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0068A -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0068A
KR19980080068A KR1019980007856A KR19980007856A KR19980080068A KR 19980080068 A KR19980080068 A KR 19980080068A KR 1019980007856 A KR1019980007856 A KR 1019980007856A KR 19980007856 A KR19980007856 A KR 19980007856A KR 19980080068 A KR19980080068 A KR 19980080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rotational speed
fishing
control means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0396B1 (ko
Inventor
미끼하루 고바야시
노부유끼 야마구찌
슈이찌 마쯔자와
Original Assignee
마쯔이 요시유끼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440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515882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이 요시유끼, 다이와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이 요시유끼
Publication of KR19980080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0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03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5Antibacklash devices us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 A01K89/01141Reciprocating mechanisms including eccentric cams reciprocating the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캐스팅 시의 소음이나 스풀 회전 속도의 급격한 변동을 방지할 수 있고, 낚싯줄의 되감기를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또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를 저하시킬 일이 없는 낚시용 릴로서, 스풀(10)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스풀의 자유 회전을 허용하여 스풀로부터의 낚싯줄 방출을 허용하는 스풀 자유 회전 상태와 스풀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스풀에 낚싯줄을 권취시키는 스풀 구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회전력 전달 장치(20)를 갖는 릴 본체(12)와, 스풀에 설치된 도전체(14)와, 릴 본체(12)에 설치되어 도전체에 자력을 작용시켜서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자석(16)과, 스풀 회전 속도의 증감에 따라 자석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증감시키고, 스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장치(2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릴
본 발명은 스풀이 자유 회전할 때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낚시용 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풀이 자유 회전할 때의 회전 속도를 자력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릴에 있어서는 캐스팅시에는 스풀이 자유 회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캐스팅이 행해져 낚시 용구가 소망의 방향으로 날아가면,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는 낚시 용구와 함께 낚싯줄이 스풀로부터 고속으로 인출됨으로써 스풀도 또한 고속으로 회전된다. 그 후, 낚시 용구가 스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낚시 용구나 낚싯줄에 작용하는 공기 저항이나 바람 등 압력의 영향에 의해 낚시 용구나 낚시 용구 근방의 낚싯줄의 비행 속도는 스풀의 주위속(즉, 스풀로부터 방출된 직후의 낚싯줄의 비행 속도)에 비해 지연되며, 게다가 낚시 용구가 착수(着水)하면 낚시 용구의 운전 에너지에 의한 낚싯줄의 당김도 사라지며, 낚시 용구와 낚시용 릴 사이의 낚싯줄에 이른바 백래쉬라 불려지는 큰 이완이 발생한다. 낚싯줄의 백래쉬는 낚싯줄 자신의 얽힘이나 낚싯대나 낚시용 릴이나 다른 물체에 대한 낚싯줄의 얽힘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며, 또한 낚시 용구에 소망의 움직임을 시키기에는 장애가 된다.
종래, 캐스팅에 있어서 백래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풀에 대해 손가락을 접촉시켜 마찰 제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스풀의 관성에 의한 과잉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었다. 그러나 캐스팅에 의한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를 연장하면서 백래쉬를 방지시키기 위해 손가락에 의해 마찰 제동력을 조정하는 것은 캐스팅의 숙련자가 아니고서는 곤란했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캐스팅의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스풀이 자유 회전할 때 회전 속도를 용이하게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개발되어 있으며, 이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에는 크게 구분하여 2종류가 있다. 그 한편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실용 신안 공개 평3-7966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유 회전하는 스풀에 대해 원심력을 이용하여 마찰력을 작용시키는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실용 신안 공고 평6-8695호 공보나 일본 실용 신안 공고 평6-16511호 공보나 일본 실용 신안 공고 소63-3452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유 회전하는 스풀에 대해 자력을 작용시키는 것이다.
일본 실용 신안 공개 평3-7966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심력을 이용하여 스풀에 대해 마찰력을 작용시키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에서는 스풀 축의 일단부에 스풀 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반경 방향 이동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릴 본체에는 스풀 축의 일단부를 덮도록 절두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다. 스풀 축 일단부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는 스풀 회전에 의해 반경 방향 이동 부재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스풀 축의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릴 본체의 절두 원추대 형상의 오목부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스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일본 실용 신안 공고 평6-869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자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에서는 스풀이 일단면으로부터 스풀과 동심적으로 돌출하는 도전체로 된 원통 돌기를 구비하고 있고, 릴 본체에는 상호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상호간에 스풀 원통 돌기를 동심적으로 수납하는 2중 환상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릴 본체의 2중 환상 부재의 각각에는 주위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자석이 배치되어 있고 스풀과 함께 도전체로 된 원통 돌기가 릴 본체의 2중 환상 부재 사이에서 2중 환상 부재 각각의 자석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면 와전류가 발생하고, 이에 의해 도전체로 된 원통 돌기를 수반한 스풀 회전을 제동하는 전자력이 발생된다. 그리고, 릴 본체의 2중 환상 부재 중 외측 환상 부재는 내측 환상 부재에 대해 주위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에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외측 환상 부재를 릴 본체에 설치된 조정 손잡이에 의해 주위 방향으로 소정 범위에서 이동시키면, 내측 환상 부재의 복수의 자석에 대한 외측 환상 부재의 복수 자석의 상대적인 위치를 주위 방향으로 소정 범위에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내측 환상 부재의 복수 자석과 외측 환상 부재의 복수 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의 크기를 변화시키고, 나아가서는 스풀과 함께 도전체로 된 원통 돌기가 릴 본체의 2중 환상 부재 각각의 자석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발생시키는 와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키고 이에 의해 도전체로 된 원통 돌기를 수반한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전자력의 크기를 변화시켜서 스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일본 실용 신안 공고 평6-1651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자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에서는 스풀이 도전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릴 본체에 있어서 스풀 일단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자석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자석은 릴 본체에 설치된 조정 손잡이에 의해 스풀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으로 소정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며, 스풀의 일단면에 대한 거리를 소정의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이에 의해 스풀 일단면에 대해 작용하는 상기 자석의 자력의 크기를 변화시키고, 나아가서는 스풀이 릴 본체의 상기 자석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발생시키는 와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키고, 이로써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전자력의 크기를 변화시켜 스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일본 실용 신안 공개 소63-3452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자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에서는, 스풀이 일단면으로부터 스풀과 동심적으로 돌출하는 도전체로 된 원통 돌기를 구비하고 있고, 릴 본체에는 서로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상호간에 스풀 원통 돌기를 동심적으로 수납하는 2중 환상 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릴 본체 2중 환상 부재의 각각에는 주위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자석이 배치되어 있고 스풀과 함께 도전체로 된 원통 돌기가 릴 본체의 2중 환상 부재 사이에서 2중 환상 부재 각각의 자석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면 와전류가 발생하고, 이에 의해 도전체로 된 원통 돌기를 수반한 스풀 회전을 제동하는 전자력이 발생된다. 일본 실용 신안 공고 소63-3452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릴 본체에 설치된 조정 손잡이에 의해 릴 본체의 외측 환상 부재와 스풀 원통 돌기 사이에서 스풀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으로 이들에 대해 소정의 범위에서 동심적으로 출몰하는 환상의 자력 차폐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자력 차폐 부재를 조정 손잡이에 의해 릴 본체 외측의 환상 부재와 스풀 원통 돌기 사이에서 출몰시키면, 이에 의해 내측 환상 부재의 복수의 자석과 외측 환상 부재의 복수의 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의 크기가 변화되고, 나아가서는 스풀과 함께 도전체로 된 원통 돌기가 릴 본체의 2중 환상 부재 각각의 자석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발생시키는 와전류의 크기가 변화되고, 이로써 도전체로 된 원통 돌기를 수반한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전자력의 크기가 변화되어 스풀의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과 자력의 양자를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예를 들어 일본 실용 신안 공고 소62-35329호 공보에 의해 이미 알려져 있다.
일본 실용 신안 공고 소62-35329호 공보에 게시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에서는 스풀 축의 일단부에 스풀 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반경 방향 이동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릴 본체에는 스풀 축의 일단부를 덮도록 원통 형상의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다. 스풀 축 일단부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는 스풀 회전에 의해 반경 방향 이동 부재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스풀 축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릴 본체의 원통 형상의 오목부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스풀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일본 실용 신안 공고 소62-35329호 공보에 게시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게다가, 스풀의 타단면으로부터 스풀과 동심적으로 돌출하는 도전체로 된 원통 돌기를 구비하고 있고, 릴 본체에는 상호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상호간에 스풀 원통 돌기를 동심적으로 수납하는 2중 환상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릴 본체 2중 환상 부재의 각각에는 주위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자석이 배치되어 있고, 스풀과 함께 도전체로 된 원통 돌기가 릴 본체의 2중 환상 부재 사이에서 2중 환상 부재 각각의 자석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면 와전류가 발생하고, 이에 의해 도전체로 된 원통 돌기를 수반한 스풀 회전을 제동하는 전자력이 발생된다. 그리고, 릴 본체의 2중 환상 부재 중 외측 환상 부재는 내측 환상 부재에 대해 주위 방향으로 소정 범위에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외측 환상 부재를 릴 본체에 설치된 조정 손잡이에 의해 주위 방향으로 소정 범위에서 이동시키면, 내측 환상 부재의 복수의 자석에 대한 외측 환상 부재의 복수 자석의 상대적인 위치를 주위 방향으로 소정 범위에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내측 환상 부재의 복수 자석과 외측 환상 부재의 복수 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의 크기를 변화시키고, 나아가서는 스풀과 함께 도전체로 된 원통 돌기가 릴 본체의 2중 환상 부재 각각의 자석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발생시키는 와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키고 이에 의해 도전체로 된 원통 돌기를 수반한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전자력의 크기를 변화시켜서 스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원심력에 의한 마찰력을 2단계로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소5-68455호 공보에 의해 이미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5-68455호 공보에 개시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에서는 스풀 축의 일단부에 스풀 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1 반경 방향 이동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릴 본체에는 스풀 축의 일단부를 스풀 축에 대해 동심적으로 덮도록 원통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원통 부재의 외주면에도 원통 부재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2 반경 방향 이동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릴 본체에 원통 부재의 외주면을 원통 부재에 대해 동심적으로 덮도록 원형상의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다.
스풀 축 일단부의 제1 반경 방향 이동 부재는 스풀의 비교적 낮은 회전 속도에 의해 제1 반경 방향 이동 부재에 발생하는 비교적 작은 원심력에 의해 스풀 축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릴 본체의 회전 가능한 원통 부재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스풀이 비교적 낮은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스풀의 회전 속도가 비교적 높아져 제1 반경 방향 이동 부재와 원통 부재의 내주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커지면, 원통 부재도 스풀과 함께 회전을 개시하고, 원통 부재의 제2 반경 방향 이동 부재는 스풀의 비교적 높은 회전 속도에 의해 제2 반경 방향 이동 부재에 발생하는 비교적 큰 원심력에 의해 스풀 축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되어 릴 본체의 원형상의 오목부에 미끄럼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스풀이 비교적 높은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전술한 일본 실용 신안 공개 평3-7966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에서는 스풀 축 일단부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와 릴 본체의 대략 절두 원추대 형상 오목부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면 상태가 예를 들어 수분의 부착이나 먼지 부착이나 마모에 의해 변화하면 스풀의 소정 회전수에 있어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발생시키는 마찰 제동력이 변화하여 안정되지 않는다는 결점을 갖고 있으며, 또한 마찰력을 이용하기 위해 소음이 커진다는 결점도 갖고 있다.
또한, 스풀 축 일단부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에 작용하는 원심력, 즉 스풀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크기 이상으로 반경 방향 이동 부재가 릴 본체의 대략 절두 원추대 형상 오목부의 내주면에 비교적 강한 압박력을 수반하는 미끄럼 접촉한 때와, 스풀 축 일단부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에 작용하는 원심력, 즉 스풀 회전 속도가 소정의 크기 이하로 반경 방향 이동 부재가 릴 본체의 대략 절두 원추대 형상 오목부의 내주면에 비교적 약한 압박력을 수반하여 미끄럼 접촉한 때에서는 릴 본체의 대략 절두 원추대 형상 오목부 내주면에 대해 스풀 축 일단부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가 발생시키는 마찰 제동력이 스풀 회전 속도에 대해 2차적으로 변화(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은 스풀 회전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하므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스풀에 대해 작용하는 마찰 제동력이 급격하게 크게 변화한다. 이로 인해, 캐스팅 말기에 스풀 회전 속도가 저하한 때에 낚시 용구의 비행 속도 또는 이동 속도의 저하량과 비교하여 스풀 회전 속도의 저하량이 역으로 급격하게 작아져서 낚싯줄의 전술한 백래쉬 현상이 쉽게 발생한다. 종래는 이와 같은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의 백래쉬 현상 발생은 낚싯대를 잡은 낚시꾼의 손가락으로 스풀 또는 스풀에 권취된 낚싯줄의 권취면을 눌러 스풀의 회전 속도를 미소하게 제어한다는 이른바 서밍 조작에 의해 회피하고 있었지만, 적절한 서밍 조작의 습득에는 숙련을 요하고 있다.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에서는 게다가 캐스팅이 개시되어 스풀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크기 이상이 되면 급격하게 마찰 제동력이 커지며, 스풀 회전 속도가 급격하게 저하하고, 낚시 용구의 비행 속도가 급격하게 저하한다. 즉, 낚시 용구의 비행 거리 저하가 발생한다.
즉,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에서는 캐스팅에 의한 비행 거리가 저하하고, 또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면 적어져 있다고는 할 수 있지만 백래쉬 현상이 여전히 발생한다.
또한, 전술한 일본 실용 신안 공고 평6-8695호 공보나 일본 실용 신안 공고 평6-16511호 공보나 일본 실용 신안 공고 소63-3452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자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에서는 스풀 회전 속도에 대략 비례하여 제동력이 발생되고, 전술한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과 같이 스풀의 소정 회전 속도를 경계로 발생되는 제동력이 크게 변화하는 일은 없으므로 캐스팅에 있어서 백래쉬 현상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초심자라도 안심하고 캐스팅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스풀이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항상 스풀 회전 속도에 따른 제동력이 발생되므로,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 회전 속도가 저하해 온 때에 낚시꾼이 예상한 만큼의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의 연장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짧은 거리의 캐스팅(이른바 쇼트 캐스팅)을 행할 때에도 스풀은 자유로이 회전하지 않고 스풀 회전 속도의 상승이 지연되므로 낚시꾼이 겨냥한 위치에 낚시 용구를 낙하시키기 어렵다.
게다가 전술한 일본 실용 신안 공고 소62-3532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과 자력의 양자를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에서는 스풀의 회전 속도가 비교적 작은 범위에서는 자력에 의한 제동력이 주로 스풀에 작용하고, 스풀의 회전 속도가 비교적 커지면 자력에 의한 제동력에 가해져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한 제동력도 스풀에 작용하게 된다. 여기에 있어서는 자력을 이용함으로써 전술한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에 있어서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의 스풀이 비교적 작은 회전 속도의 범위에서 백래쉬가 발생한다는 결점을 없앨 수 있지만, 전술한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에 있어서의 소음 발생이나 마찰 제동력의 변동에 의한 스풀의 소정의 회전수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 속도의 큰 변동 등의 결점은 경감시킬 수 있지만 없앨 수는 없으며, 게다가 스풀 회전 속도의 전체 영역에 걸쳐 자력에 의한 제동력 혹은 자력과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의 양자에 의한 제동력이 작용하므로, 자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나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보다도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가 더욱 작아진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또한, 전술한 일본 특허 공개 평5-68455호 공보에 의해 이미 알려져 있는 2단계로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에서는 소음의 발생이나 마찰 제동력의 변동에 의한 스풀의 소정 회전수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 속도의 변동 등의 결점을 없앨 수 없으며, 또한 복수의 제동 유닛을 결합하여 차례로 작용시키는 구조이므로 구조가 복잡하며, 이와 같은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낚시용 릴의 외형 치수를 크게 해 버릴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도 상승시켜 버린다.
본 발명은 상술한 여러 가지 사정 하에서 이루어져, 본 발명의 목적은 캐스팅 초기나 말기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 속도의 억제를 없애 스풀의 최고 회전수가 높고, 최고 회전수 도달 시간도 빠르고, 게다가 스풀 회전 속도의 급저하의 억제를 발생시키고, 또한 캐스팅의 중기에는 자력을 이용한 적절한 제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급격하지 않은 적절한 스풀 회전 속도의 억제를 발생시키고,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래쉬 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해방 가능하게 권취되는 스풀과,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으며 스풀의 자유스런 회전을 허용하고 스풀로부터 낚싯줄의 방출을 허용하는 스풀 자유 회전 상태와 스풀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스풀에 낚싯줄을 권취시키는 스풀 구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회전력 전달 수단을 가진 릴 본체와, 스풀 및 릴 본체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된 도전체와, 스풀 및 릴 본체 중 다른 쪽에 설치되어 도전체에 자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자석과, 스풀 회전 속도의 증감에 따라서 자석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증감시키고 스풀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 있어서는 마찰을 이용하여 스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있지 않으므로, 캐스팅시에 종래의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과는 달리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마찰면의 상황이 변화하여 스풀의 회전 속도를 불안정하게 변동시키는 등의 일은 없다.
게다가 스풀 회전 속도의 증감에 따라서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증감시키고 스풀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 회전 속도가 비교적 커지기까지의 사이는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감소시켜 스풀에 대한 제동력을 작게 하고 스풀에 대한 불필요한 제동력의 부하를 없앨 수 있으므로, 스풀로부터 낚싯줄의 방출 속도를 높일 수 있어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캐스팅 개시 직후 초기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 속도의 급상승기를 지나서 스풀의 회전 속도가 가장 커지는 중기가 되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이 증가되어 스풀에 대한 제동력이 적절하게 증가되어 풍압이나 중력 등의 영향에 의한 낚시 용구나 낚싯줄의 비행 속도의 저하에 대응하여 스풀의 회전 속도를 적절하게 억제시켜 백래쉬 현상의 발생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제동력의 적절한 상승은 자력에 의해 초래되므로, 종래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의 경우와 같이, 종래 원심력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의 경우와는 달리 스풀의 회전, 즉 스풀로부터의 낚싯줄의 방출 속도를 백래쉬 현상의 발생 방지에 필요 이상으로 크게 저하시키는 일은 없다. 즉, 종래 원심력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의 경우와는 달리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가 불필요하게 크게 억제되는 일은 없다.
게다가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 회전 속도가 비교적 작아지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감소시켜서 종래의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과는 달리 종래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과 같이 스풀에 대한 제동력을 작게 하여 스풀로부터 낚싯줄의 방출 속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는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 및 말기에 있어서 낚싯줄의 방출에 수반하는 스풀의 회전 속도가 종래의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크다. 또한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 속도의 급상승기를 지나서 스풀 회전 속도가 가장 커지는 중기(스풀 고속 회전 상태 시기)까지의 최고 회전수 도달 시간이 빠르고, 또한 스풀의 최고 회전수는 종래의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당연히 크고, 종래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의 경우와 비교해도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 속도가 크므로 더욱 커진다.
따라서,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부터 말기까지 캐스팅 전체를 통한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를 종래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 및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의 각각의 경우에 비해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출원 발명의 낚시용 릴에서의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의 스풀에 대해 작용하는 제동력은 종래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과는 다르며, 급격한 감소가 억제되어 완만하게 감소하므로,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낚싯줄의 백래쉬를 초래하는 낚싯줄의 방출 속도에 대한 스풀의 과회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의 낚싯줄의 백래쉬 방지를 위한 스풀의 회전 속도의 손가락에 의한 제어가 불필요하다.
또한 낚시 용구가 착수하여 낚시 용구가 인장하는 낚싯줄의 인장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한 후는 상기 인장 속도에 대한 스풀의 과회전 현상이 발생해 낚싯줄의 백래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만, 낚시 용구가 착수하여 낚싯줄의 인장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한 후는 스풀의 회전이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 증감과는 무관해지므로 스풀의 회전을 간단히 정지시켜 낚싯줄의 백래쉬를 방지하면 되고, 낚싯줄의 백래쉬 방지를 위한 스풀의 회전 속도의 손가락에 의한 제어가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에 있어서는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스풀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변화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자석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변화시키고, 스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심력을 이용하여 자석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변화시키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에 의해서도 캐스팅 개시 직후부터 말기까지 스풀 회전 속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고,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 증대와 낚싯줄의 백래쉬 방지를 달성시킬 수 있다. 게다가 원심력을 이용하여 자석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변화시키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어 고장이 적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에 있어서는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스풀 회전 속도에 따라서 도전체 및 자석 중 어느 한 쪽을 다른 쪽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풀 회전 속도에 따라서 자석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변화시키고, 스풀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자석과 도전체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위됨으로써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석의 자속 밀도나 도전체에 있어서 자석의 자속이 작용하는 면적이 변화하여 자석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변화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스풀 회전 속도에 따라서 도전체 및 자석 중 어느 한 쪽을 다른 쪽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스풀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스풀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릴 본체 부위에 대직경 개구를 향한 테이퍼 형상 내주면과, 스풀 축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스풀 축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길이 방향 이동 부재와, 길이 방향 이동 부재에 있어서 스풀 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반경 방향에 있어서 스풀의 일단부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에 대향하고 있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와, 길이 방향 이동 부재를 스풀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릴 본체의 부위로부터 멀어지도록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자석 및 도전체 중 어느 한 쪽이 길이 방향 이동 부재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 이동 부재와 함께 이동하고, 자석 및 도전체 중 다른 쪽이 스풀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릴 본체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스풀 회전 속도에 따라서 도전체 및 자석 중 어느 한 쪽을 다른 쪽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자석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의 면적을 변화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또 스풀측 일단부에 설치되어 스풀 축 회전 중심선에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길이 방향 이동 부재와, 길이 방향 이동 부재에 설치되어 스풀 축의 일단부가 돌출된 스풀의 일단면에 대직경 개구를 향한 테이퍼 형상 내주면과, 스풀 축의 일단부에 있어서 스풀 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반경 방향에 있어서 길이 방향 이동 부재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과 대향하고 있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와, 길이 방향 이동 부재를 스풀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릴 본체의 부위로부터 멀어지도록 압박하는 압박 수단과, 길이 방향 이동 부재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 이동 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자석 및 도전체 중 어느 한 쪽과, 스풀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릴 본체의 부위에 설치된 자석 및 도전체 중 다른 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 있어서는 스풀 회전에 수반하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 방향 이동 부재가 상기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이동해 길이 방향 이동 부재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에 접촉함으로써 길이 방향 이동 부재를 스풀 축의 회전 중심선에 따른 방향으로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작용시키지만, 반경 방향 이동 부재는 길이 방향 이동 부재 또는 스풀과 일체로 회전하는 부재에 설치된 안내부에 의해 상기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풀과 일체로 회전하는 부재의 일예는 스풀 축의 상기 일단부이다.
안내부는 구멍이나 홈 그리고 막대 등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반경 방향 이동 부재는 안내부의 구멍이나 홈 그리고 막대 등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안내 홈이나 안내 구멍을 갖는 컬러 부재로서 구성할 수 있으며, 안내부의 구멍이나 홈 그리고 막대 등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단순한 구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
도2a는 도1의 2A-2A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2b는 도1의 2B-2B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3은 도2b의 원통 형상 도전체와 반경 방향 이동 부재에 조합된 길이 방향 이동 부재를 3-3선에 따라서 일부 절결한 개략적인 수평 단면을 수반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4는 도1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회전하고 있지 않은 때와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와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로부터 감소한 때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5는 도4의 5-5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6은 도1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어느 정도의 회전 속도 이상으로 고속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7은 도6의 7-7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회전하고 있지 않은 때, 또는 스풀이 비교적 저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8b는 도8a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 이상으로 고속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을 일부 절결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10은 도9의 10-10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11은 도9의 11-11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12는 도11에 있어서 원통 형상 도전체 및 반경 방향 이동 부재와 조합되어 있던 길이 방향 이동 부재를 12-12선에 따라 일부 절결한 개략적인 수평 단면을 수반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13은 도11에 있어서 서로 조합되어 있는 길이 방향 이동 부재와 원통 형상 도전체와 반경 방향 이동 부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14a는 도9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회전하고 있지 않은 때와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와 스풀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로부터 감소한 때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
도14b는 도14a의 14B-14B선에 따른 횡단면도.
도15a는 도9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회전하고 있지 않은 때와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와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로부터 감소한 때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15b는 도15a의 15B-15B선에 따른 횡단면도.
도16a는 도9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
도16b는 도9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17은 본 발명의 상술한 여러 가지 실시 형태에 따른 본 출원 가변 자력 이용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가진 낚시용 릴, 원심 마찰력만을 이용한 종래의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가진 낚시용 릴 및 자력만을 이용한 종래의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가진 낚시용 릴의 각각에 있어서의 캐스팅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제동력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18은 본 발명의 상술한 여러 가지 실시 형태에 따른 본 출원 가변 자력 이용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가진 낚시용 릴, 원심 마찰력만을 이용한 종래의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가진 낚시용 릴 및 자력만을 이용한 종래의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가진 낚시용 릴의 각각에 있어서의 캐스팅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제동력의 변화가 초래하는 스풀 회전수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
도20은 도19의 20-20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21a는 도19의 낚시용 릴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회전하고 있지 않은 때와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와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로부터 감소한 때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21b는 도21a의 21B-21B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22a는 도19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어느 정도의 회전 속도 이상으로 고속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22b는 도22a의 22B-22B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23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회전하고 있지 않은 때와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와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로부터 감소한 때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23b는 도23a의 23B-23B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24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어느 정도의 회전 속도 이상으로 고속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24b는 도24의 24B-24B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2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
도26은 도25의 26-26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27a는 도25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회전하고 있지 않은 때와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와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로부터 감소한 때의 상태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스풀이 어느 정도의 회전 속도 이상으로 고속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2점 쇄선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27b는 도27a의 27B-27B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28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회전하고 있지 않은 때와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와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로부터 감소한 때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28b는 도28a의 28B-28B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29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 이상이 된 때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29b는 도29a의 29B-29B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3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
도31은 도30의 31-31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32는 도30의 32-32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33a는 도8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회전하고 있지 않은 때와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와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로부터 감소한 때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33b는 도33a의 33B-33B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34는 도30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어느 정도의 회전 속도 이상으로 고속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35a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회전하고 있지 않은 때, 또는 스풀이 비교적 저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35b는 도35A의 35B-35B선에 따른 횡단면도.
도36a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 이상으로 고속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36b는 도36a의 36B-36B선에 따른 횡단면도.
