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7160U -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시트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7160U
KR19980017160U KR2019960030528U KR19960030528U KR19980017160U KR 19980017160 U KR19980017160 U KR 19980017160U KR 2019960030528 U KR2019960030528 U KR 2019960030528U KR 19960030528 U KR19960030528 U KR 19960030528U KR 19980017160 U KR19980017160 U KR 199800171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seat
frame
seat back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5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범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305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7160U/ko
Publication of KR199800171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160U/ko

Links

Classifications

    • B60N2/48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실내에 장착되는 시트의 헤드레스트를 각도를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서 탑승객의 머리부를 보다 안락하게 받쳐줄 수 있는 헤드레스트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시트에 관한 것으로, 시트쿠션(11)과 시트백(12)으로 이루어지고 시트백(12)의 골조를 형성하는 시트백프레임(20)과 헤드레스트(30)의 골조를 형성하는 브라켓트(31)를 구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프레임(30)의 상단에 힌지와이어(21)를 절곡하여 설치하고 힌지와이어(21)와 헤드레스트(30)의 브라켓트(31)틀 회동가능한 힌지편(32)에 의해 연결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시트
본 고안은 자동차의 헤드레스트에 관한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실내에 장착되는 시트의 헤드레스트를 각도를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서 탑승객의 머리부를 보다 안락하게 받쳐줄 수 있는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 장착되는 시트의 구성은 도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의 시트쿠션(11)과 탑승객의 등을 받쳐주는 시트백(12)과 탐승객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30)로 나누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트백(12)은 내부에 골조를 형성하는 시트백프레임(20)이 형성되는데, 헤드레스트(30)의 내부 또한 브라켓트(31)가 형성되어 시트백프레임(20)의 상단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트(31)와 시트백프레임(20)은 용접상태로 고정되어 일체화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트(10)의 헤드레스트(30)에 내장되는 브라켓트(31)는 시트백프레임(20)에 일체화되 구조로 되어있어 만약 시트(10)에 착석한 탑승자의 머리받침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전술한 구조적 특성에 의하여 받침각도를 조절하지 못하게 된다.
이것은 장거리 주행시에는 시트(10)에 착석한 탑승자의 피로도를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따라서 헤드레스트(30)의 각도조절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실내에 장착되는 시트의 헤드레스트를 각도를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서 탑승객의 머리부를 보다 안락하게 받쳐줄 수 있는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1은 일반적인 헤드레스트일체형 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시트를 나타낸 일부절개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힌지편을 나타낸 사시도
도4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11 : 시트쿠션
12 : 시트백20 : 시트백프레임
21 : 힌지와이어30 : 헤드레스트
31 : 브라켓트32 : 힌지편
32a : 플렌지32b : 취부공
32c : 중공부40 : 고정보울트
41 : 너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시트쿠션과 시트백으로 이루어지고 시트백의 골조를 형성하는 시트백프레임과 헤드레스트의 골조를 형성하는 브라켓트를 구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상단에 힌지와이어를 절곡하여 설치하고 힌지와이어와 헤드레스트의 브라켓트를 회동가능한 힌지편에 의해 연결함을 기본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과 특징에 최량의 형태로 부합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시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자동차에 장착되는 시트(10)는 기본적으로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쿠션(11)과 등을 받쳐주는 시트백(12)으로 이루어지고 시트백(12)의 상단으로는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3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헤드레스트(30)는 내부에 골조를 형성하는 브라켓트(31)가 설치되며 시트백(12)의 내부에도 시트백프레임(20)이 형성되어 골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시트백프레임(20)과 브라켓트(31)는 힌지편(3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힌지편(32)의 형상은 도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원형의 중공부(32c)가 형성되고 중공부(32c)를 이루는 일측으로 플렌지(32a)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플렌지(32a)는 상하로 분리형성되어 서로 접하는 형태로 이루어 진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힌지편(32)은 중공부(32c)에서 연장 형성되는 플렌지(32a)가 분리되어 있어 힌지와이어(21)에 삽입시 서로 접한 상하플렌지(32a)를 탄력적으로 벌려 삽입한다.
상기의 플렌지(32a)에는 고정보울트(40)가 삽입될 수 있는 취부공(32b)이 관통형성되며 상하플렌지(32a) 사이에 브라켓트(31)의 하부가 위치하여 고정보울트(40)와 너트(41)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시트의 헤드레스트(30)는 탑승자가 헤드레스트(30)의 각도를 가장 편안한 각도로 조절하기 위해서 당기거나 밀어주게 되면 헤드레스트(30)의 내부에 형성된 브라켓트(31)가 힌지와이어(21)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하여 헤드레스트(30)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으로, 탑승자는 자신의 신체에 가장 편안한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탑승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30)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서 특히 장거리 주행시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실내에 장착되는 시트이 헤드레스트를 각도를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서 탑승객의 머리부를 보다 안락하게 받쳐줄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시트쿠션과 시트백으로 이루어지고 시트백의 골조를 형성하는 시트백프레임과 헤드레스트의 골조를 형성하는 브라켓트를 구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상단에 힌지와이어를 절곡하여 설치하고 힌지와이어와 헤드레스트의 브라켓트틀 회동가능한 힌지편에 의해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시트.
KR2019960030528U 1996-09-23 1996-09-23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시트 KR199800171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528U KR19980017160U (ko) 1996-09-23 1996-09-23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528U KR19980017160U (ko) 1996-09-23 1996-09-23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160U true KR19980017160U (ko) 1998-07-06

Family

ID=53976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528U KR19980017160U (ko) 1996-09-23 1996-09-23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716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0963A1 (en) * 2008-10-31 2010-05-06 Lear Corporation Headrest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0963A1 (en) * 2008-10-31 2010-05-06 Lear Corporation Headrest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6266A (en) Vehicle seat assembly incorporating a one-piece shell as seat back and lower seat support
US5722732A (en) Shoulder belt retractor with headrest support
JPH10175469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9980017160U (ko)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시트
JPH1042995A (ja) 自動車用座席
CA2366422A1 (en) Bracket for mounting either a fixed or a pivoting armrest
KR0148656B1 (ko) 자동차 시트백 볼스터 조절 장치
KR100444673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틸팅장치
KR0130979Y1 (ko) 리어시트 헤드레스트의 틸트장치
KR200149825Y1 (ko) 자동차 의자의 헤드레스트 구조
KR19980062328A (ko) 자동차 의자용 안락장치
KR19980036608U (ko) 승용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KR200145175Y1 (ko) 회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JP4078509B2 (ja) 車両用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取付構造
KR100318077B1 (ko) 자동차용 암 레스트를 이용한 리어 시트의 센터 헤드레스트 자동 높이 조절 장치
KR100214999B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JP2616653B2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装置
KR19980027231U (ko) 자동차 시트의 허리지지대구조
KR100205891B1 (ko) 시트쿠션의 대퇴부 각도 조절장치
KR20030006358A (ko)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
KR0138672Y1 (ko) 자동차의 프론트 시트벨트 체결구조
KR100302419B1 (ko) 이동가능한차량용시트쿠션장치
JPH0867182A (ja) シートクッションの高さ調整機構
KR19980029191A (ko) 자동차 시트(Seat)의 헤드레스트(Head Rest)구조
KR19980062172A (ko) 자동차용 시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