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129A - 노출 모드 선택 장치 - Google Patents

노출 모드 선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129A
KR19980033129A KR1019970054593A KR19970054593A KR19980033129A KR 19980033129 A KR19980033129 A KR 19980033129A KR 1019970054593 A KR1019970054593 A KR 1019970054593A KR 19970054593 A KR19970054593 A KR 19970054593A KR 19980033129 A KR19980033129 A KR 19980033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aperture
camera body
interchangeable lens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0541B1 (ko
Inventor
히라이이사무
Original Assignee
마츠모토도오루
아사히고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모토도오루, 아사히고가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모토도오루
Publication of KR19980033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5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2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in accordance with change of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1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with selection of either manual or automatic m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노즐 모드 선택 장치는 A위치 AE모드 코드, M위치 AE모드 코드, 조리개링 없는 AE 모드 코드를 사용하여 적절한 노출모드가 선택되게 한다.
A위치로 설정된 조리개링을 가지는 교환렌즈가 카메라 본체에 부착될 때, A위치 AE 모드 코드는 0 또는 1로 설정되어서 프로그램모드 또는 셔터 속도 우선 모드가 선택될 수 있게 한다. 조리개링이 M위치중 하나로 설정된다면, M위치 AE모드 코드는 조리개 우선모드, 매뉴얼 모드 또는 벌브 모드가 선택될 수 있도록 0, 1 또는 2로 설정된다.
조리개링을 가지지 않는 교환렌즈가 카메라 본체에 부착될 때, 조리개링 없는 AE 모드 코드는 0, 1, 2, 3 또는 4로 설정되어서 프로그램모드, 셔터속도 우선모드, 조리개 우선모드, 매뉴얼모드 또는 벌브 모드가 선택된다.

Description

노출 모드 선택 장치
본 발명은 탈착가능한 교환렌즈가 카메라 본체에 부착된 카메라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용 노출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교환렌즈에는 2가지 종류, 즉 제1교환렌즈 및 제2교환렌즈가 있다. 제1교환렌즈는 조리개 값이 카메라 본체로부터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자동설정모드에 상응하는 A위치와, 조리개 값이 수동으로 설정되는 수동설정모드에 상응하는 M위치로 설정될 수 있는 조리개링을 가진다. 즉, A위치는 단수인 반면에, 조리개 값을 나타내기 위해서 조리개 링상에 형성된 숫자 중 하나가 렌즈통의 표면상에 형성된 표시와 정렬되는 M위치는 복수이다. 제2교환렌즈는 그러한 조리개링을 가지지 않는다.
제1교환렌즈가 사용되는 카메라 시스템에서, 카메라 본체내에 구비되는 제어회로의 조작에 따라서 촬영조작은 조리개링이 A위치로 설정될때 프로그램모드 또는 셔터속도 우선모드로 수행될 수 있으며, 조리개링이 M위치 중 하나로 설정될 때 조리개 우선모드, 매뉴얼 모드, 또는 벌브모드로 수행될 수 있다. 조리개링이 A위치로 설정될 때 조차도, 카메라 시스템은 조리개 우선모드, 매뉴얼 모드 또는 벌브모드가 선택될 수 있도록 구조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구조에서 조리개 우선모드, 매뉴얼 모드 또는 벌브모드가 조리개 링이 A위치 또는 M위치중 하나로 설정되는 경우의 양쪽 모두로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모드 선택 조작은 복잡해진다. 그러므로, 통상 카메라는 조리개링이 A위치로 설정될 때 조리개 우선모드, 매뉴얼모드 및 벌브모드의 선택이 금지되는 방식으로 구조된다.
역으로, 제2교환렌즈가 사용되는 카메라 시스템에서, 카메라 본체내에 구비되는 제어회로의 작동에 따라서 촬영조작은 프로그램 모드, 셔터속도 우선모드, 조리개 우선모드, 매뉴얼 모드, 또는 벌브모드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시스템에서, 이들모드가 설정되는 설정장치는 교환렌즈 내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모드중 하나가 선택되는 설정 조작과 조리개값 양쪽 모두는 카메라 본체내에 구비되는 설정장치에 의하여 설정된다.
