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357A - 시트 쿠션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 Google Patents

시트 쿠션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357A
KR19980045357A KR1019960063539A KR19960063539A KR19980045357A KR 19980045357 A KR19980045357 A KR 19980045357A KR 1019960063539 A KR1019960063539 A KR 1019960063539A KR 19960063539 A KR19960063539 A KR 19960063539A KR 19980045357 A KR19980045357 A KR 19980045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cushion
cushion
height adjustment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3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무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63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5357A/ko
Publication of KR19980045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357A/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 백을 뒤로 완전히 젖혔을 경우 시트 쿠션의 후단부를 높여 시트 백과 시트 쿠션이 직선을 이루게 함으로써, 시트에서 휴식을 취하는 운전자 또는 승객에게 침대와 같은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시트 쿠션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승객의 하체를 받치는 시트 쿠션(1)과, 상기 시트 쿠션(1)의 후단부에 상측방향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등받이인 시트 백(2)과, 상기 시트 백(2) 상단에서 승객의 머리는 받치는 헤드 레스트(3)와, 상기 시트 쿠션(1)의 떠받치며, 상기 시트 쿠션(1)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시트 프레임(4)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이 후단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 백이 뒤로 젖혀질 경우, 상기 시트 쿠션 후단부를 들어 올려 시트 쿠션(1)과 시트 백(2)이 일직선으로 배치되게 할 수 있는 높이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트 쿠션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시트 쿠션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백을 뒤로 완전히 젖혔을 경우 시트 쿠션의 후단부를 높여 시트 백과 시트 쿠션이 직선을 이루게 함으로써, 시트에서 휴식을 취하는 운전자 또는 승객에게 침대와 같은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시트 쿠션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통상, 운전자나 승객이 앉게 되는 자동차의 시트는, 첨부된 도면의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바닥 구조물인 플로어 패널에 고정되는 납작한 정육면체의 완충물로서 운전자의 하체를 받치는 시트 쿠션(1), 상기 시트 쿠션(1)의 후단부의 상측으로 배치·고정되는 것을 쿠션작용을 하는 완충물을 내재하는 등받이인 시트 백(2), 그리고 시트 백(2)의 상단에 봉으로 높낮이가 조정되도록 고정되어 운전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 레스트(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백(2)은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어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으며, 운전자나 승객이 누워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뒤로 완전히 젖혀 지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시트 쿠션(1)은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앉는 사람의 신장에 맞추어 좌석의 앞쪽 넓이를 조정할 수 있게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시트 프레임(4)상에 설치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시트는 뒤로 완전히 젖혔을 경우에 제 1 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트 백(2)의 뒤쪽 상단부가 리어 시트(5)에 걸쳐지므로, 180도로 펼쳐지지 않고, 시트 쿠션(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꺽여져 있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꺽여진 시트에서 휴식을 취하게 될 경우, 운전자나 승객의 허리가 꺽여진 부분에서 굽어지게 되어 요통이 유발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시트는 시트 백(2)이 시트 쿠션(1)에 대하여 완전히 젖혀지지 못하고 꺽여지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된 것으로, 시트 백을 완전히 젖혀 사용할 경우에, 시트 쿠션의 후단부를 높여 시트 백과 시트 쿠션이 수평으로 유지되게 조절할 수 있는 시트 쿠션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시트를 제공하므로써, 운전자나 승객이 자동차 시트에서 휴식을 취할 경우, 운전자나 승객이 편안하게 쉴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차용 시트에 있어서, 시트 백을 뒤로 완전히 젖힌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 2 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쿠션 전후 이동구조를 보인 측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쿠션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에서 높이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인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 쿠션2 : 시트 백
3 : 헤드 레스트4 : 시트 프레임
5 : 리어 시트6 : 베이스
7 : 지지봉7a : 고정홈
8 : 고정볼트9 : 압축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시트 쿠션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는, 승객의 하체를 받치는 시트 쿠션과, 상기 시트 쿠션의 후단부에 상측방향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등받이인 시트 백과, 상기 시트 백 상단에서 승객의 머리는 받치는 헤드 레스트와, 상기 시트 쿠션의 떠받치며, 상기 시트 쿠션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시트 프레임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이 후단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 백이 뒤로 젖혀질 경우, 상기 시트 쿠션 후단부를 들어 올려 시트 쿠션과 시트 백이 일직선으로 배치되게 할 수 있는 높이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상기 시트 프레임의 전단부가 힌지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의 후단하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세워져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시트 쿠션을 지지하는 것으로, 측면에는 수직으로 배열된 고정홈이 형성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각 고정홈에 단부가 끼워지게 별도의 고정부재에 체결 고정되어, 고정하고 있는 상기 지지봉이 고정홈 위치에 따라 시트 쿠션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시트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봉에 대한 고정볼트의 체결이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시트 프레임을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들어 올리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종래와 중복되지 않게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 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의 제 3 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쿠션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제 4 도는 높이 조절장치만이 구조를 보인 확대단면도이다.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쿠션(1)은 바닥의 플로어 패널(미도시)에 고정된 베이스(6)에 그 전단부가 힌지된다. 따라서 시트 쿠션(1)은 전단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그 회전량은 후단에 설치된 높이조절수단에 의하여 제한받는다.
높이조절수단은, 시트 쿠션(1)은 베이스(6)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봉(7)과, 상기 지지봉(7)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볼트(8), 그리고, 상기 고정볼트(8)에 끼워져 베이스(6)와 시트 쿠션(1)사이에 배치되어 베이스(6)에 대하여 시트쿠션(1)을 들어 올리는 압축스프링(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봉(7)의 하단부에는 상하로 배열된 다수의 고정홈(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홈(7a)에 고정볼트(8)가 끼워져 지지봉(7)의 상하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은 각 구성에 의한 시트의 높이 조절작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시트 백(2)을 뒤로 완전히 젖힌 후, 고정볼트(8)를 풀면, 압축스프링(9)의 작용으로 시트 백(2)이 위로 들어 올려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승객이 시트 쿠션(1)에 앉아 체중에 의하여 시트 쿠션(1)이 알맞은 높이 즉, 시트 백(2)과 일직선을 이룬 상태까지 가라 앉힌 후, 고정볼트(8)를 죄면, 그 상태에서 시트 쿠션(1)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시트 쿠션(1)과 시트 백(2)이 일직선을 이룬 상태에서 헤드 레스트(3)를 들어 올리면, 침대위에 베개가 놓여진 형태가 되어 승객이 편안하게 쉴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승객이나 운전자가 자동차내에서 휴식을 취할 경우, 시트를 침대와 같은 구조로 만들어 최적의 편안한 상태로 만들어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승객의 하체를 받치는 시트 쿠션과, 상기 시트 쿠션의 후단부에 상측방향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등받이인 시트 백과, 상기 시트 백 상단에서 승객의 머리는 받치는 헤드 레스트와, 상기 시트 쿠션의 떠받치며, 상기 시트 쿠션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시트 프레임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이 후단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 백이 뒤로 젖혀질 경우, 상기 시트 쿠션 후단부를 들어 올려 시트 쿠션과 시트 백이 일직선으로 배치되게 할 수 있는 높이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쿠션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상기 시트 프레임의 전단부가 힌지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의 후단하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세워져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시트 쿠션을 지지하는 것으로, 측면에는 수직으로 배열된 고정홈이 형성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각 고정홈에 단부가 끼워지게 별도의 고정부재에 체결 고정되어, 고정하고 있는 상기 지지봉이 고정홈 위치에 따라 시트 쿠션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쿠션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봉에 대한 고정볼트의 체결이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시트 프레임을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들어 올리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쿠션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KR1019960063539A 1996-12-10 1996-12-10 시트 쿠션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KR19980045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539A KR19980045357A (ko) 1996-12-10 1996-12-10 시트 쿠션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539A KR19980045357A (ko) 1996-12-10 1996-12-10 시트 쿠션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357A true KR19980045357A (ko) 1998-09-15

