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382A - 자동차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382A
KR19980042382A KR1019970059782A KR19970059782A KR19980042382A KR 19980042382 A KR19980042382 A KR 19980042382A KR 1019970059782 A KR1019970059782 A KR 1019970059782A KR 19970059782 A KR19970059782 A KR 19970059782A KR 19980042382 A KR19980042382 A KR 19980042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intake pipe
brake
pip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4556B1 (ko
Inventor
마틴슈트라이프
Original Assignee
랄프홀거베렌스
로베르트보쉬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랄프홀거베렌스, 로베르트보쉬게엠베하 filed Critical 랄프홀거베렌스
Publication of KR19980042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2Arrangements of pumps or compressor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Ignition Tim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최적의 가열 기능을 기관 제어에 의해 가능하게 하고,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브레이크의 조력에 필요한 흡기관 부압을 확실하게 이용 가능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브레이크력 증폭기(15)를 내연기관(7)의 흡기관 압력과 결합함으로써 보조력이 발생되는 보조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고, 저온 시동 후의 워밍업 과정에서 상승된 흡기관 압력에 의해 내연기관이 운전되는 자동차 내연기관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브레이크 조작이 기관 제어의 조절에 의해 흡기관 압력을 그 밖의 것이 동일 조건에서 브레이크의 조작이 없는 경우에 설정된 값보다도 작은 최대치로 제한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시동 후의 워밍업 과정에 있어서의 자동차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촉매 부착 자동차에 있어서는, 워밍업 과정은 높은 흡기관 압력과 높은 배기 가스 온도에서 행해진다. 촉매를 가능한 한 빨리 가열하기 위해서 저온 시동의 경우는 극히 느린 점화각, 즉 나쁜 기관 효율로 운전된다. 촉매의 희망하는 가열 작용은 그 결과 발생하는 배기 가스 온도의 상승에 의해 행해진다. 이 나쁜 기관 효율은 교축 밸브 또는 아이들링 설정 요소의 개방 조작에 의해 연료/공기 혼합물의 유량을 상승시킴으로써 보상된다. 이에 의해, 통상의 아이들링 또는 부분 부하 운전에 비해 상당히 높은 흡기관 압력 내지 상당히 감소한 흡기관 부압이 형성된다. 이런 종류의 촉매 가열 기능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184463호에서 이미 공지된 것이다.
상기의 흡기관 압력의 상승은 동시에 기관의 희박(lean) 운전을 희망할 때에 더욱 증폭된다. 이것은 경우에 따라 브레이크력 증폭기에 대해서 충분한 흡기관 부압을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를 발생한다. 흡기관 부압을 에너지 축적기로서 동작시키는 보조 브레이크 장치는 승용차 및 경하중 내지 중하중용의 상용차에 있어서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 배경으로부터, 최적의 가열 기능을 기관 제어에 의해 가능하게 하고,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브레이크의 조력에 필요한 흡기관 부압을 확실하게 이용 가능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기술적 주변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연기관
2 : 흡기관
3 : 출력 설정 요소
4 : 교축 밸브
5 : 아이들링 설정기
6 : 분사 밸브 장치
7 : 점화 장치
8 : 제어 장치
9 : 센서 장치
10 : 전송기
11 : 전동 장치
12 : 브레이크 장치
13 : 브레이크 페달
14 : 브레이크 장치
15 : 브레이크력 증폭기