도37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
도38은 도37의 38-38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39는 도37의 39-39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40은 도37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도39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가 발생시키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작용을 조정하는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의 한 종류인 반경 방향 이동 선택 수단에 의해 반경 방향 이동 금지 상태가 설정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41은 도40의 41-41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42는 도39의 원통 형상 도전체와 반경 방향 이동 부재에 조합된 길이 방향 이동 부재를 도3의 42-42선에 따라서 일부 절결한 개략적인 수평 단면을 수반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43은 도39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와 반경 방향 이동 부재를 위한 안내부에 설치되어 반경 방향 이동 부재의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작용을 조정하는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의 한 종류인 반경 방향 이동 선택 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44는 도37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도39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가 발생시키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작용을 조정하는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의 한 종류인 반경 방향 이동 선택 수단에 의해 반경 방향 이동 가능 상태가 설정되어 있는 동안에, 스풀이 회전하고 있지 않은 때와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와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로부터 감소한 때의 모습이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동시에 스풀이 어느 정도의 회전 속도 이상으로 고속 회전하고 있는 때의 모습이 2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45는 도44의 45-45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46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회전하고 있지 않은 때, 또는 스풀이 비교적 저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반종단면도.
도47은 도46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반경 방향 이동 부재가 발생시키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작용을 조정하는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의 교환을 위해 도46의 낚시용 릴의 요부가 분해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반종단면도.
도48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
도49는 도48의 49-49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50은 도48의 50-50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51a는 도48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회전하고 있지 않은 때와 스풀의 회전이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와 스풀의 회전이 어느 정도의 크기로부터 감소한 때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51b는 도51a의 51B-51B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52a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발생시키는 스풀 회전 속도의 제어 작용이 제어 작용 조정 수단에 의해 가장 강하게 조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반종단면도.
도52b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발생시키는 스풀 회전 속도의 제어 작용이 제어 작용 조정 수단에 의해 중간 정도로 강하게 조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반종단면도.
52c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발생시키는 스풀 회전 속도의 제어 작용이 제어 작용 조정 수단에 의해 가장 적게 조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반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풀
12 : 릴 본체
14 : 도전체
16 : 자석
20 : 회전력 전달 수단
26 : 회전 속도 제어 수단
28 : 길이 방향 이동 부재
30 : 반경 방향 이동 부재
120 : 자력 조정 수단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해방 가능하게 권취되는 스풀과,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으며 스풀의 자유스런 회전을 허용하여 스풀로부터의 낚싯줄의 방출을 허용하는 스풀 자유 회전 상태와 스풀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스풀에 낚싯줄을 권취시키는 스풀 구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회전력 전달 수단을 가진 릴 본체와, 스풀에 설치되어 스풀과 함께 회전하고, 스풀의 회전 중심선에 따라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와, 이동 부재에 설치되어 스풀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스풀 회전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스풀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제동 부재와, 릴 본체에 설치되어 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는 상기 회전 중심선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제동 부재의 이동 범위 내에서 상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제동 부재에 대향하고 원심력에 의해 상기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이동한 제동 부재와 미끄럼 접촉하여 마찰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환상 제동 부재와, 스풀 회전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이동 부재를 상기 회전 중심선에 따른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 구동 수단과, 이동 부재를 상기 회전 중심선에 따른 다른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박 수단과, 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는 상기 회전 중심선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제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 제동 부재와 환상 제동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 제동력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마찰 제동력 변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 있어서는 스풀 회전 속도의 증감에 따른 이동 부재 구동 수단에 의한 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는 상기 회전 중심선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제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 마찰 제동력 변화 수단이 제동 부재와 환상 제동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 제동력의 크기를 변화시키므로,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는 발생하는 상기 마찰 제동력의 크기를 작게 설정하여 스풀 회전 속도의 상승을 크게 할 수 있어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고,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 속도의 급상승기를 지나서 스풀 회전 속도가 가장 커지는 중기가 되면 스풀에 대한 마찰 제동력이 과속으로 증가되어 풍압이나 중력 등의 영향에 의한 낚시 용구나 낚싯줄의 비행 속도의 저하에 대응하여 스풀 회전 속도를 적절하게 억제시켜 백래쉬 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의 회전 속도가 비교적 작아진 때는 상기 마찰 제동력이 적절하게 저하하도록 조정하여 스풀로부터의 낚싯줄의 방출 속도의 저하에 비해 스풀의 회전 속도 저하가 급격하게 완만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백래쉬 현상을 발생시키는 스풀의 과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의 낚싯줄의 백래쉬 방지를 위한 스풀 회전 속도의 손가락에 의한 미소한 제어가 거의 불필요해진다.
또한 낚시 용구가 착수하여 낚시 용구가 인장하는 낚싯줄의 인장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한 후는 상기 인장 속도에 대한 스풀 과회전 현상이 발생하여 낚싯줄의 백래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만, 낚시 용구가 착수하여 낚싯줄의 인장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한 후는 스풀 회전이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 증감과는 무관해지므로 스풀 회전을 간단히 정지시켜 낚싯줄의 백래쉬를 방지하면 되고, 낚싯줄의 백래쉬 방지를 위한 스풀 회전 속도의 손가락에 의한 제어가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에 있어서는 상기 이동 부재 구동 수단과 상기 마찰 제동력 변화 수단을 상기 환상 제동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와 미끄럼 접촉하는 표면을 스풀 회전 중심선에 대해 경사지게 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환상 제동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와 미끄럼 접촉하는 표면의 마찰 계수를 스풀의 회전 중심선에 따른 방향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마찰 제동력 변화 수단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환상 제동 부재를 스풀 회전 중심선에 따른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스풀 회전 중심선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가 미끄럼 접촉할 수 있는 상기 환상 제동 부재의 표면의 거리를 규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환상 제동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와 미끄럼 접촉하는 표면을 원형상으로 하고, 상기 환상 제동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동 부재와 미끄럼 접촉하는 표면의 마찰 계수를 스풀의 회전 중심선에 따른 방향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마찰 제동력 변화 수단을 구성하고, 게다가 상기 이동 부재 구동 수단을 상기 이동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반경 방향 이동 부재와, 스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는 상기 중심선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반경 방향 이동 부재의 이동 범위에서 상기 반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상기 이동 부재에 대향하여 상기 회전 중심선에 대해 경사진 테이퍼 형상 내주면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테이퍼 형상 내주면은 스풀 표면에 직접 형성할 수 있고, 스풀과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후에 스풀에 고정되는 추가 부재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해방 가능하게 귄취되는 스풀과,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으며 스풀의 자유스런 회전을 허용하고 스풀로부터 낚싯줄의 방출을 허용하는 스풀 자유 회전 상태와 스풀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스풀에 낚싯줄을 귄취시키는 스풀 구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회전력 전달 수단을 가진 릴 본체와, 스풀 자유 상태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스풀 및 릴 본체의 양자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협동하여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고, 상호간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제동력을 변화시키는 제동 수단과, 스풀 회전 속도의 증감에 따라서 스풀 및 릴 본체의 양자에 설치되어 있는 제동 수단의 상호간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스풀에 대한 제동력을 변화시키는 위치 변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위치 변화 수단이 스풀에 설치되어 있는 제동 수단을 지지하고, 스풀에 설치되어 있는 제동 수단과 함께 스풀 주위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에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스풀의 회전 중심선에 따른 방향 및 스풀의 회전 중심선과 교차하는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와, 이동 부재를 상기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따른 한 쪽에 압박하는 압박 수단과, 스풀 회전과 이동 부재의 회전과의 회전차에 의해 이동 부재를 상기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따른 다른 쪽에 상기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이동시키고, 스풀 및 릴 본체의 양자에 설치되어 있는 제동 수단의 상호간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키고 제동 수단이 스풀 회전에 대해 작용하는 제동력을 변화시켜 스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변환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 있어서는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 회전 속도가 비교적 커지기까지의 사이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의 위치 변화 수단의 변환 수단은 스풀 회전과 이동 부재의 회전과의 회전차에 의해 이동 부재를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스풀에 설치되어 있는 제동 수단과 함께 스풀의 회전 중심선에 따른 방향 및 스풀의 회전 중심선과 교차하는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따라 이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스풀 및 릴 본체의 양자에 설치되어 있는 제동 수단의 상호간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킬 수 없으며, 제동 수단이 스풀의 회전에 대해 작용하는 제동력을 변화시키고 스풀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스풀에 대한 제동력을 작게 하고 스풀에 대한 불필요한 제동력의 부하를 없앨 수 있으므로 스풀로부터 낚싯줄의 방출 속도를 높일 수 있어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캐스팅 개시 직후 초기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 속도의 급상승기를 지나서 스풀 회전 속도가 가장 커지는 중기가 되면,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의 위치 변화 수단의 변환 수단은 스풀 회전과 이동 부재의 회전과의 회전차에 의해 이동 부재를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스풀에 설치되어 있는 제동 수단과 함께 스풀의 회전 중심선에 따른 방향 및 스풀의 회전 중심선과 교차하는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스풀 및 릴 본체의 양자에 설치되어 있는 제동 수단의 상호간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고, 제동 수단이 스풀 회전에 대해 작용하는 제동력을 변화시켜서 스풀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풀에 대한 제동력을 적절하게 증가시켜서 풍압이나 중력 등의 영향에 의한 낚시 용구나 낚싯줄의 비행 속도의 저하에 대응하여 스풀 회전 속도를 적절하게 억제시키고 백래쉬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백래쉬 현상의 발생을 방지한다는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요 이상의 불필요한 제동력의 부하는 없앨 수 있으므로, 스풀로부터의 낚싯줄의 방출 속도가 불필요하게 억제되지 않고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 회전 속도가 비교적 작아지면,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의 위치 변화 수단의 변환 수단은 스풀 회전과 이동 부재의 회전과의 회전차에 의해 이동 부재를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스풀에 설치되어 있는 제동 수단과 함께 스풀의 회전 중심선에 따른 방향 및 스풀 회전 중심선과 교차하는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따라 이동시킬 수 없어진다. 따라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의 이동 부재는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의해 캐스팅 초기시 상대 위치로 서서히 복귀되어, 스풀 및 릴 본체의 양자에 설치되어 있는 제동 수단 상호간의 상대 위치를 캐스팅 초기시의 상대 위치로 서서히 복귀시키고, 제동 수단이 스풀 회전에 대해 작용하는 제동력을 변화시키고 스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스풀에 대해 제동 부재가 작용하는 제동력은 서서히 저하하고, 스풀로부터의 낚싯줄의 방출 속도의 과잉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출원 발명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는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 및 말기에 있어서 낚싯줄의 방출에 수반하는 스풀 회전 속도가 전술한 종래의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크다. 또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 속도의 급상승기를 지나서 스풀 회전 속도가 가장 커지는 중기(스풀 고속 회전 상태 시기)까지의 최고 회전수 도달 시간이 빠르고, 또 스풀 최고 회전수는 종래의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당연히 크며, 종래의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의 경우와 비교해도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 속도가 크므로 더욱 커진다.
따라서,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부터 말기까지의 캐스팅 전체를 통한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를 종래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 및 종래의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 각각의 경우에 비해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출원 발명의 낚시용 릴에서의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의 스풀에 대해 작용하는 제동력은 종래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과는 달리, 급격한 감소가 억제되어 완만하게 감소하므로,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낚싯줄의 백래쉬를 초래하는 낚싯줄의 방출 속도에 대한 스풀의 과회전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의 낚싯줄의 백래쉬 방지를 위한 스풀 회전 속도의 손가락에 의한 미소한 제어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낚시 용구가 착수(着水)하여 낚시 용구가 인장하는 낚싯줄의 인장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한 후는 상기 인장 속도에 대한 스풀의 과회전 현상이 발생되어 낚싯줄의 백래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만, 낚시 용구가 착수하여 낚싯줄의 인장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한 후는 스풀 회전이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 증감과는 무관해지므로 스풀의 회전을 간단히 정지시켜 낚싯줄의 백래쉬를 방지하면 되고, 낚싯줄의 백래쉬 방지를 위한 스풀 회전 속도의 손가락에 의한 제어가 숙련자가 아니어도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에 있어서는 스풀 및 릴 본체의 양자에 설치된 제동 수단이 자석과 도전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자석과 도전체 상호간의 상대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자석이 도전체에 대해 작용하는 자력을 변화시키고, 상기 상호간에 발생하는 제동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에 있어서는 또한, 스풀에 설치된 제동 수단이 이동 부재에 지지되어 스풀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반경 방향 이동 제동 부재를 갖고 있으며, 릴 본체에 설치된 제동 수단이 이동 부재의 이동 범위에서 상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반경 방향 이동 제동 부재를 둘러싸는 스풀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으로 반경 방향 이동 제동 부재가 미끄럼 접촉하여 제동 마찰력을 발휘하고 이동 부재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마찰 계수를 변화시키고 있는 환상 제동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해방 가능하게 권취되는 스풀과,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으며 스풀의 자유스런 회전을 허용하고 스풀로부터 낚싯줄의 방출을 허용하는 스풀 자유 회전 상태와 스풀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스풀에 낚싯줄을 귄취시키는 스풀 구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회전력 전달 수단을 가진 릴 본체와, 스풀 및 릴 본체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된 도전체와, 스풀 및 릴 본체 중 다른 쪽에 설치되어 도전체에 자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자석과, 스풀 회전 속도의 증감에 따라서 자석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증감시키고, 스풀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스풀 회전 제어 수단과, 스풀 회전 속도의 증감에 의해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발생시키는 제어 작용의 크기를 조정하는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 있어서는 마찰을 이용하여 스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있지 않으므로, 캐스팅시에 종래의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과는 달리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마찰면의 상황이 변화하여 스풀의 회전 속도를 불안정하게 변동시키는 등의 일은 없다.
게다가 스풀 회전 속도의 증감에 따라서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증감시키고 스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 회전 속도가 비교적 커지기까지의 사이는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감소시켜 스풀에 대한 제동력을 작게 하고 스풀에 대한 불필요한 제동력의 부하를 없앨 수 있으므로, 스풀로부터 낚싯줄의 방출 속도를 높일 수 있어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 속도의 급상승기를 지나서 스풀의 회전 속도가 가장 커지는 중기가 되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이 증가되어 스풀에 대한 제동력이 적절하게 증가되어 풍압이나 중력 등의 영향에 의한 낚시 용구나 낚싯줄의 비행 속도의 저하에 대응하여 스풀의 회전 속도를 적절하게 억제시키고 백래쉬 현상의 발생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제동력의 적절한 상승은 자력에 의해 초래되므로, 종래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의 경우와 같이, 종래 원심력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의 경우와는 달리 스풀의 회전, 즉 스풀로부터의 낚싯줄의 방출 속도를 백래쉬 현상의 발생 방지에 필요 이상으로 크게 저하시키는 일은 없다. 즉, 종래 원심력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의 경우와는 달리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가 불필요하게 크게 억제되는 일은 없다.
게다가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 회전 속도가 비교적 작아지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감소시켜서 종래의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과는 달리 종래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과 같이 스풀에 대한 제동력을 작게 하여 스풀로부터 낚싯줄의 방출 속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는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 및 말기에 있어서 낚싯줄의 방출에 수반하는 스풀의 회전 속도가 종래의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크다. 또한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 속도의 급상승기를 지나서 스풀 회전 속도가 가장 커지는 중기(스풀 고속 회전 상태 시기)까지의 최고 회전수 도달 시간이 빠르고, 또한 스풀의 최고 회전수는 종래의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당연히 크고, 종래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의 경우와 비교해도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 속도가 크므로 더욱 커진다.
따라서,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부터 말기까지 캐스팅 전체를 통한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를 종래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 및 종래의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의 각각의 경우에 비해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출원 발명의 낚시용 릴에서의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의 스풀에 대해 작용하는 제동력은 종래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과는 달리 급격하게 감소하지 않고 완만하게 감소하므로,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낚싯줄의 백래쉬를 초래하는 낚싯줄의 방출 속도에 대한 스풀 과회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의 낚싯줄의 백래쉬 방지를 위한 스풀의 회전 속도의 손가락에 의한 제어가 불필요하다.
또한 낚시 용구가 착수하여 낚시 용구가 인장하는 낚싯줄의 인장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한 후는 상기 인장 속도에 대한 스풀의 과회전 현상이 발생해 낚싯줄의 백래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만, 낚시 용구가 착수하여 낚싯줄의 인장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한 후는 스풀의 회전이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 증감과는 무관해지므로 스풀의 회전을 간단히 정지시켜서 낚싯줄의 백래쉬를 방지하면 되고, 낚싯줄의 백래쉬 방지를 위한 스풀의 회전 속도의 손가락에 의한 제어가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다.
또는 낚시터의 상황에 따라서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을 사용하여 스풀 회전 속도의 증감에 의해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발생시키는 제어 작용 크기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에 있어서는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스풀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변화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자석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변화시키고, 스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심력을 이용하여 자석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변화시키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에 의해서도 캐스팅 개시 직후부터 말기까지 스풀 회전 속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고,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 증대와 낚싯줄의 백래쉬 방지를 달성시킬 수 있다. 게다가 원심력을 이용하여 자석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변화시키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어 고장이 적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에 있어서는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스풀 회전 속도에 따라서 도전체 및 자석 중 어느 한 쪽을 다른 쪽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풀 회전 속도에 따라서 자석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변화시키고, 스풀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자석과 도전체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위됨으로써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석의 자속 밀도나 도전체에 있어서 자석의 자속이 작용하는 면적이 변화하여 자석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변화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스풀 회전 속도에 따라서 도전체 및 자석 중 어느 한 쪽을 다른 쪽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스풀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스풀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릴 본체 부위에 대직경 개구를 향한 테이퍼 형상 내주면과, 스풀 축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스풀 축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길이 방향 이동 부재와, 길이 방향 이동 부재에 있어서 스풀 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반경 방향에 있어서 스풀의 일단부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에 대향하고 있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와, 길이 방향 이동 부재를 스풀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릴 본체의 부위로부터 멀어지도록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자석 및 도전체 중 어느 한 쪽이 길이 방향 이동 부재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 이동 부재와 함께 이동하고, 자석 및 도전체 중 다른 쪽이 스풀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릴 본체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스풀 회전 속도에 따라서 도전체 및 자석 중 어느 한 쪽을 다른 쪽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자석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의 면적을 변화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또 스풀측 일단부에 설치되어 스풀 축 회전 중심선에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길이 방향 이동 부재와, 길이 방향 이동 부재에 설치되어 스풀 축의 일단부가 돌출된 스풀 일단면에 대직경 개구를 향한 테이퍼 형상 내주면과, 스풀 축의 일단부에 있어서 스풀 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반경 방향에 있어서 길이 방향 이동 부재를 테이퍼 형상 내주면과 대향하고 있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와, 길이 방향 이동 부재를 스풀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릴 본체의 부위로부터 멀어지도록 압박하는 압박 수단과, 길이 방향 이동 부재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 이동 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자석 및 도전체 중 어느 한 쪽과 스풀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릴 본체의 부위에 설치된 자석 및 도전체 중 다른 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 있어서는 스풀 회전에 수반하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 방향 이동 부재가 상기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이동해 길이 방향 이동 부재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길이 방향 이동 부재를 스풀 축의 회전 중심선에 따른 방향으로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작용시키지만, 반경 방향 이동 부재는 길이 방향 이동 부재 또는 스풀과 일체로 회전하는 부재에 설치된 안내부에 의해 상기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풀과 일체로 회전하는 부재의 일예는 스풀 축의 상기 일단부이다.
안내부는 구멍이나 홈 그리고 막대 등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반경 방향 이동 부재는 안내부의 구멍이나 홈 그리고 막대 등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안내 홈이나 안내 구멍을 갖는 컬러 부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안내부의 구멍이나 홈 그리고 막대 등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단순한 구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은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상술한 바와 같이 반경 방향 이동 부재를 복수 갖고 있는 경우,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를 반경 방향 이동 가능한 상태와 반경 방향 이동 금지 상대로 선택적으로 설정 가능한 반경 방향 이동 선택 수단을 가질 수 있다.
반경 방향 이동 선택 수단은 안내부에 설치한 일시 결합 수단인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은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상술한 바와 같이 반경 방향 이동 부재를 갖고 있는 경우, 중량 또는 테이퍼 형상 내주면에 대한 마찰 계수가 서로 다른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를 준비하고, 이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 중으로부터 소망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제어 작용 조정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상기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은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상술한 바와 같이 압박 수단을 갖고 있는 경우, 압박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압박 수단을 준비하고, 이 복수의 압박 수단 중으로부터 소망의 압박 수단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제어 작용 조정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해방 가능하게 권취되는 스풀과,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으며 스풀의 자유스런 회전을 허용하고 스풀로부터 낚싯줄의 방출을 허용하는 스풀 자유 회전 상태와 스풀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스풀에 낚싯줄을 귄취시키는 스풀 구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회전 전달 수단을 가진 릴 본체와, 스풀 및 릴 본체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된 도전체와, 스풀 및 릴 본체 중 다른 쪽에 설치되어 도전체에 자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자석과, 스풀 회전 속도의 증감에 따라서 자석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증감시켜 스풀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과, 스풀 회전 속도의 증감에 의해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발생시키는 제어 작용 크기를 조정하는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스풀의 회전 속도 증감에 따라서 자석과 도전체 상호간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자석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증감시켜 스풀 회전 속도를 제어시키고, 상기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은 자석과 도전체 상호간의 최접근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스풀 회전 속도의 증감에 의해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발생시키는 제어 작용이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 있어서는 마찰을 이용하여 스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있지 않으므로 캐스팅시에 종래의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과는 달리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마찰면의 상황이 변화하여 스풀의 회전 속도를 불안정하게 변동시키는 등의 일은 없다.
게다가 스풀 회전 속도의 증감에 따라서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증감시키고 스풀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 회전 속도가 비교적 커지기까지의 사이는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감소시켜서 스풀에 대한 제동력을 작게 하여 스풀에 대한 불필요한 제동력의 부하를 없앨 수 있으므로, 스풀로부터 낚싯줄의 방출 속도를 높일 수 있어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캐스팅 개시 직후 초기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 속도의 급상승기를 지나서 스풀의 회전 속도가 가장 커지는 중기가 되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이 증가되어 스풀에 대한 제동력이 적절하게 증가되어 풍압이나 중력 등의 영향에 의한 낚시 용구나 낚싯줄의 비행 속도의 저하에 대응하여 스풀의 회전 속도를 적절하게 억제시키고 백래쉬 현상의 발생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제동력의 적절한 상승은 자력에 의해 초래되므로, 종래의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의 경우와 같이, 종래 원심력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의 경우와는 달리 스풀의 회전, 즉 스풀로부터의 낚싯줄의 방출 속도를 백래쉬 현상의 발생 방지에 필요 이상으로 크게 저하시키는 일은 없다. 즉, 종래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의 경우와는 달리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가 불필요하게 크게 억제되는 일은 없다.
게다가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 회전 속도가 비교적 작아지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감소시켜서 종래의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과는 달리 종래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과 같이 스풀에 대한 제동력을 작게 하여 스풀로부터 낚싯줄의 방출 속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출원 발명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는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 및 말기에 있어서 낚싯줄의 방출에 수반하는 스풀의 회전 속도가 종래의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크다. 또한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 속도의 급상승기를 지나서 스풀 회전 속도가 가장 커지는 중기(스풀 고속 회전 상태 시기)까지의 최고 회전수 도달 시간이 빠르고, 또한 스풀의 최고 회전수는 종래의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당연히 크고, 종래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의 경우와 비교해도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 속도가 크므로 더욱 커진다.
따라서,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부터 말기까지의 캐스팅 전체를 통한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를 종래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 및 종래의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의 각각의 경우에 비해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출원 발명의 낚시용 릴에서의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의 스풀에 대해 작용하는 제동력은 종래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이용한 낚시용 릴과는 달리, 급격하게 감소하지 않고 완만하게 감소하므로,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낚싯줄의 백래쉬를 초래하는 낚싯줄의 방출 속도에 대한 스풀의 과회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의 낚싯줄의 백래쉬 방지를 위한 스풀의 회전 속도의 손가락에 의한 제어가 불필요하다.
또한 낚시 용구가 착수하여 낚시 용구가 인장하는 낚싯줄의 인장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한 후는 상기 인장 속도에 대한 스풀의 과회전 현상이 발생해 낚싯줄의 백래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만, 낚시 용구가 착수하여 낚싯줄의 인장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한 후는 스풀의 회전이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 증감과는 무관해지므로 스풀 회전을 간단히 정지시켜서 낚싯줄의 백래쉬를 방지하면 되고, 낚싯줄의 백래쉬 방지를 위한 스풀 회전 속도의 손가락에 의한 제어가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다.
또는 낚시 현장의 상황에 따라서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을 사용하여 스풀 회전 속도의 증감에 의해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발생시키는 제어 작용의 크기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은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에 있어서 도전체 또는 자석 중 어느 한 쪽은 스풀 회전 속도의 증가에 따라서 스풀 회전 중심선에 따라 도전체 또는 자석 중 다른 쪽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하고, 상기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은 상기 회전 중심선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 자석과 상호간의 최접근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은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나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의 구성을 간편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에 있어서는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스풀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변화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자석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변화시키고, 스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심력을 이용하여 자석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변화시키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에 의해서도 캐스팅 개시 직후부터 말기까지 스풀 회전 속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고,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의 증대와 낚싯줄의 백래쉬 방지를 달성시킬 수 있다. 게다가 원심력을 이용하여 자석이 도전체에 작용하는 자력을 변화시키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어 고장이 적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에 있어서 도전체 또는 자석 중 다른 쪽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하고, 상기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은 상기 회전 중심선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 자석과 도전체의 상호간의 최접근 거기를 변화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은 스풀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스풀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릴 본체 부위에 대직경 개구를 향한 테이퍼 형상 내주면과, 스풀 축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스풀 축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길이 방향 이동 부재와, 길이 방향 이동 부재에 있어서 스풀 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반경 방향에 있어서 스풀의 일단부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에 대향하고 있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와, 길이 방향 이동 부재를 스풀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릴 본체의 부위로부터 멀어지도록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자석 및 도전체 중 어느 한 쪽이 길이 방향 이동 부재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 이동 부재와 함께 이동하고, 자석 및 도전체 중 다른 쪽이 스풀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릴 본체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스풀 회전 속도에 따라서 도전체 및 자석 중 어느 한 쪽을 다른 쪽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자석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의 면적을 변화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또 스풀측 일단부에 설치되어 스풀 축 회전 중심선에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길이 방향 이동 부재와, 길이 방향 이동 부재에 설치되어 스풀 축의 일단부가 돌출된 스풀 일단면에 대직경 개구를 향한 테이퍼 형상 내주면과, 스풀 축의 일단부에 있어서 스풀 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반경 방향에 있어서 길이 방향 이동 부재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과 대향하고 있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와, 길이 방향 이동 부재를 스풀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릴 본체의 부위로부터 멀어지도록 압박하는 압박 수단과, 길이 방향 이동 부재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 이동 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자석 및 도전체 중 어느 한 쪽과 스풀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릴 본체의 부위에 설치된 자석 및 도전체 중 다른 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 있어서는 스풀 회전에 수반하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 방향 이동 부재가 상기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이동하여 길이 방향 이동 부재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에 접촉함으로써 길이 방향 이동 부재를 스풀 축의 회전 중심선에 따른 방향으로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작용시키지만, 반경 방향 이동 부재는 길이 방향 이동 부재 또는 스풀과 일체로 회전하는 부재에 설치된 안내부에 의해 상기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풀과 일체로 회전하는 부재의 일예는 스풀 축의 상기 일단부이다.
