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366A - 부호 다중 무선 장치 - Google Patents

부호 다중 무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366A
KR19980063366A KR1019970031264A KR19970031264A KR19980063366A KR 19980063366 A KR19980063366 A KR 19980063366A KR 1019970031264 A KR1019970031264 A KR 1019970031264A KR 19970031264 A KR19970031264 A KR 19970031264A KR 19980063366 A KR19980063366 A KR 19980063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stored
animal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2554B1 (ko
Inventor
오이시야스유키
나가타니까즈오
후꾸마사히데노부
하마다하지메
아사노요시히꼬
Original Assignee
세끼자와다다시
후지쓰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끼자와다다시, 후지쓰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세끼자와다다시
Publication of KR19980063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5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6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with means for reducing the peak-to-average power rat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성한 물체화상과 관련한 다른 물체화상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성하여 표시할 수 있는 물체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물체화상을 구성하는 복수 부위마다의 부위패턴을 복수종류 기억하는 부위패턴 기억수단(12B, 12C)과, 상기 부위패턴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종류의 부위패턴 중에서 선택된 부위패턴을 각 부위마다 조합하여 구성된 제 1 물체화상을 복수 기억하는 제 1 물체화상 기억수단(131, 132)과, 상기 제 1 물체화상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물체화상을 각각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 중에서 각 부위마다 하나의 부위패턴을 선택하는 부위패턴 선택수단(6, 7, 14, 11)과, 상기 부위패턴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각 부위마다의 부위패턴을 조합하여 제 2 물체화상을 작성하는 작성수단(11, 13b)과, 상기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된 제 2 물체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9)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화상표시장치및방법
본 발명은 동물이나 건조물 등의 물체화상을 작성하여 표시하는 물체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몽타주 사진을 작성하는 경우와 같은 요령으로 얼굴 등의 물체화상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한 물체화상작성장치라고 일컬어지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물체화상작성장치는 윤곽, 두발형, 눈, 코, 입, 눈썹 등의 얼굴을 구성하는 각 부위마다 당해 부위의 형상을 나타내는 부위패턴을 각각 복수종류 기억한 부위패턴메모리를 갖고 있다. 또한 얼굴 등의 물체화상 작성시에 그 화상의 각 부위를 지정하 기위해 조작되는 부위지정스위치와, 이 부위지정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부위에 관계한 부위패턴을 복수종류의 부위패턴 중에서 지정하기 위해 조작되는 부위패턴지정스위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 임의의 물체화상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부위지정스위치를 조작하여 물체화상을 구성하는 부위를 지정한다.
부위지정스위치의 조작으로 지정된 부위마다 부위패턴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복수종류의 부위패턴 중에서 희망하는 부위패턴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각 부위마다의 부위패턴 조합에 의거하여 희망하는 물체화상을 작성하도록 하고 있다.
물체화상작성장치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같이 복수 부위마다의 부위패턴 조합으로 구성되는 물체화상을 작성하고, 그 작성한 물체화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고, 작성한 물체화상과 관련한 물체화상, 예를들면 작성한 부부의 얼굴화상과 관련한 자식의 얼굴화상, 작성한 현재 체중에 있어서의 얼굴화상 또는 전신 화상에서 그 체중을 증감시킨 경우에 예상되는 얼굴화상 또는 전신 화상 또는 작성한 정면의 얼굴화상과 관련한 다른 측면의 얼굴 화상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작성한 물체화상과 관련한 다른 물체화상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성하여 표시할 수 있는 물체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물체화상을 구성하는 복수 부위마다의 부위패턴을 복수종류 기억하는 부위패턴 기억수단과, 상기 부위패턴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종류의 부위패턴 중에서 선택된 부위패턴을 각 부위마다 조합하여 구성된 제 1 물체화상을 복수 기억하는 제 1 물체화상기억수단과, 상기 제 1 물체화상기억수 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물체화상을 각각 구성하는 각 부위 패턴 중에서 각 부위마다 하나의 부위패턴을 선택하는 부위패턴 선택 수단과, 상기 부위패턴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각 부위마다의 부위 패턴을 조합하여 제 2 물체화상을 작성하는 작성수단과, 상기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된 제 2 물체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다른 발명은 같은 대상물에서 각각 형상이 다른 적어도 제 1, 제 2 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데이터 기억수단과, 상기 화상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 1, 제 2 화상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화상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 1, 제 2 화상데이터에 의거하고, 상기 대상물과 같은 대상물에서 상기 제 1, 제 2 화상데이터에 관련하고, 또 당해 제 1, 제 2 화상데이터와는 다른 형상의 제 3 화상데이터를 작성하는 제 3 화상데이터 작성수단과, 상기 제 3 화상데이터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된 제 3 화상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같은 대상물」은 같은 부위를 같은 개수분 구비한 물체를 가리키고, 인간끼리는 물론이고 인간과 동물, 자동차와 자동차 등도 포함된다.
또한 다른 발명은 인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복수 부위마다의 부위패턴을 복수종류 기억하는 부위패턴 기억수단과, 상기 부위패턴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종류의 부위패턴 중에서 선택된 부위패턴을 각 부위마다 조합한 화상을 작성하는 제 1 화상작성수단과, 상기 제 1 화상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된 화상의 변화를 인체의 변화데이터로서 설정하는 변화데이터 설정수단과, 상기 변화데이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변화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 1 화상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되어 있는 제 1 화상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패턴을 상기 부위패턴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다른 부위패턴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 1 화상과는 다른 형태의 제 2 화상을 작성하는 제 2 화상작성수단과, 상기 제 2 화상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된 제 2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변화데이터」는 체중에 관한 데이터 및 신장에 관한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가리킨다.
또한 다른 발명은 물체화상을 일방향에서 본 경우의 화상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 화상데이터 기억수단과, 상기 제 1 화상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데이터에 의거하고, 상기 물체를 상기 일방향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경우의 화상데이터를 작성하는 화상데이터 작성수단과, 상기 화상데이터 작성수단에 의해 작성된 화상데이터를 상기 제 1 화상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데이터에 대응 시켜 기억하는 제 2 화상데이터 기억수단과, 상기 제 1, 제 2 화상데 이터 기억수단에 각각 기억되어 있는 제 1, 제 2 화상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각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화상을 표시하는 수단이면 좋고, 액정표시장치등 외에 프린터도 포함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물제화상표시장치의 평면도.
제 2 도는 동(同) 물체화상표시장치의 주요부분 확대도.
제 3 도는 동 물체화상표시장치 전체의 회로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 4 도는 기본부위패턴 ROM의 각 부위패턴의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 5 도는 유아용 부위패턴 ROM의 각 부위패턴의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 6 도는 개인·몽타주 RAM의 데이터의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도.
제 7 도는 본 제 1 실시예의 제너럴 플로.
제 8 도는 개인데이터의 입력·등록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 9 도는 피합성자 몽타주 작성·등록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 10 도는 데이터 합성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 11 도는 유아 몽타주 작성·등록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 12 도는 몽타주 합성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 13 도는 제 12 도에 이어지는 몽타주 합성처리의 플로챠트.
제 14 도는 부위선택·등록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 15 도는 표시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 16a 도∼제 16c 도는 각 몽타주화상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 16d 도는 각 피합성자와 합성된 합성자의 유아 몽타주화상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 17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에에 관계되는 물체화상표시장치의 평면도.
제 18 도는 동 물체화상표시장치 전체의 회로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 19 도는 기본부위패턴 ROM의 각 부위패턴의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 20 도는 체중증감용 부위패턴 ROM의 각 부위패턴의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 21 도는 개인·몽타주데이터 RAM의 데이터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 22 도는 본 제 2 실시예의 제너럴 플로.
제 23 도는 개인데이터의 입력·등록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 24 도는 검색·표시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 25 도는 제 24 도에 이어지는 검색·표시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 26a 도∼제 26C 도는 등록시·체중증가시 및 체중감소시에 있어서의 각 몽타주화상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 27a 도 및 제 27b 도는 체중증가시 및 체중감소시에 있어서의 다른 각 몽타주화상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 28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계되는 물체화상표시장치의 평면도.
제 29 도는 동 물체화상표시장치 전체의 회로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 30 도는 기본부위패턴 ROM의 각 부위패턴의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 31 도는 몽타주 RAM의 데이터의 격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 32 도는 본 제 3 실시예의 제너럴 플로.
제 33 도는 정면 몽타주 등록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 34 도는 우측면 몽타주 등록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 35 도는 배면 몽타주 등록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 36 도는 일괄표시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챠트.
제 37a 도∼제 37D 도는 각 처리에 있어서의 몽타주화상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 : 항목스위치군 7 : 난수발생회로
9 : 제 2 표시부 11 : CPU 12B : 기본부위패턴 ROM
12C : 유아부위패턴 ROM 14 : 난수발생회로
131 : 데이타합성용작업영역 132 : 몽타주합성용영역
136 : 유아용데이타영역
[제 1 실시예]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물체화상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이 제 1 도에 도시하는 물체화상표시장치(1)는 힌지(2)를 끼워 연결된 앞케이스(3)와 뒤케이스(4)로 구성되어 있다. 앞케이스(3) 측에는 액정표시장치 등으로 구성된 제 1 표시부(5)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제 1 표시부(5)의 하부에는 항목스위치군(6)과 온·오프스위치(8) 및 부위스위치군(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항목스위치군(6)은 제 2 도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같이 OK스위치(6n), 개인스위치(6a), 합성스 위치(6b), 검색스위치(6c), 합성비율스위치(6d), 혈액형스위치(6e), 피합성자스위치(6f), 난수스위치(6g), 부위선택스위치(6h), 유아스위치(6i), 유전스위치(6j), 및 등록스위치(6k)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위스위치군(7)은 두발형스위치(7a), 눈썹스위치(7b), 눈스위치(7c), 귀스위치(7d), 코스위치(7e), 윤곽스위치(7f), 입스위치(7g), 양손스위치(7h), 복장스위치(7i) 및 양발스위치(7j)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뒤케이스(4) 측에는 상기 제 1 표시부(5)에 의해 표시면적이 작은 제 2 표시부(9)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제 2 표시부(9)의 하부에는 수치 스위치(10a)나 알파벳스위치(10b) 등으로 구성되는 데이터입력스위치 (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표시부(5)에는 합성대상이 되는 2명의 피합성자 몽타주화상(MA2, MA3)이, 또한 상기 제 2 표시부(9)에는 이 2명의 피합성자 몽타주화상(MA2, MA3)에 의거하여 작성된 합성자의 몽타주화상 (MA6)이 각각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3 도는 이 실시예에 관계되는 물체화상표시장치(1)의 전체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전술한 각 스위치(6, 7, 8, 9, 10)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부(18)에 입력된 스위치정보는 CPU(11)에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CPU(11)는 ROM(12)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ROM(12A)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데이터 및 난수발생회로(14)에서 발생되는 난수데이터 등에 의거하고, 이 물체화상표시장치(1)에 있어서 필요가 되는 모든 제어를 실행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의 각 표시부(5, 9)를 구동하는 표시구동회로(15)를 표시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ROM(12)은 상기 프로그램 ROM(12A) 외에, 기본부위패턴을 기억하는 기본부위패턴 ROM(12B), 유아부위패턴을 기억하는 유아부위패턴 ROM(12C)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본부위패턴 ROM(12B)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부위스위치군(7)에 각각 대응하는 윤곽, 두발형, 눈, …양발 등 10종류의 각 부위마다의 부위패턴이 각각 「01」∼「50」까지의 부위패턴 NO.와 관계지워 대응하는 부위 영역에 각각 격납되어 있다. 또한 유아부위패턴 ROM(12C)도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부위스위치군(7)중 윤곽스위치(7f), 두발형 스위치(7a), 복장스위치(7i), 양손스위치(7h) 및 양발스위치(7j)에 각각 대응하는 윤곽, 두발형, 복장, 양손, 양발의 5종류 부위마다의 부위패턴이 각각 「01」∼「50」까지의 부위패턴번호와 관계지워 대응하는 부위영역에 각각 격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아부위패턴 ROM(12C)에서는 상기 기본부위패턴 ROM(12B)과는 달리 유아의 특징이 가장 현저한 윤곽, 두발형, 복장, 양손, 양발의 5종류 부위의 부위패턴 만이 격납되어 있다. 이때문에 이들 윤곽, 두발형, 복장, 양손, 양발 의 5종류 부위의 부위패턴은 부위스위치군(7)중 윤곽스위치(7f), 두발형스위치(7a), 복장스위치(7i), 양손스위치(7h) 및 양발스위치(7j )의 조작으로 각각 지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인·몽타주 데이터 RAM(13)에는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표시레지스터(130), 항목데이터영역(152), 데이터합성용 작업영역(131), 몽타주합성용영역(132) 및 축소합성용영역(133)이 설치되어 있다. 항목데이터영역(152)은 항목의 「1」∼「50」까지로 50명분의 개인데이터를 기억하는 개인데이터영역(134)과, 그 개인데이터에 대응하는 몽타주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부위마다의 부위패턴 NO.를 기억하는 몽타 주데이터영역(135)으로 구분되어 있다. 각 항목의 개인데이터영역(134)에는 상기 데이터입력스위치(10)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이름, 혈액형, 전화, 연령이 기억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몽타주 데이터영역(135)을 구성하는 「윤곽」에서 「양발」까지 10종류의 각 부위영역에는 상기 부위스위치군(7)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윤곽, 두발 형, … 등의 각 부위패턴에 대응한 부위패턴 NO.가 제 4 도에 도시한 「01」∼「50」의 부위패턴 NO.로 기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아용데이터영역(136)도 개인데이터영역(134)과 몽타주데이터영역 (135)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선택부위영역(137)은 합성대상이 되는 2명의 피합성자용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며, 제 1 피합성자용영역(138)과 제 2 피합성자용영역(139)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 피합성자용영역(138, 139)에는 눈썹, 눈, 윤곽 등 10종류의 부위영역에 각각 대응하고, 「0」 또는 「1」의 데이터를 10비트의 데이터로 기억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몽타주합성시에 그 합성에 사용되는 부위패턴으로서 1의 데이터가 기억된 부위영역에 대응하는 피합성자측의 부위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부위패턴이 사용되지만, 반대로 0의 데이터가 기억된 부위영역에 대응하는 피합성자측의 부위영역에 기억하고 있는 부위패턴은 사용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제 6 도 에 도시하는 실시예의 경우, 예를들면 「윤곽영역」에 관해 제 1 피 합성자측에 1이, 또한 제 2 피합성자측에 0이 기억되어 있으므로 몽타주합성시에는 제 1 피합성자의 「윤곽」 부위패턴이 채용되는 것을 나타내지만, 반대로 「양발영역」에 관해 제 1 피합성자측에 0이, 또 제 2 피합성자측에 1이 기억되어 있으므로 몽타주합성시 에는 제 2 피합성자의 「양발」 부위패턴이 채용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때문에 제 1 피합성자의 몽타주화상과 제 2 피합성자의 몽타주 화상에 의거하여 새로 합성자의 몽타주화상을 작성한 경우, 각 부위 영역에 1이 많을수록 당해 1의 데이터가 기억된 부위영역에 대응하는 피합성자측의 부위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부위패턴이 합성자의 부위패턴으로서 많이 채용되게 되므로, 합성자의 몽타주화상은 당해 1의 데이터가 많은 쪽이 피합성자측의 몽타주화상에 닮게된다.