제2교환렌즈가 원래 제1교환렌즈를 사용하도록 설계된 카메라 시스템의 카메라 본체에 부착된다면, 카메라 본체내에 구비되는 제어회로는 조리개 링이 A위치로 설정된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이러한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조리개 우선모드, 매뉴얼모드 및 벌브모드가 선택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역으로, 제1교환렌즈가 원래 제2교환렌즈를 사용하도록 설계된 카메라 시스템의 카메라 본체에 부착된다면, 조리개 링이 A위치와는 상이한 조리개값 설정조작을 가지는, 각각 M위치중 하나 또는 A위치로 설정될 때 조리개 우선모드, 매뉴얼 모드 및 벌브모드가 선택될 수 있어 이에 따라 양쪽 조리개값 설정조작을 복잡하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2교환렌즈가 원래 제1교환렌즈를 사용하도록 설계된 카메라 시스템의 카메라 본체에 부착될 때 조차도 조리개가 수동으로 조절되는, 조리개 우선모드, 매뉴얼모드 및 벌브모드와 같은 모드가 선택될 수 있는 노출모드 선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교환렌즈가 원래 제2교환렌즈를 사용하도록 설계된 카메라 시스템의 카메라 본체에 부착될때, 조리개 우선모드, 매뉴얼 모드 및 벌브모드가 M위치중 어느 하나 및 A위치 양쪽으로 선택될 수 있도록 설정조작의 복잡성이 단순화되는 노출모드 선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1 및 제2교환렌즈가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카메라 본체를 가지는 카메라에 대한 복수의 노출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노출모드 선택장치가 제공되며, 제1교환렌즈는 조리개 값이 카메라 본체로부터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자동설정모드와, 조리개 값이 제1교환렌즈에 구비되는 조작부재를 조정함으로써 설정되는 수동설정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리개 설정부재를 가지며, 제2교환렌즈는 조리개 설정부재를 가지지 않는다. 선택장치는 메모리와 선택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카메라 본체에 부착되는 제1 또는 제2교환렌즈에 대한 렌즈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 메모리는 카메라 본체내에 장착된다. 선택프로세서는 노출모드중 하나를 선택한다. 선택프로세서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는 복수의 노출모드는 렌즈 정보에 따라서 변경된다.
선택적으로, 렌즈 정보는 조리개 설정부재가 카메라 본체에 부착되는 제1 또는 제2교환렌즈에 구비되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조리개 설정부재정보를 포함한다.
다른 옵션으로, 렌즈 정보는 자동설정모드 또는 수동설정모드 중 어느 것이 설정되는지를 표시하는 조리개 모드 정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옵션에서, 선택프로세서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는 노출모드의 개수는 제2교환렌즈가 카메라 본체에 부착될 때 보다 제1교환렌즈가 카메라 본체에 부착되어 자동설정모드 또는 수동설정모드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때가 적다.
선택적으로, 제1교환렌즈가 카메라 본체에 부착되고 자동설정모드가 선택될 때 선택프로세서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는 노출모드의 개수와, 제1교환렌즈가 카메라 본체에 부착되고 수동설정모드가 선택될 때 선택프로세서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는 노출모드의 개수와의 합은 제2교환렌즈가 카메라 본체에 부착될 때 선택프로세서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는 노출모드의 개수와 같다.
다른 옵션으로, 조리개 설정부재는 제1교환렌즈의 외부표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조리개 링이다.
또다른 옵션에서, 조리개 설정부재는 자동설정모드에서 사용되는 조작부재이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라서 카메라 본체, 제1교환렌즈, 제2교환렌즈, 제1메모리 및 선택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이 제공된다.
제1교환렌즈는 조리개 값이 카메라 본체로부터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자동설정모드 또는 조리개값이 제1교환렌즈에 구비되는 조작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설정되는 수동설정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리개 설정부재를 가진다. 제1교환렌즈는 카메라 본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교환렌즈는 조리개 설정부재를 가지지 않는다. 제2교환렌즈는 카메라 본체에 부착될 수 있다. 카메라 본체에 부착되는 제1 또는 제2교환렌즈에 대한 렌즈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 제1메모리는 카메라 본체에 장착된다. 선택프로세서는 복수의 노출모드 중 하나를 선택한다. 선택프로세서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는 노출모드의 개수는 렌즈 정보에 따라 변경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단일 리플렉스 카메라를 도시하는 블록선도,
도 2는 교환렌즈가 제거된 도 1에 도시된 카메라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조리개링을 가지는 제1교환렌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조리개링을 가지지 않는 제2교환렌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촬영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의 메인경로의 순서도,
도 6은 모드 처리의 순서도,
도 7은 A위치 AE모드 처리의 순서도,
도 8은 M위치 AE모드 처리의 순서도,
도 9는 조리개 없는 AE모드 처리의 순서도,
도 10은 노출처리의 순서도,
도 11은 RAM에 저장된 플래그 및 코드를 나타내는 테이블,
도 12는 RAM에 저장된 AE모드 코드를 나타내는 테이블,
도 13은 액정 디스플레이 상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보다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단일 리플렉스 카메라를 도시한다. 도 2는 교환렌즈가 제거된 도 1에 도시된 카메라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조리개링을 가지는 제1교환렌즈와 조리개링을 가지지 않는 제2교환렌즈를 도시한다.