안내부는 구멍이나 홈 그리고 막대 등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반경 방향 이동 부재는 안내부의 구멍이나 홈 그리고 막대 등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안내 홈이나 안내 구멍을 갖는 컬러 부재로서 구성할 수 있으며, 안내부의 구멍이나 홈 등의 막대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단순한 구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은 길이 방향 이동 부재 및 스풀 축 중 어느 한 쪽이 스풀 축 길이 방향에 따라 스풀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릴 본체의 부위 사이의 거리를 변화할 수 있고 스풀 축의 길이 방향에 따라 스풀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릴 본체의 부위를 향하는 길이 방향 이동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 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동 규제 부재는 구성이 간편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은 길이 방향 이동 부재에 설치되어 도전체를 길이 방향 이동 부재에 대해 스풀 축 길이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길이 방향 선택 이동 연결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은 길이 방향 이동 부재에 설치되어 도전체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도전체 연결 수단을 갖고 있는 동시에, 스풀 축의 길이 방향에 따른 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의 도전체가 준비되어 이 복수의 도전체 중으로부터 소망 길이의 도전체를 선택하여 도전체 연결 수단을 거쳐서 길이 방향 이동 부재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이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우선 처음에 첨부의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이고, 도2a는 도1의 2A-2A선을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이고, 도2b는 도1의 2B-2B선에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이고, 도3은 도2b의 원통 형상 도전체와 반경 방향 이동 부재에 조립된 길이 방향 이동 부재를 3-3선에 따라 일부 절결한 개략적인 수평 단면을 따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4는 도1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회전하고 있지 않을 때와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과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로부터 감소한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5는 도4의 5-5선을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이고, 도6은 도1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어느 정도의 회전 속도 이상으로 고속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그리고, 도7은 도6의 7-7선을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또 이들의 단면도에 있어서는, 도면을 명해하게 하기 위해 단면의 윤곽선만을 도시하고 단면보다도 먼 단면이 아닌 윤곽선은 적당히 생략하고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은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이 해방 가능하게 감겨지는 스풀(10)과, 스풀(10)의 스풀 축(10a) 양단면부를 베어링(13a, 13b)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스풀(10)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 릴 본체(12)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축(10a)의 일단부에는 스풀(10)의 일단면과 스풀(10)의 일단면으로부터 돌출한 스풀 축(10a)의 일단부(도1에서는 우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베어링(13a) 사이에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도전체(14)가 설치되어 있고, 릴 본체(12)에 있어서 스풀 축(10a)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베어링(13a)이 설치되어 있는 한 쪽 측벽부(12a)에는 스풀 축(10a) 일단부의 도전체(14)에 대응하여 복수의 자석(16)이 설치되어 있다.
스풀(10)의 타단면으로부터 돌출한 스풀 축(10a)의 타단부(도1에서는 좌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베어링(13b)이 설치되어 있는 다른 쪽 측벽(12b)에는 핸들(18)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핸들(18)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스풀 축(10a)의 타단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부착 회전력 전달 수단(20)도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부착 회전력 전달 수단(20)은 도시하지 않은 조작 버튼을 거쳐서 클러치를 조작함으로써, 스풀 축(10a)의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하여 스풀(10)로부터의 상술한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의 방출(도1에 화살표(S)로 낚싯줄 방출 방향을 나타낸다)을 허용하는 스풀 자유 회전 상태와, 핸들(18)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스풀 축(10a)의 타단부를 거쳐서 스풀(10)에 도달하여 스풀(10)에 상술한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을 도1에 화살표(S)로 도시한 낚싯줄 방출 방향과는 정반대의 방향으로 권취시키는 스풀 구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클러치 부착 회전력 전달 수단(20)의 구성은 공지이므로,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 및 도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12)의 한 쪽 측벽부(12a)의 복수의 자석(16)은 정지하고 있는 도전체(14)에 대해 자석(16)으로부터 작용하는 자력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자력 조정 수단(21)을 거쳐서 한 쪽 측벽(12a)에 부착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자력 조정 수단(21)은 스풀 축(10a)에 대해 동심적으로 배치된 2겹의 원환(22a, 22b)을 포함하고 있으며, 복수의 자석(16)은 2겹의 원환(22a, 22b) 상에 배치되어 2겹의 원환(22a, 22b)에 있어서 각각의 주위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또 내측 원환(22a)의 복수의 자석(16)은 내측 원환(22a)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한 자극이 서로 이웃되는 자석에 있어서 서로 다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외측 원환(22b)의 복수의 자석(16)도 또 외측 원환(22b)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한 자극이 서로 이웃되는 자석에 있어서 서로 다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내측 원환(22a)은 한 쪽 측벽(12a)에 고정되어 있지만, 외측 원환(22b)은 한 쪽 측벽(12a)에 설치되어 있는 자력 조정 손잡이(24)를 한 쪽 혹은 다른 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내측 원환(22a)의 자극에 대향하는 외측 원환(22b)의 자극을 바꿔 도전체(14)에 작용하는 자력의 강약을 조정한다. 즉, 내측 원환(22a)의 복수의 자석(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에 대해 외측 원환(22b)의 복수의 자석(16) 중에서 내측 원환(22a)의 복수의 자석(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과는 다른 자극의 반경 방향 내단부를 대향시켜 내측 원환(22a)의 복수의 자석(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과 외측 원환(22b)의 반경 방향 내단부의 자극이 서로 최대의 흡인 자력을 발생시키는 흡인 자력 상호용 최대 상태와, 내측 원환(22a)의 복수의 자석(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에 대해 외측 원환(22b)의 복수의 자석(16) 중에서 내측 원환(22a)의 복수의 자석(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과 같은 자극의 반경 방향 내단부를 대향시켜 내측 원환(22a)의 복수의 자석(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과 외측 원환(22b)의 반경 방향 내단부의 자극이 서로 최대의 반발 자력 발생시키는 반발 자력 상호 작용 최대 상태 사이에서 내측 원환(22a)의 복수의 자석(16)에 대해 외측 원환(22b)의 복수의 자석(16)의 상대적인 위치를 바꿈으로써, 도전체(14)에 작용하는 자력의 강약을 조정하고, 공지된 바와 같이 스풀(10)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체(14)는 스풀(10) 회전 속도의 증감에 따라 릴 본체(12)의 한 쪽 측벽부(12a)의 복수의 자석(16)이 도전체(14)에 작용하는 자력을 증감시켜서 도전체(14)가 설치되어 있는 스풀(1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26)을 거쳐서 스풀 축(10a)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 속도 제어 수단(26)은 도4 및 도2b에 특히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10a)의 일단부 상에 스풀 축(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즉,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스풀 축(10a)의 주위 방향에는 스풀 축(10a)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를 구비하고 있다. 도전체(14)는 원통 형상을 하고 있고, 도전체(14)의 자석(16)과는 반대측의 단면부가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에 스풀 축(10a)에 대해 동심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체(14)와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와는 서로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후에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고정되어 있지만, 도전체(14)와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를 도전체(14)의 재료로 서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에 고정된 도전체(14)의 자유 단면부는 릴 본체(12)의 한 쪽 측벽부(12a)의 동심적인 2겹의 원환(22a, 22b) 사이의 환형 간극에 대향하고 있다.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에 있어서 스풀 축(10a)의 주위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간된 복수(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위치에는 스풀 축(10a)의 반경 방향에 이동 가능하게 반경 방향 이동 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반경 방향 이동 부재(30)를 스풀 축(10a)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는 도3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의 주위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간된 복수(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으로 연출한 안내 구멍(28a)을 포함하고 있다. 반경 방향 이동 부재(30)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H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있고, 중앙의 다리 형상부가 안내 구멍(28a)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안내 구멍(28a)을 따라 이동한다. 즉, 안내 구멍(28a)은 거기에 끼워 맞춰진 반경 방향 이동 부재(30)를 스풀 축(10a)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부로서 기능한다.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30)는 대응하는 안내 구멍(28a)을 따라 도전체(14)의 외주면을 넘어 더욱 외측까지 이동 가능하다.
스풀(10)의 일단부에 있는 상술한 일단면에는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10a)의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30)를 둘러싸 스풀 축(10a)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30)와 대향한 테이퍼 형상 내주면(32)이 대경 개구를 스풀(10)의 상술한 일단면에 대향한 릴 본체(12)의 한 쪽 측벽(12a) 부분의 복수의 자석(16)을 향한 상태로 스풀 축(10a)의 회전 중심선에 대해 동심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테이퍼 형상 내주면(32)은 마찰 계수가 작은 미끄러운 표면으로 완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테이퍼 형상 내주면(32)은 스풀(10)과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후에 스풀(10)의 일단부에 있는 상술한 일단면에 고정된 테이퍼 형상 부재(32a)의 내주면을 마찰 계수가 작은 미끄러운 표면으로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지만, 스풀(10)의 일단부에 있는 상술한 일단면의 내주면을 마찰 계수가 작은 미끄러운 표면으로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체(14)가 설치된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는 가압 수단(34)에 의해 스풀 축(10a)의 일단부 상에서 스풀(10)의 상술한 일단면에 대향한 릴 본체(12)의 한 쪽 측벽(12a) 부분의 복수의 자석(16)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압 수단(34)은 스풀 축(10a)의 일단부 상에서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와 스풀 축(10a)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베어링(13a)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고정 고리나 와셔 등의 결합 지지 부재(10b) 사이에 감겨진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가압 수단(34)에 의해 가압된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10a)의 일단부 상에서 스풀(10)의 상술한 일단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 상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30)는 스풀(10)의 상술한 일단면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32)과 최소 개구에 인접하여 대향하고 있다.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이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이 부착된 낚싯대를 캐스팅을 위해 흔들어 던지면, 수면 상의 목적 지점을 향하여 비상하는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이 인장됨으로써 스풀(10)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한다.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는 스풀 축(10a)과 함께 회전하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30)에 생기는 원심력은 약하고, 반경 방향 이동 부재(30)가 원심력에 의해 테이퍼 형상 내주면(32)에 압박됨으로써 발생하고 가압 수단(34)의 가압력과는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힘이 가압 수단(34)의 가압력보다도 약하다. 이 때문에,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는 릴 본체(12) 일측벽부(12a)의 복수의 자석(16)을 향해 접근할 수 없고,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에 고정된 원통 형상의 도전체(14)의 자유 단면부는 릴 본체(12)의 한 쪽 측벽(12a)의 복수의 자석(16)이 배치된 2겹의 원환(22a, 22b) 상호간의 원환형의 간극으로 돌입하지 않는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16)의 자력 작용에 의해 도전체(14)에 와전류는 생기지 않고, 도전체(14)를 따라 회전하는 스풀(10)에 제동력은 생기지 않는다. 또, 복수의 자석(16) 상호로부터의 누락 자속에 의해 도전체(14)에 간신히 와전류가 생겼다 하더라도, 상기 약간의 와전류에 의해 생기는 제동력은 상당히 작다.
이 때문에,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는 실질적으로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스풀(10)의 초기 회전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의 비거리, 더 나아가서는 캐스팅 개시 직후부터 종료까지의 전체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의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동안에 상승되는 스풀(10)의 회전 속도는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제동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고, 더우기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진다. 왜냐하면,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에는 스풀(10)의 회전이 개시된 시점부터 스풀(10)의 회전 속도 상승에 대략 비례하여 자력이 발생시키는 제동력도 커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비거리가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한다.
스풀(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캐스팅의 중기가 되면, 스풀 축(10a)과 함께 회전하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30)가 원심력에 의해 테이퍼 형상 내주면(32)에 압박됨으로써 발생시키는 스풀 축(10a)을 따른 축방향에 있어서 가압 수단(34)의 가압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는 힘이 가압 수단(34)의 가압력보다도 강해진다. 이 때문에, 스풀(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를 넘어 커짐에 따라 반경 방향 이동 부재(30)는 테이퍼 형상 내주면(32)을 따라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를 가압 수단(34)의 가압력에 이겨내어 릴 본체(12)의 한 쪽 측벽(12a)의 복수의 자석(16)을 향해 점점 접근시켜 간다. 이에 의해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에 고정된 원통 형상 도전체(14)의 자유 단면부는 릴 본체(12)의 한 쪽 측벽부(120a)의 복수의 자석(16)이 배치된 2겹의 원환(22a, 22b)의 상호간의 원호형의 간극에 점점 돌입하여 2겹의 원환(22a, 22b)의 복수의 자석(16)과의 중복량이 많아져서, 복수의 자석(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14)의 면적이 점점 증가한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16)의 자력 작용에 의해 도전체(14)에 발생하는 와전류의 크기는 자석(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14)의 면적과 스풀(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커지고, 상기 와전류에 의해 생기는 제동력도 복수의 자석(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14)의 면적과 스풀(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커진다.
이 때에 생기는 제동력은 자석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적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캐스팅의 초기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 속도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지므로, 상기 캐스팅의 초기부터 중기에 걸쳐서의 스풀의 회전 속도도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지고, 당연한 일이지만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각별하게 높아진다.
즉, 상술한 캐스팅의 초기부터 스풀(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후의 중기까지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비거리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나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한다.
더우기, 나중에 큰 낚싯줄의 되감기를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 되는 스풀(10)의 과대한 회전 속도는 스풀(10)의 도전체(14)와 릴 본체(12)의 한 쪽 측벽(12a)의 복수의 자석(16)과의 조립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생기는 적당한 제동 작용으로 충분하게 제어된다.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10)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고, 스풀 축(10a)과 함께 회전하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30)에 생기는 원심력이 약해지면, 반경 방향 이동 부재(30)가 원심력에 의해 테이퍼 형상 내주면(32)에 압박됨으로써 발생하여 가압 수단(34)의 가압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는 힘이 가압 수단(34)의 가압력보다도 약해지고,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는 가압 수단(34)의 가압력에 의해 릴 본체(12) 일측벽부(12a)의 복수의 자석(1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눌리고,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에 고정된 원통 형상의 도전체(14)의 자유 단면부는 릴 본체(12)의 한 쪽 측벽(12a)의 복수의 자석(16)이 배치된 2겹의 원환(22a, 22b)의 상호간의 원환형의 간극으로부터 점점 탈출하여, 복수의 자석(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14)의 면적을 점점 감소시킨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16)의 자력 작용에 의해 도전체(14)에 발생하는 와전류의 크기는 복수의 자석(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14)의 면적과 스풀(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작아지고, 상기 와전류에 의해 생기는 제동력도 복수의 자석(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14)의 면적과 스풀(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작아진다.
이 때에 생기는 제동력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는 적고, 또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급격한 제동력의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에 생기는 회전 속도는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고, 더우기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회전 속도의 감소율이 급격히 저하하는 일이 없다.
즉, 상술한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10)의 회전 속도가 점점 감소해 왔을 때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비거리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나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한다.
더우기, 낚시 용구의 비행 속도에 대해 나중에 큰 낚싯줄의 되감기를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 되는 스풀(10)의 과대한 회전 속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캐스팅의 중기에 있어서 적당하게 억제되어 있고, 또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10)의 회전 속도의 감소율이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급격히 저하하지 않으므로,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가 착수한 후에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착수에 의해 생기는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 인장 속도의 급격한 저하와 스풀(10)의 회전 관성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에 되감기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라도,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예를 들면 손가락을 스풀 또는 스풀에 감겨진 낚싯줄의 권취면에 가볍게 압박하는 정도의 비교적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의 되감기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캐스팅에 있어서의 낚싯줄의 방출 조작이 용이해진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는 도8a 및 도8b를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8a는 이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회전하고 있지 않을 때, 또는 스풀이 비교적 저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그리고, 도8b는 도8a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 이상으로 고속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또 이들의 단면도에 있어서는, 도면을 명해하게 하기 위해 단면의 윤곽선만을 도시하고 단면보다도 먼 단면이 아닌 윤곽선은 적당히 생략하고 있다.
또, 이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 구성의 대부분은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면서 상술한 이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 구성의 대부분과 공통하므로, 상술한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구성 부재와 같은 구성 부재에는 상술한 이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에 대응하는 구성 부재를 지적했던 참조 부호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붙이고, 이들의 같은 구성 부재에 대해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크게 다른 점은 복수의 자석(16) 및 도전체(14)의 배치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에 있어서 릴 본체(12)의 한 쪽 측벽(12a)을 향한 부분에 복수의 자석(16)이 스풀 축(10a)의 회전 중심선에 대해 동심적인 원환 상에 서로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릴 본체(12)의 한 쪽 측벽(12a)에 있어서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의 복수의 자석(16)에 대향한 부분에 원환 형상의 도전체(14)가 배치되어 있다. 원환 형상의 도전체(14)는 스풀 축(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므로 자력 조정 수단(21)을 구성하고 있다.
원환 형상의 도전체(14)를 상기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을 정지하고 있는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의 복수의 자석(16)과 원환 형상의 도전체(14) 사이의 거리를 상기 소정의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고, 상기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을 정지하고 있는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의 복수의 자석(16)이 원환 형상의 도전체(14)에 대해 작용시키는 자력을 증감시킬 수 있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구 형상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30')와 통형 안내 부재(38)의 조립 동작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30)와 안내 구멍(28a)의 조립 동작과 같다.
또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제5 실시 형태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32)은 스풀(10)과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후에 스풀(10)의 일단부에 있는 상술한 일단면에 고정된 테이퍼 형상 부재(32a)의 내주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지만, 스풀(10)의 일단부에 있는 상술한 일단면의 내주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는 첨부의 도9 내지 도16b를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여기에서 도9는 이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을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10은 도9의 10-10선을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이고, 도11은 도9의 20-20선을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이고, 도12는 도11에 있어서 원통 형상 도전체 및 반경 방향 이동 부재와 조립된 길이 방향 이동 부재를 12-12선에 따라 일부 절결한 개략적인 수평 단면을 따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13은 도11에 있어서 서로 조립되어 있는 길이 방향 이동 부재와 원통 형상 도전체와 반경 방향 이동 부재와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14a는 도9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회전하고 있지 않을 때와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과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로부터 감소한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이고, 도14b는 도14a의 14B-14B선을 따른 횡단면도이고, 도15a는 도9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회전하고 있지 않을 때와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과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로부터 감소한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15b는 도15a의 15B-15B선을 따른 횡단면도이고, 도16a는 도9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16b는 도9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또 이들의 단면도에 있어서는, 도면을 명해하게 하기 위해 단면의 윤곽선만을 도시하고 단면보다도 먼 단면이 아닌 윤곽선은 적당히 생략하고 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은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이 해방 가능하게 감겨지는 스풀(100)과, 스풀(100)의 스풀 축(100a) 양단면부를 베어링(113a, 113b)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스풀(100)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 릴 본체(112)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축(100a)의 일단부에는 스풀(100)의 일단면과 스풀(100)의 일단면으로부터 돌출한 스풀 축(100a)의 일단부(도9에서는 좌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베어링(113b) 사이에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비자성체에 의한 도전체(114)가 설치되어 있고, 릴 본체(112)에 있어서 스풀 축(100a)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베어링(113b)이 설치되어 있는 한 쪽 측벽(112b)에는 스풀 축(100a)일단부의 도전체(114)에 대응하여 복수의 자석(116)이 배치되어 있다.
스풀(100)의 타단면으로부터 돌출한 스풀 축(100a)의 타단부(도9에서는 우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베어링(113a)이 설치되어 있는 다른 쪽 측벽(112a)에는 핸들(118)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핸들(118)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스풀 축(100a)의 타단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부착 회전력 전달 수단(도시하지 않음)도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부착 회전력 전달 수단(도시하지 않음)은 도시하지 않은 조작 버튼을 거쳐서 클러치를 조작함으로써, 스풀 축(100a)의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하여 스풀(100)로부터의 상술한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의 방출(도9에 화살표(S)로 낚싯줄 방출 방향을 나타낸다)을 허용하는 스풀 자유 회전 상태와, 핸들(118)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스풀 축(100a)의 타단부를 거쳐서 스풀(100)에 전달하여 스풀(100)에 상술한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을 도9에 화살표(S)로 도시한 낚싯줄 방출 방향과는 정반대의 방향으로 권취시키는 스풀 구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클러치 부착 회전력 전달 수단(도시하지 않음)의 구성은 공지이므로,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9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102)의 한 쪽 측벽(112b)의 복수의 자석(116)은 정지하고 있는 도전체(114)에 대해 자석(116)으로부터 작용하는 자력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자력 조정 수단(120)을 거쳐서 한 쪽 측벽(112b)에 부착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자력 조정 수단(120)은 스풀 축(100a)에 대해 동심적으로 배치된 2겹의 원환(120a, 120b)을 포함하고 있으며, 복수의 자석(106)은 2겹의 원환(120a, 120b) 상에 배치되어 2겹의 원환(120a, 120b)에 있어서 각각의 주위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또 내측 원환(120a)의 복수의 자석(116)은 내측 원환(120a)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한 자극이 서로 이웃되는 자석에 있어서 서로 다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외측 원환(120b)의 복수의 자석(116)도 또 외측 원환(120b)의 반경 방향의 내측을 향한 자극이 서로 이웃되는 자석(116)에 있어서 서로 다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내측 원환(120a)은 한 쪽 측벽(112b)에 고정되어 있지만, 외측 원환(120b)은 한 쪽 측벽(112b)에 설치되어 있는 자력 조정 손잡이(124)를 한 쪽 혹은 다른 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내측 원환(120a)의 자극에 대향하는 외측 원환(120b)의 자극을 바꿔 도전체(114)에 작용하는 자력의 강약을 조정한다. 즉, 내측 원환(120a)의 복수의 자석(1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에 대해 외측 원환(120b)의 복수의 자석(116) 중에서 내측 원환(120a)의 복수의 자석(116)의 반경 방향 외단의 자극과는 다른 자극의 반경 방향 내단부를 대향시켜서 내측 원환(120a)의 복수의 자석(1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과 외측 원환(120b)의 반경 방향 내단부의 자극이 서로 최대의 흡인 자력 발생시키는 흡입 자력 상호 작용 최대 상태와, 내측 원환(120a)의 복수의 자석(1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에 대해 외측 원환(120b)의 복수의 자석(116) 중에서 내측 원환(120a)의 복수의 자석(1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과 같은 자극의 반경 방향 내단부를 대향시켜서 내측 원환(120a)의 복수의 자석(1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과 외측 원환(120b)의 반경 방향 내단부의 자극이 서로 최대의 반발 자력 발생시키는 반발 자력 상호 작용 최대 상태 사이에서 내측 원환(120a)의 복수의 자석(116)에 대해 외측 원환(120b)의 복수의 자석(116)의 상대적인 위치를 바꿈으로써, 도전체(114)에 작용하는 자력의 강약을 조정하고, 공지된 바와 같이 스풀(100)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체(114)는 스풀(100) 회전 속도의 증감에 따라 릴 본체(112)의 한 쪽 측벽(112b)의 복수의 자석(116)이 도전체(114)에 작용하는 자력을 증감시켜 도전체(114)가 설치되어 있는 스풀(10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126)을 거쳐서 스풀 축(100a)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 속도 제어 수단(126)은 도14a 및 도11에 특히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100a)의 일단부 상에 스풀 축(10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즉,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스풀 축(100a)의 주위 방향에는 스풀 축(100a)과 함께 회전하도록 배치된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를 구비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 축(100a) 일단부의 외주면에 있어서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가 적재되어 있는 영역으로부터 스풀 축(100a)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결합 부재, 예를 들면 결합 핀(127)이 돌출되어 있고, 스풀 축(100a)의 외주면 상에서 스풀 축(10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즉,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스풀 축(100a)의 회전 중심선의 회전 주위 방향에도 상기 외주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적재되어 있는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에는 스풀 축(10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즉,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 가늘고 긴 구멍(129)이 스풀 축(100a)의 일단부에 대응한 스풀(100)의 일단면에 대향한 단면으로부터 스풀(100)의 상기 일단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풀 축(100a) 일단부의 외주면의 결합 부재, 예를 들면 결합 핀(207)이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의 가늘고 긴 구멍(129) 안으로 도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됨으로써,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가 스풀 축(100a) 일단부의 외주면 상에서 스풀 축(10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즉,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스풀 축(100a)의 주위 방향에는 스풀 축(100a)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스풀 축(100a)의 일단부 상에 스풀 축(10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즉,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스풀 축(100a)의 주위 방향에는 스풀 축(100a)과 함께 회전하도록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를 연결하는 구조로서는 스풀 축(100a) 일단부의 외주면에 스풀 축(10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즉,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스풀 축(100a) 일단부의 외주면에 덮여지는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의 내주면에 스풀 축(10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즉,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평탄부를 형성하고, 스풀 축(100a) 일단부의 외주면의 평탄부와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 내주면의 평탄부를 합치시킨 상태로 스풀 축(100a) 일단부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의 내주면에 덮인 소위 「슬롯형」구조도 존재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소위 「슬롯형」구조를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술한 바와 같이 스풀 축(100a) 일단부의 외주면의 결합 부재, 예를 들면 결합 핀(127)과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의 가늘고 긴 구멍(129)과의 조립 구조와 비교하면, 「슬롯형」구조 쪽이 스풀 축(100a) 일단부의 외주면 평탄부의 폭과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 내주면의 평탄부 폭을 정밀하게 합치시키도록 가공하는 작업은 비교적 많은 시간과 수고가 들어, 가공 비용이 높아진다. 더우기 이 정밀한 합치를 달성할 수 없으면,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 주위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 스풀 축(100a) 일단부의 외주면 평탄부와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 내주면의 평탄부 사이의 간극을 원인으로서 스풀 축(100a) 일단부의 외주면 상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 주위 방향으로의 회전에 소위 덜걱거림이 발생할 뿐만이 아니라, 스풀 축(100a) 일단부의 외주면 상에 있어서의 스풀 축(10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즉,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의 이동에 있어서도 소위 덜걱거림이 발생해 버린다.
이와 같은 소위 「슬롯형」구조에 비하면, 이 실시 형태와 같이 스풀 축(100a) 일단부의 외주면의 결합 부재, 예를 들면 결합 핀(127)과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의 가늘고 긴 구멍(129)과의 조립에 있어서는, 스풀 축(100a) 일단부의 외주면이나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의 내주면은 횡단면이 원형 그대로이어도 좋으며, 치수 정밀도를 정밀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며, 스풀 축(100a) 일단부의 외주면에 결합 부재, 예를 들면 결합 핀(127)을 돌출하여 고정하는 데에는 도15a 및 15b에 특히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100a) 일단부의 외주면에 스풀 축(100a)의 직경 방향으로 연출하는 관통 구멍(101)을 형성하여 이 관통 구멍(101)에 관통시킨 결합 부재, 예를 들면 결합 핀(127)을 접착제나 용접이나 그 다른 공지의 고정 수단으로 고정하면 되고, 또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로의 가늘고 긴 구멍(129)의 형성 작업도 또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의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또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도전체(104)는 원통 형상을 하고 있고, 도전체(114)의 자석(106)과는 반대측의 단면부가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에 스풀 축(100a)에 대해 동심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체(114)와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는 서로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후에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고정되어 있다.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에 고정된 도전체(114)의 자유 단면부는 릴 본체(102)의 한 쪽 측벽(112b)의 동심적인 2겹의 원환(120a, 120b) 사이의 환형 간극에 대향하고 있다.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에 있어서 스풀 축(100a)의 주위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간된 복수(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위치에는 스풀 축(100a)의 반경 방향에 이동 가능하게 반경 방향 이동 부재(130)가 설치되어 있다.