또한 데이터합성용영역(131) 및 몽타주합성용영역(132)은 선택된 부위마다의 각 부위패턴을 당해 부위패턴 부위의 위치마다 합성하고, 그 합성된 몽타주화상을 기억하는 화상영역이고, 또한 축소합성용영역(133)은 작성된 몽타주화상을 유아의 몽타주화상 등을 위해 축소하여 기억하는 화상영역이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에 관련되는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제 7 도 이후에 도시한 플로챠트에 따라 설명한다.
제 7 도는 본 실시예의 제너럴 플로이고, 제 8 도에 도시하는 개인데이터의 입력·등록처리(단계 SA1), 제 9 도에 도시하는 피합성자 몽타주작성·등록처리(단계 SA2), 제 11 도에 도시하는 유아몽타주작성·등록처리(단계 SA3), 제 12 도 및 제 13 도에 도시하는 몽타주 합성처리(단계 SA4), 제 15 도에 도시하는 표시처리(단계 SA5)의 순으로 처리된다.
〈개인데이터의 입력·등록처리〉
이하 그 구체적인 플로챠트에 대해서 설명하면 먼저 개인데이터의 입력·등록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A1). 이 입력·등록처리는 제 8 도에 도시한 플로챠트에 따르고, 개인스위치(6a)가 조작된 것을 조건으로 실행된다(단계 SB1). 이 개인스위치(6a)가 조작된 것이 판별되었다면 데이터입력스위치(10)의 조작에 의해 개인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단계 SB2), 개인데이터가 입력된 것이 판별된 경우에는 이 입력된 개인데이터를 제 6 도에 도시한 개인·몽타주데이터 RAM(13)의 개인데이터영역(134)에 기입한다(단계 SB3).
그런후에 등록스위치(6k)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단계 SB4), 등록스위치(6k)가 조작될 때까지 단계 SB2∼단계 SB4의 루프를 반복한다. 따라서 그동안 데이터입력스위치(1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이름, 혈액형, 전화번호, 연령을 입력하면 제 6 도에 도시한 항목 의 「1」∼「50」 어딘가에 입력된 각 데이터가 기입된다. 이름, 혈액형, 전화번호, 연령 등의 항목에 기입하는 데이터의 입력을 완료한 후에 등록스위치(6k)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이 제 8 도의 플로챠트에서 제 7 도의 제너럴 플로로 복귀한다.
〈피합성자 몽타주작성·등록처리〉
제 7 도의 제너럴 플로에 있어서 단계 SA1에 이어지는 단계 SA2에서는 피합성자 몽타주작성·등록처리를 실행한다. 이 피합성자 몽타 주작성·등록처리는 제 9 도에 도시한 플로챠트에 따라서, 피합성자 스위치(6f)가 조작된 것을 조건으로 실행된다(단계 SC1). 피합성자스위치(6f)가 조작된 것이 판별되었으면 기본부위패턴 ROM(12B) 내의 기본부위패턴에 대응하는 부위패턴 NO.의 각 「01」이 초기설정된다 (단계 SC2). 여기서 초기설정되는 기본부위패턴 NO.의 「01」은, 제 4 도에 표시한 부위의 「1」에서 표시되는 「윤곽」부터 부위의 「10」에서 표시되는 「양발」까지의 「01」열에 기억되어 있는 각 부위패턴 NO.를 가리킨다. 따라서 이 단계 SC2의 처리에 의해 「01」열에 각각 기억되어 있는 「1」에서 표시되는 「윤곽」부터 「10」에서 표시되는 「양발」까지 10개의 각 부위패턴(전신을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에 대응하는 부위패턴 NO.가 개인·몽타주데이터 RAM(13)의 몽타주데이터영역(135)에 초기설정으로서 기억된다.
계속해서 데이터 합성처리(단계 SC3)가 실행되는데, 이 데이터 합성처리는 제 10 도에 도시한 플로챠트에 따라 실행된다.
즉, 전술한 몽타주데이터영역(135)에 초기설정되어 있는 각 부위패턴 NO. 중에서 최초로 「윤곽」 부위패턴 NO.의 「01」을 판독하고 (단계 SD1), 이 판독한 「윤곽」 부위패턴 NO.의 「01」에 대응하는 부위패턴을 개인·몽타주데이터 RAM(13)의 몽타주합성용영역(132)에 전송한다(단계 SD2). 다음에 「두발형」 부위패턴 NO.의 「01」을 판독하고(단계 SD3), 이 판독한 두발형 부위패턴 NO.에 대응하는 부위 패턴을 상기 몽타주합성용영역(132)에 전송한다(단계 SD4). 그리고 눈, 코, 입 등 외의 부위에 대해서도 같은 처리를 실행한 후(단계 SD5), 이 전송된 각 부위패턴을 몽타주합성용영역(132)에서 합성하고, 이 합성된 기본형의 몽타주화상(MA1)을 제 16a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 이 제 1 표시부(5)에 표시시킨다(단계 SD6). 그리고 제 16a 도∼제 16d 도 및 제 1 도에 있어서 표시되는 각 몽타주화상(MA1∼MA6)은 전신이 아닌, 상반신만의 몽타주화상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이 단계 SD6의 처리에 의해 제 1 표시부(5)에는 제 4 도의 부위 「1」에서 표시되는 「윤곽」부터 부위 「10」에서 표시되는 「 양발」까지의 「01」 열에 각각 기억되어 있는 각 부위패턴 NO.에 대응하는 각 부위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전신의 기본형 몽타주화상 (MA1)이 초기설정시에 있어서의 몽타주화상으로서 표시되게 된다. 사용자는 만약 이 기본형의 몽타주화상(MA1)을 수정할 필요가 있으면 이 기본형 몽타주화상(MA1)에 의거하고, 이하의 스위치조작에 의해 희망하는 몽타주화상을 작성하게 된다.
즉, 제 9 도의 단계 SC3에 이어지는 단계 SC4에서는 부위스위치군 (7)중 먼저 윤곽스위치(7f)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단계 SC4), 윤곽스위치(7f)가 조작된 것이 판별되었다면 그 스위치(7f)로 지정된 「윤곽」의 부위패턴에 대응하는 부위패턴 NO.를 초기설정되어 있는 「01」에서 「02」로 변경한다(단계 SC5). 이 변경된 부위패턴 NO.의 「02」는 개인·몽타주데이터 RAM(13)의 「윤곽영역」 내에 변경하여 기억된 후, 전술한 데이터합성처리(단계 SC3)를 실행한다.
이렇게 해서 1회 윤곽스위치(7f)를 조작하면 제 1 표시부(5)에 표시되어 있는 기본형 몽타주화상(MA1)을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 가운데 「윤곽」 부위패턴이 초기설정되어 있는 「01」의 부위패턴 NO.에 대응하는 부위패턴에서 「02」의 부위패턴 NO.에 대응하는 부위패턴으로 변경되어 표시된다. 이 경우 「윤곽」 부위패턴은 ROM(12B)에 50종류 기억되어 있으므로, 윤곽스위치(7f)를 연속적으로 조작하면 기본형 몽타주화상(MA1)을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 가운데 「윤곽」의 부위패턴만을 다른 「윤곽」의 부위패턴으로 50개분 변경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50종류의 「윤곽」 부위패턴 중에서 작성하고자 하는 피합성자의 몽타주화상을 구성하는 「윤곽」 부위패턴과 같거나 닮은 「윤곽」의 부위패턴이 제 1 표시부(5)에 표시된 후는, 다음에 두발형스위치(7a) 를 조작하면 단계 SC6의 판별이 YES가 되고, 「두발형」 부위패턴에 대응하는 부위패턴 NO.가 「01」에서 「02」로 변경(단계 SD7)되므로, 전신 몽타주화상중 「두발형」 부위패턴이 「02」의 부위패턴 NO.에 대응한 「두발형」 부위패턴에 변경표시된다. 이 경우도 「두발형」 부위패턴은 ROM(12B)에 50종류 기억되어 있으므로, 두발형스위치(7a )의 조작에 의해 전신 몽타주화상을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중 「두발 형」 부위패턴만을 다른 「두발형」 부위패턴으로 50개분 변경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이하 마찬가지로 해서 제 2 도에 도시한 눈스위치(7c)∼양발스위치(7j)를 조작하고, 작성하고자 하는 피합성자의 몽타주화상을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과 같거나 닮은 부위패턴에 대응하는 부위 NO.로 변경시키고, 이것에 의해 최초로 표시된 기본형의 전신 몽타주화상(MA1)에 의거하고, 제 16d 도의 좌측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작성하고자 하는 피합성자의 전신과 같거나 닮은 전신 몽타주화상(MA2)을 표시시킨다.
작성하려고 한 피합성자의 전신과 같거나 닮은 몽타주화상(MA2)이 표시되었다면 OK스위치(6n)(알파벳스위치(10b)의 조작으로「OK」라고 입력해도 된다)를 조작하고, 등록직전 몽타주화상의 표시상태를 제 1 표시부(5)에서 확인한 후에 등록스위치(6k)를 조작하면 단계 SC16에 서 단계 SC17로 이행하고, 전술한 제 8 도의 플로챠트에서 개인데이터로서 입력된 피합성자의 이름이 예를들어 「A」이면 그 「A」가 기억되어 있는 항목의 「1」에 대응한 몽타주데이터영역(135)에 전술한 부위스위치군(7)의 조작으로 지정된 각 부위패턴 NO.(몽타주데이터)가 최종적으로 등록된다. 그리고 제 6 도에 있어서, 「양손영역」 및 「양발영역」에 각각 기재되어 있는 「없음」은 양손스위치(7h) 및 양발스위치(7j)가 조작되는 일 없이, OK스위치(6n) 및 등록스위치(6k )가 조작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는 「양손」, 「양발」의 각 부위패턴을 제외하는 다른 모든 부위의 부위패턴에 대응한 부위패턴 NO.가 최종적으로 등록되게 된다.
이상의 개인데이터의 입력·등록처리(단계 SA1) 및 피합성자 몽타 주작성·등록처리(단계 SC1∼SC17)를 적어도 2번 실행하므로서, 적어도 2명분의 피합성자 몽타주화상(MA1, MA2)을 작성·등록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50명분의 피합성자 몽타주데이터가 개인데이터영역(134)에 기억되어 있는 개인데이터와 함께 개인·몽타 주데이터 RAM(13)의 몽타주데이터영역(135)에 등록된 경우를 나타낸다.
〈유아몽타주작성·등록처리〉
한편, 제 7 도의 제너럴 플로에 있어서 단계 SA2에 이어지는 단계 SA3에서는 유아몽타주작성·등록처리가 실행된다.
이 유아몽타주작성·등록처리는 제 11 도에 도시한 플로챠트에 따라서, 유아스위치(6i)가 조작된 것을 조건으로 실행된다(단계 SE1). 유아스위치(6i)가 조작된 것이 판별되었으면 단계 SE2∼단계 SE15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 단계 SE2∼단계 SE15의 처리는 상술한 제 9 도 의 플로챠트와 내용적으로 동일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유아의 특징이 가장 현저한 부위의 부위패턴은 유아전용의 부위스위치가 되는 윤곽스위치(7f), 두발형스위치(7a), 복장스위치(7i), 양손스위치(7h), 양발스위치(7j)의 5개 스위치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이들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유아몽타주작성·등록처리를 실행한다.
