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130B1 - 농업용 하우스의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하우스의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130B1
KR100224130B1 KR1019970039951A KR19970039951A KR100224130B1 KR 100224130 B1 KR100224130 B1 KR 100224130B1 KR 1019970039951 A KR1019970039951 A KR 1019970039951A KR 19970039951 A KR19970039951 A KR 19970039951A KR 100224130 B1 KR100224130 B1 KR 100224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otor
load
sheet
shaft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156A (ko
Inventor
후지타 토시치카
와카바야시 히로지
Original Assignee
히로시게 덴
산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시게 덴, 산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시게 덴
Publication of KR19990017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조립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어 환기장치전체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게다가 전동모터의 설치공간을 없앨 수 있도록 한 농업용 하우스의 환기장치로서, 골조(30)에 펼쳐져 설치된 투광시이트(35)를 권상하기 위한 권상축(1) 및 그 권상축(1)을 회전시키는 전동모터(4)를 구비하며, 그 전동모터(4)는 상기 투광시이트(35)의 권상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전동모터(4)에 상기 권상축(1)의 단부가 연동연결되며, 그 권상축(1)에 일단부가 상기골조(30)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모터(4)의 하중을 부담하는 하중부담밧줄(7)의 타단부를 결합하여 상기 전동모터(4)의 하중을 부담한 상태에서 투광시이트(35)를 스무드하게 권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농업용 하우스의 환기장치
본 발명은 야채 등의 촉성재배에 이용되는 주로 비닐수지필름 등의 투광시이트를 골조에 펼쳐서 설치하여 된 농업용 하우스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하우스내를 환기하는 환기장치는, 예를들어 실공소62-3381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투광시이트의 하단부에 장착된 권상축(卷上軸) 및 그 권상축을 회전시키는 조작핸들을 구비한 수동식과, 상기 권상축을 강제적으로 회전시키는 전동모터를 구비한 자동식이 알려져 있다.
자동식의 환기장치는, 특개평9-7492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면상에 상기 전동모터를 설치하고, 그 전동모터의 모터축 및 상기 권상축의 각각에 드럼윈치를 설치하고, 이들 드럼윈치사이에 전동와이어를 걸어 설치하여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전동와이어를 모터축의 드럼윈치에 권취하고 상기 투광시이트를 감아 올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자동식의 환기장치로서, 전동모터를 상기 투광시이트의 권상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전동모터에 상기 권상축의 단부를 연동연결하고, 게다가 그 권상축에 상기 전동모터의 하중에 대응하는 무게의 중추를 상기 골조에 축지된 활차를 통하여 매달고, 상기 전동모터의 하중에 대응하는 무게의 중추를 상기 골조에 축지된 활차를 통하여 매달고, 상기 권상축에 작용하는 하중을 균형맞추어 권상축을 스무드하게 감아 올리도록 구성된 환기장지도 알려져 있다.
그런데 전동모터를 지면에 설치하는 전자의 자동식 환기장치에 있어서는, 하우스의 부지와는 별개로 전동모터의 설치공간이 필요하게 되며, 또한 중추를 이용하는 후자의 자동식 환기장치에 있어서는, 전동모터의 하중에 대응하는 무게의 중추가 필요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며, 게다가 무거워서 조립작업성이 나쁘고, 게다가 중추의 비용도 커지고, 환기장치전체가 고비용이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동모터를 투광시이트의 권상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전동모터에 권상축의 단부를 연동연결하고, 게다가 권상축에 전동모터의 하중을 부담하는 하중부담밧줄을 결합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조립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어서 환기장치전체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게다가 전동모터의 설치공간을 없앨 수 있는 환기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를 농업용 하우스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에서의 보빈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종단면도, (b)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에서의 보빈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전동모터부분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전동모터부분의 측면도.