카메라 시스템은 렌즈통(26) 주위에서 회전가능한 조리개 링(25)을 구비하는 제1교환렌즈(21) 또는 제2교환렌즈(29)가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카메라 본체(11)를 가진다. 제1교환렌즈(21)의 조리개링(25)은 조리개 값이 카메라 본체(11)로부터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자동설정모드 또는 조리개 값이 조리개링(25)을 회전시킴으로써 수동으로 설정되는 수동설정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위치결정표시(27)는 제1교환렌즈(21)의 렌즈통(26)의 표면에 형성된다. 조리개링(25)은 위치결정표시(27)에 대하여 표시 A를 설정함으로써 자동설정모드에 상응하는 A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조리개링(25)은 위치결정표시(27)에 대하여 조리개 값을 표시하는 11과 같은 숫자를 설정함으로써 수동설정모드에 상응하는 복수의 M위치중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즉, M위치의 개수는 조리개링(25)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는 조리개 값의 개수와 같다.
ROM과 RAM을 가지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제어회로(12)는 카메라 본체(11) 내에 장착된다. 카메라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ROM 내에 저장되고, 여러 가지 종류의 데이터는 RAM 내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렌즈 ROM(22)은 카메라 본체(11)의 마운트(13)에 부착되는 교환렌즈(21)내에 장착된다. 렌즈의 초점거리, 최대 조리개 f넘버, 출사동의 위치 및 조리개 링의 유무와 같은 정보는 렌즈 ROM(22)내에 저장된다. 제어회로(12)와 렌즈 ROM(22) 사이의 통신은 마운트(13)상에 구비되는 마운트 접점(14)을 통하여 수행된다. 마운트 접점(14)은 마운트(13)의 주위에 제공된다.
교환렌즈(21)내에 장착된 렌즈군(도시되지 않음)은 기어(23)의 회전에 의하여 광축방향을 따라서 이동되어서 포커싱 조작이 수행된다. 제1연결축(24)은 기어(23)에 연결되어 마운트(13)쪽으로 연장된다. 제2연결축(17)은 카메라 본체(11)내에 장착되는 AF모터(15)의 출력축에 제공되는 기어(16)에 연결된다. 제2연결축(17)은 마운트(13)로부터 돌출되어 교환렌즈(21)가 마운트(13)에 부착될 때 제1연결축(24)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렌즈군은 AF모터(15)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인코더(18)에 의하여 감지되는 기어(16)의 회전량은 제어회로(12)내로 입력된다. 화상장치(즉, CCD)(10)는 거리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카메라 본체(11)내에 제공된다. 기어(16)의 회전량 및 화상장치(19)의 출력신호로부터 얻어지는 거리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AF 모터(15)가 구동되어서 렌즈군은 제어회로(12)의 제어하에 광축을 따라서 소정량만큼 이동된다.
포토센서(SPD)(31)는 피사체의 밝기를 감지하기 위하여 카메라 본체(11)내에 장착된다. 포토 센서(31)의 감지 신호는 제어회로(12)내에 입력된다. 파인더를 가지는 표시장치(32)는 카메라 본체(11)내에 구비된다. 표시장치(32)는 파인더(33)내에서 셔터속도와 같은 촬영조건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와, 액정 디스플레이를 조명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를 가진다. 표시장치(32)의 표시조작은 제어회로(12)에 의하여 제어된다.
셔터 버튼(34)은 카메라 본체(11)의 상부 표면에 구비된다. 광도 및 거리측정은 셔터 버튼(34)을 부분적으로 누름으로써 수행되며, 촬영은 셔터 버튼(34)을 완전히 누름으로써 수행된다.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35)은 노출모드와 같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 카메라 본체(11)의 상부표면 상에 장착되며, 표시내용은 제어회로(12)에 의하여 제어된다.
카메라 본체(11)의 상부표면은 셔터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TV다이얼(36)과, 조리개의 양(즉, 조리개 값)을 설정하기 위한 AV다이얼(37)을 구비한다. 이들 다이얼(36,37)에 의하여 설정되는 값은 제어회로(12)내로 입력된다. 카메라 본체(11)의 상부 표면은 또한 모드 설정 스위치(38)를 구비한다.
제1교환렌즈(21)가 카메라 본체(11)에 부착될 때, 노출모드는 조리개링(25)이 A위치에 설정되고 모드 설정 스위치(38)가 눌려진 동안 TV다이얼(36)을 회전시킴으로써 프로그램 모드와 셔터속도 우선모드와의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즉 TV다이얼(36)은 노출모드 전환부재의 일부로써 작동된다. 조리개 링(25)이 M위치중 하나로 설정될 때, 노출모드는 유사한 조작에 의하여 조리개 우선모드, 매뉴얼 모드 및 벌브모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역으로, 제2교환렌즈(29)가 카메라 본체(11)에 부착될 때, 노출모드는 유사한 조작에 의하여 프로그램모드, 셔터속도 우선모드, 조리개 우선모드, 매뉴얼 모드 및 벌브모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은 촬영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의 순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조작이 이하 설명된다.
도 5는 메인 경로의 순서도이다.
