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2328A - 자동차 의자용 안락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의자용 안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2328A
KR19980062328A KR1019960081730A KR19960081730A KR19980062328A KR 19980062328 A KR19980062328 A KR 19980062328A KR 1019960081730 A KR1019960081730 A KR 1019960081730A KR 19960081730 A KR19960081730 A KR 19960081730A KR 19980062328 A KR19980062328 A KR 19980062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comfort
pair
foldable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1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열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81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2328A/ko
Publication of KR19980062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328A/ko

Link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의 중앙부 구멍에 절첩 가능한 안락장치를 설치하여 운전자 또는 승원이 장거리 운전시 목을 보다 편안하게 하고 피로를 덜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쿠션(10), 등받이(20), 헤드레스트(30)와 이를 연결하는 스테이(31)로 구성된 통상의 자동차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30)의 프레임(5)의 내측 하면에 한 쌍의 지지부(4, 4')를 나란히 세워 설치하고 이 지지부(4, 4')와 안락부(3)를 연결하는 한 쌍의 아암(7, 7')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의자용 안락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의자용 안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의자의 헤드레스트부에 안락부를 장착하여 승차시 승원의 목 부분에 밀착되게 하고, 운전자의 안락함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자동차의 목 부분 안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의자 구조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쿠션(10)과 상기 쿠션(10)의 일단에 면하여 세워 연결된 등받이(20)가 전, 후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20)의 상단부에 헤드레스트(30)가 스테이(31)에 의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의 의자 구조에서, 승원의 앉은 키에 따라서 스테이(31)를 통해 헤드레스트(30)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여, 헤드레스트(30)가 승원의 머리 후면부에 정확히 위치하게 하여 승원의 머리를 받치도록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 구조는 헤드레스트(30)를 지지하는 스테이(31) 부분과 승원의 목 부위에 공간이 생기므로, 장시간 운전하게 되면 목에 힘이 가해져 뻣뻣하게 굳어 버려서 쉽게 피로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헤드레스트의 중앙부 구멍에 절첩 가능한 안락장치를 설치하여 운전자 또는 승원이 장거리 운전시 목을 보다 편안하게 하고 피로를 덜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의자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목 부분 안락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쿠션(Cushion)20 : 등받이
30 : 헤드레스트(Headrest)31 : 스테이(Stay)
3 : 안락부4, 4' : 지지부
7, 7' : 아암(Arm)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안락장치가 장착된 헤드레스트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부호 30은 헤드레스트이고, 부호 3은 안락부이다.
본 발명의 쿠션(10), 등받이(20), 헤드레스트(30)와 이를 연결하는 스테이(31)로 구성된 통상의 자동차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30)의 프레임(5)의 내측 하면에 한 쌍의 지지부(4, 4')를 나란히 세워 설치하고 이 지지부(4, 4')와 안락부(3)를 연결하는 한 쌍의 아암(7, 7')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안락장치는 운전자 또는 승원이 필요시 상기 안락부(3)를 밖으로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안락부(3)를 구멍(H)으로 밀어 넣는다.
상기 아암(7, 7')은 절첩 가능하게 회동핀으로 연결된 두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지지부(4, 4')와 아암이 연결되는 부분도 회동핀으로 체결되어 있어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30) 내측 공간에 안락부를 장착하여 필요시 안락부를 인출하여 상기 안락부에 목을 위치시켜 장시간 운전 등에서 유발하는 목의 뻣뻣함이나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쿠션(10), 등받이(20), 헤드레스트(30)와 이를 연결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테이(31)로 구성된 자동차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30)의 프레임(5)의 내측 하면에 한 쌍의 지지부(4, 4')를 나란히 세워 설치하고 이 지지부(4, 4')와 안락부(3)를 연결하는 한 쌍의 아암(7, 7')이 일단은 안락부(3)에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부(4, 4')에 회동핀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절첩 가능하게 된 것이 특징인 자동차 의자용 안락장치.
KR1019960081730A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의자용 안락장치 KR19980062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730A KR19980062328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의자용 안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730A KR19980062328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의자용 안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328A true KR19980062328A (ko) 1998-10-07

Family

ID=6642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1730A KR19980062328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 의자용 안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23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182A (ko) * 2021-11-24 2023-05-31 이준석 헤드레스트에 매립 장착되는 목베개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182A (ko) * 2021-11-24 2023-05-31 이준석 헤드레스트에 매립 장착되는 목베개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6266A (en) Vehicle seat assembly incorporating a one-piece shell as seat back and lower seat support
JP2008520486A (ja) 車両用シート、特に、自動車用シート
KR19980062328A (ko) 자동차 의자용 안락장치
JP2903398B1 (ja) 座席用脇の下支持装置
KR200159427Y1 (ko) 수평조절식 헤드 레스트
JPH11237A (ja) 車両用アームレスト
KR100334288B1 (ko) 승합차용 시트
KR200143059Y1 (ko) 시트의 아암 레스트
KR100203768B1 (ko) 차량의 출몰식 시트 헤드레스트
KR960007779Y1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KR100318077B1 (ko) 자동차용 암 레스트를 이용한 리어 시트의 센터 헤드레스트 자동 높이 조절 장치
JP2616653B2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装置
KR200142783Y1 (ko) 차량의 조수석측 프론트시트의 어깨받침대
KR0158340B1 (ko) 자동차 시트의 패드
KR0120326Y1 (ko) 차량용 시이트의 머리받침대 구조
KR200149825Y1 (ko) 자동차 의자의 헤드레스트 구조
JPH11137369A (ja) 座 席
KR19980041722U (ko) 자동차용 시트구조
KR100205891B1 (ko) 시트쿠션의 대퇴부 각도 조절장치
KR0115873Y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
KR19980017160U (ko)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시트
JPH06225821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KR970009801B1 (ko) 보조 헤드레스트(head rest)가 구비된 자동차용 시-트
KR100302419B1 (ko) 이동가능한차량용시트쿠션장치
KR19980036608U (ko) 승용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