이 제 11 도의 플로차트에 따라 전술한 제 9 도에 도시하는 피합 성자의 몽타주작성·등록처리와 같은 처리가 실행되면, 최초로 전신 (단 눈, 코, 입, 눈썹, 귀를 제외함)의 기본형 몽타주화상(MA4)이 제 16b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표시되므로(단계 SE2), 그 몽타주화상 (MA4)에 의거하고, 윤곽스위치(7f), 두발형스위치(7a), 복장스위치 (7i), 양손스위치(7h), 양발스위치(7j)의 조작에 의해 지정한 윤곽, 두발형, 복장, 양손, 양발의 각 부위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수정후의 몽타주화상(MA5)을 제 16c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표시하고, OK스위치(6n) 및 등록스위치(6k)가 조작되었다면 그 수정후의 몽타주 화상(MA5)을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에 대응한 각 부위패턴 NO.가 제 6 도의 유아데이터영역(136)에 최종적으로 등록된다.
〈몽타주 합성처리〉
그리고 제 7 도의 제너럴 플로에 있어서, 단계 SA3에 이어지는 단계 SA4에서는 몽타주 합성처리가 실행된다. 이 몽타주 합성처리는 복수의 피합성자 몽타주화상을 부분적으로 합성하여 합성자용의 새로운 몽타주화상을 작성하기 위한 처리이다.
이 몽타주 합성처리는 제 12 도 및 제 13 도에 도시한 일련의 플로챠트에 의해 합성스위치(6b)가 조작된 것을 조건으로 실행된다(단 계 SF1). 합성스위치(6b)가 조작된 것이 판별되었다면 「개인검색어 ?」의 표시를 제 1 표시부(5)에 실행한다(단계 SF2). 사용자는 이 표시에 따라 미리 개인·몽타주데이터 RAM(13)에 기억하고 있는 개인 데이터의 이름 「A」, 「B」, 「C」… 어느것인가의 이름과 같은 이름을 데이터입력스위치(10)의 조작에 의해 검색데이터로서 입력한다 (단계 SF3). 다음에 검색스위치(6c)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단계 SF4), 검색스위치(6c)가 조작된 것이 판별되었으면 전단계 SF3에서 입력된 검색데이터인 이름이 개인데이터의 어느것인가의 이름과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단계 SF5).
양 데이터가 일치하여 데이터입력스위치(10)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검색용 이름이 개인·몽타주데이터 RAM(13)의 개인데이터영역(134)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일치에 관계되는 개인데이터와 그 개인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부위패턴 NO.를 판독하고(단계 SF6), 이 판독한 개인데이터와 각 부위패턴 NO.와의 일괄표시 외에 「n명째 검색중」의 문자표시를 실행한다(단계 SF7). 따라서 데이터입력스위치(10)를 조작하여 에를들면 「A」의 이름을 입력하면 입력된 「A」의 이름, 혈액형, 전화, 연령 외에 「A」의 몽타주화상(MA2)을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에 대응한 부위패턴 NO.의 「01」, 「02」, 「02」…가 일괄표시됨과 동시에 「1명째 검색중」의 문자가 제 1 표시부(5)에 표시된다.
〈부위선택·등록처리〉
다음에 CPU(11) 내의 도시하지 않은 카운터(n)를 카운트 아웃시킨 후(단계 SF8) 부위선택·등록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F9). 이 부위선택·등록처리는 합성자의 몽타주화상을 작성할 때에 그 몽타주화상을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으로서 2명의 피합성자 몽타주화상을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중 어느것의 부위패턴을 부위마다 선택할 것인지를 결정 하는 처리와, 선택된 부위마다의 각 부위패턴에 대응하는 부위패턴 NO.를 등록하기 위한 처리이다.
이 부위선택·등록처리는 제 14 도에 도시한 플로챠트에 따라 단계 SG1, SG4, SG7, SG10에서 각각 난수스위치(6g), 부위선택스위치 (6h), 합성비율스위치(6d), 유전스위치(6i) 또는 혈액형스위치(6e)중 한개의 스위치가 조작된 것을 조건으로 실행된다.
먼저 난수스위치(6g)가 조작된 것이 판별되었다면(단계 SG1이 YES) 난수발생회로(14)를 동작시키고 난수데이터의 1 또는 0을 무작위로 순차발생시킨다(단계 SG2). 제 1 및 제 2 피합성자용영역(138, 139)의 「윤곽」, 「두발형」…등 10개분의 부위영역마다 난수발생회로(14)에서 무작위로 순차발생된 「1」 또는 「0」을 순차표서방식으로 기억시킨다(단계 SG2A). 부위영역에 전에 기억된 난수데이터도 뒤에 무작위로 순차발생된 난수데이터가 기입되면 그 난수데이터로 바꿔 기억된다. 이 난수데이터가 무작위로 순차발생된 후, 임의의 시간경과 후에 사용자가 OK스위치(6n)를 조작하면(단계 SG2B) 그 조작의 시점에서 각 부위영역에 표서기억되어 있는 난수데이터의 1 또는 0이 최종적으로 등록된다(단계 SG3). 이 경우 제 1 및 제 2 피합성자영역(138, 139)의 각 부위영역중 어느것인가가 한쪽 부위영역에 1이 등록되었을 때는 각 피합성자의 각 부위패턴이 동일부위에 있어서 중복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쪽 부위영역에는 0이 자동적으로 등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의 의지와는 관계 없이, 제 1 및 제 1 피합성자영역(138, 139)의 각 부위영역중 어느것 인가가 한쪽 부위영역에 1을 자동적으로 등록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경우 난수발생회로(14)에서 무작위로 순차발생된 난수데이터에 의존하여 제 1 및 제 2 피합성자영역(138, 139)의 각 부위영역중 어느것인가 한쪽 부위영역에 1을 등록시키므로, 극단한 경우 한쪽 전체부위영역에 1이 등록되는 일도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와는 달리 제 1 및 제 2 피합성자용영역(138, 139) 10개의 각 부위영역 각각에 난수발생회로(14)에서 무작위로 순차발생된 「1」 또는 「0」을 차례로 기억시키고, 모든 부위영역에 난수데이타가 기억되었으면 그 시점에서 각 부위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난수데이타의 1 또는 0 을 최종적으로 등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피합성자영역(138, 139) 10개의 각 부위영역 각각에 난수발생회로(14)에서 무작위로 순차발생된 「1」 또는 「0」을 반복하여 표서기입시키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기간이 경과했다면 그 경과시점에서 각 부위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난수데이터의 1 또는 0을 최종적으로 등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난수스위치(6g)가 조작되지 않고, 부위선택스위치(6h)가 조작된 것이 판별된 경우(단계 SG4가 YES)에는 다음 단계에 있어서 부위스위치군(7)이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단계 SG5), 이 스위치(SG5)에 있어서 부위스위치군(7)중 소정 스위치(7a∼7j)가 조작된 것을 판별한 경우에는 제 1 피합성자용영역(138)중 조작된 부위스위치(7a∼7j)로 지정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영역에 「1」을 기억한 다(단계 SG6). 이 경우 사용자가 부위스위치(7a∼7j)중 어느것인가의 조작을 실행하면 그 조작에 의해 지정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영역에만 「1」이 기억된다. 이로인해 예를들면 윤곽스위치(7f)를 조작한 경우에는 먼저 제 1 피합성자용영역(138)의 윤곽영역에 「1」이 기억 되고, 또한 두발형스위치(7a)를 조작한 경우에는 두발형영역에 「1」 이 기억되지만, 일단 각 영역에 「1」이 기억되면 제 2 피합성자용영역(139)의 대응하는 윤곽 등의 부위영역에는 자동적으로 「0」이 기억되게 된다.
또한 이 부위선택스위치(6h)도 조작되지 않고, 합성비율스위치(6d)가 조작된 것이 판별된 경우(단계 SG7이 YES)에는 다음 단계에 있어서 수치스위치(10a)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단계 SG8), 수치스위치(10a)가 조작된 것이 판별되었다면 이 수치스위치(10a)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수치에 따라 제 1 피합성자용영역(138) 및 제 2 피합성자용영역(139)의 각 영역중 한쪽 부위영역에만 「1」을 기억한다(단계 SG9). 예를 들면 제 1 피합성자와 제 2 피합성자의 합성비율을 50%씩으로 하기 위해, 수치스위치(10a)의 조작에 의해 「50」의 수치가 입력된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피합성자용영역(138, 139)의 각 부위영역에는 동일개수(이 실시예의 경우, 5개)의 1을 각각 기억한다. 또한 「80%」, 「20%」의 합성비율로 하기 위해 수치스위치(10a)의 조작에 의해 「80」 및 「20」의 수치가 입력된 경우에는 제 1 피합성자용영역(138)의 각 부위영역에는 「80」에 대응한 개수 분의 1을, 또한 제 2 피합성자용영역(139)의 각 부위영역에는 「20」에 대응한 개수분의 1을 기억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부위영역은 10개이므로 제 1 피합성자용영역(138)에는 「8」개, 또 제 2 피 합성자용영역(139)의 각 부위영역에는 「2」개 각각 1을 기억한다.
이 경우도 제 1 피합성자용영역(138) 및 제 2 피합성자용영역(139)과의 각 부위영역중 한쪽 부위영역에 1이 기억되면 이 한쪽 부위영역과 대응하는 다른쪽 부위영역에는 0이 자동적으로 기억되게 된다.
그리고 이 합성비율스위치(6d)도 조작되지 않고, 유전스위치(6j) 또는 혈액형스위치(6e)가 조작된 것이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다음 단계에 있어서 부위스위치군(7)이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단 계 SG11), 부위스위치군(7)이 조작된 것이 판별된 경우는 조작된 부위스위치군(7)에 대응하고, 제 1 피합성자용영역(138)과 제 2 피합성자용영역(139)중 한쪽 부위영역에만 1을 기억한다(단계 SG12). 즉, 유전스위치(6j) 또는 혈액형스위치(6e)가 조작된 후에, 계속해서 사용자가 부위스위치군(7)을 조작한 경우 그 부위스위치군(7)의 조작에 의해 지정한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영역에 피합성자의 개인데이터영역(134)을 구성하는 「혈액형」의 종류에 따른 확률데이터, 또는 「혈액형」의 종류 및 동 개인데이터영역(134)을 구성하는 「연령」 등에 따른 유전법칙에 따른 확률데이터에 따라서, 1 또는 0이 기억된다. 그리고 이들 확률데이터는 ROM(12)에 미리 기억시키고 있으므로 이 확률데이터에 따라 1 또는 0이 기억된다.
한편 제 12 도의 단계 SF9에 이어지는 단계 SF10에서는 카운터의 값이 n=2가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n=2가 되어있지 않다고 판별되었으면 단계 SF2에서의 처리판별을 다시 한번 실행한다. 이로인해 새롭게 선택된 2명째의 피합성자에 대해서 전술한 제 14 도에 도시하는 부위선택·등록처리가 다시 한번 실행된다.
단계 SF10에 있어서, n=2가 된 것이 판별되면 2명의 피합성자에 대해 부위선택·등록처리가 완료한 것이 되므로, 「피합성자의 선정 종료」의 표시를 제 1 표시부(5)에 표시시키고(단계 SF11), 제 13 도 의 단계 SF12로 이행한다.
이 단계 SF12에서는 합성자의 몽타주화상으로서 유아용 몽타주화 상을 작성할 것인지를 판별하기 위해 유아스위치(6i)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이 단계 SF12에 있어서 유아스위치(6i)가 조작된 것이 판별되었으면 먼저 유아용데이터영역(136)에 기억되어 있는 유아용 부위패턴 NO.(윤곽, 두발형, 복장, 양손, 양발의 특정 부위패턴 NO.에 한정된다)를 판독한다. 유아용 부위패턴 NO.의 판독이 완료했으면 그것 이외 즉 유아용데이터영역(136)을 구성하는 유아의 부위영역 이외의 다른 부위영역(눈, 코, 입, 눈썹, 귀의 각 부위영역)중 부위선택에 의해 「1」이 기억되어 있는 부위영역의 부위패턴 NO.를 판독한다 (단계 SF14). 그리고 이 제 6 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유아용데이터영역(136)의 부위영역중 윤곽, 두발형, 복장, 양손, 양발의 각 부위영역에만 「05」, 「01」, 「01」, 「40」, 「30」이 기억되어있지만 이것 이외의 다른 부위영역에는 부위패턴 NO.는 기억되어 있지 않다(「없음」의 기술로 이것을 표시한다).