반경 방향 이동 부재(130)를 스풀 축(100a)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는 도12, 도13 및 도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의 주위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간된 복수(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으로 연출한 안내 구멍(128a)을 포함하고 있다. 반경 방향 이동 부재(130)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H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있고, 중앙의 다리 형상부가 안내 구멍(128a)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안내 구멍(128a)을 따라 이동한다. 즉, 안내 구멍(128a)은 거기에 끼워 맞춰진 반경 방향 이동 부재(130)를 스풀 축(100a)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부로서 기능한다.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130)는 대응하는 안내 구멍(128a)을 따라 도전체(114)의 외주면을 넘어 더욱 외측까지 이동 가능하다.
이 실시 형태와 같이 도전체(114)와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가 서로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나중에 서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 도전체(114)는 소망의 치수로 단순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면 좋아, 도전체(114)의 제조가 용이하다. 또, 스풀 축(100a)을 위한 중심 구멍이나 안내 구멍(128a)을 스풀 축(100a)의 결합 부재, 예를 들면 결합 핀을 위한 가늘고 긴 구멍(129)을 구비하여 복잡한 형상을 띤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는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의 제조도 용이해진다. 그리고, 스풀 축(100a)의 결합 부재, 예를 들면 결합 핀을 위한 가늘고 긴 구멍(129)은 도14b나 도15a 및 15b에 특히 잘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의 외주면에 있어서 가늘고 긴 구멍(129)에 대응한 위치로부터 스풀 축(100a)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가늘고 긴 구멍(129)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출하고 있는 귀부(128b)로 둘러싸여짐으로써, 스풀 축(100a)의 결합 부재, 예를 들면 결합 핀(127)으로부터 가늘고 긴 구멍(129)을 거쳐서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에 전달되는 힘의 단위 면적 당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의 강도 및 수명을 증가시키고, 더우기 스풀(100a)의 결합 부재, 예를 들면 결합 핀(127)에 대해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를 스풀 축(10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길이 방향)으로 순조롭게 이동시킬 수 있고, 또 스풀 축(100a)의 결합 부재, 예를 들면 결합 핀(127)에 대해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를 스풀 축(100a) 회전 중심선의 회전 주위 방향에는 보다 덜걱거림을 적게 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스풀(100)의 일단부에 있는 상술한 일단면에는 도14a 및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100a)의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130)를 둘러싸서 스풀 축(100a)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130)와 대향한 테이퍼 형상 내주면(132)이 대경 개구를 스풀(100)의 상술한 일단면에 대향한 릴 본체(112)의 한 쪽 측벽(112b) 부분의 복수의 자석(116)을 향한 상태로 스풀 축(100a)의 회전 중심선에 대해 동심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테이퍼 형상 내주면(132)은 마찰 계수가 작은 미끄러운 표면으로 완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테이퍼 형상 내주면(132)은 스풀(100)의 일단부에 있는 상술한 일단면의 내주면을 마찰 계수가 작은 미끄러운 표면으로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지만, 스풀(100)과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후에 스풀(100)의 일단부에 있는 상술한 일단면에 도시하지 않은 테이퍼 형상 부재를 고정하고, 이 테이퍼 형상 부재의 내주면을 마찰 계수가 작은 미끄러운 표면으로 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도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체(114)가 설치된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는 가압 수단(134)에 의해 스풀 축(100a)의 일단부 상에서 스풀(100)의 상술한 일단면에 대향한 릴 본체(112)의 한 쪽 측벽(112b) 부분의 복수의 자석(116)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압 수단(134)은 스풀 축(100a)의 일단부 상에서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와 스풀 축(100a)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베어링(113b)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고정 고리나 와셔 등의 결합 지지 부재(100b) 사이에 감겨진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가압 수단(134)에 의해 가압된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는 도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100a)의 일단부 상에서 스풀(100)의 상술한 일단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 상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130)는 스풀(100)의 상술한 일단면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132)의 최소 개구 부분에 인접하여 대향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풀 축(100a)의 일단부 상에서 스풀(100)의 상술한 일단면에 인접한 위치에는 기름이 함침된 와셔(139)가 배치되어 있다. 스풀(100)의 상술한 일단면에 대한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 단면부의 충돌에 의한 소음 발생의 방지와 기름에 의한 스풀 축(100a)의 일단부 상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의 길이 방향 이동 시에 생기는 마찰 저항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고, 와셔(139)는 충격의 온화 작용과 다량의 기름 유지 작용이 우수한 펠트형의 물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이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이 부착된 낚싯대를 캐스팅을 위해 흔들어 던지면, 수면 상의 목적 지점을 향해 비상하는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이 인장됨으로써 스풀(100)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한다.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10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는 스풀 축(100a)과 함께 회전하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130)에 생기는 원심력은 약하고, 반경 방향 이동 부재(130)가 원심력에 의해 테이퍼 형상 내주면(132)에 압박됨으로써 발생하고 가압 수단(134)의 가압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는 힘이 가압 수단(134)의 가압력보다도 약하다. 이 때문에,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는 릴 본체(112) 일측벽(112b)의 복수의 자석(116)을 향해 접근할 수 없고,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에 고정된 원통 형상의 도전체(114)의 자유 단면부는 릴 본체(112)의 한 쪽 측벽(112a)의 복수의 자석(116)이 배치된 2겹의 원환(122a, 122b) 상호간의 원환형의 간극으로 돌입하지 않는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116)의 자력 작용에 의해 도전체(114)에 와전류는 생기지 않고 도전체(114)를 따라 회전하는 스풀(100)에 제동력은 생기지 않는다. 또 복수의 자석(116)의 상호로부터의 누락 자속에 의해 도전체(114)에 간신히 와전류가 생겼다 하더라도, 상기 약간의 와전류에 의해 생기는 제동력은 상당히 작다.
이 때문에,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10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는 실질적으로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스풀(100)의 초기 회전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의 비거리, 더 나아가서는 캐스팅 개시 직후부터 종료까지의 전체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의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사이에 상승되는 스풀(100)의 회전 속도는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제동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고, 더우기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진다. 왜냐하면,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에는 스풀(100)의 회전이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스풀(100) 회전 속도의 상승에 대강 비례하여 자력이 발생시키는 제동력도 커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10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비거리가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한다.
스풀(10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캐스팅의 중기가 되면, 스풀 축(100a)과 함께 회전하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130)가 원심력에 의해 테이퍼 형상 내주면(132)에 압박됨으로써 발생시키는 스풀 축(100a)을 따른 축방향에 있어서 가압 수단(134)의 가압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는 힘이 가압 수단(134)의 가압력보다도 강해진다. 이 때문에, 스풀(10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를 넘어 커짐에 따라 반경 방향 이동 부재(130)는 테이퍼 형상 내주면(132)에 따라 도16a 및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도16a 및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를 가압 수단(134)의 가압력에 이겨내어 릴 본체(112) 일측벽(112b)의 복수의 자석(116)을 향해 점점 접근시켜 간다. 이에 의해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에 고정된 원통 형상의 도전체(114)의 자유 단면부는 릴 본체(112)의 한 쪽 측벽(112b)의 복수의 자석(116)이 배치된 2겹의 원환(122a, 122b) 상호간의 원환형의 간극으로 점점 돌입하여 2겹의 원환(122a, 122b)의 복수의 자석(116)과의 중복량이 많아지고, 복수의 자석(1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114)의 면적이 점점 증가한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116)의 자력 작용에 의해 도전체(114)에 발생하는 와전류의 크기는 복수의 자석(1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114)의 면적과 스풀(10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커지고, 상기 와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제동력도 복수의 자석(1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114)의 면적과 스풀(10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커진다.
이 때에 생기는 제동력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적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캐스팅의 초기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 속도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지므로, 상기 캐스팅의 초기부터 중기에 걸쳐서의 스풀 회전 속도도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지고, 당연한 일이지만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각별히 높아진다.
즉, 상술한 캐스팅의 초기부터 스풀(10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후의 중기까지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비거리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나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한다.
더우기, 나중에 큰 낚싯줄의 되감기를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 되는 스풀(100)의 과대한 회전 속도는 스풀(100)의 도전체(114)와 릴 본체(112)의 한 쪽 측벽(112b)의 복수의 자석(116)과의 조립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발생하는 적당한 제동 작용으로 충분히 억제된다.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100)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고, 스풀 축(100a)과 함께 회전하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130)에 생기는 원심력이 약해지면, 반경 방향 이동 부재(130)가 원심력에 의해 테이퍼 형상 내주면(132)에 압박됨으로써 발생하고 가압 수단(134)의 가압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는 힘이 가압 수단(134)의 가압력보다도 약해지고,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는 가압 수단(134)의 가압력에 의해 릴 본체(112) 일측벽부(112b)의 복수의 자석(11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되며, 길이 방향 이동 부재(128)에 고정된 원통 형상의 도전체(114)의 자유 단면부는 릴 본체(112)의 한 쪽 측벽(112b)의 복수의 자석(116)이 배치된 2겹의 원환(122a(3122b) 상호간의 원환형의 간극으로부터 점점 이탈하여, 복수의 자석(1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114)의 면적을 점점 감소시킨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116)의 자력 작용에 의해 도전체(114)에 발생하는 와전류의 크기는 복수의 자석(1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114)의 면적과 스풀(10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작아지고, 상기 와전류에 의해 생기는 제동력도 복수의 자석(1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114)의 면적과 스풀(10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작아진다.
이 때에 발생하는 제동력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는 적고, 또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급격한 제동력의 감소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에 생기는 회전 속도는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고, 더우기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회전 속도의 감소율이 급격히 저하하는 일이 없다.
즉, 상술한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100)의 회전 속도가 점점 감소해 왔을 때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비거리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나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한다.
더우기, 낚시 용구의 비행 속도에 대해 나중에 큰 낚싯줄의 되감기를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 되는 스풀(100)의 과대한 회전 속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캐스팅의 중기에 있어서 적당하게 억제되어 있고, 또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100) 회전 속도의 감소율이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급격히 저하하지 않으므로,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가 착수한 후에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착수에 의해 생기는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 인장 속도의 급격한 저하와 스풀(100) 회전의 관성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에 되감기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라도,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예를 들면 손가락을 스풀 또는 스풀에 감겨진 낚싯줄의 권취면에 가볍게 누르는 것만의 비교적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의 되감기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캐스팅에 있어서의 낚싯줄 방출 조작이 용이해진다.
다음은 도17 및 도18을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상술한 여러 가지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따른 본원의 가변 자력 이용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의 캐스팅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제동력 및 그에 의해 제어되는 스풀 회전수의 변화를 원심 마찰력만을 이용한 종래의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낚시용 릴 각각에 있어서의 캐스팅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제동력 및 그에 의해 제어되는 스풀 회전수의 변화와 비교하면서 설명한다.
도17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즉, 원심 마찰력)만을 이용한 종래의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는, 캐스팅의 초기부터 중기에 있어서의 제동력의 급격한 증대로부터 급격한 감소로의 변환이 낚싯줄의 되감기를 일으키기 쉬워지고, 캐스팅의 중기부터 말기에 있어서의 제동력의 급격한 감소 후의 제동력이 거의 0에 가까워지는 완만한 감소가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의 스풀로부터의 낚싯줄 방출의 증대, 즉 낚시 용구 비상 거리의 연장을 낚시꾼에게 느끼게 한다.
자력만을 이용한 종래의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의 캐스팅 시간 경과에 따른 제동력의 변화는 캐스팅의 초기부터 중기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 속도의 증대에 대략 대응한 제동력의 증대가 낚싯줄에 되감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지만, 캐스팅의 중기부터 종기에 있어서의 어느 정도의 제동력을 남기면서의 제동력의 완만한 감소가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의 스풀로부터의 낚싯줄 방출의 억제, 즉 낚시 용구 비상 거리 연장의 한계감을 낚시꾼에게 느끼게 한다.
이 발명의 상술한 여러 가지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따른 본원의 가변 자력 이용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의 캐스팅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제동력의 변화는,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 커지고 원심력도 어느 정도 커지게 될 때까지는 길이 방향 이동 부재가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스풀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복수의 자석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의 면적이 0이던지 극히 작으므로 도전체에 와전류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제동력이 대략 0이고, 캐스팅의 중기가 되어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를 넘으면 회전 속도의 상승에 따른 원심력의 증가에 의해 길이 방향 이동 부재가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스풀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길이 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하고, 복수의 자석에 대한 도전체 중복량의 증가 또는 복수의 자석에 대해 도전체가 대향하는 거리의 축소가 초래되며, 복수의 자석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 면적의 증가와 회전 속도 상승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도전체에 발생하는 와전류의 증가가 제동력의 상승을 초래하고, 스풀의 회전 속도가 절정을 넘어 점점 작아져 원심력도 점점 감소하고 길이 방향 이동 부재가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스풀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길이 방향에 있어서 원래의 위치를 향해 복귀되기 시작하면, 상기 회전 속도의 감소와 복수의 자석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 면적 감소와의 상호 작용으로 도전체에 발생하는 와전류가 감소하여, 제동력의 감소가 초래되고, 또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여 원심력도 더욱 감소하면 복수의 자석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 면적이 0이 되거나 극히 작아지므로 도전체에 와전류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어, 제동력이 대략 0으로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캐스팅의 초기에 있어서는 제동력이 대략 0인 동안에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종래의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낚시용 릴이나 자력만을 이용한 종래의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낚시용 릴에 비해 스풀의 회전 속도가 급격하게 증대하여, 최고 회전수 도달 시간도 빠르고, 캐스팅의 중기에 있어서는 자력만을 이용한 종래의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은 제동력의 완만한 증감이 낚싯줄에 되감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는 자력만을 이용한 종래의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는 제동력의 저하율이 커서,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의 스풀로부터의 낚싯줄 방출의 증대, 즉 낚시 용구 비상 거리의 연장을 낚시꾼에게 느끼게 한다.
도18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원심력을 이용한 마찰력만을 이용한 종래의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의 캐스팅 시간 경과에 따른 스풀 회전수의 변화는, 도18에 도시된 제동력의 급격한 증대 및 그 후의 급격한 감소와 급격한 감소 후의 완만한 감소의 결과로서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 증대가 억제되어 있고, 이 발명의 상술한 여러 가지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따른 본원의 가변 자력 이용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낚시용 릴이나 자력만을 이용한 종래의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낚시용 릴에 비하면 스풀의 도달 최고 회전수가 가장 적은 동시에 최고 회전수 도달 시간도 느려,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는 스풀 회전수의 저하율이 완만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자력만을 이용한 종래의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의 캐스팅 시간 경과에 따른 스풀 회전수의 변화는, 캐스팅의 초기부터 중기에 걸쳐서의 스풀 회전수의 증대에 대략 대응한 제동력의 증대가 원심력에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종래의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급격하지 않고, 스풀의 도달 최고 회전수가 높아져 있으며, 또 캐스팅의 중기부터 종기에 있어서의 스풀 회전수의 감소에도 제동력은 대략 대응하고 있어 스풀의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 자력에 의한 제동력이 스풀의 회전에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스풀 회전의 저하율이 원심력을 이용한 마찰력만을 이용한 종래의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낚시용 릴에 비해 크게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 발명의 상술한 여러 가지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따른 본원의 가변 자력용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의 1회의 캐스팅에서는,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종래의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낚시용 릴이나 자력만을 이용한 종래의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갖고 있는 낚시용 릴에 비해 1회의 캐스팅에 의한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가 증가하고, 또 낚싯줄의 되감기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 비상 거리의 연장을 일으킬 수 있다.
이 발명의 발명자 등의 거듭되는 실험에 의하면, 스풀(10)의 회전수를 이하와 같이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26)에 의해 제어하면, 초심자라도 1회의 캐스팅에 의한 낚시 용구의 비상 거리가 증가하고, 또 낚싯줄의 되감기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 비상 거리의 연장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스풀(10 또는 100)의 회전수가 상승할 때에는 스풀(10 또는 100)의 회전수가 대략 4500 rpm에 도달한 때에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26 또는 126)이 스풀(10 또는 100) 회전의 실질적인 제어를 개시하여(즉,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 또는 28' 또는 28 또는 28' 또는 128)가 스풀 축(10a)을 따라 이동을 개시하여 도전체(14 또는 14' 또는 14 또는 114)와 자석(16 또는 116) 사이의 거리 접근 또는 투영면의 중복을 개시시켜 도전체(14 또는 14' 또는 14 또는 114)와 자석(16 또는 116)에 의한 스풀(10 또는 100)의 회전에 대한 실질적인 제동력의 발생을 개시시켜), 스풀(10 또는 100)의 회전수가 대략 5500 rpm에 도달하면 스풀(10 또는 100)의 회전수에 대응하여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26 또는 126)이 최대 효율로 스풀 회전 속도 제어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즉, 도전체(14 또는 14' 또는 14 또는 114)와 자석(16 또는 116 또는 116'a 및 116'b) 사이의 거리가 가장 접근 또는 투영면의 중복이 최대로 되어 스풀(10 또는 100)의 회전수에 대응하여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26 또는 126)의 도전체(14 또는 14' 또는 14 또는 114)와 자석(16 또는 116 또는 116'a 및 116'b)이 최대 효율로 제동력을 일으키게 된다). 스풀(10 또는 100)의 회전수가 하강할 때에는 스풀(10 또는 100)의 회전수가 대략 3000 rpm에 도달한 때에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26 또는 126)이 스풀(10 또는 100)의 회전에 대해 발생시키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의 발생 효율이 저하하기 시작한다(즉, 도전체(14 또는 14' 또는 14 또는 114)와 자석(16 또는 116 또는 116'a 및 116'b)이 발생시키는 제동력의 발생 효율이 저하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스풀(10 또는 100)의 회전이 완전하게 정지하기 전에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26 또는 126)이 스풀(10 또는 100) 회전의 실질적인 제어를 정지한다(즉,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 또는 28' 또는 28 또는 28' 또는 128)가 스풀 축(10a 또는 100a)을 따라 스풀(10 또는 100) 회전 전의 위치로 복귀하여 도전체(14 또는 14' 또는 14 또는 114)와 자석(16 또는 116 또는 116'a 및 116'b)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하고 또는 투영면의 중복을 해소시켜 도전체(14 또는 14' 또는 14 또는 114)와 자석(16 또는 116 또는 116'a 및 116'b)에 의한 스풀(10 또는 100)의 회전에 대한 실질적인 제동력의 발생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스풀(10 또는 100)은 회전 최후의 단계에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26 또는 126)에 의한 회전 속도 제어로부터 자유로워지고, 회전이 자연히 정지할 때까지 자유롭게 회전을 계속한다.
또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26 또는 126)에 의한 이와 같은 스풀 회전 속도 제어는 상술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길이 방향 이동 부재(28 또는 28' 또는 28 또는 28' 또는 128)의 중량이나 반경 방향 이동 부재(30 또는 30' 또는 30 또는 30' 또는 130)의 중량이나 테이퍼 형상 내주면(42 또는 44 또는 48 또는 132)의 경사 각도나 가압 수단(34 또는 34'또는 134)의 가압력 등을 조정함으로써 가능하다.
[제4 실시 형태]
우선 처음에 첨부의 도19 내지 도22b를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은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이 해방 가능하게 감겨지는 스풀(210)과, 스풀(210)의 스풀 축(210a) 양단면부를 베어링(213a, 213b)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스풀(210)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 릴 본체(212)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축(210a)의 일단부에는 스풀(210)의 일단면과 스풀(210)의 일단면으로부터 돌출한 스풀 축(210a)의 일단부(도19에서는 우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베어링(213a) 사이에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도전체(214)가 설치되어 있고, 릴 본체(212)에 있어서 스풀 축(210a)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베어링(213a)이 설치되어 있는 한 쪽 측벽부(212a)에는 스풀 축(210a) 일단부의 도전체(214)에 대응하여 복수의 자석(216)이 설치되어 있다.
스풀(210)의 타단면으로부터 돌출한 스풀 축(210a)의 타단부(도19에서는 좌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베어링(213b)이 설치되어 있는 다른 쪽 측벽(212b)에는 핸들(218)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핸들(218)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스풀 축(210a)의 타단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부착 회전력 전달 수단(220)도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부착 회전력 전달 수단(220)은 도시하지 않은 조작 버튼을 거쳐서 클러치를 조작함으로써, 스풀 축(210a)의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하고 스풀(210)로부터의 상술한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의 방출(도19에 화살표(S)로 낚싯줄 방출 방향을 나타낸다)을 허용하는 스풀 자유 회전 상태와, 핸들(218)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스풀 축(210a)의 타단부를 거쳐서 스풀(210)에 도달하고 스풀(210)에 상술한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을 도19에 화살표(S)로 도시한 낚싯줄 방출 방향과는 정반대 방향으로 권취시키는 스풀 구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클러치 부착 회전력 전달 수단(220)의 구성은 공지이므로,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212)의 한 쪽 측벽(212a)의 복수의 자석(216)은 도전체(214)에 대해 자석(216)으로부터 작용하는 자력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자력 조정 수단(221)을 거쳐서 한 쪽 측벽(212a)에 부착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자력 조정 수단(221)은 스풀 축(210a)의 일단부에 대해 동심적으로 한 쪽 측벽부(212a)의 내표면에 배치된 2겹의 원환(222a, 222b)을 포함하고 있고, 원환(222)에 있어서 스풀(210)을 향한 측면에는 복수의 자석(216)이 대략 같은 간격으로 동심원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원환(222)은 스풀 축(2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한 쪽 측벽(212a)의 내표면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원환(222)은 한 쪽 측벽(212a)에 배치되어 있는 자력 조정 손잡이(224)를 한 쪽 혹은 다른 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풀 축(2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전체(214)에 작용하는 자력의 강약을 조정하고, 더 나아가서는 도전체(214)와 함께 회전하는 스풀 축(210a)을 갖고 있는 스풀(210)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체(214)는 스풀(210) 회전 속도의 증감에 따라 도전체(214)를 스풀(210)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전체(214)에 작용하는 자석(216)으로부터의 자력을 증감시켜 도전체(214)가 설치되어 있는 스풀(21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226)을 거쳐서 스풀 축(210a)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회전 속도 제어 수단(226)은 도20, 그리고 도21a 및 도21b에 특히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210a)의 일단부에 있어서 스풀 축(210a)의 반경 방향에 일직선형으로 연출한 한 쌍의 요동 중심축(26a)과, 각각이 대략 반원 형상을 갖고 있고 각각의 현부분 양단면부가 1쌍의 요동 중심축(226a)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1쌍의 요동 부재와(31쌍의 요동 부재를 스풀 축(210a)의 회전 중심선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 수단(226b)을 구비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1쌍의 요동 부재는 도전체(214)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가압 수단(26b)은 1쌍의 요동 중심축(26a) 각각에 권장되어 양단면부가 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에 걸려진 1쌍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226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1쌍의 요동 부재와 도전체(214)는 서로 다른 재료에 의해 서로 독립하여 형성된 후에 서로 합체시킬 수도 있다.
가압 수단(226b)에 의해 가압된 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는 스풀(210)이 회전을 하고 있지 않고 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에 원심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20, 그리고 도21a 및 21b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210a)의 일단부에 있어서 스풀 축(2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3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의 이 위치를 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의 길게 누운 위치로 한다.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이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부착된 낚싯대를 캐스팅을 위해 흔들어 던지면, 수면 상의 목적 지점을 향해 비상하는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이 인장됨으로써 스풀(210)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한다.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2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는 스풀 축(210a)과 함께 회전하는 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에 생기는 원심력은 약하고(3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가 가압 수단(226b)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스풀 축(210a)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직립할 수 없다. 이 때문에(3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는 릴 본체(212) 일측벽부(212a)의 복수의 자석(216)을 향해 스풀 축(210a)의 반경 방향뿐만 아니라 스풀 축(2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길이 방향)에 있어서도 접근할 수 없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216)의 자력 작용에 의해 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에 와전류가 생기지 않고 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를 따라 회전하는 스풀(210)에 제동력은 생기지 않는다. 또, 복수의 자석(216)으로부터의 자속에 의해 길게 누운 위치의 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에 간신히 와전류가 생겼다 하더라도, 상기 약간의 와전류에 의해 생기는 제동력은 상당히 작다.
이 때문에,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2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는 실질적으로 제동력은 작용하지 않으므로, 스풀(210)의 초기 회전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의 비거리, 더 나아가서는 캐스팅 개시 직후부터 종료까지의 전체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의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사이에 상승되는 스풀(210)의 회전 속도는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제동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고, 더우기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진다. 왜냐하면,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에는 스풀(210)의 회전이 개시된 시점부터 스풀(210)의 회전 속도의 상승에 대략 비례하여 자력이 발생시키는 제동력도 커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2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비거리가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한다.
스풀(2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캐스팅의 중기가 되면, 스풀 축(210a)과 함께 회전하는 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에 생기는 원심력이 커지고(3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는 가압 수단(26b)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4a 및 도4b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상술한 길게 누운 위치로부터 도4a 및 도4b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스풀 축(210a)의 반경 방향 외측 직립 위치를 향해 직립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3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는 릴 본체(212) 일측벽(212a)의 복수의 자석(216)을 향해 스풀 축(210a)의 반경 방향뿐만 아니라 스풀 축(2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길이 방향)에 있어서도 점점 접근한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216)의 자력 작용에 의해 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에 발생하는 와전류의 크기를 복수의 자석(2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의 면적과 스풀(2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커지고, 상기 와전류에 의해 생기는 제동력도 복수의 자석(2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의 면적과 스풀(2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커진다.
이 때에 생기는 제동력은 자석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적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캐스팅의 초기에 있어서의 스풀의 회전 속도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지므로, 상기 캐스팅의 초기부터 중기에 걸쳐서의 스풀의 회전 속도도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지고, 당연한 일이지만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각별히 높아진다.
즉, 상술한 캐스팅의 초기부터 스풀(2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후의 중기까지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비거리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나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한다.