이 과제는 브레이크력 증폭기를 내연기관의 흡기관 압력과 결합함으로써 보조력이 발생되는 보조력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고, 저온 시동 후의 워밍업 과정에서 상승된 흡기관 압력에 의해 내연기관이 운전되는 자동차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브레이크 조작이 기관 제어의 조절에 의해 흡기관 압력을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자동차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또, 상기 과제는 브레이크 조작을 내연기관의 흡기관 압력과 결합함으로써 보조력이 발생되는 보조력 브레이크 장치와, 내연기관의 흡기관 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 설정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 설정 요소의 조작에 의해 저온 시동 후의 워밍업 과정에서 상승된 흡기관 압력에 의해 내연기관이 운전되는 자동차 내연기관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조작에 관한 신호가 상기 제어 장치에 결합되어 브레이크 조작 시에 상기 신호가 기관 제어를 조절하고, 이 조절에 의해 흡기관 압력을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자동차 내연기관의 제어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브레이크 조작 시에 흡기관 압력이 브레이크 기능에 필요하도록 설정된 소정의 최대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기관 제어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그 이외의 주행 상태에서는 이 제한은 유효하지 않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는 브레이크 부압이 확보되며, 대부분의 경우의 주행 상태에 있어서는 잠재적인 브레이크 부압의 요구를 고려하지 않고, 희박 운전 또는 촉매 가열 기능을 고려하여 기관 제어를 최적화할 수 있다는 유리함이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흡기관(2)으로부터 공기 또는 연료/공기 혼합물을 흡인하여 연소시키는 내연기관을 나타낸다. 공기는 출력 설정 요소(3), 예를 들어 흡기관에 마련된 드라이버의 희망에 따라서 조절 가능한 교축 밸브(4), 또는 교축 밸브에 대한 바이패스 내의 아이들링 설정기(5)를 거쳐 흐른다. 분사 밸브 장치(6)를 거쳐 흡인되는 공기량 및 희망하는 공연비에 따라서 연료가 흡기관 또는 직접 내연기관(7)의 연소실로 분사된다. 연소는 점화 장치(7)에 의해 행해진다. 출력 설정 요소(3), 분사 밸브 장치(6) 및 점화 장치(7)의 조작은 기관 제어 기능을 조정하고, 기관의 회전 속도, 기관의 온도, 크랭크축 및 캠축의 각도 위치, 흡입 공기 온도 및 흡입 공기량, 그리고 연료/공기 혼합물의 조성 등의 일련의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장치(8)에 의해 행해진다. 도1에 있어서, 제어 장치(8)에 상기의 신호로부터 선택된 신호 대신에, 또는 그 모든 신호 대신에, 그리고 경우에 따라 그 외의 신호 대신에 블록(9)으로부터 일괄 신호가 공급되며, 블록(9)은 센서 장치 즉 상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센서의 집합체를 의미하고 있다. 또, 제어 장치(8)에는 전동 장치(11)의 전송기(10)로부터 주행 속도 신호가, 그리고 브레이크 장치(12)로부터 브레이크 조작 신호가 공급된다. 브레이크 장치(12)는 브레이크 페달(13)을 구비하고, 이 브레이크 페달(13)에 의해 예를 들어 유압 브레이크 실린더가 조작되며, 이 유압 브레이크 실린더는 유압 시스템을 거쳐서 브레이크 장치(14)를 작동한다. 브레이크 페달력은 브레이크력 증폭기(15)에 의해 공급되는 보조력에 의해서 도움을 받는다. 이 브레이크력 증폭기(15)는 배관(16)을 거쳐 내연기관의 흡기관에 접속되고, 흡기관 부압이 브레이크의 조작 시에 브레이크 페달에 결합된 막에 작용하여, 이에 의해 페달력을 증폭하도록 상기 브레이크력 증폭기(15)가 구성되어 있다.
이 장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브레이크력 증폭기(15)를 위한 부압은 브레이크가 실제로 조작되어야 하고, 또한 차량이 주행하고 있을 때에만 필요하다. 따라서, 다음의 방법이 가능하다. 기관의 제어 장치(8)에 브레이크의 조작 및 차량의 주행 상태에 관한 신호가 전송된다. 기관의 제어 장치(15)가 브레이크가 조작되고 있지 않거나 또는 차량이 정지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고 있는 한, 브레이크를 위한 흡기관 부압은 필요하지 않다. 이 운전 상태에서는 흡기관 압력을 상승시키는 어떠한 기능에 대해서도 결코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이에 대해, 브레이크가 조작되고 차량이 제로가 아닌 속도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공기량 또는 혼합 가스량이 흡기관 내의 출력 설정 요소(3)의 폐쇄 조작에 의해 저하되거나, 또는 적어도 브레이크 작용의 필요성에서 설정한 최대 허용 흡기관 압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된다. 경우에 따라, 출력 설정 요소(3)의 조작에 의해 예상되는 토크의 저하를 보상하기 위해서「지연」방향으로 설정된 점화각은 이 시간 동안은 다시「진행」방향으로 조정되어야 한다. 브레이크력 증폭기(15)는 보통 어느 정도의 축적 작용을 갖고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 브레이크 조작 시 및 제로가 아닌 차량 속도 시에 극히 단시간 흡기관 부압을 제한하고, 계속해서 다시 자유롭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2는 이 방법을 흐름도에 의해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단계(S1)의 내연기관의 시동 후에 도달하는 단계(S2)에 있어서, 기관 제어를 위한 주 프로그램, 즉 특히 분사와 점화의 동조와 제어가 개시된다. 