한편 이 시점에서는 이미 제 1 및 제 2 피합성자가 결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피합성자용영역(138, 139)의 각 부위영역에는 「1」 또는 「0」이 기억되어 있으므로, 다음에 유아용데이터영역 중 윤곽, 두발형, 복장의 각 부위영역을 제외하고 눈, 코, 입, 눈썹, 귀의 다른 부위영역에 있어서 더구나 제 1 및 제 2 피합성자용영역 (138, 139)의 「1」이 기억되어 있는 부위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피합 성자의 부위패턴 NO.를 판독한다. 제 6 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제 1 피합성자용영역(138)을 구성하는 부위영역중 「윤곽」, 「두발 형」, 「입」, 「복장」, 「양손」의 부위영역에, 또 제 2 피합성자용영역(139)을 구성하는 부위영역중 「눈」, 「코」, 「눈썹」, 「귀 」, 「양발」의 부위영역에는 각각 「1」이 기억되어 있으므로 그 「 1」이 기억되어 있는 피합성자용영역(138, 139)측의 부위영역에 기억 되어 있는 부위패턴 NO.가 판독가능하지만, 「윤곽」, 「두발형」, 「복장」, 「양손」, 「양발」의 부위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부위패턴 NO.는 판독되지 않고, 그 대신에 유아용데이터영역중 윤곽, 두발형, 복장, 양손, 양발의 각 부위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부위패턴 NO.가 우선적으로 판독되게 된다.
이 결과 이 실시예의 경우 제 6 도의 동그라미가 쳐진 다음 부위 패턴 NO.가 판독되게 된다.
제 1 피합성자 「A」 : 「30」(입)
제 2 피합성자 「B」 : 「50」(눈), 「20」(코), 「03」(눈썹), 「04」 (귀), 「30」(양발)
유아 「X」 : 「05」(윤곽), 「01」(두발형), 「01」(복장),
「40」(양손)
다음에 이렇게 해서 판독된 이들 부위패턴 NO.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부위패턴을 기본부위패턴 ROM(12B) 및 유아용 부위패턴 ROM(12C)에서 판독하여 이들 각 부위패턴을 몽타주 합성용영역(132)에 전송하여 이 영역(132)에 각 부위패턴을 합성한다(단계 SF20).
계속해서 유아의 연령데이터를 RAM(13)의 개인데이터영역(134) 내의 연령영역에서 판독하고(단계 SF16), 이 판독된 유아의 연령에 따른 크기로 축소한 몽타주화상으로 변환한 후, 이 축소한 몽타주화상을 RAM(13)의 축소합성용영역(133)에 격납한다(단계 SF17). 이 경우 유아의 연령에 따른 몽타주화상의 축소률은 ROM(12)에 변환테이블로서 기억되어 있다.
이 결과 축소된 유아의 몽타주화상은 유아 「X」의 윤곽, 두발형, 복장, 양손, 양발의 부위패턴을 제외하면 제 1 피합성자 「A」의 입 부위패턴과 제 2 피합성자 「B」의 눈, 코, 눈썹, 귀의 4개 부위패턴 과의 조합으로 구성되게 되므로, 이 실시예의 경우 제 1 피합성자 「 A」의 몽타주화상보다도 제 2 피합성자 「B」의 몽타주화상에 보다 닮은 몽타주화상이 된다.
한편 단계 SF12에 있어서 유아스위치(6i)가 조작되지 않은 것이 판별된 경우에는 단계 SF12에서 단계 SF18로 이행하고, 이 단계 SF18에 있어서 그 위에 합성스위치(6b)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합성스위치(6b)가 조작된 것이 판별되었다면 합성자의 몽타주화상을 위해 유아 「X」의 부위패턴을 사용하지 않고, 피합성자 「A」 및 「 B」의 부위패턴만을 사용하고자 하므로, 제 1 및 제 2 피합성자용영역(138, 139)의 각 부위영역중 부위선택에 의해 「1」이 기억되어 있는 부위영역의 부위패턴 NO.만을 판독한다(단계 SF19).
이 결과 이 실시예의 경우 제 6 도의 사선으로 나타낸 다음 부위 패턴 NO.가 판독되게 된다.
제 1 피합성자 「A」 : 「01」(윤곽), 「02」(두발형), 「30」(입)
제 2 피합성자 「B」 : 「50」(눈), 「20」(코), 「03」(눈썹), 「04」(귀), 「03」(복장)
단 양손, 양발의 부위영역에는 부위패턴 NO.가 기억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 데이터는 판독되지 않는다.
다음에 이렇게 해서 판독된 이들 부위패턴 NO.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부위패턴을 기본부위패턴 ROM(12B)에서 판독하여 이들 각 부위패턴을 몽타주합성용영역(132)에 전송하여 이 영역(132)에 각 부위패턴을 합성하고, 그 합성된 몽타주화상을 기억해 둔다(단계 SF15).
〈표시처리〉
다음에 제 7 도의 제너럴 플로에 있어서 단계 SA4에 계속되는 단계 SA5에서는 표시처리를 실행한다. 이 표시처리는 제 15 도에 도시한 플로챠트에 따라 실행된다. 즉 RAM(13) 내의 개인데이터영역(134) 및 몽타주데이터영역(135)에 각각 기억되어 있는 피합성자인 「A」,「B」의 개인데이터 및 몽타주데이터 외에 합성자인 유아 「X」의 개인데이터영역(134)에 기억되어 있는 개인데이터를 판독한다(단계 SH1) . 그러한 후에 제 1 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제 1 표시부(5)에 판독된 피합성자인 「A」, 「B」의 각 개인데이터를 표시하는 한편, 그 하부 위치에 마찬가지로 판독된 피합성자인 「A」, 「B」의 몽타주데이터에 의거하여 「A」, 「B」의 몽타주화상(MA2, MA3)을 표시한다. 다른쪽 제 2 표시부(9)에는 판독된 유아인 「X」의 개인데이터를 표시하는 한편, 그 하부위치에 전단계 SA4의 몽타주 합성처리(제 12 도, 제 13 도 참조)로 몽타주합성용영역(132) 또는 축소합성용영역(133)에 격납되어 있는 유아인 「X」의 몽타주화상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몽타주화상(MA6)을 표시한다(단계 SH2).
이와같이 제 1 도 및 제 16d 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한쪽 피합성자인 「A」의 「입」 특징을 갖고, 다른쪽 피합성자인 「B」의 「눈」, 「코」, 「눈썹」, 「귀」 특징을 갖는 유아의 몽타주화상(MA6)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작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스위치조작으로 한쪽 피합성자 몽타주화상의 부분적인 특징을 갖고, 다른쪽 피합성자 몽타주화상의 부분적인 특징을 갖는 합성자의 몽타주화상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작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들면 애인이나 부부의 몽타주화상을 작성하면 그 애인이나 부부의 몽타주화상의 특징을 가미한 유아의 몽타주화상, 또는 애인이나 부부의 몽타주화상의 특징을 겸비한 합성자의 몽타주화상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난수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난수데이터를 무작위로 발생시키고, 소정기간경과후에 임의로 조작되었을 때 제 1 및 제 2 피합성자 영역(138, 139)의 각 부위영역중 어느것인가 한쪽 부위영역으로의 난수데이터 등록(단계 SG1∼SG3 참조)에 의거하고, 제 1 및 제 2 피합성자의 몽타주화상을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을 각 부위마다 무작위로 사용하도록 하고, 이 무작위적인 각 부위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합성자용의 몽타주화상을 작성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의외성이 있는 합성자용의 몽타주화상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한 합성비율스위치(6d) 및 수치스위치(10a)의 조작으로 제 1 및 제 2 피합성자의 몽타주화상 합성비율을 지정하면 그 합성비율에 따른 합성자용의 몽타주화상을 작성할 수 있으므로, 예를들면 한쪽 피합성자의 몽타주화상 쪽에 보다 닮은 합성자용의 몽타주화상을 작성 할 수 있다.
또 유전스위치(6j) 및 혈액형스위치(6e)를 조작하면 그 유전요소 또는 혈액형의 요소에 따른 합성자용의 몽타주화상을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6d 도에 도시하는 실시예의 경우는 유아스위치(6i)가 조작되었기 때문에 피합성자인 「A」, 「B」의 몽타주화상(MA2, MA3) 외에 유아인 「X」의 몽타주화상(MA6)이 표시되어 있지만, 유아스위치(6i)가 조작되지 않고 합성스위치(6b)가 조작된 경우에는 피합성자 「A」 및 「B」의 각 몽타주화상(MA2, MA3)이 제 1 표시부(5)에 표시되는 한편, 이들 몽타주화상(MA2, MA3)에 의거하여 새로 작성된 합성자용의 몽타주화상(MA6)이 제 2 표시부(9)에 표시되게 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제 12 도의 단계 SF11에 있어서 n=2라고 판별된 시점에서 피합성자의 선택을 종료하고, 피합성자를 2명으로 한정하도록 했지만 3명 이상의 피합성자를 선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피합성자를 인간으로 하고, 합성자도 인간으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피합성자를 인간과 동물로 하고 합성자를 인간과 동물이 합성된 합성자로 해도 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어른 2명의 피합성자와 유아 3자의 각 부위패턴을 각 부위마다 조합하여 새로운 1명의 유아 얼굴 또는 전신 몽타주화상을 합성표시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어른끼리 어린이 끼리 또는 어른과 어린이의 조합과 같이 2명의 피합성자 각 부위패턴을 각 부위마다 조합하여 1명의 합성자 몽타주화상을 합성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2명의 피합성자 합성에 의해 작성된 1 명의 유아 몽타주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 표시 외에 또는 이 표시와 함께 합성자의 몽타주화상을 인쇄장치를 사용하여 인쇄하도록 해도 된다.
[제 2 실시예]
제 17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물체화상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지시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물체화상표시장치(1)의 앞케이스(3) 측에 설치된 제 1 표시부 (5)의 하부에는 항목스위치군(6)과 온·오프스위치(8) 및 부위스위치 군(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항목스위치군(6)은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개인스위치 (6a), OK스위치(6n), 검색스위치(6g), 등록스위치(6k)외에 몽타주작성스위치(26a), 지정변화체중스위치(26d), 지정섭취칼로리스위치(26e) 및 비교스위치(26f)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부위스위치군(7)은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두발형스위치(7a), 눈썹스위치(7b), 귀 스위치(7d), 코스위치(7e), 윤곽스위치(7f), 눈스위치(7g), 양손스위치(7h), 복장스위치(7i) 및 양발스위치(7j)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몽타주화상 및 이것에 관련하는 문자의 표시에는 표시면적이 큰 제 1 표시부(5)가 사용되고, 또한 제 2 표시부(9)는 데이터입력스위치(9)의 조작을 지시하는 표시나 연산결과의 표시 등 다른 표시에 사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8 도는 이 제 2 실시예에 사용되는 물체화상표시장치(1)의 전체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제 2 실시예의 경우 CPU(11)에 접속된 ROM(12)은 프로그램 ROM (12A), 기본부위패턴 ROM(12B) 외에 체중증감용 부위패턴 ROM(12D)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본부위패턴 ROM(12B)은 제 19 도에 도시하는 기본부위패턴 ROM(12B)과 같은 ROM이지만, 이 기본부위패턴 ROM(12B)에는 이 제 2 실시예의 경우는 부위스위치군(7)을 구성하는 각 부위 스위치(7a∼7j)에 각각 대응하고 「윤곽」, 「두발형」, 「눈」, 「입」∼「양발」까지 10개 부위의 부위패턴이 각각 「1」∼「50」까지의 부위패턴 NO.와 대응되어 격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채중증감용 부위패턴 ROM(12D)에는 제 20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9 도에 도시하는 기본부위패턴 ROM(12B)에 격납되어 있는 「윤곽」의 부위패턴에 대응하고, 부위패턴 NO. 「01」부터 「50」의 각 열에 「+20㎏」∼「0㎏」∼「-20㎏」까지 5㎏마다 그 체중시에 있어서의 윤곽의 형상 부위패턴이 9종류 기억되어 있다. 제 20 도에서는 제 19 도에 도시하는 기본부위패턴 ROM(12B) 내의 「01」 부위패턴 NO.로 표시되는 「윤곽」 부위패턴에 대응하고, 「 +20㎏」, 「+5㎏」, 「0㎏」, 「-20㎏」… 9종류의 체중증감용 부위패턴이 기억되어 있는 예가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이들 체중증감용 부위패턴중 「0㎏」 행(가로축방향)에 격납되어 있는 50개의 「윤곽」 각 부위패턴은 제 19 도에 도시한 기본부위패턴 ROM(12B) 내 50개의 「윤곽」 부위패턴(부위패턴 NO.가 「01」∼「50」까지의 것)과 각각 같다. 이 「0㎏」 행(가로축방향)의 「윤곽」 부위패턴을 중심으로 「5㎏」 단위로 「-20㎏」까지 체중이 감소한 경우에 있어서의 형상의 「윤곽」 부위패턴과, 반대로 「+20㎏」까지 체중이 증가한 경우에 있어서의 형상의 「윤곽」 부위패턴이 부위패턴 NO.「01」∼「50」에 대응한 부위영역에 기억되어 있다. 이 때문에 체중 증감용 부위패턴 ROM(12D)에는 이와같은 각 체중증감용 부위패턴이 50(「윤곽」 부위패턴 NO.의 수)×9(체중의 증감수)=450 종류분 기억되게 된다. 그리고 체중값 증감후의 각 부위패턴 NO.를 표기할 경우는 예를들면 부위패턴 NO.가 「01」이고, 체중의 증감이 현재 체중값과 비교해서 「+5㎏」인 경우는 「01+5」와, 또 부위패턴 NO.가 「 01」이고 체중의 증감이 「-20㎏」인 경우는 「01-20」이라고 하는 것처럼 괄호안의 전자가 기본용 부위패턴 NO.의 「01」∼「50」의 수치를, 후자가 체중 증감값의 「-20」∼「0」∼「+20」의 수치를 각각 표시한다.