더우기, 나중에 큰 낚싯줄의 되감기를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 되는 스풀(210)의 과대한 회전 속도는 스풀(210)의 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와 릴 본체(212) 한 쪽 측벽(212a)의 복수의 자석(216)과의 조립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생기는 적당한 제동 작용으로 충분하게 억제된다.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210)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고, 스풀 축(210a)과 함께 회전하는 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에 생기는 원심력이 작아지면(3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는 가압 수단(26b)의 가압력에 의해 도22a 및 22b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스풀 축(210a)의 반경 방향 외측 직립 위치로부터 스풀 축(210a)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스풀 축(210a)의 회전 중심선에 따른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상술한 길게 누운 위치를 향함에 따라 인장된다. 이 때문에(3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는 릴 본체(212) 일측벽(212a)의 복수의 자석(216)으로부터 스풀 축(210a)의 반경 방향뿐만 아니라 스풀 축(2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길이 방향)에 있어서도 점점 멀어진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216)의 자력 작용에 의해 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에 발생하는 와전류의 크기는 복수의 자석(2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의 면적과 복수의 자석(2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의 면적과 스풀(2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작아지고, 상기 와전류에 의해 생기는 제동력도 복수의 자석(2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1쌍의 요동 부재(도전체(214))의 면적과 스풀(2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작아진다.
이 때에 발생하는 제동력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는 적고, 또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급격한 제동력의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에 생기는 회전 속도는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고, 더우기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회전 속도의 감소율이 급격히 저하하는 일이 없다.
즉, 상술한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210)의 회전 속도가 점점 감소하여 왔을 때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비거리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나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한다.
더우기, 낚시 용구의 비행 속도에 대해 나중에 큰 낚싯줄의 되감기를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 되는 스풀(210)의 과대한 회전 속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캐스팅의 중기에 있어서 적당하게 억제되어 있고, 또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210)의 회전 속도 감소율이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급격히 저하하지 않으므로,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가 착수한 후에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착수에 의해 생기는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 인장 속도의 급격한 저하와 스풀(210) 회전의 관성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에 되감기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라도,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예를 들면 손가락을 스풀 또는 스풀에 감겨진 낚싯줄의 권취면에 가볍게 압박하는 것만의 비교적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의 되감기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캐스팅에 있어서의 낚싯줄의 방출 조작이 용이해진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은 도23a 및 도23b와 도24a 및 도24b를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는 스풀(210) 회전 속도의 증감에 따라 도전체(214)를 스풀(210)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전체(214)에 작용하는 자석(216)으로부터의 자력을 증감시켜 도전체(214)가 설치되어 있는 스풀(21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30)의 구성이 상술한 이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226)의 구성과 다르게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회전 속도 제어 수단(230)은 도23a 및 23b에 특히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210a)의 일단부에 있어서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펼쳐진 지지대 시트(230a)와, 지지대 시트(30a)에 있어서 릴 본체(212) 한 쪽 측벽(212a)의 복수의 자석(216)을 향한 측면에서 스풀 축(210a)의 주위에 스풀 축(210a)을 끼워 배치되고 각각이 대략 반원 형상을 갖고 있는 1쌍의 도전체(214)를 상기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반경 방향 이동 가능 지지 수단과, 상기 반경 방향에 있어서 1쌍의 도전체(214)를 스풀 축(210a)을 향해 서로 접근하도록 가압하는 가압 수단(230d)을 포함하고 있다. 반경 방향 이동 가능 지지 수단은 지지대 시트(230a)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에 소정의 범위로 연출한 복수의 안내 구멍(230b)과, 복수의 안내 구멍(230b) 안으로 복수의 안내 구멍(230b)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1쌍의 도전체(214)에 고정된 이동 안내 돌기(230c)를 갖고 있다. 가압 수단(230d)은 스풀 축(210a)의 양측에서 1쌍의 도전체(214)에 양단면부를 연결된 1쌍의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2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는 스풀 축(210a)과 함께 회전하는 1쌍의 도전체(214)에 생기는 원심력은 약하고(31쌍의 도전체(214)는 가압 수단(230d)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스풀 축(210a)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할 수 없고, 도23a 및 2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풀 축(210a)의 회전 중심선에 접근한 인입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31쌍의 도전체(214)는 릴 본체(212) 일측벽부(212a)의 복수의 자석(216)을 향해 스풀 축(210a)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접근할 수 없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216)의 자력 작용에 의해 1쌍의 도전체(214)에 와전류가 생기지 않고 1쌍의 도전체(214)를 따라 회전하는 스풀(210)에 제동력은 생기지 않는다. 또, 복수의 자석(216)으로부터의 자속에 의해 인입 위치의 1쌍의 도전체(214)에 간신히 와전류가 생겼다 하더라도, 상기 약간의 와전류에 의해 생기는 제동력은 상당히 작다.
스풀(2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캐스팅의 중기가 되면, 스풀 축(210a)과 함께 회전하는 1쌍의 도전체(214)에 생기는 원심력이 커지고(31쌍의 도전체(214)는 가압 수단(30d)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23a 및 도2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풀 축(210a)의 회전 중심선에 접근한 인입 위치로부터 도24a 및 2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풀 축(210a)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스풀 축(210a)의 회전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진 돌출 위치를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31쌍의 도전체(214)는 릴 본체(212) 일측벽부(212a)의 복수의 자석(216)을 향해 스풀 축(210a)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점점 접근한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216)의 자력 작용에 의해 1쌍의 도전체(214)에 발생하는 와전류의 크기는 복수의 자석(2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1쌍의 도전체(214)의 면적과 스풀(2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커지고, 상기 와전류에 의해 생기는 제동력도 복수의 자석(2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1쌍의 도전체(214)의 면적과 스풀(2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커진다.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210)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고, 스풀 축(210a)과 함께 회전하는 1쌍의 도전체(214)에 발생하는 원심력이 작아지면(31쌍의 도전체(214)는 가압 수단(30d)의 가압력에 의해 도24a 및 24b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하는 스풀 축(210a)의 반경 방향 외측 돌출 위치로부터 스풀 축(210a)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스풀 축(210a)의 회전 중심선에 접근한 도23a 및 도23b에 도시되어 있는 상술한 인입 위치를 향해 상기 반경 방향으로 인장된다. 이 때문에(31쌍의 도전체(214)는 릴 본체(212) 일측벽부(212a)의 복수의 자석(216)으로부터 스풀 축(210a)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점점 멀어진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216)의 자력 작용에 의해 1쌍의 도전체(214)에 발생하는 와전류의 크기는 복수의 자석(2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1쌍의 도전체(214)의 면적과 스풀(2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작아지고, 상기 와전류에 의해 생기는 제동력도 복수의 자석(2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1쌍의 도전체(214)의 면적과 스풀(2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작아진다.
캐스팅 시에 있어서의 이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이와 같은 동작이 초래하는 효과는 캐스팅 시에 있어서의 상술한 이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동작이 초래하는 상술한 효과와 같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31쌍의 도전체(214)의 중량이나 형상이나 가압 수단(230d)이 발생하는 가압력을 조정함으로써, 스풀(210)의 회전 속도 증감에 대응하여 스풀(210)에 대해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230)이 발생시키는 제동력을 조정시킬 수 있고, 스풀(210) 회전 속도의 제어를 조정시킬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전체(214)와 자석(216)의 위치를 교환하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도전체(214)를 릴 본체(212) 한 쪽 측벽(212a)의 내표면에 배치하고(31쌍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를 반경 방향 이동 가능 지지 수단의 이동 안내 돌기(230d)에 의해 지지대 시트(230a)의 복수의 안내 구멍(230b)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1쌍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에 복수의 자석(216)을 고정한다. 그리고 1쌍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를 복수의 자석(216)에 의해 직접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6 실시 형태]
첨부의 도25 내지 도27a 및 도27b를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5는 이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이고, 도26 도25의 20-20선을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이고, 도27a는 도25의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회전하고 있지 않을 때와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과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로부터 감소한 때의 상태를 실선으로 도시하고, 스풀이 어느 정도의 회전 속도 이상으로 고속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그리고, 도27b는 도27a의 27B-27B선을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또 이들의 단면도에 있어서는, 도면을 명해하게 하기 위해 단면의 윤곽선만을 도시하고 단면보다도 먼 단면이 아닌 윤곽선은 적당히 생략하고 있다.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은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이 해방 가능하게 감겨지는 스풀(310)과, 스풀(310)의 스풀 축(310a) 양단면부를 베어링(313a, 313b)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스풀(310)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 릴 본체(312)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축(310a)의 일단면과 스풀(310)의 일단면으로부터 돌출한 스풀 축(310a)의 일단부(도25에서는 우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베어링(313a)이 설치되어 있는 릴 본체(312)의 한 쪽 측벽부(312a) 사이에는 스풀이 자유 회전할 때의 회전 속도를 마찰 제동력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기구(314)가 설치되어 있다.
스풀(310)의 타단면으로부터 돌출한 스풀 축(310a)의 타단부(도25에서는 좌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베어링(313b)이 설치되어 있는 다른 쪽 측벽(312b)에는 핸들(318)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핸들(318)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스풀 축(310a)의 타단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부착 회전력 전달 수단(20)도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부착 회전력 전달 수단(320)은 도시하지 않은 조작 버튼을 거쳐서 클러치를 조작함으로써, 스풀 축(310a)의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하고 스풀(310)로부터의 상술한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의 방출(도25에 화살표(S)로 낚싯줄 방출 방향을 나타낸다)을 허용하는 스풀 자유 회전 상태와, 핸들(318)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스풀 축(310a)의 타단부를 거쳐서 스풀(310)에 도달하고 스풀(310)에 상술한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을 도25에 화살표(S)로 도시한 낚싯줄 방출 방향과는 정반대 방향으로 권취시키는 스풀 구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클러치 부착 회전력 전달 수단(320)의 구성은 공지이므로,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풀 회전 속도 제어 기구(314)는 도26, 도27a, 및 도2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310a)의 일단부에 스풀 축(310a)과 함께 회전하고 스풀 축(3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 부재(314a)와, 이동 부재(314a)에 스풀 축(310a)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풀(310)의 회전을 따라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이동하는 복수의 제동 부재(314b)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제동 부재(314b)는 스풀 축(310a)의 주위 방향에 같은 간격으로 2개 설치되어 있지만, 상기 주위 방향에 같은 간격으로 2개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제동 부재(314b)는 스풀 축(310a) 일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스풀 축(310a)의 직경 방향에 일직선형으로 돌출한 1쌍의 안내봉(314c)에 관통됨으로써 상기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을 안내받고 있지만, 스풀 축(310a) 일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길게 돌출한 지지 부재에 형성한 상기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연출하는 안내홈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을 안내받을 수도 있다.
스풀 회전 속도 제어 기구(314)는 또 릴 본체(312) 한 쪽 측벽(312a)의 내표면에 있어서 스풀 축(310a)의 일단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환형 제동 부재(314d)를 구비하고 있다. 환형 제동 부재(314d)는 스풀 축(310a)의 일단부에 있어서의 이동 부재(314a)의 이동에 따른 스풀 축(3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제동 부재(314b) 이동의 범위 내에서 상기 반경의 외측으로부터 제동 부재(314b)에 대향하고 있고, 환형 제동 부재(314d)의 내주면(315)은 상기 회전 중심선을 따라 스풀(310)의 일단면으로부터 릴 본체(312) 한 쪽 측벽(312a)의 내표면을 향함에 따라 직경이 점점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을 하고 있다.
스풀 회전 속도 제어 기구(314)는 또, 스풀 축(310a)의 일단부에 있어서 상기 회전 중심선을 따라 이동 부재(314a)를 릴 본체(312) 한 쪽 측벽(312a)의 내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314e)을 구비하고 있다. 가압 수단(314e)에 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 축(310a)의 일단부에 있어서 릴 본체(312) 한 쪽 측벽(312a)의 베어링(313a)에 인접한 위치에는 결합 지지 부재(314f)가 고정되어 있고, 스풀 축(310a)의 일단부에 있어서 결합 지지 부재(314f)와 이동 부재(314a) 사이에 감겨진 압축 코일 스프링이 가압 수단(314e)을 구성하고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환형 제동 부재(314d)는 릴 본체(312)의 한 쪽 측벽(312a)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환형 제동 부재(314d)를 릴 본체(312)의 한 쪽 측벽(312a)과는 독립하여 형성한 후에 릴 본체(312)의 한 쪽 측벽(312a)에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압 수단(314e)에 의해 가압된 이동 부재(314a) 상의 복수의 제동 부재(314b)는 환형 제동 부재(314d)의 테이퍼 형상의 내주면(315)의 최소 개구 부위와 상기 반경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이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이 부착된 낚싯대를 캐스팅을 위해 흔들어 던지면, 수면 상의 목적 지점을 향해 비상하는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이 인장됨으로써 스풀(310)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한다.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3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는 스풀 축(310a)과 함께 회전하는 이동 부재(314a) 상의 복수의 제동 부재(314b)에 생기는 원심력은 약하고, 복수의 제동 부재(314b)가 원심력에 의해 환형 제동 부재(314d)의 테이퍼 형상의 내주면(315)에 압박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 제동력도 약하다. 더우기 내주면(315)은 경사져 있으므로, 같은 원심력에 의해, 즉 스풀(310)이 같은 회전 속도로 회전했을 때에 제동 부재(314b)가 종래와 같이 원통형의 내주면으로 압박된 경우에 비하면 발생하는 마찰 제동력은 약하다.
이 때문에,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3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 스풀(310)의 회전 속도가 상승할 수 있는 값이 상술한 종래의 경우에 비해 커지고,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의 비거리, 더 나아가서는 캐스팅 개시 직후부터 종료까지의 전체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의 비거리를 상술한 종래의 경우에 비해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복수의 제동 부재(314b)가 원심력에 의해 환형 제동 부재(314d)의 테이퍼 형상의 내주면(315)에 압박됨으로써 복수의 제동 부재(314b)를 이동 부재(314a)와 함께 테이퍼 형상의 내주면(315)의 대경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 구동력이 발생한다.
스풀(3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하여 복수의 제동 부재(314b)에 생기는 원심력의 일부로부터 창출되는 복수의 제동 부재(314b)를 이동 부재(314a)와 함께 테이퍼 형상의 내주면(315)의 대경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 구동력이 가압 수단(314e)의 가압력에 이겨낼 때까지는 이동 부재(314a)는 스풀 축(310a)의 일단부 상에서 상기 회전 중심선을 따라 릴 본체(312) 한 쪽 측벽(312a)의 내표면을 향해 이동할 수 없다.
스풀(3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캐스팅의 중기가 되면, 스풀 축(310a)과 함께 회전하는 이동 부재(314a) 상의 복수의 제동 부재(314b)가 원심력에 의해 환형 제동 부재(314d)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32)에 압박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 제동력은 상술한 초기에 비해 커진다. 그러나, 내주면(315)은 경사져 있으므로, 같은 원심력에 의해, 즉 스풀(310)이 같은 회전 속도로 회전했을 때에 제동 부재(314b)가 종래와 같이 원통형의 내주면에 압박된 경우에 비하면 발생하는 마찰 제동력은 약하다.
이 때문에, 캐스팅의 상술한 바와 같이 중기에 있어서 스풀(3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후라도 스풀(310)의 회전 속도가 상승할 수 있는 값이 상술한 종래의 경우에 비해 커지고, 캐스팅의 중기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의 비거리, 더 나아가서는 캐스팅 개시 직후부터 종료까지의 전체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의 비거리를 상술한 종래의 경우에 비해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우기,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발생한 마찰 제동력은 낚시 용구의 비상 속도에 비해 스풀(310)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는 과회전 상태를 충분히 억제하고, 캐스팅의 중기에 있어서 낚싯줄의 되감기 현상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제동 부재(314b)가 원심력에 의해 환형 제동 부재(314d)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315)에 압박됨으로써 복수의 제동 부재(314b)를 이동 부재(314a)와 함께 테이퍼 형상의 내주면(315)의 대경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 구동력이 발생한다.
스풀(3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하여 복수의 제동 부재(314b)에 생기는 원심력의 일부로부터 창출되는 복수의 제동 부재(314b)를 이동 부재(314a)와 함께 테이퍼 형상의 내주면(315)의 대경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 구동력이 가압 수단(314e)의 가압력에 이겨내면, 복수의 제동 부재(314b) 및 이동 부재(314a)는 도27a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 제동 부재(314d)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315)의 소경부 근방부터 도27a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 제동 부재(314d)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315)의 대경부 근방까지 스풀 축(310a)의 일단부 상에서 상기 회전 중심선에 따라 릴 본체(312) 한 쪽 측벽(312a)의 내표면을 향해 점점 이동한다.
여기에 있어서는 복수의 제동 부재(314b)가 원심력에 의해 압박되는 환형 제동 부재(314d)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315)이 스풀(310)의 회전을 따라 복수의 제동 부재(314b)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복수의 제동 부재(314b)와 함께 이동 부재(314a)를 상기 회전 중심선을 따라 릴 본체(312) 한 쪽 측벽(312a)의 내표면을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 구동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310)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고, 스풀 축(310a)과 함께 회전하는 이동 부재(314) 상의 복수의 제동 부재(314b)에 생기는 원심력이 약해지면, 복수의 제동 부재(314b)가 원심력에 의해 환형 제동 부재(314d)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315)에 압박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 제동력이 약해지고, 동시에 복수의 제동 부재(314b)에 생기는 원심력의 일부로부터 창출되는 복수의 제동 부재(314b)를 이동 부재(314a)와 함께 테이퍼 형상 내주면(315)의 대경부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하는 이동 부재 구동력이 가압 수단(314e)의 가압력에 이겨낼 수 없게 되고, 이동 부재(314a)는 복수의 제동 부재(314b)를 따라 스풀 축(310a)의 일단부 상에서 상기 회전 중심선을 따라 릴 본체(312) 한 쪽 측벽(312a)의 내표면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도27a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 제동 부재(314d)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315)의 대경부 근방으로부터 도27a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 제동 부재(314d)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315)의 소경부 근방까지 점점 이동한다. 그리고 이 이동하는 동안에 복수의 제동 부재(314b)는 환형 제동 부재(314d)의 테이퍼 형상의 내주면(315)에 미끄럼 접촉한 채이다.
따라서,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상술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급격한 제동력의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낚시 용구의 비상 속도에 비해 스풀(310)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는 과회전 상태를 충분히 억제하고,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도 낚싯줄의 되감기 현상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다음은 첨부의 도28a 및 도28b, 그리고 도29a 및 29b를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8a는 이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이 회전하지 않을 때와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과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로부터 감소한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28b는 도28a의 28B-28B선을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이고, 도29a는 이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요부에 있어서 스풀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 이상으로 된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29b는 도29a의 29B-29B선을 따른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또 이들의 단면도에 있어서는, 도면을 명해하게 하기 위해 단면의 윤곽선만을 도시하고 단면보다도 먼 단면이 아닌 윤곽선은 적당히 생략하고 있다.
또, 이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 구성의 대부분은 도25 내지 도27a 및 27b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이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 구성의 대부분과 공통이다. 따라서, 상술한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구성 부재와 같은 구성 부재에는 이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성 부재를 지적했던 참조 부호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붙이고, 이들의 같은 구성 부재에 대해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6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릴 본체(312) 한 쪽 측벽(312a)의 내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환형 제동 부재(314d)의 내주면(315)이 스풀 축(3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라 평행하게 연출한 원통 형상을 하고 있는 점이고, 환형 제동 부재(314d')의 내주면(315)에 스풀 축(3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마찰 계수가 다른 원통 형상 링(340)이 고정되어 있는 점이며, 이동 부재(314a)에 있어서 스풀(310)의 일단면에 인접한 위치에 이동 부재 구동 수단(350)이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이동 부재 구동 수단(350)은 이동 부재(314a)에 있어서 스풀(310)의 일단면에 인접한 위치에서 스풀 축(310a)의 주위 방향에 같은 간격으로 이간하여 배치되고 스풀 축(310a)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350a)를 포함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동 부재 구동 수단(350)은 스풀(310)의 일단면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스풀 축(310a)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길게 돌출한 지지대(350b)와, 지지대(350b)에 있어서 스풀 축(310a)의 주위 방향에 같은 간격으로 이간한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연출한 복수의 안내 구멍(350c)을 포함하고 있고,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350a)는 지지대(350b)의 복수의 안내 구멍(350c)에 결합하여 복수의 안내 구멍(350c)을 따라 상기 반경 방향에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원통형 링(340)에 있어서의 마찰 계수는 스풀 축(3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스풀(310)의 일단면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이 부착된 낚싯대를 캐스팅을 위해 흔들어 던지면,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3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는 스풀 축(310a)과 함께 회전하는 이동 부재(314a) 상의 복수의 제동 부재(314b')에 생기는 원심력은 약하고, 복수의 제동 부재(314b')가 원심력에 의해 환형 제동 부재(314d')의 원통형 내주면(315)의 원통 형상 링(340)에 압박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 제동력도 약하다.
더우기 내주면(315)의 원통 형상 링(340)에 있어서 복수의 제동 부재(314b)가 압박되는 위치의 마찰 계수는 원통 형상 링(340)에 있어서 가장 작고, 이에 의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발생되는 마찰 제동력은 약해져 있다.
이 때문에,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3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 스풀(310)의 회전 속도가 상승할 수 있는 값이 상술한 종래의 경우에 비해 커지고,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의 비거리, 더 나아가서는 캐스팅 개시 직후부터 종료까지의 전체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의 비거리를 상술한 종래의 경우에 비해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350a)가 원심력에 의해 스풀(310)의 일단부 주위에서 릴 본체(312) 한 쪽 측벽(312a)의 내표면을 향함에 따라 확경하는 테이퍼 형상의 내주면(310b)에 압박됨으로써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350a)를 이동 부재(314a)와 함께 릴 본체(312) 한 쪽 측벽(312a)의 내표면을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 구동력이 발생한다.
그러나, 스풀(3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하여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314b)에 생기는 원심력의 일부로부터 창출되는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314b)를 이동 부재(314a)와 함께 릴 본체(312) 한 쪽 측벽(312a)의 내표면을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 구동력이 가압 수단(314e)의 가압력에 이겨낼 때까지는, 이동 부재(314a)는 스풀 축(310a)의 일단부 상에서 상기 회전 중심선을 따라 릴 본체(312) 한 쪽 측벽(312a)의 내표면을 향해 이동할 수 없다.
스풀(3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캐스팅의 중기가 되면, 스풀 축(310a)과 함께 회전하는 이동 부재(314a) 상의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350a)가 원심력에 의해 스풀(310)의 일단면 주위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310b)에 압박됨으로써 창출되는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350a)를 이동 부재(314a)와 함께 릴 본체(312) 한 쪽 측벽(312a)의 내표면을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 구동력이 가압 수단(314e)의 가압력에 이겨내고, 이동 부재(314a)는 도28a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310)의 일단부 근방으로부터 도29a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312) 한 쪽 측벽(312a)의 내표면을 향해 점점 이동한다.
스풀(3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캐스팅의 중기가 되면, 스풀 축(310a)과 함께 회전하는 이동 부재(314a) 상의 복수의 제동 부재(314b')가 원심력에 의해 환형 제동 부재(314d)의 원통 형상 내주면(315)의 원통 형상 링(340)에 압박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 제동력은 상술한 초기에 비해 커진다. 더우기, 이동 부재(314a)와 함께 스풀(310)의 일단면 근방으로부터 릴 본체(312) 한 쪽 측벽(312a)의 내표면을 향해 이동하는 복수의 제동 부재(314b')가 맞닿는 원통 형상 링(340)에 있어서의 마찰 계수는 커진다. 이 때문에 발생한 마찰 제동력은 낚시 용구의 비상 속도에 비해 스풀(310)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는 과회전 상태를 충분히 억제하고, 캐스팅의 중기에 있어서 낚싯줄의 되감기 현상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310)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고, 스풀 축(310a)과 함께 회전하는 이동 부재(314) 상의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350a)가 원심력에 의해 스풀(310)의 일단부 주위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332)에 압박됨으로써 창출되는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350a)를 이동 부재(314a)와 함께 릴 본체(312) 한 쪽 측벽(312a)의 내표면을 향해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 구동력이 가압 수단(314e)의 가압력보다도 약해지면, 이동 부재(314a)는 도29a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312) 한 쪽 측벽(312a)의 내표면에 접근한 위치로부터 도28a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310)의 일단면에 접근한 위치를 향해 가압 수단(314e)의 가압력에 의해 점점 밀려 복귀된다.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310)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고, 스풀 축(310a)과 함께 회전하는 이동 부재(314) 상의 복수의 제동 부재(314b')에 생기는 원심력이 약해지면, 복수의 제동 부재(314b')가 원심력에 의해 환형 제동 부재(314d')의 원통 형상 내주면(315)의 원통형 링(340)에 압박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 제동력이 약해진다. 더우기, 이동 부재(314a)와 함께 릴 본체(312) 한 쪽 측벽(312a)의 내표면에 접근한 위치로부터 스풀(310)의 일단면에 접근한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복수의 제동 부재(314b')가 맞닿는 원통 형상 링(340)에 있어서의 마찰 계수는 작아진다.
따라서,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상술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급격한 제동력의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낚시 용구의 비상 속도에 비해 스풀(310)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는 과회전 상태를 충분히 억제하고,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도 낚싯줄의 되감기 현상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부재(314a)의 이동에 따른 상기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제동 부재(314b') 이동에 의해, 복수의 제동 부재(314b)와 환형 제동 부재(314d)의 원통 형상 내주면(315) 사이에 생기는 마찰 제동력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마찰 제동력 변화 수단을 원통 형상 링(340)이 구성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리고, 환형 제동 부재(314d)의 원통 형상 내주면(315)에 대해 원통 형상 링(340)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스풀 축(3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마찰 계수의 변화가 다른 원통 형상 링(340)을 복수 작성하고, 이 중에서 사용하는 원통 형상 링(340)을 선택하여 환형 제동 부재(314d')의 원통 형상 내주면(315)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면, 마찰 제동력 변화 수단이 발생시키는 마찰 제동력의 변화를 여러 가지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술한 제7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350a)가 압박되는 스풀(310)의 일단면 주위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310b)의 경사를 바꾸거나, 내주면(310a)의 재질이나 표면 완성을 바꾸거나,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350a)의 개수나 재료나 중량이나 형상을 바꾸거나, 또는 가압 수단(314e)의 가압력을 바꾸거나, 또 복수의 제동 부재(314b')의 개수나 재료나 중량이나 형상을 바꾸거나 함으로써, 스풀 회전 속도 제어 기구(314)가 스풀(310)의 회전 증감에 따라 발생시키는 제동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8 실시 형태]
우선 처음에 첨부의 도30 내지 도34를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은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이 해방 가능하게 감겨지는 스풀(410)과, 스풀(410)의 스풀 축(410a) 양단면부를 베어링(413a, 413b)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스풀(410)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 릴 본체(412)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축(410a)의 일단부에는 스풀(410)의 일단면과 스풀(410)의 일단면으로부터 돌출한 스풀 축(410a)의 일단부(도30에서는 우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베어링(413a) 사이에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도전체(414)가 설치되어 있고, 릴 본체(412)에 있어서 스풀 축(410a)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베어링(413a)이 설치되어 있는 한 쪽 측벽부(412a)에는 스풀 축(410a) 일단부의 도전체(414)에 대응하여 복수의 자석(416)이 설치되어 있다.