도 7은 도 5의 X-X선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를 농업용 하우스에 장착한 상태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가 장착되는 농업용 하우스의 측벽부 및 지붕부의 부분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가 장치되는 농업용 하우스의 부분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를 농업용 하우스에 장착한 상태의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권상축, 3 ; 안내부재, 4 ; 전동모터, 7 ; 하중부담밧줄, 8 ; 보빈, 81 ; 권회부, 30 ; 골조, 33 ; 투광시이트
제 1발명에 의한 환기장치는, 골조에 펼쳐 설치된 투광시이트를 권상하기 위한 권상축 및 그 권상축을 회전시키는 전동모터를 구비한 농업용 하우스의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는 상기 투광시이트의 권상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전동모터에 상기 권상축의 단부가 연동연결되어 있고, 그 권상축에 일단부가 상기 골조를 포함한 정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모터의 하중을 부담하는 하중부담밧줄의 타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1발명에 있어서는, 전동모터의 하중을 하중부담밧줄에 의해 부담하고, 이 부담한 상태에서 투광시이트를 스무드하게 감아 올릴 수 있기 때문에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고 조립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어서 환기장치전체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전동모터를 투광시이트의 권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동모터의 설치공간을 없앨 수 있다.
제 2발명에 의한 환기장치는, 상기 권상축이 상기 하중부담밧줄이 권회되는 권회부의 외경이 각각 다른 복수의 보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2발명에 있어서는,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보빈을 권상축과 함께 회전시키고, 그 보빈에 하중부담밧줄을 권회하면서 투광시이트를 감아 올릴 수 있다. 또한 보빈은 하중부담밧줄이 권회되는 권회부의 외경을 다르게 하여 투광시이트의 두께 및 투광시이트의 권상길이에 대응하여 대경의 권회부 및 소경의 권회부의 한 쪽에 하중부담밧줄을 권회할 수 있다. 따라서, 투광시이트의 권상부에서의 원주속도와 하중부담밧줄의 권회부에서의 원주속도의 속도차를 작게 할 수 있으며, 투광시이트를 수평상태에서 스무드하게 권상할 수 있다.
제 3발명에 의한 환기장치는, 상기 권상축이, 상기 하중부담밧줄이 권회되는 권회부의 외경이 권회부의 폭방향도중으로부터 일단부로 향하여 점차 소경이 되도록 경사진 보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3발명에 있어서는, 소경의 권회부와 대경의 권회부가 경사면을 통하여 연속하고 있기 때문에, 하중부담밧줄을 소경의 권회부로부터 대경의 권회부에 걸쳐서 권회할 수 있다. 따라서, 투광시이트의 두께 및 투광시이트의 권회길이에 대응하여 보빈을 선택하는 일없이 트광시이트의 권상부에서의 원주속도와 하중부담밧줄의 권회부에서의 원주속도의 속도차를 양호하게 작게 할 수 있으며, 트광시이트를 보다 한층 스무드하게 감아 올릴 수 있다.
제 4발명에 의한 환기장치는, 전동모터가, 그 전동모터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의 측면에 접촉하여 안내부재에 대한 경사를 구속하는 경사구속편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4발명에 있어서는, 투광시이트의 권상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전동모터에 경사구속편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 11과 같이 권상축이 자재이음매를 통하여 전동모터에 연동연결되는 경우에서 전동모터가 안내부재에 대하여 자재이음매부분으로부터 경사지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전동모터를 안내부재를 따라서 스무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장치를 농업용 하우스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환기장치의 평면도, 도 3(a)는 보빈부의 종단면도, 도 3(b)는 측면도이다.
도 10, 도 1, 도 9에 나타낸 농업용 하우스(A)는 콘크리트기초(B)에 입설한 복수의 기둥(31) 및 이들 기둥(31)의 상부에 고정된 들보(32)를 갖는 골조(30)에 주로 비닐수지로 된 고정용의 투광시이트(33)(사선부분)가 복수의 시이트받이부재(34)를 통하여 펼쳐져 골조(30)의 전체를 덮고 있다. 또한, 고정용의 투광시이트(33)의 소정개소에는 창공(窓孔)(33a)을 설치하여 그 창공(33a)부분을 주로 비닐수지로 된 권취용의 투광시이트(35)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골조(3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부(30a), 단부면(30b) 및 지붕부(30c)를 구비하고 있다. 측벽부(30a)는 그 측벽부(30a)의 길이방향으로 병설된 상기 각 기둥(31, ··)의 높이방향중간부 및 하단부에 상기 각 기둥(31, ··)의 병설방향으로 연장된 띠장(furring strip)(36,··)이 횡으로 가설되며, 상부에는 낙수받이(37)가 상기 띠장(36,··)과 평행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각 기둥(31,··)의 상단부, 중간부 및 하단부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시이트정지지레(39)가 설치되며, 이들 시이트정지지레(39)에 상기 고정용의 투광시이트(33)의 상하단부와 권취용의 투광시이트(35)의 상단부가 각각 파형의 선재로 된 시이트정지구에 의해 고정부착된다. 또한, 상측 및 하측의 시이트정지지레(39)에는 하우스밴드(38)의 양단을 고정부착하여 권취용의 투광시이트(35)를 그 외면으로부터 눌러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낙수받이(37)와 띠장(36,··)의 각 외면사이에 서까래를 구성하는 상기 시이트받이부재(34)가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다.