개인·몽타주데이터 RAM(13A)에는 제 2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표시레지스터(130), 항목데이터영역(152), 지정변화체중값영역(153), 지정섭취칼로리영역(154), 지정변화체중값에 있어서의 몽타주데이타 영역(155), 지정섭취칼로리시에 있어서의 몽타주데이터영역(156)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항목데이터영역(152)은 또 개인데이터영역 (134)과 몽타주데이터영역(135)으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개인데이터 영역(134)에는 각 항목마다 이름, 주소, 체중, 체중측정일, 신장, 신장측정일, 그 외 소정의 사항이 기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몽타주데이터영역(135)에는 상기 각 부위스위치(7a∼7j)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몽타주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 NO.가 각 부위영역마다 기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정변화체중값영역(153)에는 상기 지정변화체중스위치(26d)의 조작하에서, 각 항목데이터영역(152) 내 「1」∼「50」의 대상자마다 데이터 입력스위치(10)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현재의 체중값에서 그것을 증감한 경우에 있어서의 증감한 분의 체중값을 지정변화체중값으로서 기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정섭취칼로리영역(154)에는 상기 지정섭취칼로리스위치(26e)의 조작하에서, 각 항목데이터영역(152) 내 「1」∼「50」의 대상자마다 데이터입력스위치(10)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지정섭취 칼로리가 기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지정변화체중값에 있어서의 몽타주데이터영역(155)에는 항목영역 「1」∼「50」의 대상자중 특정 인물의 체중값을 현재 체중값부터 지정된 체중값까지 증감시켰을 때에 있어서의 그 지정변화체중값에 따른 형상의 「윤곽」 부위패턴에 대응한 부위패턴 NO.가 기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들면 현재의 체중값부터 지정된 체중값까지 사이의 지정변화체중값이 크게 증대된 경우는 그 증대된 지정변 화체중값에 따른 살찐 형상의 「윤곽」 부위패턴에 대응한 부위패턴 NO.가 기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정섭취칼로리시에 있어서의 몽타주데이터영역(156)에는 같은 항목 「1」∼「50」의 대상자중 특정 인물의 섭취칼로리를 현재 섭취칼로리부터 지정된 칼로리까지 증감시켰을 때에 있어서의 그 지정섭취칼로리에 따른 형상의 「윤곽」 부위패턴에 대응한 부위패턴 NO.가 기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들면 현재 섭취칼로리부터 지정된 섭취칼로리까지 사이의 지정된 섭취칼로리값이 크게 증대된 경우는 그 값에 따른 살찐 형상의 「윤곽」 부위패턴에 대응한 부위패턴 NO.가 기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에 관계하는 이 제 2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제 22 도 이후에 도시한 플로챠트에 따라 설명한다.
이 제 22 도의 제너럴 플로에서는 먼저 제 23 도에 도시하는 개인 데이터(이름, 체중, 신장 등)의 입력등록처리를 실행한 후(단계 SI1), 제 9 도 및 제 10 도에 도시하는 몽타주작성·등록처리를 실행하고 (단계 SI2), 계속해서 제 24 도 및 제 25 도에 도시하는 검색·표시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I3).
먼저 단계 SI1에 있어서의 개인데이터의 입력처리는 제 23 도에 도시한 플로챠트에 따라서 실행된다. 먼저 데이터입력스위치(10)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단계 SJ1). 데이터입력스위치(10)가 조작된 것이 판별되었으면 제 2 표시부(9)에 「이름, 주소?」의 표시를 실행하고(단계 SJ2), 그후 이들 이름 등이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단계 SJ3). 이들의 데이터가 입력완료가 될 때까지 단계 SJ2, SJ3의 루프를 반복하고, 그동안 사용자는 데이터입력스위치(10)를 조작하여 이름 등의 입력을 실행한다.
이름 등이 입력완료 되었다고 판별되었으면 다음에 「체중, 체중 측정일?」의 표시를 실행하고(단계 SJ4), 그리고 체중 및 체중측정 일이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단계 SJ5). 이들 데이터가 입력완료 될 때까지 단계 SJ4, SJ5의 루프를 반복하고 그동안 사용자는 마찬가지로 데이터입력스위치(10)를 조작하여 체중 및 체중측정일의 입력을 실행한다. 또한 이들 데이터의 입력이 있은 후에 「신장, 신장측정일?」의 표시를 실행한 후(단계 SJ6), 당해 신장 및 신장측정일이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단계 SJ7).
이와같은 필요 데이터가 입력된 것이 판별되었으면 등록스위치(6k)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단계 SJ8), 등록스위치(6k)가 조작된 것이 판별되었으면 지금까지 입력된 데이터를 개인·몽타주데이터 RAM(13A)의 개인데이터영역(134)에 기억시킨다(단계 SJ9). 이 경우는 개인데이터영역(134) 내 항목의 「1」 영역에 먼저 입력된 개인 데이터를 기억시킨다. 이 처리 후는 제너럴 플로로 복귀한다.
다음에 실행되는 제 22 도에 도시하는 제너럴 플로의 몽타주작성·등록처리(단계 S12)는 제 9 도 및 제 10 도에 도시하는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플로챠트에 따라 실행된다. 단 이 경우 제 9 도에 도시하는 제 1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의 몽타주작성·등록처리의 시작은 피합성자스위치(6f)가 조작되었을 때에 실행되었지만, 이 제 2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의 몽타주작성·등록처리의 시작은 몽타주작성스위치(26a)가 조작되었을 때에 실행된다. 그외의 처리는 제 9 도에 도시하는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또한 제너럴플로의 검색·표시처리(단계 SI3)는 제 24 도에 도시한 플로챠트에 따라 실행된다.
즉 먼저 검색스위치(6c)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단계 SK1), 검색스위치가 조작된 것이 판별되었으면 제 2 표시부(9)에 「 검색어?」의 표시를 실행한다(단계 SK2). 사용자는 이 표시에 따라 개인·몽타주데이터 RAM(13A)에 기억하고 있는 개인데이터의 이름 「 A」, 「B」… 어느것인가와 같은 데이터의 입력을 검색데이터로서 데이터입력스위치(10)의 조작에 의해 실행한다(단계 SK3).
다음에 앞의 단계 SK3에서 입력된 검색데이터가 개인데이터의 어느것인가의 이름과 일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단계 SK4). 양 데이터가 일치하여 스위치조작에 의해 입력된 이름이 개인데이터영역(134)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이름을 포함하는 개인데이터 외에 그 개인에 대응한 몽타주데이터(각 부위패턴 NO.)를 판독하고(단계 SK5), 이 판독한 각 부위패턴 NO.에 대응하는 부위패턴을 기본부위패턴 ROM (12B)에서 판독하여 그것을 합성 RAM(13B)에 전송한다(단계 SK6). 다음에 이 판독된 개인데이터와 전송된 각 부위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몽타주화상과의 일괄표시를 실행한다(단계 SK7). 예를들면 제 26a 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검색데이터가 만약 「A」이면 그 「A」의 이름, 주소 등의 개인데이터(KD) 및 몽타주데이터(MD11)와 함께 당해 「A」의 몽타주화상(MB1)을 일괄표시한다. 그리고 도시의 경우는 「A」의 전신이 아닌 상반신부분의 몽타주화상만을 표시하고 있다.
다음에 지정변화체중스위치(26d)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단계 SK8), 이 지정변화체중스위치(26d)가 조작된 것이 판별되었으면 「지정변화체중은?」의 표시를 실행한 후(단계 SK9), 지정변화체중값이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단계 SK10). 사용자가 이 체중표시에 따라 데이터입력스위치(10)의 조작에 의해 체중값의 입력이 실행된 것이 판별되고, 다음에 그 입력된 「체중값」이 개인·몽타주데이터 RAM(13A)에 이미 기억하고 있는 「체중값」과 다른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이 결과 다른 체중값이 입력된 것이 판별되면 지정변화체중영역(153)에 이 입력된 「체중값」과 이미 기억하고 있는 「체중값」과의 차이인 증감값을 지정변화체중값으로서 기억한다(제 25 도의 단계 SK11). 그리고 이 지정변화체중값에 대응한 「윤곽」의 부위패턴에 대응한 「윤곽」의 부위패턴 NO.를 포함하는 각 부위패턴 NO.를 지정변화체중값에 있어서의 몽타주데이터영역(155)에 기억한다 (단계 SK12).
예를들면 제 21 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A」의 「윤곽」, 「두발 형」, 「눈」의 각 부위영역에 부위패턴 NO. 「01」, 「01」, 「03」 …이 기억되어 있고, 또한 「A」의 지정변화체중값으로서 「+20㎏」 이 기억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체중값의 증감에 따라 「윤곽」의 부위패턴만을 변경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먼저 지정변화체중값의 「+20㎏」에 따라 「윤곽」의 부위패턴 NO. 「01」만을 「01+20」 으로 변경한다. 이 결과 이 변경된 「윤곽」의 부위패턴 NO. 「01+ 20」과 그것 이외의 다른 「두발형」, 「눈」 등의 부위패턴 NO.「01」, 「03」…이 지정변화체중값에 있어서의 몽타주데이터영역 (155)에 기억되게 된다(단계 SK12).
다음에 이 기억된 「윤곽」의 부위패턴 NO. 「01+20」에 대응하는 각 부위패턴을 체중증감용 부위패턴 ROM(12D)에서 판독하는 한편, 그것 이외의 다른 「두발형」, 「눈」 등의 부위패턴 NO. 「01」, 「 03」…에 대응하는 각 부위패턴을 기본용 부위패턴 ROM(12B)에서 판독하고, 그들을 합성 RAM(13B)에 전송하여 거기서 합성하여 지정변화 체중값에 있어서의 몽타주화상으로서 그 합성 RAM(13B)에 기억한다 (단계 SK13).
다음에 개인데이터영역(134)에 기억되어 있는 개인데이터를 판독하여 그 개인데이터에 의거하고, 당해 인물의 지정변화체중값 「+20㎏」, 현재 체중값 「50㎏」에 지정변화체중값 「+20㎏」을 가산한 체중값「70㎏」을 포함하는 당해 인물의 개인데이터(KD) 및 몽타주데이터(MD2)를 제 1 표시부(5)에 표시시킨다. 이것과 함께 지정변화체중값에 있어서의 몽타주데이터영역(155)에 기억되어 있는 몽타주데이터인 「01+20」, 「01」, 「03」…의 각 부위패턴 NO.와 앞의 합성작업으로 합성 RAM(3B)에 기억된 지정변화체중값에 있어서의 몽타주화상(MB2)을 제 1 표시부(5)에 표시시킨다(단계 SK14). 또한 이것과 반대로 단계 SK13 및 단계 SK14의 처리에 있어서 지정변화체 중값을 「-20㎏」로 한 경우에는 제 26C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정 변화체중값 「-20㎏」, 그것에 대응한 체중값 「30㎏」을 포함하는 당해 인물의 개인데이터(KD) 및 몽타주데이터(MD3)와 함께, 지정변화 체중값을 「-20㎏」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몽타주화상(MB3)를 표시시킨다.
이 결과 제 1 표시부(5)에는 등록시, 즉 현재의 체중값 「50㎏」의 경우에 있어서의 몽타주화상(MB1) 외에 현재의 체중값 「50㎏」에서 「+20㎏」분 체중이 증가한 경우에 예상되는 몽타주화상(MB2), 반대로 현재의 체중값 「50㎏」에서 「-20㎏」분 감소한 경우에 예상되는 몽타주화상(MB3)을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표시부(5)에는 「윤곽:01+20」, 「두발형:01」과 같이 부위의 명칭과 대응하는 몽타주데이터(MD2, MD3)용의 각 부위패턴 NO.도 동시에 표시시킬 수 있으므로, 기본의 부위패턴 NO.와 체중의 증감값을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해서 비교스위치(26f)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단 계 SK15), 그 결과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이 검색·표시처리를 종료한다. 이로인해 비교스위치(26f)가 조작되지 않은 경우에는 검색된 개인의 지정변화체중값에 따른 몽타주화상(MB1)과 주소 등의 개인데이터(KD)만이 표시된다. 그러나 비교스위치(26f)가 조작된 것이 판별된 경우에는 지정변화체중값에 의거하는 코멘트·등록시 및 지정변화체중값에 있어서의 각 몽타주화상(MB1, MB2)을 일괄표시한다(단계 SK16).
예를들면 이 단계 SK16의 처리에 의해 「A」의 지정변화체중값을 「+20㎏」로 한 경우에는 ROM(12)에 미리 기억되어있는 체중값에 따른 대응하는 코멘트를 판독하여 이 코멘트를 제 27a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 표시부(5)에 「코멘트 : 20㎏ 체중이 증가하면 당신의 얼굴체형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됩니다.」의 표시와 함께 좌측에는 등록시의 몽타주화상(MB1)이, 또 우측에는 지정변화체중시에 있어서 의 몽타주화상(MB2)이 표시된다.
