK1015755A1 (ko)
ID (1) ID20285A (ko)
SG (1) SG89257A1 (ko)
TW (1) TW51545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9999C2 (de) * 1999-12-13 2001-10-11 Yale Ind Products Gmbh Hebezeug
JP2004232667A (ja) * 2003-01-28 2004-08-19 Tsubakimoto Chain Co 高速伝動用乗り継ぎガイド
US7104492B1 (en) 2003-03-25 2006-09-12 Deco Power Lift, Inc. Cable winder guide
JP2005112631A (ja) * 2003-09-16 2005-04-28 Kito Corp 巻上牽引機
JP2005212924A (ja) * 2004-01-27 2005-08-11 Kito Corp 巻上牽引機
JP4693506B2 (ja) * 2005-06-03 2011-06-01 株式会社キトー 巻上牽引機
ATE478280T1 (de) 2005-12-08 2010-09-15 Canimex Inc Führungsschiene und antriebsmechanismus damit
DE102010016267B4 (de) * 2010-03-31 2018-01-11 Heinrich De Fries Gmbh Handbetriebener Kettenzug
CA2810979C (en) * 2010-10-22 2016-12-20 Kojun-Tech Llc Load sensing transmission and hoist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JP2014108839A (ja) * 2012-11-30 2014-06-12 Kito Corp チェーンブロックおよびロードチェーン
JP6029955B2 (ja) * 2012-11-30 2016-11-24 株式会社キトー チェーンブロック
CA2948450C (en) * 2014-05-16 2018-03-13 Kito Corporation Chain block
CN104773666A (zh) * 2015-04-30 2015-07-15 重庆维大力起重设备有限公司 一种环链手动葫芦的起重链条导向装置
CN105417423B (zh) * 2015-12-07 2019-05-17 潍坊万仞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自滑移载重机
US11339037B2 (en) 2019-06-05 2022-05-24 Nicholas Reid Winch mounted to portable hoist
DE102019118225B3 (de) * 2019-07-05 2020-10-01 Rud Ketten Rieger & Dietz Gmbh U. Co. Kg Kettenantriebs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6111A (en) * 1908-06-18 1909-03-23 Franklin Moore Co Friction chain hoist.
US1572001A (en) * 1925-03-05 1926-02-09 Wright Mfg Company Chain hoist
US2085815A (en) * 1936-03-16 1937-07-06 George W Mccollum Hoist
FR829959A (fr) * 1937-03-12 1938-07-18 Treuils Et Palans Perfectionnements aux palans, aux treuils ou similaires
CH222862A (de) * 1941-11-07 1942-08-15 W Steiner Flaschenzug.
US2570833A (en) * 1947-03-31 1951-10-09 Whiting Corp Electric chain hoist
US2704201A (en) * 1950-12-23 1955-03-15 Columbus Mckinnon Chain Corp Chain hoist
US2773668A (en) * 1954-01-05 1956-12-11 Columbus Mckinnon Chain Corp Hoist chain guide and stripper
US2991976A (en) * 1958-01-15 1961-07-11 Duff Norton Co Power-driven hoist
US4221364A (en) * 1978-08-07 1980-09-09 Kabushiki Kaisha Toa Kiaki Seisakusho Chain block
EP0351478A1 (fr) * 1988-07-19 1990-01-24 Victory Palan de levage à commande manuelle
US5125629A (en) * 1990-08-29 1992-06-30 Vital Kogyo Kabushiki Kaisha Hand-operated chain block
JP2597289B2 (ja) * 1993-07-02 1997-04-02 象印チエンブロック株式会社 手動式チェンブロ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598298A (en) 1998-11-19
SG89257A1 (en) 2002-06-18
EP0878434A3 (en) 2000-05-10
CN1096413C (zh) 2002-12-18
AU729065B2 (en) 2001-01-25
EP0878434B1 (en) 2006-05-31
JPH10310377A (ja) 1998-11-24
DE69834688D1 (de) 2006-07-06
US6062543A (en) 2000-05-16
HK1015755A1 (en) 1999-10-22
ID20285A (id) 1998-11-19
JP2919810B2 (ja) 1999-07-19
CA2236731C (en) 2001-05-01
CN1199707A (zh) 1998-11-25
KR100262999B1 (ko) 2000-08-01
EP0878434A2 (en) 1998-11-18
CA2236731A1 (en) 1998-11-15
DE69834688T2 (de) 2007-05-31
TW515450U (en) 200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2999B1 (ko) 수동 체인 블록
JP3249617B2 (ja) ブラインドの吊り下げ紐の巻取り装置
JP3556677B2 (ja) ケーブルウインドーリフタ
KR101872409B1 (ko) 무대장치 승강와이어 안내용 활차
KR0135946B1 (ko) 수동식 체인블럭
US5390616A (en) Dock mounted small boat lifting system
KR200445506Y1 (ko) 엘리베이터의 체인 지지용 브러시 롤러
US5332195A (en) Rope traction device
KR20020062284A (ko) 지지대에 부착된 승강실이 구비된 승강기
JP3853090B2 (ja) シャッターの軸受
JPH10310375A (ja) ウインチ用ワイヤロープの張力付与装置
KR100550336B1 (ko) 다단 드럼 릴
KR102120133B1 (ko) 주차기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KR20050075879A (ko) 와이어 안내 장치
JP4031202B2 (ja) ドラム用動力伝達・軸受け装置
JP2696678B2 (ja) ウインチ装置
KR19990045912A (ko) 스페이서댐퍼작업차의구동장치
KR200376368Y1 (ko) 어선용 그물 인양 장치
JPH0229110Y2 (ko)
JP2524458Y2 (ja) 小型巻上機
JP2004001918A (ja) エレベータ装置
JP3942353B2 (ja) クラッチ装置
KR200256876Y1 (ko) 권선장치
KR100224130B1 (ko) 농업용 하우스의 환기장치
KR20230107005A (ko) 멀티 시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한 로프 윈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