단부면(30b)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측벽부(30a)와 마찬가지로 상기 각 기둥(31, ··)의 병설방향으로 띠장(41, ··)이 횡으로 가설됨과 함께 상기 각 기둥(31,··)의 상단부, 중간부 및 하단부에 상기 시이트정지지레(39)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동연(41, ··)의 각 외면사이에 상기 시이트받이부재(34)가 복수 설치되어 상기 고정용의 투광시이트(33) 및 권취용의 투광시이트(35)가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고정 부착되어 있다.
지붕부(30c)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들보(32)에 결합하는 모옥(母屋)(43)과 마룻대(44) 및 상기 낙수받이(37)과 골홈통의 외면사이에 서까래를 구성하는 상기 시이트받이부재(34)가 횡방향으로 소정간격을 투고 복수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시이트정지지레(39)가 상하로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고정용의 투광시이트(33) 및 권취용의 투광시이트(35)가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고정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시이트받이부재(34)에 예를들어 파형의 선재로 된 시이트고정구에 의해 상기 고정용의 투광시이트(33)가 고정 부착되며, 그 투광시이트(33)에 의해 상기 골조(30)의 측벽부(30a), 단부면(30b), 지붕부(30c)를 덮으며, 이들 측면부(30a), 단부면(30b), 지붕부(30c)의 소정개소에 창공(33a)을 각각 설치하고 있다. 이들 창공(33a)은 상기 권취용의 투광시이트(35)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권취용의 투광시이트(35)의 하단부에는 그 투광시이트(35)를 소용돌이형상으로 권취하면서 권상하기 위한 통형상의 권상축(1)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농업용 하우스에서의 골조의 각부외측에는, 도 1,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부가 지중에 삽입되며, 상단부가 브라켓트(2)를 통하여 상기 낙수받이(37)에 결합되는 지레형상의 안내부재(3)를 상기 기둥(31)과 평행형상으로 입설하여 그 안내부재(3)에 권상축(1)을 회전시키는 전동모터(4)를 상하이동가능하게, 다시 말하면 권상용의 투광시이트(35)의 권상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전동모터(4)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본체(4a)와, 그 모터본체(4a)의 상단에 연결되며, 모터본체(4a)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축(4c)에 출력하는 감속기(4b)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감속기구를 내장하는 감속기하우징의 측면(전동모터의 측면)에는 상기 안내부재(3)에 이동가능하게 삽통되는 삽통부(51) 및 설치플랜지(52)를 갖는 지지체(5)가 조임나사(53)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통부(51)는 관통하는 구멍인 것외에 요홈이라도 좋다.
또한, 감속기하우징의 하면에는 안내부재(3)의 측면에 접촉하여 전동모터(4)의 안내부재(3)에 대한 도 1, 도 5의 화살표 F방향으로의 경사를 구속하는 경사구속핀(54)이 설치되며, 전동모터(4)를 안내부재(3)을 따라서 스무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전동모터(4)의 일측면에만 지지체(5)를 설치한 경우, 전동모터(4)를 일측지지형상으로 지지함으로써 그 지지체(5)에 편하중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체(5)의 설치위치에 대하여 하측이 되는 위치에 상기 안내부재(3)의 측면에 접촉하는 경사구속핀(54)을 설치하여, 그 경사구속핀(54)과 지지체(5)에 의해 전동모터(4)의 경사를 작게하는 것이다.