한편 제 24 도의 단계 SK8에 있어서 지정변화체중스위치(26d)가 조작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 단계 SK8에서 단계 SK17로 이행하고, 지정섭취칼로리스위치(26e)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지정섭취칼로리스위치(26e)가 조작된 것이 판별되었으면 「지정섭취칼로리는?」의 표시를 실행한 후(단계 SK18), 지정섭취칼로리가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단계 SK19). 사용자가 이 칼로리표시에 따 라 데이터입력스위치(10)를 조작하고, 이것에 의해 칼로리데이터가 입력된 것이 판별되면 지정변화체중값영역(153)에 그 입력된 칼로리데이터를 기억한다(제 25 도의 단계 SK20).
다음에 이 입력된 칼로리데이터에 대응한 각 부위패턴 NO.를 지정섭취칼로리시에 있어서의 몽타주데이터영역(156)에 기억한다(단계 SK21).
예를들면 제 21 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A」의 「윤곽」, 「두발 형」 등의 부위패턴 NO. 「01」, 「01」, 「03」…이 기억되어 있고, 그 「A」의 지정섭취칼로리시에 대응하는 윤곽의 부위패턴 NO.가 「01+20」였다고 하면, 그 「윤곽」의 부위패턴 NO.가 금회 입력된 칼로리데이터에 대응하여 「01+20」로 변경되고, 「01+20」「01」 「03」…으로서 각 부위패턴 NO.가 지정섭취칼로리시에 있어서의 몽타주데이터영역(155)에 기억되게 된다.
다음에 이 기억된 각 부위패턴 NO.에 대응하는 각 부위패턴을 합성 RAM(13B)에 전송하여 합성한 후(단계 SK22), 이 합성된 지정섭취칼로리시에 있어서의 몽타주화상을 지정섭취칼로리 등의 개인데이터(도시하지 않음)와 함께 제 1 표시부(5)에 표시한다(단계 SK23). 이 단계 SK22 및 단계 SK23의 처리결과, 「A」가 지정의 섭취칼로리를 섭취한 경우에 있어서의 몽타주화상과, 그 때의 지정섭취칼로리 등 개인데이터를 제 1 표시부(5)에 표시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비교스위치(26f)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단 계 SK24), 이로인해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이 검색·표시처리를 종료한다.
지정섭취칼로리스위치(26e)를 조작한 후 비교스위치(26f)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검색된 개인의 지정섭취칼로리에 따른 몽타주 화상과 주소 등 만이 표시된다. 그러나 비교스위치(26f)가 조작된 것이 판별된 경우에는 지정섭취칼로리에 의거하는 코멘트·등록시 및 지정섭취칼로리시에 있어서의 각 몽타주화상을 일괄표시한다(단계 SK25).
이 단계 SK25의 처리결과 「A」의 지정섭취칼로리를 예를들면 「 -100칼로리」라고 한 경우에는 ROM(12)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체중값에 따른 대응하는 코멘트를 판독하여 이 코멘트를 제 27B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 표시부(5)에 「코멘트 : 매일 100칼로리 감소시키면 당신의 얼굴체형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됩니다.」의 문자표시와 함께, 그것의 좌측에는 등록시의 몽타주화상(MB1)을, 또한 그것의 우측에는 지정섭취칼로리시에 있어서의 몽타주화상(MB2)을 표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20 도에 도시한 체중증감용부위패턴 ROM(12D)에 5㎏마다 지정변화체중값 또는 지정섭취칼로리에 대응하는 형상을 한 「윤곽」의 부위패턴을 기억해 두고, 사용자에 의한 지정변화체중값 등에 따라 몽타주화상을 구성하는 「윤곽」의 부위패턴만을 다른 「윤곽」의 부위패턴으로 변경하도록 하고 있지만, 체중 또는 지정섭취칼로리의 증감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다른 눈, 두발형, 몸통 등 부위의 부위패턴을 복수종류 기억해 두고, 이들의 부위패턴 중에서 체중 등의 증감에 따라 눈, 두발형, 몸통 등 대응하는 부위패턴을 교체하고, 이 교체된 각 부위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몽타주화상을 작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ROM(12D)에 격납되는 체중증감용 부위패턴은 눈이라면 예를들어 체중이 적어 마른 경우는 한겹 눈꺼풀의 눈을, 또는 살이 찐 경우에는 두겹 눈꺼풀의 눈 부위패턴을, 두발형이라면 체중에 따라 다른 크기의 두발형 부위패턴을, 몸통이라면 체중에 따라 다른 굵기의 몸통 부위패턴을 사용하면 된다.
이렇게 구성한 경우에는 윤곽의 부위패턴 뿐만아니라 다른 부위의 부위패턴도 지정변화체중값 또는 지정섭취칼로리에 따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표시수단으로서 LCD로 구성된 표시부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수단 외에 인쇄수단도 포함되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현재의 체중값에서 증가한 분의 지정변화체중값 및 섭취칼로리값을 사용하여 살이 쪘거나 마른 경우에 예상되는 몽타주화상을 작성하여 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 이외의 데이터 예를들면 신장값을 사용하여 그 신장값에 대응하여 늘어나거나 축소된 경우에 예상되는 몽타주화상을 작성하여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예를들면 식료사정의 변화와 같은 주위의 환경, 민족의 종류, 시대적인 배경(원시시대∼현대)에 따라 변화하는 체형데이터를 사용하여 체중이 늘어났거나 마른 경우, 신장이 커졌거나 축소된 경우에 예상되는 몽타주화상을 작성하여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지정된 체중 또는 섭취칼로리에 따라 변경된 후의 예상얼굴 또는 예상체형 등 몽타주화상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성하여 표시할 수 있고, 따라서 다이어트를 시도하려고 하는 자, 살찌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는 자, 신장이 커졌을 때 자신의 전신 모습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알고 싶어하는 자 등에게 있어 극히 참고가 되는 예상의 얼굴이나 체형의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결과 다이어트를 시도하고자 하는 자 등에 있어서 매우 흥미깊은 표시나 다이어트를 성공시키는 데에 있어서 효과적인 자극도 될 수 있는 표시를 용이한 조작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다음에 제 28 도∼제 37D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리고 이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제 1, 제 2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지시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8 도는 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계되는 물체화상표시장치를 도시한다.
이 물체화상표시장치(1)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1 표시부(5)의 하부에는 항목스위치군(6)과 전원의 온·오프스 위치(8) 및 부위스위치군(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항목스위치군(6)은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등록스위치 (6k), OK스위치(6n) 외에, 정면 몽타주스위치(6p), 우측면 몽타주스 위치(6q), 배면 몽타주스위치(6r), 및 일괄표시스위치(6s)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위스위치군(7)은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두발형 스위치(7a), 눈썹스위치(7b), 눈스위치(7c), 귀스위치(7d), 코스위치 (7e), 윤곽스위치(7f), 입스위치(7g), 양손스위치(7h), 복장스위치 (7i) 및 양발스위치(7j)로 구성되어 있다.
제 29 도는 이 물체화상표시장치(1)의 전체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물체화상표시장치(1)는 제 1, 제 2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CPU(11), ROM(12), 개인·몽타주데이터 RAM(13), 합성 RAM(13B), 제 1 및 제 2 표시부(5, 9), 표시구동회로(15) 및 입력부(1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ROM(12)은 프로그램 ROM(12A) 외에, 제 30 도에 도시한 기본 부위패턴 ROM(12E)을 구비하고 있다. 이 기본부위패턴 ROM(12E)에는 상기 부위스위치군(7)을 구성하는 각 스위치(7a∼7j)에 각각 대응하는 「1」∼「10」의 각 부위마다의 복수종류 부위패턴이 격납되어 있다. 이 「1」∼「10」의 각 부위마다의 각 부위패턴은 이 실시예의 경우 3종류의 부위패턴 NO. 「A」, 「B」 및 「C」에 각각 대응하는 각 영역에 격납된 정면 부위패턴과, 이들 정면 부위패턴에 대응하고, 「A-1」∼「A-20」, 「B-1」∼「B-20」 및 「C-1」∼「C-20」의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에 격납된 20종류의 우측면용, 배면용의 각 부위패턴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들면 「윤곽」 부위패턴 NO.의 「A」에 대응하는 각 영역에 격납된 「윤곽」의 정면 부위패턴에만 주목해 보면, 이 「윤곽」의 정면 부위패턴에 대응하는 「A-1」∼「A-20」의 20개 각 영역에는 당해 「윤곽」의 정면 부위패턴에 대응하는 우측면용 및 배면용의 각 부위패턴이 각각 격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윤곽」의 각 부위패턴은 전술한 제 1, 제 2 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윤곽, 입, 코 및 귀의 각 부위패턴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지만 각 윤곽, 입, 코 및 귀의 각 부위패턴마다 준비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이 기본부위패턴 ROM(12E)에는 복수종류의 우측면 각 부위패턴을 사용하여 이것과 좌우대칭이 되는 좌측면용 각 부위패턴을 작성하기 때문에 좌측면용의 각 부위패턴은 격납되어 있지않다.
개인·몽타주데이터 RAM(13)에는 제 3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표시레지스터(130), 「1」∼「20」까지의 항목데이터에 20명분의 부위패턴 NO.를 기억하는 항목데이터영역(152)…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각 항목데이터영역(152)에는 「정면」의 「윤곽」, 「두발형」…「양발 」부위패턴에 각각 대응하는 부위패턴 NO.를 기억하는 정면 몽타주데이터영역(135A), 「우측면」의 「윤곽」, 「두발형」, …「양발」 부 위패턴에 각각 대응하는 부위패턴 NO.를 기억하는 우측면 몽타주데이터영역(135B), 「배면」의 「윤곽」, 「두발형」…「양발」 부위패턴에 각각 대응하는 부위패턴 NO.를 기억하는 배면 몽타주데이터영역 (135C) 및 「좌측면」용의 부위패턴 NO.를 기억하는 좌측면용 몽타주 데이타영역(135D)에 각각 구분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에 관계되는 이 제 3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제 32 도 이후에 도시한 플로챠트에 따라 설명한다.
이 제 32 도는 이 제 3 실시예의 제너럴 플로이고, 제 33 도에 도시하는 정면 몽타주 등록처리(단계 SL1), 제 34 도에 도시하는 우측면 몽타주 등록처리(단계 SL2), 제 35 도에 도시하는 배면 몽타주 등록처리(단계 SL3), 제 36 도에 도시하는 일괄표시처리(단계 SL4)의 순으로 처리된다.
먼저 정면 몽타주 등록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L1). 이 정면 몽타주 등록처리는 제 33 도에 도시한 플로챠트에 따라 정면 몽타주스위치(6p)가 조작된 것을 조건으로 실행된다(단계 SM1). 먼저 정면 몽타주스위치(6p)가 조작된 것이 판별되었으면 다음 단계 SM2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9 도의 단계 SC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본형 「01」이 초기설정한다. 이 단계 SM2의 처리에 의해 제 37a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 표시부(5)에는 제 30 도의 부위 「윤곽」에서 부위 「양발」까지의 각 부위패턴 NO. 「A」에 대응하는 각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10개의 각 부위패턴 조합으로 구성된 전신의 정면 기본형 몽타주화상(MC1)이 표시된다. 그리고 제 37a 도에는 전신이 아닌 상반신부분만의 정면 기본형 몽타주화상(MC1)을 도시하고 있다.
다음에 제 33 도의 단계 SM3에 이어지는 단계 SM4에서 단계 SM16까지의 처리를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9 도의 단계 SC3에서 단계 SC1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행한다. 이들의 처리에서 희망하는 대상자의 정면과 같거나 닮은 정면 몽타주화상(MC2)(제 37B 도 참조) 이 제 1 표시부(5)에 표시된 후는 제 31 도에 도시한 항목의 「1」∼ 「20」 중 최초의 항목데이터영역(152)에 대응하는 정면 몽타주데이 타영역(135A) 내의 각 부위영역에 이 정면 몽타주화상(MC2)을 구성하는 몽타주데이터영역(135A) 내의 각 부위영역에 이 정면 몽타주화상(MC2)을 구성하는 몽타주데이터(각 부위패턴 NO.)가 등록된다(단계 SC17).
한편 제 32 도의 제너럴 플로에 있어서 단계 SL1에 이어지는 단계 SL2에서는 우측면 몽타주 등록처리가 실행된다. 이 우측면 몽타주 등록처리는 제 34 도에 도시한 플로챠트에 따라 우측면 몽타주스위치(6q)가 조작된 것을 조건으로 실행된다(단계 SN1). 이 우측면 몽타주스위치(6q)가 조작된 것이 판별되었으면 등록완료의 정면 몽타주데이터(각 부위패턴 NO.)와 대응하는 우측면의 각 부위패턴 NO.를 먼저 등록한 우측면 몽타주데이터영역(135B)에서 판독한다(단계 SN2).
예를들면 정면용 부위패턴 NO.로서 「윤곽」의 정면용 부위패턴 NO. 「B」가 정면 몽타주데이터영역(135A)에 등록완료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것에 대응하는 우측면 몽타주데이터영역(135B)에서 우측면용부위패턴 NO.로서 우측면용 부위패턴 NO. 「B-1」을 판독한다. 그리고 이 실시예와는 달리 이 우측면용 부위패턴 NO. 「B-1」와 동시에 그 NO. 이외의 다른 우측면용 부위패턴 NO. 「B-2」, 「B-3」…을 모두 판독하고, 후술하는 몽타주화상의 합성·표시시에 이들의 대응하는 부위패턴을 일괄하여 합성·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한 경우에는 우측면용의 다수 부위패턴이 일괄하여 표시되므로, 이 중에서 희망의 좌측면용 부위패턴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윤곽」 이외의 「두발형」 등 다른 우측면용 부위패턴 NO.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그들의 부위패턴 NO.를 판독한다.
