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722U - 자동차용 시트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722U
KR19980041722U KR2019960054815U KR19960054815U KR19980041722U KR 19980041722 U KR19980041722 U KR 19980041722U KR 2019960054815 U KR2019960054815 U KR 2019960054815U KR 19960054815 U KR19960054815 U KR 19960054815U KR 19980041722 U KR19980041722 U KR 199800417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vehicle
seat structure
occupa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48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광용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48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1722U/ko
Publication of KR199800417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722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02/0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 B60N2002/0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02/0288Adjustable seat wid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의 차체(BODY)상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쿠션시트(30)가 설치되고, 상기 쿠션시트(30)의 후면 상부에는 등받이(1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10)의 상단부에는 헤드레스트(20)가 스테이(STAY)에 의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0)의 배면에 제1등받이(40)가 경첩(5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차량을 운행중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등받이(10)의 폭을 넓혀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차량을 운행중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용 시트구조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실내의 차체(BODY)상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쿠션시트(30)가 설치되고, 상기 쿠션시트(30)의 후면 상부에는 등받이(1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10)의 상단부에는 헤드레스트(20)가 스테이(STAY)에 의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시트구조는 승원이 앉은 키에 따라 스테이를 통해 헤드레스트(20)의 높이를 조절하며, 헤드레스트(20)가 승원의 머리 후면부에 밀착되게 위치되어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편안한 자세로 운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시트구조는 등받이(10)가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는 관계로 차실에서 탑승한 승원이 휴식을 취하는 것이 불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받이의 배면에 제1등받이를 경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휴식을 취하는 경우 제1등받이를 등받이의 일측으로 회전시켜 등받이의 폭을 넓혀 사용함으로서, 승원이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등받이11:수납부
20:헤드레스트30:쿠션시트
40:제1등받이50:경첩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시트구조도 도 2 및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실내의 차체(BODY)상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쿠션시트(30)가 설치되고, 상기 쿠션시트(30)의 후면 상부에는 등받이(1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10)의 상단부에는 헤드레스트(20)가 스테이(STAY)에 의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단, 본 고안은 상기 등받이(10)의 배면에 제1등받이(40)가 경첩(5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차량을 운행중 차량에 탑승한 승원이 휴식을 취하는 경우, 등받이(10)의 배면에 결합되어 있는 제1등받이(40)를 경첩(50)에 의해 회전시켜 등받이(10)의 폭을 확대시키고, 차량을 운행시에는 경첩(50)에 의해 회전시켜 제1등받이(40)를 등받이(10)의 배면에 결합시켜 보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차량을 운행중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등받이(10)의 폭을 넓혀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등받이의 배면에 제1등받이를 경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차실에 탑승한 승원이 휴식을 취하는 경우 제1등받이를 등받이의 일측으로 회전시켜 등받이의 폭을 넓혀 사용함으로서, 승원이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실내의 차체(BODY)상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쿠션시트(30)가 설치되고, 상기 쿠션시트(30)의 후면 상부에는 등받이(1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10)의 상단부에는 헤드레스트(20)가 스테이(STAY)에 의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0)의 배면에 제1등받이(40)가 경첩(5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구조.
KR2019960054815U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시트구조 KR1998004172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815U KR19980041722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시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815U KR19980041722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시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722U true KR19980041722U (ko) 1998-09-25

Family

ID=5399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4815U KR19980041722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시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172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41722U (ko) 자동차용 시트구조
KR19980041723U (ko) 자동차용 시트구조
US20240140289A1 (en) Electric wing-out headrest
KR100203768B1 (ko) 차량의 출몰식 시트 헤드레스트
KR200149825Y1 (ko) 자동차 의자의 헤드레스트 구조
KR19980062328A (ko) 자동차 의자용 안락장치
KR200145175Y1 (ko) 회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KR200143059Y1 (ko) 시트의 아암 레스트
KR19980023621U (ko) 헤드레스트 부착형 차량용 리어시트
KR19980062181A (ko) 자동차용 의자의 헤드레스트구조
KR100292865B1 (ko) 자동차용리어시트의쿠션조절장치
KR200326840Y1 (ko) 자동차 시트용 머리받침대
KR970036805A (ko) 자동차 리어시트의 헤드레스트 안착구조
KR0125234Y1 (ko) 자동차용 드라이버 시트
KR970036771A (ko) 자동차용 시트구조
KR19980052213A (ko) 자동차용 쿠션의 틸팅 구조
KR19980048118U (ko) 자동차용 시트
KR19980038919U (ko) 탑승객의 요추를 지지하는 자동차의 시트백
KR970036589A (ko) 보조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의 운전석
KR19980022796A (ko) 설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 리어 시트용 암 레스트
KR19980027231U (ko) 자동차 시트의 허리지지대구조
KR19980055579U (ko) 자동차 뒷좌석중앙헤드레스트
KR19980047080U (ko) 자동차 시트의 럼버서포트 설치구조
KR19980045357A (ko) 시트 쿠션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KR19980045236U (ko) 버스의 암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