단계(S3)에 있어서, 시동 후의 워밍업 과정이 이미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묻는다. 이를 위한 기준은 시간 임계치, 온도 임계치 또는 시동 이후의 적분된 부하치 및/또는 회전 속도치이다. 이 단계가 부정된 경우는 워밍업 과정은 아직 종료되지 않고, 단계(S4)에 있어서 상승된 흡기관 압력으로 운전이 개시되거나, 또는 이미 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것이 계속된다. 단계(S5)에 있어서, 브레이크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묻는다. 이 단계(S5)가 부정된 경우는 워밍업 과정이 단계(S3)의 긍정에 의해 중단되거나, 또는 단계(S5)가 브레이크의 조작에 의해 긍정되기까지 단계(S2)에서 단계(S5)까지의 과정이 반복해서 실행된다. 단계(S5)가 긍정된 경우 단계(S6)가 이어지고, 단계(S6)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 압력을 저하시키든지 또는 제한하기 위한 상기의 조치가 취해진다. 단계(S5)에서 단계(S6)로의 이행은 또한 단계(S7)(표시 A)에 있어서의 조회에 의해 보충해도 된다. 이 변경 형태는 차량이 실제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만 흡기관 압력이 제한되도록 한 것이다.
다른 변경 형태는 표시 B를 붙인 단계(S8)에 의해 행해진다. 이 변경 형태에 따르면 흡기관의 압력 제한에 의해 예측되는 토크의 저하는 예를 들어 점화 진행의 도입에 의한 토크의 상승에 의해 보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최적의 가열 기능을 기관 제어에 의해 가능하게 하고,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브레이크의 조력에 필요한 흡기관 부압을 확실하게 이용 가능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브레이크력 증폭기를 내연기관의 흡기관 압력과 결합함으로써 보조력이 발생되는 보조력 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하고, 저온 시동 후의 워밍업 과정에서 상승된 흡기관 압력에 의해 내연기관이 운전되는 자동차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브레이크 조작이 기관 제어의 조절에 의해 흡기관 압력을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흡기관 압력의 저하가 흡기관 압력을 그 밖의 것이 동일 조건에서 브레이크의 조작이 없는 경우에 설정된 값보다도 작은 최대치로 제한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브레이크의 조작은 자동차가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만 기관 제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흡기관 압력의 상승이 내연기관의 상기의 흡기관 내의 출력 설정 요소의 개방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흡기관 압력의 상승에 의한 흡인 연료/공기 혼합물의 양의 상승 효과가 배기 가스 온도의 상승을 위해 행해지는 점화의 지연 설정이 기관의 토크에 주는 영향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조작에 의해 행해지는 기관 제어의 조절은 상기의 흡기관의 출력 설정 요소의 개방도를 저감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설정 요소의 개방도를 저감하는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예상되는 토크의 저하는, 점화 시기의 진행 방향의 설정에 의한 토크의 상승에 의해 보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교축 밸브 설정 요소 또는 교축 밸브에 대한 바이패스 내의 아이들링 설정 요소를 출력 설정 요소로서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연기관의 제어 방법.
  9. 브레이크 조작을 내연기관의 흡기관 압력과 결합함으로써 보조력이 발생되는 보조력 브레이크 장치와, 내연기관의 흡기관 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 설정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 설정 요소의 조작에 의해 저온 시동 후의 워밍업 과정에서 상승된 흡기관 압력에 의해 내연기관이 운전되는 자동차 내연기관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조작에 관한 신호가 상기 제어 장치에 결합되어, 브레이크 조작 시에 상기 신호가 기관 제어를 조절하고, 이 조절에 의해 흡기관 압력을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연기관의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관한 신호를 상기 제어 장치에 공급하는 추가 수단을 구비하고,
    브레이크 조작에 의한 흡기관 압력의 저하가 자동차의 주행 시에 있어서만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연기관의 제어 장치.