판독했으면 이들 우측면의 부위패턴 NO.를 개인·몽타주데이터 RAM(13)의 우측면 몽타주데이터영역(135B) 내의 각 부위영역에 기억 한다(단계 SN2).
다음에 제 9 도에 도시하는 데이터 합성처리와 같은 데이터 합성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N3). 이 단계 SN3의 처리에 의해 제 37C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판독된 각 부위의 우측면 각 부위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우측면 몽타주화상(MC3)가 제 1 표시부(5)에 표시된다. 이 제 1 표시부(5)에 표시된 우측면 몽타주화상(MC3)이 대상자의 우측면과 닮지 않은 경우에는, 제 33 도의 단계 SM4∼SM15와 같은 각 스위치의 판별처리를 이 단계 SN4∼SN7에서 실행하는 것에 의해 우측면의 몽타주화상(MC3)에 관해서도 대상자의 우측면과 같거나 닮은 몽타주화상을 작성할 수 있다. 희망하는 우측면의 몽타주화상이 작성되었으면 OK스위치(6n)을 조작한다. 그러면 단계 SN8에서 단계 SN9로 이행하고 제 37C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상의 처리에 의해 형성된 우측면의 몽타주화상(MC3)이 제 1 표시부(5)에 표시됨과 동시에 대응하는 항목 데이터영역(152)에 대응하는 우측면 몽타주데이터영역(135B)에 그 우측면 몽타주화상(MC3)을 구성하는 몽타주데이터(각 부위패턴 NO.)가 등록된다.
그리고 단계 SN2에서 판독한 우측면용 부위패턴 NO.에 대응하는 부위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우측면의 몽타주화상(MC3)이 희망하는 몽타주화상인 경우에는 윤곽스위치(7f) 등을 조작하는 일 없이, 즉시 OK스위치(6n)을 조작하면 단계 SN2에서 자동적으로 판독한 부위패턴 NO.가 단계 SN9에서 그대로 등록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이 등록된 정면용 부위패턴 NO.에 대응하는 각 부위패턴으로 구성되는 우측면용 몽타주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N10에서는 이 등록된 우측면용의 각 부위패턴 NO.를 개인·몽타주데이터 RAM(13)의 좌측면 부위패턴영역(135D)에 좌측면의 각 부위패턴 NO.로서 등록한다(단계 SN10).
우측면용 몽타주화상과 좌측면용 몽타주화상은 좌우대칭의 몽타주 화상이므로, 이 좌측면을 구성하는 부위패턴 NO.를 좌측면용 부위패턴 NO.로서 상기 데이터영역(135D)을 구성하는 각 부위영역마다 등록한다. 등록된 좌측면을 구성하는 부위패턴 NO.에 의거하고, 대응하는 우측면용 몽타주화상을 합성 RAM(13B)에서 합성함과 동시에 그 합성된 우측면용 몽타주화상을 좌우반전시키고, 좌측면용 몽타주화상을 형성한 후에 그 형성된 좌측면용 몽타주화상을 합성 RAM(13B)의 다른 위치에 기억한 후에 그 좌측면용 몽타주화상(MC4)을 표시한다(제 37D 도 참조).
또한 제너럴 플로의 단계 SL2에 이어지는 단계 SL3에서는 배면 몽타주 등록처리가 실행된다. 이 배면 몽타주 등록처리는 제 35 도에 도시한 플로챠트에 따라 배면 몽타주스위치(6r)가 조작된 것을 조건으로 실행된다(단계 SO1). 이 배면 몽타주스위치(6r)가 조작된 것이 판별되었으면 다음 단계 SO2에 있어서 등록완료의 정면 각 부위패턴 NO.와 대응하는 배면의 부위패턴 NO. 예를들면 「C-20」의 부위패턴 NO.를 판독한다. 마찬가지로 이 「윤곽」 이외의 「두발형」 등 다른 부위패턴 NO.에 관해서도 대응하는 배면의 부위패턴 NO.를 판독한다.
판독한 이들 배면의 부위패턴 NO.는 배면 몽타주데이터영역(135C)의 각 부위영역에 기억한다.
다음 단계 SO3에서는 제 9 도에 도시하는 데이터 합성처리와 같은 데이터 합성처리를 실행한다. 이 단계 SO3의 처리에 의해 판독된 각 부위의 배면 부위패턴으로 구성된 전신의 배면 몽타주화상(MC5)이 제 37D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 1 표시부(5)에 표시된다. 이 제 1 표시부(5)에 표시된 배면 몽타주화상(MC5)이 작성을 희망하는 대상자의 배면과 닮지 않은 경우에는 제 33 도의 단계 SM4∼SM15와 같은 처리를 단계 SO4∼SO7에서 실행하는 것에 의해, 배면 몽타주화상에 관해서도 대상자와 같거나 닮은 몽타주화상을 작성할 수 있다. 희망하는 우측면 몽타주화상이 작성되었으면 OK스위치(6n)를 조작한다. 그러면 단계 SO8에서 단계 SO9로 이행하고, 이상의 처리에 의해 형성된 배면 몽타주화상(MC5)이 제 1 표시부(5)에 표시됨과 동시에, 대응하는 항목데이터영역(152)에 대응하는 배면 몽타주데이터영역(135C)에 이 배면 몽타주화상을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 NO.가 등록된다.
그리고 단계 SO2에서 판독한 배면 부위패턴 NO.에 대응하는 각 부위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된 배면 몽타주화상이 희망하는 몽타주화상인 경우에는 윤곽스위치(7f) 등을 조작하는 일없이, 즉시 OK스위치(6n)를 조작하면 미리 단계 SO2에서 판독한 부위패턴 NO.가 단계 SN9에서 그대로 등록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배면 몽타주스위치(6r)를 조작한 후, OK스위치(6n)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정면 몽타주화상(MC2)에 대한 배면 몽타주화상(MC5)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너럴 플로 단계 SL3에 이어지는 단계 SL4에서는 일괄표시처리가 실행된다. 이 일괄표시처리는 제 36 도에 도시한 플로챠트에 따라 일괄표시스위치(6s)가 조작된 것을 조건으로 실행된다(단계 SP1). 일괄표시스위치(6s)가 조작된 것이 판별되었으면 등록되어 있는 각면의 몽타주데이터(각 부위패턴 NO.)를 판독한다(단계 SP2).
즉, 제 31 도의 항목 「1」에 등록되어 있는 자가 미리 지정된 상태에서, 일괄표시스위치(6s)가 조작된 것이 판별된 경우에는 항목「 1」의 정면 몽타주데이터영역(135A) 외에, 우측면 몽타주데이터영역 (135B) 및 배면 몽타주데이터영역(135C)에 기억되어 있는 부위패턴 NO. 및 제 34 도의 단계 SN10에서 좌측면 몽타주데이터영역(135D)에 등록된 좌측면의 각 부위패턴 NO.를 각각 판독한다.
그러한 후에 판독한 각 부위패턴 NO.에 대응하는 부위패턴을 각 면마다 즉 정면, 우측면, 좌측면 및 배면마다 ROM(12D)에서 판독한다 (단계 SP3). 그리고 이 판독한 각면마다의 각 부위패턴에 대해서 데이터 합성처리를 실행하고(단계 SP4), 이것에 의해 합성처리된 정면, 우측면, 좌측면 및 배면의 각 몽타주화상(MC2∼MC5)의 일괄표시를 실행하고(단계 SP5), 이것에 의해 제 37D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각 몽타주화상(MC2∼MC5)이 제 1 표시부(5)에 일괄표시된다. 이 경우 좌측면용 몽타주화상(MC5)의 표시는 단계 SN10에서 도시한 바와같은 처리에 의해, 우측면용 각 부위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몽타주화상 (MC3)을 일단 좌우반전하고, 그것을 합성 RAM(13B)에 기억한 다음에 그 좌측면용 몽타주화상(MC5)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이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와같이 각면의 몽타주화상(MC2∼MC5)을 표시부(5)에 표시시키도록 했지만, 이와같은 표시와 함께 또는 이와같은 표시 대신 프린터를 사용하여 각면의 몽타주화상을 프린트 아웃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면, 우측면, 좌측면 및 배면의 4개 면의 몽타주화상을 표시부(5)에 표시시키도록 했지만, 또 평면용 몽타주화상을 표시하도록 해도 되고, 또한 다른 각도에서 본 몽타주 화상, 예를들면 정면과 우측면 사이의 중간에 형성되는 중간측면용 몽타주화상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단 이 경우에는 평면용 몽타주 화상 또는 중간측면용 몽타주화상을 각각 구성하는 각 부위마다의 복수종류의 부위패턴을 기본부위패턴 ROM(12E)에 기억시켜 둘 필요가 있다.
이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임의의 면중 적어도 한면에 있어서의 부위패턴을 각 부위마다 지정하면 그 지정된 부위패턴에 대응하는 다른 면에 있어서의 각 부위마다 적어도 하나의 부위패턴이 자동적으로 선택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임의의 한면을 구성하는 부위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몽타주화상을 작성한 경우, 그 한면에 대응하는 다른 면을 구성하는 각 부위패턴을 각 부위마다 백지 상태에서 찾으면서 선택할 필요가 없고, 대응하는 다른 면의 몽타주화상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좌우의 측면중 한쪽 측면의 몽타주 화상을 구성하는 각 부위마다의 부위패턴에 의거하고, 다른쪽 측면의 몽타주화상을 작성하도록 했으므로, 좌우의 측면마다 복수의 측면용 부위패턴을 기억해 둘 필요가 없고, 한쪽 측면용 부위패턴을 기억해 두면 되는 것으로, 그만큼 부위패턴의 기억용량을 대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부위마다의 부위패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제 1 물체화상에 의거하고, 그 복수의 물체화상과 관련한 제 2 물체화상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성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발명에 의하면 같은 대상물에서 각각 형상이 다른 적어도 제 1, 제 2 화상데이터에 의거하고, 상기 대상물과 같은 대상물에서 상기 제 1, 제 2 화상데이터에 관련하고, 또 당해 제 1, 제 2 화상데이터와는 다른 형상의 제 3 화상데이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성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발명에 의하면 작성된 화상의 변화를 인체의 변화데이터로서 설정하는 것만으로, 이 설정된 변화데이터에 따라 작성되어 있는 제 1 화상의 적어도 하나의 부위패턴을 다른 부위패턴으로 변경하고, 상기 제 1 화상과는 다른 형태의 제 2 화상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성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발명에 의하면 물체화상을 일방향에서 본 경우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만으로, 그 기억된 화상데이터에 의거하고, 상기 물체를 상기 일방향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경우의 화상데이터를 작성하고, 이 작성된 화상데이터와 기억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신속 하고 용이하게 작성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동물화상의 외형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기준으로서 이용되는 제 1 변화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변화데이터 기억수단(도 18 및 도 21의 13A ; 도 23의 ST9)과,
    상기 제 1 변화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변화데이터에 대응한 외형형상의 제 1 동물화상을 기억하는 제 1 동물화상 기억수단(도 18의 13B ; 도 24의 SK6)과,
    동물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도 18의 5, 9 ; 도 26a∼26C)과,
    상기 제 1 동물화상 기억수단에 기억된 제 1 동물화상(도 26a의 MB1)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 1 표시제어수단(도 18의 11 ; 도 24의 SK7)과,
    동물화상의 외형형상을 변화시킬 때에 이용되는 제 2 변화데이터를 입력하는 변화데이터 입력수단(도 17의 26d ; 도 18의 18 ; 도 24의 SK10)과,
    상기 변화데이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제 2 변화데이터에 대응시키고, 상기 제 1 동물화상의 외형형상과는 다른 외형형상의 제 2 동물화상(도 26b의 MB2 또는 도 26c의 MB3)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제 2 동물화상을 기억하는 제 2 동물화상 기억수단(도 18의 13B ; 도 25의 SK13)과,
    상기 제 2 동물화상 기억수단에 기억된 제 2 동물화상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 2 표시제어수단(도 18의 11 ; 도 24의 SK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 동물화상의 외형형상을 변화시킬 때에 기준으로서 이용되는 체중 또는 신장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기억수단(도 18 및 도 21의 13A ; 도 23의 ST9)과,
    상기 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체중데이터 또는 신장데이터에 대응한 외형형상의 제 1 동물화상을 기억하는 제 1 동물화상 기억수단(도 18의 13B ; 도 24의 SK6)과,
    동물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도 18의 5, 9 ; 도 26a∼26C)과,
    상기 제 1 동물화상 기억수단에 기억된 제 1 동물화상(도 27a의 MB1)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 1 표시제어수단(도 18의 11 ; 도 24의 SK7)과,
    섭취하는 섭취칼로리를 입력하는 칼로리데이터 입력수단(도 17의 26e ; 도 18의 18 ; 도 24의 SK19)과,
    상기 칼로리데이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칼로리데이터에 대응시키고, 상기 제 1 동물화상의 외형형상과는 다른 외형형상의 제 2 동물화상(도 27b의 MB3)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제 2 동물화상을 기억하는 제 2 동물화상 기억수단(도 18의 13B ; 도 25의 SK22)과,
    상기 제 2 동물화상 기억수단에 기억된 제 2 동물화상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 2 표시제어수단(도 18의 11 ; 도 24의 SK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과 제 2 각 동물화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해당 각 동물화상의 변화를 나타낸 코멘트(도 27a)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 3 표시제어수단(도 18의 11 ; 도 24의 SK1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과 제 2 각 동물화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해당 각 동물화상의 변화를 나타낸 코멘트(도 27a)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 3 표시제어수단(도 18의 11 ; 도 24의 SK1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화데이터는 기준이 되는 현재의 체중데이터 또는 신장데이터이고,
    상기 제 1 동물화상은 상기 제 1 체중데이터 또는 신장데이터에 대응한 외형형상의 동물화상이고,
    상기 제 2 변화데이터는 상기 제 1 체중데이터 또는 신장데이터와는 다른 별개인 제 2 체중데이터 또는 신장데이터이고,
    상기 제 2 동물화상은 상기 제 1과 상기 제 2 각 체중데이터 또는 각 신장데이터에 대응한 외형형상의 동물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6. 동물화상의 외형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기준으로서 이용되는 제 1 변화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변화데이터 기억수단(도 18 및 도 21의 13A ; 도 23의 ST9)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변화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변화데이터에 대응한 외형형상의 제 1 동물화상이 기억되어 있는 제 1 동물화상 기억수단(도 18의 13B ; 도 24의 SK6)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동물화상 기억수단에 기억된 제 1 동물화상(도 26a의 MB1)을, 동물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도 18의 5, 9 ; 도 26a∼26C)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 1 표시제어단계(도 18의 11 ; 도 24의 SK7)와,
    동물화상의 외형형상을 변화시킬 때에 이용되는 제 2 변화데이터를 입력하는 변화데이터 입력단계(도 17의 26d ; 도 18의 18 ; 도 24의 SK10)와,
    상기 변화데이터 입력단계에 의해 입력된 제 2 변화데이터에 대응시키고, 상기 제 1 동물화상의 외형형상과는 다른 외형형상의 제 2 동물화상(도 26b의 MB2 또는 도 26c의 MB3)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제 2 동물화상을 기억하는 제 2 동물화상 기억단계(도 18의 13B ; 도 25의 SK13)와,
    상기 제 2 동물화상 기억단계에 기억된 제 2 동물화상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 2 표시제어단계(도 18의 11 ; 도 24의 SK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방법.