경사구속핀(54)은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판(55, 55)사이에 지지되며, 이들 지지판(55, 55)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판(56, 56)을 통하여 상기 감속기하우징의 하면에 복수의 조임나사(57, 57)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5 - 도 7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경사구속핀(54)를 지지하는 지지판(55, 55)과 일체로, 전동모터(4)의 도 1, 도 6의 화살표 Y방향으로의 경사를 구속하는 경사구속편(58, 58)을 설치하여, 그 경사구속편(58, 58)과 지지체(5)에 의해 전동모터(4)의 경사를 작게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들 경사구속편(58, 58)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재(3)와 대향하는 위치에 스페이서(59, 59)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안내부재(3)와 경사구속편(58, 58)의 사이의 틈새를 작게 하고, 전동모터(4)의 경사를 보다 한층 작게 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지지체(5), 경사구속핀(54) 및 경사구속편(58, 58)은 도 5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모터(4)의 일측면에 설치하는 것외에 도 5의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모터(4)의 타측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경사구속핀(54)은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모터(4)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두 개의 위치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고, 또한 경사구속편(58, 58)은 도 5, 도 7에 나타내듯이 전동모터(4)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두 개의 위치에 설치하여 어느 것이나 지지체(5)가 전동모터(4)의 타측에 설치된 경우라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동모터(4)의 출력축(4c)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권상축(1)의 일단부가 삽입되며, 2개의 볼트(6, 6)에 의해 연동연결되어 있다.
권상축(1)의 일단부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골조(30)의 낙수받이(37)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모터(4)의 하중을 부담하는 세경와이어를 이용하여 된 하중부담밧줄(7)의 타단부가 보빈(8)을 통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하중부담밧줄(7)의 일단부는 골조(30)에 설치하는 것외에 골조(30)와는 별개로 설치되는 밧줄고정부재 등의 정지부재에 설치하여도 좋다.
보빈(8)은 권상축(1)의 외주에 삽입되어 고정나사(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도 3에 나타낸 보빈(8)은 하중부담밧줄(7)이 권회되는 권회부(81)의 외경이 각각 다른 두 개의 것을 일체로 성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경의 권회부(81a) 및 제 1칼라부(82)를 갖는 제 1보빈(8a)과 상기 권회부(81a)의 외경보다도 대경의 권회부(81b) 및 제 2칼라부(83)를 갖는 제 2보빈(8b)을 구비하며, 이들 보빈(8a, 8b)을 제 3칼라부(84)를 통하여 일체로 하고 있다.
이것은, 예를들어 동일두께의 투광시이트(35)를 권상하는 경우, 그 권상량의 증대에 따라서 원주속도가 늦어지기 때문에 권상개시로부터 권상완료까지의 원주속도변화가 크 것이며, 또한 두께가 다른 투광시이트(35)를 일정길이 권상하는 경우, 두께가 두꺼운 시이트는 두께가 얇은 시이트에 비하여 대경으로 되며 그만큼 권상량의 증대에 따라서 원주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권상개시로부터 권상완료까지의 원주속도변화가 큰 것에 반하여, 전동모터(4)의 하중을 부담하는 하중부담밧줄(7)은 그 선직경보다도 광폭의 권회부(81)에 그 폭역에 걸쳐서 권회되도록 되어 있어 권회개시로부터 권회완료까지의 원주속도변화가 작기 때문에, 소경의 권회부(81a)를 갖는 제 1보빈(8a)과 대경의 권회부(81b)를 갖는 제 2보빈(8b)을 설치하여, 소경의 권회부(81a)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원주속도변화가 작아지는 투광시이트(35)의 평균원주속도에 대응한 직경의 ±10%를 외경으로 하고, 대경의 권회부(81b)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원주속도변화가 커지는 투광시이트(35)의 평균원주속도에 대응한 직경의 ±10%를 외경으로 하고, 원주속도변화가 작아지는 투광시이트(35)가 이용되고 있는 경우는 소경의 권회부(81a)에 하중부담밧줄(7)를 권회하고, 원주속도변화가 커지는 투광시이트(35)가 이용되고 있는 경우는 대경의 권회부(81b)에 하중부담밧줄(7)을 권회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보빈(8)의 소경의 권회부(81a) 및 대경의 권회부(81b)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85, 86)을 설치하여, 소경의 권회부(81a)에 하중부담밧줄(7)이 권회되는 경우는 대경의 권회부(81b)의 관통공(86)으로부터 상기 권상축(1)에 태핑나사를 이용한 상기 고정나사(9)를 체결하여 보빈(8)을 권상축(1)에 고정하고, 또한 대경의 권회부(81b)에 하중부담밧줄(7)이 권회되는 경우는 소경의 권회부(81a)의 관통공(85)으로부터 상기 권상축(1)에 상기 고정나사(9)를 체결하여 보빈(8)을 권상축(1)에 고정한다.
