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390A - 정제 방법 - Google Patents

정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390A
KR19980070390A KR1019980000234A KR19980000234A KR19980070390A KR 19980070390 A KR19980070390 A KR 19980070390A KR 1019980000234 A KR1019980000234 A KR 1019980000234A KR 19980000234 A KR19980000234 A KR 19980000234A KR 19980070390 A KR19980070390 A KR 19980070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xy
carboxybenzophenone
amino
carbon atoms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9354B1 (ko
Inventor
테일러제임스필립
헨스홀존베리
휘트워쓰존
Original Assignee
아에글라페
시바스페셜티케미칼즈홀딩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에글라페, 시바스페셜티케미칼즈홀딩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에글라페
Publication of KR19980070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3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7/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7/3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Furan Compounds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토산을 알콜 용매와 슬러리화하고, 밀봉된 용기에서 로다민 불순물이 용해될 때까지 슬러리를 승온에서 유지시키고,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순수한 케토산을 분리시킴을 포함하여, 화학식 1의 케토산을 정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8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탄소수 4 내지 8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페닐이며, 이들 둘다는 할로겐 원자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탄소수 7 내지 10의 아르알킬,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콕시알킬, 테트라하이드로푸릴 알킬, 알킬카복시 알킬, 알킬 카복시 벤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될 수 있거나,
R1 및 R2는 인접한 질소 원자와 함께 헤테로사이클릭 환을 형성할 수 있거나,
R1 및 R2중 하나는 수소이다.