스풀(410)의 타단면으로부터 돌출한 스풀 축(410a)의 타단부(도30에서는 좌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베어링(413b)이 설치되어 있는 다른 쪽 측벽(412b)에는 핸들(418)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핸들(418)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스풀 축(410a)의 타단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부착 회전력 전달 수단(420)도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부착 회전력 전달 수단(420)은 도시하지 않은 조작 버튼을 거쳐서 클러치를 조작함으로써, 스풀 축(410a)의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하고 스풀(410)로부터의 상술한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의 방출(도30에 화살표(S)로 낚싯줄 방출 방향을 나타낸다)을 허용하는 스풀 자유 회전 상태와, 핸들(418)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스풀 축(410a)의 타단부를 거쳐서 스풀(410)에 전달하고 스풀(410)에 상술한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을 도1에 화살표(S)로 도시한 낚싯줄 방출 방향과는 정반대의 방향으로 권취시키는 스풀 구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클러치 부착 회전력 전달 수단(420)의 구성은 공지이므로, 상기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30 및 도3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412) 한 쪽 측벽부(412a)의 복수의 자석(416)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도전체(414)에 대해 자석(416)으로부터 작용하는 자력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자력 조정 수단(421)을 거쳐서 한 쪽 측벽(412a)에 부착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자력 조정 수단(421)은 스풀 축(410a)에 대해 동심적으로 배치된 2겹의 원환(422a, 422b)을 포함하고 있으며, 복수의 자석(416)은 2겹의 원환(422a, 422b) 상에 배치되어 2겹의 원환(422a, 422b)에 있어서 각각의 주위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또 내측 원환(22a)의 복수의 자석(416)은 내측 원환(422a)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한 자극이 서로 이웃되는 자석에 있어서 서로 다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외측 원환(422b)의 복수의 자석(416)도 또 외측 원환(422b)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한 자극이 서로 이웃되는 자석에 있어서 서로 다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내측 원환(422a)은 한 쪽 측벽(412a)에 고정되어 있지만, 외측 원환(422b)은 한 쪽 측벽(412a)에 설치되어 있는 자력 조정 손잡이(424)를 한 쪽 혹은 다른 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내측 원환(422a)의 자극에 대향하는 외측 원환(422b)의 자극을 바꿔 도전체(414)에 작용하는 자력의 강약을 조정한다. 즉, 내측 원환(422a)의 복수의 자석(4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에 대해 외측 원환(422b)의 복수의 자석(416) 중에서 내측 원환(422a)의 복수의 자석(4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과는 다른 자극의 반경 방향 내단부를 대향시켜서 내측 원환(422a)의 복수의 자석(4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과 외측 원환(422b)의 반경 방향 내단부의 자극이 서로 최대의 흡인 자력을 발생시키는 흡인 자력 상호용 최대 상태와, 내측 원환(422a)의 복수의 자석(4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에 대해 외측 원환(422b)의 복수의 자석(416) 중에서 내측 원환(422a)의 복수의 자석(4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과 같은 자극의 반경 방향 내단부를 대향시켜서 내측 원환(422a)의 복수의 자석(4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과 외측 원환(422b)의 반경 방향 내단부의 자극이 서로 최대의 반발 자력 발생시키는 반발 자력 상호 작용 최대 상태 사이에서 내측 원환(422a)의 복수의 자석(416)에 대해 외측 원환(422b)의 복수의 자석(416)의 상대적인 위치를 바꿈으로써, 도전체(414)에 작용하는 자력의 강약을 조정하고, 공지된 바와 같이 스풀(410)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체(414)는 스풀(410) 회전 속도의 증감에 따라 릴 본체(412) 한 쪽 측벽부(412a)의 복수의 자석(416)이 도전체(414)에 작용하는 자력을 증감시켜서 도전체(414)가 설치되어 있는 스풀(41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426)을 거쳐서 스풀 축(410a)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426)은 도33a에 특히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410a)의 일단부 상에 스풀 축(4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즉,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스풀 축(410a)의 주위 방향에도 스풀 축(410a)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설치된 이동 부재(428)를 구비하고 있다. 도전체(414)는 원통 형상을 하고 있고, 도전체(414)의 자석(416)과는 반대측의 단면부가 길이 방향 이동 부재(428)에 스풀 축(410a)에 대해 동심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체(414)와 이동 부재(428)와는 도전체(414)의 재료로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들은 서로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후에 서로 고정되어 형성할 수도 있다.
도전체(414)의 자유 단면부는 도31 및 도3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412) 한 쪽 측벽(412a)의 동심적인 2겹의 원환(422a, 422b) 사이의 환형 간극에 대향하고 있다.
도3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부재(428)에는 스풀 축(4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으로 연출함에 따라 스풀 축(410a)의 주위 방향으로 방향을 바꾸는 활형의 캠 홈(430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캠 홈(430a)에는 도32와 도33a 및 3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410a)의 일단부에 고정된 캠 돌기(430b)가 삽입되어 변환 수단(430)을 구성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캠 홈(430a)은 릴 본체(412) 한 쪽 측벽부(412a)측으로부터 스풀(410)의 일단면을 향해 상기 회전 중심선을 따라 진행함에 따라 시계 회전 방향에 활형으로 연출하고 있다.
도3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체(414)가 설치된 이동 부재(428)는 가압 수단(432)에 의해 스풀 축(410a)의 일단부 상에서 스풀(410)의 상술한 일단면에 대향한 릴 본체(412) 한 쪽 측벽(412a) 부분의 복수의 자석(416)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압 수단(432)은 스풀 축(410a)의 일단부 상에서 이동 부재(428)와 스풀(410) 일단면 사이에 감겨진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가압 수단(434)에 의해 가압된 이동 부재(428)는 도3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홈(430a)에 있어서 릴 본체(412)의 한 쪽 측벽(412a)측의 단부에 스풀 축(410a) 상의 캠 돌기(430b)가 맞닿음으로써 스풀 축(410a)의 일단부 상에서 스풀(410)의 상술한 일단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이동 부재(428) 상의 도전체(414)의 자유 단면부는 릴 본체(412) 한 쪽 측벽부(412a)의 동심적인 2겹의 원환(422a, 422b) 사이의 환형 간극으로부터 이탈하고 있다.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이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이 부착된 낚싯대를 캐스팅을 위해 흔들어 던지면, 수면 상의 목적 지점을 향해 비상하는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이 인장됨으로써 스풀(410)이 소정의 방향(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33a에 화살표(X)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한다. 또 이동 부재(428)는 캠 홈(430a)과 캠 돌기(430b)의 결합에 의해 스풀 축(410a)의 회전에 추종하고, 캠 홈(430a)과 캠 돌기(430b)의 작용에 의해 가압 수단(43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33a에 도시하는 스풀(410) 일단면 근방의 초기 위치로부터 릴 본체(412)의 한 쪽 측벽(412a)을 향해 스풀 축(4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라 이동하려고 한다.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4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는 스풀(410)의 회전 에너지가 작아 이동 부재(428)는 캠 홈(30a)과 캠 돌기(30b)의 작용으로는 가압 수단(43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3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410) 일단부 근방의 초기 위치로부터 릴 본체(412)의 한 쪽 측벽(412a)을 향해 스풀 축(4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라 이동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이동 부재(428)는 릴 본체(412) 일측벽부(412a)의 복수의 자석(416)을 향해 접근할 수 없고, 이동 부재(428)에 고정된 원통 형상 도전체(414)의 자유 단면부는 릴 본체(412) 한 쪽 측벽부(412a)의 복수의 자석(416)이 배치된 2겹의 원환(422a, 422b) 상호간의 원환형의 간극으로 돌입하지 않는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416)의 자력 작용에 의해 도전체(414)에 와전류는 생기지 않아 도전체(414)를 따라 회전하는 스풀(410)에 제동력을 생기지 않는다. 또 복수의 자석(416) 상호로부터의 누락 자속에 의해 도전체(414)에 간신히 와전류가 생겼다 하더라도, 상기 약간의 와전류에 의해 생기는 제동력은 상당히 작다.
이 때문에,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4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는 실질적으로 제동력은 작용하지 않으므로, 스풀(410)의 초기 회전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의 비거리, 더 나아가서는 캐스팅 개시 직후부터 종료까지의 전체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의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사이에 상승되는 스풀(410)의 회전 속도는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제동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고, 더우기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진다. 왜냐하면,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에는 스풀(410)의 회전이 개시된 시점부터 스풀(410)의 회전 속도 상승에 대략 비례하여 자력이 발생시키는 제동력도 커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4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비거리가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한다.
스풀(4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캐스팅의 중기가 되면, 스풀(410)의 회전 에너지는 캠 홈(430a)과 캠 돌기(430b)의 작용에 의해 가압 수단(43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3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410)의 일단부 근방의 초기 위치로부터 릴 본체(412)의 한 쪽 측벽(412a)을 향해 스풀 축(4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라 이동 부재(428)를 이동시키는 만큼 커진다. 이 때문에, 이동 부재(428)는 릴 본체(412) 일측벽부(412a)의 복수의 자석(416)을 향해 점점 접근하고, 이동 부재(28)에 고정된 원통 형상의 도전체(414)의 자유 단면부는 도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본체(412) 한 쪽 측벽부(412a)의 복수의 자석(416)이 배치된 2겹의 원환(422a, 422b) 상호간의 원환형의 간극으로 점점 돌입하고, 2겹의 원환(422a, 422b)의 복수의 자석(416)과의 중복량이 많아져, 복수의 자석(4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414)의 면적이 점점 증가한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416)의 자력 작용에 의해 도전체(414)에 발생하는 와전류가 증가하고 도전체(414)를 따라 회전하는 스풀(410)에 작용하는 제동력이 증가한다.
또 릴 본체(412) 일측벽부(412a)의 복수의 자석(416)을 향하는 이동 부재(428)의 상술한 이동은 도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돌기(430b)가 캠 홈(30a)에 있어서 스풀(410)의 일단부 근방에 위치하는 단부에 맞닿음으로써 규제된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416)의 자력 작용에 의해 도전체(414)에 발생하는 와전류의 크기는 복수의 자석(4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414)의 면적과 스풀(4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커지고, 상기 와전류에 의해 생기는 제동력도 복수의 자석(4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414)의 면적과 스풀(4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커진다.
이 때에 생기는 제동력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적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캐스팅 초기에 있어서의 스풀의 회전 속도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지므로, 상기 캐스팅의 초기부터 중기에 걸쳐서의 스풀의 회전 속도도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지고, 당연한 일이지만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각별히 높아진다.
즉, 상술한 캐스팅의 초기부터 스풀(4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후의 중기까지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비거리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나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한다.
더우기, 나중에 큰 낚싯줄의 되감기를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 되는 스풀(410)의 과대한 회전 속도는 스풀(410)의 도전체(414)와 릴 본체(412) 한 쪽 측벽부(412a)의 복수의 자석(416)과의 조립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생기는 적당한 제동 작용으로 충분히 억제된다.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410)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고, 스풀(410)의 회전 에너지가 저하해 오면, 이동 부재(428)는 캠 홈(430a)과 캠 돌기(430b)와의 작용으로는 가압 수단(432)의 가압력에 이겨낼 수가 없고, 가압 수단(432)의 가압력에 의해 도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412) 한 쪽 측벽부(412a)의 복수의 자석(416)에 접근한 위치로부터 도3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410) 일단면 근방의 초기 위치를 향해 스풀 축(4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라 점점 끌어당겨진다. 이 때문에, 이동 부재(428)는 릴 본체(412) 일측벽부(412a)의 복수의 자석(416)으로부터 점점 멀어지고, 이동 부재(428)에 고정된 원통 형상 도전체(414)의 자유 단면부는 릴 본체(412) 한 쪽 측벽부(412a)의 복수의 자석(416)이 배치된 2겹의 원환(422a, 422b) 상호간의 원환형의 간극으로부터 점점 이탈하여, 복수의 자석(4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414)의 면적을 점점 감소시킨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416)의 자력 작용에 의해 도전체(414)에 발생하는 와전류의 크기는 복수의 자석(4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414)의 면적과 스풀(4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작아지고, 상기 와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제동력도 복수의 자석(4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414)의 면적과 스풀(4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작아진다.
이 때에 발생하는 제동력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는 적고, 또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급격한 제동력의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에 생기는 회전 속도는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고, 더우기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회전 속도의 감소율이 급격히 저하하는 일이 없다.
즉, 상술한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410)의 회전 속도가 점점 감소하여 왔을 때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비거리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나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한다.
더우기, 낚시 용구의 비행 속도에 대해 나중에 큰 낚싯줄의 되감기를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 되는 스풀(410)의 과대한 회전 속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캐스팅의 중기에 있어서 적당히 억제되어 있고, 또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410)의 회전 속도 감소율이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급격히 저하하지 않으므로,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가 착수한 후에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착수에 의해 생기는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 인장 속도의 급격한 저하와 스풀(410) 회전의 관성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에 되감기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라도,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예를 들면 손가락을 스풀 또는 스풀에 감겨진 낚싯줄의 권취면에 가볍게 압박하는 것만의 비교적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의 되감기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캐스팅에 있어서의 낚싯줄의 방출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 도30 내지 도34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제8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410)에 설치된 도전체(414)와 릴 본체(412)의 한 쪽 측벽(412a)에 설치된 복수의 자석(416)이 선택적으로 협동하여 스풀(410)의 회전을 제동하고 스풀 축(4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상호간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제동력을 변화시키는 제동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 스풀(410)에 설치되어 있는 제동 수단으로서의 도전체(414)를 지지하고, 스풀(410)에 설치되어 있는 제동 수단으로서의 도전체(414)와 함께 스풀(410)의 주위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에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스풀(410)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428)와, 이동 부재(428)를 스풀(410)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을 따른 한 쪽에 가압하는 가압 수단(432)과, 스풀(410)의 회전과 이동 부재(428) 회전과의 회전 차에 의해 이동 부재(428)를 스풀(410)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다른 쪽에 가압 수단(43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동시키고, 스풀(410) 및 릴 본체(412)의 양자에 설치되어 있는 제동 수단으로서의 도전체(414) 및 복수의 자석(416) 상호간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켜서 제동 수단으로서의 도전체(414) 및 복수의 자석(416)이 스풀(410)의 회전에 대해 작용하는 제동력을 변화시켜서 스풀(41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변환 수단(430)으로서의 캠 홈(430a) 및 캠 돌기(430b)와, 가 스풀(410)의 회전 속도 증감에 따라 스풀(410) 및 릴 본체(412)의 양자에 설치되어 있는 제동 수단으로서의 도전체(414)와 복수의 자석(416) 상호간의 상대 위치를 스풀(410)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을 따라 변화시킴으로써 스풀(410)에 대한 제동력을 변화시키는 위치 변화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제9 실시 형태]
다음은 첨부의 도35a 및 도35b, 그리고 도36a 및 36b를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의 낚시용 릴의 구성이 도30 내지 도34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이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구성과 다른 점은 스풀(410)의 자유 회전 상태에 있어서의 스풀(41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460)의 구성이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460)의 구성 중에서도 특히, 스풀(410) 및 릴 본체(412)의 양자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협동하여 스풀(410)의 회전을 제동하고 상호간의 상대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스풀(410)의 회전에 대한 제동력을 변화시키는 제동 수단(462)의 구성이다.
도35a 및 3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에 있어서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460)의 제동 수단(462)이 스풀 축(410a) 일단부 상의 이동 부재(428)의 외주면에 있어서 스풀 축(410a)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제동 부재(464)와, 릴 본체(412) 한 쪽 측벽부(412a)의 내표면에 스풀 축(410a)의 회전 중심선에 대해 동심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 중심선을 따라 스풀(410)의 일단면을 향해 연출하여 스풀 축(410a)의 일단부 상에 이동 부재(428)를 거쳐서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제동 부재(464)를 상기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환형 제동 부재(466)를 구비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제동 부재(464)는 이동 부재(428)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연출한 안내봉(464a)이 관통됨으로써 상기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환형 제동 부재(466)의 내주면(466a)은 릴 본체(412) 한 쪽 측벽부(412a)의 내표면으로부터 스풀(410)의 일단면을 향해 나아감에 따라 마찰 계수가 적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환형 제동 부재(466)의 내주면(466a)에 상술한 바와 같이 마찰 계수가 적어지는 환형 마찰 제동 부재를 고정하고 있지만, 내주면(466a)의 표면 가공을 상술한 바와 같이 마찰 계수가 적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또 한 쪽 측벽(412a)의 내표면으로부터 스풀(410)의 일단면을 향해 나아감에 따라 마찰 계수가 적어지는 정도를 여러 가지로 바꾼 환형 마찰 제동 부재를 복수 준비하고, 이 복수의 환형 마찰 제동 부재 중에서 선택한 소망의 환형 마찰 제동 부재를 환형 제동 부재(466)의 내주면(466a)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제동 부재(464)의 크기나 중량이나 재질이나 개수를 변화시킴으로써도, 스풀 축(410a)이 같은 속도로 회전한 때에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제동 부재(464)와 환형 제동 부재(466) 사이에 생기는 마찰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이 부착된 낚싯대를 캐스팅을 위해 흔들어 던지면,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4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는 스풀(410)의 회전 에너지가 작아 이동 부재(428)는 캠 홈(430a)과 캠 돌기(430b)와의 작용으로는 가압 수단(43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3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부재(428)를 스풀(410) 일단면 근방의 초기 위치로부터 릴 본체(412)의 한 쪽 측벽(412a)을 향해 스풀 축(4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라 이동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이동 부재(428) 상의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제동 부재(464)는 릴 본체(412) 한 쪽 측벽부(412a)의 환형 제동 부재(466)의 내주면(466a)에 있어서 마찰 계수가 적은 연출단 근방 부위와 도3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410a)의 반경 방향에 대향하고 있지만, 상기 연출단 근방 부위와 가볍게 접촉한다. 따라서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제동 부재(464)와 환형 제동 부재(466) 내주면(466a)의 연출단 근방 부위 사이에는 마찰 제동력은 생기지 않던지, 생겼다 하더라도 상당히 작다.
이 때문에,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4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는 실질적으로 제동력은 작용하지 않으므로, 스풀(410)의 초기 회전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의 비거리, 더 나아가서는 캐스팅 개시 직후부터 종료까지의 전체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의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사이에 상승되는 스풀(410)의 회전 속도는 종래의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제동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진다. 그리고,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4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비거리가 종래의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한다.
스풀(4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캐스팅의 중기가 되면, 스풀(410)의 회전 에너지는 캠 홈(430a)과 캠 돌기(430b)의 작용에 의해 가압 수단(43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3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410) 일단면 근방의 초기 위치로부터 릴 본체(412)의 한 쪽 측벽(412a)을 향해 스풀 축(4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라 이동 부재(428)를 이동시킬 만큼 커진다. 이 때문에, 이동 부재(428)는 릴 본체(412)의 일측벽(412a)을 향해 점점 접근하고, 이동 부재(428)에 설치된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제동 부재(464)는 환형 제동 부재(466)의 내주면(466a)에 맞닿으면서 내주면(466a) 상에서 마찰 계수가 큰 기단 근방 부위를 향해 스풀 축(4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라 이동하므로 릴 본체(412) 일측벽(412a)의 환형 제동 부재(466)의 내주면(466a)과 스풀 축(410a) 상의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제동 부재(464) 사이에 생기는 마찰 제동력이 점점 증가한다.
또 릴 본체(412)의 일측벽부(412a)를 향하는 이동 부재(428)의 상술한 이동은 도3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돌기(430b)가 캠 홈(430a)에 있어서 스풀(410)의 일단부 근방에 위치하는 단면부에 맞닿음으로써 규제된다.
이 때에 발생하는 마찰 제동력은 종래의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캐스팅의 초기에 있어서의 스풀의 회전 속도가 종래의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각별히 높게 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캐스팅의 초기부터 스풀(4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후의 중기까지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비거리를 종래의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늘릴 수 있다.
더우기, 나중에 큰 낚싯줄의 되감기를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 되는 스풀(410)의 과대한 회전 속도는 스풀(410)의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제동 부재(464)와 릴 본체(412) 한 쪽 측벽부(412a)의 환형 제동 부재(466)의 내주면(466a)과의 조립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생기는 적당한 마찰 제동 작용으로 충분히 억제된다.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410)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고, 스풀(410)의 회전 에너지가 저하해 오면, 이동 부재(428)는 캠 홈(430a)과 캠 돌기(430b)의 작용으로는 가압 수단(432)의 가압력에 이겨낼 수가 없고, 가압 수단(432)의 가압력에 의해 도3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412)의 한 쪽 측벽(412a)에 접근한 위치로부터 도3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410) 일단면 근방의 초기 위치를 향해 스풀 축(4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라 점점 끌어당겨진다. 이 때문에, 이동 부재(628)에 설치된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제동 부재(464)는 환형 제동 부재(466)의 내주면(466a)에 맞닿으면서 내주면(466a) 상에서 마찰 계수가 작은 연출단 근방 부위를 향해 스풀 축(4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라 이동하므로 릴 본체(412) 일측벽(412a)의 환형 제동 부재(466)의 내주면(466a)과 스풀 축(410a) 상의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제동 부재(464) 사이에 생기는 마찰 제동력이 점점 감소한다.
이 때에 생기는 제동력은 종래의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급격한 제동력의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410)에 생기는 회전 속도는 종래의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회전 속도의 감소율이 급격히 저하하는 일이 없다.
즉, 상술한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410)의 회전 속도가 점점 감소해 왔을 때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비거리가 종래의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시킬 수 있다.
더우기, 낚시 용구의 비행 속도에 대해 나중에 큰 낚싯줄의 되감기를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 되는 스풀(410)의 과대한 회전 속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캐스팅의 중기에 있어서 적당히 억제되어 있고, 또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410)의 회전 속도 감소율이 종래의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급격히 저하하지 않으므로,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가 착수한 후에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착수에 의해 생기는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 인장 속도의 급격한 저하와 스풀(410) 회전의 관성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에 되감기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라도,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예를 들면 손가락을 스풀 또는 스풀에 감겨진 낚싯줄의 권취면에 가볍게 압박하는 것만의 비교적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의 되감기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캐스팅에 있어서의 낚싯줄의 방출 조작이 용이해진다.
[제10 실시 형태]
도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은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이 해방 가능하게 감겨지는 스풀(510)과, 스풀(510)의 스풀 축(510a)의 양단면부를 베어링(513a, 513b)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스풀(510)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 릴 본체(512)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축(510a)의 일단부에는 스풀(510)의 일단면과 스풀(510)의 일단면으로부터 돌출한 스풀 축(510a)의 일단부(도37에서는 우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베어링(513a) 사이에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도전체(514)가 설치되어 있고, 릴 본체(512)에 있어서 스풀 축(510a)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베어링(513a)이 설치되어 있는 한 쪽 측벽부(512a)에는 스풀 축(510a) 일단부의 도전체(514)에 대응하여 복수의 자석(516)이 설치되어 있다.
스풀(510)의 타단면으로부터 돌출한 스풀 축(510a)의 타단부(도37에서는 좌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베어링(513b)이 설치되어 있는 다른 쪽 측벽(512b)에는 핸들(518)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핸들(518)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스풀 축(510a)의 타단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부착 회전력 전달 수단(520)도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부착 회전력 전달 수단(520)은 도시하지 않은 조작 버튼을 거쳐서 클러치를 조작함으로써, 스풀 축(510a)의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하고 스풀(510)로부터의 상술한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의 방출(도37에 화살표(S)로 낚싯줄 방출 방향을 나타낸다)을 허용하는 스풀 자유 회전 상태와, 핸들(518)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스풀 축(510a)의 타단부를 거쳐서 스풀(510)에 전달하고 스풀(510)에 상술한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을 도37에 화살표(S)로 도시한 낚싯줄 방출 방향과는 정반대 방향으로 권취시키는 스풀 구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클러치 부착 회전력 전달 수단(520)의 구성은 공지이므로, 상기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37 및 도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512) 한 쪽 측벽부(512a)의 복수의 자석(516)은 정지하고 있는 도전체(514)에 대해 자석(516)으로부터 작용하는 자력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자력 조정 수단(521)을 거쳐서 한 쪽 측벽(512a)에 부착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자력 조정 수단(521)은 스풀 축(510a)에 대해 동심적으로 배치된 2겹의 원환(522a, 22b)을 포함하고 있으며, 복수의 자석(516)은 2겹의 원환(522a, 22b) 상에 배치되어 2겹의 원환(522a, 22b)에 있어서 각각의 주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또 내측 원환(522a)의 복수의 자석(516)은 내측 원환(522a)의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한 자극이 서로 이웃되는 자석에 있어서 서로 다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외측 원환(522b)의 복수의 자석(516)도 또 외측 원환(522b)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한 자극이 서로 이웃되는 자석에 있어서 서로 다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내측 원환(522a)은 한 쪽 측벽(512a)에 고정되어 있지만, 외측 원환(522b)은 한 쪽 측벽(512a)에 설치되어 있는 자력 조정 손잡이(524)를 한 쪽 혹은 다른 쪽에 회전시킴으로써 내측 원환(522a)의 자극에 대향하는 외측 원환(522b)의 자극을 바꿔 도전체(514)에 작용하는 자력의 강약을 조정한다. 즉, 내측 원환(522a)의 복수의 자석(5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에 대해 외측 원환(522b)의 복수의 자석(516) 중에서 내측 원환(522a)의 복수의 자석(5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과는 다른 자극의 반경 방향 내단부를 대향시켜서 내측 원환(522a)의 복수의 자석(5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과 외측 원환(522b)의 반경 방향 내단부의 자극이 서로 최대의 흡인 자력을 발생시키는 흡인 자력 상호용 최대 상태와, 내측 원환(522a)의 복수의 자석(5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에 대해 외측 원환(522b)의 복수의 자석(516) 중에서 내측 원환(522a)의 복수의 자석(5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과 같은 자극의 반경 방향 내단부를 대향시켜 내측 원환(522a)의 복수의 자석(5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과 같은 자극의 반경 방향 내단면부를 대향시켜서 내측 원환(522a)의 복수의 자석(516)의 반경 방향 외단면부의 자극과 외측 원환(522b)의 반경 방향 내단부의 자극이 서로 최대의 반발 자력 발생시키는 반발 자력 상호 작용 최대 상태 사이에서 내측 원환(522a)의 복수의 자석(516)에 대해 외측 원환(522b)의 복수의 자석(516)의 상대적인 위치를 바꿈으로써, 도전체(514)에 작용하는 자력의 강약을 조정하고, 공지된 바와 같이 스풀(510)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체(514)는 스풀(510) 회전 속도의 증감에 따라 릴 본체(512) 한 쪽 측벽부(512a)의 복수의 자석(516)이 도전체(514)에 작용하는 자력을 증감시켜서 도전체(514)가 설치되어 있는 스풀(51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526)을 거쳐서 스풀 축(510a)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 속도 제어 수단(526)은 도39 및 도40에 특히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510a)의 일단부 상에 스풀 축(5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즉,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스풀 축(510a)의 주위 방향에는 스풀 축(510a)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 길이 방향 이동 부재(528)를 구비하고 있다. 도전체(514)는 원통 형상을 하고 있고, 도전체(514)의 자석(516)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면부가 길이 방향 이동 부재(528)에 스풀 축(510a)에 대해 동심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체(514)와 길이 방향 이동 부재(528)와는 서로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후에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고정되어 있지만, 도전체(514)와 길이 방향 이동 부재(528)를 도전체(514)의 재료로 서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길이 방향 이동 부재(528)에 고정된 도전체(514)의 자유 단면부는 릴 본체(512) 한 쪽 측벽부(512a)의 동심적인 2겹의 원환(522a, 22b) 사이의 환형 간극에 대향하고 있다.