또한, 보빈(8)의 제 1 및 제 2칼라부(82, 83)에는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87, 88)을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천설하고, 그 관통공(87, 88)에 소경의 권회부(81a) 또는 대경의 권회부(81b)에 권회되는 하중부담밧줄(7)의 일단부를 삽통하여 제 1칼라부(82) 또는 제 2칼라부(83)의 외측에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2, 도 3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소경의 권회부(81a)를 갖는 제 1보빈(8a)과 대경의 권회부(81b)를 갖는 제 2보빈(8b)을 제 3칼라부(84)를 통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있지만, 이들 제 1보빈(8a) 및 제 2보빈(8b)은 별체로 하고 각각 별도로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권회부의 외경이 다른 보빈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보빈(8)을 하나로 하는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회부(81)의 폭방향중도로부터 제 1칼라부(82)로 향하여 점차 소경으로 되도록 경사시킨 구조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 1칼라부(82)에 상기 관통공(87)을 형성하고, 대경의 권회부(81b)에 상기 관통공(86)을 형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일단부가 골조(30)의 낙수받이(37) 등의 정지부재에 설치되는 하중부담밧줄(7)을 이용하고, 그 하중부담밧줄(7)의 타단부를 권상축(1)에 결합하여 투광시이트(33)에 작용하는 감속기부착전동모터(4)의 하중을 부담하고, 전동모터(4)의 구동에 의해 보빈(8)을 권상축(1)과 함께 회전시키며, 그 보빈(8)에 하중부담밧줄(7)을 권회하면서 투광시이트(35)를 권상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투광시이트(35)의 권상을 스무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농업용 하우스(A)에서의 골조(30)의 측벽부(30a) 및 단부면(30b)에 펼쳐 설치되는 투광시이트(33)를 권상하여 측벽부(30a) 및 단부면(30b)으로부터 환기가능하게 한 하우스에 사용하였지만, 그 외에 측벽부(30a), 단부면(30b)으로부터의 환기뿐만 아니라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붕부(30c)에 펼쳐 설치되는 권상용의 투광시이트(35)를 권상하여 지붕부(30c)로부터도 환기가능하게 한 하우스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다.
즉, 도 10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안내부재(3)를 골조(30)의 들보(32)를 따라서 배설하고, 그 안내부재(3)에 전동모터(4)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붕부(30c)의 시이트정지지레(39)로부터 늘어뜨리도록 펼쳐서 설치된 권상용의 투광시이트(35)의 하연부에 상기 권상축(1)을 고착하고, 그 권상축(1)의 일단부를 상기 전동모터(4)의 출력축(4c)에 연동연결하고, 게다가 하중부담밧줄(7)의 일단부를 골조(30)의 마룻대(44) 등의 정지부재에 설치하고, 타단부를 권상축(1)에 결합된 보빈(8)에 권회하는 것이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골조(30)의 측벽부(30a)의 투광시이트(35)를 권상하는 전동모터(4)를 골조(30)의 코너부에 설치함으로써 단부면의 투광시이트(35)를 권상하는 전동모터(4)를 골조(30)의 구석부에 설치할 수 없는 경우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상축(1)의 일단부를 통상의 자재이음매(20)를 통하여 전동모터(4)의 출력축(4c)에 연동연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권상축(1)의 중도를 자재이음매(20)부분으로부터 굴곡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부면(30b)의 투광시이트(35)권상용 전동모터(4)를 상기 측벽부(30a)의 투광시이트권상용 전동모터(4)에 방해되지 않고 유효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자재이음매(20)를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전동모터(4)의 측면에는 상기 경사구속편(58, 58)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전동모터(4)가 안내부재(3)에 대하여 자재이음매(20)부분으로부터 도 11의 화살표 Y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구속할 수 있다.
제 1발명에 의한 환기장치에 따르면, 전동모터의 하중을 하중부담밧줄에 의해 부담하고, 이 부담한 상태에서 투광시이트를 스무드하게 권상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고, 조립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어 환기장치전체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전동모터를 투광시이트의 권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동모터의 설치공간을 없앨 수 있다.