Description

정제 방법
본 발명은 케토산을 정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케토산은 압력 또는 열-민감성 기록에 염료로 사용되는 플루오란 화합물의 제조를 위한 유용한 중간 물질이다.
케토산은 N,N-디알킬아미노페놀과 푸탈산 무수물을 0.5 내지 2.0의 몰비로 반응시켜 제조되어 왔다. 합성은 용매의 부재하에 또는 톨루엔, 크실렌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같은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에 80 내지 150℃의 온도에서 N,N-디알킬아미노페놀의 특성에 따라 용액 또는 슬러리로서 수행되어 왔다. 용매는 N,N-디알킬아미노페놀에 대해 0.5 내지 4.5w/w의 비로 사용된다. 이 합성은 또한 케토산과 N,N-디알킬아미노페놀의 반응으로 인한 매우 채색된 다량의 로다민 염료를 제공하므로 순수한 케토산을 제조하는데 문제를 일으킨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생성된 반응 혼합물에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가열하여 부산물인 로다민을 케토산의 알카리 금속염으로 분해시키고, 케토산의 알카리 금속염을 결정화한 후, 물에 재용해시킨 다음, 염을 물로 중화시킨 후 케토산을 회수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다수의 단계가 필요하고, 또한 다량의 중화 폐수를 생성시킨다[일본공개특허공보 제62-70350호 참조]. 문제에 대한 다른 해결책으로 상승된 온도와 압력에서 용액으로부터 케토산을 결정화하여 정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EP 제511,019호 참조]. 그러나, 케토산의 용해는 고온과 대기압 이상의 압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량의 폐수를 형성시키지 않고, 케토산을 용해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특별한 장비에 의존하지 않는, 조 케토산의 정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케토산을 알콜 용매와 슬러리화하고, 밀봉된 용기에서 로다민 불순물이 용해될 때까지 슬러리를 승온으로 유지시키고,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순수한 케토산을 분리시킴을 포함하여, 화학식 1의 케토산을 정제하는 개선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8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탄소수 4 내지 8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페닐이며, 이들 둘다는 할로겐 원자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탄소수 7 내지 10의 아르알킬,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콕시알킬, 테트라하이드로푸릴 알킬, 알킬카복시 알킬, 알킬 카복시 벤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될 수 있거나,
R1 및 R2는 인접한 질소 원자와 함께 헤테로사이클릭 환을 형성할 수 있거나,
R1 및 R2중 하나는 수소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하기의 장점을 제공한다:
1. 다량의 폐수를 형성하지 않고 정제.
2. 고압 반응 및 이에 따른 고도의 위험과 고가의 설비에 의존하지 않는 정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정제할 수 있는 케토산은 하기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2-하이드록시-4-N,N-디-n-프로필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N-디-n-부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N-디-n-펜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N-디-n-헥실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N-디이소프로필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N-디2급부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N-디이소부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N-디이소아밀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메틸-N-사이클로헥실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메틸-N-페닐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메틸-N-(2-메틸페닐)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메틸-N-(3-메틸페닐)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메틸-N-(4-메틸페닐)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메틸-N-프로필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메틸-N-이소프로필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메틸-N-부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메틸-N-이소부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메틸-N-2급부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메틸-N-펜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메틸-N-1-메틸부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메틸-N-이소아밀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메틸-N-1-메틸펜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메틸-N-헥실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메틸-N-테트라하이드로푸릴메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3
2-하이드록시-4-N-메틸-N-에톡시프로필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메틸-N-사이클로헥실메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메틸-N-펜에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에틸-N-사이클로헥실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에틸-N-페닐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에틸-N-(2-메틸페닐)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에틸-N-(3-메틸페닐)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에틸-N-(4-메틸페닐)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에틸-N-프로필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에틸-N-이소프로필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에틸-N-부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에틸-N-이소부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에틸-N-2급부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에틸-N-펜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에틸-N-1-메틸부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에틸-N-이소아밀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에틸-N-1-메틸펜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에틸-N-헥실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에틸-N-테트라하이드로푸릴메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에틸-N-에톡시프로필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에틸-N-사이클로헥실메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에틸-N-펜에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프로필-N-사이클로헥실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프로필-N-페닐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프로필-N-(2-메틸페닐)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프로필-N-(3-메틸페닐)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프로필-N-(4-메틸페닐)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프로필-N-이소프로필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프로필-N-부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프로필-N-이소부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프로필-N-2급부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프로필-N-펜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프로필-N-1-메틸부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프로필-N-이소아밀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프로필-N-1-메틸펜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프로필-N-헥실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프로필-N-테트라하이드로푸릴메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프로필-N-에톡시프로필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프로필-N-사이클로헥실메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프로필-N-펜에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부틸-N-사이클로헥실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부틸-N-페닐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부틸-N-(2-메틸페닐)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부틸-N-(3-메틸페닐)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부틸-N-(4-메틸페닐)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부틸-N-프로필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부틸-N-이소프로필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부틸-N-이소부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부틸-N-2급부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부틸-N-펜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부틸-N-1-메틸부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부틸-N-이소아밀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부틸-N-1-메틸펜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부틸-N-헥실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부틸-N-테트라하이드로푸릴메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부틸-N-에톡시프로필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부틸-N-사이클로헥실메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부틸-N-펜에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페닐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2-메틸페닐)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3-메틸페닐)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4-메틸페닐)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사이클로헥실메틸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피롤리디닐-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2-메틸피롤리디닐)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3-메틸피롤리디닐) 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몰포리닐-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피페리디닐-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2-메틸피페리디닐)-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3-메틸피페리디닐)-2'-카복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4-메틸피페리디닐)-2'-카복시벤조페논.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케토산의 정제를 위해 케토산을 용매와 슬러리화한다. 케토산에 대한 용매의 비는 0.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9일 수 있다. 슬러리는 밀봉된 용기에서 승온에서 유지시킨다. 슬러리는 일반적으로 낮은 압력, 1 내지 2바에서 형성된다. 온도는 용매의 비점 이하 일 수 있다. 로다민 불순물을 용해시키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실질적으로 존재하는 화합물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약 1시간이면 충분하나, 필요한 경우 20시간까지 사용될 수 있다.
압력, 온도 및 용매비를 측정하여 케토산을 반응 동안 슬러리로서 잔류시킨다. 그 후 슬러리를, 예를 들면 20℃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분리시킨다. 이로써 수득한 물질은 로다민 불순물을 거의 또는 전혀 함유하지 않는다.
용매로는 알콜,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예: isopropanol), 부탄올(예: n-부탄올) 또는 펜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알콜과 물의 혼합물 또는 알콜과 탄화수소 용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톨루엔 또는 크실렌과 같은 탄소수 6 내지 10의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펜탄, 헥산 또는 헵탄과 같은 탄소수 5 내지 10의 지방족 탄화수소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2-하이드록시-4-N,N-디-n-부틸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의 정제는 알콜, 예를 들면 메탄올중에서 수행하며, 바람직한 용매 양은 케토산에 대해 0.4 내지 0.9 중량부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로 예시된다.
실시예 1
2-하이드록시-4-N,N-디-n-부틸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200g 및 메탄올 158g을 압력 계량기가 장착된 1ℓ 반응용기에 넣는다. 용기를 밀봉하고, 반응 혼합물을 84 내지 86℃에서 가열하고, 교반한다. 용기내의 압력을 관측하고 2.0 바를 초과하지 않게한다. 케토산은 정제과정 동안 슬러리로 존재한다.
1시간 후 슬러리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케토산을 여과하여 분리한다. 여과 케익을 메탄올(3×40g)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고순도의 케토산 186g을 수득한다. UV 흡광도로 측정한 바 로다민 불순물이 0.47%에서 0.045%로 감소하였다.
실시예 2
2-하이드록시-4-N,N-디-n-디에틸아미노-2'-카복시벤조페논 150g 및 메탄올 118.5g 을 압력 계량기가 장착된 1ℓ의 반응 용기에 넣는다. 용기를 밀봉하고, 반응 혼합물을 84 내지 86℃에서 가열하고, 교반한다. 용기내의 압력을 관측하고 2.0 바를 초과하지 않게한다. 케토산은 정제과정 동안 슬러리로 존재한다.
1시간 후 슬러리를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케토산을 여과하여 분리하고, 건조시켜 고순도의 케토산 146.8g을 정제한다. UV 흡광도로 측정한 바 로다민 불순물이 0.1%에서 0.03%로 감소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다량의 폐수를 형성하지 않고 고압 반응 및 이에 따른 고도의 위험과 고가의 설비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조 케토산을 정제할 수 있다.