길이 방향 이동 부재(528)에 있어서 스풀 축(510a)의 주위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간된 복수(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위치에는 도39, 도40 및 도41에 특히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510a)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가 설치되어 있다.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를 스풀 축(510a)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길이 방향 이동 부재(528)는 도41 및 도42 및 도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의 주위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간된 복수(이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으로 연출한 안내 구멍(528a)을 포함하고 있다.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는 도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H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있으며, 중앙의 다리 형상부가 안내 구멍(528a)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안내 구멍(528a)을 따라 이동한다. 즉, 안내 구멍(528a)은 거기에 끼워 맞춰진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를 스풀 축(510a)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부로서 기능한다.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는 대응하는 안내 구멍(528a)을 따라 도전체(514)의 외주면을 넘어 더욱 외측까지 이동 가능하다.
상기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안내 구멍(528a)의 내단부 및 상기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의 내단부에는 도43에 특히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의 자유로운 반경 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반경 방향 이동 가능 상태와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의 자유로운 반경 방향 이동을 금지하는 반경 방향 이동 금지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반경 방향 이동 선택 수단(53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반경 방향 이동 선택 수단(531)은, 예를 들면 안내 구멍(528a)의 내단부에 형성된 결합 돌기(531a)와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의 내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돌기(531b)와의 조립과 같이 일시 결합 수단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길이 방향 이동 부재(528) 및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의 적어도 어느 한 쪽은 일부분의 탄성을 갖고 있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도43의 정가운데에 수직으로 도시하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와 같이 안내 구멍(528a)의 내단부에 형성된 결합 돌기(31a)에 대한 자신의 결합 돌기(531b)의 결합이 해제되어 있으면 반경 방향 이동 가능 상태이며, 도43의 양측에 수평으로 도시하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와 같이 안내 구멍(528a)의 내단부에 형성된 결합 돌기(531a)에 대해 자신의 결합 돌기(531b)가 결합되어 있으면 반경 방향 이동 금지 상태이다.
반경 방향 이동 선택 수단(531)은 스풀(510) 회전 속도의 증감에 의해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526)이 스풀(510)에 대해 생기게 하는 회전 속도 제어 작용의 크기를 조정하는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스풀(510)의 일단부에 있는 상술한 일단면에는 도40 및 도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510a)의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를 둘러싸서 스풀 축(510a)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와 대향한 테이퍼 형상 내주면(532)이 대경 개구를 스풀(510)의 상술한 일단면에 대향한 릴 본체(512) 한 쪽 측벽부(512a) 부분의 복수의 자석(516)을 향한 상태에서 스풀 축(510a)의 회전 중심선에 대해 동심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테이퍼 형상 내주면(532)은 마찰 계수가 작은 미끄러운 표면으로 완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테이퍼 형상 내주면(532)은 스풀(510)의 일단부에 있는 상술한 일단면의 내주면을 마찰 계수가 작은 미끄러운 표면으로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지만, 스풀(510)과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후에 스풀(510)의 일단부에 있는 상술한 일단면에 고정되는 테이퍼 형상 부재의 내주면을 마찰 계수가 작은 미끄러운 표면으로 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도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체(514)가 설치된 길이 방향 이동 부재(528)는 가압 수단(534)에 의해 스풀 축(510a)의 일단부 상에서 스풀(510)의 상술한 일단면에 대향한 릴 본체(512) 한 쪽 측벽부(512a) 부분의 복수의 자석(516)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압 수단(534)은 스풀 축(510a)의 일단부 상에서 길이 방향 이동 부재(528)와 스풀 축(510a)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베어링(513a)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고정 고리나 와셔 등의 결합 지지 부재(510b) 사이에 감겨진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가압 수단(534)에 의해 가압된 길이 방향 이동 부재(528)는 도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510a)의 일단부 상에서 스풀(510)의 상술한 일단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길이 방향 이동 부재(528) 상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는 스풀(510)의 상술한 일단면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532)과 최소 개구에 인접하여 대향하고 있다.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이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이 부착된 낚싯대를 사용하기 전에는 상기 낚시용 릴의 사용자는 상기 낚시용 릴의 스풀 축(510a)을 스풀(510)과 함께 릴 본체(512)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고, 릴 본체(512)로부터 분리된 스풀 축(510a) 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반경 방향 이동 선택 수단(531)을 거쳐서, 상정되는 낚시터의 상황이나 소망의 릴 조작에 따라 복수의 수의 반경 방향 부재(530) 중에서 소망의 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를 반경 방향 이동 가능 상태로 하고, 나머지 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30)를 반경 방향 이동 금지 상태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44 및 도45에서는 4개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 중에서 상하 2개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는 반경 방향 이동 가능 상태로 되어 있고, 좌우 2개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는 반경 방향 이동 금지 상태로 되어 있다.
릴 본체(512)의 소정 위치에 스풀 축(510a)을 복귀시킨 후, 이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이 부착된 낚싯대를 낚시터에 있어서 캐스팅을 위해 흔들어 던지면, 수면 상의 목적 지점을 향해 비상하는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이 인장됨으로써 스풀(510)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한다.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5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는 스풀 축(510a)과 함께 회전하는 4개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에 생기는 원심력은 약하고, 반경 방향 이동 선택 수단(531)에 의해 반경 방향 이동 허용 상태로 되어 있는 2개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가 원심력에 의해 도44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테이퍼 형상 내주면(532)에 압박됨으로써 발생하고 가압 수단(534)의 가압력과는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힘이 가압 수단(534)의 가압력보다도 약하다. 이 때문에, 길이 방향 이동 부재(528)는 도44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릴 본체(512) 일측벽부(512a)의 복수의 자석(516)을 향해 접근할 수 없고, 길이 방향 이동 부재(528)에 고정된 원통 형상의 도전체(514)의 자유 단면부는 릴 본체(512) 한 쪽 측벽부(512a)의 복수의 자석(516)이 배치된 2겹의 원환(522a, 22b) 상호간의 원환형의 간극으로 돌입하지 않는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516)의 자력 작용에 의해 도전체(514)에 와전류가 생기지 않고 도전체(514)를 따라 회전하는 스풀(510)에 제동력은 생기지 않는다. 또 복수의 자석(516) 상호로부터의 누락 자속에 의해 도전체(514)에 간신히 와전류가 생겼다 하더라도, 상기 약간의 와전류에 의해 생기는 제동력은 상당히 작다.
이 때문에,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5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는 실질적으로 제동력은 작용하지 않으므로, 스풀(510)의 초기 회전 속도를 급격히 상승시킬 수 있고,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의 비거리, 더 나아가서는 캐스팅 개시 직후부터 종료까지의 전체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의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사이에 상승되는 스풀(510)의 회전 속도는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제동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고, 더우기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진다. 왜냐하면,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이 경우에는 스풀(510)의 회전이 개시된 시점부터 스풀(510)의 회전 속도의 상승에 대략 비례하여 자력이 발생시키는 제동력도 커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5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비거리가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한다.
스풀(5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캐스팅의 중기가 되면, 스풀 축(510a)과 함께 회전하는 4개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 중에서 반경 방향 이동 선택 수단(531)에 의해 반경 방향 이동 선택 수단(531)에 의해 반경 방향 이동 가능 상태로 되어 있는 2개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가 원심력에 의해 테이퍼 형상 내주면(532)에 압박됨으로써 발생시키는 스풀 축(510a)을 따른 축방향에 있어서 가압 수단(534)의 가압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는 힘이 가압 수단(534)의 가압력보다도 강해진다. 이 때문에, 스풀(5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를 넘어 커짐에 따라 반경 방향 이동 선택 수단(531)에 의해 반경 방향 이동 가능 상태로 되어 있는 2개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는 테이퍼 형상 내주면(532)을 따라 도44나 도45에 2점 쇄선에 의해 도시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길이 방향 이동 부재(528)를 가압 수단(534)의 가압력에 이겨내어 릴 본체(512) 한 쪽 측벽부(512a)의 복수의 자석(516)을 향해 점점 접근시켜 간다. 이에 의해 길이 방향 이동 부재(528)에 고정된 원통 형상의 도전체(514)의 자유 단면부는 릴 본체(512) 한 쪽 측벽부(512a)의 복수의 자석(516)이 배치된 2겹의 원환(522a, 522b) 상호간의 원환형의 간극으로 점점 돌입하여 2겹의 원환(522a, 522b)의 복수의 자석(516)과의 중복량이 많아져, 복수의 자석(5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514)의 면적이 점점 증가한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516)의 자력 작용에 의해 도전체(514)에 발생하는 와전류의 크기는 자석(5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514)의 면적과 스풀(5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커지고, 상기 와전류에 의해 생기는 제동력도 복수의 자석(5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514)의 면적과 스풀(5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커진다.
이 때에 발생하는 제동력은 자석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적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캐스팅의 초기에 있어서의 스풀의 회전 속도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지므로, 상기 캐스팅의 초기부터 중기에 걸쳐서의 스풀의 회전 속도도 자석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지고, 당연한 일이지만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각별히 높아진다.
즉, 상술한 캐스팅의 초기부터 스풀(5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후의 중기까지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비거리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나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한다.
더우기, 나중에 큰 낚싯줄의 되감기를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 되는 스풀(510)의 과대한 회전 속도는 스풀(510)의 도전체(514)와 릴 본체(512) 한 쪽 측벽부(512a)의 복수의 자석(516)과의 조립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생기는 적당한 제동 작용으로 충분히 제어된다.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510)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고, 스풀 축(510a)과 함께 회전하는 4개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에 생기는 원심력이 약해지면, 반경 방향 이동 선택 수단(531)에 의해 반경 방향 이동 가능 상태로 되어 있는 2개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가 원심력에 의해 테이퍼 형상 내주면(532)에 압박됨으로써 발생하고 가압 수단(534)의 가압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는 힘이 가압 수단(534)의 가압력보다도 약해지고, 길이 방향 이동 부재(528)는 가압 수단(534)의 가압력에 의해 릴 본체(512) 일측벽부(512a)의 복수의 자석(51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눌려, 길이 방향 이동 부재(528)에 고정된 원통 형상 도전체(514)의 자유 단면부는 릴 본체(512) 한 쪽 측벽부(512a)의 복수의 자석(516)이 배치된 2겹의 원환(522a, 522b) 상호간의 원환형의 간극 안을 도8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도시하는 위치까지 점점 이탈하여, 복수의 자석(5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514)의 면적을 점점 감소시킨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516)의 자력 작용에 의해 도전체(514)에 발생하는 와전류의 크기는 복수의 자석(5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514)의 면적과 스풀(5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적어지고, 상기 와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제동력도 복수의 자석(5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514)의 면적과 스풀(5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작아진다.
이 때에 생기는 제동력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는 적고, 또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급격한 제동력의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에 생기는 회전 속도는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고, 더우기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회전 속도의 감소율이 급격히 저하하는 일이 없다.
즉, 상술한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510)의 회전 속도가 점점 감소하여 왔을 때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비거리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나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한다.
더우기, 낚시 용구의 비행 속도에 대해 나중에 큰 낚싯줄의 되감기를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 되는 스풀(510)의 과대한 회전 속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캐스팅의 중기에 있어서 적당히 억제되어 있고, 또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510)의 회전 속도 감소율이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급격히 저하하지 않으므로,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가 착수한 후에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착수에 의해 생기는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 인장 속도의 급격한 저하와 스풀(510) 회전의 관성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에 되감기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라도,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예를 들면 손가락을 스풀 또는 스풀에 감겨진 낚싯줄의 권취면에 가볍게 압박하는 것만의 비교적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의 되감기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캐스팅에 있어서의 낚싯줄의 방출 조작이 용이해진다.
이 실시 형태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이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이 부착된 낚싯대를 사용하기 전에, 상기 낚시용 릴의 사용자는 상기 낚시용 릴의 스풀 축(510a)을 스풀(510)과 함께 릴 본체(512)로부터 이탈시키고, 릴 본체(512)로부터 분리된 스풀 축(510a) 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반경 방향 이동 선택 수단(531)을 거쳐서 상정되는 낚시터의 상황이나 소망의 릴 조작에 따라 복수의 수의 반경 방향 부재(530) 중에서 소망의 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를 반경 방향 이동 가능 상태로 하고, 나머지 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를 반경 방향 이동 금지 상태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반경 방향 이동 가능 상태로 하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의 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스풀(510)의 회전에 따라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가 스풀(510)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532)에 압박됨으로써 발생하고 가압 수단(534)의 가압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는 힘이 가압 수단(534)의 가압력에 이겨내기 위해 필요한 스풀(510)의 회전수가 적어진다. 즉, 스풀(510)의 회전에 대해 작용하는 제동력의 크기가 강해지는 강제동 상태가 된다.
따라서, 반경 방향 이동 가능 상태로 하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의 수를 증가시키면 길이 방향 이동 부재(528)와 함께 도전체(514)가 가압 수단(534)의 가압력에 이겨내어 릴 본체(512)의 복수의 자석(516) 상호간의 상술한 간극으로 돌입하고 제동력의 발휘를 개시시킬 때의 스풀(510)의 회전수가 적어지고,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526)이 스풀(510)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제어하는 스풀(510)의 회전 속도가 작은 쪽으로 넓어져 온다. 즉, 스풀(510)이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는 스풀(510)의 저속 회전 영역에서도 스풀(510)의 회전에 대해 제동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동작이 슬롯형이 되는 짧은 거리를 위한(소위 쇼트 레인지를 위한) 캐스팅이더라도 스풀(510)의 회전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낚싯줄의 되감기 현상의 발생을 용이하게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캐스팅의 초기나 종기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 비거리의 연장감을 낚시꾼이 느낄 수 있다.
또, 반경 방향 이동 가능 상태로 하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의 수를 감소시키면 길이 방향 이동 부재(528)와 함께 도전체(514)가 가압 수단(534)의 가압력에 이겨내어 릴 본체(512)의 복수의 자석(516) 상호간의 상술한 간극으로 돌입하여 제동력의 발휘를 개시시킬 때의 스풀(510)의 회전수가 커져서, 스풀(510)의 회전에 대해 작용하는 제동력의 크기가 약해지는 약제동 상태로 되고,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526)이 스풀(510)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제어하는 스풀(510)의 회전 속도가 큰 쪽으로 치우쳐 온다. 따라서, 동작이 큰 요동이 되는 긴 거리를 위한(소위 롱 레인지를 위한) 캐스팅이더라도 스풀(510)의 회전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낚싯줄의 되감기 현상의 발생을 용이하게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캐스팅의 초기나 종기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 비거리의 연장감을 낚시꾼이 느낄 수 있다.
[제11 실시 형태]
다음은 첨부의 도46 및 도47을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제1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10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중량이나 재질 또는 테이퍼 형상 내주면(532)에 대한 마찰 계수가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가 준비되어 있으며, 이 복수 종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 중에서 상정되는 낚시터의 상황이나 소망의 릴 조작에 따라 소망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회전 속도 제어 수단(526)의 제어 작용을 조정하는 제어 작용 조정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점이다.
또,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풀 축(510a) 상의 결합 지지 부재(510b')로서 스풀 축(510a)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덮여지는 환형 캡 부재가 사용되고 있는 점이다.
이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은 상술한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가압력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가압 수단(534)(압축 코일 스프링)을 준비하고, 이들 복수 종류의 가압 수단(534) 중에서 사용하는 가압 수단(534)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어 작용(즉, 제동 작용)을 조정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실시 형태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이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이 부착된 낚싯대를 사용하기 전에, 상기 낚시용 릴의 사용자는 상기 낚시용 릴의 스풀 축(510a)을 스풀(510)과 함께 릴 본체(512)로부터 이탈시키고, 도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512)로부터 분리된 스풀 축(510a) 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를 중량 또는 테이퍼 형상 내주면(532)에 대한 마찰 계수가 서로 다르게 준비되어 있는 복수의 종류 중에서 상정되는 낚시터의 상황이나 소망의 릴 조작에 따라 선택하여 교환할 수 있고, 또 사용하는 개수를 변경하는 점이다.
또 가압력이 다른 가압 수단(534)을 사용함으로써, 상정되는 낚시터의 상황이나 소망의 릴 조작에 대해 더욱 폭넓은 대응이 가능하다.
즉,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의 중량이 증가하던지, 또는 테이퍼 형상 내주면(532)에 대한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의 마찰 계수가 감소하여 테이퍼 형상 내주면(532)을 따라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가 이동하기 쉽게 되던지, 또는 사용하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의 개수가 증가하던지 등의 제동 조건의 설정에 의해, 스풀(510)의 회전에 따라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가 스풀(510)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532)에 압박됨으로써 발생하고 가압 수단(534)의 가압력과는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힘이 가압 수단(534)의 가압력에 이겨내기 위해 필요한 스풀(510)의 회전수가 적어진다. 즉, 스풀(510)의 회전에 대해 작용하는 제동력이 커지는 강제동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보다 중량이 무거운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를 선택하던지, 또는 테이퍼 형상 내주면(532)에 대한 마찰 계수가 보다 작은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를 선택하던지, 또는 사용하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의 개수를 증가시키면 길이 방향 이동 부재(528)와 함께 도전체(514)가 가압 수단(534)의 가압력에 이겨내어 릴 본체(512)의 복수의 자석(516) 상호간의 상술한 간극으로 돌입하여 제동력의 발휘를 개시시킬 때의 스풀(510)의 회전수가 적어지고,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526)이 스풀(510)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제어하는 스풀(510)의 회전 속도가 작은 쪽으로 확장되어 오고, 비교적 저속으로 스풀(510)이 회전하는 스풀(510)의 저속 회전 영역에서도 스풀(510)에 대해 제동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동작이 슬롯형이 되는 짧은 거리를 위한(소위 쇼트 레인지를 위한) 캐스팅이더라도 스풀(510)의 회전을 적절히 제어하여 낚싯줄의 되감기 현상의 발생을 용이하게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캐스팅의 초기와 종기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 비거리의 연장감을 낚시꾼이 느낄 수 있다.
또, 보다 중량이 가벼운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를 선택하던지, 또는 테이퍼 형상 내주면(532)에 대한 마찰 계수가 보다 큰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를 선택하여 테이퍼 형상 내주면(532)을 따른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의 이동을 하기 어렵게 하던지, 또는 사용하는 반경 방향 이동 부재(530)의 개수를 감소시키면 길이 방향 이동 부재(528)와 함께 도전체(514)가 가압 수단(534)의 가압력에 이겨내어 릴 본체(512)의 복수의 자석(516) 상호간의 상술한 간극으로 돌입하여 제동력의 발휘를 개시시킬 때의 스풀(510)의 회전수가 커지고, 스풀(510)의 회전에 대해 작용하는 제동력이 작아지는 약제동 상태가 되어,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526)이 스풀(510)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제어하는 스풀(510)의 회전 속도가 큰 쪽으로 치우쳐 온다. 따라서, 동작이 큰 요동이 되는 긴 거리를 위한(소위 롱 레인지를 위한) 캐스팅이더라도 스풀(510)의 회전을 적절히 제어하여 낚싯줄의 되감기 현상의 발생을 용이하게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캐스팅의 초기와 종기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 비거리의 연장감을 낚시꾼이 느낄 수 있다.
[제12 실시 형태]
첨부의 도48 내지 도52c를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은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이 해방 가능하게 감겨지는 스풀(610)과, 스풀(610)의 스풀 축(610a) 양단부를 베어링(613a, 613b)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스풀(610)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 릴 본체(612)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축(610a)의 일단부에는 스풀(610)의 일단면과 스풀(610)의 일단면으로부터 돌출한 스풀 축(610a)의 일단부(도48에서는 우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베어링(613a) 사이에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도전체(614)가 설치되어 있고, 릴 본체(612)에 있어서 스풀 축(610a)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베어링(613a)이 설치되어 있는 한 쪽 측벽부(612a)에는 스풀 축(610a)의 일단부의 도전체(614)에 대응하여 복수의 자석(616)이 설치되어 있다.
스풀(610)의 타단면으로부터 돌출한 스풀 축(610a)의 타단부(도48에서는 좌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베어링(613b)이 설치되어 있는 다른 쪽 측벽(612b)에는 핸들(618)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핸들(618)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스풀 축(610a)의 타단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부착 회전력 전달 수단(620)도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부착 회전력 전달 수단(620)은 도시하지 않은 조작 버튼을 거쳐서 클러치를 조작함으로써, 스풀 축(610a)의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하고 스풀(610)로부터의 상술한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의 방출(도48에 화살표(S)로 낚싯줄 방출 방향을 나타낸다)을 허용하는 스풀 자유 회전 상태와, 핸들(618)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스풀 축(610a)의 타단부를 거쳐서 스풀(610)에 도달하고 스풀(610)에 상술한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을 도1에 화살표(S)로 나타낸 낚싯줄 방출 방향과는 정반대의 방향으로 권취시키는 스풀 구동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클러치 부착 회전력 전달 수단(620)의 구성은 공지이므로, 상기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48 및 도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본체(612) 한 쪽 측벽부(612a)의 복수의 자석(616)은 정지하고 있는 도전체(614)에 대해 자석(616)으로부터 작용하는 자력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자력 조정 수단(621)을 거쳐서 한 쪽 측벽(612a)에 부착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자력 조정 수단(621)은 스풀 축(610a)에 대해 동심적으로 배치된 2겹의 원환(622a, 22b)을 포함하고 있으며, 복수의 자석(616)은 2겹의 원환(622a, 22b) 상에 배치되어 2겹의 원환(622a, 22b)에 있어서 각각의 주위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또 내측 원환(622a)의 복수의 자석(616)은 내측 원환(622a)의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한 자극이 서로 이웃되는 자석에 있어서 서로 다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외측 원환(622b)의 복수의 자석(616)도 또 외측 원환(622b)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한 자극이 서로 이웃되는 자석에 있어서 서로 다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내측 원환(622a)은 한 쪽 측벽(612a)에 고정되어 있지만, 외측 원환(622b)은 한 쪽 측벽(612a)에 설치되어 있는 자력 조정 손잡이(624)를 한 쪽 혹은 다른 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내측 원환(622a)의 자극에 대향하는 외측 원환(622b)의 자극을 바꿔 도전체(614)에 작용하는 자력의 강약을 조정한다. 즉, 내측 원환(622a)의 복수의 자석(6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에 대해 외측 원환(622b)의 복수의 자석(616) 중에서 내측 원환(622a)의 복수의 자석(6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과는 다른 자극의 반경 방향 내단부를 대향시켜서 내측 원환(622a)의 복수의 자석(6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과 외측 원환(622b)의 반경 방향 내단부의 자극과 서로 최대의 흡인 자력을 발생시키는 흡인 자력 상호 작용 최대 상태와, 내측 원환(622a)의 복수의 자석(6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에 대해 외측 원환(622b)의 복수의 자석(616) 중에서 내측 원환(622a)의 복수의 자석(6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과 같은 자극의 반경 방향 내단부를 대향시켜서 내측 원환(622a)의 복수의 자석(616)의 반경 방향 외단부의 자극과 외측 원환(622b)의 반경 방향 내단부의 자극이 서로 최대의 반발 자력 발생시키는 반발 자력 상호 작용 최대 상태 사이에서 내측 원환(622a)의 복수의 자석(616)에 대해 외측 원환(622b)의 복수의 자석(616)의 상대적인 위치를 바꿈으로써, 도전체(614)에 작용하는 자력의 강약을 조정하고, 공지된 바와 같이 스풀(610)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체(614)는 스풀(610) 회전 속도의 증감에 따라 릴 본체(612) 한 쪽 측벽부(612a)의 복수의 자석(616)이 도전체(614)에 작용하는 자력을 증감시켜서 도전체(614)가 설치되어 있는 스풀(61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626)을 거쳐서 스풀 축(610a)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 속도 제어 수단(626)은 도50 및 도51a에 특히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610a)의 일단부 상에 스풀 축(610a)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즉,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스풀 축(610a)의 주위 방향에는 스풀 축(610a)과 함께 회전하게 설치된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를 구비하고 있다. 도전체(614)는 원통 형상을 하고 있고, 도전체(614)에 있어서 자석(616)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면부가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에 스풀 축(610a)에 대해 동심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체(614)와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는 서로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후에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고정되어 있지만, 도전체(614)와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를 도전체(614)의 재료로 서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에 고정된 도전체(614)의 자유 단면부는 릴 본체(612) 한 쪽 측벽부(612a)의 동심적인 2겹의 원환(622a, 22b) 사이의 환형 간극에 대향하고 있다.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에 있어서 스풀 축(610a)의 주위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간된 복수(이 제12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위치에는 도50, 도51a 및 도51b에 특히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610a)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반경 방향 이동 부재(630)가 설치되어 있다.
반경 방향 이동 부재(630)를 스풀 축(610a)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는 도51a 및 도5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의 주위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간된 복수(이 제12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으로 연출한 안내 구멍(628a)을 포함하고 있다. 반경 방향 이동 부재(630)는 대략 H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있으며, 중앙의 다리 형상부가 안내 구멍(628a)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안내 구멍(628a)에 따라 이동한다. 즉, 안내 구멍(628a)은 거기에 끼워 맞춰진 반경 방향 이동 부재(630)를 스풀 축(610a)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부로서 기능한다.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630)는 대응하는 안내 구멍(628a)을 따라 도전체(614)의 외주면을 넘어 더욱 외측까지 이동 가능하다.