스텝(101)에서, 기어(16)의 회전량 및 화상장치(19)의 출력신호로부터 얻어지는 거리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AF모터(15)가 구동되어서 자동 포커싱 조절(AF)이 수행된다. 스텝(102)에서, 렌즈통신은 교환렌즈와 카메라 본체(11)와의 사이에서 수행된다. 즉, 조리개 링의 유무를 표시하는 (조리개 설정부재정보와 같은) 제1렌즈 정보와, 조리개링의 설정위치를 표시하는 (조리개 모드 정보와 같은) 제2렌즈 정보와, 렌즈 ROM(22)내에 저장되는, 초점거리, 최대 조리개 f 넘버, 및 출사동의 위치와 같은 렌즈 고유의 정보는 카메라 본체(11)로 전달되어 제어회로(12)내에 구비되는 ROM 내에 저장된다.
스텝(103)에서, 모드프로세스, 즉 도 6에 도시된 순서도가 수행되어, 예를들어 프로그램모드와 같은 노출모드가 선택된다.
스텝(104)에서, 자동노출(AE)프로세스, 즉 도 10에 도시된 순서도가 수행되어서, 스텝(103)에서 설정된 노출모드에 따라서 촬영이 수행된다. 그런후에 프로세스는 스텝(101)으로 되돌아간다.
도 6은 메인 경로의 스텝(103)에서 수행되는 모드프로세스의 순서도이다.
스텝(201)에서, 메인경로의 스텝(102)의 실행에 의하여 제어회로(12)의 RAM내에 저장되는 조리개 링 플래그가 1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개 링 플래그는 카메라 본체(11)에 부착된 교환렌즈가 조리개 링을 가지지 않으면 0이고, 교환렌즈가 조리개링을 가지면 1이다.
조리개 링 플래그가 1일 때, 제어회로(12)의 RAM내에 저장되는 조리개 링 A/ M 플래그에 기초하여, 스텝(202)이 실행되어서 교환렌즈의 조리개 링이 A위치 또는 M위치중 하나로 설정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개 링 A/M플래그는 조리개 링이 A위치로 설정되면 0이고, 조리개 링이 M위치중 하나로 설정되면 1이다.
조리개 링이 A위치로 설정될 때, 스텝(203)이 실행되어서 A위치 AE모드 프로세스(도 7)가 수행되고, 조리개 링이 M위치중 하나로 설정될 때, 스텝(204)이 실행되어서 M위치 AE 모드 프로세스(도 8)가 수행된다. 역으로, 스텝(201)에서 조리개링 플래그가 0이라고 결정될 때, 즉 교환렌즈가 조리개 링을 가지지 않을 때, 스텝(205)이 설정되어서 조리개 링 없는 AE 모드 프로세스(도 8)가 수행된다.
도 7은 A위치 AE 모드 프로세스의 순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11)에 부착되는 교환렌즈가 A위치로 설정된 조리개링(25)을 가질 때, 이러한 프로세스는 실행된다. 이러한 프로세스가 실행되기 전에, 이전의 실행으로 설정된 AE 모드 코드(AE)값이 A위치 AE 모드 코드(AE(A))로서 저장되어 있다(도 11 참조). A위치 AE 모드 코드(AE(A))는 코드가 0일 때 프로그램 모드를 표시하고, 코드가 1일 때 셔터속도 우선모드를 표시한다.
스텝(301)에서 모드설정스위치(38)가 ON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스텝(302)이 실행되어서 TV다이얼(36)에 의하여 설정된 값이 증가되는 업-방향으로 TV다이얼(36)이 조작되는지 아닌지가 결정된다. TV다이얼(36)이 업-방향으로 조작되지 않으면, 스텝(303)이 실행되어서 TV 다이얼(36)에 의하여 설정된 값이 감소되는 다운-방향으로 TV다이얼(36)이 조작되는지 아닌지가 결정된다. TV다이얼(36)이 업-방향 또는 다운-방향으로 조작될 때, 스텝(304)이 실행되어 A위치 AE모드 코드(AE(A) )의 이전 설정값은 반전된다. 즉, A위치 AE 모드 코드(AE(A))가 1로 설정되면, 예를들어 A위치 AE모드 코드(AE(A))의 값은 0으로 변경된다.
스텝(301)에서 모드 설정스위치(38)가 OFF로 결정될 때, 또는 스텝(302,303, 304)이 실행된 후 스텝(305)이 실행되어 이전 스텝으로부터 야기되는 A위치 AE 모드 코드(AE(A))는 AE 모드 코드(AE)로 변환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E 모드 코드는 AE 모드 코드가 0일 때 프로그램 모드를 표시하고, AE 모드 코드가 1일 때 셔터속도 우선모드를 표시한다.
도 12에 있어서, 부호 A는 노출모드가 교환렌즈(21)의 조리개링(25)이 A위치로 설정되어 있는 동안에 TV다이얼(36)을 사용하여 설정되는 모드, 또는 교환렌즈가 조리개 링을 가지지 않으면서 TV다이얼(36)을 사용하여 설정되는 모드인 것을 나타낸다. 부호 M은 노출모드가 교환렌즈(21)의 조리개링(25)이 M위치중 하나로 설정되어 있는 동안에 선택되는 모드인 것을 나타낸다.