제 2발명에 의한 환기장치에 따르면, 권상축에 하중부담밧줄이 권회되는 권회부의 외경이 각각 다른 복수의 보빈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투광시이트의 두께 및 투광시이트의 권회길이에 대응하여 대경의 권회부 및 소경의 권회부중의 한쪽에 하중부담밧줄을 권회할 수 있다. 따라서, 투광시이트의 권상부에서의 원주속도와 하중부담밧줄의 권회부에서의 원주속도의 속도차를 작게 할 수 있고, 트광시이트를 수평상태에서 스무드하게 권상할 수 있다.
제 3발명에 의한 환기장치에 따르면, 소경의 권회부와 대경의 권회부가 경사면을 통하여 연속하고 있기 때문에 하중부담밧줄을 소경의 권회부로부터 대경의 권회부에 걸쳐서 권회할 수 있다. 따라서, 투광시이트의 두께 및 투광시이트의 권회길이에 대응하여 보빈을 선택하는 일없이 투광시이트의 권상부에서의 원주속도와 하중부담밧줄의 권회부에서의 원주속도의 속도차를 양호하게 작게 할 수 있으며, 투광시이트를 보다 한층 스무드하게 권상할 수 있다.
제 4발명에 의한 환기장치에 따르면, 투광시이트의 권상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전동모터에 경사구속편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권상축이 자재이음매를 통하여 전동모터에 연동연결되는 경우라도 전동모터가 안내부재에 대하여 자재이음매부분으로부터 경사지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전동모터를 안내부재를 따라서 스무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Claims (4)

  1. 골조에 펼쳐 설치된 투광시이트를 권상하기 위한 권상축 및 그 권상축을 회전시키는 전동모터를 구비한 농업용 하우스의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는, 상기 투광시이트의 권상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전동모터에 상기 권상축의 단부가 연동연결되어 있고, 그 권상축에 일단부가 상기 골조를 포함한 정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모터의 하중을 부담하는 하중부담밧줄의 타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하우스의 환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축이, 상기 하중부담밧줄이 권회되는 권회부의 외경이 각각 다른 복수의 보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하우스의 환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축은, 상기 하중부담밧줄이 권회되는 권회부의 외경이 권회부의 폭방향도중으로부터 일단부로 향하여 점차 소경이 되도록 경사진 보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하우스의 환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는, 그 전동모터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의 측면에 접촉하여 안내부재에 대한 경사를 구속하는 경사구속편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하우스의 환기장치.
KR1019970039951A 1997-08-01 1997-08-21 농업용 하우스의 환기장치 KR100224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08090A JPH1146597A (ja) 1997-08-01 1997-08-01 農業用ハウスの換気装置
JP9-208090 1997-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156A KR19990017156A (ko) 1999-03-15
KR100224130B1 true KR100224130B1 (ko) 1999-10-15

Family

ID=16550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951A KR100224130B1 (ko) 1997-08-01 1997-08-21 농업용 하우스의 환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146597A (ko)
KR (1) KR100224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675A (ko) * 2002-03-20 2003-09-26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온실의 중앙권취식 보온터널 및 보온커튼 자동개폐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156A (ko) 1999-03-15
JPH1146597A (ja) 1999-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14952B2 (ja) トラクションシーブエレベータ
RU2486125C2 (ru) Тяг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ифтовой системы
KR20020006023A (ko)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
JP2001518434A (ja) ケーブル/ロープエレベータ
KR100262999B1 (ko) 수동 체인 블록
KR20070043645A (ko) 승강기 도어 시스템
KR100224130B1 (ko) 농업용 하우스의 환기장치
US20060225965A1 (en) Elevator system without a moving counterweight
KR101566326B1 (ko)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CA2098004C (en) Device for suspending a working cage
KR100739290B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KR20010023417A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702877B1 (en) Elevator system
KR20060136096A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KR20010021184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5067834A (ja) エレベータのケーブル状移動体保護装置
EP1586525B1 (en) Elevator equipment
US7299896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adjacent to hoistway door
KR200397103Y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JP2005200205A (ja) エレベータの主索装置
KR101432451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00025369A (ko) 엘리베이터의 로핑 방법
JP3435711B2 (ja) エレベータ
EP4353646A1 (en) A platform lifting system
JP5056672B2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