Family

ID=6652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3539A KR19980045357A (ko) 1996-12-10 1996-12-10 시트 쿠션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53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7652A (zh) * 2019-03-11 2019-05-07 湖北工程学院新技术学院 一种坐垫倾斜角度可调节办公座椅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7652A (zh) * 2019-03-11 2019-05-07 湖北工程学院新技术学院 一种坐垫倾斜角度可调节办公座椅结构
CN109717652B (zh) * 2019-03-11 2023-11-14 湖北工程学院新技术学院 一种坐垫倾斜角度可调节办公座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20486A (ja) 車両用シート、特に、自動車用シート
WO1985003912A1 (en) An arrangement in automotive vehicles
JPH07205690A (ja) 自動車用シートの取付構造
KR19980045357A (ko) 시트 쿠션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KR200326836Y1 (ko) 자동차용 의자의 목-머리 받침대
JPH0682949U (ja) 車両用座席構造
KR200326840Y1 (ko) 자동차 시트용 머리받침대
KR0120326Y1 (ko) 차량용 시이트의 머리받침대 구조
KR0159338B1 (ko) 트럭용 헤드레스트 설치구조
KR100444673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틸팅장치
KR0128834Y1 (ko) 자동차 앞좌석 시트의 절첩식 등받이
KR970009801B1 (ko) 보조 헤드레스트(head rest)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JPS6322105Y2 (ko)
KR19980059514A (ko) 자동차 리어시트의 헤드레스트 구조
SU1346462A1 (ru) Сидень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0120077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장치
KR0120078Y1 (ko) 양면 사용이 가능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0138677Y1 (ko) 자동차 시트쿠션의 주름 제어장치
KR100205891B1 (ko) 시트쿠션의 대퇴부 각도 조절장치
KR19980016145U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19980062181A (ko) 자동차용 의자의 헤드레스트구조
JPH08132942A (ja) 車両用多目的シート
KR20030006358A (ko)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
KR20120137995A (ko) 자동차용 더블 폴딩 헤드레스트
KR19980022796A (ko) 설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 리어 시트용 암 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