도 8은 M위치 AE 모드 프로세스의 순서도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11)에 부착되는 교환렌즈가 M위치중 하나로 설정되는 조리개링을 가질 때, 이러한 프로세스는 실행된다. 이러한 프로세스가 실행되기 전에, 이전의 실행에서 설정되는 AE모드 코드(AE)값은 M위치 AE 모드 코드(AE(M))로서 저장된다(도 11 참조). M위치 AE모드 코드(AE(M))는 코드가 0일 때 조리개 우선모드를, 코드가 1일 때 매뉴얼 모드를, 코드가 2일 때 벌브모드를 표시한다.
스텝(401)에서 모드 설정스위치(38)가 ON으로 결정될 때, 스텝(402)이 실행되어서 TV다이얼(36)이 업-방향으로 조작되는지 아닌지가 결정된다. TV다이얼(36)이 업-방향으로 조작될 때, 스텝(403)이 실행되어 M위치 AE모드 코드(AE(M))는 1만큼 증가된다. 스텝(404)에서는 M위치 AE 모드 코드가 2를 초과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M위치 AE 모드 코드가 2를 초과할 때, 스텝(405)이 실행되어서 M위치 AE 모드 코드(AE(M))는 0으로 리셋되고, M위치 AE 모드 코드가 2를 초과하지 않을 때, 스텝(405)은 생략된다.
스텝(402)에서 TV다이얼(36)이 업-방향으로 조작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될 때, 스텝(406)이 실행되어서 TV다이얼(36)이 다운-방향으로 조작되는지 아닌지가 결정된다. TV다이얼(36)이 다운-방향으로 조작될 때, 스텝(407)이 실행되어서 M위치 AE 모드 코드(AE(M))가 0인지 아닌지가 결정된다. M위치 AE 모드 코드(AE(M))가 0일 때, 스텝(408)이 실행되어서 M위치 AE 모드 코드(AE(M))는 2로 설정되고, M위치 AE 모드 코드(AE(M))가 0이 아닐 때, 스텝(409)이 실행되어서 M위치 AE 모드 코드(AE(M))는 1만큼 감소된다.
스텝(405,408,409)이 실행된 후, 또는 스텝(401)에서 모드 설정 스위치(38)가 OFF로 결정될 때, 또는 스텝(404)에서 M위치 AE 모드 코드(AE(M))가 2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될 때, 또는 스텝(406)에서 TV다이얼(36)이 다운-방향으로 조작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될 때, 스텝(410)은 실행된다. 즉, M위치 AE 모드 코드(AE(M))에 5가 더해져서 M위치 ME 모드 코드(AE(M))는 AE 모드 코드(AE)로 변환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E 모드 코드는 AE 모드 코드가 5일 때 조리개 우선모드를, AE 모드 코드가 6일 때 매뉴얼 모드를, AE 모드 코드가 7일 때 벌브모드를 표시한다.
도 9는 조리개 링 없는 AE 모드 프로세스의 순서도이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11)에 부착된 교환렌즈가 조리개링을 가지지 않았을 때 이러한 프로세스는 실행된다. 이러한 프로세스가 실행되기 전에, 이전의 실행에서 설정된 AE 모드 코드(AE)값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개 링 없는 AE 모드 코드(AE (B))로서 저장된다. 조리개 링 없는 AE 모드 코드(AE(B)))는 코드가 0일 때 프로그램모드를, 코드가 1일 때 셔터속도 우선모드를, 코드가 2일 때 조리개 우선모드를, 코드가 3일 때 매뉴얼 모드를, 코드가 4일 때 벌브모드를 표시한다.
스텝(501)에서 모드 설정 스위치(38)가 ON으로 결정되었을 때, 스텝(502)이 실행되어서 TV다이얼(36)이 업-방향으로 조작되는지 아닌지가 결정된다. TV다이얼(36)이 업-방향으로 조작될 때, 스텝(503)이 실행되어서 조리개 링 AE 모드 코드(AE(B))가 1만큼 증가된다. 스텝(504)에서, 조리개링 없는 AE 모드 코드가 4를 초과하는지 아닌지가 결정된다. 조리개 링 없는 AE 모드 코드가 4를 초과할 때 스텝(505)이 실행되어서 조리개링 없는 AE 모드 코드(AE(B))는 0으로 리셋되고, 조리개 링 없는 AE 모드 코드가 4를 초과하지 않을 때 스텝(505)은 생략된다.
스텝(502)에서 TV다이얼(36)이 업-방향으로 조작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될 때, 스텝(506)이 실행되어서 TV다이얼(36)이 다운-방향으로 조작되는지 아닌지가 결정된다. TV다이얼(36)이 다운-방향으로 조작될 때, 스텝(507)이 실행되어서 조리개 링 없는 AE 모드 코드(AE(B))가 0인지 아닌지가 결정된다. 조리개 링 없는 AE 모드 코드(AE(B))가 0일 때, 스텝(508)이 실행되어서 조리개링 없는 AE 모드 코드(AE(B))는 4로 설정되며, 조리개링 없는 AE 모드 코드(AE(B))가 0이 아닐 때, 스텝(509)이 실행되어서 조리개 링 없는 AE 모드 코드(AE(B))는 1만큼 감소된다.