  7. 동물화상의 외형형상을 변화시킬 때에 기준으로서 이용되는 체중 또는 신장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기억수단(도 18 및 도 21의 13A ; 도 23의 ST9)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데이터기억수단에 기억되어있는 체중데이터 또는 신장데이터에 대응한 외형형상의 제 1 동물화상이 기억되어 있는 제 1 동물화상 기억수단(도 18의 13B ; 도 24의 SK6)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동물화상 기억수단에 기억된 제 1 동물화상(도 27의 MB1)을 동물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도 18의 5, 9 ; 도 26a∼26C)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 1 의 표시제어단계(도 18의 11 ; 도 24의 SK7)와,
    섭취하는 섭취칼로리를 입력하는 칼로리데이터 입력단계(도 17의 26e ; 도 18의 18 ; 도 24의 SK19)와,
    상기 칼로리데이터 입력단계에 의해 입력된 칼로리데이터에 대응시키고, 상기 제 1 동물화상의 외형형상과는 다른 외형형상의 제 2 동물화상(도 27b의 MB3)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제 2 동물화상을 기억하는 제 2 동물화상 기억단계(도 18의 13B ; 도 25의 SK22)와,
    상기 제 2 동물화상 기억단계에 의해 기억된 제 2 동물화상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 2 표시제어단계(도 18의 11 ; 도 24의 SK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과 상기 제 2 각 동물화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해당 각 동물화상의 변화를 나타내는 코멘트(도 27a)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 3 표시제어단계(도 18의 11 ; 도 24의 SK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과 상기 제 2 각 동물화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해당 각 동물화상의 변화를 나타내는 코멘트(도 27a)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 3 표시제어단계(도 18의 11 ; 도 24의 SK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화데이터는 기준이 되는 현재의 체중데이터 또는 신장데이터이고,
    상기 제 1 동물화상은 상기 제 1 체중데이터 또는 신장데이터에 대응한 외형형상의 동물화상이고,
    상기 제 2 변화데이터는 상기 제 1 체중데이터 또는 신장데이터와는 다른 별개인 제 2 체중데이터 또는 신장데이터이고,
    상기 제 2 동물화상은 상기 제 1과 상기 제 2 각 체중데이터 또는 각 신장데이터에 대응한 외형형상의 동물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방법.
  11. 물체의 각각의 면을 구성하는 각 부분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분 화상들을 기억하는 부분 화상 기억 수단(도 29, 도 30의 12E);
    각 부분들에 대한 임의의 면의 부분 화상들을 상기 부분 화상 기억 수단(12E)에 기억된 복수의 부분 화상들 중에서 선택하기 위한 부분 화상 선택수단(도 28의 7);
    상기 부분 화상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개개의 부분들에 대한 부분 화상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한 면에서의 제 1 물체 화상(도 37b의 MC2)을 기억하기 위한 제 1 물체 화상 기억 수단(도 29의 13B);
    상기 제 1 물체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된 한 면에서의 제 1 물체 화상을 구성하는 부분 화상과 일치하여 상기 부분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된 복수의 부분 화상들 중에서 추가 면의 개개의 부분들에 대한 부분 화상들을 지정하기 위한 부분 화상 지정수단(도 28, 도 29의 7, 11);
    상기 부분 화상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추가 면의 각 부분들에 대한 부분 화상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제 2 화상(도 37c의 MC3)을 기억하기 위한 제 2 물체 화상 기억 수단(도 29의 13B); 그리고
    상기 제 2 물체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된 추가 면에서의 제 2 물체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도 37c의 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화상표시장치.
KR1019970031264A 1996-12-19 1997-07-07 부호 다중 무선 장치 KR100232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939396A JP3311950B2 (ja) 1996-12-19 1996-12-19 符号多重無線装置
JP339393 1996-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366A true KR19980063366A (ko) 1998-10-07
KR100232554B1 KR100232554B1 (ko) 1999-12-01

Family

ID=1832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264A KR100232554B1 (ko) 1996-12-19 1997-07-07 부호 다중 무선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09090A (ko)
JP (1) JP3311950B2 (ko)
KR (1) KR100232554B1 (ko)
CN (1) CN107591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6169B1 (en) * 1996-12-20 2004-11-30 Fujitsu Limited Code multiplexing transmitting apparatus
DE19824233B4 (de) * 1998-05-29 2005-10-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mplitudenbegrenzung
JP2002536870A (ja) * 1999-01-29 2002-10-29 ピンツィ ファン 無相関領域を有する2値符号系列を用いた無干渉適応スペクトル拡散通信方式
US6611567B1 (en) * 1999-01-29 2003-08-26 Ager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ulse shaping
US6515961B1 (en) * 1999-03-10 2003-02-04 Qualcomm Incorporated Decresting peaks in a CDMA signal
CN1076915C (zh) * 1999-03-15 2001-12-26 华为技术有限公司 可传输多声道声音的宽带码分多址移动装置
JP4224168B2 (ja) 1999-04-23 2009-0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基地局装置及びピーク電力抑圧方法
US6996080B1 (en) * 1999-07-23 2006-02-07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Chip-synchronous CDMA multiplexer and method resulting in constant envelope signals
JP2001069184A (ja) * 1999-08-31 2001-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ミッタ方法およびリミッタ装置
US6434135B1 (en) * 1999-08-31 2002-08-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daptive RF amplifier prelimiter
JP3585808B2 (ja) * 2000-04-06 2004-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多重通信システム
CN1284345C (zh) * 2000-04-19 2006-11-08 电力波技术公司 在扩频通信系统中降低峰值功率的系统和方法
US6449302B2 (en) * 2000-04-19 2002-09-10 Powerwav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eak power reduction i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s
KR100491194B1 (ko) * 2000-06-20 2005-05-25 파워웨이브 테크놀로지스, 인크. 다중 캐리어 통신 시스템에서 피크 전력 감소를 위한시스템 및 방법
WO2002009373A2 (en) * 2000-07-21 2002-01-31 Pmc-Sierra, Ltd. Reduction of peak to average power ratio
WO2002011333A1 (fr) * 2000-08-01 2002-02-07 Fujitsu Limited Circuit de limitation d'amplitude et transmetteur de signal a multiplexage de code effectuant une limitation d'amplitude
US6377635B1 (en) * 2000-10-26 2002-04-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iterbi detection of generalized partial response signals using partial matched filter and matched filter metrics
US7023900B2 (en) * 2001-03-02 2006-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peak-to-average power ratio in CDMA transmitters
JP3349698B2 (ja) * 2001-03-19 2002-11-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記録媒体、移動局、基地局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7170952B2 (en) * 2001-07-02 2007-01-30 Powerwav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ost filtering peak power reduction in communications systems
US7095798B2 (en) * 2001-08-02 2006-08-22 Powerwav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ost filtering peak power reduction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s systems
JP4012725B2 (ja) * 2001-12-05 2007-11-21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プリディストーション型増幅装置
JP2003309875A (ja) * 2002-04-16 2003-10-31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制御局、基地局、移動局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リソースの割当制御方法
KR100458123B1 (ko) * 2002-05-16 2004-11-20 전자부품연구원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
CN100579309C (zh) * 2002-08-23 2010-01-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Ofdm-cdma发送装置和ofdm-cdma发送方法
US7697591B2 (en) * 2002-08-26 2010-04-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rest factor reduction processor for wireless communications
JP4152205B2 (ja) * 2003-01-29 2008-09-17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ジタルベースバンド変/復調装置
US7450539B1 (en) 2003-02-11 2008-11-11 Analog Devices, Inc. Power regulation for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JP4287225B2 (ja) * 2003-09-18 2009-07-01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送信機
EP1821474B1 (en) 2006-02-17 2012-05-30 Fujitsu Limited Signal peak voltage suppression apparatus
JP4789749B2 (ja) * 2006-08-17 2011-10-12 富士通株式会社 ピーク抑圧装置
JP5125797B2 (ja) 2008-06-19 2013-01-23 富士通株式会社 振幅抑圧装置および信号送信装置
JP5262361B2 (ja) * 2008-07-03 2013-08-14 富士通株式会社 ピーク抑圧復元方法、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ピーク抑圧復元システム
US8340210B2 (en) 2010-04-21 2012-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rest factor reduction architecture
US9608675B2 (en) * 2013-02-11 2017-03-28 Qualcomm Incorporated Power tracker for multiple transmit signals sent simultaneously
US9077327B2 (en) * 2013-11-04 2015-07-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Optimized peak detector for the AGC loop in a digital radio receiv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3233A (ja) * 1986-10-08 1988-04-23 Oki Electric Ind Co Ltd スペクトル拡散通信システム
US5351269A (en) * 1990-12-05 1994-09-27 Scs Mobilecom, Inc. Overlaying spread spectrum CDMA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US5228055A (en) * 1991-01-31 1993-07-13 Clarion Co., Ltd.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device
US5668795A (en) * 1992-11-24 1997-09-16 Stanford Telecommunications, Inc. Modulation system for spread spectrum CDMA communiction
US5414728A (en) * 1993-11-01 1995-05-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ifurcating signal transmission over in-phase and quadrature phas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channels
US5621762A (en) * 1995-06-12 1997-04-15 Motorola, Inc. Radio with peak power and bandwidth efficient mod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914C (zh) 2001-12-05
CN1185689A (zh) 1998-06-24
JPH10178414A (ja) 1998-06-30
KR100232554B1 (ko) 1999-12-01
JP3311950B2 (ja) 2002-08-05
US6009090A (en) 1999-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5321B1 (ko) 화상표시장치 및 방법
KR19980063366A (ko) 부호 다중 무선 장치
KR0142164B1 (ko) 화상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Gilman Black bodies, white bodies: Toward an iconography of female sexuality in late nineteenth-century art, medicine, and literature
JP3206166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画像表示制御方法
Malnig Athena Meets Venus: Visions of Women in Social Dance in the Teens and Early 1920s
JP3345972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画像表示制御方法
JP3027835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方法
JP2796658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画像表示制御方法
JP2845240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画像表示制御方法
JP2995323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方法
JP2939881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方法
JP3455756B2 (ja) 物体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物体画像表示制御方法
JP3928652B2 (ja) 複数のキャラクタの画像生成方法
Gabara Facing Brazil: The Problem of Portraiture and a Modernist Sublime
JP3543154B2 (ja) 物体画像出力制御装置および物体画像出力制御方法
JP3092368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方法
JP3298490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方法
JP3341049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方法
JPH06195431A (ja) モンタージュ作成装置
JP3489165B2 (ja) 画像出力制御装置および画像出力制御方法
JP3567261B2 (ja) 似顔絵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似顔絵画像表示制御方法
JP3407403B2 (ja) 占い結果出力装置
Jones et al. 11: 11 the Time Prompt Phenomenon: Mysterious Signs, Sequences, and Synchronicities
JP3603899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画像表示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