KR1019970059782A 1996-11-14 1997-11-13 자동차내연기관의제어방법및장치 KR100514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47092.7A DE19647092B4 (de) 1996-11-14 1996-11-14 Verbrennungsmotorsteuerungsverfahren
DE19647092.7 1996-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382A true KR19980042382A (ko) 1998-08-17
KR100514556B1 KR100514556B1 (ko) 2005-11-28

Family

ID=781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782A KR100514556B1 (ko) 1996-11-14 1997-11-13 자동차내연기관의제어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09028A (ko)
JP (1) JPH10147161A (ko)
KR (1) KR100514556B1 (ko)
DE (1) DE19647092B4 (ko)
GB (1) GB23193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7092B4 (de) * 1996-11-14 2016-02-25 Robert Bosch Gmbh Verbrennungsmotorsteuerungsverfahren
DE19859242B4 (de) * 1998-12-22 2011-06-22 Robert Bosch GmbH, 70469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040252C2 (de) * 2000-08-14 2002-07-1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Steuer- und/oder Regeleinrichtung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JP4557962B2 (ja) 2006-12-28 2010-10-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8103431B2 (en) 2008-01-23 2012-01-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gine vacuum enhancement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911128B2 (ja) * 2008-06-30 2012-04-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8343011B2 (en) 2010-08-24 2013-0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ngine air
CN103388532B (zh) * 2012-05-11 2016-09-28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发动机控制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213043A (de) * 1937-12-11 1941-01-15 Ig Farbenindustri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ationenaustauschenden Kunstharzes.
GB1388671A (en) * 1971-05-12 1975-03-26 Coventry Climax Eng Ltd Vehicle controls
US3792761A (en) * 1972-12-08 1974-02-19 Gen Motors Corp Throttle override controlled by a vacuum boosted power brake system
DE2814384A1 (de) * 1978-04-04 1979-10-18 Teves Gmbh Alfred Einrichtung zur erzeugung und bereitstellung eines vakuums in fahrzeug-hilfskraftsystemen
US4244335A (en) * 1978-11-17 1981-01-13 Derussy John H Control of vehicle engine fuel feed by electro-stress means
JPS5830438A (ja) * 1981-08-19 1983-02-22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エンジンの燃料制御装置
JPS5851235A (ja) * 1981-09-18 1983-03-25 Toyota Motor Corp デイ−ゼルエンジンに於ける吸気絞り弁の制御装置
DE4029811C2 (de) * 1990-09-20 1999-08-12 Bosch Gmbh Robert Katalysatorheizfunktion
JP3080756B2 (ja) * 1992-02-05 2000-08-28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ブレーキブースタの負圧制御装置
DE19503568A1 (de) * 1995-02-03 1996-08-0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Brennkraftmaschine mit einer Saugstrahlpumpe zur Unterdruckversorgung insbesondere eines Bremskraftverstärkers
DE19647092B4 (de) * 1996-11-14 2016-02-25 Robert Bosch Gmbh Verbrennungsmotorsteuerungsverfah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722829D0 (en) 1997-12-24
KR100514556B1 (ko) 2005-11-28
GB2319359A (en) 1998-05-20
US6109028A (en) 2000-08-29
DE19647092A1 (de) 1998-05-28
DE19647092B4 (de) 2016-02-25
GB2319359B (en) 1999-03-10
JPH10147161A (ja) 1998-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6248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n automatic engine cut-off and starting system
KR100514556B1 (ko) 자동차내연기관의제어방법및장치
JP2001263123A (ja) 内燃機関の自動始動・自動停止
KR100629296B1 (ko) 자동차 구동 유니트 작동 방법 및 장치
JP3577979B2 (ja) 内燃機関の停止制御装置
JP4228199B2 (ja) エンジンの暖機制御装置
US20020145053A1 (en) Method and regulating arrangement for heating the cab of a motor vehicle with a diesel engine
CN113195882B (zh) 用于运行内燃机的方法及相应的内燃机
US688651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hutdow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6307728A (ja) 内燃機関の触媒暖機制御装置
JP4430283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H0579562A (ja) 車両のクリープ制御装置
JP4472488B2 (ja) 内燃機関のアイドル運転制御方法
JP3239747B2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3355679B2 (ja) 車両用内燃機関の回転速度制御装置
JPH0560225A (ja) 車両のクリープ制御装置
JP2887538B2 (ja) エンジンの暖機制御装置
JP2002213289A (ja) 内燃機関の減速時制御装置
JP2002202015A (ja) エマルション燃料供給システム
JPH0560224A (ja) 車両のクリープ制御装置
JPH11200928A (ja) 車両用エンジンのアイドル回転数制御装置
JPS63201345A (ja) エンジンの燃料制御装置
KR19990032599A (ko) 냉시동시 엔진 제어 방법
JPH01277625A (ja) エンジンの過給圧制御装置
JPH0571406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