스텝(505,508,509)이 실행된 후에, 또는 스텝(501)에서 모드 설정 스위치(38)가 OFF된 것으로 결정될 때, 또는 스텝(504)에서 조리개링 없는 AE 모드 코드(AE(B))가 4를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될 때, 또는 스텝(506)에서 TV다이얼(36)이 다운-방향으로 조작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될 때, 스텝(510)은 실행된다. 즉, 이전의 스텝으로부터 야기되는 조리개 링 없는 AE 모드 코드(AE(B))는 AE 모드 코드로 변환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E 모드 코드가 0, 1, 2, 3, 4일 때 AE 모드 코드는 각각 프로그램모드, 셔터속도 우선모드, 조리개 우선모드, 매뉴얼 모드 및 벌브모드를 나타낸다.
도 10은 메인 경로의 스텝(104)에서 실행되는 노출 프로세스의 순서도이다. 스텝(601)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E 모드 코드(AE)의 값이 확인된다. AE 모드 코드(AE)가 0, 1, 2, 3, 4, 5, 6 또는 7일 때, 각각의 스텝(602,603,604,605, 606,607,608 또는 609)이 실행되어서, 촬영은 프로그램 모드(A), 셔터속도 우선모드(A), 조리개 우선모드(A), 매뉴얼 모드(A), 벌브모드(A), 조리개 우선모드(M), 매뉴얼 모드(M) 또는 벌브모드(M)에 따라서 수행된다.
프로그램 모드(A)에서 조리개 값 및 셔터속도는 카메라 본체(11)내에 구비되는 제어회로(12)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셔터속도 우선모드(A)에서 조리개 값은 제어회로(12)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설정되고 셔터속도는 TV다이얼(36)에 의하여 설정된다. 조리개 우선모드(A)에서 조리개 값은 AV다이얼(37)에 의하여 설정되고 셔터속도는 제어회로(12)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매뉴얼 모드(A)에서 조리개 값은 AV다이얼(37)에 의하여 설정되고 셔터속도는 TV다이얼(36)에 의하여 설정된다. 벌브모드(A)에서 조리개 값은 AV다이얼(37)에 의하여 설정되고 셔터속도는 설정되지 않는다. 조리개 우선모드(M)에서 조리개 값은 조리개 링(25)에 의하여 설정되고 셔터속도는 제어회로(12)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매뉴얼 모드(M)에서 조리개 값은 조리개 링(25)에 의하여 설정되고 셔터속도는 TV다이얼(36)에 의하여 설정된다. 벌브모드(M)에서 조리개 값은 조리개링(25)에 의하여 설정되고 셔터속도는 설정되지 않는다.
도 13은 액정 디스플레이(13)상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부호 D1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35)에 의하여 표시되는 모든 문자와 기호를 도시한다. 부호 D2, D3, D4, D5 및 D6은 프로그램모드, 셔터속도 우선모드, 매뉴얼모드, 조리개 우선모드 및 벌브모드에 각각 상응하는 표시를 도시한다. 이러한 표시는 제어회로(12)의 RAM의 내용에 따라서 변화되며, 즉 이러한 표시는 모드 설정 스위치(38)를 누르고 있는 사이에 TV다이얼(36)을 회전시킴으로써 변경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본체(11)에 부착된 교환렌즈(21)가 조리개링(25)을 가질 때, 노출모드는 다음과 같이 선택된다. 즉, 조리개링이 A위치로 설정된다면, 노출모드는 모드 설정 스위치(38)를 누르고 있는 사이에 TV다이얼(36)을 클릭함으로써 프로그램모드와 셔터속도 우선모드와의 사이에서 전환되며, 조리개링이 M위치중 하나로 설정된다면, 노출모드는 모드 설정 스위치(38)를 누르고 있는 사이에 TV다이얼(36)을 클릭함으로써 조리개 우선모드, 매뉴얼모드 및 벌브모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역으로, 교환렌즈가 조리개링을 가지지 않을 때, 노출모드는 프로그램모드, 셔터속도 우선모드, 조리개 우선모드, 매뉴얼 모드 및 벌브 모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라서, 조리개 링을 가지지 않는 교환렌즈가 원래 조리개 링을 가지는 교환렌즈를 사용하도록 설계된 카메라 시스템의 카메라 본체에 부착되었을 때 조차도, 조리개가 통상 수동으로 설정되는, 조리개 우선모드, 매뉴얼모드 및 벌브모드와 같은 모드는 선택될 수 있다. 나아가서, 조리개링을 가지는 교환렌즈가 원래 조리개링을 가지지 않는 교환렌즈를 사용하도록 설계된 카메라 시스템의 카메라 본체에 부착되었을 때 조차도, 조리개 우선모드 또는 매뉴얼 모드는 조리개 링이 A위치로 또는 M위치중 하나로 설정되는 경우에 선택될 수 있으며, 따라서 선택조작은 간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TV다이얼(36)을 통하여 선택될 수 있는 노출모드의 개수는 렌즈 ROM(22)으로부터 판독되는 렌즈 정보, 즉 조리개 링의 유무와 같은 정보에 따라서 변경된다. 즉, 교환렌즈(21)가 A위치로 설정되는 조리개링을 가질 때 TV다이얼(36)은 2개의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며, 조리개링이 M위치 중 하나로 설정되면 TV다이얼(36)은 3개의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어 절차가 간단하게 된다. 또한, 교환렌즈가 조리개링을 구비하지 않을 때 TV다이얼(36)은 5개의 위치 사이에서 조작된다. 그러므로, 노출모드가 설정될 때 TV다이얼(36)은 설정한계(즉, 2, 3 또는 5개의 위치)를 넘어 회전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노출모드의 설정조작은 짧은 시간내에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많은 수정과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당업자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11)