Claims (8)

  1. 케토산을 알콜 용매와 슬러리화하고, 밀봉된 용기에서 로다민 불순물이 용해될 때까지 슬러리를 승온에서 유지시키고,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순수한 케토산을 분리시킴을 포함하여, 화학식 1의 케토산을 정제하는 방법.
    화학식 1
    상기식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8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탄소수 4 내지 8의 사이클로알킬 또는 페닐이며, 이들 둘다는 할로겐 원자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탄소수 7 내지 10의 아르알킬,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콕시알킬, 테트라하이드로푸릴 알킬, 알킬카복시 알킬, 알킬 카복시 벤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될 수 있거나,
    R1 및 R2는 인접한 질소 원자와 함께 헤테로사이클릭 환을 형성할 수 있거나,
    R1 및 R2중 하나는 수소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케토산에 대한 용매의 비가 0.1 내지 5.0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케토산에 대한 용매의 비가 0.4 내지 0.9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온도가 용매의 비점 이하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가 알콜, 알콜과 물의 혼합물 또는 알콜과 탄화수소 용매의 혼합물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콜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또는 펜탄올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토산이 2-하이드록시-4-N,N-디-n-부틸아미노-2'-카복시 벤조페논 또는 2-하이드록시-4-N,N-디에틸아미노-2'-카복시 벤조페논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급한 실시예를 참조로 실질적으로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
KR1019980000234A 1997-01-09 1998-01-08 케토산의정제방법 KR100549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700375.0 1997-01-09
GBGB9700375.0A GB9700375D0 (en) 1997-01-09 1997-01-09 Purification proc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390A true KR19980070390A (ko) 1998-10-26
KR100549354B1 KR100549354B1 (ko) 2006-04-12

Family

ID=10805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234A KR100549354B1 (ko) 1997-01-09 1998-01-08 케토산의정제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17086A (ko)
EP (1) EP0853078B1 (ko)
JP (1) JP4213244B2 (ko)
KR (1) KR100549354B1 (ko)
CN (1) CN1174958C (ko)
DE (1) DE69702831T2 (ko)
GB (1) GB9700375D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0213487A (pt) * 2001-10-26 2004-11-03 Ciba Sc Holding Ag Produção de cetoácidos
US20090258309A1 (en) 2008-04-15 2009-10-1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Toner for electrostatic charge image develop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302B2 (ko) * 1972-11-06 1981-03-06
JP3501816B2 (ja) * 1991-04-25 2004-03-02 三井化学株式会社 ケト酸の製造方法
US5371285A (en) * 1991-04-25 1994-12-06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Method of producing keto acids
JP3181107B2 (ja) * 1992-09-22 2001-07-03 三井化学株式会社 ケト酸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53078A1 (en) 1998-07-15
US5917086A (en) 1999-06-29
JP4213244B2 (ja) 2009-01-21
EP0853078B1 (en) 2000-08-16
KR100549354B1 (ko) 2006-04-12
JPH10226673A (ja) 1998-08-25
DE69702831T2 (de) 2001-04-05
CN1190649A (zh) 1998-08-19
GB9700375D0 (en) 1997-02-26
DE69702831D1 (de) 2000-09-21
CN1174958C (zh) 200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RP931521A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alkyl-6-methyl-n-(1'-methoxy-2'-propyl)-aniline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ir chloracetanilides
KR100269079B1 (ko) 할로치환된방향족산의제조방법
HU189641B (en) Process for preparing l-ascorbic acid
NL8201307A (nl) Nieuwe werkwijze voor de bereiding van d-2-(6-methoxy-2-naftyl)-propionzuur.
KR100549354B1 (ko) 케토산의정제방법
EP0253788B1 (en) A method of preparing 5-amino salicyclic acid
EP0858993B1 (en) Method of producing keto acids
US5371285A (en) Method of producing keto acids
PL191331B1 (pl) Sposób wytwarzania N-podstawionych 3-hydroksypirazoli
KR100371241B1 (ko) O,s-디메틸n-아세틸포스포르아미도티오에이트의정제방법
KR100199335B1 (ko) 나부메톤의 제조방법
US5233082A (en) Method of making 3-hydroxy-2,4,5-trifluorobenzoic acid
KR100301756B1 (ko) 0,0'-디아실타르타르산무수물의제조방법및0,0'-디아실타르타르산의제조방법
KR100559186B1 (ko) 케토산의제조방법
US5536877A (en) Preparation of arylbenzylamines
JP3264533B2 (ja) ベンゾフェノン誘導体の製造方法
US4337355A (en) Process for preparing 4-hydroxyphenylacetic acid
US5659076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2,5-dianilino-terephthalic acids
JPS58172344A (ja) フエニルアルカン酸の製造法
JPS6210510B2 (ko)
EP0468821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rhodamines
EP0621260B1 (en) Process for producing N,N-disubstituted p-phenylenediamine derivative sulphate
US4256639A (en)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isatin derivatives
JP2000191646A (ja) アントラピリドン系化合物の製造方法
JPH072742A (ja) 4−アミノ−3−メチル−N−エチル−N−(β−ヒドロキシエチル)アニリン硫酸塩の新規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