스풀(610)의 일단부면에 있는 상술한 일단면에는 도51a 및 도5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610a)의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630)를 둘러싸 스풀 축(610a)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630)와 대향한 테이퍼 형상 내주면(632)이 대경 개구를 스풀(610)의 상술한 일단면에 대향한 릴 본체(612) 한 쪽 측벽부(612a) 부분의 복수의 자석(616)을 향한 상태에서 스풀 축(610a)의 회전 중심선에 대해서 동심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테이퍼 형상 내주면(632)은 마찰 계수가 작은 미끄러운 표면으로 완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테이퍼 형상 내주면(632)은 스풀(610)의 일단부에 있는 상술한 일단부의 내주면을 마찰 계수가 작은 미끄러운 표면으로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지만, 스풀(610)과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후에 스풀(610)의 일단부에 있는 상술한 일단면에 고정되는 테이퍼 형상 부재의 내주면을 마찰 계수가 작은 미끄러운 표면으로 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도5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체(614)가 설치된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는 가압 수단(634)에 의해 스풀 축(610a)의 일단부 상에서 스풀(610)의 상술한 일단면에 대향한 릴 본체(612) 한 쪽 측벽부(612a) 부분의 복수의 자석(616)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압 수단(634)은 스풀 축(610a)의 일단부 상에서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와 스풀 축(610a)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베어링(613a)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고정 고리나 와셔 등의 결합 지지 부재(610b) 사이에 감겨진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가압 수단(634)에 의해 가압된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는 도51a, 5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610a)의 일단부 상에서 스풀(610)의 상술한 일단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 상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630)는 스풀(610)의 상술한 일단면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632)과 최소 개구에 인접하여 대향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 축(610a)의 일단부 상에서 스풀 축(610a)의 길이 방향인 스풀(610)의 회전 중심선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서로 소정 거리 이간한 복수(이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결합 홈(610c)이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결합 홈(610c) 중 어느 하나에 결합 지지 부재(610b)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3개의 결합 홈(610c)과 결합 지지 부재(610b)와의 조립이 스풀(610)의 회전 속도 증감에 의해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626)이 스풀(610)에 대해 생기게 하는 회전 속도 제어 작용의 크기를 조정하는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이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이 부착된 낚싯대를 사용하기 전에는 상기 낚시용 릴의 사용자는 상기 낚시용 릴의 스풀 축(610a)을 스풀(610)과 함께 릴 본체(612)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릴 본체(612)로부터 분리된 스풀 축(610a) 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결합 홈(610c) 중의 소망하는 어느 하나로 상정되는 낚시터의 상황이나 소망의 릴 조작에 따라 결합 지지 부재(610b)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에 대해 작용하는 가압 수단(634)의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가 도전체(614)와 함께 가압 수단(63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릴 본체(612) 한 쪽 측벽부(612a)의 복수의 자석(616) 상호간의 원환형의 간극을 향해 이동하는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이동 규제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51a 및 도52a에서는 스풀 축(610a) 일단부 상의 3개의 결합 홈(610c) 중에서 릴 본체(612) 한 쪽 측벽부(612a)의 복수의 자석(614)에 가장 가까운 결합 홈(610c)에 결합 지지 부재(610b)가 결합되어 있다.
릴 본체(612)의 소정 위치에 스풀 축(610a)을 복귀시킨 후, 이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이 부착된 낚싯대를 낚시터에 있어서 캐스팅을 위해 흔들어 던지면, 수면 상의 목적 지점을 향해 비상하는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이 인장됨으로써 스풀(610)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한다.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6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는 스풀 축(610a)과 함께 회전하는 4개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630)에 생기는 원심력은 약하고, 반경 방향 이동 선택 수단(631)에 의해 반경 방향 이동 허용 상태로 되어 있는 2개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630)가 원심력에 의해 도51a나 도52a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테이퍼 형상 내주면(632)에 압박됨으로써 발생하고 가압 수단(634)의 가압력과는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힘이 가압 수단(634)의 가압력보다도 약하다. 이 때문에,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는 도51a나 도52a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릴 본체(612) 일측벽부(612a)의 복수의 자석(616)을 향해 접근할 수 없고,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에 고정된 원통 형상 도전체(614)의 자유 단면부는 릴 본체(612) 한 쪽 측벽부(612a)의 복수의 자석(616)이 배치된 2겹의 원환(622a, 622b) 상호간의 원환형의 간극으로 돌입하지 않는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616)의 자력 작용에 의해 도전체(614)에 와전류는 생기지 않고 도전체(614)를 따라 회전하는 스풀(610)에 제동력은 생기지 않는다. 또 복수의 자석(616) 상호로부터의 누락 자속에 의해 도전체(614)에 간신히 와전류가 생겼다 하더라도, 상기 약간의 와전류에 의해 생기는 제동력은 상당히 작다.
이 때문에,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6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는 실질적으로 제동력은 작용하지 않으므로, 스풀(610)의 초기 회전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의 비거리, 더 나아가서는 캐스팅 개시 직후부터 종료까지의 전체에 있어서의 낚시 용구의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사이에 상승되는 스풀(610)의 회전 속도는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제동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고, 더우기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진다. 왜냐하면,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에는 스풀(610)의 회전이 개시된 시점부터 스풀(610)의 회전 속도의 상승에 대략 비례하여 자력이 발생시키는 제동력도 커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캐스팅 개시 직후의 초기에 있어서 스풀(6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할 때까지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비거리가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한다.
스풀(6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캐스팅의 중기가 되면, 스풀 축(610a)과 함께 회전하는 4개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630)가 원심력에 의해 테이퍼 형상 내주면(632)에 압박됨으로써 발생시키는 스풀 축(610a)을 따른 축방향에 있어서 가압 수단(634)의 가압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는 힘이 가압 수단(634)의 가압력보다도 강해진다. 이 때문에, 스풀(6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를 넘어 커짐에 따라 4개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630)는 테이퍼 형상 내주면(632)을 따라 도52a에 2점 쇄선에 의해 도시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를 가압 수단(634)의 가압력에 이겨내어 릴 본체(612) 한 쪽 측벽부(612a)의 복수의 자석(616)을 향해 점점 접근시켜 간다. 이에 의해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에 고정된 원통 형상 도전체(614)의 자유 단면부는 릴 본체(612) 한 쪽 측벽부(612a)의 복수의 자석(616)이 배치된 2겹의 원환(622a, 22b) 상호간의 원환형의 간극으로 점점 돌입하여 2겹의 원환(622a, 22b)의 복수의 자석(616)과의 중복량이 많아져, 복수의 자석(6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614)의 면적이 점점 증가한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616)의 자력 작용에 의해 도전체(614)에 발생하는 와전류의 크기는 자석(6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614)의 면적과 스풀(6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커지고, 상기 와전류에 의해 생기는 제동력도 복수의 자석(6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614)의 면적과 스풀(6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커진다.
이 때에 발생하는 제동력은 자석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적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캐스팅의 초기에 있어서의 스풀의 회전 속도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지므로, 상기 캐스팅의 초기부터 중기에 걸쳐서의 스풀의 회전 속도도 자석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아지고, 당연한 일이지만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각별히 높아진다.
즉, 상술한 캐스팅의 초기부터 스풀(610)의 회전 속도가 어느 정도의 크기에 도달한 후의 중기까지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비거리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나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한다.
더우기, 나중에 큰 낚싯줄의 되감기를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 되는 스풀(610)의 과대한 회전 속도는 스풀(610)의 도전체(614)와 릴 본체(612) 한 쪽 측벽부(612a)의 복수의 자석(616)과의 조립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생기는 적당한 제동 작용으로 충분히 제어된다.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610)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고 스풀 축(610a)과 함께 회전하는 4개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630)에 생기는 원심력이 약해지면, 반경 방향 이동 선택 수단(631)에 의해 반경 방향 이동 가능 상태로 되어 있는 2개의 반경 방향 이동 부재(630)가 원심력에 의해 테이퍼 형상 내주면(632)에 압박됨으로써 발생하고 가압 수단(634)의 가압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는 힘이 가압 수단(634)의 가압력보다도 약해지고,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는 가압 수단(634)의 가압력에 의해 릴 본체(612) 일측벽부(612a)의 복수의 자석(61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눌려,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에 고정된 원통 형상 도전체(614)의 자유 단면부는 릴 본체(612) 한 쪽 측벽부(612a)의 복수의 자석(616)이 배치된 2겹의 원환(622a, 622b) 상호간의 원환형의 간극 사이를 도52a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도시하는 위치까지 점점 이탈하여, 복수의 자석(6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614)의 면적을 점점 감소시킨다.
따라서, 복수의 자석(616)의 자력 작용에 의해 도전체(614)에 발생하는 와전류의 크기는 복수의 자석(6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614)의 면적과 스풀(6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적어지고, 상기 와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제동력도 복수의 자석(616)이 발생하는 자속을 가로지르는 도전체(614)의 면적과 스풀(61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작아진다.
이 때에 생기는 제동력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는 적고, 또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급격한 제동력의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에 생기는 회전 속도는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높고, 더우기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회전 속도의 감소율이 급격히 저하하는 일이 없다.
즉, 상술한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610)의 회전 속도가 점점 감소하여 왔을 때의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비거리가 자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나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만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보다도 증가한다.
더우기, 낚시 용구의 비행 속도에 대해 나중에 큰 낚싯줄의 되감기를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 되는 스풀(610)의 과대한 회전 속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캐스팅의 중기에 있어서 적당히 억제되어 있고, 또 캐스팅 말기에 있어서 스풀(610)의 회전 속도 감소율이 원심력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이용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종래의 낚시용 릴의 경우와 같이 급격히 저하하지 않으므로,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가 착수한 후에 도시하지 않은 낚시 용구의 착수에 의해 생기는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 인장 속도의 급격한 저하와 스풀(610) 회전의 관성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에 되감기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라도,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예를 들면 손가락을 스풀 또는 스풀에 감겨진 낚싯줄의 권취면에 가볍게 압박하는 것만의 비교적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도시하지 않은 낚싯줄의 되감기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캐스팅에 있어서의 낚싯줄의 방출 조작이 용이해진다.
이 실시 형태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이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낚시용 릴이 부착된 낚싯대를 사용하기 전에, 상기 낚시용 릴의 사용자는 상기 낚시용 릴의 스풀 축(610a)을 스풀(610)과 함께 릴 본체(612)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키고, 릴 본체(612)로부터 분리된 스풀 축(610a) 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작용 조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결합 홈(610c) 중에서 결합 지지 부재(610b)가 결합되는 결합 홈(610c)을 상정되는 낚시터의 상황이나 소망의 릴 조작에 따라 선택함으로써,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에 대해 작용하는 가압 수단(634)의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가 도전체(614)와 함께 가압 수단(63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릴 본체(612) 한 쪽 측벽부(612a)의 복수의 자석(616) 상호간의 원환형의 간극을 향해 이동하는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52a, 도52b, 그리고 도5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610a) 상의 복수의 결합 홈(610c) 중에서 결합 지지 부재(610b)가 결합되는 결합 홈(610c)을 릴 본체(612) 한 쪽 측벽부(612a)의 복수의 자석(616)으로부터 멀어지는 만큼 가압 수단(634)이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에 부하하는 가압력이 커지고, 스풀(610)의 회전에 따라 반경 방향 이동 부재(630)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 방향 이동 부재(630)가 스풀(610)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632)에 압박됨으로써 발생하고 가압 수단(634)의 가압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는 힘이 가압 수단(634)의 가압력에 이겨내기 위해 필요한 스풀(610)의 회전수가 많아진다. 또,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와 함께 도전체(614)가 도52a, 도52b, 그리고 도52c의 각각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된 초기 위치로부터 복수의 자석(616)을 향해 이동한 때에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가 결합 지지 부재(610b)에 맞닿아 상기 이동을 정지할 때까지 이동하는 거리가 적어지도록 규제된다.
따라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626)이 스풀(610)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제어하면 스풀(610)의 회전 속도가 큰 쪽으로 치우쳐 오고, 스풀(610)의 회전 속도가 비교적 커졌을 때에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626)이 발휘하는 스풀(610)의 회전을 제동하는 작용도 약해진다.
또, 도52c, 도52b, 그리고 도5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축(610a) 상의 복수의 결합 홈(610c) 중에서 결합 지지 부재(610b)가 결합되는 결합 홈(610c)을 릴 본체(612) 한 쪽 측벽부(612a)의 복수의 자석(616)에 가깝게 할수록 가압 수단(634)이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에 부하하는 가압력이 작아지고, 스풀(610)의 회전에 따라 반경 방향 이동 부재(630)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 방향 이동 부재(630)가 스풀(610)의 테이퍼 형상 내주면(632)에 압박됨으로써 발생하고 가압 수단(634)의 가압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는 힘이 가압 수단(634)의 가압력에 이겨내기 위해 필요한 스풀(610)의 회전수가 적어진다. 또,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와 함께 도전체(614)가 도52c, 도52b, 그리고 도52a의 각각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된 초기 위치로부터 복수의 자석(616)을 향해 이동한 때에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가 결합 지지 부재(610b)에 맞닿아 상기 이동을 정지할 때까지 이동하는 거리가 커지도록 규제된다.
따라서,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626)이 스풀(610)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제어하는 스풀(610)의 회전 속도가 작은 쪽으로 확장되어 오고, 스풀(610)의 회전 속도가 비교적 커진 때에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626)이 발휘하는 스풀(610)의 회전을 제동하는 작용도 커진다.
즉, 스풀 축(610a) 일단부의 복수의 결합 홈(610c) 중에서 결합 지지 부재(610b)를 결합시키는 결합 홈(610c)을 선택함으로써 가압 수단(634)에 발생시키는 가압력이나 스풀 축(610a)의 길이 방향(즉, 축방향)을 따른 도전체(614)를 따른 길이 방향 이동 부재(628)의 이동 가능 거리를 조정하여, 복수의 자석(616) 상호간의 원환형의 간극에 대해 도전체(614)가 돌입하는 양을 조정할 수 있고, 낚시 현장의 상황이나 소망의 릴 조작을 위해 필요한 스풀(610)의 회전 제동에 대해 미묘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9)

  1.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낚싯줄을 권취하도록 디자인된 스풀과, 상기 낚싯줄을 방출하도록 상기 스풀이 상기 릴 본체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스풀 자유 회전 상태와 상기 스풀에 상기 낚싯줄을 권취하도록 회전 구동력이 상기 스풀에 전달 가능한 스풀 작동 상태 중 하나로 상기 스풀을 선택적으로 절환하기 위해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된 회전력 전달 수단과,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된 제1 제동 부재와, 상기 제1 제동 부재와 협동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스풀에 설치된 제2 제동 부재와,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제1 제동 부재에 대한 상기 제2 제동 부재의 상호 위치를 변화시켜서 상기 스풀 자유 상태의 상기 스풀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가 소정치를 대략 넘으면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상기 제1 제동 부재를 향해 상기 제2 제동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회전 속도가 소정치를 대략 하회하면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초기 위치에 상기 제2 제동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상기 스풀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2 제동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상기 제2 제동 부재와 상기 스풀 사이의 회전 속도 차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2 제동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제동 부재가 자력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제동 부재가 마찰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상기 스풀이 회전 가능한 스풀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2 제동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상기 스풀이 회전 가능한 스풀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2 제동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상기 스풀이 회전 가능한 스풀 축선에 수직인 축선에 대해 상기 제2 제동 부재를 피봇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상기 제2 제동 부재를 이동시키기 시작하는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에 의해 이동시켜지는 상기 제2 제동 부재의 스트로크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상기 스풀의 스풀 축에 비회전적이면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2 제동 부재를 지지하는 길이 방향 이동 가능 부재와, 상기 길이 방향 이동 가능 부재에 직경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직경 방향 이동 가능 부재와, 상기 스풀에 의해 정해지고 상기 직경 방향 이동 가능 부재를 서로 마주보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제동 부재를 향해 직경이 증대하는 원추형 내면과, 상기 길이 방향 이동 가능 부재를 상기 제1 제동 부재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동 부재가 자석과 도전체 중 하나를 갖고, 상기 제2 제동 부재가 상기 자석과 도전체 중 다른 쪽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동 부재가 상기 스풀의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내면 영역을 결정하는 통형 링이고, 상기 내면 영역이 각각 다른 마찰 계수를 갖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 제동 부재가 상기 길이 방향 이동 가능 부재에 직경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통형 링을 서로 마주보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상기 스풀의 스풀 축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제2 제동 부재를 피봇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윙 축과, 상기 제2 제동 부재의 선단면부가 상기 제1 제동 부재로부터 멀리 이동되도록 상기 제2 제동 부재를 피봇 이동 가압하는 스프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상기 스풀의 스풀 축에 고정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2 제동 부재를 직경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제동 부재를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상기 스풀의 스풀 축에 비회전적이면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이동 가능 부재와, 상기 이동 가능 부재에 직경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제2 제동 부재와, 상기 제1 제동 부재에 의해 정해지며 상기 제2 제동 부재를 서로 마주보고 제1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원추형 내면과, 상기 이동 가능 부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회전 속도 제어 수단이, 상기 스풀의 스풀 축에 축방향 이동 가능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2 제동 부재를 지지하는 이동 가능 부재와, 소정의 범위에 상기 스풀 축에 대해서의 상기 이동 가능 부재의 축방향 이동과 회전 이동의 쌍방을 협동하여 규제하는 캠 돌기 및 캠 홈과, 상기 제2 제동 부재가 상기 제1 제동 부재로부터 멀리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 가능 부재를 축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KR10-1998-0007856A 1997-03-11 1998-03-10 낚시용릴 KR100480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55965 1997-03-11
JP5596597 1997-03-11
JP97-73698 1997-03-26
JP7369897 1997-03-26
JP21440897A JP3515882B2 (ja) 1997-03-11 1997-08-08 魚釣用リール
JP97-214408 1997-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068A true KR19980080068A (ko) 1998-11-25
KR100480396B1 KR100480396B1 (ko) 2005-06-16

Family

ID=27295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856A KR100480396B1 (ko) 1997-03-11 1998-03-10 낚시용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86005A (ko)
EP (1) EP0873686B1 (ko)
KR (1) KR100480396B1 (ko)
CN (1) CN1189077C (ko)
AU (1) AU741529B2 (ko)
CA (1) CA2231792A1 (ko)
DE (1) DE69815745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948B1 (ko) * 1999-07-07 2007-01-19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KR20170092105A (ko) * 2016-02-02 2017-08-10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4442A (ja) * 1999-06-16 2000-12-26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DE10047433C1 (de) * 2000-09-26 2002-01-03 Stabilus Gmbh Kolben-Zylinderaggregat mit Bremseinrichtung
SE521668C2 (sv) * 2003-02-12 2003-11-25 Pure Fishing Inc Fiskerulle av multiplikatortyp
US6964387B2 (en) * 2004-02-13 2005-11-15 Doyo Engineering Co., Ltd.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lash of spool used in baitcasting reel
JP4403027B2 (ja) * 2004-06-25 2010-01-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WO2006081509A2 (en) * 2005-01-26 2006-08-03 Beckham James P Zero-backlash baitcast fishing reel
US7784724B2 (en) * 2005-01-26 2010-08-31 Beckham James P Zero-backlash baitcast fishing reel with non-contact backlash sensing
JP2009027975A (ja) * 2007-07-26 2009-02-12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4965410B2 (ja) * 2007-11-19 2012-07-0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NZ575464A (en) * 2009-03-10 2010-07-30 Holmes Solution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raking mechanisms
KR100969227B1 (ko) * 2009-09-28 2010-07-14 주식회사 코커스 낚시용 릴의 브레이크 시스템
US20110079672A1 (en) * 2009-10-07 2011-04-07 Hyunkyu Kim Automatic external adjustable spool braking system
EP2377783A1 (de) * 2010-04-14 2011-10-19 Interroll Holding AG Förderrolle mit Fliehkraftbetätigter Magnetbremse.
US8366032B2 (en) * 2011-03-16 2013-02-05 Shih-Yuan Yeh Fishing reel
KR101510728B1 (ko) * 2012-05-04 2015-04-10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정밀 원심 제동시스템을 구비한 낚시릴
JP5944742B2 (ja) * 2012-05-17 2016-07-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NZ619034A (en) 2013-12-16 2015-03-27 Eddy Current Ltd Partnership An assembly to control relative speed of movement between parts
KR102305907B1 (ko) 2014-08-18 2021-09-28 에디 커런트 리미티드 파트너쉽 래칭 장치
AU2015304095B2 (en) 2014-08-18 2020-05-07 Eddy Current Limited Partnership Tuning of a kinematic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EP3835610A1 (en) 2014-08-18 2021-06-16 Eddy Current Limited Partnership Tuning of a kinematic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WO2016029060A1 (en) 2014-08-20 2016-02-25 Mcgowan John Lewis Eddy current braking device for rotary systems
KR20220083840A (ko) 2014-12-04 2022-06-20 에디 커런트 리미티드 파트너쉽 요소들 사이에서의 래치 활성화
US10693360B2 (en) 2014-12-04 2020-06-23 Eddy Current Limited Partnership Transmissions incorporating eddy current braking
AU2015355674A1 (en) 2014-12-04 2017-06-08 Eddy Current Limited Partnership Eddy current brake configurations
EP3912685A1 (en) 2014-12-04 2021-11-24 Eddy Current Limited Partnership Methods of altering eddy current interactions
CA2969423C (en) 2014-12-04 2024-01-02 Eddy Current Limited Partnership Energy absorbing apparatus
BR112018012252B1 (pt) 2015-12-18 2022-08-09 Eddy Current Limited Partnership Mecanismo de controle de funcionamento variável para sistema motriz
CN106993586A (zh) * 2016-01-22 2017-08-01 宁波海宝渔具有限公司 可变速的钓鱼用纺车式卷线器
CN107022754B (zh) * 2016-02-02 2020-06-02 东京毅力科创株式会社 基板处理装置
CN106417203B (zh) * 2016-09-14 2022-03-15 徐帮奇 便捷式变速绕线装置
JP6836404B2 (ja) * 2017-01-19 2021-03-03 株式会社シマノ スプール制動装置
US10918096B2 (en) 2017-07-11 2021-02-16 W.C. Bradley/Zebco Holdings, Inc. Centrifugal braking system for baitcast fishing reels
JP7015690B2 (ja) * 2017-12-27 2022-02-03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スイッチ
KR102095305B1 (ko) * 2018-05-31 2020-04-01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가변식 스풀 플레이트를 구비한 베이트 캐스팅 릴
KR102233310B1 (ko) * 2019-01-30 2021-03-29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원심력을 이용한 이동식 마그넷 브레이크를 구비한 낚시 릴
KR102280541B1 (ko) * 2019-03-28 2021-07-26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이동식 관성력 브레이크를 구비한 낚시 릴
KR102292063B1 (ko) * 2019-10-07 2021-08-20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고정식 상시 브레이크와 이동식 관성력 브레이크를 구비한 낚시 릴
CN111328777A (zh) * 2020-04-24 2020-06-26 深圳波赛冬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双刹车结构、水滴轮及钓具
CN111328778A (zh) * 2020-04-24 2020-06-26 深圳波赛冬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补偿式磁力刹车结构、水滴轮及钓具
KR102599486B1 (ko) * 2020-08-27 2023-11-08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물고기 낚시용 릴, 제동력 제어 시스템 및 제동력 설정 장치
CN112595866B (zh) * 2021-01-29 2022-10-21 国网河南省电力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电能质量分析仪辅助测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857596A1 (ru) * 1979-10-18 1981-08-23 Уфимский авиационный институт им.Орджоникидзе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порошковый тормоз
SE432512B (sv) * 1980-03-18 1984-04-09 Abu Ab Centrifugalbromsanordning vid fiskerulle
JPS6334525Y2 (ko) 1980-07-25 1988-09-13
JPS5855477U (ja) 1981-10-14 1983-04-1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のバツクラツシユ防止装置
JPS5862870U (ja) 1981-10-23 1983-04-2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リ−ル
US4561605A (en) * 1981-12-25 1985-12-31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Brake for a fishing reel
US4601438A (en) * 1985-04-29 1986-07-22 Charles C. Worth Corporation Bait casting reel with braking device
JPH0310867Y2 (ko) * 1985-06-21 1991-03-18
JPH0660987B2 (ja) * 1985-08-09 1994-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の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装置
JPH061340B2 (ja) * 1986-07-29 1994-01-0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自動写真焼付装置
JPH068695Y2 (ja) 1987-04-20 1994-03-0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のバツクラツシユ防止装置
US4946115A (en) * 1988-06-22 1990-08-07 Mueller Gerhard Device for taking up a line
JPH02142161U (ko) * 1989-04-26 1990-11-30
JPH0310867A (ja) * 1989-06-09 1991-01-18 Seiko Epson Corp 紙送り装置
JPH0379665A (ja) * 1989-08-22 1991-04-04 Showa Denko Kk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H0379665U (ko) 1989-12-02 1991-08-14
JPH0616511Y2 (ja) 1990-01-20 1994-05-02 島野工業株式会社 両軸受リール
JP3038002B2 (ja) * 1990-11-27 2000-05-08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H04100384U (ko) * 1991-01-30 1992-08-31
JPH0616511A (ja) * 1991-01-31 1994-01-25 Kiyasupa Kk 抗菌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3020307B2 (ja) * 1991-06-05 2000-03-1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ブレーキ機構
JP2538904Y2 (ja) * 1991-07-10 1997-06-18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遠心ブレーキ機構
JP3100216B2 (ja) * 1991-07-18 2000-10-16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ブレーキ機構
JPH068695A (ja) * 1992-06-24 1994-01-18 Pentel Kk 固形修正具
JPH0717064U (ja) * 1993-09-14 1995-03-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のバックラッシュ防止装置
JP2929517B2 (ja) * 1994-04-01 1999-08-0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バックラッシュ防止装置
US5782420A (en) * 1995-02-21 1998-07-21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 Motion limiting device for inertial spool brakes for fishing reels
US5879273A (en) * 1998-06-03 1999-03-09 Wei; Mike Wheel-type resistance device for a bicycle exercis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948B1 (ko) * 1999-07-07 2007-01-19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양 베어링 릴의 제동장치
KR20170092105A (ko) * 2016-02-02 2017-08-10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15745D1 (de) 2003-07-31
AU741529B2 (en) 2001-12-06
CA2231792A1 (en) 1998-09-11
CN1196170A (zh) 1998-10-21
AU5835198A (en) 1998-09-17
EP0873686A3 (en) 1999-02-10
EP0873686B1 (en) 2003-06-25
DE69815745T2 (de) 2003-12-18
CN1189077C (zh) 2005-02-16
US6086005A (en) 2000-07-11
KR100480396B1 (ko) 2005-06-16
EP0873686A2 (en) 1998-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0396B1 (ko) 낚시용릴
US7618003B2 (en) Baitcast reel having externally adjustable dual brakes having centrifugal and magnetic brakes
US5692693A (en) Backflash preventive device for preventing over rotation of a spool for a fishing reel
JP3509535B2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KR100371633B1 (ko) 양베어링릴의제동장치
US8695910B2 (en) Fishing reel having externally controllable brake system
JP3515875B2 (ja) 魚釣用リール
KR200451591Y1 (ko)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US8899505B2 (en) Brush brake device for a fishing reel
CN111742898B (zh) 具有移动式惯性制动器的渔线轮
JP3515882B2 (ja) 魚釣用リール
US6402073B1 (en) Fishing reel with strip drag mechanism
KR20010066838A (ko) 양 베어링 릴의 원심제동장치
JP3505341B2 (ja) 魚釣用リール
JP3469062B2 (ja) 魚釣用リール
JP3159620B2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3501617B2 (ja) 魚釣用リール
JP3464362B2 (ja) 魚釣用リール
JPH10262521A (ja) 魚釣用リール
US5417377A (en) Drum reel with spool brake
KR100620492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및 줄감김 보조구
JP2008178310A (ja) 魚釣用リール
KR102474110B1 (ko) 비돌출식 메커니컬 브레이크를 구비한 베이트 캐스팅 릴
KR950008075B1 (ko) 스피닝릴
JP3236349U (ja) 両軸受けリール、両軸受けリールの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