  1. 조리개 값이 상기 카메라 본체로부터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자동설정모드 또는 상기 조리개 값이 제1교환렌즈에 구비되는 조작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설정되는 수동설정모드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리개 설정부재를 가지는 제1교환렌즈와, 상기 조리개 설정부재를 가지지 않는 제2교환렌즈가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카메라 본체를 가지는 카메라용의 복수의 노출모드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택장치는, 상기 카메라 본체에 부착되는 상기 제1 또는 제2교환렌즈에 대한 렌즈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 상기 카메라 본체내에 장착되는 메모리; 및
    상기 노출모드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프로세서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는 상기 노출모드의 개수는 상기 렌즈정보에 따라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정보는 상기 조리개 설정부재가 상기 카메라 본체에 부착된 상기 제1 또는 제2교환렌즈상에 제공되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조리개 설정부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정보는 상기 자동설정모드 또는 상기 수동설정모드 중 어느 것이 설정되었는지를 표시하는 조리개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프로세서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는 상기 노출모드의 상기 개수는 상기 제1교환렌즈가 상기 카메라 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자동설정모드 또는 상기 수동설정모드 중 하나가 선택될 때가 상기 제2교환렌즈가 상기 카메라 본체에 부착될 때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환렌즈가 상기 카메라 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자동설정모드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프로세서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는 상기 노출모드의 상기 개수와, 상기 제1교환렌즈가 상기 카메라 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수동설정모드가 선택될 때 상기 선택프로세서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는 상기 노출모드의 상기 개수와의 합은, 상기 제2교환렌즈가 상기 카메라 본체에 부착될 때 상기 선택프로세서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는 상기 노출모드의 개수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 설정부재는 상기 제1교환렌즈의 외부 표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조리개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 설정부재는 상기 자동설정모드에서 사용되는 상기 조작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카메라 본체;
    조리개 값이 카메라 본체로부터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자동설정모드 또는 상기 조리개 값이 제1교환렌즈에 구비되는 조작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설정되는 수동설정모드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리개 설정부재를 가지며, 상기 카메라 본체에 부착될 수 있는 제1교환렌즈;
    상기 조리개 설정부재를 가지지 않으며, 상기 카메라 본체에 부착될 수 있는 제2교환렌즈;
    상기 카메라 본체에 부착되는 상기 제1 또는 제2교환렌즈에 대한 렌즈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 상기 카메라 본체내에 장착되는 제1메모리; 및
    상기 노출모드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프로세서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는 상기 노출모드의 개수는 상기 렌즈정보에 따라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에 부착되는 상기 제1 또는 제2교환렌즈 중 상기 하나는, 상기 조리개 설정부재가 상기 카메라 본체에 부착되는 상기 제1 또는 제2교환렌즈에 구비되었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조리개 설정부재 정보가 저장되는 제2메모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10. 카메라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교환렌즈에 있어서,
    조리개 값이 설정될 수 있는 조리개 링; 및
    상기 교환렌즈가 상기 조리개 링을 가지는 것을 암시하는 렌즈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렌즈.
  11. 카메라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교환렌즈에 있어서,
    상기 교환렌즈가 조리개 값이 설정될 수 있는 조리개 링을 가지지 않는 것을 암시하는 렌즈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렌즈.
KR1019970054593A 1996-10-25 1997-10-24 노출모드선택장치 KR100360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01330 1996-10-25
JP30133096A JP3538288B2 (ja) 1996-10-25 1996-10-25 カメラの露出モード選択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129A true KR19980033129A (ko) 1998-07-25
KR100360541B1 KR100360541B1 (ko) 2003-04-21

Family

ID=17895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593A KR100360541B1 (ko) 1996-10-25 1997-10-24 노출모드선택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95133A (ko)
JP (1) JP3538288B2 (ko)
KR (1) KR100360541B1 (ko)
CN (1) CN1126984C (ko)
CA (1) CA2217072C (ko)
DE (1) DE19747094B4 (ko)
TW (1) TW36643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037B1 (ko) * 2008-06-05 201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렌즈 분리형 카메라에서의 아이리스 컨트롤 모드 설정장치및 방법
KR20180076335A (ko) * 2016-12-27 2018-07-0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8001B2 (ja) * 2000-12-21 2010-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US7539408B2 (en) * 2005-07-01 2009-05-26 Panasonic Corporation Single-lens reflex camera system
JP2009222731A (ja) * 2006-06-20 2009-10-01 Panasonic Corp 撮像装置
WO2009128263A1 (ja) 2008-04-17 2009-10-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交換レンズ、カメラボディ、カメラシステム
JP5457217B2 (ja) * 2010-02-02 2014-04-02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
JP2012252321A (ja) * 2011-05-10 2012-12-20 Canon Inc 画像撮影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324879B2 (ja) 2014-11-18 2018-05-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32049E (en) * 1980-02-26 1985-12-1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ical contact arrangement for photographic camera with interchangeable lens
JPS5730821A (en) * 1980-07-31 1982-02-19 Asahi Optical Co Ltd Information interlocking system for lens interchangeable type camera
DE3221875A1 (de) * 1981-06-10 1983-03-03 Asahi Kogaku Kogyo K.K., Tokyo Elektrische kontaktanordnung fuer eine fotografische systemkamera
US4912498A (en) * 1982-03-26 1990-03-27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amera system capable of interchanging its objective lens
JPS6095518A (ja) * 1983-10-31 1985-05-28 Nippon Kogaku Kk <Nikon> カメラの露出制御モ−ド設定装置
KR960005186B1 (ko) * 1986-10-01 1996-04-22 아사히 고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상호 교환 가능한 촬영 렌즈와, 그것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카메라 보디를 갖는 카메라
JPS63271239A (ja) * 1986-12-05 1988-11-09 Asahi Optical Co Ltd レンズ交換式カメラ露出制御装置
US4853732A (en) * 1987-02-03 1989-08-01 Asahi Kogaku Kogyo K.K. Automatic focusing camera
US4978981A (en) * 1988-04-25 1990-12-18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Exposure control device
US5157431A (en) * 1988-07-07 1992-10-20 Canon Kabushiki Kaisha Interchangeable-lens type camera system
JP2859388B2 (ja) * 1990-07-06 1999-02-17 旭光学工業株式会社 撮影レンズ
JPH04280238A (ja) * 1991-03-08 1992-10-06 Canon Inc 交換レンズ式カメラ装置
JP2648428B2 (ja) * 1993-01-06 1997-08-27 池上通信機株式会社 テレビカメラのアイリス制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037B1 (ko) * 2008-06-05 201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렌즈 분리형 카메라에서의 아이리스 컨트롤 모드 설정장치및 방법
KR20180076335A (ko) * 2016-12-27 2018-07-0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873695B2 (en) 2016-12-27 2020-12-22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1519A (zh) 1998-05-13
TW366437B (en) 1999-08-11
JP3538288B2 (ja) 2004-06-14
DE19747094A1 (de) 1998-04-30
US5895133A (en) 1999-04-20
JPH10133251A (ja) 1998-05-22
KR100360541B1 (ko) 2003-04-21
DE19747094B4 (de) 2010-07-08
CA2217072C (en) 2001-06-12
CN1126984C (zh) 2003-11-05
CA2217072A1 (en) 199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1823A (en) Multimode cameras
US5235380A (en) Camera having device for display within viewfinder
US20010012450A1 (en) Camera capable of inputting data and selectively displaying image
KR100360541B1 (ko) 노출모드선택장치
US5745810A (en) Image taking apparatus
US6584284B1 (en) Camera provided with focus adjusting apparatus
JPH07218813A (ja) 視線検出装置を有するカメラ
US5021817A (en) Automatic focusing camera
US6512888B2 (en) Selection point selecting apparatus
US5589907A (en) Camera having an information setting apparatus for setting photographic data
US5563676A (en) Camera having standard and panoramic focusing modes
JP3890098B2 (ja) 光学装置
US5765052A (en) Camera with plurality of camera modes and methods
JP3301842B2 (ja) 視線検出手段を備えたカメラ
JPH01257932A (ja) 表示装置付きカメラ
JP3201761B2 (ja) カメラ
JPH08286252A (ja) カメラ
JPH10148862A (ja) カメラの撮影情報入力表示装置
JP2000056229A (ja) 顕微鏡用コントローラ
JPH0854675A (ja) 光学装置
JPH07219016A (ja) 表示装置付きカメラ
JPH07311405A (ja) カメラの露出制御モード設定装置
JP3110849B2 (ja) カメラの情報表示装置
JP2001083559A (ja) カメラ
JPH1096990A (ja) 自動焦点カメラの合焦状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